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520B1 -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520B1
KR100959520B1 KR1020070078557A KR20070078557A KR100959520B1 KR 100959520 B1 KR100959520 B1 KR 100959520B1 KR 1020070078557 A KR1020070078557 A KR 1020070078557A KR 20070078557 A KR20070078557 A KR 20070078557A KR 100959520 B1 KR100959520 B1 KR 10095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water
tea extract
deep sea
sea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528A (ko
Inventor
추용식
유영근
장해진
김선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비스
Priority to KR102007007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폴리페놀류 기능성 물질 등의 녹차 추출물 및 미네랄의 함량이 높은 녹차 추출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녹차 추출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추출 용매 7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 용매의 경도는 100 내지 13,000이고, 상기 추출 용매는 정제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5 내지 70중량% 및 나머지 해양 심층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양 심층수, 녹차, 추출, 용매

Description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Composition including natural organic minerals of deep sea water and green tea functional components}
본 발명은 녹차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페놀류 기능성 물질 등의 녹차 추출물 및 미네랄의 함량이 높은 녹차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녹차(Camellia Sinensis L.)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종자식물로, 천연의 특이한 관능적 특성뿐 만 아니라, 항균, 항산화, 항암, 항돌연변이원성,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 피부 노화 억제, 항당뇨, 해독 작용 등의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에는 상기 효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유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카테킨(catechin), 탄닌(tannin) 등의 생리활성이 높은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카페인(caffeine), 엽록소(chlorophyll), 비타민(vitamin) A, B1, B2, C, E와 아미노산, 단백질, 지방질, 섬유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녹차는 대중적으로 음료나 피부미용에 주로 사용 되고 있으며, 녹차잎 등 음용하기에 적합한 부위를 원료로, 가열, 분쇄, 건조 등의 처리를 하고, 이를 물로 추출하여 차로 마시거나, 물 또는 주정으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식품, 화장품 등의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순히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통상의 추출 용매로 녹차를 추출할 경우, 녹차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낮아, 추출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하거나, 유효성분의 일부 만을 추출하고, 유효성분이 다량 잔류된 녹차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녹차를 추출하거나, 추출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추출액의 농축에도 상당한 경비와 노력이 소요되어, 녹차 추출물의 산업적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녹차 등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경우, 미네랄의 함량이 적은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놀류 기능성 물질 등의 녹차 추출물 뿐만 아니라,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차 유효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된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녹차 추출 조성물 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추출 용매 7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 용매의 경도는 100 내지 13,000이고, 상기 추출 용매는 정제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5 내지 70중량% 및 나머지 해양 심층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및 추출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용매는 녹차 유효성분을 추출할 뿐 만 아니라, 미네랄을 공급하는 해양 심층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해양 심층수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 속에 위치하는 바닷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본 수산청의 수산 심층수 협의회에서는 광합성에 의한 유기물 생성이 없고, 겨울철에 연직 혼합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수심 이하의 해수를 심층수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 심층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무기 영양염이 다량 포함된 부영양성(富營養性),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이 없는 청정성(淸淨性), 온도 변화가 거의 없는 저온 안정성(低溫安定性), 20기압 이상의 수압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숙성된 숙성성(熟成性) 등의 특성을 가지며, 수산분야(양식), 에너지 분야(냉방), 제품 분야(식품, 소금, 술, 생수, 화장품), 의료 분야(아토피성 피부치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해양 심층수의 숙성성은, 표층수와 비교하여 해양 심층수가 "매우 세밀"하고, "부드럽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저온과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심층수의 밀도가 높아지고, 미세한 입자상의 미네랄이 오랜 시간에 걸쳐 심층수에 용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해양 심층수는 인공 물질로 오염되지 않고, 광합성 작용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분해해야 할 유기물, 병원균 및 세균 번식이 적어, 매우 청정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해양 심층수에는 마그네슘, 칼슘, 칼륨, 및 나트륨의 4대 미네랄을 비롯하여, 아연, 셀렌, 망간 등의 각종 미네랄 성분 및 필수 미량 원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담수화를 통하여 미네랄 워터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 용매로는, 취수된 그대로의 해양 심층수인 원수(原水), 상기 원수의 이온 성분이 농축된 농축수, 상기 원수로부터 이온 성분이 감소된 투과수,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도를 100 내지 13,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1,000으로 조절한 해양심층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양심층수 원수의 경도는 약 6,300 이며, 상기 농축수의 경도는, 해양심층수의 농축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10,000 내지 13,000 정도이다. 상기 해양 심층수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등 통상의 추출 용매와 비교하여, 녹차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네랄 공급원의 역할을 한다. 상기 해양 심층수의 경도가 너무 낮으면, 녹차 추출 효율이 저하되어, 녹차 추출 조성물 내의 녹차 유효성분 및 미네랄 함량이 충분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경도가 너무 높으면, 현실적으로 산업화하는데 경제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농축수 및 투과수로는, 역삼투압법, 전기 투석법 등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원수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면서 생성되는 농축수 및 투과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해양 심층수의 경도는, 상기 원수, 농축수, 투과수, 정제수, 유기용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적절히 혼합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수 : 여과수 : 농축수를 1 : 0.2 ~ 2 : 0.2 ~ 3, 바람직하게는 1 : 0.5 ~ 2 : 0.5 ~ 3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 용매의 혼합비에 따라, 추출 용매에 포함되는 미네랄의 성분 및 함량이 달라지므로, 녹차로부터 특정 유효성분의 추출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용매에 있어서, 나트륨 이온의 함량은, 마그네슘 이온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부 이하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나트륨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면, 추출용매의 짠맛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나트륨 성분의 함량이 감소된 추출용매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10-2006-0054899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해양 심층수와 함께 사용되는 정제수로는 통상의 증류수(distilled water), 수돗물, 생수 등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탄소수 1 내지 4) 알코올, 저급 유기산,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 저급 케톤, 할로겐화 탄화수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 및/또는 유기용매가 사용될 경우, 그 함량은 해양 심층수의 경도를 100 내지 13,000으로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추출 용매에 대하여, 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이다. 정제수 및/또는 유기용매를 제외한 추출 용매의 나머지 성분은 원수, 농축수, 투과수 등의 해양 심층수이다. 상기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추출 용매의 경도가 너무 높아질 우려가 있고, 너무 많으면, 추출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녹차 유효성분의 추출 후, 상기 유기용매는, 필요에 따라, 가열 등의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차 추출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카테킨(catechin), 탄닌(tannin) 등의 폴리페놀류 화합물, 유리 아미노산, 유리당, 사포닌, 유기산 등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미량의 카페인(caffeine), 엽록소(chlorophyll), 비타민(vitamin) A, B1, B2, C, E와 단백질, 지방질, 섬유질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은, 녹차잎 등, 녹차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녹차 부위를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추출 용매에 투입하여, 녹차 유효성분을 추출시킨 후, 유효성분이 제거된 녹차를 필터 등으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pH 3 내지 10, 온도 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에서, 2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추출 조 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녹차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저하되거나,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이 있어서, 추출 용매의 함량은 7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이고,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이다. 여기서,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녹차 추출 조성물을 건조하여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차 추출 조성물에 있어서, 추출 용매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추출 효율은 증가하나, 유효성분 함량이 적어, 유효성분 추출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추출 용매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은, 녹차의 유효성분 뿐만 아니라, 해양 심층수의 미네랄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조성물 상태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건조 또는 희석하여, 음료, 식품, 약품, 화장품 등, 녹차 추출물 및 미네랄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은, 녹차 유효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된,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 미네랄 조성물로서, 녹차 추출물을 다량으로 함유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미네랄을 함유하며, 음료, 식품, 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해양 심층수 채취 및 정제
대한민국 동해의 수심 500m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마이크로 필터(재질: Polytetrafluoroethylene(PTFE), 기공 크기: 약 0.5㎛, 주식회사 새한 제품)로 정밀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역삼투 시스템(reverse osmosis, Dow Chemical Company 제품, FILMTEC, SW30-4021)을 이용하여 역삼투압 농축수 및 역삼투압 여과수로 분리하였다. 또한, 상기 여과된 해양 심층수(원수)를, 전기 투석장치(electrodialysis, MICRO ACILYZER G4SK, 음이온막: NEOSEPTA AMX SB, 양이온막: ACIPLEX K-192 / ASAHI KASEI CORPORATION社, JAPAN, 운행조건: 전류밀도 2,5A/m2, STACK전압 38V 정전압 운전 /순환유량 13.1L/min)를 이용하여 전기투석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로 분리하였다. 상기 해양 심층수(원수), 농축수 및 여과수의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ND: Not detected)에 나타내었다.
원소 (ppm) 원수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전기 투석수 전기투석 농축수
Al 0.28 0.004 0.56 0.008 0.57
As ND ND ND 0.002 0.002
Ba ND ND ND ND ND
Ca 419.0 0.006 687.9 9.7 713.7
Cd ND ND ND ND ND
Co 0.52 ND 1.6 ND 2.0
Cr 1.9 0.006 0.026 1.9 3.9
Cu 0.053 0.004 2.4 0.007 1.7
Fe 0.005 0.001 1.6 ND 1.5
Mg 1285 0.04 2586 118 2258
Mn 0.043 ND 0.053 ND 0.061
Pb < 0.001 < 0.001 < 0.001 ND ND
Sr 6.61 ND ND 0.46 1.65
K 430 5.7 560 1.78 461
Zn 0.01 0.002 0.23 0.002 0.31
경도 6316 0.18 12,322 507 11,042
[실시예 1 내지 3] 녹차 추출 조성물의 제조
해양 심층수로서, 제조예 1에서 얻은 원수, 농축수(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 투석 농축수를 1:1 부피비로 혼합한 것) 및 여과수(역삼투압 여과수 및 전기 투석수를 1:1로 혼합한 것)를 각각 사용하고, 해양심층수 50ml에 에탄올 50ml를 혼합한 후, 녹차잎 10g을 투입하여,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 pH 3-10, 온도 4℃에서 6일간 추출 용액을 방치한 후, 유효성분이 추출된 녹차잎을 여과하고, 에탄올 가열 제거하여,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녹차 추출 조성물의 제조
추출 용매로서 해양 심층수 대신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녹차 추출 조성물의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녹차 추출 조성물에 있어서, 녹차 유효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2(단위: 중량부)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원수)
실시예 2
(농축수)
실시예 3
(여과수, 투과수)
비교예 1
(정제수)
유리 아미노산 6.5 13.4 2.3 0.5
폴리페놀류 36.0 44.0 33.0 10.2
유리당 9.0 16.4 10.6 4.2
사포닌 1.1 2.6 0.05 0.03
유기산 3.4 7.3 1.7 1.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양 심층수, 즉 원수, 농축수 및 투과수를 포함하는 녹차 추출 조성물의 경우, 정제수를 포함하는 녹차 추출 조성물과 비교하여, 녹차 유효성분의 함유량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5, 실시예 4] 녹차 추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용매를, 녹차에 대하여 10배의 중량비로, 녹차와 혼합하여,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 용액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녹차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유효성분이 추출된 녹차잎을 감압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서,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녹차 추출 조성물을, 60℃에서 10배 농축한 후, 10배(0.1%), 100배(0.01%) 및 1000배(0.001%) 희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하기 실험에서, 흡광도는 발색후 생성되는 색의 흡수파장이다.
시료(sample) 부호 추출 용매 (중량%)
비교예 2 A 100% 정제수
비교예 3 B 100% 에탄올
실시예 4 C 70% 에탄올 + 30% 농축수
비교예 4 D 100% 농축수
비교예 5 E 전기 투석수
[실험예 3] 녹차 추출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1) NBT 에세이(assay)
300mL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 pH 7.8)에 트리톤(triton) X-100 1.6mL,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2.9mg, NBT (nitro-blue- tetrazolium) 1mg, 하이포크산틴(hypoxanthine) 5.4mg을 넣어 기질/반응(substrate /reactive) 용액을 제조하였다. 크산틴 옥시다아제(Xanthine oxidase) 12μL를 300mM 포스페이트 버퍼(pH 7.7) 10mL에 녹여 효소 용액(enzymatic solution)을 제조하였다.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버퍼 1.0mL을 넣은 다음, 기질/반응 용액 0.5mL를 첨가하고,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를 각각 100 μL씩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용매만 처리한 후, 효소 용액(enzymatic solution) 0.5mL을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크산틴-크산틴 옥시다아제 시스템에서 NBT의 감소로 측정된 슈퍼 옥사이드 아니온(super-oxide anion)의 제거(scavenging) 효율(NBT 감소의 저해율, %)을 도 1에 나타내었다. 기질에 효소를 처리하면, 산화가 일어나 발색된다. 산화가 진행될수록, 발색이 강해져 흡광도가 증가하므로, 효소 용액의 흡광도로부터, 녹차 추출물의 산화 방지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2) DPPH 래디칼 소거능
증류수 : 메탄올을 4 : 6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스톡(stock) 용액을 만들고 DPPH(diphenyl-picry-hydrazyl, sigma)를 녹인 후, 513nm에서 흡광도가 0.6 정도가 되도록 하였다. DPPH 용액 2mL와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1mL을 24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약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51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에 대한 자유 래디칼(free radical) 제거(scavenging) 활성(anti-hydroxyl radical rate, %)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DPPH가 산화되면 용액의 색이 진해지므로, 용액의 흡광도로부터, 녹차 추출물의 산화 방지 효과를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4] 녹차 추출 조성물의 미백 효과
(1) L-DOPA 산화 억제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900μL를 24 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2000u/mL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0.1 M phosphate buffer pH 6.5로 용해) 50μL를 처리하여, 37℃에서 약 5 분간 방치하고, 다시 10mM L-DOPA(pH 7.0) 50μL를 상온에서 1 분간 반응시킨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L-DOPA 자동 산화(auto-oxidation) 억제효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이 L-DOPA라는 물질로 변화하고, 다시 티로시나아제가 작용하여 L-DOPA를 자동 산화시키며, 이후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어 피부색이 변화한다. 따라서, L-DOPA 자동산화 억제율 및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율을 측정함으로써 미백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은, L-DOPA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처리하는 경우 발생하는 갈변현상을, 490nm에서의 흡광도로서 측정한 것이다.
(2)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억제
1M 포스페이트 버퍼(pH 6.5) 100μL, 15mM 티로신 용액(tyrosine solution) 100μL를 첨가한 후,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2,000U/mL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100μL와 600μL 정제수를 첨가하여, 25℃에서 효소 활성(enzyme kinetic)과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녹차 추출 조성물의 주름 억제 효과
24 웰 플레이트에, 5mg의 아조콜(azocoll, azo dye impregnated collagen, Sigma, A4341), 500mM Tris-HCl 버퍼(pH 7.5) 및 5mM Ca(C2H3O2)2 혼합용액을 100μL 첨가한 후,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900μL를 처리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콜라게나제(collagenase) 100μL를 처리하고, 37℃에서 반응시킨 다음, 5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콜라게나제(collagenase) 억제 효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콜라게나제(collagenase)에 의하여 콜라겐이 분해되면, 피부에 주름이 생성된다. 색이 첨가된 콜라겐(아조콜)에 콜라게나제를 처리하면, 콜라게나제 활성이 높을수록 아조콜 용액의 색상이 진해진다. 따라서, 콜라겐(아조콜) 용액의 색상으로부터, 녹차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6] 녹차 추출 조성물의 항염 효과
24 웰 플레이트에, 희석한 시료 0.5mL와 기질용액(Linoleic acid 50μL + Tween 50 50μL + 0.1M Tris-HCl(pH 7.0) 정제수 50mL 정용)을 첨가한 후, 0.5 mL 효소(Lipoxygenase 10μL(1,000,000unit/mL) + 0.3M Tris-HCl 버퍼 15 mL)를 넣어 반응시켰다. 효소반응 후, 포화 KI용액(KI 35g + 정제수 25mL) 0.25mL과 1% 전분 0.25mL을 넣어, 발색 반응을 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리포시제나제(Lipoxygenase) 억제율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염증에 관계된 효소(lipoxigenase)로 기질(linoleic acid)을 처리하면, 과산화물이 생성되며, 이때 KI를 처리하면 I가 유리되고, 다시 전분을 처리하면 I와 반응하여 발색한다. 즉, 효소의 활성이 높으면 과산화물의 생성이 많아지고, 다량의 I가 유리되며, 진한 발색이 나타난다. 따라서, 녹차 추출물의 리포시제나제(Lipoxygenase) 억제율을 효소 반응의 발생 정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3 내지 6(도 1 ~ 5)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은, 녹차 유효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되어, 통상의 녹차 추출 조성물과 대비하여,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주름 억제 효과, 항염 효과 등이 월등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 크산틴-크산틴 옥시다아제 시스템에서 슈퍼 옥사이드 아니온의 제거 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 자유 래디칼 제거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 L-DOPA 자동 산화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 콜라게나제(collagenase)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녹차 추출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에, 리포시제나제(Lipoxygenase) 억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Claims (4)

  1. 녹차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추출 용매 7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 용매는 유기용매 5 내지 70 중량% 및 나머지 해양 심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추출 용매에 있어서, 나트륨 이온의 함량은 마그네슘 이온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하이고, 경도가 100 내지 13,000인 것인 녹차 추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카테킨, 탄닌, 유리 아미노산, 유리당, 사포닌, 및 유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녹차 추출 조성물.
KR1020070078557A 2007-08-06 2007-08-06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KR10095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557A KR100959520B1 (ko) 2007-08-06 2007-08-06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557A KR100959520B1 (ko) 2007-08-06 2007-08-06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28A KR20090014528A (ko) 2009-02-11
KR100959520B1 true KR100959520B1 (ko) 2010-05-27

Family

ID=4068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557A KR100959520B1 (ko) 2007-08-06 2007-08-06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111A (ko)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814B1 (ko) 2017-11-20 2019-11-18 (주)아모레퍼시픽 다당류 함량이 증진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98532B1 (ko) * 2019-12-09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추출 수율 및 미네랄 함량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525A (ja) * 2000-07-24 2002-02-05 Kazuhiro Kotani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抽出飲料
JP2002272372A (ja) 2001-03-21 2002-09-24 Masahiro Kono 海洋深層水を用いた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5887B1 (ko) 2005-08-08 2007-01-11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525A (ja) * 2000-07-24 2002-02-05 Kazuhiro Kotani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抽出飲料
JP2002272372A (ja) 2001-03-21 2002-09-24 Masahiro Kono 海洋深層水を用いた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5887B1 (ko) 2005-08-08 2007-01-11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111A (ko) 2016-09-30 2018-04-09 (주)아모레퍼시픽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28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278B1 (ko) 식물체로부터프로안토시아니딘을추출및단리시키는방법
Bazinet et al. Antioxidants, mechanisms, and recovery by membrane processes
Cassano et al. Fractionation of olive mill wastewaters by membrane separation techniques
EP2526785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hytoextract from vegetation waters and olive oil pomaces
US7427358B2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tyrosol and hydroxytyrosol from oil mill wastewaters and catalytic oxidation method in order to convert tyrosol in hydroxytyrosol
AU2010215354A1 (en) Method for extracting phenolic compounds from olive fruit water and preparation of an extract titrated with olive and grape polyphenols
US9744201B2 (en) Red ginseng saponin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160163B1 (ko)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미그달린이 저감된 매실청
KR100959520B1 (ko)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KR100778811B1 (ko) 식물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들의 해양 심층수 용매 추출 방법
KR20130038018A (ko)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KR20180119772A (ko) 니파 야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니파 야자 추출물
US7378117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tato juice products by means of food technology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2139417B1 (ko) 기능성 강화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제제의 제조 방법
KR100804104B1 (ko)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KR101901784B1 (ko) 미네랄 함량을 높인 기능성 강화 용암해수 소금의 제조 방법
KR101002589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고기능성 녹차 잎의 생산방법
KR20150096999A (ko) 천일염을 함유하는 보습력이 강화된 바디클렌져 조성물
KR100905206B1 (ko) 해양 심층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만드는 방법
KR100833708B1 (ko) 해양 심층수 용매를 이용한 녹차 폴리페놀류 기능성물질들의 분리 추출 방법
KR20190055624A (ko) 세리신 추출물의 친환경적인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43747B1 (ko) 명자나무열매를 이용한 녹조퇴치용 발효액 아이제이에스디
WO2022112292A1 (en) Method for separation of proteins from phenolic compounds
JP2010083835A (ja) 機能性生体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