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822A -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822A
KR20200065822A KR1020180152667A KR20180152667A KR20200065822A KR 20200065822 A KR20200065822 A KR 20200065822A KR 1020180152667 A KR1020180152667 A KR 1020180152667A KR 20180152667 A KR20180152667 A KR 20180152667A KR 20200065822 A KR20200065822 A KR 20200065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wer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o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074B1 (ko
Inventor
김대익
김동섭
성낙윤
서인라
한인준
엄지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0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등으로 인한 소실 또는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키고,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증에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살구씨오일(Pruni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20.0 -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0.5 -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ns Oil) 0.15 -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wt%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Description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regeneration and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상처 등으로 인한 소실 또는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키고,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증에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는 재발성 만성 피부염으로, 어린이의 약 10 - 15%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성인기에는 대체로 호전되며 약 30 - 40%는 피부염이 재발되지 않으나, 그 나머지는 피부 건조, 자극성 물질에 의한 피부 자극, 주부 습진 등 중증의 피부염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비율은 환경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다른 질환과 겹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특히 아토피는 태열 발산이 안되고 피부에 쌓여서 발진과 가려움을 유발할 때 스테로이드 연고와 항히스타민제의 잦은 사용으로 중독이 되면서 면역기능이 극도로 저하되는 피부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일환으로, 의약품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 대부분은 스테로이드 제제나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 사용시 모세혈관 확장증 또는 각질층의 두께 증가/확장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한편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되어 백선피, 정향, 치자, 조각자, 차전초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제안되었으나, 이들 대부분은 식물천연물 자체를 고온에서 가열하던지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효성분의 파괴와 더불어 피부 자극을 초래하거나 장기보존을 위한 방부제의 첨가로 인해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61805호에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센델라 아시아리카 추출물과 살균성 항생물질인 네오마이신 황산염, 그리고 살리실릭 애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고 아토피 발병 인자를 제거하는 효능이 우수하도록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술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관련된 질환을 어느 정도 극복하는 효과는 있었으나, 치료 부위의 피부 조직이 소실되거나 무엇보다 특정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치료와 관련된 효능 자체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61805호(2017.06.07.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35276호(2015.04.06. 라파마이신 및 미콜페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30555호(2011.12.06. 아토피 피부 예방 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 등으로 인해 소실되거나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킴과 동시에 아토피성 피부염과 관련된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증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20.0 -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0.5 -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ns Oil) 0.15 -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wt%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은, 감압이 가능한 감압 교반기에서 총 중량% 대비, 살구씨오일(Prunus Armeriaca (Apricot) Kernel Oil) 20.0 -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5 -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5 -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wt%를 첨가하여 40 - 50℃로 가온한 다음 300 - 400mmHg의 감압 교반하여 가용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상처 등으로 인해 소실되거나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킴과 동시에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시키는 각각의 물질들이 상보적으로 발현되어 아토피성 피부염과 관련된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증 등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피부 재생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피부 진피세포 재생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Histamine 분비 억제능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20.0 -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5 -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5 -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wt%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은 11종의 필수 아미노산과 다양한 미네랄 원소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노화된 각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시켜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살구씨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내지 52.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은 호호바의 종자로부터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유로서, 안정성과 감촉 면에서 우수하고,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유상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호호바씨오일은 다른 식물유에 비해 유성감이 적은 유지로서, 피지의 한 성분인 왁스에스테르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 친숙하기 쉽다. 이 때문에 유액, 크림, 바디오일, 핸드로션 등의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호바씨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25.0 내지 35.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은 달맞이꽃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식물성 오일로, 식물 전체에 짧은 털이 있는 바늘꽃과의 식물로 달맞이꽃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식물성 오일이다. 피부 보습, 재생 효과가 뛰어나고 월경 전 증후군, 월경통, 갱년기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달맞이꽃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20.0 내지 30.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은 신진대사의 활동을 자극하고 염증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성피부, 여드름,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송열매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3.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은 스트레스 완화와 숙면에 효과적이며, 두통, 근육통, 생리통 등과 같은 통증을 완화해주고 소량의 경우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 있어 피부염과 가벼운 화상, 건선, 여드름, 벌레 물린 상처에 유용하게 쓰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벤더꽃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3.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은 긴장을 완화시켜주고 만성 불안증과 우울증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여성의 생리 전 긴장과 갱년기 증상인 흥분, 외로움 등의 불안을 호전시키는 효과도 있다. 특히, 피부 세포의 재생 효과가 우수하며, 건성, 민감성 및 노화피부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렌지껍질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은 강력한 면역 자극제로 신체 면역력을 개선시키고, 땀 분비를 촉진하여 체열을 낮춰주며, 벌레 물린 데, 입 주위의 단순포진, 구강궤양, 여드름, 무좀, 화상, 비듬 등의 상처치유와 가려움증 완화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티트리잎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1.5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은 소화 촉진, 피부 정화, 진정 작용, 근육통 완화 등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로써, 비타민 A,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야맹증 개선, 감기 예방, 피부 미용, 피로 해소 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조람꽃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15 내지 1.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은 지성 피부의 피지 분비를 조절하여 피부를 정화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관여하며,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를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지성 두피에서 피지를 조절하고 두피 순환을 촉진하는데 관여하여 건강한 두피 및 모발 관리에도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티드제라늄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15 내지 1.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은 주요 화학성분이 리모넨과 피넨, 미르센 등 모노테르펜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키고 항 미생물 효과와 순환을 자극하여 감기 예방, 부종 완화에 도움을 준다. 또, 위를 안정시켜 소화계통 문제의 완화를 돕고 식욕을 촉진하는 작용도 한다. 이와 함께 노폐물 배출 효과가 있어 여드름, 지성피부의 제 증상 완화와 보습과 피부 유연 작용으로 건성, 노화피부에도 이롭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렌지꽃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에 효과적이며,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 해준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치통과 여성의 생리 장애에도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모마일꽃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05 내지 1.0wt%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은 적당한 보습력과 피지 분비를 도와 피부 밸런스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정상화시켜주고 피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먼자스민꽃오일은 전체 중량% 대비 0.05 내지 0.5wt%의 양으로 포함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오일성분 함량이 정해진 함량범위를 벗어나 적은 wt% 미만으로 첨가되면, 각각의 오일의 효능이 발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피부관련 부작용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정해진 함량범위를 벗어나 많은 wt%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각각의 오일의 효능이 어울리지 못하고 어느 하나의 오일의 특징만이 두드러져 소망하고자 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로서, 조성물의 가용화를 위하여 감압이 가능한 감압 교반기에서 총 중량% 대비,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20.0 내지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내지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내지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내지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내지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내지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5 내지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내지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5 내지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내지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내지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내지 0.5wt%를 첨가하여 40 - 50℃로 가온한 다음 300 - 400mmHg의 감압 교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로서,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분산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은, 오일간 블렌딩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소망하는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분산제는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게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통상적인 화장료, 예를 들어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 용액, 유탁액, 현탁액, 연고, 로션, 젤, 크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분무제, 고체상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유연화장품, 수렴화장품, 영양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분 이외에도 다른 성분들이 가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피부 투여용 화장료 조성물이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식물성 기름, 동물성 기름, 파라핀, 왁스, 트라칸트,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벤토나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코르 실리코느 실리카, 산화아연 또는 탈크, 산화 티타늄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제형이 바디젤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바디젤 제조시에 사용되는 성분인 트리에탄올아민, 멘톨, 글리세린, 디소듐이디티에이, 에탄올, 카보머, 메틸파라벤, 향료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에탄올아민과 카보머는 점증제로서 작용하고, 멘톨은 향 성분으로서 작용하며, 에탄올은 청량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글리세린은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금속성분인 킬레이트로 가능하고, 메틸파라벤은 방부제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상술한 구체적인 성분 이외에도 점증제, 청량감 부여, 향 성분, 보습제 등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성분들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분무제)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실리카, 락토스, 탈크,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칼슘 실리케이트가 첨가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유탁화제 또는 용해화제가 첨가되는데,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카보네이트, 이소프로판올, 벤질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액,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트라칸트 또는 아가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부가하여 지방 분해 촉진을 위한 바디젤,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에어졸 타입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경피 투여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피부 지방의 상태 정도 등의 개인차이나 제형, 형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은 피부 진정을 위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총 중량에 대해,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39.2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8.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2.5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1.5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2.2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2.2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1.1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9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9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3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2wt%를 배합하여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wt%)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39.2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8.0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2.5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1.5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2.2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2.2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1.1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1.0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ns Oil) 0.9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9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3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2
[실험예 1] 피부 표피세포 재생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표피세포 재생능을 평가하기 위해 In vitro scratch assay법을 이용하였다.
HaCaT세포(Keratinocytes)를 10% FBS가 들어간 DMEM 세포배양액에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well당 1×106 cell이 되도록 6-well plate에 깔아준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를 완전히 부착시켰다. Scratcher(SPL)를 이용하여 plate의 중앙을 긁어주고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50, 100, 200㎍/㎖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긁힌 면적의 감소를 %로 나타내었다.
도 1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표피세포 재생능을 평가하기 위한 HaCaT세포(Keratinocytes)의 In vitro scratch assay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HaCaT세포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농도(50, 100, 200㎍/㎖)별 처리는 피부 표피세포의 재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양성 대조군인 Adenosine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하거나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의해 피부 표피세포의 재생능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진피세포 재생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진피세포 재생능을 평가하기 위해 In vitro scratch assay법을 이용하였다.
HDF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10% FBS가 들어간 DMEM 세포배양액에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well당 5×105 cell이 되도록 6-well plate에 깔아준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를 완전히 부착시켰다. Scratcher(SPL)를 이용하여 plate의 중앙을 긁어주고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50, 100, 200㎍/㎖의 농도로 7시간 동안 처리한 후, 긁힌 면적의 감소를 %로 나타내었다.
도 2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진피세포 재생능을 평가하기 위한 HDF세포(Human Dermal Fibroblast)의 In vitro scratch assay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HaCaT세포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농도(50, 100, 200㎍/㎖)별 처리는 피부 진피세포의 재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양성 대조구인 Adenosine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하거나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의해 피부 진피세포의 재생능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탈과립에 대한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β-hexosaminidase release assay를 이용하였다.
RBL-2H3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cell)를 10% FBS가 들어간 DMEM 세포배양액에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well당 2×104 cell이 되도록 96-well plate에 깔아준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를 완전히 부착시켰다. 각 well의 세포들을 Siraganian buffer(biosolution)로 2회 세척한 다음 각 well에 Siraganian buffer와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최종농도 25, 50, 100, 200㎍/㎖이 되도록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PMA(50nM)과 A23187(1㎛)의 자극하에서 3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얼음 위에서 반응을 종결시킨 후 상층액 50㎕를 새로운 96 well plate에 옮기고 Pellet은 0.1% Triton X-100 200㎕를 넣고 녹인 후 50㎕를 옮겨주었다. 상층액과 Pellet이 담긴 96 well plate에 substate buffer(1mM 4-ρ-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0.05M sodium citrate, pH 4.5) 50㎕를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0.05M sodium carbonate buffer, pH10) 100㎕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β-hexosaminidase 분비율은 상층액의 값을 상층액의 값과 Pellet의 값으로 나눠준 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도 3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를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농도(25, 50, 100, 200㎍/㎖)별 처리는 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양성 대조구인 Dexamethasone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하거나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Histamine 분비 억제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탈과립에 대한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istamine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RBL-2H3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cell)를 10% FBS가 들어간 DMEM 세포배양액에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후 well당 2×104 cell이 되도록 96-well plate에 깔아준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를 완전히 부착시켰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최종농도 200㎍/㎖이 되도록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후 배양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배양 상층액에서 Histam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Histamine 함량은 Histamine ELISA kit(MYBioSourc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Histamine의 농도는 kit에 포함되어 있는 표준 용액으로부터 산출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되었다.
도 4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Histamine 분비 억제를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처리는 Histamine 분비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양성 대조구인 Dexamethasone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항산화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메탄올에 용해한 200㎛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200㎕에 각각 1, 5, 10%로 희석한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50㎕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5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 농도(1%, 5%, 10%)별 처리는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의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향기 성분 분석
① 고상미량 추출법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
fiber에 polydimethyl siloxane을 입힌 고정상을 사용하여 수용액상의 headspace 부분에서 시료와 fiber 사이에 분배에 의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하고 유기화합물이 흡착된 fiber를 Gas Chromatography(GC)의 injector에 주입하여 열 탈착시키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취하여 75±5℃로 유지한 후,
SMPE(50/30㎛ divinylbenzene/carboxen/polydimethylsiloxane(DVB/CAR/PDMS)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30분 동안 시료 내의 휘발성 성분을 fiber에 흡착시킨 후 흡착된 향기성분을 GC-MS injector에서 탈착시켜 분석하였다.
② 머무름지수(RI) 수립
머무름지수(RI)를 구하기 위하여 n-alkane 혼합 표준물질(C8 - C40) 40㎎/ℓ를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과 동일한 최적 조건으로 설정하여 GCMS(GCMS-QP2010, shimadzu, japan)로 분석하였다. n-alkane 표준물질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RT)을 분석한 후 계산식을 적용하여 분석된 각 성분의 머무름 시간에 대비한 각 성분의 머무름지수(retention index, RI)를 수립하여 동정한 성분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③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추출된 향기성분은 GC/MS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Total ionization chromatogram(TIC)에 분리된 각 peak의 성분분석은 mass spectrum library(FFNSC 2, NIST 12, WILEY 7)와 mass spectral data book의 spectrum과의 일치되는 표준물질의 분석 데이터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한편, 고상미량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GC/MS로 확인하여 분석된 chromatogram은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정성 분석한 화합물들은 하기 표 2 내지 표 5에 나타내었다. 총 46종의 향기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체 휘발성 향기 성분 중 Limonene이 약 2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3-Carenen, 4-Terpineol 으로 대표되는 테르펜 계열의 피톤치드 물질도 동일하게 높은 범위로 검출되었다.
NO RI COMPOUND NAME MF MW ㎎/㎏
1 932 α-Pinene C10H16 136 4.34
2 947 α-Fenchene C10H16 136 0.79
3 972 Sabinene C10H16 136 1.67
4 976 β-Pinene C10H16 136 0.44
5 989 β-Myrcene C10H16 136 3.79
6 1005 α-Phellandrene C10H16 136 0.31
7 1008 3-Carene C10H16 136 22.88
8 1016 α-Terpinene C10H16 136 3.80
9 1024 ρ-Cymene C10H14 134 3.33
10 1030 Limonene C10H16 136 46.39
NO RI COMPOUND NAME MF MW ㎎/㎏
11 1031 β-Phellandrene C10H16 136 0.96
12 1032 Eucalyptol C10H18O 154 1.04
13 1047 trans-β-Ocimene C10H16 136 1.57
I.S. 1056 n-Butylbenzene C10H14 134 0.00
14 1058 γ-Terpinene C10H16 136 6.38
15 1071 trans-Sabinene hydrate C10H18O 154 6.38
16 1085 Terpinolene C10H16 136 2.96
17 1100 Linalool C10H18O 154 17.01
18 1107 1-Octenyl-3-acetate C10H18O2 170 0.59
19 1113 Phenylethyl Alcohol C8H10O 122 17.45
NO RI COMPOUND NAME MF MW ㎎/㎏
20 1125 1-Terpineol C10H18O 154 17.01
21 1163 Benzyl acetate C9H10O2 150 0.38
22 1166 Isomenthone C10H18O 154 0.33
23 1174 Borneol C10H18O 154 0.26
24 1182 4-Terpineol C10H18O 154 18.89
25 1196 α-Terpineol C10H18O 154 2.45
26 1224 Nerol C10H18O 154 0.64
27 1227 Citronellol C10H20O 156 6.55
28 1249 Linalyl acetate C12H20O2 196 17.33
29 1251 Geraniol C10H18O 154 11.48
NO RI COMPOUND NAME MF MW ㎎/㎏
30 1268 Citral C10H16O 152 0.24
31 1273 Citronellyl formate C11H20O2 184 0.33
32 1282 Lavandulyl acetate C12H20O2 196 1.92
33 1297 Geranyl formate C11H18O2 182 0.30
34 1342 Methyl anthranilate C8H9NO2 151 1.41
35 1357 Neryl acetate C12H20O2 196 0.55
36 1377 Geranyl acetate C12H20O2 196 1.28
37 1423 trans-Caryophyllene C15H24 204 1.76
38 1474 Cadina-1(6), 4-diene C15H24 204 1.14
39 1495 cis-Muurola-4(14), 5-diene C15H24 204 1.09
40 1520 γ-Cadinene C15H24 204 1.51
41 1524 Cadina-1,3,5-triene C15H22 202 0.59
42 1525 Epizonarene C15H24 204 0.50

Claims (5)

  1. 살구씨오일(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20.0 -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5 -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5 -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wt%를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감압이 가능한 감압 교반기에서 총 중량% 대비, 살구씨오일(Prunus Armeriaca (Apricot) Kernel Oil) 20.0 - 52.0wt%,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25.0 - 35.0wt%,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0.0 - 30.0wt%,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0.5 - 3.0wt%,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0.5 - 3.0wt%,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1.0 - 3.0wt%,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5 - 1.5wt%,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5 - 1.0wt%,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5 - 1.0wt%,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0wt%,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wt%,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wt%를 첨가하여 40 - 50℃로 가온한 다음 300 - 400mmHg의 감압 교반하여 가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가 추가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솔비탄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유연화장품, 수렴화장품, 영양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KR1020180152667A 2018-11-30 2018-11-30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KR10218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67A KR102188074B1 (ko) 2018-11-30 2018-11-30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67A KR102188074B1 (ko) 2018-11-30 2018-11-30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22A true KR20200065822A (ko) 2020-06-09
KR102188074B1 KR102188074B1 (ko) 2020-12-07

Family

ID=7108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67A KR102188074B1 (ko) 2018-11-30 2018-11-30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77B1 (ko) * 2020-06-19 2020-10-06 주식회사 민디민메디컬그룹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532A (ko) *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제닉 아토피 치료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용 매트릭스 패치
KR20110130555A (ko) 2010-05-28 2011-12-06 박성화 아토피 피부 예방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KR20120000880A (ko) * 2010-06-28 2012-01-04 (주)미현재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7021B1 (ko) * 2012-12-31 2013-07-17 주식회사 제닉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530214A (ja) * 2010-07-01 2013-07-25 ユン コ、ド ブレンドアロマオイルの効能が増進する毛髪及び頭皮状態改善用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40003573A (ko) * 2011-01-24 2014-01-09 안테리오스, 인코퍼레이티드 오일 조성물
KR20140068710A (ko) * 2012-11-28 2014-06-09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40071570A (ko) * 2012-11-30 2014-06-12 주식회사 매직신기한비누 한방 추출물 및 한방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천연 비누 조성물
KR20150035276A (ko) 2013-09-27 2015-04-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라파마이신 및 미콜페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9330A (ko) * 2014-07-16 2016-01-26 천유화장품(주)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618162B1 (ko) *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70061805A (ko) 2015-11-26 2017-06-07 (주)호산이엔씨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7836A (ko) * 2017-03-23 2018-10-04 바이허브 주식회사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532A (ko) *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제닉 아토피 치료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아토피 치료용 매트릭스 패치
KR20110130555A (ko) 2010-05-28 2011-12-06 박성화 아토피 피부 예방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KR20120000880A (ko) * 2010-06-28 2012-01-04 (주)미현재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13530214A (ja) * 2010-07-01 2013-07-25 ユン コ、ド ブレンドアロマオイルの効能が増進する毛髪及び頭皮状態改善用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40003573A (ko) * 2011-01-24 2014-01-09 안테리오스, 인코퍼레이티드 오일 조성물
KR20140068710A (ko) * 2012-11-28 2014-06-09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40071570A (ko) * 2012-11-30 2014-06-12 주식회사 매직신기한비누 한방 추출물 및 한방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천연 비누 조성물
KR101287021B1 (ko) * 2012-12-31 2013-07-17 주식회사 제닉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35276A (ko) 2013-09-27 2015-04-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라파마이신 및 미콜페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9330A (ko) * 2014-07-16 2016-01-26 천유화장품(주)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061805A (ko) 2015-11-26 2017-06-07 (주)호산이엔씨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618162B1 (ko) *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80107836A (ko) * 2017-03-23 2018-10-04 바이허브 주식회사 아토피 억제 및 완화를 위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숙 저, ‘소아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을 위한 아로마 이용 실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02., pp.1-5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77B1 (ko) * 2020-06-19 2020-10-06 주식회사 민디민메디컬그룹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074B1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5B1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20190124947A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986755B1 (en) Skin moisturizer
KR101944025B1 (ko) 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1530A (ko)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CN114146014B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Ezzat et al. Herbal cosmeticology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8074B1 (ko)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용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242545B2 (ja) 脱毛症及び脂漏症に有効なCopaifera属植物の抽出物の使用
KR102217697B1 (ko)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FR3023482A1 (fr) Extrait hydroglycerine d'ombellifere pour un usage cosmetique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CN114344219A (zh) 一种用于皮肤红肿痒痛的芳香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RU2431462C1 (ru) Порошкова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фитомаск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US9408877B1 (en)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skin restoration
KR101587870B1 (ko) 피부자극 및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20210020595A (ko) 한방 화장품 조성물
KR20070005297A (ko) 피지 감소 및 여드름 완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