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178B1 -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178B1
KR102611178B1 KR1020230054619A KR20230054619A KR102611178B1 KR 102611178 B1 KR102611178 B1 KR 102611178B1 KR 1020230054619 A KR1020230054619 A KR 1020230054619A KR 20230054619 A KR20230054619 A KR 20230054619A KR 102611178 B1 KR102611178 B1 KR 102611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lla
oil
seeds
raw
quantum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희
Original Assignee
일품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품에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품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6Preservation of finish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 상기 입고된 들깨를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 상기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 상기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면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160):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여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 상기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헤파필터(8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를 마련하여 들깨의 성분 변화 없이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할 수 있고, 생들기름(들깨오일)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패를 방지함은 물론 항산화 효과 및 생들기름(들깨오일)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tioxidant and superabsorbent perilla seed oil by quantum energy irradiation}
본 발명은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들기름의 착유 시 열을 가하지 않는 상태로 착유하여 들깨가 가지고 있는 성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들깨 자체의 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들깨오일의 산패를 방지함과 함께 항산화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깨는 한국, 중국 및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 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연장 효과 등의 생체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 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진 페릴라 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 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내를 없애 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우어 줄 수 있어 신선한 잎 채소로 이용되고 있으며, 들깨 잎의 추출물은 화장품 색소나 향료로 이용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토코페롤이 심장혈관계 질환 및 암을 예방하고, 면역기능을 보조하며,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러한 토코페롤의 최대 천연 공급원 중의 하나인 들깨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식물성 기름인 들기름은 이러한 들깨를 원료로 제조되는 것이며, 참기름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 식용유의 하나이며, 특징은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이 약 10%고 나머지 90%는 불포화지방산이라는 점이며 n-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에 속하는 α-리놀렌산(C18:3)이 60% 전후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다.
α-리놀렌산의 함량이 높은 들기름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대장암과 유방암의 증식 억제, 학습능력의 향상, 혈소판의 응집능력을 저하시키는데 따른 심장질환과 혈전의 예방, 알레르기성 체질의 개선 등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사람이 섭취하는 기름의 지방산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름이다.
또한, 들깨를 190~210℃로 볶아 압착해서 얻은 들기름은 독특한 향기를 갖는데 볶음온도에 따라 향기성분의 함량과 패턴은 다르게 된다.
종래의 들기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열풍 건조한 들깨를 볶은 다음에 볶은 들깨를 분쇄하고 착유기에서 압착하였는데, 이러한 볶음 들깨를 이용하는 압착 공정의 경우 볶음시간이 길고 볶음온도가 놓아질수록 들기름의 추출 수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들기름은 열에 약하며, 종래의 들기름 제조방법에서는 위와 같이 들깨를 물 세척 후 열풍 건조하는 과정, 들깨를 볶는 과정 및 열압착식 착유기를 사용하여 착유하는 과정에서 들기름이 과다한 열과 자외선에 노출되므로, 이러한 건조 및 가열 압착 과정에서 예컨대 오메가 3과 같은 들깨의 유용성분이 변성되거나 또는 건강에 해로운 벤조피렌과 같은 발암물질이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해 공개된 특허등록 제10-2320390호의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은 비가열에 의해 들기름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가열에 의해 생들기름을 획득할 수 있고, 상온에서 프레스 가압에 의해 착유하여 열에 의한 들깨의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고서 순수한 형태의 생들기름을 착유하는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가열에 의해 생들기름을 착유하여 보다 신선한 생들기름을 얻을 수 있으나, 착유된 생들기름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음용함에 따라 생들기름이 산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생들기름을 장기간 보관함에 따라 생들기름의 변색 또는 부패에 의해 생들기름을 안전하게 음용할 수 없게 되고, 부패된 생들기름을 음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2039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0733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575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유하기 전 들깨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착유가 이루어진 들깨오일의 산패를 방지함은 물론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들깨를 이용하여 들기름의 착유하는 과정에서 들깨에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살균하여 세균이 없는 상태로 착유할 수 있도록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확된 들깨 자체를 볶거나 열을 가하지 않고서 직접 착유하여 생들기름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 및 비가열 상태에서 착유된 들깨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침전물을 제거하여 보다 투명하고 선명한 들깨오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들깨의 세척 또는 건조하는 과정 없이 입고된 들깨를 살균한 다음에 착유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면서 들깨의 산패 방지와 항산화를 높이도록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160):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헤파필터(8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는 단계(S160):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헤파필터(8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 상기 정제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완제품 탱크(90)에 보관하면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방출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면서 들깨의 산패 방지와 항산화를 높이도록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160):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헤파필터(8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 상기 정제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 완제품 탱크(90)에 보관하면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는 브러시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메시망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2차 이물질 제거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깻잎, 들깻대의 부피를 갖는 이물질을 브러시로 제거하고, 상기 2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돌, 모래, 흙의 입자상의 이물질을 메시망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재료 상태인 들깨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들깨의 성분 변화 없이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할 수 있고, 착유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패를 방지함은 물론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게 되더라도 생들기름(들깨오일)의 탈색 및 변색을 방지하고, 산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생들기름(들깨오일)의 항산화 효과를 높이면서 음용에 따라 생들기름(들깨오일)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아울러 들깨를 물로 세척하지 않음에 따라 세척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건식 세척기에 의해 들깨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들깨의 건조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들깨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한 다음 착유를 하게 됨에 따라 음용 시 보다 안전한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고, 별도로 열을 가하지 않고서도 상온에서 프레스의 가압에 의해 착유함으로써 열에 의한 들깨의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는 상태로 순수한 형태의 생들기름을 착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한 병원성미생물을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보다 안전한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고, 정제 단계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에 들어있는 입자상의 이물질 및 침전물을 제거하여 보다 투명하면서도 선명한 생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착유 시 열을 가하지 않고서 착유함으로써 열에 의한 들깨의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으며, 생들기름을 보다 투명하면서도 순수한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도 3의 정제단계를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와,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와,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와,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와,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면서 들깨의 산패 방지와 항산화를 높이도록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160)와,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와,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와,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이물질을 헤파필터(80)로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들깨의 원료 입고단계(S110)는 경작지에서 탈곡이 되어 포대에 담긴 상태로 입고가 이루어지며, 입고 시 마다 원산지증명서 등을 확인하여 입고함은 물론 사용하고자 하는 들깨의 기준에 적합한 원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경작지에서 수확된 들깨는 포대 등에 담겨 입고되며, 포대에 담긴 들깨는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들깨의 부식, 부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온저장고(10)에서 보관한다(S120).
상기 저온저장고(10)의 보관 단계(S120)는 입고된 들깨를 저온저장고(10)에서 영하 5℃ 이하의 온도로 보관함으로써, 들깨를 보다 신선하게 보관함은 물론 들깨가 썩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영하의 저온에서 보관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해도 들깨를 수확된 초기의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는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하기 위하여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한다(S130).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에서는 포대에 담겨 있는 들깨와 함께 깻잎 또는 들깻대 등을 제거함은 물론 들깨의 수확 시 들어있는 돌,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물질은 포대에 들깨와 함께 들어있는 깻잎, 들깻대, 돌, 모래, 흙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물질 및 돌"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는 브러시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메시망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2차 이물질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이물질 제거단계는 제1 건식세척기(30)에 통과시키면서 깻잎 등과 같은 큰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2차 이물질 제거단계는 제2 건식세척기(35)에 통과시키면서 흙, 모래, 돌 등과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메시망 등으로 제거한다.
이와 같이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를 거친 들깨는 제1 건식 세척기(30)와 제2 건식세척기(35)에 통과시키면서 들깨를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 중 1차 이물질 제거단계는 제1 건식세척기(30)에 설치된 브러시에 의해 깻잎 또는 들깻대 등을 제거한 다음에 제2 건식세척기(35)에 설치된 메시망(미도시)에 의해 들깨를 통과시키면서 돌,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을 별도로 선별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및 석발 단계를 거친 들깨는 자외선 살균기(40)에 의해 살균 과정을 거치게 된다(S150).
상기 살균 단계(S150)는 경작지에서 들깨를 수확하여 포대에 담게 되므로, 들깨의 원물에 있는 유해한 세균(또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들깨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자외선살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살균 단계(S150)에서 장출혈성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퍼프리젠스,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세레우스, 살모넬라,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일반세균, 대장균군 등의 병원성미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기(40)에서 대략 50~80초 동안 200~280㎚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줌으로써, 들깨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 단계(S150)를 거친 들깨는 제2 원료탱크(50)에 투입되어 보관된다(S160).
상기 제2 원료탱크(50)에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양자에너지 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기(미도시)에서 방출된 양자에너지는 들깨에 조사된다(S160).
이와 같이 들깨에 양자에너지가 조사됨에 따라 들깨의 착유 후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패, 즉 부패를 방지하게 되고, 들깨오일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원료탱크(50)에 저장된 들깨는 착유기(60)로 이송되고, 착유기(60)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게 된다(S170).
이러한 착유 단계에서는 착유기에 형성된 중공 내에 들깨를 투입시킨 다음 착유기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스를 적정 압력으로 하강시킴에 따라 들깨가 압착되면서 생들기름을 착유하게 된다.
이때 프레스는 들깨 투입 후 0㎏·f/㎤에서 600㎏·f/㎤까지 5~7분 동안 압착 후 600㎏·f/㎤를 유지한 채 10~20분 동안 압착한다.
즉, 프레스의 가압 시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압력을 600㎏·f/㎤까지 상승시킨다.
이는 착유기(60) 내에 투입된 들깨에 가해지는 압력을 서서히 높여주어 들깨가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되게 하여 들깨로부터 나오는 들기름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 들깨를 600㎏·f/㎤으로 10분 이상 가압하여 줌으로써 착유에 따른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하여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10분 이하인 경우 들깨에서 나오는 들기름이 잔여 상태로 있을 수 있고, 20분 이상을 가압하는 경우 작업 시간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착유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은 들깨오일 탱크(70)로 이송되어 보관된다(S180).
이어 들깨오일 보관탱크(70)에 저장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은 헤파필터(80) 등을 통과하는 정제과정(S190)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들깨를 물로 세척하지 않음에 따라 세척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건식 세척기에 의해 들깨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어 들깨의 건조에 따른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들깨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또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한 다음 착유를 하게 됨에 따라 음용 시 보다 안전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제조할 수 있고, 별도로 열을 가하지 않고서도 상온에서 프레스의 가압에 의해 착유함으로써 열에 의한 들깨의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는 상태로 순수한 형태의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2 원료탱크(50)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기(110)에서 방출된 양자에너지에 의해 들깨의 음전자수치를 높이고, 들깨의 산도를 낮추며, 들깨의 저장성을 증대시키고, 들깨의 산화를 낮추는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와,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와,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와,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와,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는 단계(S160)와,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와,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와,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와, 상기 정제가 이루어진 들깨오일을 완제품 탱크(90)에 보관하면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제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들깨의 원료 입고단계(S110)는 경작지에서 탈곡이 되어 포대에 담긴 상태로 입고가 이루어지며, 입고 시 마다 원산지증명서 등을 확인하여 입고함은 물론 사용하고자 하는 들깨의 기준에 적합한 원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경작지에서 수확된 들깨는 포대 등에 담겨 입고되며, 포대에 담긴 들깨는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들깨의 부식, 부패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온저장고(10)에서 보관한다(S120).
상기 저온저장고(10)의 보관 단계(S120)는 입고된 들깨를 저온저장고(10)에서 영하 5℃이하의 온도로 보관함으로써, 들깨를 보다 신선하게 보관함은 물론 들깨가 썩거나 부패, 변질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하며, 영하의 저온에서 보관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해도 들깨를 수확된 초기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는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하기 위하여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한다(S130).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2차 이물질 제거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1차로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포대에 함께 들어 있는 깻잎, 들깻대 등의 일정 크기 이상을 갖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탈곡이 이루어진 들깨의 원물과 함께 들어있는 깻잇 등의 일정 크기 이상을 갖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들깨와 함께 들어있는 돌 또는 모래 등을 메시망으로 제거하는 2차 이물질 제거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2차 이물질 제거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는 브러시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메시망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2차 이물질 제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을 갖는 깻잎, 들깻대 등을 제1 건식세척기(30)에서 걸러주고, 2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들깨와 함께 섞여 있는 모래, 돌, 흙 등을 제2 건식세척기(35)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들깨는 자외선 살균단계(S15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살균 단계(S150)는 경작지에서 들깨를 수확하여 포대에 담게 되므로, 들깨의 원물에 있는 유해한 세균(또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들깨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자외선 살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살균 단계(S150)에서 장출혈성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퍼프리젠스,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세레우스, 살모넬라,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일반세균, 대장균군 등의 병원성미생물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기(40)에서 대략 50~80초 동안 200~280㎚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줌으로써, 들깨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 단계(S150)를 거친 들깨는 제2 원료탱크(50)에 투입되어 보관된다(S160).
한편 상기 제2 원료탱크(50)는 착유되기 전 들깨의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영하 5℃ 이하의 저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들깨를 저온으로 보관하여 들깨의 부패, 변질, 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원료탱크(50)에 저장된 들깨는 착유기(60)로 이송되고, 착유기(60)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지게 된다(S170).
이러한 착유 단계에서는 착유기(60)에 형성된 중공 내에 들깨를 투입시킨 다음 착유기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스를 적정 압력으로 하강 시킴에 따라 들깨가 압착되면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하게 된다.
이때 프레스는 들깨 투입 후 0㎏·f/㎤에서 600㎏·f/㎤까지 5~7분 동안 압착 후 600㎏·f/㎤를 유지한 채 10~20분 동안 압착한다.
즉, 프레스의 가압 시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압력을 600㎏·f/㎤까지 상승시킨다.
이는 착유기(60) 내에 투입된 들깨에 가해지는 압력을 서서히 높여주어 들깨가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되게 하여 들깨로부터 나오는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 들깨를 600㎏·f/㎤으로 10분 이상 가압하여 줌으로써 착유에 따른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하여 착유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10분 이하인 경우 들깨에서 나오는 들기름이 잔여 상태로 있을 수 있고, 20분 이상을 가압하는 경우 작업 시간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착유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은 들깨오일 보관탱크(70)로 이송되어 보관된다(S180).
이어서 들깨오일 보관탱크(70)에 저장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은 헤파필터(80) 등을 통과하는 정제과정(S190)을 거치게 된다.
상기 정제과정(S190)은 헤파필터(80) 등에 의해 생들기름(들깨오일)에 함유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정제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다수의 정제과정(S192, S194, S196)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파필터(80) 등의 필터에 의한 정제 또는 필터프레스에 의한 다수의 정제과정(S192, S194, S196)을 혼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제단계(S190)는 메시망에 의한 1차 정제단계(S192)와, 자연침전에 의해 침전물을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S194)와, 필터프레스에 의한 3차 정제단계(S19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제단계(S190) 중 1차 정제단계(S192)는 메시망에 의해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며, 이때 메시망은 망목의 크기가 500메시(또는 0.025㎜)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생들기름(들깨오일)에 들어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2차 정제단계(S194)는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일정 시간 이상 침전시킨다. 이러한 2차 정제단계(S194)에 의해 생들기름(들깨오일)에 들어있는 침전물을 가라앉히게 된다.
이는 생들기름의 착유 시 오일(또는 기름)과 함께 미세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탱크 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 저장해 둠에 따라 오일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이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침전물이 가라앉을 수 있게 대략 12~36시간 정도 자연 침전시켜 정제시키게 된다.
상기 2차 정제가 이루어진 생들기름은 필터프레스(미도시)에 의해 3차 정제 단계를 거치게 된다(S196).
상기 생들기름(들깨오일)은 필터프레스 내에 투입시킨 다음 필터프레스의 압착에 의해 대략 0.3마이크로미터(Micrometer) 이상의 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정제(S192)에 의해 500메시 이상의 입자상 이물질을 제거하고, 자연침전에 의해 생들기름에 들어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필터프레스에 의해 생들기름에 들어있는 미세한 입자상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순수한 형태의 생들기름으로 정제(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제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은 완제품 탱크(90)로 이송되고, 상기 완제품 탱크(90)에 저장된 생들기름은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게 되더라도 산패 및 변질, 변색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양자에너지를 조사한다.
상기 제2 원료탱크(50)에는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양자에너지 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방출된 양자에너지는 생들기름(들깨오일)에 조사된다(S200).
이와 같이 생들기름(들깨오일)에 양자에너지가 조사됨에 따라 들깨의 착유 후 생들기름(들깨오일)의 변색, 변질, 산패, 즉 부패를 방지하게 되고,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은 살균 단계(S150)를 거치면서 인체에 유해한 병원성미생물을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보다 안전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제조할 수 있고, 정제 단계(S190)에 의해 착유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에 들어있는 입자상의 이물질 및 침전물을 제거하여 보다 투명하면서도 선명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유 시 열을 가하지 않고서 착유함으로써 열에 의한 들깨의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으며,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보다 투명하면서도 순수한 상태로 제조할 수 있게 되고, 완제품 탱크(90)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방출된 양자에너지에 의해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상온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하게 되더라도 산패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 인해 생들기름(들깨오일)의 변질이나 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항산화에 의해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와,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에 보관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저온저장고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에 투입하는 단계(S130)와,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와,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와,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면서 들깨의 산패 방지와 항산화를 높이도록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160)와,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와,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와,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와, 상기 정제가 이루어진 들깨오일을 들깨오일 탱크(70)에 보관하면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 과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원료 입고단계(S110)에서부터 완제품 탱크 보관 및 양자에너지 조사단계(S20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제2 원료탱크(50)에 양자에너지 발생기를 설치하여 착유되기 전의 들깨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고, 완제품 탱크(90)에 양자에너지 발생기를 설치하여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에 양자에너지를 2번 조사한다.
이와 같이 착유가 이루어지기 전 들깨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들깨의 성분 변화, 변질 또는 부패, 산패 등을 방지하고,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여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패를 방지함은 물론 항산화 효과를 높이면서 들깨오일의 음용 시 신체에 보다 빠르게 흡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3 실시 예에 따른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완제품탱크(90)에 저장된 생들기름을 병(또는 용기)에 담게 되는데, 상기 착유된 생들기름을 소정의 용량으로 이루어진 병(또는 용기)에 투입할 수 있도록 병에 담게 된다(S210).
상기 생들기름을 담은 병은 박스 내에 소정의 수량으로 채워져 포장된다(S22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들깨오일의 제조방법은 들깨를 프레스의 압력에 의해 착유함에 따라 들깨에 들어있는 식물성 오메가3, 올레인산, 리놀레산, 루테올린 등 성분의 파괴 또는 손상 없이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착유할 수 있으며, 들깨 고유의 깊은 향이 있는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제조할 수 있고, 압착된 깻묵을 사료 또는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생들기름(들깨오일)은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방출된 양자에너지에 의해 착유되기 전 들깨의 부패 방지 및 들깨의 성분을 원재료 상태로 유지하여 보다 신선하고 투명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얻을 수 있고,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장기간 보관하게 되더라도 생들기름의 부패 방지, 항산화 및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용기에 담긴 생들기름의 신선도 유지 및 산패를 방지할 수 있고,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음용 및 피부에 바를 때 흡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저온저장고 20: 제1 원료탱크
30: 제1 건식세척기 35: 제2 건식세척기
40: 자외선살균기 50: 제2 원료탱크
60: 착유기 70: 들깨오일탱크
80: 헤파필터 90: 완제품탱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수확된 들깨를 입고하는 단계(S110):
    상기 입고된 들깨의 부식 또는 부패를 방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온저장고(10)에 보관하는 단계(S120);
    상기 저온저장고(10)에 보관된 들깨를 제1 원료탱크(20)에 투입하는 단계(S130):
    상기 입고된 들깨에 포함된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
    상기 들깨에 묻어 있는 세균(또는 미생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는 단계(S150);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진 들깨를 제2 원료탱크(50)에 보관하면서 들깨의 산패 방지와 항산화를 높이도록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160):
    자외선 살균과 양자에너지가 조사된 들깨를 착유기(60)에 투입하고, 착유 시 열이 가해지지 않게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들깨로부터 생들기름을 얻는 착유단계(S170);
    상기 착유기(60)에서 착유된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탱크(70)에 보관하는 단계(S180):
    착유된 생들기름에 들어 있는 헤파필터(8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주는 정제단계(S190);
    상기 정제가 이루어진 생들기름(들깨오일)을 들깨오일 완제품 탱크(90)에 보관하면서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원료탱크(50)와 상기 완제품 탱크(90)에는 각각 양자에너지 발생기를 설치하여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조사된 양자에너지에 의해 들깨의 산패를 방지하고, 들깨의 착유 후 생들기름(들깨오일)의 산패 방지 및 항산화를 높이고,
    상기 저온저장고(10)의 보관 단계(S120)에서, 상기 저온저장고(10)는 들깨가 썩거나 부패,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에도 들깨를 수확된 초기의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영하 5℃ 이하의 저온 상태로 보관하며,
    상기 제2 원료탱크(50)의 양자에너지 조사단계(S160)에서, 상기 제2 원료탱크(50)는 착유되기 전 들깨의 부패, 변질, 변색을 방지하여 상기 들깨의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영하 5℃ 이하의 저온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완제품 탱크(90)의 양자에너지 조사단계(S200)에서, 상기 완제품 탱크(90)는 상기 생들기름이 입병된 상태의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에도 생들기름의 탈색 및 변색과 산패를 방지하도록 착유와 정제가 이루어진 생들기름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및 석발 제거단계(S140)는 브러시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1차 이물질 제거단계와, 메시망에 의해 이물질 및 돌을 걸러내는 2차 이물질 제거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깻잎, 들깻대의 부피를 갖는 이물질을 브러시로 제거하고, 상기 2차 이물질 제거단계에서는 돌, 모래, 흙의 입자상의 이물질을 메시망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KR1020230054619A 2023-04-26 2023-04-26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KR10261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619A KR102611178B1 (ko) 2023-04-26 2023-04-26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619A KR102611178B1 (ko) 2023-04-26 2023-04-26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178B1 true KR102611178B1 (ko) 2023-12-07

Family

ID=8916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619A KR102611178B1 (ko) 2023-04-26 2023-04-26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1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558B1 (ko) 2013-11-27 2015-10-08 정준호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707332B1 (ko) 2015-10-30 2017-02-16 우인창 생들기름 착유기 및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968172B1 (ko) * 2018-06-28 2019-08-19 (주)팀코스파 퀀텀 에너지를 방사하는 과냉각고
KR20200069471A (ko) * 2018-12-07 2020-06-17 자연팜 영농조합법인 저온압착방식의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2320390B1 (ko) 2021-04-28 2021-11-02 김양희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
KR20220037102A (ko) * 2020-09-17 2022-03-24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KR20220112324A (ko) * 2021-02-03 2022-08-11 김부열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표면에 인쇄 또는 부착되는 소재 및 이들 소재로 구획되는 특정공간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558B1 (ko) 2013-11-27 2015-10-08 정준호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707332B1 (ko) 2015-10-30 2017-02-16 우인창 생들기름 착유기 및 생들기름 제조방법
KR101968172B1 (ko) * 2018-06-28 2019-08-19 (주)팀코스파 퀀텀 에너지를 방사하는 과냉각고
KR20200069471A (ko) * 2018-12-07 2020-06-17 자연팜 영농조합법인 저온압착방식의 생들기름 제조방법
KR20220037102A (ko) * 2020-09-17 2022-03-24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KR20220112324A (ko) * 2021-02-03 2022-08-11 김부열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이 표면에 인쇄 또는 부착되는 소재 및 이들 소재로 구획되는 특정공간에 양자에너지를 조사하는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KR102320390B1 (ko) 2021-04-28 2021-11-02 김양희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4351B1 (en) Morinda citrifolia oil
KR101557558B1 (ko) 생들기름 제조방법
CN102533429A (zh) 免精炼天然茶籽油的生产方法
CN102318687B (zh) 云南大叶种茶树籽孕产妇油
KR102320390B1 (ko)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
CN104694363B (zh) 一种安吉白茶青稞茶酒的制备方法
KR102611178B1 (ko)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JPWO2005072512A1 (ja) 空心菜の保存方法、野菜の保存方法、及び加工食品
KR101788393B1 (ko) 식물성 기름 제조방법
KR102293285B1 (ko)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JP2818458B2 (ja) バナバ飲用物の製造方法
CN106147996A (zh) 葵花籽油及其生产工艺
KR102275259B1 (ko) 동백오일의 정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백오일의 정유방법
KR20030008236A (ko) 고순도 참기름의 제조방법
KR101527552B1 (ko) C3g 성분 함유 감주 제조방법
DE60017840T2 (de) Lebensmittel, unter Verwendung von mit gamma-Aminobuttersäure angereicherten Kreuzblütlern.
CN111411015A (zh) 一种富生物有机硒功能核桃油生产方法
CN104172367A (zh) 羊栖菜复合果蔬汁加工方法
KR102641665B1 (ko) 유해 성분이 저감된 식용 기름 제조 방법
KR20200048727A (ko) 인삼 한 뿌리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417592A (zh) 利用四棱豆处理液消除豆类种子贮藏中被豆蟓危害的方法
US1978171A (en) Process for producing vegetable extract and juice and product thereof
KR20120041886A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생선, 간고등어
KR20080099020A (ko)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9887B1 (ko) 관능성이 개선된 다시마 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