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015A - 고기 숙성용 용기 - Google Patents

고기 숙성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015A
KR20190134015A KR1020180059132A KR20180059132A KR20190134015A KR 20190134015 A KR20190134015 A KR 20190134015A KR 1020180059132 A KR1020180059132 A KR 1020180059132A KR 20180059132 A KR20180059132 A KR 20180059132A KR 20190134015 A KR20190134015 A KR 20190134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jeju
volcanic
container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인성
원주화
Original Assignee
주인성
원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 원주화 filed Critical 주인성
Priority to KR1020180059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015A/ko
Publication of KR2019013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glass, pottery, or other ceram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사전에 설정된 양의 고기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상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주화산송이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를 이용하면, 제주화산송이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고기가 더욱 빠르고 부드럽게 숙성될 수 있고, 고기의 잡내가 없어지므로 고기의 풍미를 극대화되며, 박테리아나 부패균 등의 유해균이 살균되므로 고기가 부패될 우려 없이 안전하게 고기를 숙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기 숙성용 용기 {Meat ripening device}
본 발명은 고기를 숙성시키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주화산송이석이 내측면에 구비되어 고기의 잡내를 없애면서 고기를 보다 부드럽고 풍미있게 숙성시킬 수 있는 고기 숙성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식으로 사용되는 닭, 돼지, 소 등 가축의 경우 도축된 후 근육내에서 일어나는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사후 강직현상인 바, 이는 도축된 후 육류의 근육이 굳어짐에 따라 신전성이 없어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사후 강직의 속도는 가축의 종류, 나이, 영양상태, 도축시 흥분상태, 피로의 누적상태, 근육의 온도 등에 따라 각기 상이하며, 강직 개시시간은 소고기와 양이 대략 사후 12시간 정도이고, 돼지고기의 경우 15분 내지 3시간이고, 닭고기는 5분 내지 1시간에 이르는 정도이다
이러한 육류는 사후 강직현상에 의해 신전성을 잃고 강직된 근육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근육내의 장력이 감소하면서 유연해지게 된다. 사후 강직중의 육류는 연도 및 다즙성이 감소되므로, 최적의 조건하에서 일정 기간동안 보존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육질이 식용에 적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육류의 숙성 시간을 비교해보면, 소고기와 양고기가 4℃에서 7일 내지 14일, 16∼18℃에서 2일, 돼지고기는 24시간, 닭고기는 8∼16시간 정도가 지나면 숙성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육류 숙성을 위해서는 별도의 숙성고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인 종래의 숙성고는 단순히 숙성 온도만을 맞춰주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고기의 잡내를 없애거나 고기의 육질을 보다 풍미있게 하는 기능은 구비하지 아니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통해 숙성고 내부로 박테리아, 부패균이 유입되는 경우, 고기가 부드럽고 풍미있게 숙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9683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을 통해 고기를 더욱 빠르고 부드럽게 숙성시킬 수 있고, 고기의 잡내를 없애 고기의 풍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박테리아나 부패균 등의 유해균을 살균하여 고기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고기 숙성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사전에 설정된 양의 고기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상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주화산송이석;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제주 점토로 제작되는 제주옹기이며,
상기 제주화산송이석은, 상기 몸체가 건조되기 이전에 상기 몸체의 내벽에 압착되어 상기 몸체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몸체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주화산송이석은, 분말로 제작되되 별도의 점착물과 혼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벽에 도포된다.
상기 제주화산송이석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의 내벽에는 상기 제주화산송이석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장착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의 내벽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 개의 삽입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주화산송이석은 수직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되, 폭방향 양단이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삽입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를 이용하면, 제주화산송이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고기가 더욱 빠르고 부드럽게 숙성될 수 있고, 고기의 잡내가 없어지므로 고기의 풍미를 극대화되며, 박테리아나 부패균 등의 유해균이 살균되므로 고기가 부패될 우려 없이 안전하게 고기를 숙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에 포함되는 몸체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와 제주화산송이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와 제주화산송이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와 제주화산송이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5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와 제주화산송이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에 포함되는 몸체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일정 시간동안 고기를 내부에 저장해 두어 숙성시키기 위한 조리용품의 일종으로서, 숙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및 잡내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고기를 보다 부드럽고 풍미있게 숙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사전에 설정된 양의 고기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상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2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주화산송이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제주 점토로 빚어진 후 고온으로 구워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제주옹기의 일종으로서, 150℃~300℃ 가열과정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300℃~400℃ 가열과정에서 유기물질이 연소되며, 500℃~800℃ 가열과정에서 결정수가 빠져나가게 되는데, 결정수가 빠져나간 통로가 존재하게 되어 안팎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덮개(200) 역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제주 점토로 빚어진 후 고온으로 구워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몸체(100)와 덮개(200)는 종래의 제주옹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몸체(100)의 내측면에 제주화산송이석(300)이 구비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제주화산송이석(300)은 화산생성물인 스코리아(Scoria)의 일종으로서, 화산이 폭발할 때 제일 처음으로 분출된 용암이 굳어져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붉은빛을 띤 다공질의 천연세라믹 구조를 갖는다. 화산이 처음 폭발할 때는 마치 맥주병을 땄을 때 거품이 먼저 나오듯이 가스와 뒤섞인 용암이 먼저 분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미세한 구멍을 포함한 다공질 구조로 만들어지는 화산생성물이 바로 제주화산송이석(300)이다.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에는 참나무를 구워 만든 숯과 같이 미세한 구멍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강력한 천연의 흡착력과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기가 담겨진 몸체(100)의 내측으로 박테리아나 부패균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박테리아나 부패균은 제주화산송이석(300)에 의해 모두 살균되는바, 고기의 부패 우려 없이 고기를 숙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은 천연의 흡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기를 숙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내나 악취가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에 모두 흡착되어, 고기의 풍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더우기,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약 알카리성의 천연미네랄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량의 음이온을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상온(40도씨 이하)에서 92%이상, 200도씨로 가열시에는 94% 이상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기를 더욱 빠르고 부드럽게 숙성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고기를 빠르고 부드럽게 숙성시킬 수 있다는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100)와 제주화산송이석(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몸체(100)의 내벽에 구비되는 제주화산송이석(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벽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벽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벽 일부에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주화산송이석(300)에 의한 고기의 숙성효과가 다소 낮아지지만 통기성은 높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벽 전체에 걸쳐 구비되는 경우에는 통기성은 다소 낮아질 수 있지만 제주화산송이석(300)에 의한 고기의 숙성효과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의 구비 면적은 숙성하고자 하는 고기의 종류나 숙성 용도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내벽 일부에만 제주화산송이석(300)을 구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을 수직방향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몸체(100)의 바닥부에 위치한 고기의 숙성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을 몸체(100)의 내벽 중 하측부위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분말로 제작되어 별도의 점착물과 혼합된 후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도포될 수도 있고, 제주 점토로 제작되는 몸체(100)가 완전히 건조되기 이전에 몸체(100)의 내벽에 압착되어 상기 몸체(100)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몸체(10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상감 방식으로 몸체(100)의 내벽에 결합될 수도 있고, 고형의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벽에 매립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벽에 결합되는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100)와 제주화산송이석(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가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었을 때 즉, 제주화산송이석(300)이 고기와 오랜 기간동안 접촉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오염되거나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량이 저감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주화산송이석(300)을 분리시켜 세척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만을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제주화산송이석(300)을 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 및 재장착시킬 수 있도록 즉,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는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체결되는 장착프레임(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프레임(110)은 제주화산송이석(300)의 가장자리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바,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제주화산송이석(300)은 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주화산송이석(300)의 탈거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제주화산송이석(300)을 위로 잡아 당김으로써 제주화산송이석(300)을 용이하게 세척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제작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의 형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100)와 제주화산송이석(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 제5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100)와 제주화산송이석(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벽에만 구비되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고기를 담아 숙성할 때 상기 고기 중 몸체(100)의 내벽과 인접한 부위만이 효율적으로 숙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기 중 가운데 부위에는 효율적인 숙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기 숙성용 용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고기의 가운데 부위도 효율적으로 숙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수직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 개의 삽입슬릿(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폭방향 양단이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삽입슬릿(12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하나의 수직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두 개로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직플레이트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네 개로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둘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도록 장착되면, 상기 몸체(100)에 다량의 고기를 넣어 숙성시키더라도 보다 많은 부위의 고기가 제주화산송이석(300)과 인접하게 되는바, 전체적으로 고기의 숙성 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도록 장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벽에도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몸체(100)의 내벽에도 도포되고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장착되면, 더욱 많은 부위의 고기가 제주화산송이석(300)과 인접해지므로 고기 숙성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장착프레임
120 : 삽입슬릿 200 : 덮개
300 : 제주화산송이석

Claims (5)

  1. 사전에 설정된 양의 고기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상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200);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주화산송이석(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제주 점토로 제작되는 제주옹기이며,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상기 몸체(100)가 건조되기 이전에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압착되어 상기 몸체(100)의 건조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몸체(10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용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분말로 제작되되 별도의 점착물과 혼합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는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장착프레임(1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 개의 삽입슬릿(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주화산송이석(300)은 수직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되, 폭방향 양단이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삽입슬릿(12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숙성용 용기.
KR1020180059132A 2018-05-24 2018-05-24 고기 숙성용 용기 KR20190134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32A KR20190134015A (ko) 2018-05-24 2018-05-24 고기 숙성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32A KR20190134015A (ko) 2018-05-24 2018-05-24 고기 숙성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15A true KR20190134015A (ko) 2019-12-04

Family

ID=6900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132A KR20190134015A (ko) 2018-05-24 2018-05-24 고기 숙성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42B1 (ko) * 2020-06-23 2020-12-21 (주)대한에프앤비 유산균 수가 증가된 숙성 식육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42B1 (ko) * 2020-06-23 2020-12-21 (주)대한에프앤비 유산균 수가 증가된 숙성 식육 제조 방법
WO2021261645A1 (ko) * 2020-06-23 2021-12-30 원주화 유산균 수가 증가된 숙성 식육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0605B (zh) 一种快速嫩化海螺肉的复配保鲜方法
KR101944981B1 (ko) 우엉절임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우엉절임 제조방법
KR20190134015A (ko) 고기 숙성용 용기
CN105029472A (zh) 一种巴马香猪腊全猪的制作方法
KR100337530B1 (ko) 육류의 숙성방법
KR101337498B1 (ko) 탄산수와 솔잎을 이용한 계육의 숙성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숙성된 계육을 이용한 웰빙 닭갈비 제조방법
KR101164381B1 (ko) 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타공식품
ATE105995T1 (de) Behandlungsverfahren zur konservierung von frischen pflanzlichen lebensmitteln.
KR101702843B1 (ko) 자실체 배면부에 절단면을 가지는 영지버섯의 열풍건조방법
KR100985999B1 (ko) 참 숯 숙성실과 참 숯을 이용한 홍어 숙성방법
KR100442799B1 (ko) 육류 숙성 저장장치 및 방법
KR100431756B1 (ko) 솔잎을 이용한 참조기의 가공 방법
KR101586138B1 (ko) 뽕편육 제조방법
KR20050099470A (ko) 대나무와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육류의 조리방법
KR20130016978A (ko) 피톤치드 발효물 제조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피톤치드 발효물을 이용한 수처리방법
CN205107418U (zh) 消毒除味蒸汽烤箱
KR102039450B1 (ko) 수산물 가공방법
KR20170068845A (ko) 황토축열 침대
KR100616235B1 (ko) 조리용 대나무 절편의 제조방법
KR101390049B1 (ko) 훈증형 조리용기 뚜껑
CN205547284U (zh) 一种木耳烘干装置
CN220384163U (zh) 一种快速杀菌的咸鸭蛋杀菌锅
MX6698E (es) Un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producto alimenticio de pescado de las especies atun o del tipo del atun y que tiene la textura,el sabor y el aroma del filete de pescado
CN210028676U (zh) 藤椒保存装置
KR200384352Y1 (ko) 숯불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13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26

Effective date: 20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