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102A -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 Google Patents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102A
KR20220037102A KR1020200119658A KR20200119658A KR20220037102A KR 20220037102 A KR20220037102 A KR 20220037102A KR 1020200119658 A KR1020200119658 A KR 1020200119658A KR 20200119658 A KR20200119658 A KR 20200119658A KR 20220037102 A KR20220037102 A KR 2022003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energy
air
chamber
storage
gener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872B1 (ko
Inventor
김부열
Original Assignee
운해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운해이엔씨(주) filed Critical 운해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20011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8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간격을 두고 저장용 선반(RACK) 또는 복수개의 직육면체의 챔버를 설치하고, 순환FAN을 구비한 공기순환계통을 구축하여, 순환되는 공기구성물질인 질소(N2)분자, 산소(O2)분자, 수증기의 물(H2O)분자를 고전압 방전에 의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등의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오염물질을 정화 및 생성되는 하이드록실 이온(OH-)등으로 순환공기중 부유세균을 살균하고, 가습부에서 생성된 수분변동 억제제, 라디칼 제거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갈변 방지제등의 첨가제가 혼합된 수용액을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순환되는 정화된 공기에 직접 분사하여 혼합하거나, 가열하여 생산된 건조증기와,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정화된 일부 공기를 벤츄리이젝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공기를 다시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등의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건조증기의 물분자(H2O)를 수소이온(H+) 및 하이드록실 이온(OH-)으로 해리 및 수분변동 억제제등의 첨가제 물질을 활성화 하고,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 산화질소(NO)등으로 이온화된 공기를 냉각기에서 냉매의 기화잠열을 이용 냉각하여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순환 시키면서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온도조절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며, 초기 운전시 본체 및 챔버의 일측면에 부착된 순환공기용 전동댐퍼를 닫고 배기라인의 전동댐퍼를 개방 및 진공펌프를 가동 및 배기하여, 챔버 내부의 압력을 20mmHg 내지 500mmHg 범위로 유지한 후 진공펌프의 가동정지 및 전동댐퍼를 닫은 후 불활성 기체공급부에서 용기에 충전된 질소 또는 탄산가스 또는 알곤가스를 본체 및 챔버에 공급하여 대기압 보다 5 내지 250Pa 높게 일정시간 유지 후, 다시 순환FAN을 구비한 공기순환 계통을 가동하여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공기중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가습부에서 생성된 수분변동 억제제, 라디칼 제거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갈변 방지제등이 혼합된 수용액을 가열하여 생산된 건조증기와,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정화된 일부 공기를 벤츄리이젝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공기를 다시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수증기 물분자를 해리 및 첨가제 물질을 활성시키고, 고전압 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 산화질소(NO)등으로 이온화된 공기를 냉각기에서 냉매의 기화잠열을 이용 냉각하여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순환 시키면서, 본체 및 챔버 내부 온도조절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면서,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 및 맥동 양자에너지를 본체 내부 및 챔버 내부에 조사하여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 내부에 저장된 인삼, 과일류, 식품, 육류제품, 수산물 등의 저장물을 장기간 저장 후에도 부폐하지 않고, 활성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Refrigerated and ripening storage irradiated with quantum energy}
본 발명은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간격을 두고 저장용 선반(RACK) 또는 복수개의 직육면체의 챔버를 설치하고, 순환FAN을 구비한 공기순환계통을 구축하여, 순환되는 공기구성물질인 질소(N2)분자, 산소(O2)분자, 수증기의 물(H2O)분자를 고전압 방전에 의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등의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오염물질을 정화 및 생성되는 하이드록실 이온(OH-)등으로 순환공기중 부유세균을 살균하고, 가습부에서 수분변동 억제제, 라디칼 제거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갈변 방지제등의 첨가제가 혼합된 수용액을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순환되는 정화된 공기에 직접 분사하여 혼합하거나, 가열하여 생산된 건조증기와,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정화된 일부 공기를 벤츄리이젝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공기를 다시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등의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건조증기의 물분자(H2O)를 수소이온(H+) 및 하이드록실 이온(OH-)으로 해리 및 수분변동 억제제등의 첨가제 물질을 활성화 하고,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 산화질소(NO)등으로 이온화된 공기를 냉각기에서 냉매의 기화잠열을 이용 냉각하여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순환 시키면서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온도조절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며, 초기 운전시 본체 및 챔버의 일측면에 부착된 순환공기용 전동댐퍼를 닫고 배기라인의 전동댐퍼를 개방 및 진공펌프를 가동 및 배기하여, 챔버 내부의 압력을 20mmHg 내지 500mmHg 범위로 유지한 후 진공펌프의 가동정지 및 전동댐퍼를 닫은 후 불활성 기체공급부에서 용기에 충전된 질소 또는 탄산가스 또는 알곤가스를 본체 및 챔버에 공급하여 대기압 보다 5 내지 250Pa범위로 높게 일정시간 유지 후, 다시 순환FAN을 구비한 공기순환 계통을 가동하여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공기중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가습부에서 생성된 수분변동 억제제, 라디칼 제거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갈변 방지제등이 혼합된 수용액을 가열하여 생산된 건조증기와,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정화된 일부 공기를 벤츄리이젝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공기를 다시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수증기 물분자를 해리 및 첨가제 물질을 활성시키고, 고전압 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 산화질소(NO)등으로 이온화된 공기를 냉각기에서 냉매의 기화잠열을 이용 냉각하여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순환 시키면서, 본체 및 챔버 내부 온도조절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면서,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중첩되어 소멸된 제로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를 본체 내부 및 챔버 내부에 조사하여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 내부에 저장된 인삼, 과일류, 식품, 육류제품, 수산물 등의 저장물을 장기간 저장 후에도 부폐하지 않고, 활성이 떨어지지 않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웰빙 또는 공동체 전체의 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건강과 환경, 사회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적 생활방식으로 생활 패턴이 바뀜에 따라 신선하고 맛 좋은 제품을 찾는 소비자의 욕구가 강해져 인삼, 과채류, 식품, 수산물, 육류제품등(저장물)의 장기저장 기술의 발전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저장물이 산소, 광선, 수분, 온도외에 진동, 압축, 미생물, 생물등의 저장 환경조건의 영향으로 저장중에 서서히 열화(변질)된다.
이들 물리적,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인 환경조건이 저장물에 있어서 부적당하면 이들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해도 계속 해서 다른 변화가 유발된다.
또한, 냉장 저장물에 있어서의 수분은, 그 처해진 환경에 의해 변화되고, 일정한 온도조건에서는 그 때의 외기의 상대습도에 지배되어, 조성물에 함유된 수분이 외기상으로 방습하거나, 혹은 외기상으로부터 흡습하여 외기상과 조성물 중의 수분이 평형에 달한 수분량이 된다(평형 수분량). 이러한 조성물 중의 수분변동에 따라 물성적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호화전분의 노화의 발생, 지질의 산화나 분해의 촉진등에 의해 고화, 수축, 균열, 갈변, 용해, 조해, 결정화, 석출등이 진행하여 그 조직, 형상, 맛, 향기, 색, 식감등의 풍미의 열화나 유효성분의 실활, 영양성분의 소실, 게다가 미생물 오염등에 의해 품질 열화를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에서 볼 수 있는 수분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조성물의 품질유지상 극히 중요한 과제이다,
저장실의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저장물 자체에서 발생하거나 순환공기중 산소에 의해 항상 일정 농도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은 정상적인 세포내 활동 산물로서 생체 내에서 농도에 따라 유익한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해로운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낮은 농도에서 활성산소종(ROS)는 감염원을 제거하거나 세포전달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세포증식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ROS의 농도가 높아지면 생체내 고분자의 산화를 유발하는 산화제로 작용하고, 이 산화제가 저장물에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해 저장물이 서서히 열화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열화를 촉진한다.
열화과정에서 과일이나 야채류에서는 에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며 열화가 촉진되고, 육류, 어류등의 저장물에서는 생체내 지질 단백질, 핵산등과 같은 고분자의 파괴가 일어나고 의약품, 화장품의 경우 조성물과의 산화반응으로 성분의 변성을 초래하고, 수삼, 인삼의 경우 뿌리썩음병인 Cylindrocarpon, Cylindrocarpon destructans, Cylindrocarpon candidum, Cylindrocarpon album, Cylindrocarpon hetronema과 인삼 식물 병원균인 Selerotinia nivalis, Rhizoctonia solani AG2, Botrytis cinerea; 잿빛곰팡이병균인 Fusarium solani, 모잘록병인 Fusarium roseum, 시들음병인 Fusarium oxysporum, 역병인 Phytophthora cactorm, 점무늬병인 Cladosporium sp, 균핵병인 Sclerotinia Sclerotiorum, 곰팡이균, 녹농균, 황색 포도상구균, 폐렴균, 레지오넬라균 등이 증식하여 장기저장에 각별한 주위가 필요하다. 이러한 균들을 살균하기 위하여 식품, 과채류등에 살균제를 도포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58199호(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법)에서는 과일을 저장할 수 있는 각각 개별화된 영역으로 분획화가 이루어지고, 상기 분획화된 과일별 저장고 내면은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종이로 이루어진 패드의 내부에 메조포러스한 기공크기를 갖는 활성탄을 포함하고, 활성탄 외측에는 과망간산칼륨(KMNO4)이 부착되어 저장중 과일에서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고, 부직포에 실리카겔을 담지하여 수증기를 제거하고, 냉장실의 온도를 1-5℃로 유지하여 에틸렌 발생량을 줄이며 저장될 과일 표면에 항산화 효과 및 야채의 호흡작용과 수분억제 기능을 갖는 프로폴리스 용액을 도포하여 신선도를 유지 및 장기 보존이 가능하게 하며, 저장고를 채소별 저장고와 과일별 저장고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각의 저장고 외주면에 흡착식 냉동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화시켜 각각의 저장실을 저온으로 유지하며,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는 제1 공간부와 제1 공간부로 들어온 냉각수가 공급되는 상하부관과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관과 삽입관의 외주면에는 흡착제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상하부관과 흡입관의 외부로 공급되는 냉매를 탈착/흡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냉각수를 냉각 및 배출하여 다시 저온창고로 공급하는 이 기술은 활성탄에 담지된 과망간산카리(KMNO4)를 이용하여 저장중 과일 및 채소에 발생되는 에틸렌 가스를 산화반응으로 분해하고, 제습제를 이용하여 수분(습도)를 조절하고, 프로폴리스 용액을 채소나 과일 표면에 도포하여 야체의 호흡작용과 수분억제기능과 항산화효과로 신선도를 유지하며 장기 저장한다고하나 저장실의 공기중의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열화방지 및 미생물의 증식억제 및 세균 살균 기술이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94428호(묘삼 장기저장방법)에서는 눕혀진 묘삼 저장용기 내에 직경 1mm 내지 3mm 사이이고, 수분함량은 60% 내지 80%이하인 마사토를 1차 충진하고, 충진된 마사토에 묘삼을 충적하는 묘삼충적단계와 충적된 묘삼에 상기 마사토와 묘삼을 서로 교대로 반복하여 충적하는 반복충적단계와 반복충적 단계 후 마사토를 충진하는 2차 마사토 충진단계 및 상기 마사토와 묘삼이 포함된 묘삼 저장용기를 초기온도를 -4C 내지 -1C 사이에서 동결하는 저온창고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기술은 묘삼 외표면에 부착된 뿌리 썩음 병원균의 살균방법과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불활성분위기 조성 및 양자에너지 조사 기능이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56977호(내외기 순환과 저온을 활용한 건조실과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 설치장치)에서는 지면으로 외기 유입실과 건축물 지붕위로 내기 배출관을 설치하여 상기 유입실과 내기 배출관 사이로 건조실과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가 공통으로 연결된 내부로 상기유입실과 내기배출관을 이용 대류차 내외기를 순환시켜 건조실은 수분이 함유된 물품을 건조하고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는 자연환기가 되면서 내부로 저장된 물품을 저장하면서 또한, 건조실은 남향복사열을 순환시켜 저장물품을 장기 저장하는 즉 건조실은 건조의 조건인 바람과 복사열 열기를 이용하고 또한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는 장기저장조건인 내외기 순환과 저온과 수분을 이용 저장물품을 장기저장하는 기술로, 이 기술은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의 제거 또는 농도 조절기능이 없고, 부유공기중 세균을 살균할 수 없으며 양자에너지 조사기능이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96839호(고기 숙성고)에서는 숙성함체 내부로숙성실과 냉기보호실이 구비된 고기 숙성고에 있어서,상기 숙성실과 냉기보호실은 숙성함체 내부에 격벽으로 구분되어 일측공간이 숙성실로 형성되어지며,타측공간이 냉기보호실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지되,상기 격벽에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숙성실의 격벽을 포함하는 내벽면에 내부 열교환부가 배열되어지고,상기 내부 열교환부가 숙성함체의 외부에 구비된 열교환부에 연결되어지고고,상기 냉기보호실은 숙성실의 내벽면에 구비된 내부 열교환부가 연장되어지며,전방에 단열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열고 닫을때숙성실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편차를 줄여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숙성실 내부가 오존에 의하여 살균되도록하여 육류의 특유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항상 육류의 수분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한 이 기술은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의 제거 또는 농도 조절기능이 없고, 양자에너지 조사기능이 없다.
즉, 지금까지 개발된 기술은 전술한 문제점들로 인해 다용도 측면에서 미진한 부분이 있으며, 저장중의 외표면에 부착된 뿌리 썩음 병원균의 살균방법과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불활성 분위기 조성 및 양자에너지 조사 기능의 식물저장기는 아직까지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5819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9442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5697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9683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체 내부에 간격을 두고 저장용 선반(RACK) 또는 복수개의 직육면체의 챔버를 설치하고, 순환FAN을 구비한 공기순환계통을 구축하여, 순환되는 공기구성물질인 질소(N2)분자, 산소(O2)분자, 수증기의 물(H2O)분자를 고전압 방전에 의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등의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오염물질을 정화 및 생성되는 하이드록실 이온(OH-)등으로 순환공기중 부유세균을 살균하고, 가습부에서 생성된 수분변동 억제제, 라디칼 제거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갈변 방지제등의 첨가제가 혼합된 수용액을 분사노즐에 공급하여 순환되는 정화된 공기에 직접 분사하여 혼합하거나, 가열하여 생산된 건조증기와,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정화된 일부 공기를 벤츄리이젝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공기를 다시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등의 전기 화학적 반응으로 건조증기의 물분자(H2O)를 수소이온(H+) 및 하이드록실 이온(OH-)으로 해리 및 수분변동 억제제등의 첨가제 물질을 활성화 하고,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 산화질소(NO)등으로 이온화된 공기를 냉각기에서 냉매의 기화잠열을 이용 냉각하여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순환 시키면서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온도조절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며, 초기 운전시 본체 및 챔버의 일측면에 부착된 순환공기용 전동댐퍼를 닫고 배기라인의 전동댐퍼를 개방 및 진공펌프를 가동 및 배기하여, 챔버 내부의 압력을 20mmHg 내지 500mmHg 범위로 유지한 후 진공펌프의 가동정지 및 전동댐퍼를 닫은 후 불활성 기체공급부에서 용기에 충전된 질소 또는 탄산가스 또는 알곤가스 또는 수소가스를 본체 및 챔버에 공급하여 대기압 보다 5 내지 250Pa 높게 일정시간 유지 후, 다시 순환FAN을 구비한 공기순환 계통을 가동하여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공기중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가습부에서 수분변동 억제제, 라디칼 제거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갈변 방지제등이 혼합된 수용액을 가열하여 생산된 건조증기와,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정화된 일부 공기를 벤츄리이젝터에서 혼합한 후, 혼합된 공기를 다시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수증기 물분자를 해리 및 첨가제 물질을 활성시키고, 고전압 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소이온(H+),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 산화질소(NO)등으로 이온화된 공기를 냉각기에서 냉매의 기화잠열을 이용 냉각하여 본체 및 챔버 내부를 순환 시키면서, 본체 및 챔버 내부 온도조절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면서,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 및 맥동 양자에너지를 본체 내부 및 챔버 내부에 조사하여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 내부에 저장된 인삼, 과일류, 식품, 육류제품, 수산물 등의 저장물을 장기간 저장 후에도 부폐하지 않고, 활성이 떨어지지 않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며, 각 격벽의 구조는 외부면, 보냉재 또는 단열재, 내부면의 3중 구조형식으로 외부면의 재질은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유리섬유 성형폼(FRP), 카본스틸등의 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며, 내부 좌측면 및 배면의 벽체에는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일정면적의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 이 복수개 설치되고, 전면 및 우측면의 벽체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 또는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이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고,또한 본체 내부에 상하,좌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자기장 발생코일(815b)사이 사이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산소 활성종(ROS)을 제거하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담지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11)가 부착 설치되며, 본체 내부에 간격을 두고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a, 815b) 설치 위치의 동일 높이와 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챔버의 외부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의 4면에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a, 815b)이 설치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식품 또는 식물 저장용 챔버(120)가 복수개가 설치되고, 좌측면 하부 일측에 불활성기체공급부(700)의 공급관(713)이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출력측의 도선(824)이 설치되고, 우측 하부 일측면에 공기순환계통(200)의 필터하우징(202)에 연결된 공기 흡입관(201)이 설치되며, 상부 일측면에는 토출관(206)이 설치되고, 좌측으로 간격을 두고 감압부(600)의 흡입관(613)이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하부에 연결되는 흡입관(201),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 가지관(203),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 전동댐퍼(205a, 205b), 순환FAN(212), 토출관(206)으로 구성되며, 흡입관(201)은 본체(100)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가지관(203)은 흡입관(201) 일측에 분기되며, 가지관(203)상에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과 전동댐퍼(205b)가 설치되고, 흡입관(201) 상 일측에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과 전동댐퍼(205a)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순환FAN(212)이 설치되고, 토출관(206) 상에 순환FAN(212)과 간격을 두고 활성기체 발생기(300)가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가습기(400)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냉각기(500)가 설치되는 토출관(206)의 끝단이 본체(110) 상부 일측에 관통되어 본체 내부 및 복수개의 챔버(120) 상부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 순환 유로를 구성하며, 제어반(900)에서 전동댐퍼(205b) 및 순환FAN(212)에 전원을 공급하면, 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물이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의 초기운전 단계에서는 순환FAN(212)이 가동하여 외부 공기를 제2 필터하우징(204) 내부로 흡입 및 헤파필터(204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 미세분진이 여과되어 제진되고, 제진된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활성기체생성기(300)로 공급하고, 정상운전 단계는 가지관(203) 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b)가 off되고 흡입관(201)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a)가 개방(ON)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FAN(212)의 흡인력으로 제1 필터하우징(202)에 흡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데미스터(202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 일부가 응결되어 회수 되면서 순환FAN(212)에 흡입 및 가압되어 토출관(206)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활성기체 발생기(300), 가습기(400), 냉각기(500)을 통과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로 공급 및 순환시켜 공기중 오염물질이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며, 첨가제가 공급 및 수분이 공급되고, 공급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관리 목표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면서 다시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순환하는 공기순환계통(200);과,
외통(311), 내통(312), 제1 자기장 발생기겸 방전전극(313), 제2 자기장 발생기겸 접지전극(314), 전원공급기(315), 도선(316)으로 구성되어 양 끝단면이 원형이고 외통(311) 및 내통(312)구조의 이중 원기둥 형상의 외통(311) 내부 원주면상에 면접하여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의 제1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이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내통(312)외부 원주면에 제1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의 권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의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이 설치되어 외통(311) 외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기(315)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도선(316)을 통해 제1 자기장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및 접지전극(31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자기장이 방전극(313, 314)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방전극(313, 314)사이에서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이 대역에 공기순환계통(200)의 순환 FAN(212)의 가압력으로 청정공기를 공급하면, 통과되는 공기에 고전계 전자 에너지 인가되어 공기 구성 분자(O2, N2, H2O 등)의 공유 결합이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및 산화질소(NO)등의 이온이 오염(에틸렌) 물질과의 산화 환원 반응으로 제거 및 공기중 부유 세균또는 부유바이러스의 세포막 천공하여 살균및 박테리아,세균 및 바이러스간 쿼럼 센싱 체계(Quorum Sensing SYSTEM: QSS)를 파괴하는 활성기체 발생기(300);와,
흡입관(411), 전자밸브(412), 링브로워(413), 토출배관(414), 벤츄리이젝터(415)로 구성되는 활성기체공급기(410)와,
첨가제 공급탱크(421a), 정량펌프(421b), 공급배관(421c), 전자변(미도시), 수용액저장탱크(421),교반기(421d), 흡입배관(422), 가압펌프(423), 전자밸브(424), 토출배관(425), 가지관(425a), 가지관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26)로 구성되는 수용액 공급부(420)와,
세라믹히타(431), 전원공급기(432),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으로 구성되는 가열기(430)와,
외통(441), 내통(442), 제1 자기장 발생기겸 방전전극(443), 제1 전기히타(443a), 제2 자기장 발생기겸 접지전극(444), 제2 전기히타(444a), 전원공급기(445), 제1 및 제2 히타용 전원공급기(443b, 444b), 도선(446)으로 구성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로 구성되어,제어반(900)에서 전자밸브(411), 링브로워(412), 가압펌프(423), 전원공급기(432), 전원공급기(443b,444b), 전원공급기(445)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먼저 가지관(411) 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11)가 개방 및 링브로워(412)가 가동되어 활성기체 발생기(300)의 토출측에서 분기된 가지관(411)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흡입 및 가압하여 벤츄리이젝터(414)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산화방지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에틸렌 작용 억제제, 빙점 강하제, 수분변동 억제제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정량펌프(421b)가 적정량을 흡입 및 가압하여 배관(421c)을 통하여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공급하고, 교반기(421d)로 희석한 후,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저장된 수용액을 가압펌프(423)를 가동하여 흡입배관(422)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여 토출배관(425)에서 분기된 가지관(425)통해 챔버(448)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공급 및 활성기체 생성기(300)에 정화되어 챔버(448)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분사하거나, 또는 토출배관(425)에 설치된 전자밸브(424)를 통해 가열기(430)의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의 동심원에 면접하여 설치된 봉형상의 세라믹히타(431)에 전원공급기(432)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히타의 발열로 유로(433)를 열전도 형식으로 가열하고 동시에 가열된 유로내부를 유동하는 수용액을 열전도 형식으로 가열하여 습증기 상태로 상태변화시키고 더욱 가열하여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 상태로 가열하면서 벤츄리이젝터(414)의 목부(415a)에 공급하여 링브로워(412)에 의해 흡입 및 가압되어 벤츄이이젝터(414)로 유입되는 청정공기에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를 공급하여 청정공기에 혼합하면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외통(441) 및 내통(442) 사에에 형성된 유로에 공급하면서 외통(441) 및 내통(44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제1 자기장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의 내부에 절연되어 설치된 발열체(443a, 444a)에 전원 공급기(443b, 444b)에서 생성된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체 (443a, 444a)가 가열되어 열전도 형식으로 방전극(443 및 444)을 가열하면서 고전압 전원공급기(445)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도선을 통하여 방전극(443, 44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자기장이 방전극(443, 444)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방전극(443, 444)사이에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면서 이 대역에 정화된 공기와 과열증기가 혼합되어 가열된 혼합공기가 방전극(443, 444)사이에 형성된 고전계 전자에너지 대역을 통과하면서 첨가제 물질이 활성화되고 건조증기의 물분자가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수소이온(H+), 히드록실이온(OH- Radical)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활성기체를 링브로워(413)의 가압력으로 챔버(448)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을 통해 활성기체 발생기(300)에서 유입되는 청정공기에 분사하여 활성기체 발생기(300)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한 후 냉각기(500)로 공급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와,
압축기(511), 응축기(512), 팽창밸브(513), 증발기(514) 및 도관(515)로 구성되어, 증발기(514)에 유입되는 저온 기체상태의 냉매가스를 압축기(511)에서 단열압축하여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를 자체압력으로 응축기(512)에 공급하면 응축기(512)용 냉각FAN(512a)에서 외부공기를 유입 가압하여 분사되는 공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기 내부관을 통과과정에서 대류, 전도방식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환 후 자체 압력으로 미세직경의 모세관 형태의 팽창밸브(513)를 통과과정에서 주울-탐슨 효과에 의해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온 감압된 후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으로 권선된 증발기를 통과 과정중에 열전도 현상으로 냉매가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기화열에 의해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에 이송되는 혼합공기를 냉각하여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제어반(900)에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설정된 온도 만큼 냉각 및 혼합공기가 냉각과정에서 적정습도로 제습된 후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로 공급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에 공급하여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면서, 사전에 제어반(900)의 제어회로에 입력된 설정온도, 설정습도에 도달하면 정지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습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다시 가동되는 제어동작이 반복하여 수행되면서 순환공기를 냉각 및 습도를 조절하는 냉각기(500);와,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와 연결된 배기관(611), 진공펌프(612), 배출관(613), 전자밸브(613a)로 구성되어 저장물이 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으로 공기순환 계통(110)을 통해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고, 첨가제물질이 공급되고 냉각된 청정공기를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에 공급하면서 제어반(90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일정시간 진공펌프(612) 및 전자밸브(611a, 611b, 611c)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밸브(611a, 611b, 611c)개방됨과 동시에 진공펌프(612)가 가동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611)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고 토출배관(613)상의 전자밸브(613a)를 개방시켜 대기로 배기 하여 본체 내부(110) 또는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내부를 음압 20mmhg 내지 550 mmhg 범위로 감압한 후 일정시간 감압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감압부(600);와,
가스 감지기(717)와 질소(N2)가스가 고압(120kg/cm2)으로 충전된 용기(711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1b), 전자밸브(711c)로 구성되는 질소(N2)가스 공급기(711)와,
또는 알곤(Ar)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2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2b), 전자밸브(712c)로 구성되는 알곤(Ar)가스 공급기(712)와,
수소(H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3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3b), 전자밸브(713c)로 구성되는 수소(H2)가스 공급기(713)와,
탄산(CO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4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4b), 전자밸브(714c)로 구성되는 탄산(CO2)가스 공급기(714) 의 공급관이 각각,전자밸브(715)가 설치된 주 공급관의 한 끝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끝단은 본제 내부 및 챔버(120)에 연결된 복수개의 가지관에 연결되어 질소(N2)가스 공급기(711), 알곤(Ar)가스 공급기(712), 수소(H2)가스 공급기(713), 탄산(CO2)가스 공급기(714)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선정된 기종에서 불활성 기체(질소, 알곤, 탄산가스)또는 수소가스를 저장 및 숙성고 본체(110) 내부 및 챔버(120)에 공급하여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거나 수소가스로 치환하고,저장중에는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산소농도를 낮추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소가스의 경우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의 하이드록실 이온(OH-) 및 산소이온(O)등의 산소 활성종(ROS)를 환원작용로 제거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부(700);와,
감압 변압기(811), 정류회로(812), 입력모듈(813a), 연산모듈(813b),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모듈(813c)로 구성된 제어부(813), 전류검출센서(814)로 구성되는 전원공급기(810) 및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이 중첩되어 소멸 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양자에너지가 본체 내부 저장랙(Rack)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조사되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와,
공기순환계통(200), 활성기체 생성기(300),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 냉각기(500), 감압부(600), 불활성기체 공급부(700), 맥동 양자에너지 조사부(8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등의 제어를 하는 제어반(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고전압 방전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부유공기중 세균 살균 및 에틸렌 가스를 제거하며 갈변 억제제등의 물질이 함유된 수증기를 순환공기에 분사 및 혼합한 후 냉각부에서 적정온도 및 적정습도로 조절하여 저장물의 저장중에 수분변동에 따라 물성적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호화전분의 노화의 발생, 지질의 산화나 분해의 촉진등에 의해 고화, 수축, 균열, 갈변, 용해, 조해, 결정화, 석출등이 진행하여 그 조직, 형상, 맛, 향기, 색, 식감등의 풍미의 열화나 유효성분의 실활, 영양성분의 소실, 게다가 미생물 오염등에 의해 품질 열화를 예방할 수 있다.
2. 고전압 방전부에서 고전압 방전과정의 전기화학적 반응에서 생성되는 히드록실 이온(OH-)에 의한 세균 살균 및 수소가스 해리에의해 생성되는 수소이온(H+,H-)을 저장실 내부에 공급하여 환원반응으로 저장실 내부 및 챔버에 저장된 저장물에서 저장중에 방출되는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순환공기중 산소를 제거하여 산소 또는 활성산소종등에 기인된 저장물의 산화 및 산화스트레스로 저장물이 서서히 열화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열화를 촉진하여 육류, 어류등의 저장물에서는 생체내 지질 단백질, 핵산등과 같은 고분자의 파괴가 일어나고 의약품, 화장품의 경우 조성물과의 산화반응으로 성분의 변성을 방지하고 인삼의 경우 뿌리썩음병인 Cylindrocarpon, Cylindrocarpon destructans, Cylindrocarpon candidum, Cylindrocarpon album, Cylindrocarpon hetronema과 인삼 식물 병원균인 Selerotinia nivalis, Rhizoctonia solani AG2, Botrytis cinerea; 잿빛곰팡이병균인 Fusarium solani, 모잘록병인 Fusarium roseum, 시들음병인 Fusarium oxysporum, 역병인 Phytophthora cactorm, 점무늬병인 Cladosporium sp, 균핵병인 Sclerotinia Sclerotiorum, 곰팡이균, 녹농균, 황색 포도상구균, 폐렴균, 레지오넬라균을 살균하여 뿌리썩음병에 의한 손실을 예방한다.
3.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물에 양자에너지 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자기장 및 맥동양자에너지를 저장물에 조사하여 물분자들이 정전기적인 견인력을 갖게하고, 쌍극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질서도가 높고, 물 분자의 덩어리가 작아져 이른바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 현상을 일으키며, 질서있는 기저 상태가 영구적으로 보전되고,상기 저장물의 분자, 세포, 조직, 장기의 개체에 조사하여서 나트륨이나 칼슘이온들의 미네랄을 활성시키고, 신선도를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내부에 챔버가 설치된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내부에 저장랙(Rack)이 설치된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 챔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장 챔버의 입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순환공기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활성기체 발생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냉각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및 숙성고의 감압부(6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불활성기체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제어반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및 숙성고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고 및 숙성고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며, 각 격벽의 구조는 외부면, 보냉재 또는 단열재, 내부면의 3중 구조형식으로 외부면의 재질은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유리섬유 성형폼(FRP), 카본스틸등의 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저장고 내부 및 챔버(120)외부에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815b)의 설치는 좌,우측면 및 전면,배면에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설치하되 서로 마주보는(본체 내부의 벽면,본체내부의 벽면과 챔버의 어는 한면,챔버와 챔버사이의 면)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며,
본체 내부에 상하,좌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사이 사이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산소 활성종(ROS)을 제거하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담지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11)가 부착 설치되며, 본체 내부 좌측면 및 배면의 벽체에는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일정면적의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815b)이 복수개 설치되고, 전면 및 우측면의 벽체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 또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이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고, 내면과 간격을 두고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이 설치 위치의 동일 높이와 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외부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의 4면에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이 설치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식품 또는 식물 저장용 챔버(120)가 복수개가 설치되고,또는 내부면 각 코너에 일정 직경과 일정 높이를 갖는 봉 형상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815a, 815b)이 설치되고, 본체(110) 좌측면 하부 일측에 불활성기체공급부(700)의 공급관(713)이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출력측의 도선(814)이 설치되고, 우측 하부 일측면에 공기순환계통(200)의 필터하우징(202)에 연결된 공기 흡입관(201)이 설치되며, 상부 일 측면에는 토출관(206)이 설치되고, 좌측으로 간격을 두고 감압부(600)의 흡입관(611)이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하부에 연결되는 흡입관(201),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 가지관(203),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 전동댐퍼(205a, 205b), 순환FAN(212), 토출관(206)으로 구성되며, 흡입관(201)은 본체(100) 좌측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가지관(203)은 흡입관(201) 일측에 분기되며, 가지관(203) 상에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과 전동댐퍼(205b)가 설치되고, 흡입관(201) 상 일측에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과 전동댐퍼(205a)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순환FAN(212)이 설치되고, 토출관(206) 상에 순환FAN(212)과 간격을 두고 활성기체 공급기(300)가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가습기(400)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냉각기(500)가 설치되는 토출관(206)의 끝단이 본체(11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 유로를 구성하며, 제어반(900)에서 전동댐퍼(205b) 및 순환FAN(212)에 전원을 공급하면, 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물이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의 초기운전 단계에서는 순환FAN(212)이 가동하여 외부 공기를 제2 필터하우징(204) 내부로 흡입 및 헤파필터(204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 미세분진이 여과되어 제진되고, 제진된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활성기체생성기(300)로 공급하고, 정상운전 단계는 가지관(203) 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b)가 off되고 흡입관(201) 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a)가 개방(ON)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FAN(212)의 흡인력으로 제1 필터하우징(202)에 흡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데미스터(202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 일부가 응결되어 회수 되면서 순환FAN(212)에 흡입 및 가압되어 토출관(206)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활성기체 생성기(300), 가습기(400), 냉각기(500)을 통과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에 공기중 오염물질이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며, 첨가제가 공급 및 수분이 공급되고,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관리 목표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면서 다시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순환하는 공기순환계통(200);과,
외통(311), 내통(312),제1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제2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접지전극(314), 전원공급기(315),도선(316)으로 구성되어 양 끝단면이 원형이고 외통(311) 및 내통(312)구조의 이중 원기둥 형상의 외통(311) 내부 원주면상에 면접하여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의 제1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이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내통(312)외부 원주면에 제1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의 권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의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이 설치되어 외통(311) 외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기(315)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도선(316)을 통해 제1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및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접지전극(31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방전극(313, 314)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고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제1,제2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극(313, 314)사이에서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이 대역에 공기순환계통(200)의 순환 FAN(212)의 가압력으로 청정공기를 공급하면, 통과되는 공기에 고전계 전자 에너지가 인가되어 공기 구성 분자(O2, N2, H2O 등)의 공유 결합이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 및 산화질소(NO)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산화질소(NO)등의 이온이 오염(에틸렌) 물질과의 산화 및 환원반응으로 제거 및 공기중 부유 세균 또는 부유바이러스의 세포막 천공하여 살균 및 박테리아,세균 및 바이러스간 쿼럼 센싱 체계(Quorum Sensing SYSTEM: QSS)를 파괴하는 활성기체 발생기(300);와,
흡입관(411), 전자밸브(412), 링브로워(413), 토출배관(414), 벤츄리이젝터(415)로 구성되는 활성공기공급기(410)와,
첨가제 공급탱크(421a), 정량펌프(421b), 공급배관(421c), 교반기(421d), 수용액저장탱크(421), 흡입배관(422), 가압펌프(423), 전자밸브(424), 토출배관(425), 가지관(425a), 가지관 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26)로 구성되는 수용액 공급부(420)와,
세라믹히타(431), 전원공급기(432),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으로 구성되는 가열기(430)와,
외통(441), 내통(442), 제1 자기장 발생기겸 방전전극(443), 제1 전기히타(443a), 제2 자기장 발생기겸 접지전극(444), 제2 전기히타(444a), 전원공급기(445), 제1 및 제2 히타용 전원공급기(443b, 444b), 도선(446)으로 구성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로 구성되어,제어반(900)에서 전자밸브(411), 링브로워(412), 가압펌프(423), 전원공급기(432), 전원공급기(443b, 444b), 전원공급기(445)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먼저 가지관(411) 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11)가 개방 및 링브로워(412)가 가동되어 활성기체 생성기(300)의 토출측에서 분기된 가지관(411)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흡입 및 가압하여 벤츄리이젝터(415)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산화방지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에틸렌 작용 억제제, 빙점 강하제, 수분변동 억제제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정량펌프(421b)가 적정량을 흡입 및 가압하여 배관(421c)을 통하여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공급하고, 교반기(421d)로 희석한 후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저장된 수용액을 가압펌프(423)를 가동하여 흡입배관(422)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여 토출배관(425)에서 분기된 가지관(425a)을 통해 챔버(448)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공급 활성기체 생성기(300)에 정화되어 챔버(448)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분사하거나, 또는 토출배관(425)에 설치된 전자밸브(424)를 통해 가열기(430)의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의 동심원 내부에 면접하여 설치된 봉형상의 세라믹히타(431)에 전원공급기(432)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히타의 발열로 유로(433)를 열전도 형식으로 가열하고 동시에 가열된 유로내부를 유동하는 수용액을 열전도 형식으로 가열하여 습증기 상태로 상태변화시키고 더욱 가열하여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 상태로 가열하면서 벤츄리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하여 링브로워(412)에 의해 흡입 및 가압되어 벤츄리이젝터(415)로 유입되는 청정공기에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를 공급하여 청정공기에 혼합하면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외통(441) 및 내통(442) 사에에 형성된 유로에 공급하면서 외통(441) 및 내통(44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제1 자기장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및 제2 자기장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의 내부에 절연되어 설치된 발열체(443a, 444a)에 전원 공급기(443b, 444b)에서 생성된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체(443a, 444a)가 가열되어 열전도 형식으로 방전극(443, 444)을 가열하면서 고전압 전원공급기(445)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도선을 통하여 방전극(443, 44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자기장이 방전극(443, 444)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방전극(443, 444)사이에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면서 이 대역에 정화된 공기와 과열증기가 혼합되어 가열된 혼합공기가 방전극(443, 444)사이에 형성된 고전계 전자에너지 대역을 통과하면서 첨가제 물질이 활성화되고 건조증기의 물분자가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수소이온(H+), 히드록실이온(OH- Radical)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활성기체를 링브로워(413)의 가압력으로 챔버(448)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을 통해 활성기체 공급기(300)에서 유입되는 청정공기에 분사하여 냉각기(500)로 공급하는 가습기(400);와,
압축기(511), 응축기(512), 팽창밸브(513), 증발기(514) 및 도관(515)으로 구성되어, 증발기(514)에 유입되는 저온 기체상태의 냉매가스를 압축기(511)에 단열압축하여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를 자체압력으로 응축기(512)에 공급하면 응축기(512)용 냉각FAN(512a)에서 외부공기를 유입 가압하여 분사되는 공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기 내부관을 통과과정에서 대류, 전도방식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환 후 자체 압력으로 미세직경의 모세관 형태의 팽창밸브(513)를 통과과정에서 주울-탐슨 효과에 의해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온 감압된 후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으로 권선된 증발기를 통과 과정중에 열전도 현상으로 냉매가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기화열에 의해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에 이송되는 혼합공기를 냉각하여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제어반(900)에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설정된 온도 만큼 냉각 및 혼합공기가 냉각과정에서 혼합공기중에 함유된 수용액의 건조증기가 노점이하로 냉각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습도조절용 습공기 상태로 조절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에 공급하면서, 사전에 제어반(900)의 제어회로에 입력된 설정온도, 설정습도에 도달하면 정지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습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다시 가동되는 제어동작이 반복하여 수행되면서 순환공기를 냉각 및 습도를 조절하는 냉각기(500);와,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와 연결된 배기관(611), 진공펌프(612), 배출관(613), 전자밸브(613a)로 구성되어 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물이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으로 공기순환계통(110)의 고전압 방전부(300) 및 가습기(400),냉각기(500)에서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고, 첨가제물질이 공급되고 냉각된 청정공기를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에 공급하면서 제어반(90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일정시간 진공펌프(612) 및 전자밸브(611a, 611b, 611c)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밸브(611a, 611b, 611c)가 개방됨과 동시에 진공펌프(612)가 가동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611)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고 토출배관(613) 상의 전자밸브(613a)를 개방시켜 대기로 배기하여 본체 내부(110) 또는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를 음압 20mmHg 내지 550 mmHg 범위로 감압한 후 일정시간 음압상태를 유지한 후 음압 상태를 해제하는 감압부(600);와,
가스 감지기(717)와 질소(N2)가스가 고압(120kg/cm2)으로 충전된 용기(711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1b), 전자밸브(711c)로 구성되는 질소(N2)가스 공급기(711)와,
또는 알곤(Ar)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2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2b), 전자밸브(712c)로 구성되는 알곤(Ar)가스 공급기(712)와,
수소(H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3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3b), 전자밸브(713c)로 구성되는 수소(H2)가스 공급기(713)와,
탄산(CO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4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4b), 전자밸브(714c)로 구성되는 탄산(CO2)가스 공급기(714) 의 공급관이 전자밸브(715)가 설치된 주 공급관의 한 끝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끝단은 본제 내부 및 챔버(120)에 연결된 복수개의 가지관에 연결되어 질소(N2)가스 공급기(711),알곤(Ar)가스 공급기(712),수소(H2)가스 공급기(713),탄산(CO2)가스 공급기(714)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선정된 기종에서 불활성 기체(질소,알곤,탄산가스)또는 수소가스를 공급하여 저장고 본체(110) 내부 및 챔버(120)에 공급하여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거나 수소가스로 치환하여 활성산소종(ROS)에 기인된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산소농도를 낮추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소가스의 경우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의 하이드록실 이온(OH-) 및 산소이온(O)등의 산소 활성종(ROS)를 환원작용로 제거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부(700);와,
감압 변압기(811), 정류회로(812), 입력모듈(813a), 연산모듈(813b),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모듈(813c)로 구성된 제어부(813), 전류검출센서(814)로 구성되는 전원공급기(810) 및 제1 양자에너지발생코일(815a),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815b)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제1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815a), 제2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815b)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이 중첩되어 소멸 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양자에너지가 생성되고,생성된 맥동양자에너지를 본체 내부 저장랙(Rack)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조사하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와,
공기순환계통(200), 활성기체 발생기(300),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 냉각기(500), 감압부(600), 불활성기체 공급부(700), 맥동양자에너지 발생기(8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등의 제어를 하는 제어반(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도3,도4 및 5a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본체 및 저장챔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며, 각 격벽의 구조는 외부면, 보냉재 또는 단열재, 내부면의 3중 구조형식으로 외부면의 재질은 카본스틸, 또는 스테인레스스틸(STS304), 유리섬유 성형폼(FRP)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고, 외표면에 분체도장을 하여 마감 처리된 외부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 또는 보냉재 한 쪽 면이 면접하여 설치되고, 단열 또는 보냉재 다른 한 쪽 면에 카본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분체도장을 하여 마감 처리된 내부면 한면이 면접하여 설치되어 벽체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벽체를 조합하여 본체(110)를 제작하고, 본체(110)내부 각각의 벽면을 일정면적을 갖도록 복수개로 가상으로 분할하고,분할된 면적에 권선 방향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권수로 권선되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이 좌측면, 우측면, 전면, 배면(4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상하, 좌우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고,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사이 사이에 일정면적을 갖는 산소 활성종(ROS)을 제거하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담지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11)가 부착 설치된다.
또한,본체 내부에 챔버(120)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10) 내면의 각각의 코너에 일정직경과 일정길이(높이)를 갖는 봉(ROD)의 외표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되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815b)을 설치하거나, 본체(110) 내부의 4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면마다 상하 좌우에 일정면적을 갖는 평판 또는 원판표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된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모형따기 기술로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으로 가공된 동,스테인레스스틸 티타늄등의 금속코일형상의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이 설치되고,설치된 동일 높이에 내부에 저장물을 적재하는 이중 구조(중공)의 챔버(12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챔버(120)은 도4 및 도5a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챔버 외측 4면(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에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양자에너지발생코일 (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발생코일(815b)이 본체(110) 내면에 설치된 복수개가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815b)과 서로 마주보게 동일 높이로 설치되며, 챔버(120)의 중공부(121)(내면과 외면사이)에는 에틸렌 글리콜(EG), 프로필렌글리콜(PEG), 실리콘 오일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충진되고, 내부면(4면 내지 6면)의 벽체에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담지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2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내장재(122)의 제조는 일정 두께 및 일정 면적을 갖는 동(CU), 스테인레스 스틸(STS 304 또는 STS 316L), 아연(Zn)재질의 금속박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정 직경을 갖는 홀을 복수개 타공한 후 입경 1 내지 20 um 이내의 카본(C), 알루미늄(Al), 망간(Mn),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칼슘(Ca)등 산소제거용 금속분말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분말을 선정하고, 이어 폴리비닐알콜(PVA)을 적정량 첨가 후 골고루 교반한 분말을 열 프레스의 하부 금형(미도시)에 에를 들면, 동 재질의 금속 박판을 깔고 그위에 산소제거용 분말과 폴리비닐 알콜이 혼합 분말을 일정 깊이로 고르게 충진하고, 충진된 상기 혼합 분말위에 스테인레스 스틸(STS304)의 금속박판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의 상부 금형(미도시)을 하강하여 열을 가함과 동시에 압축하여 성형한 후 하부 금형에서 내장재를 꺼낸 후 자연 냉각 방법으로 산소 제거용 내장재(121)를 제작하여 챔버(120) 내부면에 부착한다.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상기와 같이 3중 구조이며 일정크기의 투시창(미도시)이 서로 간격을 두고 상부 하부에 설치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고. 도어와 본체와 접하는 부분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완충재를 부착하여 기밀이 유지되며, 좌측면 또는 우측면 상부 일측에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전원공급기(823)의 출력측 도선이(824) 연결되고, 상기 도선(824)과 아랫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불활성 기체 공급관(713)이 연결되고 상부면 일측에는 배기관(613)이 설치되고, 상부면 중심부에 공기순환계통(200)의 토출관(206)이 상부면을 관통하여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에 연결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다른 구성의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며, 외부면, 보냉재 또는 단열재, 내부면의 3중 구조형식으로 외부면의 재질은 카본스틸, 또는 스테인레스스틸(STS304)에 분체도장을 하여 마감 처리된 외부면에 일정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 또는 보냉재 한 쪽 면이 면접하여 설치되고, 단열 또는 보냉재 다른 한 쪽 면에 카본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분체도장을 하여 마감 처리된 내부면 한면이 면접하여 설치되고, 내부면에 면접하여 산소제거제 성분이 혼합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11)를 챔버(120) 내부면에 면접되게 부착한다.
상기 내장재(111)의 제조는 일정 두께 및 일정 면적을 갖는 동(CU), 스테인레스 스틸(STS 304 또는 STS 316L), 아연(Zn)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의 재질이 선택된 복수개의 금속박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금속 박판 사이사이 마다 일정 직경을 갖는 홀을 복수개 타공한 후 입경 1 내지 20 um 이내의 카본(C), 알루미늄(Al), 망간(Mn),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칼슘(Ca)등 산소제거용 금속분말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분말을 선정하고, 이어 폴리비닐알콜(PVA)을 정정량 첨가 후 골고루 교반한 분말을 충진한 후, 열 프레스의 하부 금형(미도시)에 예를 들면, 동 재질의 금속 박판을 깔고 그위에 산소제거용 분말과 폴리비닐 알콜이 혼합된 분말을 일정 깊이로 고르게 충진하고, 충진된 상기 혼합된 분말위에 스테인레스 스틸(STS304)의 금속박판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의 상부 금형(미도시)을 하강하여 열을 가함과 동시에 압축하여 성형한 후 하부 금형에서 보드를 꺼낸 후 자연 냉각 방법으로 산소 제거용 보드를 제작한다.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상기와 같이 3중 구조이며 일정크기의 투시창(미도시)이 서로 간격을 두고 상부 하부에 설치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고, 도어와 본체와 접하는 부분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완충재를 부착하여 기밀이 유지되며, 본체(110)내 각 코너마다 또는 각각의 내부면 일측면에 면접하게 일정직경의 동, 은, 스테인레스 스틸(STS304)등의 전도성 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 선택된 일정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봉(ROD)형상 또는 일정직경과 일정길이를 갖는 봉(ROD)외주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솔레노이드코일 형상으로 일정권수 권선한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미도시)를 설치하거나,전면,배면 및 양측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판형 또는 원판형의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 또는 트로이드 코일형상의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미도시)를 설치하여,각각의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에서 전류의 흐름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도선(814)을 배선하고, 본체(110) 외부에 설치된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전원공급기(810)와 도선(814)이 연결되고, 상기 도선(814a)과 아랫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불활성 기체 공급관(713)이 연결되고 우 측면 상부 일측에는 배기관(611)이 설치되고, 상부면 중심부에 공기순환계통(200)의 토출관(206)이 본체(110)을 관통하여, 본체 내부(110)에서 일정길이 만큼 연장하여 설치되며, 본체(110)의 내부면과 간격을 두고 저장 대상물을 적재하는 선반(112)(Rack)이 설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 챔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저장 챔버(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카본스틸, 동, 주석, 유리섬유 성형폼(FRP)등의 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며, 이중구조(중공)의 외부면의 좌측면 및 배면에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이 설치되고, 우측면 및 전면에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 또는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이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면 즉, 전면 과 배면 및 좌측면과 우측면 외부에 설치되는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은 코일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설치하여 전원공급기(813)에서 도선(814)를 통하여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시 전류흐름 방향과 90도 각도로 발생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하여 챔버(120) 내부 중심부분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중첩 및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순환되는 공기중 수분 및 저장 랙(RACK) 또는 챔버(120)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에 조사하여 저장물의 수분,세포액에 전기교란을 주어 전기 분극화(polarization)를 일으켜 양자 파동장을 유도하며(발생시키며), 물 쌍극자 사이의 수소결합과 공유결합을 일부 해리하여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구조의 소집단수 형태가 되게하고, 질서도가 높은 결맞음 영역(coherent domain)상태가 되게하여 순환되는 공기 및 저장물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복수개의 챔버(120)의 좌측면 상부 일측에는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전원공급기(813)의 출력측 도선이(814) 연결되고, 상기 도선(814)과 아랫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불활성 기체 공급관(713)이 연결되고, 상부면 일측에는 배기관(611)이 설치되고, 배기관(611)과 우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공기순환관(206)이 연결되며, 전면에는 덮개(미도시)가 설치되고 잠금장치(미도시)로 내부를 밀봉시킨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저장 챔버(120)의 입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저장 챔버(120)은 기밀성 구조의 이중구조로서 챔버(120)외측의 전면, 배면 및 좌측면, 우측면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이 각각 설치되고, 기밀성을 갖는 중공부(121)에는 에틸렌 글리콜(EG), 프로필렌글리콜(PEG), 실리콘 오일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충진되는 부동액이 충진되며, 그리고 내면에 마그네슘(Mg)판등의 산소제거용 내장재(122)를 부착할 수 있는 케이스(미도시) 또는 고정용 볼트(미도시)를 부착한 후 산소제거제 성분이 혼합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22)를 챔버(120) 내부면에 면접되게 부착한다. 상기 내장재(122)의 제조는 일정 두께 및 일정 면적을 갖는 동(CU), 스테인레스 스틸(STS 304 또는 STS 316L), 아연(Zn)재질의 금속박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정 직경을 갖는 홀을 복수개 타공한 후 입경 1 내지 20 um 이내의 카본(C), 알루미늄(Al), 망간(Mn),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칼슘(Ca)등 산소제거용 금속분말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분말을 선정하고, 이어 폴리비닐알콜(PVA)을 정정량 첨가 후 골고루 교반한 분말을 열 프레스의 하부 금형(미도시)에 예를 들면, 동 재질의 금속 박판을 깔고 그위에 산소제거용 분말과 폴리비닐 알콜이 혼합 분말을 일정 깊이로 고르게 충진하고, 충진된 상기 혼합분말위에 스테인레스 스틸(STS304)의 금속박판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의 상부 금형(미도시)을 하강하여 열을 가함과 동시에 압축하여 성형한 후 하부 금형에서 보드를 꺼낸 후 자연 냉각 방법으로 산소 제거용 보드를 제작하여 챔버(120)의 내면에 부착한다.
상기 부동액 충진층의 용도는 저장챔버(120)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고, 산소제거용 내장재(122)를 설치하는 목적은 유입 및 순환되는 청정공기중 산소 및 저장물에서 열화에 의해 방출되는 산소를 흡착제거하여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제거하고,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며, 저장물의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여 부폐를 방지하며 저장물의 품질을 확보 하면서 장기 저장하기 위함이다.
챔버(120) 내부에 저장되는 식물의 예를 들면,수경 재배용 묘삼 저장의 경우,
1) 묘삼을 수돗물 또는 산화질소(NO) 용해 또는 함유수에 인력 또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2 내지 3회 세척한다.
2) 세척된 묘삼을 고전압 발생기에 공기구성 분자를 유입 및 고전압 방전과정의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 과정에서 생성된 히드록실 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묘삼에 골고루 분사하여 외표면을 소독(살균)한다.
3) 세척되고 살균된 묘삼을 일정 점도(증점제)를 갖는 한천배지 또는 젤라틴 수용액에 침지한 후 한지등의 포장지에 일정 수량씩 포장한다.
4) 성장배지를 챔버(120)에 넣는다.
5) 커버를 닫는다(밀봉).
6) 제어반(900)에서 공기순환계통(200), 활성기체 공급기(300),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 냉각기(500), 음압 유지부(600), 불활성 기체 공급부(700), 제2 양자에너지 발생부(8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운전을 실시한다.
식물 저장병(Plant Storage Disease)은 수확 후 저장중인 식물에 발생하는 병으로 저장시 온도, 습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병원균이 번식을 조장하여 저장중의 식물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상기 증점제는 식물의 수명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야기한다.
식물이 성장시즌의 종료에 임박할 때 식물은 유액(Latex)를 생성하도록 식물을 유도하는 특정환경 신호를 받게될 것이다.
환경신호는 흔히 자원 부족의 증가를 기초로한다. 예를 들어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햇빛의 세기가 감소하며, 수화가 줄어들 수 있거나 식물을 위한 먹이(영양분)가 부족한 경우이다. 예를 들어 상추 식물에서 유액은 물보다 점도가 높고, 맛은 매우 쓰다.
식물은 이러한 유액을 생성시켜서 순환을 늦추고, 이에 따라서 시드는 과정을 늦추고, 식물이 종의 자기-보존 때문에 종자 및 꽃이 빨리 피는 것을 충분히 길게하여, 이의 수명을 연장한다.
천연 유액과 유사하게 증점제는 식물의 증산 속도를 늦추고, 이에 따라서 챔버(120)내에서 긴 저장기간 동안 성장 배지로부터 식물의 물 흡수를 늦춘다.
게다가 대사 및 성장은 이에 상응하여 느려지고, 그에 따라 영양분을 보존한다.
이러한 효과적인 물의 배급은 더 긴 기간동안 저장소에서 수분을 유지하고, 식물이 해동후에 수명유지 자원이 고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저장동안 식물의 복원력을 연장하고 수경재배기의 식재판에 식재후에 성장력 저하를 예방하고 최종제품으로 출하시 까지의 수득율 저하를 예방한다.
비제한적인 증점제는 한천, 펩타이드, 미역, 다시마. 해초, 우묵가사리, 옥수수전분, 녹말전분등의 식물성 아교물질, 젤라틴, 콜라겐, 카라게닌등의 동물성 아교물질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아교물질을 특정비율로 물에 혼합함으로써 물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점도를 증가 시킴으로써 식물 전반에 걸친 물 순환이 약간 저지되고 느려진다. 이는 식물에 의해 이러한 수분의 흡수를 늦추기 때문에 저장중인 묘삼이 건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공기순환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순환계통은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일 측면에 연결되는 흡입관(201),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 가지관(203),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 흡입관(201) 및 가지관(203) 상에 설치되는 전동댐퍼(205a, 205b), 순환FAN(212), 토출관(206)으로 구성되며, 흡입관(201)은 본체(100)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가지관(203)은 흡입관(201) 일측에 분기되며, 가지관(203) 상에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과 전동댐퍼(205b)가 설치되고, 흡입관(201) 상 일측에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과 전동댐퍼(205a)가 설치되며, 간격을두고 순환FAN(212)이 필터하우징(202)과 간격을 두고 흡입관상에 설치되고, 순환FAN(212)의 토출관(206) 상에 순환FAN(212)과 간격을 두고 활성기체 공급기(300)가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가습기(400)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냉각기(500)가 설치되는 토출관(206)의 끝단이 본체(110) 상부 일측에 관통되어 본체(110) 내부 및 복수개의 챔버(120) 상부 일측에 또는 측면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 순환 유로를 구성한다. 제어반(900)에서 전동댐퍼(205b) 및 순환FAN(212)에 전원을 공급하면, 본체 내부(110),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물이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의 초기운전 단계에서는 순환FAN(212)이 가동하여 외부 공기를 제2 필터하우징(204) 내부로 흡입 및 헤파필터(204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 미세분진이 여과되어 제진되고, 제진된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활성기체생성기(300)로 공급하는데 정상운전 단계는 가지관(203)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b)가 off되고 흡입관(201)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a)가 개방(ON)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FAN(212)의 흡인력으로 제1필터하우징(202)에 흡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데미스터(202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 일부가 응결되어 회수 되면서 순환FAN(212)에 흡입 및 가압되어 토출관(206)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활성기체 생성기(300), 가습기(400), 냉각기(500)을 통과 과정중에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내부에 공기중 오염물질이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며, 첨가제가 공급되어 함유된 수분이 공급되어 습도가 조절되고,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관리 목표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면서 다시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오염공기를 정화 및 세균을 살균하며,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공정이 게속하여 수행된다.
상기 순환FAN(212)은 다익FAN(Sirocco Type), 에어포일FAN(Airfoil Type), 터보FAN(Turbo Type) 어느 한 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되고, 재질은 위생적 측면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또는 STS316L)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이 선정되어 사용된다.
상기 데미스터(202a)는 PE(Polyethylene)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또는 STS316L)재질의 미세직경의 와이어를 망상구조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상기 본체(110) 및 챔버(120)에 청정공기 공급은 및 흡입은 주관에서 복수개의 가지관을 설치하고, 가지관에 각각의 댐퍼(미도시)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풍량 과 배기되는 풍량을 조절 및 제어반(900)에서 본체(110) 및 챔버(120)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센서(미도시), 습도센서(미도시)에서 본체(110) 및 챔버(120)의 압력, 온도, 습도를 실시간 계측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해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순환FAN(212),활성기체공급기(300),가습기(400),냉각기(500) 및 복수개의 전동댐퍼(미도시)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제1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활성기체 발생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양자에너지 조사되는 활성기체 발생기(300)는 본체 겸 외통(311), 내통(312)의 이중 원기둥 형상의 본체(311), 제1 양자에너지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제2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접지전극(314), 전원공급기(315), 도선(316)으로 구성된 양자에너지 발생기의 구조 및 고전압 방전구조의 공용구조의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고전압 방전부로서, 양 끝단면이 원뿔형이고 외통(311) 및 내통(312) 구조의 이중 원기둥 형상의 외통(311) 내부 원주면상에 면접하여 솔레노이드 형상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이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내통(312)의 외부 표면에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이 설치되어, 외통(311) 외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기(315)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받으며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으로 가공되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에 고전압 발생기(315)에서 생성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이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에 인가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양극(313,314)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조사되어 방전극(313, 314)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방전극(313, 314)사이에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이 대역을 통과하면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하,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는데 전기전자 에너지를 e로, M을 Na, K, Ca, Mg라 표기할 때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해리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O2 → O + O + e
2) e + N2 → N + N + e
3) e + O2 → O- + O
또한, 이온화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N2 → N + N+ + 2e
2) e + N2 → N2 + + 2e
3) e + O2 → O + O+ + 2e
4) e + O2 → O2 + + 2e
또한, 산화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O2 → O + O
2) O + NO + M → NO2 + M
3) O + H2O → OH + OH
4) OH + NO2 → HNO3
또한, 환원반응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e + N2 → e + N + N
2) N + NO → N2 + O
상기 산화반응에 의해 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 등 활성기체가 생성된다.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산화질소(NO)는 저장물의 표면 및 내부로 흡수되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식물세포를 활성시켜 저장물을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산화질소(NO)는닭,돼지,소,가축의 도축시 근육이 굳어짐에 따라 신전성을 잃고 강직된 근육을 이완하게하여 최적의 조건하에서 일정기간동안 보존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육질이 식용에 적합하게 한다.
쿼럼 센싱(Quorum Sensing : QS)이란 박테리아가 생물막의 형성, 생물 발광, 및 병독성과 같은 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세포 대 세포의 통신시스템이다(Miller,et al.,annu.rev,Microbiol.,2001, 55 165-169).
박테리아는 박테리아 세포 내부에서 계속적으로 신호전달 물질을 생산하여 이후에 세포의 외부 환경으로 분비하는 자기 유도 인자(AI)라고 하는 화학적 신호분자를 사용해 통신한다.
신호분자의 농도가 역치값에 도달하면 이들 AI는 세포로 되돌아가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박테리아가 환경변화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조절시스템을 QS신호 시스템이라고 한다.
QS는 단세포 박테리아가 그들의 단세포적 개체인 경우에 수행할 수 없는 일정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세포 유기체를 모방할 수 있게 한다.
쿼럼 센싱은 해양 박테리아 브이.피세리(V,fischeri)에서 1970년에 Nealson 등(K, Nealson,T.Platt,J Hasting,J.Bacteriol.1970;104;313-322)이 발견하였다.
이들 연구자는 박테리아가 높은 개체군 농도에 도달 했을 때 그 박테리아가 생물 발광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모델로서 브이.피세리(V,fischeri)사용한 추가연구는 AHL이 브이.피세리(V,fischeri)의 Luxl 단백질로부터 박테리아에 의해 방출되었다는 것을 밝혀 주었다. 이후에 방출된 단백질은 박테리아 표면 상의 LuxR 단백질과 결합하여 박테리아 유전자 발현을 변형시킨다. 유사한 조절시스템이 또한 많은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존재한다.
이러한 박테리아의 개체군에서 조정 또는 변화가 존재하면 기본 수준으로 자가유도인자, 신타제 유전자 유전자의 발현이 존재하고 그 결과 소량의 자가유도 신호 분자가 분비되어, 주변 환경으로부터 세포 외로 분산된다.
박테리아 개체군이 역치값에 도달하면, 자가유도 신호분자는 세포를 투과하여 전사 조절 단백질-신호분자 중합체를 형성하고, 이것은 신호분자의 합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표적유전자의 특이적 DNA서열에 결합할 수 있어서 역시 그 결과로 더 많은 신호분자의 생산이 일어난다. 이러한 정보통신 및 전달은 장기간 동안 많은 박테리아에서 제안 되었다.
예를 들어,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세움(Chrobacterium violaceum)은 브이.피세리와 동일한 기전을 가지며 자가 유도 분자로서 C6-HSL을 생산할 수 있고, 이의 수용체 단백질은 CViR이다.
쿼럼 센싱은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통해서 박테리아가 주변과 군집체 수준을 행동방식과 조율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소정 박테리아 개체군에서 QS가 조율하는 활성은 항미생물제의 생성, 생물 발광, 질소-고정 유전자의 조절, Ti 플라스미드의 접합적 전달, 병독성 유전자의 발현, 색소 생성, 박테리아 유주성, 및 생물막 형성을 포함한다.
박테리아에서 쿼럼 센싱의 조절을 방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근법은 박테리아 쿼럼-센싱 억제제를 단독으로 또는 박테리아 내성형성에 감수성인 다른 항미생물제와 조합하여 저장 선반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된 저장품에 직접 분사하거나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 및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공급하여 물과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혼합챔버(448)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공급 및 순환공기에 혼합하여 저장물에 분사할 수 있으나, 사용의 어려움은 이들 물질 일부가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독성물질이라 직접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대안으로 상기 고전압 방전 과정중에 생성되는 하이드록실(OH-) 및 산소이온(O), 일중항 산소(1O2)등의 산소활성종(ROS)이 박테리아등의 세균의 생물막을 천공하여 내부기관의 손상 및 세포밖으로 유출시켜 살균 또는 멸균함으로 쿼럼 센싱(Quorum Sensing system : QSS)체계를 붕괴시키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품을 장기 저장할 수 있고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양자에너지발생기(300)의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315)은 PWM(펄스폭 변조 : Pulse width modlation) 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방식이 혼용된 DC-DC 컨버터 또는 단상 전압원 인버터(MPCC;모델예측 전류제어) 중에 한가지가 선택되어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의 제어기능이 내장된 전원 공급기(315)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방전전극(313) 및 접지전극(314)에 공급하는데, [수학식 1]과 같이 자기장의 세기(자속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학식 1]
B= 2π knI
여기서, B는 자기장의 세기, k는 자기상수(K=2 x 10-6 Tm/A), n는 코일 권수, I는 전류이다.
또한, [수학식 2]와 같이 로렌츠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수학식 2]
F= BIl
여기서, F는 로렌츠 힘, I는 전류, l는 코일의 길이이다.
전류의 제어기능과 주파수 변조기능이 내장된 전원 공급기(315)에서 전류값이 다양조절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의 방전전극(313) 및 접지전극(31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즉 파동성을 갖는 맥동 양자에더지가 생성되어 방전전극(313) 및 접지전극(314)사이를 통과하는 활성화된 공기에 조사 공기정화 및 살균율을 향상한다.
상기와 같이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1차 세균이 살균되고 활성화된 공기는 순환FAN(212)의 가압력으로 가습기(400) 내부로 공급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습기(400)는 고전압 방전부(300)의 토출관 일측에 분지되는 흡입관(411), 전자밸브(412), 링브로워(413), 토출배관(414), 벤츄리이젝터(415)로 구성되는 공기공급기(410)와,
첨가제 공급탱크(421a), 정량펌프(421b), 첨가제 공급배관(421c)로 구성된 첨가제 공급수단(421e)과,
수용액 저장탱크(421), 교반기(421d), 흡입배관(422), 가압펌프(423), 전자밸브(424), 토출배관(425) 및 가지관(425a), 가지관 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26)로 구성되는 수용액 공급부(420)와,
세라믹히타(431), 전원공급기(432),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의 유로(433)로 구성되는 가열기(430)와,
외통(441), 내통(442),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제1 전기히타(443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 제2 전기히타(444a),고전압 전원공급기(445), 제1 및 제2 히타용 전원공급기(443b, 444b), 도선(446), 분사노즐(447)로 구성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로 구성되며,
제어반(900)에서 링브로워(413) 및 전자밸브(412)에 전원을 공급하면 흡입관(411)에 설치된 전자밸브(412)이 개방되고 동시에 링브로워(413)가 가동되어 활성기체 생성기(300)의 토출측에서 분기된 흡입관(411)을 통해 활성화된 공기를 링브로워(413)가 흡입 및 가압하여 토출관(414)을 통해 벤츄리이젝터(415)에 공급하고, 동시에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용 정량펌프(421b)가 가동되어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된 산화방지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에틸렌 작용 억제제, 빙점강하제, 수분변동억제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제제가 선정되어 정량펌프(421b)에 의해 흡입 및 가압되어 토출관(421c)를 통해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공급되고, 사전에 수중에 세균이 없는 증류수, 세균 개체수가 적은 정제수, 이온수 중에 어느 한가지가 선택되어 저장된 물에 공급된 첨가제 교반기(421d)에 의해 혼합되고, 이어 펌프(423)가 가동되어 흡입관(422)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수용액을 흡입 및 가압하여 토출관(425)공급 및 전자밸브(424)를 통해 토출관(425)을 연장하여 설치된 가열부(430)의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의 유로(433)에 공급하면,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의 유로외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 세라믹 히타(431)에 전원공급기(432)에 생성된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어 세라믹 히타(431)의 발열 에너지가 열 전도형식으로 유로(433)를 통과하는 수용액을 충분한 시간동안 가열하여 수용액을 증발 및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 상태로 상변화한 후에, 상기 벤츄리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하여 벤츄리이젝터(415) 내부를 통과하는 활성기체 생성기(300)에서 활성화된 공기와 증기화된 첨가제의 성분물질이 1차 혼합되어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3) 및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사이로 링브로워(413)의 가압력으로 유입되며 동시에 고전압 전원공급기(445)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이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444)에 인가되어 전류 흐름 방향의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 자기장이 방전극(443,444)사이 중심에서 중첩되어 소멸되고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조사되면서 동시에 방전이 개시 및 방전극(443,444)사이에서 고 전계전자에너지 대역이 형성되고 이 대역을 통과하는 첨가제 물질 과 수증기가 혼합된 공기에 고 전계전자에너지가 인가되어 해리,여기,이온화,산화,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공기 구성물질,첨가제 물질, 증기화된 수증기의 물분자가 활성되고 또한 상기 맥동에너지가 조사됨에 따라 공기 구성물질,첨가제 물질, 증기화된 수증기의 물분자에 전기교란을 주어 전기 분극화(polarization)를 일으켜 양자 파동장을 유도하며(발생시키며), 물 쌍극자 사이의 수소결합과 공유결합을 일부 해리하여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구조의 소집단수 형태가 되게하고, 또한,공기 구성물질 및 첨가제 물질을 일부 해리 및 활성시켜 질서도가 높은 결맞음 영역(coherent domain)상태가 되게하여 챔버(448)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공급하여 챔버(448)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가습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가압펌프(423)의 토출배관(425)에서 분기된 가지관(425a)통해 챔버(448)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펌프(423)의 가압력으로 첨가제가 혼합된 수용액을 공급하여 활성기체 생성기(300)에서 정화되어 챔버(448)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분사하여 공기와 증기화된 첨가제 물질을 혼합하여서 절대 수분량(절대습도(Kg/Kg'))이 증가되고, 첨가제가 혼합된 공기는 제1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고전압 방전부(440)의 외통(441) 및 내통(442)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공급된다.
상기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는 외통(441)의 외표면에는 외통(441)과 면접하여 원주면 상으로 솔레노이드형상의 제1 양자에너지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이 설치되고, 방전전극(443) 내부에 절연되어 제1 전원공급기(443b)에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전기히타(443a)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내통(442)의 외부면에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의 권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솔레노이드형상의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이 설치되고, 내부에 절연되어 제2 전원공급기(444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2 전기히타(444a)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외통(441) 외부 일측면에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445) 및 방전전극(444) 내부에 절연되어 설치된 제1 전기히타(443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443b)가 설치되고, 제2 자기장 발생기겸 방전전극(444) 내부에 절연되어 설치된 제2 전기히타(444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444b)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히타용 전원공급기(443b, 444b)에서 생성된 전원을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내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어 설치된 제1 전기히타(443a) 및 제2 전기히타(444a)에 도선을 통하여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생성되면서 발열체가 발열하여 외부에 면접하여 설치된 제1,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및 접지전극(444)를 가열하고, 이어서 고전압 발생기(445)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도선을 통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솔레노이드 코일 형상의 제1,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및 접지전극(444)에 인가하면 전류의 흐름 방향과 90도 각도로 자기장이 생성되면서 방전이 개시되며 제1,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및 접지전극(444)사이에 고 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이 형성되고, 이대역을 통과하는 과열증기가 혼합된 청정공기에 고 전계 전자에너지가 인가되어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과열증기가 혼합된 청정공기 물질 분자의 공유결합 분해하여 수소이온(H+),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등의 활성기체 및 과열증기가 혼합된 청정공기 중에 함유된 세균을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등의 활성기체 및 과열증기로 살균하고 오염물질(에틸렌 가스등)을 정화하는데, 자기장이 조사되고, 방전극(443, 444) 중심부에 서로 반대방향의 자기장이 중첩 소멸되면서 생성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어 방전전극(443)및 접지전극(444)에서의 방전효율을 향상하고 또한 방전전극(443)및 접지전극(444)이 내부에 설치된 가열히타(443a, 444a)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다시한번,방전효율 향상 및 수분 유입에 의한 방전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주지하다시피 물 1몰은 6 x 1023 개의 분자수를 가지며 질량은 18g 이며 부피는 18ml이다. 물을 100℃ 이상 가열하여 수증기로 기화시키고, 기화된 수증기를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수증기의 물분자(H2O)를 해리하면 각각 6 x 1023 개의 수소양이온(H+) 및 히드록실 이온(OH-)이 생성되는데, 상기 히드록실 이온(OH-)은 순환되는 공기중 부유세균 및 본체 내부(110) 그리고 챔버(120)의 내부 및 저장물의 세균을 살균하고 에틸렌 가스등의 오염물질과 산화반응으로 정화하며, 수소양이온(H+)은 에틸렌가스 및 상기 산화반응과정에서 남는 잉여의 히드록실 이온(OH-), 산소이온(O)등 잉여의 산소활성종(ROS)을 환원 반응으로 제거하여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완화하며,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산소활성종(ROS) 제거 또는 산화방지제 물질은 환원 글루타티온, 1,1,3,3-테트라메틸우레아, 1,1,3,3-테트라메틸-2-티오우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은, 베타인, N,N-디메틸포름아미드, N-(2-머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β-머캅토에틸아민, 셀레노메티오닌, 티오우레아, 프로필갈레이트, 디머캅토프로판올, 아스코르부산, 시스테인, 나트륨 디에틸 디티오카르보네이트, 스퍼민, 스퍼미딘, 페롤산, 세사몰, 레소르시놀, 프로필갈레이트, 카다베린, 푸트레신, 1.3-디아미노프로판, 1,2-디아미노프로판, 데옥시글루코스, 요산, 살리실산, 3-아미노-1,2,4-트리아졸, 벤조산, 히드록실아민 및 이의 조합물 및 유도체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거나,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는 리조비톡신, 스퍼미딘, n-프로필 갈레이트, 페룰산, 세사몰, 페닐에틸아민, N-에틸말레이미드, 비피리딜, 실리실 일콜, 카테콜, 데스페리옥사민, 메톡실 아민, 벤조산, 살리실산,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카다바린, 요오드아세테이트, 아미노(옥시아세트)산, 살리신, 플로로글루시놀, 히드록실아미노 유사물,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퍼민, 벤조산유도체 히드로퀴논,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염화코발트 및 그염, 염화니켈 및 기타염, 1,2-디아미노프로판, 1,3-디아미노프로판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거나,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에틸렌 작용 억제제는 은염, 8-히드록시퀴놀린 황산염, 2,5-노르보르나디엔, 트랜스-시클로옥텐, 시스-프로페닐포스폰산, 메틸시클로프로판, 메틸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 시클로옥티딘, 벤질이소시아네이트, 8-히드록시퀴놀린 시트레이트.N-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로퀴놀린, 7-브로모-5-클로로-8-히드록시퀴놀린, 디아조시클로펜타디엔, 2-메톡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클로로메틸)시클로프로판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이 선정되어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거나,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빙점 강하제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올리고당. 나노 스트론티아나이트, 나노 능아연석, 증정석등의 빙점 강하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거나,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갈변현상을 억제제는 아스코르부산, 시트르산(Cit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옥살산, 염화마그네슘, 구연산, 염화나트륨등의 물질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하여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거나,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빙점 강하제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올리고당, 나노 스트론티아나이트, 나노 능아연석, 증정석등의 빙점 강하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수용액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거나,
또한, 상기 첨가제 공급수단(421e)의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수분변동 억제제는 a,a-트레할로오스, a-말토실, a-글루코시드, a-이소말토실, a-글루코시드등의 모노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나, a-말토리오실, a-글루코시드(별명;;a-말토실,a,a-트레할로오스), a-말토실 a-말토시드, a-이소말토실 a-말토시드, a-이소말토실 a-이소말토시드 등의 디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 a-말토테트라오실, a-글루코시드(별명;;a-말토트리오실,a,a-트레할로오스), a-말토실 a-말토트리오시드, a-파노실 a-말토시드 등의 트리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 a-말토펜타오실 a-글루코시드(별명;;a-말토테트라오실,a,a-트레할로오스), a-말토트리오실 a-말토트리오시드, a-파노실 a-말토트리오시드 등의 테트라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 등, 글루코오스 중합도가 3 내지 6으로된 a,a-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등의 물질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이 선정되어 공급탱크(421a)에 저장되는 첨가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이 선정되거나 또는 전부가 선정되어 정량펌프(421b)에 의해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공급 및 혼합되고 펌프(423)에 의해 흡입 및 가압되어 가열기(300)에서 가열되어 상변화 과정에서 증기화 된후 벤츄리 이젝터 목부(415)에 공급되어 링브로워(413)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분사 및 혼합되어 챔버(448)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분사노즐(447)을 이용하여 분사 및 2차 혼합 후 또는 펌프(423)로 수용액을 흡입 및 가압하여 가지관(425a)을 통해 챔버(448)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공급 및 챔버(448)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액상으로 스프레이 하여 혼합한 후 냉각기(500)로 이송시켜 사전에 제어반(900)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제어 회로에 의해 온도가 조절 및 습도가 조절된 후 본체(110) 내부저장 랙(Rack)에 저장된 저장물 또는 챔버(2120)내부에 저장된 저장물 표면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과일류, 야채류, 음식물, 의약품등의 냉장보관 대상물의 처해지는 산소, 광선, 수분, 온도, 충격, 진동, 압축, 미생물등의 환경조건이 악화되어 서서히 열화(변질)된다. 이들 물리적,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인 환경조건이 조성물에 있어서 부적당하면 이들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해도 계속 해서 다른 변화가 유발된다.
냉장보관 대상물의 품질 열화의 이화학적 요인으로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온도 변화와 건조, 흡습이다.
수분은 냉장보관 대상물의 형상, 조직, 맛 등에 고유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당질, 산, 알카리, 염등의 수용성 성분 또는 원료성분을 용해하거나, 전분이나 단백질 등의 친수성 콜로이드 물질에 흡착되어서 겔 상이 되고, 조직 형성이나 이들 성분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고, 또한 지질과 에멀젼을 형성해서 유화 분산하는 등의 여러 가지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조성물중의 물은 보통의 수용액중의 물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 자유수라고 불리는 상태의 것과, 통상적으로 액체인 물과는 증발하기 어려운 것을 용해하는 능력도 없고, 미생물 등이 이용할 수 없는 결합수로 불리는 상태의 물이 각각의 조성물이나 그 처해진 환경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분량의 약간의 변화에 의해 그 조성물에 특유한 특성의 열화, 더욱이는 미생물 오염이나 저장성의 저하 등을 초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냉장 대상물에 있어서의 수분은, 그 처해진 환경에 의해 변화되고, 일정한 온도조건에서는 그 때의 외기의 상대습도에 지배되어, 조성물이 그 수분을 외기상으로 방습하거나, 혹은 외기상으로부터 흡습하여 외기상과 조성물 중의 수분이 평형에 달한 수분량이 된다(평형 수분량). 이러한 조성물 중의 수분변동에 따라 물성적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서,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호화전분의 노화의 발생, 지질의 산화나 분해의 촉진등에 의해 고화, 수축, 균열, 갈변, 용해, 조해, 결정화, 석출등이 진행하여 그 조직, 형상, 맛, 향기, 색, 식감등의 풍미의 열화나 유효성분의 실활, 영양성분의 소실, 게다가 미생물 오염등에 의해 품질 열화를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에서 볼 수 있는 수분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조성물의 품질유지상 극히 중요한 과제이다.
식품의 저장중에 수분의 영향은 조성물의 형상, 조직, 풍미등에 특성의 부여 및 당질, 산, 알카리, 염 등의 수용성 원료성분을 용해하거나 전분이나 단백질등의 친수성 콜로이드 물질에 흡착되어서 겔상이 되고, 조직형성이나 이들 성분을 안정하게 기여하고 있고, 또한, 지질과 에멀션을 형성해서 유화분산 하는등의 여러 가지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조성물중의 물은 보통의 수용액 중의 물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 자유수라고 불리는 상태의 것과, 통상적인 액체인 물과는 달리 증발하기 어렵고, 용해하는 능력도 없고, 미생물 등을 이용할 수 없는 결합수라고 불리는 상태의 물이 각각의 조성물이나 그 처해진 환경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분량의 약간의 변화에 의해 그 조성물에 특유한 특성의 열화, 또 미생물의 오염이나 저장성의 저해등을 초래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분변동은 그 처해진 환경에 의해 변화되고,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는 그때의 외기의 상대습도에 지배되어 조성물이 그 수분을 외기상으로 방습하거나, 혹은 외기상으로부터 흡습하여 외기상과 조성물 중의 수분이 평형에 달한 수분량이 된다(평형수분량).
이러한 조성물 중의 수분변동에 따라 물성작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서 조성믈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호화 전분의 노화의 발생, 지질의 산화나 분해의 촉진등에 의해 고화, 수축, 균열, 갈변, 용해, 조해, 결정화, 석출 등이 진행하여 그 조직, 형상, 맛, 향기, 색, 식감등의 풍미의 열화나, 유효성분의 살활, 영양분의 소실, 게다가 미생물 오염등에 의해 품질 열화를 발생 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에서 보여지는 수분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조성물의 품질유지상 극히 중요한 과제이다.
본체 내부(110)의 저장선반에 저장하거나 또는 챔버(1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참외등의 과일은 일정 저장시간이 경과되면 참외의 경우 세로줄 부분이 갈색으로 변화되는데 이를 식물의 갈변현상이라 하며, 갈변화(browning)는 마이얄 반응(aillard reaction), 카라멜화 반응(caramelization), 아스코르빈산 산화반응(Oxidation of L-ascorbic acid)등의 비효소적 갈변과 폴리페놀 산화효소 (polyphenol oxidase,PPO)에 의한 효소적 갈변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과실류에서의 갈변은 과실류의 종류, 수확시기 및 가공 방법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배수경, et al.,2001). 갈변이 잘 일어나는 과일로 사과, 배, 바나나, 복숭아, 살구등이 있고, 채소로는 감자, 고구마, 가지, 상추, 브로콜리 등이 있다.
효소적 갈변은 농산물이 조직손상으로 인해 세포 내에 존재하는 카테킨(catechin), 티로신(tyrosine)과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화합물이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테아플라빈(Theaflavin), 멜라닌(melanin)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일어나는 현상이다(Kim S.I.,et al.,1995;Martinez M.V., et al.,1995). 갈변이 일어나면 농산물의 색깔과 향미에 변화를 줄 뿐만 아니라 영양적 손실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실류에 다양한 첨가물이 사용되어 왔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냉각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각기(500)는 압축기(511), 응축기(512), 팽창밸브(513), 증발기(514) 및 도관(515)로 구성되어, 증발기(514)에 유입되는 저온 기체상태의 냉매가스를 압축기(511)에서 단열압축하여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를 자체압력으로 응축기(512)에 공급하면 응축기(512)용 냉각FAN(512a)에서 외부공기를 유입 가압하여 분사되는 공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관을 통과과정에서 대류, 전도방식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환 후 자체 압력으로 미세직경의 모세관 형태의 팽창밸브(513)를 통과과정에서 주울-탐슨 효과에 의해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온 감압된 후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으로 권선된 증발기를 통과 과정중에 열전도 현상으로 냉매가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기화열에 의해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 겸 고전압 방전부(400)에서 유입되는 과열증기 및 첨가물질이 혼합된 순환공기가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제어반에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설정된 온도 및 습도만큼 냉각 및 습도를 조절하고 정지하며,순환되는 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습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다시 가동되는 제어동작이 반복하여 수행되면서 순환공기를 냉각 및 습도를 조절하여 본체(110) 및 챔버(120)내부에 공급하며, 본체 내부(110)의 챔버(120) 내부 또는 저장랙(Rack)에 저장되는 저장대상물 별 온도 및 습도의 유지조건을 유지하는데 예를 들면, 사과와 배, 포도, 단감, 참다래등 대부분의 과일은 0℃ 상대습도는 90-95%에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고, 저장중 저온장해가 발생하는 복숭아의 경우 천도복숭아는 5-8 ℃,백도계 복숭아는 8-10 ℃에 저장하고, 딸기는 0-4 ℃, 참외는 5-7 ℃, 멜론은 2-5 ℃에서 저장하는 것이 좋으며 가지, 오이등 저온에 민감한 품목은 10-12 ℃가 가장 알맞다. 근채류의 경우 무와 마늘, 양파, 당근은 0 ℃, 감자는 4-8 ℃, 고구마는 13-15 ℃에 저장하고, 배추, 상추, 시금치 등 엽채류는 0 ℃ 내외에서 저장하여야 하며 습도는 90-95%로 관리하여야 한다.
식물노화호르몬인 에틸렌은 저장물의 저장중 노화와 부패를 촉진하므로 민감한 품목은 에틸렌을 많이 생성하는 품목과 함께 저장하지 않도록 한다. 에틸렌에 민감한 품목은 오이, 수박, 상추, 당근, 브로콜리등이며, 많이 생성하는 품목은 사과, 멜론, 복숭아 등이다(출처:농진청 자료).
일반적으로 과일류, 야채류, 음식물, 의약품등의 냉장보관 대상물의 처해지는 산소, 광선, 수분, 온도, 충격, 진동, 압축, 미생물등의 환경조건이 악화되어 서서히 열화(변질)된다. 이들 물리적,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인 환경조건이 조성물에 있어서 부적당하면 이들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해도 계속 해서 다른 변화가 유발된다.
냉장보관 대상물의 품질 열화의 이화학적 요인으로서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온도 변화와 건조, 흡습이다.
수분은 냉장보관 대상물의 형상, 조직, 맛 등에 고유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당질, 산, 알카리, 염등의 수용성 성분 또는 원료성분을 용해하거나, 전분이나 단백질 등의 친수성 콜로이드 물질에 흡착되어서 겔 상이 되고, 조직 형성이나 이들 성분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고, 또한 지질과 에멀젼을 형성해서 유화 분산하는 등의 여러 가지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조성물중의 물은 보통의 수용액중의 물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 자유수라고 불리는 상태의 것과, 통상적으로 액체인 물과는 다르게 증발이 잘 되지않고, 용해하는 능력(용매)도 없고, 빙점에서도 잘 동결되지 않으며,미생물 등이 이용할 수 없는 결합수(또는 수화수)로 불리는 상태의 물이 각각의 조성물이나 그 처해진 환경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분량의 약간의 변화에 의해 그 조성물에 특유한 특성의 열화, 더욱이는 미생물 오염이나 저장성의 저하 등을 초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냉장 대상물에 있어서의 수분은, 그 처해진 환경에 의해 변화되고, 일정한 온도조건에서는 그 때의 외기의 상대습도에 지배되어, 조성물이 그 수분을 외기상으로 방습하거나, 혹은 외기상으로부터 흡습하여 외기상과 조성물 중의 수분이 평형에 달한 수분량이 된다(평형 수분량). 이러한 조성물 중의 수분변동에 따라 물성적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서, 조성물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호화전분의 노화의 발생, 지질의 산화나 분해의 촉진등에 의해 고화, 수축, 균열, 갈변, 용해, 조해, 결정화, 석출등이 진행하여 그 조직, 형상, 맛, 향기, 색, 식감등의 풍미의 열화나 유효성분의 실활, 영양성분의 소실, 게다가 미생물 오염등에 의해품질 열화를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에서 볼 수 있는 수분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조성물의 품질유지상 극히 중요한 과제이다.
식품의 저장중에 수분의 영향은 조성물의 형상, 조직, 풍미등에 특성의 부여 및 당질, 산, 알카리, 염 등의 수용성 원료성분을 용해하거나 전분이나 단백질등의 친수성 콜로이드 물질에 흡착되어서 겔상이 되고, 조직형성이나 이들 성분을 안정하게 기여하고 있고, 또한, 지질과 에멀션을 형성해서 유화분산 하는등의 여러 가지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분변동은 그 처해진 환경에 의해 변화되고,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는 그때의 외기의 상대습도에 지배되어 조성물이 그 수분을 외기상으로 방습하거나, 혹은 외기상으로부터 흡습하여 외기상 과 조성물 중의 수분이 평형에 달한 수분량이 된다(평형수분량).
이러한 조성물 중의 수분변동에 따라 물성작인 변화나 이화학적인 성질의 변화가 일어나서 조성믈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호화 전분의 노화의 발생, 지질의 산화나 분해의 촉진등에 의해 고화, 수축, 균열, 갈변, 용해, 조해, 결정화, 석출 등이 진행하여 그 조직, 형상, 맛, 향기, 색, 식감등의 풍미의 열화나, 유효성분의 살활, 영양분의 소실, 게다가 미생물 오염등에 의해 품질 열화를 발생 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에서 보여지는 수분변동을 억제하는 것은 조성물의 품질유지상 극히 중요한 과제이다.
식물의 갈변현상
갈변화(browning)는 마이얄 반응(Maillard reaction), 카라멜화 반응(caramelization), 아스코르빈산 산화반응(Oxidation of L-ascorbic acid)등의 비효소적 갈변과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PPO)에 의한 효소적 갈변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과실류에서의 갈변은 과실류의 종류, 수확시기 및 가공 방법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배수경, et al.,2001). 갈변이 잘 일어나는 과일로 사과, 배, 바나나, 복숭아, 살구등이 있고, 채소로는 감자, 고구마, 가지, 상추, 브로콜리 등이 있다.
효소적 갈변은 농산물이 조직손상으로 인해 세포 내에 존재하는 카테킨(catechin), 티로신(tyrosine)과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화합물이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테아플라빈(Theaflavin), 멜라닌(melanin)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일어나는 현상이다(Kim S.I.,et al.,1995;Martinez M.V., et al.,1995). 갈변이 일어나면 농산물의 색깔과 향미에 변화를 줄 뿐만 아니라 영양적 손실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갈변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과실류에 다양한 첨가물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갈변이란 과일 또는 채소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세포내에 존재하는 카테킨(catechin), 티로신(tyrosine)과 같은 폴리페놀(polyphenol)화합물이 폴리페놀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어 테아플라빈(Theaflavin), 멜라닌(melanin)등의 색소를 형성하며 일어나는 현상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감압부(6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압부(600)는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와 연결된 흡입관(611) 및 전동댐퍼(611a, 611b,611c), 진공펌프(612), 배출관(613), 전자밸브(613a), 진공도계측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 순환계통(200)의 순환FAN(212)에 의해 활성기체 생성기(300)에서 생성된 하이드록실 이온(OH-)이 함유된 공기를, 제1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가습부(400)에서 가습 하고, 냉각기(500)에서 온도조절 및 습도가 조절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내부에 공급하여 살균하고, 온도를 조절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을 일정시간 반복하여 수행한 후 이러한 공기순환 살균, 냉각, 습도조절의 공정을 중지한 후에 본체 내부(110)와 연결된 전동댐퍼(611a)의 개방 및 챔버(120)에 연결된 전동댐퍼(611b,611c)를 개방하고, 토출측 배관(613)에 설치된 전자밸브(613a)를 개방한 후에 진공도 계측센서(미도시)에서 실시간 계측되어 제어반(900)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해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또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조작하여 제어반(900)에서 진공펌프(612)에 전원을 공급하면 챔버(120)내부의 공기를 흡입 및 가압하여 전자변을 개방시켜 토출관(613)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의 압력을 20mm Hg 내지 550 mmHg 범위로 감압 및 감압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한다.
이러한 일련의 배기과정은 제어반에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일정시간 (예 3시간에 10분,6시간에 10분,12시간에 10분,1일에 10분)마다 수행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불활성기체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부(700)는 질소(N2)가스가 고압(120kg/cm2)으로 충전된 용기(711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1b), 전자밸브(711c)로 구성되는 질소(N2)가스 공급기(711)와,
또는 알곤(Ar)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2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2b), 전자밸브(712c)로 구성되는 알곤(Ar)가스 공급기(712)와,
수소(H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3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3b), 전자밸브(713c)로 구성되는 수소(H2)가스 공급기(713)와,
탄산(CO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4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4b), 전자밸브(714c)로 구성되는 탄산(CO2)가스 공급기(714)가,
전자밸브(715)가 설치된 주 공급관의 좌측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우측의 일측은 본체(110)를 관통하여 내부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 설치되는데 연장된 배관 중에 복수개의 플렉시블(Flexible type)형상의 가지관이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가지관 상에 전자밸브(716a, 716b)가 설치되고 전자밸브(716a, 716b)의 다른 한 끝은 복수개의 챔버(120)에 각각 연결되고 연장하여 설치된 배관의 끝단에도 전자밸브(716c)가 설치되고 전자밸브(716c)의 다른 한 끝은 어떠한 기기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본체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본체(110)의 상부면 일측 또는 양측면 상부 일측에 내부압력 검출센서(721) 및 압력계(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감압부(600)의 진공펌프(612)에 의해 진공도 20mm Hg 내지 550 mmHg 범위로 감압된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에 질소(N2)가스 공급기 및 알곤(Ar)가스 또는 수소(H2)가스 공급기 또는 탄산(CO2)가스 공급기중에서 택일된 가스공급기의 압력 및 유량조절기(711b 또는 712b, 713b또는 714b)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고 전자밸브(711c, 712c, 713c, 714c)를 개방하며 이어 주 공급 배관상의 전자밸브(715a)를 개방한후 본체(110) 내부의 주관에 설치된 전자밸브(716c) 및 가지관에 설치된 전자밸브(716a, 716b)를 개방하여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에 각각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면서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압력이 양압 5 내지 250Pa범위로 유지하여 외부 공기(특히 산소(O2))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의 산소농도를 0 내지 3%범위로 조절하여 챔버(120) 내부를 불활성화 무산소 환경을 조성하여 상기 곰팡이균, 호기성균, 혐기성균의 증식을 억제하면서, 저장랙(Rack)또는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내부압력 검출센서(721)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제어반(900)에 실시간 전송하여 제어반(900)에서 제어회로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하는 불활성가스 공급기의 압력 및유량조절밸브 (711b 또는 712b, 713b 또는 714b) 및 주관에 설치된 전자밸브(716c) 및 가지관에 설치된 전자밸브(716a, 716b)를 폐쇄(closed) 및 개방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본체(110) 및 챔버(12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수소(H2)가스를 공급하는 목적은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에서 하이드록실 이온(OH-) 및 산소이온(O)등의 산소 활성종(ROS)를 환원작용으로 제거하기 위해 공급한다.
이러한 일련의 불활성 기체 공급 과정은 배기과정이 수행된 후 배기시템을 전부 정지시킨 후 즉시 제어반에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불활성 기체를 본체(110)의 내부 및 챔버(120)내부에 공급하여 진공상태를 해제 및 10분 내지 30분 범위시간 동안 유지 후 불활성기체 공급 수행과정을 전부 정지후 상기 도 10에 도시된 감압공정을 수행하여 본체 내부 및 챔버 내부의 불활성 기체를 외부로 배기한 후 감압공정을 정지시킨 후 공기 순환계통의 흡입관(201)에 설치된 전동발브(205)를 폐쇄(off)하고 가지관(203)의 전동발브(205b)를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순환 Fan(212)를 이용하여 흡입 및 가압하여 고전압 방전부(300) 및 가습부(400) 및 냉각부(500)에서 오염된 공기의 정화 부유공기중 세균의 살균 첨가제공급 및 습도 조절등의 일련의 공정이 수행하여 본체 내부 및 챔버 내부(120)의 진공을 해제하면서 흡입관(201)에 설치된 전동발브(205)를 개방 및 가지관(203)의 전동발브(205b)를 폐쇄(off)하여 정상 운전하거나,불활성 기체를 본체(110)의 내부 및 챔버(120)내부에 공급하여 진공상태를 해제된 상태에서 배기부의 진공펌프(612)를 가동하여 본체 내부 및 챔버(1200에 공급된 전체 불활성 기체중 0 내지 50% 범위의 양만 배기하고 가지관 (203)의 전동발브(205b)를 개방하여 배기량 만큼만 외부공기를 공급한 후 전동발브(205b)를 페쇄(off) 흡입관(201)의 전동발브(205a)를 개방하여 무산소 분위기 또는 저산소 분위기로 운전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800)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기(810),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로 구성된다.
상기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기(810)는 감압 변압기(811), 정류회로 (812), 입력모듈(813a), 연산모듈(813b), 및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모듈(813c)로 구성된 제어부(813), 전류검출센서(814)로 구성되어, 단상 220V,60Hz의 교류전원을 감압 변압기(811)에 공급하면 감압 변압기(811)에서 단상 6 내지 50V범위이고, 60Hz의 교류전원으로 감압하고 정류회로(812)에서 단상 6 내지 50V범위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813)의 입력모듈(813a)은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단계별 전압값(V), 즉,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에 흐르는 가변전류의 최소(mA) 및 최대값(A), 가변자기장의 최소값(mT) 및 최대값(T), 단계별 전원 공급시간(초 내지 분,또는 분 내지 시간)등의 공급되는 전류값, 전압값, 펄스폭, 펄스밀도펄스 주기, 주파수버스트 길이, 주 전원 공급시간 및 정지시간(타이머 기능), 스위칭 소자기능등의 변수(Parameter)를 내부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사용자가 상기 입력모듈(123a)의 모니터(미도시)에 상기 각각의 변수(Parameter)를 예를 들면, 1 내지 10단계 구분된 단계 중 운전단계를 설정한 다음 선정된 단계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연산모듈(813b)은 입력모듈(813a)에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개의 변수(Parameter)를 연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변 양자에너지 생성용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서 생성될 자기장 세기에 해당하는 전류량을 연산하는데, 해당하는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자기장 세기값과 전류값을 일대일 매칭시키는 형태로 전류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값이 1-10 사이인 경우, 1부터 10 사이에 해당하는 전류값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기장의 세기값이 1인 경우에는 1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갖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생성하여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공급한다.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용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은 원판모양으로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 타입, 트로이드 코일(Toroid Coil) 타입, 헬름홀츠 코일(Helmholtz Coil) 타입, 봉(Rod)형상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형상이 선택되며, 변형된 솔레노이드 코일(Solenoid Coil) 타입, 트로이드 코일(Toroid Coil) 타입, 헬름홀츠 코일(Helmholtz Coil) 타입은 본체 내부(110) 4면 및 챔버(120) 외부 4면에 각각 설치되며 본체 내면과 마주보는 챔버 외면 및 인접한 챔버(120) 외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마주보는 다른 챔버(12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은 권선방향이 반대방향이 되게 설치하여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에 90도 각도로 발생되는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되고,본체(110) 한 내면과 마주보는 챔버(120)의 외면의 거리 중심에서 중첩되어 소멸되고, 제로자기장 상태 즉 무 자장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 양자에너지가 공간에 조사되게 하고, 또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챔버(120)의 외면과 마주보는 다른 챔버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은 권선방향이 반대방향이 되게 설치하여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에 90도 각도로 발생되는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자기장이 챔버(120)와 인접한 다른 챔버(120)의 사이공간 중심에서 자기장이 중첩되어 소멸되고, 제로자기장 상태 즉 무 자장상테에서 생성되는 맥동 양자에너지가 공간에 조사되게 한다.
또한, 챔버(120)의 전면과 배면 및 좌측면과 우측면에 설치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하여 전원공급기(810)에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류 흐름방향의 90도 각도로 발생되고, 코일별(815a, 815b) 서로 반대방향으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로 조사되는 자기장이 챔버(120)의 내부 중심에서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고, 제로자기장 상태 즉, 무 자장상테에서 생성되는 맥동 양자에너지가 챔버(120)내부 공간에도 조사되게 한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 챔버(120)가 설치되지 않고, 저장 랙(Rack)만 설치되는 경에는 본체(110)의 내부 각각의 코너 또는 전면,배면, 양측면 일측에 일정 직경을 갖고 일정높이의 봉타입이며 인접한 또는 마주보는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의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봉타입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을 각각 설치하고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되어 본체 내부(110)의 중심부분 즉 저장 랙(Rack)이 설치된 부분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고, 제로자기장 상태 즉, 무 자장상테에서 생성되는 맥동 양자에너지가 공간에 조사되게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서 전류값을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 인입선상에 설치된 전류 검출센서에서 상기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에 흐르는 전류값을 실시간 검출하여 연산부에 전송(Feed Back)하면 연산부(813b)에서 입력부(813a)에서 입력된 변수별 연산되어 설정된 전류치와 검출센서(814)에서 전송되는 전류치와 비교 분석한 결과 설정된 전류값의 하한값 및 상한값을 이탈하였을 때 차이값(Gab)을 분석한 후 하한값 및 상한값에 적합하도록 재 연산한 후 수정된 전류값을 전류제어모듈(813c)에 전송하고, 수정된 전류값을 전송받은 전류제어모듈(813c)은 수정된 전류값에 적합하게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챔버(120)에 저장된 저장 대상물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 및 맥동 양자에너지를 조사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의 제어반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반(900)은 공기순환계통(200), 활성기체 생성기(300), 가습기(400), 냉각기(500), 감압부(600), 불활성기체 공급부(700), 맥동양자에너지 조사부(8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등 제어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본체내부 111: 산소 제거용 내장제
112: 저장 선반(RACK) 120: 챔버
121: 중공부 122: 산소 제거용 내장재
200: 활성기체 공급기
201: 흡입관 202: 제1 필터하우징
202a: 데미스터 203: 가지관
204: 제2 필터하우징 204a: 헤파필터
205a: 전동댐퍼 205b: 전동댐퍼
206: 토출관 212: 순환FAN
300: 활성기체 발생기
311: 본체 겸 외통 312: 내통
313: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
314: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
315: 전원공급기 316: 도선
400: 가습기
410: 공기공급기 411: 흡입관
412: 전자밸브 413: 링브로워
414: 토출배관 415: 벤츄리이젝터
415a: 벤츄리이젝터 목부 420: 수용액 공급부
421a: 첨가제 저장탱크 421b: 정량펌프
421c: 공급배관 421d: 교반기
421e: 첨가제 공급수단 421: 수용액 저장탱크
422: 흡입배관 423: 가압펌프
424: 전자밸브 425: 토출배관
426: 전자밸브 430: 가열부
431: 세라믹히타 432: 전원공급기
433: 유로 440: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
441: 외통 442: 내통
443: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 443a: 제1 전기히타
444: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 444a: 제2 전기히타
445: 전원공급기 446: 도선
500: 냉각기
511: 압축기 512: 응축기
512a: 냉각FAN 513: 팽창밸브
514: 증발기 515: 도관
600: 감압부
611: 배기관 611a: 전동댐퍼
611b: 전동댐퍼 612: 진공펌프
613: 배출관 613a: 전자밸브
700: 불활성기체 공급부
711: 질소가스 공급기 711a: 질소 충전용기
711b: 압력 및 유량조정기 711c: 전자밸브
712: 알곤가스 공급기 712a: 알곤 충전용기
712b: 압력 및 유량조정기 712c: 전자밸브
713: 수소가스 공급기 713a: 수소가스 충전용기
713b: 압력 및 유량조정기 713c: 전자밸브
714: 탄산가스 공급기 714a: 탄산소 충전용기
714b: 압력 및 유량조정기 714c: 전자밸브
715: 주관의 전자밸브 716c: 본체 내부 주관 전자밸브
716a, 716b: 본체 내부 가지관 전자밸브
800: 양자에너지 발생기
811: 감압변압기 812: 정류회로
813: 제어부 813a: 입력모듈
813b: 연산모듈 813c: 제어모듈
814: 전류검출센서 815a: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815b: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
900: 제어반

Claims (18)

  1.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며, 각 격벽의 구조는 외부면, 보냉재 또는 단열재, 내부면의 3중 구조형식으로 외부면의 재질은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유리섬유 성형폼(FRP), 카본스틸등의 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며, 내부 좌측면 및 배면의 벽체에는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일정면적의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자기장 발생코일(815b)이 복수개 설치되고, 전면 및 우측면의 벽체에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 또는 제1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이 상하 좌우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고,본체 내부에 상하,좌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사이 사이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산소, 산소 활성종(ROS)을 제거하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담지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11)가 부착 설치되며 본체 내면과 간격을 두고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이 설치 위치의 동일 높이와 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복수개의 챔버(120)가 설치되며,챔버(120)의 외부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의 4면에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815b)이 설치되며 중공부에는 부동액이 충진되고,내면에는 산소, 산소 활성종(ROS)을 제거하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담지된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내장재(111)가 설치되고 내부에 식품 또는 식물 야채,육류,의약품,화장품이 저장되고, 좌측면 하부 일측에 불활성기체공급부(700)의 공급관(713)이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시변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출력측의 도선(814)이 설치되고, 우측 하부 일측면에 공기순환계통(200)의 필터하우징(202)에 연결된 공기 흡입관(201)이 설치되며, 상부 일 측면에는 토출관(206)이 설치되고, 좌측으로 간격을 두고 감압부(600)의 흡입관(611)이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하부에 연결되는 흡입관(201),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 가지관(203),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 전동댐퍼(205a, 205b), 순환FAN(212), 토출관(206)으로 구성되며, 흡입관(201)은 본체(100)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가지관(203)은 흡입관(201) 일측에 분기되며, 가지관(203) 상에 헤파필터(204a)가 내장된 제2 필터하우징(204)과 전동댐퍼(205b)가 설치되고, 흡입관(201) 상 일측에 데미스터(202a)가 내장된 제1 필터하우징(202)과 전동댐퍼(205a)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순환FAN(212)이 설치되고, 토출관(206) 상에 순환FAN(212)과 간격을 두고 활성기체 공급기(300)가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가습기(400)가 설치되며, 간격을 두고 냉각기(500)가 설치되는 토출관(206)의 끝단이 본체(11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순환 유로를 구성하며, 제어반(900)에서 전동댐퍼(205b) 및 순환FAN(212)에 전원을 공급하면, 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물이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의 초기운전 단계에서는 순환FAN(212)이 가동하여 외부 공기를 제2 필터하우징(204) 내부로 흡입 및 헤파필터(204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 미세분진이 여과되어 제진되고, 제진된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활성기체생성기(300)로 공급하고, 정상운전 단계는 가지관(203) 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b)가 off되고 흡입관(201) 상에 설치된 전동댐퍼(205a)가 개방(ON)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가 순환FAN(212)의 흡인력으로 제1 필터하우징(202)에 흡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데미스터(202a)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증기 일부가 응결되어 회수 되면서 순환FAN(212)에 흡입 및 가압되어 토출관(206)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활성기체 생성기(300), 가습기(400), 냉각기(500)을 통과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에 공기중 오염물질이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며, 첨가제가 공급 및 수분이 공급되고,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관리 목표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면서 다시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FAN(212)이 흡입 및 가압하여 순환하는 공기순환계통(200);과,
    외통(311), 내통(312),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 전원공급기(315),도선(316)으로 구성되어 양 끝단면이 원뿔형이고 외통(311) 및 내통(312)구조의 이중 원기둥 형상의 외통(311) 내부 원주면상에 면접하여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이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내통(312)외부 원주면에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의 권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권수 권선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의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이 설치되어 외통(311) 외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기(315)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도선(316)을 통해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자기장이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313, 314) 사이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313, 314)사이에서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이 대역에 공기순환계통(200)의 순환 FAN(212)의 가압력으로 청정공기를 공급하면, 통과되는 공기에 고전계 전자 에너지가 인가되어 공기 구성 분자(O2, N2, H2O 등)의 공유 결합이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 이온이 오염(에틸렌) 물질과의 산화 및 환원반응으로 제거 및 공기중 부유 세균 또는 부유바이러스의 세포막 천공하여 살균 및 박테리아,세균 및 바이러스간 쿼럼 센싱 체계(Quorum Sensing SYSTEM: QSS)를 파괴하는 활성기체 발생기(300);와,
    흡입관(411), 전자밸브(412), 링브로워(413), 토출배관(413), 벤츄리이젝터(414)로 구성되는 활성공기공급기(410)와,
    첨가제 공급탱크(421a), 정량펌프(421b), 공급배관(421c), 전자변(421d), 수용액저장탱크(421), 흡입배관(422), 가압펌프(423), 전자밸브(424), 토출배관(425), 가지관(425a), 가지관 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26)로 구성되는 수용액 공급부(420)와,
    세라믹히타(431), 전원공급기(432),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으로 구성되는 가열기(430)와,
    외통(441), 내통(442),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제1 전기히타(443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 제2 전기히타(444a), 전원공급기(445), 제1 및 제2 히타용 전원공급기(443b, 444b), 도선(446)으로 구성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로 구성되어,제어반(900)에서 전자밸브(412), 링브로워(413), 가압펌프(423), 전원공급기(432), 전원공급기(443b, 444b), 전원공급기(445)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먼저 가지관(411) 상에 설치된 전자밸브(412)가 개방 및 링브로워(413)가 가동되어 활성기체 생성기(300)의 토출측에서 분기된 가지관(411)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흡입 및 가압하여 벤츄리이젝터(415)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산소활성종 제거제(산화방지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에틸렌 작용 억제제, 빙점 강하제, 수분변동 억제제, 갈변억제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또는 산소활성종 제거제(산화방지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에틸렌 작용 억제제, 빙점 강하제, 수분변동 억제제, 갈변억제제 전부를 정량펌프(421b)가 적정량을 흡입 및 가압하여 배관(421c)을 통하여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공급하고, 교반기(421d)로 희석한 후 수용액 저장탱크(421)에 저장된 수용액을 가압펌프(423)를 가동하여 흡입배관(422)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여 토출배관(425)에서 분기된 가지관(425)을 통해 챔버(448)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에 공급및 활성기체 생성기(300)에 정화되어 챔버(448)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분사하거나, 또는 토출배관(425)에 설치된 전자밸브(424)를 통해 가열기(430)의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의 내부에 면접하여 설치된 봉형상의 세라믹히타(431)에 전원공급기(432)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히타의 발열로 유로(433)를 열전도 형식으로 가열하고 동시에 가열된 유로내부를 유동하는 첨가제가 함유된 수용액을 열전도 형식으로 가열하여 습증기 상태로 상태변화시키고 더욱 가열하여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 상태로 가열하면서 벤츄리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하여 링브로워(412)에 의해 흡입 및 가압되어 벤츄이이젝터(415)로 유입되는 청정공기에 건조증기 또는 과열증기를 공급하여 청정공기에 혼합하면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외통(441) 및 내통(442) 사에에 형성된 유로에 공급하면서 외통(441) 및 내통(44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된 제1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443) 및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444)의 내부에 절연되어 설치된 발열체(443a, 444a)에 전원 공급기(443b, 444b)에서 생성된 전원을 공급하면 발열체(443a, 444a)가 가열되어 열전도 형식으로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을 가열하면서 고전압 전원공급기(445)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도선을 통하여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권선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어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사이에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면서 이 대역에 정화된 공기와 첨가제 물질이 함유된 과열증기가 혼합되어 가열된 혼합공기가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사이에 형성된 고전계 전자에너지 대역을 통과하면서 고전계 전자에너지가 인가되어 첨가제 물질이 활성화되고 건조증기의 물분자가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수소이온(H+), 히드록실이온(OH- Radical)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활성기체를 링브로워(413)의 가압력으로 챔버(448)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7)을 통해 활성기체 공급기(300)에서 유입되는 청정공기에 분사하여 냉각기(500)로 공급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가습기(400);와,

    압축기(511), 응축기(512), 팽창밸브(513), 증발기(514) 및 도관(515)으로 구성되어, 증발기(514)에 유입되는 저온 기체상태의 냉매가스를 압축기(511)에 단열압축하여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가스를 자체압력으로 응축기(512)에 공급하면 응축기(512)용 냉각FAN(512a)에서 외부공기를 유입 가압하여 분사되는 공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기 내부관을 통과과정에서 대류, 전도방식의 열교환에 의해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변환 후 자체 압력으로 미세직경의 모세관 형태의 팽창밸브(513)를 통과과정에서 주울-탐슨 효과에 의해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냉매로 감온 감압된 후 솔레노이드 코일형상으로 권선된 증발기를 통과 과정중에 열전도 현상으로 냉매가 증발하면서 발생되는 기화열에 의해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에 이송되는 혼합공기를 냉각하여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제어반(900)에 입력된 제어회로에 의해 설정된 온도 만큼 냉각 및 혼합공기가 냉각과정에서 혼합공기중에 함유된 수용액의 건조증기가 노점이하로 냉각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습도조절용 습공기 상태로 조절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에 공급하면서, 사전에 제어반(900)의 제어회로에 입력된 설정온도, 설정습도에 도달하면 정지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거나 습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다시 가동되는 제어동작이 반복하여 수행되면서 순환공기를 냉각 및 습도를 조절하는 냉각기(500);와,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와 연결된 배기관(611), 진공펌프(612), 배출관(613), 전자밸브(613a)로 구성되어 저장물이 본체 내부(110)에 설치된 저장선반(RACK) 또는 챔버(120) 내부에 저장되기전 및 저장된 후 일정시간동안 내부 소독 및 저장물의 초기 소독 및 예비 냉각 목적으로 공기순환계통(110)을 통해 정화되고, 세균이 살균되고, 첨가제물질이 공급되고 냉각된 청정공기를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에 공급하면서 제어반(90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일정시간 진공펌프(612) 및 전자밸브(611a, 611b, 611c)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밸브(611a, 611b, 611c)가 개방됨과 동시에 진공펌프(612)가 가동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611)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고 토출배관(613) 상의 전자밸브(613a)를 개방시켜 대기로 배기하여 본체 내부(110) 또는 및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를 음압 20mmhg 내지 550 mmhg 범위로 감압한 후 일정시간 감압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감압부(600);와,
    가스 감지기(717)와 질소(N2)가스가 고압(120kg/cm2)으로 충전된 용기(711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1b), 전자밸브(711c)로 구성되는 질소(N2)가스 공급기(711)와,
    또는 알곤(Ar)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2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2b), 전자밸브(712c)로 구성되는 알곤(Ar)가스 공급기(712)와,
    수소(H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3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3b), 전자밸브(713c)로 구성되는 수소(H2)가스 공급기(713)와,
    탄산(CO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4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4b), 전자밸브(714c)로 구성되는 탄산(CO2)가스 공급기(714) 의 공급관이 각각,전자밸브(715)가 설치된 주 공급관의 한 끝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끝단은 본제 내부 및 챔버(120)에 연결된 복수개의 가지관에 연결되어 질소(N2)가스 공급기(711),알곤(Ar)가스 공급기(712),수소(H2)가스 공급기(713),탄산(CO2)가스 공급기(714)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선정된 기종에서 불활성 기체(질소,알곤,탄산가스)또는 수소가스를 공급하여 저장고 본체 내부 및 챔버(120)에 공급하여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거나 수소가스로 치환하여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산소농도를 낮추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소가스의 경우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의 하이드록실 이온(OH-) 및 산소이온(O)등의 산소 활성종(ROS)를 환원작용로 제거하는 가스 공급부(700);와,
    감압 변압기(811), 정류회로(812), 입력모듈(813a), 연산모듈(813b),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모듈(813c)로 구성된 제어부(813), 전류검출센서(814)로 구성되는 전원공급기(810) 및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제1 자기장 발생코일(815a), 제2 자기장 발생코일(815b)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이 중첩되어 소멸 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양자에너지가 본체 내부 저장랙(Rack)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조사되는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와,
    공기순환계통(200), 활성기체 생성기(300),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 냉각기(500), 감압부(600), 불활성기체 공급부(700), 맥동양자에너지 발생부(80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등의 제어를 하는 제어반(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장 및 숙성고.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110)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며, 내부에 본체(110)와 복수개의 챔버(120)와 간격 유지 및 복수개의 챔버(120)간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며, 복수개의 챔버(120) 외측면의 좌측, 우측, 전면, 배면에 맥동 양자에너지 발생기(800)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 설치되며, 본체(110) 내부 외측면의 좌측, 우측, 전면, 배면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과 동일 높이에 복수개의 챔버(120)이 설치되고, 챔버(120)의 전면 ,배면,양측면에 본체 내면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의 권선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게 챔버(120) 외측면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본체 외측면 일측에 설치된 제어부(813)와 도선(814)으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3. 제1항에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저장 챔버(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STS304), 카본스틸, 동, 주석, 유리섬유 성형폼(FRP)등의 재질중에 어느 한가지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며, 이중구조(중공)의 챔버(120)외부 측면(전면,배면,양측면)면에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의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또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이 설치되고, 챔버(120) 외부 좌측면 하부에 불활성 기체 공급관이 설치되고, 우측면 상부 일측면에 감압부(600)와 연결된 흡입관과 간격을 두고 활성기체 순환관이 연결되며, 챔버(120)의 중공부에는 에틸렌 글리콜(EG), 프로필렌글리콜(PEG), 실리콘 오일등의 부동액 충진되는 부동액 충진층, 그리고 내면에 일정 두께 및 면적을 갖는 산소제거용 보드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챔버(120)이 본체(110)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및 숙성고.
  4. 제3항에서,
    상기 챔버(120) 내부에 설치되는 산소제거제 성분이 혼합된 흡착보드의 제작은 동(CU), 스테인레스 스틸(STS 304 또는 STS 316L), 아연(Zn) 재질의 금속박판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정 직경을 갖는 홀을 복수개 타공한 후 입경 1 내지 20 um 이내의 카본(C), 알루미늄(Al), 망간(Mn),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칼슘(Ca)등 산소제거용 금속분말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분말을 선정하고, 이어 폴리비닐알콜(PVA)을 정정량 첨가 후 골고루 교반한 분말을 열 프레스의 하부 금형(미도시)에 예를 들면, 동 재질의 금속 박판을 깔고 그위에 산소제거용 분말과 포리비닐 알콜이 혼합 분말을 일정 깊이로 고르게 충진하고, 충진된 상기 혼합분말위에 스테인레스 스틸(STS304)의 금속박판을 적층한 후 열 프레스의 상부 금형(미도시)을 하강하여 열을 가함과 동시에 압축하여 성형한 후 하부 금형에서 보드를 꺼낸 후 자연 냉각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5. 제1항에서,
    활성기체 발생기(300)는 외통(311)내면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 형상 또는 트로이드(toroid)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및 , 내통(312)외부면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 전원공급기(315), 도선(316)으로 구성되는 양자에너지 발생기 및 고전압 방전기가 융합된 이며,외통(311) 외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기(315)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전극(313) 및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접지전극(314)에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 및 제1,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방전극(313,314) 사이 중심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어 소멸되어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생성되어 조사되면서 방전이 개시 및 고전계 전자 에너지 대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이 대역을 통과하는 공기 구성 물질중 질소분자(N2),산소분자(O2),수증기 물분자(H2O)르 해리, 여기, 이온화, 산하, 환원 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산화질소(NO) 이온등의 활성기체가 생성되고 생성된 히드록실이온(OH- Radical)이 부유 공기중 세균의 세포막 천공하여 살균 및 박테리아,세균 및 바이러스간 쿼럼 센싱 체계(Quorum Sensing SYSTEM: QSS)를 파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6. 제1항에서,
    상기 가습기(400)는
    흡입관(411), 전자밸브(412), 링브로워(413), 토출배관(413), 벤츄리이젝터(414)로 구성되는 공기공급기(410)와,
    산화방지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 에틸렌 작용 억제제, 빙점 강하제, 수분변동억제제등의 첨가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첨가제가 저장되는 첨가제 저장탱크(421a), 정량펌프(421b), 공급배관(421c), 전자변(421d), 수용액 저장탱크(421), 흡입배관(422), 가압펌프(423), 전자밸브(424), 토출배관(425)로 구성되는 수용액 공급부(420)와,
    세라믹히타(431), 전원공급기(432), 솔레노이드 형상의 유로(433)으로 구성되는 가열기(430)와,
    외통(441), 내통(442), 제1 자기장 발생기겸 방전전극(443), 제1 전기히타(443a), 제2 자기장 발생기겸 접지전극(444), 제2 전기히타(444a), 전원공급기(445), 제1 및 제2 히타용 전원공급기(443b, 444b), 도선(446)으로 구성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로 구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7. 제6항에서,
    상기 첨가제 저장탱크(421)에 저장되는 산소 또는 산소활성종(ROS)의 제거 또는 산화방지제는 환원 글루타티온, 1,1,3,3-테트라메틸우레아, 1,1,3,3-테트라메틸-2-티오우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은, 베타인, N,N-디메틸포름아미드, N-(2-머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β-머캅토에틸아민, 셀레노메티오닌, 티오우레아, 프로필갈레이트, 디머캅토프로판올, 아스코르부산, 시스테인, 나트륨 디에틸 디티오카르보네이트, 스퍼민, 스퍼미딘, 페롤산, 세사몰, 레소르시놀, 프로필갈레이트, 카다베린, 푸트레신, 1.3-디아미노프로판, 1,2-디아미노프로판, 데옥시글루코스, 요산, 살리실산, 3-아미노-1,2,4-트리아졸, 벤조산 ,히드록실아민 및 이의 조합물 및 유도체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 및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첨가제가 혼합된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110)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12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8. 제6항에서,
    상기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는 리조비톡신, 스퍼미딘, n-프로필 갈레이트, 페룰산, 세사몰, 페닐에틸아민, N-에틸말레이미드, 비피리딜, 실리실 일콜, 카테콜, 데스페리옥사민, 메톡실 아민, 벤조산, 살리실산,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카다바린, 요오드아세테이트, 아미노(옥시아세트)산, 살리신, 플로로글루시놀, 히드록실아미노 유사물,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퍼민, 벤조산유도체 히드로퀴논,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염화코발트 및 그염, 염화니켈 및 기타염, 1,2-디아미노프로판, 1,3-디아미노프로판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공기에 첨가제가 혼합된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
  9. 제6항에서,
    상기 첨가제 저장탱크(421)에 저장되는 에틸렌 작용 억제제는 은염, 8-히드록시퀴놀린 황산염, 2,5-노르보르나디엔, 트랜스-시클로옥텐, 시스-프로페닐포스폰산, 메틸시클로프로판, 메틸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 시클로옥티딘, 벤질이소시아네이트, 8-히드록시퀴놀린 시트레이트, N-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로퀴놀린, 7-브로모-5-클로로-8-히드록시퀴놀린, 디아조시클로펜타디엔, 2-메톡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클로로메틸)시클로프로판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이 선정되어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10. 제6항에서,
    상기 첨가제 저장탱크(421)에 저장되는 빙점 강하제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올리고당, 나노 스트론티아나이트, 나노 능아연석, 증정석등의 빙점 강하제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공기에 첨가제가 혼합된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11. 제6항에서,
    상기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갈변 억제제는 아스코르부산, 시트르산(Cit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옥살산, 염화마그네슘, 구연산, 염화나트륨등의 물질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되어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공기에 첨가제가 혼합된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
  12. 제6항에서,
    상기 첨가제 저장탱크(421a)에 저장되는 수분변동 억제제는 a,a-트레할로오스, a-말토실, a-글루코시드, a-이소말토실, a-글루코시드등의 모노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나, a-말토리오실, a-글루코시드(별명;;a-말토실,a,a-트레할로오스), a-말토실 a-말토시드, a-이소말토실 a-말토시드, a-이소말토실 a-이소말토시드 등의 디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 a-말토테트라오실, a-글루코시드(별명;;a-말토트리오실,a,a-트레할로오스), a-말토실 a-말토트리오시드, a-파노실 a-말토시드 등의 트리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 a-말토펜타오실 a-글루코시드(별명;;a-말토테트라오실,a,a-트레할로오스), a-말토트리오실 a-말토트리오시드, a-파노실 a-말토트리오시드 등의 테트라글루코실, a,a-트레할로오스 등, 글루코오스 중합도가 3 내지 6으로된 a,a-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등의 물질중에서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을 선정되어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첨가제가 혼합된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
  13. 제1항,제2항,제4항,제7항에서,본체 내부 및 챔버내부의 산소 및 산소활성종(ROS)의 제거방법의 제1 방법은 본체(110) 및 챔버(120)의 내부에 카본(C), 알루미늄(Al), 망간(Mn), 마그네슘(Mg), 티타늄(Ti), 지르코늄(Zr), 칼슘(Ca)등 산소제거용 금속분말중 어느 한가지이상의 물질이 담지되어 제작된 내장재와 접촉하여 산소제거용 금속분말과 반응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제2방법은 환원 글루타티온, 1,1,3,3-테트라메틸우레아, 1,1,3,3-테트라메틸-2-티오우레아, 티오황산나트륨, 티오황산은, 베타인, N,N-디메틸포름아미드, N-(2-머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β-머캅토에틸아민, 셀레노메티오닌, 티오우레아, 프로필갈레이트, 디머캅토프로판올, 아스코르부산, 시스테인, 나트륨 디에틸 디티오카르보네이트, 스퍼민, 스퍼미딘, 페롤산, 세사몰, 레소르시놀, 프로필갈레이트, 카다베린, 푸트레신, 1.3-디아미노프로판, 1,2-디아미노프로판, 데옥시글루코스, 요산, 살리실산, 3-아미노-1,2,4-트리아졸, 벤조산 ,히드록실아민 및 이의 조합물 및 유도체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정되어 첨가제 공급탱크(421a)에 저장 및 수용액 저장탱크(421)의 증류수 정제수 시수와 혼합된 후 펌프(423)에 가압되어 순환되는 공기에 첨가제가 혼합된 미스트 상태로 분사되거나, 가열기(430)에서 가열되어 증기화되고 벤츄리 이젝터(415)의 목부(415a)에 공급 및 순환되는 공기와 첨가제가 함유된 증기와 혼합된 후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에서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고 고전압 방전과정에서 활성화 되어 본체(110) 내부 의 저장랙 및 챔버(120)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공급되는 산소 또는 산소활성종(ROS)의 제거 또는 산화방지제의 환원반응에 의해 제거되는 제2방법과
    제3방법은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전원공급기(445)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을 통과하면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조사되고,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중첩되고 소멸된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 양자에너지사 조사되고 방전과정과 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고 전게전자에너지가 인가되어 해리,여기,이온화,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물분자가 해리되어 생성되는 수소 양이온 및 첨가제물질의 일부가 해리되어 생성되는 양이온과 환원반응으로 제거되는 제3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14. 제8항,제9항,제10항,제11항,제12항에서,
    에틸렌 생합성 억제제,에틸렌 작용 억제제,빙점 강하제,갈변 억제제,수분변동 억제제의 활성화는 가습부(400)에서 건조 또는 과열증기 와 활성기체와 1차 혼합되고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40)의 전원공급기(445)에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제2양자에너지 발생코일겸 방전극(443, 444)을 통과하면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조사되고,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중첩되고 소멸된 상태에서 생성되는 맥동 양자에너지사 조사되고 방전과정과 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고 전게전자에너지가 인가되어 해리,여기,이온화,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활성화되고, 산소 또는 산소 활성종이 제거되고 본체내부 및 챔버내부에 설치된 산소제거제가 담지된 내장재와 접촉하여 산소 또는 산소 활성종이 2차 제거되고,본체내부 및 챔버내부에 설치된 제1,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에서 조사되는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 및 맥동 양자에너지가 조사되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및 숙성고.
    .
  15. 제1항에서,
    상기 감압부(600)는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와 연결된 배기관(611), 진공펌프(612), 배출관(613), 전자밸브(613a)로 구성되어,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에 공기순환계통(200)의 순환FAN(212)에 의해 활성기체 생성기(300)에서 생성된 하이드록실 이온(OH-)의해 세균이 살균되고, 제1 양자에너지 발생기겸 고전압 방전부(400)에서 가습용 수용액의 과열증기가 무균처리되어 활성기체 생성기(300)에서 정화된 공기에 첨가되어 혼합되고, 냉각기에서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청정공기를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에 공급하면서 제어반(900)에서 제어반(90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일정시간 진공펌프(612) 및 전자밸브(611a, 611b, 611c)에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밸브(611a, 611b, 611c)개방됨과 동시에 진공펌프(612)가 가동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611)을 통해 흡입 및 가압하고 토출배관(613) 상의 전자밸브(613a)를 개방시켜 토출관(613)을 통하여 대기로 배기 하여 저장초기에 본체 내부 및 챔버 내부를 공기세척 및 부유공기중 세균을 살균하고 적정 습도를 조절하면서 일정시간 경과 후 본체(110)에 연결된 흡입관(201)의 전자밸브(201a)를 개방함 후 후 가지관(201)의 전자밸브를 닫아 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 중단하고, 본체(110) 및 챔버(120) 내부의 공기를 계속 순환 하면서 진공펌프를 계속 가동하여 본체 내부(110) 및 챔버(120)의 압력을 20mmhg 내지 550 mmhg 범위로 감압한 후 일정시간 감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16. 제1항에서,
    가스공급부(700)는
    가스 감지기(717)와 질소(N2)가스가 고압(120kg/cm2)으로 충전된 용기(711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1b), 전자밸브(711c)로 구성되는 질소(N2)가스 공급기(711)와,
    또는 알곤(Ar)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2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2b), 전자밸브(712c)로 구성되는 알곤(Ar)가스 공급기(712)와,
    수소(H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3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3b), 전자밸브(713c)로 구성되는 수소(H2)가스 공급기(713)와,
    탄산(CO2)가스 고압(120kg/cm2)으로 충진된 용기(bombe)(714a), 압력 및 유량조절기(714b), 전자밸브(714c)로 구성되는 탄산(CO2)가스 공급기(714)의 공급관이 각각, 전자밸브(715)가 설치된 주 공급관의 한 끝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끝단은 본제 내부 및 챔버(120)에 연결된 복수개의 가지관에 연결되어 질소(N2)가스 공급기(711), 알곤(Ar)가스 공급기(712), 수소(H2)가스 공급기(713), 탄산(CO2)가스 공급기(714)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정되어 선정된 기종에서 불활성 기체(질소, 알곤, 탄산가스)또는 수소가스를 공급하여 저장고 본체 내부 및 챔버(120)에 공급하여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거나 수소가스로 치환하여 저장물의 산화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산소농도를 낮추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수소가스의 경우 본체 내부(110) 및 복수개의 챔버(120) 내부의 하이드록실 이온(OH-) 및 산소이온(O)등의 산소 활성종(ROS)를 환원작용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17. 제1항에서,
    상기 맥동 양자에너지 생성기(800)는 감압 변압기(811), 정류회로(812), 입력모듈(813a), 연산모듈(813b), PWM(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lation)제어방식과 펄스 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e modlation) 및 펄스 주파수(밀도) 제어(PDM), 펄스 반복율 제어(PRR) 기능이 내장된 제어모듈(813c), 증폭모듈(813d)로 구성된 제어부(813), 전류검출센서(814)로 구성되는 전원공급기(810) 및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로 구성되어,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이 중첩되어 소멸 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양자에너지가 본체 내부 저장랙(Rack)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18. 제17항에서,본체(110)내부 및 챔버(120)외부에 설치된 제1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a), 제2 양자에너지 발생코일(815b)에 전원공급기(810)에서 생성된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전원을 공급하면 전류의 흐름방향과 90도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의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생성 및 펄스(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형태의 자기장이 이 중첩되어 소멸 되면서 제로 자기장 상태에서 맥동양자에너지가 본체 내부 저장랙(Rack) 및 챔버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에 조사하여 저장물에 함유된 물분자에 전기교란을 주어 전기 분극화(polarization)를 일으켜 양자 파동장을 유도하며(발생시키며), 물 쌍극자 사이의 수소결합과 공유결합을 일부 해리하여 '마이크로클러스터(microcluster)구조의 소집단수 형태가 되게하여, 질서도가 높은 결맞음 영역(coherent domain)상태가 되게하여 신선도 유지 및 숙성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KR1020200119658A 2020-09-17 2020-09-17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KR10243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58A KR102438872B1 (ko) 2020-09-17 2020-09-17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58A KR102438872B1 (ko) 2020-09-17 2020-09-17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02A true KR20220037102A (ko) 2022-03-24
KR102438872B1 KR102438872B1 (ko) 2022-09-01

Family

ID=8093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58A KR102438872B1 (ko) 2020-09-17 2020-09-17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639B1 (ko) * 2022-07-15 2023-02-13 주식회사 하몬코리아 도축가공시 살균 및 효소를 이용한 돈육의 가공방법
CN116649095A (zh) * 2023-07-12 2023-08-29 石河子大学 一种可增强吸管气吸吸力的红枣收获装置及其方法
KR102611178B1 (ko) * 2023-04-26 2023-12-07 일품에스피 주식회사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977B1 (ko) 2012-10-30 2014-02-04 구자호 내 외기순환과 지온을 활용한 건조실과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 설치 장치.
KR101494428B1 (ko) 2013-10-08 2015-02-24 대한민국 묘삼 장기저장방법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KR101572156B1 (ko) * 2010-11-09 2015-1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방법
KR20150145832A (ko) * 2014-06-19 2015-12-31 김부열 풍력발전 기능이 내장된 살균, 탈취 및 산화질소,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KR101968172B1 (ko) * 2018-06-28 2019-08-19 (주)팀코스파 퀀텀 에너지를 방사하는 과냉각고
KR20190128034A (ko) * 2018-05-03 2019-11-14 김부열 세균 살균 기능 및 유해 물질과 방사능 물질 제거 기능이 내장된 양압 및 음압 유지 시스템
KR102058199B1 (ko) 2017-09-13 2020-01-22 정선희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200011107A (ko) * 2018-07-24 2020-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기가스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우레아 탱크 진공냉각시스템
KR20200103224A (ko) * 2019-02-22 2020-09-02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플라이애쉬 자원화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156B1 (ko) * 2010-11-09 2015-1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방법
KR101356977B1 (ko) 2012-10-30 2014-02-04 구자호 내 외기순환과 지온을 활용한 건조실과 농산물저장고 및 음식물저장고 설치 장치.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KR101494428B1 (ko) 2013-10-08 2015-02-24 대한민국 묘삼 장기저장방법
KR20150145832A (ko) * 2014-06-19 2015-12-31 김부열 풍력발전 기능이 내장된 살균, 탈취 및 산화질소,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KR102058199B1 (ko) 2017-09-13 2020-01-22 정선희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190128034A (ko) * 2018-05-03 2019-11-14 김부열 세균 살균 기능 및 유해 물질과 방사능 물질 제거 기능이 내장된 양압 및 음압 유지 시스템
KR101968172B1 (ko) * 2018-06-28 2019-08-19 (주)팀코스파 퀀텀 에너지를 방사하는 과냉각고
KR20200011107A (ko) * 2018-07-24 2020-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기가스 질소산화물 저감장치의 우레아 탱크 진공냉각시스템
KR20200103224A (ko) * 2019-02-22 2020-09-02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 발생기가 내장된 플라이애쉬 자원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639B1 (ko) * 2022-07-15 2023-02-13 주식회사 하몬코리아 도축가공시 살균 및 효소를 이용한 돈육의 가공방법
KR102611178B1 (ko) * 2023-04-26 2023-12-07 일품에스피 주식회사 양자에너지 조사에 의한 항산화 및 고흡수성 들깨오일의 제조방법
CN116649095A (zh) * 2023-07-12 2023-08-29 石河子大学 一种可增强吸管气吸吸力的红枣收获装置及其方法
CN116649095B (zh) * 2023-07-12 2024-01-23 石河子大学 一种可增强吸管气吸吸力的红枣收获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872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872B1 (ko)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Choi et al. Corona discharge plasma jet for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inoculated pork and its impact on meat quality attributes
JP6509943B2 (ja) 保管方法及び殺菌装置
WO1987004053A1 (en) Method of storing perishable goods and device therefor
JP6759399B2 (ja) 殺菌方法、殺菌システム及び保管方法
CN107079979A (zh) 一种农业果蔬的保鲜方法
CN108812878A (zh) 一种呼吸跃变型果蔬的保鲜方法
CN103548986A (zh) 食用菌的保鲜方法
Han et al. Application of plasma-activated water in the food industry: A review of recent research developments
CN110411117A (zh) 一种基于气体调节的冰箱保鲜装置
CN103859006B (zh) 一种对水果进行保鲜及检疫处理的方法
WO2013126024A1 (en) Application of humidity, ozone and several chemicals together on fresh fruit and vegetables
US20080226496A1 (en) Systemic Method For Proximity Hygiene and Device With Low-Temperature Sanitizing Chamber in Particular For Food Products
Shajil et al. Recent food preservation techniques employed in the food industry
CN104322654B (zh) 一种宣木瓜的贮藏保鲜方法
Wang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and plasma-activated water on growth, chemical compositions, microbiological safety and postharvest quality of sprouts
JP2007222135A (ja) 高湿度保冷庫
Chen Application of chlorine dioxide-based hurdle technology to improve microbial food safety–A review
EP1119377A1 (en) Apparatus and chemical composition for maintaining atmospheric humidity
CN109845813A (zh) 一种超声波复合臭氧水结合气调延长蔬菜保鲜期的方法
US86327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pervaporation in horticultural cellular tissue
JPS62190068A (ja) 生鮮品の保存装置
KR100817241B1 (ko) 사과 또는 버섯을 숙성시켜 향료를 투입시키는 방법
KR20210022242A (ko) 양액을 분무하는 농산물 저장방법 및 그 저장고
JP3585172B2 (ja) 青果物の鮮度保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