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410A -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410A
KR20120096410A KR1020120007050A KR20120007050A KR20120096410A KR 20120096410 A KR20120096410 A KR 20120096410A KR 1020120007050 A KR1020120007050 A KR 1020120007050A KR 20120007050 A KR20120007050 A KR 20120007050A KR 20120096410 A KR20120096410 A KR 20120096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aging
fermenta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섭
정택규
김미진
곽노신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12000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410A/ko
Publication of KR2012009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4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61K36/835Aquil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및 침향으로 구성된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기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은 실험결과 항산화 효과,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외에도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antiaging effect comprising of oriental medical herbs' extracts fermene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및 침향으로 구성된 허브식물의 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의 다양한 소재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체의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자연 노화)와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한 외인성 노화(광노화)로 나눌 수 있다. 다량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는 높은 농도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 생성된다. 인체 피부는 복잡한 항산화 방어망이 발달되어 있어서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보호작용을 나타내지만 계속된 활성산소의 공격은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계를 파괴시킨다. 결과적으로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라디칼(1O2, O- 2, H2O2, -OH) 및 활성카르보닐화합물 유래의 라디칼종(RO-, ROO-, ROOH)에 의한 지질과산화반응은 세포막과 관련된 기능과 구조를 변형하거나 DNA 손상 및 단백질 변성 등을 초래하여 인체의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화장품 제조 기술분야에는 생약재료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보습력과 노화개선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생약 재료를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들은 소망하는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등의 효과가 극미할 뿐 아니라, 상기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생약 발효액 추출물은 다른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생약 속에 있는 당분이 알코올로 발효되고 숙성 과정을 거치는 동안 생약재료 속에 함유한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 성분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게 되며, 그 결과 뛰어난 노화 방지 효과가 기대된다. 즉, 상기 생약 재료의 발효 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자극이 없이 안정하면서도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는 인삼사포닌 대사산물에 관한 것(대한민국특허 제10-0835864호), 아미노산 복합물에 관한 것(대한민국특허 제10-0490212호), 장뇌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513902호), 레티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789342호), 녹용주재 한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570096호), 석창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602813호), 거피흑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635783호), 대두황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628518호), 도화(복숭아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대한민국특허 제10-5266370호), 백산차추출물을 함유하는 것(특허출원 제10-2003-42520호) 등이 각각 공지되어 있다.
또, 복합식물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것이 대한민국특허 제10-564108호 및 제10-2004-76103호 등으로 공지되어 있으나, 전자는 단지 건조한 당귀, 숙지황, 천궁, 하수오, 행개 등 혼합원료를 열수추출 또는 유기용매추출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그리고 후자는, 건조한 녹두, 백지, 백금, 사인, 승마, 정향 등을 열수추출 또는 유기용매 추출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일 뿐 식물재료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 노화 방지효과는 증대될 수 있어도 피부의 안전성은 보장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에 의한 발효추출물은 미생물세포의 활성과 증식에 유해하지 않은 것이므로 인체 피부세포에도 유해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부에 비자극성이면서 피부질환이 유발되지 않아 안전하며 나아가, 항산화 효과와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한 신규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균주를 맥아추출 배지를 사용하여 전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한방발효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와; 상기 여과액을 숙성시키는 단계로 구성하고 한방발효추출물을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침향 중 하나이상의 생약원료에 접종시켜 발효하여 수득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한다.
이상의 실험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및 침향으로부터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한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항산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및 콜라겐 합성에 있어서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피부 노화 방지에도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상세히 설명한다.
저령(猪笭, Polyporus umbellatus)은 구멍장이버섯과이며, 활엽수림 내의 오리나무, 참나무류의 산 뿌리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검고 큰 균핵이다. 표면은 검은 껍질에 싸여 있고, 내부는 백색이며 촘촘하고 땅속에 있는 균핵에서 자실체가 발생해 저령버섯이 된다. 동의보감에 수록된 희귀약용버섯으로, 성질은 평하며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담백하다. 단백질, 에르고스테론, 다종 무기염, 트리테르페노이드, 2-hydroxytertracosanic acid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한의학상 해열, 이뇨, 건위정장, 소갈증, 수두, 습을 없애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수종과 배뇨장애를 치료효과가 알려져 있다. 피부학적으로는 피부의 종기를 없애는 효능만이 알려져 있다.
신곡(神麴, Massa Medicata Fermentata)은 (적)소두가루, 행인가루, 청호즙, 창이자즙 등을 밀가루 또는 밀기울과 반죽하여 누룩과 같이 만들어 발효 시킨 것인데 내과적으로 비장과 위에 작용하여 소화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왔으며, 산후 어혈에 의한 복통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되어 왔다(중약대사전). 피부학적으로는 안면의 혈액 순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호두(일명, 노루궁뎅이 버섯, Hericium erinaceus)는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턱수염버섯과의 버섯으로 가을에 활엽수의 생목 또는 죽은 나무위에 발생하는 목재 백색 부후성 버섯으로,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다양하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노루궁뎅이의 털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노루궁뎅이 버섯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원숭이의 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후두고’라 불리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산중의 수도승이 입은 의상 앞뒤로 걸친 띠에 달린 둥근 장식과 흡사하다하여 ‘야마부시 타케’라 하여 동양권에서는 오랫동안 식용하여 왔다. 노루궁뎅이버섯은 향이 강하고, 맛이 좋으며, 노루궁뎅이버섯에서만 특별히 발견되는 다당체(Hericium Polysaccharide) 성분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그리고 인체의 결함이 있는 세포를 둘러싸서 먹어치우는 대식세포나 림프구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위암과 대장암의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위염 등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 약용 버섯에만 들어 있는 올레아놀릭산(Olenolic Acid)은 특히 노루궁뎅이버섯에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위산으로부터 위벽을 보호하고 위와 장의 기능을 개선시키며 궤양을 치료하고 만성위염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작용과 관상동맥에 피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왔다.
또, 동충하초(冬蟲夏草, Cordyceps sinensis)는 맥각균목 동충하초과의 작은 버섯으로, 대부분 곤충에 기생하여 숙주가 되는 곤충의 사체에 자실체를 내며, 하초동충이라고도 한다. 자실체는 머리, 줄기의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머리 부분은 구형, 방추형, 주걱 모양 등으로 불룩해지고, 그 표면 또는 표피 밑에 다수의 자낭각을 형성한다. 숙주가 되는 곤충은 나비, 매미, 벌, 거미 등인데, 이들 균은 숙주를 죽이고 그 곳에 자실체를 낸다. 따라서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에서 동충하초란 이름이 붙여졌다. 성질은 덥고 맛은 달며 독이 없으며, 폐를 보호하고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 감기, 폐결핵, 고혈압, 남성 성기능장애, 심혈관 계통과 호흡기계통에도 현저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균작용, 면역력 증가와 항암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동충하초의 코디세핀(cordycepin)은 저하된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키며, 코디세픽산(cordycepic acid)은 뇌수종 경감시키며, 이뇨작용에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이 외에도 면역력 증가, 심장 및 간장 보호, 암 억제, 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다당체와 비타민, 미네랄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편, 침향(沈香, Aquilaria agallocha)은 가남향(伽香), 기남향(奇南香), 밀향(蜜香), 잔향(棧香), 침수향(沈水香)이라고도 불리며 팥꽃나뭇과(서향과, 瑞香科, Thymelaeaceae) 식물 중 수지(樹脂)를 함유한 목재로서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주요 산지로 알려져 있다. 침향수(沈香樹) 높이는 30~40 m이며 나무 표면이나 내부에 상처를 입게 되면 상처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수지가 자연히 형성되는데, 오랜 시간 후 수지가 일정 농도에 다다르면 채취하여 침향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지는 침향수 내부나 썩은 부분에 자연히 형성되기도 하며 그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비경, 위경, 신경에 작용한다. 기를 내리고 위를 덥혀주며 아픔을 멈추며 양기를 보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침향을 알칼리로 비누화하고 수증기 증류하면 정유를 얻을 수 있는데, 상기 정유의 주성분은 벤질아세톤, p-메톡시벤질아세톤, 테르펜알코올, 히드로계피산과 p-메톡시히드로계피산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침향의 생약재료를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 .)의 미생물균주로 발효하고 수득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균주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인체에 무독성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 usamii), 아스퍼질러스 가와치(Aspergillu kawachi) 및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를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인체에 무독성으로 알려져 있고 오랜 기간 발효에 많이 사용해온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 oryzae)이다.
또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상기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여 배양 후 수득된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및 침향 발효 추출물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기는 저령, 신곡, 호두(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 및 침향을 각각 중량비 1:1:1:1로 혼합하고 여기에 상기 발효 미생물의 배양물을 첨가, 발효시켜 수득한 얻어진 혼합물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생약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피부 노화 효과(efficacy)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으며,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전성(safety)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화장료로서의 피부외관이나 사용 시 오히려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는 없으나, 예를 들면, 화장수류, 에센스류, 로션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와 같은 기초제품, 색조제품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멸균한 1000 mL 쉐이크 플라스크 2개에 각각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맥아추출 배지(malt extract broth, maltose 1.8 g/L, glucose 6 g/L, yeast extract 1.2 g/L, malt extract 6 g/L)와 함께 무균주입 후 30℃에서, 2일간 호기적으로 배양하여 그의 전배양액 1 L을 준비한다. 다음에 저령, 신곡, 호두(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 및 침향을 각 건조분말 또는 그 각 건조분말을 중량비 1:1:1:1:1로 혼합한 생약재료 10 kg를 발효기에 투입하고 10 L의 증류수를 가한 후 탄소원으로서 포도당(2%, w/w)을 첨가 혼합한 다음,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전배양액 3중량% 무균적으로 접종시켜 3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속도 100 rpm의 호기 조건으로 발효하였다. 발효종료 후 발효액을 원심분리(10,000 rpm)하여 발효균주를 1차 제거한 다음 0.25 μm 여과지를 사용하여 2차 여과 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여과액을 4℃ 저온 창고에서 넣어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숙성액을 다시 꺼내 0.25 μm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최종 여과하였다. 여과를 완료한 후 이어 시료물질을 감압농축하거나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 한방발효추출물 실시예 1 내지 6 원료로 사용하였다(표 1).
구분 생약재료
실시예 1 (단독발효추출물) 저령
실시예 2 (단독발효추출물) 신곡
실시예 3 (단독발효추출물) 호두(노루궁뎅이버섯)
실시예 4 (단독발효추출물) 동충하초
실시예 5 (단독발효추출물) 침향
실시예 6 (발효복합추출물) 저령:신곡:호두:동충하초:침향(1:1:1:1:1)
실험예 1. 섬유아세포 증식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104세포/웰 밀도로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 plate)에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본 발명 상기 한방발효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시럼을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한다. 1일간 배양 후 세포 염색용 염료인 MTT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을 처리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염색결정체를 디메틸설폭시드(dimethy sulfoxide)로 녹여내어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본 발명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력을 수치로 계산하고, 본 발명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증식율(%)을 100으로 할 때의 상대적인 세포증식효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시료물질 세포증식율(%)
0.125% 0.250% 0.500% 1.000%
대조군 100 100 100 100
실시예 1 124 ± 12 132 ± 13 128 ± 8 118 ± 18
실시예 2 119 ± 11 135 ± 15 138 ± 9 132 ± 12
실시예 3 128 ± 8 132 ± 5 125 ± 17 128 ± 8
실시예 4 122 ± 10 138 ± 18 142 ± 14 123 ± 13
실시예 5 113 ± 13 130 ± 3 128 ± 9 124 ± 4
실시예 6 134 ± 7 146 ± 6 125 ± 7 134 ± 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시료물질 실시예 1 내지 6은 우수한 섬유아세포 증식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복합생약발효추출물인 실시예 6은 0.125% 농도에서도 약 134%의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항산화 효과
0.2 mM DPPH 용액 1 mL에 본 발명 시료물질을 메탄올에 희석하여 2 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UV-Vis 스펙트로 포토미터(Shimadzu)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소거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상기 실시예 1~6 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시료물질 자유라디칼 소거율(%)
실시예 1 13.68 ± 1.23
실시예 2 12.79 ± 0.87
실시예 3 5.68 ± 0.15
실시예 4 20.78 ± 2.61
실시예 5 3.55 ± 1.31
실시예 6 38.54 ± 0.59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 복합생약발효추출물인 실시예 6은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본 발명 시료물질들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0.9 mL, 0.1 M 인산완충액(pH 6.8) 1.0 mL, 1.5 mM L-티로신 용액 1.0 mL을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warming up 시켰다. 머쉬룸 티로시나아제(1,500 units/mL)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orphotometer (Shimadzu)를 사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한편, 티로시나아제 저해실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buffer solution)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티로시나아제 대신 완충용액 넣어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구 분 저해율(%)
실시예 1 43.045 ± 3.254
실시예 2 64.134 ± 7.629
실시예 3 52.514 ± 4.569
실시예 4 51.676 ± 4.652
실시예 5 65.447 ± 8.648
실시예 6 71.117 ± 1.01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시료물질 실시예 1 내지 6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실시예 6의 본 복합생약발효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났다.
실험예 4. 콜라겐합성효과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 plate)에 2× 104세포/웰의 밀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본 발명 실시예 6 시료물질을 농도별로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Lab., USA)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측정 키트에 포함된 표준용액을 희석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농도곡선을 작성하였다. 각 웰에 퍼옥시다제(peroxidase) 효소가 붙어 있는 항체용액을 100 μL 첨가하고 농도별로 희석한 표준용액과 상기 추출물 시료를 처리한 배양 상층액을 각각 20 μL씩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37℃에서 3시간 방치한 후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고 각각의 웰을 세척 버퍼(phosphate salined buffer) 400 μL로 4회 세척하였다. 상기 웰에 100 μL의 기질 용액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1N 황산용액 100 μL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ICP 양은 표준 농도곡선에 시료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계산하였으며, ng/mL 로 환산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농도(%) PICP (ng/mL)
대조군 756.583 ± 20.568
0.25 777.625 ± 15.124
0.50 940.333 ± 32.778
1.00 1154.244 ± 24.568
2.00 1163.667 ± 30.547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 복합생약발효추출물인 실시예 6은 농도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우수한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6 시료물질은 항산화 효과와 함께 콜라겐 합성 효과도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 시료물질들은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로서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제형예 1( 유연스킨 ) 및 비교 제형예 1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6에 의한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유연스킨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6]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성분 11을 차례로 첨가하여 혼합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성분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1 정제수 잔량 잔량
2 카보머 0.1 0.1
3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1 0.1
4 부틸렌글라이콜 2.0 2.0
5 글리세린 1.0 1.0
6 피이지-1500 0.5 0.5
7 에탄올 8.0 8.0
8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0.2
9 트리에탄올아민 0.1 0.1
10 방부제 미량 미량
11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2.0 -
제형예 2(탄력로션) 및 비교 제형예 2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탄력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7]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혼합하여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1을 성분 12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3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예 2 비교 제형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4.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글리세린 5.0 5.0
9 카보머 0.1 0.1
10 산탄검 0.03 0.03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정제수 잔량 잔량
13 아르기닌 0.1 0.1
14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5.0 -
제형예 3(영양크림) 및 비교 제형제 3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8]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8]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8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예 3 비교 제형예 3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8.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디메치콘 2.0 2.0
9 글리세린 5.0 5.0
10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11 산탄검 0.03 0.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14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10.0 -
실험예 5 :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피부자극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2와 비교제형예 2에서 제조된 탄력로션을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관능시험은 피부의 탄력개선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제형예 2의 탄력로션을 기준으로 비교제형예 2의 탄력로션이 나타내는 탄력개선효과를 상대 평가하였고, 피부자극에 대한 관능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 나쁨(1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에서 피부자극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번호 피부자극 탄력개선 효과
제형예 2 비교 제형예 2
1 4 4 4
2 5 4 5
3 4 4 5
4 5 5 4
5 4 4 5
6 5 5 5
7 4 4 4
8 5 4 5
9 4 4 4
10 5 4 5
11 4 4 4
12 5 5 5
13 5 5 5
14 5 5 5
15 4 4 4
16 5 5 5
17 5 4 5
18 5 5 5
19 4 4 4
20 4 4 4
평균 4.55 4.35 4.60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4.55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비교제형예 2와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제형예 2 대비 제형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진 상대적인 피부의 탄력개선효과는 평가점수 4.60점으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저령, 신곡, 호두, 동충하초 침향 5종의 각 건조분말을 중량비 1:1:1:1:1로 혼합한 생약재에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 .) 미생물 배양액을 접종시켜 호기발효한 다음 원심분리한 후 발효균주를 제거하고 여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생약재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생약재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품.
KR1020120007050A 2012-01-20 2012-01-20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6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050A KR20120096410A (ko) 2012-01-20 2012-01-20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050A KR20120096410A (ko) 2012-01-20 2012-01-20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715A Division KR101167295B1 (ko) 2011-02-22 2011-02-22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410A true KR20120096410A (ko) 2012-08-30

Family

ID=4688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050A KR20120096410A (ko) 2012-01-20 2012-01-20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4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434A (ko) * 2019-04-08 2020-10-20 한국한의약진흥원 생물전환된 생약조성물을 포함하는 혈관형성 저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0691B1 (ko) 2020-09-02 2021-10-12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산야초 발효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046151A (ko) * 2021-09-29 2023-04-05 배영호 발효침향분말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434A (ko) * 2019-04-08 2020-10-20 한국한의약진흥원 생물전환된 생약조성물을 포함하는 혈관형성 저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0691B1 (ko) 2020-09-02 2021-10-12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산야초 발효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046151A (ko) * 2021-09-29 2023-04-05 배영호 발효침향분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905B2 (e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KR101451981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CN105647974B (zh) 一种酿酒酵母植物发酵物及其应用和皮肤外用剂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488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7295B1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725B1 (ko)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2529A (ko) 우수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도라지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182448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for dispelling wringles and black eye and its preparation method
WO2009145345A1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KR101484887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4846B1 (ko) 피부 개선에 효능이 있는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
CN107811279A (zh) 一种药食用真菌发酵核桃青皮的方法及其发酵制品与应用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0410B1 (ko) 버섯 균사체 및 청호밀 태좌의 혼합 배양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676B1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84886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1949B1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6410A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