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745B1 -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 Google Patents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745B1
KR101264745B1 KR1020110026520A KR20110026520A KR101264745B1 KR 101264745 B1 KR101264745 B1 KR 101264745B1 KR 1020110026520 A KR1020110026520 A KR 1020110026520A KR 20110026520 A KR20110026520 A KR 20110026520A KR 101264745 B1 KR101264745 B1 KR 10126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jeju
cultivation
functional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533A (ko
Inventor
조주현
백순옥
김봉균
박성환
홍윤석
Original Assignee
(주)휴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럼 filed Critical (주)휴럼
Priority to KR1020110026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7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05D1/04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from minerals or volcanic r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Hydropon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도 전역에 다량으로 산재한 화산재인 제주송이(Scoria)를 원료물질로 하여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식물을 재배하고,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은,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혼합하여 양액을 제조하는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S11)와, 상기 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의 pH농도를 5.5~7.0로 조절하는 pH농도조절단계(S12)로 이루어진 제주송이 양액준비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에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불림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양액재배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계(S11)에서는 제주송이를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에 12~48시간 침지 또는 교반하여 제주송이가 함유하는 성분을 추출하며, 상기 불림단계(S20)에서 식물 종자는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에 3~5시간 침지하여 불림한다.

Description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Media using CHEJU Scoria and Nutriculture Method and Functional Material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Thereof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아연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도 전역에 다량으로 산재한 화산재인 제주송이(Scoria)를 원료물질로 하여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식물을 재배하고, 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 전역에 산재에 있는 화산재인 제주송이(Scoria)에는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송이(Scoria)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아래와 같이 제공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계속 제주송이를 이용한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 제301790호의 제주송이를 원료로 하는 제올라이트 물질의 제조방법에서는 염기성 물질인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주송이를 수열합성법에 의하여 제올라이트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1994년도에 발표된 학술자료(발행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에는 제주송이를 이용한 방울토마토 양액재배에서 양액성분의 변화에 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공된 기술에서는 제주송이를 플라스틱 육묘상자에 단순 담액한 후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제주송이가 함유하고 있는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아연 등의 성분을 양액재배에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물을 재배하고자 한다.
당뇨병은 발생기전에 따라 크게 제 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제 1형 당뇨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IDDM,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itus)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의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것으로 그 원인은 자가면역반응에 의하여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게 된다. 이에 비해 제 2형 당뇨병은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나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 당대사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성인형 당뇨병이라고도 하며 전체 당뇨환자의 약 90%가 이에 해당한다.
비만 등의 원인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되면 인슐린 분비는 계속 증가되어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세포가 그 기능을 잃게 된다.
제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에 있어서 당뇨병 전증이라는 단계를 거치는데, 당뇨병전증(Predaibetes)는 정상과 당뇨병의 중간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내당능장애와 공복혈당장애를 말한다.
상기 내당능장애란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2시간 후 혈장 포도당 농도가 141~199㎎/㎗ 일 때를 말하며, 상기 공복혈당장애는 공복혈장 포도당 농도가 111~125㎎/㎗ 일 때를 가리킨다.
당뇨전증(Predaibetes)은 당뇨병의 전단계로서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인 동시에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소로서 그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이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해서는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저혈당의 유발 위험성 등으로 특별한 치료 대신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이 권해지고 있다.
이에 당뇨병에 이르기 전에 예방할 수 있거나 발생 후 치료를 예방할 수 있는 소재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식이요법 중의 하나가 바나듐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로, 바나듐에 대한 연구는 약 30년 전,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Yoram Shechter 교수는 조직실험에서 미량금속 원소인 바나듐(vanadium)이 인슐린의 대사효과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당뇨병에 바나듐을 투여하면 당뇨병으로 인한 여러 가지 대사결함을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일본의 여러 공동연구팀이 미네랄의 일종인 바나듐을 포함한 천연수가 당뇨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등 바나듐이 당뇨질환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밖에도 바나듐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
VANADIUM ION-CONTAINING SUGAR, LIPID AND/OR NITROGEN METABOLIC DISEASE-IMPROVING AGENT(일본(JP)공개번호:2007031282)가 당뇨병을 비롯한 당대사 질환, 또는 지방질 대사나 질소대사에 관련하는 질환의 개선, 치료제를 제공하는 기술로, 바나듐 이온(V)을 적어도 80㎍/L함유하는 음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질소, 및/또는 지방질 대사 질환의 개선제를 제공하며, 바나듐 이온(V)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300㎍/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250㎍/L이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 상기 음료수가 미네랄 워터, 녹차, 홍차, 쥬스 또는 유산균 음료 등의 형태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라는 연구와,
VANADIUM ION-CONTAINING AGENT FOR AMELIORATING HYPERTENSION, HYPERLIPEMIA AND NEUTRAL-FAT LIPEMIA AND BLOOD SUGAR-LOWERING AGENT FOR HYPERLIPEMIA AND NEUTRAL-FAT LIPEMIA PATIENT(일본(JP)공개번호:2006232679)는 성인병 질환을 가지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바나듐 이온수의 음용에 의한 효과를 검증해, 이들의 치료 결과에 근거하고, 성인병 질환에 대한 신뢰 생기는 바나듐 이온수의 용도를 제공하는 기술로, 바나듐 이온(V)을 적어도 80㎍/L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의 형태에 있어, 포유동물에서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는 고혈압 개선제 등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는 혈당 강하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
METHOD FOR PRODUCING VANADIUM-CONTAINING MYCELIUM OF AGARICUS AND FOOD HAVING AGARICUS FUNCTION(일본(JP)공개번호:2006180716)는 항종양 작용 등을 가지는 버섯으로서 알려져 있는 아가리쿠스버섯에, 당뇨병의 예방 등에 효과적인 원소이라고 되고 있는 바나듐을 함유시킨 기능성 식품과, 그 기능성 식품을 효율 좋고 생산하는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탄소원, 질소원, 미네랄원, 물 등의 배양 성분과 함께 수용성 바나듐 화합물을 포함한 배양지에 아가리쿠스버섯 균사체의 종 배양액을 접종 해 육성해, 바나듐을 함유하는 아가리쿠스버섯 균사체를 얻는 기술로, 이 아가리쿠스버섯 균사체를 원심분리기 등의 분리 장치를 이용해 액체와 분리해, 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 장치로 분쇄하고, 바나듐 함유 균사체 분말으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과,
VANADIUM-CONTAINING RADISH SPROUT AND METHOD FOR CULTURING THE SAME(일본(JP)공개번호:2006166833)는 당뇨병의 예방 등에 효과적인 원소이라고 되고 있는 바나듐을 함유해,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음식 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 바나듐을 함유하는 어린 떡잎 무를 제공하는 것으로, 발아한 어린 떡잎 무의 종자를 수경재배 용수조에 넣어 그 수조 내에 물에 가용성의 칼리, 인, 질소 등을 포함한 소정 온도의 액체 비료를 공급하면서 육성하는 어린 떡잎 무의 재배 방법이며, 상기 액체 비료에 바나듐의 가용성 화합물을 첨가하고 육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 어린 떡잎 무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액체 비료 중의 바나듐 농도를 0.05 ~ 10㎎/ℓ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방법에 따라 생산되는 어린 떡잎 무의 바나듐 함유량은, 10~100 pp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수행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나듐을 이용한 소재 및 제품생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으로 본 기술도 당뇨병의 예방을 통한 발병률을 감소시켜주는 동시에 치료보조역활이 가능한 기능성 소재 생산에 관한 기술이다.
국내 특허등록 제301790호(2001. 06. 28. 등록)
제주송이를 이용한 방울토마토 양액재배에서 양액성분의 변화(발표년도 : 1994. 발행처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본 발명자들은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아연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송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를 연구하던 중, 제주송이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유용성분인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아연 등을 양액재배에 활용가능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상기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다양한 식물의 양액재배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양액재배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양액재배된 기능성 식물을 이용한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되는 식물 내 당뇨예방 및 치료효능을 갖는 바나듐이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셀레늄, 아연 등도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은,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혼합하여 양액을 제조하는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S11)와, 상기 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의 pH농도를 5.5~7.0로 조절하는 pH농도조절단계(S12)로 획득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단계(S11)에서는 제주송이를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에 12~48시간 침지 또는 교반하여 제주송이가 함유하는 성분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발명인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은,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혼합하여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인 양액을 제조하는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S11)와, 상기 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의 pH농도를 5.5~7.0로 조절하는 pH농도조절단계(S12)로 이루어진 제주송이 양액준비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에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불림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양액재배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단계(S11)에서는 제주송이를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에 12~48시간 침지 또는 교반하여 제주송이가 함유하는 성분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림단계(S20)에서 식물 종자는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에 3~5시간 침지하여 불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기능성 식물 중 바나듐 또는 셀레늄 또는 아연 또는 망간을 함유하는 각각의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소재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은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제주송이가 함유하고 있는 바나듐, 셀레늄, 아연, 망간 등의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을 함유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한 양액재배 방법에 의하여 식물을 재배하여 기능성의 식물을 획득하여 국민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한 양액재배 방법으로 재배되는 기능성 식물은 다량의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을 함유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식물을 양액재배하는 단계구성도.
도 2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양액재배용 양액으로 이용하고, 이 양액을 단독으로 또는 제주송이 또는 옥돌 등을 양액 중에 넣어 재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단기 작물인 새싹유채를 재배한 사진.
도 4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중장기 작물인 청경채를 재배한 사진.
도 5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단기 작물인 다채싹과 새싹무순을 재배한 사진
본 발명은 바나듐(vanadium), 셀레늄(selenium), 아연 등 많은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제주송이(스코리아)를 산성용액을 이용한 추출단계를 거쳐서 획득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이 함유된 식물을 얻어지며, 이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제공한다. 특히 바나듐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의 경우 당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소재를 제공하며, 셀레늄을 함유하는 식물의 경우 항암효과, 피부건강도움, 노화방지, 고혈압, 혈액순환개선 등에 효능을 갖는 기능성 소재를 제공하며, 아연을 함유하게 되는 식물의 경우 탈모 및 미각둔화방지에 효능을 갖는 기능성 소재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소재는 약학 및 식품 소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나듐, 셀레늄, 아연, 망간 등을 함유한 양액재배용 조성물과 식물의 재배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1. 양액준비단계( S10 )
제주송이를 이용하여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 다양한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면서 식물이 발아 및 생육성장에 알맞은 추출기술을 통하여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양액)을 제조한다.
상기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양액)을 제조하는 양액준비단계(S10)는, 시트르산(citric acid)과 같은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제주송이에 함유된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 다양한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11)와, 상기 추출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의 pH농도를 5.5~7.0로 조절하는 pH농도조절단계(S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단계(S11)에서는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중량대비 1 대 8~12으로 혼합한 후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되 충분히 제주송이 내의 유용한 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100~300rpm으로 12~48시간 교반하고,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양액)을 획득한다. 또는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중량대비 1 대 8~12으로 혼합한 후 교반하지 않고 저장용기에 담아 12~48시간 보관함으로써 산성용액에 제주송이를 침지하여 유용한 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0.1%의 시트르산(citric acid)으로 추출시 시간대별 성분변화표(단위 : ㎎/L)
구분 Mn Fe Co Zn Cd Pb Se V
0.1% citric acid sol.
- 제주송이 24시간 교반 추출액
0.41 2.75 - 0.06 - - 0.10 0.31
0.1% citric acid sol.
- 제주송이 48시간 교반 추출액
0.75 5.13 - 0.08 - - 0.15 0.38
0.1% citric acid sol.
- 제주송이 72시간 교반 추출액
0.97 7.52 - 0.08 - - 0.15 0.42
상기와 표 1과 같이 0.1% citric acid sol.를 이용하여 제주송이를 20℃에서 교반하면서 24시간, 48시간, 7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시간대별로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비교하였다.
바나듐의 함량의 경우 24시간 추출물에서는 0.31ppm 농도로 분석되었으며, 48시간 추출물에서는 0.38ppm으로 24시간에 비해 36%증가한 결과를 얻었으며, 72시간의 경우 0.42ppm으로 24시간 추출물에 비해 약5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금속 원소 중 Cd, Pb 등은 추출되지 않았으며, 미네랄 원소인 Mn, Zn 등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0.1% citric acid sol.을 이용하여 바나듐 농축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제주송이를 추출하여 사용할 경우, 24시간 및 48시간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0.1%의 시트르산(citric acid)을 추출배수별에 따른 성분변화표(단위 : ㎎/L)
구분 Mn Fe Co Zn Cd Pb Se V
0.1% citric acid sol.
- 1배수 제주송이 24시간 추출액
0.97 9.17 - 0.04 - - - 0.15
0.1% citric acid sol.
- 2배수 제주송이 24시간 추출액
0.97 7.56 - 0.06 - - - 0.40
0.1% citric acid sol.
- 3배수 제주송이 24시간 추출액
1.07 8.34 - 0.11 - - - 0.42
0.1% citric acid sol.
- 10배수 제주송이 24시간 추출액
0.36 2.17 - 0.05 - - - 0.30
상기와 표 2와 같이 0.1% citric acid sol.를 이용하여 제주송이에 첨가되는 배수를 달리하여 24시간 추출하여 얻어지는 송이추출액의 성분함량을 비교하였다.
제주송이와 0.1% citric acid sol.을 중량대비 1:1 비율로 추출한 추출액에서는 바나듐함량이 0.15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중량대비 1:2의 비율로 추출한 송이추출액에서는 바나듐함량이 0.40ppm, 중량대비 1:3의 비율로 추출한 송이추출액에서는 바나듐함량이 0.42ppm, 중량대비 1:10 비율로 추출한 추출액에서는 바나듐함량이 0.30ppm으로 분석되었으며, 기타 망간, 철, 아연 등의 미네랄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종합적으로 제주송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용 바나듐 농축수를 제조하고자 할 때, 송이와 0.1% citric acid sol.의 비율을 중량대비 1:10 정도가 적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상기 pH농도조절단계(S12)에서는 추출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pH농도를 조절한다.
2. 불림단계( S20 )
상기 제조된 제주송이 양액(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3~5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림을 한다. 상기 식물 종자는 씨앗번식식물인 경우에는 씨앗이며, 줄기번식식물인 경우에는 줄기, 뿌리번식식물인 경우에는 뿌리로 식물의 번식을 위한 근원(매개체)이다.
상기와 같이 식물 종자를 제주송이 양액(기능성 조성물)에 침지시켜 불림시 일부는 발아를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식물 종자가 제주송이 양액(기능성 조성물)에 내에서 불림함으로써 재배되는 식물의 경우 제주송이 양액(기능성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유용한 성분을 식물이 함유하게 된다.
3. 양액재배단계( S30 )
상기 불림시킨 식물 종자를 제주송이 양액(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를 실시하여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을 함유한 식물을 수득하였다.
양액재배단계(S30)에서는 불림된 식물 종자를 사용하는 것아 바람직하나, 불림하지 않은 식물 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재배시 식물에 1일에 2~12회 일정간격으로 분무기로 1회 4~11㎖/100㎠ 단위로 분무할 수도 있다.
이때 새싹채소류와 같은 단기작물의 경우 양액재배기간이 4~9일 정도가 소요되며, 중기이상의 작물의 경우 양액재배기간이 10일 이상이 소요된다.
단기 및 중장기 작물을 양액재배하는 경우 제주송이 양액을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며, 또한 제주송이양액과 기타 양액과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인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를 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a) 내지 (c)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양액재배 할 수 있다.
즉, 도 2의 (a)와 같이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3)이 담긴 양액재배용 용기(1)에 불림된 식물 종자(2)를 재배할 수 있으며, (b)와 같이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3)과 제주송이(4)가 담긴 양액재배용 용기(1)에 불림된 식물 종자(2)를 재배할 수 있으며, (c)와 같이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3)과 옥돌 또는 일반돌(5)가 담긴 양액재배용 용기(1)에 불림된 식물 종자(2)를 재배할 수 있다.
상기 사용된 식물은 (새싹)유채, (새싹)메밀, (새싹)보리, 다채싹, (새싹)브로콜리, (새싹)청경채, 스테비아, 적무싹, 순무싹, (새싹)완두, (새싹)배추, (새싹)새론무, (새싹)무순, 미나리, 콩나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4. 식물 수득단계( S40 )
이와 같이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하여 얻어진 제주송이가 함유하고 있는 바나듐, 셀레늄, 아연을 함유된 식물의 경우, 착즙, 추출 등을 통하여 건강음료를 포함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가 가능하며, 또한 가공하지 않고 직접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양액재배된 식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다량의 바나듐을 함유한 식물은 당뇨예방 및 당뇨질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고, 다량의 셀레늄을 함유한 식물은 항암효과,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미용개선, 혈액순환개선으로 건강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고, 다량의 아연을 함유한 식물은 경우 탈모 및 미각둔화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예방과 그 치료용 기능성 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시예 : 제주송이를 0.1% citric acid 인 산성용액으로 추출하여 양액제조
제주송이(scoria)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4~6 mesh의 송이 2kg에 0.1% citric acid(식품첨가물용) 용액을 20L 넣고 100~300rpm으로 교반시키면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제주송이 양액에는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함량이 바나듐 0.301ppm, 셀레늄 0.200ppm, 아연 0.099ppm, 망간 0.683ppm 등을 함유하는 양액(기능성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제주송이를 산성용액으로 추출된 기능성 조성물의 주요 성분 함량(단위:㎎/ℓ)
구분 Mn Fe Co Ni Zn Pb Cd Se V
0.1% citric acid로 추출 0.683 2.571 - - 0.099 - - 0.100 0.301
2. 제주송이에서 추출된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 양액 )의 첨가양액비율에 따른 식물(새싹유채)의 발아율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주송이를 0.1% citric acid로 추출하여 제조한 기능성 조성물(양액)에 아래와 같이 증류수를 혼합하여 새싹유채의 발아율을 시험하였다.
양액 100중량% + 증류수 0중량%, 양액 75중량% + 증류수 25중량%, 양액 50중량% + 증류수 50중량%, 양액 25중량% + 증류수 75중량%, 양액 0중량% + 증류수 100중량%과 같이 5 실험군을 가지고 새싹유채의 발아율을 시험하였다.
새싹유채를 각각의 실험군별 2개의 Petri-dish(부직포+혼합비율별)에 5종류(종류별 100개의 종자)를 넣는 후, 식물배양기(온도20℃, 습도 40~60%)에 넣어서 발아율을 24시간 후, 36시간 후, 48시간 후 각각 관찰하여 하기 표 2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증류수에 비하여 제주송이 추출액인 기능성 조성물로 발아시킨 유채종자가 다소 발아율이 늦은 결과를 얻었으나, 보통 새싹유채의 발아율이 80~90%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제주송이 추출액의 혼합비율에 따른 새싹유채의 발아율
구분 24시간 36시간 48시간
양액 100중량% + 증류수 0중량% 10±3 40±2 79±2
양액 75중량% + 증류수 25중량% 20±3 50±2 86±2
양액 50중량% + 증류수 50중량% 40±3 60±2 86±2
양액 25중량% + 증류수 75중량% 56±3 70±2 89±2
양액 0중량% + 증류수 100중량% 70±3 84±3 90±2
3. 제주송이을 산성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이용한 다양한 식물재배
제주송이를 이용하여 양액재배에 필요한 양액을 준비하는 양액준비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한 양액(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불림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을 마친 식물 종자를 양액준비단계(S10)에서 준비한 제주송이 양액(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양액재배단계(S30)와; 상기 단계(S30) 과정의 재배를 마친 식물을 수득하여 제주송이양액 유래의 주요성분을 분석하여 품질을 확보하여 수득하는 식물수득단계(S40)로 식물을 양액재배를 한다.
보다 세부적인 구성으로는 다음과 같다.
제주송이를 이용하여 양액재배에 필요한 제주송이양액을 준비
제주송이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4~6 mesh의 제주송이 2㎏과 0.1% citric acid(식품첨가물용) 용액을 20L를 교반기에 넣고, 300 rpm으로 교반시키면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양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한 제주송이 양액의 pH를 6.4±0.3 내외로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양액재배에 사용할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준비한다.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물 종자를 불림
상기 준비한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4시간 동안 불림한다.
불림한 식물 종자를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양액재배
상기 불림한 식물 종자를 상기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를 한다.
이때 재배되는 식물 위로 상기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1일 2회~12회 정도 일정하게 분무해준다.
재배기간은 단기작물(새싹채소 등)의 경우 3~9일이 소요되고, 중장기 작물의 경우 10일 이상 소요된다.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액재배한 식물
단기작물의 경우 3~9일, 중장기 작물의 경우 10일 이상 재배하여 식물을 수확한다.
수확한 식물은 건조 후 식물의 이용성 등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식물 내의 바나듐, 아연, 셀레늄 등의 함량을 분석한다.
5.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양액재배한 식물의 주요성분 함량분석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양액재배 한 식물을 건조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처리한 다음 ICP-AES으로 바나듐함량을 분석하여 표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기 전처리과정은 삼각플라스크나 비커에 시료 약 0.2500 ~ 2.000g을 취한 후 HNO3 용액 10mL를 첨가하여 가열/교반하고, 시료가 완전히 분해되면 가열하여 HNO3를 날려보낸 다음 다시 삼각플라스크에 HNO3 3mL를 첨가 후 가열하면서 H2O2를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첨가하고(유기물과 반응하여 CO2발생), 반응이 끝나면 투명한 색이 되며, 거의 증발시킨 후 식혀 일정 부피까지 증류수로 채우고(희석배수가 50배가 넘지 않도록 한다), ICP-AES으로 바나듐 등 주요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물의 새싹유채의 경우 건조물을 기준으로 바나듐이 4.2ppm, 망간이 37.3ppm, 아연이 40.8ppm으로 분석되었으며, 새싹배추의 경우 건조물을 기준으로 바나듐이 2.2ppm, 망간이 100.2ppm, 아연이 77.2ppm, 셀레늄이 10.46ppm으로 분석되었고, 비빔용새싹의 경우 건조물을 기준으로 바나듐이 2.2ppm, 망간이 70.2ppm, 아연이 42.1ppm, 셀레늄이 7.69ppm으로 분석되었다. 그 이외에도 브로콜리싹 등이 바나듐함량이 특히 높게 분석되었다.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조성물로 양액재배한 식물의 주요성분의 함량(단위 : ㎎/㎏)
구분 Mn Fe Co Zn Cd Pb Se V
새싹유채 37.3 63.1 - 40.8 - - - 4.2
적무싹 23.1 75.1 - 36.2 - - - 1.6
브로콜리싹 51.5 57.2 - 37.0 - - - 2.9
다채싹 48.8 97.4 - 52.5 - - - 1.6
순무싹 37.3 63.5 - 37.3 - - - 1.6
새싹무순 34.2 41.5 - 30.3 - - - 1.7
새싹배추 100.2 91.5 - 77.2 - - 10.46 2.2
비빔용새싹 70.2 75.3 - 42.1 - - 7.69 2.2
새삭메밀 28.4 23.7 - 20.1 - - - 1.8
새싹완두 13.0 81.9 - 41.0 - - - 1.7
새싹아마 31.9 60.1 - 35.6 - - - 1.8
새싹새론무 31.9 60.1 - 35.6 - - - 1.8
본 발명의 산성용액을 이용한 제주송이의 유용한 성분의 추출기술을 통하여 많은 유용한 물질을 함유한 양액을 제조하여, 이 제주송이 양액을 이용하여 식물을 양액재배 하였을 경우 식물 내 바나듐, 셀레늄, 아연 등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 식물을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나듐이 많이 함유된 식물의 경우에는 당뇨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셀레늄이 많이 함유된 식물의 경우에는 항암효과, 피부건강 및 피부노화, 혈액순환과 관련된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아연이 많이 함유된 식물의 경우 탈모 및 미각둔화방지와 관련된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 양액재배용 용기 2 : 불림된 식물 종자
3 : 기능성 조성물 4 : 제주송이
5 : 일반돌

Claims (9)

  1. 제주송이를 이용한 식물의 양액재배용 조성물에 있어서,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혼합하여 양액을 제조하는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S11)와, 상기 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의 pH농도를 5.5~7.0로 조절하는 pH농도조절단계(S12)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S11)는
    제주송이를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에 12~48시간 침지 또는 교반하여 제주송이가 함유하는 성분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
  3. 제주송이를 이용한 식물의 양액재배에 있어서,
    제주송이와 산성용액을 혼합하여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인 양액을 제조하는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S11)와, 상기 단계(S11)에서 추출된 양액의 pH농도를 5.5~7.0로 조절하는 pH농도조절단계(S12)로 이루어진 제주송이 양액준비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에 식물 종자를 불림하는 불림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불림된 식물 종자를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양액재배단계(S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S11)는
    제주송이를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에 12~48시간 침지 또는 교반하여 제주송이가 함유하는 성분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림단계(S20)에서 식물의 종자는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제주송이 양액에 3~5시간 침지하여 불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기능성 식물 중 바나듐을 함유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소재.
  7.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기능성 식물 중 셀레늄을 함유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소재.
  8.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기능성 식물 중 아연을 함유한 기능성 식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소재.
  9. 삭제
KR1020110026520A 2011-03-24 2011-03-24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KR10126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20A KR101264745B1 (ko) 2011-03-24 2011-03-24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20A KR101264745B1 (ko) 2011-03-24 2011-03-24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33A KR20120108533A (ko) 2012-10-05
KR101264745B1 true KR101264745B1 (ko) 2013-05-14

Family

ID=4728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520A KR101264745B1 (ko) 2011-03-24 2011-03-24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7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10B1 (ko) 2015-04-17 2015-09-11 김인상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WO2017057796A1 (ko) * 2015-10-01 2017-04-06 (주)제주사랑농수산 화산석 송이를 이용한 새싹의 재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8670B (zh) * 2013-04-12 2014-04-16 湖北省烟草公司恩施州公司 一种烟草富硒育苗基质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810B1 (ko) 2015-04-17 2015-09-11 김인상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WO2017057796A1 (ko) * 2015-10-01 2017-04-06 (주)제주사랑농수산 화산석 송이를 이용한 새싹의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533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53B1 (ko) 복합 펩티드 셀레노프로테인 양액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CN1919020A (zh) 富硒果汁奶茶
KR101264745B1 (ko) 제주송이에서 추출되는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KR101411531B1 (ko) 바나듐을 함유하는 새싹유채의 재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유채와 이를 포함하는 당뇨용 기능성 조성물
KR100945462B1 (ko) 중금속의 체내 흡수 억제 및 체외 배출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식품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1264744B1 (ko) 미생물 발효로 추출되는 제주송이 양액재배용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
KR20170007905A (ko) 기능성 쌀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 쌀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KR101258275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KR101371079B1 (ko) 미생물 발효로 추출되는 제주송이 발효액을 이용한 항 당뇨를 가지는 기능성 식물의 양액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 당뇨를 위한 기능성 식물과 소재
KR101310315B1 (ko) 바나듐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KR20000024798A (ko) 표고버섯 성분이 함유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20170032749A (ko) 땅콩새싹 추출물이 함유된 요거트의 제조방법
KR20160078222A (ko) 새싹보리분말을 포함하는 프리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새싹보리음료의 제조방법
KR20100083977A (ko) 떡의 제조방법
CN108059519A (zh) 一种绿叶素组合物的制备方法
KR10140219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개똥쑥 어린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CN105901444B (zh) 一种青梅保健饮料及其制造方法
TW201034579A (en) Method for producing mulberry tea with GABA (γ-aminobutyric acid) thereof
KR101795659B1 (ko)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함유하는 산삼 배양근의 생산방법
CN110669579A (zh) 一种高品质油茶籽油制备方法
KR101797088B1 (ko) 발아보리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CN108503457A (zh) 一种茶树专用喷施剂
KR102609857B1 (ko) 고성분, 고효능의 인삼이 함유된 기능성 간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