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018A -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018A
KR20130038018A KR1020110102638A KR20110102638A KR20130038018A KR 20130038018 A KR20130038018 A KR 20130038018A KR 1020110102638 A KR1020110102638 A KR 1020110102638A KR 20110102638 A KR20110102638 A KR 20110102638A KR 20130038018 A KR20130038018 A KR 2013003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skin
silicate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160B1 (ko
Inventor
김주태
부금철
장두고
Original Assignee
김주태
장두고
부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태, 장두고, 부금철 filed Critical 김주태
Priority to KR102011010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1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과 전기석 및 녹나무 오일,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함께 침지하여 20℃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규산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20℃에서 2-7일간 숙성하여 상층부 80%를 걸러내 미용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용수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BEAUTY WATER COMPRISING SOLUBLE SILICATE SALT AND CINNAMOMUM CAMPHORA OIL}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과 전기석 및 녹나무 오일,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현상은 세포 중의 지질 등이 산화되면서 시작되는데 이러한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활성 산소는 스트레스나 환경오염 특히 자외선에 영향을 받아 생성된다. 생체 피부 세포는 나이가 들면서 피부 세포 중 과산화물의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피부 항산화 방어 수준은 저하된다. 따라서 산화제와 항산화제의 균형을 유지하는 항상성이 피부 노화 억제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되며 이러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종 천연물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들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규소(Si) 성분의 살균효과와 다량의 원적외선 발생으로 노화방지 및 피부질환 살균, 세포활성화에 많은 도움을 주고 세포 활성화로 인한 피로회복과 피부 보습효과로 피부가 부드러워지며 화장을 안 해도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각종 음용수용 방청제나 화장수 등으로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25062호 '미용수의 제조방법'에는 SiO2 및 Al203를 다량 함유한 세라믹 광물을 분말화시키고 여기에 Fe203, CaO, MgO, K20, Na20, Ti02를 각각 일정 비율로 혼합하며 이 혼합물질을 미세한 다공질의 원형구조로써 3-4mm 크기로 성형시키고 이 성형물을 로(爐)에서 900-1200℃의 온도로 소성시키며 이를 생수와 혼합하여 적정량의 미네랄 이온이 용출되는 미용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복잡한 광물의 성형 및 혼합 공정을 거쳐야 하고 천연 항산화물질이 결여되어 있어 이를 화장용수로 활용하는 데는 불편한 점이 있어 왔다.
또한 피부의 노화와 관련하여 외부 요인으로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종래로부터 자외선을 막아주기 위한 여러 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는데, 이를테면 대한민국 특허제 10-1050613 (2011.07.13)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잣나무, 삼나무, 자작나무, 감귤나무, 녹나무로 구성된 식물 성분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윤기있고 밝게 가꾸어주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었다.
하지만 항산화 효과에 의한 피부 보호 작용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과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여러 가지 세안방법과 화장품 등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화장효과가 있는 미용수로는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050613 (2011.07.13)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25062호 '미용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혼합하여 숙성시킨 다음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함께 침지하여 20℃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규산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20℃에서 2-7일간 숙성하여 상층부 80%를 걸러내 미용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고 사람의 혈액에 가까운 밸런스로 되어 있는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된 미용수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함께 침지하여 20℃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규산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20℃에서 2-7일간 숙성하여 상층부 80%를 걸러내 미용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해양심층수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 깊이에 존재하는 해수자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육지로부터 유기물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아서 표층수에 비하여 순수하고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수온은 거의 2℃ 정도로 일정하고,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의 다양한 미네랄 성분 및 필수 미량 원소를 비롯한 유용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심층수의 청정성은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분해해야 할 유기물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고, 2차 세균오염을 막아주며 불순물이 적은 특성이 있어 아토피성 피부와 같은 민감성피부에 효능이 있다. 또한, 저온성은 수온변동이 적어 저온으로 안정되어 있고 미네랄이 풍부하여 다양한 필수 미네랄이 존재해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산소의 소거에 놀라운 효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해양심층수는 고압하에 긴 세월을 지나면서 숙성되어 물 분자의 집단체가 소집단화되어 표면장력이 적어 침투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율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해양심층수를 사용하면 피부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발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양심층수는 경도 100 내지 200 ppm,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60 ppm으로 탈염된 것이 좋다. 해양심층수의 경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미네랄 성분의 함량이 미미하여 유익한 효과를 얻기가 힘들고,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미네랄 함량은 높지만 세정력이 떨어지고 피부 자극을 유발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해양심층수의 경도는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경도 범위의 해양심층수를 얻기 위하여, 채취된 해양심층수를 탈염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탈염 공정은 모든 통상적인 해수 탈염 과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역삼투막 여과법, 전기투석법, 이온교환법, 또는 담수희석법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동해 울릉도 앞바다 약 550 내지 750 m 깊이에서 채취된 것을 상기 범위의 경도를 갖도록 탈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규산염은 규석 95 중량%에 무수 탄산나트륨 5중량%를 혼합하여 용융로에서 1650℃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층부의 부유물을 제거한 규산염 혼합용융물을 식혀 분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규산염은 규석 또는 규사(Si)는 본래 물에 난용성이나 함께 고온에서 용해시킨 무수탄산나트륨에 의하여 규산알칼리로 되어 물에 녹으며 가수분해되어 약 알카리성을 띠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수도관 등의 청정작용을 하는 방청제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전기석(電氣石)은 붕소, 알루미늄 따위를 함유한 규산염 광물로 수용성 물질은 세포활성을 증가시키고 피부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상기 규산염 수용액은 해양심층수 10ℓ당 수용성 규산염 3~10 g을 섞어 용해시키되 전기석 0.5 ㎏ 함께 침지하여 20℃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규산염 수용액을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해양심층수는 대략 200m 이하로 수온은 2~6℃ 정도로 년 중 변화가 거의 없고 표층수와 20℃ 이상의 온도차이가 나고 유기물의 양도 더욱 줄어들어 세균이 잘 번식할 수 없으며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심해에서는 영양물질을 소비하는 식물 플랑크톤이 없기 때문에 박테리아 등에 분해된 질소, 인, 규산 등의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고 사람의 혈액에 가까운 밸런스로 되어 있으며 물 분자의 모양도 생체조직에서 발견되는 물 분자의 모양과 상당히 닮은 모습을 보이는데, 따라서, 최근에는 해양심층수의 상기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미네랄의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용매추출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녹나무 오일은 녹나무 건조목재를 잘게 분쇄한 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고, 강화쑥 오일은 건조된 강화쑥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 혼합비율은 75 중량% : 10 중량% : 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Sieb.)는 우리나라에서도 제주도에서 자라는 나무로 예장 나무라고도 부르며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활엽수로 녹나무에 들어 있는 향기 성분은 캄파, 사프롤, 씨네올 등의 정유성분으로 녹나무 목질과 잎, 열매에 1 % 가량 들어 있으며 정유는 나무줄기를 토막내어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다. 이렇게 해서 얻은 정유를 '장뇌'라 부르며, 민간에서는 신경쇠약, 간질, 방광염, 신우신염 등에 치료약으로 쓰이고 일본에서는 장뇌를 매우 귀중히 여겨 우리나라의 인삼처럼 국가 전매품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제주도에서는 녹나무가 민간에서 암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쑥은 국화과 쑥속의 총칭이며 강화쑥, 황해쑥, 사철쑥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특히 강화쑥(강화약쑥)은‘동국여지승람’에 사재밭 쑥으로 기록될 정도로 옛부터 약성을 인정받아 왔으며, 위염, 위궤양에 효과가 우수한 성분인 유파틸린과 야세오시딘, 암과 고지혈증 등 성인병에 유효한 성분인 사세민을 다른 종류의 쑥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로 밝혀진 바 있으며 동아제약에서는 유파틸린을 추출하여 신약으로 생산에 성공한바 있다. 또한 쑥 추출물은 향미가 우수하여 스위스의 쑥술 ‘압상트’(absinthe)는 쑥의 잎, 줄기를 방향(芳香)성분을 증류해 만든 술로 유명하며 한편 최근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대표적인 2차 감염 세균 증식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건성 피부 및 이에 수반되기 쉬운 피부 각질화, 가려움증 및, 피부 염증 등에의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이 활발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용수 조성물에서 녹나무 오일의 함량이 상기 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수득하기 어려우며, 상기 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어 본 발명의 목적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미용수 조성물에서 강화쑥 오일의 함량이 상기 중량% 미만 양으로 사용될 경우 항산화 그 첨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첨가에 비례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피부 자극성을 높일 염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염모제, 샴푸, 린스, 바디 세정제, 치약, 구강청정액, 연고 또는 패치 등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고 사람의 혈액에 가까운 밸런스로 되어 있는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된 미용수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시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 등을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참고예 1: 해양심층수의 제조
동해 울릉도 앞바다 약 550 내지 750 m 깊이에서 채취된 것을 40 내지 160 ppm의 갖도록 탈염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단계 1) 규산염 수용액의 제조
해양심층수 10ℓ당 수용성 규산염 3~10g을 혼합하고 전기석 0.5 ㎏과 함께 침지하여 20℃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규산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 녹나무 오일 및 쑥 오일 제조
녹나무 건조목재를 잘게 분쇄한 후 수증기로 증류하여 녹나무 오일을 제조하고, 건조된 강화쑥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강화쑥 오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혼합 미용수의 제조
상기 단계 1 및 2에서 수득된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을 75 중량% : 10 중량% : 15 중량%의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20℃에서 2-7일간 숙성하여 상층부 80%를 걸러내 미용수를 제조한다.
시험예 1: 피부자극성 측정
상기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시료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에 각 시료의 적당량(챔버에 넘치지 않을 정도)을 첩포 시험용 헤이즈 테스트 챔버(Haye's Test Chambers, Haye's Service B.V. The Netherland)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즈 테스트 챔버를 제거하고 30분~1시간 경과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이를 1차 판정, 제거하고 48시간 이후에 다시 판독하여 이를 2차 판정으로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로서 상용하는 일반 화장수를 사용하였다.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1차 2차
실시예 1 30 29 30 1 0.27
비교예 30 28 29 2 1 0.45
* 판정표
- : 반응없음 (자극 정도 :0)
±: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 반응있음(자극 정도 :0.5)
+: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구진, 확실한 인설반응(자극 정도 :1.0)
++: 심한 양성반응. 소포성 반응: 홍반, 구진, 침윤병소, 소포(자극 정도 :2.0)
+++: 격심한 양성반응(자극 정도 :3.0)
Figure pat00001
시험예 2
상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18-40세 연령의 건성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를 가진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사용 평가를 하였다. 장시간 확보를 위해 사용 기간은 8주로 하였으며 매일 4회 도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피부가 촉촉해진다 4.19 4.01
촉촉함이 오래간다 4.32 4.21
피부가 부드러워진다 4.53 4.32
가려움증이 없다 4.44 3.89
수분이 적당하다 4.90 4.76
흡수가 잘된다 4.89 4.65
당김이 적다 4.87 4.32
끈적임이 적다 4.32 4.01
피부트러블이 없다 4.98 4.21
평균 4.60 4.26
*배점: 5-매우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안좋다. 1-매우 좋지 않다.
상기한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피부 촉촉함, 보습 지속력, 가려움증 감소, 매끄러워짐, 끈적임, 흡수성 및 저자극성 등의 면에서 비교예보다 우수한 시료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산화 활성 시험법
항산화 활성 시험법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의 자유 래디칼을 측정하였다. DPPH 자유 래디칼에 대한 전자 소거능 측정방법으로는 시료 0.2 ml에 DPPH (16 mg / 100 ml EtOH) 용액 0.8 ml 섞은 후 10분간 상온에서 반응 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저해율 (%)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분율 (%) = [(A0-A1)/A0] × 100 (A0 = 대조군 흡광도 A1 = 실험군 흡광도)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DPPH 래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시험법은 방향족 화합물 특히, phenolic 구조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분자 내에 자유 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DPPH 시약의 유리 래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일반 정제수로 추출한 경우보다 해양 심층수로 추출한 경우에 항산화 활성 (DPPH 래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1) 해양심층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용해시키되 전기석을 함께 침지하여 20℃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규산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녹나무 오일과 강화쑥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을 혼합하여 20℃에서 2-7일간 숙성하여 상층부 80%를 걸러내 미용수를 제조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규산염이 규석 95 중량%에 무수 탄산나트륨 5중량%를 혼합하여 용융로에서 1650℃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층부의 부유물을 제거한 규산염 혼합용융물을 식혀 분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녹나무 오일이 녹나무 건조목재를 잘게 분쇄한 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고, 강화쑥 오일이 건조된 강화쑥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게에서 규산염 수용액과 녹나무 오일 및 강화쑥 오일 혼합비율은 75 중량% : 10 중량% : 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부 노화 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미용수 조성물.
KR1020110102638A 2011-10-07 2011-10-07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KR10140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38A KR101405160B1 (ko) 2011-10-07 2011-10-07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38A KR101405160B1 (ko) 2011-10-07 2011-10-07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018A true KR20130038018A (ko) 2013-04-17
KR101405160B1 KR101405160B1 (ko) 2014-06-12

Family

ID=4843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638A KR101405160B1 (ko) 2011-10-07 2011-10-07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1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40B1 (ko) * 2016-06-30 2017-01-24 이근일 수용성 규산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4821B1 (ko) * 2019-01-21 2019-10-21 정재훈 항균 탈취용 조성물
KR102078508B1 (ko) * 2019-07-02 2020-02-17 주식회사 잇츠한불 허브 에센셜 오일 추출물 제조방법 및 허브 에센셜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7058B1 (ko) * 2020-11-23 2021-06-21 조우진 녹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미용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026B1 (ko) * 2016-11-29 2017-11-1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KR102477517B1 (ko) 2020-07-15 2022-12-15 이재갑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042A (ja) 2000-11-27 2002-06-04 Soda Aromatic Co Ltd 抗酸化剤
KR100665966B1 (ko) 2005-09-23 2007-01-09 장정만 규산염과 은행잎추출물로 제조되는 입욕제의 조성물 및제조제법
KR20100051284A (ko) * 2008-11-07 2010-05-17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162530A (ja) 2010-02-09 2011-08-25 Alga International Co Ltd 家庭でつくる防腐剤無添加の手作り化粧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740B1 (ko) * 2016-06-30 2017-01-24 이근일 수용성 규산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4821B1 (ko) * 2019-01-21 2019-10-21 정재훈 항균 탈취용 조성물
KR102078508B1 (ko) * 2019-07-02 2020-02-17 주식회사 잇츠한불 허브 에센셜 오일 추출물 제조방법 및 허브 에센셜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7058B1 (ko) * 2020-11-23 2021-06-21 조우진 녹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미용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160B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u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Polygonum aviculare L.
KR101405160B1 (ko)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KR101571323B1 (ko)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CN110693767B (zh) 一种具有净肤效果的冰川矿物泥膜及其制备方法
KR101218829B1 (ko) 초정약수를 함유한 물티슈와 이를 이용한 물티슈 제조방법
KR20110083480A (ko) 활성 산소 소거제, 라디칼 소거제 및 산화적 세포 장애 억제제
KR20180119772A (ko) 니파 야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니파 야자 추출물
KR101854840B1 (ko) 포조란이 함유된 마스크 팩
KR100762288B1 (ko)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KR100765907B1 (ko) 해양 심층수의 무기 이온을 활용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KR20180126912A (ko)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KR20070017746A (ko) 머드팩 조성물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9367A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2230305B1 (ko) 해양심층수와 해양콜라겐을 이용한 피부 마사지용 액상 조성물
CN108210391A (zh) 一种护肤抑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0959520B1 (ko) 녹차 기능성 성분이 결합된 해양성 천연 유기미네랄 조성물
KR101680869B1 (ko) 천연 성분이 포함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080104671A (ko)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89934B1 (ko) 세리신 추출물의 친환경적인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96999A (ko) 천일염을 함유하는 보습력이 강화된 바디클렌져 조성물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4104B1 (ko)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KR101831523B1 (ko)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