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750B1 -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50B1
KR100394750B1 KR10-2002-0009620A KR20020009620A KR100394750B1 KR 100394750 B1 KR100394750 B1 KR 100394750B1 KR 20020009620 A KR20020009620 A KR 20020009620A KR 100394750 B1 KR100394750 B1 KR 10039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eawater
aqueous solution
wood vinega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929A (ko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filed Critical 김상섭
Priority to KR10-2002-000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7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은 해수에 목초액을 소정 비율로 투입하여 활성 처리 수용액을 생성하고, 이 활성 처리 수용액에 건조 가공을 위해 채취된 생김을 소정시간 침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에 의하면, 채취된 생김의 변질 및 부패를 억제시키고 세포의 활성화를 통한 신선도를 유지시킴으로서, 품질 유지를 위한 가공과정에 대한 시간적 제약이 완화되고, 인체에 이로운 다종의 성분이 생김에 흡수될 수 있어 김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해수의 순환이 필요 없어 김 가공공장의 입지조건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키고, 해수 순환 설비가 필요 없어 설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부패 억제로 인한 생산 수율이 증가된다.

Description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Method of processing picked laver}
본 발명은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채취된 생김의 변질을 억제시키고 활성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처리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오랜 기간 동안 이용해온 식품 중 하나로서 단백질의 함유량이 많고, 섬유소나 비타민 A로 변환되는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된 해조류이다. 이러한 김은 얇은 쉬트 형태로 건조되어 유통되고 있다.
건조 김의 가공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양식 과정을 거쳐 생육된 생김을 채취하고, 채취된 생김을 해수가 저수된 해수 탱크 내에 넣고 일정시간 예컨대 6시간 정도 교반 한다. 이후, 생김을 절단 및 육수로 세척 한 후, 일정 크기의 망사형 건조판에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
이러한 김 가공공정에서, 채취된 생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고 부패진행속도를 억제시키기 위해 해수가 저수된 해수 탱크 내에 채취된 생김을 넣고 일정시간 교반한다. 그러나, 생김은 채취된 이후 생육장소 와는 다른 환경, 즉, 온도, 수류와 같은 물리적요인, 염분농도, 유기물 함량과 같은 화학적 요인 및 조류,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과 같은 생물적 요인의 변동에 의해 서서히 변질 및 부패가 진행된다. 이러한 생김의 변질 및 부패의 진행은 채취된 생김을 건조하기까지의 공정중에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건조 공정을 거쳐 생성된 건조 김은 생김의 채취시 보다 색깔, 맛,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채취된 생김의 변질을 억제시키고 품질이 좋은 건조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 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 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1000배 희석된 활성처리 수용액에 김을 침지 시킨 침지액을 일부 추출하여 30시간 경과 후 찍은 사진이고,
도 2b는 활성처리 수용액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김 침지액을 일부 추출하여 30시간 경과 후 찍은 사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은 해수에 목초액을 소정 비율로 투입하여 활성 처리 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 처리 수용액에 건조 가공을 위해 채취된 생김을 소정시간 침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초액은 대나무를 탄화시켜 발생된 연기를 포집하여 생성된 죽초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적단계를 거친 생김을 육수에 담가 소정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생김을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생김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르게는, 생김을 절단한 다음 육수로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목초액은 정제시켜 산도(PH) 3 내지 4 정도인 것이 적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도 3.5정도인 목초액이 적용된다.
상기 해수 대 목초액의 혼합 체적 비율은 1000 대 1 내지 2000 대 1 정도인 것이 적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 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 도이다.
먼저, 활성 처리 수용액을 생성한다(단계 100).
활성 처리 수용액은 목초액을 해수에 소정비율로 희석시켜 생성한다. 여기서 목초액은 참나무와 같은 목재를 탄화로에서 태워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초기에 발생하는 연기를 포집/냉각시켜 생성된 산성 액체를 말하고, 대나무를 탄화시켜 얻어지는 죽초액도 포함한다. 이러한 목초액은 약 280여 종류 이상의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유기물이 약 10 내지 20%, 그 밖은 알콜류, 페놀류, 베스텔유, 알데히르류등의 중성물질이 대부분이다. 목초액의 유기물중의 대표적인 성분은 산유로서 50%정도 이고, 산중에 초산이 많기 때문에 목초액이라 불리운다. 목초액은 탄화과정에서 수집된 액체를 장시간 예컨대 6개월 이상 정치하여 두면 경질유가 함유된 상층, 중간층 및 타르와 수지를 함유한 하층의 3개의 층으로 분리되고,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목초액은 이중 중간층에 있는 황갈색의 정제 목초액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정제된 목초액은 유해성 성분은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거의 없고, 유기산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칼슘과 같은 미네랄 성분과 비타민B1, B2와 같은 비타민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산은 인체 내에 투입되면 대사과정이나 면역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정제된 목초액을 해수에 약 1000 내지 2000배로 희석하여 활성처리 수용액을 생성한다.
이러한 활성처리 수용액에 채취된 생김을 소정 시간 침적시킨다(단계 110).
해수가 저수된 해수 탱크에 채취된 생김을 넣은 뒤 앞서 설명된 해수와 목초액과의 혼합 비율에 대응되는 양의 목초액을 해수에 투여하여 활성처리 수용액을 생성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활성처리 수용액에 채취된 생김을 소정 시간, 예컨대 6시간 이상 침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12시간 정도 침적시킨다.
활성 처리 수용액에 의해 처리된 생김은 통상의 후처리 공정을 거쳐 건조김으로 제조된다.
즉, 활성처리 수용액으로 처리된 생김을 육수 즉 담수에 세척 및 일정시간 동안 담가 숙성시킨다(단계 120). 숙성과정에서도 정제된 목초액을 육수에 1000대 1 내지 2000대 1정도로 희석되게 투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생김을 절단하여 발장과 같은 건조대에 일정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단계 140).
또 다르게는 생김을 절단한 다음 육수로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가공처리공정에서 적용된 목초액은 강력한 흡착력을 갖고 해독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공 처리된 건조 김은 독성이 혈중으로 역류되는 현상을 막고 독소가 인체 내에 무해화 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해독성분도 갖게되어 김의 효능을 한층 향상시킨다.
또한, 목초액은 강력한 살균력에 의해 생김에 부착되거나 해수 또는 담수상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을 제거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146Hz의 물분자의 크기가 목초액이 투입되면 53Hz로 물분자의 크기를 적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해수 또는 담수의 산소 용존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생김의 세포가 활성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변질 및 부패를 억제시킨다. 또한, 생김의 생육과정 및 채취 후의 공해인자 및 스트레스등으로 인해 생김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산소는 독소가 되어 세포기능을 마비시키게 되는데, 목초액은 이러한 유해산소를 제거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지닌 SOD(Super Oxide Dismutase) 효소를 생성한다.
채취된 생김을 활성처리 수용액에 처리한 경우 세균의 번식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된 1000배 희석된 활성처리 수용액에 채취된 생김을 담근후 그 수용액을 소정량 추출하여 30시간 정도 경과한 후 찍은 사진이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활성처리 수용액에 의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종래 방식대로 해수에 채취된 생김을 넣은 다음 그 용액을 소정량 추출하여 30시간 정도 경과한 후 찍은 사진이 도 2b에 도시되어 있고, 그램당 약 23000개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국립 목포대학교 식품산업 기술 연구센터에 의뢰하여 확인 받은 바 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활성처리 수용액에 생김을 소정 시간 담가 처리하게 되면 살균에 의해 생김의 변질 및 부패가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제된 목초액의 각종 이로운 성분이 채취된 생김의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목초액이 생김에 흡수되어 빛깔이 좋고 효능이 훨씬 뛰어난 건조김을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채취된 생김에 대해 활성 처리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방식이 설명되었고, 김 생육과정에서도 병원균 또는 김생육에 유해한 세균의 번식 억제 및 제거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에 의하면, 채취된 생김의 변질 및 부패를 억제시키고 세포의 활성화를 통한 신선도를 유지시킴으로서, 품질 유지를 위한 가공과정에 대한 시간적 제약이 완화된다. 또한, 해수의 순환이 필요 없어 김 가공공장의 입지조건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키고, 해수 순환 설비가 필요 없어 설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부패 억제로 인한 생산 수율이 증가된다.

Claims (7)

  1. 가. 해수에 목초액을 투입하여 활성 처리 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와;
    나. 상기 활성 처리 수용액에 건조 가공을 위해 채취된 생김을 침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은 대나무를 탄화시켜 발생된 연기를 포집하여 생성된 죽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다. 상기 침적단계를 거친 생김을 육수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
    라.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생김을 절단하는 단계; 및
    마. 절단된 생김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은 산도 3 내지 4 인 것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대 목초액의 혼합 체적 비율은 1000 대 1 내지 2000 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공정은 6 시간 내지 12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7. 채취된 생김을 해수가 담긴 탱크에 침적시키는 단계;와
    목초액을 상기 해수가 담긴 탱크에 투입하여 활성처리수용액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KR10-2002-0009620A 2002-02-22 2002-02-22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KR10039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620A KR100394750B1 (ko) 2002-02-22 2002-02-22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620A KR100394750B1 (ko) 2002-02-22 2002-02-22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29A KR20020020929A (ko) 2002-03-16
KR100394750B1 true KR100394750B1 (ko) 2003-08-14

Family

ID=1971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620A KR100394750B1 (ko) 2002-02-22 2002-02-22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63B1 (ko) * 2002-08-21 2004-12-08 서영수 김양식용 산처리제의 조성물
KR20040035327A (ko) * 2002-10-22 2004-04-29 김효성 목초액과 숯을 사용한 청정김 제조방법
KR20040037517A (ko) * 2002-10-29 2004-05-07 김효성 사과 포도 매실의 혼합 발효액과 그것을 이용한 김의제조방법
KR100849059B1 (ko) * 2005-12-16 2008-07-30 안동식 김국용 초사리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929A (ko) 200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4942B (zh) 一种降低烟草梗丝中的木质素含量的方法
KR101374496B1 (ko) 고압처리장치를 이용한 선어의 신선도 유지방법, 및 그에 의하여 생산되는 가공 선어
KR101559543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자반생선의 제조방법
CN109673899A (zh) 一种醋蛋多肽饮料的制备方法
CN113854352A (zh) 一种延长方竹鲜笋保鲜期的方法
KR20100123304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창란젓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창란젓갈
KR100394750B1 (ko) 채취 생김의 가공 처리방법
CN107351209A (zh) 一种木材防虫处理方法
CN111280406A (zh) 一种高原特色咸鸭蛋腌制工艺
KR100768335B1 (ko) 함초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증대된 함초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35488A (ko) 생선 저장 방법 및 생선 저장 용기
KR102293285B1 (ko) 연어 그라브락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연어 그라브락스
CN102499281A (zh) 一种刺苦草根状茎褐变抑制剂的制备及其使用方法
JP5715286B1 (ja) 無塩梅干しの製造方法
CN106616619A (zh) 一种橘子罐头的制备方法
CN101044871B (zh) 乌毛蕨罐藏保鲜的方法
JP2009118805A (ja) ウメ又はアンズの処理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加工品
CN110122556A (zh) 一种鲜切蒲菜抑菌涂膜低温的保鲜方法
KR20200106628A (ko) 스모크향을 함유한 스팀 반건조 오징어 제조방법
KR102615389B1 (ko) 키토산 고등어 제조 방법
CN107865288A (zh) 一种复合食品防腐剂及其制备方法
KR102647759B1 (ko) 건강 약주 제조방법
CN114209024B (zh) 一种速成便捷咸蛋肠的加工方法
CN114600951A (zh) 一种无硫化生物保鲜剂及其用途
KR20040106952A (ko) 천연 훈연액을 함유한 굴비의 가공방법 및 가공굴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