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573A -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573A
KR20110024573A KR1020090082622A KR20090082622A KR20110024573A KR 20110024573 A KR20110024573 A KR 20110024573A KR 1020090082622 A KR1020090082622 A KR 1020090082622A KR 20090082622 A KR20090082622 A KR 20090082622A KR 20110024573 A KR20110024573 A KR 2011002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rumex crispus
cosmetic composition
rum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애
주명신
Original Assignee
홍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애 filed Critical 홍경애
Priority to KR102009008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4573A/ko
Publication of KR2011002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5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개선,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농도 산소 용존수로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pus L.)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아토피 환자에 있어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고, 인체 저항력과 면역기능을 높임으로서 아토피 피부염의 내인적 병인을 줄이고 지속적인 발생하는 요인을 차단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효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농도 산소 용존수, 아토피 피부개선, 소루쟁이(Rumex cripus L.), 화장료

Description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the effect of Atopy skins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Rumex cripus L.with high concentrated oxygen water}
아토피 피부염은 외부의 자극 물질을 피부에 적용할 때 피부에서 나타나는 국소적 염증반응으로서, 임상적 증상으로는 가려움(itching), 따끔거림(stinging), 화끈거림(burning) 등의 자극감과 홍반(erythema), 부종(edema) 등의 염증성 자극 반응이 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진피에서 부종이 발견되며 표피와 진피에서 단핵세포의 유입이 관찰된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은 임상적 증상이나 발현 기전에 따라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irritant contact dermatitis),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allergic contact dermatitis), 감각성 자극 (sensory irritation) 및 광독성 피부염 (phototoxic dermatitis)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나, 이들의 명확한 구분은 어려우며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 어떤 물질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기 위한 공통적인 과정은 물질이 피부에 침투하여, 표피 세포나 진피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여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개인 관리 제품(Personal care products)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자신을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의 화장품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 (real effect)를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cosmeceutical)에 치중하는 동향이어서 화장품등의 개인 관리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 진다.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활용하고 있는 소풍산《外科正宗》은 풍진이나 습진에 쓰는 처방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전문 치료방이 아니며, 장기적인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독성반응, 그리고 증상에 따라 가감해야 하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므로 처방 없이 복용하기 힘든 약물조성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0-0021196호는 선택적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파네솔 및 크실리톨이 배합된 것으로서 건강한 피부에 존재하는 표피 포도상구균과 아토피에 존재하는 유해한 황색 포도상구균을 구별하여 무해한 표피 포도상구균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유해한 황색 포도상구균에만 항균효과를 발휘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선택적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3-0053370호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삼, 백급, 지모 및 소엽맥문동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화장료 조성물은 항균, 항진균, 프리라디칼 제거, 항염 및 보습 효과가 있으며 상기 효과의 시너지 작용을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의 특징인 피부 건조 및 습진을 개선하고 미생물에 의한 2차 감염을 치료 및 예방하며, 가려움증을 완화한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3-0053370호는 아토피를 유발하는 유해균뿐만 아니라 피부 상재균에 대해서도 항균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고,
대한민국특허출원 2000-0021196의 경우 선택적 항균력을 나타낸다고 하나 피부 상재균에 대한 저해도 상당 부분 확인되었으며 특히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해 생성되어 아토피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SEB 독소제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근래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웰빙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전 방위적으로 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람들의 웰빙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방편으로서 연수기, 정수기, 이온수기, 산소수기, 비데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고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물보다 많은 양의 산소가 용해된 물을 고농도 산소 용존수라고 하는데, 산소가 호기성 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혐기성 미생물, 박테리아, 오염을 일으키는 유기물질을 생분해하는 것을 촉진하기 때문에, 화학공장, 제지공장, 호기성 미생물 배양, 양어장, 수족관, 수경재배, 청량음료 제조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 다. 또한, 산소 농도가 풍부한 고농도 산소 용존수를 마시게 되면 인체의 혈중 산소 농도를 향상시켜 인체의 신진 대사에 활력을 주며 심폐기능이 향상되고 피로회복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음료수에도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농도 산소 용존수에 있어서 용존 산소량은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량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공기 속의 산소에 의해 공급되고 그 용해량은 온도나 기압에 의해 좌우된다. 산소는 온도가 낮을수록 물에 잘 용해되며 대기압하(760mmHg) 25℃의 순수한 용존산소량은 약 8mg/ℓ, 20℃의 순수의 용존 산소량은 약 9mg/ℓ, 8℃의 순수의 용존산소량은 약 12mg/ℓ, 2℃의 순수의 용존산소량은 약 14mg/ℓ가 된다. 이러한 산소 용존량을 10배 가량 물속에 녹여 1,400mg/ℓ 가량의 용존산소를 함유하게 하는 물을 고농도 산소 용존수라고 한다.
소루쟁이 (Rumex crispus L)는 양제근, 솔쟁이 또는 송구지 등으로 불리며, 한여름이면 줄기가 다 말라 버렸다가 선선하면 다시 자라나는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기도 하며, 백선, 무좀 및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개선, 옴 및 피부암 등의 피부병에 사용하였으며, 방광염, 대장염 등에도 달여서 사용했다고 한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둥글게 말아 햇볕에 말린 것을 양제근이라고 하며, 이를 대황이라는 한약품에 대용하기도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은 여러 원인 및 학설이 발표되었으나 한마디로 대변하여 그 원인을 설명할 수 없는 까다롭고 치료가 난해한 피부질환에 속한다. 나타나는 증상도 대표적인 소양증을 비롯하여 피부 건조, 거칠음, 발적에서 습진 등 다양하여 한번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을 받으면 중등도를 넘어선 아토피의 경우 심하면 평생을 아토피로 고생하게도 되는 피부질환이다.
극심한 가려움증과 피부가 건조한 것이 특징으로 그로 인해 긁다 보면 진물, 태선화, 착색, 2차 감염 등으로 발전하게 된다. 당장 보기가 안타깝고 인내하기가 힘들어 피부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걸 상식적으로 잘 알면서도 스테로이드제를 자주 접하게 된다. 어린이의 10~15%가 아토피 피부염증상이 있으며, 국민의 10% 이상이 아토피 환자로 추산되고 있다. 최근 사회의 공업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생활 습관의 변화, 유전적 영향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률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환경부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천식 등 환경성 질환 발생 실태를 공식으로 조사하기로 결정하는 등 그 심각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아토피의 기본 증상으로 홍반을 들 수 있는데 피부에 나타나는 붉은 반점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홍종에 비해 국소적인 반점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증상인데 대부분의 경우 감염이나 땀띠증상, 또는 약발진, 모낭염, 외상 등에서 잘 나타나는 피부반응이다.
아토피의 고유한 발진인 경우보다는 초기 피부질환의 발진일 경우 잘 나타나는 반응이라고 보는 것이 좋다. 홍반 역시 피하에 잔류하는 염증이나 독성에 혈액이 공 급되면서 나타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모공 각화증상이 있는 경우 이를 긁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외상으로서의 홍반도 아토피 환자들에게서 잘 보이는 반응이다. 스테로이드성 여드름의 형태로 홍반의 양상으로 잘 나타나며, 이차감영인 경우에도 홍반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홍조란 피부가 붉어지는 증상을 말한다. 아직 피부가 붉어지면서 붓는 증상인 홍종이 나타나기 전에 보이는 증상이다.
인체의 붉은 색은 대부분 혈액이 색이다. 그러므로 아토피에 피부가 붉어지는 것은 피부로 혈액이 유입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물론 아토피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피부 손상인 경우에도 혈액이 유입되면 피부가 붉어지는 증상은 쉽게 나타나는 것이다. 스테로이드를 중단하면 모세혈관일 손상된 부위로 혈액이 유입되어 붉어지고 유입된 혈액이 빠져나가지 못하여 정체되면 피부가 붉어지는 홍종의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홍종이란 피부가 붉게 부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역시 초기 탈스 [스테로이드을 끊는것]에 잘 나타나는 증상이며 정체된 상태에서 왕성한 혈액공급이 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홍종이 스테로이드의 부작용 중의 하나인 문페이스[moon face]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얼굴이 달덩이처럼 부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증상이다.
홍종은 [붉다는 것과 부어있다는 것이 결합된 말이다] 붉다는 것은 혈액이 공급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피부색이다. 인체에서 붉은 색을 만들 수 있는 것은 혈액뿐이 다.
그러므로 아토피의 치료기간 중에 피부색은 붉은 색을 띤 것이 바람직한 증상이다. 이는 환부를 치료할 목적으로 혈액이 유입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어있다는 것은 정체되어 있다는 것으로 아직 충분하게 땀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어 있다는 것은 기혈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고 막혀서 빵빵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기 탈스나 아토피의 치료과정 중 부종이 나타나면 이는 충분하게 기혈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땀의 배출이 악화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충분하게 땀을 흘려주면 부종은 서서히 제거되기 시작한다. 이뿐 아니라 아토피는 여러 가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① 각 질 : 각질은 피부의 표층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② 진 물 : 피부에서 진물이 나는 증상은 손상된 피부 조직의 조직액이 배출되는 과정이다.
③ 태선화 : 태선화란 피부가 나무껍질처럼 거칠어지고, 코끼리 피부처럼 두터운 느낌이 드는 증상이다.
④ 가려움 : 가려움은 아토피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증상이다.
긁음으로서 정체된 기운을 유통시켜주고 더 많은 혈액공급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하지만, 많은 아토피 환자들이 가려움과 긁음이 뭔가 병리적이고 잘못된 인체의 반 응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것은 오해이고 착각이다. 가려움을 유발하는 원인이 진작에 중요한 병리적인 것이며 아토피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독성이 바로 주범인 것이다.
⑤ 색소침착 : 아토피의 정체가 오래 지속되면 피부의 색은 붉은 색에서 검을 색으로 점차 변화해 간다. 이러한 과정은 색소가 침착되어 가는 것으로 피부가 검은 색 계열로 변화하는 것이다.
피부가 검게 변하는 것은 대개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농도로 용존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고농도 산소 용존수로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pu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효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루쟁이(Rumex cripus L.) 추출물은 일반 화장료에 포함되어 있는 피부 자극성 원료에 의해 초래되는 피부자극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및 완화하는 화장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조예 1 : 소루쟁이(Rumex cripus L.) 추출물의 제조
세척, 건조한 뒤 곱게 자른 소루쟁이(Rumex crispus L) 1kg을 고농도 산소 용존수 용액 5ℓ에 5일 동안 침전시키고, 300메쉬에 여과한 다음,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80℃에서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소루쟁이(Rumex crispus L) 농축 파우더를 다시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해바라기 오일에 용해 시켰다.
제조예 2 : 고농도 산소 용존수로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틱 타입의 아토피 치료용 화장료 제조.
번호 원료명 함량
1 소루쟁이 16.8
2 티마누오일 8.0
3 카렌듈라오일 5.9
4 쉐어버터 14.9
5 병 풀 8.0
6 식물성스쿠알렌 5.0
7 햄프씨드 5.0
8 밀납 13.9
9 티트리 0.6
10 카모마일 21.9
100.0
[표1] 스틱 타입 제조예
1번부터 8번까지 온도 80℃로 가온하여 융해시킨 후, Agitator로 믹싱하면서 골고루 혼합한다. 골고루 혼합이 되면 9번 10번을 넣고 부향시킨다. 부향이 되면 굳기 전에 용기에 넣고 굳혀 사용한다.
실험예 1. 제형의 안정도 측정
상기 본 발명의 고농도 산소 용존수로 추출한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을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2를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 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였으며, 실온에서 마찬가지로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2]에 정리되어 있다. 이 때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 : 변화없음 / 1 : 극히 조금 분리(변색) / 2 : 조금 분리(변색) / 3 :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 심하게 분리 (변색) / 5 :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9주 10주 11주 12주
제조예 2 (45℃) 0 0 0 0 0 0 0 0 0 0 0 1
제조예 2 (4℃) 0 0 0 0 0 0 0 0 0 0 0 0
제조예 (실온) 0 0 0 0 0 0 0 0 0 0 0 0
[표 2] 제형의 안정도 측정표
위의 결과에 의하여 제조예 2의 제형은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여도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여도, 실온에서도 마찬가지로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에서 안정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상 상기 실시 예와 하기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는 고농도 산소 용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pus L.)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에 피부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 1~4까지의 임상시험은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1. 피험자 선정기준
18세~60세의 성인 남녀 중에서 다음의 선정 기준을 만족하며 제외기준에 해당 사항이 없는 사람을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시험의 목적과 개요, 시험 방법 그리고 시험 참가에 따른 위험성과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들은 후 자의에 따라 ‘임상시험 참가 동의서’와 ‘설문서’를 작성하고 시험에 참가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 수는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30명으로 하였다.
(1) 실험에 앞서 실험의 목적, 내용 등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가동의서에 서명한 사람
(2) 18세 이상 60세 이하의 성인
(3) 외견상 질환이 없고 건강한 사람
2. 피험자 제외기준
설문 및 직접 문답에 의하여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사람은 피험자에서 제외시켰다.
(1)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
(2)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사람
(3) 시험부위에 질환이 있거나 문신, 여드름, 이상 색소 침착 등으로 결과 판정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사람
(4) 화장품에 대한 민감 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경험이 있는 사람
(5) 광 감수성이 있는 약물 (항염증제, 혈압강하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
(6) 동일 실험에 참가하고 6개월 이상 경과되지 않았거나, 전회 실험 상흔이 남아 실험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람
(7) 2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거나 사용한 경험이 있고, 약물 사용을 중지한 이후 3주가 경과되지 않은 사람
(8) 화장품에 민감 반응을 보이거나 심한 자극을 경험한 사람
(9) 기타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람
3. Screening ( Visit 1, -14일 이내)
1) Screening 기간
이 시험에 들어가기 전 2주간의 screening 기간을 갖고 피험자가 시험의 대상요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공복으로 방문하였으며, 검사치가 선정기준에 합당하고, 1개월 이내에 다른 시험약물이나 아토피 피부염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한 적이 없는 경우, 실험실적 검사 등 screening 평가항목을 실시하여 평가 결과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선정기준에 합당한 경우 screening 기간을 줄일 수 있다.
2) 평가항목
Screening 방문시(시작일 2주 전)에 임상시험담당자는 상기에 명시된 선정/제외 기준에 따라 피험자의 참여 의사를 타진하여 병용약물이 없거나 병용약물이 있는 경우 연구자 판단에 따라 선정기준에 합당하면 피험자로부터 서면동의서를 얻고 screening 검사를 실시한다.
① 피험자 동의
② 기초 조사 : 생년월일, 성별, 주소, 신장(신을 벗고 cm 단위로 측정한다), 체중 등을 조사한다.
③ 이학적 검사 : 혈압, 맥박수(5분간 앉은 자세로 안정을 취한 후 측정하며,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재한다.), 호흡수, 체온
④ 병력/약물 복용력 조사 : 일차성 진단, 질병의 지속기간, 약물복용 기록, 현재 상태와 가족력을 기록한다. 또한, 최근 30일간의 모든 약물 복용과 치료를 모두 기록한다.
⑤ 실험실적 검사 (table 1) : 혈액과 뇨를 채취하여 분석.
⑥ 아토피 피부염 진단기준
⑦ 임상시험 설명 및 참여의사 타진하여 피험자 동의 절차 완료
실험예 1 : 경피 수분 손실량 ( TEWL ) 변화
피부장벽의 기능은 수분의 함유량뿐만 아니라 보유한 수분을 얼마나 잘 지키는가도 매우 중요한 문제로 피부가 함유한 수분을 외부에 빼앗기지 않고 얼마나 많이 함유하고 있는가 하는 개념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 (TEWL)은 피부장벽의 기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이다. TEWL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 정도를 제일 잘 반영하는 척도일 뿐만 아니라,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여러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은 땀과 표피를 통한 발산인데 표피를 통한 수분의 발산은 주위의 온도, 상대습도, 피부의 온도, 각질층의 integrity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신체 부위에 따른 TEWL 수치는 표피, 각질층, 한선의 분포 등 피부 구조의 다양성에 따라 차이가 나며, 특히 손바닥은 높은 수치가 나타난다. 본 임상연구에서는 C+K사의 Tewameter TM 300을 이용하여 시험 전과 시험 후 주관절 부위의 TEWL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유의성 있는 TEWL의 감소를 보였는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의 TEWL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 산소 용존수로 추출한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아토피 피부염으로 손상된 피부장벽을 효과적으로 회복시켰음을 의미하며, 피부 수분 함유량의 증가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 예는 소루쟁이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다.
TEWL Control group (N=14) Experimental group (N=16) Total(N=30)
Mean±S.D Mean±S.D Mean±S.D
기본측정 26.9±12.5 35.6±18.7 31.5±16.4
6주 후 결과 19.8±10.1 23.0±8.6 21.5±9.3
p-값 0.015 0.009 0.013
[표 3] Change of Transepidermal Water Loss(TEWL)
실험예 2 : 피부 산성도 변화
피부는 젊고 건강할수록 산성을 띠며 나이가 들고 노화가 진행될수록 알칼리성을 띠지만 피부표면의 이물질 또는 오염상태에 따라서도 알칼리화된다. 낮은 pH의 피부는 피부장벽의 재생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비누 및 cleansing 제품들은 강알칼리성으로 대부분 pH가 6.5 이상에 속한다.
C+K사의 Skin-pH-Meter PH 905를 이용하여 시험 전과 시험 후 주관절 부위의 피부 산성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약산성과 약알칼리성의 경계에 위치하였다. 피부 pH의 정상범위가 4.3 또는 4.5에서 5.5인 점을 감안할 때 6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피부 pH를 개선시키지는 못했지만 악화시키지도 않았다고 판단된다(표 4). 고농도 산소 용존수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피부 pH에 미치는 변화는 추후 시험을 통하여 그 변화를 관찰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Skin pH Control group (N=14) Experimental group (N=16) Total(N=30)
Mean±S.D Mean±S.D Mean±S.D
Baseline 5.5±0.5 5.4±0.5 5.5±0.5
After 6 Weeks 5.7±0.6 5.6±0.3 5.7±0.5
p-value 0.001 0.001 0.001
[표 4] Change of Skin pH
실험예 3. 인체 적용시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비교
20-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에 필요한 제형품을 제조예 2, 비교예 1 (소루쟁이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내용물)에 자극원으로 5% 락트산 (Lactic acid)을 첨가하여 10일간 사용하도록 하여 락트산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에 대한 완화 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사용하게 한 다음 자극 여부 및 강도를 설문지에 표시하게 하였다. 시험 결과의 평가는 1일 1회로 하였으며, 주관적 자극과 객관적 자극으로 나누어 표시하게 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Control group (N=15) Experimental group (N=15)
객관적 자극 주관적자극 객관적 자극 주관적 자극
0일 2일 4일 6일 8일 10일 0일 2일 4일 6일 8일 10일 0일 2일 4일 6일 8일 10일 0일 2일 4일 6일 8일 10일
0 1 0 0 1 1 1 1 0 1 1 2 0 0 0 0 0 0 0 0 0 0 0 1
0 1 2 1 2 1 1 1 0 1 1 2 0 0 0 0 0 0 0 0 0 0 0 1
[표 5] 인체 적용시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비교표
객관적 자극 : 외부로 나타나는 시각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자극(홍반, 뾰루지, 수포, 피부 벗겨짐 등)
주관적 자극 : 가려움, 따가움, 화끈거림 등 피험자의 주관적인 느낌으로 나타나는 자극수치는 각 자극마다 미자극, 경자극, 강자극으로 구분하여 각각 1, 2, 3점으로 가중치를 둠
(예를 들어, 가려움이 미 자극으로 1건 나타나면 1점, 화끈거림이 강 자극으로 2건 나타나면 6점)
실험예 4. 20~55세의 여성층으로서 아토피 피부의 소유자 50명을 각각 50%씩으로 구성하여 피부상태 개선과 피부의 유수분 상태 개선을 조사하였다. 동일인에게 안 면 왼쪽 부분에는 제조예 1을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1의 제품을 매일 아침 세안 후 피부에 1일 1회 100일간 도포한 후 피부상태 개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왼쪽 (N=25) 비교예 1 오른쪽 (N=25) 비고
20 40 60 80 100 20 40 60 80 100
개선효과가 있다 5 8 12 15 23 2 2 2 3 5
다소 개선효과가 있다 5 7 9 7 2 2 3 3 2 3
조금 개선효과가 있다 4 5 2 2 0 1 1 4 5 4
개선효과에 변화가 없다 11 5 2 1 0 20 19 16 15 13
소 계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표 6] 피부상태 개선과 피부의 유수분 상태 개선

Claims (6)

  1. 소루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농도 산소 용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고농도 산소 용존수를 함유하는 소루쟁이(Rumex crispus L)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9중량%의 소루쟁이(Rumex crispus L)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소루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고농도 산소 용존수의 용존산소 농도가 기존의 정제수 보다 100mg/ℓ ~ 1,400mg/ℓ 가량의 용존산소를 함유하게 하는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고농도 산소 용존수로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spus)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틱 타입의 아토피 치료용 화장료 제조.
  6. 제 2 항에 있어서, 고농도 산소 용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소루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스틱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90082622A 2009-09-02 2009-09-02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4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22A KR20110024573A (ko) 2009-09-02 2009-09-02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22A KR20110024573A (ko) 2009-09-02 2009-09-02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573A true KR20110024573A (ko) 2011-03-09

Family

ID=4393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622A KR20110024573A (ko) 2009-09-02 2009-09-02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45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299A (zh) * 2012-03-27 2012-08-15 佟少勇 一种鲁梅克斯美容面膜的生产工艺
KR101390109B1 (ko) * 2012-07-19 2014-04-29 한성호 각질 연화제의 제조 방법
KR20180098796A (ko) 2017-02-27 2018-09-05 (주)더화이트넷 가려움증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1299A (zh) * 2012-03-27 2012-08-15 佟少勇 一种鲁梅克斯美容面膜的生产工艺
KR101390109B1 (ko) * 2012-07-19 2014-04-29 한성호 각질 연화제의 제조 방법
KR20180098796A (ko) 2017-02-27 2018-09-05 (주)더화이트넷 가려움증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4915B (zh) 一种婴幼儿护臀膏及其制备工艺
CN105395467B (zh) 一种中药组合物、美肤化妆品及其应用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CN105380870A (zh) 一种具有修复角质层功效的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09431914B (zh) 头皮养护组合物及其应用
CN105411960A (zh) 一种具有抑制痤疮功效的面膜及其制备方法
CN105853260B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WO2014015443A1 (de) Verwendung von mit diamant elektroden hergestelltem elektrolysewasser zur hydratation, straffung und pflege der haut, zu behandlung von dermatosen, sonnenbrand und genereller wunden
CN109953923A (zh) 一种含裂裥菌素、地黄根和松木提取物的头发睫毛生长液
CN106619380A (zh) 一种祛痘精华液
CN115154403B (zh) 一种肌肤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Moghbel et al. Wound healing and toxicity evaluation of Aloe vera cream on outpatients with second degree burns
CN114917178A (zh) 适用于沙漠干燥肌肤的舒缓修护组合物及其应用
CN112107533A (zh) 一种具有控油嫩肤并收细毛孔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88815A (zh) 一种祛痘中药组合物及其应用与含有该组合物的祛痘平衡精华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CN104398461A (zh) 一种抗干燥柔润霜及其制备方法
KR20110024573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163589A1 (ko) 박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721154B (zh) 一种用于皮肤保湿和屏障修复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0200870A (zh) 一种含白毛藤和木槿花提取物的修复保湿水
CN108186440A (zh) 可抗菌护肤的中药植物沐浴露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2023179A1 (ja) 持続性鎮痒外皮用剤
CN102357145B (zh) 一种治疗秃发的外用药软膏
KR102139597B1 (ko)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