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839B1 - 고기 숙성고 - Google Patents

고기 숙성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839B1
KR101496839B1 KR20130106929A KR20130106929A KR101496839B1 KR 101496839 B1 KR101496839 B1 KR 101496839B1 KR 20130106929 A KR20130106929 A KR 20130106929A KR 20130106929 A KR20130106929 A KR 20130106929A KR 101496839 B1 KR101496839 B1 KR 10149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chamber
room
door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노
Original Assignee
조장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장노 filed Critical 조장노
Priority to KR2013010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숙성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숙성함체의 내부로 숙성실과 냉기보호실이 구비된 고기 숙성고에 있어서, 상기 숙성실과 냉기보호실은 숙성함체의 내부에 격벽으로 구분되어 일측 공간이 숙성실로 형성되어지며, 타측 공간이 냉기보호실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격벽에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숙성실의 격벽을 포함하는 내벽면에 내부열교환부가 배열되어지고, 상기 내부열교환부가 숙성함체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열교환부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냉기보호실은 숙성실의 내벽면에 구비된 내부열교환부가 연장되어지며, 전방에 단열도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숙성실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편차를 줄여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숙성실 내부가 오존에 의하여 살균되도록 하여 육류의 특유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항상 육류의 수분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숙성고{Meat ripening device}
본 발명은 고기 숙성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숙성함체의 내부로 숙성실과 냉기보호실이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숙성실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편차를 비롯하여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식으로 사용되는 닭, 돼지, 소 등 가축의 경우 도축된 후 근육내에서 일어나는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사후 강직현상인 바, 이는 도축된 후 육류의 근육이 굳어짐에 따라 신전성이 없어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사후 강직의 속도는 가축의 종류, 나이, 영양상태, 도축시 흥분상태, 피로의 누적상태, 근육의 온도 등에 따라 각기 상이하며, 강직 개시시간은 소고기와 양이 대략 사후 12시간 정도이고, 돼지 고기의 경우 15분 내지 3시간이고, 닭고기는 5분 내지 1시간에 이르는 정도이다.
이러한 육류는 사후 강직현상에 의해 신전성을 잃고 강직된 근육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근육내의 장력이 감소하면서 유연해지게 된다. 사후 강직중의 육류는 연도 및 다즙성이 감소됨으로 최적의 조건하에서 일정 기간동안 보존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육질이 식용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육류의 숙성 시간을 비교해보면, 소고기와 양고기가 4℃에서 7일 내지 14일, 16∼18℃에서 2일, 돼지고기는 24시간, 닭고기는 8∼16시간 정도가 지나면 숙성이 완료된다.
이러한 육류를 숙성 보관하기 위하여 와인 등의 알콜이나 물 속에 일정 기간 담수토록 한 후 일정 온도를 가하고, 숙성고에 냉동으로 보관시키는 과정에서 고기의 연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소비자가 식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점이 많다.
사후 강직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직전 급속하게 근육을 냉동시켰다가 이를 해동시키게 되면 극심한 근섬유의 단축과 함께 근육 강직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해동 강직이라 한다.
이 경우에는 육류의 근육이 가축처럼 질기고, 다즙성이 매우 떨어지는 저질의 육류를 얻게 된다. 이렇듯, 와인 등의 알콜에 담수시켜 고기의 연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그 제어를 섬세하게 행할 수 없으므로 온도 조건 등 기타 조건에 의해 최적의 육질을 얻기가 매우 어렵고, 동시에 장기간 숙성시 육류의 부패 등에 대한 대안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숙성고에 육류를 냉동 보관시키는 과정에서 숙성고의 내부로 조성된 차가운 냉기가 도어를 개방 후 상온보다 무거운 냉기는 외부로 누출이 되어 일정한 온도 유지되지 못함에 따라 숙성고 내부에서 숙성과 부패가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축된 육류는 67% 전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숙성고내의 습도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데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수분이 외부로 빠져 나가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육류의 색이 검정색으로 변하면서 질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를 통해 숙성고 내부로 박테리아, 부패균의 유입됨에 따라 육류가 부패되어 악취가 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숙성실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편차를 줄여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전력소비를 최소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숙성실 내의 오존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량보다 낮게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하는 가운데 살균을 통해 육류에서 발생되는 육류의 특유 냄새 및 부패 초기의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육류의 수분이 항상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숙성함체(30)의 내부로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이 구비된 고기 숙성고(A)에 있어서, 상기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은 숙성함체(30)의 내부에 격벽(31)으로 구분되어 일측 공간이 숙성실(10)로 형성되어지며, 타측 공간이 냉기보호실(20)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격벽(31)에 슬라이드 도어(3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숙성실(10)의 격벽(31)을 포함하는 내벽면에 내부열교환부(40)가 배열되어지고, 상기 내부열교환부(40)가 숙성함체(30)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열교환부(50)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냉기보호실(20)은 숙성실(10)의 내벽면에 구비된 내부열교환부(40)가 연장되어지며, 전방에 단열도어(2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도어(32)는 격벽(3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도어홈(321)에 인,입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도어홈(321)의 입구측 상부와 하부에 전방으로 향하는 도어레일(3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도어레일(322)의 단부와 숙성실(10)의 내벽 사이에 가이드 도어캡(32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보호실(20)의 단열도어(21) 외측 상부에는 에어커튼 발생부(2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숙성실(10)의 내부열교환부(4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황토패널(60)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숙성실(10)의 내벽면 상부에 UV램프(L)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의 바닥은 지지대(70)의 상부에 마감강판(71)이 안착되어지고, 상기 마감강판(71)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패널(72)과 PVC패널(73)이 순차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열교환부(40)는 2열의 중공관(41)(41')이 지그재그로 내벽면 전체에 배열되어지되, 상기 2열의 중공관(41)(41')끝에 각각 압축기(51), 응축기(52), 모세관(53) 및 냉각팬(54)이 구비된 외부열교환부(5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숙성함체의 내부로 숙성실과 냉기보호실이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숙성실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편차를 비롯하여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전력소비를 최소하여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숙성실 내의 오존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량보다 낮게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한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기중에 포함된 균이 거의 살균되어지도록 하여 육류의 특유 냄새 및 부패 초기의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황토패널을 이용하여 육류의 수분이 항상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육질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숙성고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숙성고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숙성고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숙성고의 내부열교환부와 외부열교환부의 결합상태를 펼쳐 도시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숙성고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 숙성고(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단열도어(21)를 열고 숙성실(10)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숙성실(10) 내부의 저온 공기가 외부로 누출됨과 동시에 상온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고기 숙성고(A)는 숙성함체(30)의 내부로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이 하나의 숙성함체(3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은 숙성함체(30)의 내부에 격벽(31)으로 구분되어 일측 공간이 숙성실(10)로 형성되어지며, 타측 공간이 냉기보호실(20)로 구획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31)은 숙성함체(30)의 내부가 양측으로 구획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자가 냉기보호실(20)에서 숙성실(10)로 또는 숙성실(10)에서 냉기보호실(2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기가 단열도어(21)를 통해 외부로 직접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격벽(31)에는 수평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는 슬라이드 도어(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32)는 격벽(3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도어홈(321)에 인,입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도어홈(321)의 입구측 상부와 하부에 전방으로 향하는 도어레일(322)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도어(32)가 인출되어 닫혀진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는 가운데 상부와 하부가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레일(322)의 단부와 숙성실(10)의 내벽 사이에 가이드 도어캡(323)이 구비되어 닫힌 상태에서 더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숙성실(10)의 격벽(31)을 포함하는 내벽면에 항상 저온이 유지되어지게 하는 내부열교환부(40)가 배열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내부열교환부(40)는 숙성함체(30)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열교환부(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기보호실(20)은 숙성실(10)내의 저온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숙성실(10)의 내벽면에 구비된 내부열교환부(40)가 연장되어 어느 정도 낮은 온도가 항상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기보호실(20)의 전방에는 단열도어(2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인,입출이 자유로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가운데 냉기보호실(20)의 냉기가 외부로 전도되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기보호실(20)의 단열도어(21) 외측 상부에는 에어커튼 발생부(22)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단열도어(21)를 열고 인,입출하는 과정에서 냉기보호실(20)에 있는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숙성실(10)의 내부열교환부(4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황토패널(60)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어 숙성실(10) 내의 습도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에 있는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막아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신선함이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숙성실(10)의 내벽면 상부에는 미도시한 전원 및 스위치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어 살균파장 발생되는 UV램프(L)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UV램프(L)는 순환식 UV 공기 살균기는 세균의 세포 구성인 DNA의 최대흡수대와 일치하는 살균파장 (253.7nm)이 발생되어 세균의 핵산을 파괴하여 살균되도록 하는 것으로 미도시한 별도의 닥트과 조사실 하우징을 만들어 24시간 가동이 가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숙성실(10)의 내부의 공기가 미도시한 팬에 의하여 순환되어지도록 할 경우, UV램프(L)에 의한 살균 과정에서 형성된 오존의 농도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량 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의 바닥은 지지대(70)의 상부에 마감강판(71)이 안착되어지고, 상기 마감강판(71)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패널(72)과 PVC패널(73)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강도가 충분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 열의 유출입이 차단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열교환부(40)는 2열의 중공관(41)(41')이 지그재그로 내벽면 전체에 배열되어지되, 상기 2열의 중공관(41)(41')끝에 각각 압축기(51), 응축기(52), 모세관(53) 및 냉각팬(54)이 구비된 외부열교환부(50)가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육류의 냉동 또는 냉장에 필요한 충분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기 숙성고는 먼저, 외부열교환부(50)의 압축기(51), 응축기(52), 모세관(53) 및 냉각팬(54)의 구동으로 인하여 발생된 냉기는 파이프를 따라 숙성실(10)의 내부열교환(4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숙성실(10) 내의 온도가 저온인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내부열교환부(40)가 냉기보호실(20)까지 연장되어져 있음으로써, 냉기보호실(20)도 저온인 상태가 유지되나, 숙성실(10)의 온도 보다는 높은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사용자가 숙성실(10)의 내부로 들어가고자 할 경우, 냉기보호실(20)에 닫혀진 상태로 있는 단열도어(21)를 열거나, 단열도어(21)가 열리기 이전에 미리 미도시한 스위치에 의하여 에어커튼 발생부(22)를 통해 발생된 에어가 하부를 향하여 분사되어 에어커튼이 형성되어짐으로써, 냉기보호실(20)의 내부로 부터 외부로 또는 외부로 부터 내부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단열도어(21)를 오픈시켜 냉기보호실(20)로 들어가 단열도어(21)를 닫고, 이어 슬라이드 도어(32)를 오픈시켜 숙성실(10)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가 숙성실(1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냉기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숙성실(10) 내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는 가운데 황토패널(60)에 의하여 습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른 보관되어지는 육류의 수분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변질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UV램프(L)에 의한 살균을 통해 세균이 번식되는 것이 억제됨에 따라 육류가 변질되는 것을 더 방지하는 가운데 변질되는 육류 특유의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더 막을 수 있게 된다.
A:고기 숙성고 10:숙성실
20:냉기보호실 21:단열도어
30:숙성함체 31:격벽
32:슬라이드 도어 40:내부열교환부
50:외부열교환부

Claims (7)

  1. 숙성함체(30)의 내부로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이 구비된 고기 숙성고(A)에 있어서,
    상기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은 숙성함체(30)의 내부에 격벽(31)으로 구분되어 일측 공간이 숙성실(10)로 형성되어지며, 타측 공간이 냉기보호실(20)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격벽(31)에 슬라이드 도어(3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숙성실(10)의 격벽(31)을 포함하는 내벽면에 내부열교환부(40)가 배열되어지고, 상기 내부열교환부(40)가 숙성함체(30)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열교환부(50)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냉기보호실(20)은 숙성실(10)의 내벽면에 구비된 내부열교환부(40)가 연장되어지며, 전방에 단열도어(2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32)는 격벽(3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도어홈(321)에 인,입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도어홈(321)의 입구측 상부와 하부에 전방으로 향하는 도어레일(3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도어레일(322)의 단부와 숙성실(10)의 내벽 사이에 가이드 도어캡(32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보호실(20)의 단열도어(21) 외측 상부에는 에어커튼 발생부(2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실(10)의 내부열교환부(4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황토패널(60)이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실(10)의 내벽면 상부에 UV램프(L)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실(10)과 냉기보호실(20)의 바닥은 지지대(70)의 상부에 마감강판(71)이 안착되어지고, 상기 마감강판(71)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패널(72)과 PVC패널(73)이 순차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열교환부(40)는 2열의 중공관(41)(41')이 지그재그로 내벽면 전체에 배열되어지되, 상기 2열의 중공관(41)(41')끝에 각각 압축기(51), 응축기(52), 모세관(53) 및 냉각팬(54)이 구비된 외부열교환부(5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고.
KR20130106929A 2013-09-06 2013-09-06 고기 숙성고 KR10149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929A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3-09-06 고기 숙성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929A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3-09-06 고기 숙성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839B1 true KR101496839B1 (ko) 2015-03-04

Family

ID=5302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929A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3-09-06 고기 숙성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607A (ko) * 2015-10-15 2017-04-25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190030945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가연푸드 초음파 숙성고
WO2019112094A1 (ko) * 2017-12-08 2019-06-13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190134015A (ko) 2018-05-24 2019-12-04 주인성 고기 숙성용 용기
KR20220037102A (ko) 2020-09-17 2022-03-24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4-03-12 한명수 습식 숙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445A (ko) * 1990-10-23 1992-05-28 정기선 냉동.냉장 콘테이너
JPH07184539A (ja) * 1994-01-28 1995-07-25 Shunichiro Tanaka 生鮮食料品の貯蔵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30102U (ko) * 1996-11-26 1998-08-17 이관기 비냉동 제품 동시수송이 가능한 냉동차량의 차양장치
KR20110126325A (ko) * 2010-05-17 2011-11-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마늘 예건 겸용 저온 저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445A (ko) * 1990-10-23 1992-05-28 정기선 냉동.냉장 콘테이너
JPH07184539A (ja) * 1994-01-28 1995-07-25 Shunichiro Tanaka 生鮮食料品の貯蔵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30102U (ko) * 1996-11-26 1998-08-17 이관기 비냉동 제품 동시수송이 가능한 냉동차량의 차양장치
KR20110126325A (ko) * 2010-05-17 2011-11-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마늘 예건 겸용 저온 저장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607A (ko) * 2015-10-15 2017-04-25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1867591B1 (ko) * 2015-10-15 2018-06-14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190030945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가연푸드 초음파 숙성고
WO2019112094A1 (ko) * 2017-12-08 2019-06-13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190134015A (ko) 2018-05-24 2019-12-04 주인성 고기 숙성용 용기
KR20220037102A (ko) 2020-09-17 2022-03-24 운해이엔씨(주)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저온 저장 및 숙성고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4-03-12 한명수 습식 숙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839B1 (ko) 고기 숙성고
KR101284592B1 (ko) 냉장고
US20100154452A1 (en) Portable electric cooler
KR101438257B1 (ko) 육류 숙성을 위한 건조숙성고
JP2007006820A (ja) 熟成冷蔵庫及び熟成肉の製造方法
KR10173750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593231A (zh) 一种冷却分割羊肉的综合保鲜技术
CN101263836A (zh) 冷却保鲜牛肉的生产方法
CN103607897B (zh) 食品卫生方法和食品产品
US2560057A (en) Meat aging unit
CN105230770A (zh) 一种紫外线保鲜库
CN1973641A (zh) 延长包装冷鲜肉保鲜期技术
CN102012142A (zh) 冰箱
CN104534763A (zh) 肉类连续快速冷冻装置
CN105831228A (zh) 一种具有抗氧化抑菌作用的禽类冰鲜肉低温保鲜微冻液
KR20190001870A (ko) 회숙성고
JP2008161153A (ja) 生芋の長期保存方法
CN204180795U (zh) 一种用于禽屠宰加工的螺旋预冷机
CA2578761A1 (en) Cold shock method improvements
CN211552177U (zh) 一种加湿冷冻库
CN106322893A (zh) 肉类连续快速冷冻装置
CN205209058U (zh) 一种抑菌除臭冷藏柜
CN210708781U (zh) 食用菌保鲜装置
DE60009512D1 (de) Kühlung eines kühlschrankes
JP6309738B2 (ja) チーズ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