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288B1 -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 Google Patents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288B1
KR100762288B1 KR1020060063489A KR20060063489A KR100762288B1 KR 100762288 B1 KR100762288 B1 KR 100762288B1 KR 1020060063489 A KR1020060063489 A KR 1020060063489A KR 20060063489 A KR20060063489 A KR 20060063489A KR 100762288 B1 KR100762288 B1 KR 100762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th
deep sea
sea water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근
임수연
장해진
추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비스
Priority to KR102006006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3Electrophoresis; Electrodes; Electrolytic phenome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 돌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입욕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입욕제로 사용시에 야생 돌복숭아 꽃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 및 해양 심층수에 포함된 풍부한 미네랄 성분들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피부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소염 작용을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건성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 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해양 심층수, 돌복숭아 꽃, 입욕제

Description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Bath liquid with high moisturizing and high amounts of minerals comprising deep sea water}
본 발명은 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입욕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생 돌복숭아 꽃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 및 해양 심층수에 포함된 풍부한 미네랄 성분들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피부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소염 작용을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건성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 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입욕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양 심층수는 햇빛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하에서 채수한 해수를 의미하는데, 청정할 뿐 아니라 부영양성이 풍부하고, 저온에서 매우 오랫동안 숙성된 물이다.
심층수는 그린란드, 남극, 블라디보스톡의 해수가 빙하를 만나 급격하게 차가워지고, 해수가 얼면서 빠져나오는 염분과 섞이면서 차갑고 무거워진 해수가 더 깊은 심해로 가라앉게 된다. 이렇게 무거운 물줄기는 수심 200m에서 최고 4000m 까지 깊은 바다 속으로 내려가 두꺼운 띠를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해양 심층수이다. 심해를 흐르는 심층수는 표층수와 20℃ 이상의 온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물 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다.
심층수에는 햇빛이 닿지 않으므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무기 영양염을 많이 포함하며 오랜 세월을 거쳐 숙성된 해수로서 필수 미량 원소와 다양한 미네랄이 균형 있게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심층수가 청정하다는 것은 인공 물질로 오염되지 않았다는 것뿐만 아니라 분해해야 할 유기물이 적기 때문에 세균 번식이 아주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숙성성의 의미는 표층수보다 "매우 세밀"하고, "부드럽다"는 의미로서, 저온과 높은 압력 때문에 밀도가 높아져 있고, 미세한 입자상의 미네랄이 오랜 시간에 걸쳐 해수에 녹아있음을 나타낸다.
미네랄이 풍부하다는 것은 해양 표층수에 들어 있는 미네랄 중 특정한 성분들은 생물이 소비하여 줄어들었지만 심층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해양 심층수를 음료나 식품, 화장품, 기능성 음료 등에 이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의 일부는 바로 이 미네랄 특성과 관계가 있다.
한편, 복숭아 나무는 장미과에 속한 떨기나무이다. 의학서인 "향약집성방" 및 "동의보감"에서는 "복숭아꽃은 약한 귀신을 내쫓고 살결을 부드럽게 한다."라고 복숭아꽃의 약성을 기재하고 있다. 특히, 야생 돌복숭아 꽃잎을 5월 말에서 6월 초에 수확해서 잘 보관하였다가 세수할 때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가 부드럽고 깨끗해지기 때문에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 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해 주는 미네랄과 필수 아미노산 성분들이 결핍되고 피부도 건조해지면서 피부 표면이 거칠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피부를 보호하고 개선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기본적인 임상 양상으로는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표피의 수분 함량이 떨어지고, 피부 세포의 재생 주기 (turnover)가 빨라지며, 피부의 각질층의 중요한 보습 성분은 자연 보습인자 (Natural Moisturing Factor, NMF) 성분이 감소되고, 각질층 내 지질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심한 아토피 피부염은 그 치료와 관리가 매우 어렵다. 특히 스테로이드나 전신 면역 억제제도 잘 듣지 않고, 환자나 보호자가 이러한 피부약의 사용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증상을 호전시키기가 더욱 힘들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에서 각질층의 과다한 수분 소실과, 피부 표면의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의 항원 (super-antigen)이 아토피 피부염의 중요한 악화 인자로 인식되면서 목욕 요법이 1차적인 치료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입욕제 (入浴劑)란 질병 치료, 증상 완화, 피부 보호와 세정 및 피로 회복 등 미용과 건강의 목적으로 욕탕에 넣어 사용하는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제형, 성분 및 효과에 따라 배스 크리스털, 배스 솔트, 식물성 제제, 페이스트 또는 젤리상 제제, 배스 오일, 배스 캡슐, 버블 배스 또는 밀크 배스 등이 있다.
목욕 요법시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염증 치료를 목적으로 적절한 입욕제를 물에 타서 사용하면 목욕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욕시 사용하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소염 작용을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건성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 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입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입욕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입욕제용 조성물은 복숭아꽃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숭아 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저급 알코올, 정제수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입욕제용 조성물은 해양 심층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로 농축된 복숭아 꽃 추출물을 0.1~2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숭아 꽃은 야생 돌복숭아 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양 심층수는 원수 (原水), 역삼투압 (reverse osmosis)법에 의한 농축수 또는 여과수, 전기 투석 (electrodialysis)법에 의한 농축수 또는 여과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욕제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액상 제제, 유상 제제, 페이스트 제제, 젤리상 제제, 캡슐형 제제, 과립상 제제 또 는 분말 제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입욕제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 외의 다른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절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또는 해초 엑기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 입욕제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부 정도 배합될 수 있다.
사람 피부의 각질층의 중요한 보습 성분은 자연 보습인자 (Natural Moistur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질 (細胞間脂質)이다. NMF는 아미노산과 그 대사 물질이 구성 성분의 약 50% 가량을 차지하고, 각종 미네랄이 19%를 차지하고 있다.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입욕제에는 미네랄이 알맞게 함유되어 있고, 그 미네랄이 각질층에 영향을 미쳐 NMF 성분으로서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주목받고 있는 것은 칼슘과 마그네슘의 작용으로 해양 심층수에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양적으로 풍부할 뿐만 아니라 그 비율이 체액에 가까운 1 : 3 (Ca : Mg)으로 함유되어 있다. 사해염에 함유된 미네랄 중 고농도의 마그네슘은 랑겔한스 세포 (Langerhan's cell)의 항원 제시능 (antigen presenting capacity)을 저해함으로써 염증성 피부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해양 심층수 채취 및 정제
대한민국 동해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 (reverse osmosis)로 농축수와 탈염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전기 투석 장치 (elcetrodialysis)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미네랄을 추출하였다.
상기 역삼투압 여과수 및 전기 투석수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원소 (ppm) 원수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전기 투석수 전기투석 농축수
Al 0.28 0.004 0.56 0.008 0.57
As ND ND ND 0.002 0.002
Ba ND ND ND ND ND
Ca 419.0 0.006 687.9 9.7 713.7
Cd ND ND ND ND ND
Co 0.52 ND 1.6 ND 2.0
Cr 1.9 0.006 0.026 1.9 3.9
Cu 0.053 0.004 2.4 0.007 1.7
Fe 0.005 0.001 1.6 ND 1.5
Mg 1285 0.04 2586 118 2258
Mn 0.043 ND 0.053 ND 0.061
Pb < 0.001 < 0.001 < 0.001 ND ND
Sr 6.61 ND ND 0.46 1.65
K 430 5.7 560 1.78 461
Zn 0.01 0.002 0.23 0.002 0.31
상기 두 개의 장치에서 생성된 물 즉, (i) 역삼투압 여과수와 전기투석 농축수를 중량비로 10~1000 : 0.1~100의 비로 혼합하거나, (ii)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와 전기 투석수를 10~1000 : 0.1~100 : 0.1~100의 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역삼투압 여과수 및 농축수, 전기 투석수 및 농축수를 단독으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1.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1)
본 발명에서는 4월 울진에서 채집한 야생 돌복숭아꽃을 이물질을 선별한 후 사용하였다.
상기 야생 돌복숭아꽃 20g을 취하여 100% 에탄올 100㎖에 넣은 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환류 장치 하에서 2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액이 15㎖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12.5%).
제조예 2.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추출 용매로 100% 에탄올 대신 70% 에탄올 (정제수 30%)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추출 용매로 100% 에탄올 대신 70% 에탄올 (해양 심층수 농축수 30%)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야생 돌복숭아꽃 10g을 취하여 해양심층수 (역삼투압 여과수:역삼투압 농축 :전기 투석수를 100 : 1 : 1의 비로 혼합) 100ml를 첨가한 후 환류 장치 하에서 2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pH를 3-10 사이로 조절한 후 여기에 해양심층수를 첨가하여 총 100ml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에서 6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5㎛ 막 여과를 하여 그 여액을 취하여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농축율은 제조예 1~3과 마찬가지로 12.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제조예 5.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야생 돌복숭아꽃 10g을 취하여 해양심층수 (역삼투압 여과수:역삼투압 농축 :전기 투석수를 100 : 1 : 1의 비로 혼합) 50ml에 메틸클로라이드(CH3Cl)를 50ml 혼합 후 pH를 3-10 사이로 조절한다. 극성과 무극성 부분을 분리하여 각각의 부분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농축율은 제조예 1~4와 마찬가지로 12.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도록 구성 성분들을 혼합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해양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 (reverse osmosis)로 농축수와 탈염수를 제조하였다. 전기 투석 장치 (electrodialysis)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미네랄을 추출하였다. 상기 두 개의 장치에서 생성된 물 즉, '역삼투압 여과수'와 '전기투석 농축수'를 다양한 혼합비율로 고미네랄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2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정제수 99 98
해양 심층수 원수 99 98
농축수 99 98 96 94
미네랄수 99 98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1 (제조예 2) 1 (제조예 1) 1 (제조예 2) 1 (제조예 3) 3 (제조예 4) 5 (제조예 5)
글리신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에탄올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스쿠알렌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청색 1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단위: 중량%
실험예 1. 입욕제의 임상 실험
입욕제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사용하도록 하고 병변부 및 비병변부의 포도상구균 집략수의 변화와 임상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10세에서 30세 사이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모든 피검자는 본 발명의 고미네랄 입욕제 50㎖를 일반적인 목욕 온도인 38~40℃의 물 100ℓ (욕조)에 희석하여 3주간 매일 10분간 입욕하도록 하였다.
처음 방문시, 1주 및 2주 후의 3회에 걸쳐 주관적 및 객관적 임상 평가(평가 기준: 표 3 참조)와 함께, 병변부와 비병변부에서 피부 소파법으로 포도상구균을 채취, 배양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객관적 점수 주관적 점수
1) 홍반 2) 경결. 구진화 3) 찰상 4) 태선화 5) 인설, 건조 6) 미란, 진물, 삼출 7) 소양감 증상 1)~6)의 정도 평가로서, 0 = 없음 1 = 경증(mild) 2 = 중등도(moderate) 3 = 중증(severe) 주관적인 증상인 7) 소양감에 대한 평가로서, 0 : 전혀 긁지 않음 1: 긁거나 수면장애는 없음 2: 소양감으로 수면장애가 가끔 있음 3: 소양감으로 인해 하루에 2번 이상의 수면장애가 있음
병변이 가장 심한 부위를 선택하여 위의 7개 항목에 대하여 0에서 3까지의 척도로 평가하여 그 점수를 합하였다.
주관적 평가 및 객관적 임상 평가에서 1주 및 2주에서 모두 호전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 4 참조).
초진 (각 건수당 평균점수) 1주후 2주후 호전도 %
홍반 2.44 2.24 1.75 28.28%
경결, 구진 1.65 1.43 1.01 38.79%
찰상 2.03 1.69 1.42 30.05%
소양감 2.26 1.51 1.18 47.79%
인설, 건조 2.18 2.10 1.86 14.68%
태선화 1.70 1.52 1.39 18.24%
미란, 진물, 삼출 1.51 1.35 1.13 25.17%
상기 표 4는 실시예 3의 입욕제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이고, 호전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48572433-pat00001
한편, 병변부에서 시행한 포도상구균 배양 결과는 고미네랄 입욕제 사용 후 집락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비병변부에서는 치료 1주 및 2주 후에는 전 대상자에서 배양이 되지 않았다.
또한, 실험기간 내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주관적 평가 및 객관적 임상 평가에서 1주 및 2주에서 모두 호전을 보였으며, 2주 경과후 증상이 더욱 호전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기간 내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2. 입욕제의 임상 실험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병력이 없고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정된 건강한 20대 여성 20명 (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피검자는 동일 시간에 20분간 입욕하도록 하였고, 피검자의 좌우 전박부 내측에 수분 측정할 부위를 표기한 다음, 각각의 부위에서 입욕 전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고미네랄수 입욕제 50㎖는 일반적인 목욕 온도인 38~40℃의 물 100ℓ (욕조)에 희석하였다. 20분 입욕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1시간 후에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인 수분 측정기 (Corneometer CM820, Germany)는 전기용량을 측정하는 기기로서, 표피층의 전기용량은 보습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전기용량을 측정하여 피부의 보습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Corneometer는 피부 보습상태를 AU (arbitrary unit)라는 단위로 표시하며 일반적으로 건강한 여성의 하박 평균값은 50~60 정도이다. 피부의 수분량은 체온과 주위 습도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정확한 피부 수분량을 평가하기 위해서 항온, 항습실 (24± 2℃, 40± 2%)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보습 증가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48572433-pat00002
실험결과 목욕시 본 발명의 해양심층수 입욕제 사용이 정제수 입욕제 사용보다 피부 수분량 증가에 효과적이였다. 또한 농축수 입욕제보다 미네랄수 입욕제의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야생 돌복숭아 꽃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보습 효과가 우수했다.
입욕전 입욕 직 후 입욕 후 1시간
비교예 1 0% 5% 7%
실시예 2 0% 7% 11%
실시예 3 0% 10% 16%
실시예 5 0% 15% 19%
실시예 7 0% 18% 20%
실시예 8 0% 22% 2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은 보습력을 향상시킬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목욕시 입욕제로 사용하였을 때 병변부에서 포도상구균의 집락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임상 양상의 호전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이 보습력과 항균력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해양 심층수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입욕제용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정제수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욕제용 조성물은 해양 심층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로 농축된 복숭아 꽃 추출액을 0.1~2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꽃은 야생 돌복숭아 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용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원수, 역삼투압법에 의한 농축수, 역삼투압법에 의한 여과수, 전기 투석법에 의한 농축수, 전기 투석법에 의한 여과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제제, 유상 제제, 페이스트 제제, 젤리상 제제, 캡슐형 제제, 과립상 제제 및 분말 제제 중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0063489A 2006-07-06 2006-07-06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KR10076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489A KR100762288B1 (ko) 2006-07-06 2006-07-06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489A KR100762288B1 (ko) 2006-07-06 2006-07-06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288B1 true KR100762288B1 (ko) 2007-10-04

Family

ID=3941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489A KR100762288B1 (ko) 2006-07-06 2006-07-06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2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30B1 (ko) * 2010-09-06 2013-01-04 주식회사 동양생명과학 아토피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해양성 광천수 조성물
KR101337454B1 (ko) 2013-04-03 2013-12-05 주식회사 동양생명과학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457093A1 (es) * 2012-10-22 2014-04-24 Eva María NAVARRO FERNÁNDEZ Gelatina de agua de mar elaborada con agar-agar para usos terapéuticos
KR20210064522A (ko) 2019-11-26 2021-06-03 최숙진 자운고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운고 입욕제
KR102635166B1 (ko) * 2023-09-15 2024-02-13 하지영 솔잎 추출물과 해양심층수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7049A (ko) * 2003-10-17 2005-04-21 이봉상 미네랄 워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7049A (ko) * 2003-10-17 2005-04-21 이봉상 미네랄 워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30B1 (ko) * 2010-09-06 2013-01-04 주식회사 동양생명과학 아토피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해양성 광천수 조성물
ES2457093A1 (es) * 2012-10-22 2014-04-24 Eva María NAVARRO FERNÁNDEZ Gelatina de agua de mar elaborada con agar-agar para usos terapéuticos
KR101337454B1 (ko) 2013-04-03 2013-12-05 주식회사 동양생명과학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4522A (ko) 2019-11-26 2021-06-03 최숙진 자운고 입욕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운고 입욕제
KR102635166B1 (ko) * 2023-09-15 2024-02-13 하지영 솔잎 추출물과 해양심층수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969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CN102342993B (zh) 一种皮肤抗敏修复外用制剂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7488B1 (ko) 피부장벽강화, 피부재생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6222513B2 (ja) ストレス誘導性光合成生物由来の生物活性画分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CN110755331B (zh) 一种抗菌婴儿洗护制剂及其应用
US6855325B1 (en) Use of hypo-osmotic saline solutions and medicine based on said solutions
CN106902029A (zh) 一种卸妆啫喱及其制备方法
KR100762288B1 (ko)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KR101337454B1 (ko)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53260A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CN115154403B (zh) 一种肌肤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94628B1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4B1 (ko) 케일 해수 추출물, 물냉이 해수 추출물 및 비트 뿌리 해수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U2016282382A1 (en) A highly concentrated seawater mineral extract and uses thereof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7949B1 (ko) 초정 광천수와 비타민나무 열매오일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KR101584065B1 (ko) 화산석 송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800401A (zh) 生肌愈合膏
KR20110024573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0078B1 (ko) 해양 심층수 영양 염류 및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고미네랄 인체 세정용 조성물
CN111388360A (zh) 一种泡澡精油及其制备方法
KR100754889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