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910A -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 Google Patents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910A
KR20140137910A KR1020130059164A KR20130059164A KR20140137910A KR 20140137910 A KR20140137910 A KR 20140137910A KR 1020130059164 A KR1020130059164 A KR 1020130059164A KR 20130059164 A KR20130059164 A KR 20130059164A KR 20140137910 A KR20140137910 A KR 2014013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a
water
concentration
seawater
nutri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현
강무용
신승희
백순옥
Original Assignee
(주)휴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럼 filed Critical (주)휴럼
Priority to KR102013005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910A/ko
Publication of KR2014013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ponic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Na, Mg, Ca, K, Se 등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작물을 재배하는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작물을 이용한 천연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은,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를 민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진 용암해수-민물 양액을 사용하여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획득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을 통하여 재배되는 작물은 천연조미료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Cultivating Method of Plant using Magma-seawater and Natural Seasoning of There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Na, Mg, Ca, K, Se 등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작물을 재배하는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작물을 이용한 천연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용암해수(magma-seawater)는 담수지하수와 염수가 만나는 즉, 담염수 혼합대(점이대)에 존재하는 해수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조천읍에서 남원읍지역과 한립읍지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으로부터 육지로 갈수록 적어진다.
용암해수의 수질은 물리적 특성 변화가 적고, 수온은 16~18℃로 변함이 없으며, pH(수소 이온농도)는 평균 7.5 범위를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며, 또한, 선행적인 연구를 통하여 모델동물의 사망률에 미치는 급성독성이 없고, 간, 신장, 심장, 근육 등의 손상과 관련 있는 혈액지표 분석결과 조직이나 장기에 미치는 독성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무엇보다도 Mg, Ca, Se, V 등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과 Na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용암해수에 대한 연구로는 지질대사의 촉진효과, 혈액 내 중성지방 축적억제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특허문헌으로는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미네랄 조성물(등록번호 : 10-0853244, 2008.08.13),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등록번호 : 10-0982351, 2010.09.08), 용암해수를 이용한 미네랄워터의 제조방법(등록번호 : 10-0873841, 2008.12.08), 염지하수의 탈염수를 이용한 녹차 음료의 제조 방법(등록번호 : 10-0877712, 2008.12.31), 미네랄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미네랄 음료 조성물(등록번호 : 10-0867360, 2008.10.31),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등록번호 : 10-0947638, 2010.03.08), 용암해수로부터 분리된 탈염미네랄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등록번호 : 10-0947637, 2010.03.08) 등과 같이 다양한 특허문헌들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용암해수를 이용한 소금에 대한 연구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 용암해수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천연조미료의 제조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특허문헌인 (KR) 특허공보 (공고번호)특1995-0013531,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특1998-082294,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특1997-0064439,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특2003-0011973,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83841,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39813,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104609,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77037,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76509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3244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82351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3841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7712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67360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47638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47637 (KR) 특허공보 (공고번호)특1995-0013531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특1998-082294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특1997-0064439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특2003-0011973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83841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39813 (KR)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104609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77037 (KR)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76509
본 발명은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과 이로부터 재배되는 작물을 직접(생식)섭취하는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종래에는 용암해수를 역삼투압방법으로 탈염하여 식수 등으로 이용하거나, 특허등록 10-0982351와 같이 육모조성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있었으며, 특히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또한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사용하여 용암해수의 미네랄 및 나트륨을 이용하여 새로운 소재 및 원료로 사용한 기술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용암해수를 양액재배 또는 수경재배의 양액으로 사용하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병과 같이 용암해수를 수경재배방식으로 작물(식물)을 재배하여 다양한 미네랄성분 함유를 통한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연구는 이루어진 적이 없으며,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기 개발된 기술은 단순히 소금으로서의 이용성, 염 제거를 통한 식품소재로의 이용성, 화장품소재로의 이용성 및 그에 대한 기능성을 확인하는 연구에 그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로 얻어지는 소재(작물)는 기존의 소금을 포함한 조미료로서 활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목적)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인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은,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를 민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진 용암해수-민물 양액을 사용하여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획득하도록 한다.
상기 민물이란 염분이 없는 물로써 FREE WATER 또는 담수라 하기도 한다.
상기 용암해수-민물 양액은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가 5~50중량%이며, 나머지는 민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가 10~25중량%이며, 나머지는 민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민물에는 양액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첨가물이 첨가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용암해수의 염도농도는 34.0±1.0‰이다.
상기 작물재배방법으로 재배되는 작물을 이용하여 천연조미료가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조미료의 제조시 작물은 1종인 단일 작물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작물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재배되는 작물을 이용한 천연조미료는, 용암해수를 작물재배의 양액으로 사용함으로써 재배작물이 본래 가지고 있는 특성(기능성) 외에 용암해수로부터 유래되는 미네랄 성분[Mg(마그네슘), Ca(칼슘), K(칼륨), V(바나듐), Se(셀레늄) 등]이 다량 함유되어 다양한 생리활성효능을 나타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용암해수의 염성분을 가지고 있어 천연조미료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즉, 용암해수를 작물재배를 위한 양액으로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향상은 물론이고 천연조미료와 같은 다양한 제품화가 가능한 기능성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1에 따른 용암해수 양액으로 작물의 발아율 실험중인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2에 따른 용암해수 양액으로 하여 재배한 작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3에 따른 용암해수 양액으로 작물의 발아율 실험중인 사진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이용하여 염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식용의 작물(식물)을 얻는 것이며, 이 작물은 천연조미료의 원료로 직접 또는 가공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용암해수 원수는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를 위한 작물재배장치의 양액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각각의 작물이 생육할 수 있는 염 농도의 최적생육조건의 조절을 위하여 일정비율로 민물과 혼합하여 희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용암해수는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를 사용하며, 용암해수 원수를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의 양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염 농도 조절을 위하여 민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용암해수-민물 양액을 제조하여 사용한다.
염 농도는 작물재배장치에 재배되는 작물에 따라서 재배과정에 차이가 있다. 콩나물, (새싹)유채, (새싹)메밀, (새싹)보리, 다채싹, (새싹)브로콜리, (새싹)청경채, 스테비아, 적무싹, 순무싹, (새싹)완두, (새싹)배추, (새싹)새론무, (새싹)무순, 미나리, 비빔용새싹 등과 같이 발아부터 수확까지 10일 이내의 기간이 소요되는 단기작물인 경우에는 3시간의 불림 과정을 거쳐서 작물자원 및 염 농도별로 수확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으로 얻어진 작물(자원)의 경우 건조 및 분말화 과정을 거쳐 천연조미료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조미료는 여러 가지 형태로 상품화가 가능하며, 1가지를 단독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의 작물(식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은 특허문헌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작물(식물)은 기존제품의 천연조미료의 추가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실시 예 1 :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이용한 발아율시험(1)
실험내용 : 새싹채소 7종에 대한 발아율 시험(4일간) : Petri-dish 에 filter paper (90mm, No.10, HYUNDAI)를 두 장 깔아 놓고, 발아시험에 사용될 조건액 7종[민물인 증류수, 수돗물, 용암해수 100%농도(원수), 용암해수 75%농도, 용암해수 50%농도, 용암해수 25%농도, 용암해수 12.5%농도]을 각각 제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용암해수의 염도농도는 34.0±1.0‰이다.
상기 용암해수 75%농도는 용암해수 75중량%와 민물 25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며, 용암해수 50%농도는 용암해수 50중량%와 민물 50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며, 용암해수 25%농도는 용암해수 25중량%와 민물 75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며, 용암해수 12.5%농도는 용암해수 12.5중량%와 민물 87.5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민물은 증류수, 수돗물, 내륙의 지하수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새싹채소 6종(적무, 무순, 홍염무, 적양배추, 적콜라비, 들깨)을 각각 Petri-dish 하나에 100립씩 실셈하여 넣었다(다른 1종인 해바라기 종자는 크기가 커서 Petri-dish 하나당 25립씩 실셈하여 4회 반복 넣음).
Petri-dish에 각각 조건액 5ml씩 넣고 25℃로 셋팅된 배양기에 넣고, 24시간 간격으로 발아율을 체크 하였다. 이때 발아한 종자들은 제거하면서 진행하였다(도 1 참조).
실험결과 : 적콜라비, 홍염부, 적무 등 7종의 새싹채소에 대하여 용암해수 일정 첨가비율에 따른 발아실험결과를 [표 1]과 같이 얻었다. 적콜라비, 적무, 홍염무 등의 우수한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군으로 사용한 증류수 및 수돗물의 시험군과 비교하였을 경우 해바라기와 적양배추도 용암해수 12.5%농도 시험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용암해수의 비율이 50%이상일 경우 적콜라비와 같은 일부 채소류를 제외하고 발아 및 생육이 어려우며, 25%이하일 경우 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결과를 얻었다. 12.5%를 첨가한 채소에서는 무순과 들깨를 제외하고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증류수나 수돗물과 유사한 발아율을 보였다.
채소 7종의 용암해수 첨가비율에 따른 발아율 시험결과
양액종류

새싹종류
증류수 수돗물 용암해수
원수
용암해수
75%농도
용암해수
50%농도
용암해수
25%농도
용암해수
12.5%농도
적콜라비 98±1 99±1 0 0 30±4 89±3 96±3
홍염무 97±1 97±2 0 0 9±4 51±4 89±4
적무 98±1 99±1 0 0 7±5 59±5 82±4
해바라기 67±3 62±4 0 0 6±5 34±6 62±2
무순2 75±2 70±3 0 0 1 25±4 57±3
들깨 64±3 68±2 0 0 0 11±3 45±2
적양배추 33±4 34±3 0 0 1 22±4 38±2
실시 예 2 : 용암해수를 이용한 양액의 적콜라비 재배 시 최적 염 농도 설정
실험내용 : 제주 용암해수를 적콜라비 재배시 최적 염 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 용암해수 50%농도로 4개 군으로 조절하여 최적 염농도에 대한 설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발아율과 건조수확량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용암해수를 양액으로서의 혼합비율은 상기 실시 예1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 재배조건 기간은 발아기간을 포함하여 총 9일간 실시하였으며, 3일간 실시된 발아율의 경우 증류수 100% 시험군은 98%, 용암해수 12.5%농도를 혼합한 시험군은 97%, 용암해수 25%농도를 혼합한 시험군은 90%를 나타냈으며, 용암해수 50%농도를 첨가한 시험군은 3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생육적인 측면에서는 용암해수 12.5%농도 혼합한 시험군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건조수확량도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암해수 12.5%농도를 혼합한 시험군이 많은 수확량을 얻었다.
단, 용암해수 50%농도를 혼합한 시험군의 경우 도 2의 결과와 같이 발아율이 적어 대부분이 종자무게이므로 비교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용암해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양액재배한 적콜라비의 건조수확량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 용암해수 50%농도
적콜라비
건조물
30g 44g 34g 70g
실시 예 3 :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이용한 채소의 발아율시험(2)
실험내용 : 새싹채소 10종에 대한 발아율 시험(3일간)을 실시하였다. Petri-dish 에 filter paper (90mm, No.10, HYUNDAI)를 두 장 깔아 놓고, 발아시험에 사용될 조건인 증류수 100%와 용암해수 12.5%농도를 양액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사용하였다.
용암해수 12.5%농도를 시험조건으로 선택한 것은 실시 예1의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이용한 발아율시험(1)의 최적조건으로 선택된 것으로 고려하였다.
상기 용암해수 12.5%농도와, 대조군으로 증류수 100%를 사용하여 발아율을 비교 검토하였다.
새싹채소 10종(배추싹, 밀싹, 새싹겨자(D사), 새싹브로콜리, 새싹알파파, 핑크양배추, 순무싹, 새싹무, 새싹다채, 새싹겨자(A사))을 각각 Petri-dish 하나에 100립씩 실셈하여 넣었다.
Petri-dish에 각각 조건액 5ml씩 넣고 25℃로 셋팅 된 배양기에 넣고, 24시간 간격으로 발아율을 체크 하였다. 이때 발아한 종자들은 제거하면서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 배추싹, 밀싹, 새싹겨자(D사) 등 10종의 새싹채소에 대하여 용암해수 12.5%농도의 양액으로 발아율실험을 실시하여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3]에서와 같이 배추싹, 밀싹, 새싹겨자(D사), 새싹브로콜리 등 4종의 새싹채소의 경우 발아율이 우수하였으며, 대조군인 증류수와 비교하여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새싹알파파, 핑크양배추, 순무싹 등도 유의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으며, 새싹무와 새싹다채의 발아율은 미비하였다. 반면 새싹겨자(A사)는 용암해수첨가군와 대조군에서 발아되지 않았다.
채소 10종의 용암해수 12.5%농도 첨가에 따른 발아율 시험결과
양액종류

새싹종류

증류수

용암해수 12.5%농도
배추싹 97±1 98±1
밀싹 96±2 93±2
새싹겨자(D사) 96±2 90±3
새싹브로콜리 94±2 88±3
새싹알파파 84±2 77±4
핑크양배추 75±4 74±4
순무싹 80±3 68±4
새싹무 62±3 13±5
새싹다채 26±4 15±6
새싹겨자(A사) 0 0
실험 예 1 : 용암해수 무기성분 분석
본 발명에 양액으로 사용된 용암해수에 대하여 주요성분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용암해수의 염도농도는 34.0±1.0‰이다.
실험방법 : 시료의 전처리는 고농도 성분들과 저농도 성분들의 분석을 위하여 화학천칭에 해수 및 미네랄수를 무게 칭량 후 용기에 넣고, 2% HNO3를 이용하여 10배~1000배 희석하여 조제하였으며, 분석은 전처리를 거친 시료 용액을 사용하여 ICP-MS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ICP 분석용 100 ppm 표준용액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희석에 사용한 용매는 매질(matrix) 보정을 위하여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사용한 매질(2% HNO3)과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조절하였으며, 검정곡선 작성 시 사용한 표준용액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고농도 성분들은 0.1~10 ppm, 저농도 성분들은 0.001~0.1 ppm 범위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 본 발명에 양액으로 사용한 용암해수의 주요성분은 아래와 [표 4]와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암해수의 주요무기성분 함량(단위 : ppm)
무기성분 Na Mg K Ca
함 량 11,114±232 1,333±99 553±12 444±15
실험 예 2 : 실시예 2로 얻어진 적콜라비의 무기성분 분석
실험내용 : 시료의 전처리는 분말시료를 칭량 후 용기에 넣고, 여기에 70% HNO3 10 mL를 가한 후, 흄후드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한 다음 마이크로파 분해 장치를 사용하여 용해하였으며 이때 온도는 20분 동안 180℃로 상승하고, 같은 온도에서 20분간 유지시킨 후 서서히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마이크로파 분해를 거친 용액은 0.45 ㎛ 필터로 불용성 입자를 거르고, 초순수를 사용하여 용량플라스크에서 25 mL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분석기기는 Perkin Elmer Optima 7300 DV, Controller, Autosampler 등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전처리를 거친 시료 용액을 사용하여 ICP-OES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Na, Mg, K 등 미네랄원소 성분이며, 이때 ICP 분석용 표준용액은 QCD Analysts의 ICP 100 ppm 용액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희석에 사용한 용매는 매질(matrix) 보정을 위하여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사용한 매질(2% HNO3)과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조절하였으며, 검정곡선 작성 시 사용한 표준용액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고농도 성분들은 0.1~20 ppm, 저 농도 성분들은 0.01~1 ppm 범위로 조제하였다.
실험결과 : 실시 예2로 얻어진 적콜라비의 무기성분을 분석하여 [표 5]와 같이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 Mg, K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특히 용암해수 12.5%농도 시험군의 경우 대조군인 증류수 100%와 비교하여 나트륨의 함량이 200배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금속인 납과 카트뮴 등이 검출한계치 이하로 분석되어져 안전성도 확보한 결과를 얻었다.
용암해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양액재배한 적콜라비의 무기성분 함량(단위:ppm)
양액종류

분석항목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
용암해수
50%농도
Na 175 35,367 33,461 19,546
Mg 3,434 6,428 7,137 5,980
K 7,457 8,771 10,758 6,334
Cu <0.003 <0.003 <0.003 <0.003
V <0.001 <0.001 <0.001 <0.001
Se <0.01 0.82 0.30 1.01
Pb <0.01 <0.01 <0.01 <0.01
Cd <0.01 <0.01 <0.01 <0.01
실험 예 3 : 용암해수를 이용한 양액의 적무 재배 시 최적 염 농도 설정 및 재배된 적무의 무기성분 분석
실험내용 : 제주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사용하여 적무 재배 시 최적 염 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로 3개 군으로 조절하여 최적 염 농도를 설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인 적무를 실험 예 2의 분석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적무의 무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의 용암해수를 양액으로서의 혼합비율은 상기 실시 예1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실험군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 용암해수 첨가비율에 따라 조건별(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로 8일간 적무를 재배한 결과, 용암해수 25%농도 시험군이 발아 및 생육이 다른 두 시험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각각의 조건별로 재배된 적무에 대하여 무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6]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 Mg, K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특히 용암해수 12.5%농도 시험군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암해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양액재배한 적무의 무기성분 함량(단위 : ppm)
양액종류

분석항목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
Na 110 22,669 4,577
Mg 3,536 6,084 4,240
K 6,880 10,988 4,522
Cu <0.003 <0.003 <0.003
V <0.001 <0.001 <0.001
Se <0.01 <0.01 0.32
Pb <0.01 <0.01 <0.01
Cd <0.003 <0.003 <0.003
실험 예 4 : 홍염무의 최적염농도설정 및 무기성분 분석
실험내용 : 제주 용암해수를 양액으로 사용하여 홍염무 재배시 최적 염 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로 3개 군으로 조절하여 최적 염 농도를 설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인 홍염무를 실험 예2와 같은 분석방법으로 홍염무의 무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의 용암해수를 양액으로서의 혼합비율은 상기 실시 예1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실험군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 용암해수 첨가비율에 따라 조건별(증류수,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0%농도)로 8일간 홍염무를 재배한 결과, 용암해수 25%농도 시험군이 발아 및 생육이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얻었으며, 각각의 조건별로 재배된 홍염무에 대하여 무기분석을 실시하여 [표 7]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용암해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양액재배한 홍염무의 무기성분 함량(단위 : ppm)
양액종류

분석항목

증류수 100%

용암해수 12.5%농도

용암해수 25%농도
Na 188 23,882 8,085
Mg 3,583 5,698 4,680
K 8,196 8,857 8,308
Cu <0.003 <0.003 <0.003
V <0.001 <0.001 <0.001
Se <0.01 1.10 1.72
Pb <0.01 <0.01 <0.01
Cd <0.003 <0.003 <0.003
상기 실시된 실시 예 1 내지 3과 실험 예 1 내지 4와 같이 용암해수를 민물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의 양액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이를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의 양액으로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Na, Mg, K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는 한편, Cu, Pb, Cd 등과 같은 유해중금속은 재배작물에 축적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를 민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진 용암해수-민물 양액을 제조하고, 이를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의 양액으로 사용하여 재배되는 작물의 경우 Na, Mg, K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다양한 기능성을 위한 식품의 원료 또는 천연조미료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를 민물과 혼합하여 이루어진 용암해수-민물 양액을 사용하여 수경재배 또는 양약재배 방식으로 작물을 획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민물 양액은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가 5~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민물 양액은 제주도 지역의 용암해수가 10~25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의 염도농도는 34.0±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작물재배방법으로 재배되는 작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연조미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은 1종인 단일 작물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작물이 혼합된 작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조미료.
KR1020130059164A 2013-05-24 2013-05-24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KR2014013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164A KR20140137910A (ko) 2013-05-24 2013-05-24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164A KR20140137910A (ko) 2013-05-24 2013-05-24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10A true KR20140137910A (ko) 2014-12-03

Family

ID=5245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164A KR20140137910A (ko) 2013-05-24 2013-05-24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9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1728A (zh) * 2015-09-29 2015-12-30 湖南天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富硒油茶的高产栽培方法
KR20190097741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성장률 및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및 이의 생산방법
KR20210077823A (ko) * 2019-12-17 2021-06-2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약의 재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1728A (zh) * 2015-09-29 2015-12-30 湖南天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富硒油茶的高产栽培方法
KR20190097741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성장률 및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및 이의 생산방법
KR20210077823A (ko) * 2019-12-17 2021-06-2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약의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rader et al. Development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common off-flavors in a biofloc technology system used for the culture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Vernieri et al. Use of biostimulants for reducing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in floating system
KR100819211B1 (ko)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Tuncay et al. Yield and quality of garden cress affected by different nitrogen sources and growing period
Zheng et al. Cyanobacteria can allelopathically inhibit submerged macrophytes: effects of Microcystis aeruginosa extracts and exudates on Potamogeton malaianus
Tekaya et al. Improving performance of olive trees by the enhancement of key physiological parameters of olive leaves in response to foliar fertilization
Sharuti et al. Influence of NaCl on biochemical parameters of two cultivars of Stevia rebaudiana regenerated in vitro
KR20140137910A (ko)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조미료
JIANG et al. Distribution of mineral nutrients and active ingredients in Aloe vera irrigated with diluted seawater
CN107114643A (zh) 红枣健康浓缩汁及其制备方法
JP2008118946A (ja) 海洋深層水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植物体、植物栽培水の製造方法及び植物栽培水
KR100665666B1 (ko) 동해 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과채류 및 방울토마토
Ullah et al. Melatonin-induced development of adventitious roots, biosynthesis of secondary cell products and greener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for biological activities using Indigofera heterantha
Souguir et al. Response of sesame seedlings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umic acids or calcium nitrate at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KR101264745B1 (ko)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Alameen et al. A sustainable utilization of aquaculture wastewater for the production of commercially important tilapia fish and plants (mint and chickpea) in improved integrated aqua-agriculture system
KR20090078064A (ko) 해조류를 이용한 식물 성장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Dazhi et al. Toxicity and accumulation of selenite in four microalgae
Ismail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efficacy of date palm fruit of Saudi Arabia
Biswas et al. Induction of salt tolerance in tomato through seed priming
ERKAÇ et al. Application of Gallic Acid Produced from Horse Chestnut (Aesculus hippocastanum) Shell in Table Olive Maturation
Khattab et al. Effect of some fertilizer treatments on the growth of cormels of Gladiolus and corms production
UA124910C2 (uk) Спосіб виділення та очищення біоактивних сполук з екстрактів морських водоростей
KR20150069640A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 조성물
Murtaza et al. Effect of 24-epibrassinolide pretreatments on mineral content of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 sprouts and le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16

Effective date: 2015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