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026B1 -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026B1
KR102083026B1 KR1020170091784A KR20170091784A KR102083026B1 KR 102083026 B1 KR102083026 B1 KR 102083026B1 KR 1020170091784 A KR1020170091784 A KR 1020170091784A KR 20170091784 A KR20170091784 A KR 20170091784A KR 102083026 B1 KR102083026 B1 KR 10208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lugs
slug
fermented
sanyach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884A (ko
Inventor
한영옥
Original Assignee
한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옥 filed Critical 한영옥
Priority to KR102017009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흰점박이꽃무지 굼벵이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로 준비하는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와, 산야초를 분쇄하여 산야초 분말로 준비하는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와, 상기 굼벵이 분발 9 내지 10㎏과 산야초 분말 7 내지 9㎏를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혼합물로 제작하는 혼합단계(S30);와, 상기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8 내지 12분 동안 쪄서 상기 혼합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와, 상기 혼합물을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한 후, 외부와 밀폐되는 용기에 넣어 36 내지 37℃의 온도에서 3 내지 4일간 숙성 발효하는 발효단계(S50);와, 상기 용기로부터 발효된 혼합물을 회수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하는 완성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굼벵이를 가공 발효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함으로 굼벵이를 생으로 섭취시 섭취자가 느끼는 혐오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우수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굼벵이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찹쌀을 먹이로 굼벵이의 배변을 유도하여 굼벵이 고유의 악취를 제거함으로 섭취자에게 더욱 발효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굼벵이 분말과 함께 산야초를 발효시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조함으로, 굼벵이의 효능과 함께 산야초의 다양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으로 인한 우수한 소화 흡수율을 통해 발효식품의 효능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ermented health food using slugs}
본 발명은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굼벵이를 가공 발효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함으로 굼벵이를 생으로 섭취시 섭취자가 느끼는 혐오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우수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굼벵이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찹쌀을 먹이로 굼벵이의 배변을 유도하여 굼벵이 고유의 악취를 제거함으로 섭취자에게 더욱 발효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방에서는 굼벵이를 간질환 치료, 갱년기장애, 혈액정화 및 세균성 질환에 유용한 약효가 있는 약재로 오래전부터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다양한 약효가 있는 굼벵이는 생체로서 그대로 식용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혐오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굼벵이는 복용시 악취로 인하여 섭취시 구토감 등을 유발시켜 복용에 대한 거부감 및 치료효과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굼벵이를 가공 발효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함으로 굼벵이를 생으로 섭취시 섭취자가 느끼는 혐오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우수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굼벵이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찹쌀을 먹이로 굼벵이의 배변을 유도하여 굼벵이 고유의 악취를 제거함으로 섭취자에게 더욱 발효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굼벵이 분말과 함께 산야초를 발효시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조함으로, 굼벵이의 효능과 함께 산야초의 다양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으로 인한 우수한 소화 흡수율을 통해 발효식품의 효능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은 흰점박이꽃무지 굼벵이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로 준비하는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와, 산야초를 분쇄하여 산야초 분말로 준비하는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와, 상기 굼벵이 분발 9 내지 10㎏과 산야초 분말 7 내지 9㎏를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혼합물로 제작하는 혼합단계(S30);와, 상기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8 내지 12분 동안 쪄서 상기 혼합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와, 상기 혼합물을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한 후, 외부와 밀폐되는 용기에 넣어 36 내지 37℃의 온도에서 3 내지 4일간 숙성 발효하는 발효단계(S50);와, 상기 용기로부터 발효된 혼합물을 회수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하는 완성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는 굼벵이에게 먹이로 찹쌀가루를 공급하여 2 내지 3일 동안 배변시키는 배변공정(S11)과, 상기 굼벵이를 세척하여 굼벵이 표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공정(S12)과, 상기 굼벵이를 100℃ 온도의 물에 2분간 넣어 살균하는 살균공정(S13)과, 상기 굼벵이를 55 내지 60℃의 온도에서 2일간 건조하는 건조공정(S14)과, 상기 굼벵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작하는 분쇄공정(S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에서 상기 산야초는 엉겅퀴, 와송, 꽃송이버섯, 잎새버섯, 겨우살이, 강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산야초는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고온의 스팀에서 살균하고, 그 살균된 산야초를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산야초에 현미를 50 내지 100g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굼벵이를 가공 발효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함으로 굼벵이를 생으로 섭취시 섭취자가 느끼는 혐오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우수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굼벵이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찹쌀을 먹이로 굼벵이의 배변을 유도하여 굼벵이 고유의 악취를 제거함으로 섭취자에게 더욱 발효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굼벵이 분말과 함께 산야초를 발효시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조함으로, 굼벵이의 효능과 함께 산야초의 다양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으로 인한 우수한 소화 흡수율을 통해 발효식품의 효능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의 블럭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100)은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와,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와, 혼합단계(S30)와, 살균단계(S40)와, 발효단계(S50)와, 완성단계(S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는 굼벵이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로 가공 준비하는 과정으로, 배변공정(S11)과, 세척공정(S12)과, 살균공정(S13)과, 건조공정(S14)과, 분쇄공정(S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변공정(S11)은 굼벵이에게 먹이로 찹쌀가루를 공급하여 2 내지 3일 동안 배변시키는 공정이다.
통상 굼벵이에 남아있는 독소는 크게 굼벵이의 장기에 남아있는 독소와 표피에 남아있는 독소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변공정(S11)은 식물섬유를 다량 함유하는 찹쌀가루(사료)를 굼벵이의 먹이로 제공함으로 굼벵이의 장기가 자연스럽게 청소되게 유도하여 굼벵이의 장기에 잔존하는 독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굼벵이의 배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굼벵이 장기에 미량의 사료(찹쌀가루)가 남아있게 되는데, 이를 통해 사료가 갖는 약효 역시 굼벵이의 효능과 함께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세척공정(S12)는 상기 굼벵이를 세척하여 굼벵이 표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상기 살균공정(S13)은 상기 굼벵이를 100℃ 온도의 물에 2분간 넣어 살균하는 공정으로, 상기 굼벵이를 뜨거운 물에 데침으로 굼벵이 표피에 남아 있는 독소를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건조공정(S14)은 상기 굼벵이를 55 내지 60℃의 온도에서 2일간 건조하는 공정으로, 상기 굼벵이 체내의 수분을 증발시켜 굼벵이를 통한 약성이 강화되게 한다.
이때, 상기 굼벵이는 후설될 상기 분쇄공정에서 용이하게 분쇄되도록 수분함량이 15% 이하로 건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공정(S15)은 상기 굼벵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작하는 공정이다.
즉, 장기의 독소가 제거되고, 표피의 독소가 제거된 후, 건조가 완료된 상기 굼벵이를 분쇄기를 통해 분말 형태로 분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말 형태의 굼벵이 가루는 바로 섭취하여 굼벵이의 효능을 제공받을 수 있으나, 후설될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에서 첨가되는 산야초와 함께 발효하여 굼벵이의 효능과 함께 산야초의 효능을 부가하는 동시에, 섭취자의 체내에 상기한 효능의 효과적으로 발현되도록 유도함이 좋다.
상기한 굼벵이의 효능은 아래와 같다.
[굼벵이]
굼벵이는 딱정벌레 (Coleoptera) 유충으로 풍뎅이과 (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 (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이 여기에 속한다(우건석. 1988. 곤충분류학. 483 p. 집현사. 서울).
굼벵이는 단백질, 지방, 무기물질 등이 풍부하며,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환 활성화 기능이 있다. 근육과 뼈가 손상되어 쑤시고 아픈 증상, 여자의 생리가 끊어지고 배가 아픈 경우, 산모의 젖이 잘 안나오는 경우, 산후에 차가운 바람을 맞은 경우, 목구멍이 마비된 증상, 단독, 치루, 옹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굼벵이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굼벵이는 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간경화로 발생하는 복수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고 간암에도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굼벵이는 식물의 지하부 뿌리를 취하면서,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영양원으로 생존에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굼벵이 자신은 셀룰로오스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를 생성하지 못한다(Lo, N., H. Watanabe and M. Sugimura.2003.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a cellulase gene in the last common ancestor of bilaterian animals. Proc. R. Soc. Lond. B 270: S69-S72).
굼벵이는 후장(hindgut)의 일부 영역에 공생세균을 밀생시킨 발효실 (fermentation chamber)에서 세균 기원의 C1-cellulase에 의해 셀룰로오스 분해를 유도한다(Chapman, R.F. 1998. The insects: Structure and function. 4th ed. 770 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참나무 목재 외에도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든 식물과, 발효된 유기물이 굼벵이 먹이로 사용가능 하다.
굼벵이 먹이는 참나무 톱밥과 같이 톱밥 형태로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해 미생물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굼벵이'라 함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에서 부화하여 3령을 경과하여 번데기 방을 만든 후 우화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 11일, 유충 50일, 번데기 28일, 성충 40일 정도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고, 성충을 분리하여 쌍으로 사육시 집단으로 사육하는 것보다 오래 사는 특징이 있다.
예로부터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을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해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등을 땅에 기대고 하늘을 보며 기는 곤충이 제일 좋은 약재라고 했는데 그 곤충이 바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이고, 흰점박이꽃무지는 항암제, 간경화 치료제, 이뇨 작용제, 숙취 해소제, 자양 강장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 굼벵이에서 발견된 인돌알칼로이드는 혈액이 응고되는걸 제어하는 인자 활성을 60~70% 억제하고 혈소판 응집을 60~70% 저감하는 효과로 인해 섭취자의 우수한 혈액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글루코사민 항혈전치료제를 대신하여 굼벵이의 인돌알칼로이드 성분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는 산야초를 분쇄하여 산야초 분말로 준비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산야초는 엉겅퀴, 와송, 꽃송이버섯, 잎새버섯, 겨우살이, 강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된 상기 산야초는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고온의 스팀에서 살균하고, 그 살균된 산야초를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작하도록 한다.
상기 산야초로 사용되는 재료(엉겅퀴, 와송, 꽃송이버섯, 잎새버섯, 겨우살이, 강황)는 각각이 갖는 고유한 효능이 있으므로, 섭취자가 요구하는 효능에 적합한 재료를 선택 첨가하여 완제품인 발효식품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산야초 재료의 효능은 아래와 같다.
[엉겅퀴]
엉겅퀴(Cirsiumjaponicum var. ussuriense)는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뿌리)를 대계라하여 약용으로 활용해왔다.
현재 한국산 엉겅퀴들 중에서 Cirsium 속에 속하는 것들로는 Cirsium japonicum(엉겅퀴)을 비롯하여 C.pendulum(큰엉겅퀴), C. setidens(고려엉겅퀴), C. rhinoceros(바늘엉겅퀴), C.schantarense(도깨비엉겅퀴), C. lineare(버들잎엉겅퀴), C. vlassovianum(흰잎엉겅퀴), C. nipponicum(물엉겅퀴)의 8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 중 하나인 대계(大)는 엉겅퀴(thistle)의 뿌리 및 지상부를 일컫는데, 현재까지 대계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 중에서 그 구조 및 생리 활성이 밝혀져 있는 것들이 많다. 즉, 대계 추출물은 항암활성, 항미생물활성, 항산화활성 그리고 알코올(alcohol)의 독성을 완화시켜주는 활성 등을 가진다. 한편, 동의보감에는 "대계의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다. 어혈을 풀리게 하고, 피를 토하는 것과 코피를 흘리는 것을 멎게 하며, 옹종, 옴, 버짐을 낫게 한다. 여자의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정(精)을 자양하며, 혈(血)을 보한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엉겅퀴 중의 하나인 큰엉겅퀴(milk thistle, Silybum marianum)의 추출물이 여러 가지 약리 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결국, 이 엉겅퀴에서 실리마린(silymarin)이라는 물질이 발견이 되었는데, 이 물질이 항암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항산화 활성 및 당뇨증상 완화, 방사선 및 자외선에 의한 손상까지도 완화시켜 주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엉겅퀴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는데, 실리마린 중에서 실리빈(silybin)이 고초균(Bacillus subtilis)과 표피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과와 같은 그람(Gram) 양성 세균에 대해서 강력한 증식억제능이 있고, 지느러미엉겅퀴의 추출물이 역시 그람 양성 세균인 마이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Mycobacterium fortuitum)과 치구균(Mycobacterium smegmatis)에 대한 증식억제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와송]
돌나물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Orostachys japonicus이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바위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드는 바위나 집 주변의 기와에서 자란다. 키는 20~40cm가량이고, 잎은 원줄기에 많이 붙어 있으며, 끝 부분은 가시처럼 날카롭다. 꽃은 흰색으로 줄기 아랫부분에서부터 피며 점차 위쪽으로 올라간다. 집 주변의 오래된 기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품종으로 일명 ‘와송瓦松’이라고도 하며, 꽃대가 출현하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촘촘하던 잎들은 모두 줄기를 따라 올라가며 느슨해진다. 꽃이 피고 씨앗이 맺히면 잎은 고사한 상태로 남아 있다.
[효능]
*.와송은 강한 항암성분이 있어서 각종 암의 암세포를 파괴, 인체 DNA의 면역항체를 증가시켜서 암세포의 전이를 방지하고 암 예방 및 암 수술 후, 재발방지에 효과가 뛰어나고, 각종 악성종양의 치료 예방, 전이방지도 쓰인다.
*.인체의 세포 활성 및 DNA 면역력 강화로 인체의 노화를 방지하고, 해독성분이 있어서 간기능 회복에 좋고, 간염,간경화 등 손상된 간기능을 재생 회복하는 효능이 있으며, 와송의 지혈성분은 각혈, 위궤양 대장종양으로 인한 혈변, 자궁하혈, 혈뇨가 신속히 치료되며, 인체 DNA의 면역력 강화로 신장세포의 감소를 방지하고 신장기능을 활성,증진시키고 혈뇨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와송의 특수 에탄올 성분과 와송올리고당 성분이 장염,신장염,췌장염 등 장기내의 각종 염증을 소멸하는 효능이 있고 심장과 대장근육 수축 활동을 촉진하여 변비가 해소되고, 대변이 잘 소통되고,심장근육을 강화되고, 췌장의 기능 강화, 세포활성으로 당뇨 치료에 특효하다.
*.혈류증진으로 피를 맑게 하여 고지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깨끗게하여 고혈압과 동맥경화를 치료,예방하고, 여성의 생리불순의 막힌 경혈을 열어주고 , 갱년기 생리를 활성 시켜주며, 남성의 전립선을 좋게 하고, 와송은 인체 내의 축적된 모든 독성을 해독하는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송이버섯]
일반적으로 꽃송이버섯(학명 : Sparassis crispa Wulf. ex Fr.)은 담자균문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서 전세계에 1과 1속 2종이 보고되어 있다. 영어로는 cauliflower mushroom 또는 crestedsparassis, 일본명은 하나비라타케(ハナビラタケ), 중국명은 수구심(球)이라고 부른다.
상기 꽃송이버섯은 자실체가 성숙하면 전체는 10~25㎝×10~25㎝로 크고, 다소 둥글며, 작은 꽃잎모양의 갓이 모여 꽃양배추-해초 모양을 이룬다. 대는 25~55mm×28~46mm로 짧고 뭉툭하며, 단단하고, 위쪽으로 반복하여 갈라져 짧은 분지를 수없이 형성하고, 분지는 편평하게 되며, 얇고 파상 꽃잎형의 갓으로 된다. 갓의 상면은 평활하고, 백색-담황색이나 성장 후에는 황토색을 띤다. 자실층은 각각의 작은 갓의 뒷면(하면) 또는 외쪽에 있고, 평활하며, 초기에는 담황색이나 성장하면 황토색으로 되고 노숙되면 갈색으로 된다. 조직은 얇고, 탄력성이 있고, 유연하며, 육질형이고, 백색이다.
상기 꽃송이버섯은 2001년 3월 동경약과대학 약학부 면역학 교실의 꽃송이버섯 성분분석 결과 건조 꽃송이버섯에 1,3-β-D-glucan이 43.6% (100g 중 43.6g) 함유되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훨씬 높으며 항암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Harada, T. et al., 2002a. Biol Pharm Bull 25(7): 931-939). 이러한 꽃송이버섯은 1,3-β-D-glucan 덩어리라고 해도 좋을 정도인데, 상기 1,3-β-D-glucan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핵심 성분으로서 신체의 면역 체계를 바로잡아, 암 및 고혈압, 당뇨병 등을 다스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기 꽃송이버섯은 뛰어난 항암 효과 이외에도 혈압을 낮추거나 혈당치를 정상으로 돌려줄 뿐만 아니라 조혈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1,3-β-D-glucan는 고분자 성분으로 체내에서 흡수하기 어려운 물질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1,3-β-D-glucan의 경구투여를 통해서도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상기 1,3-β-D-glucan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연구 개발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 잎새버섯 ]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속하고, 사물기생균으로서 물참나무, 밤나무, 너도밤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늦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자연발생하는 버섯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에 분포되어 있다(Shen and Royse, 2002). 자실체는 한 개의 줄기에서 몇 개의 가지를 이루고 그 선단에 수십개의 갓이 부착되어 전체가 솔방울과 같은 다발을 형성하는데 버섯발생이 까다롭고 자실체의 줄기와 갓이 발달하면서 점차 빛과 산소를 매우 많이 요구하는 특성이 있다.
잎새버섯은 맛과 향이 좋으며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혈압강하, 이뇨작용, 비만치료, 강장작용, 항빈혈작용 등에 효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한약재료로 이용되어 왔고(Ying et al., 1987), 최근에는 인체의 면역세포를 조절하여 면역력을 증가시켜 암을 억제하며 (Kodama et al., 2005; Wu et al., 2006), AIDS 원인균인 HIV에 대한 억제작용, 혈당강하작용(Talpur 등, 2002; 박 등, 2007), 혈압강하작용(Choi et al, 2001), 항산화작용(Mau etal., 2002)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잎새버섯은 1981년에 일본에서 325톤이 상업적으로 생산된 이후, 그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1985년에 1,500톤, 1991년에 8,000톤, 1993년에 10,000톤을 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40,000톤 이상 생산되고 있으며(Shen and Royse, 2001), 현재 일본에서도 팽이, 표고, 만가닥 다음으로 생산과 소비가 높은 버섯으로서 국내에서는 효과적인 재배기술 개발이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톱밥을 이용한 봉지재배 기술에 대해서는 적정 광조건구명(지등, 2008), 배지조성 연구(김 등, 2008) 및 이산화탄소 농도 구명(지 등, 2009) 등의 연구결과가 있다.
[겨우살이]
겨우살이는 버드나무,수양버들, 단풍나무 들에 기생하며 약으로 이용하는 것은 상기생(桑寄生)과 겨우살이며, 상기 생(桑寄生)은 뽕나무, 장뇌나무, 사이나무(沙梨), 묏대추나무, 용안나무에 기생하며, 겨우살이는 느릅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단풍나무, 황철나무에 기생한다.
겨우살이의 주성분은 올레아노산(oleanolic)이고, 상기생(桑寄生)의 주성분은 쿠에르체틴(quercetin)과 아비쿨라린(avicularin)으로 구성되었다.
약리- 상기생(桑寄生)을 열수침출물의 좀흰생쥐육류(肉瘤)의 억제율은 39.5%의 효과가 있고, 겨우살이 열수침출물의 좀흰생쥐육류(肉瘤)의 억제율은 77.9%의 효과가 있었다.
본초구진(本草求眞)에 상기생(桑寄生)의 설명을 상기생(桑寄生)은 보신보혈요제(補腎補血要制)이다 라고 하였고, 본초종신(本草從新)에 음허를 다스리며 조양하고 골절을 이하며 경수를 통케하고 보혈활혈하며 안태하고 진통한다. 라고 소개하고 있다.
[강황]
강황(薑黃)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된다. 높이 1m정도 자라는 다년초다. 근경은 생강모양으로 황색이다. 강황은 뿌리줄기와 덩이뿌리를 모두 한약재로 쓰는데, 뿌리줄기를 강황이라 한다. 강황은 맵고 쓴 맛이 나는 황색의 약재로, 통증완화와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 강황은 카레요리, 쌀이나 곡류, 혼합 향신료, 콩 요리 등에 황색의 착색료나 향신료로 사용한다.
따라서, 강황 분말은 상기 굼벵이 분말의 냄새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ㅂ본 발명의 발효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에서 상기 산야초에 현미를 50 내지 100g을 더 첨가하여, 아래와 같은 현매의 효능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현미]
일반적으로 현미는 벼의 왕겨층만 제거시킨 것으로 강층, 전분층, 배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백미에 비하여 비타민, 무기질 등의 미량영양소 함량이 높고 섬유소가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에 유용한 건강식품이며, 현미를 통한 발효 촉진기능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혼합단계(S30)는 상기 굼벵이 분발 9 내지 10㎏과 산야초 분말 7 내지 9㎏를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혼합물로 제작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발효액은 통상의 누룩막걸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누룩막걸리는 상기 굼벵이 분말과 산야초 분말을 반죽 혼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굼벵이 분말과 산야초 분말을 반죽 혼합하는 용도로 통상의 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누룩막걸리를 이용하는 이유는 후설될 상기 살균단계(S40)에서 누룩막걸리의 누룩균이 사멸되며, 그 사멸된 누룩균은 후설될 상기 발효단계(S50)에서 누룩균(사상균)의 성장 매개물(먹이)로 사용되어 누룩균을 통한 효과적인 발효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살균단계(S40)는 상기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8 내지 12분 동안 쪄서 상기 혼합물에 잔존하는 유해 세균들을 살균하는 공정이다.
상기 발효단계(S50)는 상기 혼합물을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한 후, 외부와 밀폐되는 용기에 넣어 36 내지 37℃의 온도에서 3 내지 4일간 숙성 발효하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은 발효는 고분자 물질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하여 소화 흡수율을 높일 수 있고, 새로운 풍미의 생성으로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을 통해 제작되는 발효식품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발효식품 특성으로 인해 식품의 우수한 저장성 및 보존성을 기대할 수 있어 본 발명을 통해 제작되는 발효식품의 용이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완성단계(S60)는 상기 용기로부터 발효된 혼합물을 회수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하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분말 형태로 제작되는 발효식품은 분말 형태로 바로 섭취하거나 물에 타먹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히 밀폐된 병 등에 넣어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효식품은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환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는 분말이 서로 뭉칠 수 있도록 점성을 부여하는 꿀을 첨가하여 제작함이 좋다.
이러한 꿀은 천연방부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환의 우수한 보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100)은 굼벵이를 가공 발효하여 분말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함으로 굼벵이를 생으로 섭취시 섭취자가 느끼는 혐오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우수한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굼벵이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찹쌀을 먹이로 굼벵이의 배변을 유도하여 굼벵이 고유의 악취를 제거함으로 섭취자에게 더욱 발효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굼벵이 분말과 함께 산야초를 발효시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조함으로, 굼벵이의 효능과 함께 산야초의 다양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으로 인한 우수한 소화 흡수율을 통해 발효식품의 효능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100)을 통해 다음과 같이 분말 형태의 발효식품을 제작한다.
먼저, 굼벵이에게 먹이로 찹쌀가루를 3일 동안 공급하여 배변시킴으로 굼벵이 장기에 남아 있는 독성을 제거한 후(S11), 상기 굼벵이를 세척하여 굼벵이 표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S12), 그 굼벵이를 100℃ 온도의 물에 2분간 넣어 살균하여 굼벵이 표피에 남아 있는 독성을 제거한 후(S13), 2일 동안 건조한 후에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 형태로 제작한다(S14, S15). (S10)
그런 후, 산야초로 엉겅퀴 3㎏, 와송 1㎏, 꽃송이버섯 3㎏, 강황 1㎏를 준비하고, 그 준비된 산야초의 표면을 세척한 후에 스팀으로 살균하고, 그 살균된 산야초를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산야초 분말로 제작한다. (S20)
그런 후, 상기 굼벵이 분발과 산야초 분말을 2ℓ의 누룩막걸리에 첨가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혼합물로 제작한다. (S30)
그런 후, 상기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쪄서 상기 혼합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한다. (S40)
그런 후, 상기 혼합물을 2ℓ의 누룩막걸리에 첨가 혼합한 후, 외부와 밀폐되는 용기에 넣어 36.5℃의 온도에서 4일간 숙성 발효한다. (S50)
그런 후, 상기 용기로부터 발효된 혼합물을 회수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 완성한다. (S6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S10.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 S11. 배변공정
S12. 세척공정 S13. 살균공정
S14. 건조공정 S15. 분쇄공정
S20.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 S30. 혼합단계
S40. 살균단계 S50. 발효단계
S60. 완성단계
100.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Claims (4)

  1.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굼벵이를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로 준비하는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
    산야초를 분쇄하여 산야초 분말로 준비하는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
    상기 굼벵이 분말 9 내지 10㎏과 산야초 분말 7 내지 9㎏를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하여 반죽 형태의 혼합물로 제작하는 혼합단계(S30);
    상기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8 내지 12분 동안 쪄서 상기 혼합물에 잔존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단계(S40);
    상기 혼합물을 발효원인 누룩이 포함된 발효액 2ℓ에 첨가 혼합한 후, 외부와 밀폐되는 용기에 넣어 36 내지 37℃의 온도에서 3 내지 4일간 숙성 발효하는 발효단계(S50); 및
    상기 용기로부터 발효된 혼합물을 회수한 후, 4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미세한 가루 형태의 발효식품으로 제작하는 완성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굼벵이 분말 준비단계(S10)는 굼벵이에게 먹이로 찹쌀가루를 공급하여 2 내지 3일 동안 배변시키는 배변공정(S11)과, 상기 굼벵이를 세척하여 굼벵이 표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공정(S12)과, 상기 굼벵이를 100℃ 온도의 물에 2분간 넣어 살균하는 살균공정(S13)과, 상기 굼벵이를 55 내지 60℃의 온도에서 2일간 건조하는 건조공정(S14)과, 상기 굼벵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작하는 분쇄공정(S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S20)에서 상기 산야초는 엉겅퀴, 와송, 꽃송이버섯, 잎새버섯, 겨우살이, 강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산야초는 세척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고온의 스팀에서 살균하고, 그 살균된 산야초를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야초 분말 준비단계에서 상기 산야초에 현미를 50 내지 100g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20170091784A 2017-07-20 2017-07-20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208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84A KR102083026B1 (ko) 2017-07-20 2017-07-20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84A KR102083026B1 (ko) 2017-07-20 2017-07-20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84A KR20190009884A (ko) 2019-01-30
KR102083026B1 true KR102083026B1 (ko) 2020-04-23

Family

ID=6527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84A KR102083026B1 (ko) 2017-07-20 2017-07-20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416A (ko) 2021-03-16 2022-09-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포함하는 알코올 발효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발효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27B1 (ko) 2019-05-10 2019-07-15 조대호 굼벵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2234999B1 (ko) 2019-06-14 2021-04-01 장미리 식용 곤충 분말 기반의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식용 곤충 분말 기반의 건강식품
KR102326812B1 (ko) * 2019-11-12 2021-11-15 홍서연 식용곤충 분말의 제조방법
KR102309947B1 (ko) * 2019-11-26 2021-10-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굼벵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06455B1 (ko) 2020-03-20 2021-01-22 농업회사법인 삼우바이오팜 (주) 굼벵이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566754B1 (ko) * 2020-11-12 2023-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림 식용 굼벵이 냄새제거방법
KR102651637B1 (ko) * 2021-01-27 2024-03-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영양적 가치가 향상된 기능성 현미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508B1 (ko) * 2022-09-02 2023-01-09 박진호 진국 대구탕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603B1 (ko) * 2015-12-11 2016-08-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루다2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431A (ko) * 2009-03-16 2010-09-29 오세권 현미와 콩 그리고 버섯건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605085B1 (ko) * 2013-12-20 2016-03-21 최윤희 개똥쑥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603B1 (ko) * 2015-12-11 2016-08-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루다2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416A (ko) 2021-03-16 2022-09-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포함하는 알코올 발효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발효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884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026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1623744B1 (ko) 흰점박이꽃무지의 사료 조성물
CN105613037A (zh) 一种赤芝的仿野生栽培方法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CN109730315A (zh) 一种抗疲劳、提高免疫力的黄精食用菌口服液及其制备方法
Rahman et al. Studies on Food, Health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In Mulberry (Morus spp.)—A Review
KR101387190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145498B1 (ko)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바디워시제조방법 및 그 바디워시조성물
KR102509566B1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090057342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간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082527B (zh) 一种育珠蚌饵料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77119B1 (ko) 잣송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제조 방법
CN104068287B (zh) 一种鼬獾配方颗粒饲料制作方法
CN114467629B (zh) 一种添加了厚朴的灵芝代料栽培培养基
KR102456453B1 (ko) 향기로운 비탈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CN108850571A (zh) 一种脆口型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427750B1 (ko) 엠에스엠을 이용한 농산물 재배방법
KR20130100438A (ko) 피부질환 치료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4332A (ko) 천연 발효를 통한 건강소스 제조방법
KR20090057345A (ko) 황토와 칡을 이용한 전통 종가 장류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273392B (zh) 一种鼬獾专用配方颗粒饲料
Wani M Younus Wani, MR Mir, MF Baqual, NA Ganie, ZA Bhat and Qayoom A Ganie
CN108850632A (zh) 一种脆口肉型鸭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94951A (ko) 비파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