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007A - 육류 숙성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숙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007A
KR20210042007A KR1020200092012A KR20200092012A KR20210042007A KR 20210042007 A KR20210042007 A KR 20210042007A KR 1020200092012 A KR1020200092012 A KR 1020200092012A KR 20200092012 A KR20200092012 A KR 20200092012A KR 20210042007 A KR20210042007 A KR 2021004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meat
blower
support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543B1 (ko
Inventor
정문성
이귀례
Original Assignee
정문성
이귀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48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62016B1/ko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이귀례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102020009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5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7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된 육류를 상온에서 부패 과정 없이 용이하게 숙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숙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내측 상면에는 육류가 고정되는 갈고리가 구비된 숙성함; 상기 숙성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하우징;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는 숙성함의 전면을 가리도록 지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지지하우징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복수개의 숙성실이 구비되어 상기 숙성실에 삽입되는 지지하우징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고, 상기 지지하우징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숙성함의 내측에 위치되는 육류를 공기의 순환과정을 통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육류 숙성장치{The aging apparatus of the meats}
본 발명은 냉동된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육류 숙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된 육류를 상온에서 부패 과정 없이 용이하게 숙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한 효율적인 냉동육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육류 숙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의 숙성이란,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도축하여 육류가 손상되기 전에 신선도 및 유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육류의 숙성과정은 상온에서 자연적으로 육류를 숙성하거나, 육류에 일정한 온도를 이루는 바람을 공급하거나,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육류의 숙성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육류의 숙성과정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육류 숙성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육류 숙성장치는 육류가 저장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거나, 가열된 물에 육류를 침지 시켜 육류를 숙성시킬 수 있는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워터베드의 내측에 위치된 육류에 냉각과 가열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육류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는 육류 숙성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1)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육류 숙성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육류 숙성장치들은 육류의 숙성과정이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육류의 숙성 작업과정과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동된 육류를 해동시키며 숙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육류의 숙성과정이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문제와 더불어, 냉동된 육류의 해동과정에서 육류의 육즙이 다량으로 빠져, 육류가 부패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240586(2017.07.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을 이루는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육류 숙성과정에서의 작업과정과 시간의 증대에 따른 비용지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강한 바람을 이용하여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냉동육이 상온에서 숙성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도 부패 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육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냉동육의 표면 수분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육류의 육즙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육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내측 상면에는 육류가 고정되는 갈고리가 구비된 숙성함; 상기 숙성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하우징;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삽입공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는 숙성함의 전면을 가리도록 지지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지지하우징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복수개의 숙성실이 구비되어 상기 숙성실에 삽입되는 지지하우징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고, 상기 지지하우징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숙성함의 내측에 위치되는 육류를 공기의 순환과정을 통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숙성박스는 상기 숙성실의 내측에 구비되어 숙성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와, 상기 숙성실과 연통 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절에 따라, 구비된 제1송풍기와 제1열교환기의 구성을 통하여 0~4 도씨의 바람이 숙성실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작동되는 제1송풍관과, 상기 숙성실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제1배출기가 상기 제1송풍관의 작동과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숙성실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숙성실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조절에 따라, 구비된 제2송풍기와 제2열교환기의 구성을 통하여 25 도씨 이상의 바람이 숙성실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작동되는 제2송풍관과, 상기 숙성실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제2배출기가 상기 제2송풍관의 작동과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숙성실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전원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와, 상기 전원공급기, 제1송풍기, 제1열교환기, 제1배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제1송풍기, 제1열교환기, 제1배출기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기와, 상기 전원공급기, 제2송풍기, 제2열교환기, 제2배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제2송풍기, 제2열교환기, 제2배출기를 작동시키는 제2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송풍기, 제1열교환기, 제1배출기를 24~26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작동시키고,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제어기의 작동이 멈춘 후, 상기 제2송풍기, 제2열교환기, 제2배출기를 12~26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숙성박스의 전면에는 상기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복수개의 램프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는 숙성실의 내측으로 풍속 9~13m 이내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을 이루는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육류 숙성과정에서의 작업과정과 시간의 증대에 따른 비용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강한 바람을 이용하여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냉동육이 상온에서 숙성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도 부패 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육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냉동육의 해동과 숙성과정에서 발생 되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냉동육의 표면 수분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육류의 육즙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육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숙성장치의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숙성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육류 숙성장치의 숙성함, 지지하우징, 덮개, 숙성박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숙성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육류 숙성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며, 내측 상면에는 육류가 고정되는 갈고리(13)가 구비된 숙성함(10); 상기 숙성함(10)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돌기(21)가 돌출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2)이 형성된 지지하우징(20); 상기 결합공(22)과 대응되는 삽입공(31)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숙성함(10)의 전면을 가리도록 지지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30); 상기 지지하우징(20)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복수개의 숙성실(41)이 구비되어 상기 숙성실(41)에 삽입되는 지지하우징(20)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고, 상기 지지하우징(20)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숙성함(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육류(1)를 공기의 순환과정을 통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박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숙성함(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숙성함(10)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육류(1)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숙성함(10)은 하단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2)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지지하우징(20)의 가이드돌기(21)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숙성함(10)의 내측 상면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육류(1)가 고정될 수 있는 갈고리(13)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갈고리(13)의 구성은 상기 숙성함(10)의 내측으로 육류(1)의 수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삭제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하우징(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숙성함(10)이 내측에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하우징(20)은 상기 가이드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돌기(21)가 돌출 구비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하우징(20)의 가이드돌기(21)를 따라 숙성함(10)의 가이드홈(12)이 안내되어 지지하우징(20)의 내측으로 숙성함(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숙성함(10)과 지지하우징(20)의 결합되는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하우징(20)의 내측으로 숙성함(10)이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숙성박스(40)의 숙성실(41)로 지지하우징(20)이 삽입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숙성실(41)로 강한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숙성함(10)의 내측에 위치된 육류(1)로 강한 바람이 공급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상기 지지하우징(20)의 결합공(22)과 대응되는 삽입공(31)이 전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에 삽입되어 결합공(22)에 체결되는 볼트(P)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지지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지지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숙성함(10)의 전면을 상기 덮개(30)가 가리도록 구성되어, 숙성함(10)의 내측에 위치된 육류(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숙성함(10)의 내측에서 순환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육류(1)의 숙성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숙성박스(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하우징(20)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복수개의 숙성실(4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숙성실(41)로 삽입되는 지지하우징(20)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켜 숙성함(10)의 내측에 위치된 육류(1)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숙성박스(40)에 형성된 복수개의 숙성실(41)로 복수개의 지지하우징(20)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많은 양의 육류(1)를 숙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육류(1)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숙성박스(4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하우징(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2)와, 상기 위치감지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3)와, 상기 숙성실(41)과 연통 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3)의 조절에 따라, 구비된 제1송풍기(44a)와 제1열교환기(44b)의 구성을 통하여 0~4 도씨의 바람이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작동되는 제1송풍관(44)과,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제1배출기(45a)가 상기 제1송풍관(44)의 작동과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숙성실(41)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45)과,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3)의 조절에 따라, 구비된 제2송풍기(46a)와 제2열교환기(46b)의 구성을 통하여 25 도씨 이상의 바람이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작동되는 제2송풍관(46)과,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제2배출기(47a)가 상기 제2송풍관(46)의 작동과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숙성실(41)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42)는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지지하우징(20)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숙성실(41)과 지지하우징(20)의 결합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지지하우징(20)이 완전히 결합 되는 경우, 상기 위치감지센서(4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3)로 숙성실(41)과 지지하우징(20)의 결합 상태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위치감지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송풍관(44)과 제1배출관(45)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위치감지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3a)와, 상기 전원공급기(4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43b)와, 상기 전원공급기(43a),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1배출기(4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신호에 따라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1배출기(45a)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기(43c)와, 상기 전원공급기(43a),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43b)의 작동에 따라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를 작동시키는 제2제어기(4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송풍관(44)은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송풍기(44a)와 제1열교환기(44b)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관(45)은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배출기(45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송풍관(44)과 제1배출관(45)은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신호가 제어부(43)로 전달되는 경우,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43)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43a)와 연결된 제1제어기(43c)가 작동되어 상기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배출기(45a)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열교환기(44b)를 통하여 0~4 도씨로 가열된 바람이 제1송풍기(44a)를 통하여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송풍관(44)의 구성을 통하여 제1배출관(45)의 방향을 따라 다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송풍기(44a)는 풍속 9~13m 이내를 이루는 공기를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숙성실(41)의 내측에 위치된 숙성함(10)의 육류(1) 표면으로 제1송풍기(44a)의 강한 바람이 전달되도록 하여 육류(1)의 표면 수분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43c)는 상기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1배출기(45a)가 24~26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신호에 따라 제어기(43c)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제1송풍기(44a)의 강한 바람이 육류(1)의 표면으로 24~26시간 동안 전달되어 육류(1)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송풍기(44a)로부터 전달되는 강한 바람을 이용하여 육류(1)의 숙성과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육류(1)의 표면에 흐르는 수분이 지속적으로 제거되어 육류(1)의 표면이 마른 상태를 유지하여 육류(1)의 육즙이 육류(1)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육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숙성실(41)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배출관(45)의 구성을 통하여 숙성실(41)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고, 숙성실(41) 내측에서 순한되는 공기로 인하여 육류(1)가 오염된 냄새와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송풍관(46)은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송풍기(46a)와 제2열교환기(46b)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관(47)은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배출기(47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송풍관(46)과 제2배출관(47)은 상기 타이머(43b)의 신호가 제어부(43)로 전달되는 경우, 동시에 작동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타이머(43b)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43)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기(43a)와 연결된 제2제어기(43d)가 작동을 이루어, 상기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를 작동시키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열교환기(46b)를 통하여 25도씨 이상으로 가열된 바람이 제2송풍기(46a)를 통하여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배출기(47a)의 구성을 통하여 제2배출관(47)의 방향을 따라 다시 배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송풍기(46a)는 풍속 9~13m 이내를 이루는 공기를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숙성실(41)의 내측에 위치된 숙성함(10)의 육류(1) 표면으로 제2송풍기(46a)의 강한 바람이 전달되도록 하여 육류(1)의 표면 수분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제어기(43d)는 상기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가 12~26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타이머(43b)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제어기(43d)가 작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제2송풍기(46a)의 강한 바람이 육류(1)의 표면으로 24~26시간 동안 전달되며 육류(1)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2송풍기(46a)로부터 전달되는 강한 바람을 이용하여 육류(1)의 숙성과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육류(1)의 표면에 흐르는 수분이 지속적으로 제거되며 육류(1)의 표면이 마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육류(1)의 육즙이 육류(1)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육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숙성실(41)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2배출관(47)의 구성을 통하여 숙성실(41)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고, 숙성실(41) 내측에서 순한되는 공기로 인하여 육류(1)가 오염된 냄새와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술한 제어부(43)와, 제1송풍관(44), 제1배출관(45)의 구성을 통하여 숙성실(41)의 내측에 결합을 이루는 숙성함(10) 내측의 육류(10)로 0~4도씨로 가열되며 풍속 9~13m 이루는 바람이 24~26시간 동안 전달되며 냉동된 육류(1)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이 끝난 후에는 상기 제어부(43)와, 제2송풍관(46), 제2배출관(47)의 구성을 통하여 숙성실(41)의 내측에 결합을 이루는 숙성함(10) 내측의 육류(10)로 25도씨 이상으로 가열되며 풍속 9~13m를 이루는 바람이 12~26시간 동안 전달되며 육류(1)의 숙성과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육류(1)의 숙성과정이 상온에서 고속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육류(1)의 표면이 마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육류(1)의 육즙이 육류(1)의 외부로 빠져나와 부패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신속하고 안정적인 육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타이머(43b)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원공급기(43a)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전원공급기(43a)와 연결된 제2제어기(43b)를 작동시키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머(43b)가 상기 제1제어기(43c)의 작동 시간인 24~26시간이 경과 한 후에 상기 전원공급기(43a)로 작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숙성박스(40)의 전면에는 상기 타이머(4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43b)의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램프(48)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램프(48)의 점등을 위하여 상기 타이머(43b)는 상기 제1송풍관(44), 제1배출관(45), 제2송풍관(46), 제2배출관(47)의 작업이 경과 된 후에 상기 전원공급기(43a)로 램프의 작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램프(48)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송풍관(44), 제1배출관(45), 제2송풍관(46), 제2배출관(47)의 작업이 완료된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여 육류(1)의 숙성과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숙성함(10)의 내측에서 숙성된 육류(1)를 꺼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가 강한 풍속을 이루며 육류에 전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육류의 해동과정과 숙성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육류의 숙성과정에서 육류의 표면으로 육즙이 흘러나와 부패 되는 것을 방지하며 신속하고 안정적인 육류의 숙성과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숙성함 11: 통공
12: 가이드홈 13: 갈고리
20: 지지하우징 21: 가이드돌기
22: 결합공 30: 덮개
31: 삽입공 40: 숙성박스
41: 숙성실 42: 위치감지센서
43: 제어부 43a: 전원공급기
43b: 타이머 43c: 제1제어기
43d: 제2제어기 44: 제1송풍관
44a: 제1송풍기 44b: 제1열교환기
45: 제1배출관 45a: 제배출기
46: 제2송풍관 46a: 제2송풍기
46b: 제2열교환기 47: 제2배출관
47a: 제2배출기 48: 램프

Claims (2)

  1.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양측부에는 복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고 하단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며, 내측 상면에는 육류가 고정되는 갈고리(13)가 구비된 숙성함(10);
    상기 숙성함(10)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전,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가이드돌기(21)가 돌출 구비되며,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2)이 형성된 지지하우징(20);
    상기 결합공(22)과 대응되는 삽입공(31)이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하우징(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숙성함(10)의 전면을 가리도록 지지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30);
    상기 지지하우징(20)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복수개의 숙성실(41)이 구비되어 상기 숙성실(41)에 삽입되는 지지하우징(20)의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키고, 상기 지지하우징(20)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숙성함(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육류(1)를 공기의 순환과정을 통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박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숙성박스(40)는
    상기 숙성실(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지지하우징(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2)와,
    상기 위치감지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3)와,
    상기 숙성실(41)과 연통 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3)의 조절에 따라, 구비된 제1송풍기(44a)와 제1열교환기(44b)의 구성을 통하여 0~4 도씨의 바람이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작동되는 제1송풍관(44)과,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제1배출기(45a)가 상기 제1송풍관(44)의 작동과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숙성실(41)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관(45)과,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3)의 조절에 따라, 구비된 제2송풍기(46a)와 제2열교환기(46b)의 구성을 통하여 25 도씨 이상의 바람이 숙성실(4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작동되는 제2송풍관(46)과,
    상기 숙성실(4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제2배출기(47a)가 상기 제2송풍관(46)의 작동과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숙성실(41)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관(47)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위치감지센서(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기(43a)와,
    상기 전원공급기(4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타이머(43b)와,
    상기 전원공급기(43a),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1배출기(4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신호에 따라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1배출기(45a)를 작동시키는 제1제어기(43c)와,
    상기 전원공급기(43a),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43b)의 작동에 따라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를 작동시키는 제2제어기(43d)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기(43c)는 상기 위치감지센서(42)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송풍기(44a), 제1열교환기(44b), 제1배출기(45a)를 24~26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제어기(43d)는 상기 타이머(43b)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제어기(43c)의 작동이 멈춘 후, 상기 제2송풍기(46a), 제2열교환기(46b), 제2배출기(47a)를 12~26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숙성박스(40)의 전면에는
    상기 타이머(4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43b)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복수개의 램프(4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숙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기(44a)와 제2송풍기(46a)는 숙성실(41)의 내측으로 풍속 9~13m 이내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숙성장치.
KR1020200092012A 2019-10-08 2020-07-24 육류 숙성장치 KR102363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12A KR102363543B1 (ko) 2019-10-08 2020-07-24 육류 숙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877A KR102162016B1 (ko) 2019-10-08 2019-10-08 육류 숙성장치
KR1020200092012A KR102363543B1 (ko) 2019-10-08 2020-07-24 육류 숙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877A Division KR102162016B1 (ko) 2019-10-08 2019-10-08 육류 숙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007A true KR20210042007A (ko) 2021-04-16
KR102363543B1 KR102363543B1 (ko) 2022-02-24

Family

ID=8047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012A KR102363543B1 (ko) 2019-10-08 2020-07-24 육류 숙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60B1 (ko) * 2022-01-04 2022-11-03 주식회사 가이버스 육류 숙성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995A (ja) * 1996-03-04 1997-09-09 Ooita Sanso Center:Kk 魚その他の食品類の乾燥方法及びその乾燥装置
KR200240586Y1 (ko) 2001-02-16 2001-10-25 김진경 육류의 숙성장치
KR101715029B1 (ko) * 2015-07-15 2017-03-10 정하동 건조기용 숙성용기
KR101787459B1 (ko) * 2017-07-19 2017-11-15 이광열 육류 종류에 따라 육류를 숙성시키는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육류 숙성용 장치 및 방법
KR20180027784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인큐시스 육류 숙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995A (ja) * 1996-03-04 1997-09-09 Ooita Sanso Center:Kk 魚その他の食品類の乾燥方法及びその乾燥装置
KR200240586Y1 (ko) 2001-02-16 2001-10-25 김진경 육류의 숙성장치
KR101715029B1 (ko) * 2015-07-15 2017-03-10 정하동 건조기용 숙성용기
KR20180027784A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인큐시스 육류 숙성 장치
KR101787459B1 (ko) * 2017-07-19 2017-11-15 이광열 육류 종류에 따라 육류를 숙성시키는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육류 숙성용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60B1 (ko) * 2022-01-04 2022-11-03 주식회사 가이버스 육류 숙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543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524B1 (ko) 육류 숙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숙성방법
KR102162016B1 (ko) 육류 숙성장치
KR101132331B1 (ko)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72358B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ion function
KR20120082992A (ko) 냉장고
KR100826083B1 (ko) 냉장고
KR20120092442A (ko) 냉장고
JP4358448B2 (ja) 製品の気体処理装置
US4909040A (en) Automatic refriger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sterilized storage compartment
JPH10206002A (ja) 冷凍食品解凍装置を有する冷蔵庫
KR20210042007A (ko) 육류 숙성장치
KR20090075057A (ko) 해동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및 해동방법
US200800533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king foodstuff with steam
EP3279593B1 (en) Steam-sterilizatio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810678B1 (ko) 멀티 훈연 장치
JP3706550B2 (ja) 冷蔵庫
KR100700778B1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및 해동방법
JPH109755A (ja) 冷蔵庫
JP2003116507A (ja) 水分含有食品の乾燥方法及び装置
CN219889883U (zh) 一种冰箱
CN217031835U (zh) 一种中药加工用冻干装置
KR200335678Y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JP2006003029A (ja) 加熱調理装置
KR20060069578A (ko) 냉장고의 해동장치
JPH0810569A (ja) 悪臭分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