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912A -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 Google Patents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912A
KR20150110912A KR1020140033195A KR20140033195A KR20150110912A KR 20150110912 A KR20150110912 A KR 20150110912A KR 1020140033195 A KR1020140033195 A KR 1020140033195A KR 20140033195 A KR20140033195 A KR 20140033195A KR 20150110912 A KR20150110912 A KR 2015011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bsorbing
absorbing layer
layer
optical filt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홍석
김주영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4003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912A/ko
Priority to PCT/KR2015/002565 priority patent/WO2015142025A1/ko
Publication of KR2015011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로서, 상기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는,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OPTICAL FILTER COMPRISING STIFFENER FOR IMAGE PICKUP DEVICE}
본 발명은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CMOS 센서(sensor)를 사용하여 입사광을 전기신호로 바꾸어서 화상을 만들게 된다. 그러나, 상기 CMOS 센서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도 감지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근적외선 영역의 광에 의해서 화상의 왜곡이 발생되어 육안으로 보는 경우보다는 다른 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를 차단하기 위해 CMOS 센서 전면부에 광학 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는 고화소화에 따른 고화질의 화상 구현과 디자인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한 슬림(Slim)화 구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기 광학 필터를 슬림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유리 기판을 사용하던 광학 필터를 대체하면서 슬림화 추세에 부합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고분자 수지 내에 분산하여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적용된 광학 필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흡수층은 강성(stiffness)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강성 저하는 카메라의 화상을 왜곡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258362호
따라서, 본 발명은 보강재를 사용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는,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 내에 함입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유리 섬유 또는 고분자 섬유 중 1 종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2 종이 혼합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메쉬, 허니콤, 직선, 곡선 또는 원형으로 패턴화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0 ㎛ 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근적외선 반사층 및 반사방지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유전체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유전체 다층막에 분산된 광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는 광흡수층 내에 보강재를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일 실시예에서, 패턴화 구조의 보강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비패턴화 구조의 보강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 내지 10는 각각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서, 강성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예로서,
상기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는,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 필터는 바인더 수지 내에 광흡수제가 분산된 구조의 광흡수층을 제공하며, 보강재를 이용하여 광흡수층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수지 내에 함입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가 광흡수층 내에 함입된 구조의 첫번째 예로서, 상기 보강재는 패턴화된 구조체의 형태로 광흡수층 내에 함입될 수 있다. 두번째 예로서,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 내에 분산된 구조로 함입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가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구조의 첫번째 예로서, 광이 입사되는 경로를 따라서 광흡수층의 전단 및 후단으로 나눌 때, 보강재는 광흡수층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 두번째 예로서, 보강재는 광흡수층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세번째 예로서, 보강재는 광흡수층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보강재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는 별도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터의 일면에 유리 기재를 덧대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구조로 형성된 광학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촬상 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구성하는 소재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이 투과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보강재는 바인더 수지와 비교하여 강성, 용융 온도 및 유리 전이온도가 높은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유리 섬유 및 고분자 섬유 중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리 섬유 또는 고분자 섬유를 사용할 경우, 단일 섬유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한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섬유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는 광흡수층 내에 함입되거나, 외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재를 광흡수층 내에 분산된 형태로 함입하는 경우에는, 광흡수제가 분산된 바인더 수지 내에 유리 섬유를 혼합한 후, 교반하는 방법으로, 광흡수층 내에 유리 섬유를 함입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 외의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종류의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일 섬유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한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보강재 구조체를 제조한 후, 이를 광흡수층 내에 위치시키거나,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로 사용되는 투명 소재는 광투과성 소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는 450 내지 600 nm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한 투과도는 9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시광 영역의 광에 대한 투과도는 90 내지 100% 또는 95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패턴화된 형태 또는 비패턴화된 형태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보강재는 직선 혹은 곡선이 반복되는 형태, 메쉬구조 또는 허니콤 구조 등으로 패턴화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패턴화된 구조는 광흡수층의 강성을 구현하기 적당하고, 광의 투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강재의 형태는 도 1 내지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광흡수제가 함유된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광흡수층(10)에 메쉬(mesh) 구조의 보강재(40)가 형성된 광학 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광흡수층(10)에 허니콤 패턴의 보강재(40)가 형성된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흡수층(10)에 직선이 반복된 패턴의 보강재(40)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광흡수층(10)에 원이 반복된 패턴의 보강재(40)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각 도면에서, 상기 보강재(40)는 광흡수층(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광흡수층(10) 내부에 함입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보강재의 예로서 반복적으로 패턴화되지 않은 구조를 배제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비패턴화된 구조의 보강재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광흡수층(10)의 내부에 섬유 재질의 보강재(40)가 불규칙적으로 분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10)의 두께는 30 내지 1,0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흡수층(10)의 두께는 30 내지 800 ㎛, 100 내지 800 ㎛ 또는 100 내지 500 ㎛일 수 있다. 광흡수층(10)의 두께를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광학 필터를 통과하는 광 중 특정 영역의 광에 대한 선택적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10) 내에 분산된 광흡수제로는 다양한 종류의 염료, 안료 혹은 금속 착제계 화합물 중에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흡수제로는 시아닌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또는 디티올 금속 착제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두 개 층으로 분리된 경우, 각 층에 1종씩 형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파라페닐렌 수지, 폴리아릴렌에테르포스핀옥사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 및 다양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계열의 수지 중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근적외선 반사층 및 반사방지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유전체 다층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근적외선 반사층은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근적외선 반사층은,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한 유전체 다층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증착막; 귀금속 박막; 혹은 산화 인듐 및 산화 주석 중 1종 이상의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광학 필터로 입사되는 광이 계면에서 반사되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광학 필터로의 입사광량을 높이게 된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표면반사를 줄여서 효율을 높이고 반사광으로 인한 간섭이나 산란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방지층은 진공증착 등의 방법을 사용해 유리보다 굴절률이 작은 유전체를 표면에 얇게 성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다양한 소재들을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하여 성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 내에 보강재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는 광흡수층의 강성을 측정하여 광학 필터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의 광흡수층 시편에 대하여 강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재료의 굽힘을 가하면서 강성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편에 힘을 가하면서 시편들을 동일한 정도로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면 시편의 강성 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를 포함하는 광흡수층은 높은 강성을 나타낼 수 있고, 광흡수제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 광흡수층의 중앙 부위가 아래쪽으로 처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촬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화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는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고화소가 요구되는 촬상 장치, 예를 들어 800만 화소급 이상의 카메라 등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구조의 광학 필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근적외선 반사층(20), 광흡수층(10) 및 자외선 흡수층(30)을 순차 적층한 광학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광흡수층(10)은, 광흡수제가 분산된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10) 내에 유리 섬유를 이용한 보강재(40)를 함입하여 제조하였다. 이는 도 6에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도 6을 보면, 광학 필터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로서, 광흡수층(10) 내에서 보강재(40)의 위치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다를 수 있으며, 보강재(40)의 구조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메쉬 패턴 구조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되, 광흡수층(10) 내에 보강재(40)로서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보면, 광흡수층(10) 내에 유리 섬유가 분산된 구조로 함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되, 광이 입사되는 경로를 따라서 광흡수층의 전단 및 후단으로 나눌 때, 광흡수층(10) 전단에 보강재(40)를 형성하였다. 이는, 도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되, 광이 입사되는 경로를 따라서 광흡수층의 전단 및 후단으로 나눌 때, 광흡수층(10) 후단에 보강재(40)를 형성하였다. 이는, 도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되, 광이 입사되는 경로를 따라서 광흡수층의 전단 및 후단으로 나눌 때, 광흡수층(10) 전단 및 후단에 보강재(40)를 형성하였다. 이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광흡수층에 보강재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 필터에 사용된 광흡수층에 대하여, 강성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강성 측정기에 10 mm x 10 mm 크기로 제조한 각각의 광흡수층 시편을 올려놓고, 시편의 중앙에 가해지는 힘을 점점 증가시키면서 시편이 변형되는 정도(이하 '변형도'라 함)를 측정하였다. 상기 변형도는 시편의 중앙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료의 기하학적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시편의 변형도는 시편의 중앙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시편의 중앙 부분이 휘어버리면서 발생되는 변형의 정도로서, 시편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와 시편의 중앙에 힘이 가해진 결과 시편의 중앙이 아래로 휘어진 경우에 있어서 시편의 중앙 지점간의 수직 거리를 의미한다.
강성이 강한 시편일수록 동일한 힘에 대해 작은 변형도를 보이게 된다. 즉, 대비되는 시편에 동일한 변형을 가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을 각각 측정하여 대비를 하게 되면 대비되는 시편의 강성의 상대적인 크기를 알 수 있다.
상기 강성 측정 실험의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을 보면, 그래프의 Y축은 시편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크기 (kgf)을 나타내며, X축은 시편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시편에서 발생된 변형의 정도로서, 시편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편 중앙 지점과 소정의 힘이 가해진 경우의 시편의 중앙 지점 간의 직선 거리(mm)를 의미한다.
도 11의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대한 그래프를 살펴보면, 시편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약 0.075 kgf 이하인 구간에서는 실시예 2 및 비교예에서 발생되는 변형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편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약 0.075 kgf를 초과하면서 실시예 2 및 비교예에서 발생되는 변형도에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을 하고, 그 변형도의 차이는 시편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증가될수록 더욱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의 경우에는 약 0.108 Kgf의 힘을 가할 경우 5 mm의 변형도를 보였음에 반하여,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약 0.158 kgf의 힘을 가해야만 5 mm의 변형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강재를 사용하게 되면 강성이 증가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광흡수층
20: 근적외선 반사층
30: 자외선 흡수층
40: 보강재

Claims (12)

  1. 바인더 수지 및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광흡수층; 및
    상기 광흡수층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 내에 함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유리 섬유 또는 고분자 섬유 중 1 종으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2 종이 혼합된 것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메쉬, 허니콤, 직선, 곡선 또는 원형으로 패턴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광흡수층 내에 분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근적외선 반사층 및 반사방지층 중 1 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유전체 다층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유전체 다층막에 분산된 광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촬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40033195A 2014-03-21 2014-03-21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KR20150110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195A KR20150110912A (ko) 2014-03-21 2014-03-21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PCT/KR2015/002565 WO2015142025A1 (ko) 2014-03-21 2015-03-17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195A KR20150110912A (ko) 2014-03-21 2014-03-21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12A true KR20150110912A (ko) 2015-10-05

Family

ID=5414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195A KR20150110912A (ko) 2014-03-21 2014-03-21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10912A (ko)
WO (1) WO20151420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941B1 (ko) * 2017-09-28 2018-08-30 (주)유티아이 광학 필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069B2 (ja) * 1996-04-18 2006-04-05 カネボウ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を含む多層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映像出力装置
JP2002268120A (ja) * 2001-03-14 2002-09-18 Kureha Chem Ind Co Ltd 光学的機能フィルター部材及び撮像装置
JP2004333746A (ja) * 2003-05-06 2004-1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941B1 (ko) * 2017-09-28 2018-08-30 (주)유티아이 광학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2025A1 (ko)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926B1 (ko) 도전 시트, 도전 시트의 사용 방법 및 터치 패널
JP5685270B2 (ja) 平面板付き表示パネル、及び、平面板付き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EP3358618B1 (en) Imaging module and imaging device
US10139545B2 (en) Front ligh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reof
CN105308542A (zh) 显示装置用基板以及显示装置
KR102528794B1 (ko) 광학 필름 및 터치 패널이 부착된 표시 장치
US20160303838A1 (en) Transparent conductive multilayer assembly
TW201518810A (zh) 層壓本體、成像元件封裝、成像裝置及電子裝置
US8736960B2 (en) Structure with observation port
EP2302422A1 (en) Filter for display
WO2009008657A2 (en) Optical sheet with high contrast ratio and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ing device including the sheet or the filter
US20120293744A1 (en) Light guide sheet and display device
WO2012053756A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30128466A (ko) 반사 방지 필름 및 편광판
KR102055018B1 (ko)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방현성 필름, 도공액,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7101912A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50110912A (ko) 보강재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용 광학 필터
KR20080090089A (ko) 고해상도 시트, 이를 구비하는 필터, 및 상기 시트 또는필터를 구비하는 표시소자
TWI573065B (zh) 觸控顯示模組
CN111627319A (zh) 防窥膜
JP2012089782A (ja) 導電性外光遮蔽材、導電性外光遮蔽シート体、画像表示装置前面用フィル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00067817A (ko) 광학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8360B1 (ko) 미세 요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카메라 모듈 탑재 장치
JP2010531465A (ja) 付着力が向上した光学シート、これを備えるフィルター、及びこれらのシートまたはフィルター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US20240019605A1 (en) Optical laminate an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