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517B1 -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517B1
KR102477517B1 KR1020200087234A KR20200087234A KR102477517B1 KR 102477517 B1 KR102477517 B1 KR 102477517B1 KR 1020200087234 A KR1020200087234 A KR 1020200087234A KR 20200087234 A KR20200087234 A KR 20200087234A KR 102477517 B1 KR102477517 B1 KR 10247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ushroom
types
cheonma
mushro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034A (ko
Inventor
이재갑
채희원
Original Assignee
이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갑 filed Critical 이재갑
Priority to KR102020008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5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 배지를 이용한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천마 배지에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노구궁뎅이버섯으로 이루어진 6종 버섯 혼합물을 천마배지 중량 대비 0.9 내지 9 중량부 접종하는 단계; (c) 상기 6종 버섯 혼합물의 접종이 완료된 천마배지를 24 내지 26℃에서 24 내지 26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마 배지를 이용하여 6종의 버섯, 즉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의 복합배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복합배양방법에 비해 빠른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항암,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물질인 베타글루칸을 기존의 복합배양방법을 사용한 경우 보다 더 높거나 그에 준하는 양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COMPLEXED CULTURE METHOD OF 6 TYPES OF MUSHROOM MYCELIUM USING GASTRODIA ELATA BLUME MEDIUM}
본 발명은 6종 버섯 균사체를 복합 배양하면서도 배양시간을 단축하여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마 및 내추럴 매직수를 포함하는 천마 배지를 이용하여 6종 버섯의 균사체를 복합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자균류에 속하는 버섯(mushroom)은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성장하는 중요한 식품 자원이면서 약용식물이다. 버섯은 그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독특하며 단백질, 비타민 및 기타 무기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최근 연구에 의하면 버섯류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인 글루칸(glucan)유도체들에 의한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보고되어 건강식품으로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루칸은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 존재하는 물질로서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비 특이적 면역반응으로 인간의 정상 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시켜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면역세포인 T세포와 B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준다. 이 외에도 베타글루칸은 혈당강하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우수하며,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항 비만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동충하초(Vegetable Worms)는 대부분 곤충을 숙주로 하여 기생하여 상기 곤충의 시체에 자실체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을 지닌다. 숙주의 종류에 따라 나비를 숙주로 하는 붉은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매미를 숙주로 하는 매미 동충하초(C. sobolifera), 벌을 숙주로 하는 벌 동충하초(C. sphecocephala)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딱정벌레, 메뚜기, 거미를 숙주로 하는 동충하초도 있다. 면역 기능 강화, 항암, 호흡기 기능의 회복, 노화 억제, 피로 회복, 비만이나 빈혈 억제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여름에 활엽수 뿌리에서 발생한다. 진시황의 불로초라고도 알려져 있고 본초강목에서는 인삼과 함께 이 버섯을 상약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영지버섯은 강장, 진해,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호흡기 질환, 신경쇠약, 심장병,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고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며 항암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러시아, 캐나다, 일본 홋카이도와 같은 한랭지역에서 자생하는 자작나무, 오리나무 등에 기생하는 균핵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차가버섯이 C형 간염 예방과 간암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 미국에서도 차가버섯이 특수 천연 물질로 분류되어 미래 제약 및 건강식품으로 개발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에서 위암 환자와 당뇨병 환자에게 차가버섯을 사용한 결과, 그 효과가 기타 버섯류에 비해 뛰어났던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 외에 차가버섯이 신체 저항력 증가, 종양 발생 억제, 미백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 편에 기록되어 있다.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다.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상황버섯은 자궁출혈, 월경불순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종양 억제, 면역력 강화 및 미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 줄기나 그루터기에 뭉쳐서 발생한다. 하얀 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처럼 보이며 송이와 비슷한 향을 낸다. 가을에 침엽수를 자른 그루터기나 고목의 언저리에서 자생한다. 꽃송이버섯은 면역 증강, 고혈압 억제, 혈당 상승 억제, 혈액 순환 개선, 조혈 작용등의 효과가 있다.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은 노루궁뎅이의 지름은 5~20㎝ 정도로 반구형이며, 주로 나무줄기에 매달려 있다. 윗면에는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전면에는 길이 1~5㎝의 무수한 침이 나 있어 고슴도치와 비슷해 보인다. 처음에는 백색이나 성장하면서 황색 또는 연한 황색으로 된다. 조직은 백색이고, 스펀지상이며, 자실층은 침 표면에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며, 포자모양은 유구형이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의 줄기에 홀로 발생하며, 부생 생활을 한다. 건조하면 스펀지 모양이 되며, 물을 빨아들인다. 노루궁뎅이버섯은 주로 식용, 약용, 항암 버섯으로 이용한다. 농가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주로 톱밥을 이용한 인공재배가 이루어진다.
상기 버섯류는 뛰어난 항암 효과 및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다고 공통적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은 물론 의약품의 제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버섯류를 의약품, 기능성 식품의 혼합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섯의 자실체(야외에서 흔히 보는 버섯의 갓 부분)를 채취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버섯 자체가 자연 상태에서 번식이 잘 되지 않는다는 점과 채취 남용으로 인해 자원 고갈 및 생태계 파괴가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톱밥 등을 이용하여 자실체를 재배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이러한 방법은 재배 기간만 수개월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산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생산 시설 및 경비가 소요되는 점 때문에 대량 생산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 노루궁뎅이버섯의 자실체는 항암제나 면역 증강제로서 효과가 있음에도 그 공급이 제한적이며 대량 생산 및 속성 생산이 용이하지 않아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버섯들에 대하여 버섯의 자실체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버섯의 균사체를 생산할 수 있는 대량 배양 방법 및 속성 배양 방법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균사체란 버섯의 아래 뿌리 부분으로서 우거진 숲 속에 쌓여있는 낙엽을 들춰보면 흔히 볼 수 있는 백색의 솜털 또는 실오라기처럼 보이는 곰팡이의 몸체를 말한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218897호, 제393254호에는 상황버섯 균사체의 배양방법, 한국등록특허 제432472호, 제465283호에는 동충하초의 배양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889927호, 제889930호에는 이미 상황버섯과 차가버섯의 균사체를 복합배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922311호에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 균사체를 복합 배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218897호 (상황균사체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황균사체의 배양방법) 2. 한국등록특허 제10-0393254호 (상황버섯 속성 배양배지 및 이를 이용한 상황버섯 균사체속성 배양방법) 3. 한국등록특허 제10-0432472호 (동충하초속균의 자실체 및 균사체의 대량 생산방법) 4. 한국등록특허 제10-0465283호 (동충하초 균사체 및 그 배양 방법) 5. 한국등록특허 제10-0889927호 (누에를 이용한 차가 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의 복식 또는 단식 배양 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 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6. 한국등록특허 제10-0889930호 (곡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복식 대량 배양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7. 한국등록특허 제10-0922311호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8. 한국등록특허 제10-1405160호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1. 네이쳐 이뮤놀로지(면역학) 연구논문-베타1-3D글루칸이 폐렴에 대한 항염, 항균효과 2. 한국생명과학연구원 연구결과 - 미생물이 생산하는 베타글루칸의 면역활성효능 3.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공동 연구 - 항비만 효과(다이어트), 체지방축적 억제
본 발명은 천마 배지를 이용하여 6종의 버섯, 즉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의 복합배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복합배양방법에 비해 빠른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항암, 항염 효과를 내는 기능성 물질인 베타글루칸을 기존의 복합배양방법을 사용한 경우 보다 더 높거나 그에 준하는 양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복합배양방법으로 제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 및 이의 추출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천마 배지 100 중량부 대비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노루 궁뎅이버섯으로 이루어진 6종 버섯 혼합물을 100 내지 900 중량부 접종하는 단계; (c) 상기 6종 버섯 혼합물의 접종이 완료된 천마배지를 24 내지 26℃에서 24 내지 26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천마를 절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천마분말에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는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 총중량 대비 내추럴 매직수와 물을 1 : 99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는 전체 천마배지 총중량 대비 50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천마배지는 pH(수소이온농도)가 7.0 내지 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배양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배양 방법으로 제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복합배양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버섯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마 배지를 이용하여 6종의 버섯, 즉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의 복합배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복합배양방법에 비해 빠른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항암,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물질인 베타글루칸을 기존의 복합배양방법을 사용한 경우 보다 더 높거나 그에 준하는 양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혼합 배양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혼합 배양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문헌 중 비 특허문헌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b); 상기 천마 배지 100 중량부 대비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으로 이루어진 6종 버섯 혼합물을 100 내지 900 중량부 접종하는 단계; (c) 상기 6종 버섯 혼합물의 접종이 완료된 천마배지를 24 내지 26℃에서 24 내지 26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천마를 절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천마분말에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는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 총중량 대비 내추럴 매직수인 원액과 물을 1 : 99 중량%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 水(수)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05160호를 바탕으로 하여 제조된 미네랄이 풍부한 물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405160호의 미용수 조성물을 원액으로 하여, 원액인 내추럴 매직수 1 중량%와 물 99중량%를 희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원액을 1중량% 초과하여 희석하는 경우 상기 비율(1:99)로 희석하여 제조된 내추럴 매직 미네랄 수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복합배양균사체의 생장이 더디게 진행되어 40일 이상 배양기간이 걸리게 된다. 상기 멸균은 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는 천마배지 총중량 대비 5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가 천마배지 총중량 대비 50중량% 미만이면 배지 내 수분 함량 부족으로 상기 복합배양균사체의 생장 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가 70중량%를 초과하면 배양기간이 늘어나 배양시간 대비 복합배양균사체 수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천마배지는 pH(수소이온농도)가 7.0 내지 8.0일 수 있다. 천마배지의 pH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배양기간이 늘어나 배양시간 대비 복합배양균사체 수율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으로 제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복합 배양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버섯추출물이다.
버섯 추출물은 버섯 균사체 또는 자실체에 증류수, 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된 용매를 가하여 열 또는 상온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섯 추출물은 복합배양균사체 기준으로 2 내지 6 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열수추출하고, 열수추출물은 여과 후 F/D 진공동결 건조법, V/D 진공감압 건조법, 열풍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으로 실시하여 분말화한다. 상기 F/D 진공동결 건조법은 추출액을 급냉시킨 다음 이를 -20 내지 -80 ℃의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V/D 진공감압 건조법은 추출액을 농축시킨 다음 60 내지 65 ℃의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고, 열풍건조법은 추출액을 농축시킨 다음 60℃ 이상의 가열된 바람을 불어넣어 건조시키는 방법이며, 상기 분무건조법은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분무하여 100℃ 이상의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복합배양균사체는 베타 글루칸을 포함하고 있어, 항암용 약학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고, 장내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을 활성화하여 과민성 대장염, 설사, 변비, 비반 개선에 사용될 수 있으며,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어 세포손상을 개선하고, 체내에 쌓인 과잉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효소인 슈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을 강화하여 피부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배양균사체에는 천마와 노루궁뎅이 버섯에 포함되어있는, 뇌활동 개선에 탁원한 에르고티오닌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뇌혈류 관련 질병인 뇌졸중, 뇌경색, 중풍, 고혈압에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뇌신경 세포 증식 인자의 합성 촉진 물질인 헤리세논 D(Hericenone D) 와 에리나신 C(Erinacine C)을 더 포함하여 우리 몸에서 뇌를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버섯균사체는 소장의 끝(Payer’Patch)에 까지 잘 전달되어, 장내에서 유익균으로서 면역 활동을 극대화 시킨다. 버섯 복합균사체와 유산균은 인체에 유익한 균이지만, 아무리 유익한 균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몸의 장까지 잘 전달되어야 효능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유산균을 포함한 대부분 유익균은 위산에 사멸되어 약 10%이하가 소장에 도달하지만, 버섯균사체는 “포자형”이므로 거의 대부분 소장 끝까지 도달할 수 있다. 버섯 균사체는 생육조건이 적합하지 않을 때 외부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것이 포자이다. 균사체가 포자 안으로 들어가 활동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아포”라고 하는데 “아포”상태에서는 열, 건조와 같은 물리적 처리뿐만 아니라 산 등의 화학적 처리에도 매우 강한 내성을 가지게 된다. 즉 아포 상태에서는 여간해서는 죽지 않고, 열악한 환경을 필사적으로 견디어 낸다. 버섯 균사체의 경우 이 기간 동안 아포 상태로서 일체의 대사를 중단하고 환경이 호전되기를 기다렸다가 생육환경이 적합한 우리 몸의 장안에 도달하게 되면 포자를 깨고 나와 활동을 한다. 따라서 버섯균사체는 소장의 끝(Payer’Patch)에 까지 잘 전달되어, 장내에서 유익균으로서 면역 활동을 극대화 시킨다. 또한 장내 유익균이 많아짐으로 인해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일명 “행복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배양균사체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이다. 상기 복합배양균사체와 이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이나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약품, 환자를 위한 유동식,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동물의 사료, 식물의 질병 발생을 억제하는 유기 비료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복합배양균사체와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의 배양
천마를 절단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그리고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 총중량대비 한국등록특허 제 10-1405160호 미용수 조성물인 원액(내추럴 매직수)과 물을 1:99 중량%로 혼합하여 내추럴 매직 미네랄 수를 제조하였다. 그 후 내추럴 매직 미네랄 수를 천마 분말에 분무기로 뿌려 천마 배지 총 중량 대비 내추럴 매직 미네랄 수를 50 내지 70 중량%로 조정하고, pH를 7.0 내지 8.0으로 맞추어 천마배지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스테인레스 재질의 복합배양케이스에 상기 천마 배지 500g을 넣고 멸균기에서 85℃ 온도로 2시간 동안 멸균하였다. 그리고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를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무균처리하고 식용하지 않는 버섯의 아래쪽 밑둥을 1~2㎝씩 제거하였다. 이 후, 복합배양케이스를 꺼내어 25℃로 냉각한 다음 상기 버섯 자실체들을 잘라 각각 83g씩 복합배양케이스 안의 천마배지에 접종하였다. 이어서 상기 복합배양케이스를 배양실로 옮겨 24 내지 26℃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을 시작한 지 8일 후 배양액 위에서 6종 버섯 각각의 균사체가 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고, 배양 시작 후 25일째가 되었을 때 베타클루칸 등 고분자 물질이 다량 생성된 회백색의 복합배양균사체가 배양액 위에 가득 차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복합배양균사체의 배양기간이 30 내지 40일, 길게는 50일까지 걸리는 반면, 상기 천마 배지를 사용하여 복합배양균사체를 배양한 경우 25일 만에 배양이 완료되었는바 약 16.6 내지 50% 가량 배양기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상기 조건으로 생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 분말 200g의 성분 분석을 한국기능식품연구소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222.71 mg/g 으로 나왔다.
시험·검사성적서
시험 ·검사 항목 시험 검사 결과
베타글루칸(mg/g) 222.71 mg/g
분석법-[베타글루칸] 건강기능식품공전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천마배지와 버섯 혼합물을 혼합한 조성물 총 중량 100% 중에서, 천마배지 30 중량%, 6종 버섯 혼합물을 70중량%가 되도록 천마배지와 버섯 혼합물을 혼합하여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를 배양하였고, 배양 시작 후 25일째가 되었을 때 회백색의 복합배양균사체가 배양액 위에 가득 차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조건으로 생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 분말 200g의 성분 분석을 한국기능식품연구소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253.57 mg/g 으로 나왔다.
시험·검사 성적서
시험 ·검사 항목 시험 검사 결과
베타글루칸(mg/g) 253.57 mg/g
분석법-[베타글루칸] 건강기능식품공전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천마배지와 버섯 혼합물을 혼합한 조성물 총 중량 100% 중에서 천마배지 10중량%, 6종 버섯 혼합물을 90중량%가 되도록 천마배지와 버섯 혼합물을 혼합하여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를 배양하였고, 배양 시작 후 25일째가 되었을 때 회백색의 복합배양균사체가 배양액 위에 가득 차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조건으로 생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 분말 200g의 성분 분석을 한국기능식품연구소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344.39 mg/g 으로 나왔다.
시험·검사 성적서
시험 ·검사 항목 시험 검사 결과
베타글루칸(mg/g) 344.39 mg/g
분석법-[베타글루칸] 건강기능식품공전
비교예 1.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를 제외한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의 배양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를 일반 음용수로 대체하였다. 그 결과 배양 시작 후 40일이 되었을 때 회백색의 복합배양균사체가 배양액 위에 가득 차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조건으로 생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 분말 200g의 성분 분석을 한국기능식품연구소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222.31 mg/g 으로 나왔다.
시험·검사성적서
시험 ·검사 항목 시험 검사 결과
베타글루칸(mg/g) 222.31 mg/g
분석법-[베타글루칸] 건강기능식품공전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천마 배지 100 중량부 대비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노루궁뎅이버섯으로 이루어진 6종 버섯 혼합물을 900 중량부를 접종하는 단계;
    (c) 상기 6종 버섯 혼합의 접종이 완료된 천마배지를 24 내지 26℃에서 24 내지 26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천마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천마를 절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천마분말에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는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 총중량 대비 내추럴 매직수와 물을 1 : 99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내추럴 매직 미네랄수는 천마배지 총중량 대비 50 내지 70 중량%이고, 상기 천마배지 pH(수소이온농도)가 7.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배양방법으로 제조된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
  6. 제5항의 6종 버섯의 복합배양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버섯추출물.
KR1020200087234A 2020-07-15 2020-07-15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KR10247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234A KR102477517B1 (ko) 2020-07-15 2020-07-15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234A KR102477517B1 (ko) 2020-07-15 2020-07-15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34A KR20220009034A (ko) 2022-01-24
KR102477517B1 true KR102477517B1 (ko) 2022-12-15

Family

ID=8004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234A KR102477517B1 (ko) 2020-07-15 2020-07-15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5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621A (ja) * 2001-06-15 2002-12-24 Ryuichi Fukushima キノコ栽培用菌床およびキノコの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897B1 (ko) 1997-06-13 1999-10-01 김준 상황균사체 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황균사체의 배양방법
KR100393254B1 (ko) 2001-03-21 2003-07-31 남경수 상황버섯 속성 배양배지 및 이를 이용한 상황버섯 균사체속성 배양방법
KR100465283B1 (ko) 2002-02-07 2005-01-13 김삼덕 동충하초 균사체 및 그 배양 방법
KR100432472B1 (ko) 2002-03-22 2004-05-20 이광현 동충하초속균의 자실체 및 균사체의 대량 생산방법
KR20050012053A (ko) * 2003-07-24 2005-01-31 에이치엔엠바이오(주) 버섯 배양방법
KR100889930B1 (ko) 2008-08-27 2009-03-24 이태봉 곡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복식 대량 배양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9927B1 (ko) 2008-08-27 2009-03-24 이태봉 누에를 이용한 차가 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의 복식 또는 단식 배양 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 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2311B1 (ko) 2009-06-10 2009-10-21 이태봉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KR101269410B1 (ko) * 2011-09-21 2013-06-04 이태봉 버섯배지를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합배양방법
KR101405160B1 (ko) 2011-10-07 2014-06-12 김주태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621A (ja) * 2001-06-15 2002-12-24 Ryuichi Fukushima キノコ栽培用菌床およびキノコの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34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KR101358648B1 (ko) 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영지버섯의 복합배양방법
KR102083026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1177245B1 (ko)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1704A (ko) 버섯배지를 이용한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합배양방법
KR20150042529A (ko) 우수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도라지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851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품
JP6534443B2 (ja) 竹発酵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免疫賦活用食品組成物又は免疫賦活剤の製造方法
CN107811279A (zh) 一种药食用真菌发酵核桃青皮的方法及其发酵制品与应用
KR20100104408A (ko) 현미를 이용한 밀리타리스동충하초 균사체와 그를 이용한 건강보양용 밀타리스동충하초 삼계탕
KR101167295B1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9269A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WA et al. Bioactive potential of some fascinating edible mushrooms Macrolepiota, Russula, Amanita, Vovariella and Grifola as a treasure of multipurpose therapeutic natural product
CN109730315A (zh) 一种抗疲劳、提高免疫力的黄精食用菌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2477517B1 (ko) 천마 배지를 이용한 6종 버섯 균사체의 복합 배양 방법
TW202041226A (zh) 一種菇類及/或其培養基質萃取物用於製備抗憂鬱與舒緩情緒組合物之用途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70104293A (ko) 버섯 재배용 배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615410A (zh) 一种桑蚕蛹虫草茶及其制作方法
KR20120096410A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9940A (ko) 발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차 추출물
KR20220020147A (ko)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또는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2162684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