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889B1 -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889B1
KR100754889B1 KR1020070001342A KR20070001342A KR100754889B1 KR 100754889 B1 KR100754889 B1 KR 100754889B1 KR 1020070001342 A KR1020070001342 A KR 1020070001342A KR 20070001342 A KR20070001342 A KR 20070001342A KR 100754889 B1 KR100754889 B1 KR 10075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peach blossom
wa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용식
유영근
임수연
장해진
김기문
Original Assignee
(주)블루오션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오션월드 filed Critical (주)블루오션월드
Priority to KR102007000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알코올 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되며,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이고,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부이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항균성 및 소염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독성이 없어,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해양 심층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아토피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도 1은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독성 평가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 크림의 피부장벽 회복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 젤의 피부장벽 회복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고의 피부장벽 회복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복숭아 나무(Prunus persica)는 장미과에 속한 떨기나무로서, 복사나무, 도화수, 선과수 또는 선목이라고 칭하며, 의학서인 "향약집성방" 및 "동의보감"에서는 "복숭아꽃은 악한 귀신을 내쫓고 살결을 부드럽게 한다."라고 복숭아꽃의 약성을 기재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복숭아꽃이 반쯤 피었을 때 말린 것을 백도화라고 하여 이뇨제로, 잎은 어린 아이 피부병에, 복숭아를 통째로 말린 것은 정신질환치료제로, 씨에서 뽑은 담황색 기름은 편도유라 하여 어혈을 삭히고 생리통이나 변비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또한, 5월 말에서 6월 초에 수확한 복숭아꽃의 잎은 세수할 때 일정량 사용할 경우,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깨끗해지기 때문에 민간 요법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해양 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바닷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중 수온 변화가 거의 없어 저온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마그네슘, 칼슘 등의 무기 영양염을 다량 함유한다. 또한, 해양 심층수는 인공 물질로 오염되지 않은 청정수로서, 병원균 및 이들의 영양분인 유기물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세균 번식이 적을 뿐만 아니라 고항균성, 탈취성 등의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해양 심층수에서 염화나트륨(NaCl)을 제거한 후, 이를 음료, 식품, 화장품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매우 흔한 피부과적 질환 중의 하나로서, 극심한 소양증과 면역학적 이상을 나타낸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0% 정도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환경 오염으로 인한 공기와 식품 매개성 알러지 원인 물질의 증가 및 건조성 피부를 야기시키는 조건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는 환자의 수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세로는 크게 소양증(가려움증), 만성적 피부 건조, 염증 반응, 박피의 형성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피부 박피, 박탈 등은 소양증으로 긁어 생기며, 2차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세는 수면 방해 및 흉한 외형상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또한 우울증, 열등감, 심리적 위축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경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완전한 치료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통상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방법으로는 국소 또는 전신적 부신피질 호르몬을 연고 형태로 피부에 바르거나, 히드록시진(hydorxyzine),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 터페나딘(terfenadin), 아스테미제올(astemizeole) 등의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방법, 세팔레신(cepalexin), 디클로사실린(dicloxaxillin) 등의 항생제를 복용하는 방법, UV-광을 피부에 조사하는 광학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 건조 피부 개선, 가려움증 완화, 염증 완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보습력, 항균성 및 소염 효과가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독성이 없어, 민감성 피부에 적용 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알코올 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되며,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이고,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건조된 복숭아꽃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방치한 후, 이를 가열 및 농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해양 심층수,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pH는 3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pH가 3 미만이거나, 10을 초과할 경우, 추출되는 양이 적거나 분해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숭아꽃은 개화시기인 4~5월에 채집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야생 돌복숭아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숭아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고, 1~2개씩 달리며, 꽃자루가 짧고, 꽃받침 잎은 털이 많고, 꽃잎은 5개로 수평으로 퍼지며, 수술은 많고 자방은 털이 많은 특징이 있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농도가 5% 미만인 경우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80%를 초과할 경우 유기 용매에 의한 독성이 발생 할 우려가 있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은 피부 독성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 발생이 없으며, 우수한 소염(항염) 활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소염 활성은 히알루로닉 산(hyaluronic acid)을 가수분해시키는 효소인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은 닭 볏(rooster Comb)에서 형성되는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glucosamine)의 양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함으로써, 그 활성을 판단할 수 있다("제주산 식물을 이용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 활성, 히알루로니다아제 억제 활성, 라디칼 소거 활성 검색", 생약학회지 32(3), Lee et al., 2001. page 175-180). 상기 히알루로닉 산은 염증 반응에 관여하여 상처의 치유 및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염증 형성에 관여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의 식세포 능력(phagocytic ability)을 저해하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양 심층수는 수심 200m 이상의 바다 속에서 취수한 것으로서, 복숭아꽃 추출을 위한 추출 용매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보습력 증가에 효과적인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미네랄 성분으로는 칼륨(K), 철(Fe), 나트륨(Na), 마그네슘(Mg), 칼슘(Ca), 아연(Zn), 망간(Mn)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중 칼륨은 세포의 수분 조절에 관여하며, 철은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며, 에너지를 생성시키고, 나트륨은 피부를 청정하게 하고, 피부의 PH를 조절하며, 마그네슘은 피부의 대사를 촉진시키고, 칼슘은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생성하고, 체액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해양 심층수로는 (a)원수(原水), (b)역삼투압법(reverse osmosis)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c)전기 투석법(electro dialysis)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또는 (d)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역삼투압법은 물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은 배제하고, 순수한 물만 통과시키는 막(반투막)을 이용하여, 해수 중에 용해된 이온성 물질을 여과하는 방법이며, 상기 전기 투석법은 음이온막과 양이온막을 교대로 배치한 후, 음이온막과 양이온막의 양단에 위치한 전극에 직류전압을 걸어, 양이온 및 음이온을 제거함으로서, 순수한 담수를 얻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부의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야생돌복숭아꽃 추출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의 경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기용매에 의한 독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크림, 젤, 로션, 스킨, 연고 등의 외용 제제, 비누 등의 세안 제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의약부외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보습 크림 또는 보습 젤로 사용될 경우 프로필렌글리콜, 파라핀, 글리세린, 토코페놀, 벤토나이트, 알코올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연고로 사용될 경우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도데실 디메틸아민올 등의 아미드 화합물 및 토코페롤 성분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비누 등의 생활용품으로 사용될 경우, 왁스, 에스테르 화합물, 알루미늄, 소르비톨, 인산철, 토코페롤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1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해양 심층수 채취 및 정제
가. 역삼투압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제조
대한민국 동해의 수심 500m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마이크로 필터(재질: Polytetrafluoroethylene(PTFE), 기공 크기: 약 0.5㎛, 주식회사 새한 제품)로 정밀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역삼투 시스템(Dow Chemical Company 제품, FILMTEC, SW30-4021)을 이용하여 역삼투압 농축수 및 역삼투압 여과수로 분리하였고, 이들의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나. 전기 투석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제조
대한민국 동해의 수심 500m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마이크로 필터(재질: Polytetrafluoroethylene(PTFE), 기공 크기: 약 0.5㎛, 주식회사 새한 제품)로 정밀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전기 투석장치(MICRO ACILYZER G4SK, 음이온막: NEOSEPTA AMX SB, 양이온막: ACIPLEX K-192 / ASAHI KASEI CORPORATION社, JAPAN, 운행조건: 전류밀도 2,5A/m2, STACK전압 38V 정전압 운전 /순환유량 13.1L/min)를 이용하여 전기투석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로 분리하였고, 이들의 미네랄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미네랄 원수(ppm) 역삼투압 여과수(ppm) 역삼투압 농축수(ppm) 전기투석 여과수(ppm) 전기투석 농축수(ppm)
Al 0.28 0.004 0.56 0.008 0.57
As ND ND ND 0.002 0.002
Ca 419.0 0.006 687.9 9.7 713.7
Co 0.52 ND 1.6 ND 2.0
Cr 1.9 0.006 0.026 1.9 3.9
Cu 0.053 0.004 2.4 0.007 1.7
Fe 0.005 0.001 1.6 ND 1.5
Mg 1285 0.04 2586 118 2258
Mn 0.043 ND 0.053 ND 0.061
Pb < 0.001 < 0.001 < 0.001 ND ND
Sr 6.61 ND ND 0.46 1.65
K 430 5.7 560 1.78 461
Zn 0.01 0.002 0.23 0.002 0.31
다. 해양 심층수 혼합액 제조
역삼투압 여과수 및 전기투석 농축수를 10~1000:0.1~100중량부 비율로 혼합시켜, 30 내지 1500 경도의 해양 심층수 혼합액을 제조하였고,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10~1000:0.1~100:0.1~100중량부 비율로 혼합시켜, 30 내지 1500 경도의 해양 심층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
2006년 4월에 경상북도 울진에서 채집한 야생 돌복숭아꽃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20g을 취하여 100% 에탄올 100㎖에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시켰다. 다음으로, 야생 돌복숭아꽃 에탄올 침지액을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감압 농축기로 농축시켜, 10% 농도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
100% 에탄올 100㎖ 대신에 역삼투압 여과수 30㎖ 및 100% 에탄올 70㎖이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 농도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
100% 에탄올 100㎖ 대신에 역삼투압 농축수 30㎖ 및 100% 에탄올 70㎖이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농도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
2006년 4월에 경상북도 울진에서 채집한 야생 돌복숭아꽃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10g을 취하여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100:1:1중량부 비율로 혼합시킨 해양 심층수 혼합액 100㎖에 침지시킨 후, 침지액의 pH를 3~10으로 조절한 다음, 상온에서 24시간 방치시켰다. 다음으로, 야생 돌복숭아꽃 에탄올 침지액을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시키고,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100:1:1중량부 비율로 혼합시킨 해양 심층수 혼합액을 첨가하여 총 10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조절액을 4℃에서 6일간 방치시킨 후, 생성된 침전물을 마이크로 필터(재질: Polytetrafluoroethylene(PTFE), 기공 크기: 약 0.5㎛, 주식회사 새한 제품)로 여과시키고, 그 여액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10%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100:1:1중량부 비율로 혼합시킨 해양 심층수 혼합액 100㎖ 대신에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100:1:1중량부 비율로 혼합시킨 해양 심층수 혼합액 50㎖ 및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50㎖이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조절액의 극성층과 무극성층을 분리한 다음, 분리된 극성층과 무극성층을 각각 감압 농축기로 농축시켜,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극성층 추출물 농도:10%, 무극성층 추출물 농도:10%).
[비교예 1-5 및 실시예 1-30]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예에서 제조된 해양 심층수 및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정제수 (증류수) 해양심층수 원수 역삼투압 농축수 역삼투압 농축수+ 전기투석여과수 혼합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제조예
2 3 4 5 6
비교예 1 100 - - - - - - - -
비교예 2 98 - - - - - 2 - -
비교예 3 - 100 - - - - - - -
비교예 4 - - 100 - - - - - -
비교예 5 - - - 100 - - - - -
실시예 1 - 98 - - - - 2 - -
실시예 2 - - 98 - - - - -
실시예 3 - - - 98 - - - -
실시예 4 - - 96 - - - 4 - -
실시예 5 - - 94 - - - 6 - -
실시예 6 - 98 - - - - - 2 -
실시예 7 - - 98 - - - - -
실시예 8 - - - 98 - - - -
실시예 9 - - 96 - - - - 4 -
실시예 10 - - 94 - - - - 6 -
실시예 11 - 98 - - 2 - - - -
실시예 12 - - 98 - - - - -
실시예 13 - - - 98 - - - -
실시예 14 - - 96 - 4 - - - -
실시예 15 - - 94 - 6 - - - -
실시예 16 - 98 - - - 2 - - -
실시예 17 - - 98 - - - - -
실시예 18 - - - 98 - - - -
실시예 19 - - 96 - - 4 - - -
실시예 20 - - 94 - - 6 - - -
실시예 21 - 98 - - - - - - 2
실시예 22 - - 98 - - - - -
실시예 23 - - - 98 - - - -
실시예 24 - - 96 - - - - - 4
실시예 25 - - 94 - - - - - 6
실시예 26 - 98 - - - - - - 2
실시예 27 - - 98 - - - - -
실시예 28 - - - 98 - - - -
실시예 29 - - 96 - - - - - 4
실시예 30 - - 94 - - - - - 6
* 실시예 21 내지 25: 야생 돌복숭아꽃 극성층 추출물, 실시예 26 내지 30 야생 돌복숭아꽃 무극성층 추출물
[실험예 1]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독성 평가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자체의 독성 평가 실험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1.0×105 cell/㎖의 농도의 HMC-1 세포 100㎕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넣고, 24시간 배양한 후, 제조예 2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시료를 1.0㎍/㎖, 10.0㎍/㎖, 100㎍/㎖ 농도로 100㎕ 첨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료에 MTT 시료(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社) 100㎍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배지를 제거한 다음, DMSO(dimethyl sulfoxide, SIGMA社) 150㎕를 가하여 MTT 환원에 의해 생성된 포르마잔 침전물을 용해시켰다. 그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540nm에서 각 웰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시료군과 대조군의 평균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 성장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1.0㎍/㎖, 10.0㎍/㎖, 100㎍/㎖ 농도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에서 모두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 평가
먼저, 효소의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0.1M 아세테이트 완충 용액(acetate buffer)(pH 3.5)에 용해된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7,900unit/ml) 50㎕를 야생돌복숭아꽃 추출물(10%) 20㎕ 및 12.5mM의 염화칼슘(CaCl2) 200㎕와 혼합시킨 후, 37℃의 수조(water bath)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으로는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대신 DMSO 용액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0.1M 아세테이트 완충용액(pH 3.5)에 용해된 히알루로닉 산(12㎎/5㎖) 250㎕를 Ca2+으로 활성화된 히알루로니다아제 용액에 첨가시킨 후, 37℃의 수조에서 4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0.4N의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 100㎕ 및 0.4M의 붕산칼륨 (potassium tetraborate) 100㎕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끓는 수조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냉각시켰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4g, 100% 아세트 산 350㎖ 및 10N HCl 50㎖를 혼합시킨 혼합액 3.28㎖를 첨가한 한 다음, 37℃ 수조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흡광도를 바탕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른다.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율(%) = {ODC-ODS)/ODC}×100
여기서, ODC는 585nm에서 측정된 대조군의OD(optical density)이고, ODS는 585nm에서 측정된 시료 용액의 OD값이다.
저해율 (%)
대조군 1.2
제조예 2 50.29
제조예 3 51.37
제조예 4 53.48
제조예 5 52.06
제조예 6 50.12
표 3으로부터, 대조군에 비해 모든 제조예 2 내지 6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이 높고, 따라서 항염(소염)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항균활성 평가
대장균(E.Coli),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us) 등의 시험 균주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야생돌복숭아꽃 추출물과 대조군(정제수)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우선, 고압 멸균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과 대조군을 멸균 처리한 후,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5%)에 3×104CFU/㎖ 농도의 세균을 접종하였다. 세균이 접종된 시료를 37℃, 습도 85% 이상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단계별로 희석하여 PCA(plate count agar) 평판 배지에 각각 0.1㎖씩 도포한 후, 다시 37℃, 습도 85% 이상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상기 배지 1㎖당 세균수와 항균률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대조군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초기 균수 3 ×104 3 ×104 3 ×104 3 ×104 3 ×104 3 ×104
배양 후 균수 5 ×108 0 0 0 0 0
항균률 (%) 2 ×104 증가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4로부터,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은 대장균(E. Coli),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u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7 및 8]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한 보습 크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다"와 같이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혼합하여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경도는 해양 심층수 혼합액 50㎖를 비이커에 취한 후, pH 10의 염화암모늄-암모니아 완충용액 1㎖ 및 EBT 지시약(Eriochrome Black T indicator) 1~2 방울을 가하고, 이어서, 0.01M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15.5㎖를 적가하여 분석하였다. EDTA의 적가 전 반응색은 적색이었지만, EDTA 용액이 적가 될수록 적색이 완전히 없어진 청색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및 첨가물들을 혼합하여 보습 크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2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20 10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50 60
프로필렌글리콜 10 10
글리세린 5 10
유동 파라핀 2 2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5 2
벤토나이트 5 5
토코페롤 3 1
[제조예 9 및 10]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한 보습 젤의 제조
하기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및 첨가물들을 혼합하여 보습 젤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2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10 20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35 25
에틸 알코올 40 40
글리세린 5 5
카르복실 유동 파라핀 2 2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2 2
벤토나이트 5 5
토코페롤 1 1
[제조예 11 내지 13]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한 연고의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및 첨가물들을 혼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2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10 15 20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75 75 65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5 3 5
도데실디메틸아민올아미드 5 2 5
토코페롤 5 5 5
[제조예 14 및 1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한 비누의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및 첨가물들을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예 2의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 15 20
경도 300의 해양 심층수 35 40
왁스 15 15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5 5
인산 알루미늄 1 1
인산 제2철 1 1
소르비톨 26 16
토코페롤 2 2
[실험예 3] 보습 크림의 피부장벽 회복 평가
상기 제조예 7에서 제조된 보습 크림의 피부장벽 회복능을 알아보기 위한 전임상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8~10주의 Balb/c 누드 마우스의 초기 수분 증발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증발계(evaporimeter)로 측정하였고, 누드 마우스의 등에 아세톤을 도포하여 피부 장벽을 손상시킨 후,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 후, 수분 증발량이 40g/m2/hr 이상인 마우스 20마리를 선택하여, 손상 부위에 제조예 7의 보습 크림을 피부 면적 5㎠ 당 200㎕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연속 도포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였고, 이때 대조군으로 제조예 7의 보습 크림 대신 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탄올이 7:3의 비율로 혼합된 액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수분 증발량 값을 바탕으로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마우스에 대한 피부장벽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3회 반복 수행한 후, 그 결과의 평균값을 하기 표 9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01196334-pat00001
피부장벽 회복율(%) 0 hr 3 hr 6 hr 30 hr
제조예 7의 보습 크림 0 57 88 99
대조군 0 21 30 65
상기 표 9로부터,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보습 크림을 사용할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손상된 피부장벽이 정상 피부로 빠르게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보습 크림은 도포 후, 3시간째에 모두 50% 이상의 피부장벽 회복율을 나타내었다(결과 미도시).
[실험예 4] 보습 젤의 피부장벽 회복 평가
제조예 7의 보습 크림 대신에 제조예 9의 보습 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습 젤의 피부장벽 회복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피부장벽 회복율(%) 0 hr 3 hr 6 hr 30 hr
제조예 9의 보습 젤 0 49 80 96
대조군 0 21 30 65
상기 표 10으로부터,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보습 젤을 사용할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손상된 피부장벽이 정상 피부로 빠르게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보습 젤은 도포 후, 3시간째에 모두 50% 이상의 피부장벽 회복율을 나타내었다(결과 미도시).
[실험예 5] 연고의 피부장벽 회복 평가
제조예 7의 보습 크림 대신에 제조예 11의 연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고의 피부장벽 회복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피부장벽 회복율(%) 0 hr 3 hr 6 hr 30 hr
제조예 11의 연고 0 64 91 99
대조군 0 21 30 65
상기 표 11로부터,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연고를 사용할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손상된 피부장벽이 정상 피부로 빠르게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연고는 도포 후, 3시간째에 모두 50% 이상의 피부장벽 회복율을 나타내었다(결과 미도시).
[실험예 6]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한 제품의 임상 실험
제조예 9의 보습 젤을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 적용한 후, 병변부 및 비병변부의 임상 양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임상 실험에 참가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수는 총 15명이었으며, 그 연령은 10 내지 30세였고, 이들은 실험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 항생제의 사용을 금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객관적 임상 평가는 병변이 가장 심한 부위를 대상으로 하기 표 12에 기재된 증상 및 상태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상기 평가는 1주 간격으로 총 3회 수행되었다. 또한, 상기 객관적 임상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 임상 평가를 수행하였다. 상기 객관적, 주관적 임상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객관적 점수 (증상 1~6) 주관적 점수 (증상 7)
1) 홍반 2) 경결. 구진화 3) 찰상 4) 태선화 5) 인설, 건조 6) 미란, 진물, 삼출 7) 소양감 0 = 없음 1 = 경증(mild) 2 = 중등도(moderate) 3 = 중증(severe) 0: 전혀 긁지 않음 1: 긁거나 수면장애는 없음 2: 소양감으로 수면장애가 가끔 있음 3: 소양감으로 인해 하루에 2번 이상의 수면장애가 있음
초진 (각 건수당 평균점수) 1주 후 2주 후 호전도(%)
홍반 2.44 2.24 1.75 28.28%
경결, 구진 1.65 1.43 1.01 38.79%
찰상 2.03 1.69 1.42 30.05%
태선화 1.70 1.52 1.39 18.24%
인설, 건조 2.18 2.10 1.86 14.68%
미란, 진물, 삼출 1.51 1.35 1.13 25.17%
소양감 2.26 1.51 1.18 47.79%
상기 표 12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점차 호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기간 내 실험 참가자로부터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상기 호전도(%)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된 것이다.
Figure 112007001196334-pat00002
[실험예 7]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한 제품의 임상 실험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병력이 없고,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정된 건강한 20대(남자 10명, 여자 10명)를 대상으로 제조예 7의 보습 크림, 제조예 9의 보습 젤, 제조예 11의 연고, 제조예 14 및 15의 비누의 보습력에 대한 임상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피검자의 좌우 전박부 내측에 수분 측정 부위를 표시한 다음, 각 부위의 피부 수분량을 수분 측정기(Corneometer CM820, Germany)로 측정하였고, 피검자의 실험 부위별로 동량의 보습 크림, 보습 젤, 연고 또는 비누를 각각 적용시킨 후, 제품이 적용된 부위의 피부의 수분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하였다. 피부의 수분량은 체온과 주위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정확한 피부 수분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온, 항습실 (24±2℃, 40±2%)에서 모든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피부의 보습 증가율을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분 측정기는 피부의 전기용량을 측정하는 기기로써, 보습 상태에 따라 표피층의 전기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 한 것이고, 피부 보습 상태를 AU(arbitrary unit) 단위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여성의 하박부 측정 평균값은 50~60AU 이다.
Figure 112007001196334-pat00003
사용 전 사용 직 후 사용 후 1시간
비교예 1 0% 6% 8%
제조예 7의 보습 크림 0% 23% 25%
제조예 9의 보습 젤 0% 19% 20%
제조예 11의 연고 0% 18% 19%
제조예 14의 비누 0% 9% 14%
제조예 15의 비누 0% 11% 15%
상기 표 14로부터,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보습 크림, 보습 젤, 연고 및 비누를 사용할 경우, 해양 심층수의 정제수(비교예 1)를 사용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보습 증가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4 및 15의 비누를 사용한 결과로부터, 야생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습 증가율이 증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항균성 및 소염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독성이 없어,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복숭아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에탄올, 메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a)원수, (b)역삼투압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c)전기 투석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및 (d)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꽃은 야생 돌복숭아꽃이고,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인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꽃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부인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크림, 젤, 로션, 스킨, 연고 또는 비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070001342A 2007-01-05 2007-01-0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75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342A KR100754889B1 (ko) 2007-01-05 2007-01-0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342A KR100754889B1 (ko) 2007-01-05 2007-01-0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889B1 true KR100754889B1 (ko) 2007-09-04

Family

ID=3873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342A KR100754889B1 (ko) 2007-01-05 2007-01-05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66B1 (ko) * 2008-02-04 2015-06-05 (주)아모레퍼시픽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용매추출법 및 그 추출물, 및 이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725A (ja) * 2000-01-06 2001-07-10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予防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KR20020012915A (ko) * 2000-08-09 2002-02-20 유상옥,송운한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 도화추출물-함유 조성물
KR20040078499A (ko) *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페루릭산 및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725A (ja) * 2000-01-06 2001-07-10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予防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KR20020012915A (ko) * 2000-08-09 2002-02-20 유상옥,송운한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 도화추출물-함유 조성물
KR20040078499A (ko) * 2003-03-04 2004-09-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페루릭산 및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Pharm. Res. 23(4), 396-400 (2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66B1 (ko) * 2008-02-04 2015-06-05 (주)아모레퍼시픽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용매추출법 및 그 추출물, 및 이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1B1 (ko) 산초, 백두옹, 이끼, 팔각회향, 에키나시아 및 프로폴리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693767B (zh) 一种具有净肤效果的冰川矿物泥膜及其制备方法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9779B1 (ko) 정제봉독, 단풍나무 추출물 및 작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05853260A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KR101571387B1 (ko) 용설란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260039B (zh) 一种保湿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04626A (ko) 누에 유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62288B1 (ko)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고보습 및 고미네랄 입욕제
KR20130038018A (ko)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KR101930348B1 (ko)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KR20160050527A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3070030A1 (ko) 3-도데카노일옥시-2-이소부티릴옥시-4-메틸펜타노익산을 유효성분으 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4889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9620B1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0078B1 (ko) 해양 심층수 영양 염류 및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고미네랄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