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360B1 - 육류 숙성 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숙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360B1
KR102462360B1 KR1020220000829A KR20220000829A KR102462360B1 KR 102462360 B1 KR102462360 B1 KR 102462360B1 KR 1020220000829 A KR1020220000829 A KR 1020220000829A KR 20220000829 A KR20220000829 A KR 20220000829A KR 102462360 B1 KR102462360 B1 KR 10246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air
aging
air inlet
inle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훈
송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이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이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이버스
Priority to KR102022000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15Preserv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육류 숙성 장치는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팬; 상기 공기 유입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공기 배출구; 상기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입팬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류 숙성 장치{DEVICE FOR AGING MEAT}
본 발명은 육류 숙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를 통해 육류를 숙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메이드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요리와 관련된 가전 분야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특히, 고기류를 자신의 입맛에 맞게 숙성시키는 육류 숙성 장치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가전에 IoT 기술을 접목킨 IoT 가전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종래의 육류 숙성 장치의 구조는 비효율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육류 숙성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사이즈를 가졌다. 따라서,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며 효율적인 공기 순환을 통해 육류를 완성도 있게 효율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는 육류 숙성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육류를 숙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는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팬; 상기 공기 유입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공기 배출구; 상기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입팬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조사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UV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출력 장치는 상기 필터를 향해 자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입팬의 높이인 제1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의 높이인 제2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배출팬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의 육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육류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류 거치대는 상기 육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육류 거치대 상의 상기 육류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2 면을 통해 형성된 공기 순환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순환 구역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팬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는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칸막이를 공유하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의 육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육류 거치대; 및 상기 육류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역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칸막이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팬; 및 상기 공기 유입팬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육류를 숙성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내부가 보이는 도 1의 육류 숙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의 절단면(A-A')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에서 본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C 방향에서 본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는 박스의 형태로,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의 제1 면(도 1에서는 전면, 11)은 사용자가 육류 숙성 장치 내부에 육류를 보관하도록 육류 숙성 장치를 오픈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11)에는 힌지 또는 슬라이드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상기 제1 면(11)을 힌지를 통해 들어 올리거나, 슬라이드를 통해 밀어 올림으로써, 육류 숙성 장치를 오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 등 '면'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와 함께, 두께 및 면적을 가진 구성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면'이라는 용어는 '칸막이', '벽', '파티션', '기둥' 등의 다른 용어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육류 숙성 장치는 윈도우(2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0)는 유리, 크리스탈, 투명 필름(예, CPI)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육류 숙성 장치의 외부에서 윈도우(20)를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다. 즉, 윈도우(20)는 사용자가 제1 면(11)을 오픈하지 않고도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의 윈도우(20)는 제1 면(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20)는 육류 숙성 장치의 전면에서 사용자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육류 숙성 장치의 전면(도 1에서는 제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의 크기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출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LCD, LED, OLED, AMOLED, PMOLE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부(25)는 육류 숙성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는 날짜, 시간, 육류 숙성 장치의 전원 및 배터리 정보, 육류 숙성 장치의 온도 및/또는 습도, 타 장치와 연결 상태, 온습도 조절 버튼, 숙성 기간, 내부 장치의 작동 상태, 타이머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5)를 통해 육류 숙성 장치의 통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출력부(25)를 통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타 장치와 육류 숙성 장치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5)를 통해 육류 숙성 장치의 숙성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내부 저장부에 복수의 숙성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숙성 모드는 육류의 종류, 부위, 두께, 무게, 숙성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25)를 통해 숙성시키려는 육류에 맞는 숙성 모드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출력부(25)가 윈도우(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부(25)는 윈도우(20)의 상부, 왼쪽, 오른쪽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제1 면(11)을 오픈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는 제1 면(11) 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는 윈도우(20)의 상부, 하부, 왼쪽, 오른쪽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는 윈도우(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손잡이를 위에서 아래로 당김으로써 제1 면(11)을 오픈할 수 있다.
손잡이는 바(bar) 형태, 버튼식 또는 터치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류 숙성 장치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제1 면(11)이 오픈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내부가 보이는 도 1의 육류 숙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육류 숙성 장치는 내부에 육류 거치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육류 거치대(30)는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육류를 지지할 수 있다.
육류 거치대(30)는 육류를 지지하지만, 육류의 저면 전체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류 거치대(30)는 망 형태를 가져, 육류를 지지하지만, 육류의 저면의 일부에도 공기가 접촉할 수 있도록, 육류의 일부분과만 접촉할 수 있다.
육류 거치대(30)는 강철, 스테인리스 등 잘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육류 거치대(30)의 일부 구성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망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육류 거치대(30)는 마름모나 다각형 등을 이루는 망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육류 거치대(30)는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육류 거치대(30)는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지지 기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육류 거치대(30)는 육류 숙성 장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즉, 육류 거치대(30)는 육류 숙성 장치의 측면에 고정 걸이 또는 고정 받침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육류 거치대(30)는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세척을 위해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숙성 장치의 절단면(A-A')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3은 도 1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육류 숙성 장치는 내부에 육류 거치대(30), 공기 유입팬(40), 공기 유입구(45), 공기 배출구(50), 공기 배출팬(60), UV 출력 장치(70), 필터(75), 센서(80), 카메라(85) 및 컨트롤러(90)를 포함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칸막이(12)에 의해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칸막이(12)는 아래의 제2 면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구역(100)은 육류 거치대(30) 및 카메라(85)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구역(100)의 일면은 제1 면(11)일 수 있다. 제1 구역(100)은 육류 거치대(30) 상의 육류를 숙성시키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구역(100)은 공기 유입팬(4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면(11)을 타고 아래로 순환하여 다시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구역(200)은 공기 유입팬(40), 공기 배출팬(60), UV 출력 장치(70), 필터(75), 센서(80) 및 컨트롤러(9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구역(200)의 일면은 제3 면(13)일 수 있다. 제2 구역(200)은 제1 구역(100)에서 배출된 공기가 순환하여 공기 유입팬(40)을 통해 다시 제1 구역(100)으로 유입되는 공기 순환 영역일 수 있다. 즉, 제2 구역(200)은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제3 면(13)을 타고 위로 순환하여 다시 공기 유입팬(40)을 통해 제1 구역(100)으로 유입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이 각각 수용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수용하는 구성 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80)가 육류가 수용되는 영역인 제1 구역(100)에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V 출력 장치(70) 및/또는 필터(75)가 제1 구역(10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즉, 각 구역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위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칸막이(12)에는 공기 유입구(45) 및 공기 배출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칸박이(12)의 각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공기 유입구(45) 및 공기 배출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12)는 제1 면(11)을 향하는 방향인 표면 및 제3 면(13)을 향하는 방향인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육류 거치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육류 거치대(30)의 높이는 공기의 순환 흐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류 거치대(30)의 높이는 공기 배출구(50)보다 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육류 거치대(30)는 내부에 무게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육류 거치대(30) 상에 놓여진 육류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무게 센서는 측정한 센싱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게 센서는 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센서는 소형 로드셀, 스트레인 게이지 식 로드셀, 빔 로드셀, 플랫폼 로드셀, S빔 로드셀, 캐니스터 로드셀, 인장 압축 로드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육류 거치대(30)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육류 숙성 장치는 공기 유입팬(4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팬(40)은 육류가 있는 쪽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공기 유입팬(40)은 육류 숙성 장치의 제2 면(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팬(40)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모터는 컨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유입팬(40)은 공기 유입구(45)를 통해 공기를 육류가 있는 쪽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공기 유입팬(40)은 공기를 제2 면(12)에서 제1 면(11) 방향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도 3은 공기 유입팬(40)이 칸막이(12)의 배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유입팬(40)은 칸막이(12)의 표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50)는 공기 유입팬(40)을 통해 제1 구역(1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1 구역(100)을 순환한 후 제2 구역(200)으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수분을 머금은 공기일 수 있다.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수분을 머금은 공기이기 때문에, 공기 유입팬(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보다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50)의 높이는 공기 유입팬(4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지면(또는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으로부터 공기 유입팬(40)의 높이인 제1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공기 배출구(50)의 높이인 제2 높이보다 클 수 있다.
공기 배출구(50)는 형태 및 구멍의 개수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공기 배출구(50)가 가로 바(bar) 형태의 3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50)는 복수 개의 원형의 작은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50)는 복수 개의 다각형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공기 배출구(50)의 구멍은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공기 배출팬(6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팬(60)은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팬(60)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모터는 컨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되며,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
공기 배출팬(60)은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육류 숙성 장치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육류 숙성 장치는 외벽에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외부 배출구(도 2의 6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팬(60)은 외부 배출구(65)를 통해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 배출구(65)의 배출 통로에는 필터가 배치되어,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제습 및/또는 탈취시킬 수 있다.
공기 배출팬(60)은 칸막이(1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팬(60)은 제1 구역(100) 상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외부 배출구(65)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공기 배출팬(60)은 공기 유입팬(40)보다 동작하는 시간이 짧을 수 있다. 공기 유입팬(40)은 육류 숙성 장치의 공기 순환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배출팬(60)은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 습도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공기 유입팬(40) 및 공기 배출팬(60)의 동작은 센서(80)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컨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공기 배출팬(60)이 칸막이(12)의 배면 상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배출팬(60)은 칸막이(12)의 표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공기 배출팬(60)의 공기 배출 속도는 공기 유입팬(40)의 공기 유입 속도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육류 숙성 장치는 UV 출력 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UV 출력 장치(70)는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 또는 정화하기 위해 자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V 출력 장치(70)는 10nm 내지 38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V 출력 장치(70)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데 효과적인 100nm 내지 28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UV-C를 출력할 수 있다. UV 출력 장치(70)는 광을 원하는 곳으로 조사하기 위한 옵틱 모듈(프리즘, 굴절 렌즈, 콜리메이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필터(7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75)는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필터(75)는 칸막이(12)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75)는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나 세균입자 또는 바이러스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75)는 배출된 수분을 흡수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75)는 프리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UV 출력 장치(70)는 자외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터(75)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V 출력 장치(70)의 위치는 자외선의 90퍼센트를 필터(75)를 향해 조사하고, 나머지 10퍼센트를 필터(75)를 통과한 공기에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50)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75) 및 UV 출력 장치(70)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에 의해 살균 및 정화될 수 있다.
육류 숙성 장치는 센서(8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0)는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육류 숙성 장치 내부는 제1 구역(100)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제2 구역(2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공기 배출구(50)를 통해 일 구역에서 타 구역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는 제1 구역(100) 및 제2 구역(200)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80)는 측정한 온도 및/또는 습도에 대한 센싱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80)는 온도 및/또는 습도를 계속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주기적/비주기적으로 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센서(80)는 센싱값을 측정 후 바로 컨트롤러(9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센싱값을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였다가 컨트롤러(9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컨트롤러(9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센서(80)가 칸막이(12)의 배면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센서(8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칸막이(12)의 표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센서(80)가 공기 유입팬(40) 및 공기 배출구(5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육류 숙성 장치는 카메라(8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85)는 육류 거치대(30) 상의 육류를 촬영할 수 있도록, 육류 거치대(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85)는 제2 구역(200)보다 육류가 수용되는 영역인 제1 영역(10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카메라(85)는 육류를 촬영한 영상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85)는 영상을 계속적으로 촬영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주기적/비주기적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85)는 촬영 영상을 주기적으로 컨트롤러(90)에 전송할 수도 있고, 촬영 영상을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였다가 컨트롤러(9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컨트롤러(9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90)는 MCU로서 육류 숙성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90)는 공기 유입팬(40) 및 공기 배출팬(60)의 모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90)는 센서(80)의 습도에 대한 센싱값이 설정 습도보다 높을 경우, 공기 배출팬(6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UV 출력 장치(70)의 온/오프 및 자외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센서(80) 및 카메라(85)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센싱값 또는 영상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손잡이가 전자동 장치인 경우, 손잡이의 신호를 통해 제1 면(11)을 오픈시킬 수도 있다.
컨트롤러(90)는 회로 메인 보드 등 PCB(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육류 숙성 장치의 제2 면(12)에 부착될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육류 숙성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oT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9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육류 숙성 장치의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습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육류 숙성 장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컨트롤러(90)의 개수가 한 개인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육류 숙성 장치의 컨트롤러(9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육류 숙성 장치의 컨트롤러(90)는 전체적인 제어를 주도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육류 숙성 장치 내부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육류 숙성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구역에 따라 설명한다.
제1 구역(100)은 육류를 숙성시키는 영역으로, 공기는 공기 유입팬(40)에 의해 제2 면(12)에서 제1 면(11)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제1 영역(100)에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제1 면(11)과 충돌하여, 지면을 향하는 아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유입된 공기는 흐르면서 육류의 수분을 흡수하여 무거워질 수 있다. 처음보다 무게가 무거워졌기 때문에, 공기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향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 면(11)과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이 이루는 각은 90도가 아닐 수 있다. 즉, 제1 면(11)과 저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면(11)과 저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도 가능하다.
제1 면(11)과 충돌하여 아래로 향하는 공기는 다시 저면과 충돌하고, 이때 공기 순환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저면과 충돌한 공기는 옆에 제1 면(11)으로 막혀있기 때문에, 제1 면(11)을 향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즉, 저면과 충돌한 공기는 다시 제2 면(12)을 향하도록 흐를 수 있다.
저면과 충돌한 공기는 저면과 육류 거치대(30) 사이로 흐를 수 있다. 즉, 육류의 저면(육류 거치대와 접촉한 면)과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 사이로 공기는 흐를 수 있다. 이때, 공기는 육류의 저면에 있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공기 배출팬(60)에 의해 외부와 연결된 외부 배출구(65)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5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필터(75) 및 UV 출력 장치(70)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살균된 공기는 위쪽 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역(200)에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공기의 순환은 공기 유입팬(40) 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살균되어 제2 구역(200)의 위쪽으로 순환된 공기는 다시 공기 유입팬(40)에 의해 제1 구역(100)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위 과정을 반복하여, 계속적으로 육류에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육류를 숙성시킬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육류 숙성 장치는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육류를 숙성시키고,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제습 및 살균함으로써 내부에서 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B 방향에서 본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의 설명을 따라, 도 4는 칸막이(12)의 표면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B 방향에서 본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제2 면 또는 칸막이, 12)에는 공기 유입구(45)가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12)의 뒤쪽부분(배면) 상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팬(40)이 공기 유입구(45)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에는 공기 배출팬(60)의 배면 및 공기 배출구(50)가 위치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공기 유입팬(40) 및 공기 유입구(45)의 높이는 공기 배출구(5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공기 배출팬(60)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C 방향에서 본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의 설명을 따라, 도 5는 칸막이(12)의 배면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C 방향에서 본 육류 숙성 장치의 일면(제2 면 또는 칸막이, 12)에는 공기 배출팬(40), 공기 배출팬(60), UV 출력 장치(70), 필터(75), 센서(80) 및 컨트롤러(90)가 배치될 수 있다.
UV 출력 장치(70)는 필터(75)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배치 관계에서, UV 출력 장치(70)가 필터(75)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UV 출력 장치(70)는 지면 방향을 향해 자외선을 출력한다. 그러나, UV 출력 장치(70)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제2 면 또는 칸막이(12)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육류 숙성 장치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도 4 및 도 5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육류 숙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의 육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육류 거치대;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팬;
    상기 공기 유입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공기 배출구;
    상기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유입팬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UV 출력 장치; 및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공기 유입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아래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과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팬의 높이는 상기 육류 거치대의 높이 및 상기 공기 배출구의 높이보다 높도록 설정되고,
    상기 UV 출력 장치의 위치는 출력된 자외선의 일부가 상기 필터를 향해 조사되고, 자외선의 상기 일부보다 적은 나머지 일부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향해 조사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육류의 종류, 부위, 두께, 무게 및 숙성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숙성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한 숙성 모드에 기초하여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온도, 습도, 상기 공기 유입팬의 공기 유입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공기 유입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1 면과 충돌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기울어진 상기 제1 면을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저면을 향하여 흐르고, 상기 저면과 충돌한 후 상기 육류 거치대 상의 육류와 상기 저면 사이를 따라 상기 공기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육류 숙성 장치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UV 출력 장치 및 상기 필터에 의해 살균 및 정화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팬을 통해 상기 육류가 존재하는 공간에 재유입시켜 공기를 내부적으로 순환시키는
    육류 숙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입팬의 높이인 제1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의 높이인 제2 높이보다 큰
    육류 숙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육류 숙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팬을 더 포함하는
    육류 숙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배출팬을 제어하는
    육류 숙성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거치대는 상기 육류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육류 숙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 거치대 상의 상기 육류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육류 숙성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2 면을 통해 형성된 공기 순환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순환 구역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팬으로 재유입되는
    육류 숙성 장치.
  13. 육류 숙성 장치에 있어서,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칸막이를 공유하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내부의 육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육류 거치대; 및
    상기 육류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역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칸막이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팬;
    상기 공기 유입팬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UV 출력 장치; 및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상기 제2 구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공기 유입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아래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육류 숙성 장치의 저면과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팬의 높이는 상기 육류 거치대의 높이보다 높도록 설정되고,
    상기 UV 출력 장치의 위치는 출력된 자외선의 일부가 상기 필터를 향해 조사되고, 자외선의 상기 일부보다 적은 나머지 일부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향해 조사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육류의 종류, 부위, 두께, 무게 및 숙성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숙성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한 숙성 모드에 기초하여 육류 숙성 장치 내부의 온도, 습도, 상기 공기 유입팬의 공기 유입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공기 유입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입된 후 상기 제1 면과 충돌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기울어진 상기 제1 면을 따라 비스듬한 각도로 저면을 향하여 흐르고, 상기 저면과 충돌한 후 상기 육류 거치대 상의 육류와 상기 저면 사이를 따라 상기 공기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육류 숙성 장치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구역에 유입된 후 상기 UV 출력 장치 및 상기 필터에 의해 살균 및 정화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팬을 통해 상기 제1 구역에 재유입시켜 공기를 내부적으로 순환시키는
    육류 숙성 장치.
KR1020220000829A 2022-01-04 2022-01-04 육류 숙성 장치 KR10246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29A KR102462360B1 (ko) 2022-01-04 2022-01-04 육류 숙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29A KR102462360B1 (ko) 2022-01-04 2022-01-04 육류 숙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360B1 true KR102462360B1 (ko) 2022-11-03

Family

ID=8404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829A KR102462360B1 (ko) 2022-01-04 2022-01-04 육류 숙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3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607A (ko) * 2015-10-15 2017-04-25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170079525A (ko) * 2015-12-30 201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육류 숙성 장치, 그 육류 숙성 방법, 육류 숙성 시스템 및 냉장고
WO2019093365A1 (ja) * 2017-11-08 2019-05-16 四国計測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熟成装置およびマイクロ波熟成方法
JP2020094717A (ja) * 2018-12-11 2020-06-18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KR20210042007A (ko) * 2019-10-08 2021-04-16 정문성 육류 숙성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607A (ko) * 2015-10-15 2017-04-25 조성용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KR20170079525A (ko) * 2015-12-30 201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육류 숙성 장치, 그 육류 숙성 방법, 육류 숙성 시스템 및 냉장고
WO2019093365A1 (ja) * 2017-11-08 2019-05-16 四国計測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波熟成装置およびマイクロ波熟成方法
JP2020094717A (ja) * 2018-12-11 2020-06-18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KR20210042007A (ko) * 2019-10-08 2021-04-16 정문성 육류 숙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1201B2 (en) Air purifier
EP3316915B1 (en) Germicidal apparatuses with configurations to selectively conduct different disinfection modes interior and exterior to the apparatus
AU2014338218B2 (en) Air purifier
TW445361B (en) Fan filter unit for cleanroom
US109531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storage of laboratory consumables
US10246240B1 (en) Dry purge desiccator and method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KR20140078870A (ko) 기록물 보존 챔버
CN107048759A (zh) 一种书籍除菌借阅柜
KR20110140045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462360B1 (ko) 육류 숙성 장치
US2553711A (en) Portable sterilizing apparatus
JP2008167902A (ja) 脱臭装置
KR102374640B1 (ko) 살균모듈이 장착되는 공기조화기
KR102223801B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교체시기 계산방법
KR102439618B1 (ko) 공기 배출 제어가 가능한 육류 숙성 장치
KR101358297B1 (ko) 다기능 기록물 살균 수납기
KR20140132530A (ko) 광학기기 살균보관함
JP2010094138A (ja) 動物飼育室の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575453B1 (ko) 수납식 도서 소독기
KR20140132529A (ko) 광학기기 살균보관함
KR20210024817A (ko) 강제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JP3203769U (ja) 光安定性試験装置
JP3981401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102349734B1 (ko) 공기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순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