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320A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9320A KR20230079320A KR1020230065931A KR20230065931A KR20230079320A KR 20230079320 A KR20230079320 A KR 20230079320A KR 1020230065931 A KR1020230065931 A KR 1020230065931A KR 20230065931 A KR20230065931 A KR 20230065931A KR 20230079320 A KR20230079320 A KR 202300793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ball
- pin
- housing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핀; 및 렌즈군을 포함하며 상기 핀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측의 내부에 볼 수용부와 상기 볼 수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은 상기 볼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볼과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핀; 및 렌즈군을 포함하며 상기 핀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측의 내부에 볼 수용부와 상기 볼 수용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은 상기 볼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볼과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 노트북,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최근 카메라 모듈의 2배 이상의 고 배율 주밍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 기능을 위해 렌즈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기구적 움직임에 의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찰 토크에 의해 구동력의 감소, 소비전력의 증가 또는 제어특성 저하 등의 기술적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서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렌즈들 간의 얼라인(align)이 잘 맞아야 하는데, 렌즈간 구면 중심이 광축에서 이탈하는 디센터(decent)나 렌즈 기울어짐 현상인 틸트(tilt) 발생시 화각이 변하거나 초점이탈이 발생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 기능을 위해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동영역에서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줌 이동 또는 줌 운동의 반전 시에 렌즈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가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초소형의 컴팩트 카메라 모듈에서는 크기 제한이 있으므로 주밍을 위한 공간 제약이 있어서 일반적인 대형 카메라에서 적용되는 주밍 기능이 구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높이가 슬림(slim)해지면서 렌즈 두께의 제약이 있다.
한편, 항목에 기술된 내용은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렌즈 틸트(tilt)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초소형의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는 핀(50); 및 렌즈군을 포함하며 상기 핀(50)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2)은 일측의 내부에 볼 수용부(115)와 상기 볼 수용부(115)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50)은 상기 볼 수용부(115)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볼(115b)과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112)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볼(115b)은 상기 핀(50)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12)의 하측에 배치된 마그넷(116); 상기 마그넷(116)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요크(312); 및 상기 마그넷(116)과 상기 요크(312)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크(312)는 상기 마그넷(116)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볼 수용부(115)는, 상기 복수의 볼(115b)들 간의 이동의 방지하는 차단부(115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수용부(115)는, 상기 복수의 볼(115b)들 사이에 복수의 볼 가이드 레일(115p);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볼 가이드 레일(115p) 사이에 배치되는 볼 가이드 홈(115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은, 상기 핀(51) 방향으로 개방영역이 있으며, 상기 개방영역의 개방직경(D3)은 상기 볼(115b)의 직경(D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볼 수용부(115)는 타원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볼(115b)은 상기 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볼 수용부(115)는 제2 볼 가이드 레일(115q)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볼(115b)은 상기 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볼 수용부(115)는 타원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볼(115b)은 상기 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핀(51)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볼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선형 제2 리세스(51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볼 수용부(115)는 상기 렌즈부(114)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어셈블리가 핀을 따라 이동하되, 렌즈 어셈블리 내부에 볼 수용부를 구비하여 핀은 볼(ball)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마찰 토크를 최소화함에 따라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마그넷과 베이스에 배치되는 요크 사이의 자력에 따른 인력을 고려하여 카메라 모듈을 설계 함으로써 y축 방향으로 핀과 볼이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차를 종래기술의 한계 수준 미만으로 제어함으로써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 부의 가이드 홈에 의해 y축 방향으로 렌즈부의 중심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주밍 시 렌즈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를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의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하면,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인 요크와 코일을 베이스 하부에 배치하여 구동부가 차지하는 영역을 줄임으로써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1 볼 수용부(B1)의 예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2 볼 수용부(B2)의 예시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7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3 볼 수용부(B3)의 예시도.
도 8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4 볼 수용부(B4)의 예시도.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1 볼 수용부(B1)의 예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2 볼 수용부(B2)의 예시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7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3 볼 수용부(B3)의 예시도.
도 8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4 볼 수용부(B4)의 예시도.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element)의 "상/하" 또는 "위/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하”” 또는 ““위/아래””는 두개의 구성이 서로 직접(directly)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이 두 구성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하”” 또는 "위/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구성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구성 또는 요소를 다른 구성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나,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A1-A1'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x-y-z 축 방향에서, xz평면이 지면을 나타낼 수 있으며, z축은 광축(optic axis) 방향 또는 이와 평행방향을 의미하며, x축은 지면(xz평면)에서 z축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지면과 수직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동 렌즈군(moving lens group)이 2개인 경우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렌즈군은 3개, 4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광축 방향(z)은 렌즈군들이 정렬된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소정의 베이스(20)에 각종 광학계들이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20)의 일측면에 각각 렌즈 커버(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의 정면 방향과 배면 방향의 베이스 측면 각각에 렌즈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배면 방향의 베이스 측면에 이미지 센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마운트 또는 케이스로 칭해질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유리계열의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베이스(20)와 형상끼워 맞춤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와 렌즈 커버는 핀(50)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핀(50)은 로드(rod) 또는 샤프트(shaft)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핀(50)은 광축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핀(51), 제2 핀(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핀(51)과 제2 핀(52)은 일측은 렌즈 커버와 타측은 상기 베이스(2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20)에 광학계와 렌즈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20) 하측 또는 측면에 회로기판(30)이 배치되어 베이스(20) 내부의 렌즈 구동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20)에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제3 렌즈군(130) 및 프리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상기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상기 제3 렌즈군(130), 상기 프리즘, 상기 이미지 센서부 등은 광학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코일과 요크를 구비한 제1 구동부(310)(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동부(310), 핀(50) 등은 렌즈 구동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도 렌즈 구동부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광하계를 우선 설명하면, 실시예에서 프리즘은 입사광을 평행 광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즘은 입사광의 광경로를 렌즈 군의 중심축에 평행한 광축(z축)으로 변경시켜 입사광을 평행 광으로 변경시킨다. 이후 평행 광은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3 렌즈군(130) 및 제2 렌즈 어셈블리(120)을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부에 입사되어 영상이 촬상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삼각기둥 형상을 갖는 광학부재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프리즘 대신 또는 외에 반사판 또는 반사경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부가 광축에 수직한 방향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렌즈 군을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부로 촬상되기 위해 추가 프리즘(미도시)을 구비할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부는 평행 광의 광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소정의 제2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배치된 고체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 또는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마그넷(116)을 구비한 마그넷 구동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116)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제1 렌즈 어셈블리(110) 또는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상기 마그넷(116)과 베이스(20)에 구비된 제1 구동부(310)의 코일부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베이스(20) 하부에 홀 센서(316)를 구비하여 렌즈의 위치 측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제1 구동부(310)(도 2 참조)와 핀(50)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렌즈(moving lens)일 수 있으며, 제3 렌즈군(130)은 고정 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는 이동 렌즈군일 수 있으며, 제3 렌즈군(130)은 고정 렌즈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좀 더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A1-A1'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는 핀(50) 및 렌즈군을 포함하며 상기 핀(50)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렌즈 어셈블리(110)는 제1 하우징(112), 제1 렌즈군(114)(도 3 참조), 볼 수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는 제1 하우징(112) 하측에 마그넷(116)이 장착되며, 마그넷(116)과 베이스(20)에 배치된 제1 구동부(310)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핀(50)의 가이드에 의해 광축 방향에 평행한 z축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군(114)이 수용되는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상기 마그넷(116)과 볼 수용부(115)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에는 제1 렌즈군(114)이 배치되는 제1 렌즈군 배치영역(114h)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는 제1 구동부 하우징(112b) 내부에 볼 수용부(115)와 상기 볼 수용부(115)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50)은 상기 볼 수용부(115)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볼(115b)과 접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12)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핀(50)은 광축(z축)에 평행하게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핀(50)은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1 핀(51)과 제2 핀(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 렌즈 어셈블리(120)의 이동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핀(50)은 플라스틱, 유리계열의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에서 x축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112p)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돌출부(112p)에 제1 가이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핀(52)이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에는 상기 제2 핀(52)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리세스(20r)을 구비하여 상기 제2 핀(52)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돌출 부(112p)의 제1 가이드 홈과 베이스의 제1 리세스(20r)에 의해 y축 방향으로 렌즈부의 중심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주밍 시 렌즈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1)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1)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는 제1 핀(51) 및 제1 렌즈군(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핀(51)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은 배럴 또는 경통 기능을 하며, 제1 렌즈군(11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군(114)은 이동 렌즈군(moving lens group)일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는 제1 마그넷(1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마그넷(116)는 마그넷 구동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마그넷(116)는 영구자석인 마그넷(magnet)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제1 마그넷(116)과 제1 구동부(310)간의 상호 작용으로 전자기력이 발행되어 제1 하우징(112)에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상기 제1 요크(312)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116)은 제1 코일부(314)와 마주보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부(314)에서 전류(C)가 지면에 x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흐르는 영역에 대등되도록 제1 마그넷(116)의 N극과 S극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넷(116)의 자력(M)의 방향이 y축의 반대방향으로 가지지는 경우, 제1 코일부(314)에서 x축 반대방향으로 전류(C)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z축의 반대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작용될 수 있다. 전자기력은 제1 코일부(314)에 가해지는 전류에 비례하여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전자기력을 통해 제2 렌즈 어셈블리(120)가 광축에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zooming)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마찰 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일측의 내부에 볼 수용부(115)와 상기 볼 수용부(115)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ball)(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핀(51)은 상기 볼 수용부(115)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볼(115b)과 접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12)을 가이드 하여 제1 렌즈 어셈블리(110)를 광축에 평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의 내부에 볼 수용부(1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볼 수용부(115)는 소정의 제1 볼 수용 홀(115h)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볼 수용 홀(115h)에 복수의 볼(115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 수용 홀(115h)에는 제1 볼(115b1), 제2 볼(115b2) 및 제3 볼(115b3)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볼(115b)은 세라믹, 플라스틱, 유리계열의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금속 또는 복합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볼(115b)은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어셈블리(110)가 제1 핀(51)을 따라 이동하되, 제1 렌즈 어셈블리(110) 내부, 예를 들어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의 내부에 제1 볼 수용부(115)를 구비하여 제1 핀(51)은 볼(115b)(ball)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마찰 토크를 최소화함에 따라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렌즈 틸트(tilt)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310)의 제1 요크(312)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마그넷(116) 간에 인력(F)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 장착되는 마그넷(116)과 베이스(20)에 배치되는 제1 요크(312) 사이의 자력에 따른 인력(F)을 고려하여 카메라 모듈을 설계 함으로써 제1 핀(51)과 복수의 볼(115b)이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차를 종래기술의 한계 수준 미만으로 제어함으로써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주밍(zooming) 시, 마찰 토크를 최소화하면서도 렌즈의 디센터(decent)나 렌즈 틸트(tilt) 발생을 방지하여 화질이나 해상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초소형의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310)인 제1 요크(312)와 제1 코일부(314)를 베이스(20) 하부에 배치하여 구동부가 차지하는 영역을 줄임으로써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의 구현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실시예에 의하면,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에서도 주밍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1)의 볼 수용부(115)의 제1 실시예(B1)이다. 제1 볼 수용부(B1)는 도 3에 도시된 볼 수용부(115)를 포함하는 제1 영역(B)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볼 수용부(B1)는 제1 볼 수용 홀(115h)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볼 수용 홀(115h)에 복수의 볼(115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 수용 홀(115h)에는 제1 볼(115b1), 제2 볼(115b2) 및 제3 볼(115b3)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볼 수용부(B1)는 상기 복수의 볼(115b)들 사이에 차단부(115s)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단부(115s)는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차단부(115s1), 제2 차단부(115s2), 제3 차단부(115s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부(115s)는 제1 볼(115b1)과 제2 볼(115b2) 상이에 제1 차단부(115s1), 제2 볼(115b2)과 제3 볼(115b3) 사이에 제2 차단부(115s2) 및 제3 볼(115b3)과 제1 볼(115b1) 사이에 제3 차단부(115s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부(115s)는 상기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의 물질과 같은 물질 또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115s)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차단부(115s) 사이에 볼(115b)은 단일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볼 수용부(B1)는 상기 복수의 볼(115b)들 사이에 차단부(115s)를 포함하여 상기 볼(115b) 들간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2 볼 수용부(B2)의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2 볼 수용부(B2)는 제1 볼 수용 홀(115h)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볼 수용 홀(115h)에 복수의 볼(115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 수용 홀(115h)에는 제1 볼(115b1), 제2 볼(115b2) 및 제3 볼(115b3)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볼 수용부(B2)는 상기 복수의 볼(115b)들 사이에 복수의 볼 가이드 레일(115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볼 수용부(B2)는 상기 복수의 볼(115b)들 사이에 제1 볼 가이드 레일(115p1), 제2 볼 가이드 레일(115p2), 제3 볼 가이드 레일(115p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볼 수용부(B2)는 상기 제1 볼(115b1)과 상기 제2 볼(115b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볼 가이드 레일(115p1)과, 상기 제2 볼(115b2)과 상기 제3 볼(115b3)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볼 가이드 레일(115p2) 및 상기 제3 볼(115b3)과 상기 제1 볼(115b1)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볼 가이드 레일(115p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가이드 레일(115p)은 상기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의 물질과 같은 물질 또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볼 수용부(B2)에 복수의 볼 가이드 레일(115p)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볼(115b)들이 각 볼 가이드 레일(115p) 내에 가이드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핀(51)과 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어셈블리가 제1 핀(51)을 따라 이동하되, 렌즈 어셈블리 내부에 제2 볼 수용부(B2)를 구비하고, 제2 볼 수용부(B2)에 볼 가이드 레일(115p)을 배치함으로써 제1 핀(51)은 볼(115b)(ball)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마찰 토크를 최소화함에 따라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제2 볼 수용부(B2)에서 제1 핀(51)과 볼(115b)이 제거된 도면이며, 도 5c는 제1 핀(51)의 직경과 볼 가이드 홈(115r)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볼 가이드 레일(115p)에 의해 볼 가이드 홈(115r)이 단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제1 볼 가이드 레일(115p1)과 제2 볼 가이드 레일(115p2) 사이에 제1 볼 가이드 홈(115r1)과, 제2 볼 가이드 레일(115p2)과 제3 볼 가이드 레일(115p3) 사이에 제2 볼 가이드 홈(115r2) 및 제3 볼 가이드 레일(115p3)과 제1 볼 가이드 레일(115p1) 사이에 제3 볼 가이드 홈(115r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 가이드 레일(115p1) 내지 제3 볼 가이드 레일(115p3)의 각각에 제1 볼(115b1) 내지 제3 볼(115b3)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볼 수용부(B2)에 볼 가이드 레일(115p)을 구비하고, 상기 볼 가이드 레일(115p) 사이에 볼 가이드 홈(115r)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볼(115b)들이 각 볼 가이드 레일(115p) 내에 가이드 됨과 아울러 제1 핀(51)과 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볼(115b)은 제1 직경(D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은 제2 직경(D2)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볼 가이드 홈(115r)의 제2 직경(D2)이 볼(115b)의 제1 직경(D1)에 비해 크게 설계되어 상기 볼(115b)이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에 배치되어 가이드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은 상기 제1 핀(51) 방향으로 개방영역이 있으며, 상기 개방영역의 제3 이격거리(D3)는 상기 볼(115b)의 직경(D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에서의 개방영역의 제3 이격거리(D3)가 상기 볼(115b)의 제1 직경(D1)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볼(115b)이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가이드 되면서 상기 제1 핀(51)과 점 접촉함으로써 주밍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상기 볼(115b)은 상기 볼 가이드 홈(115r)에 z축 방향으로 끼워지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등으로 이탈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2)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2)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는 제1 핀(51) 및 제1 렌즈군(1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핀(51)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제1 마그넷(116)과 제1 구동부(310)간의 상호 작용으로 전자기력이 발행되어 제1 하우징(112)에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상기 제1 요크(312)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카메라 모듈에서 주밍을 통한 렌즈 이동 시 렌즈 디센터(decenter)나 렌즈 틸트(tilt)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제2 실시예에서 볼 수용부(115)는 타원형 단면의 제2 볼 수용 홈(115h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볼(115b)은 상기 제1 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310)의 제1 요크(312)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마그넷(116) 간에 인력(F)(도 3 참조)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 어셈블리(110)에 장착되는 마그넷(116)과 베이스(20)에 배치되는 제1 요크(312) 사이의 자력에 따른 인력(F)에 의해 제2 볼 수용 홈(115h2)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볼(115b1), 제2 볼(115b2)이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제1 핀(51)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차를 종래기술의 한계 수준 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7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3)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3)는 베이스(20), 제1 핀(51) 및 상기 제1 핀(51)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 하우징(112a), 제1 렌즈군(114) 및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제1 마그넷(116)과 제1 구동부(310)간의 상호 작용으로 전자기력이 발행되어 제1 하우징(112)에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상기 제1 요크(312)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3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제3 볼 수용부 홈(115h3)에 복수의 볼(115b)이 제1 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3)의 제3 볼 수용부(B3)의 예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 제3 볼 수용부(B3)는 가이드 트렌치(115q)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트렌치(115q)는 제1 핀(51)이 배치되는 제1 가이드 트렌치(115q1)와, 제1 볼(115b1)이 배치되는 제2 가이드 트렌치(115q2) 및 제2 볼(115b2)이 배치되는 제3 가이드 트렌치(115q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3 볼 수용부(B3)에 가이드 트렌치(115q)를 구비함으로써 제1 핀(51)이 제3 볼 수용부(B3)의 측면에서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함으로써 마찰 토크를 최소화함에 따라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하우징(112)에 장착되는 마그넷(116)과 제1 요크(312) 사이의 자력에 따른 인력(F)에 의해 제3 볼 수용 부(B3)의 제2 가이드 트렌치(115q2)와 제3 가이드 트렌치(115q3)에 각각 배치된 제1 볼(115b1), 제2 볼(115b2)이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제1 핀(51)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차를 종래기술의 한계 수준 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8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4)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4)는 제1 핀(51)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 하우징(112a), 제1 렌즈군(114) 및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제1 마그넷(116)과 제1 구동부(310)간의 상호 작용으로 전자기력이 발행되어 제1 하우징(112)에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상기 제1 요크(312)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4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에서 제4 볼 수용부(B4)는 타원형 단면의 제4 볼 수용 홈(115h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볼(115b)은 상기 제1 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구동부(310)의 제1 요크(312)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마그넷(116) 간에 인력(F)(도 3 참조)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하우징(112)에 장착되는 마그넷(116)과 베이스(20)에 배치되는 제1 요크(312) 사이의 자력에 따른 인력(F)에 의해 제4 볼 수용 홈(115h2)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볼(115b1), 제2 볼(115b2)이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제1 핀(51)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차를 종래기술의 한계 수준 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4)의 제4 볼 수용부(B4)의 예시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핀(51)은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볼(115b)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선형 리세스(51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핀(51)은 하측에 상기 제1 볼(115b1)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곡선형 리세스(51r1)와 상측에 상기 제2 볼(115b2)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2 곡선형 리세스(51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핀(51)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볼(115b)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선형 리세스(51r)를 포함함으로써 볼(115b)이 제4 볼 수용 홈(115h2)과 상기 곡선형 리세스(51r) 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5)의 단면도이다.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제5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5)에서는 상기 볼 수용부(115)가 제1 렌즈부(114)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5)는 제1 핀(51)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2)은 제1 렌즈 하우징(112a) 및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에 제1 렌즈군(114)이 배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이 상하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 하우징(112a)과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이 y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는 볼 수용부(115)가 배치되며, 볼 수용부(115)에는 제1 핀(51)과 복수의 볼(115b)이 배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5)은 제1 구동부 하우징(112b)에 장착된 제1 마그넷(116)과 제1 구동부(310)간의 상호 작용으로 전자기력이 발행되어 제1 하우징(112)에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제1 요크(312)와 상기 제1 요크(312)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제1 핀(51)을 구비하면서도 제1 하우징(112)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렌즈부(114)와 상기 볼 수용부(115)가 상하간에 얼라인 됨으로써 제1 렌즈부(114)의 중심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주밍 시 렌즈 기울어짐(tilt)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어셈블리가 제1 핀(51)을 따라 이동하되, 렌즈 어셈블리 내부의 볼 수용부(115)에 배치된 볼(115b)과 점 접촉하게 함으로써 마찰 크를 최소화함에 따라 구동력의 향상, 소비전력의 감소 및 제어특성 향상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마그넷(116)과 요크(312) 사이의 자력에 따른 인력을 고려하여 카메라 모듈을 설계 함으로써 조립공차를 종래기술의 한계 수준 미만으로 제어함으로써 렌즈 얼라인의 정밀도를 높여서 주밍(zooming) 시 디센터(decenter)나 렌즈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베이스(20); 핀(50);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제3 렌즈군(130), 제1 하우징(112), 볼 수용부(115), 복수의 볼(115b)
제3 렌즈군(130), 제1 하우징(112), 볼 수용부(115), 복수의 볼(115b)
Claims (1)
-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핀; 및
렌즈군을 포함하며 상기 핀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의 내부에 볼 수용부와 상기 볼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핀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볼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볼과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을 가이드 하는 렌즈 구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5931A KR20230079320A (ko) | 2018-04-12 | 2023-05-2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775A KR102536997B1 (ko) | 2018-04-12 | 2018-04-1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1020230065931A KR20230079320A (ko) | 2018-04-12 | 2023-05-2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775A Division KR102536997B1 (ko) | 2018-04-12 | 2018-04-1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9320A true KR20230079320A (ko) | 2023-06-07 |
Family
ID=68163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775A KR102536997B1 (ko) | 2018-04-12 | 2018-04-1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1020230065931A KR20230079320A (ko) | 2018-04-12 | 2023-05-2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775A KR102536997B1 (ko) | 2018-04-12 | 2018-04-12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994741B2 (ko) |
KR (2) | KR102536997B1 (ko) |
CN (1) | CN111971619B (ko) |
WO (1) | WO201919913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4488A (ko) * | 2018-10-19 | 2020-04-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N213423564U (zh) * | 2020-02-10 | 2021-06-11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光学元件驱动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78032B2 (ja) * | 1988-01-27 | 1998-07-23 | ソニー株式会社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DE69126098T2 (de) * | 1990-11-14 | 1997-10-02 | Canon Kk | Treibervorrichtung einer Objektivlinse |
US5272945A (en) | 1992-08-26 | 1993-12-28 | Kennametal Inc. | Toolholder assembly and method |
US7064912B2 (en) | 2003-04-17 | 2006-06-20 | Nidec Sankyo Corporation | Lens driving apparatus, thin camera, and a cellular phone having a thin camera |
CN101860167B (zh) | 2009-04-10 | 2013-05-0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致动器及相机模组 |
KR200460569Y1 (ko) | 2009-07-28 | 2012-06-14 | 이-핀 인터내셔널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자동초점렌즈모듈 |
JP2011059244A (ja) * | 2009-09-08 | 2011-03-24 | Nidec Sankyo Corp | レンズ駆動装置 |
EP2341379A3 (en) * | 2009-12-15 | 2011-08-03 | Dialog Imaging Systems GmbH | Camera module having a low-friction movable lens |
KR101095108B1 (ko) * | 2010-03-23 | 2011-12-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8320756B2 (en) * | 2010-08-10 | 2012-11-27 |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 Single actuator configuration for a camera module |
KR101234952B1 (ko) * | 2010-10-25 | 2013-02-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디지털 카메라용 렌즈 구동장치 |
JP5627991B2 (ja) | 2010-10-27 | 2014-11-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カメラモジュール |
CN103163623A (zh) * | 2011-12-14 | 2013-06-19 | 株式会社腾龙 | 镜片驱动机构、镜头镜筒以及摄像装置 |
JP2013140284A (ja) * | 2012-01-05 | 2013-07-18 | Sony Corp |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
CN203133365U (zh) | 2013-01-14 | 2013-08-14 | 瑞声声学科技(苏州)有限公司 | 镜头驱动装置 |
KR101440807B1 (ko) | 2013-08-20 | 2014-09-17 | (주)옵티스 | 렌즈 구동장치 |
US9531953B2 (en) | 2013-10-11 | 2016-12-2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2220729B1 (ko) * | 2014-02-27 | 2021-02-2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구동모터 |
KR101751105B1 (ko) | 2014-12-19 | 2017-06-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20160341975A1 (en) * | 2015-05-21 | 2016-11-24 | Jahwa Electronics Co., Ltd. | Camera lens module |
KR102680165B1 (ko) * | 2016-07-04 | 2024-07-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KR102418995B1 (ko) * | 2017-09-27 | 2022-07-11 |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 카메라 모듈 |
-
2018
- 2018-04-12 KR KR1020180042775A patent/KR102536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4-12 US US17/044,200 patent/US11994741B2/en active Active
- 2019-04-12 WO PCT/KR2019/004465 patent/WO201919913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4-12 CN CN201980025413.6A patent/CN111971619B/zh active Active
-
2023
- 2023-05-22 KR KR1020230065931A patent/KR202300793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971619A (zh) | 2020-11-20 |
WO2019199130A1 (ko) | 2019-10-17 |
CN111971619B (zh) | 2022-05-24 |
US11994741B2 (en) | 2024-05-28 |
KR102536997B1 (ko) | 2023-05-25 |
KR20190119390A (ko) | 2019-10-22 |
US20210096321A1 (en) | 2021-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0987B1 (ko) | 렌즈 구동장치 | |
CN112740102B (zh) | 透镜驱动装置和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 |
WO2021136280A1 (zh) | 变焦镜头、相机模组和电子装置 | |
WO2021136351A1 (zh) | 变焦镜头、相机模组和电子装置 | |
US12066690B2 (en) | Lens assembly | |
CN112534348B (zh) | 透镜驱动装置和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 |
KR20230079320A (ko) |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11971652B2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586187B1 (ko) |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 |
CN213690191U (zh) | 光路转换模块及包括其的相机模块和便携式终端 | |
KR20200072256A (ko) |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10014875A (ko) |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200119630A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
US20220155553A1 (en) |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30384649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 |
US11985405B2 (en) | Camera module | |
US20240027877A1 (en) | Camera module and moving device | |
KR20210014874A (ko) |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휴대 단말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