KR101984551B1 -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 Google Patents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551B1
KR101984551B1 KR1020190025826A KR20190025826A KR101984551B1 KR 101984551 B1 KR101984551 B1 KR 101984551B1 KR 1020190025826 A KR1020190025826 A KR 1020190025826A KR 20190025826 A KR20190025826 A KR 20190025826A KR 101984551 B1 KR101984551 B1 KR 10198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grains
germination
water
ger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9002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는 곡물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와,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및 상기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드가 포함된 머드수를 곡물 발아에 사용함에 따라 머드에 포함된 풍부한 광물질이 발아 곡물에 자연스럽게 흡수되고, 이에 따라 발아 곡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머드의 유효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여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곡물의 발아를 더욱 촉진할 뿐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의 높은 비표면적, 높은 용해도, 확산성 등으로 인하여 머드의 유효한 성분이 곡물에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Germination method of grains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of mud and germinated grains}
본 발명은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머드의 유효 성분이 포함되도록 하고,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여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곡물의 발아를 더욱 촉진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에 관한 것이다.
콩, 보리 및 현미 등의 곡물이 발아를 하게 되면, 씨앗 상태와는 다른 영양소들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발아된 현미에는 비타민, 아미노산, 효소 및 SOD(superoxide dismutase) 등 몸에 유용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아된 곡물을 섭취함으로써,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고 성인병을 예방하며 몸의 독소를 씻어내는 해독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발아 현미는 현미와 백미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현미는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소화가 잘되지 않고, 질감이 까칠까칠한 단점이 있다. 백미는 도정과정을 거치면서 배아에 포함된 영양분이 대부분 소실된다. 발아 현미의 영양분은 배아(쌀눈)에 66%, 겨층·호분층·내피에 29% 및 배유에 5%로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발아 현미의 경우 일반 현미에 포함된 소화를 방해하는 피틴산이 발아과정에서 인과 이노시톨로 변화되면서 소화가 잘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정을 하지 않아 씨눈의 영양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단백질,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및 비타민 등의 영양분도 현미나 백미에 비해 많이 함유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곡물을 발아시키는 데 사용되는 물(이하 '침지액'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특정 성분이 강화된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952107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동해 해양심층수(동해 심층수) 원수를 음용수와 희석하거나 적절히 제염한 특정 농도의 해양심층수를 현미 발아시 침지액으로 이용하여 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고품질 발아 현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발아 현미의 성상이 균일하고,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강화된 고품질의 발아 현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머드(MUD)는 "물기가 있어 질척한 흙"이란 뜻으로 보통 진흙을 함유한 점토성 물질과 동식물들의 분해산물과 토양 및 염류 등이 퇴적되어 오랜 세월동안 지질학적, 화학적 작용을 받고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받아 형성된다. 이러한 머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이스라엘 사해산, 캐나다나 콜롬비아 해안의 빙하토, 러시아 바이칼, 캘리포니아 클레어 머드, 뉴질랜드 화산머드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1996년 보령의 머드가 국내 최초로 머드 원료로 국산화되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머드에는 탄소, 질소, 인, 유황, 철 및 규산화합물 등 수많은 무기물질과 미량원소들이 들어있다.
또한,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프롤란, 에스트로겐 등 호르몬 유사물질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티아민, 아스코르빈산, 염산, 비타민 B12, 리보플라민 등과 같은 비타민류도 풍부하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성분이 포함된 머드는 풍부한 광물질로 인해 사용 방법에 따라 온천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호르몬, 비타민류의 성분들로 인하여 인체의 물질대사나 순환, 신경계통에 좋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버블(micro-bubble)"은 기포 직경이 50μm 이하의 기포로서, "마이크로 버블수(micro-bubble water)"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로 이루어진 물을 말한다. 마이크로 버블은 기포 표면에서의 이온농축과 부착능력이 증가하며, 기포 소멸 시 자기가압(압축, 파괴 연쇄반응)에 의해 순간 초음파 및 초고온(약5,500℃ 이론적 계산수치)이 발생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마이크로버블 또는 나노버블(nano-bubble)은 밀리버블(milli-bubble)과 달리, 수면으로 0.1cm/sec의 매우 느린 속도로 상승하며, 높은 비표면적, 높은 용해도, 확산성 등을 가지고 있으며, 400MHz의 초음파 및 140dB의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은 수중 가압, 용해 후 발생되며,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여 공정 내 처리수 입자에 부착되며, 수중에서 계면흡착되고 이동되어 부상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유효 성분을 갖는 머드 및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하여 곡물 발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KR 10-0952107 B1 (2010. 04. 02.) KR 10-0679847 B1 (2007. 02. 0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머드의 유효 성분이 포함되도록 하고,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여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곡물의 발아를 더욱 촉진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은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는 곡물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된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와,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발아단계 및 상기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침지단계(S30)의 머드수는, (i) 보령산 머드를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와, (ii) 상기 전처리된 머드를 세척하여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는 세척단계와, (iii) 상기 세척된 머드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건조 및 분쇄단계와, (iv)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단계 및 (v)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에 정제수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아단계의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되, 공급량은 1~3L/min, 마이크로 버블의 크기는 기포 직경이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드가 포함된 머드수를 곡물 발아에 사용함에 따라 머드에 포함된 풍부한 광물질이 발아 곡물에 자연스럽게 흡수되고, 이에 따라 발아 곡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머드의 유효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여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곡물의 발아를 더욱 촉진할 뿐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의 높은 비표면적, 높은 용해도, 확산성 등으로 인하여 머드의 유효한 성분이 곡물에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에 사용되는 머드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곡물선별단계(S10), 곡물세척단계(S20), 침지단계(S30), 발아단계(S40) 및 건조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곡물선별단계(S10)
곡물선별단계(S10)는 곡물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곡물에서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는 단계이다. .
여기서, 상기 곡물은 현미, 녹두, 흑미, 보리, 검은깨, 우리 밀, 들깨, 메밀 및 콩 등의 곡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곡물 중에서 씨눈이 탈리된 곡물 및 부패한 곡물을 종자선별장치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비정상 씨앗들이 발아 진행 과정 중에 포함되게 되면,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발아가 진행되는 정상적인 씨앗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 씨앗을 제거함으로써 상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곡물세척단계(S20)
곡물세척단계(S20)는 상기 선별된 곡물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선별된 곡물에서 제거되지 않은 비정상 씨앗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수로 수회 세척하되, 정상적인 씨앗의 씨눈이 탈리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상기 곡물선별단계(S10) 및 곡물세척단계(S20)를 통해 발아에 사용할 수 없는 비정상 씨앗 및 이물질은 완전히 제거된다.
3. 침지단계(S30)
침지단계(S30)는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된 곡물을 발아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수용된 곡물이 완전히 잠길 정도로 머드수를 충전하여 침지시킨다.
상기 머드수는 머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머드를 원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입자가 불균형하여 사용감이 불량하고, 자연적으로 퇴적된 각종 해조류 및 해류 등의 부식물이 섞여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충청남도 보령에서 채취한 머드를 전처리, 세척, 건조, 분쇄, 멸균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에 사용되는 머드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머드수는 전처리단계, 세척단계, 건조 및 분쇄단계, 멸균단계 및 혼합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i) 전처리단계
전처리단계는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생산되는 보령산 머드를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머드는 Na 1.47%, Mg 0.71%, Al 8.89%, Si 31.52%, K 3.61%, Ca 0.70%, Ti 0.54%, Fe 4.46%, O 48.10%의 성분을 갖는다. 그리고 일반 머드에 비해 뛰어난 원적외선 발생효과가 있어, 피부 진정과 기미,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며 피부재생 및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원적외선이 발생됨에 따라 곡물의 발아 과정에서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곡물의 발아를 촉진시켜 발아효율증가 및 발아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i) 세척단계
세척단계는 상기 전처리된 머드를 2~4회 물에 세척하여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는 단계이다.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머드에 대해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지 않을 경우에는 하기의 건조 및 분쇄단계에서 건조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함수율 역시 낮아지지 않게 된다.
(iii) 건조 및 분쇄단계
건조 및 분쇄단계는 상기 세척된 머드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된 머드를 함수율이 25~30%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며, 입자크기 0.05~0.1mm가 되도록 분쇄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세척된 머드를 함수율이 25~30%의 범위가 되도록 건조하되, 입자크기 0.05mm 미만의 크기로 분쇄할 경우에는 입자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작으므로 비산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입자크기 0.1mm를 초과한 크기로 분쇄할 경우에는 하기의 물과 혼합하여 곡물에 침지시키기에 적합하지 않다.
(iv) 멸균단계
멸균단계는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을 멸균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에 포함된 세균,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멸균처리기를 통하여 멸균처리한다.
(v) 혼합단계
혼합단계는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에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머드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 100중량부 대하여, 정제수를 80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곡물 발아시 곡물이 머드의 유효한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포화상태를 초과할 수 있으며, 1,0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머드수의 머드 농도가 낮아 머드의 유효한 성분에 의한 곡물의 발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킨 이후에, 상기 머드수에 죽초액, 키토산 중 하나 또는 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킨 이후에, 상기 머드수100중량부에 대하여, 죽초액 1~2중량부, 키토산 3~5중량부 중 하나 또는 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죽초액은 대나무를 탄화할 때 발생되는 연기를 냉각·응축시키고 증류하여 정제 및 희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죽초액은 대나무 숯가마에서 약 30~50cm 정도 떨어지게 냉각통을 부착하고, 굴뚝의 입구에 연기를 모으기 위해 후드장치를구비한 장치를 통해 대나무 숯 연기를 포집·냉각하여 수득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400℃∼500℃에서 대나무를 제탄하고 굴뚝 입구의 연기 온도가 80℃∼150℃에 다다를 때 연기를 포집하기 시작한다. 연기의 색은 백색이며, 굴뚝입구의 배연온도가 200℃ 정도가 되어 청자색 연기가 나오기 시작하면 집연통을 떼어내고 연기포집을 중단한다. 포집한 죽초액을 6∼12개월 동안 농업용 폴리용기에 정치시켜 숙성한다. 숙성한 죽초액 중 상층부와 하층부의 타르 성분을 걷어내고 중간층의 투명한 죽초액만을 수득한 후, 수득한 죽초액을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투명한 밝은 다갈색의 죽초액을 수득한다. 상기 수득된 죽초액을 900~1,000배의 물과 희석한 후 최종 죽초액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죽초액은 다량의 유기산을 포함하고 있어서 살균작용 및 토질개선, 작물의 생장촉진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키토산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 껍질을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게 껍질에 대해 5중량% NaOH 수용액 10~20배를 혼합하여 90~10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단백질을 추출한다. 이후 단백질이 충분히 제거되도록 한 후 세척하여 pH를 7~7.5로 조정하고 여과 후 건조한다. 이렇게 단백질을 제거한 게 껍질에 대해 2N HCl 수용액 10~20배를 혼합하여 4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석회질을 제거한다. 이어서 깨끗한 물로 충분히 세척하여 pH를 6.5~7.0으로 조정하고 최종적으로 에탄올 수용액에 1일간 침적시킨 후 여과하여 건조한다. 이렇게 얻어진 키틴에 대해 40~50중량% NaOH 수용액 10~20배를 혼합하여 70~110℃의 온도에서 3~10시간 동안 가열 처리하여 탈 아세틸화한 키토산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산은 성장촉진, 세균 및 곰팡이의 억제 및 방지, 항암 효과, 고혈압 억제 효과, 유해 콜레스테롤 배출 효과 등을 갖는다.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킨 이후에, 상기 머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죽초액을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살균 및 생장촉진 등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2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함유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머드수의 유효한 성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킨 이후에, 상기 머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키토산을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성장촉진, 세균 및 곰팡이의 억제 및 방지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함유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머드수의 유효한 성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4. 발아단계(S40)
발아단계(S50)는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단계이다.
곡물의 발아는 곡물발아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머드수의 온도 28~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면서, 20~25시간 동안 발아시킨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발아된 싹의 길이는 0.5~1.0mm로 자라게 된다.
만약, 곡물 발아시 머드수가 28℃ 미만의 온도에서 발아될 경우, 발아된 싹이 0.5~1.0mm의 크기로 자라기 위해 더욱 긴 발아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장시간의 머드수와의 접촉에 의해 곡물이 부패하거나 악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30℃를 초과한 온도에서 발아될 경우에는 곡물의 씨눈이 익을 수 있다.
또한, 곡물 발아시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지 않게 되면 곡물의 발아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곡물 발아시 머드수의 온도는 28~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되, 20시간 미만으로 발아시킬 경우에는 발아된 싹의 길이 0.5mm 미만으로 자라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25시간을 초과하여 발아시킬 경우에는 발아된 싹의 길이가 1mm를 초과하여 자라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의 발아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 버블수가 공급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발생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되, 공급량은 1~3L/min, 기포 직경이 10~50㎛인 마이크로 버불을 공급한다.
먼저, 마이크로 버블(micro-bubble)은 기포 직경이 50μm 이하의 기포로서, 마이크로 버블수(micro-bubble water)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로 이루어진 물을 말한다.
마이크로 버블은 기포 표면에서의 이온 농축과 부착능력을 갖게 하며, 기포 소멸 시 자기 가압(압축, 파괴 연쇄반응)에 의해 순간 초음파 및 초고온(약 5,500℃ 이론적 계산 수치)아 발생하는 특징을 갖는다. 마이크로버블 또는 나노버블(nano-bubble)은 밀리버블(milli-bubble)과 달리, 수면으로 0.1cm/sec의 매우 느린 속도로 상승하며, 높은 비표면적, 높은 용해도, 확산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게 되면,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가 공급되는 특징으로 곡물 발아가 촉진될 뿐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의 높은 비표면적, 높은 용해도, 확산성 등으로 인하여 머드의 유효한 성분이 곡물에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의 공급량을 1L/min 미만으로 공급할 경우에는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기 어려워 곡물의 발아를 촉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3L/min를 초과하여 공급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공급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곡물의 발아가 급속도로 이루어져 발아된 싹의 길이가 0.5~1mm를 초과하게 된다.
5. 건조단계(S50)
건조단계(S50)는 상기 발아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발아된 곡물을 수분함량 12~15%로 건조시켜 건조된 형태의 발아 곡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드가 포함된 머드수를 곡물 발아에 사용함에 따라 머드에 포함된 풍부한 광물질이 발아 곡물에 자연스럽게 흡수되고, 이에 따라 발아 곡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머드의 유효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여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곡물의 발아를 촉진할 뿐 아니라, 마이크로 버블의 높은 비표면적, 높은 용해도, 확산성 등으로 인하여 머드의 유효한 성분이 곡물에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 본 발명의 발아방법에 따라 발아시킨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발아 현미
1) 종자선별장치에 현미를 넣어 씨눈이 탈리됐거나 부패한 현미를 제거하고 정상적인 현미를 선별한다.
2) 선별된 현미를 3회 세척한다.
3) 상기 세척된 현미를 발아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수용된 현미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머드수를 충전하여 침지시킨다.
4) 머드수에 침지된 현미에 대해, 머드수의 온도 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면서, 25시간 동안 발아시킨다.
5) 상기 발아된 현미를 수분함량 15%로 건조시켜 건조된 형태의 발아 현미를 제조한다.
실시예 2 : 본 발명의 발아방법에 따라 발아시킨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발아 현미(마이크로 버블수 추가)
1) 종자선별장치에 현미를 넣어 씨눈이 탈리됐거나 부패한 현미를 제거하고 정상적인 현미를 선별한다.
2) 선별된 현미를 3회 세척한다.
3) 상기 세척된 현미를 발아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수용된 현미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머드수를 충전하여 침지시킨다.
4) 머드수에 침지된 현미에 대해, 머드수의 온도 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면서, 25시간 동안 발아시킨다.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 직경이 30㎛인 마이크로 버블수를 2L/min 공급한다.
5) 상기 발아된 현미를 수분함량 15%로 건조시켜 건조된 형태의 발아 현미를 제조한다.
실시예 3 : 본 발명의 발아방법에 따라 발아시킨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발아 현미(마이크로 버블수 추가, 죽초액 및 키토산 추가)
1) 종자선별장치에 현미를 넣어 씨눈이 탈리됐거나 부패한 현미를 제거하고 정상적인 현미를 선별한다.
2) 선별된 현미를 3회 세척한다.
3) 상기 세척된 현미를 발아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수용된 현미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머드수를 충전하여 침지시킨다. 상기 머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죽초액 1중량부, 키토산 3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4) 머드수에 침지된 현미에 대해, 머드수의 온도 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면서, 25시간 동안 발아시킨다.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 직경이 30㎛인 마이크로 버블수를 2L/min 공급한다.
5) 상기 발아된 현미를 수분함량 15%로 건조시켜 건조된 형태의 발아 현미를 제조한다.
비교예 : 일반적인 발아방법으로 발아시킨 발아 현미
1) 종자선별장치에 현미를 넣어 씨눈이 탈리됐거나 부패한 현미를 제거하고 정상적인 현미를 선별한다.
2) 선별된 현미를 3회 세척한다.
3) 상기 세척된 현미를 발아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수용된 현미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물을 충전하여 침지시킨다.
4) 물에 침지된 현미에 대해, 머드수의 온도 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면서, 25시간 동안 발아시킨다.
5) 상기 발아된 현미를 수분함량 15%로 건조시켜 건조된 형태의 발아 현미를 제조한다.
실험 : 곡물 발아율, 발아크기 및 전체적인 평가
본 발명의 발아방법에 따라 발아시킨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발아 현미(실시예 1 내지 3)와 일반적인 발아방법으로 발아시킨 발아 현미(비교예 1)의 발아율 및 전체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발아율

전체적인 평가

실시예 1

93% 정도의 씨앗이
정상발아

부패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정상발아율이 높음

실시예 2

95% 정도의 씨앗이
정상발아

부패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정상발아율이 높음

실시예 3

97% 정도의 씨앗이
정상발아

부패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정상발아율이 높음

비교예

60% 정도의 씨앗이
정상발아

부패가 20% 이상 발생됨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머드가 포함된 머드수를 곡물 발아에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90% 이상의 정상 발아를 보이며, 부패도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2, 3에서는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함으로써, 단시간에 고농도의 산소가 공급되는 특징으로 곡물의 발아를 더욱 촉진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에서는 머드수와 더불어 죽초액과 키토산을 더 추가함으로써 97% 정도의 씨앗이 정상발아한 사실로부터 발아를 더욱 촉진하였음이 확인되었다.이를 통해 상기 본 발명의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발아 곡물이 일반적인 곡물 발아에 비해 발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발아에 적합한 곡물을 선별하는 곡물선별단계(S10);
    상기 선별된 곡물을 세척하는 곡물세척단계(S20);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키는 침지단계(S30);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되, 머드수의 온도 28~30℃, 습도 75~80%의 범위를 유지시키면서, 20~25시간 동안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40); 및
    상기 발아된 곡물을 수분함량 12~15%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침지단계(S30)의 머드수는,
    (i) 보령산 머드를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단계;
    (ii) 상기 전처리된 머드를 2~4회 물에 세척하여 염분함량을 50% 이하로 낮추는 세척단계;
    (iii) 상기 세척된 머드를 함수율이 25~30%가 되도록 건조한 후 입자크기 0.05~0.1mm가 되도록 분쇄하는 건조 및 분쇄단계;
    (iv) 상기 건조 및 분쇄된 머드분말을 멸균처리하는 멸균단계; 및
    (v) 상기 멸균된 머드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100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침지단계(S30)에서, 상기 세척된 곡물을 머드수에 침지시킨 이후에, 상기 머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죽초액 1~2중량부, 키토산 3~5중량부 중 하나 또는 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아단계(S40)의 상기 머드수에 침지된 곡물을 발아시키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수를 공급하되, 공급량은 1~3L/min, 마이크로 버블의 크기는 기포 직경이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아 곡물.
KR1020190025826A 2019-03-06 2019-03-06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KR10198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26A KR101984551B1 (ko) 2019-03-06 2019-03-06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26A KR101984551B1 (ko) 2019-03-06 2019-03-06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551B1 true KR101984551B1 (ko) 2019-05-31

Family

ID=6665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826A KR101984551B1 (ko) 2019-03-06 2019-03-06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47B1 (ko) 2005-01-03 2007-02-07 장사창 오갈피 추출물이 함유된 발아곡물과 곡물의 발아방법 및발아장치
JP2007143453A (ja) * 2005-11-25 2007-06-14 Sapporo Breweries Ltd 穀物の水浸漬方法及び浸漬装置
KR100952107B1 (ko) 2007-12-10 2010-04-13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발아현미의제조방법
KR20170013454A (ko) * 2015-07-27 2017-02-07 농업회사법인 산들해 주식회사 머드의 유효성분이 포함된 곡물의 발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및 새싹보리
KR20180008975A (ko) * 2016-07-15 2018-01-25 주식회사 물과산소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산소 용해수를 이용하는 발아미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47B1 (ko) 2005-01-03 2007-02-07 장사창 오갈피 추출물이 함유된 발아곡물과 곡물의 발아방법 및발아장치
JP2007143453A (ja) * 2005-11-25 2007-06-14 Sapporo Breweries Ltd 穀物の水浸漬方法及び浸漬装置
KR100952107B1 (ko) 2007-12-10 2010-04-13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미네랄 성분이 강화된 발아현미의제조방법
KR20170013454A (ko) * 2015-07-27 2017-02-07 농업회사법인 산들해 주식회사 머드의 유효성분이 포함된 곡물의 발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및 새싹보리
KR20180008975A (ko) * 2016-07-15 2018-01-25 주식회사 물과산소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산소 용해수를 이용하는 발아미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688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CN107212195B (zh) 一种富含sod果蔬汁及其加工方法
CN103843707B (zh) 一种使用臭氧水的南美白对虾养殖方法
WO2014059951A1 (zh) 籽粒萌发活性、富硒或富含微量元素食品生产方法
CN101073431A (zh) 一种玉米胚芽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719703A (zh) 一种改善发芽糙米蒸煮性与适口性的方法
CN105794876A (zh) 一种改性核桃壳蓝藻抑制剂及其制备方法
JP6987408B2 (ja) きのこ培地の製造方法
KR101984551B1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KR20170013454A (ko) 머드의 유효성분이 포함된 곡물의 발아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아 곡물 및 새싹보리
CN106819678A (zh) 富硒黑木耳饮料及其制备方法
JP2023101510A (ja) 天然温泉濃縮液の製造方法
WO2020107950A1 (zh) 一种高钙低钠海藻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60689B1 (ko) 식물세포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 첨가물 쥬스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식물세포 분해효소를 이용한 천연 첨가물 쥬스
JP2019083809A (ja) 乳酸発酵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136418B (zh) 一种薏苡苗粉的生产工艺
KR102022677B1 (ko) 천연 저염소스의 제조 방법
CN103798559B (zh) 一种去农残赣南脐橙切片的生产方法
CN1255057C (zh) 一种海藻的加工方法
CN111700213A (zh) 一种大米加工工艺
KR101379471B1 (ko) 은용액으로 처리한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발아곡류의 제조방법
KR20070104492A (ko)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KR20060088522A (ko) 매실 성분이 함유된 매실 굴비 제조 방법
KR100302140B1 (ko) 이온수를 사용한 쌀의 세척방법
KR100736834B1 (ko) 함초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