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020A -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020A
KR20080099020A KR1020070044595A KR20070044595A KR20080099020A KR 20080099020 A KR20080099020 A KR 20080099020A KR 1020070044595 A KR1020070044595 A KR 1020070044595A KR 20070044595 A KR20070044595 A KR 20070044595A KR 20080099020 A KR20080099020 A KR 20080099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same
sesamum indicum
sesame oil
mi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화
Original Assignee
정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화 filed Critical 정영화
Priority to KR102007004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020A/ko
Publication of KR2008009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깨 천연오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이로운 참깨 오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참깨 고유의 냄새를 억제하면서도 많은 양의 오일을 체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척하여 미열로서 50℃~70℃도 이하로 하여 흡입식 통풍건조 방식으로 2~3시간을 건조시킴으로서 향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제거하고, 압착기를 이용하여 80℃~90℃ 사이에서 기름을 축출하여 7~10일 정도 상온에서 숙성 침전시키고 나머지 잔향과 찌꺼기를 침전시켜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함으로 구성되는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깨, 천연오일, 기름

Description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sesame natural oi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참깨 천연오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 특히 피부에 이롭다고 한방에서 알려진 참깨 천연오일을 피부에 바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공지된 착유의 공정방법은 전처리공정<열처리공정<착유공정<여과공정<냉각공정<포장공정 등으로 분리되어 이를 통하여 볶음으로 수분함량을 줄이고 향을 높여 기름을 많이 짜기 위한 조건을 만드는 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은 참깨오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바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깨는 수분함량이 5%이상이 되면 기름추출이 어렵고 생성량이 대폭줄어 들기 때문에 뽁아 기름을 착유하였다. 그러나 뽁는 과정에서 열을 가하게 되면 깨특유의 구수하고 진한 향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특유의 향 때문에 오히려 피부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깨기름을 피부외부에 바르는 것이 부담스러운 실정에 있다.
이에 인체의 외부에 참깨 기름이 적용되는 기술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10-2006-7001449는 코 점막의 국소요법을 위한 무독성 점막(粘膜)의 살균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50 중량%내지 91 중량%의 이소프로필 알코올, 45 중량%을 초과하지 않는 참깨오일, 약 2 중량%의 레몬오일, 약 5 내지 10 중량%의 알로에와 선택 가능한 성분으로 클로루헥시딘 글루콘산염 (CHLORHEXIDINE GLUCONATE)과 자몽씨(GRAPEFRUIT SEED) 추출물의 성분을 가진다. 상기 성분들과 함께 참깨오일을 첨가하고 알코올의 탈수효과로 중화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겨 구성되는 것이다.
출원번호 10-2000-0003539는 들깨기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반응 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혈액내 지방과 혈압의 강하, 혈소판 응집과 혈전 형성의 억제, 시력 및 학습능력의 강화(뇌신경계기능의 강화), 알러지 반응의 억제, 항암 효과를 가지는 ω-3계(系) 지방산인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들깨기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반응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기름을 피부에 접목하여 사용하는 기술은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외부 피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기름의 착유량을 줄이지 아니하고도 냄새를 최대한 제거하면서 착유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공정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열처리과정에서 참깨를 고온으로 볶지 않고 기술적으로 건조시켜 기름의 착유량이 줄어들지 않고도 냄새를 억제한 참깨 오일의 생산방법 및 오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참깨를 고온에서 볶지 않고 기술적으로 건조시키므로 인하여 생성될 수 있는 냄새를 최대한 1차로 억제하고, 추출시에도 냄새의 발생을 2차로 억제한 후, 상온에서 일정기간 숙성시킴으로 나머지 잔향을 3차로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문헌 또는 기타 자료에 언급된 참깨 영양성분 및 효능을 살펴보면, 고소한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을뿐 만 아니라 어느 식품에도 뒤지지 않은 훌륭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고소한 맛과 향기는 오직 우리나라만이 참깨를 적당히 볶아서 기름짜는 식습관을 옛날 선조로부터 이어받아 왔으나 중국, 일본은 호마유(胡麻油)라 하여 생참깨 채로 기름을 짜서 이용하고 있다. 참깨는 식물 분류학상 참깨과에 속하며, 영명은 sesame이고 한명은 호마(胡麻)이다. 참깨는 자실(子實)의 빛깔에 따라 흰깨(白胡麻), 누런깨(黃胡麻), 검정깨(黑胡麻)로 구별하고 있다. 특히 검정깨는 흑임자(黑荏子)라고 부르며, 영양 강장재료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의 언급하고 있는 참깨의 효능은 벌레나 독충에 물렸을때 참깨나 검정깨를 씹어 그 부위에 발라주면 좋고, 속이 쓰리고 위가 아플 경우 찻숟갈로 참기름을 1스푼정도 마시면 효력이 있고 아픔이 계속되면 1스푼 더 마시면 설사가 시작되면서 아픔이 멎게 된다. 또한 검정깨 기름과 마른 뽕잎을 같이 달인후 찌거기를 버리고 즙을 조석으로 머리의 피부에 발라주면 발모에 좋고 백발이 검어지는데 효염이 있고, 뜨거운 불이나 물에 데인곳에 명주를 태운 잿가루에 참기름을 개어서 발라주면 세살이 나옴과 함께 흉터가 없어지는데 도움이 된다. 타박상의 종기에도 참깨를 십어 발라주면 상처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버짐과 주근깨가 많은 사람의 경우 참깨기름과 달걀 흰자위를 개어서 버짐이나 주근깨 부위에 자주 발라주면 매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인체 특히 피부에도 이로운 참깨 오일을 착유량을 줄이지 않고도 피부에 바르기 좋도록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공정처리 과정은 세척<건조<착유<숙성,침전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세척과정
전처리공정에서는 일반 시중에서 구입한 참깨의 이물을 걸러내는 정선 석발의 과정으로 걸러낸 곡물을 통상적인 곡물세척기에 세척하는 과정이다.
2)건조과정
깨끗하게 세척시킨 참깨를 건조처리공정 과정으로 50~70℃도의 미열로 흡입식 통풍건조 방식으로 2~3시간을 건조처리함으로서 참기름 특유의 강한 냄새생성을 억제 하여 건조시킴으로 수분함량을 줄인다. 여기에 있어 70℃를 초과하면 깨의 독특한 향의 발생이 높아지고, 50℃미만이 되면 착유시 오일의 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3)착유과정
본 발명의 착유공정에서는 미열로 건조시킨 참깨를 80℃~90℃ 사이에서 통상의 압착기 또는 엑스폐러기계로 기름을 축출한다. 종래의 참깨기름착유에 있어서는 고열로 뽁아 착유하게 되는데 이유는 수분함량을 줄여 기름의 생산량을 늘림과 동시에 특유의 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건조과정을 거처 향을 억제하면서도 기름의 생성을 최대한 늘이기 위해 1차적으로 적정한 저온으로 건조하고 2차로 저온으로 축출함으로 이를 해결한 것이다. 여기에서 80℃미만의 온도로 착유를 하게 되면 그 착유되는 량이 본 발명의 착유온도에서의 평균착유량과 비교하여 30%이하로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90℃를 초과하면 냄새의 발생이 관능적으로 느낄 수 있을 만큼 높아지게 된다.
4)숙성과정
상기 과정을 통하여 축출된 기름을 7~10일 정도 상온에서 숙성시킴과 동시에 침전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숙성과정에서 미량이나마 발생한 잔향이 자연스럽게 제향 되고, 미세한 찌꺼기 및 이물질들을 침전시킨 후, 이를 분리하여 채집하면 참기름의 고유한 냄새가 제거되면서도 축출된 량이 줄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오일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체 및 피부에 이로움이 알려진 참깨오일을 제공함에 있어 피부에도 부담없이 바를 수 있도록 참깨기름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함으로 인하여 편리하게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쉽게 바를 수 있게 되어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여 줌과 동시에 착유에 있어서도 착유량이 줄어들지 않음으로 생산자에게도 도움을 줄수 있는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2)

  1. 참깨오일을 세척, 가열 가압 하여 방법에 있어서,
    세척된 참깨를 50~70℃도의 미열로 흡입식 통풍건조 방식으로 2~3시간을 건조하는 건조과정;
    상기 건조시킨 참깨를 80℃~90℃ 사이에서 통상의 압착기 또는 엑스폐러기계로 기름을 축출하는 착유과정;
    상기 착유과정을 통하여 축출된 기름을 7~10일 상온에서 숙성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침전시켜 침전물을 제거하여 맑은 오일만을 분리하는 숙성과정을 포함하는 참깨 천연오일 제조방법.
  2. 참깨오일을 세척, 가열 가압 하여 생성되는 참깨 오일에 있어서,
    세척된 참깨를 50℃~70℃도의 미열로 흡입식 통풍건조 방식으로 2~3시간을 건조한 후, 80℃~90℃ 사이에서 통상의 압착기 또는 엑스페러기계로 기름을 축출하고 축출된 오일을 7~10일 상온에서 숙성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침전시켜 침전물을 제거한 후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참깨 천연오일
KR1020070044595A 2007-05-08 2007-05-08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9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95A KR20080099020A (ko) 2007-05-08 2007-05-08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95A KR20080099020A (ko) 2007-05-08 2007-05-08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20A true KR20080099020A (ko) 2008-11-12

Family

ID=4028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595A KR20080099020A (ko) 2007-05-08 2007-05-08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0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23B1 (ko) * 2013-04-12 2014-05-15 (주)청양식품 생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74566A (ko) 2022-06-21 2023-12-28 청학에프엔씨 주식회사 컬러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023B1 (ko) * 2013-04-12 2014-05-15 (주)청양식품 생들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74566A (ko) 2022-06-21 2023-12-28 청학에프엔씨 주식회사 컬러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3429B (zh) 免精炼天然茶籽油的生产方法
KR101197606B1 (ko) 마늘 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CN103349314A (zh) 金线莲丰水梨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834964B1 (ko) 쌍화차용 한약재 분말이 첨가된 유자청의 제조방법
CN103637344A (zh) 玫瑰饮料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CN105285603A (zh) 一种火龙果饮料
CN105146653A (zh) 一种辣木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087152A (zh) 芝麻油超临界萃取工艺
KR20080099020A (ko) 참깨 천연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1812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CN105146654A (zh) 一种辣木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853897B1 (ko) 장김치 제조 방법
KR20200068116A (ko) 까마중과 며느리배꼽을 함유한 술의 제조방법
KR101795681B1 (ko) 서리태를 이용한 천연 영양된장의 제조방법
KR2015006864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의 특이냄새제거제 및 제조방법
KR101494419B1 (ko) 흑석류 음료 제조 방법
KR101901641B1 (ko)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CN108308472B (zh) 洋葱山楂功能性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952631B1 (ko)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간고등어 제조 방법
KR20160042832A (ko) 황칠 추출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액 조성물
KR101184914B1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생선, 간고등어
CN105831520A (zh) 一种有助于睡眠的蜗牛卵保健饮品的生产方法
KR20170043071A (ko) 부들(Typha orientalis)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