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746A - 머드팩 조성물 - Google Patents

머드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746A
KR20070017746A KR1020050072317A KR20050072317A KR20070017746A KR 20070017746 A KR20070017746 A KR 20070017746A KR 1020050072317 A KR1020050072317 A KR 1020050072317A KR 20050072317 A KR20050072317 A KR 20050072317A KR 20070017746 A KR20070017746 A KR 2007001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weight
pack composition
sulfur
mud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주)미래코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코스팜 filed Critical (주)미래코스팜
Priority to KR102005007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746A/ko
Publication of KR2007001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7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드 95 ~ 98 중량%, 상기 암염 0.3 ~ 1 중량%, 상기 참숯 0.3 ~ 1 중량%, 상기 진주파우더 0.2 ~ 1 중량%, 상기 아로마오일 0.2 ~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머드팩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산탄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실리카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머드의 유황함량이 종래의 머드팩과 달리 0.3 중량 % ~ 0. 6 중량%로 유황의 미용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은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흡착력이 강하여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으며, 머드성분에 유기물질, 무기물질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노화방지 및 미백효과 등이 있다.
머드, 암염, 참숯, 진주파우더, 유황

Description

머드팩 조성물{COMPOSITION FOR MUD PACK}
본 발명은 피부 미용 재료로 사용되는 머드팩(mud pack)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노폐물을 흡착시키며, 유해물질을 중화시켜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으며, 분말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해서 사용할 필요성이 없이 바로 얼굴에 도포하기만 하는 머드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머드팩이란 미용팩의 일종으로서, 해안가에서 채취한 머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미용 효과가 있는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팩을 말한다. 머드에는 탄소, 질소, 인, 유황, 철, 규산화합물 등 수많은 무기물질과 유기물질뿐만 아니라 호르몬 유사물질과 티아민, 아스코르빈산, 비타민B1과 B2, 리보플라민 등과 같은 비타민류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머드는 오랜 옛날부터 피부질환 치료제 및 피부관리제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머드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미네랄을 비롯한 유효성분들에 의해 기미ㆍ죽은깨ㆍ잡티제거, 피부재생 촉진 및 잔주름 예방, 모공축소와 더불어 노폐물제거 등의 효과가 우수하여 머드를 이용한 화장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머드를 이용한 발명으로서, 바이오세라믹머드팩, 아로마머드팩, 고령토를 이용한 머드팩, 은이온수가 함유된 머드팩 등 다양한 머드팩관련 발명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머드팩들은 모두 머드에 다양한 부가 물질을 첨가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을 뿐, 머드의 유황함량 증가에 따른 미용 효과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유황의 미용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 성분들을 첨가함으로써 머드의 미용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머드, 암염, 참숯, 진주파우더 및 아로마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에서 머드 95 ~ 98 중량%, 상기 암염 0.3 ~ 1 중량%, 상기 참숯 0.3 ~ 1 중량%, 상기 진주파우더 0.2 ~ 1 중량%, 상기 아로마오일 0.2 ~ 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머드의 유황함량이 0.3 중량% ~ 0. 6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머드의 유황함량이 0.4 1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암염이 히말라야암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아로마오일이 페퍼민트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머드팩 조성물에 산탄검을 더 포함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머드팩 조성물에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머드팩 조성물에 실리카를 더 포함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머드팩 조성물을 적용한 시트(sheet)형태의 머 드팩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에 첨가되는 각 성분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머드
머드는 동식물들의 분해산물들과 토양, 염류 등이 퇴적되어 오랜 세월 동안 지질학적, 화학적 작용을 받고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받아 형성됐다. 때문에 머드에는 탄소, 질소, 인, 유황, 철, 규산화합물 등 수많은 무기물질과 미량원소들이 들어있다. 또한, 프롤란, 에스트로겐 등 호르몬 유사물질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티아민, 아스코르빈산, 엽산, 비타민B12, 리보플라민 등과 같은 비타민류도 풍부하다.
이처럼 다양한 성분이 있는 머드는 우선 광물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사용방법에 따라서는 온천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또 호르몬, 비타민류의 성분들로 인하여 인체의 물질대사나 순환, 신경계통에 좋은 치료효과를 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머드에는 교질성분(콜로이드)과 결정성분이 있어서 모래찜이나 물맞이, 해수욕처럼 물리적 치료방법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항균, 억균작용이 있어서 외상치료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머드치료는 함염증작용, 물질대사의 촉진, 세포, 조직, 신경의 성장 및 재생촉진, 면역기능, 진통작용, 호르몬 기능 촉진 등의 작용을 한다. 머드는 그대로 찜질 등에 사용하기도 하고 성분을 추출한 머드제나 가공 머드를 미용과 치료에 이용하면 독특한 효능이 있다.
암염
암염은 해수로부터 정제된 염과는 달리 인간이 살기도 전인 공룡이 지구상에 나타나기 전의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태고의 바다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암염의 성분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나, 예를 들어 히말라야 암염의 경우 염화나트륨(NaCl) 96%, 나머지 4%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미네랄들이 함유되어 있다. 암염이 아닌 시중에 판매되는 소금은 99%가 염화나트륨이므로 암염과는 성분이 다소 차이가 있다.
암염의 대표적인 예로 히말라야암염을 들 수 있다. 히말라야 소금광산 지하 300m 밑에 가면 지하광산이 모두 소금 결정체로 되어 있다. 이것은 2억 5천 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지금의 히말라야 산은 바다 밑의 땅이 솟아오른 것으로서, 소금광산 역시 그 당시 바닷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결정화되어 생성된 것이다.
참숯
참숯은 뛰어난 방부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고대의 미이라에는 다량의 참숯이 함께 발견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숯은 최고의 고성능 필터(Filter)이다. 오염된 공기와 물도 숯을 통과하면 숯 내부 다공질로 되어 있어 놀랄 정도로 정화된다. 더구나 숯은 마이크론 단위의 구멍이 고밀도로 분포되어 있어, 훌륭한 제습 및 습도 조절 효과가 있다.
숯은 탄소덩어리이므로 탄소가 발생하는 음이온을 무한정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탄소가 음이온을 모두 방전하는데 4500만 년이 걸린다고 한다.
또한, 음이온 발출 효과와 더불어, 숯은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원적외선은 3.6∼16 마이크론 파장의 열에너지를 의미하며, 이 열에너지는 피부속 40mm까지 침투하여 몸의 온열 작용을 통해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게 하고 인체의 물질들을 순환하는 일을 돕는 유익한 광선이다.
또한, 숯에는 중량비로 보아 0.3%∼0.6% 정도의 미네랄류가 함유되어 있다. 숯에 함유된 미네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망간 등이지만 제일 많이 함유된 것이 칼슘 및 칼륨이다.
진주파우더
진주의 구성을 보면 100% 중 약 93%가 칼슘성분이고, 수분이 0.5%, 약 4.5% 가 단백질, 기타 성분 2%이다. 진주 100% 중 미용효과가 있는 성분은 이 4.5%인 진주 단백질이다. 진주콘키오린이라고도 하는데 이 성분이 항산화, 항염증, 항알레르기, pH조절, 보습 등 피부에 유익한 역할을 한다.
아로마오일
아로마 오일은 식물의 생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고 많은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아로마 오일은 식물의 에너지의 저장고이며 신호를 주고 받는 정보전달자이기도 하다. 또한, 박테리아나 버섯 균을 막아내는 효능이 있는 아로마 오일은 식물의 병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식물이 열과 냉기에 알맞게 반응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도 하다.
아로마 오일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이 어떻게 생겨나는가(生合成, biosynthesis)에 따라서 아로마 오일의 효능이 각각 달라진다. 이에 따르면 오일의 작용물질은 크게 테르핀(terpine)과 페닐프로판(phenylprophane)으로 구분된다. 아로마 오일은 거의 100%가 테르핀과 페닐프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닐프로판은 단백질 분해를 위해서 중요한 아미노산 신진대사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이 분해될 때 계피산이 생성되고 계피산으로부터 작용물질이 생성된다. 가령 정향나무(clove tree) 오일의 주요작용 물질인 유게놀(eugenol)과 계피오일의 주요작용 물질인 시나몬알데히드 (cinamonaldehde)는 자극적이고 흥분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한다. 에스트라골(estragol)과 아네톨(anethol)은 자율신경계가 균형을 이루도록 도와주는 작용과 소화기관의 경련을 해소하는 작용을 한다.
테르핀은 아로마 오일의 작용물질 가운데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물질이다. 테르민은 이소프렌(isoprene) 단위의 수에 따라서 모노테르핀, 세스키트테르핀, 디테르핀 트리테르핀 등으로 구분되나 아로마 오일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모노테르핀(monoterpine)이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세스키트테르핀(sesquiterpine)이다. 아로마 오일을 구성하고 있는 작용물질의 90%가 모노테르핀과 세스키트테르핀이다. 모노테르핀은 작용하는 방식에 따라서 테르핀((mono)terpene), 페놀(phenole), 알코올(alcohol), 에스테르(ester), 알데히드(aldehyde), 케톤(ketone), 옥사이드(oxide) 등의 하위 부류로 구분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각 성분의 미용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을 혼합한 미용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머드, 암염, 참숯, 진주파우더 및 아로마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각 성분이 혼합되어 미용팩 조성물로 사용됨으로써, 각 성분이 갖고 있는 잘 알려진 미용 효과의 상승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들의 적절한 비율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본 발명의 각 성분의 함량은 표 1과 같이, 머드 95 ~ 98 중량%, 상기 암염 0.3 ~ 1 중량%, 상기 참숯 0.3 ~ 1 중량%, 상기 진주파우더 0.2 ~ 1 중량%, 상기 아로마오일 0.2 ~ 2 중량%가 바람직하다.
표 1
함량(중량%)
머드 95 ~ 98
암염 0.3 ~ 1
참숯 0.3 ~ 1
진주파우더 0.2 ~ 1
아로마오일 0.2 ~ 2
머드의 함량이 95% 이하인 경우에는 머드팩으로서의 미용 효과가 떨어지며, 머드의 함량이 98% 이상인 경우에는 부가 성분들의 함량이 너무 적게 되어, 미용팩의 향이나 촉감 등을 살릴 수 없다. 암염의 경우 1%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염분의 농도가 너무 높아 오히려 피부에 해를 미치게 되며, 진주파우더의 경우 0.2% 이하이면 미용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며, 1% 이상이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머드는 유황성분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머드팩에 비하여 유황함량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의 경우 머드 내의 유황함량이 3 중량% ~ 0.5 중량%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머드로는 국내에서는 북한 평안남도 온천군 유황갯벌에서 채취한 머드만이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온천군 유황갯벌에서 채취한 머드는 유황성분이 약 0.41중량%로서 우리나라 유황 온천의 유황 기준치의 400배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유황함량이 높은 머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머드팩에 비하여 피부질환, 예를 들어, 아토피,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에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흡착력이 강하여 피부의 노폐물을 빼내어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염은 히말라야암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히말라야암염은 다른 지역의 암염과는 달리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적은 대신에 각종 미네랄 성분, 예를 들어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다른 암염과 달리 미용효과가 우수하여, 히말라야암염을 머드팩에 적용하는 피부에 영양 성분을 공급하여 줄 수 있으며, 암염의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점증제로서, 산탄검 및/또는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탄검(Xantham Gum)은 점증제의 일종이고,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약간 미끄러운 감각이 있다. 연한 담황색 분말이며, 독특한 냄새가 있다.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도 산탄검과 같이 점증제의 역할을 하며, 판상구조가 수분 등에 의해 스웰링되어 점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촉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 실시예 ]
[머드]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의 주성분인 머드를 준비하였다. 머드는 북한 평안남도 온천군 유황갯벌에서 채취한 머드를 사용하였다.
상기 머드를 채취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결과를 얻었다.
표 2
방사율 (5 ~ 20㎛) 방사에너지 (W/m2ㆍ㎛, 37℃)
0.912 3.52 X 102
상기 측정은 37℃에서 시험하였으며, FI-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 대비 측정한 결과이다.
상기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북한 평안남도 온천군 유황갯벌 산 머드는 방사율과 방사에너지가 매우 높아 미용 효과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머드의 음이온 방출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전하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4℃, 습도 42%, 대기중 음이온수 104/cc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이온수로 표시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시험편의 질량은 10g으로 하였다.
표 3
Figure 112005043652773-PAT00001
또한, 상기 머드의 원소분석기 실험을 통해 유황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4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유황(S) 중량%(wt%) 0.41 원소분석기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한 평안북도 온천군 유황갯벌에서 채취한 머드의 유황 함량이 0.41% 이상으로 종래에 사용되던 머드팩용 머드에 비해 유황함량이 400배 이상으로 많다.
[머드팩 조성물의 제조]
상기 머드를 이용하여 표 5와 같은 조성비로 머드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5
원료명 함량(중량%)
머드(북한 평안남도산) 97.03
히말라야암염 0.3
참숯 0.3
산탄검 0.05
벤토나이트 0.5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5
실리카 1.0
진주파우더 0.2
페퍼민트오일 0.02
Total 100
[ 비교예 ]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과 비교하기 위하여 머드의 함량이 0.001중량%인 보령산 머드를 이용하여 비교예의 머드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들의 함량비는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의 머드팩 조성물에서는 실시예와 달리 참숯과 진주파우더가 없으며, 머드의 유황함량이 본 발명과 달리 약 1/400밖에 안되었다.
표 6
원료명 함량(중량%)
머드(충남 보령산) 97.43
암염 0.3
산탄검 0.05
벤토나이트 0.5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5
실리카 1.2
페퍼민트오일 0.02
Total 100
[ 실험예 ]
팩의 안정성 비교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의 안정성 평가를 하였다. 안정성 평가의 방법으로 원심 분리기로 30분 동안 분리한 후 1개월 경과한 시점에서의 침전 현상 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 머드팩 조성물에서 특별한 침전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아, 모두 안정성 면에서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각질제거 비교 실험
각질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팔 안쪽 부위에 10% DHA(dihydroxyacetone) 용액 0.4ml를 넣은 Hilltop Chamber를 1시간 동안 부착한 후 제거하였다. 착색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6시간 경과 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24시간 경과 뒤 착색 부위를 Colorimeter로 측정하였다.
시료 5g을 착색 부위에 도포하여 20분 동안 건조한 후 흐르는 물에 건조된 시료를 제거하고 Colorimeter로 착색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료 도포 전과 도포 후의 착색 정도는 Colorimeter에서 △E값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표 7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7
실시예 비교예
각질 제거 효과 매우 우수 양호
관능 평가 비교 실험
일반 고객 20 ~ 35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와 실시예의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얼굴에 도포한 후 건조 후의 피부촉감, 보습도, 광택도에 대한 사용 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와 같이 나타내었다.
평가점수는 매우 만족 5, 만족 4, 보통 3, 나쁨 2, 매우 나쁨 1로 하여 종합 점수를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였다.
Figure 112005043652773-PAT00002
그 결과 하기의 표 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8
실시예 비교예
피부촉감 3.5 3.3
보습도 4.2 3.5
광택도 3.9 3.6
상기 실험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은 비교예의 머드팩 조성물에 비하여 미용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은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흡착력이 강하여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으며, 머드성분에 유기물질, 무기물질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노화방지 및 미백효과 등이 있다.
또한, 음이온,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생체의 모든 생리작용을 원활하게 해주며, 본 발명의 머드팩 조성물은 분말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물을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없고 얼굴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면 되어 사용하기에 편리 하다.

Claims (9)

  1. 머드 95 ~ 98 중량%, 암염 0.3 ~ 1 중량%, 참숯 0.3 ~ 1 중량%, 진주파우더 0.2 ~ 1 중량%, 아로마오일 0.2 ~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머드의 유황함량이 0.3 중량 % ~ 0. 6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3. 제2항에서,
    상기 머드의 유황함량이 0.4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암염이 히말라야암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아로마오일이 페퍼민트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6. 제1항에서,
    산탄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7. 제1항에서,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8. 제1항에서,
    실리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팩 조성물.
  9. 제1항의 머드팩 조성물을 적용한 머드팩.
KR1020050072317A 2005-08-08 2005-08-08 머드팩 조성물 KR20070017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17A KR20070017746A (ko) 2005-08-08 2005-08-08 머드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17A KR20070017746A (ko) 2005-08-08 2005-08-08 머드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746A true KR20070017746A (ko) 2007-02-13

Family

ID=4365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317A KR20070017746A (ko) 2005-08-08 2005-08-08 머드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7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708B1 (ko) 2009-02-06 2011-10-07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보령산 머드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0445U (ko) 2013-07-19 2015-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JP2019112386A (ja) * 2017-12-22 2019-07-11 レオキシン・エルエルシー セルライト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200028193A (ko) 2018-09-06 2020-03-16 이창상 미용팩 건조용 부스
JP2021506887A (ja) * 2017-12-22 2021-02-22 レオキシン・エルエルシー 安定なレドックス組成物及び使用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708B1 (ko) 2009-02-06 2011-10-07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보령산 머드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0445U (ko) 2013-07-19 2015-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관용 스트레이너 장치
JP2019112386A (ja) * 2017-12-22 2019-07-11 レオキシン・エルエルシー セルライト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19178171A (ja) * 2017-12-22 2019-10-17 レオキシン・エルエルシー セルライト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21506887A (ja) * 2017-12-22 2021-02-22 レオキシン・エルエルシー 安定なレドックス組成物及び使用方法
US11246812B2 (en) 2017-12-22 2022-02-15 Reoxcyn,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ellulite
KR20200028193A (ko) 2018-09-06 2020-03-16 이창상 미용팩 건조용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CN102210641A (zh) 负离子美容保健面膜及其制造方法
CN105662923A (zh) 一种含有牡丹籽油的纯天然多效修复变色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20070017746A (ko) 머드팩 조성물
KR20160001112A (ko) 초정 광천수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337454B1 (ko)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5160B1 (ko)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KR100795993B1 (ko)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840B1 (ko) 포조란이 함유된 마스크 팩
CN106137875B (zh) 一种组合物及面膜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1624150B1 (ko) 신발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070708B1 (ko) 보령산 머드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3254A (ko)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JP2021185855A (ja) 機能性食用炭および水素パウダーの製造方法
KR20050099332A (ko)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78563B1 (ko) 황토 함유 미용팩
KR102313548B1 (ko)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75430A (zh) 一种利用樟树皮制备的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10085506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KR100515956B1 (ko) 머드와 허브 및 흑미분말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101424063B1 (ko) 천연 머드 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