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215A -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0215A KR20200040215A KR1020197038001A KR20197038001A KR20200040215A KR 20200040215 A KR20200040215 A KR 20200040215A KR 1020197038001 A KR1020197038001 A KR 1020197038001A KR 20197038001 A KR20197038001 A KR 20197038001A KR 20200040215 A KR20200040215 A KR 202000402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door lock
- relay
- command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6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2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anti-th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나 CAN을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한다.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는, 유저 단말로부터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서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차량의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 사이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에 이용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저 단말로부터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서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한 차재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사용의 형태로서, 자기 소유나 카 리스(car lease) 외에,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들 수 있지만, 근래에는 복수의 유저가 차량을 공유하는 카셰어링이 퍼지고 있다. 특히, 카셰어링에서는 단시간만 차량을 사용하고 싶은 유저나, 특정 일시에만 차량을 사용하고 싶어 하는 유저 등에게, 편리성이 좋고, 게다가, 차량을 복수의 유저가 공용하므로, 차량을 유효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 효율이 높아져, 코스트면에서도 메리트가 있다.
종래의 카셰어링용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FeliCa(등록상표) 칩 탑재된 IC 카드를 차량의 도어록용의 키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측에 Felica(등록상표) 대응의 단말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또한, Felica(등록상표) 칩과 차재측의 Felica(등록상표) 대응의 단말장치 간의 대응시킴의 처리가 필요하여,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의 도어록용의 키로서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스마트폰을 키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측에는 스마트폰과 통신 가능한 단말장치를 마련한 다음에, 스마트폰측에 대상 차량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미리 다운로드해 둘 필요가 있어, 사전의 스마트폰의 키 정보의 다운로드가 수고로 되어 버린다. 게다가, Felica(등록상표) 칩 탑재된 IC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Felica(등록상표) 칩 탑재된 IC 카드나 스마트폰의 도난이나 분실시에는, 차량의 키가 악용될 우려가 있는 것과 함께, 그것들의 유저는, 대상 차량의 도어록을 해정·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과 차량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차량의 도어록을 해정·시정하는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할 때에는, 휴대 전화 등의 유저 단말로부터 원격 유저 서버에 대해서 유저 리퀘스트를 송신하면, 원격 유저 서버에서는 유저를 인증하고, 원격 차량 서버에 대해 해정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해정 리퀘스트를 수신한 원격 차량 서버에서는 차량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서 도어를 해정하기 위한 리퀘스트를 송신하면, 다음으로, 차량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도어록을 해정하기 위한 리퀘스트가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송신되어, 차량의 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차량의 통신 디바이스가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하기 위한 리퀘스트를 원격 차량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하기 위한 리퀘스트가 차량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ECU 등의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송신됨으로써, 도어록이 시정 또는 해정된다. 또한, 종래의 Felica(등록상표) 칩 탑재된 IC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시정 또는 해정의 리퀘스트는, ECU 등의 차량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된다. 여기서 차량에 있어서의 ECU와 통신 디바이스나 도어록 시스템 간의 통신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CAN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된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Local Interconnect Network(LIN), FlexRay 등과 함께, 차재 제어 네트워크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차량의 대부분에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CAN은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취약하다는 것이 지적되어 있다. CAN으로의 공격 사례로서, 위장 메시지를 주입함으로써, 미터의 표시 고침이나, 브레이크의 무효화와 같은 부정 제어가 가능한 것이 실증되어 있다.
한편, 차량에는 OBD2(On-Board Diagnostics second generation)로 불리는, 차량의 자기 진단 기능이 부속되어 있다. 차량의 트러블시에는,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여 OBD2에 접속함으로써, 당해 차량의 어디에 불량이 있는지(예를 들면 인젝션 회로의 불량 등)를 판정할 수 있다. 근래, 텔레매틱스 단말에서는, 전술한 OBD2에 접속함으로써, OBD2에 흐르고 있는 CAN 정보(예를 들면, 연비 정보, 속도 정보 등)를 서버에 센싱하는 단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텔레매틱스 단말의 취약성을 발판으로 하여, 무선 통신으로부터 차내 네트워크에 침입하여, 차량을 원격 제어하는 사례가 발견됨으로써, OBD2를 사용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의 위험성이 인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텔레매틱스 단말에는 OBD2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정보 센싱을 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과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과제는,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나 CAN을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나 CAN을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유저 단말로부터 서버를 통해서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나 CAN을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유저 단말로부터 직접 차재기기에 대해서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나 CAN을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나,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버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때에, 차량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상기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상기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량의 예약을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도어록 키 정보의 관리를 행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또한, 본원의 다른 과제는, 유저 단말이 없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차재기기에 서버로부터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송신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차재기기는, 유저 단말로부터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서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차량의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 사이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릴레이를 구비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로서, 상기 내부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또는 해정을 제어하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도어록 모터 유닛, 진공 펌프 유닛, 또는 집중 도어록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릴레이는 제1 내부 릴레이 및 제2 내부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릴레이 및/또는 상기 제2 내부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또는 해정을 제어하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 제3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이 상기 제1 외부 릴레이에 의해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이 상기 제2 외부 릴레이에 의해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에 상기 제1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2개의 급전선에는 각각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도어록 릴레이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에 상기 제1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2개의 급전선에는 각각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를 통해서 도어록 릴레이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배선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에 상기 제1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1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상기 1개의 급전선에는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배선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은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에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3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1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상기 1개의 급전선에는 제1 외부 릴레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부 릴레이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배선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이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 제10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유저 단말로부터의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을, 서버를 통해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 제10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유저 단말로부터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을 직접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 ~ 제12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양태의 차재기기는, 제13 양태의 차재기기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양태의 차량은, 제1 ~ 제14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 양태의 시스템은, 제1 ~ 제14 중 어느 양태의 차재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7 양태의 시스템은, 제16 양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여 특정 차량의 예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8 양태의 시스템은, 제17 양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예약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차량의 차재기기에 대응하는 도어록 키 정보를 사전에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도어록 키 정보에 기초하여,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차재기기에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서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9 양태의 시스템은, 제16 ~ 제18 중 어느 양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 경우, 사전의 연장 수속 없이 상기 예약의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상기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차량의 차재기기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0 양태의 시스템은, 제17 ~ 제19 중 어느 양태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도어록 키 정보가 보내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예약의 확인 및 유저의 인증이 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차량의 차재기기에 대해서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를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각종의 도어록 액츄에이터에 대응시킬 수 있다.
제3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2개의 내부 릴레이를 마련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를 시정 방향 또는 해정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2개의 외부 릴레이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제5 ~ 제10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1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유저 단말로부터 서버를 통해서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를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2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카 렌털이나 카셰어링을 위한, 차량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에 있어서, 유저 단말로부터 직접 차재기기에 대해서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가 차량의 ECU를 통하는 일 없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3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나,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버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14 양태의 차재기기에 의하면, 본원의 다른 과제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때에, 차량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5 양태의 차량에 의하면, 상기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제16 양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의 효과를 달성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17 ~ 제18 양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예약을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도어록 키 정보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제19 양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필요한 경우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된다.
제20 양태의 시스템에 의하면, 유저 단말이 없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차재기기에 서버로부터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재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카셰어링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5는 릴레이값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기동 제어선이 1개의 차종인 경우의 설명도이며, 도 5의 (B)는 기동 제어선이 2개의 차종인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릴레이의 배선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메모리 내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릴레이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릴레이 감시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엔진 연동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7은 차종별 기동 불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재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카셰어링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5는 릴레이값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기동 제어선이 1개의 차종인 경우의 설명도이며, 도 5의 (B)는 기동 제어선이 2개의 차종인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릴레이의 배선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메모리 내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릴레이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릴레이 감시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엔진 연동 제어부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의 배선도이다.
도 17은 차종별 기동 불가 상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을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이것들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1]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를 통해서 차량(2)의 차재기기(1)에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송신하여, 차재기기(1)에 의해 차량의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과 관련하여,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라고 하는 용어를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에 관해서는, 가솔린 엔진 등의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을 예시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의해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23)을 절단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차량을 기동 불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과 관련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 등의 용어를 이용함으로써, 앞의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라고 하는 용어와 구별한다.
도 1은 카 렌털 또는 카셰어링에 이용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카 렌털 또는 카셰어링에 있어서, 특정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 경우, 사전의 연장 수속 없이 상기 예약의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상기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또는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당해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 렌털 또는 카셰어링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기동 불가 상태)할 필요가 있는 것에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카 리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카 리스에 적용하는 경우, 유저에게 차량을 제공하고, 소정의 기한 내에 유저로부터 이용 요금(예를 들면 월액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원격으로 정지(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과 함께, 당해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여 회수하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2는 유저에게 제공된 차량, 1은 차량(2)에 설치되는 차재기기, 3은 차재기기(1)와 통신하여 각 차량의 시정 및 해정을 관리하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과 통신하여 차량의 예약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차재기기(1)는 1대의 차량에 1개 설치된다. 차재기기(1)의 차량(2)에의 설치 장소는, 차재기기(1)가 차량(2)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어가 가능하기만 하면, 차량(2)의 어느 장소여도 상관없다. 차재기기(1)가 옵션인 경우에는, 조수석의 시트 아래 등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난 방지의 관점에서, 차재기기(1)를 떼어내기 어려운 장소, 예를 들면 엔진룸의 하부나 계기판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추가로는, 차재기기(1)를 차량(2)의 제조시에 미리 내장해 둘 수도 있다. 차재기기(1)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수집한 차량(2)의 차량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서버에 송신하는 것과 함께, 서버(3)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시정 지령, 해정 지령,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차량(2)의 도어록 액츄에이터(29) 및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도 2 참조)를 제어한다.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함으로써, 유저 단말로부터의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에 기초하여, 서버(3)를 통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원격으로부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고(기동중의 엔진을 끊는 것은 아니며, 엔진의 재시동을 금지하는 것임.), 기동 가능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로서는, 차재기기(1) 및 서버(3) 간의 통신이 가능하기만 하면 임의의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서버(3)는 유저 정보 관리부(38), 원격 제어 지시부(31), 차량 정보 수집부(32) 및 송수신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과의 통신에 의해 차량의 예약을 관리하고, 예약 상황에 대응하여 유저 단말(37)에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로부터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접수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는 차재기기(1)에 대한 시정 지령, 해정 지령,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생성한다. 차량 정보 수집부(32)는 차재기기(1)로부터의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송수신부(33)는 차재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서버(3)는 관리자 단말(35), 금융기관(36)과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37)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이 바람직하고, 차량의 도어록 키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휴대 가능한 필요가 있고, 추가로, 차량(2) 및 유저 단말(37)에 GPS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2) 및 유저 단말(37)이 GPS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서버(3)는 차량(2)에 탑재된 GPS에 의해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의 GPS에 의해 유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송신되는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이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유저 단말(37)이 대응하는 차량(2)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유저 단말(37)로부터 해정 지령이 송신되어도, 서버(3)에서는 당해 해정 지령은 무효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유저 단말(37)이 대응하는 차량(2)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에 유저 단말(37)로부터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서버(3)에서는 당해 해정 지령은 유효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차량(2) 및 유저 단말(37)에 구비된 GPS 기능에 의해서, 차량(2) 및 유저 단말(37)의 거리를 검출했지만, 그 외의 구성에 의해서 차량(2) 및 유저 단말(37)의 거리를 검출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37) 및 차재기기(1)에, 각각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의 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저 단말(37)과 예약 차량(2)의 거리가,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에어리어 내인지 여부에 의해서 거리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FRID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자택의 PC로부터 차량의 예약을 행했을 경우여도, 도어록 키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있으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차량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37)로서는 하나의 휴대 단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및 태블릿 단말과 같은 복수의 휴대 단말 모두가 특정한 하나의 차량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하는 등, 다종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서버(3)는 외부의 금융기관(36)과 접속됨으로써,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지만, 서버(3)에 금융기관(36)의 기능을 마련해도 된다.
송수신부(33)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통해서, 복수의 차재기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도 1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에 의한 통신, 및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을 별개로 도시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 네트워크(34)에 의해,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유저 단말(37) 간의 통신도, 예를 들면 2G, 3G, 4G, 5G, Wi-Fi(등록상표), WiMAX(등록상표), 무선 LAN, 비컨,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관리자 단말(35)은 관리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과, 관리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면 PC, 태블릿 단말, 휴대 단말 등으로 이루어진다.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서버(3)는 차재기기(1)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하는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차량 정보로서는, 차량의 도어록의 상황, 차량의 동력의 온·오프 정보, 전원 입력 검지 정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의 상태, 및 GPS에 의한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3)가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인지,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인지, 혹은,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의 판단, 사전의 연장 수속없이 예약의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 대응하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지 여부의 판단, 후술하는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또는 후술하는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을 행할지 여부의 판단 등은, 서버(3)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메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서버(3)에 의해 자동화하면,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들 판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메뉴얼로 행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서버(3)에 있어서 복잡한 조건 판단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3)의 구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3)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셰어링, 카 렌털의 경우, 유저가 차량의 수령 및 반환하는 주차장은, 복수 지점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 중에서, 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카 리스의 경우에도, 유저는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주차장을 사전에 등록하고 있다. 사전에 등록한 주차장에 상당하는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서, 소정 시간 이상, 차량의 동력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차량을 주차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사전에 등록된 주차장 이외의 장소에 있고, 차량의 동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오프 상태로는 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차량이 유저의 사전 등록한 범위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벗어나 있었을 경우에는,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한다. 차량이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유저가 사전에 등록하고 있는 연락처에 그 차량 운행 상황을 통지하는 것과 함께, 도난의 유무의 문의를 행한다. 소정의 기간내에 유저로부터의 회답이 없는 경우, 및 유저로부터 도난이라는 취지의 회답이 있었을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도난의 발생을 알리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1)에 대해서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도난 발생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또한, 차재기기(1)에는,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 또는 차재기기(1)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이상을 검출하면 차재기기(1)는 서버(3)에 이들 이상의 발생을 알린다. 이 알림을 받으면 서버(3)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통지를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이 이상의 통지가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면, (1)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2)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3)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된다.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항상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그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시에, 기동 불능 상태로 하는 모드로 할지, 그렇지 않으면,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모드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래서, 차재기기(1)가 상기 이상을 검출했을 경우, 및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배선의 절단 혹은 빠짐시에, 관리자가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관리자가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미리 설정해 두면 된다.
다음으로, 유저의 지불의 유무에 따른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제어에 대해서, 카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카셰어링 또는 카 렌털의 경우에는, 유저가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의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해서 특정 차량의 예약을 행할 때에, 카드 결제 등의 사용요금 지불의 결제 수속이 완료된 후에,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사용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특정 차량의 도어록을 해정할 수 없으므로, 이용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특정 차량을 사용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유저가 예약의 기간을 큰 폭으로 초과하여,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사태가 상정될 수 있다. 즉, 교통 사정 등의 영향에 의해, 사용중의 차량의 반환이 지연되는 것은 통상 일어날 수 있는 것이므로, 원칙으로서, 유저는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의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해서,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을 사전에 행하고, 연장 사용료에 관한 카드 결제 등의 사용료 지불의 결제 수속을 완료함으로써, 특정 차량을 연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 사전의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이 없는 채, 유저가 예약의 기간을 큰 폭으로 초과하여 계속 사용했을 경우에는, 서버(3)는 특정 차량의 안전 상태를 확인한 다음, 당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약 시간 종료의 조금전(예를 들면 15분전)에, 곧 예약 시간이 종료되는 것, 사용 기간 연장 등록을 행할 것, 및 사용 기간 연장 등록을 행하지 않은 채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6시간) 이상의 사용을 행하면 차량을 기동 불능 상태로 전환한다는 취지의 경고를 동시에 또는 시기에 따라서 서버(3)로부터 유저 단말(37)에 송신한다. 예약 시간의 종료로부터의 기간을 계측하여,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6시간) 이상을 경과해도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이 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대응하는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기 위해서,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재기기(1)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하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므로,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불가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예약 수속이 행해져 있는 경우에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가능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일단, 예약 기간을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6시간) 초과한 특정 차량의 사용에 의해,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된 후여도, 관리자가 지시한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유저가 요금의 지불을 행했을 경우에는, 서버(3)는 신속하게, 대응하는 차량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재기기(1)가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되어, 대응하는 차량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그런데, 대응하는 차량(2)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고 나서, 추가로 소정의 기간(6시간 정도, 즉, 당초의 예약 기간으로부터 12시간 정도)이 경과해도 유저가 요금의 지불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관리자는 차량 정보 수집부(32)로 수집된 특정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을 회수하는 절차를 행한다. 관리자는 특정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그 차량의 위치에 휴대 단말을 휴대한 작업자를 향하게 하도록 절차를 행한다. 작업자의 휴대 단말에는, 서버(3)로부터 대응하는 차량(2)의 위치 정보, 및 도어록 키 정보가 송신되어 있다. 작업자는 대응하는 차량이 안전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한 상태인 경우에는, 작업자의 휴대 단말(37)로부터 서버(3)를 통해서 대응하는 차량(2)의 차재기기(1)에 해정 지령을 송신하여, 차재기기(1)에 의해 대응하는 차량(2)의 도어록을 해정한다. 이어서, 작업자의 휴대 단말로부터 서버(3)에 대해서 대응하는 차량(2)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한 작업자 기동 가능 지령을 송신한다. 서버(3)가 작업자 기동 가능 지령을 수취하면, 엔진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량(2)의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다만, 서버(3)로부터 작업자의 휴대 단말에 미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해 두고, 작업자가 도어록을 해정했을 때, 서버(3) 및 작업자의 휴대 단말이 통신 가능한 상태가 아니어도, 작업자의 휴대 단말이 대응하는 차량(2)의 차재기기(1)에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작업자는 대응하는 차량(2)을 운전하여, 소정의 영업소에 그 차량을 이동시킨다. 한편, 작업자는 대응하는 차량이 안전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 예를 들면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그 곳의 안전을 확보한 다음, 신속하게 경찰 등에게 연락한 다음, 관리자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관리자와 연계를 취하면서 적절한 대처를 행한다.
예약시에 사전에 정해진 특정 주차장으로의 적정한 반환을 추천하기 위해서, 포인트제를 이용하는 것도 일안이다. 예약대로 시간내에 특정 주차장으로의 반환이 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유저에 대해서 소정의 포인트가 부여되고, 다음 번의 예약 시에 포인트를 이용한 요금의 할인 서비스를 받게 되도록 한다. 반대로, 사전의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이 없는 채로 특정 차량의 사용을 행했을 경우, 소정의 기간 이상을 경과해도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추가로 소정의 시간 이상을 경과해도 유저가 요금의 지불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 등에는, 사용 상황에 따른 할증 요금으로서의 연체 사용료 등이 가산되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가 차량의 회수의 절차를 행했을 경우에는, 회수 수수료를 당해 유저에 대해서 청구한다.
다음으로 카 리스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출하시에는, 차량의 기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차량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서버(3)에서는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각 차량의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기간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없을 때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기 위해서,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재기기(1)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하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므로,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불가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기간내에 이용 요금의 지불이 있었을 경우에는,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가 설정된 채로서, 대응하는 차량(2)은 기동 가능 상태, 즉,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엔진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일단, 요금 미납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된 후에, 관리자가 지시한 소정의 조건에 따라서 유저가 요금의 지불을 행했을 경우에는, 서버(3)는 대응하는 차량을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해서,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재기기(1)가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되어, 대응하는 차량은 다시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이용 요금이 월액 요금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월의 25일까지 소정의 금액이 지불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소정의 지불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유저에 대해서 체납인 것 및 1주간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능 상태로 한다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1주간 이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한 다음,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한다. 차량을 기동 불가능 상태로 한 후, 소정의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해도 유저로부터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없는 경우에는, 관리자는 차량 정보 수집부(32)로 수집된 특정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차량을 회수하는 절차를 행한다.
한편,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차재기기(1)에 송신한 후에, 소정의 기간내에 유저에 의한 소정의 금액의 입금이 확인되었을 때에는, 서버(3)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하여, 다시,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서버(3)로부터 차재기기(1)에 기동 불가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는, 통상,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기동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응하는 차량은 기동 가능 상태로 된다. 따라서, 매월 25일까지 소정의 요금의 지불을 완료하고 있으면, 유저는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서버(3)가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대응하는 차재기기(1)에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할 때에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유저가 차량으로 이동중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는 가혹한 상황이 상정될 뿐만이 아니라, 타차량의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동력 온 상태에서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의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는 결함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어,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피해야 할 조건이 존재한다. 여기서, 차량의 운행 상태를 서버(3)가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보류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서버(3)는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GPS에 의한 위치 정보나 차량의 동력의 온·오프 정보에 의해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하여, 차량의 동력이 오프이고, 또한,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에 주차중이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2)의 차재기기(1)에 대해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여, 차량(2)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경우에는, 차량(2)은 소정의 주차장에 주차중이므로, 타차량의 교통을 방해할 우려가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서버(3)는 차량의 운행 상황을 확인하여, 차량의 동력이 온이거나, 또는 차량이 소정의 주차장이 아닌 장소에 있을 때에는, 유저가 차량을 이용중이라고 판단하여, 대응하는 차량의 차재기기(1)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보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재기기(1)가 안전성의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3)에 있어서의 판단을 비교적 단순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각 유저로부터의 예약의 관리, 각 유저로부터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요금의 지불이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 유저에게의 메시지의 송신, 차량의 운행 상태의 판단, 기동 불가 상태 및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송신의 판단, 및 도난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의 유저에게의 문의 및 경찰에게의 통보 등을 모두 서버로 자동적으로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 판단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5)로부터 메뉴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작하여 차재기기(1)의 구성과 차량(2)으로의 접속을 설명한다. 도 2는 차재기기의 블록도로서, 내연기관 차량에 접속하는 경우의 예이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11은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 1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3)의 송수신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 13은 엔진 기동 릴레이의 상태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구성되어 있고, 14는 차재기기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콘솔의 입출력부인 콘솔 입출력, 15는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차재기기 내부의 배터리인 내부 배터리, 16은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을 검지하는 전원 입력 검지부, 17은 차량(2)의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22)에 접속되어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는 IGN 입력 검지부, 18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접속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19는 차량(2)의 GPS(24)에 접속되어 차량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입출력부(도 2에서는, GPS I/O로 기재), 25는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에 접속되어, 외부 릴레이(28)를 통해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하는 내부 릴레이이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재기기(1)는 도어록의 상황을 검출하는 도어록 검출 회로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차재기기(1)는 차속 펄스나 연료 센서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여기서, 외부 배터리(21)란, 차재기기(1) 내부의 내부 배터리(15)와 구별시킨 용어로서, 차재 배터리인 것을 의미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차량(2)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에 접속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차량(2)과 차재기기(1) 사이에 나타내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차량(2)의 엔진룸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외부에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절도자 혹은 유저가 고의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떼어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가 기동 불가 상태에 있는지 기동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 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외부 배터리(21), IGN 입력 검지부(17)와 주행 상태 식별선(22),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 GPS 입출력부(19)와 GPS(24), 내부 릴레이(25)와 도어록 액츄에이터 회로(26)는, 각각 CAN 등의 차량 LAN을 통하는 일 없이, 각각 직접 개별의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CAN 등의 차량 LAN을 이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CAN 등의 차량 LAN에 의한 시큐리티에 대해서는 취약하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일은 없다.
차재기기(1)는 내부 배터리(15)의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내부 배터리는 항상 차량(2)의 외부 배터리(21)의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있고, 차재기기(1)가 탈거되었을 경우, 충전 라인이 절단 또는 빠졌을 경우 등의 이상시여도, 소정의 시간, 차재기기를 계속 구동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이러한 이상의 발생을 현재지 정보와 함께 서버(3)에 알릴 수 있다. 또한, 최근의 현재지 정보 그 외의 정보는 메모리(13)에 격납되어 있다.
CPU(11)는 무선 통신 모듈(12), 메모리(13), 콘솔 입출력(14), 내부 배터리(15),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 GPS 입출력부(19), 내부 릴레이(25), 도시되지 않은 도어록 검출 회로 및 도시되지 않은 가속도 센서에 접속되어 있다. 차량 정보 검출 수단으로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GPS 입출력부(19), 도어록 검출 회로 및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나 기동 가능 상태 중 어느 한쪽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도 차량 정보로서 사용 가능하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는 도어키 스위치(27), 외부 릴레이(28) 및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포함하는 회로이다. 도어키 스위치(27)는 메카니컬 키, 스마트키 등에 의해 조작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에는, 도어키 스위치(27)의 조작과는 별개로, 내부 릴레이(25)의 조작에 의해 외부 릴레이(28) 및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할 수 있는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카셰어링의 시스템에 대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카셰어링의 예에 대해서, 유저 단말(37)로부터의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에 따라서, 서버(3)를 통해서, 차량(2)의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카셰어링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우선, 유저 단말(37)로부터 특정 차량(2)을 예약하고, 특정 차량(2)의 도어록을 해정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한다. 유저(5)가 차량의 수령 및 반환하는 주차장으로서, 복수 지점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가 등록되어 있다. 유저 정보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예약 상황, 영업소마다의 배차 상황 등을 관리하고 있다. 유저는 특정 차량(2)을 예약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37)을 이용하여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사용하는 기간(사용을 개시하는 연월일 및 시각과 반환하는 연월일 및 시각), 차량을 수령하는 영업소, 차량을 반환하는 영업소를 지정한다(S1).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5)가 지정한 내용으로 배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유저 단말(37)에 회신한다. 예약이 가능한 경우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에 대해서 카드 결제 등에 의한 사용요금의 결제를 요구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소정의 사용료의 결제가 행해지면, 예약이 확정된다(S2). 예약이 확정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에 대해서 그 예약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유저(5)가 지정한 내용으로 배차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예약이 불가능하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그 때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앞의 지정 내용에 가까운 예약 가능한 다른 조건을 복수 제시할 수 있다.
예약이 확정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 및 차량 특정 정보(예를 들면 영업소의 장소, 넘버 플레이트의 번호 등)를 송신하고(S3), 유저 단말(37)은 도어록 키 정보 및 차량 번호의 정보를 수취한다(S4). 유저 단말(37)이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키 정보를 수신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예약의 개시 시간의 10분전으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약 확정 후부터 예약 개시 시간전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예약의 개시의 시간 또는 그 시간보다도 조금전(예를 들면 10분전)에, 유저(5)는 예약한 영업소에 있어서, 예약 차량(2)의 근처에서 유저 단말(37)로부터 도어록 키 정보를 이용한 해정 지령을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송신한다(S5). 이때,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송신되는 정보로서는, 도어록 키 정보에 더하여, 유저 ID, 예약 코드, 및 예를 들면 GPS로부터 취득된 유저 단말(37)의 위치 정보가 추가되어 있어도 된다.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유저 ID나 예약 코드를 조회한 다음, 당해 예약과 관련되는 특정 차량에 대한 해정 지령을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송신한다(S6). 이때, GPS로부터 취득된 유저 단말(37)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유저(5)가 특정된 예약 차량(2)의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정 지령이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약 차량(2)의 위치에 대해서는, 차량 정보 수집부(32)에 의해서 예약 차량(2)에 탑재된 GPS로부터 수집된 예약 차량(2)의 위치 정보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유저 단말(37)의 위치에 대해서는, 해정 지령과 함께 유저 단말로부터 송신된 유저 단말(37)의 GPS 등으로부터 취득된 위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유저 단말(37)의 위치가 예약 차량(2)의 위치에 가까운 경우, 즉, 유저 단말(37)의 위치가 예약 차량(2)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있는 경우 등에는, 유저가 예약 차량(2) 근처에 있다고 판단하여,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송신된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한다. 한편, 유저 단말(37)의 위치가 예약 차량(2)의 위치로부터 먼 경우, 즉, 유저 단말(37)의 위치가 예약 차량(2)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없는 경우 등에는, 유저가 예약 차량(2)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고 판단하여,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송신된 해정 지령이 무효라고 판단한다.
또한, 예약 차량(2)이 예약시에 지정한 수령 영업소에 있는 상태에서,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예약 차량(2)이 예약의 개시 시간후, 혹은, 예약의 개시 시간보다도 조금전(예를 들면 10분전)부터, 예약의 종료 시간까지의 사이에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은 유효라고 판단하지만, 예약 시간보다도 빠른 시간(예를 들면 10분 이상 빠른 시간)이거나, 예약 시간의 종료후의 해정 지령은 무효라고 판단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있어서,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예약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한편,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무효라고 판단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해정 지령이 무효라고 판단된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예약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하기 전에, 차량 정보 수집부(32)에 의해서 수집된 예약 차량(2)의 상황을 확인하여, 대여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중인 것과 같은 경우에는, 해정 지령을 무효로 하는 것과 함께, 유저 정보 관리부(38)를 통해서, 유저 단말에 대여 불가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대체의 차량의 정보를 검색하여, 유저 단말(37)에 대체 차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특정 차량(2)의 상황을 확인하여, 대여 가능 상태였을 경우에는, 특정 차량(2)의 차재기기(1)에 대해서,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S8).
차재기기(1)에서는, 내부 릴레이(25)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여, 외부 릴레이(28)를 제어한다(S9). 외부 릴레이(28)가 전환되면 도어록 액츄에이터(29)가 구동되어, 도어록(4)이 해정된다(S10). 이때, 특정 차량의 모든 도어의 도어록(4)이 해정되도록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운전석의 도어의 도어록(4)만이 해정되도록 하는 것, 혹은, 운전석측에 있는 전후의 도어의 도어록(4)을 해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차량(2) 내의 소정의 장소에는, 메카니컬 키나 스마트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가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단, 해정 지령에 의해 도어록이 해정되면, 다음은 통상의 조작 키를 이용하여, 예약 차량(2)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약 차량(2)의 사용이 종료되어, 예약 차량(2)을 예약시에 특정한 영업소의 주차장에 반환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한다. 예약시에 특정한 영업소의 주차장에 예약 차량(2)을 주차한 상태로, 엔진을 정지하고, 차량의 전원을 OFF로 하고 나서, 조작 키를 차량내의 소정의 장소에 수납한다. 유저는 짐을 모두 꺼내고, 예약 차량(2)을 반환할 준비가 된 후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해서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또한, 예약 차량(2)의 사용중에는, 차량(2) 내의 소정의 장소에 수납되어 있는, 메카니컬 키나 스마트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를 이용하여, 통상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조작 키가 소정의 장소에 없는 경우에는, 유저에 대해서 경고를 행하고, 유저가 조작 키를 소정의 장소에 격납하고 나서 재차, 시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촉구하도록 해도 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송신되는 시정 지령에는, 유저 ID, 예약 코드 및 예를 들면 GPS로부터 취득된 유저 단말(37)의 위치 정보가 추가되어 있어도 된다.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유저 ID나 예약 코드를 조회한 다음, 당해 예약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송신한다. 예약시에 특정한 영업소의 주차장에 예약 차량(2)이 주차되고, 시정 지령이 송신되었을 경우에는, 유저가 예약 차량(2)을 반환하고 싶은 것인지, 혹은, 계속해서 예약 차량(2)을 이용하고 싶은 것인지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판단할 수 없는 일이 있다. 그래서, 예약시에 특정한 영업소의 주차장에 예약 차량(2)이 주차되고, 시정 지령이 송신된 것을 유저 정보 관리부(38)가 파악하면, 원격 제어 지령부(31)에 예약 차량(2)을 시정한다는 취지의 지령을 보내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예를 들면 「차량을 반환하시겠습니까?(Y/N)」 등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유저에 대해서 차량의 반환의 의사를 확인한다. 또한, 유저 단말(37)에 미리 시정 지령 조작 수단과 별도의 차량 반환 조작 수단을 마련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유저에 의해 유저 단말(37)의 차량 반환 조작 수단이 조작되면, 차량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유저가 차량을 반환할 의사가 있다고 판단하고, 원격 제어 지령부(31)에 예약 차량(2)을 시정한다는 취지의 지령을 보내는 것과 함께, 유저 단말(37)에 대해, 예를 들면 「차량의 반환 수속을 완료했습니다. (계속해서 차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5분 이내에 이 버튼을 조작해 주세요.)」등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 반환 버튼의 조작이 올바른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반환 수속을 행한다.
이때, 예약 차량(2)의 위치에 대해서는, 차량 정보 수집부(32)에 의해서 예약 차량(2)에 탑재된 GPS로부터 수집된 예약 차량(2)의 위치 정보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유저 단말(37)의 위치에 대해서는, 해정 지령과 함께 유저 단말(37)로부터 송신된 유저 단말(37)의 GPS 등으로부터 취득된 위치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예약 차량(2)의 주차 위치가, 예약시에 정한 특정 영업소의 주차 위치와 다른 경우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주차 위치가 반환 장소와는 다르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유저 단말(37)에 송신하여, 유저(5)에 대해서 주의를 촉구한다.
또한, 유저 단말(37)의 위치가 예약 차량(2)의 위치로부터 먼 경우에는, 시정 지령을 무효라고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은, 유저가 예약 차량(2)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로, 예약 차량(2)이 시정되는 것에 의한 위험, 예를 들면,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사람이 갇히는 위험을 피하기 위함이다. 시정 지령이 무효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시정 지령이 무효라고 판단된 취지의 메시지를 유저 단말(37)에 송신하여, 유저(5)에 대해서 주의를 촉구한다. 한편, 유저 단말(37)의 위치가 예약 차량(2)의 위치에 가까운 경우에는, 유저(5)가 예약 차량(2) 근처에 있다고 판단하여, 유저 단말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송신된 시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한다. 시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당해 예약의 대상이 되는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하기 전에, 차량 정보 수집부(32)에 의해서 수집된 특정 차량(2)의 상황을 확인하여, 시정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중인 것과 같은 경우에는, 시정 지령을 무효로 하는 것과 함께, 유저 정보 관리부(38)를 통해서 유저 단말에 시정 불가 상태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유저(5)에게 주의를 촉구한다. 한편,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특정 차량(2)의 상황을 확인하여, 시정 가능 상태였을 경우에는, 특정 차량(2)의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내부 릴레이(25)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여, 외부 릴레이(28)를 제어한다. 외부 릴레이(28)가 전환되면 도어록 액츄에이터(29)가 구동되어, 도어록(4)이 시정된다. 이때, 특정 차량의 모든 도어의 도어록(4)이 시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도어를 시정할지, 혹은 시정하지 않고 둘지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차량 정보 수집부(32)로부터의 차량(2)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2)이 예약시에 등록한 반환 예정의 영업소에 주차된 것을 검출하면,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한 시정 지령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최종적으로 예약 차량(2)의 시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예약 차량(2)의 반환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유저 단말(37)에 대해, 반환 수속이 종료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카셰어링에 있어서는, 교통 사정 등의 어쩔 수 없는 사정에 의해, 사용 기간을 연장하고 싶은 경우가 발생한다. 유저(5)가 예약한 사용 기간을 연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해서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시에 사전에 정해진 특정 주차장으로의 적정한 반환을 추천하기 위해서, 포인트제를 이용하는 것도 일안이다. 반대로, 사전의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이 없는 채로 특정 차량의 사용을 행했을 경우, 소정의 기간 이상을 경과해도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추가로 소정의 시간 이상을 경과해도 유저가 요금의 지불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 등에는, 사용 상황에 따른 할증 요금으로서의 연체 사용료 등이 가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연체 사용료를 초과 시간과 비례하도록 설정해 둠으로써, 유저(5)에 대해서, 예약 시간내에 차량을 소정의 영업소에 반환하는 것을 촉구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복수의 유저에 의한 예약이 겹치지 않게 여유를 가지고 배차를 행하고 있지만, 만약 사용 기간 연장 등의 영향에 의해, 예정된 배차를 행할 수 없는 사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사전에 유저 단말(37)에 예정된 배차를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함께, 대체의 배차안을 유저 단말(37)에 제시한다.
도어록 키 정보는 예약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유저 단말(37)로부터의 동일한 차량에 대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은, 예약 기간의 종료후에는 무효화된다. 다만,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을 행했을 경우 등에는, 그 연장 기간 동안은, 동일한 도어록 키 정보가 유효하게 된다.
카셰어링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나 유저 단말(37)의 통신의 전파 상황이 양호한 지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유저 단말(37)과 서버(3) 간의 통신, 또는 서버(3)와 차재기기(1) 간의 통신이 저해되는 것에 기인하여,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 그리고 이 때에 부수하여 교환되는 정보가 적절히 전달되지 않아, 특정 차량(2)의 시정, 해정, 및 유저 단말에의 정보 전달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카셰어링의 영업소에 있어서의 전파 상황만 유의하고 있으면, 유저(5)는 특정 차량(2)의 이용중에는 무선 통신의 전파 상황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즉, 특정 차량(2)의 사용중에는, 차량(2) 내의 소정의 장소에 수납되어 있는, 메카니컬 키나 스마트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를 이용하여, 통상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5)가 유저 단말(37)을 분실했을 경우나 자택 등에 두고 온 경우여도, 서버(3)에 대해서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5)의 인증 및 예약 내용의 확인이 취해지면, 관리자 혹은 카셰어링의 영업소 등의 담당자 등이 서버(3)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카셰어링의 시스템에 대해 설명했지만, 마찬가지의 시스템은 카 렌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추가로,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를 통하여 차량(2)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하는 점에 대해서는, 카 리스 등에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에 의한 도어록 시정 및 시정의 동작>
도 4를 참조하여,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배선도이다. 이 회로에서는, 시정선(63)을 어스에 접속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한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 및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 사이에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있다. 차재기기(1)의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조작함으로써, 제1 외부 릴레이(65) 및 제2 외부 릴레이(75)를 통해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록 액츄에이터(29)는 예를 들면 정역(正逆) 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로서, 이 직류 모터의 양단에는 각각, 상시는 12V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시정선(63) 및 해정선(64)이 접속되어 있다. 시정선(63)은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다. 해정선(64)은 제2 외부 릴레이(75)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67)은, 상시는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66)에 통전되면, 접점(67)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로 전환된다. 코일(66)의 일단의 단자(68)는, 단자(71)와 같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6)의 타단의 단자(6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1 내부 릴레이(61)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외부 릴레이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77)은, 상시는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76)에 통전되면, 접점(77)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로 전환된다. 코일(76)의 일단의 단자(78)는, 단자(81)와 같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76)의 타단의 단자(7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내부 릴레이(62)의 타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고,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면, 제2 외부 릴레이(75)의 코일(7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12V 전원으로 가압되고 있는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해정선(64)은 단자(80), 전환 접점(77), 단자(82)를 통해서 어스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일단은 어스 전위가 되고, 직류 모터의 타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은 12V 전원에 접속된 단자(8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에 12V 전원이 인가되게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면, 제1 외부 릴레이(65)의 코일(6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12V 전원으로 가압되고 있는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시정선(63)은 단자(70), 전환 접점(67), 단자(72)를 통해서 어스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타단은 어스 전위가 되고, 직류 모터의 일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은 12V 전원에 접속된 단자(7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에 12V 전원이 인가되게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차량 정보의 수집에 대해>
차재기기(1)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그 양방으로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여, 서버(3)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의 차량 정보로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로 검출되는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의 정보, IGN 입력 검지부(17)로 검출되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의 정보, 예를 들면 엔진의 온,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으로 검출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 GPS 입출력부(19)로 검출되는 GPS로부터의 위치 정보, 도시하지 않은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가속도의 정보, 차속 펄스의 정보, 연료 센서의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취득한 시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GPS의 위치 정보로부터 속도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에서는, 이들 차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파악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의 제어에 대해>
차재기기(1)가 서버(3)로부터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그 제어값을 메모리(13)에 기억시키고, 그 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되도록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한다.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CPU(11), 메모리(13), IGN 입력 검지부(17) 및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을 포함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전환할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동력의 온, 오프 전환 타이밍을 고려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는 경우와, 채용하지 않는 경우(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경우)를 판별한다.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동력의 온, 오프는, 예를 들면 IGN 입력 검지부(17)로 검출되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의 정보, 예를 들면 엔진의 온, 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검출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내연기관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로 커트하는 경우(도 2의 경우)의 릴레이의 제어값(ST선 릴레이의 제어값)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엔진 기동 제어선이 1개의 차종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엔진 기동 제어선이 2개의 차종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처음에 도 5의 (A)의 엔진 기동 제어선이 1개의 차종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A의 릴레이값은 열림일 때 "0"이며, 닫힘일 때 "1"이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은, "00" 및 "01"의 2종류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0"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가능 상태(통상),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한편,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1"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불가 상태, 차량 상태는 기동 불가로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B)의 엔진 기동 제어선이 2개의 차종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릴레이 A, 릴레이 B 모두, 릴레이값은 열림일 때 "0"이며, 닫힘일 때 "1"이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은, "00", "01", "10" 및 "11"의 4종류가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0"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가능 상태(통상),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01"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의도하지 않은 값,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10"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의도하지 않은 값, 차량 상태는 기동 가능으로 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11" 일 때에는, 스테이터스는 기동 불가 상태, 차량 상태는 기동 불가로 된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는, CPU(11)와 메모리(13)와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을 포함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 릴레이 상태를 감시하고, 당해 감시에 의해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상태를 기동 가능 상태, 즉,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제어값을 "00"으로 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로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접속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시 열림(normal open)과 상시 닫힘(normal close)을 선택할 수 있다. 41은 전자석의 코일, 42는 스위치, 43과 44는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측의 단자, 45는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측의 한쪽 단자, 46은 상시 닫힘 단자, 47은 상시 열림 단자이다. 스위치(42)는 상시 닫힘 단자(46)측에 스프링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코일(41)에 통전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42)는 상시 닫힘 단자(46)측에 접촉하고 있다. 코일(41)에 통전되었을 때에는, 스위치(42)는 전자석으로 끌어당겨져, 상시 열림 단자(47)에 접촉한다. 따라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닫힘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ST선의 다른 쪽 단자를 상시 닫힘 단자(46)에 접속하고, 반대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열림형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ST선의 다른 쪽 단자를 상시 열림 단자(47)에 접속한다.
도 2를 참작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닫힘형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상시 열림형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차이를 설명한다. 전원 입력 검지부(16), IGN 입력 검지부(17),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 및 GPS 입출력부(19) 중 어느 적어도 하나에는,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하는 수단(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에 수반하는 배선의 전압 변화를 이용한다고 하는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입력 검지부(16)가 외부 배터리(21)로부터의 전원 입력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외부 배터리(21) 사이의 배선에 절단 또는 빠짐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차재기기의 탈거에 대해서도, 이들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열림)로 할지, 혹은, 기동 가능 상태(닫힘)로 할지 중 어느 쪽으로 제어하도록 정해 둔다.
또한,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하는 것과 함께,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서버(3)에 그 이상을 알린다. 서버(3)가 그 이상의 알림을 수신하면, 서버(3)는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림을 행한다. 관리자는, 서버(3)로부터 이 이상의 알림이 있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연락을 취해 도난의 발생 상황을 확인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 경찰에게 차량의 도난을 통보한다. 한편, 차재기기(1)는, 상기 이상을 알리는 것과 함께, 차재기기(1)에 탑재된 경보기(도시 생략)에 의해 경보음을 울린다. 또한, 차재기기(1)에 경보기를 탑재하는 대신에, 차량의 경적, 헤드 램프, 방향 지시등, 해저드 램프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행할 수 있도록, 이들 제어 회로의 입력 단자에 차재기기(1)의 경보 출력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배선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이상의 알림으로서,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차재기기(1)에 추가로 고장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당해 고장 검출 수단이 차재기기(1)의 고장을 검출했을 경우에,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서버에 대해서 차재기기(1)의 고장을 알리도록 해도 된다. 서버(3)가 차재기기(1)의 고장의 알림을 수신하면, 서버는 이러한 고장의 발생을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이러한 통보를 받은 관리자는 해당하는 차량의 유저에게 연락을 취하고, 차재기기(1)를 수리 또는 교환하도록 준비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 사이의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코일(41)에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상시 닫힘형의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닫힘으로 되어, ST선이 접속된 상태로 되고, 상시 열림형의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는 열림으로 되어, ST선은 차단(커트)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차재기기(1)를 차량(2)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로서는, (1) 절도범에 의한 도난인 경우, (2) 유저에 의한 차량의 악용인 경우, 및 (3) 미지불 유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긴급시의 차량 이용인 경우가 상정되는 바,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항상 (1) 및 (2)와 같은 도난이나 악용인 경우를 상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로서 상시 열림형을 채용하고,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불가 상태(열림)로 제어하도록 미리 결정해 두면 된다. 한편, 차재기기(1)의 차량(2)으로부터 탈거로서, (3)과 같은 긴급시인 경우, 예를 들면 긴급환자의 이송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경우에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로서 상시 닫힘형을 채용하고, 배선의 절단 또는 빠짐을 검출했을 경우에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기동 가능 상태(닫힘)로 제어하도록 미리 결정해 두면 된다.
또한, 차재기기(1)는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로서, 서버(3)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없더라도, 스탠드얼론으로 페일 세이프로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쁜 장소에서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기동 가능 정보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차재기기는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의 리트라이를 반복하여, 통신을 확립하려고 한다. 소정 횟수, 예를 들면 20회 이상, 연속해서 리트라이 해도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 불능이라고 판단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가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 서버(3)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이 기동 불능 상태인 채 방치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이 통신 불능일 때에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처리를 채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차량의 출하시 등에 전환할 수 있다.
<전력 절약 모드에 대해>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이 오프일 때에는, 엔진이 오프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0분이 경과된 후에는, 외부 배터리(21)의 전력의 소모를 막기 위해서, 차재기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이행하여, 전원 관리와 같은 최저한의 기능 이외를 정지한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전원 입력 검지부(16)와 IGN 입력 검지부(17)와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과 계시 회로(도시 생략)는 항상 기동하고 있지만, 그 외의 회로는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는, 차재기기(1)는 서버(3)와는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다.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 전원 입력 검지부(16)가 전원 입력의 상실을 검출했을 경우, IGN 입력 검지부(17)가 엔진의 온 상태(ACC 온이나 IG 온)를 검출했을 경우, 및 계시 회로가 소정의 시간을 계시했을 경우(예를 들면, 1시간 간격으로)에는,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가 CPU에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전력 절약 모드일 때에도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에는 항상 전력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전술하는 바와 같이 차재기기(1)는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30초 간격으로, 또는 차량 동력의 온 등의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혹은 그 양쪽으로 차량 정보의 수집을 행하고, 서버(3)에 그 차량 정보를 송신한다. 항상 기동하고 있는 대응하는 회로가 CPU에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차재기기(1)를 기점으로 하여 서버(3)와 통신을 행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이나 차량 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통상 모드에 있어서는, 차재기기(1) 기점의 통신에 더하여 서버(3) 기점의 통신이 가능하고, 차재기기(1)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등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전파 상황이 나쁠 때에는, 통신을 확립하기까지, 복수 회, 예를 들면 5회 정도의 통신을 반복하는 일이 있다.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재기기(1)는, 최근의 통신에 의해 서버(3)로부터 수신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차재기기(1)는 스탠드얼론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재기기(1)는 수집한 차량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통신회선이 회복했을 때에 그것들을 통합해서 서버(3)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게 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로부터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작하여, 메모리(13) 내의 구성을 설명한다. 메모리(13)는 통신부(50),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 및 엔진 연동 제어부(57)로 이루어진 4개의 처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는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을 포함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는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를 포함하고, 엔진 연동 제어부(57)는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 엔진 정지 시각(59) 및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통신부(50)는 서버(3)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무선 통신 모듈(12)을 통해서, 차량 정보의 서버(3)로의 송신, 서버(3)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을 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는, 서버(3)로부터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의해 주어진 릴레이값에 대응하는 상태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된 기동 불가 상태·기동 가능 상태의 릴레이 상태값에 기초하여, 릴레이 상태가 기동 가능 상태가 아니면 안되는 상황, 즉, 초기 상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릴레이 변경 요구가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이 감시의 결과,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가 기동 가능 상태 이외의 릴레이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엔진 연동 제어부(57)는, 서버(3)로부터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때, 과거 X분(예를 들면 2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고, 기동 불가 상태로의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실행하고 나서 Y초(예를 들면 5초) 동안에 엔진의 온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를 기동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여기서, X분을 예를 들면 2분으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엔진 정지후 10분 정도로 차재기기(1)는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의 소비를 억제한다. 전력 절약 모드의 상태에서 유저가 차량에 탑승하여 엔진을 시동하도록 키를 실린더에 꽂아, 이그니션 온 상태로 하면, IGN 입력 검지부(17)는 주행 상태 식별선(ACC선, IG선)(22)으로부터 엔진이 온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CPU(11)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걸어, 차재기기(1)를 통상 모드로 전환한다. 차재기기(1)가 통상 모드로 전환된 것을 서버(3)가 인식하기까지는, 전파 상황이 좋을 때에는 1분 정도, 전파 상황이 나빠 통신을 5회 정도 반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분 30초 정도 걸린다. 차량의 동력이 오프로 되고 나서 어느 정도의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는(무시하는) 것에 의해,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에 있어서 트렁크나 좌석으로부터 짐을 싣고 내릴 때까지 동안,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서 일단 정차시킨 상태로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하고, 짐의 싣고 내린 뒤,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여 차량을 주차 스페이스에 다시 넣는 것과 같은 경우에,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X분이 너무 긴 경우에는,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케이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과거 2분간 동안에 엔진이 온으로 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하는 것으로 했다. 따라서, X분은, 구체적인 서버(3)의 성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Y초를 예를 들면 5초로 한 것의 근거를 설명한다. 차재기기(1)는, 차량의 동력이 온일 동안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했을 경우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접수하지 않는다(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함). 차량의 동력이 온인 동안은, 유저가 차량으로 이동중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파 상황이 나쁘기 때문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수신이 지연되어 버렸을 경우 등,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차재기기(1)가 차량의 기동을 인식하기까지는, 실제로 차량이 기동을 하고 나서 3초 정도 걸린다. 차량을 기동한 직후에, 차재기기(1)가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 차재기기(1)는 차가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해 버려, 차량이 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그니션 스위치가 푸시식인 경우,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방법과, 이모빌라이저를 발동(인증용의 선을 커트)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중, 푸시 버튼을 무효로 하는 것인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엔진을 끌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결함이 발생한다. 한편, 이모빌라이저를 발동하는 방법인 경우, 상기 3초간 동안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면, 푸시 버튼은 효과가 있으므로, 엔진을 오프시키는 것은 가능한 상태이지만, 기어가 드라이브 D에는 들어가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결함이 발생한다. 이상으로부터, Y초로서, 3초보다도 여유를 갖게 한 5초를 채용했다. 따라서, Y초는, 구체적인 차재기기(1)의 성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지고 있는 메모리(13)의 각 변수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은, 현재의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릴레이값이다.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은,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마다의 설정값이다.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마다의 설정값이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감시를 실행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로서, 초기 상태(차량의 출하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은, 엔진이 정지된 후,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변경을 금지하는 기간(X분, 예를 들면 2분)이다. 엔진 정지 시각은 전회 엔진 정지를 검출한 시각이다.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제어를 행한 후, 엔진의 온을 재평가하는 기간(Y초, 예를 들면 5초)이다.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차량의 차종에 따라서 1개씩 기억해 두어도 되고, 혹은 복수 차종의 값을 기억해 두고, 차량의 차종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53) 및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은, 콘솔 입출력(14)으로부터 설정하도록 해도 되고, 서버(3)로부터 설정하도록 해도 되지만, 노이즈에 의한 페일 세이프의 관점에서는 서버(3)로부터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메모리(13)의 각 처리부의 동작에 대해 도 8~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11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S12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을 주어진 릴레이값으로 덮어쓰기하고, 다음으로 S13에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릴레이 상태를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의 상태로 변경한다. 이어서 S14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의 릴레이값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는 S15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를 온으로 하고, S16으로 진행한다. S1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는 S16으로 진행하여, 통신부를 호출하여,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상태 변경 완료를 통지하고, 이어서, S17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는 후술하는 도 9의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55)의 S25, 및 후술하는 도 8의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S36에 의해 호출되어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S21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S22에서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감시를 실행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플래그로서, 초기 상태(차량의 출하시), 또는 서버(3)로부터의 마지막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기동 가능 상태로의 변경인 경우에 온으로 된다. S22의 판단이 Yes인 경우에는 S23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릴레이 상태를 취득한 후, S24로 진행한다. 한편, S22의 판단이 No인 경우에는 S26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S24에서는, S23에서 취득한 릴레이값이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 이외의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Yes인 경우에는 S25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고,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을 기동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으로 덮어쓰기한 다음,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한 후, S26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2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그대로 S26으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서는 30초마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1시간마다 행해진다. 이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의 동작에 의해, 본래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가 온일 때), 차재기기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메모리(13)가 본래 수치와 다른 수치로 갱신되어 버렸을 경우에도, 항상 차량이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려, 정당한 차량의 이용을 방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재기기의 펌웨어의 결함에 의해 메모리(13)의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52)의 값이 의도하지 않은 값으로 갱신되어 버린 것 같은 경우에서도,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56)가 온일 때에는, 항상 차량이 기동 가능 상태로 되도록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을 기동 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작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을 설명한다. S31에서 엔진 연동 제어부 처리가 개시되면, S32로 진행하여, 통신부(50)를 통해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하고, 다음으로 S33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엔진 상태가 오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는 S34로 진행하고, S34에서는 현재 시각과 엔진 정지 시각의 차분이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X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의 판단에서 No인 경우 및 S34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S35로 진행하여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한 후,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S34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36로 진행하여,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S37로 진행한다. S37에서는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60)(Y초)만큼 대기한 후, S38로 진행하고, S38에서는 실행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은 기동 불가 상태로의 변경이고, 또한, 현재의 엔진 상태는 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8의 판단에서 Yes인 경우에는, S39로 진행하고, S39에서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51)를 호출하고,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를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54)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한 후, S40으로 진행한다. S40에서는, 통신부(50)를 호출하고,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한 후,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38의 판단에서 No인 경우에는, 그대로 S41로 진행하여, 엔진 연동 제어부의 처리를 종료한다.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은, 정기적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통상 모드에서는 30초마다, 전력 절약 모드에서는 1시간마다 행해진다. S35 및 S40에서는, 통신부(50)를 호출하여 서버(3)에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 무시를 통지하고 있는 바, 서버(3)는 이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이 무시된 것을 수신하면, 도 6의 S16에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의 상태 변경 완료가 통지될 때까지, 반복해서,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이 엔진 연동 제어부(57)의 동작에 의해,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변경할 때, 차량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위험한 장소 또는 타인에게 폐가 되는 장소에 놓여진 상태로 기동 불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58)(X분, 예를 들면 2분)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을 오프로 한 후 곧바로 다시 차량의 동력을 온으로 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차량이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60)(Y초, 예를 들면 5초)을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이 온으로 된 직후(Y초 이내)에 차재기기(1)가 기동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취했을 경우에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채용하지 않음(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무시함)으로써, 차량의 동력이 온시에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된다고 하는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에 대해 카셰어링의 예를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10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고 있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유저 단말(37)로부터 직접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와 다르다.
우선, 유저 단말(37)로부터 특정 차량(2)을 예약하고, 특정 차량(2)의 도어록을 해정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한다. 유저가 차량의 수령 및 반환하는 주차장으로서, 복수 지점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가 등록되어 있다. 유저 정보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예약 상황, 영업소마다의 배차 상황 등을 관리하고 있다. 유저는 특정 차량(2)을 예약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37)을 이용하여 유저 정보 관리부(38)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사용하는 기간(사용을 개시하는 연월일 및 시각과, 반환하는 연월일 및 시각), 차량을 수령하는 영업소, 차량을 반환하는 영업소를 지정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가 지정한 내용으로 배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당해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유저 단말(37)에 회신한다. 예약이 가능한 경우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에 대해서 카드 결제 등에 의한 사용요금의 결제를 요구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소정의 사용료의 결제가 행해지면, 예약이 확정된다. 예약이 확정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에 대해서 그 예약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유저가 지정한 내용으로 배차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예약이 불가능하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그 때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앞의 지정 내용에 가까운 예약 가능한 다른 조건을 복수 제시할 수 있다.
예약이 확정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도어록 키 정보 및 차량 특정 정보(예를 들면 영업소의 장소, 넘버 플레이트의 번호 등)를 송신하고, 유저 단말(37)은 도어록 키 정보 및 차량 번호의 정보를 수취한다. 유저 단말(37)이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키 정보를 수신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예약의 개시 시간의 10분전으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약 확정 후, 예약 개시 시간전의 임의의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에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예를 들면 예약 개시 시간의 10분전), 또는 이 타이밍보다도 조금 빠른 시각(예를 들면 예약 개시 시간의 15분전)에, 원격 제어 지시부(31)를 통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이용하여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에 대해서, 유저 단말(37)에 송신한 것에 대응하는 도어록 키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차재기기(1)에는 이 도어록 키 정보와 함께, 예약 기간, 수령 영업소, 반환 영업소 등의 예약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약의 개시의 시간 또는 그 시간보다도 조금전(예를 들면 10분전)에, 유저는 예약한 영업소에 있어서, 예약한 차량 특정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차량의 근처에서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에 도어록 키 정보를 이용한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이 통신시의 유저 단말(37)과 예약 차량(2)의 거리는,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에어리어 내이며, 유저가 예약 차량의 상황을 확인하는데 충분히 가까운 거리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지그비(등록상표), 적외선 통신, RFID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종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이다. 유저 단말(37) 및 차재기기(1)에는, 각각 특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송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신에 있어서, 차재기기(1)측에 사전에 서버(3)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를 이용하여 송신된 도어록 키 정보와,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에 송신한 해정 지령에 포함되는 도어록 키 정보가 일치하기 때문에, 차재기기(1)는 이 해정 지령을 인증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해정 지령이 인증되면, 내부 릴레이(25)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여, 외부 릴레이(28)를 제어한다. 외부 릴레이(28)가 전환되면 도어록 액츄에이터(29)가 구동되어, 도어록(4)이 해정된다. 이때, 특정 차량의 모든 도어의 도어록(4)이 해정되도록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운전석의 도어의 도어록(4)만이 해정되도록 하는 것도, 혹은, 운전석측에 있는 전후의 도어의 도어록(4)을 해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차재기기(1)가 예약 기간 등의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차재기기(1)는, 예약 차량(2)이 예약시에 지정한 수령 영업소에 있는 상태로, 예약 차량이 예약의 개시 시간후, 혹은, 예약의 개시 시간보다도 조금전(예를 들면 10분전)부터, 예약의 종료 시간까지의 사이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수신한 해정 지령은 유효라고 판단하지만, 예약 시간보다도 빠른 시간(예를 들면 10분 이상 빠른 시간)이나, 예약 시간의 종료후의 해정 지령은 무효라고 판단한다. 차재기기(1)가 예약 시간을 위해서 해정 지령이 무효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예약 시간외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유저에게 알리도록 해도 된다.
차량(2) 내의 소정의 장소에는, 메카니컬 키나 스마트키로 이루어진 조작 키가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단, 해정 지령에 의해 도어록이 해정되면, 다음은 통상의 조작 키를 이용하여, 예약 차량(2)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약 차량(2)의 사용이 종료되어, 예약 차량(2)을 예약시에 특정한 영업소의 주차장에 반환할 때까지의 흐름을 설명한다. 예약시에 특정한 영업소의 주차장에 예약 차량(2)을 주차한 상태로, 엔진을 정지하고, 차량의 전원을 OFF로 하고 나서, 조작 키를 차량내의 소정의 장소에 수납한다. 유저는 짐을 모두 꺼내고, 예약 차량(2)을 반환할 준비가 된 후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시정 지령에 포함되는 도어록 키 정보를 인증함으로써, 내부 릴레이(25)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여, 외부 릴레이(28)를 제어한다. 외부 릴레이(28)가 전환되면 도어록 액츄에이터(29)가 구동되어, 도어록(4)이 시정된다. 이때, 특정 차량의 모든 도어의 도어록(4)이 시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도어를 시정할지, 혹은 시정하지 않고 둘지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차량 정보 수집부(32)로부터의 차량(2)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2)이 예약시에 등록한 반환 예정의 영업소에 주차된 것을 검출하면, 유저 단말(37)에 대해서, 유저 단말(37)로부터 차재기기(1)에 대한 시정 지령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최종적으로 예약 차량(2)의 시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예약 차량(2)의 반환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유저 단말(37)에 대해, 반환 수속이 종료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조작 키에 의한 시정인지, 차재기기(1)에 의한 시정인지를 차재기기(1)가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차량 정보 수집부(32)의 정보를 기초로 반환이 완료된 것을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있어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예약 차량(2)의 위치에 대해서는, 차재기기(1)의 GPS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차재기기(1)에 예약 기간, 수령 영업소, 반환 영업소 등의 예약 정보가 송신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차재기기(1)는 주차 위치가 반환 장소와는 다르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유저 단말(37)에 송신, 유저에 대해서 주의를 촉구할 수도 있다. 또한, 차재기기(1)는, 취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시정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이 시동중인 것과 같은 경우에는, 시정 지령을 무효로 하는 것과 함께, 유저 정보 관리부(38)를 통해서, 유저 단말에 시정 불가 상태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유저에게 주의를 촉구한다.
카셰어링에 있어서는, 교통 사정 등의 어쩔 수 없는 사정에 의해, 사용 기간을 연장하고 싶은 경우가 발생한다. 유저가 예약한 사용 기간을 연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대해서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을 행할 수 있다. 유저 정보 관리부(38)에서는, 복수의 유저에 의한 예약이 겹치지 않게 여유를 가지고 배차를 행하고 있지만, 만약 사용 기간 연장 등의 영향에 의해, 예정된 배차를 행할 수 없는 사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사전에 유저 단말(37)에 예정된 배차를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함께, 대체의 배차안을 유저 단말(37)에 제시한다.
도어록 키 정보는 예약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유저 단말(37)로부터의 동일한 차량에 대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은, 예약 기간의 종료후에는 무효화된다. 다만, 사용 기간 연장의 등록을 행했을 경우 등에는, 그 연장 기간 동안은, 동일한 도어록 키 정보가 유효하게 된다.
카셰어링의 영업소(유인 혹은 무인의 주차장 등)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4)나 유저 단말(37)의 통신의 전파 상황이 양호한 지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파 상황이 나쁜 경우에는, 유저 단말(37)과 서버(3) 간의 통신, 또는 서버(3)와 차재기기(1) 간의 통신이 저해되는 것에 기인하여, 도어록 키 정보나 예약 정보 등이 적절히 전달되지 않아, 특정 차량(2)의 시정, 해정, 및 유저 단말로의 정보 전달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카셰어링의 영업소에 있어서의 전파 상황만 유의하고 있으면, 유저는 특정 차량(2)의 이용중에는 무선 통신의 전파 상황을 고려할 필요는 없고, 차재기기(1)에 대해서 유저 단말(1)로부터 직접,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차재기기(1)가 유저 단말(37)로부터 직접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차재기기(1)가 서버(3)로부터의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유저가 유저 단말(37)을 분실한 경우나 자택 등에 두고 온 경우여도, 서버(3)에 대해서 다른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유저의 인증 및 예약 내용의 확인이 취해지면, 서버(3)를 통해서, 차재기기(1)에 대해서 시정 지령 및 해정 지령을 송신함으로써, 도어록의 시정 및 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카셰어링의 시스템에 대해 설명했지만, 마찬가지의 시스템은 카 렌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37)로부터 서버(3)를 통하여 차량(2)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하는 점에 대해서는, 카 리스 등에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3]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A)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에는, 12V 전원 및 어스의 결선에 따라서, 다음의 5종류가 존재한다.
(1) 마이너스 컨트롤(통상시, 시정선 및 해정선은 12V 전원.)
(2) 플러스 컨트롤 1(통상시, 시정선 및 해정선은 어스.)
(3) 플러스 컨트롤 2(통상시, 시정선 및 해정선은 열림.)
(4) 마이너스 플러스 컨트롤(시정시 어스, 해정시 12V 전원.)
(5) 플러스 마이너스 컨트롤(시정시 12V 전원, 해정시 어스.)
실시 형태 1은 (1) 마이너스 컨트롤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3은 (2) 플러스 컨트롤 1에 상당한다. 후술하는 실시 형태 4~7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4는 (3) 플러스 컨트롤 2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5는 (3) 플러스 컨트롤 2의 변형예이며, 실시 형태 6은 (4) 마이너스 플러스 컨트롤에 상당하고, 실시 형태 7은 (5) 플러스 마이너스 컨트롤에 상당한다.
실시 형태 3의 회로에서는, 시정선(63)을 12V 전원에 접속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 또는 해정한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 및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의 사이에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있다. 차재기기(1)의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조작함으로써, 제1 외부 릴레이(65) 및 제2 외부 릴레이(75)를 통해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록 액츄에이터(29)는 예를 들면 정역 회전 가능한 직류 모터로서, 이 직류 모터의 양단에는 각각,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시정선(63) 및 해정선(64)이 접속되어 있다. 시정선(63)은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다. 해정선(64)은 제2 외부 릴레이(75)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외부 릴레이의 단자(7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67)은,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66)이 통전되면, 접점(67)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로 전환된다. 코일(66)의 일단의 단자(68)는, 단자(71)와 같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6)의 타단의 단자(6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시정 스위치(85)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1 내부 릴레이(61)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외부 릴레이의 단자(80)에 접속되어 있는 전환 접점(77)은,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측에 기계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코일(76)이 통전되면, 전환 접점(77)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로 전환된다. 코일(76)의 일단의 단자(78)는, 단자(81)와 같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76)의 타단의 단자(79)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에 접속되고,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키 해정 스위치(86)의 일단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내부 릴레이(62)의 타단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면, 제2 외부 릴레이(75)의 코일(7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로 가압되고 있는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해정선(64)은 단자(80), 전환 접점(77), 단자(82)를 통해서 12V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일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직류 모터의 타단은 어스 전위이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의 전환 접점(77)은 어스에 접속된 단자(8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이 어스 전위가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면, 제1 외부 릴레이(65)의 코일(66)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어스로 가압되고 있는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측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시정선(63)은 단자(70), 전환 접점(67), 단자(72)를 통해서 12V 전원에 접속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타단에는 12V가 인가되고, 직류 모터의 일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의 전환 접점(67)은 어스에 접속된 단자(71)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의 양단에 어스에 접속되게 되기 때문에,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실시 형태 4]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B)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3)의 플러스 컨트롤 2에 상당한다. 도어록 릴레이 유닛(73B)에 접속되어 있는 시정선(63B) 및 해정선(64B)에 대해서 12V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B)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의 사이에, 제1 외부 릴레이(65B) 및 제2 외부 릴레이(75B)를 통해서, 제1 내부 릴레이(61) 및 제2 내부 릴레이(62)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제1 내부 릴레이(61B) 및 제2 내부 릴레이(62B)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B)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B)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전환 접점(77B)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내부 릴레이(62B)가 도통되면,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코일(76B)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열림 단자(82B)로 가압되고 있는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전환 접점(77B)이 해정선(64B)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B)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해정선(64B)에는, 단자(81B) 및 전환 접점(77B)을 통해서 12V 전원에 의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B)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B)의 전환 접점(77B)은 열림 단자(82B)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B)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전환 접점(67B)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내부 릴레이(61B)가 도통되면,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코일(66B)이 여자되고, 이것에 의해 상시는 열림 단자(72B)로 가압되고 있는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전환 접점(67B)이 시정선(63B)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B)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정선(63B)에는, 단자(71B) 및 전환 접점(67B)을 통해서 12V 전원에 의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역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B)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B)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B)의 전환 접점(67B)은 열림 단자(72B)로 가압되어,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실시 형태 5]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4는 실시 형태 5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C)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3) 플러스 컨트롤 2의 변형예이다. 도어록 릴레이 유닛(73C)에 접속되어 있는 시정선(63C) 및 해정선(64C)에 대해서 12V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시정선(63C)에 대해서 제1 외부 릴레이(65C)를 바이패스하도록 접속하고, 시정선(63C)의 바이패스된 부분의 원래의 배선을 절단한다. 마찬가지로, 해정선(64C)에 대해서 제2 외부 릴레이(75C)를 바이패스하도록 접속하고, 해정선(64C)의 바이패스된 부분의 원래의 배선을 절단한다.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의 사이에, 제1 외부 릴레이(65C) 및 제2 외부 릴레이(75C)를 통해서, 제1 내부 릴레이(61C) 및 제2 내부 릴레이(62C)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하고, 제1 내부 릴레이(61C) 및 제2 내부 릴레이(62C)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를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외부 릴레이(75C)의 단자(80C), 전환 접점(77C) 및 단자(82C)는, 상시는 해정선(64C)의 절단한 부분을 바이패스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2 외부 릴레이(75C)의 코일(76C)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77C)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C)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해정선(64C)에는, 단자(80C), 전환 접점(77C) 및 단자(81C)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해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C)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C)의 전환 접점(77C)은 단자(82C)로 가압되어, 해정선(64C)의 절단부를 바이패스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C)의 단자(70C), 전환 접점(67C) 및 단자(72C)는, 상시는 시정선(63C)의 절단한 부분을 바이패스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1 외부 릴레이(65C)의 코일(66C)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67C)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C)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정선(63C)에는, 단자(70C), 전환 접점(67C) 및 단자(71C)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C)로서의 직류 모터는,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0.2초 정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역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C)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C)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C)의 전환 접점(67C)은 단자(72C)로 가압되어, 시정선(63C)의 절단부를 바이패스하게 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로서의 직류 모터는 동작을 정지한다.
[실시 형태 6]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5는 실시 형태 6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D)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4) 마이너스 플러스 컨트롤에 상당한다. 도어록 릴레이 유닛(73D)에 접속되어 있는 시해정선(74D)은 도어록 액츄에이터(29D)인 진공 펌프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시해정선(74D)은 시정시에는 어스 전위로 되어, 해정시에는 12V 전원이 된다.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직렬 회로를, 시해정선(74D)을 바이패스하도록 접속하고, 시해정선(74D)의 바이패스된 부분의 원래의 배선을 절단한다.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D)의 사이에,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를 통해서, 제1 내부 릴레이(61D) 및 제2 내부 릴레이(62D)를 구비하는 차재기기(1)를 접속한다. 제1 내부 릴레이(61D) 및 제2 내부 릴레이(62D)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을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전환 접점(67D)은 상시는, 시해정선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D)로 가압되고 있다.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전환 접점(77D)은, 제1 외부 릴레이(65D)의 단자(70D)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D)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상시는, 단자(72D), 전환 접점(67D), 단자(70D), 단자(82D), 전환 접점(77D) 및 단자(80D)를 통해서, 시해정선(74D)의 절단된 부분은 바이패스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코일(76D)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77D)이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1D)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해정선(74D)에는, 단자(80D), 전환 접점(77D) 및 단자(81D)를 통해서 12V 전원이 접속되어, 12V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만큼 해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도어록을 해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2 내부 릴레이(62D)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전환 접점(77D)은 단자(82D)로 가압되어, 시해정선(74D)의 절단부가,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직렬 회로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의 동작은 정지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전환 접점(67D)은 상시는, 시해정선(74D)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D)로 가압되고 있다.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전환 접점(77D)은, 제1 외부 릴레이(65D)의 단자(70D)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82D)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상시는, 단자(72D), 전환 접점(67D), 단자(70D), 단자(82D), 전환 접점(77D) 및 단자(80D)를 통해서, 시해정선(74D)의 절단된 부분은 바이패스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코일(66D)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67D)이 어스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1D)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해정선(74D)은 단자(80D), 전환 접점(77D), 단자(82D), 단자(70D), 전환 접점(67D) 및 단자(71D)를 통해서, 어스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D)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D)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D)의 전환 접점(67D)은 단자(72D)로 가압되어, 시해정선(74D)의 절단부가, 제1 외부 릴레이(65D) 및 제2 외부 릴레이(75D)의 직렬 회로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D)로서의 진공 펌프 유닛의 동작은 정지한다.
[실시 형태 7]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내부 릴레이 및 외부 릴레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6은 실시 형태 7에 따른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E)의 배선도이다.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26)의 형식은, 전술한 (5) 플러스 마이너스 컨트롤에 상당한다. 도어록 스위치(83E)에 접속되어 있는 시해정선(74E)은 도어록 액츄에이터(29E)인 집중 도어록 모듈에 접속되어 있고, 시해정선(74E)은 시정시에는 전원 전압의 12V로 되어, 해정시에는 어스 전위로 된다. 시해정선(74E)을 바이패스하도록 제1 외부 릴레이(65E)를 접속하고, 시해정선(74E)의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에서 원래의 배선을 절단한다. 도어록 스위치(83E)와 도어록 액츄에이터(29E)의 사이에, 차재기기(1)의 제2 내부 릴레이(62E)를 접속하고, 제1 외부 릴레이(65E)를 통해서 차재기기(1)의 제1 내부 릴레이(61E)를 접속하고 있다. 제1 내부 릴레이(61E) 및 제2 내부 릴레이(62E)에 의한 제어에 의해, 도어록 액츄에이터(29E)로서의 집중 도어록 모듈을 구동시켜, 도어록을 시정 및 해정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해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유저 단말(37)로부터의 해정 지령이 유효라고 판단하면,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해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해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해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해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2 내부 릴레이(62E)의 일단은 어스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시해정선(74E)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2 내부 릴레이(62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시해정선(74E)은 어스 전위로 되기 때문에, 집중 도어록 모듈은 해정 방향으로 구동되어, 도어록은 해정된다.
유저 단말(37)로부터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시정 지령이 송신되면,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원격 제어 지시부(31)에 대해서,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는 취지의 도어록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원격 제어 지시부(31)에서는, 유저 정보 관리부(38)로부터 도어록 시정 명령을 수신하면, 예약의 대상이 되는 특정 차량(2)에 시정 지령을 송신한다. 차재기기(1)에서는, 원격 제어 지시부(31)로부터 시정 지령을 수신하면,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한다. 제1 외부 릴레이(65E)의 전환 접점(67E)은 상시는, 단자(72E)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상시는 시해정선(74E)의 절단되어 있는 부분은, 단자(70E), 전환 접점(67E) 및 단자(72E)를 통해서, 바이패스되고 있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를 소정 시간만큼 도통 제어하면, 제1 외부 릴레이(65E)의 코일(66E)이 여자되어, 전환 접점(67E)은 12V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72E)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시해정선(74E)에는, 단자(70E), 전환 접점(67E) 및 단자(72E)를 통해서 12V 전원에 접속되어, 12V가 인가됨으로써, 도어록 액츄에이터(29E)로서의 집중 도어록 모듈은,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만큼 전술한 해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시정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도어록을 시정한다. 상시 열림 스위치인 제1 내부 릴레이(61E)가 도통되고 있는 소정 시간을 지난 후에는, 제1 내부 릴레이(61E)는 열림으로 되기 때문에, 제1 외부 릴레이(65E)의 전환 접점(67E)은 단자(72E)로 가압되어, 시해정선(74E)의 절단부가 제1 외부 릴레이(65E)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도어록 액츄에이터(29E)로서의 집중 도어록 모듈의 동작은 정지한다.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 1에서는,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의해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절단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했지만,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내연기관 차량 이외의 동력을 이용한 차량,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이하 「EV 차량」이라고 함.)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이하 「HEV 차량」이라고 함.)를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ST선 제어 이외의 제어를 포함하는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의 양태를 설명한다.
도 17은 기동 불가 상태의 제어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도 17은, 차량의 종류로서, 내연기관 차량, EV 차량,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으로 분류하는 것과 함께,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로 구분한 다음, 추가로, 기동 방식을 키식과 푸시식으로 구분하고, 기동 불가 상태의 제어 방식으로서 A방식, B방식 및 C방식 3개의 방식 중에서 어느 방식이 채용 가능한지를 정리한 것이다. 3개의 제어 방식으로서는, A방식은 ST선을 커트하는 것, B방식은 키 인증을 불가로 하는 것, C방식은 푸시 버튼을 무효화하는 것이다.
키식 및 푸시식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한 조작 방법으로 구분한 것이다. 키식이란, 동력을 시동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에 키를 꽂아, OFF, ACC, IGN 및 START를 전환하는 방식의 것이다. 푸시식이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방식으로,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력을 온으로 하는 방식의 것이다.
또한, HEV 차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시리즈 방식은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고, 모터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다. 시리즈·패럴렐 방식은 모터와 엔진으로 차바퀴를 구동시키는 것과 함께,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여기서, 차재기기(1)의 구성은, EV 차량 및 HEV 차량에 대해서도 도 2로 나타낸 내연기관 차량용의 것과 공통된 부분이 많지만, EV 차량에는 내연기관이 없는 점, 및 HEV 차량에서는 모터만으로 주행 가능한 모드가 존재하는 점에서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와 상위하다. 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17) 대신에, 푸시 버튼이 눌려서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적인 수단으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HEV 차량의 경우에는, IGN 입력 검지부(17) 대신에, 동력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적인 수단으로 치환해도 상관없다.
이하, A방식, B방식 및 C방식 3개의 제어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방식에 따라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삽입하는 배선이 다르지만, 어느 방식의 경우에도,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는 동력을 시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기동 가능 상태일 때에는 동력을 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A방식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에 의해서 내연기관의 엔진 기동 제어선(ST선)을 절단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이며, 내연기관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A방식에서는 ST선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가 삽입되어 있어,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셀 모터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엔진의 시동을 저지할 수 있다.
B방식은 이모빌라이저를 탑재한 차량에서 채용하는 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란, 키에 내장된 트랜스폰더로 불리는 IC 칩에 고유한 ID 코드를 기록시켜 두고, 트랜스폰더의 ID 코드를 차량 본체의 전자 제어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ID 코드에 의해 인증하여, 인증이 성립되었을 경우에만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B방식에서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이 트랜스폰더로부터 받은 트랜스폰더측의 ID 코드의 신호선, 또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의 차량측의 ID 코드의 신호선에 대해서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삽입하고,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ID 코드의 인증이 불성립으로 되기 때문에,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다. 여기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이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ID 코드의 인증을 불성립되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도 2를 참조.)으로,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C방식은 스마트키식인 경우의 동력 시동용 푸시 버튼을 구비한 차량에 채용하는 방식이다. 스마트키식의 차량에서는, 동력 시동용의 키 실린더는 없고,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동력을 시동한다. 예를 들면, EV 차량에는 키식의 것은 존재하지 않고, 모두 푸시식이다. C방식은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푸시 버튼의 배선에 삽입하고,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열림으로 함으로써, 기동 불가 상태에서는 푸시 버튼을 조작해도 동력이 온으로 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20)를 이용하여 기동 불가 상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 불가 상태일 때에, 푸시 버튼이 눌린 것을 전자 제어 장치에 전달되지 않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18)(도 2를 참조.)으로, 기동 불가 상태인지 기동 가능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모빌라이저가 있고, 키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또는 B방식, EV 차량은 존재하지 않고,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B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있고, 푸시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B방식 또는 C방식, EV 차량에서는 B방식 또는 C방식,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B방식 또는 C방식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없고, 키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EV 차량은 존재하지 않고,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어느 방식도 대응 불가이다.
이모빌라이저가 없고, 푸시식인 경우, 내연기관 차량에서는 A방식 또는 C방식, EV 차량에서는 C방식, 패럴렐 방식 HEV 차량, 시리즈 방식 HEV 차량 및 시리즈·패럴렐 방식 HEV 차량에서는 모두 C방식이다.
1
차재기기
2 차량
3 서버
4 도어록
11 CPU
12 무선 통신 모듈
13 메모리
14 콘솔 입출력
15 내부 배터리
16 전원 입력 검지부
17 IGN 입력 검지부
18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19 GPS 입출력부
20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21 외부 배터리
22 주행 상태 식별선
25 내부 릴레이
26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
27 도어키 스위치
28 외부 릴레이
29 도어록 액츄에이터
31 원격 제어 지시부
32 차량 정보 수집부
33 송수신부
34 무선 통신 네트워크
35 관리자 단말
36 금융기관
37 유저 단말
38 유저 정보 관리부
41 코일
42 스위치
46 상시 닫힘 단자
47 상시 열림 단자
50 통신부
51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52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
53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
54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
55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56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
57 엔진 연동 제어부
58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59 엔진 정지 시각
60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
61 제1 내부 릴레이
62 제2 내부 릴레이
63 시정선
64 해정선
65 외부 릴레이
66 코일
67 전환 접점
68 단자
69 단자
70 단자
71 단자
72 단자
73 도어록 릴레이 유닛
74 시해정선
75 외부 릴레이
76 코일
77 접점
80 단자
81 단자
82 단자
83 도어록 스위치
85 도어키 시정 스위치
86 도어키 해정 스위치
2 차량
3 서버
4 도어록
11 CPU
12 무선 통신 모듈
13 메모리
14 콘솔 입출력
15 내부 배터리
16 전원 입력 검지부
17 IGN 입력 검지부
18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19 GPS 입출력부
20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
21 외부 배터리
22 주행 상태 식별선
25 내부 릴레이
26 도어록 액츄에이터 제어 회로
27 도어키 스위치
28 외부 릴레이
29 도어록 액츄에이터
31 원격 제어 지시부
32 차량 정보 수집부
33 송수신부
34 무선 통신 네트워크
35 관리자 단말
36 금융기관
37 유저 단말
38 유저 정보 관리부
41 코일
42 스위치
46 상시 닫힘 단자
47 상시 열림 단자
50 통신부
51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부
52 엔진 기동 릴레이 설정값
53 차종별 기동 불가 릴레이값
54 차종별 기동 가능 릴레이값
55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부
56 엔진 기동 릴레이 감시 실행 플래그
57 엔진 연동 제어부
58 릴레이 변경 금지 기간
59 엔진 정지 시각
60 엔진 상태 재평가 기간
61 제1 내부 릴레이
62 제2 내부 릴레이
63 시정선
64 해정선
65 외부 릴레이
66 코일
67 전환 접점
68 단자
69 단자
70 단자
71 단자
72 단자
73 도어록 릴레이 유닛
74 시해정선
75 외부 릴레이
76 코일
77 접점
80 단자
81 단자
82 단자
83 도어록 스위치
85 도어키 시정 스위치
86 도어키 해정 스위치
Claims (20)
- 유저 단말로부터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서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차량의 도어키 스위치와 도어록 액츄에이터 사이의 배선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릴레이
를 구비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로서,
상기 내부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또는 해정을 제어하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소정 시간, 상기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소정 시간, 상기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도어록 모터 유닛, 진공 펌프 유닛, 또는 집중 도어록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릴레이는 제1 내부 릴레이 및 제2 내부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릴레이 및/또는 상기 제2 내부 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도어록의 시정 또는 해정을 제어하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릴레이는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이 상기 제1 외부 릴레이에 의해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이 상기 제2 외부 릴레이에 의해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에 상기 제1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2개의 급전선에는 각각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도어록 릴레이 유닛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에 상기 제1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2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있고,
상기 2개의 급전선에는 각각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를 통해서 도어록 릴레이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배선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한쪽에 상기 제1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급전선 중 다른 쪽에 상기 제2 외부 릴레이로부터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1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상기 1개의 급전선에는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부 릴레이 및 제2 외부 릴레이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배선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은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에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는 1개의 급전선에 의해 급전되고, 상기 1개의 급전선에는 제1 외부 릴레이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외부 릴레이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배선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시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1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에는 전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시정되고,
상기 해정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 상기 제2 내부 릴레이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상기 1개의 급전선이 접지됨으로써, 상기 도어록 액츄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유저 단말로부터의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을, 서버를 통해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유저 단말로부터 해정 지령 또는 시정 지령을 직접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서버로부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상기 차량의 기동 불가 상태와 기동 가능 상태를 전환하는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입출력 수단과,
상기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재기기는, 추가로, 적어도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정보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정보 연동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차량 동력의 온 오프 상태가 변경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엔진 기동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재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재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저 단말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여 특정 차량의 예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예약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차량의 차재기기에 대응하는 도어록 키 정보를 사전에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도어록 키 정보에 기초하여,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차재기기에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해서 차재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차량이 사전의 예약이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
상기 예약에 대한 지불에 문제가 있는 경우,
사전의 연장 수속 없이 상기 예약의 기간을 초과하여 소정의 기간 이상 상기 특정 차량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차량을 사용하는 지리적인 범위가 예약시에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 차량의 사용의 양태가 예약시에 설정된 조건에 반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차량의 차재기기에, 차량을 기동 불가 상태로 전환하는 엔진 기동 릴레이 제어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도어록 키 정보가 보내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예약의 확인 및 유저의 인증이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 차량의 차재기기에 대해서 시정 지령 또는 해정 지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7/023245 WO2018235275A1 (ja) | 2017-06-23 | 2017-06-23 | 車両ドアロック施錠及び解錠用車載器、この車載器を備えた車両、この車載器を備えた車両ドアロック施錠及び解錠用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0215A true KR20200040215A (ko) | 2020-04-17 |
KR102178352B1 KR102178352B1 (ko) | 2020-11-12 |
Family
ID=6210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8001A KR102178352B1 (ko) | 2017-06-23 | 2017-06-23 |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2) | US11447096B2 (ko) |
EP (1) | EP3643859A4 (ko) |
JP (1) | JP6320647B1 (ko) |
KR (1) | KR102178352B1 (ko) |
CN (1) | CN109689998B (ko) |
BR (1) | BR112019027421A2 (ko) |
MX (1) | MX2019014810A (ko) |
MY (1) | MY191472A (ko) |
PH (1) | PH12018502508A1 (ko) |
TW (1) | TWI656996B (ko) |
WO (1) | WO20182352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39383A (ja) * | 2018-09-06 | 2020-03-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
JP7206794B2 (ja) | 2018-10-22 | 2023-01-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移動体制御システム |
CN111429328B (zh) * | 2018-12-20 | 2024-08-02 | 西安佰才邦网络技术有限公司 | 共享交通工具的控制方法和设备 |
EP3954588A4 (en) * | 2019-04-12 | 2023-01-04 | Global Mobility Service, Inc. |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ON-BOARD DEVICE OR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SERVER,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VEHICLE REMOTE CONTROL PROGRAM AND MEDIA |
CN111422127A (zh) * | 2019-04-25 | 2020-07-17 | 法国圣戈班玻璃公司 | 车门防撞预警系统、车窗玻璃结构以及车门防撞预警方法 |
CN114450731B (zh) * | 2019-10-10 | 2024-07-16 | 日产自动车株式会社 |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
JP2021063357A (ja) * | 2019-10-11 | 2021-04-22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載装置 |
CN110979256B (zh) * | 2019-12-11 | 2023-03-10 |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 电动载具及其防盗方法 |
DE102019134815A1 (de) * | 2019-12-17 | 2021-06-17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m Betrieb eines Zugangssystems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
JP7251489B2 (ja) * | 2020-01-21 | 2023-04-04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車載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
JP6841538B1 (ja) * | 2020-05-31 | 2021-03-10 |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 車両用システム、車両用システム制御方法、車両用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CN112367635B (zh) * | 2020-11-27 | 2022-02-15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车辆紧急解锁次数清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JP7405067B2 (ja) * | 2020-12-11 | 2023-12-2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
CN113034746A (zh) * | 2021-03-17 | 2021-06-25 | 陕西天行健车联网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卡车远程控制系统及控制方法 |
CN115476812A (zh) * | 2021-06-16 | 2022-12-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车辆控制方法及相关装置 |
CN113467414B (zh) * | 2021-06-23 | 2022-09-23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车门控制装置、轨道车辆和车门控制方法 |
US11794691B2 (en) | 2021-10-05 | 2023-10-2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Vehicles and vehicle systems for operating powered door locks in an alarm deterrent mode |
CN115534863B (zh) * | 2022-08-31 | 2024-06-04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车辆控制方法、装置、车载控制设备、车辆及存储介质 |
DE102023107481A1 (de) * | 2023-03-24 | 2024-09-26 | Zf Cv Systems Global Gmbh | Verfahren zum drahtlosen Bedienen eines elektronischen Türverriegelungssystems eines Fahrzeug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6762A (ja) * | 1991-09-30 | 1993-04-06 | Fujitsu Ten Ltd | ドアの遠隔制御装置 |
JP2002255014A (ja) * | 2001-03-02 | 2002-09-11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
JP2011044112A (ja) * | 2009-08-24 | 2011-03-03 | Tokai Rika Co Ltd |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
JP2014146120A (ja) * | 2013-01-28 | 2014-08-14 | Itako Auto Service Co Ltd |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
JP2016511191A (ja) | 2013-03-13 | 2016-04-14 | ルノー エス.ア.エス. | 車両を利用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車両を利用可能にするための対応する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62112A (en) * | 1969-12-22 | 1972-05-09 | Robertshaw Controls Co | Automatic security system |
JPS62253884A (ja) * | 1986-04-25 | 1987-11-05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のキ−レス開閉装置 |
DE4032613C1 (en) * | 1990-10-15 | 1991-05-02 |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 Control circuit for automobile centralised locking system - has relay coupled to positive battery terminal via key-operated switch |
JP3430720B2 (ja) * | 1995-08-03 | 2003-07-2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
US5835022A (en) | 1995-08-02 | 1998-11-10 | Nissan Motor Co., Ltd. | Keyless entry system |
JP3430747B2 (ja) | 1995-11-16 | 2003-07-2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防盗装置 |
JPH1171950A (ja) * | 1997-08-29 | 1999-03-16 | Honda Motor Co Ltd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JPH11351109A (ja) * | 1998-06-04 | 1999-12-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車両用盗難防止装置 |
US6389337B1 (en) * | 2000-04-24 | 2002-05-14 | H. Brock Kolls | Transacting e-commerce and conducting e-business related to identifying and procuring automotive service and vehicle replacement parts |
JP2002019548A (ja) * | 2000-07-05 | 2002-01-23 | Sumitomo Electric Ind Ltd |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車両の状態確認・遠隔操作方法 |
JP4636735B2 (ja) * | 2001-06-06 | 2011-02-23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
JP4539168B2 (ja) * | 2004-05-18 | 2010-09-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ドアロック制御装置 |
US7711118B2 (en) * | 2005-12-28 | 2010-05-04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Security system |
RU2309861C1 (ru) * | 2006-11-08 | 2007-11-10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ЬТОНИКА" (ООО "АЛЬТОНИКА") | Дистанционно управляемое реле для охранно-противоугонной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FR2911900B1 (fr) * | 2007-01-30 | 2009-02-27 | Siemens Vdo Automotive Sas | Dispositif d'acces mains libres a un vehicule,adapte pour commander le deverrouillage d'au moins une portiere du dit vehicule |
JP5894527B2 (ja) * | 2009-06-08 | 2016-03-30 | ジップカ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車と通信するためのモバイ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 |
US20110191126A1 (en) * | 2010-01-29 | 2011-08-04 | Go-Op, Llc | Externally-mounted apparatus and associated systems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 |
CN102733674B (zh) * | 2011-04-01 | 2014-12-17 |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汽车无钥匙进入和启动系统的车内控制装置 |
CN202574114U (zh) * | 2012-02-20 | 2012-12-05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无钥匙进入车内系统 |
US10515489B2 (en) * | 2012-05-23 | 2019-12-24 | Enterprise Holdings, Inc. |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US8768565B2 (en) * | 2012-05-23 | 2014-07-01 | Enterprise Holdings, Inc. |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WO2014030233A1 (ja) | 2012-08-22 | 2014-02-27 | Kamisawa Teruhiko | レンタカー管理システム、レンタカー管理方法、及びレンタカー管理プログラム |
JP5681919B2 (ja) * | 2012-12-12 | 2015-03-11 | 株式会社ビートソニック |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
KR20140128044A (ko) * | 2013-04-26 | 2014-11-05 | 천은봉 | 자동차의 원격제어장치 |
EP2805856B1 (en) * | 2013-05-22 | 2015-12-09 | Eileo | Immobiliser system with controllable inhibiting means |
US9168893B1 (en) * | 2014-04-22 | 2015-10-27 | Ituran Usa | System, method, and appartus for remotely disabling or enabling a vehicle |
WO2016167350A1 (ja) * | 2015-04-17 | 2016-10-20 | Global Mobility Service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0521736B2 (en) * | 2015-12-22 | 2019-12-31 | GM Glbo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Ride sharing accessory device and system |
US20180339676A1 (en) * | 2017-05-25 | 2018-11-29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vice location for passive entry and vehicle startup |
-
2017
- 2017-06-23 MX MX2019014810A patent/MX2019014810A/es unknown
- 2017-06-23 EP EP17914308.6A patent/EP364385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06-23 BR BR112019027421A patent/BR112019027421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6-23 JP JP2017552106A patent/JP6320647B1/ja active Active
- 2017-06-23 KR KR1020197038001A patent/KR102178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6-23 CN CN201780035260.4A patent/CN109689998B/zh active Active
- 2017-06-23 MY MYPI2018002378A patent/MY191472A/en unknown
- 2017-06-23 WO PCT/JP2017/023245 patent/WO2018235275A1/ja unknown
- 2017-06-23 US US16/625,633 patent/US11447096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6-22 TW TW107121520A patent/TWI656996B/zh active
- 2018-11-28 PH PH12018502508A patent/PH12018502508A1/en unknown
-
2022
- 2022-08-10 US US17/818,717 patent/US2022037983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6762A (ja) * | 1991-09-30 | 1993-04-06 | Fujitsu Ten Ltd | ドアの遠隔制御装置 |
JP2002255014A (ja) * | 2001-03-02 | 2002-09-11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
JP2011044112A (ja) * | 2009-08-24 | 2011-03-03 | Tokai Rika Co Ltd |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
JP2014146120A (ja) * | 2013-01-28 | 2014-08-14 | Itako Auto Service Co Ltd | オートローン又はオートリース用の管理システム |
JP2016511191A (ja) | 2013-03-13 | 2016-04-14 | ルノー エス.ア.エス. | 車両を利用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車両を利用可能にするための対応する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235275A1 (ja) | 2018-12-27 |
MY191472A (en) | 2022-06-28 |
PH12018502508B1 (en) | 2019-07-15 |
US11447096B2 (en) | 2022-09-20 |
JPWO2018235275A1 (ja) | 2019-06-27 |
PH12018502508A1 (en) | 2019-07-15 |
EP3643859A4 (en) | 2021-02-17 |
CN109689998A (zh) | 2019-04-26 |
BR112019027421A2 (pt) | 2020-05-19 |
JP6320647B1 (ja) | 2018-05-09 |
KR102178352B1 (ko) | 2020-11-12 |
US20220379839A1 (en) | 2022-12-01 |
TWI656996B (zh) | 2019-04-21 |
CN109689998B (zh) | 2020-06-05 |
TW201904788A (zh) | 2019-02-01 |
EP3643859A1 (en) | 2020-04-29 |
US20200384948A1 (en) | 2020-12-10 |
MX2019014810A (es) | 2020-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8352B1 (ko) |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차재기기,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이 차재기기를 구비한 차량 도어록 시정 및 해정용 시스템 | |
JP6476407B1 (ja) | 車両起動制御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車両起動方法、車両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KR102326501B1 (ko) |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통신 모듈, 차량, 서버, 차량 원격 제어 방법, 차량 원격 제어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 | |
JP6238038B1 (ja) |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 | |
JP6647509B1 (ja) |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WO2021245960A1 (ja) | システム、システム制御方法、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