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815A -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815A
KR20200044815A KR1020207005387A KR20207005387A KR20200044815A KR 20200044815 A KR20200044815 A KR 20200044815A KR 1020207005387 A KR1020207005387 A KR 1020207005387A KR 20207005387 A KR20207005387 A KR 20207005387A KR 20200044815 A KR20200044815 A KR 2020004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ass
skin
cosmetic bas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087B1 (ko
Inventor
켄토 우에노
아야코 이베
마사유키 키쿠타
아야카 호리
다이키 후지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20004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없는 외관과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기제를 제공하는 것, 특히, 외관이 샤베트 형태로 겉보기의 청량감을 주고, 또한 피부에의 도포시에 화장료가 부드럽게 터져서 무너짐과 아울러 물이 넘쳐나는듯한 독특한 감촉을 부여하는 새로운 사용감의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0.15∼0.6질량%의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B) 0.25∼1.35질량%의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기제로서, 상기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의 합계 배합량이 0.5∼1.5질량%인 화장료 기제, 및 상기 화장료 기제를 사용한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
본 발명은 새로운 외관 및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기제 및 상기 기제를 사용한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샤베트 형태의 외관을 갖고, 피부에 도포하면 화장료가 무너져서 물이 넘쳐나는 듯한 독특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는 화장료 기제 및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나 피부외용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제제의 안정성이나 사용성의 조정 또는 제형 유지 등을 위해서 여러가지 증점제가 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수용성 모노머와 소수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회합성 증점제가 염농도나 pH 등의 외적요인에 대해서 우수한 증점 안정성을 갖고, 촉촉함 등의 사용성도 우수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과 친수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겔을 분쇄해서 얻어지는 미크로겔 및 분말을 소정량 배합한 유화 화장료가 개시되고, 상기 화장료는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 침투감을 상기시키는 붕괴감을 가진다고 기재되어 있다.
한편,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은 친수성(고흡수성)의 고분자로서 알려지고, 그것을 배합함으로써 무스형상을 띠고, 폭신폭신한 가벼운 독특한 사용감 및 청량감이 우수한 화장료가 얻어진다(특허문헌 3). 그리고,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전분·아크릴산 블록 중합체) 및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또한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조합해서 배합함으로써, 화장료의 경도의 온도 안정성을 향상시킨 예가 있다(특허문헌 4). 그러나, 특허문헌 4의 발명은 화장료를 일정 이상의 경도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추가로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배합할 필요가 있다(특허문헌 4의 비교예 5 및 6 참조).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화장료는 단단한 사용 감촉의 것이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0-2391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4038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1-25615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30698호 공보
상기 기술의 현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종래에 없는 외관과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기제를 제공하는 것, 특히, 외관이 샤베트 형태로 겉보기의 청량감을 주고, 또한 화장료가 부드럽게 터져서 무너짐과 아울러 물이 넘쳐나는듯한 독특한 감촉을 부여하는 새로운 사용감의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특정 증점제를 조합해서 배합함과 아울러, 이들 각각의 배합량 뿐만 아니라 양자의 합계 배합량을 특정 범위내가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독특한 외관과 사용감이 달성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0.15∼0.6질량%의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B) 0.25∼1.35질량%의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기제로서,
상기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의 합계 배합량이 0.5∼1.5질량%인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기제는 외관이 샤베트 형태로 겉보기의 청량감을 주고, 또한 피부에 도포하면 부드럽게 터져서 무너짐과 아울러 물이 넘쳐나는듯한 독특한 감촉을 부여하는 새로운 외관 및 사용감을 갖고, 특히 피부 화장료로 하기에 적합하다.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A성분)은 전분에 아크릴산을 그래프트 중합한 것의 나트륨염이며, 고흡수성의 폴리머로서 알려지며, 화장료 분야에 있어서는 흡착제, 결합제, 유화 안정제, 친수성 증점제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은 백색 입자상으로 조제된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MAKIMOUSSE7(평균 입경 약 7㎛), MAKIMOUSSE12(평균 입경 약 12㎛), MAKIMOUSSE25(평균 입경 약 25㎛), 및 MAKIMOUSSE400(평균 입경 약 400㎛)(이상, 다이토 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Sanflesh ST-100C, ST100MC 및 IM-300MC(이상, 산요 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분을 주쇄로 하고, 아크릴계 폴리머가 그래프트된 고흡수성 폴리머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한 폴리머(INCI명:전분/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나트륨 코폴리머)의 시판품으로서는 Water Lock A-240, A-180, B-204, D-223, A-100, C-200 및 D-223(Grain Processing사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기제에 있어서의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기제 전량에 대해서 0.15∼0.6질량%, 바람직하게는 0.15∼0.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55질량%이다. 배합량이 0.15질량% 미만이면 샤베트 형태의 외관이 얻어지지 않는다. 배합량의 하한값은 예를 들면 0.16질량% 이상, 0.17질량% 이상, 0.18질량% 이상, 0.19질량% 이상, 또는 0.20질량% 이상 등의, 상기 범위내의 임의의 값으로 해도 좋다. 배합량이 0.6질량%를 초과하면, 미끄러운 사용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배합량의 상한값은 0.54질량% 이하, 0.53질량% 이하, 0.52질량% 이하, 0.51질량% 이하, 0.50질량% 이하, 또는 0.49질량% 이하 등의 상기 범위내의 임의의 값으로 해도 좋다.
(B)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B)성분은 분자내에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이다. 「회합성 증점제」란 수용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소수성 부분을 갖는 공중합체이며, 수성 용매 중에서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회합함으로써 마치 물리적으로 가교한 거대분자로서 행동함으로써 계를 증점하는 작용을 갖는 증점제이다(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의 단락 0014 등을 참조).
본 발명의 (B)성분은 친수성 부분으로서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이다. 폴리옥시알킬렌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옥시에틸렌쇄, 폴리옥시프로필렌쇄, 폴리옥시부틸렌쇄 등이 예시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하, (B)성분을 단지 「회합성 증점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합성 증점제((B)성분)는 (B-1)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 및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B-1)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 및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중 어느 1종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배합해도 좋다.
(B-1)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본 발명의 화장료 기제에서 사용되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B-1성분)으로서는 하기 식(I):
Figure pct00001
로 나타내어지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I) 중, R1,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원자수 2∼4의 알킬렌기, 또는 페닐에틸렌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2∼4의 알킬렌기이다.
R3은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5는 탄소원자수 8∼36, 바람직하게는 12∼24의 직쇄, 분기 또는 2급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은 2 이상의 수, 바람직하게는 2이다. h는 1 이상의 수, 바람직하게는 1이다. k는 1∼500의 수, 바람직하게는 100∼300의 수이다. n은 1∼200의 수, 바람직하게는 10∼100의 수이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으로서는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상기 식(I)에 나타내는 코폴리머로서, R1=에틸기, R2 및 R4는 각각 에틸렌기, R3=헥사메틸렌기, R5=2-도데실도데실기, h=1, m=2, k=120, n=20인 것)를 들 수 있다. 상기 코폴리머는 상품명 「아데카놀 GT700」 또는 「아데카놀 GT730」으로서 가부시키가이샤 ADEKA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B-2성분)는 일반식(II)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II)에 있어서, R은 결합기 R1-R2이며, R1은 분자내에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CH2CH(CH3)O]r-, -[CH2CH2O]r-, 및, -[CH2CH(OH)CH2O]r-로부터 선택되는 기(식 중, r은 0∼4의 정수이다)이며, R2는 탄소원자수가 12∼28인 탄화수소기(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가 1∼4인 알킬기), 및 수소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이며, 1분자 중의 R2 중 적어도 1개는 탄소원자수가 12∼28인 탄화수소기(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1∼4의 알킬기)이다. A는 기 -(CH2)t-(t는 1∼3의 정수)이며, s는 100∼10000의 수이다.
식(II)의 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는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유도체에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통해 소수성기인 장쇄 알킬기를 도입한 구조를 갖는다. 분자의 기가 되는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유도체는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프로필셀룰로오스, 부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이며, 이들과 장쇄 알킬글리시딜에테르(예를 들면 하기 식(II')로 나타내어지는 것)를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II')에 있어서, R'은 탄소원자수가 10∼28, 적합하게는 12∼22인 알킬기이다.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유도체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고, 특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쇄 알킬글리시딜에테르(II')의 R'은 스테아릴기(-C18H37) 또는 세틸기(-C16H33)인 것이 바람직하다(이들의 경우, -CH2CH(OH)CH2OR'은 -CH2CH(OH)CH2O-C18H37 또는 -CH2CH(OH)CH2O-C16H33이 된다).
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B-2성분)의 가장 바람직한 양태는 식(II')에 있어서의 소수기 R'을 스테아릴기로 한 스테아록시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이며, 「산제로스」라는 상품명으로 다이도 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상품명:산제로스 90L, 90M, 90H, 60L, 60M, 및 60H 등).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B-3성분)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의 주쇄를 폴리옥시알킬렌쇄로 가교한 크로스 폴리머이다. 회합성 증점제로서 작용하는 한, 폴리아크릴레이트계의 주쇄는 여러가지 치환기(측쇄)를 갖고 있어도 좋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B-3성분)의 예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6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6은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 라우릴과 메타크릴산 라우레스-4의 공중합체를 트리아크릴산 트리메티롤프로판으로 가교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세픽(SEPPIC)사에서 「SEPIMAX ZEN」이라고 하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B)회합성 증점제의 배합량은 화장료 기제의 전량에 대해서 0.25∼1.35질량%, 바람직하게는 0.25∼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0.8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8질량%이다. 0.25질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 독특한 사용감을 실현할 수 없다. 배합량의 하한값은 예를 들면 0.26질량% 이상, 0.27질량% 이상, 0.28질량% 이상, 0.29질량% 이상, 또는 0.30질량% 이상 등의 상기 범위내의 임의의 값으로 해도 좋다. 1.35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끈적거림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배합량의 상한값은 1.30질량% 이하, 1.20질량% 이하, 1.10질량% 이하, 1.00질량% 이하, 0.80질량% 이하, 또는 0.70질량% 이하 등의, 상기 범위내의 임의의 값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기제는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B)회합성 증점제의 각각의 배합량을 상기와 같이 특정함과 아울러, 양자의 합계 배합량을 0.5∼1.5질량%의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독특한 외관 및 사용감을 달성하고 있다. 이 합계 배합량의 상한값은 1.3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합계 배합량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0.5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기제는 샤베트 형태의 외관 및 무너져서 물이 넘쳐나는듯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들의 특징을 살린 피부 화장료로서 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의 화장료 기제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에도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물이 넘쳐나는듯한 사용감」이란 도포 직후는 화장료로부터 물이 넘쳐나오는듯한 감촉을 수반하지 않는 샤베트 형태 도포물이지만, 손가락이나 손 등으로 압압함으로써 화장료내로부터 물이 튀어나오는듯한 감촉을 수반하여 피부 위에 수분이 퍼지는 상태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샤베트 형태의 외관」이란 화장료 자체는 실제로는 얼음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 외관으로부터 얼음과 물이 혼합한 샤베트를 상기시키는 외관을 의미한다. 그러한 외관을 갖는 화장료는 사용자에게 도포시의 청량감을 기대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를 냉장 또는 냉동해 두고, 여름철의 일광에 노출된 피부나 피로가 축적되었다고 느끼는 피부에 저온의 화장료를 도포함으로써, 외관으로부터 기대되는 청량감이 실제로 느껴짐과 아울러, 싱싱한 사용 감촉에 의해 매우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제를 사용한 피부 화장료는 그 특징으로부터 수성 화장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성 피부 화장료」란 유분의 배합량이 약 20질량% 이하인 피부 화장료를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분의 배합량을 15질량% 이하, 10질량% 이하, 8질량% 이하, 또는 5질량% 이하 등으로 할 수 있어 매우 가벼운 사용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유분의 배합량을 3질량% 이하로 줄이는 것, 또는 유분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유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 0.1질량% 이상, 0.5질량% 이상, 1.0질량% 이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피부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용액, 수중 유형 유화물, 수중 유중 수형 유화물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유분은 피부 화장료에 통상 배합될 수 있는 유분, 예를 들면 액체 유지, 고형 또는 반고형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동백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밍크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호호바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등의 액체 유지,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등의 탄화수소유,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의 고급 지방산, 라우릴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올레일 알콜, 모노스테아릴글레세롤에테르, 모노팔미틸글리세롤에테르,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이소스테아릴 알콜 등의 고급 알콜, 카프릴산 야자유 알킬,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스테아르산 부틸, 올레산 데실, 디옥탄산 에틸렌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트리옥탄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린,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아밀 등의 에스테르유,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등의 직쇄상 실리콘유,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유, 밀납, 칸데릴라납, 면납, 카르나우바납, 베이베리납, 수랍목납, 경납, 몬탄납, 쌀겨납, 라놀린, 케이폭납, 목납,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납,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납, 경질 라놀린, 세락납, 비즈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파라핀 왁스, POE라놀린알콜에테르, POE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글리세리드, 경화 피마자유, 바셀린,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의 상온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상의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직쇄상, 분기쇄상 또는 환상의 실리콘유, 예를 들면 디메티콘, 페닐디메티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알킬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유분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분을 유화시키는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HLB값이 7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장료나 피부외용제에 통상 배합되어 있는 성분,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향료, 각종 약효 성분, 방부제, 산화방지제, 분체, 색재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탄소수 1∼6의 알콜)을 배합하면,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청량감 및 상쾌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및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알콜을 배합해도 점도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배합하면, 도포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을 더욱 억제해서 실키한 감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안료나 색소 등의 색재를 배합한 착색 화장료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색재로서는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안료급의 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등); 미립자 금속산화물(예를 들면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티탄산 철 등); 무기 보라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 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티드마이카, 산화티탄 코티드옥시 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티드탤크, 착색 산화티탄 코티드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카본블랙;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청색 404호,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오렌지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색재로서 안료를 배합하는 경우, 화장료에 수용성 증점제(상기 A성분 및 B성분 이외)를 배합하면 안료 분말의 침강이 억제되어서 안정성이 향상된다. 수용성 증점제로서는 한천, 크산탄검,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펙틴, 퀸스시드(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 엑기스) 등의 식물계 고분자, 덱스트란,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POL 등)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증점제 중에서도 한천 및 임의로 다른 수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성 겔을 분쇄해서 얻어지는 미분상 한천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수용성 증점제에 의한 안정화 효과는 안료를 배합했을 때 뿐만 아니라,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탤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 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바미큐라이트,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규조토, 규산 마그네슘,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규산 바륨, 규산 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실리카, 히드록시어퍼타이트, 제올라이트, 질화 붕소, 세라믹스 파우더 등) 및/또는 유기 분말(PMMA 분말, 나일론 분말 등)을 배합한 경우에도 발휘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형태는 샤베트 형태의 외관을 띠는 젤상이며, 그 점도는 30℃에 있어서 B형 점도계로 측정한 값이 5,000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mPa·s 이상으로 한다. 점도의 상한값으로서는 250,00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0mPa·s 이하이다.
따라서, 한천 등의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0.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4질량%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준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성 성분, 분말 성분 및 유성 성분을 별도 혼합하고, 수성 성분에 분말 성분 및 유성 성분을 첨가해서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특히, 얼굴 또는 신체용 수성 화장료로서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하기 표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피부 화장료(시료)를 조제했다. 각 예의 시료에 대해서, 이하의 항목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에 아울러 나타낸다.
<청량감을 상기시키는 외관(샤베트 형태 외관)>
<무너져서 물이 넘쳐나는듯한 독특한 사용감(수분 붕괴감)>
전문 패널러(여성 10명)에게 각 시료(조성물)를 사용하게 하고, 샤베트 형태의 외관으로부터 청량감을 느끼는지의 여부, 피부에 도포하고나서 본 발명에 독특한 새로운 사용 감촉을 느끼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하기의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평가기준)
A+: 10명 중 9명 이상이 느낀다고 회답
A: 10명 중 8명 이상이 느낀다고 회답
B: 10명 중 5∼7명이 느낀다고 회답
C: 10명 중 3∼4명이 느낀다고 회답
D:10명 중 2명 이하가 느낀다고 회답
상기 외에 「도포했을 때의 상쾌감」, 「도포 후의 끈적거림 없음」, 「화장료의 엉킴」, 「피부의 촉촉감」에 관해서도 같은 기준으로 평가했다.
[표 1]
Figure pct00004
표 1에 나타내듯이,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B)회합성 증점제((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 각각의 배합량 및 양자의 합계 배합량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실시예 1-1∼1-3에서는 샤베트 형태 외관 및 수분 붕괴감의 평가가 「A+」로 되고, 거의 모든 패널러가 좋은 외관(샤베트 형태 외관) 및 감촉(수분 붕괴감)을 실감했다. 그러나,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또는 (B)회합성 증점제((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1 및 1-3, (B)회합성 증점제의 배합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비교예 1-2에서는 우수한 외관 및 감촉이 얻어지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1-1의 처방에 있어서, (B)회합성 증점제((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 및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의 배합량을 변화시킨 시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의 표 2-1, 2-2 및 2-3에 나타낸다.
[표 2-1]
Figure pct00005
[표 2-2]
Figure pct00006
[표 2-3]
Figure pct00007
표 2-1∼표 2-3에 나타내듯이,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B)회합성 증점제((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 각각의 배합량 및 양자의 합계 배합량이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샤베트 형태 외관 및 수분 붕괴감의 평가가 「B」이상으로 되고, 반수 이상의 패널러가 우수한 외관 및 감촉을 갖는다고 평가했다. 특히, 합계 배합량이 1질량% 이하이면 거의 모든 패널러가 우수한 외관 및 감촉을 갖는다고 평가했다(A+ 또는 A). 한편,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시료에서는 평가 결과가 「C」로 되고, 우수한 외관 및 감촉을 느낀 패널러가 반수 미만이었다.
이어서, (B)회합성 증점제를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 또는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로 치환한 시료에 대해서 같은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8
표 3에 나타내듯이, (B)회합성 증점제를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스테아록시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6으로 치환한 시료에 대해서도,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을 사용한 시료와 동등한 우수한 외관 및 감촉을 거의 모든 패널러가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임의 성분이 본 발명의 기제 및 화장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4∼7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09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회합성 증점제를 소정량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료에서는 에탄올 배합에 의한 대폭적인 감점이나 불안정화를 발생하지 않고 상쾌감(냉량감)이 얻어졌다(실시예 4-1, 4-2). 한편,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1 및 4-2는 50℃에서 3일간 보존한 후의 점도가 대폭 저하되고, 유화물의 분리도 보여졌다. 이 감점은 배합한 다른 유분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 것도 확인했다(비교예 4-3 및 4-4).
[표 5]
Figure pct00010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회합성 증점제를 소정량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료에서는 배합하는 유분의 종류를 변경해도, 샤베트 형태 외관 및 수분 붕괴감이라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분의 종류에 따라 도포 후의 끈적거림 정도 또는 화장료의 엉킴 상태에 약간의 변화가 생기지만, 모두 문제 없는 레벨이었다.
[표 6]
Figure pct00011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회합성 증점제를 소정량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료에서는 배합하는 유분의 종류/양을 변경해도, 샤베트 형태 외관 및 수분 붕괴감이라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분으로서 저점도의 직쇄상 실리콘유(실리콘 KF-96A-6T)를 증량하면, 도포 후의 끈적거림이 더욱 억제되고(실시예 6-2 및 6-3),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배합하면 「촉촉」한 느낌이 더욱 향상되었다.
[표 7]
Figure pct00012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회합성 증점제를 소정량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료에서는 배합하는 유분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변경해도 샤베트 형태 외관 및 수분 붕괴감이라고 하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어느 예나 도포 후의 끈적거림 없음, 촉촉한 감촉도 우수했다.
하기 표 8의 처방에서 안료 분말로 착색한 화장료(화장료 A)를 조정했다.
[표 8]
Figure pct00013
하기 표 9의 조성을 갖는 증점제 수용액(B)을 별도 조제했다.
[표 9]
Figure pct00014
이어서, 화장료 A와 증점제 수용액 B를 질량비 4:1로 혼합·교반해서 조정한 화장료 C와 화장료 A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50℃에서 4주간 정치한 후의 안료 분말의 침강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분말의 침강이 보여지지 않고 안정되었다.
C:분말의 침강이 보여졌다.
[표 10]
Figure pct00015
표 10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A 및 화장료 C는 샤베트 형태의 외관 및 수분 붕괴감을 갖고, 도포 후의 끈적거림도 느껴지지 않았다. 화장료 A에서도 충분한 촉촉감을 주지만, 수용성 증점제를 배합한 화장료 C는 촉촉감이 더욱 향상되었다. 또한 안료 분말을 배합한 화장료 A를 장기간 방치하면 분말의 침강이 생겼지만, 수용성 증점제를 배합함으로써 분말의 침강이 유효하게 억제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화장료의 다른 처방 예를 열거한다.
처방예: 메이크업베이스용 젤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에틸알콜 5
글리세린 4
디글리세린 0.5
디프로필렌글리콜 5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
소르비톨 3
말티톨 3
PEG/PPG-14/7디메틸에테르 2
PEG/PPG-17/4디메틸에테르 0.1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
0.5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0.35
크산탄검 0.01
PEG/PPG-19/19 디메티콘 0.6
수첨 폴리이소부텐 0.6
(아크리레이츠/아크릴산 알킬(C10-30)) 크로스 폴리머
0.05
디메티콘 5
페녹시에탄올 적량
산화티탄 0.9
히알루론산 0.0001
카모마일 추출액 0.01
멘톨 0.05
수산화칼륨 0.03
EDTA-2Na·2H2O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이온 교환수 잔여

Claims (11)

  1. (A) 0.15∼0.6질량%의 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 및
    (B) 0.25∼1.35질량%의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기제로서,
    상기 (A)아크릴산 Na 그래프트 전분과 (B)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의 합계 배합량이 0.5∼1.5질량%인 화장료 기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회합성 증점제가 (B-1)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 및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화장료 기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1)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이 하기 식(I):
    Figure pct00016

    [식(I) 중, R1,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원자수 2∼4의 알킬렌기, 또는 페닐에틸렌기를 나타내고; R3은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5는 탄소원자수 8∼36의 직쇄, 분기 또는 2급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2 이상의 수이며; h는 1 이상의 수이며; k는 1∼500의 수이며; n은 1∼200의 수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장료 기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1)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이 (PEG-24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인 화장료 기제.
  5. 제 2 항에 있어서,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가 하기 식(II):
    Figure pct00017

    (R은 결합기 R1-R2이며, R1은 분자내에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CH2CH(CH3)O]r-, -[CH2CH2O]r-, 및, -[CH2CH(OH)CH2O]r-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식 중, r은 0∼4의 정수이다)이며, R2는 탄소원자수가 12∼28인 탄화수소기, 수소원자, 및, 탄소원자수가 1∼4인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이며, 적어도 1개소의 R2는 탄소원자수가 12∼28인 탄화수소기이다. A는 기 -(CH2)t-(t는 1∼3의 정수)이며, s는 100∼10000의 수이다)로 나타내어지는 화장료 기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2)소수 변성 알킬셀룰로오스가 스테아록시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인 화장료 기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3)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가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6인 화장료 기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기제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9. 제 8 항에 있어서,
    5,000mPa·s∼250,000mPa·s의 점도를 갖는 젤상인 피부 화장료.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유분의 배합량이 20질량% 이하인 피부 화장료.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말 및 수용성 증점제(성분 A 및 B는 제외한다)를 더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20207005387A 2017-08-31 2018-08-29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 KR10263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1338 2017-08-31
JPPCT/JP2017/031338 2017-08-31
PCT/JP2018/031890 WO2019044880A1 (ja) 2017-08-31 2018-08-29 化粧料基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815A true KR20200044815A (ko) 2020-04-29
KR102635087B1 KR102635087B1 (ko) 2024-02-08

Family

ID=6552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387A KR102635087B1 (ko) 2017-08-31 2018-08-29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60262B2 (ko)
EP (1) EP3677249A4 (ko)
JP (1) JP7250681B2 (ko)
KR (1) KR102635087B1 (ko)
CN (1) CN111065372A (ko)
TW (1) TW201919580A (ko)
WO (1) WO2019044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71859A1 (en) * 2018-12-28 2022-03-10 Shiseido Company, Ltd. Gel-type cosmetic
JP7339041B2 (ja) * 2019-07-12 2023-09-05 株式会社ノエビア ジェル状化粧料
JP2021031434A (ja) * 2019-08-23 2021-03-01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2021038180A (ja) * 2019-09-05 2021-03-11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化粧料
CN113520884B (zh) * 2021-07-26 2022-10-18 广西科技大学 一种固化时间稳定的根管充填糊剂及其制备方法
WO2023105363A1 (en) 2021-12-09 2023-06-15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composition
CN114617798A (zh) * 2022-04-13 2022-06-14 广东博然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冰沙凝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120A (ja) 1998-12-17 2000-09-05 Shiseido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11256154A (ja) 2010-06-04 2011-12-22 Daito Kasei Kogyo Kk 化粧料
JP2014040385A (ja) 2012-08-21 2014-03-06 Shiseido Co Ltd 乳化化粧料
JP2015030698A (ja) 2013-08-02 2015-02-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5034132A (ja) * 2013-08-07 2015-02-19 大同化成工業株式会社 外用剤用組成物
JP2015166418A (ja) * 2014-03-03 2015-09-24 住友精化株式会社 増粘組成物
JP2015224212A (ja) * 2014-05-27 2015-12-14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組成物
JP2016510726A (ja) * 2013-02-25 2016-04-11 ロレアル ゲル型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6040B2 (ja) * 2001-03-12 2011-05-18 小川香料株式会社 ゲル状芳香剤組成物
KR20100029000A (ko) * 2007-06-22 2010-03-1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피부 화장료
JP4979095B2 (ja) * 2010-04-28 2012-07-18 株式会社 資生堂 増粘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
KR101526640B1 (ko) * 2011-09-16 2015-06-08 (주)아모레퍼시픽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5989226B2 (ja) * 2013-02-28 2016-09-07 株式会社マンダム 皮膚用ジェル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120A (ja) 1998-12-17 2000-09-05 Shiseido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11256154A (ja) 2010-06-04 2011-12-22 Daito Kasei Kogyo Kk 化粧料
JP2014040385A (ja) 2012-08-21 2014-03-06 Shiseido Co Ltd 乳化化粧料
JP2016510726A (ja) * 2013-02-25 2016-04-11 ロレアル ゲル型化粧料組成物
JP2015030698A (ja) 2013-08-02 2015-02-1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5034132A (ja) * 2013-08-07 2015-02-19 大同化成工業株式会社 外用剤用組成物
JP2015166418A (ja) * 2014-03-03 2015-09-24 住友精化株式会社 増粘組成物
JP2015224212A (ja) * 2014-05-27 2015-12-14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7249A1 (en) 2020-07-08
US11660262B2 (en) 2023-05-30
JP7250681B2 (ja) 2023-04-03
EP3677249A4 (en) 2021-06-02
JPWO2019044880A1 (ja) 2020-10-01
CN111065372A (zh) 2020-04-24
WO2019044880A1 (ja) 2019-03-07
US20200352845A1 (en) 2020-11-12
TW201919580A (zh) 2019-06-01
KR102635087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5087B1 (ko)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사용한 피부 화장료
US8318187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JP3682722B2 (ja) 化粧メーキャップ組成物
EP1621229A1 (en) Shine enhancing film formers
EP3236918B2 (en) Use of a fatty acid ester for mattifying the skin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is ester
JP2018518493A (ja) アルキルセルロース、少なくとも1種の不揮発性油及び炭化水素系樹脂を含む水性化粧用組成物
KR100356553B1 (ko) 친수성 증점 화합물 및 다당 알킬 에테르를 함유한 유제, 상기 유제를 함유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22030491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mps® copolymer, at least one acyl glutamic acid or a salt thereof and at least one alkyl polyglucoside
JP2015187183A (ja) ホホバオイルを含むメイクアップ除去ゲル
JP7431044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4067622A (ja) 整髪用乳化化粧料
JP2023552428A (ja) ポリマーと、メントール及びその誘導体から選択される化合物とを含む水分補給組成物
US20230000729A1 (en) Lipsticks having natural oil, fatty alcohol wax and filler particles
JP6716545B2 (ja) 皮膚化粧料
CN111107835B (zh) 乳化整发剂组合物
EP4003287A1 (en) A water-in-oil emulsion with emolli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23511655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CN112512487A (zh) 毛发化妆品
WO2023278383A1 (en) Lipsticks having natural oil, fatty alcohol wax and filler particles
WO2020027076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22186337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20130224142A1 (en) Mascara compositions containing a micronized wax and a nonionic polycondensate
JP2004277419A (ja) ヒドロキシル化カルボン酸のトリグリセリド由来のポリエステルおよびペースト状化合物を含む化粧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