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013B1 -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013B1
KR102675013B1 KR1020220036605A KR20220036605A KR102675013B1 KR 102675013 B1 KR102675013 B1 KR 102675013B1 KR 1020220036605 A KR1020220036605 A KR 1020220036605A KR 20220036605 A KR20220036605 A KR 20220036605A KR 102675013 B1 KR102675013 B1 KR 10267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emp seed
composition
ac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136A (ko
Inventor
안보라미
Original Assignee
안보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보라미 filed Critical 안보라미
Publication of KR2022013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피부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끈적임이 거의 없으면서도 수분 공급 효과를 발휘하여 보습효과가 있고, 피부진정 효과, 피부장벽강화, 피지분비조절, 피부자극완화, 염증완화, 항여드름, 항아토피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진정, 피부자극완화, 항여드름 효과가 매우 우수한 화장료나 피부국소 적용을 통하여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skin comprising hemp seed extract and hemp seed oil}
본 발명은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항염증 특성을 가지며 여드름피부개선과 피부진정, 피부장벽강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등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헴프씨드 오일은 헴프씨드를 저온에서 압착기를 통해 착유한 오일로서 필수 지방산, 비타민 A, D, E, 미네랄, 오메가 3, 6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선에서 추출한 오일을 제외하고 식물의 씨앗으로부터 오메가 3, 오메가 6을 함유하는 유일한 식물성 오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식물성 오일 보다 많은 필수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오메가6, 오메가3의 비율이 3:1을 가지며, 천연 항산화제 비타민 E와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막는 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헴프씨드 오일은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nic Acid; ALA)과 감마리놀레산이 풍부하여 사람의 피부 보습 및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 칼륨, 마그네슘, 황, 칼슘과 철, 아연 등의 미네랄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헴프씨드 오일을 복용하면 인체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관염증을 치료하며, 피를 맑게 하여 고혈압과 심장질환 및 발작을 감소시키는 기능으로도 작용한다.
종래기술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1997166호에서는 햄프씨드 추출물을 포하는 항여드름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의 경우 화장료로 적용하는데 바람직하지 않은 물성이 있고 또 충분한 항염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헴프씨드 추출물이나 오일은 우수한 효과로 인해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화장품이나 피부질환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99716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헴프씨드 추출물이나 헴프씨드 오일 등을 이용한 새로운 용도의 바이오 소재를 개발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개선, 피부자극완화, 피부염증개선,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 또는 헴프씨드 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8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80중량%, 50~80중량%, 70~8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피부개선, 피부자극완화, 피부염증 개선,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헴프씨드 추출물은 예컨대, 추출 대상의 헴프씨드를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물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크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추출 전에 추출 대상을 침지(침포)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추출 대상을 습윤시키고 연화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헴프씨드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인 경우, 추출 온도는 50 내지 100°C에서 추출할 수 있고, 추출 시간은 1 내지 24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은 0.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7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8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헴프씨드 오일은 헴프씨드를 그대로 압착 또는 냉압착하여 얻은 오일 또는 압착된 오일을 발효시킨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헴프씨드 오일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염증 예방, 개선 효과 또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배합이 잘 되지 않거나 끈적일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슈도지마(Pseudozyma) 속, 칸디다(Candida) 속,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등과 같은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구체적으로, 슈도지마 에피콜라(Pseudozyma Epicola), 토룰롭시스 봄비콜라(Torulopsis bombicola), 토룰롭시스 아피콜라(Torulopsis apicola), 토룰롭시스 페트로필룸(Torulopsis petrophilum),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칸디다 아피콜라(Candida apicola), 칸디다 페트로풀룸(Candida petrophulum) 또는 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Thiobacillus thiooxidan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효는 18℃내지 25℃에서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미만이면 발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발효되거나 균이 사멸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이 단독 사용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의 혼합물은 예컨대,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판다이올 중 어느 하나의 용매에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 피부 국소 적용 약학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4-터피네올, 병풀추출물, 아시아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시드, 아시아틱애시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사용량은 각각 0.01~3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사용하는 경우 항여드름, 피부진정,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등에 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가로 사용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특히, 피지케어와 모공케어 효과, 피부장벽케어, 민감성 피부 진정 효과, 피부의 청정감과 투명감 개선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병풀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병풀추출물은 아시아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시드, 아시아틱애시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탄력, 피부진정, 피부유연, 영양공급, 피부장벽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시카케어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 티트리오일, 흰버드나무껍질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울금뿌리추출물, 티트리잎추출물, 아이비고드열매추출물, 홀리바질잎추출물, 가지열매추출물, 로즈마리잎오일, 참산호말추출물, 귤껍질추출물, 당느릅나무뿌리추출물, 칡뿌리추출물, 대왕송잎추출물, 효모발효물, 연꽃잎추출물, 인도멀구슬나무잎추출물, 인도멀구슬나무꽃추출물, 토코페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청량감이 우수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없으므로 부드럽고 산뜻하면서 부드러운 마무리 효과를 발현하기 때문에 피부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공급 효과를 발휘하고, 피부진정 효과, 피부자극 완화, 염증완화, 항여드름, 항아토피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진정, 피부자극완화,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항여드름 효과 등이 매우 우수한 화장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염증은 주로 피부에서 발생되는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태선, 염증성 피부질환 등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피부 질환은 두피를 포함하는 신체의 모든 피부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질환의 구체적인 예로는 건선, 태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습진, 백반, 두드러기, 한포진, 여드름, 탈모, 모발손상, 두피염증, 비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헴프시드 발효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에멀젼, 다중 에멀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럼, 크림, 로션, 화장수 등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 외에 가용화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은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C12-14파레스-1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질환이나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등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피부 연고제 등과 같은 국소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제, 로션제, 연고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상기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헴프씨드 추출물과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항염증 조성물로서, 피부에서 발생하는 여드름, 피지 등 염증 발생원인의 억제와 피부장벽강화, 염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한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을 이용하여 끈적임이 거의 없으면서도 보습 효과, 염증의 예방, 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공급 효과를 발휘하여 보습효과가 있고, 여드름피부개선, 피부장벽개선, 피부진정 효과, 피부자극 완화, 피부염증완화, 항아토피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피부개선과 피부진정, 피부자극완화,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화장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헴프씨드 추출물 제조
헴프씨드를 준비하여 건강하고 깨끗한 원료들을 선별한 다음, 물에 침지시킨 다음 60℃에서 열수 추출하여 헴프씨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에 2 : 헴프씨드 오일 발효물 제조
냉압착된 헴프씨드 오일을 준비하고, 슈도지마 에피콜라(Pseudozyma Epicola) 균주를 접종시켜 발효를 진행하여 헴프씨드 오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상기 제조예 1, 2에서 제조된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헴프씨드 추출물 97 80 50 78 60
헴프씨드 오일 발효물 0.0001 5 0.1 - 5
헴프씨드 오일(비발효) - - - 0.2 -
실시예 6 내지 11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에 4-터피네올, 아시아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시드, 아시아틱애시드 중 하나를 각각 단일성분으로 0.2 중량% 추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에 4-터피네올, 병풀추출물, 아시아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시드 및 아시아틱애시드를 각각 0.1 중량%씩 모두 추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헴프씨드 추출물을 단일성분으로 8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헴프씨드 추출물 대신 헴프씨드 발효물을 단일성분으로 8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염증 개선(NO 생성 억제) 효과 평가
RAW264.7 대식세포는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2.5 × 105cells/mL로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NO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 1μg/mL가 포함된 배지로 교환한 후,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한방복합추출물을 첨가하여 24시간 재배양하였다. 이후 생성된 NO의 양은 세포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 시약 (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 인산 내 1% 설파닐아민, 1:1) 100 μL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Xmark microplate absorba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질산나트륨 (NaNO2)의 농도별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과도하게 형성된 NO는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료 NO 저해 농도(%)
대조군 100
무처리군 42.5
실시예 1 57.3
2 53.2
3 57.4
4 49.7
5 56.5
6 47.4
7 49.1
8 49.2
9 49.4
10 49.3
11 49.2
12 43.1
비교예 1 74.1
2 69.2
상기 실험결과, LPS 처리군(대조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해 높은 NO 발현량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는 높은 NO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는 실시예에 비해 NO 생성 저해율이 낮은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실시예의 경우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의 혼합에 의하여 이들 단독 사용인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상승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 항여드름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항여드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균주는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로 실험하였으며, 고체 배양 희석법(Agar Serial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하였다.
배양배지는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Merck,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균을 배양배지에 접종한 후 혐기조건, 37℃ incubator에서 3일 동안 혐기성 배양하였다. 먼저 72시간 배양한 균주를 조절하여 1.5 x 108cfu/ml로 희석하고 각 well에 접종한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하여 처리하였다. 균 희석액 및 시료를 접종한 well plate를 혐기조건에서 3일간 배양 후 균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최소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로 정하였다. 이때, 최소저해농도는 값이 작을수록 항균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때, 최소저해농도는 값이 작을수록 항균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시료를 포함하는 추출물들의 여드름 균주 저해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Paper disc method에 의하여 RC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량 취해서 RC 액체 배지 10 mL에서 3일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RC 평판배지 1개당 균액을 약 107cfu/mL이 되게 접종하여 멸균된 도발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그 후 멸균된 paper disc(6mm, Satorius, Germany)를 고체 평판 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용매에 녹인 시료를 5mg/disc가 되도록 흡수시켜 혐기조건으로 37℃ 3일 배양하였다. 비교군으로 항균활성이 강력하다고 알려진 합성 방부제인 Triclosan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직경이 클수록 항균력이 우수한 것이다.
대조군으로는 시중에 시판되는 관련 제품(L사 제품)을 동일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시료 최소저해농도(MIC, %) 투명존 직경(mm)
대조군 5 3.5
실시예 1 2.9 11.0
2 2.1 -
3 2.6 -
4 1.5 12.5
5 2.2 -
6 1.4 13.0
7 1.4 -
8 1.4 -
9 1.4 -
10 1.4 -
11 1.3 -
12 0.9 15.5
비교예 1 4.1 5.5
2 3.9 7.5
상기 실험결과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항여드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 실험에서도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2 : 항여드름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 확인실험
상기 실시예 4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진정 효과와 항여드름 효과 확인을 위하여 전문 시험기관에 의뢰하여 피험자에 대하여 다음 방법으로 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는 건강한 25 내지 50세 여성(평균나이 38.68±7.44) 중에서 여드름성 피부를 가진자 (얼굴에 염증성 구진, 농포, 블랙 헤드, 화이트 헤드)를 TEWL≥12g/m2h (cheek) 및 지난 3개월간 유사 시험에 참가하지 않은 자로 25명을 선별하여 실험에 참여시켰다.
이러한 피험자에 대하여 시험기간 동안 시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른 치료제를 사용 하지 않고, 다른 세럼을 사용하거나 스킨케어 제품을 바꾸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물비누, 비누, 샴푸 등의 제품들을 변경하지 않도록 하였다.
<실험장비>
(1) Tewameter® TM 300(Courage & Khazaka,Germany)
(2) Electronics balance, 0.01g (Yingheng, Shanghai)
<온도 습도>
21.0±1.0℃, 습도: 50±10%
<실험방법>
(1) 1 차 방문: 화장기 없는 얼굴로 시험에 참여한 피시험자들은 테스트 요청사항에 대해 검토하고 서명한다.
(2) 시험 자격을 갖춘 25 피시험자가 참여한다.
(3) W0, 1차 방문시: 피시험자들은 세안 후 30분 동안 항온항습실에서 대기한다. 30분 이후 여드름 평가및 기기 평가가 수행된다.
(4) 시험을 마친 피시험자들은 시험제품과 사용방법과 사용일지를 전달 받는다.피시험자들은 시험제품을 갖고 집으로 귀가한다.
(5) 피시험자는 4 주차 (W4) 시험기관을 방문하고 상기 W0 진행을 반복한다.
<실험일정>
<시험관찰>
(1) 여드름 평가: 화이트 헤드 여드름, 블랙 헤드 여드름, 염증성 구진 및 농포의 수를 평가한다.
결론: 4주 제품 사용후 4가지의 여드름 종류가 현저히 줄어 들으면 이 제품은 여드름 개선의 유효성이 있으며 논코메도제닉 제품임이 증명된다.
(2) Tewameter: TEWL 값은 Tewameter 로 사용 전 (W0) 그리고 사용후 (W4) 측정된다.
결론: 제품 사용 후 TEWL 측정값이 사용 전보다 현저히 감소하였을 경우 제품은 피부스킨 장벽강화에 유효성이 있음이 증명된다.
<자극반응>
제품 사용시 피부의 붉은기, 가려움증, 화끈거림, 등등 현상이 기록 되는 경우를 확인하고, 피부 부작용은 피부 임상 테스트의 피부 반응 분류 기준로 구분된다.
0= 무반응, 1= 최소홍반, 2= 보통, 3= 강한 홍반, 4= 불같은 홍반
상기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은 항여드름에 대한 실험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로서, 피부 장벽 효과에 대한 측정 결과는 다음 표와 같이 도출되었다.
상기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4의 적용 시료는 화이트헤드(좁쌀여드름), 블랙헤드, 화농성 여드름, 농포(여드름) 의 숫자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조성물은 논코메도제닉 시험에 현저하게 유효성이 있음이 증명된다.
또한, 해당 시료에 대하여 피험자의 4주 사용 후, TEWL 벨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므로 (P=0.003), 이 조성물은 피부장벽 강화의 효과에 대하여 현저한 유효성을 갖고 있으며 20.24%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 피지억제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에 대한 피지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유분 측정기 (Sebummeter SM810)를 이용하여 피시험자 10명의 4주 후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22±2 ℃, 40±5 % humidity에서 수행하였다. 지성 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 μg/cm2 이상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220 μg/cm2이다.
대조군으로는 시중에 사용되는 세럼 화장품(T사 제품)을 동일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 표에 정리하였다.
구분 적용 농도 피지 유분량(μg/cm2)
0 1주 2주 4주
대조군 - 240 238 237 235
실시예 4 15% 241 229 201 183
실시예 4 30% 243 225 192 169
비교예 2 30% 242 236 229 217
실험예 5 : 피부진정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의 피부 온도 감소율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험자 25명의 전완부에 정사각형(2cm X 2cm)을 구획하고 제품을 각각 50 μL 양으로 도포한 뒤, 시험 전 20분간 직사광선에 노출시켰다. 측정은 컴퓨터 적외선체열감지기(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DITI)를 이용하여 시료 도포 전(0분), 시료 도포 후 각각 5분, 10분, 20분 간격으로 체열을 측정하고, 온도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중에 사용되는 세럼 화장품(T사 제품)을 동일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적용 농도 열 감소율(%)
0분 5분 10분 20분
대조군 - 8.7 4.7 3.5 2.9
실시예 4 15% 8.6 5.4 3.9 3.1
실시예 4 30% 8.9 5.6 4.1 3.3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험결과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시드 오일의 복합 조성으로 인해, 항염효과와 항여드름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고, 피부자극완화, 피부진정, 피지생성억제,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등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헴프씨드 추출물과 헴프씨드 오일의 복합 사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인해 더욱 우수한 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혼합 조성물에 특정 성분을 추가 혼합하면 더욱 우수한 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헴프씨드의 열수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 발효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0~97중량%로 함유하되 상기 헴프씨드 오일 발효물은 슈도지마 에피콜라(Pseudozyma Epicola) 균주로 발효한 발효물을 0.01 내지 5중량%로 포함하며, 여기에 추가성분으로 4-터피네올, 아시아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시드 및 아시아틱애시드를 0.05~3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자극완화, 피지분비조절, 피부장벽강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36605A 2021-03-24 2022-03-24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75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819 2021-03-24
KR20210037819 2021-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136A KR20220133136A (ko) 2022-10-04
KR102675013B1 true KR102675013B1 (ko) 2024-06-13

Family

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93B1 (ko) 2012-09-21 2013-06-10 주식회사 래디안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4849B1 (ko) * 2017-07-27 2018-04-04 주식회사 제니버 헴프씨드 오일과 케나프씨드 오일을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7166B1 (ko) * 2018-09-04 2019-07-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여드름 흉터개선,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재생, 피지억제용 조성물
CN110496075A (zh) 2019-06-20 2019-11-26 昆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舒缓修复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制剂与应用
CN111329806A (zh) 2020-03-24 2020-06-26 深圳市植乐家芳香科技有限公司 舒敏修复抗炎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13103B1 (ko) 2020-08-12 2021-02-05 주식회사 현진씨엔티 피부 트러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93B1 (ko) 2012-09-21 2013-06-10 주식회사 래디안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4849B1 (ko) * 2017-07-27 2018-04-04 주식회사 제니버 헴프씨드 오일과 케나프씨드 오일을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7166B1 (ko) * 2018-09-04 2019-07-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여드름 흉터개선,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재생, 피지억제용 조성물
CN110496075A (zh) 2019-06-20 2019-11-26 昆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舒缓修复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制剂与应用
CN111329806A (zh) 2020-03-24 2020-06-26 深圳市植乐家芳香科技有限公司 舒敏修复抗炎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13103B1 (ko) 2020-08-12 2021-02-05 주식회사 현진씨엔티 피부 트러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MOLECULES 2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2830B1 (ko) 피부 pH 조절 및 유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2568B1 (ko) 미생물에 의한 생약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CN109260054B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1076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1973501A (zh) 一种神经酰胺赋活乳及其制备方法
KR102675013B1 (ko)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870420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100523842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220133136A (ko)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61313B1 (ko) 보릿겨 및 허브 발효추출물 및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