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715A -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715A
KR20200024715A KR1020190095536A KR20190095536A KR20200024715A KR 20200024715 A KR20200024715 A KR 20200024715A KR 1020190095536 A KR1020190095536 A KR 1020190095536A KR 20190095536 A KR20190095536 A KR 20190095536A KR 20200024715 A KR20200024715 A KR 2020002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rface protection
base material
fluorene
protection fil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유무 나카하라
타카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3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63/197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condens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8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halogens
    • C08G63/6824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halogen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82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과제)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을 갖고, 또한, 광학 검사시의 광누설, 착색 및 무지개 얼룩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되고, 면내 위상차 Re(550)가 30nm 이하이며, MIT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까지의 절곡 횟수가 500회 이상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은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재료를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것, 및, 성형된 필름을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SUBSTRATE FOR SURFACE PROTE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SUBSTRATE, AND OPTICAL FILM WITH SURFAC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예를 들면, 편광판, 편광판을 포함하는 적층체)에는 상기 광학 필름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실제로 사용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광학 필름(최종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을 보호하기 위해서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실용적으로는 광학 필름/표면 보호 필름의 적층체가 표시 셀에 접합되어서 화상 표시 장치가 제작되고, 상기 적층체가 접합된 상태로 화상 표시 장치가 광학 시험(예를 들면, 점등 시험)에 제공되고, 그 후의 적절한 시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 제거된다. 표면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기재로서의 수지 필름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종래의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면, 광학 검사시에 광누설, 착색, 무지개 얼룩 등이 발생하여 광학 검사의 정밀도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화상 표시 장치 자체에는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출하전의 광학 검사에서 불량이라고 판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것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부터 출하까지의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실질적으로는 기재)은 접합시 및 박리시의 조작성을 고려해서 우수한 가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7-19040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을 갖고, 또한, 광학 검사시의 광누설, 착색 및 무지개 얼룩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되고, 면내 위상차 Re(550)가 30nm 이하이며, MIT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까지의 절곡 횟수가 500회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A)과 디올 성분(B)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A)이 하기 식(1a) 및 (1b)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식(1a) 및 식(1b)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치환기이며, k,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이며, X1 및 X2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 유래의 구성단위를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A) 유래의 구성단위 전량에 대해서 50몰% 이상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디올 성분(B)은 하기 식(2)로 나타내어지는 플루오렌디올 성분(B1)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2
식(2)에 있어서, Z는 방향족 탄화수소환이며, R3 및 R4는 각각 치환기이며, p는 각각 0∼4의 정수이며, q 및 r은 각각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며, R5는 각각 알킬렌기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헤이즈가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조 방법은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재료를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것, 및, 상기 성형된 필름을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의 연신 속도는 10%/초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표면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이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이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을 소정의 연신 조건(대표적으로는 연신 속도)으로 연신함으로써, 매우 작은 면내 위상차와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을 양립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된다. 폴리머 얼로이는 폴리머 블렌드이어도 좋고,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블렌드이다.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이종의 고분자임에도 불구하고, 혼합하면 완전 상용 상태 또는 안정된 미크로상 분리 상태가 되고,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할 수 있다.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혼합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용매에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해하는 방법, 혼련기 또는 압출기에 의해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융 혼합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제작한 후의 잔존 용매에 의한 광학적 특성(예를 들면, 위상차, 파장 분산 특성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A)과 디올 성분(B)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A)은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을 포함한다.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1a) 및 (1b)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Figure pat00003
식(1a) 및 식(1b)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치환기이며, k,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이며, X1 및 X2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다.
식(1a)에 있어서, 치환기 R1로서는, 예를 들면, 시아노기, 할로겐 원자(예를 들면,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탄화수소기[예를 들면, 알킬기,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등의 C6-10아릴기)] 등의 비반응성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부틸기 등의 C1-12알킬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1-8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4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이다. 각각의 치환기 R1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치환기 R1의 치환수 k가 2 이상인 경우, 플루오렌환 중의 동일 벤젠환내의 2 이상의 기 R1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 플루오렌환을 구성하는 2개의 벤젠환에 있어서의 치환기 R1의 결합 위치(치환 위치)는 예를 들면, 플루오렌환의 2-위치, 7-위치, 2- 및 7-위치를 들 수 있다.
치환기 R1의 치환수 k는 예를 들면, 0∼2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이다. 또, 플루오렌환을 구성하는 2개의 벤젠환에 있어서, 각각의 치환수 k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식(1b)에 있어서, 치환기 R2 및 치환수 m은 각각, 식(1a)에 있어서의 치환기 R1 및 치환수 k와 동일하다.
식(1b)에 있어서, 메틸렌기의 반복수 n은 예를 들면, 0∼3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0∼2의 정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다.
식(1a) 및 (1b)에 있어서, X1 및 X2로 나타내어지는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프로필렌기, 1,2-부탄디일기, 2-메틸프로판-1,3-디일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8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렌기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6알킬렌기(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프로필렌기, 2-메틸프로판-1,3-디일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4알킬렌기)이다. 탄화수소기의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릴기(페닐기 등), 시클로알킬기(시클로헥실기 등) 를 들 수 있다.
각각의 X1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X1 및 X2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X1은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2-4알킬렌기(예를 들면,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2-3알킬렌기)이며, X2는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3알킬렌기(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이다.
식(1a)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9,9-비스(카르복시C2-6알킬)플루오렌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9,9-비스(2-카르복시에틸)플루오렌, 9,9-비스(2-카르복시프로필)플루오렌을 들 수 있다. 식(1b)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9-(디카르복시C2-8알킬)플루오렌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9-(1-카르복시-2-카르복시에틸)플루오렌, 9-(2,3-디카르복시프로필)플루오렌을 들 수 있다.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 유래의 구성단위를 디카르복실산 성분(A) 유래의 구성단위 전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예를 들면, 3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예를 들면, 6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예를 들면, 8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예를 들면, 95몰% 이상) 포함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A)은 실질적으로 전부가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이어도 좋다.
디카르복실산 성분(A)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A2)[단,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을 제외한다],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성분(A3),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A4), 및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디올 성분(B)은 하기 식(2)로 나타내어지는 플루오렌디올 성분(B1)을 포함한다. 플루오렌디올 성분(B1)은 단독의 디올 화합물이어도 좋고, 복수의 디올 화합물의 조합이어도 좋다.
Figure pat00004
식(2)에 있어서, Z는 방향족 탄화수소환이며, R3 및 R4는 각각 치환기이며, p는 각각 0∼4의 정수이며, q 및 r은 각각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며, R5는 각각 알킬렌기이다.
식(2)에 있어서, Z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족 탄화수소환(아렌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환 등의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환(단환식 아렌환),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환(다환식 아렌환)을 들 수 있다.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환으로서는, 예를 들면,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환(축합 다환식 아렌환), 환집합 방향족 탄화수소환(환집합 아렌환)을 들 수 있다. 벤젠환, 나프탈렌환, 비페닐환 등의 C6-12아렌환이 바람직하고, 벤젠환 등의 C6-10아렌환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각의 Z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식(2)에 있어서, 치환기 R3 및 치환수 p는 각각, 식(1a)에 있어서의 치환기 R1 및 치환수 k와 동일하다.
치환기 R4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콕시기, 시클로알킬옥시기, 아릴옥시기, 아랄킬옥시기, 알킬티오기, 시클로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아랄킬티오기, 아실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치환 아미노기, 비스(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치환기 R4는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6알킬기), 시클로알킬기(예를 들면, 시클로헥실기 등의 C5-8시클로알킬기),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등의 C6-14아릴기), 알콕시기(예를 들면, 메톡시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4알콕시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1-4알킬기),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등의 C6-10아릴기)이다. 또, 치환기 R4가 아릴기인 경우에는 치환기 R4는 환 Z와 함께 상기 환집합 아렌환을 형성해도 좋다. 각각의 R4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치환기 R4의 치환수 q는, 예를 들면, 0∼8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0∼4(예를 들면, 0∼3)의 정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의 정수(예를 들면, 0 또는 1)이다. 치환수 q는 0이어도 좋다. 또, 치환기 R4의 결합 위치(치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식(2)에 있어서, 치환기 R5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기, 프로필렌기(1,2-프로판디일기), 트리메틸렌기, 1,2-부탄디일기, 테트라메틸렌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2-6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2-4알킬렌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2-3알킬렌기(특히, 에틸렌기)이다. 옥시알킬렌기(OR5)의 반복수(부가몰수) r은, 예를 들면, 0∼15(예를 들면, 1∼10)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0∼8(예를 들면, 1∼6)의 정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예를 들면, 1∼2)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예를 들면, 1)이다. 또, 식(2)에 있어서의 기[-O-(R5O)r-H]의 치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식(2)로 나타내어지는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9,9-비스(히드록시아릴)플루오렌류, 9,9-비스[히드록시(폴리)알콕시아릴]플루오렌류를 들 수 있다.
디올 성분(B)은 중합반응성을 높임과 아울러,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에 유연성을 부여해서 성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으로부터, 알칸디올(B2)[또는 알킬렌글리콜(B2)]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알칸디올(B2)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테트라메틸렌글리콜(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등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C2-12알칸디올을 들 수 있다.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플루오렌디올(B1)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알칸디올(B2)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비율 B1/B2(몰비)은 예를 들면, 0/50∼100/0(예를 들면, 50/50∼99/1)이며, 바람직하게는 60/40∼97/3(예를 들면, 65/35∼95/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8/32∼92/8(예를 들면, 70/30∼90/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3/27∼88/12(예를 들면, 75/25∼85/15)이다.
디올 성분(B)은 필요에 따라 다른 디올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글리콜(또는 폴리알칸디올)(B3), 지환족 디올(B4), 방향족 디올(B5) 및 그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디올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플루오렌디올 성분(B1) 및 알칸디올 성분(B2) 유래의 구성단위를 디올 성분(B) 유래의 구성단위 전량에 대해서, 예를 들면, 10몰% 이상(예를 들면, 30몰%∼100몰%),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예를 들면, 60몰%∼9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예를 들면, 80몰%∼98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예를 들면, 95몰%∼97몰%) 포함한다. 디올 성분(B)은 실질적으로 전부가 플루오렌디올 성분(B1) 및 알칸디올 성분(B2)이어도 좋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디올 성분(C)을 중합 성분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디올 성분(C)은 방향족 디올(C1)을 적어도 포함한다. 방향족 디올(C1)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플루오렌디올(예를 들면, 9,9-비스(히드록시아릴)플루오렌류, 9,9-비스[히드록시(폴리)알콕시아릴]플루오렌류), 디히드록시아렌(예를 들면,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방향지방족 디올(예를 들면, 벤젠디메탄올), 비스페놀류(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AD, 비스페놀 C, 비스페놀 G, 비스페놀 S), 비페놀류(예를 들면, p,p'-비페놀), 및 이들 디올 성분의 C2-4알킬렌옥사이드(또는 알킬렌카보네이트, 할로알칸올) 부가체[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1몰에 대해서, 2∼10몰 정도의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한 부가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방향족 디올(C1)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방향족 디올(C1)은 바람직하게는 비페놀류, 비스페놀류 또는 그 C2-4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를 포함한다.
폴리머 얼로이에 있어서의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율 PE/PC(중량비)는 예를 들면, 1/99∼99/1(예를 들면, 10/90∼97/3)이며, 바람직하게는 30/70∼95/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0∼90/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40∼88/12(예를 들면, 65/35∼85/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7/33∼83/17(예를 들면, 70/30∼80/20)이다.
폴리머 얼로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하기 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첨가제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Figure pat00005
식(3)에 있어서, Z1은 각각 단환식 또는 축합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환이며, R6 및 R7은 각각 치환기이며, s, t 및 u는 0 이상의 정수이다.
폴리머 얼로이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가소제(에스테르류, 프탈산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술폰아미드류 등), 난연제(무기계 난연제, 유기계 난연제, 콜로이드 난연물질 등), 안정제(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열안정제 등), 대전방지제, 충전제(산화물계 무기 충전제, 비산화물계 무기 충전제, 금속분말 등), 발포제, 소포제, 활제, 이형제(천연 왁스류, 합성 왁스류, 직쇄 지방산 또는 그 금속염, 산아미드류 등), 이활성 부여제(예를 들면, 실리카, 산화티탄, 탄산칼슘, 클레이, 마이카, 카올린 등의 무기 미립자; (메타)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가교 폴리스티렌 수지 등) 등의 유기 미립자), 상용화제를 들 수 있다. 첨가되는 첨가제의 수, 종류, 조합 및 첨가량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폴리머 얼로이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7-19895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30n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n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nm 이하이다. 면내 위상차 Re(550)는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그 하한은 이상적으로는 0nm이며, 예를 들면, 1nm일 수 있다. 면내 위상차 Re(550)가 이러한 범위이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검사에 제공한 경우에, 광누설, 착색 및 무지개 얼룩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검사의 정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부터 출하까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면내 위상차 Re(550)는 상기와 같은 특정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을 후술하는 소정의 연신 조건으로 연신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Re(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했을 때, 식:Re=(nx-ny)×d에 의해 구해진다. 따라서, 「Re(550)」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여기에서, 「nx」는 면내의 굴절율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율이며,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율이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두께 방향 위상차 Rth(550)는 바람직하게는 95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nm 이하이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550)는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그 하한은 이상적으로는 0nm이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550)가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광학 검사에 있어서 경사 방향의 광누설, 착색 및 무지개 얼룩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형의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검사에 있어서도 정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3.0∼10이다. 따라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굴절률 특성은 예를 들면, nx>ny>nz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Nz 계수가 이러한 범위이면, 광학 검사에 있어서 경사 방향의 광누설, 착색 및 무지개 얼룩을 더욱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Rth(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했을 때, 식:Rth=(nx-nz)×d에 의해 구해진다. 따라서, 「Rth(550)」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여기에서,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다. 또한, 「Nz 계수」는 Nz=Rth(λ)/Re(λ)로 구해진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면내 위상차가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도 좋고, 면내 위상차가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작아지는 정(正)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좋고, 면내 위상차가 측정광의 파장에 의해서도 거의 변화되지 않는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좋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매우 작은 면내 위상차 Re(550)를 갖고, 또한, 이렇게 매우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MIT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까지의 절곡 횟수가 500회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회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회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회 이상이다. 즉,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매우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을 가질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이러한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에 기인해서 접합시 및 박리시의 조작성이 우수하고, 또한, 깨짐이 억제된 표면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러한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과 상기와 같은 매우 작은 면내 위상차 Re(550)를 양립할 수 있다. 이러한 양립을 실현한 것이 본 발명의 성과의 하나이다. 또, MIT 시험은 JIS P 8115에 준거해서 행해질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인장속도 100mm/min에 있어서 50㎫∼350㎫이다. 탄성률이 이러한 범위이면, 반송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우수한 탄성률(강도)과 상기와 같은 우수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유연함)을 양립할 수 있다. 또, 탄성률은 JIS K 7127:1999에 준거해서 측정된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인장신도는 바람직하게는 70%∼200%이다. 인장신도가 이러한 범위이면, 반송 중에 파단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인장신도는 JIS K 6781에 준거해서 측정된다.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0㎛∼100㎛이며, 바람직하게는 20㎛∼70㎛이다.
B.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A항에 기재된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재료(수지 조성물)를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것, 및, 상기 성형된 필름을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필름 형성 재료는 상기 폴리머 얼로이에 추가해서, 다른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용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을 들 수 있다.
필름 형성 재료로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성형 가공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압축 성형법, 트랜스퍼 성형법,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분말 성형법, FRP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예를 들면, 유연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등을 들 수 있다. 압출 성형법 또는 캐스트 도공법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필름의 평활성을 높이고, 양호한 광학적 균일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형 조건은 사용되는 수지의 조성이나 종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에 소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필름의 연신 방법은 대표적으로는 2축 연신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이다. 면내 위상차 Re(550)가 작고, 또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필름의 연신 방향은 대표적으로는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이다.
연신 온도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배율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온도는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Tg+5℃∼Tg+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Tg+30℃이다. 이러한 온도로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절한 특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가 얻어질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에 소망되는 면내 위상차 및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2축 연신(예를 들면,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제1방향(예를 들면, 길이방향)의 연신 배율과 제2방향(예를 들면, 폭방향)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그 차가 가능한 한 작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같다. 이러한 구성이면, 면내 위상차 Re(550)가 작고, 또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가 얻어질 수 있다. 2축 연신(예를 들면,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연신 배율은 제1방향(예를 들면, 길이방향) 및 제2방향(예를 들면, 폭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예를 들면, 1.1배∼3.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신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초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초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초 이하이다. 상기와 같은 특정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을 이러한 작은 연신 속도로 연신함으로써, 면내 위상차 Re(550)가 작고, 또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가 얻어질 수 있다. 연신 속도의 하한은 예를 들면, 1.2%/초일 수 있다. 연신 속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생산성이 실용적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2축 연신(예를 들면,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제1방향(예를 들면, 길이방향)의 연신 속도와 제2방향(예를 들면, 폭방향)의 연신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그 차가 가능한 한 작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같다. 이러한 구성이면, 면내 위상차 Re(550)를 보다 작게 하고, 또한, 가요성 또는 내절곡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 표면 보호 필름
상기 A항 및 B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표면 보호 필름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A항 및 B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가 채용될 수 있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고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수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5-120337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11-20198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내약품성, 침지시에 있어서의 처리액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성, 피착체에의 자유도 등의 관점으로부터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에 포함될 수 있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는,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의 배합 처방은 목적 및 소망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0×104Pa∼1.0×107Pa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4Pa∼5.0×106Pa이다. 점착제층의 저장탄성률이 이러한 범위이면, 롤 형성시의 블록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저장탄성률은 예를 들면, 온도 23℃ 및 각속도 0.1rad/s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이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점착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점착 계면에 기포 등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점착제가 밀려나오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실용적으로는 표면 보호 필름이 실제로 사용될(즉, 광학 필름 또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접합될) 때까지의 동안, 점착제층 표면에 세퍼레이터가 박리 가능하게 임시 부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점착제층을 보호함과 아울러, 표면 보호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쇄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코트된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100㎛이다.
D.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상기 C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필름(최종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이 실제로 사용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광학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상기 C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은 단일 필름이어도 좋고 적층체이어도 좋다. 광학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편광자, 위상차 필름, 편광판(대표적으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적층체), 터치패널용 도전성 필름, 표면 처리 필름, 및, 이들을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적층한 적층체(예를 들면,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터치패널용 도전층 부착 편광판,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프리즘 시트 일체형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1)면내 위상차 Re(550)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550)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2축 연신 필름)를 길이 4cm 및 폭 4cm로 잘라내고, 측정 시료로 했다. 상기 측정 시료에 대해서, Axometrics사제, 제품명「Axoscan」을 이용하여 면내 위상차 및 두께방향 위상차를 측정했다. 측정 파장은 550nm, 측정 온도는 23℃였다.
(2)헤이즈
상기 (1)과 같은 측정 시료에 대해서, 헤이즈 미터(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켄큐죠제, HM-150형)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했다. 측정 온도는 23℃였다.
(3)MIT 시험
MIT 시험은 JIS P 8115에 준거해서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2축 연신 필름)를 길이 15cm 및 폭 1.5cm로 잘라내고, 측정 시료로 했다. 측정 시료를 MIT 내절피로 시험기(MIT TYPE FOLDING ENDURANCE TESTER) BE-202형(테스터 산교(주)제)에 부착하고(하중 1.0kgf, 클램프의 R:0.38mm), 시험 속도 90cpm 및 절곡 각도 90°로 2000회를 상한으로 해서 반복 절곡을 행하고, 측정 시료가 파단되었을 때의 절곡 횟수를 시험값으로 했다.
(4)무지개 얼룩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2축 연신 필름)를 크로스 니콜 상태의 2매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했다. 그 때,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길이방향과 한쪽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배치했다. 그 상태에서 하측 편광판의 하측으로부터 형광등의 광을 조사하고, 무지개 얼룩의 유무를 육안에 의해 관찰했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무지개 얼룩은 확인되지 않았다
△:무지개 얼룩이 약간 확인되었다
×:무지개 얼룩이 현저하게 확인되었다
(5)가요성 또는 내절곡성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2축 연신 필름)에 대해서 180°절곡 시험을 100회 반복하고, 파단의 유무를 확인했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파단은 확인되지 않았다
×:파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1-1.폴리머 얼로이의 조제
원료로서 하기를 사용했다.
FDPM:9,9-비스(2-메톡시카르보닐에틸)플루오렌[9,9-비스(2-카르복시에틸)플루오렌(또는 플루오렌-9,9-디프로피온산)의 디메틸에스테르], 일본 특허공개 2005-89422호 공보의 실시예 1 기재의 아크릴산 t-부틸을 아크릴산 메틸[37.9g(0.44몰)]로 변경한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해서 합성한 것
BPEF: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오사카 가스 케미칼(주)제
EG:에틸렌글리콜
PC: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주)제 「유피론 H-4000」
FDPM 1.00몰, BPEF 0.80몰, EG 2.20몰에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아세트산 망간·4수화물 2×10-4몰 및 아세트산 칼슘·1수화물 8×10-4몰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열 용융했다. 230℃까지 승온한 후, 트리메틸포스페이트 14×10-4몰, 산화게르마늄 20×10-4몰을 첨가하고, 270℃, 0.13kPa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승온, 감압하면서 EG를 제거했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 후, 내용물을 반응기로부터 꺼내고,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의 펠릿을 조제했다. 얻어진 펠릿을 1H-NMR에 의해 분석한 결과,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에 도입된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100몰%가 FDPM 유래이며, 도입된 디올 성분의 80몰%가 BPEF 유래, 20몰%가 EG 유래였다. 얻어진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 Tg는 126℃,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43600이었다.
얻어진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PC를 20/80(중량비)으로 2축 혼련기로 혼련하고, 폴리머 얼로이의 펠릿을 제작했다.
1-2.폴리머 얼로이 필름의 제작
얻어진 폴리머 얼로이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이스즈 카코키사제, 스크류 지름 25mm, 실린더 설정 온도:255℃), T다이(폭 200mm, 설정 온도:255℃), 칠드롤(설정 온도:120∼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160㎛의 폴리머 얼로이 필름을 제작했다.
1-3.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머 얼로이 필름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2배로 동시 2축 연신했다. 연신 온도는 [Tg+20℃](즉, 146℃), 연신 속도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 모두 1.4%/초였다. 이렇게 해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두께 40㎛)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Re(550)는 8nm이며, Rth(550)는 80nm이며, 헤이즈는 0.3%이며, MIT 시험값은 상한의 2000회를 초과하는 것이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상기 (4) 및 (5)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연신 속도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 모두 3.1%/초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Re(550)는 10nm이며, Rth(550)는 81nm이며, 헤이즈는 0.2%이며, MIT 시험값은 상한의 2000회를 초과하는 것이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상기 (4) 및 (5)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연신 속도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 모두 6.5%/초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Re(550)는 20nm이며, Rth(550)는 85nm이며, 헤이즈는 0.3%이며, MIT 시험값은 상한의 2000회를 초과하는 것이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상기 (4) 및 (5)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연신 속도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 모두 10%/초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Re(550)는 30nm이며, Rth(550)는 91nm이며, 헤이즈는 0.2%이며, MIT 시험값은 상한의 2000회를 초과하는 것이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상기 (4) 및 (5)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폴리머 얼로이 필름 대신에 시판의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니폰 제온사제, 상품명 「제오노아」, Tg:150℃)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Re(550)는 2nm이며, Rth(550)는 8nm이며, 헤이즈는 0.1%이며, MIT 시험값은 150회였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상기 (4) 및 (5)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폴리머 얼로이 필름 대신에 초고 위상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츠비시 케미칼사제, 상품명 「다이아포일」, Tg:81℃)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Re(550)는 4500nm이며, Rth(550)는 6000nm이며, 헤이즈는 1.3%이며, MIT 시험값은 상한의 2000회를 초과하는 것이었다. 얻어진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를 상기 (4) 및 (5)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평가>
표 1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무지개 얼룩이 방지되고, 또한, 우수한 내절곡성(또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특정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을 소정값 이하의 연신 속도로 연신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고 추찰된다. 또한, 실시예 1∼4를 비교하면 명백하듯이, 연신 속도를 작게 할수록 우수한 특성(작은 면내 위상차)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광누설 및 착색에 대해서도 무지개 얼룩과 같은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는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필름(최종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이 실제로 사용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광학 필름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검사의 정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구성되고, 면내 위상차 Re(550)가 30nm 이하이며, MIT 시험에 있어서의 파단까지의 절곡 횟수가 500회 이상인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가 디카르복실산 성분(A)과 디올 성분(B)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A)이 하기 식(1a) 및 (1b)로 나타내어지는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Figure pat00007

    (식(1a) 및 식(1b)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치환기이며, k,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이며, X1 및 X2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플루오렌디카르복실산 성분(A1) 유래의 구성단위를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A) 유래의 구성단위 전량에 대해서 50몰% 이상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성분(B)이 하기 식(2)로 나타내어지는 플루오렌디올 성분(B1)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Figure pat00008

    (식(2)에 있어서, Z는 방향족 탄화수소환이며, R3 및 R4는 각각 치환기이며, p는 각각 0∼4의 정수이며, q 및 r은 각각 0 또는 1 이상의 정수이며, R5는 각각 알킬렌기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며, 헤이즈가 1.0% 이하인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6. 제 1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플루오렌환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폴리머 얼로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재료를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것, 및, 상기 성형된 필름을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차 2축 연신 또는 동시 2축 연신에 있어서의 연신 속도가 10%/초 이하인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9.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 제 8 항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KR1020190095536A 2018-08-28 2019-08-06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KR20200024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9532A JP7193272B2 (ja) 2018-08-28 2018-08-28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該基材の製造方法、該基材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
JPJP-P-2018-159532 2018-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715A true KR20200024715A (ko) 2020-03-09

Family

ID=6965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36A KR20200024715A (ko) 2018-08-28 2019-08-06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193272B2 (ko)
KR (1) KR20200024715A (ko)
CN (1) CN110862664A (ko)
TW (1) TWI812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294A (ko) * 2021-03-05 2023-11-16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필름상 접착제, 다이싱·다이본딩 일체형 필름, 및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22167814A (ja) * 2021-04-23 2022-11-04 新光合成纎維股▲分▼有限公司 耐屈折性があ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957954B (zh) * 2022-05-16 2024-08-20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光学透镜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0406A (ja) 2016-04-14 2017-10-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410B2 (ja) * 1992-06-09 1999-06-21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の延伸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JPH0841304A (ja) * 1994-08-02 1996-02-13 Kaneb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法
JP4306263B2 (ja) * 2003-01-31 2009-07-29 東レ株式会社 ポリマーアロ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06731A1 (ja) * 2004-07-15 2006-01-19 Teijin Chemicals Ltd.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5217198B2 (ja) * 2007-03-15 2013-06-19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及び光学フィルム
JP2010271447A (ja) * 2009-05-20 2010-12-02 Nitto Denko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600248B2 (ja) * 2009-05-26 2014-10-01 大阪瓦斯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3235232A (ja) * 2012-04-13 2013-11-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113555B2 (ja) * 2013-04-02 2017-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6242270B2 (ja) * 2013-04-10 2017-12-06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複屈折調整剤
JP6823899B2 (ja) * 2014-04-16 2021-02-0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688121B2 (ja) * 2016-03-28 2020-04-28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多層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98956A (ja) * 2016-04-25 2017-11-02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円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8197848A (ja) * 2017-05-24 2018-12-13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JP2020033418A (ja) * 2018-08-28 2020-03-05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該基材の製造方法、該基材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0406A (ja) 2016-04-14 2017-10-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2749B (zh) 2023-08-21
JP7193272B2 (ja) 2022-12-20
CN110862664A (zh) 2020-03-06
JP2023016970A (ja) 2023-02-02
TW202020045A (zh) 2020-06-01
JP2020033419A (ja)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4715A (ko)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의 제조 방법,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WO2007100117A1 (ja) 積層偏光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880548B2 (ja) 液晶表示装置
JP6077918B2 (ja) アッベ数向上剤
JP2009235375A (ja)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21186946A1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ならびに、該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285781B2 (ja) 結晶化促進剤
JP7142544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該基材の製造方法、該基材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
JP5583987B2 (ja) 光弾性定数が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22142726A (ja) 位相差フィルム
KR102604387B1 (ko)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그 기재를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JP2016024312A (ja) 1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プリズム層付輝度向上フィルム
JP2024051244A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04216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該基材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位相差層付偏光板
TWI823470B (zh) 光學膜、包括其的偏光板以及包括其的光學顯示設備
JP7150628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
US20220411670A1 (en) Ionomeric Polyest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O2024166911A1 (ja) 積層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7377794B2 (ja) 位相差フィルム用ポリマー、位相差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KR20240058783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JP2024051243A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031220A (ko) 위상차층 및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 그리고 해당 위상차층 및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46079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W202210562A (zh) 相位差薄膜及偏光板
JP6200192B2 (ja) 耐熱性向上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