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566A -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566A
KR20070089566A KR1020060063491A KR20060063491A KR20070089566A KR 20070089566 A KR20070089566 A KR 20070089566A KR 1020060063491 A KR1020060063491 A KR 1020060063491A KR 20060063491 A KR20060063491 A KR 20060063491A KR 20070089566 A KR20070089566 A KR 2007008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ep sea
sea water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104B1 (ko
Inventor
추용식
유영근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주)블루오션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오션월드 filed Critical (주)블루오션월드
Priority to KR102006006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1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숭아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복숭아꽃 추출물이 가진 성분 및 해양 심층수에 존재하는 풍부한 미네랄 성분들이 인체에 섭취되었을 때 인체에 각종 이로운 작용을 한다.
돌복숭아꽃, 추출물, 해양 심층수, 보습, 조성물

Description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Composition for beverage and health food comprising extract of peach blossom and main minerals of deep sea water}
본 발명은 복숭아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심층수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복숭아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복숭아 나무는 장미과에 속한 떨기나무이다. 의학서인 "향약집성방" 및 "동의보감"에서는 "복숭아꽃은 약한 귀신을 내쫓고 살결을 부드럽게 한다."라고 복숭아꽃의 약성을 기재하고 있다.
야생 돌복숭아 꽃잎을 5월 말에서 6월 초에 수확해서 잘 보관하였다가 세수할 때 일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가 부드럽고 깨끗해지기 때문에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해양 심층수는 햇빛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하에서 채수한 해수를 의미하는데 청정할 뿐 아니라 부영양성, 숙성성, 미네랄이 풍부하다.
청정성의 의미는 인공 물질로 오염되지 않았다는 것뿐만 아니라 분해해야 할 유기물이 적기 때문에 세균 번식이 아주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숙성성의 의미는 표층수보다 "매우 세밀"하고, "부드럽다"는 의미이다. 저온과 높은 압력 때문에 밀도가 높아져 있고, 미세한 입자상의 미네랄이 오랜 시간에 걸쳐 해수에 녹아있음을 나타낸다.
미네랄이 풍부하다는 것은 해양 표층수에 들어 있는 미네랄 중 특정한 성분들은 생물이 소비하여 줄어들었지만 심층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해양 심층수를 음료나 식품, 화장품, 기능성 음료 등에 이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의 일부는 바로 이 미네랄 특성과 관계가 있다.
피부는 생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막 (barrier)으로서,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된다. 특히, 표피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표피층에서 분화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게 된다. 각질층은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 최외각층으로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유해한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생체 내보다 건조한 외부 환경에서 내부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각질층 자신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피부 수분량은 진피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각층인 각질층에서는 약 10~30%가 된다. 각질층에 수분이 적당히 유지되어야 피부의 탄력이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피부는 약 30% 정도의 수분이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 세포는 고농도의 자연 보습인자 (Natural Moistur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 수분 보유를 돕는다.
한편, 최근에는 먹는 화장품이 등장하면서 "화장품은 피부에 바르는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이와 같은 먹는 화장품이 현재 가장 역점을 두는 것은 노화 방지와 피부 미백인데, 이는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은 피부를 통한 흡수는 어렵지만 화약 등의 형태로 복용하면 혈관을 타고 피부 세포에 도달하여 피부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해 주는 미네랄과 필수 아미노산 성분들이 결핍되고 피부도 건조해지면서 피부 표면이 거칠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피부를 보호하고 개선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를 보호하고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음료용 조성물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숭아 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숭아 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숭아 꽃은 야생 돌복숭아 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양 심층수는 원수 (原水), 역삼투압 (reverse osmosis)법에 의한 농축수 또는 여과수, 전기 투석 (electrodialysis)법에 의한 농축수 또는 여과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작용, 세포내 콜라겐을 생성하는 효과, 세포내 지방 생성 억제 효과, 세포내 히스타민 억제 효과, 항산화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혈중 알코올 농도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음료, 겔, 분말 또는 환약과 같은 형태로 제조되거나 첨가되어 마시거나 먹을 수 있으며, 음료용 조성물은 액체 또는 겔의 형태 등의 마실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보습, 주름 개선, 미백, 항산화, 지방 분해 및 숙취 해소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해양 심층수 채취 및 정제
대한민국 동해의 수심 500m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역삼투압 장치로 탈염 하였다. 생성된 물은 세균과 미네랄이 제거된 상태이다. 한편,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전기 투석 장치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미네랄을 추출하였다.
상기 역삼투압 여과수 및 전기 투석수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원소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원소 (ppm) 원수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전기 투석수 전기투석 농축수
Al 0.28 0.004 0.56 0.008 0.57
As ND ND ND 0.002 0.002
Ba ND ND ND ND ND
Ca 419.0 0.006 687.9 9.7 713.7
Cd ND ND ND ND ND
Co 0.52 ND 1.6 ND 2.0
Cr 1.9 0.006 0.026 1.9 3.9
Cu 0.053 0.004 2.4 0.007 1.7
Fe 0.005 0.001 1.6 ND 1.5
Mg 1285 0.04 2586 118 2258
Mn 0.043 ND 0.053 ND 0.061
Pb < 0.001 < 0.001 < 0.001 ND ND
Sr 6.61 ND ND 0.46 1.65
K 430 5.7 560 1.78 461
Zn 0.01 0.002 0.23 0.002 0.31
상기 두 개의 장치에서 생성된 물을 혼합하여 미네랄이 함유된 경도 30~1500 의 음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돌복숭아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야생 돌복숭아꽃 10g을 취하여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해양 심층수 100㎖를 첨가한 후 환류 장치 하에서 2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여 총 100㎖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에서 6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5㎛ 막 여과를 하여 돌복숭아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혼합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돌복숭아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혼합 음료를 제조하였다.
[표 2]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돌 복숭아 꽃 추출물 5 중량%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해양 심층수 95 중량% 90 중량% 85 중량% 80 중량%
실험예 1. B-16 멜라노마 (Melanoma) 내의 멜라닌 (melanin) 억제 효과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시험 (Melanogenesis inhibition assay) 방법으로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 시험방법은 세포배양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양을 공시료액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실험은 생쥐 멜라노마 (murine melanoma (B-16)) 세포를 적량의 FBS (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혹은 동등 이상의 성장력을 갖는 배지로 6-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5 개로 접종한 후 5 % CO2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가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로 교체한 후 5% CO2 37 ℃하에서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의 농도범위는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 (crystal violet assay)을 이용한 독성 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 (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하고,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세포계수기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5,000~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 (pellet)을 얻었다. 이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한 후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 또는 적량의 세포 용해 완충용액 (cell lysis buffer)을 넣어 60 ℃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microplate reader)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수당 멜라닌 양 또는 일정단백질당 멜라닌 양을 구하고, 공시험하여 보정하였다.
한편, 상기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정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세포를 배양한 후 웰에서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다.  이를 제거한 후에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 (0.2 % 크리스탈 바이올렛/2 ㎖ 에탄올, 98 ㎖ 정제수 첨가) 50 ㎕를 96 웰에 넣는다. 실온에서 10 분간 배양하고 세포가 떨어지지 않게 주의하면서 정제수로 세척한다. 1 % SDS (sodium dodecyl sulfate) 100 ㎕를 넣어 염색된 색소를 녹이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시료 처리농도 (%) 억제효과 (%)
해양 심층수 추출물 (시료) 1 98.5
0.5 96
0.1 87
알부틴 0.5 75
상기 해양 심층수 추출물이란 상기 실험의 시료로서, 복숭아꽃을 해양 심층수로 추출한 후 물을 증발시킨 경도 30의 해양 심층수를 각 처리 농도별로 희석한 것이며, 이하의 실험예에서 사용한 시료도 이와 같이 희석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Human skin fibroblast) 내의 콜라 겐(collagen) 생성효과
세포내 콜라겐 생성시험 (Collagen synthesis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 (primary cell line) 또는 이와 유사한 섬유아세포 (CCD-986sk, HS68, Detroit 5116 등)를 배양 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 (100 IU/㎖),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 혹은 동등 이상의 성장력을 갖는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본 시험의 시료 농도는 MTT 분석 또는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 등을 이용한 예비실험을 통하여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고 효력을 나타내는 농도를 포함하여 3개 이상의 농도 범위를 결정하였다.  시험물질을 녹이거나 희석시킬 때는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다만 시험물질이 DMEM 배지에 녹지 않는 경우에는 에탄올 등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녹였다.
농도 설정 예비시험 (MTT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정 농도의 시료를 넣어 세포를 배양한 다음 웰에서 배지의 10 %를 제거한 다음, 제거한 양 만큼의 MTT 용액 (0.5 % 3-(4,5-dimethyl thiazol-2-yl)-2,5 diphenyl-2H-tetrazolium bromide)을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용액 300 ㎕씩을 첨가하고 10분간 흔들어 준 다음 ELISA 판독기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콜라겐양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항체-PoD 콘쥬게이트 용액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를 웰에 넣은 다음 1/5로 희석한 배양액 및 표준액 20 ㎕를 넣고 37℃에서 3시간 배양한다. 웰에서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인산염완충액 (PBS) 400 ㎕로 4회 씻는다. 발색시약 100 ㎕를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하고 1 N 황산 100 ㎕을 넣은 다음 450 nm에서 ELISA 판독기로 측정한다. a) 표준액조제: 콜라겐표준품에 물을 넣어 녹여 각각 0, 10, 20, 40, 80, 160, 320, 640ng/㎖가 되도록 희석한다. b) 시약: Procollagen type I peptide EIA kit (Takara Biomedical Co.) 사용.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시료 처리농도 (%) 생성효과 (%)
해양심층수 추출물 (시료) 1 91.5
0.5 88
0.1 76
비타민 C 0.1 71
실험예 3. 3 T3 - L1 지방 세포 ( adipocyte ) 내의 지방생성 억제효과
3T3-L1 섬유아세포 (fibroblast)는 10% FBS (fetal bovine serum), 4.5 g/ℓ 글루코오스, 2 mM 글루타민, 항생제가 들어간 DMEM 배지에서 배양을 하였다. 세포가 다 자란 다음에는 인슐린 (5 g/㎖), 75mM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0.5mM 이소부틸메틸크산틴 (isobutylmethylxanthine)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한 후 인슐린 (5 g/㎖)만이 첨가된 배지에서 3일간 더 배양을 하였다. 이후 실험에 이용될 때까지 3일 간격으로 DMEM/FBS 배지로 교환하였다. 분화된 세포들은 지방 방울 (lipid droplet)이 꽉 채워진 상태로 전체 세포 중 90% 이상의 지방 세포의 형태가 되었을 때 사용하였다. 각 24-웰에서 배양한 세포에 각각 1%, 0.5% 및 0.1%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처리하고 48시간 경과후 세포내 지방 방울을 10% 오일 레드 O (Oil red O)로 염색한 후 에탄올로 추출하여 540 nm에서 정량화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시료 처리농도 (%) 억제효과(%)
해양심층수 추출물 (시료) 1 95.3
0.5 81
0.1 55
실험예 4. RBL -2 H3 mast cell내의 히스타민 억제효과
헥소사미니다아제 (hexosaminidase) 정량 방법을 사용하였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 중에서 탈과립 단계에 의해서 각종 화학적 전달 물질들이 유리된다. 이러한 탈과립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과립에 저장 되어 있다가 탈과립시 비만 세포로부터 히스타민과 함께 유리되는 헥소사미니다아제 억제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세포준비: EMEM-10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에 현탁시킨 RBL-2H3 비만세포 (5×105 cells/㎖)를 24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400 ㎕씩 현탁하였다. 5㎕ IgE를 넣고 5% CO2 인큐베이터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세포를 감작시켰다. 시라가니안 완충액 (Siraganian buffer: 119mM NaCl, 5mM KCl, 5.6 mM 글루코오스, 0.4mM MgCl2, 25mM PIPES, 40mM NaOH, 1mM CaCl2, 0.1% BSA, pH 7.2) 500㎕로 세정한 후 160㎕ 시라가니안 완충액을 가하여 37℃에서 10분간 프리-인큐베이션 (pre-incubation) 하였다. 시료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배양 후 항원을 넣고, 37℃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얼음 위에 10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상등액을 취하여 미세 원심분리기 (microcentrifuge)로 90초간 원심분리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37℃에서 예비 배양한 기질 (0.1M 시트르산염 완충액에 P-NAG를 녹여 1mM로 만들어 사용)을 넣은 후, 원심 분리한 세포 반응물의 상등액을 가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0.1M Na2HCO3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시료 처리농도 (%) 억제효과
해양 심층수 추출물 (시료) 1 99.5
0.5 93
0.1 88
실험예 5. 항산화 효과 ( DPPH , NBT )
DPPH : 하이드록실 라디칼 (Hyroxyl radical)의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DPPH)용액을 80 ㎍/㎖ EtOH로 조제하고 이 용액 1㎖에 각 시료를 농도별 에탄올에 용해 시킨후 DPPH의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BT :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Superoxide anion)의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300mM 인산염 완충액 (pH 7.8)에 트리톤 X-100 1.6㎖, EDTA 2.9mg, NBT (Nitro-blue-tetrazolium) 1mg, 하이포크산틴 (hypoxanthine) 5.4mg을 넣어 기질 용액을 만든 후 크산틴 옥시다아제 12㎕를 300Mm 인산염 완충액 (pH 7.8) 10㎖에 녹여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정량화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시료 처리농도 (%) NBT 억제효과 DPPH 억제효과
해양 심층수 추출물 (시료) 1 96.5 99.8
0.5 92.7 97.5
0.1 90 91
녹차 추출물 0.1 78 89.6
실험예 6. 피부 내의 수분 증가에 따른 전기전도도( Tewameter ) 상승 효과
경표피 수분손실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증발계 (evaporimeter)인 수분 증발량 측정기 (Tewameter TM 210 (Courage + Khazaka, Koln, Germany)을 이용하여 Pinnagoda 등 (1989)이 기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시의 실내 온도는 24-26℃, 상대 습도는 50-60%이었다.
피검자는 모두 성인 10명 (여자 7명, 남자 3명) 이었으며, 결과를 하기 표 8 에 나타내었다.
[표 8]
시료 처리농도 (%) 상승효과평균치
해양 심층수 추출물 (시료) 5 91.3
1 76
0.1 44
실험예 7.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효소활성 (쥐)과 혈중 알코올 농 도억제 효과
ADH 측정 방범: 효소원은 동결건조된 S9 랫트 간 균질액 (rat liver homogenate) (MOLTOX Co., USA)를 0.1% 소 혈청 알부민 (bovineserum albumin) 용액 8 ㎖에 녹여 0.45 ㎛ 시린지 필터 (syringe filter)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ADH의 활성 측정은 Blandino의 방법 (Bostian. et al., 197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1.4 ㎖, 1.0 M 트리스-HCl 완충액 (pH 8.8) 0.75 ㎖, 20 mM NAD+ 0.3㎖, 에탄올 0.3 ㎖, 시료 0.1 ㎖의 혼합액과 효소원 0.15 ㎖를 큐벳 (cuvette)에 넣어 총 3 ㎖이 되도록 조절하여 30℃에서 5분간 프리인큐베이션 한 후, 5분간 340nm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료의 ADH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 활성 (%)으로서 측정하였다.
ALDH의 활성 측정은 Bostian의 방법 (Bostian. et al., 1978)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흡광도 340 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증류수 2.1 ㎖, 1.0 M 트리스-HCl 완추액 (pH 8.0) 0.3 ㎖, 20 mM NAD+ 0.1 ㎖, 1.0 M 아세트알데히드 0.1 ㎖, 3.0 M KCl 0.1 ㎖, 0.33 M 2-메르캅토에탄올 0.1 ㎖, 시료 0.1 ㎖의 혼합액과 효소원 0.1 ㎖를 큐벳에 넣어 총 3 ㎖이 되도록 조절하여 30℃에서 5분간 프리인큐베이션 한 후, 5분간 340 nm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료의 ALDH 활성은 대조군 상대활성 (%)으로서 측정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측정: 남녀 피검자 10명 (남자 8명, 여자 2명)에게 소주 3잔을 섭취시킨 후 각 농도별로 제조한 경도 30의 혼합 음료 100㎖를 마시고 2시간 이후에 혈중 알코올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ㅍ혈중 알코올 분해효과는 1-(실험군의 혈중알코올농도/대조군(혼합음료를 먹지 않은 경우) 혈중알코올농도) x 100이라는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시료 처리농도 (%) ADH 활성 ALDH 활성 혈중 알코올 분해효과
해양심층수 추출물 (시료) 5 90.4 95.4 71.8
1 86.7 91.2 56
0.1 51.2 76.1 2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료 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돌복숭아꽃 추출물과 함께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고 있어, 돌복숭아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에 존재하는 풍부한 미네랄 성분들이 섭취를 통하여 신체에 영양을 공급할 뿐 아니라 피부 상태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2. 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음료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꽃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숭아 꽃은 야생 돌복숭아 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원수, 역삼투압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전기 투석 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음료, 겔 또는 환약 중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고, 상기 음료용 조성물은 액체 또는 겔 중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작용, 세포내 콜라겐을 생성하는 효과, 세포내 지방 생성 억제 효과, 세포내 히스타민 억제 효과, 항산화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혈중 알코올 농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식품용 조성물.
KR1020060063491A 2006-07-06 2006-07-06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KR100804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491A KR100804104B1 (ko) 2006-07-06 2006-07-06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491A KR100804104B1 (ko) 2006-07-06 2006-07-06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299A Division KR100762287B1 (ko) 2006-02-28 2006-02-28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566A true KR20070089566A (ko) 2007-08-31
KR100804104B1 KR100804104B1 (ko) 2008-02-18

Family

ID=3861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491A KR100804104B1 (ko) 2006-07-06 2006-07-06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14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299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249A (ja) 2001-08-08 2003-02-26 Ryuei Soken:Kk 栄養補助食品
KR20030088610A (ko) * 2002-05-13 2003-11-20 김규종 동해 해양 심층수가 함유된 음료
KR20040003720A (ko) * 2002-07-03 2004-01-13 김우영 변비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323439A (ja) * 2003-04-25 2004-11-18 Oriza Yuka Kk 血液粘性改善用組成物
KR100609457B1 (ko) * 2003-09-08 2006-08-09 유영욱 해양심층수를 적용한 석류음료 제조방법
JP4452569B2 (ja) 2004-06-29 2010-04-21 有限会社フードデザイン健康研究所 桃の花及びラクトフェリンを主成分とする食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14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299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104B1 (ko) 200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1404A1 (en) Skin-condition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26836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KR100894628B1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0804104B1 (ko)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308035A (zh) 一种养护靓肤bb霜
KR101607437B1 (ko)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닉, 샴푸 및 트리트먼트
KR100780078B1 (ko) 해양 심층수 영양 염류 및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고미네랄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153A (ko)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80056370A (ko) 인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과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329921B1 (ko)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5861B1 (ko) 지의류 유래 미네랄 및 갈락토미세스 복합 발효물 제조방법
KR102196415B1 (ko) 지의류 유래 미네랄을 포함하는 갈락토미세스의 시간차 발효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WO2010013885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KR20050038112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3266A (ko) 해국 또는 왕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093863B1 (ko) 조직 배양한 노니 배양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 배양한 노니 배양세포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084390A (ko) 아미노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7729910A (zh) 红茶叶提取物、含有红茶叶提取物的组合物及其美容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