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793B1 -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793B1
KR101272793B1 KR1020120105344A KR20120105344A KR101272793B1 KR 101272793 B1 KR101272793 B1 KR 101272793B1 KR 1020120105344 A KR1020120105344 A KR 1020120105344A KR 20120105344 A KR20120105344 A KR 20120105344A KR 101272793 B1 KR101272793 B1 KR 10127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osmetic composition
oil
ethanol extract
leaf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욱
명유찬
장미희
이인자
석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12010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들 두 성분을 동시에 혼합하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함이 확인된바, 우수한 항산화 또는 항노화 소재로 화장품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bamboo leaf ethanol extract and bamboo oil}
본 발명은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등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스트레스 원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쳐 노화를 촉진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현상은 세포 중의 지질 등이 산화되면서 시작되는데, 이러한 작용에는 일중항산소, 슈퍼록사이드 음이온, 하이드록실 라디칼, 과산화수소 등을 비롯한 각종 활성산소종(R.O.S) 및 자유 라디칼이 관여한다. 활성산소종이나 과산화지질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 또는 증상으로는 염증성 질환을 비롯하여, 기미, 주근깨, 주름살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이 있다.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종은 스트레스, 환경오염 그리고 자외선의 영향을 받아 생성되는데, 피부 세포는 나이가 들면서 과산화물의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피부의 항산화 방어 수준은 저하된다.
따라서, 노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항산화 방어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줄 필요가 있고, 현재 여러 가지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각종 천연물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들은 이들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원료 물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대나무도, 항산화제 또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하기와 같이 특허로 공개된 것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17176호(공개일자: 2011. 02. 21)에는, "한방 대나무 목초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아토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발명의 한방 대나무 목초액은 대나무와 계피, 생강 등 한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항산화, 항균 및 항아토피 효과가 우수하고, 활성의 손실 없이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여 악취를 현저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나무로부터 유래한 항산화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는데, 종래에 존재하는 대나무 유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한층 증진된 항산화 또는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해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대나무 잎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추출한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나무 오일과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는데,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두 물질이 혼합되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시너지 효과(예측값을 뛰어 넘는 실측값이 확인됨)가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대나무 잎에 추출용매로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50~99%(v/v)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대나무 오일은 대나무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를 냉각시켜 채취한 액체를 의미하는데, 대나무 죽초액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상기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은, 일 예로, 화장료 조성물이 유발하는 피부자극의 완화를 위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물질들이 첨가되고 있는데, 이들 물질은 경우에 따라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염증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염증 발생의 자극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화장품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O.S)도 그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과 같은 활성산소종을 제거할 수 있는 성분들이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될 경우, 다른 성분들로부터 발생한 활성산소종을 제거 또는 억제하여 이로 말미암은 부작용(주름, 노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노화 방지용 또는 주름 개선용일 수 있다. 항산화능은 주름 개선 또는 노화 방지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데, 하기 본 발명의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의 우수한 항산화능이 확인된 바, 이를 주름 개선용 또는 노화 방지용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피부의 산화에 악영향을 주는 활성산소종의 발생원으로는 자외선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또는 대나무 오일은 용매인 부틸렌글리콜에 용해 또는 현탁된 상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일 예로,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01~0.003 중량% 만큼 첨가되고, 상기 대나무 오일은, 일 예로,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7~1.0 중량% 만큼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정의 종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 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투웨이케익, 페이스파우더 등으로 이루어진 색조 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다.
본 발명은 "대나무 잎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추출한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동시에 사용하는데,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이들 두 성분을 혼합하면, 항산화 효능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나무 잎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추출한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은 우수한 항산화 또는 항노화 소재로 화장품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시료인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또는/및 대나무 오일의 MTT assay 결과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 시료인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또는/및 대나무 오일의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로서, 도 2a는 실험 결과이고, 2b는 실측된 실험 결과를 예측치와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제조예 1: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대나무잎을 분쇄한 후 분말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대나무잎 분말에 70% 에탄올을 중량 대비 10~20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을 수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 제조예 2: 대나무 오일의 제조]
대나무 오일(대나무죽초액, 제조사: 죽림식품, 상품명: 죽의신비)에 유동 파라핀을 중량 대비 10~20배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MTT assay ]
- 원리 : 시료 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에 미치는 독성을 MTT를 이용하여 측정
- 실험 세포주 : HaCaT(Human keratinocyte)
- 시험 농도 : 대나무 오일 (0.1, 0.3, 0.5, 0.7, 1%(w/v)), 대나무 잎 추출물(0.001, 0.003, 0.005, 0.007, 0.01%(w/v))
- 시험 방법
1) 세포를 배양 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각각의 알맞은 배지를 넣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 ㎖씩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3)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를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각 웰 당 100 ㎖씩, 3 웰에 처리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4) 24시간 후, PBS에 5 mg/㎖의 농도로 녹인 MTT 시약을 20 ㎖씩 넣어주고, 4시간 배양하였다.
5) MTT 시약과 시료가 포함된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각 웰에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100 ㎖씩 넣고 15~20 분간 교반하여 준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 시험 결과(도 1)
1) 대나무 오일과 잎 추추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증가하였다.
2) 오일과 잎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는 오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독성이 증가하였다.
3) 다만, 실험한 샘플의 모든 농도에서, 모두 90% 이상의 세포 생존률이 확인된바, 안전한 소재로 평가할 수 있었다.
[ 실시예 1: 항산화 효능 평가-세포 내 ROS 생성 저해능 평가]
- 원리 : ROS의 생성은 DCF(dichlorofluorescein)를 이용한 형광물질 발생의 강도를 가지고 측정
- 실험 세포주 : HaCaT(Human keratinocyte)
- 시험 농도: 대나무 오일 (0.1, 0.3, 0.5, 0.7, 1%), 대나무 잎 추출물(0.001, 0.003, 0.005, 0.007, 0.01%)
- 시험 방법
1)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 ㎕씩 접종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적당한 농도(10~200 ㎍/ml)로 희석된 시료를 각 웰 당 100 ㎕씩 처리하여 준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3)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 200 ㎕를 넣은 후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2~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4) DMSO에 녹아 있는 DCFH-DA를 20 μM(in PBS)로 희석하여 웰에 100㎕ 넣은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5) DCFH-DA를 제거한 후 PBS 200~300 ㎕를 넣어 세척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6) 100 μM H2O2(in PBS)를 희석하여 각 웰에 100 ㎕를 넣은 후,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485 nm/535 nm).
- 시험 결과(도 2a 및 2b)
1) 대나무 오일은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내 ROS 생성 저해율이 증가하였다.
2)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0.005%까지 세포 내 ROS 생성 저해율이 증가하였으나, 그 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대나무 오일과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는 오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내 ROS 생성 저해율이 증가하였다.
4) 대나무 오일과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기대값 대비 실제값에서 상승된 ROS 생성 저해율을 나타낸 농도는 오일과 에탄올 잎 추출물이 각각 "0.7%+0.003%" 샘플, "1%+0.001%" 샘플이었는데, 이는 세포 내 ROS 생성 저해율이 기대값에 비하여 각각 58%, 72% 증가한 것이다.
상기의 기대값은 "에탄올 추출물 실험값+오일 실험값"인데, 기대값에 비해 실제값이 높게 나타나 본 발명의 오일 및 에탄올 잎 추출물의 복합 사용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Claims (6)

  1. 대나무 잎에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추출한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동시에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01~0.003 중량% 만큼 첨가되고,
    상기 대나무 오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7~1.0 중량% 만큼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이 유발하는 피부자극의 완화를 위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노화방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또는 대나무 오일은,
    용매인 부틸렌글리콜에 용해 또는 현탁되어 있는 상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KR1020120105344A 2012-09-21 2012-09-21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344A KR101272793B1 (ko) 2012-09-21 2012-09-21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344A KR101272793B1 (ko) 2012-09-21 2012-09-21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793B1 true KR101272793B1 (ko) 2013-06-10

Family

ID=4886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344A KR101272793B1 (ko) 2012-09-21 2012-09-21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013B1 (ko) 2021-03-24 2024-06-13 안보라미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40A (ko) * 2001-09-07 2003-03-1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9021B1 (ko) 2002-04-26 2005-03-30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죽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60026685A (ko) * 2004-09-21 2006-03-24 김성호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627A (ko) * 2011-06-01 2011-06-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40A (ko) * 2001-09-07 2003-03-1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9021B1 (ko) 2002-04-26 2005-03-30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죽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60026685A (ko) * 2004-09-21 2006-03-24 김성호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627A (ko) * 2011-06-01 2011-06-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013B1 (ko) 2021-03-24 2024-06-13 안보라미 헴프씨드 추출물 및 헴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피부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052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842700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2400B1 (ko)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9491B1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5160B1 (ko) 림노시트러스 리토랠리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조성물
KR101272793B1 (ko) 대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대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7907A (ko) 삼붕냐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036B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076722B1 (ko) 매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98392B1 (ko) 가막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7805B1 (ko) 새우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590911B1 (ko) Lac 색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0747B1 (ko)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KR20120129601A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20190031083A (ko) 항노화 조성물
KR102285446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3025B1 (ko) 한방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1A (ko) 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