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836A -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836A
KR20180107836A KR1020170036617A KR20170036617A KR20180107836A KR 20180107836 A KR20180107836 A KR 20180107836A KR 1020170036617 A KR1020170036617 A KR 1020170036617A KR 20170036617 A KR20170036617 A KR 20170036617A KR 20180107836 A KR20180107836 A KR 2018010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matitis
skin
oil
preven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곤
Original Assignee
바이허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허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허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836A/ko
Publication of KR2018010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건조에 기인한 가려움증이 있는 시험대상자에서 피부 수분함유량 증가, 경피수분손실량 감소, 피부 온도 감소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l extracts for inhibiting and alleviating atopy}
본 발명은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염 중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어른의 경우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lichenification)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도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이 있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이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점은 많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이 가족력이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 건조한 피부의 보습, 피부염 치료를 위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국소 면역조절제와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되고, 피부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하는 알레르겐, 자극 물질,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하는 다각적인 치료방법이 있으나, 현재까지 뚜렷한 치료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성분이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고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92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137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닥나무추출물, 호호바씨오일, 올리브오일, 황금추출물, 레몬껍질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닥나무추출물, 호호바씨오일, 올리브오일, 황금추출물, 레몬껍질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닥나무추출물 1 내지 30 중량%, 호호바씨오일 1 내지 15 중량%,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 황금추출물 1 내지 30 중량%, 레몬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오렌지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 1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두피질환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수부 부족에 의한 지루성 피부염 또는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 로션, 크림, 페이셜 크림, 화장수,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또는 바디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건조에 기인한 가려움증이 있는 시험대상자에서 피부 수분함유량 증가, 경피수분손실량 감소, 피부 온도 감소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피부 수분함유량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피부 pH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경피수분손실량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피부 온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도 평가 지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피부 가려움증의 정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닥나무추출물, 호호바씨오일, 올리브오일, 황금추출물, 레몬껍질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닥나무추출물 1 내지 30 중량%, 호호바씨오일 1 내지 15 중량%,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 황금추출물 1 내지 30 중량%, 레몬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오렌지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 1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닥나무추출물 30 중량%, 호호바씨오일 15 중량%, 올리브오일 5 중량%, 황금추출물 30 중량%, 레몬껍질오일 5 중량%, 오렌지껍질오일 5 중량%,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5 중량%, 다마스크장미꽃오일 5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로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상기의 수치범위 내외로 다양하게 조성해 본 바 상기의 수치범위 내에서 식물 고유의 향이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자극이 없고 화장품을 제조할 때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며 안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이에 수치한정의 의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닥나무 및 황금의 추출물은 80~90℃의 증류수에서 열수추출하여 수득하였으며, 호호바씨, 올리브,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아틀라스시다껍질 및 다마스크장미꽃의 오일은 시판 제품을 구입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두피질환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수부 부족에 의한 지루성 피부염 또는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피부의 자극 및 염증 완화, 가려움 완화를 위한 피부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0001 내지 10중량%(1ng/ml ~ 100mg/ml)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다. 예를 들면, 수딩젤,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크림, 페이셜 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딩젤, 로션, 크림, 페이셜 크림, 화장수,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또는 바디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 로션, 크림 또는 페이셜 크림으로 제형화되었다.
또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제형으로서 흡수성 젤, 패드, 패치, 스폰지 및 마스크팩 형태의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바르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건조에 기인한 가려움증이 있는 시험대상자에서 피부 수분함유량 증가, 경피수분손실량 감소, 피부 온도 감소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건조에 의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닥나무추출물 30 중량%, 호호바씨오일 15 중량%, 올리브오일 5 중량%, 황금추출물 30 중량%, 레몬껍질오일 5 중량%, 오렌지껍질오일 5 중량%,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5 중량%, 다마스크장미꽃오일 5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닥나무 및 황금의 추출물은 80~90℃의 증류수에서 열수추출하여 수득하였으며, 호호바씨, 올리브,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아틀라스시다껍질 및 다마스크장미꽃의 오일은 시판 제품을 구입하여 수득하였다.
< 제조예 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수딩젤(제조예 1), 로션(제조예 2), 크림(제조예 3), 페이셜 크림(제조예 4)의 제형으로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 제조하였다.
성분 수딩젤(제조예 1) 로션(제조예 2) 크림(제조예 3) 페이셜 크림(제조예 4)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중량% 0.01 중량% 0.01 중량% 0.01 중량%
아미노산 스탁(stock) 0.05 0.05 0.05 0.05
미네랄 혼합물 0.0007 0.0007 0.0007 0.0007
글리세롤 5 3 2 2
1,3-부틸렌글리콜 10 10 - -
미네랄 오일 - 5 10 8
올리브 유화 왁스 - - 3 3
세틸알코올 2 2 2 2
잔탄검 0.5 0.5 -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 실험예 1> 인체적용시험 대상자 선정
피부 수분함유량 평균값이 29 이하로 가려움증이 있는 5~7세의 미취학 아동 22명(연령: 만 4세 2명, 만 5세 13명, 만 6세 7명(평균 만 5.23세), 성별: 남성 12명,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시험제품인 제조예 1~4를 전완부 또는 얼굴에 4주 사용하는 동안, 제품 사용 전과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에 각 시험항목들을 측정하여 피부 건조에 기인한 가려움증 완화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시험 종료 후 설문평가를 완료하였다. 시험대상자 22명의 피부상태는 건성피부 21명, 중건성피부 1명이었으며, 피부질환, 가려움, 따가움, 홍반, 화장품 부작용, 의약품 부작용, 광민감성 경험에 대한 설문에서 해당되는 시험대상자는 없었다.
시험대상자에게 제조예 1~3을 전완부에 수딩젤, 로션, 크림 순서대로 적당량 덜어서 바른 후 충분히 두드려 흡수시키도록 하였다. 제조예 4는 얼굴에 적당량 덜어서 바른 후 충분히 두드려 흡수시키도록 하였다.
< 실험예 2> 피부 건조에 기인한 가려움증 완화 평가
기기적 평가를 위하여 시험대상자는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으며, 안정을 취하는 동안에는 수분 섭취를 제한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였으며, 매 측정 시 동일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2-1> 피부 수분함유량 측정
피부 수분함유량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전완부의 건조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Corneometer는 탐침이 접촉하는 곳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수분 함유량과 정전용량은 서로 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피부 보습도가 높을수록 측정되는 수치가 높아진다. 단위는 A.U이며, 피부 보습량과 측정값은 비례한다. 측정은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표 2 및 도 1과 같이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피부 수분함유량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p <0.05)하였다.
구분 A.U(Mean±SD)
사용 전 21.92±5.10
사용 2주 후 30.64±6.30
사용 4주 후 35.28±6.73
군내 비교 유의 확률 개체 내 효과검정 0.000*
사용 전 - 사용 2주 후 0.000*
사용 전 - 사용 4주 후 0.000*
* : 반복 측정 ANOVA, post hoc Bonferroni 보정에 의한 p <0.05
<2-2> 피부 pH 측정
피부 pH는 Skin pH meter PH90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전완부의 건조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실시하였다. 피부 pH의 증가는 Lactic acid 등 피부에 존재하는 보습인자에 영향을 미쳐 보습력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부 표면의 산성막은 항균 방어막 기능을 하는데, 피부 pH가 증가하여 산성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박테리아나 진균으로 인한 피부 염증 가능성도 높아진다.
그 결과, 표 3 및 도 2와 같이 피부 pH는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분 pH(Mean±SD)
사용 전 5.21±0.55
사용 2주 후 5.33±0.34
사용 4주 후 5.15±0.45
군내 비교 유의 확률 개체 내 효과검정 0.258
사용 전 - 사용 2주 후 /
사용 전 - 사용 4주 후 /
<2-3> 경피수분손실량 ( Transepidermal Water Loss) 측정
경피수분손실량은 Vapometer를 사용하여 전완부의 건조한 부위를 측정하였 다. 측정은 3회 실시하였으며, 10초간 측정하였다. TEWL은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량(g/h.m²)을 나타내며, 수치가 낮을수록 피부상태가 좋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표 4 및 도 3과 같이,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TEWL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p <0.025)하였다.
구분 g/h.m²(Mean±SD)
사용 전 10.36±2.41
사용 2주 후 8.46±2.19
사용 4주 후 7.58±1.60
군내 비교 유의 확률 개체 내 효과검정 0.000#
사용 전 - 사용 2주 후 0.001#
사용 전 - 사용 4주 후 0.000#
# : Friedman test 및 Boncotroni 보정한 post hoc Wilcoxon signed rank test에 의한 p <0.025 (= 5%/2)
<2-4> 피부 온도 측정
피부 온도는 Skin Thermometer ST500(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전완부의 건조한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단위는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5 및 도 4와 같이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피부 온도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 p <0.05)하였다.
구분 ℃(Mean±SD)
사용 전 31.15±0.72
사용 2주 후 30.25±0.84
사용 4주 후 30.29±0.72
군내 비교 유의 확률 개체 내 효과검정 0.000*
사용 전 - 사용 2주 후 0.000*
사용 전 - 사용 4주 후 0.000*
* : 반복 측정 ANOVA, post hoc Bonferroni 보정에 의한 p <0.05
<2-5> 피부 가려움증 개선도 평가(Visual Analog Scale Assessment)
시험대상자가 느끼는 가려움증의 정도를 아래와 같은 10㎝ 선분 위에 시험대상자가 직접 표시하도록 하고, 그 길이를 측정하였다(도 5). 제품 사용 전후의 가려움증 정도를 표시한 선분의 길이를 비교하여 가려움증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6 및 도 6과 같이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피부 가려움증의 정도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 p <0.025)하였다.
구분 cm(Mean±SD)
사용 전 5.29±1.88
사용 2주 후 2.59±1.77
사용 4주 후 1.50±1.63
군내 비교 유의 확률 개체 내 효과검정 0.000#
사용 전 - 사용 2주 후 0.000#
사용 전 - 사용 4주 후 0.000#
# : Friedman test 및 Boncotroni 보정한 post hoc Wilcoxon signed rank test에 의한 p <0.025 (= 5%/2)
<2-6> 유효성 설문조사(Global Assessment of Efficacy)
시험제품 사용 후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 건조도 개선에 대하여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의 5단계로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각 답변에 대한 시험대상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시험제품의 효능 유무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표 7 및 표 8과 같이 제조예 1~4의 수딩젤, 로션, 크림 및 페이셜 크림 적용 후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 건조도 개선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100%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편차
5* 4* 3* 2* 1*
수딩젤, 로션,
크림
(전완부)
피부 가려움증 개선 14
(63.6)
6
(27.3)
2
(9.1)
0 0 3.55 0.67
피부 건조도 개선 14
(63.6)
7
(31.8)
1
(4.5)
0 0 3.59 0.59
*4: 아주 좋음, 3: 좋음, 2: 보통, 1: 나쁨, 0: 아주 나쁨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편차
5* 4* 3* 2* 1*
페이셜 크림
(얼굴)
피부 가려움증 개선 13
(59.1)
8
(36.4)
1
(4.5)
0 0 3.55 0.60
피부 건조도 개선 13
(59.1)
8
(36.4)
1
(4.5)
0 0 3.55 0.60
*4: 아주 좋음, 3: 좋음, 2: 보통, 1: 나쁨, 0: 아주 나쁨
<2-7> 제품 기호도 설문조사
시험제품 사용 후 제품 사용감에 대하여 시험대상자가 직접 설문자료에 답하 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끈적임 없음, 흡수성, 향, 전 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아주 좋음(4), 좋음(3), 보통(2), 나쁨(1), 아주 나쁨(0) 의 5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표 9와 같이 제조예 1~4의 수딩젤, 로션, 크림 및 페이셜 크림 적용 후 피부 촉촉함, 피부 매끄러움, 끈적임 없음, 향, 전반적 사용감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100.00%, 흡수성 항목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95.45%가 보통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편차
5* 4* 3* 2* 1*
수딩젤, 로션,
크림
(전완부)




피부 촉촉함 14
(63.6)
8
(36.4)
0 0 0 3.64 0.49
피부 매끄러움 13
(59.1)
8
(36.4)
1
(4.5)
0 0 3.55 0.60
끈적임 없음 11
(50.0)
10
(45.5)
1
(4.5)
0 0 3.45 0.60
흡수성 11
(50.0)
7
(31.8)
3
(13.6)
1
(4.5)
0 3.27 0.88
8
(36.4)
10
(45.5)
4
(18.2)
0 0 3.18 0.73
전반적 사용감 12
(54.5)
8
(36.4)
2
(9.1)
0 0 3.45 0.67
페이셜 크림
(얼굴)




피부 촉촉함 14
(63.6)
7
(31.8)
1
(4.5)
0 0 3.59 0.59
피부 매끄러움 14
(63.6)
7
(31.8)
1
(4.5)
0 0 3.59 0.59
끈적임 없음 11
(50.0)
10
(45.5)
1
(4.5)
0 0 3.45 0.60
흡수성 11
(50.0)
7
(31.8)
3
(13.6)
1
(4.5)
0 3.27 0.88
9
(40.9)
9
(40.9)
4
(18.2)
0 0 3.23 0.75
전반적 사용감 13
(59.1)
7
(31.8)
2
(9.1)
0 0 3.50 0.67
*4: 아주 좋음, 3: 좋음, 2: 보통, 1: 나쁨, 0: 아주 나쁨
<2-8> 안정성 및 이상반응 평가
시험제품의 안전성은 시험제품을 사용한 모든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시험제품 사용부위에 대한 연구자 육안평가 결과와 시험대상자 설문결과를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시험제품 사용 중에 발생한 이상 피부증상에 대해서는 시험기간 동안 설문조 사를 통하여 발생여부 및 증상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험대상자가 시험제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홍반, 부종, 인설생성을 비롯한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 상에도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시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성 설문조사 결과,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을 비롯한 피부 이상반응과 관련된 특별한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2-9> 통계적 분석
시험제품 사용 전 대비 측정값의 유의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9.0을 사용하였다.
95% 신뢰구간에서 유의확률 p <0.05 일 때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유의확률 은 소수 셋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나타내었다.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로 요약하였 다.
3개 이상 반복측정 자료는 정규성 검정 후 모수적 방법으로 reapeted measures ANOVA를 사용하고,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 검정하였다. 비 모수적 방법은 Friedman test를 사용하고,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짝 비교한 후 Bonferroni 방법으로 유의수준을 보정하여 사후검정하였다.

Claims (6)

  1. 닥나무추출물, 호호바씨오일, 올리브오일, 황금추출물, 레몬껍질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닥나무추출물 1 내지 30 중량%, 호호바씨오일 1 내지 15 중량%, 올리브오일 1 내지 5 중량%, 황금추출물 1 내지 30 중량%, 레몬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오렌지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아틀라스시다껍질오일 1 내지 5 중량% 및 다마스크장미꽃오일 1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두피질환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수부 부족에 의한 지루성 피부염 또는 여드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의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 로션, 크림, 페이셜 크림, 화장수,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또는 바디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36617A 2017-03-23 2017-03-23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8010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17A KR20180107836A (ko) 2017-03-23 2017-03-23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17A KR20180107836A (ko) 2017-03-23 2017-03-23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36A true KR20180107836A (ko) 2018-10-04

Family

ID=6386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617A KR20180107836A (ko) 2017-03-23 2017-03-23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8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822A (ko) * 2018-11-30 2020-06-0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KR102313548B1 (ko) * 2021-06-22 2021-10-18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822A (ko) * 2018-11-30 2020-06-0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KR102313548B1 (ko) * 2021-06-22 2021-10-18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987903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14029A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4456A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7774B1 (ko) 블랙커민씨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보존용 조성물
KR101848474B1 (ko)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516B1 (ko)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141802B1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7836A (ko)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0946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US11602493B2 (en) Gel formulations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21228A (zh) 一种祛黄抗皮肤光老化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2303A (ko) 진정 효과를 갖는 피부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7641B1 (ko) 피라칸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8735A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1226B1 (ko) 글루코노락톤 및 클림바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