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920A -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920A
KR20200056920A KR1020190140614A KR20190140614A KR20200056920A KR 20200056920 A KR20200056920 A KR 20200056920A KR 1020190140614 A KR1020190140614 A KR 1020190140614A KR 20190140614 A KR20190140614 A KR 20190140614A KR 20200056920 A KR20200056920 A KR 20200056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shooting
timer
item
count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유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939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9Recording in, or reproducing from, a specific memory area or areas, or 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 H04N1/2133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e.g. time interval or time-lap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5/23245
    • H04N5/2329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전자기기는,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중에 카운트다운용의 제1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중에 카운트다운용의 제2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 카운트다운 중의 동작 통지를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셀프 타이머를 사용한 촬영을 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 단말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 2004-282399호 공보에는, 휴대전화기의 배면측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한 셀프 타이머 촬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 셀프 타이머의 개시를 키 조작으로 지시하면, LED가 점멸을 시작한다. 그리고, 촬영의 3초전에, LED가 점멸 속도를 더 빠르게 시작하여, 피촬영자에게 곧 촬영이 행해지는 것을 알린다. 그것과 함께, 3초전에, 휴대전화기의 배면측에 탑재되어 있는 서브 표시부가 카운트다운 표시를 행함으로써, 피촬영자가 실제 촬영이 행해질 때까지 몇초가 남아 있는지 알게 된다.
일본국 특개 2015-40972호 공보에는, 인물 촬영을 행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닌, 암소용의 동작 모드에서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경우에, 발광에 의한 셀프 타이머의 동작 통지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주변환경에의 악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과제는,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인지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인지를 유저가 인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정지화상 촬영을 행할 것인지 동화상 촬영을 행할 것인지를 이해하지 못한 채 시간을 써버리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동화상의 촬영을 개시할 의도로 셀프 타이머 촬영 지시를 할 때, 유저가 잘못해서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를 행하고, 이 잘못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카운트다운중에 시간을 써버릴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후에 실제 촬영이 행해질 때에만, 동화상 촬영 대신에, 정지화상의 촬영의 잘못을 알아차리게 된다. 이것은,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시간을 쓸데없이 써버리고, 조작을 다시 해서 의도한 촬영을 행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국 특개 2004-282399호 공보와 일본국 특개 2015-40972호 공보에서는, 이 과제에 대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행해질 예정인 촬영의 종별을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전자기기와, 이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내용은 독립항에 따라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과는 다른 표시 형태의 아이템이며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는,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6은,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7a 내지 도7c는, 촬영 대기 화면의 일례다.
도8a 내지 도8c는,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다.
도9a 내지 도9c는,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의 일례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전자기기와 표시 제어장치)의 외관도이다. 도1a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배면사시도이며, 도1b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방면 사시도다. 표시부(28)는 화상과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재다. 촬영 모드 다이얼(60)은 복수의 촬영 모드 중 한 개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재(전환부재)이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의 ON/OFF를 전환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다. 커넥터(112)는, 퍼스널컴퓨터와 프린터 등의 외부기기와 디지털 카메라(100)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케이블(111)과 디지털 카메라(100) 사이의 커넥터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및 터치패널 등의 조작부재로 이루어진 조작부다. 4방향 키(73)는, 조작부(70)의 일부이며, 상하 좌우의 한 개의 방향으로 누름 가능한 방향 지시부재(상부 키, 하부 키, 좌측 키 또는 우측 키를 누름 가능하다)이다. 재생 버튼(74)은, 조작부(70)의 일부이며, 재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다. 전원 OFF의 상태에서 재생 버튼(74)이 눌러지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재생 모드에서 기동하고, 어느 한개의 촬영 모드에서 재생 버튼(74)이 눌러지면, 재생 모드가 개시된다. 동화상 버튼(76)은, 조작부(70)의 일부이며, 동화상 촬영의 개시 지시를 행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다. 기록매체(200)는 메모리 카드와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다. 기록매체 슬롯(201)은 기록매체(200)를 격납하기 위한 슬롯이다. 기록매체 슬롯(201)에 격납된 기록매체(200)는, 디지털 카메라(100)과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기록매체(200)에의 화상의 기록이나, 기록매체(200)에 기록된 화상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덮개(202)는 기록매체 슬롯(201)의 덮개이다. 도1a는, 덮개(202)를 열고 슬롯(201)으로부터 기록매체(200)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발광부(140)는 발광 다이오드(LED) 등이고, 소정의 발광/비발광의 패턴을 사용하여 카메라 전방면측에 존재하는 피사체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 촬영의 개시)를 통지한다. 발광부(140)는 피사체측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카메라 전방면(피사체측, 촬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92)는 부저음 등을 울리는 것에 의해 피사체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 촬영의 개시)를 통지한다. 표시부(28)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본체부에 대한 위치를 변경가능한 배리 앵글(vari-angle) 모니터부에 배치되어 있다. 배리 앵글 모니터부는 연결부(미도시)를 거쳐 디지털 카메라(100)에 연결되어 있다. 배리 앵글 모니터부는, 표시부(28)의 표시면이 카메라 배면측을 향하는 표준 위치(도1a의 위치)와, 표시부(28)의 표시면이 피사체측(촬영 방향측)을 향하는 대면 위치(도1b의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한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촬영 렌즈(103)은 줌렌즈와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다. 셔터(101)는 조리개 기능을 구비한 셔터다. 촬상부(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 CMOS 등으로 구성되는 촬상소자다. A/D 변환기(2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배리어(102)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렌즈(103)를 포함하는 촬상계를 덮어, 촬영 렌즈(103), 셔터(101) 및 촬상부(22)를 포함하는 촬상계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한다.
화상처리부(24)는, A/D 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화소보간, 리사이즈 처리(축소)와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4)에 의해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가 노광 제어와 측거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스루-더-렌즈(TTL) 방식의 오토 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 처리 및 전자 플래시 프리발광(EF)처리가 행해진다. 화상처리부(24)는 또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TTL방식의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를 행한다.
A/D 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거쳐, 또는, 직접 메모리 제어부(15)를 거쳐 메모리(32)에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얻어지고 A/D 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28)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메모리(32)는, 소정 매수의 정지화상과 소정 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격납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D/A 변환기(13)는,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는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이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28)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13)를 거쳐 표시부(28)에 표시된다. 표시부(28)는, 표시기(예를 들어, LCD) 위에, D/A 변환기(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A/D 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메모리(32)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D/A 변환기(1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표시부(28)에 순차 전송해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전자 뷰 파인더의 기능이 실현되고, 스루 화상 표시(라이브 뷰(LV)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라이브 뷰 표시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을 "LV 화상"으로 칭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기록매체인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EEPROM이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상수, 프로그램 등이 기록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로그램은, 본 실시형태에서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또는 회로를 갖는 제어부이며,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예를 들면, RAM이 사용된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상수 및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이 전개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 변환기(13), 표시부(28) 등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과,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측정부다. 촬영 모드 다이얼(60), 셔터 버튼(61), 전원 스위치(72)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셔터 버튼(61)은, 제1셔터 스위치(62)와 제2셔터 스위치(64)를 구비한다.
촬영 모드 다이얼(60)은,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정지화상 촬영 모드, 플러스 무비 모드 및 동화상 촬영 모드 중 한 개로 전환한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는,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매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 모드),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 모드) 및 프로그램 AE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정지화상 촬영 모드는,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인 각종 씬 모드 및 커스텀 모드를 포함한다. 촬영 모드 다이얼(60)이 지시하는 위치에 따라,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매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 모드),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 모드), 프로그램 AE 모드, 씬 모드, 커스텀 모드, 동화상 촬영 모드 및 플러스 무비 모드의 한 개로 설정된다. 유저는, 촬영 모드 다이얼(60)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촬영 모드 중 한 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 다이얼(60)을 사용하여 씬 모드로 촬영 모드를 전환한 후에, 씬 모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촬영 모드(예를 들면, 셀피(selfie) 모드(셀프 포트레이트 모드), 별빛 하늘 촬영 모드, 키즈 앤드 펫 촬영 모드) 중 한개를 선택해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동화상 촬영 모드는 복수의 모드를 포함해도 된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에, 즉 절반 누름 상태(촬영 준비 지시)에서 ON이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 SW1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1셔터 스위치 신호 SW1에 의해, 오토 포커스(AF)처리, 자동 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전자 플래시 프리발광(EF)처리 등의 동작을 개시한다.
제2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이 완료했을 때, 즉 완전 누름 상태(촬영 지시)에서 ON이 되어, 제2셔터 스위치 신호 SW2를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 SW2에 의해,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매체(200)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개시한다.
조작부(70)의 각 조작부재에는, 표시부(28)에 표시되는 각종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장면마다 기능이 할당됨으로써, 각각의 조작부재가 특정한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은,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되돌림 버튼, 화상 이송 버튼, 점프 버튼, 프리뷰 버튼 및 속성 변경 버튼이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이 눌리면, 각종의 설정가능한 메뉴 화면 명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28)에 표시된 메뉴 화면, 4방향 키(73)와 세트 버튼을 사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80)는, 배터리 검출 회로, DC-DC 컨버터, 통전된 블록을 바꾸는 스위치회로 및 다른 구성요소로 구성되고, 배터리의 장착의 유무, 배터리의 종류 및 배터리 전력의 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80)는, 이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근거하여 DC-DC 컨버터를 제어하여,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동안 기록매체(200)를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에 공급한다. 전원부(30)는, 1차배터리(예를 들어, 알칼리 배터리, 리튬 배터리), 2차배터리(예를 들어, NiCd 배터리, NiMH 배터리, Li 배터리), AC 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매체 I/F(18)는, 기록매체(200)(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하드디스크)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매체(20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54)는, 무선 또는 유선 케이블을 거쳐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54)는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와 인터넷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54)는 촬상부(22)에서 촬상한 화상(스루 화상을 포함한다)과 기록매체(200)에 기록된 화상을 송신가능하고,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 검지부(55)는 중력 방향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를 검지한다. 자세 검지부(55)에서 검지된 자세에 근거하여, 촬상부(22)에서 촬영된 화상이 수평으로 유지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지, 또는 수직으로 유지된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지 판별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지부(55)에서 검지된 자세에 따른 방향 정보를 촬상부(22)에서 촬상된 화상의 화상 파일에 부가하거나, 회전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 검지부(55)로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자세 검지부(55)(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움직임(팬, 틸트, 리프트, 정지 상태)을 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행해지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50)가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디지털 카메라(100)를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 기동하거나, 시스템 제어부(50)가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면, 도 3의 처리가 개시한다.
스텝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의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7a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의 촬영 대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7a의 화면에서는, LV 화상(701)과 아이템 702 내지 704가 표시된다. 아이템 702는, 모드가 정지화상 촬영 모드(매뉴얼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며, 아이템 703은, 정지화상의 촬영 설정(예를 들어, 나머지 촬영 가능 매수, 화질, 셔터 속도)을 나타내는 아이템이다. 아이템 704는, 동화상의 촬영 설정(예를 들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압축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템이다.
스텝 S3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셀프 타이머 설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0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4로 진행한다.
스텝 S3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를 행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스텝 S3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른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05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스텝 S304에서 판정된 설정 조작에 따른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화질, 셔터 속도, 조리개, ISO 감도 등의 설정(변경)을 행한다.
스텝 S3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07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록매체(200)에의 동화상(촬상부(22)로부터 신호를 판독해서 생성한 동화상; 촬영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한다. 스텝 S3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리는 것을 대기한다.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09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록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스텝 S306에서 동화상 버튼(76)의 누름으로부터 스텝 S308에서 동화상 버튼(76)이 다시 눌러질 때까지의 동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파일이 생성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도 동화상 촬영(셀프 타이머 촬영은 아니다)이 행해질 수 있다.
스텝 S3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버튼(61)의 절반 누름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제1셔터 스위치(62)를 ON으로 하여 제1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발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61)의 절반 누름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11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25로 진행한다.
스텝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오토 포커스(AF)처리, 자동 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및 전자 플래시 프리발광(EF)처리 등의 촬영 준비 동작을 개시한다.
스텝 S3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버튼(61)의 완전 누름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셔터 스위치(64)가 ON으로 된 것에 의해 제2셔터 스위치 신호 SW2가 발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61)의 완전 누름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14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버튼(61)의 절반 누름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절반 누름이 해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25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절반 누름이 계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스텝 S312로 진행한다.
스텝 S3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정지화상 촬영 모드의 셀프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15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개시한다.
스텝 S3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에 따른 아이템(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8a는,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시간측정 중)에 표시부(28)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8a의 화면에서는, LV 화상(701) 및 아이템 702, 704, 801 내지 803이 표시된다. 아이템 801은,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며,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표시된다. 아이템 801은 원형이며, 아이템 801에는,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아이템 802는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아이템 803은, 예를 들어,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지고 있으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유저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아이템 801, 아이콘 802의 표시 및 문자열 803의 표시에 의해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아이템 801 내지 803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전(시간측정전)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스텝 S316에서는, 아이템 801이 표시되고, 아이콘 802와 문자열 803은 후술하는 스텝 S319 및 S321에서 표시된다.
스텝 S3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발광부(140)를 점멸시키도록 제어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발광부(140)가 점등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발광부(140)의 점멸에 의해서도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3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 801의 배경(LV 화상(701))의 색조(hue)를 청색에 가깝게 한다. 예를 들면, LV 화상(701)에 반투명의 청색 마스크를 중첩한다. 이에 따라,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 801의 배경(LV 화상(701))이 청색을 띠는 색으로 표시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의 색조가 적색에 가깝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LV 화상(701))의 색조에 의해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3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 802를 표시부(28)에 정적으로 표시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서, 아이콘 802과는 패턴이 다른 아이콘이 동적으로 표시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아이콘 802의 패턴과 정지화상인 아이콘 802에 의해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3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피커(92)를 통해 비프음을 울린다.
스텝 S3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지고,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가 진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803(가이던스)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스텝 S3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가 만료했는지(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이 개시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가 만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2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촬영을 행한다.
스텝 S3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23에서 촬영된 정지화상을 정지화상 파일로서 기록매체(200)에 기록한다.
스텝 S3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 변경 조작(촬영 모드 다이얼(60)의 조작;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26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31로 진행한다.
스텝 S3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25의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동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동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27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28로 진행한다.
스텝 S32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행한다.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3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25의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플러스 무비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플러스 무비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329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조작이 다른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일 경우)에는 스텝 S3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2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행한다.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33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변경후의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따른 설정을 행한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부터 다른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의 변경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촬영 모드(예를 들어,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매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 모드),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 모드), 프로그램 AE 모드, 씬 모드, 커스텀 모드) 사이에서의 변경이다.
스텝 S33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재생 모드 전환 조작(재생 버튼(74)의 누름; 재생 모드로 이행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생 모드 이행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현재 모드를 재생 모드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32로 진행한다.
스텝 S33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가 종료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 OFF를 지시하는 조작(전원 스위치(72)의 누름)이 행해졌을 경우에,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2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행해지는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50)가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디지털 카메라(100)를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 기동하거나, 시스템 제어부(50)가 동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면, 도 4의 처리가 개시한다.
스텝 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촬영 모드의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7b는, 동화상 촬영 모드의 촬영 대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b의 화면에서는, LV 화상(701)과 아이템 712 및 714가 표시된다. 아이템 712는, 모드가 동화상 촬영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며, 아이템 714는, 동화상의 촬영 설정(예를 들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압축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템이다.
스텝 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셀프 타이머 설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0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4로 진행한다.
스텝 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를 행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스텝 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른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05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스텝 S404에서 결정된 설정 조작에 따른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압축 방식 등의 설정(변경)을 행한다.
스텝 S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07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21로 진행한다.
스텝 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동화상 촬영 모드의 셀프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08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8로 진행한다.
스텝 S4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개시한다.
스텝 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에 따른 아이템(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8b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부(28)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b의 화면에는, LV 화상(701), 아이템 712, 714, 811 내지 813이 표시된다. 아이템 811은,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며, 비교적 큰 사이즈(도8a의 아이템 801보다도 큰 사이즈)로 표시된다. 아이템 811은 원형이며, 아이템 811에는,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아이템 812는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아이템 813은, 예를 들어, 동화상 촬영이 행해지고 있으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가 진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유저는, 아이템 811의 비교적 큰 사이즈, 아이콘 812의 표시 및 문자열 813의 표시에 의해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아이템 811 내지 813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스텝 S409에서는, 아이템 811이 표시되어, 아이콘 812와 문자열 813은 후술하는 스텝 S412 및 S414에서 표시된다.
스텝 S4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발광부(140)를 점등(비점멸)시킨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발광부(140)는 점멸하므로, 유저는, 발광부(140)의 점등에 의해서도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4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 811의 배경(LV 화상(701))의 색조를 적색에 가깝게 한다. 예를 들면, LV 화상(701)에 반투명의 적색 마스크를 중첩한다. 이에 따라,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 811의 배경(LV 화상(701))이 적색을 띠는 색으로 표시된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의 색조가 청색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유저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LV 화상(701))의 색조에 의해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4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 812를 표시부(28)에 동적으로 표시한다. 도 8b에서는, 아이콘 812에는 인물 모티프가 그려져 있고, 인물이 댄스하고 있는 것 같이 인물이 움직인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서, 아이콘 812와는 패턴이 다른 아이콘 802가 정적으로 표시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아이콘 812의 패턴과 동화상인 아이콘 812에 의해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4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피커(92)를 거쳐 비프음을 울린다.
스텝 S4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동화상 촬영이 행해지는 것과,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가 진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813(가이던스)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스텝 S4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잔여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이 개시한 후 임계값 시간(설정된 시간-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10초이고 소정 시간이 1초인 경우에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이 개시한 후 9초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잔여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16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9로 진행한다.
스텝 S4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피커(92)를 거쳐 예를 들어 "액션"의 언어음을 발생한다.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도중까지 비프음을 울리고 최후에 "액션" 언어음을 발생함으로써, 인물(피사체)은 동화상의 기록 개시에 맞춰서 적합하게(스무스하게) 움직임을 개시할 수 있다.
스텝 S4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만료하였는지(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이 개시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만료하거나 만료하지 않는 것을 대기한다.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10초인 경우에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이 개시한 후 10초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만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1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록매체(200)에의 동화상(촬상부(22)로부터 신호를 판독해서 생성한 동화상; 촬영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한다. 스텝 S4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동화상 버튼(76)이 눌러지거나 눌러지지 않는 것을 대기한다.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록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셀프 타이머 촬영이 아닌 동화상 촬영인 경우에는, 스텝 S406에서 동화상 버튼(76)이 눌린 후 스텝 S419에서 동화상 버튼(76)이 다시 눌러질 때까지의 동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파일이 생성된다.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인 경우에는,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만료한 후 스텝 S419에서 동화상 버튼(76)이 눌러질 때까지의 동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파일이 생성된다.
스텝 S4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22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25로 진행한다.
스텝 S4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421의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42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플러스 무비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일 경우)는 스텝 S424로 진행한다.
스텝 S4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의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행한다.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스텝 S4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재생 모드 이행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생 모드 이행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재생 모드로 모드를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2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4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 OFF를 지시하는 조작(전원 스위치(72)의 누름)이 행해졌을 경우에,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다.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02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 5는,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행해지는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50)가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디지털 카메라(100)를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 기동하거나, 시스템 제어부(50)가 플러스 무비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면, 도 5의 처리가 개시한다.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는,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매일) 중에 촬영된 각 정지화상에 대해서, 정지화상 촬영전의 소정 시간의 동화상을 촬영하여, 이 동화상과 연결된 동화상 파일을 각 정지화상과 관련시켜 기록한다. 즉,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는, 1개의 동화상에 대해 적어도 1개의 정지화상이 관련된다. 또한,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는,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최초로 정지화상이 촬영될 때에 동화상이 다이제스트 동화상으로서 생성되고, 그 후에는 파일명을 변경하지 않고, 정지화상의 촬영시마다 해당 이 동화상에 촬영전의 소정 시간의 동화상이 추기된다. 파일 용량 혹은 동화상 전체의 시간이 1개의 다이제스트 동화상의 용량 혹은 시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 이러한 추기가 실행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소정의 기간에 1개의 동화상 파일만 기록된다.
스텝 S5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버퍼)에 대한 동화상(촬영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한다. 메모리(32)에 동화상을 기록하는 최장 시간으로서 4초 등의 소정 시간이 설정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을 메모리(32)에 기록하는 시간이 이 최장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하는 시간량만큼, 가장 오래된 프레임으로부터 순서대로 동화상을 삭제한다.
스텝 S5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러스 무비 모드의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7c는, 플러스 무비 모드의 촬영 대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c의 화면에는, LV 화상(701)과 아이템 722 및 724가 표시된다. 아이템 722는, 모드가 플러스 무비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며, 아이템 724는, 동화상의 촬영 설정(예를 들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압축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템이다.
스텝 S5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셀프 타이머 설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04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05로 진행한다.
스텝 S5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를 행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스텝 S5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른 설정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06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07로 진행한다.
스텝 S5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설정(스텝 S505에서 결정된 설정 조작에 따른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화상 촬영에 대해 화질, 셔터 속도, 조리개, ISO 감도 등의 설정(변경)을 행하거나, 동화상 촬영에 대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압축 방식 등의 설정(변경)을 행한다.
스텝 S5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08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11로 진행한다.
스텝 S5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록매체(200)에 대한 동화상(촬상부(22)로부터 신호를 판독해서 생성한 동화상; 다이제스트 동화상이 아닌 촬영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한다. 스텝 S5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동화상 버튼(76)이 눌리거나 눌리지 않는 것을 대기한다. 동화상 버튼(76)이 눌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1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5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동화상의 기록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스텝 S507에서 동화상 버튼(76)이 눌린 후, 스텝 S509로 동화상 버튼(76)이 다시 눌러질 때까지의 동화상에 대응하는 동화상 파일이 생성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도 동화상 촬영(셀프 타이머 촬영과 다이제스트 동화상의 촬영은 아니다)이 행해질 수 있다.
스텝 S5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버튼(61)의 절반 누름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제1셔터 스위치(62)의 ON에 의해 제1셔터 스위치 신호 SW1이 발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61)의 절반 누름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12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27로 진행한다.
스텝 S5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오토 포커스(AF)처리, 자동 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및 전자 플래시 프리발광(EF)처리 등의 촬영 준비 동작을 개시한다.
스텝 S5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셔터 버튼(61)의 완전 누름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은, 제2셔터 스위치(64)의 ON에 의한 제2셔터 스위치 신호 SW2이 발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61)의 완전 누름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15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14로 진행한다.
스텝 S5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셔터 버튼(61)의 절반 누름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절반 누름이 해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27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절반 누름이 계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스텝 S513로 진행한다.
스텝 S5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플러스 무비 모드의 셀프 타이머)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16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24로 진행한다.
스텝 S5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개시한다.
스텝 S5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에 따른 아이템(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8c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부(28)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c의 화면에는, LV 화상(701), 아이템 722, 724, 821 내지 823이 표시된다. 아이템 821은, 플러스 무비 모드의 셀프 타이머 촬영(정지화상과 동화상의 양쪽을 기록하는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표시된다. 아이템 821은 원형이며, 아이템 821에는,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는, 정지화상과 동화상의 양쪽이 기록되지만, 셀프 타이머 촬영의 대상은 정지화상이다.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는, 정지화상 촬영전의 소정 시간의 동화상이 기록되며, 셀프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 동화상의 기록이 개시되지 않는다(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 821의 사이즈가 정지화상 촬영 모드의 그것과 같다. 아이템 822은,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아이템 823은, 플러스 무비 모드의 촬영이 행해지고 있으며, 플러스 무비 모드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가 진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유저는, 아이템 821의 비교적 작은 사이즈, 아이템 822의 표시 및 문자열 823의 표시에 의해 셀프 타이머에 근거하여 정지화상이 촬영될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더구나, 유저는, 아이템 822의 표시와 문자열 823의 표시에 의해 정지화상과 함께 동화상이 기록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아이템 821 내지 823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스텝 S517에서는, 아이템 821이 표시되고, 아이템 822과 문자열 823은 후술하는 스텝 S520 및 S522에서 표시된다.
스텝 S5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발광부(140)을 점멸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유저는, 발광부(140)의 점멸에 의해서도 셀프 타이머에 근거하여 정지화상이 촬영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동화상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발광부(140)을 점등시켜도 된다.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의 발광부(140)의 발광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 및 동화상 촬영 모드와 달라도 된다.
스텝 S5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 821의 배경(LV 화상(701))의 색조를 청색에 가깝게 한다. 따라서, 유저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LV 화상(701))의 색조에 의해 셀프 타이머에 근거하여 정지화상이 촬영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동화상 촬영 모드와 마찬가지로, 배경의 색조를 적색에 가깝게 해도 된다.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의 배경의 색조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 및 동화상 촬영 모드와 달라도 된다.
스텝 S5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아이템 822(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부(28)에 정적으로 표시한다.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양쪽을 정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셀프 타이머에 근거하여 정지화상이 촬영될 것이라는 것과, 정지화상과 함께 동화상이 기록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고,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유저는, 셀프 타이머에 근거하여 정지화상이 촬영될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고,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해도 된다.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적어도 한쪽을 동적으로 표시해도 된다.
스텝 S5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스피커(92)를 통해 비프음을 울린다.
스텝 S5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모드 촬영이 행해진다는 것과, 플러스 무비 모드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가 진행중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열 823(가이던스)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스텝 S5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가 만료하였는지(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이 개시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가 만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24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17로 진행한다.
스텝 S5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촬영을 행한다.
스텝 S5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스텝 S524에서 촬영된 정지화상을 정지화상 파일로서 기록매체(200)에 기록한다.
스텝 S5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메모리(32)(버퍼)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을, 다이제스트 동화상 파일(다이제스트 동화상의 동화상 파일)의 적어도 일부로서 기록매체(200)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소정 기간에 기록된 다이제스트 동화상 파일이 기록매체(20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메모리(32)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을, 신규의 다이제스트 동화상 파일로서 기록매체(200)에 기록한다. 한편, 현재의 소정 기간에 기록된 다이제스트 동화상 파일이 기록매체(200)에 존재할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메모리(32)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을 이 다이제스트 동화상 파일에 연결해서, 동화상을 계속되는 동화상으로서 기록한다.
스텝 S52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28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31로 진행한다.
스텝 S5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스텝 S527의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변경 조작이 정지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529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동화상 촬영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일 경우)에는 스텝 S530로 진행한다.
스텝 S52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도 3의 정지 촬영 모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53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도 4의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53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재생 모드 이행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재생 모드 이행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재생 모드로 모드가 이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32로 진행한다.
스텝 S53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 OFF를 지시하는 조작(전원 스위치(72)의 누름)이 행해졌을 경우에,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다.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03로 처리를 진행한다.
도6은,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행해지는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도 3의 스텝 S303, 도 4의 스텝 S403, 도 5의 스텝 S504)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시스템 제어부(50)이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02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06로 진행한다. 도 3(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의 스텝 S303의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의 경우에, 스텝 S60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9a는,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9a의 화면에는, LV 화상(701)과 아이템 901 내지 904이 표시된다. 아이템 901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예를 들어,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시간과 유효/무효)을 나타내는 문자열(가이던스)이다. 아이템 902 내지 904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의 선택지이다. 선택지 902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10초 동안 유효로 하는 선택지이며, 선택지 903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2초 동안 유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며, 선택지 904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무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다. 유저는, 선택지 902 내지 904 중 한개를 선택해서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선택지 902 내지 904 중 한개를 선택해서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바뀌면,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문자열 901이 변경된다. 소정의 범위(범위: 최대 20초)의 임의의 시간을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시간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허용되어도 된다.
스텝 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처리를 전환한다. 선택지 902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04로 처리를 진행하고, 선택지 903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05로 진행하고, 선택지 904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06로 진행한다.
스텝 S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10초 동안 유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04의 처리에 의해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가 10초 동안 유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01을 변경한다.
스텝 S6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2초 동안 유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05의 처리에 의해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가 2초 동안 유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01을 변경한다.
스텝 S6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를 무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06의 처리에 의해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가 무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01을 변경한다.
스텝 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화상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08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3로 진행한다. 도 4(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의 스텝 S403의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의 경우에는, 스텝 S60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9b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b의 화면에는, LV 화상(701)과 아이템 911 내지 914이 표시된다. 아이템 911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에를 들어,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시간 및 유효/무효)을 나타내는 문자열(가이던스)이다. 아이템 912 내지 914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의 선택지이다. 선택지 912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10초 동안 유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며, 선택지 913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2초 동안 유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며, 선택지 914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무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다. 유저는, 선택지 912 내지 914 중 한개를 선택해서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선택지 912 내지 914 중 한개를 선택해서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바뀌면,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문자열 911이 변경된다. 소정의 범위(범위: 최대 20초)의 임의의 시간을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시간으로서 설정하도록 허용해도 된다.
스텝 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처리를 전환한다. 선택지 912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0로 처리를 진행하고, 선택지 913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1로 진행하고, 선택지 914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2로 진행한다.
스텝 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10초 동안 유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10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10초 동안 유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11을 변경한다.
스텝 S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2초 동안 유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11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2초 동안 유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11을 변경한다.
스텝 S6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를 무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12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동화상 셀프 타이머가 무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11을 변경한다.
스텝 S6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플러스 무비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4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19로 진행한다. 도 5(플러스 무비 모드 처리)의 스텝 S504의 셀프 타이머 설정 처리의 경우에, 스텝 S61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6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9c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c의 화면에는, LV 화상(701)과 아이템 921 내지 924이 표시된다. 아이템 921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예를 들어,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시간과 유효/무효)을 나타내는 문자열(가이던스)이다. 아이템 922 내지 924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의 선택지이다. 선택지 922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10초 동안 유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며, 선택지 923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2초 동안 유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고, 선택지 924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무효로 하기 위한 선택지이다. 유저는, 선택지 922 내지 924 중 한개를 선택해서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선택지 922 내지 924 중 한개를 선택해서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바뀌면,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문자열 921이 변경된다. 소정의 범위(범위: 최대 20초)의 임의의 시간을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시간으로서 설정하는 허용되어도 된다.
스텝 S6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처리를 전환한다. 선택지 922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6로 처리를 진행하고, 선택지 923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7로 진행하고, 선택지 924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8로 진행한다.
스텝 S6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10초 동안 유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16의 처리에 의해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가 10초 동안 유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21을 변경한다.
스텝 S6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2초 동안 유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17의 처리에 의해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가 2초 동안 유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21을 변경한다.
스텝 S6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를 무효로 설정하고, 이 설정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한다. 스텝 S618의 처리에 의해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이 변할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은,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가 무효인 것을 표시하도록 문자열 921을 변경한다.
이렇게,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 동화상 셀프 타이머 및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는 개별로 설정된다. 정지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 동화상 셀프 타이머의 설정, 및 플러스 무비 셀프 타이머의 설정은 서로 독립적으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다.
도9a 내지 9c의 예에서는, 선택지의 수와 선택지의 종류가 동작 모드에 의존하지 않지만, 동작 모드에 따라서 선택지의 수와 선택지의 종류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플러스 무비 모드에서는 3종류의 선택지(10초, 2초, 무효)가 표시되고,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4종류의 선택지(20초, 15초, 10초, 무효)가 표시되어도 된다.
스텝 S6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셀프 타이머 설정 종료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셀프 타이머 설정 종료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20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01로 진행한다.
스텝 S6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은,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도9a 내지 9c의 한 개의 셀프 타이머 설정 화면으로부터 촬영 대기 화면으로의 천이). 정지화상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도7a의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동화상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도 7b의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플러스 무비 모드의 경우에는 도 7c의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표시 형태가 동작 모드에 따라 변경된다. 이에 따라,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유저가 행해질 예정인 촬영의 종별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표시 형태로부터, 셀프 타이머 촬영의 종별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오조작에 의한 의도하지 않는 셀프 타이머 촬영이 행해지는 것을 즉시 알아차릴 수 있고, 의도한 셀프 타이머 촬영이 행해지도록 조작을 신속하게 다시 할 수 있다(의도한 셀프 타이머 촬영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기록할 화상의 어스펙트비에 따라 LV 화상의 어스펙트비를 바꾸어도 된다. 그렇게 하면, 기록되는 화상의 어스펙트비가 복수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다른 경우에, 유저는, LV 화상의 어스펙트비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를 인식할 수 있고, 셀프 타이머 촬영의 종별을 인식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록되는 화상의 어스펙트비가 복수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같을 경우에는, 유저는 셀프 타이머 촬영의 종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표시 형태에 의해, 어스펙트비로 인식하는 것보다도 더욱 확실하게 셀프 타이머 촬영의 종별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 동화상 버튼이 눌러진 후, 설정에 상관없이,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행하지 않고, 즉시 동화상 촬영을 행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 동화상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행해도 된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셔터 버튼(61)이 눌러진 경우에는, 정지화상의 촬영도 동화상의 촬영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행하거나,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행하지 않고 즉시 동화상 촬영을 행해도 된다. 셔터 버튼(61)을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 전용의 조작부재로 간주하여,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셔터 버튼(61)이 눌러진 경우에,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을 행하지 않고, 즉시 정지화상 촬영을 행하거나,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행해도 된다. 동작 모드에 상관없이,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를 받을 때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행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를 받을 때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행해도 된다.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경우에,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표시 형태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 처리와 같은 형태이어도 되고,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표시 형태는 동화상 촬영 모드 처리와 같은 형태이어도 된다.
카운트다운의 진행에 따라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도8a 내지 도8c의 아이템 801, 811, 821)의 색이 변화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1초 경과할 때마다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색이 변화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색은, 셀프 타이머가 만료되기 10초전에 오렌지 색, 9초전에 녹색, 8초전에 오렌지 색으로 변화되어도 된다.
도 3 내지 도 5의 스텝 S317, S410, S518에서 발광부(140)의 발광을 같게 하거나 같게 하지 않아도 된다. 복수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발광부(140)의 점멸 패턴을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발광부(140)이 카운트다운 1초마다 1번 점멸하고,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발광부(140)이 카운트다운 1초마다 2회의 빠른 점멸과, 점멸 기간보다 긴 기간을 갖는 1화의 소등을 반복해도 된다. 복수의 동작 모드 사이에서 발광부(140)의 발광 색을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발광부(140)이 청색으로 점등하고,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발광부(140)이 적색으로 점등한다.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에 따라 점멸의 속도와 발광 색을 변경해도 된다.
도 3 내지 도 5의 스텝 S320, S413 및 S521의 사이에서 비프음을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카운트다운 1초마다 1번 비프음을 울리고,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카운트다운 1초마다, 2회의 빠른 비프음의 출력과, 비프음 출력의 기간보다 긴 기간을 갖는 음 소거(비프음 출력의 정지) 1회 반복한다.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비프음을 울리고,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는 멜로디를 출력해도 된다.
각 동작 모드에 있어서, 표시부(28)(구체적으로는 표시부(28)의 표시면 위에 배치된 터치패널)의 터치나, 촬영 모드 다이얼(60)의 회전에 의해,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을 정지해도 된다. 이에 따라, 오류를 알아차린 유저는 즉시 셀프 타이머 촬영을 정지하고 이 조작을 다시 할 수 있다.
각 동작 모드에서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의 카운트다운 중의 화면은 도8a 내지 도8c에 나타낸 화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a 내지 도10c는,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의 카운트다운 중인 다른 화면 예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10c에 있어서, 도7a 내지 도7c과 같은 표시 요소는 도7a 내지 도7c과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도 10a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드(P 모드)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촬영 모드 아이콘 702a는, 현재의 촬영 모드가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드(P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카운트다운 아이템 1001은,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경과에 따라서 동적으로 감소하는 수치(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도 10a는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때까지 잔여 시간이 8초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수치는 1초마다 갱신되고, 잔여 시간이 7초이면 7이 표시되고, 잔여 시간이 6초이면 6이 표시된다. 셀프 타이머 촬영의 개시 이전에는, 카운트다운 아이템 1001의 표시 영역에, 기록매체(200)의 잔여 용량에서 기록할 수 있는 정지화상의 매수인 나머지 촬영 가능 매수가 표시된다. 메시지(1002)은,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부(28)의 표시면(터치패널의 조작면)을 터치함으로써 셀프 타이머 촬영을 중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통지하는 가이던스다. 표시 아이템 1003, 1004, 1005 및 1006은, 모두 현재의 촬영 설정을 나타내고 있고, 각각 셔터 속도, 조리개 값, 노출 보정 및 ISO 감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b은, 동화상 촬영 모드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촬영 모드 아이콘 712은, 현재의 촬영 모드가 동화상 촬영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카운트다운 아이템 1011은,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경과에 따라 동적으로 감소하는 수치(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도 10b는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때까지 잔여 시간이 8초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치는 1초마다 갱신되고, 잔여 시간이 7초이면 7이 표시되고, 잔여 시간이 6초이면 6이 표시된다. 카운트다운 아이템 1011은, 직경 20mm의 원형의 표시 아이템이며, 오렌지 색으로 채워진 원형의 오브젝트에 백색의 상기 수치를 중첩한 표시 형태를 가진다. 카운트다운 아이템 1011은, 표시부(28)의 수평방향으로 표시면의 중앙을 피하여 표시면의 좌측에, 표시면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표시면의 중앙에 표시된 주요한 피사체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카운트다운의 수치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10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화상 촬영 모드(도 10b)에서는, 카운트다운 아이템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도 10a)의 형태다도 더욱 눈에 띄는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인지 동화상 촬영이 행해질 것인지를 카운트다운 중에 카운트다운 아이템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아이템 1001은,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아이템 1011에 비해, LV 화상(701)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표시된다. 이것은,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경우에는, 유저가 정지화상의 촬영 타이밍에서 구도를 정확하게 설정해야 하므로, 카운트다운 중의 LV 화상의 시인성이 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0초의 셀프 타이머 촬영을 사용하는 전형적인 케이스는, 촬영자를 포함하는 그룹 사진을 촬영하는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에서는,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 중에, 유저를 포함하는 전원이 촬영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촬영 범위 내에 늘어설 필요가 있고,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화면의 좌측 및 우측 단부까지 LV 화상을 시인해야 한다. 이 때문에, 카운트다운 아이템 1001은, LV 화상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표시면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표시되지 않고, 상단에 표시하고 있다. 이것은 그룹 사진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정지화상 촬영에서는, 정지화상 촬영의 타이밍까지 정지 포즈를 결정하기 위해 구도 확인이 보다 중요하므로, LV 화상의 시인성이 중요하다. 또한, 촬영 개시전의 수초 동안 피사체가 정지 포즈를 취하는 케이스가 많아, 촬영 개시의 정확한 타이밍을 아는 것은 엄밀하게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경우에는, 동화상의 촬영 개시후에도 피사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셀프 타이머 중의 구도 확인은 정지화상의 경우에 비해 중요시되지 않는다. 이때 중요한 것은 촬영 범위 내에 피사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피사체가 촬영 개시시에 정지한 포즈를 유지하는 정지화상에 비해, 동화상의 피사체는 촬영을 개시할 때 액션(예를 들어, 움직임, 대화)를 개시해야 한다. 이 때문에, 구도의 확인보다도 촬영 개시의 타이밍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카운트다운 아이템 1011은 눈에 띄도록 하기 위해 크게 표시한다. 같은 이유로, 도 8b의 카운트다운 아이템 811은, 도8a의 카운트다운 아이템 801보다도 크게 표시된다.
도 10c은,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셀피 모드(셀프 포트레이트 모드)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촬영 모드 아이콘 702b은, 현재의 촬영 모드가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셀피 모드(셀프 포트레이트 모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카운트다운 아이템 1021은, 셀프 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의 경과에 따라서 동적으로 감소하는 수치(잔여 시간)을 표시하고, 도 10c는 정지화상 촬영이 행해질 때까지 잔여 시간이 8초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치는 1초마다 갱신되고, 잔여 시간이 7초이면 7이 표시되고, 잔여 시간이 6초이면 6이 표시된다. 그리고, 잔여 시간이 2초가 되면 수치가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카운트다운 아이템 1021은, 직경 18mm의 원형의 표시 아이템이며, 오렌지 색으로 채워진 원형의 오브젝트에 백색의 상기 수치를 중첩한 표시 형태를 가진다. 즉, 카운트다운 아이템 1021은, 카운트다운 아이템 1011보다도 작은 사이즈로 표시된다. 즉, 카운트다운 아이템 1021은, 수평방향으로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중앙을 피하여 표시면의 좌측에, 표시면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표시면의 중앙에 표시된 주요한 피사체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고, 카운트다운의 수치를 확실하게 시인할 수 있다.
이렇게, 셀피 모드의 경우에는,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포함되는 다른 촬영 모드와 달리, 동화상 촬영 모드의 경우보다도 눈에 띄지 않도록 카운트다운 아이템을 표시하지만, 크게 표시한다. 이것은, 셀피 모드에서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을 잡고 촬영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적어도 촬영 전의 수초까지는, 그룹 사진과 같은 케이스만큼 엄밀한 구도 확인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단, 촬영 전의 수초(예를 들면, 2초전)에는, 유저가 표정을 결정하는 것 등의 구도 확인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이 시간 동안에는 카운트다운 아이템 1021을 표시하지 않아, LV 화상(701)을 시인하기 쉽게 한다. 촬영 전의 수초부터 카운트다운 아이템보다도 LV 화상의 시인성에 우선도를 부여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화상 촬영에서는, 동화상 촬영만큼 촬영 개시의 타이밍의 파악이 엄밀하게 요구되지 않기 째문이다. 셀프 타이머 촬영의 설정 시간이 2초 미만일 경우에는, 카운트다운 아이템 1021은 전혀 표시되지 않는다. 셀피 모드가 아니더라도,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 표시된 카운트다운 아이템을, 촬영 개시 전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전)에 삭제하여도 된다. 셀프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에 카운트다운 아이템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는, 촬영 개시 직전의 소정 시간에도, 카운트다운 아이템의 표시를 삭제하지 않고 계속하여도 되고, 설정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이어도 카운트다운 아이템을 표시해도 된다.
다양한 제어가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행해진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전술한 각종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가 행하거나, 복수의 하드웨어(예를 들면, 복수의 프로세서와 회로)이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다양한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구나,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카메라(100)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촬영 및 표시를 제어가능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 PDA, 휴대전화 단말, 휴대형의 화상 뷰어, 프린터 장치,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영상 플레이어 등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TV, 투영장치, 태블릿 단말, 스마트 폰, AI 스피커, 가전 장치, 차량 탑재장치, 의료기기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촬상장치 본체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거쳐 촬상장치(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한다)와 통신하고, 촬상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촬상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예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데스크 탑 PC이다. 제어장치측에서 행해진 조작과 처리에 근거하여, 제어장치가 촬상장치에 각종 동작과 설정을 행하게 하는 코맨드를 통지함으로써, 촬상장치를 원격으로부터 제어가능하다.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한 라이브 뷰 화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거쳐 수신해서 제어장치측에서 표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행해질 예정인 촬영의 종별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25)

  1.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과는 다른 표시 형태의 아이템이며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2.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동화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 한개로 모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부와,
    상기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고 있는,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과는 다른 표시 형태의 아이템이며 상기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고 있는,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3.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중에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고,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것에 따라 상기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중에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고,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에도 이 아이템에 의한 카운트다운이 계속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것에 따라 표시되지 않고, 이 아이템에 의한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이,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에도 계속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보다도 더 큰 사이즈로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과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대해, 셀프 타이머의 시간이 개별적으로 설정 가능한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의 음 출력이,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그것과 다른 전자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는, 카운트다운의 도중까지 비프음을 방출한 후 언어음이 방출되고,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는, 카운트다운의 최후에 언어음이 방출되지 않는 전자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의 색조가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그것과 다르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양쪽을 기록하는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의 배경의 색조가 정지화상 만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그것과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표시에 사용되지 않는 발광부에 의해 행해지는 발광은,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그것과 다른 전자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양쪽을 기록하는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 중에 행해지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은, 정지화상 만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그것과 같은 전자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제1 아이템이 더 표시되고,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서,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제2 아이템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정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동적으로 표시하는 전자기기.
  17. 제 13항에 있어서,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양쪽을 기록하는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양쪽을 기록하는 촬영을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제3 아이템이 더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템은,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양쪽을 기록하는 촬영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이템은, 상기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과 상기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양쪽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동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정지화상 촬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면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는 표시되지 않고, 상기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상기 중앙 부분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셀피 모드의 경우에, 다른 경우보다도 큰 사이즈로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22.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과는 다른 표시 형태의 아이템이며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는,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3. 정지화상 촬영 모드와 동화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 한개로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고 있는,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과는 다른 표시 형태의 아이템이며 상기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 이전에는 표시되지 않고 있는, 동화상의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시간측정중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4.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정지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라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셀프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동화상의 기록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중에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고,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것에 따라 상기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동화상의 촬영 지시에 따른 셀프 타이머의 시간측정중에 셀프 타이머 촬영의 카운트다운용의 아이템이 표시되고, 카운트다운의 잔여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에도 이 아이템에 의한 카운트다운이 계속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5.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90140614A 2018-11-15 2019-11-06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20200056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5002 2018-11-15
JP2018215002A JP7204434B2 (ja) 2018-11-15 2018-11-15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920A true KR20200056920A (ko) 2020-05-25

Family

ID=6906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614A KR20200056920A (ko) 2018-11-15 2019-11-06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44406B2 (ko)
JP (1) JP7204434B2 (ko)
KR (1) KR20200056920A (ko)
CN (1) CN111193863B (ko)
BR (1) BR102019023535A2 (ko)
DE (1) DE102019130585A1 (ko)
GB (1) GB2579909B (ko)
RU (1) RU273327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0698B2 (ja) * 2019-01-11 2023-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538A (en) 1982-12-14 1990-04-17 Canon Kabushiki Kashia Electronic photography system with still and motion picture modes
US5097285A (en) * 1987-06-03 1992-03-17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self-timer
CA2076742A1 (en) 1991-08-30 1993-03-01 Aiwa Co., Ltd. Camera apparatus and an aspect conversion circuit used in the apparatus
JP3117264B2 (ja) * 1992-01-10 2000-12-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JP2001069387A (ja) 1999-08-27 2001-03-16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
JP3501035B2 (ja) 1999-09-16 2004-02-23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7430001B2 (en) * 2002-04-12 2008-09-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their control method
JP2004282399A (ja) 2003-03-14 2004-10-07 Nec Saitama Ltd カウントダウン表示付きセルフタイマー撮影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20080024572A (ko) * 2006-09-14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셀프타이머 카운트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4697289B2 (ja)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5464083B2 (ja) * 2010-07-07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019704A1 (en) 2010-07-26 2012-01-26 Levey Charles I Automatic digital camera photography mode selection
US9485411B2 (en) 2011-10-28 2016-11-01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JP5565433B2 (ja) 2012-04-20 2014-08-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375908B1 (ko) * 2012-07-10 2014-03-18 주식회사 팬택 촬영 타이머 제어 장치 및 방법
JP6319971B2 (ja) 2013-08-21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712756B2 (en) * 2013-08-21 2017-07-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88396B2 (en) 2014-05-30 2016-03-15 Apple Inc. Camera timer
US9641743B2 (en) 2015-03-06 2017-05-02 Sony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imer operations of a camera
US10015400B2 (en) 2015-12-17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an image and associated image capturing method
CN108419036B (zh) * 2018-05-07 2019-08-30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8616696B (zh) * 2018-07-19 2020-04-14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3274C1 (ru) 2020-10-01
GB2579909B (en) 2022-05-25
JP2020085943A (ja) 2020-06-04
GB201916487D0 (en) 2019-12-25
DE102019130585A1 (de) 2020-05-20
US11044406B2 (en) 2021-06-22
JP7204434B2 (ja) 2023-01-16
GB2579909A (en) 2020-07-08
US20200162677A1 (en) 2020-05-21
CN111193863A (zh) 2020-05-22
BR102019023535A2 (pt) 2020-06-02
CN111193863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161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3255203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9080123A (ja) 撮像制御装置
JP2018023046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1435966B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919313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00056920A (ko)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641077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758843B2 (ja) 撮影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16442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9101327A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19259A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502233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071507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05713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8113532A (ja) 撮像装置
JP2018037892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038280A (ja) 通信装置、撮像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212120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1128205A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023048009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2541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4057962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83847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1028681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