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48B1 -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48B1
KR102313548B1 KR1020210080897A KR20210080897A KR102313548B1 KR 102313548 B1 KR102313548 B1 KR 102313548B1 KR 1020210080897 A KR1020210080897 A KR 1020210080897A KR 20210080897 A KR20210080897 A KR 20210080897A KR 102313548 B1 KR102313548 B1 KR 10231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weight
parts
ski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내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Priority to KR102021008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네랄워터, 정제수, 글리세린, 올리브오일, 시어버터, 달맞이꽃종자유,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질경이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 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MATITIS AND MOISTURIZING SKI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 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배기가스, 유해 화학물질,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 의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에 침투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색소변화, 피부노화 등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과중한 사회적, 업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등산, 골프 등과 같은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야회에서의 레저활동 중에는 신체 피부가 상기한 오염원 등에 더욱 쉽게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피부훼손 및 피부노화를 피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야외 레저활동을 보다 적극적이고 쾌적하게 즐기고자 하는 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기본적인 신진대사 과정을 통하여 우리 몸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위해를 막아주는 일차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피부는 신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장벽기능을 통한 보호작용, 체온조절작용, 감각작용, 분비 및 배설작용, 흡수작용, 저장작용, 재생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가장 손상을 받기 쉽다.
이러한 외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배기가스, 황사, 환경오염물, 중금속, 온도변화, 미생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통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함으로써, 항산화 방어체계를 붕괴시켜 세포 손상 및 사멸을 야기하게 된다.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인하여 공해와 환경오염 등을 통하여 여러 가지 피부손상요인이 발생하였고, 특히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오염물질이 피부에 착상됨으로 인한 체질 변화로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의 보호벽인 각질층에 이상이 생기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인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증상으로는 붉은 발진이 생기고, 진물과 건조한 피부, 두꺼워지고 인설(비듬 같은 피부껍질)이 생긴다. 발생하는 부위는 관절의 안쪽으로서 팔꿈치 안쪽, 무릎의 뒤쪽, 목 등에 잘 생긴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주로 5세 이하의 아이들에게서 3~5%의 빈도로 나타나며, 많게는 10%까지 나타난다고 한다.
또한, 유전적인 요인과 함께 최근에는 환경적인 요인도 작용하여 유아기 또는 소아기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나 성인의 경우에도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사람의 피부는 적정한 양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어야 외견상 부드럽고 유연하고 건강하게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수분 증발량이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 표피의 상층부가 거칠고 건조하며 유연성이 저하된다. 피부의 건조 상태가 심화하면 각질이 과도하게 탈리되거나 갈라지기도 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아예 피부질환으로 분류된다. 또한, 건조한 피부에서는 각질 세포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지질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며, 각질의 수분 보유력이 감소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정상적인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피부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한 피부 보습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피부 보습제들은 단순히 피부를 보습하여 수분 함유량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가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이나, 건조하기 쉽고 수분에 대한 장벽 기능을 하는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89689호(2017년 10월 1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835200호(2018년 02월 27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996315호(2019년 06월 28일 등록)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 개선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 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네랄워터, 정제수, 글리세린, 올리브오일, 시어버터, 달맞이꽃종자유,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질경이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미네랄워터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수 180 내지 22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3 중량부, 달맞이꽃종자유 0.5 내지 2.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질경이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네랄워터,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고, 올리브오일, 시어버터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하며,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여 제 3제를 제조하고, 상기 제 3제를 냉각하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질경이 추출물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4제를 제조하고,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하여 제 5제를 제조하며, 상기 제 5제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숙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1 제는 미네랄워터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수 180 내지 220 중량부 및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제는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3 중량부 및 달맞이꽃종자유 0.5 내지 2.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3제는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3제의 냉각은 상기 제 3제를 35 내지 4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 4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질경이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3,000 내지 4,000rpm의 교반속도로 1 내지 1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5제는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한 후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3,000 내지 4,000rpm의 교반속도로 1 내지 1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5제의 냉각은 상기 제 5제를 25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된 제 5제의 숙성은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숙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 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를 점수화한 1차 유효성 평가(EASI score)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오른쪽 전주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왼쪽 전주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오른쪽 슬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왼쪽 슬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IGA(전반적증상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VAS-가려움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VAS-수면장애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수분손실량(TEWL)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붉은기(a-value)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네랄워터, 정제수, 글리세린, 올리브오일, 시어버터, 달맞이꽃종자유,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질경이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네랄워터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수 180 내지 22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3 중량부, 달맞이꽃종자유 0.5 내지 2.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질경이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워터는 해안 심층 안반수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이온수인데, 상기 미네랄워터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미네랄워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워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해수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로는 해안 심층 암반수가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해안 심층 암반수는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약 1㎞ 이내의 지하 800m 이상으로부터 용출되는 물을 말하는데, 연안이나 해안의 지하 심층부 암반층에서 암반의 공극이나 균열을 따라 해양 심층부의 해수가 틈입, 육지의 지하 심층 대수층을 따라 흘러 내려온 천연 암반 지하수와 지질학적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서 상호 교호작용, 저류, 숙성, 이온화된 것을 일컫는다.
상기 해안 심층 암반수는 주변 지질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어 지하의 토양 및 암반의 특성에 따라 수질의 성분뿐만 아니라 유용가치도 달라질 수 있는데, 해양심층수에 비해 칼슘(Ca), 스트롬튬(Sr), 망간(Mn), 아연(Zn), 철(Fe),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셀레늄(Se) 등의 미네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칼슘과 마그네슘(Mg)의 미네랄 밸런스가 인간의 체액과 유사하다고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또한, 질소(N), 인(P), 규산(silicic acid) 등의 무기 영양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대장균이나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이 거의 없으며, 항산화 물질과 필수 미량원소, 다양한 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서 활성산소의 제거에도 효능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수집된 해수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제1 해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해수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의 여과는 공지의 필터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필터들로는 모래여과(Sand filter), 활성탄소여과(Carbon filter), 정밀여과(Micro filter) 및 한외여과(限外濾過; Ultra fil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필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해수에 순지트 분말을 혼합하여 보관한 후 상기 순지트 분말과,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 해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순지트 분말은 항산화, 살균, 오염물질의 안정화 및 분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해수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순지트 분말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순지트 분말은 순지트 광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순지트(shungite)는 SiO2(규산염)과 C60(플러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물질로서, 천연 플러렌을 함유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플러렌을 90% 이상 함유한 순지트를 엘리트 순지트(Elite shungite) 또는 노블 순지트(Noble Shungite)라 하고, 플러렌을 60% 이하 함유한 순지트를 노멀 순지트(Normal shungite)라 한다.
상기 순지트의 대표적인 기능은 항산화 기능, 전자파 차단 기능, 오염물질의 정화 및 분해 기능, 그리고 살균 및 항균 기능이 있다. 순지트는 강력한 천연산화방지제로서 수많은 질병에 대한 인간의 면역성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고, 오염물질을 흡착시켜 물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흡착한 오염물질을 스스로 분해하는 능력이 있다.
또한, 상기 순지트는 항균 및 살균 성질을 가지고 있어 대장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및 유해균만을 99% 이상 제거하는 기능이 있고, 유해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순지트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순지트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순지트 광물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순지트 광물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순지트 광물의 세척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순지트 광물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상기 순지트 광물의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순지트 광물을 제1 분쇄하여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순지트 광물을 조립기를 이용하여 제1 분쇄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상기 순지트 광물의 불순물이나 유기 잔류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분쇄는 그래뉼레이터(pan granulator), 드럼 그래뉼레이터(Drum granulator) 또는 압축식 펠레타이저(pelletizer) 등과 같은 공지된 조립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한 조립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 침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 침지함으로써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이나 유기 잔류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액으로는 질산 0.2 내지 0.4 중량%, 인산염 화합물 0.5 내지 1.0 중량%, 과황산염 0.01 내지 0.05 중량%, 초산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20 내지 40분 동안 상기 혼합액에 침지시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인산염 화합물로는 제1 인산나트륨(NaH2PO4), 제2 인산나트륨(Na2HPO4), 제3 인산나트륨(Na3PO4), 제1 인산칼륨(KH2PO4), 제2 인산칼륨(K2HPO4), 제1 인산암모늄((NH4)H2PO4), 제2 인산암모늄((NH4)2HPO4) 및 제3 인산암모늄((NH4)3P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과황산염으로는 과황산암모늄((NH4)2S2O8), 과황산나트륨(Na2S2O8) 또는 과황산칼륨(K2O8S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꺼낸 후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소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분리된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의 미세 기공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 상기 단계는 상기 분리된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에 투입한 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성된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제2 분쇄하여 순지트 미립 분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소성된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볼밀(ball mill)이나 각종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제조되는 패각 미립 분쇄물의 입경이 10 내지 100nm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순지트 미립 분쇄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살균하여 순지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순지트 미립 분쇄물을 자석이 설치된 회전통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순지트 미립 분쇄물에 잔류할 수 있는 중금속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순지트 미립 분쇄물을 자석이 설치된 회전통에 투입한 후 500 내지 1000RPM의 회전속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순지트 미립 분쇄물에 포함될 수 있는 중금속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해수에 미세 다공체를 혼합한 후 제1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필터를 이용하여 액체만을 분리하여 수집함으로써 제3 해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해수에 미세 다공체를 혼합한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2 해수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및 기화점이 낮은 유해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미세 다공체는 상기 제2 해수가 급격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해성분 등이 상기 미세 다공체 표면에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해수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미세 다공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80 내지 8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미네랄 성분이 농축되어 있는 제3 해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미세 다공체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미세 다공체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미세 다공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를 준비하고,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를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결합제로 물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토 및 준설토는 미연탄소분 및 플라이애쉬의 점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는 각각 미연탄소분 10 내지 15 중량부, 플라이애쉬 8 내지 12 중량부, 황토 2 내지 4 중량부 및 준설토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물은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성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체는 미연탄소분 10 내지 15 중량부, 플라이애쉬 8 내지 12 중량부, 황토 2 내지 4 중량부 및 준설토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3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구형, 펠릿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성형체를 가열하여 소성할 수 있다.
상기 성형체의 소성은 상기 성형체를 가마에서 가열하여 소성할 수 있는데, 상기 가마로는 예를 들어, 터널 가마(tunnel kiln) 또는 불연속 가마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가마는 내부 온도를 400 내지 4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가마의 내부에 상기 성형체를 투입한 후 1200 내지 1300℃의 온도까지 서서히 높이면서 3 내지 5 시간 동안 산화 또는 환원(중성)분위기로 소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성된 성형체를 냉각하여 미세 다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소성된 성형체의 냉각은 상기 성형체를 가마로부터 꺼낸 후 2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냉각한 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냉각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2 단계의 냉각 과정을 거쳐 상기 소성된 성형체를 냉각함으로써 급냉에 따른 소성된 성형체의 표면 균열 및 압축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소성된 성형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해수를 냉각하여 결정화한 후 필터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미네랄이 고농도로 농축되어 있는 미네랄워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3 해수를 냉각장치 내부로 투입한 후, 상기 냉각장치의 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제3 해수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결정화된 고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결정화된 고형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미네랄워터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장치의 온도를 하강시킴에 따라 냉각장치에 수용된 제3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염분을 포함하는 고형분이 석출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냉각장치의 내부 온도를 -1 내지 -3℃로 유지하고 10 내지 30시간 동안 냉각함으로써 미네랄이 고농도로 농축되어 있는 미네랄워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결정화된 고형물의 여과는 공지의 필터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필터들로는 나노여과(Nano filter) 또는 역삼투여과(Reverse Osmosis filt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필터들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나노여과(Nano filter)와 역삼투여과(Reverse Osmosis filter)의 막 모듈(Module) 형태는 관형(管形; tubular), 중공사형(中空絲形; hollow fiber), 나선형(螺旋形; spiral wound), 평판형(平板形; plate and frame) 등 어떠한 형태를 사용하여도 상관이 없으며, 막(膜)의 재질(材質)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미네랄워터를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미네랄워터에는 온도 (20±5)℃, 습도 (36±5)% R.H.에서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의 표와 같이 미네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1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화장료의 보습제로 많이 쓰여 피부의 수분 손실을 예방해 주고 보습 작용을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글리세린은 야자유나 팜유 등으로부터 추출되며, 무색, 무향의 점도 높은 수용성 액체이다. 글리세린은 수분을 끌어들이는 성질을 가지므로, 피부에 도포 시 표피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며,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글리세린은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보습용 화장료의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Olea europaea) 나무로부터 추출된 오일로, 상기 올리브 나무의 과육에서 짠 기름을 올리브 오일이라 한다. 상기 올리브 오일에는 단백질, 미네랄 및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올리브 오일은 건성피부에 좋고, 비타민 A, D 및 E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 침투성이 좋고 살결을 유연하게 만든다. 또한,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모발 관리 및 피부 진정 효과에 뛰어나며 겨울에 살이 트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처 소독 효과가 있어 염증이 있는 피부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관절염 및 류마티스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시어버터(Shea butter)는 시어나무열매(시어너트)의 속씨앗으로부터 용매추출, 압착추출 등으로 얻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압착(Cold pressed) 방식으로 압착 추출된 추출물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시어버터는 천연비타민(A, D, E, F), 항염, 면역조절의 파이토스테롤성분, 폴리페놀, 토코페롤 등 유익한 생화학적 활성성분이 풍부하며, 항산화, 항염 기능이 뛰어나 특히, 아토피성 염증에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범세계적으로는 식품시장의 주요 원료이지만, 최근에는 화장품, 피부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추출물이다.
상기 달맞이꽃 종자유는 아메리카 원주민이 상처에 바르거나 감기를 치료하기 위한 약재로 사용했으며 최근에는 화장품이나 영양제로 섭취한다. 그리고 달맞이꽃 종자유에는 감마리놀렌산과 리놀렌산이 풍부해 혈관계질환 개선,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여성호르몬 조절, 성인병 예방 등 다양한 건강 효능이 있다.
상기 감마리놀렌산은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6의 한 종류이며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성분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아토피나 피부 건선 등 피부 질환을 앓고 있다면 피부에 직접 달맞이꽃 오일을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프로폴리스로부터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되어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서, 황산화 작용,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유익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화장품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질경이 추출물은 질경이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질경이(Plantago asiatica)는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다. 한방 및 생약학에서는 차전초가 청열(淸熱), 양혈(凉血), 열독(熱毒)에 의한 옹종(癰腫)의 해독제로, 혈림뇨혈(血淋尿血) 및 이뇨제, 위장약, 부인병, 늑막염 및 변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질경이의 주요성분으로는 iridoid 배당체인 aucubin, genipiosidic acid, flavone 배당체인 plantagoside, acetoside, plantaginin, homoplantagin, mucilage인 plantasan, plantago-mucilage A(L-arabinose, Dxylose, D-glucuronic acid, D-galacturonic acid 함유)와 그 외 choline, succinic acid, siringin, 불포화지방산, 필수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질경이는 항균 효능과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고콜레스테롤 개선 효능 및 위궤양 억제 효능이 보고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미네랄워터,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1 제는 미네랄워터 10 내지 20 중량부, 정제수 180 내지 220 중량부 및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올리브오일, 시어버터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 2제는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부, 시어버터 1 내지 3 중량부 및 달맞이꽃종자유 0.5 내지 2.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여 제 3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 3제는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3제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 3제를 35 내지 4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질경이 추출물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4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 4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질경이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3,000 내지 4,000rpm의 교반속도로 1 내지 1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하여 제 5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 5제는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한 후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3,000 내지 4,000rpm의 교반속도로 1 내지 1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5제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 5제를 25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숙성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48 내지 72시간 동안 숙성하여 상기 냉각된 제 5제의 물성을 안정화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미네랄워터 15 중량부, 정제수 200 중량부 및 글리세린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의 온도에서 4,500rpm의 교반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 1제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올리브오일 3 중량부, 시어버터 2 중량부 및 달맞이꽃종자유 1.5 중량부를 혼합한 후 80℃의 온도에서 4,500rpm의 교반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 2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한 후 80℃의 온도에서 4,500rpm의 교반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 3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 3제를 40℃의 온도로 냉각하였다.
다음으로, 프로폴리스 추출물 0.5 중량부 및 질경이 추출물 0.3 중량부를 혼합한 후 40℃의 온도에서 3,500rpm의 교반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하여 제 4제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한 후 40℃의 온도에서 3,500rpm의 교반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하여 제 5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 5제를 30℃의 온도로 냉각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25℃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숙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Ⅰ.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선정기준, 제외기준
1) 선정기준
다음 기술된 조건에 부합되는 환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① 만 5~40세 사이의 경증이나 중등도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자원자
② 연구대상자 제외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자
③ 시험에 앞서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서에 서명한 자원자
④ 시험기간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원자
2) 제외기준
① 심한 소모성 질환을 가진 경우
② 심한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
③ 4주 이내에 심한 아토피 피부염으로 경구 스테로이드나 면역 억제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경우
④ 다른 임상시험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⑤ 기타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거나 지시를 따르기 힘든자
⑥ 위의 사항외에 연구책임자의 판단으로 연구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2. 목표한 대상자수 및 산출근거
1) 연구 대상자수
연구대상자 23명을 등록(enroll) 하였고, 1명이 중도 탈락하여 최종 유효성평가 대상자수 22명으로 분석하였다.
2) 산출근거
본 임상시험은 한군에서의 시험약 사용 전·후 비교 연구(평균 비교를 위한 양적 비교 연구)로, EASI score 추정 오차 범위 설정을 3으로 하고 EASI에 대한 예측 표준편차를 5로 하여 최소샘플수를 산정하였다.
유의수준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1) 유의수준, α=0.05 -> α/2 = 0.025
(2) 추정 오차 범위 설정값(d) : 3
(3) EASI에 대한 예측 표준편차(σ) : 5
(4) 공식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2
3. 연구방법
1) 구체적인 연구방법
본 시험은 Screening(Visit1), Follow up period (Visit2), 그리고 Closing (Visit3)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용 전후 비교시험으로 진행하였다.
Visit2, Visit3의 방문 허용기간은 ±1주였다.
(1) 1차 방문(0주; 스크리닝 및 시험제품 지급)
이 연구에 참가하도록 선택된 연구대상자는 시험에 대한 설명을 듣고 다음 순서에 따라 평가를 받았다.
① 연구대상자는 시험에 참여시키기 전에 연구대상자에게 시험 과정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② 연구대상자에게 동의서를 받은 순서대로 연구번호를 부여하였다.
③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정보를 조사/기록하였다.
④ 선정/제외기준에 적합한 연구대상자가 선정되었는지 평가하였다.
⑤ EASI score를 측정하였다.
⑥ Corneometer를 측정하였다.
⑦ 연구대상자가 가려움증을 자가 평가하였다.
⑧ 시험자가 전반적 증상을 평가하였다.
⑨ 사진촬영을 하였다.
⑩ 시험제품을 지급하였다.
⑪ 다음 방문일을 지정하였다.
(2) 2차 방문(4±1주; 추적관찰)
이 방문은 제품의 사용 이후 4±1주째에 이루어졌으며, 다음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① 이상반응 발현 여부와 내용을 조사하였다.
② EASI score를 측정하였다.
③ Corneometer를 측정하였다.
④ 시험자가 전반적 증상 호전도(IGA)를 평가하였다.
⑤ 연구대상자가 설문지를 통해 가려움증을 자가 평가하였다.
⑥ 사진촬영을 하였다.
⑫ 필요시 시험제품을 지급하였다.
⑦ 다음 방문일을 지정하였다.
(3) 3차 방문(8±1주; 추적관찰)
이 방문은 제품의 사용 이후 8±1주째에 이루어졌으며, 다음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① 이상반응 발현 여부와 내용을 조사하였다.
② EASI score를 측정하였다.
③ Corneometer를 측정하였다.
④ 시험자가 전반적 증상 호전도(IGA)를 평가하였다.
⑤ 연구대상자가 설문지를 통해 가려움증을 자가 평가하였다.
⑥ 사진촬영을 하였다.
(4) 추가방문
추가방문은 예정된 방문 외에 연구대상자 또는 법정 대리인의 요청 또는 시험자의 판단에 의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5) 초기 순응도가 떨어져 휴약기간을 가질 경우 최대 2주까지 허용하고 적응기간에 따라 연구기간을 연장하도록 하였다.
2) 시험약 투여·사용량, 투여·사용방법
시험제품(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8주 동안 매일 사용하도록 하였다.
3) 효과 평가 기준 및 방법
(1)중등도 평가
- EASI(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score를 계산하고 습진의 중등도로 환자 상태를 평가하였다.
베이스라인(0주) 방문 및 이후 매방문시 연구자가 평가하여 작성하였다.
(2) 시험자 전반적 평가(Investigator Global Assessment, IGA)
- 스크리닝 방문시 베이스 라인(0주)과 비교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에 대해 하기의 표에 기재된 기준을 참고하여 7등급으로 평가하였다(4, 8주 후)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3
(3) 피부 장벽기능의 평가
- Corneometer(CM 825, Germany)를 이용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 측정은 제품 치료전, 치료 4주후, 치료 8주후 3회 실시하였으며, 자원자 모두에서 동일하게 측정 부위는 전주와(antecubitalfossa)와 슬와(popliteal fossa)로 하였다.
(4)연구대상자 가려움증 정도 자가평가
연구대상자가 가려움증 정도에 대해 직접 0주, 4주, 8주째 설문지를 작성하였다(자가 평가 설문지 VAS).
4) 자료 분석 및 통계 분석 방법
①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Excel 또는 이와 동등의 통계 software에 의해 처리하였으며, 최초 방문시, 4주, 8주 사용후로 분리, 분석적 통계로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유의수준 P= 0.05).
② 종합 판정법
EASI score, IGA, Corneometer 및 시험자 자가평가 VAS 등에 대해 사용 전후 차이에 대한 비교 통계 검증후 P값이 0.05 이하면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4. 시험결과
1) 연구대상자 정보
만 5~40세 사이의 경증이나 중등도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대상자를 선정하여 중도탈락 1명을 제외한 총 22명의 연구대상자가 본 임상시험을 종료하였다.
연구대상자 22명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는 남성 11명, 여성 11명이었고, 평균연령은 17.4세였다. 최저 연령은 5세, 최고연령은 39세였다.
2) 1차 유효성 평가 변수(EASI sco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를 점수화한 1차 유효성 평가(EASI score)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 및 [표 1]을 참조하면,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를 점수화한 EASI score 결과 0-4주, 0-8주, 4-8주간의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가 호전됨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4
EASI score(n=22)
3)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① Corneome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오른쪽 전주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 오른쪽 전주와에서 0-4주, 0-8주, 4-8주간의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피부장벽 기능이 호전됨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5
Corneometer(Rt antecubital fossa)(n=2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왼쪽 전주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 왼쪽 전주와에서 0-4주, 0-8주, 4-8주간의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피부장벽 기능이 호전됨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6
Corneometer(Rt antecubital fossa)(n=2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오른쪽 슬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 오른쪽 슬와에서 0-4주, 0-8주, 4-8주간의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피부장벽 기능이 호전됨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7
Corneometer(Rt antecubital fossa)(n=2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왼쪽 슬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및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수분 보유도를 나타내는 corneometer 결과 왼쪽 슬와에서 0-4주, 0-8주, 4-8주간의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피부장벽 기능이 호전됨을 보여주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8
Corneometer(Rt antecubital fossa)(n=22)
② IGA(Investigator Global Assessment)
0주~4주 동안의 시험자 IGA(전반적증상평가) 결과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표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IGA(전반적증상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IGA(n=22)
IGA 평가 0~4주
등급 정도 N(명) %
1 매우 악화됨 0 0
2 악화됨 0 0
3 약간 악화됨 1 4.5
4 변화없음 0 0
5 약간 개선됨 14 63.6
6 개선됨 5 22.7
7 매우 개선됨 2 9.1
4주~8주 동안의 시험자 IGA(전반적 증상 평가) 결과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표 7)
IGA(n=22)
IGA 평가 4~8주
등급 정도 N(명) %
1 매우 악화됨 0 0
2 악화됨 0 0
3 약간 악화됨 1 4.5
4 변화없음 1 4.5
5 약간 개선됨 13 59.1
6 개선됨 7 31.8
7 매우 개선됨 0 0
③ VAS 평가
연구대상자의 자가 평가인 VAS 결과 가려움증은 0-4주, 0-8주, 4-8주간의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가려움증이 호전됨을 보여주었다.(표 8)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VAS-가려움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09
VAS-가려움증(n=22)
연구대상자의 자가평가인 VAS 결과 수면장애는 0-4주, 0-8주간의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수면장애가 호전됨을 보여주었다. 4주-8주간의 구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9)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VAS-수면장애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0
VAS-수면장애(n=22)
Ⅱ.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시험하였다.
1. 연구대상자 선정
가.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
1) 시험책임자 또는 시험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사람이 연구 대상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자
2)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3)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나. 연구 대상자 제외기준
지원자와의 면담에 의하여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사람은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시킨다.
1)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자
3)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자
4)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자
5) 시험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 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자
6)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효능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을 사용한 자
7) 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시술을 받은 자
8)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자
다. 연구 대상자 중도탈락 기준
아래의 경우 시험책임자의 판단하에 중지시키고, 이를 시험결과 산정에서 제외하고 최종보고서에 기록하여 보고하여야 한다.
1) 시험 부위에 SLS 자극에 의한 의도적인 자극 반응을 제외한 유해사례가 발생한 경우
2) 연구 대상자가 시험 진행 과정 중 시험 부위에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하거나 지나친 음주, 흡연 등으로 결과의 평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3) 연구 대상자가 시험 진행 과정 중 개인 사정에 의해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
라. 연구 대상자의 숫자와 이에 대한 근거
식품의약품 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을 위한 시험방법 가이드라인(2018.03)' 및 대한피부과학연구소 자체 규정에 근거하여 20명 이상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한다.
마. 연구 대상자 관리
본 연구의 의뢰자 및 시험자는 헬싱키 선언의 근본정신을 준수하고, 연구 대상자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노력하며 연구 수행과 결과 기록 등에 있어 인체시험관리기준 (GCP) 및 관련 국내법규를 준수하도록 노력한다.
시험 전 모든 연구 대상자들의 시험 참여 동의를 받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및 효력 시험 가이드라인, 2015]에 따라 연구 대상자들의 동의를 얻는데 마땅히 제공해야 할 모든 정보들을 성실히 전달한다.
2. 시험 방법
가. 시험시료 적용 방법
실제 사용법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시험의뢰자가 제공한 사용방법을 연구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나. 사용 장비
1) Tewameter TM-300(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Tewameter는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을 측정하는 기계로서 피부를 둘러싸고 있는 미세환경 내에 피부 표면과 주위 공기간에 water vapor gradient의 존재를 Tewameter의 open chamber 내에 있는 센서가 인지하여 단위 시간 당 경피수분손실량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피부 장벽 손상 및 회복과정에서 경피수분손실량은 중요한 생리학적 지표가 된다. 피부자극, 급성 혹은 만성 피부염(아토피 피부염) 혹은 피부의 건조상태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표피의 생리를 직접적으로 측정한다.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semi-closed chamber, closed chamber를 사용하는 방법과 open chamber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뉘는데, Tewameter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후자에 해당한다. 이는 완전한 open chamber evaporation system 내에 독립적인 2개의 hydrosensors가 장착되어 실제 외부 환경에 노출된 피부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며 신속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외부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고, 안정적인 측정을 위해서 수분 평형을 위한 시간이 요구된다. 단위는 g/m2h를 사용하며, 정상 피부의 경피수분손실량은 약 15~24g/m2h 정도로 본다. 피부 장벽의 기능이 손상됨에 따라 수분 손실이 증가하는 반면에 회복과정에서는 수분 손실이 감소하면서 경피수분손실은 각질층의 수분 함량과 반대의 경향을 보이게 된다.
2) Chromameter CR-400(Minolta, Japan)
Chromameter CR-400은 사람의 눈과 같은 구조로, 3개의 센서에 3원색(적, 청, 녹) 필터를 이용하여 반사된 빛에 따른 반사색(율)을 통해 사람에 의해서 인지되는 색들을 측정하며, 이를 3자극치(Tristimulus) 방식이라고 한다. 측정된 표면의 색상을 L, a, b 세 가지 인자로 구성된 디지털 코드로 전환하는 장비로 화장품 연구에 있어 피부색 측정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정밀도·다기능 기기이다.
L, a, b 값은 1976년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정의한 구체형의 색공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서 L은 밝기를, a는 green to red spectrum을, b는 blue to yellow spectrum을 각각 의미한다.
3) ANTERA 3D®(Miravex, Ireland)
Antera 3D®는 고해상도 3차원 이미지 측정장비로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피부에 조사하였을 때, 반사되는 신호를 이미지화하여 피부 상태를 분석한다. 3차원 이미지를 얻기 위해 광학적 방법과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피부의 3차원 형상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피부 개선 정도를 수량화 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를 통해 미세 주름의 깊이와 폭, 피부의 거칠기, 모공의 개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미지 측정 모드는 8가지이며, 각 모드에서 분석 필터에 따라 세분화된 옵션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원하는 분석 부위를 지정하여 다양한 parameter 분석 값을 얻을 수 있다.
4) 1% SLS(Sodium Laurylsulfate, GFC, Korea)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보습제, 장벽강화제의 피부자극 방지 혹은 회복 시험에 자주 이용된다. 피부자극을 일으켜 홍반을 유발하고 때때로 침윤이나 표피 미란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다. 시험 순서
1) 첫 번째 방문일(SLS 자극일)
- 연구 대상자는 시험 방법과 일정 및 위험성과 가능한 이상반응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초정보를 작성하고 동의서에 서명한다.
- 시험자가 제공하는 기준 세정제를 이용하여 세정 후 페이퍼 타올로 가볍게 두드려 물기를 제거한 후 30분간 항온·항습 조건(20~24℃, 40~60% RH)에서 안정을 취한다.
- 일측 전완부의 손목으로부터 15cm 이상 떨어진 지점에 2개의 시험 부위를 구획한다.
- Antera 3D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험 부위의 이미지 촬영을 실시한다.
- Tewameter를 이용해 각각의 시험 부위의 TEWL0를 측정하고 이를 기입한다. 측정은 부위당 5회씩 실시한다.
- Chromameter를 이용해 각각의 시험 부위의 a0 value을 측정하고 이를 기입한다. 측정은 부위당 5회씩 실시한다.
- 1% SLS 15㎕을 8mm finn chamber를 이용하여 24시간 패치 적용한다.
2) 두 번째 방문일 (SLS 사용 24시간 경과일)
- 패치 적용 24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고 물로 세정한다.
- 30분 간 항온·항습 조건(20~24℃, 40~60% RH)에서 안정을 취한 후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 반응 유무를 평가한다.
- Antera 3D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험 부위의 이미지 촬영을 실시한다.
- Tewameter를 이용해 각각의 시험 부위의 TEWL1을 측정하고 이를 기입한다. 측정은 부위당 5회씩 실시한다.
- Chromameter를 이용해 각각의 시험 부위의 a1 value를 측정하고 이를 기입한다. 측정은 부위당 5회씩 실시한다.
- 2개의 시험 부위에 무작위로 시험시료(15㎕) 및 무도포 대조 부위를 배정한다.
- 연구 대상자 주의사항과 시료 사용법을 교육한 후 시료를 배포한다.
- 시험 기간 중 및 시험 종료 직후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소양증, 홍반 등의 자극 증상) 유무를 확인한다.
시험기간 동안 매일 전화 등의 방법으로 시료 사용의 순응도를 체크한다.
3) 세 번째(시료 사용 24시간 경과일) / 네번째(시료 사용 48시간 경과일) 방문일
- 물로만 가볍게 세정한 뒤 페이퍼 타올로 두드려 물기를 제거한다.
- 30분 간 항온·항습 조건(20~24℃, 40~60% RH)에서 안정을 취한 후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 유무를 평가한다.
- Antera 3D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험 부위의 이미지 촬영을 실시한다.
- Tewameter를 이용해 각각의 시험 부위의 TEWL2, 3을 측정하고 이를 기입한다. 측정은 부위당 5회씩 실시한다.
- Chromameter를 이용해 각각의 시험 부위의 a2, 3 value를 측정하고 이를 기입한다. 측정은 부위당 5회씩 실시한다.
- 시험기간 동안 매일 전화 등의 방법으로 시료 사용의 순응도를 체크한다.
- 마지막 방문일에는 시료를 수거하고, 연구 대상자에게 시험 참여비를 지급한다.
라. 평가 방법
1) Tewameter를 이용한 경피수분손실량 (TEWL) 평가
- 피부 장벽이 손상된 시험 부위와 대조 부위의 시료 사용 전 후, 경피수분손실량(TEWL) 변화를 Tewa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2) Chromameter를 이용한 피부 붉은기(a-value) 평가
- 피부 장벽이 손상된 시험 부위와 대조 부위의 시료 사용 전 후, 피부 붉은기(a-value) 변화를 Chromameter(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3)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안전성 평가
- 시험기간 중 연구 대상자 방문일 마다 SLS 사용으로 인해 예상되는 피부자극 반응 외에 예상치 못한 부작용의 발생 여부를 평가한다.
마. 통계 분석 방법
1) Minitab 19 (Minitab® 19.2, Minitab Inc.)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 결과 값은 정규성 검정(Ryan-Joiner Normality Test)을 통해 정규 분포로 추정되는 경우, 아래의 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 동일 그룹 내 전후 결과값 비교: 시험 전, 후 측정한 값의 비교는 paired t-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 2 이상의 상이한 그룹간 결과값 비교: 두 그룹간 결과값의 비교는 Welch's t-검정을 이용하며, 3 이상의 그룹간 결과값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 반복 측정한 2 이상의 상이한 그룹의 결과값 비교: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하며, 그룹간 초기 측정 값이 유의하게 다른 경우 초기 측정값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통해 그룹간 결과값의 차이를 확인한다.
- 정규성 검정(Ryan-Joiner Normality Test)에서 정규성이 기각되는 경우, 아래의 비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 동일 그룹 내 전후 결과값 비교: 시험 전, 후 측정한 값의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Friedman 검정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 2 이상의 상이한 그룹간 결과값 비교: 두 그룹간 결과값의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며, 3 이상의 그룹간 결과값 비교는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 반복 측정한 2 이상의 상이한 그룹의 결과값 비교: Friedman 검정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그룹간 결과값의 차이를 확인한다.
- 모든 자료는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로 요약한다.
3. 시험 결과
1) 연구대상자 기본 정보
연구대상자 기본 정보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1
2) 경피수분손실량[Tewameter, TEWL(g/m2h)] 측정 결과 - 1% SLS 처리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2
3) 피부 붉은기[Chromameter, a-value (A.U.)] 측정 결과 - 1% SLS 처리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3
4) TEWL 및 a-value 측정 결과 정규성 검정, Ryan-Joiner Normality Test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4
5) 1% SLS 적용 전, 시험 부위(TEWL, a-value) 동질성 통계 결과, Welch's t-test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5
6) 1% SLS 적용 전, 시험 부위(TEWL, a-value) 동질성 통계 결과, Welch's t-test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6
시험 시료를 사용할 시험 부위와 시험 시료를 사용하지 않을 무처치 대조 부위의 시험 전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피수분손실량(TEWL)과 피부 붉은기(a-value) 수치를 확인한 결과, 1% SLS 용액 첩포 전 및 첩포 후 모두 시험 부위와 대조 부위 측정값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어, 1% SLS 첩포 전후 시험 부위 간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시료 사용 후, TEWL 및 a-value 변화량 그룹간 비교 통계 결과, Mann-Whitney U test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7
8) 시료 사용 후, TEWL 및 a-value 변화량 그룹간 비교 통계 결과, Welch's t-test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8
9) 시료 사용 후, 경피수분손실량(TEWL) 및 피부 붉은기(a-value) 수치 변화
Figure 112021071884566-pat00019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수분손실량(TEWL)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붉은기(a-value)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1% SLS 용액을 시험 부위에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과 피부 붉은기(a-value)가 증가한 시험 부위에 시험 시료를 24~48시간 동안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과 피부 붉은기(a-value)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증가한 경피수분손실량(TEWL)은 시료 사용 24시간 후부터 대조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감소하였고, 증가한 붉은기(a-valu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시험 시료가 외부 자극(화학적 손상)에 의해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대한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0) 시험기간 동안 발생한 피부 이상증
Figure 112021071884566-pat00020
시험기간 동안 특별한 이상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11) 결과
1) 경피수분 손실량을 나타내는 TEWL 측정값이 1% SLS(Sodium Lauryl Sulfate)를 24시간 첩포하여 자극을 유발하였을 때 시험 부위에서 15.47g/m2h, 대조 부위에서 15.51g/m2h로 측정되었으며, 두 부위의 자극 반응 정도는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시험 시료를 시험 부위에 24시간 및 48시간 사용한 결과, 시험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은 각각 2.11g/m2h, 4.23g/m2h 감소하였으며, 대조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은 각각 1.16g/m2h 증가하였고, 0.52g/m2h 감소하여, 시료 사용 24시간 후에 시험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이 대조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피부 붉은기를 나타내는 a-value 측정값이 1% SLS(Sodium Lauryl Sulfate)를 24시간 사용하여 자극을 유발하였을 때 시험 부위에서 7.74, 대조 부위에서 7.77로 측정되었으며, 두 부위의 자극 반응 정도는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시험 시료를 시험 부위에 24시간 및 48시간 사용한 결과, 시험 부위의 피부 붉은기는 각각 0.39, 0.97 감소하였으며, 대조 부위의 붉은기는 각각 0.19 증가하였으며, 0.48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시험 부위는 시료 사용 24시간 후부터 대조 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시험 시료가 외부 자극(화학적 손상)에 의해 손상된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 중 SLS 자극에 의한 의도적인 자극 반응을 제외한 특별한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안전한 시료로 사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미네랄워터,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고,
    올리브오일, 시어버터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하며,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여 제 3제를 제조하고,
    상기 제 3제를 냉각하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질경이 추출물을 준비한 후 혼합하여 제 4제를 제조하고,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하여 제 5제를 제조하며,
    상기 제 5제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숙성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며,
    상기 제1 제는 미네랄워터 15 중량부, 정제수 200 중량부 및 글리세린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80℃의 온도에서 4,500rpm의 교반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제 2제는 올리브오일 3 중량부, 시어버터 2 중량부 및 달맞이꽃종자유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80℃의 온도에서 4,500rpm의 교반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제 3제는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4,000 내지 5,000rpm의 교반속도로 5 내지 3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제 3제의 냉각은 상기 제 3제를 40℃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제 4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0.5 중량부 및 질경이 추출물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후 40℃의 온도에서 3,500rpm의 교반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제 5제는 상기 냉각된 제 3제 및 제 4제를 혼합한 후 40℃의 온도에서 3,500rpm의 교반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제 5제의 냉각은 상기 제 5제를 30℃의 온도로 냉각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냉각된 제 5제의 숙성은 상기 냉각된 제 5제를 25℃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숙성하여 진행되며,
    상기 미네랄워터는, 해수로 해안 심층 암반수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해수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을 필터들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제1 해수를 제조하되, 상기 필터들로는 모래여과(Sand filter), 활성탄소여과(Carbon filter), 정밀여과(Micro filter) 및 한외여과(限外濾過; Ultra fil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필터들이 사용되며, 상기 제1 해수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순지트 분말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보관한 후 상기 순지트 분말과,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 해수를 제조하고, 상기 제2 해수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미세 다공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80 내지 8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필터를 이용하여 액체만을 분리하여 수집함으로써 제3 해수를 제조하며, 상기 제3 해수를 냉각장치에 투입하고 상기 냉각장치의 내부 온도를 -1 내지 -3℃로 유지하여 10 내지 30시간 동안 냉각한 후 필터들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되, 상기 필터들로는 나노여과(Nano filter) 또는 역삼투여과(Reverse Osmosis filt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필터들이 사용되고,
    상기 순지트 분말은, 순지트 광물을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순지트 광물을 제1 분쇄하여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제조하며,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 침지하되, 상기 혼합액으로는 질산 0.2 내지 0.4 중량%, 인산염 화합물 0.5 내지 1.0 중량%, 과황산염 0.01 내지 0.05 중량%, 초산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20 내지 40분 동안 상기 혼합액에 침지시켜 수행되며, 상기 인산염 화합물로는 제1 인산나트륨(NaH2PO4), 제2 인산나트륨(Na2HPO4), 제3 인산나트륨(Na3PO4), 제1 인산칼륨(KH2PO4), 제2 인산칼륨(K2HPO4), 제1 인산암모늄((NH4)H2PO4), 제2 인산암모늄((NH4)2HPO4) 및 제3 인산암모늄((NH4)3P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과황산염으로는 과황산암모늄((NH4)2S2O8), 과황산나트륨(Na2S2O8) 또는 과황산칼륨(K2O8S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꺼낸 후 상기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소성로에 투입한 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하여 소성하고, 상기 소성된 순지트 조립 분쇄물을 입경이 10 내지 100nm가 되도록 제2 분쇄하여 순지트 미립 분쇄물을 제조하며, 상기 순지트 미립 분쇄물에서 자석이 설치된 회전통에 투입한 후 500 내지 1000RPM의 회전속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회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상기 미세 다공체는,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와, 물을 준비하되,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는 각각 미연탄소분 10 내지 15 중량부, 플라이애쉬 8 내지 12 중량부, 황토 2 내지 4 중량부 및 준설토 3 내지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물은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준비되며, 상기 미연탄소분, 플라이애쉬, 황토 및 준설토와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며, 상기 성형체를 가마에서 가열하여 소성하되, 상기 가마는 내부 온도를 400 내지 450℃의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가마의 내부에 상기 성형체를 투입한 후 1200 내지 1300℃의 온도까지 높이면서 3 내지 5 시간 동안 소성하고, 상기 소성된 성형체를 가마로부터 꺼낸 후 2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냉각한 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냉각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210080897A 2021-06-22 2021-06-22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897A KR102313548B1 (ko) 2021-06-22 2021-06-22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897A KR102313548B1 (ko) 2021-06-22 2021-06-22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48B1 true KR102313548B1 (ko) 2021-10-18

Family

ID=7827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897A KR102313548B1 (ko) 2021-06-22 2021-06-22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4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387A (ko) * 2009-07-14 2011-01-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차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6549A (ko) * 2014-09-01 2016-03-09 양승원 해조칼슘 미네랄수가 함유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9689B1 (ko) 2014-07-25 2017-10-25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강황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200B1 (ko) 2016-03-03 2018-03-0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물옥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8474B1 (ko) * 2017-08-09 2018-04-12 정병곤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7836A (ko) * 2017-03-23 2018-10-04 바이허브 주식회사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96315B1 (ko) 2016-03-18 2019-07-04 (주)셀아이콘랩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981A (ko) * 2018-09-11 2020-03-19 심재덕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387A (ko) * 2009-07-14 2011-01-2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차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9689B1 (ko) 2014-07-25 2017-10-25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강황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6549A (ko) * 2014-09-01 2016-03-09 양승원 해조칼슘 미네랄수가 함유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200B1 (ko) 2016-03-03 2018-03-0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물옥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315B1 (ko) 2016-03-18 2019-07-04 (주)셀아이콘랩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7836A (ko) * 2017-03-23 2018-10-04 바이허브 주식회사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48474B1 (ko) * 2017-08-09 2018-04-12 정병곤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9981A (ko) * 2018-09-11 2020-03-19 심재덕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75B1 (ko) 피부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해면동물 유래의 치료조성물
CN102342993B (zh) 一种皮肤抗敏修复外用制剂
KR20080101821A (ko)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9879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2883B1 (ko)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956539A (zh) 一种抗敏舒缓和皮肤屏障修护精华霜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7454B1 (ko)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2329A (ko) 천연 식물성 복합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Nong et al. A review of the use of beeswax in skincare
CN112915055A (zh) 一种舒缓多效除螨组合物及其应用
KR19990079378A (ko)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함유 화장품
KR100795993B1 (ko)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2288B1 (ko)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KR102313548B1 (ko)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567734A (zh) 一种天然祛痘组合物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CN112569147A (zh) 一种抗敏组合物及其面霜与制备方法
KR20070017746A (ko) 머드팩 조성물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186440A (zh) 可抗菌护肤的中药植物沐浴露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070708B1 (ko) 보령산 머드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644086B1 (ko)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