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153B1 -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 Google Patents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153B1
KR101134153B1 KR1020100022791A KR20100022791A KR101134153B1 KR 101134153 B1 KR101134153 B1 KR 101134153B1 KR 1020100022791 A KR1020100022791 A KR 1020100022791A KR 20100022791 A KR20100022791 A KR 20100022791A KR 101134153 B1 KR101134153 B1 KR 10113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oap
ocher
weigh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631A (ko
Inventor
백우현
김형곤
Original Assignee
백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현 filed Critical 백우현
Priority to KR102010002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1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Abstract

본원은 신체의 몸을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정비누에 있어서, 가능한 한 화학적 합성물질로 제공되는 첨가제 사용을 자제하고 자연에서 산출되는 천연물질 첨가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 특히 황토의 기능성을 비누에 적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세정용 황토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토 50~70 중량부, 소성패각분말 7~15중량부, 녹두가루 5~10 중량부, 복숭아 꽃잎가루 5~10 중량부, 갈근가루 5~10 중량부, 누에가루 5~10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0.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25~30℃ 범위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는 단계; 상기 황토숙성물 10~30 중량부를 화장비누베이스 성분 70~90 중량부에 혼합시켜 공지의 비누 제조공정에 의해 비누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비누는 세안의 효과는 물론 피부의 세정시 황토성분의 원적외선 발사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와 기타 성분이 갖고 있는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Description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loess soap including functional mixed ripe apparatus}
본 발명은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와 각종 기능성분으로 녹두가루와 복숭아꽃잎 가루와 갈근가루와 누에가루 및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시켜 일정조건에서 숙성공정을 거친 후 비누 베이스성분과 혼합된 후 성형되어 제공되는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넓은 의미의 비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인체 세정용으로 사용하는 비누는 대개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염으로서, 보통 유지를 알칼리제로 비누화시켜 만든 것으로 비누 원료인 유지의 종류는 여러 가지 조건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그 중 중요한 것은 비누에 사용되는 유지들이 각기 특유한 성질이 있으므로 제품을 만들 때에는 그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조합하여 적당한 효능, 효과를 갖도록 만들어진다.
최근 비누의 개발 경향은 어떤 특이한 기능이 부여된 것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어서 비누종류는 부유 비누, 투명 비누, 면도용 비누, 물 비누, 해수 비누, 칼리 비누, 종이 비누, 약용 비누 등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한편, 비누에 있어서 유지를 원료로 한 것은 오랫동안 보존하면 변취, 변색, 자극 등의 경향을 보이는 일이 있으며 이러한 산화에 의한 변질은 비누 본래의 효용을 저하시키게 되는바, 비누에 함유되어 있는 유지성분은 보존 중 서서히 산화되어 과산화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이 발생된 비누를 사용하게 되면 피부에 염증 반응을 일으켜서 피부에 잡티나 얼룩이 침착 되게 할 수 있고, 피부의 저항력을 약화시켜서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고 또한 활성 산소(active oxygen) 및 프리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에 의해 피부 노화를 촉진하여 미용적으로 보아 극히 이롭지 못한 작용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활성 산소 및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막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산화 방지 성분인 항산화물질을 사용하여 왔다.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공업적으로 화학합성법으로 제조된 물질인 페놀형의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 hydroxy toluen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 hydroxy anisole)이 있으며 천연 항산화물질로는 토코페롤 (tocopherol), 엘-아스코르빈산(L-ascorbic acid)이 있고, 레시틴(lecithin)을 공존시켜 사용하기도 하는바, 레시틴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공존할 때에는 산화 방지 효력을 발휘하고, 토코페롤과 공존할 때에는 토코페롤의 산화 방지 능력을 높여주도록 기능하고 또한 엘-아스코르빈산은 쿠라민(couramin)과 병용하면 한층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표면에는 수많은 오염물질이 부착되기도 하고, 신진대사에 의해 배출되는 땀과 각질화에 의해 생성되는 때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이러한 피부 트러블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인체 세정용 비누인바, 종래 사용되었던 인체 세정용 비누의 단점으로는 첫째, 수용액에서 알칼리성이 높으므로 피부의 각질층 장벽을 손상시켜 피부에 함유된 지방막과 세포간 지질을 용해하며, 그 결과 피부의 거칠음을 유발하고, 건성화를 촉진시키고; 둘째, 경수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다른
중금속이온과 결합하여 물때(scum)를 만들며, 이로 인해 모공과 땀구멍이 막히게 되고 세정력을 저하시키게 됨으로 대부분의 비누에는 순수하게 비누성분, 상세히는 고급지방산의 염만이 함유된 것이 아니고, 비누의 기능을 보충하고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물질들이 첨가되고 있다.
대표적인 첨가물질로 예를 들면 비누에 의한 물때를 제거하기 위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의 염이 있는데, 이것은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다른 중금속과 킬레이트(chelate) 화합물을 용이하게 형성해줘서 경수는 연화되어 세정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과산화지질의 생성에 촉매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철 이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비누에 함유된 유지의 산화를 방지하여 변취, 변색 등을 방지해 주며 또한,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변취, 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 hydroxy toluene; BHT)이나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butyl hydroxy anisole; BHA)과 같은 합성 산화방지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이들은 화학합성 물질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염과 합성 산화방지제인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이나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은 피부에 대한 약간의 자극이 있어 누적 사용할 경우 피부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본원은 종래와 같이 화학합성 물질로 제공되는 첨가제를 가급적 제한하고 천연물질 첨가제를 찾고자 한 것으로, 특히 황토의 기능성을 비누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으로, 황토와 녹두가루와 복숭아 꽃잎가루와 갈근가루와 누에가루 및 피톤치드 성분을 포함 혼합시켜 일정조건에서 숙성을 시킨 후 비누 베이스성분과 배합 및 성형하여 세정용 비누를 제공하는 경우 세정의 효과는 물론 피부보호와 아토피성 같은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비누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한국인들은 일찍부터 황토의 신비함을 깨닫고 황토를 일상생활에 널리 이용하여 왔는바, 동양의 지혜가 담긴 의서들,「본초강목」「동의보감」「향약집성방」「증류본초」 등에서는 황토에는 분해력, 자정력, 흡수력, 생명력, 약성 등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고, 이러한 황토의 신비와 효능은 서양건축문화의 발달과 시멘트와 화학물질의 발전으로 잠시 잊혀지고 있었으나, 시멘트의 유해성과 화학물질로 인한새집증후군 현상, 환경오염으로 자연재해를 가져오고, 여러가지 질병의 발생과 아토피 피부질환의 발생 등이 문제화되면서 다시 삶의 질을 따지기 시작하면서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운동과 함께 황토의 신비가 조금씩 밝혀지면서 그 진가를 인정받기 시작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황토의 결정구조는 2:1 층상구조를 가지는 3층 구조로서 Si와 O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octahedral sheet가 tetrahedral-Octahedral-tetrahedral sheet 와 같이 3개의 sheet가 반복적으로 겹쳐서 1개의 layer를 구성하는 2:1형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은 tetrahedral 내에 Si+4 이온 대신 Al+3 이온과 octahedral 내에 Al+3, Fe+ 3이온 대신 Mg+2, Fe+2 이온 등의 isomorphic substitution에 의하여 negative charge가 일어나며 이것을 중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원소나 이온이 부착되게 되는바 예를들면 Na+1, Ca+2, Mg+2 및 H+ 1이온 등이 부착하게 되는 이화학적인 특성을 갖는 황토는 주로 실트(Silt)크기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 간 느슨하게 교결되어 공극률이 큰 특징을 갖는다.
또한 황토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어 치유능력도 뛰어난바, 동물세계에서 짐승들은 상처가 나거나 피부병이 발생하면 황토흙 구덩이에 들어가서 온몸에 황토성분을 발라줌으로 생명 위기를 극복하는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과학적으로도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으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가 분해력, 자정력, 흡수력을 갖고 주변환경에 재활을 주며 생명력을 지탱하는데 도움을 주고있어서, 앞으로 황토의 재질적 특성을 과학적, 의학적 차원에서 유용하게 응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황토의 효능을 생활용품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의욕을 갖고 선발명 등록특허 제0432939호에서도 비누 제조공정에 황토와 탄산칼슘을 함유시킨 항균비누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허를 제시하여 등록받은바 있으며, 또 다른 선발명 등록특허 제0746694호에서는 황토와 탄산칼슘, 솔입기름, 누애똥분말을 공지된 비누베이스(향료, 염료, 중량제, 산화방지제 포함)에 추가되는 조성으로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을 받은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실시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는바, 일반적으로 피부는 피지선에서 피지가 모공을 통해서 분비되어 피부표면으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게 되나 피부 상피 세포의 비정상적인 각화에 의하여 모공이 막히고 피지가 피부표면으로 배출되지 않으면 피지가 모공 내에 뭉쳐있게 되고 여기에 병원성 세균들이 침입하게 되면 염증이 생기게 되는바 피부표면에서 피지가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는 등 개선책이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 특허기술의 상품화 과정에서 황토와 기능성 물질들이 혼합되어 일정조건에서 숙성된 후 비누베이스와 혼합되어 세정비누로 제공되는 경우 더욱 세안효과와 피부에 촉촉한 보습성을 높여주는 사실을 확인하였는바, 이는 황토와 기능물질의 혼합 및 숙성과정에서 황토의 결정구조에 무기입자의 염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화합물을 형성하며 경수를 연화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어 이루어진 발명이다.
본원은 신체의 몸을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정비누에 있어서 가능한 한 화학적 합성물질로 제공되는 첨가제 사용을 자제하고 자연에서 산출되는 천연물질 첨가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 특히 황토의 기능성을 비누에 적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은 비누의 베이스성분 70~90 중량부에 황토숙성물을 10~30 중량부를 추가하여 기능성 비누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비누는 비누의 베이스성분 이외에 황토와 소성패각분말, 녹두가루, 복숭아 꽃잎가루, 갈근가루에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혼합하여 일정 조건에서 혼합/숙성과정을 거쳐 황토숙성물을 얻은 후 이를 분쇄하여 비누베이스성분과 일정성분비로 배합하여 비누를 제공하는 경우 세안의 효과는 물론 피부의 세정시 황토성분의 원적외선 발사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와 기타 성분이 갖고 있는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기능성 비누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비누의 베이스성분 70~90 중량부에 황토숙성물을 10~30 중량부를 추가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황토비누를 제공하는 수단은 먼저, 황토 50~70 중량부, 소성패각분말 7~15중량부, 녹두가루 7~15 중량부, 복숭아 꽃잎가루 5~10 중량부, 갈근가루 5~10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0.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약간의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놓고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숙성실로 옮겨 약 25~30℃ 범위에서 48시간 이상 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은 후에, 상기 황토숙성물을 곱게 분쇄하여 비누베이스 성분 70~90 중량부에 황토숙성물을 10~30 중량부 비율로 혼합시켜 공지의 비누 제조공정에 의해 비누로 성형시켜 본원에서 원하는 황토비누를 얻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각각의 원료별 특성에 대하여 요약해 보면, 먼저 황토에는 효소성분으로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이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가 포함되어 있고 이 효소들은 각기 독소의 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정화 작용을 돕도록 기능하며, 그 중에서도 카탈라이제 효소는 생물에게 독소를 제공하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하여 생물이 살아갈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인체 내에서 대사작용 과정 중 과산화지질이라는 독소가 발생하면 노화현상이 오는데 양질의 황토 속에 몸을 넣고 있으면 흙의 강한 흡수력으로 체내 독소인 과산화지질이 중화, 희석되어 노화를 억제하고 젊음을 유지시켜 주는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황토는 영구전하를 갖고 유해물질 흡착기능을 갖는바, 영구전하는 Si-O 사면체 층에서 Si가 Al로 치환되면서 발생하게 되는바 4분 1의 Si가 Al에 의하여 치환되는 것으로 예측되고, 황토의 결정구조는 2:1 층상구조를 가지는 3층 구조로서 Si와 O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사면체 시트와 Al과 O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팔면체 시트가 사면체-팔면체-사면체-시트와 같이 3개의 시트가 반복적으로 겹쳐서 1개의 층상을 구성하는 2:1형 구조이며, 황토의 구조적 특성은 사면체 내에 Si +4이온대신 Al +3 이온과 팔면체내에 Al+3, Fe+3 이온 대신 Mg+2 , Fe+ 2이온 등의 동행치환에 의하여 음전하(negative change)가 일어나며 유해물질을 중화하기 위하여 Na+ , Ca+2, Mg+2, H+이온들이 약하게 부착된 구조를 갖고 있어서 본원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성 물질들과 혼합되어 일정조건에서 숙성되는 경우 황토의 결정구조에 무기입자의 염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화합물을 형성하며 경수를 연화시키며 세정력에 향상을 주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예측된다.
본원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소성패각분말은 남해안 등의 바닷가에 대량으로 버려지는 굴 패각류를 700~1,350℃에서 소성하여 얻은 CaO 주성분인 원료물질을 사용하여 질산암모늄 수용액과 반응시켜 질산칼슘(Ca(NO3)2 ) 수용액, 수산화암모늄(NH4OH) 수용액을 제조하고, 패각류의 소성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기체(CO2 )를 pH 7 이상과 -10~95℃에서 반응을 수행하여 탄산칼슘(CaO)를 얻고 이를 0.5~10㎛의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비누의 항균성을 높여주도록 기능 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녹두가루는 녹두 Phaseolus radiatus L.(콩과 Leguminosae)의 종자를 건조한 것으로, 약성은 차고 무독하며 맛은 달코스름 한 것으로. 한약에서는 해독작용이 있으며 녹두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은 질 좋은 아미노산이 많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본원에서 비누에 배합되는 경우 각종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를 유연하게 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복숭아꽃가루는 의학서인 "향약집성방" 및 "동의보감"에서는 "복숭아꽃은 악한 귀신을 내쫓고 살결을 부드럽게 한다."라고 복숭아꽃의 약성을 기재하고 있고 한방에서는 복숭아꽃이 반쯤 피었을 때 말린 것을 백도화라고 하여 이뇨제로, 잎은 어린아이 피부병에, 복숭아를 통째로 말린 것은 정신질환치료제로, 씨에서 뽑은 담황색 기름은 편도유라 하여 어혈을 삭히고 생리통이나 변비를 치료하는데 사용한 것으로 기재하고 있는바. 본원에서 복숭아꽃가루는 피부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5월 말에서 6월 초에 수확한 복숭아꽃의 잎을 음지에서 말려 건조후 분쇄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갈근은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나무로서 갈근은 70% 정도가 물로 되어 있으나 그 밖에 당분, 섬유질, 단백질, 철분, 인, 비타민 등이 골고루 들어 있오 열을 내리고 머리 아픈 것을 낫게 하고 혈압을 낮추는 성분들이 들어 있고 피부미용에 약효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본원에서 사용한 갈근은 늦 가을에 수확한 갈근을 1~3㎝ 길이로 절단 후 음지에서 말려 건조후 분쇄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하는 누에똥분말은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포함되어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져오록 제공되는 것으로 피부를 현미경을 통해 미세하게 살펴보면, 많은 구멍과 굴곡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누에똥분말이 첨가된 비누를 사용함에 누에똥 분말이 피부의 굴곡에 스며들어 피부를 보호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편백나무에서 추출되는 피톤치드를 이용하여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높이며 비누에서 솔잎은 상큼한 향을 발산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바, 피톤치드는 천연식물인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천연즙이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이 없는 것이 장점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피부 염증을 유발하는 균들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나며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향으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원료를 이용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공지의 비누조성물(향료, 염료, 중량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로 제공되는 조성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누를 제조할 때, 비누의 베이스성분 70~90 중량부에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황토숙성물을 10~30 중량부를 추가하는 구성으로 본원에서 원하는 기능성 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황토비누 조성물은 일반적인 화장비누와 같이 피부의 표피에 축적된 노폐물을 체외로 씻어내는 것은 물론 오염된 공기 속에 노출된 피부 표면에서 항균, 제균 및 소염, 소취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황토비누는 세안 및 피부의 세정시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를 갖고 종래의 화학적 공정으로 제공되는 첨가제 대신 자연에서 산출되는 첨가제로 대체되어 부작용의 우려가 크게 경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본원의 화장비누에 대한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발행 시험성적서.
도 2 본원의 화장비누에 대한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발행 시험성적서.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제시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예 기재는 수 많은 시행오차를 거치면서 발명자가 원하는 목적치에 근접한 것 만을 선별하여 기재한 것으로, 최적의 실시예 조성을 제시하고 제조결과물이 발명자가 원하는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 실험예를 통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원에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화장비누 소지 베이스원료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예들 들어 유지인 야자유 지방산 10중량부, 파암유 지방산 40중량부, 우지지방산 50중량부 및 4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0중량부를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2중 자켓으로 된 혼합탱크 내에서 비누화 한 직후, 여기에 PEG를 가하여 80~130℃에서 30~40 분간 혼합축의 rpm 50~70으로 혼합한 다음 동일 조건에서 전분을 혼합하여 화장비누 소지원료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화장비누 소지원료에 사용용도나 취향에 따라 향료, 염료 및 산화티기타의 첨가제를 가하고 다시 1시간 혼합한 다음 압출 성형하여 화장비누를 얻을 수 있는바, 본원에서는 상기의 화장비누 소지원료를 얻어서 이를 본원의 베이스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본원의 기술사상에서는 상기 화장비누 소지원료는 얼마든지 원하는 조성/물성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원에서는 상기 베이스성분에 본원의 황토숙성조성물을 추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장비누 소지원료인 베이스원료는 야자유 지방산 10중량부, 파암유 지방산 40중량부, 우지지방산 50중량부 및 4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0중량부를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라 2중 자켓으로 된 혼합탱크 내에서 비누화 한 직후, 여기에 PEG를 가하여 90℃에서 30 분간 혼합축의 rpm 50~70으로 혼합한 다음 동일 조건에서 전분을 혼합하여 얻은 화장비누 소지원료를 베이스성분으로 마련하여 놓고, 화장비누 베이스성분 70~90 중량부에 본원의 황토숙성물 10~30 중량부를 베이스성분에 추가하여 세안효과는 물론 피부의 세정시 황토성분의 원적외선 발사작용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와 기타 조성물 성분이 갖고 있는 특유의 효과를 살려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기능성 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기 위한 수단을 실시예로 기재하고자 하나 아래에 제시된 실시예는 발명자가 원하는 근접한 결과를 주는 실시예를 선별한 것으로 하기의 실시예 이외에 수많은 시행오차를 겪으며 목표에 근접된 대표적인 결과를 주는 자료를 실시예 형식으로 제시한 것이다.
실시예 1에서는 황토 4kg, 소성패각분말 1kg, 녹두가루 0.6kg, 복숭아 꽃잎가루 0.6kg, 갈근가루 0.6kg, 누에가루 0.6kg,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100g 을 혼합하고 양간의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25~30℃ 범위로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24시간 이상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에서는 황토 5.5kg, 소성패각분말 1kg, 녹두가루 0.6kg, 복숭아 꽃잎가루 0.6kg, 갈근가루 0.6kg, 누에가루 0.6kg,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100g 을 혼합하고 양간의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25~30℃ 범위로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에서는 황토 7kg, 소성패각분말 0.8kg, 녹두가루 0.5kg, 복숭아 꽃잎가루 0.5kg, 갈근가루 0.5kg, 누에가루 0.5kg,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100g 을 혼합하고 양간의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25~30℃ 범위로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에서는 상기 실시예 1,2,3의 결과 중에서도 실시예 2의 결과가 좋으므로 실시예 2의 조성물 중 녹두가루 및 복숭아 꽃잎가루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2의 조성물 중 녹두가루 0.6kg을 제외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성으로 얻은 황토숙성물을 이용하여 베이스원료와 혼합하여 화장비누를 얻은 것을 나타낸 것이고, 비교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2 조성중 복숭아 꽃잎가루 0.6kg을 제외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황토숙성물을 얻어 이용하였으며, 상기의 화장비누 소지원료인 베이스원료를 80 중량부로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황토숙성물을 20 중량부를 사용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은 성분조성비로 화장비누를 얻어 물성을 테스트하고자 하였다.
[표 1] : 샘플별 성분 조성비
구분 베스트
모드
샘플
실시예1(A) 실시예2(B) 실시예3(C) 비교예1(D) 비교예2(E)
황토혼합
숙성물
2kg 3.0kg 2.0kg 1.0kg 2.0kg 2.0kg
베이스원료 8kg 7.0kg 8.0kg 9.0kg 8.0kg 8.0kg
합계량 10 10 10 10 10 10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샘플들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화장비누로서의 세포보호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화장비누로서의 세포보호능 실험, 피부염 개선효과, 피부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1 : 세포보호능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의 세포보호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2까지 얻은 샘플 A~ 샘플 E에 대하여 유해한 활성 산소에 대한 세포 보호능을 측정하였는바, 세포보호능의 측정은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으로 하고자 하였는바, 건강한 20대의 성인 남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800rpm, 5분)하고 세척한 후, 얻어진 적혈구를 생리 식염수로 희석하여, 적혈구 현탁액(적혈구 6천만개/3.5㎖)을 제조하였고, 직경 1.0㎝의, 10㎖ 용량의 파이렉스 시험관 8개를 준비하고, 각각에 적혈구 현탁액을 3.5㎖씩 넣었으며 8개의 시험관중 1개는 대조군으로서 에탄올 50㎖씩을 첨가하고 나머지 7개는 처리군(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6)으로서 시료를 50㎖씩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융화시켰으며 융화가 끝난 후, 광증감제로서 헤마토포르피린(Hematoporphyrin)의 수용액(80μM) 50㎕를 첨가하고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봉한 후, 내부를 검게 칠한 50㎝*20㎝*25㎝의 직육면체의 상자 안에 20W의 형광등을 장치하고, 형광등에서 5㎝ 거리에 그 시험관들을 배열시키고, 15분 동안 광조사하였으며 광조사가 끝난 후, 시험관들을 암소에 두면서 15분 간격으로 7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파장에서 적혈구 현탁액의 투광도의 증가는 적혈구 용혈에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든 실험은 27℃의 항온실에서 실시하였고, 시료가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은 위의 측정 조건에서 첨가된 적혈구의 50%가 광용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정의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있어 유해 산소에 대한 세포 보호능을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세포보호능 측정결과
구분 샘플 A 샘플 B 샘플 C 샘플 D 샘플 E
세포보호능(min) 212 215 202 180 19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화장비누베이스원료 대 황토숙성물의 비합비가 8 : 2 조성비에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의 조성비에서도 녹두가루나 북숭아꽃잎가루가 누락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세포보호능이 약화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 : 피부트러블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샘플 A~ 샘플 E에서 얻은 화장비누에 대하여 피부트러블 개선효과를 측정을 위하여, 식품영양학과 학생 25명을 상대로 화장비누에 대한 품평을 실시하고자 하였는바, 화장비누 사용시 피부의 부드러움, 촉촉함과 더불어, 특히 여드름이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여드름 등의 개선효과에 주목하여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품평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한달간 반복하여 사용했을 때, 나타난 효과를 평균하여 5점 항목 척도법(5점 : 대단히 좋다, 1점 : 대단히 싫다)에 의해 실시하고 전체 평균치를 산정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구분 샘플 A 샘플 B 샘플 C 샘플 D 샘플 E
부드러움 4.4 4.5 4.3 3.8 3.9
촉촉함 4.5 4.6 4.6 3.9 4.1
피부트러블개선 4.3 4.8 4.5 4.0 3.7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에서도 베이스원료대 황토숙성물의 비합비가 7~9 : 1~3 조성비에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의 조성비에서도 녹두가루나 북숭아꽃잎가루가 누락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피부트러블 개선효과가 약화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 피부안전성
본원의 화장비누에 대하여 피부안정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식품영양학과 학생 25명을 상대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샘플 A~ 샘플 E에서 얻은 비누의 1%수용액을 만들어 24시간 폐쇄 첩포하여 패치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피부안정성 실험
구 분 샘플 A 샘플 B 샘플 C 샘플 D 샘플 E
반응율
(%)
첩포24시간후 0 0 0 0 0
첩포48시간후 0.2 0.2 0.2 0.3 0.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 세정용 비누들은 피부의 세포막 보호작용이 있을 뿐 아니라, 피부의 염증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피부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타 본원의 실시예 2로 얻은 기능성 황토비누 샘플 B 제품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유해물안정성 검사를 받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시험성적서를 통하여 유해물이 검출되지 않음을 입증하는 시험성적서를 받아 도 1 자료로 제시하고, 또한 본원의 실시예 2로 얻은 기능성 황토비누 샘플 B 제품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을 외뢰 하였으며, 그 결과 시험성적서를 통하여 세균감소율이 99.9%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를 받아 도 2 자료로 제시한다.
본원의 도 1에 제시된 자료는 본원의 화장비누에 대하여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음을 밝히는 시험성적서이고, 도 2에 제시되는 자료는 본원의 화장비누에 대하여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서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결과를 밝힌 내용의 것으로 부호설명이 필요없는 내용임.

Claims (2)

  1. 세정용 황토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토 50~70 중량부, 소성패각분말 7~15중량부, 녹두가루 5~10 중량부, 복숭아 꽃잎가루 5~10 중량부, 갈근가루 5~10 중량부, 누에가루 5~10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0.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25~30℃ 범위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는 단계;
    상기 황토숙성물 10~30 중량부를 화장비누베이스 성분 70~90 중량부에 혼합시켜 공지의 비누 제조공정에 의해 비누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비누의 제조방법.
  2. 세정용 황토비누에 있어서,
    황토 50~70 중량부, 소성패각분말 7~15중량부, 녹두가루 5~10 중량부, 복숭아 꽃잎가루 5~10 중량부, 갈근가루 5~10 중량부, 누에가루 5~10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인 피톤치드 0.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수를 부어 황토혼합물 덩어리를 만들어 25~30℃ 범위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켜 황토숙성물을 얻은 후에 황토숙성물 10~30 중량부를 화장비누베이스 성분 70~90 중량부와 혼합하고 공지의 비누 제조공정에 의해 성형되어 제공되는 황토비누.

KR1020100022791A 2010-03-15 2010-03-15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KR10113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791A KR101134153B1 (ko) 2010-03-15 2010-03-15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791A KR101134153B1 (ko) 2010-03-15 2010-03-15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31A KR20110103631A (ko) 2011-09-21
KR101134153B1 true KR101134153B1 (ko) 2012-04-09

Family

ID=4495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791A KR101134153B1 (ko) 2010-03-15 2010-03-15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300B1 (ko) * 2016-02-01 2016-06-03 강근영 달걀 껍질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KR102431866B1 (ko) * 2020-04-09 2022-08-18 이성재 천연재료 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비누
KR102531518B1 (ko) * 2021-02-01 2023-05-10 황정식 미백 및 항산화 성능을 가지는 편백 지장수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66A (ko) * 1997-07-07 1999-02-05 김선자 피부의 세정 및 미용을 위한 비누의 조성물
KR20070063092A (ko) * 2005-12-14 2007-06-19 황영규 천연원료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0837796B1 (ko) 2007-12-06 2008-06-13 김홍열 중성칼슘황토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941B1 (ko) 2007-06-25 2009-09-25 박장용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66A (ko) * 1997-07-07 1999-02-05 김선자 피부의 세정 및 미용을 위한 비누의 조성물
KR20070063092A (ko) * 2005-12-14 2007-06-19 황영규 천연원료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0918941B1 (ko) 2007-06-25 2009-09-25 박장용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7796B1 (ko) 2007-12-06 2008-06-13 김홍열 중성칼슘황토비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31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CN105395467B (zh) 一种中药组合物、美肤化妆品及其应用
KR20080101821A (ko)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2992B1 (ko) 항균성 황사마스크
KR20150065452A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20160116733A (ko) 카렌듈라 인퓨즈드 오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KR101089879B1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KR101297083B1 (ko) 싸리나무오일이 첨가된 천연비누 제조 방법
CN104985963A (zh) 一种电气石与活性炭复配的新型文具收纳装置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902B1 (ko)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3596A (ko) 피부노화 방지와 아토피 및 여드름과 같은 피부염 치료에우수한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재 미용 마스크 팩
KR101643241B1 (ko) 피부 민감용 천연비누 조성물
KR20170103390A (ko) 미네랄이온활성수를 포함하는 무독성 방부 조성물
KR101910716B1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KR20160116731A (ko) 로즈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92456A (zh) 一种天然养颜铁皮石斛护肤水及其制备方法
KR960002195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10194971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가 있는 한방비누의 제조방법
KR101203051B1 (ko)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