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047A -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047A
KR20130035047A KR1020110099279A KR20110099279A KR20130035047A KR 20130035047 A KR20130035047 A KR 20130035047A KR 1020110099279 A KR1020110099279 A KR 1020110099279A KR 20110099279 A KR20110099279 A KR 20110099279A KR 20130035047 A KR20130035047 A KR 20130035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air
temperature sensor
ceil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519B1 (ko
Inventor
김종언
Original Assignee
김종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언 filed Critical 김종언
Priority to KR102011009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5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 숙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과실 등을 적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일정 크기의 흡입구가, 양측면에는 일정 크기의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장치와 냉기를 발산하는 쿨러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에는 내부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조절부와;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절부 양 측면의 배기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저속 다익형 송풍팬; 및 상기 공기조절부의 히터장치, 쿨러장치 및 흡입팬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확한 다량의 과실을 적치하여 보관하는 저장고의 천장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저장물의 특성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저장고 내의 온도와 습도 등의 저장 환경을 위치에 상관없이 최대한 균일하도록 유지시켜 균질한 상품성을 가지도록 저장물을 숙성시킬 수 있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Multi-Purpose Fruits Ripening System Hanging From The Ceiling}
본 발명은 과실 숙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확한 다량의 과실을 적치하여 보관하는 저장고의 천장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저장물의 특성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저장고 내의 온도와 습도 등의 저장 환경을 위치에 상관없이 최대한 균일하도록 유지시켜 균질한 상품성을 가지도록 저장물을 숙성시킬 수 있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실은 수확과 동시에 바로 시장에 출하하기 보다는 수확 후 저장 시설에 보관하였다가 적당한 시기에 출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과수 농가나 중간 상인이 출하량을 조절하여 최대의 이익을 거두기 위한 것으로, 각종 과실을 수확하여 출하시기에 맞추어 인위적으로 숙성시켜 높은 상품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과수 농가가 과실이 완전히 성숙한 후에 수확하여 과실을 저장하였다가 출하하는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과실의 상품성이 떨어지게 마련이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과수 농가는 과실이 설익은 상태일 때에 수확하여 창고와 같은 저장고에 보관하였다가 출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과수 농가는 출하시기 및 물류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수확한 과실이 시장에 실제 출고되었을 때 최고의 상품성을 가지도록 저장 기간 동안 그 숙성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단순히 어느 기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숙성된다는 경험에 의존하여 과실을 저장한 후 출하하였고, 또한 인위적으로 숙성시키는 방법이라고는 창고와 같은 저장고에 난로 등과 같은 난방 장치로 저장고의 온도를 높여 주는 방법 밖에 사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단순한 방법으로는 출하되어 유통되는 시기에 최상의 품질을 가지도록 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어 과수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장되는 과실의 특성에 따라 유지하여야 하는 최적의 환경이 제각각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종래에는 저장 환경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경우에는 겨울철에 필요한 난방 장치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 요구되는 냉방 장치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도 있었다.
또한, 과실을 수확하여 저장하는 창고와 같은 저장고에는 다량의 과실을 적치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과실을 어느 정도 숙성시키기 위하여 난방 장치로 저장고의 온도를 높여 주는 경우나 냉방 장치로 저장고의 온도를 낮춰 주는 경우에 과실이 적치된 위치에 따라 온도 편차가 존재하여 같은 시기에 수확하여 같은 시간 동안 숙성시킨 경우에도 그 과실의 숙성 정도가 차이가 나게 되어 상품성이 들쑥날쑥하게 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장고의 온도를 과실이 숙성하기 좋은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수시로 온도계를 점검하고 온도가 낮은 경우나 너무 높은 경우에 일일이 그에 따라 수동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어 매우 번거로운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장한 과실을 적당히 숙성시키기 위해서는 저장고의 습도도 최적을 유지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분무기 등으로 과수 농가가 직접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난로 등과 같은 난방장치 근처에 물을 담아 놓는 등의 방법 밖에 없어 효율적이지 못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확한 각종 과실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저장고에 있어서 원하는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을 항시 유지할 뿐만 아니라 과실이 적치된 높이 등에 상관없이 균일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과실이 출하되어 유통되는 시기에 맞추어 최대한 모든 과실이 최상의 상품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숙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은 내부에 과실 등을 적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일정 크기의 흡입구가, 양측면에는 일정 크기의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장치와 냉기를 발산하는 쿨러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에는 내부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조절부와;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절부 양 측면의 배기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저속 다익형 송풍팬; 및 상기 공기조절부의 히터장치, 쿨러장치 및 흡입팬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절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며,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고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를 현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저장고의 희망 온도를 세팅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 또는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고 상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저장고의 바닥면 또는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고 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로 나누어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은 가변형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의 정보를 전달받아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가변형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신호전달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조절부의 배기구와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조절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습기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가습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장고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의 내부 습도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를 현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저장고의 희망 습도를 세팅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각종 과실류를 저장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킴에 있어, 저장고의 온도를 보관되는 과실의 특성에 따라 난방뿐만 아니라 냉방으로 임의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실이 실제로 시장에 출하되어 유통되는 시점에 맞추어 충분히 숙성되어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고 내에 공급되는 일정 온도와 습도를 가지는 공기가 골고루 잘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넓은 저장고에 다량의 과실을 높게 적치하여 보관하여도 모든 과실이 거의 동일한 정도를 가지며 숙성되도록 할 수 있어 출하되는 과실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고 내부가 지정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과수 농가가 일일이 번거롭게 온도를 수동적으로 조절하거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직접 분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등 매우 간편하고 효율이 뛰어난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에 있어 장치로 흡입된 공기를 멸균시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저장고에 보관되는 과실이 공기 중의 균에 의하여 감염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실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고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장치, 수분을 가하는 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거나 정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하시기에 맞추어 과실을 숙성시키거나, 건조가 필요한 각종 농산물을 보관하여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은 내부에 과실을 적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고(100)와, 상기 저장고(100)의 천장면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부착되어 있는 공기조절부(200)와, 상기 저장고(100)의 천장면에 설치되는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과, 상기 공기조절부(200) 및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고(100)는 일반적인 창고 건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열공사나 밀폐 보강공사 등을 부가적으로 행하여 열적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고(100)에는 저장고 내부의 온도와 습도의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센서(110)와 습도센서(120)를 일정 위치에 장착하며, 상기 온도센서(110)와 습도센서(120)에서 수집된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는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110)와 습도센서(120)는 상기 저장고(100) 내부의 일측 벽면이나 상단 천장면 등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온도센서(110)는 상기 저장고(100) 내부에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저장고(100) 벽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최소한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 상기 저장고(100) 상단의 온도와 하단의 온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저장고(100)의 벽면이 아니라 상기 저장고(100)의 천장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과 하단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절부(200)는 상기 저장고(100) 천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매달려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공기조절부(20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저장부의 천장면에 바로 전달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조절부(200)를 상기 저장부의 천장면에 연결하는 고정수단(260)으로는 전산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조절부(200)를 상기 저장부의 천장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저장고(100) 바닥면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양의 과실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저장고(100) 외부에 설치되는 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부(200)는 양측면에는 배기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흡입구(210)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된 박스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내부에는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장치(230)와, 공기를 상기 흡입구(210)를 통해 흡입하는 흡입팬(250)과,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260) 등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양측면 모두에 배기구(220)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저장고(100)의 크기나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설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일측면에만 배기구(22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히터장치(210)는 일반적인 가열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연료로 동작하는 가열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천장에 부착하는 것을 고려하여 전기를 이용하는 가열장치 등을 사용하는 것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배기가스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장치(210)는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하는 것보다는 상기 공기조절부(200)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220) 인근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장고(100)에서 회수되어온 공기를 다시 가열하여 바로 상기 저장고(10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쿨러장치(240) 또한 일반적인 냉방장치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냉매를 이용한 냉방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공기조절부의 외부에 실외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쿨러장치(240)도 상기 히터장치(210)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조절부(200)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보다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100)로 잘 송풍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260)는 상기 저장고(100)에서 회수되어온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보통 과실이나 각종 농수산물을 고온다습한 환경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여러 유해한 균이 번식하기 용이하므로 상기 저장고(100) 내의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하고 저장된 과실 등을 최상의 품질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상기 자외선 램프(260)를 상기 공기조절부(200)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히터장치(230) 또는 쿨러장치(240)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100)로 원활하게 공급하고 상기 저장고(100) 내의 공기가 충분히 순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310)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은 일명 시로코 팬이라 불리는 것인데, 이와 같은 시로코 팬은 날개의 끝부분이 회전방향으로 굽은 전곡형 팬으로써 동일 용량에 대해서 다른 형식에 비해 크기가 작고 회전수가 상당히 낮아 소음 발생이 작은 특징이 있어 본 발명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10)는 일정한 회전수를 가지는 일반적인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저장고(10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형 구동모터(310)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공기조절부(200)에 설치된 흡입팬(250)도 일반적인 팬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역시 시로코 팬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은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220)의 인접하여 설치하여, 상기 히터장치(230)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 또는 상기 쿨러장치(240)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저장고(1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은 흡입팬(250)에 의하여 상기 공기조절부(2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원활히 상기 저장고(10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배출된 공기를 상기 저장고(100)의 하단부 쪽으로 유통시켜 저장고 내부에서 공기가 골고루 잘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고(100)에는 하나 이상의 가습장치(270)를 더 부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습장치(270)로는 일반적인 여러 가습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고온증발식 가습장치나 초음파 가습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습장치(280)는 상기 공기조절부(200) 양측면에 형성된 배기구(220)와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상기 공기조절부(200)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어 배출된 공기에 바로 수증기를 공급하고, 이 공기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에 의하여 상기 저장고(100)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장치(230)와 쿨러장치(240) 외에, 상기 가습장치(270)를 함께 구성하여 각 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사계절에 걸쳐 각종 과실이나 각종 농수산물을 효율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등에 저온 저장 시스템으로서 사용하거나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고(100)의 내측 벽면이나 외측 벽면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데,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히터장치(230)와 쿨러장치(240) 및 상기 가습장치(270) 등 각종 장치 및 상기 저장고(100)의 상기 온도센서(110), 습도센서(120)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방식으로 상호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고(100)에 장착된 온도센서(110)와 습도센서(12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히터장치(230), 쿨러장치(240), 가습장치(270)의 동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와 습도를 세팅할 수 있는 입력장치(420)와, 상기 저장고(100)의 온도센서(110)와 습도센서(120)에서 검출된 상태 정보를 외부로 현출하는 표시장치(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히터장치(230)나 쿨러장치(240), 가습장치(270)를 개별적으로 동작 또는 정지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430)를 더 설치하여,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상기 히터장치(230)와 쿨러장치(240) 중 한 장치만을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가습장치(270)만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한다든지, 상기 히터장치(230)와 가습장치(270), 상기 쿨러장치(240)와 가습장치(270)를 각각 함께 동작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고(100)의 온도센서(110)를 상기 저장고의 상단부에 부착된 제1 온도센서(111)와 상기 저장고의 하단부에 부착된 제2 온도센서(112)로 나누어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온도센서(111)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센서(112)에서 측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에 따른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에 장착된 가변형 구동모터(310)의 구동속도를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술한 제어신호를 상기 가변형 구동모터(310)로 전달하는 신호전달장치를 내장하여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과 하단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이 상이한 풍속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저장고(100)에 수확한 과실을 각종 트레이 등에 적치하여 상기 저장고(100) 내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고(100)의 출입구를 닫아 완전히 밀폐시킨다. 그 후 저장한 과실의 종류와 출하시기, 원하는 숙성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결정하여 상기 제어부(400)의 입력장치(420)를 통하여 세팅하는데, 보통 감귤류 등을 저장하여 숙성시키는 경우에는 온도는 30 정도, 습도는 80~95%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저장고(100)의 온도와 습도의 세팅이 끝나면 상기 히터장치(230), 쿨러장치(240)와 가습장치(270) 등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공기조절부(200) 내의 공기가 가열, 냉각, 또는 가습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특정의 온도와 습도로 조절된 공기는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절부(200)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저장고(100) 내부 전체로 퍼져 온도와 습도를 높이게 되고 상기 공기조절부(200) 하단면의 흡입구(210)의 흡입팬(250)을 통하여 다시 상기 공기조절부(200)로 강제로 회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의 온도와 습도로 조절된 공기를 강제로 하향으로 공급하고 다시 강제로 상향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고(100) 내의 온도와 습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고(100)의 현재 온도와 습도는 상기 온도센서(110)와 습도센서(120)에 의하여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400)로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처음에 세팅된 희망 온도와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히터장치(210), 쿨러장치(220)와 가습장치(220)를 선택적으로 계속 가동하게 되고 목표치에 도달하게 되면 특정 장치의 가동을 정지하고 다시 목표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다시 가동하는 등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온도센서(111)와 제2 온도센서(112)를 통하여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과 하단의 온도를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과 하단의 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를 통하여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의 구동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데, 상기 저장고(100)의 상단과 하단의 온도 차이가 큰 경우에는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이 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상기 가변형 구동모터(31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고(100) 상단과 하단의 공기가 보다 잘 섞여서 순환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저장고(100) 상단과 하단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게 되면 다시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의 구동 속도를 낮추도록 조절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조절부(200)의 흡입팬(250)도 가변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과 함께 상기 저장고(100) 내의 환경에 따라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속동작을 통하여 상기 저장고(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보관된 과실의 숙성에 알맞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고(100) 상단과 하단 등 높이에 따른 온도 차이를 최대한 줄여서 상기 저장고(100) 내부가 균일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관된 과실이 적치된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품질을 가지며 숙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의 스위치(430)를 이용하여 상기 가습장치(27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히터장치(230)만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공기조절부(200)를 동작시키게 되면 각종 과실 등을 숙성하는 장치가 아니라 각종 농산물 등을 건조하는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장치(230)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300)을 통하여 상기 저장고(100)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장고(100)에 보관된 내용물을 열풍 건조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고(100)의 습도센서(120)를 통하여 원하는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열풍 건조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의 스위치(430)를 이용하여 상기 쿨러장치(240) 만을 가동시키는 경우에는 저온 저장장치로 활용하여 과실이나 각종 농수산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저장고 110 - 온도센서
111 - 제1 온도센서 112 - 제2 온도센서
120 - 습도센서
200 - 공기조절부 210 - 흡입구
220 - 배기구 230 - 히터장치
240 - 쿨러장치 250 - 흡입팬
260 - 자외선 램프 270 - 가습장치
300 - 저속 다익형 송풍팬 310 - 가변형 구동모터
400 - 제어부 410 - 표시장치
420 - 입력장치 430 - 스위치

Claims (7)

  1. 내부에 과실 등을 적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고와;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일정 크기의 흡입구가, 양측면에는 일정 크기의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열기를 발산하는 히터장치와 냉기를 발산하는 쿨러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에는 내부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이 구비되어 있는 공기조절부와;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절부 양 측면의 배기구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저속 다익형 송풍팬; 및
    상기 공기조절부의 히터장치, 쿨러장치 및 흡입팬과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며,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를 현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저장고의 희망 온도를 세팅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 또는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고 상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저장고의 바닥면 또는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저장고 하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은 가변형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와 제2 온도센서의 정보를 전달받아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가변형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신호전달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의 천장면에 설치되되 상기 공기조절부의 배기구와 상기 저속 다익형 송풍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조절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습기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가습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고의 내부 습도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정보를 현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저장고의 희망 습도를 세팅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KR1020110099279A 2011-09-29 2011-09-29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KR10136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79A KR101362519B1 (ko) 2011-09-29 2011-09-29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279A KR101362519B1 (ko) 2011-09-29 2011-09-29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47A true KR20130035047A (ko) 2013-04-08
KR101362519B1 KR101362519B1 (ko) 2014-02-18

Family

ID=4843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279A KR101362519B1 (ko) 2011-09-29 2011-09-29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837A (ko) * 2015-03-05 2016-09-19 권오영 농산물 저장고
KR102510741B1 (ko) * 2022-10-17 2023-03-16 영농조합법인 금봉산농원 스마트 장독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406B1 (ko) * 1991-01-07 1993-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냉각시스템
JP2507623Y2 (ja) * 1991-08-08 1996-08-14 磐 安藤 バナナ熟成装置
JP3456581B2 (ja) 2000-12-05 2003-10-14 ドーワテック株式会社 バナナ追熟加工自動制御装置
KR200238688Y1 (ko) * 2001-05-02 2001-10-12 강석문 전기열풍건조기 겸용 상온 및 저온저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837A (ko) * 2015-03-05 2016-09-19 권오영 농산물 저장고
KR102510741B1 (ko) * 2022-10-17 2023-03-16 영농조합법인 금봉산농원 스마트 장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519B1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03970B (zh) 智能果蔬保鲜库及利用该库进行地瓜保鲜存储的方法
Teitel et al. Energy saving in agricultural buildings through fan motor control by variable frequency drives
KR101438257B1 (ko) 육류 숙성을 위한 건조숙성고
KR100924657B1 (ko) 냉장기능을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JP6859251B2 (ja) 熟成庫
US20100273412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Perishable Goods Store
KR101362554B1 (ko)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KR101889217B1 (ko)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CN104949466A (zh) 一种湿度控制装置、保藏箱和冰箱
WO2018040857A1 (zh) 一种智能超市保鲜柜
JP6700063B2 (ja) 乾燥加工装置
US20220361437A1 (en)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an animal barn
KR20180041783A (ko) 자동 환기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
KR101362519B1 (ko)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KR20120139218A (ko) 저온창고
GB2603566A (en) Livestock-housing ventilation system
KR101168816B1 (ko) 천장부착형 과실 숙성 시스템
KR101996274B1 (ko) 창고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KR20160007243A (ko)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KR20150137567A (ko) 축열식 공기소독 냉열 교환기
JP2008161151A (ja) 生芋の殺菌治療装置
CN219349412U (zh) 一种食品检测用恒温装置
JP2009168278A (ja) 恒温恒湿庫
CN206504520U (zh) 夹层蜂巢气流循环冰温保鲜装置
JP6608274B2 (ja) 施設園芸用ハウスの湿度管理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