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210A -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210A
KR20200026210A KR1020197038402A KR20197038402A KR20200026210A KR 20200026210 A KR20200026210 A KR 20200026210A KR 1020197038402 A KR1020197038402 A KR 1020197038402A KR 20197038402 A KR20197038402 A KR 20197038402A KR 20200026210 A KR20200026210 A KR 2020002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organic
layer
organic material
material layer
organic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360B1 (ko
Inventor
슌이치 가지야
?이치 가지야
가즈야 하야시베
나오키 하나시마
히로시 스가타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64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with transparent or protective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박형화가 달성되고,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미세 요철 적층체를 제공한다. 미세 요철 적층체는, 기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본 발명은,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나, 카메라 등의 광학 장치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화질의 악화 (색 불균일, 고스트 등의 발생) 를 회피하기 위해서, 표시판이나 렌즈 등의 기재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면에 대하여, 반사 방지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 반사 방지 처리의 방법으로는, 종래부터, 광의 입사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반사 방지 처리의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은, 기재와, 중간층과, 최표층을 갖는 적층 구조체로서, 최표층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함과 함께, 기재 표면의 압입 탄성률 및 최표층측 표면의 압입 탄성률의 적정화가 도모된 적층 구조체가, 반사 방지 필름 등으로서 유용하고, 표시 장치 등의 표면에 첩부 가능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54402호
여기서, 전자 기기 용도를 고려한 경우, 반사 방지 필름 등의 물품에 대해서는, 박형화 (예를 들어, 15 ㎛ 이하) 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 1 의 구조체는, 문제 없이 형성하기 위해서, 최표층 및 중간층의 막 두께의 합계를 25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어, 박형화의 관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히 센서의 전면 (前面) 에 설치하는 커버 필름이나, 카메라 모듈 센서의 전면에 설치하는 커버 필름은, 광, 특히는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가 있으면, 광이 충분히 입사하지 않아, 센서가 양호하게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필름 등의 물품에 대해서는, 반사 방지의 기능에 더하여, 광, 특히는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박형화가 달성되고,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색 불균일이나 고스트 등의 발생이 억제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이하와 같다. 즉,
<1>
기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2>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양면의 미세 요철 구조가, 각각,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를 갖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1> 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3>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가 250 ㎚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4>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상기 기판의 표면의 일부에만 적층되어 있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5>
상기 기판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0,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2 라고 했을 때에, 이하의 식 (1) 및 식 (2) :
n0 < n2 ···(1)
2n0 - n2 ≤ n1 ≤ 2n2 - n0 ···(2)
를 만족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6>
또한, 이하의 식 (3) :
2n0 - n2 < n1 < n2 ···(3)
을 만족하는, <5> 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7>
상기 기판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0,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2 라고 했을 때에, 이하의 식 (4), 식 (5) 및 식 (6) :
-0.002 ≤ n0 - n2 ≤ 0.002 ···(4)
n1 < n0 ···(5)
n1 < n2 ···(6)
을 만족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8>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으로부터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파장 400 ∼ 750 ㎚ 의 범위에서, 1 ㎚ 마다, 전후 25 ㎚ 의 반사율의 값을 사용하여 파장 이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파장 이동 평균치와 상기 스펙트럼의 값의 차분 절대치를 각각 산출했을 때에, 그들의 평균치가 0.020 % 이하인,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9>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굴절률 (n1) 이, 1.480 이상 1.580 이하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10>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에 사용되는,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이다.
<11>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2 장의 유지 필름으로, UV 경화성 수지 A 를 협지하고, 압착하는 협지 압착 공정과,
협지된 UV 경화성 수지 A 를 UV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고,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경화 A 공정과,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부터 일방의 유지 필름을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과,
일방의 유지 필름이 박리된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UV 경화성 수지 B 를 개재하여, 박리한 면을 접촉시키도록 기판에 적층하고, 타방의 유지 필름측으로부터 압압 (押壓) 하는 적층 압압 공정과,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압압한 상태에서, 상기 UV 경화성 수지 B 를 UV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고,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1 투명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경화 B 공정과,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압압을 해제하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에 의해 상기 기판에 고착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에 의한 고착 지점 이외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상기 타방의 유지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제 2 박리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다.
<12>
카메라 모듈과, 표시판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판은,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된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상에 적층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가 15 ㎛ 이하이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과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화가 달성되고,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색 불균일이나 고스트 등의 발생이 억제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 1 투명 유기물층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F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G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4H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일 공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의, 카메라 모듈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 개요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화상도이다.
도 1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E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세 요철 적층체)
본 발명의 미세 요철 적층체는, 기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두께의 합계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 (이하,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 대하여,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기판 (101) 과, 2 개의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층, 즉,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 (이하, 간단히 「복합층」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130) 을 구비한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은, 기판 (101) 상에 적층되고,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상에 적층된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은,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 (110a) 를 갖는다. 또한,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 (120a) 를 가짐과 함께, 그 반대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 (120b) 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상기 서술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높은 반사 방지 성능을 발휘함과 함께,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억제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복합층 (130) 의 두께가, 15 ㎛ 이하로, 박형화가 달성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하여,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층을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구조체가 몇 가지 개발되어 왔지만, 그러한 구조체는, 실제로는, 층 두께를 15 ㎛ 이하로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본 발명의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미세 요철 구조 (110a, 120a, 120b) 를 유지하면서, 복합층 (130) 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추가적인 박형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 (130) 의 두께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6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합층 (130) 의 두께란,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에 있어서의 미세 요철 구조 (120b) 중 가장 높은 볼록부의 정상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에 있어서의 기판 (101) 과 접촉하는 점의, 적층 방향의 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 이란, 가시광 대역 (대체로 360 ㎚ ∼ 830 ㎚) 에 속하는 파장의 광의 투과율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당해 광의 투과율이 70 %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기판>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기판 (101)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유리, 임의의 유기 재료로 표면을 코팅한 유리,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MMA)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판 (101) 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이 적층되는 표면은, 예를 들어 평탄면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유기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은,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측의 표면 (상면) 에, 미세 요철 구조 (110a) 를 갖는다. 즉,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에는, 미세한 요철 패턴 (미세 요철 적층체의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 및 미세 요철 적층체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볼록부 및 오목부는, 주기적 (예를 들어, 지그재그형 격자상, 사각형 격자상) 으로 배치해도 되고, 또한, 랜덤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포탄형, 추체형, 기둥형, 침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의 형상이란, 오목부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의 요철 패턴의 평균 주기 (피치) 는, 바람직하게는 가시광 파장 이하 (예를 들어, 830 ㎚ 이하)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 ㎚ 이하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이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의 요철 패턴의 피치를 가시광 파장 이하로 하는, 다시 말하면,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을 이른바 모스아이 구조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철 패턴의 평균 주기는, 이웃하는 볼록부 사이 및 오목부 사이의 거리의 산술 평균치이다. 또한, 요철 패턴은, 예를 들어,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혹은 단면 투과형 전자 현미경 (단면 TEM) 등에 의해 관찰 가능하다. 또한, 평균 주기의 산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이웃하는 볼록부의 조합, 및, 이웃하는 오목부의 조합을 각각 복수 개 픽업하고, 각 조합을 구성하는 볼록부 사이의 거리 및 오목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치를 평균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의 요철 패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 이하이다.
한편,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에 있어서의,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베이스부 (111) (도 2 참조) 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500 ㎚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9000 ㎚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은, 예를 들어, UV 경화성 수지로부터 제작할 수 있다. UV 경화성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UV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UV 경화성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2 투명 유기물층>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측의 표면 (하면) 에 미세 요철 구조 (120a) 를 가짐과 함께, 그 반대측의 표면 (상면) 에 미세 요철 구조 (120b) 를 갖는다. 즉,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양면에는, 미세한 요철 패턴 (미세 요철 적층체의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 및 미세 요철 적층체의 두께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볼록부 및 오목부는, 주기적 (예를 들어, 지그재그형 격자상, 사각형 격자상) 으로 배치해도 되고, 또한, 랜덤으로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포탄형, 추체형, 기둥형, 침상 등이어도 된다.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하면 및 상면의 요철 패턴의 평균 주기 (피치) 는, 바람직하게는 가시광 파장 이하 (예를 들어, 830 ㎚ 이하)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 ㎚ 이하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이다.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하면 및 상면의 요철 패턴의 피치를 가시광 파장 이하로 하는, 다시 말하면,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하면 및 상면을 이른바 모스아이 구조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상면의 요철 패턴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 이하이다.
한편,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에 있어서의,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 즉 베이스부 (121) (도 3 참조) 의 두께는, 2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가 250 ㎚ 이하이면, 층간의 다중 반사에서 기인하는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보다 작아져,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는, 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는, 현실성의 관점에서, 0.01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투명 유기물층에 있어서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란, 일방의 면에 형성된 가장 깊은 오목부의 정상점과, 타방의 면에 형성된 가장 깊은 오목부의 정상점의, 적층 방향 또는 막 두께 방향의 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하면의 미세 요철 구조 (120a)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의 미세 요철 구조 (110a) 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상면의 미세 요철 구조 (110a) 와, 간극 없이 교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괴리가 억제됨과 함께, 높은 반사 방지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하면의 미세 요철 구조 (120a) 및 상면의 미세 요철 구조 (120b) 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배치 양태, 요철 패턴의 평균 주기, 오목부의 깊이 등이,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예를 들어, UV 경화성 수지로부터 제작할 수 있다. UV 경화성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UV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UV 경화성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각 층의 광학 특성 등>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기판 (101) 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0,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1,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2 라고 했을 때에, 이하의 식 (1) 및 식 (2) :
n0 < n2 ···(1)
2n0 - n2 ≤ n1 ≤ 2n2 - n0 ···(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및 식 (2) 를 모두 만족함으로써, 층간의 다중 반사에서 기인하는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작아지고,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는, 식 (1) 및 식 (2) 에 더하여, 이하의 식 (3) :
2n0 - n2 < n1 < n2 ···(3)
을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및 식 (2) 에 더하여 식 (3) 을 만족함으로써, 층간의 다중 반사에서 기인하는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보다 작아져,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는, 이하의 식 (4), 식 (5) 및 식 (6) :
-0.002 ≤ n0 - n2 ≤ 0.002 ···(4)
n1 < n0 ···(5)
n1 < n2 ···(6)
을 만족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식 (4), 식 (5) 및 식 (6) 을 모두 만족함으로써, 층간의 다중 반사에서 기인하는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보다 작아져,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n0 = n2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시광 파장 범위는, 대략 380 ∼ 780 ㎚ 라고 여겨진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식을 「만족한다」 또는 상기 서술한 식에 「적합하다」 란, 가시광 파장 범위 내에 있어서의 어느 파장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식이 성립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에 있어서는, 기판 (101) 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굴절률 (n0) 이, 1.480 이상 1.5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n0 이 1.480 이상임으로써, 광학 특성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1.580 이하임으로써, 있어도 광학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에 있어서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굴절률 (n1) 이, 1.480 이상 1.5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490 이상 1.5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n1 이 1.480 이상임으로써,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또는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재료가 아크릴계 수지인 경우에 있어서, 광학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미세 요철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n1 이 1.580 이하임으로써,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또는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재료가 아크릴계 수지인 경우에 있어서, 광학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미세 요철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실제로,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측으로부터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파장 400 ∼ 750 ㎚ 의 범위에서, 1 ㎚ 마다, 전후 25 ㎚ 의 반사율의 값을 사용하여 파장 이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파장 이동 평균치와 스펙트럼의 값의 차분 절대치를 각각 산출했을 때의, 그들의 평균치 (이하, 「차분 절대 평균치」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가 0.0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분 절대 평균치가 0.020 % 이하임으로써,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가 더욱 억제된다.
또한, 차분 절대 평균치의 조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판의 굴절률 (n0),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 (n1),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 (n2) 을 조절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상기의 식 (1), 식 (2) 및 식 (3) 모두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등에 의해, 차분 절대 평균치를 0.020 %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분 절대 평균치의 조정은,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실시할 수도 있다.
<미세 요철 적층체의 용도>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는, 예를 들어, 일 구성 부재로서,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중에서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노트북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 (100) 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기판 (101) 의 표면의 일부에만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미세 요철 적층체는, 예를 들어, 최근 많이 유통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면측에 촬상 소자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예를 들어, 노트북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 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상기 서술한 미세 요철 적층체와,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를, 복합층 (130) 이 촬상 소자의 바로 위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는, 반사 방지 처리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복합층 (130) 에서 기인하는 높은 반사 방지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박형화가 달성된다. 참고로, 도 13 에,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기판 (101) 표면의 일부에만 적층된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의 화상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상 및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기판 (101) 표면의 일부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미세 요철 적층체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협지 압착 공정과, 경화 A 공정과, 제 1 박리 공정과, 적층 압압 공정과, 경화 B 공정과, 제 2 박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복합층을 파손하지 않고 기판에 형성하여,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미세 요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 대하여, 도 4A ∼ 도 4H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협지 압착 공정>
협지 압착 공정은,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2 장의 유지 필름으로, UV 경화성 수지 A 를 협지하고, 압착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미세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갖는 2 장의 유지 필름 (제 1 유지 필름 (201a) 및 제 2 유지 필름 (201b)) 을 준비한다. 이어서,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V 경화성 수지 A (151) 를, 상기 서술한 제 1 유지 필름 (201a) 과 제 2 유지 필름 (201b) 으로, 서로의 미세 요철 구조가 서로 마주 보도록 하여 협지한다. 또한, UV 경화성 수지 A (151) 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UV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UV 경화성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UV 경화성 수지 A (151) 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 개시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UV 경화성 수지 A (151) 는, 점도가 30 cp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UV 경화성 수지 A (151) 의 점도가 30 cps 이하이면,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형성시에, 보다 용이하게,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를 250 ㎚ 이하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갖는 유지 필름 (201a, 201b) 은, 예를 들어, 베이스 기재 상에, 소정 요철 패턴을 갖는 미세 요철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투명하고 또한 잘 파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TA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재 상에의 미세 요철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베이스 기재의 일방의 면 상에 미경화의 UV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 대응 요철 패턴이 형성된 롤을 상기 도포한 UV 경화성 수지에 밀착시켜, 요철 패턴을 UV 경화성 수지에 전사시키는 공정, 상기 도포한 UV 경화성 수지에 대하여 UV 광을 조사하고, 경화시키는 공정, 그리고, 경화한 UV 경화성 수지를 롤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UV 경화성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UV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UV 경화성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UV 경화성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 개시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유지 필름 (201a) 및 제 2 유지 필름 (201b) 은, 각각,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서, 미세 요철 구조의 표면에 무기계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라미네이터 (160) 등의 압착 장치에 의해, 협지체를 협지 방향으로 압착한다. 여기서, 협지 압착 공정에서는, 압착시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경화 A 공정>
경화 A 공정은, 협지된 UV 경화성 수지 A 를 UV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고,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된 UV 경화성 수지 A (151) 에 대하여 UV 광을 조사하고, UV 경화성 수지 A (151) 를 경화시킨다. UV 경화성 수지 A (151) 가 경화함으로써,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형성된 유지 필름 적층체 (250) 가 얻어진다. 또한, 경화 A 공정은, 협지 압착 공정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양면의 미세 요철 구조는, 제 1 유지 필름 (201a) 및 제 2 유지 필름 (201b) 의 미세 요철 구조와 간극 없이 교합될 수 있다.
<제 1 박리 공정>
제 1 박리 공정은,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부터 일방의 유지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C 에 나타내는 유지 필름 적층체 (250) 로부터, 제 2 유지 필름 (201b) 을 박리하여, 도 4D 에 나타내는 상태 (편면 박리 적층체 (250')) 로 한다.
<적층 압압 공정>
적층 압압 공정은, 일방의 유지 필름이 박리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UV 경화성 수지 B 를 개재하여, 박리된 면을 접촉시키도록 기판에 적층하고, 타방의 유지 필름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도 4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101) 상에, UV 경화성 수지 B (171) 를 도포 (포팅) 한다. 이어서, 도 4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면 박리 적층체 (250') 를, 제 2 유지 필름 (201b) 이 박리된 면이 기판 (101) 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기판 (101) 에 도포된 UV 경화성 수지 B (171) 에 압압한다. 압압된 UV 경화성 수지 B (171) 는, 기판 (101)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사이에서 눌러 펴진다. 또한, UV 경화성 수지 B (171) 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UV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UV 경화성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UV 경화성 수지 B (171) 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 개시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판 (101) 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
<경화 B 공정>
경화 B 공정은,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압압한 상태에서, UV 경화성 수지 B 를 UV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1 투명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UV 경화성 수지 B (171) 에 대하여 UV 광을 조사하여, UV 경화성 수지 B (171) 를 경화시킨다. UV 경화성 수지 B (171) 는, 경화함으로써, 기판 (101)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에 고착되어,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이 형성된다.
또한, 경화 B 공정은, 적층 압압 공정에 있어서의 압압과 동일한 타이밍으로 실시해도 된다.
<제 2 박리 공정>
제 2 박리 공정은,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압압을 해제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에 의해 기판에 고착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제 1 투명 유기물층에 의한 고착 지점 이외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부터 분리하면서, 타방의 유지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면 박리 적층체 (250') 의 압압을 해제하여, 기판 (101) 으로부터 편면 박리 적층체 (250') 를 릴리스함으로써,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을 편면 박리 적층체 (250') 로부터 박리시킨다. 경화 B 공정에 의해, 편면 박리 적층체 (250') 의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중, UV 경화성 수지 B (171) 가 존재하고, 또한, UV 광이 조사된 영역에서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과 기판 (101) 이, 경화한 UV 경화성 수지 B (171') 에 의해 고착된다. 그리고, 편면 박리 적층체 (250') 를 릴리스함으로써, 경화한 UV 경화성 수지 B (171') 에 의해 고착된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경화한 UV 경화성 수지 B (171') 에 의한 고착 지점 이외의 제 1 유지 필름 (201a) 상의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과 분리 (분단) 되면서, 편면 박리 적층체 (250') (제 1 유지 필름 (201a)) 로부터 박리되고, 이렇게 하여, 경화한 UV 경화성 수지 B (171'), 즉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 (130) 이, 기판 (101) 상에 형성된다.
도 4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101) 에 형성되는 복합층 (130) 은,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기판 (101) 측의 면의 오목부에도,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이 들어갈 수 있다. 즉,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은,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층 (130) 은,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파장 400 ∼ 750 ㎚ 의 범위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1 % 이하로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는, 카메라 모듈과, 표시판을 구비하고, 표시판은,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된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1 투명 유기물층 상에 적층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는, 15 ㎛ 이하이다. 그리고, 이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는, 카메라 모듈이, 제 2 투명 유기물층과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촬상 소자에 의해,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을 개재하여 정지 화면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광의 반사가 억제되어, 얻어지는 촬상 화상에 있어서 색 불균일이나 고스트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로는, 구체적으로, 노트북형 PC, 태블릿형 PC,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이하, 「본 실시형태의 장치」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의, 카메라 모듈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 개요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300) 는, 카메라 모듈 (310) 과, 표시판 (311) 을 구비하고, 표시판 (311) 의 일방의 표면에는, 차광 영역 (312) 과, 투명 영역 (비차광 영역) (31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판 (311) 의 투명 영역 (313) 에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314) 이 적층됨과 함께, 이 제 1 투명 유기물층 (314) 에는, 제 2 투명 유기물층 (315) 이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판 (311) 은,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유리, 임의의 유기 재료로 표면을 코팅한 유리,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MMA)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의 유기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314)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315) 은, 각각,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미세 요철 적층체가 구비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에 대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314)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315) 을 구비하는 표시판 (311) 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 (310)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투명 유기물층 (315) 과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장치의 상세한 조건,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 (310) 의 구체적인 구성, 카메라 모듈 (3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315) 의 거리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차분 절대 평균치에 대해서는 계산 소프트 「TFCalc」 를 이용하여, 광학 계산에 의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광학 계산에서는, 파장 589 ㎚ 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판 (101) 과,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이,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 (110a) 를 갖고,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 (120a, 120b) 를 갖는,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의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기판의 굴절률 (n0) 을 1.500 으로 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 (n1) 을 1.490 으로 하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 (n2) 을 1.520 으로 하였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서로의 미세 요철 구조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베이스부 (111) 의 두께를 6000 ㎚, 교합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베이스부 (121) 의 두께를 100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다른 일방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로 하였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 (130) 의 두께는, 7440 ㎚ 로 산출되었다.
이 미세 요철 적층체 모델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으로부터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광의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차분 절대 평균치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 값이 작을수록,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작아,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가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미세 요철 적층체 모델에 대하여,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으로부터, 파장 425 ㎚ 의 광을 입사각 7°로 입사시켰을 때의, 산란 및 흡수에 의한 광의 손실률 (%) 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0 % - {투과율 (Tr) + 반사율 (Re)} 을 구하였다. 이 값을 이용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광의 손실률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A : 1.00 % 미만
B : 1.00 % 이상 1.40 % 미만
C : 1.40 % 이상
(실시예 2 ∼ 7)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미세 요철 적층체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미세 요철 적층체 모델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지, 상기 서술한 식 (1) ∼ 식 (3) 을 모두 만족하는지, 그리고, 상기 서술한 식 (4) ∼ 식 (6) 을 모두 만족하는지에 대하여, 표 1 에 나타낸다 (이후의 예도 동일).
그리고, 각 예에 있어서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으로부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은, 각각 도 7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차분 절대 평균치의 측정 및 광의 손실률의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의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n0 을 1.518 로 하고, n1 을 1.500 으로 하고, n2 를 1.520 으로 하였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서로의 미세 요철 구조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베이스부 (111) 의 두께를 8200 ㎚, 교합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베이스부 (121) 의 두께를 100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다른 일방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로 하였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 (130) 의 두께는, 9640 ㎚ 로 산출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차분 절대 평균치의 측정 및 광의 손실률의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의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n0 을 1.515 로 하고, n1 을 1.510 으로 하고, n2 를 1.530 으로 하였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서로의 미세 요철 구조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베이스부 (111) 의 두께를 2000 ㎚, 교합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베이스부 (121) 의 두께를 100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다른 일방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로 하였다.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 (130) 의 두께는, 3440 ㎚ 로 산출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차분 절대 평균치의 측정 및 광의 손실률의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기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이 평탄면이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제 1 투명 유기물층과는 반대측의 표면 (상면) 에만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미세 요철 적층체의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n0 을 1.518 로 하고, n1 을 1.500 으로 하고, n2 를 1.520 으로 하였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를, 9840 ㎚ 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차분 절대 평균치의 측정 및 광의 손실률의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3)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미세 요철 적층체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차분 절대 평균치의 측정 및 광의 손실률의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기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이 평탄면이고, 제 2 투명 유기물층도, 양면이 평탄면인, 평탄 적층체의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n0 을 1.520 으로 하고, n1 을 1.500 으로 하고, n2 를 1.520 으로 하였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를 25000 ㎚ 로 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차분 절대 평균치의 측정 및 광의 손실률의 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실시예 1 ∼ 9 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가 15 ㎛ 를 크게 하회하고 있어, 박형화가 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1 ∼ 9 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는, 제 1 투명 유기물층이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식 (1) 및 식 (2) 의 양방을 만족하는 실시예 1 ∼ 3, 5 ∼ 7, 9, 그리고 식 (4), 식 (5) 및 식 (6) 모두를 만족하는 실시예 8 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는, 차분 절대 평균치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식 (1), 식 (2) 및 식 (3) 모두를 만족하는 실시예 1 ∼ 3, 9 에 관련된 미세 요철 적층체는, 차분 절대 평균치가 0.020 % 이하가 되어 있는, 즉,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보다 작아,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에 있어서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가 반사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판 (101) 과,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이,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 (110a) 를 갖고,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이,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 (120a, 120b) 를 갖는, 미세 요철 적층체 (100) 의 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서, 기판의 굴절률 (n0) 을 1.500 으로 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 (n1) 을 1.470 으로 하고,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굴절률 (n2) 을 1.520 으로 하였다. 또한,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과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은, 서로의 미세 요철 구조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의 베이스부 (111) 의 두께를 6000 ㎚, 교합되는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 및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다른 일방의 오목부의 깊이 (볼록부의 높이) 를 220 ㎚ 로 하였다. 그리고,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 의 베이스부 (121)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 의 두께를 각각 1500 ㎚, 1000 ㎚, 500 ㎚, 250 ㎚, 50 ㎚ 로 바꾸어, 제 2 투명 유기물층측으로부터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을 구한 결과, 각각 도 14A ∼ 도 14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그리고, 얻어진 광의 반사 스펙트럼으로부터, 차분 절대 평균치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도 14A ∼ 도 14E 및 표 2 로부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가 작을 (예를 들어, 250 ㎚ 이하이다) 수록, 차분 절대 평균치가 작고 또한, 반사 스펙트럼의 진동 (리플) 이 작아, 색 불균일이나 반사 악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화가 달성되고, 반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단파장의 광의 산란이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색 불균일이나 고스트 등의 발생이 억제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0 ; 미세 요철 적층체
101 ; 기판
110 ; 제 1 투명 유기물층
110a ; 미세 요철 구조
111 ; 베이스부
120 ; 제 2 투명 유기물층
120a, 120b ; 미세 요철 구조
121 ; 베이스부
130 ; 복합층
151 ; UV 경화성 수지 A
160 ; 롤 라미네이터
171 ; UV 경화성 수지 B
171' ; 경화한 UV 경화성 수지 B
201a ; 제 1 유지 필름
201b ; 제 2 유지 필름
250 ; 유지 필름 적층체
250' ; 편면 박리 적층체
300 ;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310 ; 카메라 모듈
311 ; 표시판
312 ; 차광 영역
313 ; 투명 영역
314 ; 제 1 투명 유기물층
315 ; 제 2 투명 유기물층

Claims (12)

  1. 기판과,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양면의 미세 요철 구조가, 각각,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를 갖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미세 요철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미세 요철 구조가 아닌 부분의 두께가 250 ㎚ 이하인, 미세 요철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이, 상기 기판의 표면의 일부에만 적층되어 있는, 미세 요철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0,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2 라고 했을 때에, 이하의 식 (1) 및 식 (2) :
    n0 < n2 ···(1)
    2n0 - n2 ≤ n1 ≤ 2n2 - n0 ···(2)
    를 만족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또한, 이하의 식 (3) :
    2n0 - n2 < n1 < n2 ···(3)
    을 만족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0,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1,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가시광 파장 범위 내의 굴절률을 n2 라고 했을 때에, 이하의 식 (4), 식 (5) 및 식 (6) :
    -0.002 ≤ n0 - n2 ≤ 0.002 ···(4)
    n1 < n0 ···(5)
    n1 < n2 ···(6)
    을 만족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 측으로부의 광의 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파장 400 ∼ 750 ㎚ 의 범위에서, 1 ㎚ 마다, 전후 25 ㎚ 의 반사율의 값을 사용하여 파장 이동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파장 이동 평균치와 상기 스펙트럼의 값의 차분 절대치를 각각 산출했을 때에, 그들의 평균치가 0.020 % 이하인, 미세 요철 적층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굴절률 (n1) 이, 1.480 이상 1.580 이하인, 미세 요철 적층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에 사용되는, 미세 요철 적층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2 장의 유지 필름으로, UV 경화성 수지 A 를 협지하고, 압착하는 협지 압착 공정과,
    협지된 UV 경화성 수지 A 를 UV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경화 A 공정과,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부터 일방의 유지 필름을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과,
    일방의 유지 필름이 박리된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UV 경화성 수지 B 를 개재하여, 박리된 면을 접촉시키도록 기판에 적층하고, 타방의 유지 필름 측으로부터 압압하는 적층 압압 공정과,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압압한 상태에서, 상기 UV 경화성 수지 B 를 UV 광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는 제 1 투명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경화 B 공정과,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의 압압을 해제하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에 의해 상기 기판에 고착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에 의한 고착 지점 이외의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상기 타방의 유지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제 2 박리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요철 적층체의 제조 방법.
  12. 카메라 모듈과, 표시판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판은,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적층된 제 1 투명 유기물층과,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상에 적층된 제 2 투명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 측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은, 양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투명 유기물층 및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층의 두께가 15 ㎛ 이하이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2 투명 유기물층과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KR1020197038402A 2017-07-03 2018-06-29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KR102638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0556 2017-07-03
JP2017130556 2017-07-03
PCT/JP2018/024813 WO2019009199A1 (ja) 2017-07-03 2018-06-29 微細凹凸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搭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210A true KR20200026210A (ko) 2020-03-10
KR102638360B1 KR102638360B1 (ko) 2024-02-19

Family

ID=6495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402A KR102638360B1 (ko) 2017-07-03 2018-06-29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93157B2 (ko)
JP (2) JP2019015965A (ko)
KR (1) KR102638360B1 (ko)
CN (1) CN110799330B (ko)
TW (1) TWI767021B (ko)
WO (1) WO2019009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3471B (zh) * 2019-06-28 2021-01-08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终端设备
JP2021056305A (ja) * 2019-09-27 2021-04-0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反射防止構造体、反射防止構造体付き基材、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情報端末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904A (ja) * 2002-03-29 2003-10-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層および反射防止材
JP2007025201A (ja) * 2005-07-15 2007-02-01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4402A (ja) 2013-09-10 2015-03-2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積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物品
JP2016081216A (ja) * 2014-10-15 2016-05-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603A (ja) * 1997-01-20 1998-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4133B2 (ja) 2005-07-04 2011-06-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転写シート、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I636080B (zh) * 2010-04-13 2018-09-21 旭化成電子材料股份有限公司 自撐膜、自撐結構體、自撐膜之製造方法及護膜
JP5935393B2 (ja) * 2011-03-03 2016-06-15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EP2865521A4 (en) * 2012-06-20 2016-03-02 Mitsubishi Rayon Co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 LAMINATE AND ARTICLE
CN104755259A (zh) 2012-10-22 2015-07-01 三菱丽阳株式会社 层积结构体以及其制造方法、制品
KR102384787B1 (ko) * 2014-04-09 2022-04-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JP2016081210A (ja) * 2014-10-15 2016-05-16 東レ株式会社 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6750188B2 (ja) * 2014-12-25 2020-09-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マスターフィルム付きナノ構造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210150A (ja) * 2015-05-13 2016-12-1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物品
KR20160149847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방지 필름, 그 필름을 포함한 전자 장치, 및 그 필름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6730803B2 (ja) * 2015-12-18 2020-07-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反射防止光学体の形成方法、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6623058B2 (ja) * 2015-12-18 2019-12-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反射防止光学体の形成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4904A (ja) * 2002-03-29 2003-10-15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層および反射防止材
JP2007025201A (ja) * 2005-07-15 2007-02-01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4402A (ja) 2013-09-10 2015-03-2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積層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物品
JP2016081216A (ja) * 2014-10-15 2016-05-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99330A (zh) 2020-02-14
WO2019009199A1 (ja) 2019-01-10
JP2019015965A (ja) 2019-01-31
TW201906720A (zh) 2019-02-16
TWI767021B (zh) 2022-06-11
US20200217992A1 (en) 2020-07-09
US11693157B2 (en) 2023-07-04
CN110799330B (zh) 2022-12-27
KR102638360B1 (ko) 2024-02-19
JP2023118748A (ja)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939B1 (ko) 브로드밴드 반사 방지 필름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TWI625571B (zh) 層壓本體、成像元件封裝、成像裝置及電子裝置
JP5267403B2 (ja) タッチパネル用電極フィルム、該タッチパネル用電極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JP2023118748A (ja) 微細凹凸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搭載装置
JP5841656B2 (ja) 表示装置
KR20140027950A (ko) 방현성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US8736960B2 (en) Structure with observation port
EP2302422A1 (en) Filter for display
US9726804B2 (en)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module
JP2012220739A (ja) マイクロルーバー層に接して粘着剤層を有する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TWI618952B (zh) 偏光板、光學構件套組及觸控輸入式圖像顯示裝置
KR20160053923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US10987884B2 (en) Method of forming antireflection optical body, display panel, and optical film
KR20150079054A (ko) 적층형 광학시트
KR20200026211A (ko) 적층체, 광학체의 형성 방법, 및,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JP2012185338A (ja) 表示装置
JP6266858B2 (ja) 光反射防止物品
CN111751912B (zh) 光学元件及显示装置
TWI534008B (zh) 光學膜片、光學膜片之製造方法及應用其之顯示面板
JP2010204479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50110912A (ko)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KR101126795B1 (ko) 광학 부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면 패턴이 형성된 광학부재
JP2015016607A (ja) ストライプパターンの補正方法、及びフォトマスク並びにストライプパターンシート
KR20170070959A (ko) 표면 산란구조와 반대면 메탈코팅구조를 가지는 유리 데코레이션
JP2013142823A (ja) 光反射防止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