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070B1 -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070B1
KR100890070B1 KR1020080007872A KR20080007872A KR100890070B1 KR 100890070 B1 KR100890070 B1 KR 100890070B1 KR 1020080007872 A KR1020080007872 A KR 1020080007872A KR 20080007872 A KR20080007872 A KR 20080007872A KR 100890070 B1 KR100890070 B1 KR 10089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atopic eczema
powder
at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569A (ko
Inventor
진수정
조성휘
Original Assignee
(주)동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정밀 filed Critical (주)동양정밀
Publication of KR2008007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아토피 습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알칼리 이온수, 견운모, 귀양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광석물, 솔잎, 항균제, 녹차잎, 양파껍질과 에탄올을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여 아토피 습진의 촉진 인자인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고, 아토피성 피부를 보습하며, 아토피 환부에 항균력을 제공함으로써 아토피 습진 증상을 종합적으로 억제,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ATOPY ECZEMA RELAXANT COMPOSITION USING NATURAL MATERIAL}
본 발명은 천연 소재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다량 방출에 따른 아토피 습진 증상을 억제 및 완화시키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서 아토피 또는 습진(아토피 습진)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피부가 약하거나 저항력이 부족한 어린이 아토피 습진 환자가 급증하고, 환자들의 증상도 악화되고 있다. 아토피 습진은 각종 오염물질, 및 포도상구균 등의 세균에 피부가 과민 반응을 일으켜서 발생하는 피부 질환인데, 특히 건조한 성질의 피부 또는 피부가 건조한 상태에서 발병하기 쉽다.
상기 아토피 습진을 유발하거나 진행시키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기 중의 오존 농도가 증가될수록 아토피 습진 환자의 발병률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증상 역시 악화된다는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상기 대기 중의 오존은 자동차 배기가스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태양광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발생하는 2차 오염물질이므로, 산업화와 경제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서 아토피 습진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오염이 심각한 도시의 아토피 습진 발병률이 농어촌의 아토피 습진 발병률보다 높으며, 대기 중의 오존 농도가 50 ppb 증가할 때마다 어린이 아토피 습진 환자의 입원률이 73% 증가된다고 보고 되고 있다. 여기서, 아토피 습진 환자가 병원에 입원할 정도라면 이미 아토피 습진의 증세가 심각한 정도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병원에 입원하지 않을 정도의 증세를 지닌 아토피 습진 환자의 발병률은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증가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중증의 아토피 습진 환자를 공기가 쾌청한 시골에서 요양시킨 결과, 아토피 습진이 완치되거나 최소한 외형상의 아토피 습진 증상이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치유되었다는 사례가 보고 되고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아토피 습진의 환부로부터 오존을 차단하면 아토피 습진의 증상을 억제,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아토피 습진의 환부로부터 오존을 차단하는 것은 상기 아토피 습진의 환부로부터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아토피 습진의 억제, 완화에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피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 배기가스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존은 양이온 오존과 음이온 오존으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도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것은 양이온 오존이다.
따라서, 아토피 습진의 환부와 접촉하는 오존 중 양이온 오존만을 차단하거나, 아토피 습진의 환부와 접촉하는 오존 자체를 음이온화하여 양이온 오존을 음이온 오존으로 전환한다면 상기 아토피 습진을 억제,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아토피 습진의 환부와 접촉하는 오존을 음이온화하는 동시에, 상기 환부를 충분히 보습한다면 양 기능이 상승 작용을 발생시켜 아토피 습진의 증상을 억제, 완화할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되어 피부의 아토피 습진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증상이 심해져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각종 식물재료, 생약재 등의 천연재료 또는 인체에 무해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어느 정도 억제, 완화하는 조성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조성물들은 공통적으로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아토피성 습진을 억제 및 완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2-46329호(2002. 06. 21. 공개)에서는 천연비이온계면활성제, 고급알콜을 포함하는 유상성분, 보습성분, 항염성분, 가려움증 억제성분이 함유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피부외용 조성물은 건조한 피부를 보습하고 염증과 가려움증을 완화시켜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46776호(2004. 06. 05 공개)에서는 규산나트륨, 피마자유,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및 정제수가 포함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은 생활세포의 대사 작용에 관여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완화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피부를 보습하는 기능이 부족하며,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121107호(2005. 12. 26. 공개)에서는 염산독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 투과와 침적에서 우수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와 보습효과를 향상시키는 치료제로서 유용한 아토피 질환 치 료용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염산독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에 보습효과를 제공하여 아토피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토피 질환 치료용외용제 조성물은 화합물인 염산독세핀을 주성분으로 함유하여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토피 질환의 치료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6-72673호(2006. 06. 28. 공개)에서는 향나무잎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외용치료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 외용치료제 조성물은 향나무잎의 고유한 한방 기능에 의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피부를 보습하는 기능이 부족하며,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6-118809호(2006. 11. 24. 공개)에서는 고본, 곽향, 노근, 목향, 상기생, 소회향, 속단, 신곡, 육종용, 적복령, 천마, 천문동, 택사, 향부자 및 호마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은 생약재에 의하여 피부의 과민 증상을 진정시켜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 효과 를 지니고 있으나, 피부의 아토피 습진을 촉진하는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습진의 촉진 인자인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고, 아토피 습진의 환부를 보습하여 피부의 아토피 습진 증상을 억제, 완화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견운모, 귀양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광석물 25 내지 35 중량부, 솔잎 35 내지 45 중량부,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 녹차잎 7 내지 12 중량부, 양파껍질 0.5 내지 1 중량부, 및 에탄올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여 아토피 습진의 촉진 인자인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고, 아토피성 피 부를 보습하며, 아토피 환부에 항균력을 제공함으로써 아토피 습진 증상을 종합적으로 억제, 완화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자연향인 솔향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조성물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여 가격이 저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용매인 알칼리 이온수에 견운모, 귀양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광석물, 솔잎, 항균제, 양파껍질, 녹차잎,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당근 추출액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성분들은 서로 화학적인 작용을 통하여 공동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는 화학 물질의 특성상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기능 성분에만 의존 한다기보다는 여러 조성의 조합과 그 조합량에 특이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알칼리 이온수를 포함한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각종 구성 성분을 용해하기 위하여 용매로 사용된다. 물을 전기분해하면 음이온이 하전된 알칼리 이온수와, 양이온이 하전된 산성 이온수로 분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음이온 방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알칼리 이온수는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산소(활성산소)와 결합하여 인체 외부로 배출시킬 뿐 아니라 각종 산성 노폐물을 끌어당기는 에너지가 있어 자연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물은 물 분자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루어지는 상태가 아니라, 다수의 물 분자가 클러스터 상태로 뭉쳐져서 이루어지는 상태로 존재하며,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가 감소될수록 인체에 침투하는 기능이 향상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는 핵자기 공명 측정기기(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돗물을 핵자기 공명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수돗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는 120Hz인 반면, 인체의 세포의 크기가 60Hz이므로 수돗물의 물 분자가 인체에 침투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돗물의 물 분자가 인체에 침투하는 것이 곤란하여 인체의 피부를 보습하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돗물 또는 수돗물을 단순 정제한 정제수는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그런데, 물이 고도로 전기분해되어 음이온이 다량으로 하전될수록 물 분자의 클러스터의 크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이 다량으로 하전되어 인체의 세포보다 작은 40 내지 60Hz, 바람직하게는 약 54Hz의 물 분자 클러스터의 크기를 지니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물을 고도로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을 다량으로 하전시킴으로써 인체의 세포보다 작은 약 54Hz의 클러스터의 크기를 지니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구성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침투력이 우수하여 인체의 피부를 보습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음이온이 다량으로 하전되어 40 내지 60Hz의 클러스터의 크기를 지니고 있는 알칼리 이온수인 용매와, 음이온,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광석물 분말 및 솔잎 분말이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켜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음이온 방출 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이러한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견운모, 귀양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광석물 25 내지 35 중량부, 솔잎 35 내지 45 중량부,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 녹차잎 7 내지 12 중량부, 양파껍질 0.5 내지 1 중량부, 및 에탄올 0.5 내지 1 중량부의 혼합물로부터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견운모, 귀양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광석물 25 내지 35 중량부가 포함된다.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견운모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 색깔은 은백색으로 견사광택이 강하게 나타난다. 광물학적으로는 운모족에 속하고 화학 조성과 결정구조는 백운모와 흡사하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93% 내외이며, 음이온 발생량이 700개/cc 내외이고, 가장 안전한 음이온, 예컨대 저선량 자연방사선을 방사하며,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또한, 귀양석은 약 6,500만년 전의 지각변동에 따른 고온난수 작용에 의해 형성된 광물로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상온(25℃)에서 96%로 천연광석물 중에서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음이온 발생량이 최대 24,140개/cc로 천연광석물 중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의 세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을 향상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세포를 활성화한다. 또한,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하여 물 클러스터를 작게 쪼개줌으로써 물의 침투 및 분산, 유분의 유화, 발모, 육모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귀양석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해 클러스터의 크기가 작아진 물은 인체에 쉽게 흡수되고 활성화되어 피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견운모나 귀양석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천연광석물은 예를 들면, 분말 형태로 가공되어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천연광석물 분말은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면 클수록, 즉 분말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과 보습 기능이 향상된다. 즉, 천연광석물 분말의 중량이 동일한 경우, 사이즈가 큰 천연광석물 분말 쪽보다, 사이즈가 미세한 천연광석물 분말 쪽이 대기 중의 오존 분자와 접촉할 가능성이 전체적으로 더 커지기 때문에 상기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견운모, 귀양석을 분쇄기에서 약 7,000 rpm의 초고속으로 분쇄하여 형성되는 8,000 내지 12,000 메쉬,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메쉬의 미세한 견운모 분말, 귀양석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8,000 내지 12,000 메쉬로 미세하게 분쇄되어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견운모 분말, 귀양석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천연광석물 분말이 포함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공기 중의 오존 분자와 긴밀하게 접촉하여 상기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시킨다.
이때, 천연광석물 분말의 평균입도가 8,000 메쉬 미만이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이 저하되며, 천연광석물 분말의 평균입도가 12,000 메쉬를 초과하면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은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만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광석물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조성물의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과 보습 기능이 저하되 고, 천연광석물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조성물이 과잉 겔화되며, 제조된 조성물의 촉감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천연광석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열작용
인체의 체온을 적정체온으로 유지시켜 준다. 신체표면 온도보다는 몸속의 온도를 따뜻하게 하여 근육의 피로를 완화시켜 주며, 고온에 약한 암세포의 박멸법으로 응용된다.
2. 숙성작용
인체의 성장을 촉진시켜 준다. 열상, 화상의 진통작용 및 상피형성작용이 왕성하기 때문에, 치유기간이 짧고 흉터가 남지 않는다.
3. 자정작용
인체내에 혈액순환을 향상시켜 영양분 공급의 균형을 이루어 준다.
4. 건습작용
인체에 적정 수분을 유지시켜 준다.
5. 중화작용 등
인체내의 노폐물 배설촉진 및 냄새를 중화시켜 준다. 왕성한 발한작용에 의해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이나 유해 중금속류, 농약, 유해색소 등을 여분의 지방분과 함께 체외에 배설해 준다. 특히,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과잉 염분을 감소시켜 준다. 피부 내부에 축적된 불순물이나, 땀구멍을 막아서 신진대사를 약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화장품 찌꺼기를 땀과 함께 배설시키며, 피지선에서도 피하지방의 과잉분을 배설시켜 광택있는 젊은 피부를 재생시켜 준다.
6. 공명작용
인체의 각종 영양을 분해하여 영양의 균형을 유지 시킨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은 인체에 30 내지 50mm의 깊이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공진, 및 공명 작용하여 자기발열을 일으킴으로써, 인체 내에서 혈액순환을 촉진 시키고, 세포 조직속의 노폐물과 유해 중금속을 땀샘을 통하여 피부 밖으로 배출시켜 준다. 이에 따라, 인체 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향상시켜 피부에 발생되는 아토피 습진을 억제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음이온 방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솔잎 35 내지 45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솔잎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인체에 유익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다량으로 함유된 재료이다. 또한, 솔잎은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솔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고,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솔잎은 추출액 또는 분말의 형태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솔잎을 추출액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솔잎을 세척한 후, 세척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솔잎 분쇄물을 압착하여 액상성분을 추출한 후, 찌꺼기(고체성분)를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솔잎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솔잎을 분말의 형태로서 사용하는 경우,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면 클수록, 즉 분말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공기 중의 오존을 음이온화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솔잎 분말의 중량이 동일한 경우, 사이즈가 큰 솔잎 분말 쪽보다, 사이즈가 미세한 솔잎 분말 쪽이 대기 중의 오존 분자와 접촉할 가능성이 전체적으로 더 커지기 때문에, 솔잎 분말의 사이즈가 미세할수록 상기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솔잎을 세척하여, 그 표면에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솔잎을 나노 분쇄기에서 약 7,000 rpm의 초고속으로 나노 분쇄하여 형성되는 8,000 내지 12,000 메쉬의 미세한 솔잎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8,000 내지 12,000 메쉬,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메쉬로 미세하게 분쇄되어 음이온을 방출하는 솔잎 분말은 공기 중의 오존 분자와 긴밀하게 접촉하여 상기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시킨다.
이때, 솔잎 분말의 평균입도가 8,000 메쉬 미만이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이 저하되며, 솔잎 분말의 평균입도가 12,000 메쉬를 초과하면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은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만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솔잎의 함량이 3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조성물의 오존의 음이온화 기능과 솔향의 방출량이 저하되고, 솔잎의 함량이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알칼리 이온수, 천연광석물 및 솔잎으로부터 방출되는 음이온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기 정화작용
공기 중에는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 예컨데, 담배 연기, 아황산가스(SO2),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및 각종 유기물질은 양이온을 형성하고 있는데, 음이온(anion)은 이들 양이온에 흡착 침전되어 제거하므로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시킨다.
2. 먼지제거 및 살균작용
양이온은 세균이나 먼지, 꽃가루 곰팡이, 오염된 입자들을 자유롭게 떠다니도록 해 공기를 혼탁하게 만들지만, 음이온(anion)은 이들을 중화 및 살균한다.
3. 세포의 활성화작용
인간의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막(膜) 속에는 나트륨, 칼륨-ATP 아제라고 하는 산소가 존재한다. 이 산소가 세포 속의 칼륨이온과 세포 표면에 있는 나트륨이온을 서로 교환시켜서 세포에 영양과 산소가 공급 및 흡수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이 배출된다. 체내 흡수된 음이온은 세포막에 작용하고 이와 같 은 세포의 이온교환을 돕는 일을 한다.
4. 혈액의 정화작용
세포활성화에 의해서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되면 혈액은 정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음이온은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혈청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등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5. 면역력 개선작용
음이온은 자율신경계의 활동을 안정화시키고, 전신(全身)의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병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음이온이 증가함에 따라 혈액중의 감마 그로피린도 함께 증가된다. 상기 감마 그로피린이 증가함에 따라 갖가지 병에 대한 저항력도 증가하게 되어 몸이 건강해 진다. 여기서, 감마 그로피린이란 혈청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면역력을 가진 항체를 가지고 있다.
6. 피로 회복작용
음이온은 체내로 흡수되면 체액이 약알카리성으로 되어 몸의 전신의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되고, 그 결과 몸은 축적된 피로물질을 완전 연소함으로써 피로회복이 된다.
7. 자율신경 안정작용
사람 몸의 장기는 그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교감신경과 그 활동을 억제 시키는 부교감신경이라고 하는 자율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상기 2가지의 신경 밸런스가 무너지면 다수의 장기에 장해현상이 발생한다. 음이온 이와 같은 자율신경 에 작용하여 그 활동을 안정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8. 정신 안정작용
β엔돌핀은 뇌내(腦內)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행복감, 편안한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호르몬 분비에 작용하여 정신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9. 통증 완화작용
양이온이 체내로 흡수되면 체액이 산성화하고, 혈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다. 그 때문에 신진대사가 악화되고, 통증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 환부(患部)에 잔존하게 된다. 그러나 음이온을 의식적으로 체내로 흡수하면 체내의 이온밸런스가 회복되고,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해 준다.
10. 알레르기 체질개선작용
음이온은 호흡기계의 알레르기와 식물성 알레르기에 대하여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자율신경에 작용하여 알레르기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체질도 개선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음이온은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인체에 축적된 피로물질을 완전 연소시키며, 세포활성화에 의해서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하고, 체내의 이온밸런스를 회복시키며, 아토피 습진의 촉진 인자인 양이온 오존 분자를 음이온화시켜 인체의 피부에 발생되는 아토피성 습진을 억제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도상구균 등의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항균제는 사람의 피부에 항균 기능을 제공하는 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천연 항균제는 사람 피부에 항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므로, 피부에 독성물질이 잔존하지 않는 천연물질로 구성되는 천연 항균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제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파라벤(paraben)류, 글라이던트(glydant), 트리클로산(triclosan), 유니다이아사이드(unidiacide), 포타시움 퍼망가네이트(potassium permanganate), 세트리마이드(cetrimide),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클로옥시레놀(chloroxylenol), 디브로모프로파미딘(dibromopropamidine), 폴리녹시린(polynoxylin), 포비돈 아이오다인(povidone iod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천연 항균제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0762303호의 황금 추출물 10 내지 40 중량부, 목단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몽종자 추출물 1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의 항균제로는 상기 등록특허의 권리자의 회사(내추로진 사)에서 제조하는 Naturo BX(상품명)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제가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면 클수록, 즉 분말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공기, 및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항균 기능이 향상되는 특성을 지닌다. 즉, 항균제 분말의 중량이 동일한 경우, 사이즈가 큰 항균제 분말 쪽보다, 사이즈가 미세한 항균제 분말 쪽이 공기, 및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전체적으로 더 커지기 때문에 항균제 분말로 미세한 분말을 사용할 수록 포도상구균 등의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 기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항균제를 나노 분쇄기에서 약 5,000 rpm의 고속으로 나노 분쇄하여 형성되는 3,000 내지 5,000 메쉬, 바람직하게는 약 4,000 메쉬의 항균제 분말이 사용된다.
이때, 항균제 분말의 평균입도가 3,000 메쉬 미만이면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항균 기능이 저하되며, 항균제 분말의 평균입도가 5,000 메쉬를 초과하면 항균 기능은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만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균제 분말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조성물의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 기능이 저하되고, 항균제 분말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의 활성화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녹차잎 7 내지 12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녹차잎은 카테킨이 다량 함유되어 각종 성인병 예방 기능, 항암 기능, 살균 기능이 탁월하며, 비타민C, 비타민E, 베타카로틴, 식물섬유, 미네럴, 및 엽록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녹차잎은 추출액 또는 분말의 형태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녹차잎을 추출액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녹차잎을 세척한 후, 세척된 녹차잎을 분쇄하여 녹차잎 분쇄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녹차잎 분쇄물을 압착하여 액상성분을 추출한 후, 찌꺼기(고체성분)를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녹차잎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녹차잎을 분말의 형태로서 사용하는 경우 녹차잎을 세척하여, 그 표면에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녹차잎을 나노 분쇄기에서 약 7,000 rpm의 초고속으로 나노 분쇄하여 형성되는 8,000 내지 12,000 메쉬의 미세한 녹차잎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녹차잎 분말의 평균입도가 8,000 메쉬 미만이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살균기능 등이 저하되며, 녹차잎 분말의 평균입도가 12,000 메쉬를 초과하면 살균능력 등은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만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차잎 분말의 함량이 7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조성물의 각종 성인병 예방 기능, 항암 기능, 살균 기능이 저하되고, 녹차잎 분말의 함량이 12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조성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양파껍질 0.5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양파껍질은 강력한 살균 및 곰팡이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알리 신(allicin)을 포함하여 천연식품류 중에서 곰팡이 억제 효과가 가장 탁월하다. 따라서, 양파껍질은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곰팡이 억제 기능을 부여하여 화학적인 곰팡이 억제제의 필요성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양파껍질은 추출액 또는 분말의 형태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파껍질을 추출액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양파껍질을 세척한 후, 세척된 양파껍질을 분쇄하여 양파껍질 분쇄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양파껍질 분쇄물을 압착하여 액상성분을 추출한 후, 찌꺼기(고체성분)를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양파껍질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양파껍질을 분말의 형태로서 사용하는 경우 양파껍질을 세척하여, 그 표면에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양파껍질을 나노 분쇄기에서 약 7,000 rpm의 초고속으로 나노 분쇄하여 형성되는 8,000 내지 12,000 메쉬의 미세한 양파껍질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파껍질 분말의 평균입도가 8,000 메쉬 미만이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곰팡이 억제 기능이 저하되며, 양파껍질 분말의 평균입도가 12,000 메쉬를 초과하면 곰팡이 억제 기능은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만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파껍질 분말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조성물의 살균 및 곰팡이 억제 기능이 저하되고, 양파껍질 분말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탄올 0.5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탄올은 식물성 재료가 발효되어 형성되는 천연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에탄올의 불순물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탄올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의 보존성이 저하되고, 에탄올의 함량이 1 중량부이면 상기 조성물에 충분한 보존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는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당근 추출액 0.5 내지 1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근은 비타민A의 전 물질인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발암 물질과 독성 물질을 무력화시키고, 항산화 기능이 매우 탁월하여 유해 산소가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한방에서는 당근이 심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폐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당근을 세척하여, 그 표면의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당근을 분쇄하여 당근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당근 분쇄물을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당근 추출액을 회수하여 수득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당근 추출액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조성물의 항산화 기능, 해독 기능이 저하되고, 당근 추출액의 함량이 1 중량부이면 상기 조성물에 충분한 항산화 기능이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 성분과 함량으로 포함되는 혼합물을 80 내지 90℃에서 110 내지 130분간 교반하여 겔화하고, 상온으로 급랭하고, 120시간동안 숙성하여 겔 형태를 이루는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구성한다.
이때, 조성물의 겔화 과정에서 증발되는 알칼리 이온수를 회수하여 재투입하면서 겔화시킴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제조 과정이 단순하므로 제조 원가가 저렴하다.
상기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아토피성 피부나 아토피성 습진이 발생한 피부 부위에 도포하여, 상기 피부 부위와 접촉하는 오존을 음이온화함으로써 아토피 습진 증상을 완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견운모, 귀양석 등 천연광석물 이외에도 음이온 방출을 향상시키는 알칼리 이온수와 솔잎이 더 포함되어 음이온 방출 소재로서 천연광석물만 포함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보다 음이온 방출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대한 침투력이 우수하고, 인체의 피부를 보습하는 효과가 탁월하며, 자연향인 솔향을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조성물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견운모를 나노 분쇄기[어토마이저, FUJI PAUDAL, 일본]에서 7,000 rpm의 초고속으로 나노 분쇄하여 10,000 메쉬의 견운모 분말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솔잎을 세척하고 그 표면에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며, 상기 건조된 솔잎을 나노 분쇄기에서 7,000 rpm의 초고속으로 나노 분쇄하여 10,000 메쉬의 솔잎 분말을 형성하였다.
2. 알칼리 이온수 1,000g, 10,000 메쉬의 견운모 분말 300g, 10,000 메쉬의 솔잎 분말 400g, 4,000 메쉬의 항균제 분말[Naturo BX, 내츄로진, 한국] 50g, 녹차잎 분말 100g, 양파껍질 분말 5g, 천연 에탄올[CHI BIOFU, 인도네시아] 5g, 및 당근 추출액 5g을 액상 증발분을 회수할 수 있는 반응기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3. 상기 혼합물을 85℃에서 500 rpm으로 120분간 교반하여 겔화하고, 증발되는 알칼리 이온수를 회수하여 재투입하면서 겔화하여 겔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4. 상기 겔 조성물을 급랭기에 넣고 상온으로 강제 급랭하였다.
5. 상기 급랭된 겔을 상온에서 120시간동안 숙성하여 황은색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되, 실시예 1의 견운모 300g를 미첨가하여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되, 실시예 1의 알칼리 이온수 1,000g 대신 수돗물 1,000g을 첨가하여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1)음이온 방출량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구성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대한 음이온 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음이온 방출 실험은 한국건자재시험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이온 방출 실험 방법인 KICM-FIR-1042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음이온 방출량 측정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350 Ion/㏄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원적외선 방출량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대하여 일반적으 로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출량 측정 실험 방법인 KCIM-FIR-1005에 의거하여 원적외선 방출량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원적외선 방출량 측정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파장 5 내지 20 ㎛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이 0.918, 방사에너지는 3.70 x 102 W/㎡로 나타났다.
3)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능 시험
가려움증 및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총 30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조성물 당 10명씩 1개월간 적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중 부작용, 따끔거림, 상황악화 등의 증상에 대하여서는 즉시 시험을 중지토록 하고 1개월 이내 가려움증 상태 호전에 대해 종합 평가를 측정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평가하였다. 도포방법은 환부에 대해 엷게 펴 바른 후 수회 반복하고 맛사지하듯 도포하였다.
[표 1]
육안 판정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 효과
고(高) 개선 중(中) 개선 저(低) 개선 무(無) 개선
실시예 1 7 3 0 0
비교예 1 0 4 4 2
비교예 2 0 5 3 2
상기 표 1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부위의 면적이 거의 모두 없어진 경우 고개선으로, 3/4(75%) 이상 없어진 경우 중개선으로, 1/2(50%) 이상 없어진 경우 저개선으로, 피부염 발생부위 면적의 차이가 실험전후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무개선으로 판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연광석물, 알칼리 이온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광석물 또는 알칼리 이온수가 미첨가된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완화효과를 보여주었다.
즉,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보습성이 우수하며,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여 아토피 습진의 촉진 인자인 오존 분자를 아토피 습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음이온 오존으로 전환함으로써 아토피 습진 증상을 억제,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40 내지 60Hz의 클러스터의 크기를 갖는 음이온이 하전된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
    견운모, 귀양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평균입도 8,000 내지 12,000 메쉬의 천연광석물 분말 25 내지 35 중량부;
    솔잎 추출액 또는 평균입도 8,000 내지 12,000 메쉬의 솔잎 분말 35 내지 45 중량부;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며, 평균입도가 3,000 내지 5,000 메쉬인 항균제 분말 0.5 내지 1 중량부;
    녹차잎 추출액 또는 8,000 내지 12,000 메쉬의 녹차잎 분말 7 내지 12 중량부;
    양파껍질 추출액 또는 8,000 내지 12,000 메쉬의 양파껍질 분말 0.5 내지 1 중량부; 및
    에탄올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이온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근 추출액 0.5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이 식물성 재료가 발효되어 형성되는 천연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1020080007872A 2007-01-25 2008-01-25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100890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7744 2007-01-25
KR1020070007744 2007-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569A KR20080070569A (ko) 2008-07-30
KR100890070B1 true KR100890070B1 (ko) 2009-03-27

Family

ID=3964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872A KR100890070B1 (ko) 2007-01-25 2008-01-25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79594A (ko)
KR (1) KR100890070B1 (ko)
WO (1) WO2008091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07923B2 (en) 2005-10-28 2012-02-02 Akuatech S.R.L. New highly stable aqueous solution, electrode with nanocoating for preparing the solution and method for making this electrode
WO2008131936A2 (en) 2007-04-25 2008-11-06 Akuatech S.R.L. Highly stable electrolytic water with reduced nmr half line width
ITMI20080114A1 (it) * 2008-01-25 2009-07-26 Gian Battista Ceresa Formulazioni topiche in forma di gel acquosi per il trattamento di dermatite atopica o come veicoli per la somministrazione transdermica di farmaci
KR100905437B1 (ko) * 2008-11-24 2009-07-02 (주)동양정밀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442818B1 (en) 2009-06-17 2015-07-22 APR Nanotechnologies S.A. Methods of treating outer eye disorders using high orp acid water and compositions thereof
CN101961103B (zh) * 2009-07-25 2013-05-08 铜陵市九洲天然动植物产品有限公司 蜜制富硒松针食用粉的制作方法
JP6336729B2 (ja) * 2013-09-13 2018-06-06 株式会社トータルサポートサービス 溶岩石を含有した化粧基材とこれを用いた化粧品
IT201600103224A1 (it) * 2016-10-17 2018-04-17 Claudia Panizza Preparato base potenziante l'azione di principi attiv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454A (ja) * 1995-11-06 1997-05-13 Toru Tsukada 吸着性泥岩含有パックの製造方法
KR19990078667A (ko) * 1999-07-23 1999-11-05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0376A (ko) * 2005-01-05 2006-07-10 하수용 무기 광물 용해액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43509B1 (ko) * 2006-02-24 2006-11-13 주식회사 씨쓰리 천연광석물과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용 천연염화조성물
KR20070014988A (ko) * 2005-07-28 2007-02-01 최영남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3881A2 (en) * 1984-03-02 1985-09-0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Treatment of allergie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JPS62111654A (ja) * 1985-11-09 1987-05-22 Horiuchi:Kk 抗アレルギ−食品
AU2001274526A1 (en) * 2000-06-14 2001-12-24 Fukuda, Koji Remedies for allergic diseas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2173434A (ja) * 2000-12-04 2002-06-21 Nitto Denko Corp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JP3545742B2 (ja) * 2001-11-30 2004-07-21 ハウス食品株式会社 清涼飲料水
JP2004196698A (ja) * 2002-12-18 2004-07-15 Okina:Kk 歯磨き剤
JP2006026619A (ja) * 2004-07-11 2006-02-02 Michiko Nakamura メタケイ酸鉱泉(天▲照▼フローラ水)とその製造方法
KR100626870B1 (ko) * 2004-10-15 2006-09-20 조삼동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JP4158984B2 (ja) * 2005-03-02 2008-10-01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機能性食品
KR100665857B1 (ko) * 2006-06-13 2007-01-09 조삼동 솔향을 발산하고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4454A (ja) * 1995-11-06 1997-05-13 Toru Tsukada 吸着性泥岩含有パックの製造方法
KR19990078667A (ko) * 1999-07-23 1999-11-05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0376A (ko) * 2005-01-05 2006-07-10 하수용 무기 광물 용해액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14988A (ko) * 2005-07-28 2007-02-01 최영남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43509B1 (ko) * 2006-02-24 2006-11-13 주식회사 씨쓰리 천연광석물과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용 천연염화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10-2006-80376호
공개특허 제10-2007-0014988호
공개특허 제1999-0078667호
등록특허번호 제10-0643509호
일본특개평9-124454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79594A (ja) 2008-08-07
KR20080070569A (ko) 2008-07-30
WO2008091032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CN105504966B (zh) 一种平版胶印油墨
CN105542557A (zh) 一种喷墨印刷水性uv墨水
JPH07505133A (ja) 冷却加工し,黄色液汁及びアロインを除去したアロエ・ヴェラ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治療用混合物
KR100795993B1 (ko)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342B1 (ko) 초미세먼지 차단, 흡수 제거용 마스크 팩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 팩
KR101785090B1 (ko) 수소수 혼합물의 제조 방법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506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2517350B1 (ko) 커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CN107913430A (zh) 纳米银抑菌卫生巾芯片及卫生巾
KR20120043254A (ko)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100968279B1 (ko)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한 미용 마사지 팩의 제조방법
KR20230150612A (ko) 세라믹 광물 및 유황을 이용한 디톡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8255B1 (ko) 건식 찜질용 효소 조성물
KR101203051B1 (ko)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KR20080079396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용 조성물
KR100515956B1 (ko) 머드와 허브 및 흑미분말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N106189513A (zh) 一种遮盖型纺织品喷墨印花颜料油墨
CN105691257A (zh) 一种负离子驱蚊型汽车座椅头枕及应用该头枕的汽车座椅
CN105963970A (zh) 改进型多功能儿童玩具
CN105504992A (zh) 一种遮盖型纺织品喷墨印花颜料墨水
KR100723803B1 (ko) 기능성 황토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6

Effective date: 200901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85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6

Effective date: 2009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