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837A - 농산물 저장고 - Google Patents

농산물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837A
KR20160107837A KR1020150031214A KR20150031214A KR20160107837A KR 20160107837 A KR20160107837 A KR 20160107837A KR 1020150031214 A KR1020150031214 A KR 1020150031214A KR 20150031214 A KR20150031214 A KR 20150031214A KR 20160107837 A KR20160107837 A KR 20160107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cooler
air
agricultural produc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204B1 (ko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권오영
(주) 대성씨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영, (주) 대성씨앤아이 filed Critical 권오영
Priority to KR102015003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2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농산물 저장고는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면 일측에, 전면에는 팬이, 후면에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는 유닛 쿨러와, 상기 유닛 쿨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유닛 쿨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순환 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닛 쿨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벽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닛 쿨러의 후방을 향해 토출하는 기류 조절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농산물을 균일한 품질로 유지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저장고{Agricultural products storage}
본 발명은 농산물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구마, 감자 등의 농산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하기 위한 농산물 저장고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 감자, 양파 마늘 등과 같은 농산물은 농산물 저장고에 저장된다. 상기 농산물 저장고에는 증발기와 팬으로 이루어진 유닛 쿨러가 구비되고, 상기 유닛 쿨러가 냉기를 토출하면서 상기 농산물 저장고 내의 공기를 탑다운(top down)방식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농산물 저장고를 적정 온도로 유지한다.
상기 농산물 저장고에서 상기 유닛 쿨러는 상기 냉기를 정면으로만 토출한다. 즉, 상기 유닛 쿨러의 정면 영역과 상기 유닛 쿨러의 양측 영역 사이에 온도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농산물 저장고 내부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냉기에 의해 상기 유닛 쿨러와 인접한 농산물은 과냉각되고, 상기 유닛 쿨러와 멀리 떨어진 농산물은 냉각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상기 농산물 저장고에 저장된 농산물의 품질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환기구를 단순히 개폐하여 환기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농산물 저장고에 저장된 농산물의 품질과 습도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을 균일하고 빠른시간 내에 냉각하여 저장할 수 있는 농산물 저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저장고는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면 일측에, 전면에는 팬이, 후면에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는 유닛 쿨러와, 상기 유닛 쿨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유닛 쿨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순환 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닛 쿨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벽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닛 쿨러의 후방을 향해 토출하는 기류 조절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 및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배기 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흡기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닛 쿨러는 상기 전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닛 쿨러는 상기 전면 상방으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저장고는 쿨러 유닛들에서 냉기를 전면 상방으로 토출되므로, 상기 냉기가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상기 쿨러 유닛을 다수 배치하거나, 상기 쿨러 유닛들 사이에 순환 팬을 배치하여 상기 냉기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전면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면으로 상기 공기를 상기 쿨러 유닛의 후면을 향해 토출하는 기류 조절 팬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냉기를 원활하고 균일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산물 저장고에 저장된 농산물을 동일한 품질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배기 팬과 흡기 도어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므로, 상기 하우징 내부의 환기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농산물을 용이하게 예비 건조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저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저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저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저장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저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저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산물 저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농산물 저장고(100)는 하우징(110), 유닛 쿨러(120), 순환 팬(130), 기류 조절 팬(140), 배기 팬(150) 및 흡기 도어(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농산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대략 중공의 육면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단열 효과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은 폴리우레탄 패널, 벽돌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유닛 쿨러(120)는 하우징(110) 내부 상부면, 즉, 천정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전면을 통해 냉기를 토출한다. 상기 냉기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닛 쿨러(120)는 팬(122) 및 증발기(124)를 포함한다.
팬(122)은 유닛 쿨러(120)의 전면에 배치되고, 증발기(124)는 유닛 쿨러(120)의 후면에 배치된다.
증발기(124)는 주변의 공기를 냉각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 증발기(124)는 팽창밸브(자동식과 전자식을 통칭함)를 통해 연결되는 응축기 및 압축기와 연결된다. 상기 응축기는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압축기는 증발기(124)를 통과한 상기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로 보낸다.
팬(122)은 증발기(124)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전면으로 토출하여 순환시킨다.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가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한다.
유닛 쿨러(120)는 팬(122)에 의한 공기 흐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유닛 쿨러(120)가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유닛 쿨러(120)의 정면 영역과 양측 측면 영역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닛 쿨러(120)는 하우징(110)의 내부를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유닛 쿨러(120)에서 상기 냉기가 단순히 전면으로만 토출되는 경우, 상기 냉기가 하강하려는 성질로 인해 상기 냉기가 멀리까지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닛 쿨러(120)와 인접한 농산물은 과도하게 냉각되고, 유닛 쿨러(120)와 멀리 떨어진 농산물은 냉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냉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산물이 균일하게 냉각되지 않아 상기 농산물의 품질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유닛 쿨러(120)는 상기 전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각도는 약 3 내지 10도일 수 있다. 따라서, 유닛 쿨러(120)는 상기 전면 상방으로 상기 냉기를 토출한다.
상기 냉기는 상기 전면 상방으로 토출되므로, 상기 냉기가 하강하려는 성질에도 불구하고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유닛 쿨러(120)와 인접한 농산물이 과도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닛 쿨러(120)와 멀리 떨어진 농산물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110) 내부의 상기 농산물이 균일하게 냉각되어 일정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순환 팬(130)은 유닛 쿨러(120)들 사이에 배치되며, 순환 팬(130)이 작동함에 따라 유닛 쿨러(120)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닛 쿨러(120)의 정면 영역과 양측 측면 영역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류 조절 팬(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유닛 쿨러(120)의 후방 하단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기류 조절 팬(140)은 유닛 쿨러(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벽의 하단에 구비된다.
기류 조절 팬(140)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닛 쿨러(120)의 후방을 향해 토출한다. 구체적으로, 기류 조절 팬(140)은 전면에 상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가지며, 상면에 상기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갖는다.
기류 조절 팬(140)은 상기 전면의 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를 흡입하므로, 기류 조절 팬(140)이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힘에 의해 유닛 쿨러(120)에서 상기 전방을 향해 토출된 냉기가 전면 측벽을 따라 하강한 후 원활하게 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기류 조절 팬(140)은 상기 상면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공기를 토출하므로, 상기 공기가 유닛 쿨러(120)의 후방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유닛 쿨러(120)의 후방으로 공급된 공기는 유닛 쿨러(120)의 증발기(124)에서 냉각된 후 팬(122)에 의해 상기 전방으로 다시 토출된다.
그러므로, 상기 기류 조절 팬(140)은 유닛 쿨러(120)에서 토출된 냉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를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한다. 이때, 유닛 쿨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기류조절 팬(140)에서 흡입하는 힘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냉각되므로, 상기 농산물의 온도 편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닛 쿨러(120)의 팬(122)으로 인한 공기 흐름에 따라 기류 조절 팬(140)이 공기를 더 흡입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10)을 빠르게 냉각하는 예냉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배기 팬(150) 및 흡기 도어(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기 팬(150) 및 흡기 도어(160)는 각각 하우징(110)의 측벽에 단수 혹은 복수로 구비된다. 이때, 배기 팬(150) 및 흡기 도어(160)는 하우징(110)의 측벽들 중에서 동일한 측벽에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 팬(150)은 평소에는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를 배기가 필요한 경우, 배기 팬(150)이 개방되면서 작동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한다. 배기 팬(150)은 전동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배기 팬(150)의 작동으로 인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면,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이 감소한다. 흡기 도어(160)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개방된 흡기 도어(16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배기 팬(150)의 작동이 정지되어 상기 내부 공기의 배기가 중단되고, 상기 개방된 흡기 도어(160)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과 같아지면, 흡기 도어(160)는 다시 차단된다.
따라서, 배기 팬(1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흡기 도어(160)의 동작까지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를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상기 공기의 공급을 통해 하우징(110)에 저장된 농산물을 예비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저장고는 유닛 쿨러에서 토출된 냉기를 균일하고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산물 저장고에 저장되는 농산물을 균일한 품질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산물 저장고는 빠른 냉각, 즉, 예냉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농산물 저장고 110 : 하우징
120 : 유닛 쿨러 130 : 순환 팬
140 : 기류 조절 팬 150 : 배기 팬
160 : 흡기 도어

Claims (3)

  1.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면 일측에, 전면에는 팬이, 후면에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는 유닛 쿨러;
    상기 유닛 쿨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유닛 쿨러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순환 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유닛 쿨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벽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닛 쿨러의 후방을 향해 토출하는 기류 조절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팬; 및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배기 팬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흡기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쿨러는 상기 전면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닛 쿨러는 상기 전면 상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저장고.
KR1020150031214A 2015-03-05 2015-03-05 농산물 저장고 KR101718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214A KR101718204B1 (ko) 2015-03-05 2015-03-05 농산물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214A KR101718204B1 (ko) 2015-03-05 2015-03-05 농산물 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837A true KR20160107837A (ko) 2016-09-19
KR101718204B1 KR101718204B1 (ko) 2017-03-20

Family

ID=5710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214A KR101718204B1 (ko) 2015-03-05 2015-03-05 농산물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6983A (ja) * 2020-01-28 202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242A (ko) 2019-08-20 2021-03-03 황보기만 양액을 분무하는 농산물 저장방법 및 그 저장고
CN111207477A (zh) * 2020-01-08 2020-05-29 王景花 一种建筑节能通风装置及其通风方法
KR102603480B1 (ko) 2022-07-07 2023-11-17 강민아 저온저장고용 절전형 기능성 도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536A (ja) * 1997-12-26 1999-07-13 Takenaka Komuten Co Ltd 空調構造
KR20060079855A (ko) * 2005-01-03 2006-07-07 임헌북 환기장치
KR20130035047A (ko) * 2011-09-29 2013-04-08 김종언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536A (ja) * 1997-12-26 1999-07-13 Takenaka Komuten Co Ltd 空調構造
KR20060079855A (ko) * 2005-01-03 2006-07-07 임헌북 환기장치
KR20130035047A (ko) * 2011-09-29 2013-04-08 김종언 천장형 다목적 과실 숙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6983A (ja) * 2020-01-28 202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204B1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204B1 (ko) 농산물 저장고
JP4452215B2 (ja) 冷却システム
CA2366622A1 (en) Device for controlling cooling air supply of refrigerator
KR100951628B1 (ko) 농산물 저장창고
JP6821954B2 (ja) ショーケース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8066503A (ja) データセンター
CN104424701A (zh) 自动售货机
KR20180033002A (ko) 냉온풍을 이용한 식품 건조장치
CN107339746B (zh) 用于辅助空调制冷的装置和方法、空调
KR101635448B1 (ko) 서버랙
JP2009085538A (ja) 冷蔵庫
KR100487317B1 (ko) 직냉식 냉장고
JP5782701B2 (ja) 植物栽培装置
JP5322411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5914801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200404738Y1 (ko) 항온 항습기의 토출장치
JP2009085545A (ja) 冷蔵庫
KR100232103B1 (ko) 쇼케이스
JP2005077008A (ja) 冷蔵庫
KR102348017B1 (ko) 과냉각 저장고
US109210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airflow control in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CN218380036U (zh) 一种冷藏箱
KR20030065943A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JP2020153531A (ja) ラウンド型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