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755A - 카메라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카메라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755A
KR20200053755A KR1020180136996A KR20180136996A KR20200053755A KR 20200053755 A KR20200053755 A KR 20200053755A KR 1020180136996 A KR1020180136996 A KR 1020180136996A KR 20180136996 A KR20180136996 A KR 20180136996A KR 20200053755 A KR20200053755 A KR 20200053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n
base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778B1 (ko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778B1/ko
Priority to US17/292,290 priority patent/US11971652B2/en
Priority to EP19881076.4A priority patent/EP3876513A4/en
Priority to JP2021524349A priority patent/JP7397867B2/ja
Priority to PCT/KR2019/014392 priority patent/WO2020096257A1/ko
Priority to CN202310693155.7A priority patent/CN116782006A/zh
Priority to CN201980081648.7A priority patent/CN113243101B/zh
Publication of KR2020005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7
    • H04N5/23296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과,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일측과 결합하는 베이스 핀결합부와, 상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타측과 결합하는 커버 핀결합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을 가이드하는 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제1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핀결합부는 제1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 가이드부는 제1홀과 상기 제1홀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의 중심축 및 상기 커버 핀결합부의 중심축 및 상기 제1홀의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결합 홈의 중심축 또는 상기 제1 홈의 중심축 또는 상기 제2홀의 중심축과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액츄에이터 {Camera Actuator}
실시예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줌 액츄에이터(Zoom Actuator)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 노트북,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근 카메라 모듈의 2배 이상의 고 배율 주밍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 기능을 위해 줌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데, 액츄에이터의 기구적 움직임에 의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찰 토크에 의해 구동력의 감소, 소비전력의 증가 또는 제어특성 저하 등의 기술적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서 복수의 줌 렌즈 군(zoom lens group) 이용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과 복수의 렌즈군들과 이미지 센서와의 얼라인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 기능을 위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찰이 발생되는 영역에서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줌 이동 또는 줌 운동의 반전 시에 렌즈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가 심화되는 기술적 문제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초소형의 컴팩트 카메라 모듈에서는 크기 제한이 있으므로 주밍을 위한 공간 제약이 있게 되어 일반적인 대형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주밍 기능이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높이가 슬림(Slim)해지면서 렌즈 두께의 엄격한 제약이 있다.
한편, 항목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이건 출원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렌즈 틸트(tilt), 렌즈의 중심과 이미지 센서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초소형의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110)와, 상기 베이스(22)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51)과, 상기 베이스(22)와 결합하는 바디(25)와,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커버(21)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51)의 일측과 결합하는 베이스 핀결합부와, 상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51)의 타측과 결합하는 커버 핀결합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을 가이드하는 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제1결합 홈(21h1H)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핀결합부(21h1)는 제1홈(21h1H)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 가이드부는 제1홀과 상기 제1홀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의 중심축 및 상기 커버 핀결합부의 중심축 및 상기 제1홀의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결합 홈의 중심축 또는 상기 제1 홈의 중심축 또는 상기 제2홀의 중심축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핀결합부(21h1)는 제1홈(21h1H)과 상기 제1 홈과 다른 사이즈, 예를 들어 다른 지름의 길이를 가지는 제2홈(21h1W)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홈(21h1H)의 중심(21h1C)은 상기 제2홈의 중심(21h1WC)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홈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제1홈의 사이즈는 상기 커버의 상기 제2홈의 사이즈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사이즈는 지름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제2홈은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핀결합부는 상기 커버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핀결합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제1홈의 광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커버의 상기 제2홈의 광축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상기 커버의 제1핀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바디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110) 및 상기 베이스(22)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핀(51)과 결합되는 베이스 핀결합부(22h3, 22h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22h4)는 제1 결합 홈(22h4H)과 상기 제1결합 홈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제2결합 홈(22h4W)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홈(22h4H) 중심은 상기 제2 결합 홈(22h4W) 중심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결합 홈(22h4H)과 상기 제2결합 홈(22h4W)은 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결합 홈의 사이즈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결합 홈의 사이즈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결합 홈은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결합 홈과 상기 제2 결합 홈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22h3, 22h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결합 홈의 광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결합 홈의 광축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베이스 홈과 제2베이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 홈의 사이즈는 상기 제1돌출부의 사이즈와 대응되고, 상기 제2베이스 홈의 사이즈는 상기 제2돌출부의 사이즈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베이스 홈은 상기 제1 베이스 홈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110) 및 상기 베이스(22)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110)는 렌즈 하우징과 핀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핀(51)이 가이드 되는 제1홀(112h1)과 제1홀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2홀(112p1W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홀의 중심(112h1c)이 상기 제2홀의 중심(112p1WC)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1홀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2홀은 원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1홀의 사이즈는 상기 제2홀의 사이즈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1홀의 광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2홀의 광축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핀 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110) 및 상기 베이스(22)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바디(25)와 상기 바디(25)의 일측에 배치되는 커버(21)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21)는 상기 가이드 핀(51)과 결합되는 핀결합부(21h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결합부(21h1)는 결합 홈(21h1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21h1H) 중심(21h1C)은 상기 핀결합부(21h1) 중심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핀(51)과 결합되는 베이스 핀결합부(22h4)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22h4)는 제4 결합 홈(22h4H)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결합 홈(22h4H) 중심은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22h4) 중심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110)는 렌즈 하우징과 구동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핀 가이드부(112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가이드부(112p1)는 상기 가이드 핀(51)이 가이드 되는 제1 홀(112h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중심(112h1c)이 상기 핀 가이드부(112p1)의 중심(112pWC)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핀 가이드홈(112p3H)을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홈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편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110) 및 상기 베이스(22)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핀 가이드부(112p1)를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부(112p1)는 상기 가이드 핀(51)이 가이드 되는 제1 홀(112h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홀의 중심(112h1c)이 상기 핀 가이드부(112p1)의 중심(112pWC)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핀 가이드홈(112p3H)을 포함하며, 상기 핀 가이드홈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바디(25)와, 상기 바디(25)의 일측에 배치되는 커버(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1)는 상기 가이드 핀(51)과 결합되는 핀결합부(21h1)를 포함하며, 상기 핀결합부(21h1)는 결합 홈(21h1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21h1H) 중심(21h1C)은 상기 핀결합부(21h1) 중심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핀(51)과 결합되는 베이스 핀결합부(22h4)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22h4)는 제4 결합 홈(22h4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결합 홈(22h4H) 중심은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22h4) 중심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 상기 가이드 핀, 상기 커버 핀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핀 가이드부와 상기 핀 가이드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바디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제1 베이스 홈(22ph1)과 제2 베이스 홈(22ph2)을 포함하고, 상기 제2-1홀과 상기 제2-2홀은 상기 바디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2 베이스 홈은 상기 제2 돌출부보다 단면 면적이 넓은 사이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홈은 상기 제1 베이스 홈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는 베이스 유닛(20)과, 상기 베이스 유닛(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110, 120)와, 상기 베이스 유닛(20)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20)은, 바디(25)와, 상기 바디(25)의 일측에 배치되는 커버(21) 및 타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2)가 바디(25)와 커버(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21)는 상기 가이드 핀(50)과 결합되는 제1 핀결합부(21h1)와 제2 핀결합부(21h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결합부(21h1)는 돌출된 제1 외벽(21h1W)과 상기 제1 외벽(21h1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홈(21h1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제1 외벽(21h1W)은 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상기 제1 홈(21h1H)의 중심(21h1C)은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제1 외벽(21h1W)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21h1WC)과 이격되어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는 상기 바디(25)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격 배치되는 제1 훅(hook)(21p1), 제2 훅(21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21h1C)이 상기 커버의 제2 훅(21p2)의 중심을 지나는 제2 y축(y2)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핀결합부(21h1)는 상기 제1 외벽(21h1W)의 상단과 상기 제1 홈(21h1H) 상단 사이에 경사벽(champer)(21h1W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가이드 핀(50)과 결합되는 베이스 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제3 핀결합부(21h3)와 제4 핀결합부(21h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핀결합부(22h4)는 돌출된 제2 결합 홈(21h4W)과 상기 제2 결합 홈(21h4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결합 홈(22h4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제2 결합 홈(21h4W)은 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핀결합부(22h4)에서 상기 제2 결합 홈(21h4W)에 의해 형상되는 원형상의 중심과 상기 제4 결합 홈(22h4H)의 중심이 서로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된 상기 제3 핀결합부(22h3)의 상기 제3 결합 홈(22h3H)의 깊이 또는 상기 제4 핀결합부(22h4)의 상기 제4 결합 홈(22h4H)의 깊이는 상기 커버(21)에 배치된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상기 제1 홈(21h1H)의 깊이 또는 상기 제2 핀결합부(21h2)의 상기 제2 결합 홈(21h2H)의 깊이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된 상기 제3 핀결합부(22h3)의 상기 제3 결합 홈(22h3H)의 깊이 또는 상기 제4 핀결합부(22h4)의 상기 제4 결합 홈(22h4H)의 깊이는 상기 커버(21)에 배치된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상기 제1 홈(21h1H)의 깊이 또는 상기 제2 핀결합부(21h2)의 상기 제2 결합 홈(21h2H)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제1 베이스 홈(22ph1)과 제2 베이스 홈(22ph2)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25)에서 상기 베이스(2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 돌출부 및 제2 결합 돌출부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의 제1 베이스 홈(22ph1)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베이스 홈(22ph2)은 상기 제2 결합 돌출부보다 단면 면적이 넓은 사이즈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110, 120)는 렌즈 하우징과 구동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하우징은 제1 핀 가이드부(112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는 제1 가이드 벽(112p1W)과 상기 제1 가이드 벽(112p1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홀(112h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홀의 중심(112h1c)이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가이드 벽(112p1W)의 중심(112pWC)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110, 120)를 구동하는 제1 구동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제1 코일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상기 제1 코일부(312) 내부에 제1 홀 센서(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 일측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여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추어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현저히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가이드 핀결합부의 중심을 편심 배치하여 렌즈군 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홈의 중심이 제1 외벽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되어 렌즈군 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제1 구동 하우징의 상측 영역에서 제1 핀 가이드부와 제2 핀 가이드부 외의 영역은 제거함으로써 제1 구동 하우징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마찰 저항을 저감함으로써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를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의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하면,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홀 센서를 제1 코일 내부 영역에 배치하여 홀 센서가 차지하는 영역을 줄임으로써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 바디, 커버, 베이스가 제거된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와 제1 구동부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마그넷과 제1 코일부 간의 상호 작용 예시도.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와 가이드 핀의 평면도.
도 6a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2 분해 사시도.
도 6b은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정면도.
도 7a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1 부분 확대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1 부분의 단면도.
도 7c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2 부분의 확대도.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2 부분의 단면도.
도 7e는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2 영역(E2)에 대한 다른 단면도.
도 8a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의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의 제3 부분의 확대도.
도 9a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부분 제4 확대도.
도 9da 내지 도 9dc는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부분 제4 확대도의 단면도.
도 9ea 내지 도 9ec는 도 9da 내지 도 9d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부분 제4 확대도의 정면도.
도 9fa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제5 확대도.
도 9fb는 도 9f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부분 제5 확대도에 대한 단면도.
도 9g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핀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 확대도.
도 10a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액츄에이터의 부분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카메라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Stroke)에 따른 홀 센서(Hall sensor) Linearity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element)의 "상/하" 또는 "위/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하” 또는 “위/아래”는 두 개의 구성이 서로 직접(directly)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이 두 구성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하” 또는 "위/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구성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구성 또는 요소를 다른 구성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나,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서 제1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x-y-z 축 방향에서, z축은 광축(optic axis) 방향 또는 이와 평행방향을 의미하며, xz평면은 지면을 나타내며, x축은 지면(xz평면)에서 z축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지면과 수직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 유닛(20)과, 베이스 유닛(20)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350)과 제1 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20)은 바디(25)와, 바디(25)의 일측에 배치되는 커버(21)와 타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2)가 바디(25)와 커버(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바디(2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25)에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도 3 참조), 제3 렌즈군(130) 등의 각종 광학계들이 배치되고, 광축(z) 방향 방향으로 바디(25)의 제1 일측면은 상기 커버(21)와 결합되며, 타측면은 상기 베이스(2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 방향에 소정의 이미지 센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유리계열의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20)은 이물방지, 잡광차단, 핀 고정, 렌즈 고정을 위해 줌 모듈 전체를 감싸는 마스터 배럴(Master Barrel) 구조로 설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21),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바디(25)와 형상끼워 맞춤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2)는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21)와 형상끼워 맞춤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1), 상기 베이스(22)는 가이드 핀(5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핀(50)은 광축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가이드 핀(51), 제2 가이드 핀(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핀(51)과 상기 제2 가이드 핀(52)의 일단은 상기 커버(21)와 타단은 상기 베이스(22)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21)에는 제3 렌즈군(130)(렌즈는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군(130)은 고정형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디(25) 내측에는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디(25)의 바닥면에는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20)가 이동하는 바닥 홈(미도시)이 광축(z)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홈은 렌즈의 외주 형상에 따라 아래로 오목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의 바디(25)의 양측에 제1 구동부(310)와 제2 구동부(320)(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5) 일측 또는 양측에 회로기판(350)이 배치되어 바디(25) 내부의 렌즈 구동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서 바디(25), 커버(21), 및 베이스(22)가 제거된 사시도이고, 렌즈 자체는 생략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바디(25)에 광학계와 렌즈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바디(25)에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제3 렌즈군(130), 가이드 핀(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와 상기 제2 구동부(320)는 상기 바디(25)의 외축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배율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상기 제3 렌즈군(130), 상기 이미지 센서부 등은 광학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310), 제2 구동부(320), 가이드 핀(50) 등은 렌즈 구동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도 렌즈 구동부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와 제2 구동부(320)는 코일과 요크를 구비한 구동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핀(50)은 이동되는 렌즈 어셈블리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핀(50)은 제1 가이드 핀(51), 제2 가이드 핀(52)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 핀(pin)(50)은 로드(rod) 또는 샤프트(shaft)로 명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소정의 프리즘(미도시)이 상기 제3 렌즈군(130)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미지 센서부(미도시)는 상기 베이스(2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도 광하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리즘은 입사광을 평행 광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즘은 입사광의 광경로를 렌즈 군의 중심축에 평행한 광축(z축)으로 변경시켜 입사광을 평행 광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평행 광은 제3 렌즈군(130), 제1 렌즈 어셈블리(110) 및 제2 렌즈 어셈블리(120)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부에 입사되어 영상이 촬상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 광학부재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프리즘 대신 또는 외에 반사판 또는 반사경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부가 광축에 수직한 방향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렌즈 군을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부로 촬상되기 위해 추가 프리즘(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부는 평행 광의 광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소정의 제2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배치된 고체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동 렌즈군(moving lens group)이 2개인 경우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렌즈군은 3개, 4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광축 방향(z)은 렌즈군들이 정렬된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제1 구동부(310), 제2 구동부(320)와 가이드 핀(50)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렌즈(moving lens)일 수 있으며, 제3 렌즈군(130)(도 2 참조)은 고정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3 렌즈군(130)은 평행 광을 특정 위치에 결상하는 집광자(foc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렌즈 어셈블리(110)는 집광자인 제3 렌즈군(130)에서 결상된 상을 다른 곳에 재결상 시키는 변배자(vari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상거리가 많이 바뀌어서 배율변화가 큰 상태일 수 있으며,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0)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또는 배율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서 결상되는 상점은 위치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제2 렌즈 어셈블리(112)는 변배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대한 위치 보상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서 결상된 상점을 실제 이미지 센서부 위치에 정확히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상자(compens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는 무버(mover)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버는 고정부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이동부로 칭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버는 가이드 핀(50)을 통해 이동되는 제1, 제2 렌즈 어셈블리(110, 120)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고정부는 이동되지 않는 베이스 유닛(20), 가이드 핀(50), 제1 구동부(310), 제2 구동부(320)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핀(50)은 광축(z축)에 평행하게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핀(50)은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1 가이드 핀(51)과 제2 가이드 핀(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핀(51)과 상기 제2 가이드 핀(52)은 핀가이드부(112h1, 112h2, 112r1)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커버(21) 및 베이스(22)에 결합되어(도 1, 도 2 참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의 이동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50)은 플라스틱, 유리계열의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각각 제1 구동부(310)와 제2 구동부(320)와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구동부(310)와 제2 구동부(320)는 코일과 요크를 구비한 구동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제1 코일부(3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동부(320)는 제2 요크(322)와 제2 코일부(3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제1 렌즈 어셈블리(110)는 제1 하우징(112), 제1 렌즈군(미도시), 제1 마그넷(1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군(미도시)이 수용되는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상기 제1 마그넷(116)이 수용되는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하우징은 렌즈 배럴(lens barrel)로 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 내측의 제1 마그넷(116) 아래에 제1-2 요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제1 마그넷(116)의 자력이 바디(25) 내측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제2 하우징(122), 제2 렌즈군(미도시), 제2 마그넷(12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2)은 제2 렌즈군(미도시)이 수용되는 제2 렌즈 하우징(122a)과 상기 제2 마그넷(126)이 수용되는 제2 구동부 하우징(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하우징(122a)은 제1 가이드 핀(51)에 끼워지는 제5 핀 가이드부(122p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22)은 제2 구동부 하우징(122b) 내측의 제2 마그넷(126) 아래에 제2-2 요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제2 마그넷(126)의 자력이 바디(25) 내측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제1 렌즈 어셈블리(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1 구동부(310)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마그넷(116)과 제1 코일부(314)간의 상호 작용 예시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는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은 배럴(barrel) 또는 경통 기능을 하며, 제1 렌즈군(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미도시)은 이동 렌즈군(moving lens group)일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20)의 제2 하우징(122)도 제2 렌즈 하우징(122a)과 제2 구동부 하우징(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의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는 제1 마그넷(1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의 제1 마그넷(116)는 마그넷 구동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마그넷(116)는 영구자석인 제1 마그넷(magne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20)의 제2 구동부(126)도 마그넷 구동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잠시 도 4b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마그넷(116)과 제1 코일부(314)간의 전자기력(DEM)이 발행되는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마그넷(116)의 착자 방식은 수직 착자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116)의 N극(116N)과 S극(116S)은 모두 제1 코일부(314)와 마주보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부(314)에서 전류가 지면에 수직한 y축 방향으로 흐르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1 마그넷(116)의 N극(116N)과 S극(116S)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116)의 N극(116N)에서 x축에 반대 방향으로 자력(DM)이 가해지고, N극(116N)에 대응하는 제1 코일부(312) 영역에서 y축에 방향으로 전류(DE)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전자기력(DEM)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126)의 S극(116S)에서 x축 방향으로 자력(DM)이 가해지고, S극(116S)에 대응하는 제1 코일부(312)에서 지면에 수직한 y축 반대방향으로 전류(DE)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전자기력(DEM)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1 코일부(314)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31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마그넷(116)이 배치된 무버인 제1 렌즈 어셈블리(110)가 전류 방향에 따라 전자기력(DEM)에 의해 z축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전자기력(DEM)은 제1 코일부(314)에 가해지는 전류(DE)에 비례하여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2 마그넷(126)과 제2 코일부(324)간의 전자기력(DEM)이 발생하여 제2 렌즈 어셈블리(120)를 광 축에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은 하나 이상의 핀 가이드부(112p)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를 광축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핀 가이드부(112p)는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상기 제2 핀 가이드부(112p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은 상측으로 돌출된 제1 핀 가이드부(112p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에 제1 홀(112h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은,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이격배치 된 제2 핀 가이드부(112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핀 가이드부(112p2)에 제2 가이드 홀(112h2)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 핀(51)이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제2 핀 가이드부(112p2)의 제1, 제2 가이드 홀(112h1, 112h2)에 끼워져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를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정밀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하우징(112)의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제2 핀 가이드부(112p2)에서 제1 가이드 핀(51)과 접촉함으로써 상호간의 접촉 면적으로 최소화하여 마찰 저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 발생을 방지하여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 핀(51)이 위치하는 제1 구동부 하우징(112b) 상측 영역에서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제2 핀 가이드부(112p2) 외의 영역은 제거함으로써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마찰 저항을 저감함으로써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계속하여 도 4a와 도 9a를 참조하면, 제1 렌즈 하우징(112a)은 측면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핀 가이드부(112p)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의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상하 측으로 렌즈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중심축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은 측면으로 돌출된 제3 핀 가이드부(112p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핀 가이드부(112p3)에 제1 가이드홈(112p3H)이 배치될 수 있다(도 9g 참조).
실시예에 의하면 제3 핀 가이드부(112p3)의 제1 가이드홈(112p3H)에 제2 가이드 핀(52)이 끼워져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를 광축방향에 평행하게 정밀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하우징(112a) 중 제3 핀 가이드부(112p3)에서 제2 가이드 핀(52)을 지지 함으로써 상하 측으로 렌즈부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중심축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하우징(112a) 중 제3 핀 가이드부(112p3)에서 제2 가이드 핀(52)과 접함으로써 마찰면적으로 최소화하여 마찰 저항을 방지하여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가이드 핀(52)이 위치하는 제1 렌즈 하우징(112a) 측면 영역에서 제3 핀 가이드부(112p3) 외의 영역은 제거함으로써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마찰 토크를 저감함으로써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1, 제2 가이드 핀(51, 52)에 대한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서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제2 핀 가이드부(112p2)를 각각 지나는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어셈블리(110)의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a)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최근 카메라 모듈에서 복수의 줌 렌즈 군(zoom lens group) 이용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a)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실직적으로 수직(90˚)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도 6a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2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은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21)에 대해 제1 렌즈 어셈블리(110)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21)는 제1 커버 바디(21b)에서 상기 바디(25) 방향으로 돌출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훅(hook)(21p1), 제2 훅(21p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5)는 상기 제1 훅(21p1)과 제2 훅(21p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훅 결합부(26a1)와 제2 훅 결합부(26a2)가 배치되며, 제1 훅 결합부(26a1)와 제2 훅 결합부(26a2) 각각에 제1 구멍(26h1)과 제2 구멍(26h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1)의 제1 훅(21p1)과 제2 훅(21p2)은 각각 바디(25)의 제1 구멍(26h1) 및 제2 구명(26h2)과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커버(21)가 바디(25)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훅(21p1)과 제2 훅(21p2)은 각각 제1 돌출결합부(21p1)와 제2 돌출결합부(21p2)로 칭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1)는 상기 제1 가이드 핀(51), 상기 제2 가이드 핀(52)과 각각 결합되는 제1 핀결합부(21h1), 제2 핀결합부(21h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21)는 상기 제1 커버 바디(21b)에서 상기 바디(25)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와 제2 핀결합부(21h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 핀(51) 및 제2 가이드 핀(52)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21)의 제1 영역(E1)의 확대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21)의 제1 영역(E1)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2 영역(E2)의 확대도이다.
다시 도 6b을 참조하면, 제1 y축(y1)은 커버(21)에서 제1 훅(21p1)의 중심을 지나는 y축이며, 제2 y축(y2)은 커버의 제2 훅(21p2)의 중심을 지나는 y축일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 제1 x축(x1)은 커버의 제1 훅(21p1)의 중심을 지나는 x축이며, 제2 x축(x2)은 제1 커버의 제2 훅(21p2)의 중심을 지나는 x축일 수 있다.
도 6b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커버의 제1 훅(21p1)의 중심을 지나는 제1 y축(y1)이 제2 핀결합부(21h2)의 중심(21h2C)을 지나도록 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2 핀결합부(21h2)는 보스(boss) 형태로 돌출된 제2 외벽(21h2W)과 상기 제2 외벽(21h2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 홈(21h2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제2 외벽(21h2W)은 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핀결합부(21h2)는 제2 외벽(21h2W)과 상기 제2 결합 홈(21h2H) 사이에 제2 외벽 경사면(21h2WS)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핀결합부(21h2)에서 돌출 제2 외벽(21h2W)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21h2C)은 제1 y축(y1)과 제2 x축(x2)에 평행한 제3 x축(x3)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2 결합 홈(21h2H)의 중심(21h2C)은 상기 제2 외벽(21h2W)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21h2C)과 일치하도록 설계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c는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21)의 제2 영역(E2)의 확대도이며,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2 영역(E2)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7c를 참조하면, 제1 핀결합부(21h1)는 보스(boss) 형태로 돌출된 제1 외벽(21h1W)과 상기 제1 외벽(21h1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홈(21h1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b와 도 7c를 참조하면,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21h1C)이 커버의 제2 훅(21p2)의 중심을 지나는 제2 y축(y2)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21h1WC)은 제2 y축(y2)과 제2 x축(x2)에 평행한 제4 x축(x4)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1 홈(21h1H)의 중심(21h1C)은 제2 y축(y2)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3 y축(y3)과 제4 x축(x4)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5 x축(x5)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잠시 도 5 및 6b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21h1C)이 커버의 제2 훅(21p2)의 중심을 지나는 제2 y축(y2)과 약 0.1mm±0.02mm 범위에서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a)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실질적으로 수직(90˚)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상기 제1 홈(21h1H)의 중심(21h1C)은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21h1WC)과 이격되어 편심배치됨으로써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a)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90˚±1˚범위로 수직을 확보하여 렌즈군간의 얼라인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는 제1 외벽(21h1W)의 상단과 제1 홈(21h1H) 상단 사이에 경사벽(champer)(21h1WS)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X5선을 따른 커버의 제2 영역(E2)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e는 도 7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커버의 제2 영역(E2)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7 d는 제1 홈(21h1H)이 우측으로 편심된 실시예이며, 도 7e에서는 제1 홈(21h1H)이 좌측으로 편심된 실시예이다. 이하 도 7d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제1 핀결합부(21h1)는 보스(boss) 형태로 돌출된 제1 외벽(21h1W)과 상기 제1 외벽(21h1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홈(21h1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홈(21h1H)의 중심(21h1C)은 상기 제1 핀결합부(21h1)에 포함된 제1 외벽(21h1W)의 중심(21h1WC)과 이격되어 편심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간의 얼라인 또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간의 얼라인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21h1C)이 커버의 제2 훅(21p2)의 중심을 지나는 제2 y축(y2)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d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에서 돌출된 제1 외벽(21h1W)의 중심(21h1WC)은 제1 홈(21h1H)의 중심(21h1C)과 약 0.1mm±0.02mm 범위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핀결합부(21h1)의 제1 홈(21h1H)의 중심(21h1C)이 제1 외벽(21h1W)의 중심(21h1WC)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되어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1)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실질적으로 수직(90˚)이 되도록 정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d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는 제1 외벽(21h1W)의 상단과 제1 홈(21h1H) 상단 사이에 경사벽(champer)(21h1W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는 상기 제1 외벽(21h1W)의 외측 상단과 상기 제1 외벽(21h1W)의 내측 상단 사이에 경사벽(21h1WS)을 포함하여 가이드 핀(50)이 효과적으로 안착되고 삽입결합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핀결합부(21h1)에서 돌출된 제1 외벽(21h1W)으로부터 경사진 면(21h1WS)에 의해 원형상인 제2홈이 형성되고, 제1 외벽(21h1W)과 수직인 면에 의해 원형상인 제1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d와 도 7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사진 면(21h1WS)의 원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과, 제1 외벽(21h1W)과 수직인 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은 함께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바디(25) 방향에서 바라본 베이스(22)의 정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의 제3 영역(E3)의 확대도이다.
도 8a에서 제1 y축(y1)은 베이스(22)의 제1 베이스 홈(22ph1)의 중심을 지나는 축이며, 제2 y축(y2)은 베이스의 제2 베이스 홈(22ph2)의 중심을 지나는 축일 수 있다.
또한 도 8a에서 제1 x축(x1)은 베이스의 제2 베이스 홈(22ph2)의 중심을 지나는 축이며, 제2 x축(x2)은 베이스의 제1 베이스 홈(22ph1)의 중심을 지나는 축일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베이스의 제2-1 홀(22ph1)의 중심을 지나는 제1 y축(y1)이 제3 핀결합부(22h3)의 중심을 지나도록 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a를 참조하면 제4 핀결합부(22h4)는 보스(boss) 형태로 돌출된 제2 결합 홈(21h4W)과 상기 제2 결합 홈(21h4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4 결합 홈(22h4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8a를 참조하면, 제4 핀결합부(22h4)에서 제2 결합 홈(21h4W)으로 인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제2 y축(y2)에 비해 제4 결합 홈(22h4H)의 중심을 지나는 제3 y축(y3)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a를 참조하면, 제4 핀결합부(22h4)에서 제2 결합 홈(21h4W)으로 인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과 제4 결합 홈(22h4H)의 중심이 서로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22)에 배치된 제3 핀결합부(22h3)의 제3 결합 홈(22h3H)의 깊이 또는 제4 핀결합부(22h4)의 제4 결합 홈(22h4H)의 깊이는 앞서 기술된 커버(21)에 배치된 제1 핀결합부(21h1)의 제1 홈(21h1H)의 깊이 또는 제2 핀결합부(21h2)의 제2 결합 홈(21h2H)의 깊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베이스(22)는 커버(21)보다 늦게 가이드 핀(5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22)에 배치된 제3 핀결합부(22h3)의 제3 결합 홈(22h3H)의 깊이 또는 제4 핀결합부(22h4)의 제4 결합 홈(22h4H)의 깊이는 앞서 기술된 커버(21)에 배치된 제1 핀결합부(21h1)의 제1 홈(21h1H)의 깊이 또는 제2 핀결합부(21h2)의 제2 결합 홈(21h2H)의 깊이보다 깊게 설계되어 가이드 핀(50)과의 조립성을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나중에 가이드 핀(50)과 결합되는 베이스(22)에서의 제3 결합 홈(22h3H)의 깊이 또는 제4 결합 홈(22h4H)의 깊이를 커버(21)에서의 제1 홈(21h1H)의 깊이 또는 제2 결합 홈(21h2H)의 깊이보다 깊게 하여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의 제3 부분(E)의 확대도이다.
도 8a와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2)는 제1 베이스 홈(22ph1)과 제2 베이스 홈(22ph2)을 구비하며 바디(25)에서 돌출되는 제1 결합 돌출부(미도시) 및 제2 결합 돌출부(미도시)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22)의 제1 베이스 홈(22ph1)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이즈이며 원형이되, 상기 제2 베이스 홈(22ph2)은 상기 제2 결합 돌출부보다 단면 면적이 넓은 사이즈이며 타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22)의 제1 베이스 홈(22ph1)에 의해 제1 결합 돌출부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제2 베이스 홈(22ph2)이 제2 결합 돌출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D2 방향으로 발생하는 상기 제2 결합 돌출부의 미세한 공차를 커버하고 D1 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돌출부의 미세한 공차는 제품 형성에 대한 크기 및 위치에 대한 공차일 수 있다. 제2 베이스 홈(22ph2)은 제1 베이스 홈(22ph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사시도 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평면도이고,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제4 영역(E4)의 확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도 9b는 도 4a에 도시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서 제1 핀 가이드부(112p1)와 제2 핀 가이드부(112p2)를 지나는 제1 z축(Z1), 제3 핀 가이드부(112p3)를 지나는 제2 z축(z2)과 제1 렌즈 어셈블리(110)의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b)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최근 카메라 모듈에서 복수의 줌 렌즈 군(zoom lens group) 이용하여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군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b)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실질적으로 수직(90˚)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제4 영역(E4)의 확대도이고, 도 9da는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제4 영역(E4)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9db와 도 9dc는 도 9d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부분 제4 확대도의 다른 단면도이다.도 9da는 제1홀의 중심축(z3)이 제2홀의 중심축(z1) 대비 좌측으로 편심된 실시예이며, 도 9db는 제1홀의 중심축(z3A)이 제2홀의 중심축(z1) 대비 우측으로 편심된 실시예이다. 한편, 도 9dc는 제1홀의 중심축(z3)이 제2홀의 중심축(z1) 대비 편심되지 않고 제1홀의 중심축(z3)이 제2홀의 중심축(z1)과 동일한 실시예이다.
또한 도 9ea 내지 도 9ec는 도 9da 내지 도 9d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부분 제4 확대도의 정면도이다.
한편, 도 9fa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제5 영역(E5) 확대도이며, 도 9fb는 도 9f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의 제5 영역(E5)의 단면도이다.
도 9c와 도 9da를 참조하면, 제1 핀 가이드부(112p1)는 제1 가이드 벽(112p1W)과 상기 제1 가이드 벽(112p1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홀(112h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은 상기 제1 가이드 벽(112p1W)과 제1 홀(112h1) 사이에 제1 단차(112p1W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9c와 도 9da를 참조하면,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홀의 중심(112h1c)이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가이드 벽(112p1W)의 중심(112p1WC)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렌즈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핀 가이드부(112p1)에서 제1 가이드 벽의 중심(112p1WC)은 제2 y축(y2)과 제4 x축(x4)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1 홀의 중심(112h1C)은 제2 y축(y2)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3 y축(y3)과 제4 x축(x4)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5 x축(x5)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도 9d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핀 가이드부(112p1)에서 제1 가이드 벽의 중심(112p1WC)은 제2 z축(yz)과 제4 x축(x4)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홀의 중심(112h1C)은 제2 z축(yz)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3 z축(z3)과 제4 x축(x4)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5 x축(x5)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도 9db는 우측으로 편심된 실시예이며, 도 9d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홀의 중심(112h1CA)은 제2 z축(yz)에 평행하되 이격된 제3A z축(z3A)과 제4 x축(x4)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한편, 도 9dc는 편심되지 않은 실시예이며, 도 9d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홀의 중심(112h1CB)은 z1축과 제4 x축(x4)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도 9c와 도 9da를 참조하면,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홀의 중심(112h1c)이 제1 가이드 벽의 중심(112p1WC)과 약 0.1mm±0.02mm 범위에서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하여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b)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실질적으로 수직(90˚)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가이드 벽(112p1W)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상의 중심(112pWC)이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홀의 중심(112h1c)이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됨으로써 제1 z축(Z1)과 제2 z축(Z2) 및 제1 렌즈 하우징(112a)의 수평 방향 축(Xb)이 각각 이루는 제1 각(Θ1) 및 제2 각(Θ2)이 90˚±1˚범위로 수직을 확보하여 렌즈군간의 얼라인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9c와 도 9d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핀 가이드부(112p1)은 상기 제1 가이드 벽(112p1W)과 제1 홀(112h1) 사이에 제1 단차(112p1WT)을 포함하여 가이드 핀(50)이 효과적으로 안착되고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fa를 참조하면, 제5 핀 가이드부(112p5)는 제5 가이드 벽(112p5W)과 상기 제5 가이드 벽(112p5W)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5 홀(112h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핀 가이드부(112p5)는 제5 가이드 벽(112p5W)과 제5 홀(112h5) 사이에 제2 단차(112p5W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9fa와 도 9f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5 핀 가이드부(112p5)의 중심이 제5 홀(112h5)의 중심과 일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fa와 도 9fb를 참조하면, 제5 가이드 벽의 중심(112p5WC)과 제5 홀의 중심(112h5C)이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f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5 가이드 벽의 중심(112p5WC)은 제1 y축(y1)과 제1 x축(x1)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제5 홀의 중심(112h5C)은 제1 y축(y1)과 제1 x축(x1)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fa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5 핀 가이드부(112p5)의 중심이 제5 홀(112h5)의 중심과 편심되지 않고 일치 될 수 있다.
또한 도 9f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5 가이드 벽의 중심(112p5WC)은 제1 z축(z1)과 제1 x축(x1)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제5 홀의 중심(112h5C)은 제1 z축(z1)과 제1 x축(x1)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f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5 핀 가이드부(112p5)의 중심이 제5 홀(112h5)의 중심과 편심되지 않고 일치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g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액츄에이터에서 핀 가이드부(112p3)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g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은 측면으로 돌출된 제3 핀 가이드부(112p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핀 가이드부(112p3)에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은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은 도면에 도시된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의 중심(112p3HC)이 제3 핀 가이드부(112p3)의 중심(112p3C)과 수직방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g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하면 제3 핀 가이드부(112p3)의 중심(112p3C)은 Z2과 Y축이 만나는 점일 수 있다.
이때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은 Z2과 평행하며 Y축으로 하측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의 중심(112p3HC)은 Z2과 평행한 Z5축과 Y축이 만나는 점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핀 가이드홈(112p3H)의 중심(112p3HC)이 제3 핀 가이드부(112p3)의 중심(112p3C)과 수직방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렌즈군간의 얼라인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핀결합부(22h3)는 베이스 핀결합부일 수 있고, 제1 핀결합부(21h1)는 커버 핀결합부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핀결합부(22h3)의 중심축 및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축(21h1WC) 및 제1홀의 중심축(112h1C) 중 적어도 하나가 제3 핀결합부(22h3)의 결합 홈(22h3H)의 중심축 또는 제1 핀결합부(21h1)의 홈(21h1H)의 중심(21h1C)축 또는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가이드 벽(112p1W)의 중심(112p1WC)과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렌즈군간의 얼라인 정밀도 및 렌즈군과 이미지센서간의 얼라인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렌즈 어셈블리에서 가이드 핀(51)이 가이드 되는 홀을 제1홀(112h1), 제1홀에서 연장되고 제1 가이드 벽(112p1W)에 의해 형성되는 홀을 제2홀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핀결합부(22h3)의 중심축 및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축(21h1WC) 및 렌즈 어셈블리의 제1홀의 중심축(112h1C) 중 적어도 하나가 제3 핀결합부(22h3)의 결합 홈(22h3H)의 중심축 또는 제1 핀결합부(21h1)의 홈(21h1H)의 중심(21h1C)축 또는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가이드 벽(112p1W)의 중심(112p1WC)과 이격될 수 있으며, 제2 핀결합부(21h2)의 중심축(21h2WC) 및 제4 핀결합부(22h4)의 중심축(22h4WC)은 제2 핀결합부(21h2)의 결합 홈(21h2H)의 중심축 및 제4 핀결합부(22h4)의 홈(22h4H)의 중심축 및 제3 핀 가이드부(112p3)의 중심축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제2 핀결합부(21h2)의 중심축(21h2WC) 및 제4 핀결합부(22h4)의 중심축(22h4WC)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핀결합부(22h3)의 결합 홈(22h3H)의 중심축 또는 제4 핀결합부(22h4)의 홈(22h4H)의 중심축 또는 제3 핀 가이드부(112p3)의 중심축과 이격될 수 있으며, 제3 핀결합부(22h3)의 중심축 및 제1 핀결합부(21h1)의 중심축(21h1WC) 및 제1홀의 중심축(112h1C)은 제3 핀결합부(22h3)의 결합 홈(22h3H)의 중심축 또는 제1 핀결합부(21h1)의 홈(21h1H)의 중심(21h1C)축 또는 제1 핀 가이드부(112p1)의 제1 가이드 벽(112p1W)의 중심(112p1WC)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0a는 도 4a에 도시된 카메라 액츄에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에서 제1 구동부(310)는 상기 제1 코일부(312) 내부에 제1 홀 센서(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홀 센서(316)를 제1 코일부(312) 내부 영역에 배치하여 홀 센서가 차지하는 영역을 줄임으로써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센싱 마그넷(Sensing Magnet)을 사용하지 않고 제1 구동 마그넷(Magnet)(116)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 구현이 가능한 특별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카메라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Stroke)에 따른 홀 센서(Hall sensor) Linearit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b에 의하면, 실시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어셈블리의 스트로크(Stroke)가 약 4mm일 경우 Hall Linearity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홀 센서(316)를 제1 구동 마그넷(116)의 중심에 두어 1개의 홀 센서만(316)으로도 렌즈의 위치 측정의 신뢰도를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여 복수의 렌즈군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추어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현저히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가이드 핀결합부의 중심을 편심 배치하여 렌즈군 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렌드군들 간에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제1 홈의 중심이 제1 외벽의 중심과 이격되도록 편심 배치되어 렌즈군 간의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이드 핀이 위치하는 제1 구동 하우징의 상측 영역에서 제1 핀 가이드부와 제2 핀 가이드부 외의 영역은 제거함으로써 제1 구동 하우징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마찰 토크를 감소시켜 마찰 저항을 저감함으로써 주밍(zooming) 시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를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의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 렌즈군과 이미지센서의 중심축이 얼라인 되지 않는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홀 센서를 제1 코일 내부 영역에 배치하여 홀 센서가 차지하는 영역을 줄임으로써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바디;
    상기 바디와 결합하는 커버;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일측과 결합하는 베이스 핀결합부;
    상기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의 타측과 결합하는 커버 핀결합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을 가이드하는 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제1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핀결합부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핀 가이드부는 제1홀과 상기 제1홀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의 중심축 및 상기 커버 핀결합부의 중심축 및 상기 제1홀의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결합 홈의 중심축 또는 상기 제1 홈의 중심축 또는 상기 제2홀의 중심축과 이격된 카메라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핀결합부는 상기 제1홈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의 최대 지름은 상기 제2홈의 최대 지름 보다 작고,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 홈과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제2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 홈의 최대 지름은 상기 제2홈의 최대 지름 보다 작은 카메라 액츄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핀결합부는 상기 커버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경사진 면은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의 최소 지름과 상기 제2홈의 최소 지름은 동일하고,
    상기 제2 결합 홈은 상기 제1결합 홈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 홈은 경사진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 홈의 최소 지름은 상기 제2결합 홈의 최소 지름과 동일한 카메라 액츄에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중심축과 제2홈의 중심축은 동일하고,
    상기 제1결합 홈의 중심축과 상기 제2결합 홈의 중심축은 동일한 카메라 액츄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의 광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홈의 광축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 홈의 광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결합 홈의 광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및 상기 커버 핀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바디는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베이스 핀결합부 및 상기 커버 핀결합부 및 상기 핀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에서 돌출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베이스 홈과 제2베이스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 홈의 사이즈는 상기 제1돌출부의 사이즈와 대응되고,
    상기 제2베이스 홈의 사이즈는 상기 제2돌출부의 사이즈 보다 큰 카메라 액츄에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베이스 홈은 상기 제1 베이스 홈 방향으로 연장된 카메라 액츄에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지름은 상기 제2홀의 지름 보다 작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제1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홀의 광축방향의 길이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2홀의 광축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액츄에이터.
KR1020180136996A 2018-11-09 2018-11-09 카메라 액츄에이터 KR102616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96A KR102616778B1 (ko) 2018-11-09 2018-11-09 카메라 액츄에이터
US17/292,290 US11971652B2 (en) 2018-11-09 2019-10-29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EP19881076.4A EP3876513A4 (en) 2018-11-09 2019-10-29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21524349A JP7397867B2 (ja) 2018-11-09 2019-10-29 カメラ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PCT/KR2019/014392 WO2020096257A1 (ko) 2018-11-09 2019-10-29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02310693155.7A CN116782006A (zh) 2018-11-09 2019-10-29 相机致动器及包括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CN201980081648.7A CN113243101B (zh) 2018-11-09 2019-10-29 相机致动器及包括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96A KR102616778B1 (ko) 2018-11-09 2018-11-09 카메라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55A true KR20200053755A (ko) 2020-05-19
KR102616778B1 KR102616778B1 (ko) 2023-12-26

Family

ID=7061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996A KR102616778B1 (ko) 2018-11-09 2018-11-09 카메라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1652B2 (ko)
EP (1) EP3876513A4 (ko)
JP (1) JP7397867B2 (ko)
KR (1) KR102616778B1 (ko)
CN (2) CN116782006A (ko)
WO (1) WO2020096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1570B2 (en) 2019-01-07 2023-02-14 Blue Current, Inc. Polyurethane hybrid solid ion-conductive compositions
JP2023507733A (ja) 2019-12-20 2023-02-27 ブルー カレ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バインダーを有する複合体電解質
TWI730781B (zh) * 2020-05-22 2021-06-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CN214586259U (zh) * 2020-07-24 2021-11-02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3801A (ja) * 2009-12-25 2011-07-07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3148699A (ja) * 2012-01-19 2013-08-01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7194583A (ja) * 2016-04-21 2017-10-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493A (ja) * 1996-10-03 1998-04-24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US7053514B2 (en) * 2004-02-03 2006-05-30 Sony Corporation Image apparatus and drive motor
JP2006133366A (ja) * 2004-11-04 2006-05-25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鏡胴及び該レンズ鏡胴を備えたカメラ並びにレンズ鏡胴の組立方法
JP2006178269A (ja) * 2004-12-24 2006-07-06 Fujinon Corp レンズ移動装置、撮像装置及び光学装置
JP2006227170A (ja) * 2005-02-16 2006-08-31 Sony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4950498B2 (ja) * 2006-02-01 2012-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2007256319A (ja) * 2006-03-20 2007-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及びその光軸調整方法
KR20100098125A (ko) * 2009-02-27 2010-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배럴 어셈블리
JP2011232438A (ja) * 2010-04-26 2011-11-17 Fujifilm Corp 結像光学系組立体、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TW201225506A (en) * 2010-12-07 2012-06-16 Hon Hai Prec Ind Co Ltd Actuator, camera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9103952B2 (en) * 2011-07-20 2015-08-11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image-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ns barrel
JP2013083694A (ja) * 2011-10-06 2013-05-09 Nikon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1318387B1 (ko) * 2012-02-21 2013-10-15 (주)에이지광학 카메라용 광학계
JP6009808B2 (ja) * 2012-05-11 2016-10-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2014021411A (ja) * 2012-07-23 2014-02-03 Canon Inc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KR20140036648A (ko)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20140071177A (ko) * 2012-12-03 2014-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렌즈 조립장치
KR102148988B1 (ko) * 2013-07-12 2020-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71184B1 (ko) 2016-01-08 2022-1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3801A (ja) * 2009-12-25 2011-07-07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3148699A (ja) * 2012-01-19 2013-08-01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7194583A (ja) * 2016-04-21 2017-10-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9645A1 (en) 2021-12-16
EP3876513A1 (en) 2021-09-08
CN113243101A (zh) 2021-08-10
EP3876513A4 (en) 2022-07-27
KR102616778B1 (ko) 2023-12-26
CN113243101B (zh) 2023-07-04
JP7397867B2 (ja) 2023-12-13
JP2022506764A (ja) 2022-01-17
CN116782006A (zh) 2023-09-19
US11971652B2 (en) 2024-04-30
WO2020096257A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987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2616778B1 (ko) 카메라 액츄에이터
US20210018719A1 (en) Lens assembly
CN112740102B (zh) 透镜驱动装置和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KR20230117065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55240A (ko) 엑추에이터
KR20230079320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04106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78103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78104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62547A (ko)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23194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135781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011519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428338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2023038464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20230314759A1 (en) Camera module
CN116888529A (zh)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KR20220153955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129455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62534A (ko) 렌즈 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52570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22601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67419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62563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