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243A -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243A
KR20160007243A KR1020140087624A KR20140087624A KR20160007243A KR 20160007243 A KR20160007243 A KR 20160007243A KR 1020140087624 A KR1020140087624 A KR 1020140087624A KR 20140087624 A KR20140087624 A KR 20140087624A KR 20160007243 A KR20160007243 A KR 20160007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mperature
air
storage
agricultural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우
Original Assignee
(주)에어템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템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에어템 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8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7243A/ko
Publication of KR2016000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제어부는, 하나의 상기 하우징에서 냉동을 수행하는 기능과 냉장을 수행하는 기능과 탈삽을 수행하는 기능과 후숙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로 제작된 처리기에서 다양한 목적의 운전할 수 있으며, 설비의 과잉투자와 휴지기 시 다른 용도로 전환하여 운전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운반과 이동이 용이하여 이전설치 비용이 필요 없으며 각각의 운전 기능도 특별한 기술 습득 없이 기계실 내 자동제어반에 내장된 프로그램 컨트롤러에 입력시켜 완전 자동으로 무인 운전시킬 수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Multi-function device offers processing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하우징에서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 탈삽 및 후숙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자동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 농산물의 예냉을 통한 저온 유통체제의 확립은 고품질의 산물을 신선하고도 안전하게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기술임과 동시에, 개방화 시대에 있어서 수입 농산물에 대하여도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청과물 및 농산물의 경우 수입의 다양화와 품종의 다양화로 종래 산지의 수확만으로 충족되는 청과물 및 농산물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품질을 향상시켜 가공 판매되는 양산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농산물 출하 전에 온도처리와 저장온도 등 기술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요구되고 있다.
온도처리와 저장온도에 따른 기술적인 방법 중, 일 예로, 예냉이라 함은 산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저온의 냉풍으로 냉열로 충격을 주어 세포의 성숙을 둔화시켜 수확 후 농산물이 시드는 현상을 예방하고 신선도를 오래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냉풍 건조라 함은 산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수분을 제거시키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고추의 건조 및 벼의 건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저온 저장은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보존 기간을 향상시키는 저장법이며 보온 저장은 겨울철 한파로부터 농산물의 냉해를 예방함을 말한다.
또한, 단감의 탈삽이라 함은 출하 시기가 빠른 조생종 단감의 떫은맛을 내는 타닌 성분을 탄산가스로 중화시켜 단맛으로 숙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바나나의 후숙이라 함은 수입된 푸른 바나나를 황색의 바나나로 탈색시키고 맛을 성숙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처리와 저장온도는 특정된 농산물에 대한 온도처리 혹은 저장방법에 대한 것으로, 수입의 다양화와 품종의 다양화로 청과물 및 농산물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품질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 나아가 가공 판매됨에 품질이 하향 됨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다양한 품종에 최적의 품질로 온도처리 및 저장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로 제작되어 장소이동이 용이하며, 장소의 구분없이 필요 전력만 투입되면 가동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장소 이동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도별 개별 운전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설비로 예냉 설비, 냉풍 건조 장치, 저온 저장 창고, 보온 저장 창고, 감의 탈삽, 바나나 후속을 할 수 있어, 각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고, 하나의 설비로 다양한 운전이 가능하여 경상 이익의 증대 및 설비 운전의 다양화, 설비의 휴지기 방지 및 설비의 원가가 대폭 절감될 수 있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 메뉴를 설정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된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는,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 탈삽 및 후숙의 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되는 메뉴에 따라, 하나의 상기 하우징에서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보온저장 후숙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자동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수액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비되어, 입력되는 온도에 대응되도록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격리시키며 내부에 농산물이 수용되고, 외부 공기가 일측에서 유입되는 차압텐트; 및 상기 차압텐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압텐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차압텐트의 내부와 하우징의 내부 간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용 송풍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대류용 송풍기; 상기 대류용 송풍기로 순환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용덕트;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용덕트로 순환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농산물을 향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순환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류용 송풍기는, 송풍량 500cmm(㎥/min) 이상의 풍량으로 강제 송풍시켜 상기 순환용덕트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순환용덕트로 순환되는 공기를 1.8m/s ~ 2.5m/s의 일정 풍속으로 상기 농산물에 향할 수 있도록 공기의 순환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스가 저장된 가스저장부; 상기 가스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고온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승온된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노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팬;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덕트와 배기덕트의 중간부는, 'U'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액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덕트와 배기덕트의 중간부 하단에는, 상기 차단액체가 배출되는 배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기는, 상기 배출밸브가 오픈되어 차단액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유입덕트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장치와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장치로 냉각된 공기를 설정 온도로 상승시키거나,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킨 공기를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온도제어부가 탈삽과 후숙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하우징의 내부온도에 따라 작동 및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증기를 배출하여, 상기 온도제어부가 탈삽과 후숙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하우징의 내부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장치는,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에 발생되는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용히터;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로 제작된 처리기에서 다양한 목적의 운전할 수 있으며, 설비의 과잉투자와 휴지기 시 다른 용도로 전환하여 운전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운반과 이동이 용이하여 이전설치 비용이 필요 없으며 각각의 운전 기능도 특별한 기술 습득 없이 기계실 내 자동제어반에 내장된 프로그램 컨트롤러에 입력시켜 완전 자동으로 무인 운전시킬 수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통해 예냉, 저온 저장, 보온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통해 냉풍 건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통해 탈삽 및 후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통해 예냉, 저온 저장, 보온 저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통해 냉풍 건조 공정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통해 탈삽 및 후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하우징(110), 송풍팬(120), 입력부(미도시), 온도제어부(130),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냉동장치(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보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한다.
송풍팬(12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타측방향으로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한다.
입력부는 메뉴를 설정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된다.
이때, 입력부는,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 탈삽 및 후숙의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온도제어부(130)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때, 온도제어부(130)는 입력부로부터 설정되는 메뉴에 따라, 하나의 상기 하우징(110)에서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 탈삽 및 후숙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온도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메뉴 프로그램에 자동제어하여, 하우징(110) 내의 온도, 습도, 가스공급 및 배기 등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냉동장치(140)는 하우징(110)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때, 냉동장치(140)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와 수액기(143)와 팽창밸브(144)와 증발기(145)로 구비되어, 입력되는 온도에 대응되도록 공기를 냉각시켜 송풍팬(120)에 공급한다.
또한, 냉동장치(140)는 제상용히터(146)를 더 포함한다.
제상용히터(146)는 증발기(145)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장치(140)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145)에 발생되는 서리를 제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차압텐트(112) 및 차압용송풍기(114)를 더 포함한다.
차압텐트(11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를 격리시키며 내부에 농산물이 수용되고, 외부 공기가 일측에서 유입된다.
차압용 송풍기(114)는 차압텐트(112)의 타측에 설치되어, 차압텐트(112)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배출시켜 차압텐트(112)의 내부와 하우징(110)의 내부 간에 차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차압텐트(112)는 절첩 가능하거나 프레임(미도시)에 덮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차압텐트(112)가 불필요할 때, 접어놓을 수 있다. 그리고 차압텐트(112)는 자동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대류용 송풍기(150), 순환용덕트(160) 및 풍향조절판(170)을 더 포함한다.
대류용 송풍기(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송풍팬(120)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대류용 송풍기(150)는 송풍량 500cmm(㎥/min) 이상의 풍량으로 강제 송풍시켜 순환용덕트(160)로 순환되도록 한다.
순환용덕트(160)는 대류용 송풍기(150)로 순환되는 외부공기를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환시킨다.
풍향조절판(170)은 하우징(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순환용덕트(160)로 순환되는 외부공기를 농산물을 향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순환방향을 조절한다.
이때, 풍향조절판(170)은 순환용덕트(160)로 순환되는 공기를 1.8m/s ~ 2.5m/s의 일정 풍속으로 농산물에 향할 수 있도록 공기의 순환방향을 조절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냉동장치(140)와 송풍팬(120) 사이에 전기히터(250)를 더 포함한다.
전기히터(250)는 냉동장치(140)와 송풍팬(120) 사이에 구비되어, 냉동장치(140)로 냉각된 공기를 설정 온도로 상승시키고,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송풍팬(120)에 공급한다.
이때, 전기히터(250)는 온도제어부(130)가 탈삽과 후숙을 수행하는 동안 하우징(110)의 내부온도에 따라 작동하고 온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가스저장부(180), 열교환기(190) 및 토출노즐(200)을 더 포함한다.
가스저장부(180)는 가스가 저장된다. 여기서, 가스는 탈삽을 위한 탄산가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후숙을 위한 에틸렌 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열교환기(190)는 가스저장부(18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고온을 발생시킨다.
토출노즐(200)은 열교환기(190)를 통과하여 승온된 가스가 공급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토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유입덕트(210), 배기덕트(220) 및 배기팬(230)을 더 포함한다.
유입덕트(21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배기덕트(220)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내부의 공기가 배기된다.
이때, 유입덕트(210)와 배기덕트(220) 중간부는 'U'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액체가 채워진다.
또한, 유입덕트(210)와 배기덕트(220)의 중간부 하단에는 차단액체가 배출되는 배출밸브(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차단액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유입덕트(210)와 배기덕트(220)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없도록 한다.
이때,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는 배출밸브(240)가 오픈되어 차단액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유입덕트(21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배기덕트(22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배기팬(230)은 배기덕트(220)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킨다.
즉, 차단액체가 배출된 상태에서, 배기팬(230)이 작동되면, 배기덕트(220)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동시에 유입덕트(210)를 통해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가습기(260)를 더 포함한다.
가습기(2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증기를 배출하여, 온도제어부(130)가 탈삽과 후숙을 수행하는 동안 하우징(110)의 내부 습도를 조절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이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로, 농산물의 예냉방법이다. 예냉은 농산물에 냉풍 충격을 주어 호흡 작용을 억제하고 세포의 성숙을 둔화시켜 농산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저장기간을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먼저 수확된 농산물을 통풍이 용이한 박스에 담아 박스 쌓기를 하고 차압텐트(112)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와 격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110) 내의 온도를 5℃로 입력시킨다. 이때, 냉동장치(140)에 의해서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가 강하된다.
이에 따라, 냉풍이 하우징(110) 내에서 송풍팬(120)에 의해 송풍되고, 차압텐트(112)의 내부에 보관된 농산물은 5℃로 보관되되, 차압용 송풍기(114)가 차압텐트(112)의 내부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차압텐트(112)의 내부와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 차이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 농작물은 호흡 작용이 중지되어 성숙이 둔화된다. 즉, 박스 내 농산물의 차압과 저온에 의해 품온을 빠른 시간 내 저하시켜 예냉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예냉이 완료되면 제상용히터(146)가 작동되어 증발기(145)에 착상된 서리가 자동으로 제상 되고, 기 설정된 저온으로 하우징(110) 내의 온도를 조절됨에 따라 저온 저장이 이루어진다.
둘째로 냉풍 건조방법이다. 여기서 건조라 함은 식품의 수분을 제거시켜 미생물 및 산소에 의한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고 식품에 운반성과 저장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건조시킬 농산물을 적재해 하우징(110) 내에 입고 시킨 후 냉동장치와 전기히터(250)에 의해 건조한 냉풍이 송풍팬(120)에 공급됨에 따라 냉풍 건조가 이루어진다. 즉, 냉동장치로 냉풍이 하우징(110)내에 순환되도록 하되, 냉동장치에서 배출되는 차가운 공기를 전기히터(250)로 건조시킴에 따라 수분이 없는 건조한 냉풍이 순환됨에 따라 냉풍 건조로 농작물을 보관할 수 있다.
셋째로, 저온 저장 방법이다. 저온저장은 수확된 농산물을 장기간 저온으로 보관하는 것으로 처리실내에 수확된 농산물을 입고시킨 후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온도를 4℃까지 강하시키고, 그 온도를 유지시킨다. 기 설정된 시간마다 작동되는 제상용히터(146)에 의해 증발기(145)에 생기는 서리는 제거된다. 저온 저장할 때의 하우징(110) 내 온도는 입력부에 의해서 조절 및 설정가능하다.
넷째로 보온 저장방법이다. 보온저장은 수확된 농산물이 겨울철 한파로 냉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하우징(110) 내에 수확된 농산물을 입고 시킨 후 제상용히터를 운전시켜 하우징(110) 내의 온도를 4℃로 승온하고 송풍팬(120)으로 송풍하여 보온 저장한다. 보온 저장할 때의 하우징(110) 내 온도는 입력부에 의해서 조절 및 설정가능하다.
다섯째로 탈삽 방법이다. 떫은 감의 탈삽이란 밀폐 처리된 공간 내에 탄산가스를 투입하여 감의 떫은 성분을 중화하고 일정한 온도, 습도, 기류로 숙성시키는 것으로, 먼저 수확된 감을 통풍구가 만들어진 플라스틱 박스 내에 담아 하우징(110) 내에 입고 시키고, 감의 육질 온도를 측정한 후 육질온도보다 시간당 1℃씩 4시간 동안 4℃ 상승 되도록 온도제어부(130)를 통해 냉동장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하우징(110) 내의 상대습도 60%가 유지되도록 한다. 탄산 가스 24㎥를 투입하되 하우징(110) 내의 농도가 95% 이상이 되도록 투입하여 14시간 정도 유지시킨다. 이후, 배기팬을 이용하여 배기덕트로 탄산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육질 온도보다 4℃ 상승된 온도와 상대 습도 60%의 항습 상태에서 24시간 보온 유지시킨다. 이후, 하우징(110)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외부로 배출시 킨다.
여섯째는 수입 바나나의 후숙 방법이다. 바나나를 하우징(110) 내부에 쌓은 후 하우징(110) 내부 온도를 14℃로 승온 및 유지시키며 1시간에 1℃씩 18℃까지 승온시키며, 18℃로 승온되는 동안 가습기를 이용하여 상대습도 90% ~ 95%가 되도록 유지시킨다. 그리고 에틸렌 가스를 하우징(110) 내로 투입하여 24시간 밀폐상태를 유지한다. 이 후, 에틸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하우징(110)의 내부온도 18℃에서 24시간마다 1℃~2℃씩 하강시켜 최종 14℃ 온도에서 유지 보관한다. 그리고 유입덕트와 배기덕트의 개방시켜 주기적으로 6시간 마다 12분씩 환기를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여섯 가지의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들은 기 설정된 온도와 시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따라서 입력부를 통해 변경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화처리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하우징 112: 차압텐트
114: 차압용 송풍기 120: 송풍팬
130: 온도제어부 140: 냉동장치
141: 압축기 142: 응축기
143: 수액기 144: 팽창밸브
145: 증발기 146: 제상용히터
150: 대류용 송풍기 160: 순환용덕트
170: 풍향조절판 180: 가스저장부
190: 열교환기 200: 토출노즐
210: 유입덕트 220: 배기덕트
230: 배기팬 240: 배출밸브
250: 전기히터 260: 가습기

Claims (12)

  1.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
    메뉴를 설정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형성된 입력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는,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 탈삽 및 후숙의 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설정되는 메뉴에 따라, 하나의 상기 하우징에서 예냉, 냉풍건조, 저온저장, 보온저장보온저장 후숙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자동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수액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비되어, 입력되는 온도에 대응되도록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격리시키며 내부에 농산물이 수용되고, 외부 공기가 일측에서 유입되는 차압텐트; 및
    상기 차압텐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압텐트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차압텐트의 내부와 하우징의 내부 간에 차압을 발생시키는 차압용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대류용 송풍기;
    상기 대류용 송풍기로 순환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용덕트;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용덕트로 순환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농산물을 향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순환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판;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용 송풍기는, 송풍량 500cmm(㎥/min) 이상의 풍량으로 강제 송풍시켜 상기 순환용덕트로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순환용덕트로 순환되는 공기를 1.8m/s ~ 2.5m/s 의 일정 풍속으로 상기 농산물에 향할 수 있도록 공기의 순환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가스가 저장된 가스저장부;
    상기 가스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고온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승온된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노즐;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덕트와 배기덕트의 중간부는, 'U'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액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덕트와 배기덕트의 중간부 하단에는, 상기 차단액체가 배출되는 배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기는, 상기 배출밸브가 오픈되어 차단액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유입덕트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와 송풍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장치로 냉각된 공기를 설정 온도로 상승시키거나,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킨 공기를 상기 송풍팬에 공급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온도제어부가 탈삽과 후숙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하우징의 내부온도에 따라 작동 및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증기를 배출하여, 상기 온도제어부가 탈삽과 후숙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하우징의 내부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는,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에 발생되는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용히터;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KR1020140087624A 2014-07-11 2014-07-11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KR20160007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24A KR20160007243A (ko) 2014-07-11 2014-07-11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24A KR20160007243A (ko) 2014-07-11 2014-07-11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43A true KR20160007243A (ko) 2016-01-20

Family

ID=5530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24A KR20160007243A (ko) 2014-07-11 2014-07-11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72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7737A (zh) * 2017-01-23 2017-08-18 天津商业大学 一种可移动链式果蔬压差预冷装置
KR20180000831U (ko) 2016-09-13 2018-03-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냉동 컨테이너의 제어장비 고정장치
KR20190117941A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위프 농산물 저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31U (ko) 2016-09-13 2018-03-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냉동 컨테이너의 제어장비 고정장치
CN107047737A (zh) * 2017-01-23 2017-08-18 天津商业大学 一种可移动链式果蔬压差预冷装置
KR20190117941A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위프 농산물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591B1 (ko) 건조숙성 보관 장치 및 방법
CN104839313B (zh) 冷冻肉九格式智能解冻柜
CN102835449B (zh) 灵武长枣相温气调保鲜方法
CN104824116B (zh) 一种冷冻肉智能解冻库
CN103575014B (zh) 过冷冰箱以及过冷冰箱的控制方法
CN111503970B (zh) 智能果蔬保鲜库及利用该库进行地瓜保鲜存储的方法
EP2257180A1 (en) A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treatment of fresh food products
KR20160007243A (ko)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CN109126935A (zh) 一种用于大米的低温处理方法
CN109606943A (zh) 一种能识别物品并调节环境的物流保护装置及方法
JPH0534052A (ja) 園芸作物の保蔵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40049735A9 (en) Vapor pressure control system for drying and curing products
KR20180041783A (ko) 자동 환기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
ES2927796T3 (es) Procedimiento de regulación de la atmósfera de un recinto frigorífico
CN112304000A (zh) 果蔬产品冷库温湿度动态循环控制系统
CN112971181B (zh) 一种猕猴桃增氧催熟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362554B1 (ko)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CN207831789U (zh) 一种动态温度、温差与无限循环无冰保鲜控制系统
EP3745869B1 (en) Vapor pressure control system for drying and curing products
CN112964019A (zh) 一种食品保鲜控制方法、装置及冰箱
WO2020175102A1 (ja) 食品の乾燥方法、冷蔵庫、貯蔵庫、及び乾燥食品の製造方法
KR101362519B1 (ko)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CN213873354U (zh) 一种风冷与换气和加湿控制系统结合的“活体”保鲜冷库
CN110301475A (zh) 一种速率可调式移动预冷与1-mcp一体化处理装备
CN219995628U (zh) 贮运保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