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607A -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607A
KR20170044607A KR1020160133790A KR20160133790A KR20170044607A KR 20170044607 A KR20170044607 A KR 20170044607A KR 1020160133790 A KR1020160133790 A KR 1020160133790A KR 20160133790 A KR20160133790 A KR 20160133790A KR 20170044607 A KR20170044607 A KR 20170044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ging
temperature
dry
circu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591B1 (ko
Inventor
조성용
Original Assignee
조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용 filed Critical 조성용
Publication of KR2017004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육류를 건조숙성 보관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문이 설치되고,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바디,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가속기점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 순환팬에 의해 가속된 공기를 가습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공기가 개폐문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y-aging}
본 발명은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육류의 숙성 방법 중 하나인 건조숙성(dry-aging) 방법은 자연적으로 고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숙성시키는 방법이다. 건조숙성 방법을 이용할 경우, 통상 일정 온도에서 일정 기간의 숙성 기간을 필요로 하며, 고기를 통풍이 잘 되는 공기 중에 노출시켜야 하고, 높은 습도도 유지해야 한다. 이로 인해 생긴 마른 피막이 고기 내 수분을 가둬 아미노산을 농축시킴으로, 진한 향과 풍미를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자연적인 숙성 방법을, 온도와 습도의 조정 가능한 항온 항습 개념의 냉장고를 이용하여 모사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그러나, 단순히 냉장고에 항온과 항습 기능만을 추가한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육류가 부패되어 위생 안전상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적인 건조숙성의 효과를 건조숙성 보관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건조숙성 보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문이 설치되고,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가속기점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에 의해 가속된 공기를 가습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속된 공기의 순환에 의해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개폐문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은 상기 바디의 제1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속시켜 공기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풍량을 조절하는 제1 순환팬; 및 상기 바디의 제2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순환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속시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풍량을 조절하는 제2 순환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팬과 제2 순환팬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속,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숙성 보관 장치는 상기 물탱크에 의해 가습되며 상기 제2 순환팬이 가속한 공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살균하는 살균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순환팬과 상기 물탱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숙성 보관 장치는 제상을 위해 설정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기; 상기 제1 순환팬과 상기 에어커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 내의 공기의 습도에 따라 발생하는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온도 조절기에서 조절한 온도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액을 토대로 상기 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증발시켜 제상하는 증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된 온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건조숙성 보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문이 설치되고,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바디;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바디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계실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제습하여 순환시키며, 절곡 구조로 형성되는 냉각 제습실; 상기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상기 공기로 숙성하는 숙성실; 및 상기 공기를 가습하고 살균하며, 절곡 구조로 형성되는 가습 살균실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제습실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개폐문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및 상기 바디의 제1 위치에 미리 설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속시켜 공기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풍량을 조절하는 제1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제습실은, 제상을 위해 설정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기; 상기 제1 순환팬과 상기 에어커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 내의 공기의 습도에 따라 발생하는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온도 조절기에서 조절한 온도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액을 토대로 상기 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증발시켜 제상하는 증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살균실은, 상기 바디의 제2 위치에 미리 설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제1 순환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속시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풍량을 조절하는 제2 순환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에 의해 가속된 공기를 가습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속된 공기의 순환에 의해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의해 가습되며 상기 제2 순환팬이 가속한 공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살균하는 살균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각 제습실 및 가습 살균실과 연동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저장된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연동한 냉각 제습실과 가습 살균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액정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냉각 제습실과 가습 살균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숙성 모드 및 보관 모드에 따라 상기 바디를 순환하는 공기가 유지되어야 하는 온도, 습도, 풍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액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건조숙성 보관장치의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상기 건조숙성 보관장치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의 열을 공기중으로 날려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생성한 후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건조숙성 및 보관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입력 정보로 전달하고, 상기 건조숙성 보관장치의 운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화면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정보는 숙성육의 종류에 대한 모드 정보와 육류의 숙성 기간을 선택하는 숙성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건조숙성 보관장치가 육류를 건조숙성하고 보관하는 방법은,
육류의 건조숙성과 보관을 위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육류를 해동 숙성하는 단계; 해동 숙성된 육류를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여 1차 숙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숙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여 1차 숙성된 육류를 2차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숙성이 완료된 육류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 정보는 숙성육의 종류에 대한 모드 정보와 육류의 숙성 기간을 선택하는 숙성주 정보를 포함하고, 건조숙성 기준 정보는 상기 모드 정보와 숙성주 정보에 따라 상기 1차 숙성, 2차 숙성, 그리고 2차 숙성된 육류의 보관을 위해 유지되어야 할 공기의 온도, 습도, 풍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성 기간 및 보관 기간에 설정된 온도, 습도, 풍량 값을 기초로 육류를 숙성하고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건조숙성 보관 장치는 내부 오염을 스스로 정화할 수 있고, 외부 오염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성 기간과 보관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장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손상을 막아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에서 제어되는 온도, 습도, 풍량의 제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가 건조 숙성고와 숙성 보관고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는 물리적으로 바디(200)와 기계실(300)로 구분되며, 바디(200) 부분의 정면에는 개폐문(110)과 손잡이(120)가 구현되어 있고, 기계실(300)의 정면에는 액정 화면(130)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배면에 바디(200) 부분에는 모니터(140)가 위치하며, 구현에 따라 점검용 개폐문(150)과 손잡이(16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개폐문(110)과 점검용 개폐문(150)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문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도록 진공 단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개폐문(110)과 점검용 개폐문(150)의 일측에는 개폐문(110) 또는 점검용 개폐문(150)을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120, 160)가 구현되어 있다.
액정 화면(130)은 사용자가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운용 정보를 확인하거나, 건조숙성 및 보관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어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정 화면(130)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하단인 기계실(300)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정 화면(130)은 특정 입력이 없는 기본 상태에서는 운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운용 정보는 현재 날짜, 시간, 숙성 시작 날짜, 숙성일차, 현재 습도, 현재 온도, 숙성육의 종류,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현재 상태 모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구동 주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액정 화면(130)은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제어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정보 입력을 위한 선택(SEL) 버튼, 숙성할 고기의 상태를 선택하는 모드(Mode) 버튼, 몇 주를 숙성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주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액정 화면(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창의 형태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한다.
한편,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배면에 점검용 개폐문(150)과 손잡이(140)가 구현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배면은 모니터(140) 만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배면에 모니터(140)도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모니터(140)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배면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배면에서도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 내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모니터(14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운용 정보는 액정 화면(130)의 기본 상태에서 디스프레이되는 운용 정보와 동일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는 바디(200)와 기계실(300)로 구분된다. 바디(200)의 내부는 상부에 바디(200)의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제습하여 순환시키는 냉각 제습실(210), 중앙에 바디(200)의 공기를 이용하여 육류를 건조숙성하는 숙성실(220), 하부에 바디(200)의 공기를 가습, 살균하는 가습 살균실(230)로 구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냉각 제습실(210), 숙성실(220) 그리고 가습 살균실(230)이 일체형으로 개폐문(110)이 설치되고 건조숙성 보관 대상인 육류를 넣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바디(200) 내에 모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각 제습실(210)은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 내 냉각 제습을 위해 에어커튼(211), 제1 순환팬(212), 히터(213), 제1 온도 조절기(214), 제2 온도 조절기(215) 및 증발기(216)를 포함한다. 냉각 제습실(210)은 에어커튼(211)과 제1 순환팬(212)의 설치에 따라 바디(200)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절곡 구조로 구현된다.
에어커튼(211)은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바디(200) 내부를 순환하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풍량이 조절된 공기가 개폐문(110)이 열리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바디(200)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막을 만들어준다. 이를 위해, 에어커튼(211)은 바디(100)의 개폐문(110)과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커튼(211)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순환팬(212)은 바디(200)의 상부로 올라오는 온도, 습도, 풍량이 조절된 공기가 바디(200)의 하부로 이동하도록,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제1 순환팬(212)은 이후 설명할 제어부(330)의 제어를 통해 공기의 풍량이 조절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순환팬(212)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바디(200)에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고,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미리 설정한 각도로 사선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냉각 제습실(210)이 절곡 구조를 나타내도록 설치된다.
히터(213)는 바디(200) 내의 공기들이 습도가 높은 상태의 저온 기조를 유지함에 따라, 냉각 제습실(210)에 발생할 수 있는 성애를 제거하여 주기 위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히터(213)가 발생하는 열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제상을 위하여, 제1 온도 조절기(214)에 설정된 온도에 따라 발생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상 온도가 7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히터(213)는 제상용 히터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증발기(216)는 제상을 위해, 히터(213)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증발기(216)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 액화된 냉매 액을 토대로 히터(213)에서 발생한 열을 증발시킨다. 히터(213)와 증발기(216)를 토대로 제상하는 방법, 증발기(216) 내부의 냉매 액의 종류나 냉매 액의 유입 경로 등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온도 조절기(214)는 제상을 위하여 히터(213)에서 발생시킬 열의 온도를 조절하여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히터(213)에서 발생시킬 열의 온도가 7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온도 조절기(215)는 액정 화면(130)의 입력을 통해 바디(200) 내부의 온도를 제어부(330)가 조절하는 과정에, 액정 화면(130)의 입력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온도를 조절하여 바디(200)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 온도 조절기(215)는 아날로그 온도 조절기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제2 온도 조절기(215)에서 설정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330)로 전달되어 공기의 온도 조절에 반영되도록 한다.
숙성실(220)은 건조숙성 대상이거나 보관 대상인 육류를 담은 복수의 트레이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 설치 홈(도면 미도시)이 복수 개 구현되어 있다. 숙성실(220)에 부착된 트레이상의 육류는 바디(200)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따라 건조숙성된다.
가습 살균실(230)은 제2 순환팬(231), 물탱크(232) 및 살균등(233)을 포함한다. 이때, 가습 살균실(230)은 제2 순환팬(231)의 설치에 따라 바디(200) 내부의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제2 순환팬(231)이 설치된 부분과 맞은편 부분이 절곡 구조가 되도록 구현된다.
제2 순환팬(231)은 바디(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공기가 다시 상부로 올라가 바디(200) 내의 공기 온도와 습도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제2 순환팬(231) 역시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미리 설정한 각도로 사선으로 설치된다. 제1 순환팬(212)과 제2 순환팬(231)은 각각 바디(200)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가속기점에 설치되어, 바디(2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가속시킨다.
물탱크(232)는 바디(20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여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제2 순환팬(231)이 바디(200) 내부의 공기를 가속시키면, 가속된 공기를 가습시킨다. 이를 위해, 물탱크(232)는 제2 순환팬(231)에 인접하며, 제2 순환팬(231)에서 공기를 가속시키는 가속기점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습 살균실(230)의 가습 방식이 가습기에 의한 가습이 아닌 물탱크(232)에 의한 가습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가습기에 의한 능동적 습도 조절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물탱크(232)와 제2 순환팬(231) 사이에 가습기가 추가 구현되고, 제어부(330)가 가습기를 제어하여 바디(20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살균등(233)은 물탱크(232)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물탱크(232)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살균한다. 이때, 살균등(233)은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시간당 방출해야 하는 자외선 농도만큼 자외선을 발생하여 물이 살균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살균등(233)은 자외선 살균기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실(300)은 압축기(310) 및 응축기(320)를 포함하고, 액정 화면(130)과 연결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압축기(310)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통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 내에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형태의 냉매로 압축하고, 압축된 기체 형태의 냉매를 배관을 통해 응축기(320)로 전달, 순환시켜 외부로 발산시킴으로써,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 안을 저온으로 유지시킨다. 압축기(310)의 기능은 일반 냉장고에 포함되어 있는 압축기의 기능과 동일한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압축기(3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복수개의 압축기를 구비하고 교대로 압축기들이 구동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압축기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압축기에서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성시킨 육류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320)는 압축기(310)에서 보내온 고온, 고압의 기체 형태의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의 열이 응축기(320)를 형성하는 방열판을 거치면서 공기 중으로 빼앗기고 다시 액체 상태로 되어 압축기(310)로 전달된다. 응축기(320)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330)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바디(200) 내 모든 구성 요소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액정 화면(130)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구성 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33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0)는 인터페이스(331), 프로세서(332) 및 저장부(33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331)는 사용자가 액정 화면(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화면을 이용하여 건조, 숙성을 위해 입력한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입력 정보에는 숙성할 육류의 상태를 지정하는 모드 정보와 육류를 얼마나 숙성할 것인지 나타내는 기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331)는 프로세서(332)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바디(200)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전달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대로 육류가 건조, 숙성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서(332)는 인터페이스(331)가 수신한 입력 정보와 저장부(333)에 저장되어 있는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바디(200) 내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333)는 프로세서(332)가 제어 신호를 생성할 때 사용할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건조숙성 기준 정보라 함은 건조숙성 보관 기간에 따른 온도, 습도, 풍량의 제어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미리 저장부(193-3)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표 1은 숙성 1일차부터 8일차 180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바디(200) 내 공기가 유지되어야 할 온도와 습도, 풍량 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숙성 시작 후 27일차부터 숙성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즉, 숙성 후 614시간이 지난 시점부터 672시간까지 바디(200) 내 공기가 유지되어야 할 온도와 습도, 풍량 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표 3은 건조숙성이 완료된 후 보관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바디(200) 내 공기가 유지되어야 할 온도와 습도, 풍량 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4의 경우에는 해동숙성모드에서의 풍량 정보의 예를 나타낸 예로,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간 온도섭씨 습도 % 풍량 min/hr UV min/hr
1일차 0 -0.5 50 35 45
2 -0.5 50 35 44
4 -0.5 50 35 43
6 -0.5 50 35 42
8 -0.5 50 35 41
10 -0.5 50 35 40
12 -0.5 50 35 39
14 -0.5 50 35 38
16 -0.5 50 35 37
18 -0.5 50 35 35
20 -0.5 50 35 34
22 -0.5 50 35 33
2일차 24 -0.5 55 30 31
26 0 55 30 30
28 -0.5 55 30 29
30 0 55 30 28
32 -0.5 55 30 27
34 0 55 30 26
36 -0.5 60 30 25
38 0 60 30 24
40 -0.5 60 30 23
42 0 60 30 22
44 -0.5 60 30 21
46 0 60 30 20
3일차 48 -0.5 65 25 19
50 0 65 25 18
52 0 65 25 17
54 0.5 65 25 16
56 1 65 25 15
58 1.5 65 25 14
60 2 70 25 13
62 2 70 25 14
64 1.5 70 25 15
66 1 70 25 16
68 0.5 70 25 17
70 -0.5 70 25 18
4일차 72 -0.5 75 20 17
74 0 75 20 15
76 0.5 70 20 13
78 1 70 20 11
80 1.5 65 20 9
82 2 65 20 7
84 2.5 70 20 5
86 2.5 70 20 7
88 1.5 75 20 9
90 1 75 20 11
92 0.5 80 20 13
94 -0.5 80 20 15
5일차 96 -0.5 75 15 17
98 0 75 15 15
100 0.5 70 15 13
102 1 70 15 11
104 2 75 15 9
106 2.5 75 15 7
108 3 80 15 5
110 3 80 15 7
112 2.5 85 15 9
114 2 85 15 11
116 0.5 80 15 13
118 -0.5 80 15 15
6일차 120 -0.5 75 5 13
122 0 75 5 11
124 0.5 80 10 9
126 1 80 15 7
128 2 85 20 5
130 3 85 30 3
132 3.5 90 35 1
134 3.5 90 30 3
136 3 85 25 5
138 2 85 20 7
140 0.5 80 15 9
142 -0.5 80 10 11
7일차 144 -0.5 75 5 13
146 0 75 5 11
148 0.5 80 10 9
150 1 80 15 7
152 2 85 20 5
154 3 85 30 3
156 3.5 90 35 1
158 3.5 90 30 3
160 3 85 25 5
162 2 85 20 7
164 0.5 80 15 9
166 -0.5 80 10 11
8일차~ 168 -0.5 75 5 13
170 0 75 5 11
172 0.5 80 10 9
174 1 80 15 7
176 2 85 20 5
178 3 85 30 3
180 3.5 90 35 1
  시간 온도섭씨 습도 % 풍량 min/hr UV min/hr
숙성기간 614 3.5 90 35 1
616 3.5 90 30 3
618 3 85 25 5
620 2 85 20 7
622 0.5 80 15 9
624 -0.5 80 10 11
626 -0.5 75 5 13
628 0 75 5 11
630 0.5 80 10 9
632 1 80 15 7
634 2 85 20 5
636 3 85 30 3
638 3.5 90 35 1
640 3.5 90 30 3
642 3 85 25 5
644 2 85 20 7
646 0.5 80 15 9
648 -0.5 80 10 11
650 -0.5 90 5 13
652 0 85 5 11
654 0.5 80 10 9
656 1 75 15 7
658 2 70 20 5
660 3 65 30 3
662 3.5 60 35 1
664 3.5 65 30 3
666 3 70 25 5
668 2 75 20 7
670 0.5 80 15 9
672 -0.5 85 10 11
  시간 온도섭씨 습도 % 풍량 min/hr UV min/hr
보관시작 674 -0.5 80 6 5
보관기간~ 676 -0.5 75 6 5
678 -0.5 70 6 5
680 -0.5 65 6 5
682 -0.5 60 6 5
684 -0.5 55 5 5
686 -0.5 50 5 5
688 -0.5 50 5 5
690 -0.5 50 5 5
692 -0.5 50 5 5
694 -0.5 50 5 5
696 -0.5 50 5 5
시간 풍량 min/hr
0 50
2 50
4 50
6 50
8 50
10 50
12 50
14 50
16 50
18 50
20 50
22 50
24 40
26 40
28 40
30 40
32 40
34 40
36 40
38 40
40 40
42 40
44 40
46 40
48 30
50 30
52 30
54 30
56 30
58 30
60 30
62 30
64 30
66 30
68 30
70 30
이상에서 설명한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를 통해 육류를 건조숙성하고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액정 화면(130)을 이용하여, 건조숙성 및 보관을 위한 육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제어부(330)는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S100). 여기서, 액정 화면(130)으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육류를 건조숙성하거나 보관중일 때 액정 화면(13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육류를 건조숙성하거나 보관중일 때, 특정 입력이 없는 기본 상태에서는 운용 정보를 액정 화면(130)에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화면(13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운용 정보는 육류를 처음 숙성시키기 시작한 날짜 정보, 숙성시키기 시작한 시간 정보, 오늘 날짜 정보, 숙성일차, 현재 습도(RH:Relative Humidity)와 현재 온도(T), 숙성육의 종류(예를 들어, 냉동육(Frozen) 또는 냉장육(Fresh)),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현재 모드(예를 들어, 숙성(Aging) 또는 보관(Storage)), 그리고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가 육류의 숙성을 시작한 시점부터의 날짜 정보인 주(Week)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주 정보는 0부터 4까지 표시되며, 0주의 경우에는 보관 모드를 나타낸다.
도 7은 사용자가 액정 화면(130)을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할 경우에 나타내는 제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화면은 숙성육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Aging mode)과 얼마 동안 숙성할지를 선택하는 숙성주(Aging Week)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어 화면의 좌측 상단에 버튼(①)을 터치하여, 모드를 입력하거나 숙성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숙성주의 경우에는 0에서부터 4까지 나타내었으며, 0은 육류의 별도 숙성 없이 보관을 원할 경우에 입력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우측 상단의 버튼(②)은 모드 또는 숙성주 입력 시, 어떤 모드로 할 것인지 또는 몇 주에 걸쳐 숙성 또는 보관할 것인지를 버튼 입력을 통해 이동하거나 선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취소 버튼(③)은 선택한 사항들을 일괄 취소할 때 사용하며, 모드와 숙성주 선택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시작 버튼(④)을 누르면 해당 모드와 숙성주에 따라 육류가 숙성되거나 보관되도록 한다. 도 7의 제어 화면은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도 5를 이어 설명하면, S100 단계를 통해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330)는 입력 정보의 숙성주 정보를 확인하고, 숙성주가 ‘보관’에 해당하는 ‘0’인지 확인한다(S110). 만약 보관에 해당하는 0이 입력되어 있다면, 제어부(193)는 바로 보관 상태로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육류가 보관되도록 한다(S150).
그러나, 숙성주가 ‘보관’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제어부(330)는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저장부(333)에 저장되어 있는 해동숙성모드에서의 정보와 입력 정보를 토대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육류를 해동 숙성 모드에 따라 숙성한다(S120). 해동 숙성 모드는 일반적인 육류 해동을 숙성단계 전에 추가한 것으로, 해동의 조건으로 미리 설정한 온도에서의 해동 즉, 섭씨 0℃를 상회하는 온도 유지를 통해, 해동시 발생하는 수분의 유출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때, 해동 숙성을 위한 온도만으로는 육류의 수분 유출을 잡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량을 최대로 해 주며 가습을 최소화하여, 육류의 표면이 빠르게 마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차 숙성단계 이전에 해동 숙성 단계를 선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120 단계를 통해 해동 숙성 절차가 완료되면, 제어부(330)는 1차 숙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육류가 1차 숙성되도록 한다(S130). 여기서 제어 신호는 입력 정보와 저장부(333)에 저장되어 있는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제어부(330)가 생성한다.
1차 숙성은 전체 숙성 과정 중 1일차에서 7일차 즉, 숙성 1주차까지의 숙성 단계를 나타내며, 여기서도 1일차에서 3일차까지는 육류 강직 단계, 4일차에서 7일차까지는 가속 연결 단계에 해당한다.
1차 숙성 중 육류 강직 단계는 전체 숙성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숙성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이 도축되면 Ph 7.0에서 젖산이 생성되며, Ph가 저하될 때 세균과 박테리아가 번식되기 때문에, 세균과 박테리아의 번식 조건을 차단하여 육류가 부패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1차 숙성은 육류의 부패를 막기 위해 수행되는 숙성 절차로, 숙성 1일차에서는 낮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풍량을 의도적으로 높여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의 습도가 50%대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2일차와 3일차까지 서서히 풍량을 줄이며 습도를 상대적으로 높여, 육류의 표면이 마르고 숙성에 따라 육류의 강직이 시작되도록 한다. 습도가 50%대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이를 위한 풍량에 대한 정보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육류 강직 단계가 완료된 후, 가속 연결 단계가 시작되는 숙성 4일차에서는 본격적으로 숙성이 이루어진다. 숙성 4일차에서 7일차까지는 육류 강직 단계의 실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2차 숙성으로 가기 전 서서히 습도를 높여주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때, 바람의 양은 육류의 마른 피막을 만들기 위해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습도를 높이기 위해 육류 강직 단계와는 반대로 의도적인 가습이 요구된다.
S130 단계인 1차 숙성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330)는 2차 숙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육류가 2차 숙성되도록 한다(S140). 2차 숙성 단계는 1차 숙성 단계에서 강직이 시작된 이후 최대 강직까지 가는 과정으로, 숙성의 중간 단계라 볼 수 있다.
2차 숙성 단계에서는 빠른 숙성을 위해 온도와 습도 편차를 두고 일정한 패턴으로 진폭을 주어, 육류가 자가 숙성까지 가도록 한다. 이때, 바람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최소한의 풍량을 유지하는 것을 예로 한다. 2차 숙성은 숙성 2주차부터 4주차까지에 해당하는데 육류의 육질이 부드러워지고 아미노산이 증가하며, 지미 성분이 생기는 시점으로, 육류의 풍미의 증감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2차 숙성 중 2주에서 4주차까지의 숙성주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숙성주로 선택될 수 있다.
2차 숙성이 완료되면, 제어부(330)는 숙성이 완료된 육류의 맛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 보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가 보관 모드로 유지되도록 한다(S150). 보관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숙성 절차가 완료된 후의 육류의 맛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낮은 온도와 습도, 그리고 풍량을 미리 설정된 수치로 유지하면서 오래 육류가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건조숙성 보관 장치(100)가 육류를 숙성하고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건조숙성 기준 정보는 건조숙성의 전제 조건인 낮은 기온과 높은 습도 또한 건조를 위한 바람의 양과 일조량이라는 점을 토대로 산출된 정보이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숙성 보관 장치에서 제어되는 온도, 습도, 풍량의 제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숙성에선 냉장과 건조가 공통된 변수이나, 높은 습도는 서로 상반된 변수라 냉장고에서 조합하기에 어려우나, 자연 상태에선 가능하다는데 착안하여 기후 데이터인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도입하였다.
건조숙성 기준 정보의 가장 큰 특징은 건조숙성의 전제 조건인 낮은 기온과 높은 습도 또한 건조를 위한 바람의 양과 일조량에 숨어있다.
대표적인 보관 음식인 스페인의 하몽은 0∼3℃의 냉장고에서 며칠간 건조한 후 소금을 바르고, 습도 80%의 저장실에서 6∼26℃의 온도 기복을 두고 1년 가량 보관하여 만든다. 그러나 과거에는 습도가 높아 와인 산업으로 유명한 스페인 북부지역에서 생산되는 하몽을, 건조를 위해 중남부의 해안 지역에 위치한 카스띠야 이 레옹(Castilla y Leon), 카스띠야(Castilla), 라 만차(Castilla la Mancha), 안달루시아(Andalucia) 등지에서 건조한 후, 다시 북부에서 숙성하여 소비 판매되었다. 이는 지중해성 기후가 육류 숙성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근거이다.
또한, 중국의 대표적인 저장육으로 하몽과 흡사한 저장성 진화의 화투이는 연평균 온도가 16.3∼17.6℃이고, 연강우량은 1,150∼1,909mm로,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쓰촨성과 윈난성 경계에 있는 해발 2,700m의 루구호에 사는 모수족은, 라로우라는 말린 돼지고기의 내장을 제거한 후 통째로 염장을 하지 않고 단지 부엌에서 나는 연기로 자연스럽게 훈연하여, 길게는 10∼30년까지 보관하며 먹는다는 것이다. 이 지역은 연중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으며 바람이 많아 특별히 염장을 하지 않고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기후조건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세 지역의 특이한 점 중 하나는 높은 습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조량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를 토대로, 건조숙성 조건에 적합한 가상의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333)에 저장, 육류를 건조숙성하고 보관하는 과정에 사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개폐문이 설치되고,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가속기점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가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에 의해 가속된 공기를 가습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속된 공기의 순환에 의해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개폐문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은,
    상기 바디의 제1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속시켜 공기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풍량을 조절하는 제1 순환팬; 및
    상기 바디의 제2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순환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속시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풍량을 조절하는 제2 순환팬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팬과 제2 순환팬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속, 순환시키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 의해 가습되며 상기 제2 순환팬이 가속한 공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살균하는 살균등
    을 더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팬과 상기 물탱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기
    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상을 위해 설정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기;
    상기 제1 순환팬과 상기 에어커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 내의 공기의 습도에 따라 발생하는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온도 조절기에서 조절한 온도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액을 토대로 상기 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증발시켜 제상하는 증발기
    를 더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된 온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온도 조절기
    를 더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개폐문이 설치되고,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바디;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바디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기계실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제습하여 순환시키며, 절곡 구조로 형성되는 냉각 제습실;
    상기 건조숙성 보관 대상을 상기 공기로 숙성하는 숙성실; 및
    상기 공기를 가습하고 살균하며, 절곡 구조로 형성되는 가습 살균실
    을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습실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개폐문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공기 흐름에 따라 공기 유막을 형성하는 에어커튼; 및
    상기 바디의 제1 위치에 미리 설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속시켜 공기가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풍량을 조절하는 제1 순환팬
    을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습실은,
    제상을 위해 설정되는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기;
    상기 제1 순환팬과 상기 에어커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 내의 공기의 습도에 따라 발생하는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온도 조절기에서 조절한 온도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액을 토대로 상기 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증발시켜 제상하는 증발기
    를 더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살균실은,
    상기 바디의 제2 위치에 미리 설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제1 순환팬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동한 공기를 가속시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토대로 풍량을 조절하는 제2 순환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팬에 의해 가속된 공기를 가습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속된 공기의 순환에 의해 상기 바디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의해 가습되며 상기 제2 순환팬이 가속한 공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살균하는 살균등
    을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각 제습실 및 가습 살균실과 연동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저장된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연동한 냉각 제습실과 가습 살균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된 액정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냉각 제습실과 가습 살균실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숙성 모드 및 보관 모드에 따라 상기 바디를 순환하는 공기가 유지되어야 하는 온도, 습도, 풍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액체 상태의 냉매가 상기 건조숙성 보관장치의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상기 건조숙성 보관장치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의 열을 공기중으로 날려 액체 상태의 냉매로 생성한 후 상기 압축기로 전달하는 응축기
    를 더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건조숙성 및 보관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입력 정보로 전달하고, 상기 건조숙성 보관장치의 운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화면
    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정보는 숙성육의 종류에 대한 모드 정보와 육류의 숙성 기간을 선택하는 숙성주 정보를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장치.
  15. 건조숙성 보관장치가 육류를 건조숙성하고 보관하는 방법에 있어서,
    육류의 건조숙성과 보관을 위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육류를 해동 숙성하는 단계;
    해동 숙성된 육류를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여 1차 숙성하는 단계;
    상기 1차 숙성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여 1차 숙성된 육류를 2차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숙성이 완료된 육류의 보관을 위해, 상기 제어 신호를 토대로 온도, 습도, 풍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건조숙성 기준 정보를 토대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 정보는 숙성육의 종류에 대한 모드 정보와 육류의 숙성 기간을 선택하는 숙성주 정보를 포함하고,
    건조숙성 기준 정보는 상기 모드 정보와 숙성주 정보에 따라 상기 1차 숙성, 2차 숙성, 그리고 2차 숙성된 육류의 보관을 위해 유지되어야 할 공기의 온도, 습도, 풍량 정보를 포함하는 건조숙성 보관방법.
KR1020160133790A 2015-10-15 2016-10-14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1867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4227 2015-10-15
KR1020150144227 2015-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607A true KR20170044607A (ko) 2017-04-25
KR101867591B1 KR101867591B1 (ko) 2018-06-14

Family

ID=5870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90A KR101867591B1 (ko) 2015-10-15 2016-10-14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9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094A1 (ko) * 2017-12-08 2019-06-13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US10925291B2 (en) 2017-10-16 2021-02-23 Chun Youn Je Dry aging system using oxygen
KR102367499B1 (ko) * 2021-07-25 2022-02-25 로움에스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유용 미생물 정기 분사와 한지 주머니를 이용한 드라이에이징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6421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라디오파를 이용한 육류 급속 숙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급속 숙성 방법
KR102462360B1 (ko) * 2022-01-04 2022-11-03 주식회사 가이버스 육류 숙성 장치
KR102562987B1 (ko) * 2022-05-30 2023-08-03 (주)아이엠프레쉬 환원 소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에이징 숙성육 제조 시스템 및 환원 소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에이징 숙성육 제조 방법
KR20240061738A (ko)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KR20240061739A (ko)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KR20240063295A (ko) 2022-11-0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KR20240063294A (ko) 2022-11-0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20240063293A (ko) 2022-11-0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78B1 (ko) * 2018-08-09 2019-05-23 주식회사 유엔티디 드라이 에이징 냉장고
KR102394935B1 (ko) * 2020-08-24 2022-05-10 주식회사 인큐시스 육류 숙성과 주류 보관을 위한 냉장고
KR102483166B1 (ko) * 2020-11-13 2022-12-2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치즈 숙성고와 그 숙성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16Y1 (ko) * 2010-05-07 2010-10-07 박용원 건식 고기 숙성기
KR20120060010A (ko) * 2010-12-01 2012-06-11 김동건 육류의 건조숙성장치
KR101496839B1 (ko) *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KR101522100B1 (ko) * 2013-11-11 2015-05-28 유인신 소고기 건조숙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257B1 (ko) * 2011-06-29 2014-09-04 이충기 육류 숙성을 위한 건조숙성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16Y1 (ko) * 2010-05-07 2010-10-07 박용원 건식 고기 숙성기
KR20120060010A (ko) * 2010-12-01 2012-06-11 김동건 육류의 건조숙성장치
KR101496839B1 (ko) *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KR101522100B1 (ko) * 2013-11-11 2015-05-28 유인신 소고기 건조숙성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5291B2 (en) 2017-10-16 2021-02-23 Chun Youn Je Dry aging system using oxygen
WO2019112094A1 (ko) * 2017-12-08 2019-06-13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220086421A (ko)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라디오파를 이용한 육류 급속 숙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급속 숙성 방법
KR102367499B1 (ko) * 2021-07-25 2022-02-25 로움에스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유용 미생물 정기 분사와 한지 주머니를 이용한 드라이에이징 방법 및 시스템
KR102462360B1 (ko) * 2022-01-04 2022-11-03 주식회사 가이버스 육류 숙성 장치
KR102562987B1 (ko) * 2022-05-30 2023-08-03 (주)아이엠프레쉬 환원 소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에이징 숙성육 제조 시스템 및 환원 소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에이징 숙성육 제조 방법
WO2023234667A1 (ko) * 2022-05-30 2023-12-07 (주)아이엠프레쉬 환원 소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에이징 숙성육 제조 시스템 및 환원 소스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에이징 숙성육 제조 방법
KR20240061738A (ko)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KR20240061739A (ko)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KR20240063295A (ko) 2022-11-0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KR20240063294A (ko) 2022-11-0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20240063293A (ko) 2022-11-01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숙성실을 가지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591B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591B1 (ko)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CN105723169B (zh) 支持对被冷却的物品、尤其是肉的熟成加工的制冷器具
CN111503970B (zh) 智能果蔬保鲜库及利用该库进行地瓜保鲜存储的方法
CN110411117A (zh) 一种基于气体调节的冰箱保鲜装置
JP5134875B2 (ja) たばこ用収納装置
JP7261063B2 (ja) 冷蔵庫
KR20180041783A (ko) 자동 환기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
JP2953373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滅菌方法
JP6687777B2 (ja) 冷蔵庫
JP2000213795A (ja) 空気調和装置
KR101963707B1 (ko) 회숙성고
CN114688825A (zh) 冰箱、用于控制食品熟成的方法
JP2000346524A (ja) 貯蔵庫
CN114688826A (zh) 冰箱、用于控制食品熟成的方法
JP2008161153A (ja) 生芋の長期保存方法
KR20160007243A (ko)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CN115404283A (zh) 熟成柜的控湿方法
WO2019112094A1 (ko)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JP2008161151A (ja) 生芋の殺菌治療装置
WO2020175102A1 (ja) 食品の乾燥方法、冷蔵庫、貯蔵庫、及び乾燥食品の製造方法
JP2005192448A (ja) 鮮度保持装置
JP6567163B2 (ja) 冷蔵庫
JP2865549B2 (ja) みかん類の貯蔵方法
KR20210071341A (ko) 건식 숙성 냉장고
US1197687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contained in an enclosed refrigerated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