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759B1 - 건강 약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약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59B1
KR102647759B1 KR1020210071563A KR20210071563A KR102647759B1 KR 102647759 B1 KR102647759 B1 KR 102647759B1 KR 1020210071563 A KR1020210071563 A KR 1020210071563A KR 20210071563 A KR20210071563 A KR 20210071563A KR 102647759 B1 KR102647759 B1 KR 10264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geumhwagyu
liquor
leave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552A (ko
Inventor
정상섭
유현수
Original Assignee
고려주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주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고려주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1007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7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0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norganic add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12H1/1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건강 약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 면역력 강화 및 피부 미용 개선을 위한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숙취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미를 증숙하여 상온으로 식히는 증숙단계; 상기 증숙된 백미 20~40중량%, 누룩 18~20 중량% 및 물 150 중량%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아 담금을 수행하는 담금단계; 상기 담금된 약주를 압착 여과한 후 살균을 실시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이 이루어진 약주를 5℃ 이하의 온도로 30일 이하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저온 숙성단계; 상기 숙성된 약주에 저온 추출방식으로 추출된 액상의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는 금화규 추출물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 약주 제조방법{Functional health medicinal liquor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건강 약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 성분의 보존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콜라겐 성분의 인체 흡수율이 개선될 수 있는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원료와 제법에 따라, 탁주, 약주, 속성주, 가향주, 혼양주 등 많은 종류가 존재하며, 그중에서도 가향주는 순곡주의 재료와 각종 약초, 초근목피 등 가향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그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작명되어 불리워진다.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그 경위나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약주, 소주, 혼양주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주류로 막걸리, 농주, 가주라고도 불리우며, 감미, 산미, 신미, 고미, 삽미 등의 오미가 고루 조화된 알콜농도가 2~8%의 술로서 특유의 지미와 청량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곡류와 누룩으로 빚어 발효 후 걸러낸 술로서 원료나 방법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니며, 생 효모가 함유되어 있어 다른 종류의 술에 비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고, 미생물에 의한 효소작용으로 원료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당분, 아미노산, 유기산 등을 지니고 있으며, 전기 성분에 의한 맛, 향기, 색 등의 조화에 의하여 다양한 주 질로서 제조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우리의 전통주인 약주는 저장성, 유통의 제한성, 음용 후 숙취, 냄새 등으로 인하여 그 소비추세가 다른 술에 비하여 저조한 상태이며, 이로 인하여 우리 전통주의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0165호(2012.10.05.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79764호(2013.06.2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약주 제조과정에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 하는 가운데 숙취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콜라겐 건강약주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건강약주 제조방법은, 백미를 증숙하여 상온으로 식히는 증숙단계; 상기 증숙된 백미 20~40중량%, 누룩 18~20 중량% 및 물 150 중량%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아 담금을 수행하는 담금단계; 상기 담금된 약주를 압착 여과한 후 살균을 실시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이 이루어진 약주를 5℃ 이하의 온도로 30일 이하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저온 숙성단계; 상기 숙성된 약주에 저온 추출방식으로 추출된 액상의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는 금화규 추출물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강약주 제조방법은, 인체 면역력 강화 및 피부 미용 개선을 위한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숙취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저온 추출 방식에 의해 추출된 금화규 추출물이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콜라겐 성분의 인체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약주 제조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세라믹 용기 단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콜라겐 기능성 건강 약주 제조과정을 도 1의 순서도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증숙단계>
먼저, 백미를 증숙하여 상온으로 식히는 증숙단계를 실시한다.
즉, 이때 상온으로 식히는 방법은 바람이 잘 통하는 자연상태의 그늘에서 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금단계>
이후, 증숙이 이루어진 상기 백미 20~40중량%에 누룩 18~20 중량%, 물 150 중량%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아 일정 시간동안 담금을 수행하는 담금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누룩은 전통 누룩 및 개량 누룩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누룩은 전통 누룩 및 개량 누룩을 1:1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전통 누룩 및 개량 누룩은 시중에서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물은 맑고 깨끗한 냉수로서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식힌 곡물(백미) 및 누룩을 섞은 후에 용기에 담는다. 이후, 물과 함께 혼합하여 담금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기는 발효조로써, 스테인리스로 제조된 발효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담금공정은 22 내지 24℃의 온도로 7 내지 10일 동안 발효를 진행할 수 있다.
<살균단계>
상기 담금단계를 통해 산출된 담금액인 약주를 압착 여과한 후 가열 살균을 실시하는 살균단계를 수행한다.
이때에는 약주를 100℃ 고온에서 5~10시간 동안 가열을 실시하되, 가열조 내에 구형상으로 성형 제작된 담체입자와 함께 약주를 투입한 상태에서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의 담체입자는 제오라이트 60~80중량%, 규조토 10~30중량%, 벤토나이트 10~20중량%의 비율의 혼합 성분을 이룸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담체입자와 함께 가열이 이루어지게 되면 약주에 부유되는 미세 이물질이 담체입자에 흡착됨과 함께 박테리아에 대한 멸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저온 숙성단계>
상기 살균이 이루어진 약주는 5℃ 이하의 온도로 30일 이하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저온 숙성단계가 실시된다.
이러한 저온 숙성을 통하여 최종 약주 제품이 쉽게 변질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유통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주의 맛과 향, 그리고 빛깔을 좋게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금화규 추출물 첨가단계>
이후, 상기 숙성된 약주에 저온 추출방식으로 추출된 액상의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는 금화규 추출물 첨가단계가 실시된다.
이때 첨가되는 금화규 추출물은, 금화규잎을 주재료로 하여 마늘잎 및 양파잎 재료가 함께 추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정 크기로 절단된 금화규잎 60~80중량%에 마늘잎 10~30중량% 및 양파잎 10~20중량%를 혼합 후, 침지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36.5℃의 온도로 5~10시간동안 저온 가열을 통해 추출이 이루어지며,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물의 발효 활성화를 위한 매실 효소액이 1~5중량% 혼합된 상태에서 약주에 첨가되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추출과정에서는 금화규잎을 미세망에 투입하여 추출이 이루어지되, 사용되는 침지액은 광천수 40~60중량%, 아염소산염 20~40중량%, 수산화칼슘 10~30중량%, 규산소다 1~10중량%, 곤약분말 1~10중량%, 사과산 1~1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합 조성을 이루는 침지액은, 아염소산염 및 수산화칼슘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과일 재료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며, 규산소다는 강염기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광천수 성분의 변질을 방지하고, 곤약분말은 마늘잎 및 양파잎 표면에 미세한 코팅층을 형성하여 영양소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과산은 아염소산염 성분을 활성화 시키는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건강약주는, 인체 면역력 강화 및 피부 미용 개선을 위한 약리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숙취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저온 추출 방식에 의해 추출된 금화규 추출물이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콜라겐 성분의 인체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금화규 추출물 첨가단계에서 절단된 금화규잎, 마늘잎 및 양파잎은 침지액에 침지되기 전에 절단된 재료를 세라믹 용기(10)에 담아서 진공챔버 내에 투입 후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특히, 세라믹 용기(10) 저부에서 바이브레이터(30)를 이용한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 용기(10) 내표면에는 재료의 신선도를 유지시킴과 함께 세라믹 용기의 변색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보호 코팅층(11)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보호 코팅층(11)은 염화비닐수지 30~40중량%, 프로필 파라벤 20~40중량%, 폴리불화비닐리덴 10~3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10중량%, 페녹시 폴리머 1~10중량%, 디메치콘 1~5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 약주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면, 추출을 위해 절단된 금화규잎을 포함하는 재료가 세라믹 용기(10) 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30)에 의한 미세 진동이 전달됨과 함께 스팀 노즐(20)을 통한 고온 스팀 분사가 이루어짐으로써 각 재료의 성분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이후 단계에서의 저온 추출 효율이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고온 스팀 및 진동으로 인하여 재료 물질 내의 액기스 성분이 물질 표면에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저온 상태에서도 보다 신속한 성분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용기(10)에 코팅된 코팅층(11)에는 프로필 파라벤 및 폴리불화비닐리덴이 혼합된 조성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재료 접촉에 따른 변질 및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으며, 소듐하이드록사이드는 염화비닐수지의 촉매 작용을 통한 코팅층의 탄력성을 유지시키고, 페녹시 폴리머 및 디메치콘은 각각 코팅층(11)의 내구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진동력 전달에 따른 코팅층의 크랙 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건강 약주 제조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세라믹 용기 11 : 보호 코팅층
20 : 스팀노즐 30 : 바이브레이터

Claims (5)

  1. 백미를 증숙하여 상온으로 식히는 증숙단계;
    상기 증숙된 백미 20~40중량%, 누룩 18~20 중량% 및 물 150 중량%를 혼합한 후 용기에 담아 담금을 수행하는 담금단계;
    상기 담금된 약주를 압착 여과한 후 살균을 실시하는 살균단계;
    상기 살균이 이루어진 약주를 5℃ 이하의 온도로 30일 이하 동안 저온 숙성시키는 저온 숙성단계;
    상기 숙성된 약주에 저온 추출방식으로 추출된 액상의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되, 첨가되는 금화규 추출물은 금화규잎을 주재료로 하여 마늘잎 및 양파잎 재료가 함께 추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정 크기로 절단된 금화규잎, 마늘잎 및 양파잎을 침지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36.5℃의 온도로 5~10시간동안 저온 가열을 통해 추출이 이루어지며,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물의 발효 활성화를 위한 매실 효소액이 1~5중량% 혼합된 상태에서 첨가가 이루어지는 금화규 추출물 첨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약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단계에서는 약주를 100℃ 고온에서 5~10시간 동안 가열을 실시하되, 가열조 내에 구형상으로 성형 제작된 담체입자와 함께 약주를 투입한 상태에서 고온 가열이 이루어지되, 상기 담체입자는 제오라이트, 규조토, 벤토나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약주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과정에서는 금화규잎을 미세망에 투입하여 추출이 이루어지되, 사용되는 침지액은 광천수, 아염소산염, 수산화칼슘, 규산소다, 사과산, 곤약분말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약주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금화규잎, 마늘잎 및 양파잎은 침지액에 침지되기 전에 절단된 재료를 세라믹 용기(10)에 담아서 진공챔버 내에 투입 후 고온의 스팀을 분사함과 함께 세라믹 용기(10) 저부에서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처리단계가 추가로 실시되며, 상기 세라믹 용기(10) 내표면에는 재료의 신선도를 유지시킴과 함께 세라믹 용기의 변색 및 산화 방지를 위한 보호 코팅층(11)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보호 코팅층(11)은 염화비닐수지, 프로필 파라벤, 폴리불화비닐리덴,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페녹시 폴리머, 디메치콘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약주 제조방법.
KR1020210071563A 2021-06-02 2021-06-02 건강 약주 제조방법 KR102647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563A KR102647759B1 (ko) 2021-06-02 2021-06-02 건강 약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563A KR102647759B1 (ko) 2021-06-02 2021-06-02 건강 약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552A KR20220163552A (ko) 2022-12-12
KR102647759B1 true KR102647759B1 (ko) 2024-03-21

Family

ID=8439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563A KR102647759B1 (ko) 2021-06-02 2021-06-02 건강 약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7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507B2 (ja) * 1987-01-06 1996-09-11 株式会社資生堂 改質固体材料
KR101190165B1 (ko) 2009-05-22 2012-10-12 (주)우리술 울금을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9764B1 (ko) 2010-11-08 2013-07-04 김동교 백련잎과 백련꽃을 이용한 탁주와 약주의 제조방법
KR20130090720A (ko) * 2012-02-06 2013-08-14 윤봉금 콜라겐 기능성 막걸리 등 주류
KR101783469B1 (ko) * 2015-09-07 2017-09-29 청양포포나무농장영농조합법인 금화규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552A (ko)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331B1 (ko) 흑마늘 식초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식초음료
KR100750789B1 (ko) 흑삼정과(黑蔘正果)제조방법
CN111621386A (zh) 一种桑葚酒酿造工艺
KR101898300B1 (ko) 천연자원 기능성 물질의 발효숙성액을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금
KR20090117527A (ko) 대추 탁주 제조방법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KR20070100074A (ko) 곶감의 제조방법
CN102018089B (zh) 一种西瓜皮蜜饯的制作方法
CN104997096A (zh) 鸡矢藤酸汤饮料及其制备方法
CN1807569A (zh) 一种老陈醋料酒及制造方法
KR100998329B1 (ko) 냄새를 없앤 마늘과 솔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및 그제조방법
KR20160114287A (ko) 발효 생강차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47759B1 (ko) 건강 약주 제조방법
KR100768335B1 (ko) 함초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증대된 함초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68974B1 (ko) 감 발효주의 제조방법
KR100839790B1 (ko) 유정란과 당화액이 함유된 혼합식초 제조방법
TWI432144B (zh) 諾麗果除異味方法
KR20000004199A (ko) 약용식물을 주재로한 건강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건강발효식품
KR102243834B1 (ko) 부추된장의 제조방법
KR101476807B1 (ko) 초정광천수를 이용한 건강기능성이 향상된 막걸리 및 그 제조 방법
CN107410632A (zh) 一种三华李发酵果脯的生产方法
KR101334518B1 (ko) 다래 또는 오디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발효 조미액 및 이를 이용한 조미방법
KR100962178B1 (ko) 과일액이 첨가된 훈제계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훈제계란
KR101733700B1 (ko) 천연 발효식품 제조방법
CN111304038A (zh) 一种柿子复合果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