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641B1 -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641B1
KR101901641B1 KR1020180097329A KR20180097329A KR101901641B1 KR 101901641 B1 KR101901641 B1 KR 101901641B1 KR 1020180097329 A KR1020180097329 A KR 1020180097329A KR 20180097329 A KR20180097329 A KR 20180097329A KR 101901641 B1 KR101901641 B1 KR 10190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juice
weight
parts
tange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173A (ko
Inventor
이강대
Original Assignee
이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대 filed Critical 이강대
Priority to KR102018009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6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자와 레몬 및 영귤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The Hair Growth Treatment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탱자와 레몬 및 영귤에서 채취한 즙을 배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태양광선에서 오는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추위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며 신체에 불필요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하는 일차적인 역할 외에도 외모의 미용적인 기준으로서 중요도가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 탈모는 유전적인 원인에 의한 것도 있으나 호르몬 조절의 잘못에 의한 경우도 많으며, 특히 현대 산업사회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환경적인 요인과 바쁜 일과 및 기계적인 생활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등도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탈모는 외관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남녀를 불문하고 많은 신경을 쓰고 있으며, 따라서 발모제로서 미녹시딜 등 많은 발모촉진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약은 화합물의 합성물질이므로 피부 등이 예민한 사람들에게는 피부트러블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천연물질을 주재료로 한 발모제 조성물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0526호는 두메부추의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6523호는 솔잎. 미역, 콩 및 산초의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 발모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76603호는 각종 한방약재를 알코올이 함유된 용매에 침지시켜 오랜 시간에 걸쳐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3∼6개월 동안 숙성시켜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유효성분의 추출과정을 거침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숙성과정까지 거치게 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또 제조에 시일을 많이 소요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처럼 천연물질을 주재료로 하더라도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거나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염가로 신속하게 발모제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과제는
6월 25일∼7월 5일 사이의 열매인 미숙 탱자 열매를 채취하는 단계;
8월 20일∼8월 31일 사이의 열매인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미숙 탱자 열매의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미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4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미숙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는 단계;
상기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1∼2 시간 햇볕에 말려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이어 물기가 제거된 완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완숙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는 단계;
영귤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영귤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7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짜낸 영귤 열매즙을 보관하는 단계;
레몬을 깨끗하게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레몬 착즙기에 통째로 넣고 즙을 짜낸 후 이와 같이 짜낸 레몬즙을 보관하는 단계;
상기 미숙 탱자 열매즙 100 중량부와 상기 완숙 탱자 열매즙 200 중량부, 상기 영귤 열매즙 10 중량부 및 상기 레몬 즙 5 중량부를 잘 혼합한 후 90∼150℃로 10∼20분 끓인 후 이어 50∼70℃로 10∼20분 가열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과일로부터 즙을 채취하여 제조한 것이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이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제조공정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므로 염가로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발모촉진제 관련 약을 대체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 발모제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의 두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2 : 본 발명 발모제 조성물을 45일간 바른 후의 두발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본 발명은 탱자와 영귤 및 레몬으로부터 즙을 채취한 후 이들 즙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탱자로부터 즙을 채취한다. 탱자는 귤처럼 둥글게 생긴 과일로서 9월에 노랗게 익는다.
탱자는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귀한 약재로 대접받았으며, 특히 가려움증 등을 해소해 주는 피부 진정 효과가 있어 염증 치료에도 쓰이고 있다.
또 탱자에는 헤스페리딘이 많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C 역시 풍부해 피부 노화 방지와 미백, 보습효과가 있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6월 25일∼7월 5일 사이의 아직 덜 익은 열매(이하, ‘미숙 탱자 열매’라 함)와 8월 20일∼8월 31일 사이의 잘 익은 열매(이하, ‘완숙 탱자 열매’라 함)를 각각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6월 25일∼7월 5일 사이에 채취한 미숙(未熟) 탱자 열매는 아직 충분히 익기 전이므로 색깔은 초록색이고 신맛이 강하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상기 미숙 탱자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켰다.
이어 상기와 같이 절단되어 건조된 미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4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gel)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즙 즉, ‘미숙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였다.
한편, 8월 20일∼8월 31일 사이에 채취한 열매 즉, 완숙(完熟) 탱자 열매는 잘 익었으므로 색깔은 노란색이고 단맛이 강하며, 신맛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1∼2 시간 햇볕에 말려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어 물기가 제거된 상기 완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gel)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즙 즉,‘완숙 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였다.
영귤(瀛橘)은 서양의 레몬이나 라임과 같이 산이 풍부하고 향이 독특한 향산 감귤의 일종이다.
영귤은 식물분류학적으로 운향과(芸香科) 감귤속 후생감귤아속(後生柑橘亞屬)에 속한다. 영귤의 원산지는 일본으로서 스다치(酢橘/スダチ )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초 일부 독농가가 일본으로부터 도입하여 제주도에서 재배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영귤의 크기는 직경이 40mm내외로서 탁구공 크기의 작은 원형이고 무게는 35g내외이며 과피는 2mm 내외로 얇다. 전체 중량의 65%는 과육이고 껍질과 씨는 각각 30%와 5%이며, 즙을 짜면 전체 무게의 30% 전후가 나온다.
영귤은 서양의 레몬이나 라임과 같이 산이 풍부하고 향이 독특한 ‘향산감귤의 일종으로 비타민 C와 A, 구연산 등 필수 영양성분과 플라보노이드, 헤스페리딘 등 항산화 화합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비타민과 무기질과 같은 조절소(regulative substance) 함량이 많아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에 속한다. 반면에 열량은 감, 딸기, 바나나, 포도에 비해 낮은 저 열량 식품이다.
본 발명에서는 영귤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켰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영귤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7회 갈아 겔(gel)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즙을 짜내어 이와 같이 짜낸 ‘영귤 열매즙’을 보관하였다.
레몬은 운향과에 속하며, 비교적 시원하고 기후의 변화가 없는 곳에서 자라고 히말라야가 원산지이다. 비타민 C의 함량이 많고 산미가 강하며 특이한 향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피부건강, 피로회복, 감기예방, 두통 또는 요도염에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레몬즙은 시트르산이 많아 산성을 띠고, 단맛이 적고 강한 신맛이 나며, pH가 2∼3이다. 레몬의 과즙, 껍질, 과육 모두 식용으로 사용된다. 나아가 레몬의 과피에서는 레몬유를 짜서 음료, 향수 및 레모네이드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과즙은 음료, 식초,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며 과자를 만들 때에도 사용되며, 과즙에 설탕을 넣어 조려서 젤리를 만들거나 여기에 과육을 섞어 마멀레이드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몬을 깨끗하게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레몬 착즙기에 통째로 넣고 즙을 짜낸 후 이와 같이 첫 번째 짜낸 레몬즙을 보관하였다.
이어 상기 미숙 탱자 열매즙 100 중량부와 상기 완숙 탱자 열매즙 200 중량부, 상기 영귤 열매즙 10 중량부 및 상기 레몬 즙 5 중량부를 잘 혼합한 후 90∼150℃로 10∼20분 끓인 후 이어 50∼70℃로 열을 낮추고 10∼20분 가열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발모제 조성물은
6월 25일∼7월 5일 사이의 열매인 미숙 탱자 열매를 채취하는 단계;
8월 20일∼8월 31일 사이의 열매인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미숙 탱자 열매의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미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4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미숙탱자 열매의 즙을 짜내어 보관하는 단계;
상기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1∼2 시간 햇볕에 말려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이어 상기 물기가 제거된 완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gel)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완숙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는 단계;
영귤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영귤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7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짜낸 영귤 열매즙을 보관하는 단계;
레몬을 깨끗하게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레몬 착즙기에 통째로 넣고 즙을 짜낸 후 이와 같이 짜낸 레몬즙을 보관하는 단계;
상기 미숙 탱자 열매즙 100 중량부와 상기 완숙 탱자 열매즙 200 중량부, 상기 영귤 열매즙 10 중량부 및 상기 레몬 즙 5 중량부를 잘 혼합한 후 90∼150℃로 10∼20분 끓인 후 이어 50∼70℃로 10∼20분 가열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 발모제 조성물을 스프레이 용기에 넣고 탈모된 부위에 분무한 후 가볍게 맛사지하거나 브러시 등으로 상기 발모제이 뿌려진 부위를 살살 두드려주면 발모제 조성물이 두피 내부로 골고루 흡수되므로 더욱 빨리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시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이 거의 없는 사람에게 본 발명 발모제 조성물을 매일 저녁에 분무시킨 후 가볍게 맛사지를 하거나 브러시로 가볍게 두드려주도록 하였다.
45일 후의 사진을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카락이 많이 난 것을 본 발명 발모제 조성물을 바른 후 1개월 반 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새로 생긴 머리카락이 머리 위에 견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

  1. 6월 25일∼7월 5일 사이의 열매인 미숙 탱자 열매를 채취하는 단계;
    8월 20일∼8월 31일 사이의 열매인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미숙 탱자 열매의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미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4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미숙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는 단계;
    상기 완숙 탱자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1∼2 시간 햇볕에 말려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이어 물기가 제거된 완숙탱자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6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압착하여 완숙탱자 열매 즙을 짜내어 보관하는 단계;
    영귤 열매를 채취한 후 꼭지를 따고 3∼5회 세척한 후 씨를 포함하여 폭 2∼10mm로 절단한 후 20∼30시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건조된 영귤 열매 100 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4∼7회 갈아 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가로 및 세로의 구멍이 각각 0.1∼1mm로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삼베 천으로 싼 후 짜낸 영귤 열매즙을 보관하는 단계;
    레몬을 깨끗하게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레몬 착즙기에 통째로 넣고 즙을 짜낸 후 이와 같이 짜낸 레몬즙을 보관하는 단계;
    상기 미숙 탱자 열매즙 100 중량부와 상기 완숙 탱자 열매즙 200 중량부, 상기 영귤 열매즙 10 중량부 및 상기 레몬 즙 5 중량부를 잘 혼합한 후 90∼150℃로 10∼20분 끓인 후 이어 50∼70℃로 10∼20분 가열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80097329A 2018-08-21 2018-08-21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0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29A KR101901641B1 (ko) 2018-08-21 2018-08-21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29A KR101901641B1 (ko) 2018-08-21 2018-08-21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503A Division KR101916842B1 (ko) 2016-12-22 2016-12-22 발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173A KR20180097173A (ko) 2018-08-30
KR101901641B1 true KR101901641B1 (ko) 2018-09-28

Family

ID=6345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29A KR101901641B1 (ko) 2018-08-21 2018-08-21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0253B (zh) * 2019-05-28 2021-07-06 时磊 一种天然植物降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115A (ja) 2000-09-20 2002-04-02 Ken Suzawa 育毛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115A (ja) 2000-09-20 2002-04-02 Ken Suzawa 育毛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173A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02715B (zh) 一种油茶籽冷榨制油工艺
CN107099413A (zh) 一种砀山梨酒的制备方法
CN104357284B (zh) 一种红树莓玫瑰花果酒的制作方法
CN103393187A (zh) 一种金桔果汁的加工方法
CN103589558B (zh) 一种复合型果酒的酿造方法
KR101901641B1 (ko) 발모제 조성물 제조방법
CN105285603A (zh) 一种火龙果饮料
CN101467752A (zh) 鲜甘蔗汁系列天然饮料及其制法
CN102100381A (zh) 枣蔬汁及其制法
KR101711251B1 (ko) 레몬 과즙 및 과육을 이용한 레몬 과일티 제조 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0401473B1 (ko) 삼백초와 어성초를 이용한 발효음료 제조방법
CN107048398B (zh) 牡丹花在同时制作牡丹花露和牡丹花酱中的应用及方法
KR101916842B1 (ko) 발모제 조성물
CN108541852A (zh) 一种山楂汁饮料及其加工工艺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CN104726302B (zh) 一种柿子果酒及其制备方法
CN109953297B (zh) 一种全果柠檬干果及柠檬陈皮的制备方法
CN106434166A (zh) 莲雾果酒的制备方法
CN106675942A (zh) 荔枝酒的制备方法
KR101674658B1 (ko) 석류 엑기스 제조방법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2289B1 (ko) 자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베이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474B1 (ko) 과일 청을 이용한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50004B1 (ko)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