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880A - 비교 회로,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비교 회로,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880A
KR20200012880A KR1020197035533A KR20197035533A KR20200012880A KR 20200012880 A KR20200012880 A KR 20200012880A KR 1020197035533 A KR1020197035533 A KR 1020197035533A KR 20197035533 A KR20197035533 A KR 20197035533A KR 20200012880 A KR20200012880 A KR 2020001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transisto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173B1 (ko
Inventor
다카노리 마츠자키
기요시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0001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01L27/10805
    • H01L27/11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45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multiple gate
    • H01L29/7864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multiple gate arranged on opposing sides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3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 H02M3/078Charge pumps of the Schenkel-type with means for reducing the back bias effect, i.e. the effect which causes the threshold voltage of transistors to increase as more stages are added to th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03K5/247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3K5/249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usin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2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D, V/T, V/F, I/T or I/F conver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10B10/12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comprising a MOSFET load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88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 H02M2003/07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Logic Circuit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비교되는 음의 전압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비교 회로를 제공한다. 비교 회로는 제 1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 제 1 출력 단자, 및 차동 쌍을 포함한다. 비교 회로는 음의 전압과 음의 참조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하여 제 1 출력 단자로부터 제 1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음의 전압은 제 1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은 제 2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은 비교가 수행되도록 결정된다. 차동 쌍은 게이트 및 백 게이트를 각각 갖는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1 입력 단자는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입력 단자는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비교 회로,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본 출원의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이하, 본 명세서 등이라고 함)에 개시(開示)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도체 장치, 그 동작 방법, 그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기술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의 전압을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서브스레숄드 누설 전류를 저감하기 위하여, n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기판 바이어스 전압은 음의 전압이고, p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기판 바이어스 전압은 양의 전압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플래시 메모리에서는, 동작에 따라 음의 전압이 사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차지 펌프 회로에 의하여 음의 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는 음의 전위를 높은 정확도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서는, 차지 펌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전압은 양의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양의 전압과 양의 참조 전압 사이의 차이는 비교 회로에 의하여 검출되고, 차지 펌프 회로의 동작은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는, 접지 전압(GND)을 0V로 간주하고, 접지 전압에 기초하여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이 정의된다.
채널 형성 영역에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이하,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또는 OS 트랜지스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알려져 있다. OS 트랜지스터와 Si 트랜지스터의 하이브리드용 CMOS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반도체 장치가 제작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OS 트랜지스터를 Si 트랜지스터 위에 적층할 수 있다.
Si 트랜지스터는 불순물 도입에 의하여 문턱 전압(이하, Vt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신뢰성이 높은 기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특허문헌 4에서는, 예를 들어, 제 1 게이트 전극(게이트 또는 프런트 게이트라고도 함) 및 제 2 게이트 전극(백 게이트라고도 함)을 포함하는 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제 2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된다. 음의 전압이 제 2 게이트 전극에 입력될 때, n채널 트랜지스터인 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양의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916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316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502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69932호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는 비교되는 음의 전압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비교 회로를 제공하는 것, 높은 정확도로 음의 전압을 생성하는 것, 및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것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모든 과제를 반드시 달성할 필요는 없다. 복수의 과제의 기재는 각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지 않는다. 다른 과제는 본 명세서 등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가 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 제 1 출력 단자, 및 차동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비교 회로이다. 비교 회로는 음의 전압과 음의 참조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하여 제 1 출력 단자로부터 제 1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음의 전압은 제 1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은 제 2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은 비교가 수행되도록 결정된다. 차동 입력 회로는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차동 쌍을 포함한다.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는 각각 게이트 및 백 게이트를 갖는다.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제 1 입력 단자는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입력 단자는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2) 형태(1)에서,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3) 형태(1) 또는 형태(2)에 따른 비교 회로는 다이내믹 비교 회로이다. 차동 입력 회로는 차동 쌍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한다.
(4)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강압 차지 펌프 회로, 구동 회로, 및 형태(1) 내지 형태(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비교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이다. 강압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는 비교 회로의 제 1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출력 전압은 비교 회로로부터 구동 회로에 입력된다. 구동 회로는 제 1 출력 전압에 따라, 강압 차지 펌프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비교되는 음의 전압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비교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의 전압을 높은 정확도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술한 효과 모두를 얻을 필요는 없다. 복수의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상기 과제 이외의 과제, 상기 효과 이외의 효과, 및 신규 특징은 명세서의 기재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비교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의 (C)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게이트 전압 특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는 비교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의 (A) 내지 도 4의 (C)는 비교 회로의 구성예를 각각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비교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차지 펌프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는 차지 펌프 회로의 구조예를 각각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의 (A)는 음의 전압 유지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9의 (B)는 구동 회로의 진리표이다.
도 10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음의 전압 유지 회로의 구조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음의 전압 유지 회로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4의 (A)는 기억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4의 (B)는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F)는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6의 (A)는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6의 (B)는 메모리 셀의 동작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의 (A)는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7의 (B)는 메모리 셀의 동작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구조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플립플롭의 구조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0은 FPGA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의 (A)는 라우팅 스위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21의 (B)는 컨피규레이션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2의 (A)는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2의 (B)는 화소의 구성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3의 (A) 및 도 23의 (B)는 전자 부품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24의 (A) 내지 도 24의 (D)는 전자 기기의 구조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전자 부품의 회로부의 적층 구조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의 (A) 및 도 26의 (B)는 OS 트랜지스터의 구조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말아야 한다.
아래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몇 가지 구조예(제조 방법예 및 동작 방법예 등을 포함함)가 주어진 경우, 구조예 중 임의의 것을 서로 적절히 조합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구조예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 "제 1", "제 2", 및 "제 3" 등의 서수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이 용어는 구성 요소를 수적으로 한정하거나 또는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 비슷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구성 요소, 및 동시에 형성되는 구성 요소 등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어지고, 그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어진 복수의 구성 요소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부호에 "_1", "_2", "[n]", 또는 "[m, n]" 등을 부기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전원 전압 VDD를 "전압 VDD" 또는 "VDD"라고 축약하는 경우가 있다.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신호, 전압, 회로, 소자, 전극, 및 배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면에서, 크기, 층의 두께, 및 영역 등은 명료화를 위하여 과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크기, 층의 두께, 또는 영역은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은 이상적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본 발명의 형태들은 도면에 나타낸 형상 또는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이즈 또는 타이밍의 어긋남으로 인한 신호, 전압, 또는 전류의 편차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에", "상방에", "아래에", 및 "하방에" 등의 배치를 설명하는 용어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위치 관계는,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방향에 따라 적절히 변화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한정은 없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이라는 3개의 단자를 포함한다. 게이트는 트랜지스터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단자로서 기능한다. 트랜지스터의 형(type) 또는 단자에 공급되는 전위 레벨에 따라, 2개의 입출력 단자 중 한쪽이 소스로서 기능하고, 다른 쪽이 드레인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등에서 "소스" 및 "드레인"이라는 용어를 서로 바꿀 수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는, 게이트 이외의 2개의 단자를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회로 구성 또는 디바이스 구조 등에 따라, 노드를 단자, 배선, 전극, 도전층, 도전체, 또는 불순물 영역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또는 배선 등을 노드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 경우 또는 상황에 따라 "막" 및 "층"이라는 용어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이라는 용어를 "도전막"이라는 용어로 바꿀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이라는 용어를 "절연층"이라는 용어로 바꿀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 반도체 장치란 반도체 특성을 이용한 장치를 말하고, 반도체 소자(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회로 및 이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등을 의미한다.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어떤 장치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및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칩은 반도체 장치의 예이다. 또한, 기억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조명 장치, 및 전자 기기 등은 이들 자체가 반도체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각각 반도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교되는 음의 전압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비교 회로, 및 이 비교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 회로≫
여기서는, 차동 증폭 회로를 사용하는 비교 회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비교 회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비교 회로(10)는 단자(INN), 단자(INP), 및 단자(OCM)를 포함한다. 단자(INN), 단자(INP), 및 단자(OCM)는 각각 반전 입력 단자, 비반전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이다.
비교 회로(10)에 전압 Vdda 및 전압 Vssa가 입력된다. 전압 Vdda는 고레벨 측 전원 전압이다. 전압 Vssa는 0V(접지 전압, GND) 등의 저레벨 측 전원 전압이다.
비교 회로(10)는 음의 참조 전압 Vnref와 음의 전압 Vnin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 Vcmp를 단자(OCM)로부터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음의 전압 Vnin은 단자(INP)에 입력된다. 음의 참조 전압 Vnref가 아니라, 양의 참조 전압 Vpref가 단자(INN)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는 양의 전압으로 변환된 음의 참조 전압 Vnref에 대응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의 값은 비교 회로(10)가 비교를 실행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도 1의 (B)는 비교 회로(10)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비교 회로(10)는 차동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차동 쌍(14), 전류원(17), 및 부하 회로(18)를 포함한다.
차동 쌍(14)은 트랜지스터(MO11) 및 트랜지스터(MO1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O11) 및 트랜지스터(MO12)는 각각 백 게이트를 갖는 OS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O11)의 백 게이트는 단자(INP)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압 Vdda는 게이트에 입력된다. 트랜지스터(MO12)의 게이트는 단자(INN)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압 Vssa는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트랜지스터(MO11)와 부하 회로(18)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11)라고 하고, 트랜지스터(MO12)와 부하 회로(18)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12)라고 하고, 트랜지스터(MO11)와 트랜지스터(MO12)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13)라고 한다. 전류원(17)은 노드(X13)에 전류 Iss를 공급한다. 부하 회로(18)는 노드(X11) 및 노드(X12)에 각각 부하(Rd1) 및 부하(Rd2)를 준다.
또한, 도면에서는, 따로 명시되지 않는 한, 백 게이트를 갖는 n채널 트랜지스터는 OS 트랜지스터이고, p채널 트랜지스터 및 백 게이트를 갖지 않는 n채널 트랜지스터는 Si 트랜지스터이다.
노드(X12) 및 노드(X11)의 전압은 각각 트랜지스터(MO11)의 드레인 전류(Imo1)와 트랜지스터(MO12)의 드레인 전류(Imo2)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단자(OCM)가 노드(X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 1의 (B)의 예에서는, Imo1>Imo2인 경우, 전압 Vcmp는 하이 레벨("H")이고, Imo1<Imo2인 경우, 전압 Vcmp는 로 레벨("L")이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의 설정예)
차동 쌍(14)을 흐르는 전류 Imo1과 전류 Imo2 사이의 차이를 단자(INP)와 단자(INN) 사이의 전압차로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차에 따라 양의 참조 전압 Vpref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INP)의 전압, 트랜지스터(MO11)의 게이트 전압, 및 트랜지스터(MO12)의 백 게이트 전압이 각각 Vnref, Vdda, 및 Vssa인 경우, Imo1과 Imo2 사이의 차이가 0암페어일 때의, 단자(INP)와 단자(INN) 사이의 전압차를 추정한다. 추정된 전압차로부터 양의 참조 전압 Vpref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양의 참조 전압 Vpref를 설정함으로써, Vnin>Vnref인 경우, 단자(OCM)는 "H"의 전압 Vcmp를 출력하고, Vnin<Vnref인 경우, 단자(OCM)는 "L"의 전압 Vcmp를 출력한다.
비교 회로(10)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도 1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C)는 트랜지스터(MO11)의 드레인 전류-게이트 전압(Id-Vg) 특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곡선(9A)은 Vnin>Vnref일 때의 Id-Vg 곡선이다. 곡선(9B)은 Vnin<Vnref일 때의 Id-Vg 곡선이다.
Vnin>Vnref인 경우, Imo1>Imo2이기 때문에, 전압 Vcmp는 "H"이다.
백 게이트 전압의 저하는 트랜지스터(MO11)의 Vt를 양의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바꿔 말하면, 음의 전압 Vnin의 저하는 전류 Imo1을 저감시킨다. Vnin<Vnref인 경우, Imo1<Imo2이기 때문에, 전압 Vcmp는 "L"이다.
다음에, 차동 쌍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의 예에서는, 차동 쌍(14)의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전압 Vdda 및 전압 Vssa가 사용되지만, 바이어스 전압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동 쌍(14)의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전압 Vdda 및 전압 Vssa를 사용함으로써, 비교 회로(10)에서 사용되는 전압의 종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MO12)의 백 게이트를 단자(INP)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고, 전압 Vssa 등의 바이어스 전압은 게이트에 입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비교 회로(11)는 차동 쌍(14) 대신에 차동 쌍(15)을 포함한다. 차동 쌍(15)은 트랜지스터(MO13) 및 트랜지스터(MO14)를 포함한다. 단자(INN)는 트랜지스터(MO13)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INP)는 트랜지스터(MO14)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바이어스 전압(여기서는 Vdda)은 트랜지스터(MO13)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바이어스 전압(여기서는 Vssa)은 트랜지스터(MO14)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트랜지스터(MO14)의 백 게이트를 단자(INP)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고,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Vssa)은 게이트에 입력된다.
비교 회로(10)는 복잡한 회로 구성 없이 비교되는 음의 전압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음의 참조 전압을 양의 참조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비교되는 음의 전압(Vnin)을 제외한 0V 또는 양의 전압만이 비교 회로(10)에 입력되기 때문에, 비교 회로(10)의 동작이 안정된다. 이는 비교 회로(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비교 회로(20) 내지 비교 회로(25)>
다음에, 비교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비교 회로(20)는 차동 입력 회로(30), 출력 회로(40), 및 단자(INN), 단자(INP), 및 단자(OCM)를 포함한다.
차동 입력 회로(30)는 1단의 차동 증폭 회로이고, 차동 쌍(34) 및 트랜지스터(MN1), 트랜지스터(MP1), 및 트랜지스터(MP2)를 포함한다.
차동 쌍(34)은 차동 쌍(14)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고 트랜지스터(MO1) 및 트랜지스터(MO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O1)와 트랜지스터(MP1)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1)라고 한다. 트랜지스터(MO2)와 트랜지스터(MP2)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2)라고 한다.
단자(INP)는 트랜지스터(MO1)의 백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INN)는 트랜지스터(MO2)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압 Vdda는 트랜지스터(MO1)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전압 Vssa는 트랜지스터(MO2)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트랜지스터(MN1)는 전류원으로서 기능한다. 전압 Vb1은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전압 Vb1은 양의 전압이다.
커런트 미러 회로는 트랜지스터(MP1) 및 트랜지스터(MP2)로 구성되어 있다. 커런트 미러 회로는 부하 회로로서 기능한다.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MP1) 및 트랜지스터(MP2)로 부하 회로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트랜지스터(MP1) 및 트랜지스터(MP2) 대신에 2개의 레지스터를 제공하여도 좋다.
출력 회로(40)는 노드(X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출력 회로(40)는 2단의 CMOS 인버터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CMOS 인버터 회로는 Si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비교 회로(21)는 비교 회로(20)의 변형예이다. 출력 회로(41)는 1단의 CMOS 인버터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CMOS 인버터 회로의 입력 노드는 노드(X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비교 회로(22)는 비교 회로(20)의 변형예이다. 비교 회로(22)의 출력 회로(42)는 2단의 소스 폴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비교 회로(23)는 비교 회로(22)의 변형예이다. 비교 회로(23)의 출력 회로(43)는 1단의 소스 폴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소스 폴로어 회로의 입력 노드는 노드(X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4의 (C)에 도시된 비교 회로(24)는 비교 회로(21)의 변형예이고 차동 입력 회로(31)를 포함한다. 차동 입력 회로(31)는 차동 입력 회로(30)의 변형예이고, 트랜지스터(MN1) 대신에 트랜지스터(MO3)를 포함한다. 전압 Vb1은 트랜지스터(MO3)의 게이트에 입력되고, 백 게이트는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MO3)의 백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전압 Vssa)을 입력하여도 좋고, 백 게이트를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비교 회로(20) 내지 비교 회로(24)는 Vnin>Vnref일 때 "H"의 전압 Vcmp를 출력하고, Vnin<Vnref일 때 "L"의 전압 Vcmp를 출력한다. 전압 Vcmp의 레벨과, Vnin과 Vnref 사이의 대소 관계 사이의 관계는 출력 회로의 회로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비교 회로(20)에서, 단자(INP)를 트랜지스터(MO1)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고, 트랜지스터(MO1)의 백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Vdda)을 입력하여도 좋다. 단자(INN)를 트랜지스터(MO2)의 백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고, 트랜지스터(MO2)의 게이트에 바이어스 전압(예를 들어, Vssa)을 입력하여도 좋다. 이는 비교 회로(21) 내지 비교 회로(2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이내믹 비교 회로≫
다이내믹 비교 회로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비교 회로(25)는 차동 입력 회로(32), 출력 회로(45), 및 단자(INN), 단자(INP), 단자(OCM), 및 단자(OCMB)를 포함한다. 클록 신호(CLK)(이하, 신호(CLK)라고 함), 및 전압 Vdda 및 전압 Vssa는 비교 회로(25)에 입력된다.
비교 회로(25)는 음의 참조 전압 Vnref와 음의 전압 Vnin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 Vcmp 및 전압 VcmpB를 단자(OCM) 및 단자(OCMB)로부터 출력한다. 음의 전압 Vnin 및 양의 참조 전압 Vpref는 각각 단자(INN) 및 단자(INP)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를 설정하는 방법은 비교 회로(10)와 비슷하다.
도면에서의, 전류 Imo5 및 전류 Imo6은 각각 트랜지스터(MO5) 및 트랜지스터(MO6)의 드레인 전류를 의미한다.
비교 회로(25)에서는, 비교되는 음의 전압(Vnin)을 단자(INN)에 입력할 수 있고, 0V 이하의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차동 입력 회로(32)는 트랜지스터(MO5), 트랜지스터(MO6), 트랜지스터(MN5), 트랜지스터(MN6), 트랜지스터(MN7), 트랜지스터(MP5), 트랜지스터(MP6), 트랜지스터(MP7), 및 트랜지스터(MP8)를 포함한다.
차동 입력 회로(32)의 차동 쌍은 차동 쌍(34)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고 트랜지스터(MO5) 및 트랜지스터(MO6)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N7)는 전류원으로서 기능한다. 신호(CLK)는 트랜지스터(MN7)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트랜지스터(MN5)와 트랜지스터(MP5)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5)라고 한다. 트랜지스터(MN6)와 트랜지스터(MP6) 사이의 접속 노드를 노드(X6)라고 한다. 래치 회로는 트랜지스터(MN5), 트랜지스터(MP5), 트랜지스터(MN6), 및 트랜지스터(MP6)로 구성되어 있다. 래치 회로는 전류 Imo5와 전류 Imo6 사이의 대소 관계에 기초하여 노드(X5) 및 노드(X6)의 전압 레벨을 결정한다.
트랜지스터(MP7) 및 트랜지스터(MP8)는 리셋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P7) 및 트랜지스터(MP8)의 온/오프는 신호(CLK)에 의하여 제어된다. 트랜지스터(MP7) 및 트랜지스터(MP8)가 온인 경우, 노드(X5) 및 노드(X6)의 전압은 Vdda("H")에 고정된다.
출력 회로(45)는 인버터 회로(38) 및 인버터 회로(39)를 포함한다. 인버터 회로(38) 및 인버터 회로(39)의 입력 단자는 각각 노드(X5) 및 노드(X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버터 회로(38) 및 인버터 회로(39)의 출력 단자는 각각 단자(OCM) 및 단자(OCM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CLK)가 "L"인 기간에, 비교 회로(25)는 프리차지를 수행한다. 트랜지스터(MP7) 및 트랜지스터(MP8)가 온이기 때문에, 노드(X5) 및 노드(X6)는 "H"에 고정되고, 단자(OCM) 및 단자(OCMB)는 "L"에 고정된다.
신호(CLK)가 "H"인 기간에, 비교 회로(25)는 평가를 수행한다. 전류 Imo5와 전류 Imo6 사이에서 차이가 생길 때, 래치 회로에 포함되는 2개의 인버터 회로의 구동 능력 사이에서 차이가 생겨, 노드(X5)와 노드(X6) 사이에서 전압차가 생긴다.
Vnin>Vnref인 경우, 전류 Imo5>전류 Imo6이다. 그러므로, 노드(X5)의 전압은 노드(X6)의 전압보다 낮고, 단자(OCM) 및 단자(OCMB)는 각각 "H" 및 "L"이다. 한편, Vnin<Vnref인 경우, 전류 Imo5<전류 Imo6이다. 그러므로, 노드(X5)의 전압은 노드(X6)의 전압보다 높고, 단자(OCM) 및 단자(OCMB)는 각각 "L" 및 "H"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비교 회로(20)의 차동 쌍은 백 게이트를 갖는 2개의 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압 Vssa를 접지 전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의 전압을 트랜지스터(MN1)의 소스에 입력할 필요는 없다.
음의 전압이 n채널 Si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입력되면, p웰과 소스 영역 사이의 기생 다이오드(pn 접합 다이오드)에는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는 기판으로부터 소스 영역으로의 큰 전류의 역류를 일으킨다. 큰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n채널 트랜지스터를 n웰로 둘러싼 트리플웰 구조(예를 들어, 특허문헌 3의 도 3의 (b) 및 도 6 참조)가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트리플웰 n채널 트랜지스터로 인하여 회로 면적이 증가된다.
트리플웰 n채널 Si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 회로(20)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이는 비교 회로(21) 내지 비교 회로(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 게이트를 갖는 2개의 n채널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차동 쌍에 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교 회로는 복잡한 회로 구성 없이, 비교되는 음의 전압이 공급될 수 있고, 음의 참조 전압을 양의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참조 전압을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저레벨 측 전원 전압을 0V(GND)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교 회로는 음의 전압과 음의 참조 전압 사이에서 정확도가 높은 비교 및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비교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반도체 장치에 음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
도 6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의 구조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는 내부에서 음의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의 전압을 복수의 전원 단자에 출력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는 제어 회로(111), 차지 펌프 회로(112), 바이어스 전압 생성 회로(114),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 및 복수의 단자(OB)를 포함한다. 단자(OB)는 음의 전압용 출력 단자이다. 이 예에서 단자(OB)의 수는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4개의 단자(OB)를 구별하기 위하여, 부호[1] 내지 부호[4]를 사용한다. 복수의 단자(OB)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어, 그 하나를 단자(OB[1])라고 한다. "단자(OB)"라는 용어는 임의의 단자(OB)를 말한다. 이는 다른 요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 클록 신호(CK1), 신호(WAKE), 및 전압 Vdda, 전압 Vddd, 및 전압 GND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에 입력된다. 또한, 전압 GND는 0V(접지 전압)이고,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저레벨 측 전원 전압으로서 사용된다. 전압 Vddd는 고레벨 측 전원 전압이고 전압 Vdda보다 낮다. 전압 Vddd는 제어 회로(111)에서 사용된다.
<제어 회로(111)>
신호(WAKE)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이네이블 신호로서 기능한다. 제어 회로(111)는 신호(WAKE)에 따라 차지 펌프 회로(112) 및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회로(111)는 게이티드 클록 버퍼로서 기능한다. 제어 회로(111)는 신호(WAKE)에 따라 클록 신호(CK1)로부터 게이티드 클록 신호(GCK1)(이하, 클록 신호(GCK1)라고 함)를 생성한다. 클록 신호(CK1)의 로 레벨 전압 및 하이 레벨 전압은 각각 GND 및 Vdda이다.
클록 신호(GCK1)는 차지 펌프 회로(112) 및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 각각에 입력된다.
<차지 펌프 회로(112)>
차지 펌프 회로(112)는 음의 전압 생성 회로로서 기능한다. 도 7은 차지 펌프 회로(112)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고, 이 차지 펌프 회로는 4단 강압 차지 펌프 회로이다. 차지 펌프 회로(112)는 2개의 인버터 회로, 4개의 OS 트랜지스터, 4개의 용량 소자, 및 단자(IN_cp) 및 단자(OUT_cp)를 포함한다. 클록 신호(GCK1)가 액티브일 때, 차지 펌프 회로(112)는 단자(IN_cp)에 입력되는 전압 GND로부터 음의 전압 Vcp를 생성하고 단자(OUT_cp)로부터 음의 전압 Vcp를 출력한다.
도 7의 예에서는, 4개의 트랜지스터가 단자(IN_cp)와 단자(OUT_cp) 사이의 전하 이동 경로에 제공되지만, 트랜지스터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하 이동 경로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는 OS 트랜지스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지 펌프 회로(112)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강압 차지 펌프 회로의 다른 예를 도 8의 (A) 내지 도 8의 (C)에 도시하였다.
도 8의 (A)의 차지 펌프 회로(113A)는 2개의 인버터 회로, 4개의 n채널 Si 트랜지스터, 및 4개의 용량 소자를 포함한다. 도 8의 (B)의 차지 펌프 회로(113B)는 3개의 n채널 Si 트랜지스터 및 하나의 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도 8의 (C)의 차지 펌프 회로(113C)는 2개의 인버터 회로, 4개의 p채널 Si 트랜지스터, 및 4개의 용량 소자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전압 생성 회로(114)>
바이어스 전압 생성 회로(114)는 전압 Vb1을 생성한다. 전압 Vb1은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에 입력된다. 바이어스 전압 생성 회로(114) 없이 외부로부터 전압 Vb1을 입력하여도 좋다.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는 각 단자(OB)로부터 음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출력 전압 어저스터(120)는 4개의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를 포함한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는 차지 펌프 회로(123), 구동 회로(127), 및 감시 회로(128)를 포함한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j])(j는 1 내지 4의 정수(整數)임)는 단자(OB[j])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도 9의 (A)는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
차지 펌프 회로(123)는 트랜지스터(MO21) 및 트랜지스터(MO22), 및 용량 소자(C21) 및 용량 소자(C22)를 포함한다. 차지 펌프 회로(123)는 전압 Vcp를 저하시켜 전압 Vob를 생성한다. 전압 Vob는 용량 소자(C22)에 의하여 유지된다. 전압 Vob는 단자(OB)로부터 출력된다.
용량 소자(C22)의 용량은 용량 소자(C21)의 용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량 소자(C22)의 용량은 용량 소자(C22)의 용량의 2배 내지 10배이다. 용량 소자(C21)에 요구되는 용량에 따라, 트랜지스터(MO21)의 기생 용량, 또는 트랜지스터(MO21)와 배선 사이의 기생 용량 등으로 용량 소자(C21)를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밴드 갭이 2.5eV 이상이기 때문에, OS 트랜지스터의 오프 상태 전류는 매우 작다. 예를 들어, 실온(25℃)에서, 그리고 3.5V의 소스-드레인 전압에서 채널 폭 1μm당 오프 상태 전류를 1×10-20A 미만, 1×10-22A 미만, 또는 1×10-24A 미만으로 할 수 있다. 즉, 드레인 전류의 온/오프비를 20자릿수 이상 150자릿수 이하로 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에너지 갭이 크고 전자가 여기되기 어렵고 정공의 유효 질량이 큰 반도체이다. 따라서, OS 트랜지스터에서는 Si 트랜지스터보다 애벌란시 항복(avalanche breakdown) 등이 일어나기 어렵다. 애벌란시 항복으로 인한 핫 캐리어 열화 등이 억제되기 때문에, OS 트랜지스터는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서 높은 내전압을 갖는다.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 산화물의 예에는 Zn 산화물, Zn-Sn 산화물, Ga-Sn 산화물, In-Ga 산화물, In-Zn 산화물, 및 In-M-Zn 산화물(M은 Ti, Ga, Y, Zr, La, Ce, Nd, Sn, 또는 Hf)이 포함된다. 또한, 인듐 및 아연을 함유하는 산화물은 알루미늄, 갈륨, 이트륨, 구리, 바나듐, 베릴륨,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및 마그네슘 등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종류의 원소를 함유하여도 좋다.
음의 전압은 트랜지스터(MO22)의 게이트에 인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MO22)의 백 게이트와 게이트의 전기적인 접속은 트랜지스터(MO22)의 컷오프 전류의 저감에 효과적이다. 이는 트랜지스터(MO22)의 백 게이트를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트랜지스터(MO22)의 문턱 전압이 양의 방향으로 시프트되기 때문이다. 또한, 컷오프 전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0V일 때의 드레인 전류를 말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MO21) 및 트랜지스터(MO22)가 백 게이트를 갖는 OS 트랜지스터인 것은 장기간 음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효과적이다.
OS 트랜지스터를 Si 트랜지스터 위에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OS 트랜지스터인 트랜지스터(MO21) 및 트랜지스터(MO22)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크기를 축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감시 회로(128)는 단자(OB)의 전압 Vob를 모니터한다. 감시 회로(128)는 차동 증폭 회로를 사용하는 비교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비교 회로는 비교 회로(20)(도 3의 (A) 참조)의 변형예이다. 여기서, 출력 회로는 하나의 CMOS 인버터 회로를 포함한다.
단자(INP)는 단자(O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는 단자(INN)에 입력된다. 단자(OCM)는 구동 회로(127)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MON)는 단자(OCM)의 출력이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출력 전압을 음의 전압 VBG로 설정한다. 감시 회로(128)는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음의 전압 VBG와, 전압 Vob를 비교한다. 감시 회로(128)가 이 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양의 참조 전압 Vpref의 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감시 회로(128)는 전압 Vob의 저하를 모니터한다. 전압 Vob가 음의 전압 VBG보다 높은 경우, 감시 회로(128)는 "L"의 신호(MON)를 출력한다. 전압 Vob가 음의 전압 VBG 미만인 경우, 감시 회로(128)는 "H"의 신호(MON)를 출력한다.
복수의 감시 회로(128)들 사이의 특성(예를 들어, 오프셋 전압)의 편차에 따라, 복수의 양의 참조 전압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한 값을 갖는 2개의 양의 참조 전압(Vpref1 및 Vpref2)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1은 감시 회로(128[1]) 및 감시 회로(128[2])에 입력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2는 감시 회로(128[3]) 및 감시 회로(128[4])에 입력된다.
구동 회로(127)는 신호(MON)와 클록 신호(GCK1) 사이에서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차지 펌프 회로(123)를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GCK2)를 생성한다. 구동 회로(127)는 신호(MON)가 "L"인 경우에 클록 신호(GCK2)가 액티브이고 다른 기간에서는 클록 신호(GCK2)가 비액티브인 회로 구성을 갖는다. 도 9의 (B)는 구동 회로(127)의 진리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작예≫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동작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동작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시각을 t0 등으로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시각(t0)에서, 차지 펌프 회로(112)의 출력 전압 Vcp 및 단자(OB[1]) 내지 단자(OB[4])의 전압 Vob[1] 내지 전압 Vob[4]는 0V(GND)이다.
도 10의 기간(Tc1)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동작의 1주기이다. 신호(WAKE)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칩 이네이블 신호로서 기능한다. 신호(WAKE)가 "H"인 기간에서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가 액티브이다.
신호(WAKE)가 "H"인 기간에서, 제어 회로(111)로부터 출력되는 클록 신호(GCK1)는 액티브이기 때문에, 차지 펌프 회로(112)는 강압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시각(t0)부터 시각(t1)까지 차지 펌프 회로(112)의 출력 전압 Vcp가 음의 전압 VBG에서 포화된다.
시각(t0)에서 전압 Vob[1]는 GND이기 때문에, 감시 회로(128[1])로부터 "L"의 신호(MON[1])가 출력된다. 신호(MON[2]) 내지 신호(MON[4])도 "L"이다. 따라서, 구동 회로(127[1]) 내지 구동 회로(127[4])는 각각 액티브인 클록 신호(GCK2[1]) 내지 클록 신호(GCK2[4])를 출력한다.
차지 펌프 회로(123[1])는 강압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압 Vob[1]는 저하된다. 차지 펌프 회로(123[2]) 내지 차지 펌프 회로(123[4])도 강압 동작을 수행한다.
차지 펌프 회로(123[1]) 내지 차지 펌프 회로(123[4]) 사이의 트랜지스터(MO21) 및 트랜지스터(MO22)의 전기 특성(예를 들어, 문턱 전압)의 편차는 차지 펌프 회로(123[1]) 내지 차지 펌프 회로(123[4]) 사이에서의 전류 구동 능력에 차이를 생기게 한다. 따라서, 단자(OB[1]) 내지 단자(OB[4])는 상이한 타이밍에서 음의 전압 VBG에 도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감시 회로(128[1]) 내지 감시 회로(128[4])는 독립적으로 단자(OB[1]) 내지 단자(OB[4])의 전압을 모니터하기 때문에, 단자(OB[1]) 내지 단자(OB[4]) 사이의 전압의 편차를 저감하여, 이들 전압을 음의 전압 VBG와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1])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시 회로(128[1])는 전압 Vob[1]가 음의 전압 VBG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H"의 신호(MON[1])를 구동 회로(127[1])에 출력한다. "H"의 신호(MON[1])의 입력에 응하여, 구동 회로(127[1])는 클록 신호(GCK2)를 "H"에 고정한다. 그 결과, 차지 펌프 회로(123[1])는 강압 동작을 정지하고, 전압 Vob[1]는 거의 음의 전압 VBG로 설정된다.
트랜지스터(MO22[1])는 매우 작은 오프 상태 전류를 갖는 OS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클록 신호(GCK2)가 비액티브이어도 용량 소자(C22[1])는 장기간 음의 전압 VBG를 유지할 수 있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2]) 내지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4])는 상술한 식으로 동작하고, 전압 Vob[2] 내지 전압 Vob[4]는 거의 음의 전압 VBG로 설정된다.
시각(t1)부터 시각(t2)까지 신호(WAKE)는 "L"이기 때문에,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는 비액티브이다. 여기서, 클록 게이팅을 수행하여 클록 신호(CK1)를 "L"에 고정함으로써,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대기 전력을 저감한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의 우수한 유지 특성에 의하여 신호(WAKE)가 "L"인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간에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로의 전원 전압(Vddd, Vdda)의 공급을 정지하기 위한 파워 게이팅을 수행할 수 있다. 파워 게이팅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도 10은 신호(WAKE)가 "L"인 기간에 파워 게이팅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시각(t2)에서, 전압 Vddd 및 전압 Vdda의 공급이 개시되고, 신호(WAKE)가 "H"가 되고, 클록 신호(CK1)가 액티브가 된다. 시각(t2)부터 시각(t3)까지의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동작은 시각(t0)부터 시각(t1)까지의 동작과 비슷하다. 도 10에서, 시각(t1)부터 시각(t3)까지의 전압 Vob[1] 내지 전압 Vob[4]는 음의 전압 VBG를 넘지 않는다. 감시 회로(128[1]) 내지 감시 회로(128[4])가 액티브가 되면, "L"의 단자(OCM[1]) 내지 단자(OCM[4])는 "H"가 된다. 그러므로, 차지 펌프 회로(123[1]) 내지 차지 펌프 회로(123[4])는 대기 상태이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22)는 단자(OB)의 강압을 제어하는 기능 및 단자(OB)의 전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결정된 음의 전압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단자(OB)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
음의 전압 공급 장치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도 11, 도 12, 및 도 13의 (A) 및 도 1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구성예에서는, 음의 전압 감시 회로에 다이내믹 비교 회로를 사용한다.
도 11에 도시된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는 제어 회로(141), 차지 펌프 회로(142), 분주 회로(143), 출력 전압 어저스터(150), 및 4개의 단자(OB)를 포함한다. 출력 전압 어저스터(150)는 4개의 음의 전압 유지 회로(152)를 포함한다.
양의 참조 전압 Vpref, 클록 신호(CK1), 신호(WAKE), 및 전압 Vdda, 전압 Vddd, 및 전압 GND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에 입력된다.
제어 회로(141)는 제어 회로(11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제어 회로(141)는 신호(WAKE)에 따라 클록 신호(GCK1)를 생성한다.
차지 펌프 회로(142)는 차지 펌프 회로(112)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도 7 참조). 차지 펌프 회로(142)는 클록 신호(GCK1)에 응하여 강압 동작을 수행하여 전압 Vcp를 출력한다.
분주 회로(143)는 클록 신호(GCK1)의 분주를 수행하여 클록 신호(GCK3)를 생성한다. 클록 신호(GCK3)는 4개의 음의 전압 유지 회로(152) 각각에 입력된다.
도 12는 음의 전압 유지 회로(152)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음의 전압 유지 회로(152)는 차지 펌프 회로(153), 구동 회로(154), 및 감시 회로(155)를 포함한다.
차지 펌프 회로(153)는 차지 펌프 회로(123)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고 트랜지스터(MO25) 및 트랜지스터(MO26), 및 용량 소자(C25) 및 용량 소자(C26)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154)는 구동 회로(127)와 비슷한 기능을 갖는다(도 9의 (B) 참조). 구동 회로(154)는 신호(MON)와 클록 신호(GCK3) 사이에서 논리 연산을 수행하고 차지 펌프 회로(153)를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GCK4)를 생성한다. 신호(MON)가 "L"인 경우, 클록 신호(GCK4)는 액티브이다. 신호(MON)가 "L"이 아닌 경우, 클록 신호(GCK4)는 비액티브이다.
감시 회로(155)는 비교 회로(25)를 포함한다(도 5 참조). 클록 신호(GCK3)는 감시 회로(155)에 입력된다. 단자(INP)는 단자(O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양의 참조 전압 Vpref는 단자(INN)에 입력된다. 단자(OCMB)는 구동 회로(154)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감시 회로(155)는 전압 Vob의 저하를 모니터한다. 전압 Vob가 음의 전압 VBG보다 높은 경우, 감시 회로(155)는 "L"의 신호(MON)를 출력한다. 전압 Vob가 음의 전압 VBG 미만인 경우, 감시 회로(155)는 "H"의 신호(MON)를 출력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수행한다(도 10 참조).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에서 신호(WAKE)가 "H"인 기간의 소비전력(즉, 동적 소비전력)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보다 작다.
신호(WAKE)가 "H"인 기간에서는, 클록 신호(GCK2)의 레벨에 상관없이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0)의 감시 회로(128)에는 전류가 항상 흐른다. 한편, 클록 신호(GCK3)가 "L"인 기간에서는, 감시 회로(155)의 출력(OCMB)이 "L"에 고정된다. 따라서, 감시 회로(155)의 소비 전류를 감시 회로(128)의 소비 전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각 단자(OB)에 감시 회로(155)를 제공함으로써, 각 단자(OB)로부터 음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단자(OB)의 수가 증가될수록, 감시 회로(155)의 소비 전류의 영향이 커진다. 따라서, 감시 회로(155)의 소비 전류의 저감은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 전체의 동적 소비전력의 저감에 효과적이다.
동적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클록 신호를 저속으로 설정한다. 클록 신호(GCK1)를 저속으로 설정하면, 전압 Vcp가 음의 전압 VBG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바꿔 말하면, 신호(WAKE)가 "H"인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클록 신호(GCK3)만을 저속으로 설정함으로써, 음의 전압 공급 장치(101)의 동적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감시 회로의 다른 구성예>
감시 회로(155)는 다이내믹 비교 회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동 쌍의 2개의 OS 트랜지스터를 동일한 양의 전류가 흐르면, 단자(OCM)의 신호(MON)는 불안정해질 수 있다. 다음에, 신호(MON)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13의 (A) 및 도 1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A)는 신호(MON)에 응하여 다이내믹 비교 회로의 양의 참조 전압을 전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B)는 신호(MON)에 응하여 다이내믹 비교 회로의 차동 입력 회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감시 회로(161))
도 13의 (A)에 도시된 감시 회로(161)는 비교 회로(171), 래치 회로(173), 및 선택 회로(175)를 포함한다.
비교 회로(171)는 비교 회로(25)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 회로(171)의 차동 쌍은 트랜지스터(MO7) 및 트랜지스터(MO8)로 구성되어 있다. 전류 Imo7 및 전류 Imo8은 각각 트랜지스터(MO7) 및 트랜지스터(MO8)의 드레인 전류이다.
클록 신호(GCK3)의 상승과 동기하여 래치 회로(173)의 데이터는 비교 회로(171)의 출력에 의하여 갱신된다. 래치 회로(173)의 출력 신호는 신호(MON)이다. 예를 들어, 래치 회로(173)는 지연 플립플롭(DF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회로(175)는 양의 참조 전압 Vpref 및 전압 GND 중에서 비교 회로(171)의 단자(INN)에 입력되는 전압을 선택한다. 신호(MON) 및 신호(WAKE)는 선택 회로(175)에 입력된다. 신호(WAKE)는 선택 회로(175)의 리셋 신호(RESET)로서 기능한다. 또한, 신호(WAKE) 이외의 신호를 리셋 신호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감시 회로(161)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L"의 신호(WAKE)가 "H"가 되면, 선택 회로(175)는 리셋되어 단자(INN)에 양의 참조 전압 Vpref를 공급한다. 클록 신호(GCK3)가 액티브일 때, 비교 회로(171)는 음의 전압 VBG와 단자(OB)의 전압 Vob를 비교한다. 전압 Vob가 음의 전압 VBG보다 높은 경우, 신호(MON)는 "L"이다. 신호(MON)가 "L"인 경우, 선택 회로(175)는 단자(INN)에 양의 참조 전압 Vpref를 입력한다.
전압 Vob가 음의 전압 VBG 미만이 되어 클록 신호(GCK3)가 "H"가 되면, "H"의 신호는 단자(OCMB)로부터 출력된다. 이때, 전류 Imo7이 전류 Imo8과 동등해짐으로써, 단자(OCMB)의 출력이 진동될 수 있다. 선택 회로(175)가 소정의 횟수(한 번 이상) 신호(MON)의 상승을 검출하면, 전압 GND는 단자(INN)에 공급된다. 그리고, 전류 Imo8이 저하되어 전류 Imo7과 전류 Imo8 사이에 차이가 생김으로써, 단자(OCMB)의 출력이 안정화된다. 클록 신호(GCK3)가 "H"일 때, 단자(OCMB)는 "H"의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압 GND는 단자(INN)에 입력되지만, 신호(MON)가 "H"일 때에 전류 Imo7과 전류 Imo8 사이에 차이가 있기만 하면, 신호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압 Vpref보다 작은 양의 전압을 단자(INN)에 입력하여도 좋다. 전압 GND를 사용하면, 사용되는 전압의 종류가 증가되지 않는다.
(감시 회로(162))
도 13의 (B)에 도시된 감시 회로(162)는 비교 회로(172) 및 선택 회로(177)를 포함한다. 비교 회로(172)는 비교 회로(25)로 구성되어 있다. 감시 회로(161)와 같이, 감시 회로(162)에 래치 회로(173)를 제공하여도 좋다.
선택 회로(177)는 비교 회로(172)의 차동 입력 회로(172A)로의 고레벨 측 전원 전압의 공급을 제어한다. 신호(MON) 및 신호(WAKE)는 선택 회로(177)에 입력된다. 신호(WAKE)는 선택 회로(177)의 리셋 신호로서 기능한다. 신호(WAKE) 이외의 신호를 리셋 신호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L"의 신호(WAKE)가 "H"가 되면, 선택 회로(177)는 리셋되어 차동 입력 회로(172A)에 전압 Vdda를 공급한다. 클록 신호(GCK3)가 액티브일 때, 비교 회로(172)는 음의 전압 VBG와 단자(OB)의 전압 Vob를 비교한다. 선택 회로(177)가 소정의 횟수(한 번 이상) 신호(MON)의 상승을 검출하면, 전압 GND는 차동 입력 회로(172A)에 공급된다. 그 결과, 차동 입력 회로(172A)에서의 2개의 인버터 회로는 비액티브이기 때문에, 비교 회로(172)의 출력이 진동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음의 전압 공급 장치는 다양한 반도체 장치에서의 음의 전압 전원 회로에 적합하다. 이 음의 전압 공급 장치가 전원 회로로서 사용되는 반도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기판 바이어스 전압이 음의 전압인 다양한 반도체 장치(예를 들어, DRAM 및 이미지 센서), 음의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반도체 장치(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 및 백 게이트를 갖는 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가 있다. 실시형태 3에서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
≪기억 장치≫
여기서는, 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로서, 데이터 유지부가 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기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기억 장치(200)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210), 제어 회로(215), 메모리 셀 어레이(220), 및 주변 회로(221)를 포함한다. 주변 회로(221)는 행 회로(223), 열 회로(224), 및 입출력 회로(225)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220)는 메모리 셀(230), 판독 워드선(RWL), 기록 워드선(WWL), 판독 비트선(RBL), 기록 비트선(WBL), 소스선(SL), 및 배선(BGL)을 포함한다. 또한, 판독 워드선(RWL) 및 기록 워드선(WWL)을 각각 워드선(RWL) 및 워드선(WWL)이라고 하여도 좋다. 판독 비트선(RBL) 및 기록 비트선(WBL)을 비트선(RBL) 및 비트선(WBL)이라고 하여도 좋다.
제어 회로(215)는 기억 장치(200)를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데이터(WDA)의 기록 및 데이터(RDA)의 판독을 수행한다. 컨트롤러 회로(215)는 외부로부터의 명령 신호(예를 들어, 칩 이네이블 신호 및 기록 이네이블 신호)를 처리하고 주변 회로(221)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210)로서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음의 전압 공급 장치가 사용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210)는 N개의 단자(OB[1]) 내지 단자(OB[N])(N은 2 이상의 정수임)를 포함한다. 단자(OB[1]) 내지 단자(OB[N])는 각각 음의 전압 Vbg1을 출력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220)는 N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각 블록의 배선(BGL)은 단자(O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행 회로(223)는 액세스되는 행을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행 회로(223)는 행 디코더 및 워드선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열 회로(224)는 비트선(WBL) 및 비트선(RBL)을 프리차지하는 기능, 비트선(WBL)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 비트선(RBL)의 데이터를 증폭하는 기능, 및 비트선(RBL)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 입출력 회로(225)는 기록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능 및 판독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
주변 회로(221)의 구성은 메모리 셀 어레이(220)의 구성, 판독 방법, 및 기록 방법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메모리 셀(230)>
도 14의 (B)는 메모리 셀(230)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의 메모리 셀(230)은 2-트랜지스터(2T) 게인 셀이다. 메모리 셀(230)은 용량 소자(CS1), 및 트랜지스터(MW1) 및 트랜지스터(MR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W1) 및 트랜지스터(MR1)는 각각 기록 트랜지스터 및 판독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W1) 및 트랜지스터(MR1)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판독 트랜지스터는 OS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메모리 셀(230)은 데이터 유지를 위하여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모리 셀(230)은 장기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저소비전력 메모리 셀이다. 기억 장치(200)를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OS 트랜지스터 및 용량 소자를 Si 트랜지스터 위에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셀 어레이(220)를 주변 회로(221) 위에 적층 할 수 있어, 메모리 셀 어레이(220)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메모리 셀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셀(231) 내지 메모리 셀(235)>
도 15의 (A)에 도시된 메모리 셀(231)은 용량 소자(CS2), 및 트랜지스터(MW2), 트랜지스터(MR2), 및 트랜지스터(MS2)를 포함하는 3T 게인 셀이다. 트랜지스터(MW2), 트랜지스터(MR2), 및 트랜지스터(MS2)는 각각 기록 트랜지스터, 판독 트랜지스터, 및 선택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W2), 트랜지스터(MR2), 및 트랜지스터(MS2)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셀(231)은 워드선(RWL) 및 워드선(WWL), 비트선(RBL) 및 비트선(WBL), 용량선(CDL), 및 전원선(P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전압 GND(저레벨 측 전원 전압)는 용량선(CDL) 및 전원선(PL2)에 입력된다.
도 15의 (B) 및 도 15의 (C)는 2T 게인 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메모리 셀(232)에서, n채널 Si 트랜지스터는 판독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된다. 도 15의 (C)에 도시된 메모리 셀(233)에서, p채널 Si 트랜지스터는 판독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된다.
도 15의 (D) 및 도 15의 (E)는 3T 게인 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D)에 도시된 메모리 셀(234)에서, n채널 Si 트랜지스터는 판독 트랜지스터 및 선택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된다. 도 15의 (E)에 도시된 메모리 셀(235)에서, p채널 Si 트랜지스터는 판독 트랜지스터 및 선택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된다. 도 15의 (E)의 예에서, 전압 Vddd(고레벨 측 전원 전압)는 전원선(PL2)에 입력된다.
이들 게인 셀에서, 판독 비트선(RBL) 및 기록 비트선(WBL)의 양쪽으로서 기능하는 비트선을 제공하여도 좋다.
<메모리 셀(236)>
도 15의 (F)는 1T1C(용량 소자) 메모리 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F)에 도시된 메모리 셀(236)은 워드선(WL), 비트선(BL), 용량선(CDL), 및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셀(236)은 트랜지스터(MW3) 및 용량 소자(CS3)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W3)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셀(237)>
도 16의 (A)에 도시된 메모리 셀(237)은 메모리 셀(240) 및 백업 회로(241)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240)은 일반적인 6T SRAM 셀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백업 회로(241)는 메모리 셀(240)에 포함되는 노드(Q) 및 노드(Qb)의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회로이고 2개의 1T1C 셀로 구성되어 있다. 노드(SN1) 및 노드(SN2)는 유지 노드이다. 트랜지스터(MW5) 및 용량 소자(CS5)로 구성되어 있는 게인 셀은 노드(Q)의 데이터를 백업한다. 트랜지스터(MW6) 및 용량 소자(CS6)로 구성되어 있는 게인 셀은 노드(Qb)의 데이터를 백업한다.
트랜지스터(MW5) 및 트랜지스터(MW6)는 OS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백업 회로(241) 위에 메모리 셀(240)을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백업 회로(241)의 추가로 인한 메모리 셀(237)의 면적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면적 오버헤드를 제로로 할 수 있다.
메모리 셀(240)은 워드선(WL), 비트선쌍(BL 및 BLB), 및 전원선(V_VDM) 및 전원선(V_VSM)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선(V_VDM) 및 전원선(V_VSM)은 각각 Vddd용 전원선 및 GND용 전원선이다. 백업 회로(241)는 전원선(PL3), 및 배선(OGL) 및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압 GND는 전원선(PL3)에 입력된다.
통상 상태의 메모리 셀(237)은 SRAM 셀로서 동작한다. 메모리 셀(237)의 동작예에 대하여 도 16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셀(237)이 소정의 시간 이상 액세스되지 않으면, 전원선(V_VDM) 및 전원선(V_VSM)으로의 전압 Vddd 및 전압 GND의 공급이 정지된다. 전압 Vddd의 공급이 정지되기 전에, 백업 회로(241)에 노드(Q) 및 노드(Qb)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6의 (B)에서는 시각을 t1 및 t2 등으로 나타내었다.
(통상 동작)
시각(t1) 전에, 메모리 셀(237)은 통상 동작 상태(기록 상태 또는 판독 상태)에 있다. 메모리 셀(237)은 싱글 포트 SRAM과 비슷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시각(t1)에서 노드(Q) 및 노드(Qb)는 각각 "H" 및 "L"이고, 노드(SN1) 및 노드(SN2)는 각각 "L" 및 "H"이다.
(백업)
t1에서, 배선(OGL)이 "H"가 됨으로써, 백업 동작이 개시되고, 트랜지스터(MW5) 및 트랜지스터(MW6)는 온이 된다. 노드(SN1)의 전압은 GND로부터 Vddd로 상승된다. 노드(SN2)의 전압은 Vddd로부터 GND로 저하된다. t2에서 배선(OGL)이 "L"이 됨으로써, 백업 동작이 종료된다. t1에서의 노드(Q)의 데이터 및 노드(Qb)의 데이터는 각각 노드(SN1) 및 노드(SN2)에 기록된다.
(파워 게이팅)
t2에서 파워 게이팅이 개시된다. 전원선(V_VDM)의 전압은 Vddd로부터 GND로 변화된다. 전원선(V_VDM)과 전원선(V_VSM) 사이의 전압차가 작아짐으로써, 메모리 셀(240)은 비액티브가 된다. 메모리 셀(240)의 데이터는 소실되지만, 백업 회로(241)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유지한다. 파워 게이팅 동안, 비트선쌍(BL 및 BLB)은 부유 상태에 있다.
(리커버리)
리커버리 동작이란 백업 회로(241)에 유지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메모리 셀(240)의 데이터를 리커버리하는 동작을 말한다. 리커버리 동작에서, 메모리 셀(240)은 노드(Q) 및 노드(Qb)의 데이터를 검지하기 위한 센스 앰프로서 기능한다.
우선, 노드(Q) 및 노드(Qb)의 리셋 동작을 수행한다. t3에서, 비트선쌍(BL 및 BLB)의 전압은 전압 Vpr2로 프리차지된다. 또한, 워드선(WL)이 선택된다. 따라서, 전원선(V_VDM) 및 전원선(V_VSM)은 전압 Vpr2로 프리차지되고, 노드(Q) 및 노드(Qb)의 전압은 Vpr2에 고정된다.
t4에서 배선(OGL)이 "H"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MW5) 및 트랜지스터(MW6)는 온이 된다. 용량 소자(CS5)의 전하는 노드(Q) 및 노드(SN1)에 분배된다. 용량 소자(CS6)의 전하는 노드(Qb) 및 노드(SN2)에 분배된다. 그 결과, 노드(Q)와 노드(Qb) 사이에서 전압차가 생긴다.
t5에서 전압 VDM 및 전압 GND의 공급을 재개한다. 메모리 셀(240)이 액티브가 되어 노드(Q)와 노드(Qb) 사이의 전압차가 증폭된다. 마지막으로, 노드(Q) 및 노드(SN1)의 전압은 Vddd가 되고, 노드(Qb) 및 노드(SN2)의 전압은 GND가 된다. 바꿔 말하면, 노드(Q) 및 노드(Qb)의 상태는 각각 t1의 상태, 즉 "H" 및 "L"로 복귀한다.
<메모리 셀(238)>
도 17의 (A)에 도시된 메모리 셀(238)은 메모리 셀(237)의 변형예이고 백업 회로(241) 대신에 백업 회로(242)를 포함한다. 백업 회로(242)는 하나의 1T1C 메모리 셀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SN3), 트랜지스터(MW7), 및 용량 소자(CS7)를 포함한다.
도 17의 (B)는 메모리 셀(238)의 동작예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메모리 셀(238)은 메모리 셀(237)과 비슷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도 17의 (B)의 설명에 대해서는 도 16의 (B)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백업 회로(242)는 노드(Q)의 데이터만을 백업하지만, 노드(SN3)에 유지된 데이터로 노드(Q) 및 노드(Qb)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는 노드(Q) 및 노드(Qb)가 미리 Vpr2로 프리차지되기 때문이고, 이로써 하나의 용량 소자(CS7)의 전하를 사용하여 노드(Q)와 노드(Qb)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는, 메모리 셀 등의 데이터 유지부가 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기억 장치를 OS 기억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OS 기억 장치의 예에는 DOSRAM(등록 상표), NOSRAM(등록 상표), 및 OS-SRAM 등이 포함된다.
DOSRAM이란 Dynamic Oxide Semiconductor RAM의 약칭이고, 1T1C 메모리 셀(도 15의 (F) 참조)을 포함하는 RAM을 나타낸다. NOSRAM이란 Nonvolatile Oxide Semiconductor RAM의 약칭이고, 게인 셀(도 14의 (A) 및 도 15의 (A) 내지 도 15의 (D) 참조)을 포함하는 RAM을 나타낸다. OS-SRAM은 백업 회로를 포함하는 SRAM 셀(도 16의 (A) 및 도 17의 (A) 참조)을 포함하는 RAM을 나타낸다.
다음에, 반도체 장치의 일례로서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및 FPGA를 예로서 나타낸다.
≪MCU≫
도 18의 MCU(250)는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이 가능한 반도체 장치이다.
전압 Vddd, 전압 Vdda, 및 전압 GND는 MCU(250)에 입력된다. MCU(250)는 PMU(power management unit)(260), 음의 전압 공급 장치(261), 버스(262), 파워 스위치(264) 및 파워 스위치(265), 레벨 시프터(LS) 및 버퍼 회로(267), 프로세서 코어(270)(이하, 코어(270)라고 함), 및 기억 장치(280)를 포함한다. PMU(260), 코어(270), 및 기억 장치(280)와의 데이터 등의 교환은 버스(262)를 통하여 수행된다.
반도체 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회로는 파워 게이팅 또는 클록 게이팅에 의하여 정지된다. 플립플롭은 반도체 장치에 포함되는 순서 회로(상태를 유지하는 저장 회로)의 일종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플립플롭의 소비전력 저감은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소비전력 저감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이 정지되면, 플립플롭의 상태는 소거된다(거기에 유지된 데이터가 소실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를 파워 게이팅하기 위하여 플립플롭의 상태를 백업할 필요가 있다.
코어(270)는 복수의 플립플롭(271)을 포함한다. 플립플롭(271)은 코어(270)의 다양한 레지스터에 제공된다. 플립플롭(271)은 백업 회로(272) 및 스캔 플립플롭(273)을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플립플롭(271)은 백업 회로를 포함하는 스캔 플립플롭이다.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 시에, 플립플롭(271)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플립플롭(271)에는 백업 회로(272)가 제공된다. 백업 회로(272)는 백 게이트를 갖는 복수의 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백업 회로(272)에는 Si 트랜지스터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Si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논리 셀 위에 백업 회로(272)를 적층할 수 있다. 도 19는 플립플롭(271)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캔 플립플롭(273)은 클록 버퍼 회로(273A), 및 노드(D1), 노드(Q1), 노드(SD), 노드(SE), 노드(RT), 및 노드(CK10)를 포함한다.
노드(D1)는 데이터 입력 노드이고, 노드(Q1)는 데이터 출력 노드이고, 그리고 노드(SD)는 스캔 테스트 데이터 입력 노드이다. 노드(SE)는 신호(SCE) 입력 노드이다. 노드(CK10)는 클록 신호(GCLK10) 입력 노드이다. 클록 신호(GCLK10)는 클록 버퍼 회로(272A)에 입력된다. 스캔 플립플롭(273)의 각 아날로그 스위치는 클록 버퍼 회로(273A)의 노드(CK11) 및 노드(CKB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RT)는 리셋 신호 입력 노드이다.
신호(SCE)가 "L"인 경우, 스캔 플립플롭(273)에는 노드(D1)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신호(SCE)가 "H"인 경우, 스캔 플립플롭(273)에는 노드(SD)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스캔 플립플롭(273)의 회로 구성은 도 19의 회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준적인 회로 라이브러리에 준비된 어느 스캔 플립플롭이나 사용할 수 있다.
백업 회로(272)는 노드(SD_IN) 및 노드(SN11), 트랜지스터(MO11) 내지 트랜지스터(MO13), 용량 소자(C11), 및 노드(SN1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MO11)의 온/오프 및 트랜지스터(MO13)의 온/오프는 신호(BKH)에 의하여 제어되고, 트랜지스터(MO12)의 온/오프는 신호(RCH)에 의하여 제어된다. 트랜지스터(MO11) 내지 트랜지스터(MO13)의 백 게이트는 CPU 코어(330)의 배선(BG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음의 전압 Vbg2는 배선(BGL1)에 입력된다.
노드(SD_IN)는 스캔 테스트 데이터 입력 노드이고 다른 스캔 플립플롭(273)의 노드(Q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SN11)는 백업 회로(340)의 유지 노드이다.
오프 상태 전류가 매우 낮다는 OS 트랜지스터의 특징 때문에, 노드(SN11)의 전압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데이터를 유지하는 데 전력이 거의 소비되지 않으므로, 백업 회로(272)는 장기간의 데이터 유지가 가능하다, 즉, 비휘발성이다. 따라서, CPU 코어(330)가 파워 게이팅 상태에 있을 때, 백업 회로(340)에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기억 장치(280)는 제어 회로(281), 주변 회로(282), 및 메모리 셀 어레이(283)를 포함한다. 기억 장치(280)에는 OS 기억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261)로서 실시형태 2에서의 음의 전압 공급 장치가 사용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261)는 전압 GND로부터 음의 전압 Vbg1 및 음의 전압 Vbg2를 생성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261)는 Vbg1 출력용의 복수의 단자(OB1), 및 Vbg2 출력용의 복수의 단자(OB2)를 포함한다. 음의 전압 Vbg1 및 음의 전압 Vbg2는 각각 기억 장치(280) 및 코어(270)에 입력된다.
클록 신호 및 인터럽트 요구 신호 등이 외부로부터 MCU(250)에 입력된다. 외부 클록 신호는 PMU(260)에 입력된다. 인터럽트 요구 신호는 PMU(260) 및 코어(270)에 입력된다.
PMU(260)는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PMU(260)는 외부 클록 신호로부터 게이티드 클록 신호(GCK10)(이하, GCLK10이라고 함)를 생성한다. 클록 신호(GCLK10)는 코어(270) 및 기억 장치(280)에 입력된다. PMU(260)는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파워 스위치(264) 및 파워 스위치(265)의 제어 신호, 백업 회로(272)의 제어 신호, 및 스캔 플립플롭(273)의 제어 신호(예를 들어, 리셋 신호)를 포함한다.
백업 회로(272)의 제어 신호는 LS 및 버퍼 회로(267)에 입력된다. LS 및 버퍼 회로(267)는 제어 신호를 레벨 시프트하는 기능 및 레벨 시프트된 제어 신호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LS 및 버퍼 회로(267)에 의하여 유지되는 제어 신호는 백업 회로(272)에 입력된다.
파워 스위치(264)는 코어(270)로의 전압 Vddd의 공급을 제어한다. 파워 스위치(265)는 기억 장치(280)로의 전압 Vddd 및 전압 Vdda의 공급을 제어한다. 코어(270)가 복수의 전원 도메인을 포함하는 경우, 전원 도메인에 대응하는 파워 스위치를 파워 스위치(264)로서 제공한다. 파워 스위치(26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전압 Vddd 및 전압 Vdda 이외에, 회로 구성에 따른 복수의 양의 전압이 기억 장치(280)에 입력된다. 기억 장치(280)에 입력되는 양의 전압은 비트선의 프리차지용 전압, 및 데이터 판독용의 참조 전압 등이다.
신호(SLEEP)는 코어(270)로부터 PMU(260)에 출력된다. 신호(SLEEP)는 코어(270)를 슬리프 모드(대기 모드)로 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이다. PMU(260)에 신호(SLEEP)가 입력되면, PMU(260)는 액티브 모드에서 슬리프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되는 기능 회로에 출력한다. 인터럽트 요구 신호의 입력에 의해서도 액티브 모드에서 슬리프 모드로의 이행을 수행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에서 슬리프 모드로 이행하기 위하여, 우선, PMU(260)는 코어(270)로의 클록 신호의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캔 플립플롭(273)의 데이터를 백업 회로(272)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H"의 신호(BKH)를 백업 회로(272)에 소정의 클록 사이클 동안 입력한다.
코어(270)를 슬리프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처리는, 예를 들어, 인터럽트 요구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실행된다. 인터럽트 요구 신호에 응하여, PMU(260)는 슬리프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되는 기능 회로에 출력한다. PMU(260)는 파워 스위치(264) 및 파워 스위치(265)를 제어하여, 코어(270) 및 기억 장치(280)로의 전위의 공급을 재개한다. 그리고, 백업 회로(272)에 유지된 데이터를 스캔 플립플롭(273)에 리커버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백업 회로(272)에 소정의 클록 사이클 동안 "H"의 신호(BCH)를 입력하고, 스캔 플립플롭(273)에 "H"의 신호(SCE)를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코어(270) 및 기억 장치(280)로의 클록 신호(GCLK10)의 공급을 재개한다.
PMU(260)는 코어(270)와 같이, 기억 장치(280)의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을 수행한다.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회로는, 계측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코어(270) 및 기억 장치(280)를 파워 게이팅하기 위하여 PMU(260)에 제공되어도 좋다.
≪FPGA≫
도 20은 FPGA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FPGA(400)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405), 로직 어레이(410), 입축력 유닛(I/O)(411), 및 주변 회로를 포함한다. FPGA(400)에 하나 이상의 OS 기억 장치를 제공하여도 좋다.
I/O(411)는 로직 어레이(4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주변 회로는 로직 어레이(410) 및 I/O(411)를 구동하기 위한 기능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주변 회로는 클록 생성기(412), 컨피규레이션 컨트롤러(413), 컨텍스트 컨트롤러(414), 행 드라이버(415), 및 열 드라이버(416)를 포함한다. FPGA(400)에는 Vddd, Vdda, 및 GND가 입력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405)로서 실시형태 2에서의 음의 전압 공급 장치가 사용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405)는 전압 GND로부터 음의 전압 Vbg4를 생성하고, 음의 전압 Vbg4용의 복수의 단자(OB)를 포함한다. FPGA(400)는 컨피규레이션 데이터 유지부에 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음의 전압 Vbg4는 OS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로직 어레이(410)는 라우팅 스위치 어레이(RSA)(421) 및 논리 소자(LE)(425)를 포함한다. 여기서, LE(425)는 4입력 1출력을 갖는 논리 회로이다. RSA(421)는 복수의 라우팅 스위치(RS)(422)를 포함한다. RS(422)는 2개의 LE(422) 사이의 접속을 제어한다. 레지스터 체인을 구성하도록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LE(425)를 서로 접속하여도 좋다.
LE(425)는 복수의 컨피규레이션 메모리(CFM)(426)를 포함한다. CFM(426)에 저장된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에 의하여 LE(425)의 회로 구성이 결정된다. CFM(426)은 멀티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컨피규레이션 메모리이고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의 세트의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각 RS(422)는 멀티 컨텍스트에 대응하는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RS(422)에 저장된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에 의하여 LE(425)들 사이의 접속이 결정된다.
로드되는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의 세트를 전환함으로써, FPGA(400)의 구성을 고속으로 변경할 수 있다. 컨텍스트 컨트롤러(414)에 의하여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의 세트를 전환할 수 있다. 행 드라이버(415) 및 열 드라이버(416)는 RS(422) 및 CFM(426)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다. 컨피규레이션 컨트롤러(413)는 행 드라이버(415) 및 열 드라이버(416)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는, 2개의 컨텍스트를 갖는 로직 어레이(410)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개의 컨텍스트를 "CNTXT0" 및 "CNTXT1"이라고 한다. CNTXT0를 선택하기 위한 컨텍스트 신호를 "ctx[0]"라고 하고, CNTXT1을 선택하기 위한 컨텍스트 신호를 "ctx[1]"라고 한다.
<배선 스위치(RS)>
RSA(421)는 복수의 RS(422)를 포함한다. 도 21의 (A)는 RS(422)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RS(422)는 단자(IN2)가 하나의 LE(425)의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자(OUT2)가 다른 LE(425)의 입력 노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프로그래머블 라우팅 스위치이다. RS(422)에서는, 2개의 스위치 회로(423)(이하, SW(423)라고 함)가 단자(IN2)와 단자(OUT2)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컨텍스트 수가 2보다 큰 경우에는 단자(IN2)와 단자(OUT2) 사이에 컨텍스트 수와 동일한 개수의 SW(423)를 서로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SW(423)는 3T 게인 셀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갖는다. SW(423)의 OS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음의 전압 Vbg4는 배선(BGL2)에 입력된다.
SW(423[0]) 및 SW(423[1])는 공통의 비트선(BL)에 접속된다. 열 드라이버(416)는 비트선(BL)에 컨피규레이션 데이터를 기록한다. SW(423[i])(i는 0 또는 1임)는 워드선(WL[i]) 및 배선(CXL[i])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CXL[i])은 컨텍스트 신호용 배선이다. CNTXT0가 선택되는 경우, ctx[0]에 의하여 SW(423[0])의 선택 트랜지스터는 온이 되고, ctx[1]에 의하여 SW(423[1])의 선택 트랜지스터는 오프가 된다. 한편, CNTXT1이 선택되는 경우, SW(423[0])의 선택 트랜지스터는 오프가 되고, SW(423[1])의 선택 트랜지스터는 온이 된다.
<컨피규레이션 메모리(CFM)>
도 21의 (B)는 CFM(426)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CFM(426)은 2개의 메모리 셀(428) 및 2개의 트랜지스터(ME)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428[0]) 및 메모리 셀(428[1])은 공통의 비트선쌍(BL 및 BL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컨피규레이션 데이터 및 이 반전 데이터는 각각 비트선(BL) 및 비트선(BLB)에 기록된다. 메모리 셀(428[i])은 워드선(WL[i]) 및 배선(CXL[i])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E[i])는 단자(OUT3)와, 메모리 셀(428[i])의 출력 단자 사이의 도통을 제어한다.
메모리 셀(428[i])은 2개의 게인 셀로 구성되어 있다. 게인 셀 중 한쪽은 비트선(BL)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른 쪽은 비트선(BLB)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 셀(428[i])의 OS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CNTXT0가 선택되는 경우, ctx[0]에 의하여 트랜지스터(ME[0])는 온이 되고, 메모리 셀(428[0])에 저장된 컨피규레이션 데이터는 단자(OUT3)로부터 출력된다. CNTXT1이 선택되는 경우, ctx[1]에 의하여 트랜지스터(ME[1])는 온이 되고, 메모리 셀(428[1])에 저장된 컨피규레이션 데이터가 출력된다.
≪촬상 장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장치의 일례로서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2의 (A)에 도시된 촬상 장치(440)는 음의 전압 공급 장치(441), 제어 회로(442), 화소 어레이(443), 및 주변 회로(444)를 포함한다. 주변 회로(444)는 행 드라이버(445) 및 열 드라이버(446)를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443)는 행 및 열의 매트릭스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448)를 포함한다. 화소(448)는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기능, 및 전하를 축적하는 기능 등을 갖는 촬상 장치이다.
전압 Vddd, 전압 Vdda, 및 전압 GND는 촬상 장치(440)에 입력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441)로서 실시형태 2에서의 음의 전압 공급 장치가 사용된다. 음의 전압 공급 장치(441)는 전압 GND로부터 음의 전압 Vbg5를 생성하고 음의 전압 Vbg5용의 복수의 단자(OB)를 포함한다.
도 22의 (B)는 화소(448)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화소(448)는 포토다이오드(PD1), 트랜지스터(MI1) 내지 트랜지스터(MI4), 용량 소자(C40), 및 노드(FN40)를 포함한다. 노드(FN40)는 데이터 유지 노드로서 기능한다. 용량 소자(C40)는 노드(FN40)의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 용량 소자(storage capacitor)이다. 트랜지스터(MI1)는 리셋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트랜지스터(MI1)는 노드(FN40)의 전압을 리셋하는 기능을 갖는다. 트랜지스터(MI2)는 노광 동작을 제어하는 노광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트랜지스터(MI2)는 노드(FN40)와 포토다이오드(PD1) 사이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패스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I2)에 의하여, 노광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셔터 방식에 의하여 촬상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I3)는 증폭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트랜지스터(MI3)는 노드(FN40)의 전압에 대응하는 온 상태 전류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트랜지스터(MI4)는 선택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트랜지스터(MI4)는 트랜지스터(MI3)와, 화소(448)의 출력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패스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I1) 및 트랜지스터(MI2)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음의 전압 Vbg5가 배선(BGL5)에 입력됨으로써, 트랜지스터(MI1) 및 트랜지스터(MI2)의 컷오프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FN40)의 전압에서의 편차를 더 저감할 수 있고, 해상도가 높은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에서의 p-n 접합 또는 p-i 접합 다이오드 소자, 또는 비정질 실리콘막(비정질 실리콘막 또는 미결정 실리콘막)을 사용한 p-i-n 다이오드 소자 등을 포토다이오드(PD1)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소(448)의 포토다이오드 대신에, 다른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광전 효과를 이용한 가변 저항 등을 실리콘, 저마늄, 셀레늄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애벌란시 증배라고 불리는 현상을 이용한 셀레늄을 포함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광전 변환 소자에서는, 입사광의 양에 대한 전자의 증폭의 양이 많은 고감도 센서를 얻을 수 있다. 셀레늄계 재료로서 비정질 셀레늄 또는 결정 셀레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셀레늄을 퇴적하고 나서, 가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결정 셀레늄을 얻어도 좋다. 결정 셀레늄의 결정 입경이 화소 피치보다 작을 때, 화소(448)들 사이의 특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전자 부품≫
다음에, 상술한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 대하여 도 23의 (A) 및 도 2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의 (A)에 도시된 전자 부품(7000)은 리드 및 회로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IC 칩이다. 도 23의 (A)의 전자 부품(7000)의 패키지로서 QFP(Quad Flat Package)를 사용하였지만, 패키지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부품(7000)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7002)에 실장된다. 이러한 복수의 IC 칩이 조합되고, 인쇄 회로 기판(7002) 위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전자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회로 기판(7004))이 형성된다.
전자 부품(7000)의 회로부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회로부에는 적어도 3종류의 층(7031) 내지 층(7033)이 포함된다. 층(7031)은 Si 웨이퍼로 형성된 Si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층(7032) 및 층(7033)은 각각 OS 트랜지스터 및 용량 소자를 포함한다. 층(7033)을 층(7031)과 층(7032) 사이에 제공하여도 좋다.
도 23의 (B)는 전자 부품(7400)의 모식도이다. 전자 부품(7400)은 이미지 센서 칩(7451)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다. 이미지 센서 칩(7451)은 촬상 장치(440)(도 22의 (A) 참조)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칩(7451)에는 적어도 층(7031) 내지 층(7033) 및 층(7034)이 포함된다. 층(7034)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한다.
전자 부품(7400)은, 이미지 센서 칩(7451)을 고정하는 패키지 기판(7411), 렌즈 커버(7421), 및 렌즈(7435) 등을 포함한다. 전자 부품(74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하여, 렌즈 커버(7421) 및 렌즈(7435)의 일부를 도 23의 (B)에 도시하지 않았다.
패키지 기판(7411)과 이미지 센서 칩(7451) 사이에는 신호 처리 회로 등이 제공된다. 전자 부품(7400)은 SiP(system in package)이다.
랜드(7441)는 전극 패드(74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 패드(7461)는 배선(7471)을 통하여 이미지 센서 칩(7451) 또는 IC 칩(74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IC 칩(7490)은 상술한 OS 기억 장치를 포함하여도 좋다.
≪전자 기기≫
상기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형태에 대하여 도 24의 (A) 및 도 24의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A)는 태블릿 정보 단말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의 (A)에 도시된 정보 단말(2010)은 하우징(2011), 표시부(2012), 조도 센서(2013), 카메라(2015), 및 조작 버튼(2016) 등을 포함한다. 전자 부품(7000)으로 형성되는 기억 장치 및 처리 장치 등은 하우징(2011)에 제공된다. 전자 부품(7000)을 표시부(2012)의 컨트롤러 등에 사용하여도 좋다. 전자 부품(7440)은 카메라(2015)에 사용된다.
표시부(2012)는 터치 센서가 제공되는 표시 시스템을 포함한다. 스타일러스 펜(2017)(또는 전자 펜) 또는 손가락 등이 정보 단말(2010)의 화면을 터치할 때, 정보 단말(2010)을 조작할 수 있다. 정보 단말(2010)은 음성 통화, 카메라(2015)를 사용한 영상 통화, 이메일, 일정 관리표, 인터넷 통신, 및 음악 재생 등의 기능을 갖는다.
도 24의 (B)는 퍼스널 컴퓨터(PC)의 구조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의 (B)의 PC(2030)는 하우징(2031), 표시부(2032), 광학 센서(2034), 카메라(2035), 및 키보드(2036)를 포함한다. 키보드(2036)는 하우징(3031)으로부터 탈착하여도 좋다. 키보드(2036)를 하우징(2033)에 장착할 때, PC(2030)를 노트북형 PC로서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2036)를 하우징(2031)으로부터 떼었을 때, PC(3030)를 태블릿 PC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3011)에는 기억 장치, 처리 장치, 및 표시부(2032)의 컨트롤러 등이 제공된다. 전자 부품(7000)은 이들에 사용된다. 전자 부품(2440)은 카메라(2035)에 사용된다.
도 24의 (C)에 도시된 로봇(2100)은 조도 센서(2101), 마이크로폰(2102), 상부 카메라(2103), 스피커(2104), 표시부(2105), 하부 카메라(2106), 장애물 센서(2107), 이동 기구(2108), 처리 장치(2110), 및 기억 장치(2111)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2110), 기억 장치(2111), 및 표시부(2105)의 컨트롤러 등에는 전자 부품(70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카메라(2103) 및 하부 카메라(2106)에는 전자 부품(7440)이 사용된다.
다양한 정보가 표시부(2105)에 표시된다. 로봇(2100)은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부(2105)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105)에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여도 좋다.
사용자와 로봇(2100) 사이의 음성 커뮤니케이션은 마이크로폰(2102) 및 스피커(2104)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로봇(2100)의 주위는 상부 카메라(2103) 및 하부 카메라(2106)에 의하여 촬상된다. 예를 들어, 상부 카메라(2103)에 의하여 촬상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2104)로부터의 로봇(2100)의 음성이 선택된다.
로봇(2100)은 이동 기구(2108)로 이동할 수 있다. 장애물 센서(2107)는 로봇(2100)의 이동 방향에서의 장애물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로봇(2100)은 상부 카메라(2103), 하부 카메라(2106), 및 장애물 센서(2107)를 사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고, 안전히 그리고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4의 (D)에 도시된 비행체(2120)는 처리 장치(2121), 기억 장치(2122), 카메라(2123), 및 프로펠러(2124)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2121) 및 기억 장치(2122) 등에는 전자 부품(7000)이 사용된다. 카메라(2123)에는 전자 부품(7400)이 포함된다.
도 24의 (D)에 도시된 자동차(2140)는 적외선 레이더, 밀리파 레이더, 및 레이저 레이더 등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자동차(2140)는 카메라(2141)에 의하여 촬영된 화상을 분석함으로써, 가드레일(2150) 또는 보행자의 존재 등 주위의 교통 정보를 판단하여, 자동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부품(7400)은 카메라(2141)에 제공된다. 또한, 자동차(2140)의 전자 회로(예를 들어, 처리 장치 및 기억 장치)에는 전자 부품(7000)이 제공된다.
≪전자 부품의 회로부≫
전자 부품(7000)의 회로부의 적층 구조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일례로서 메모리 셀(237)(도 16의 (A) 참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에는 트랜지스터(MW5), 용량 소자(CS5), 및 트랜지스터(MT5)를 도시하였다. 트랜지스터(MT5)는 비트선(B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송 트랜지스터이고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5500)로 형성된다. 또한, 도 25는 특정한 선을 따라 취한 IC 칩의 단면도가 아니라, IC 칩의 적층 구조의 예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트랜지스터(MT5), 트랜지스터(MW5), 및 용량 소자(CS5)는 각각 층(7031), 층(7032), 및 층(7033)에 형성된다. 층(7031)과 층(7032) 사이에는 복수의 배선층이 제공된다. 배선층에는 워드선(WL) 등이 제공된다. 트랜지스터(MW5)는 후술하는 OS 트랜지스터(5003)(도 26의 (B) 참조)와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
≪OS 트랜지스터의 구조예≫
다음에, OS 트랜지스터의 구조예에 대하여 도 26의 (A) 및 도 26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의 (A) 및 도 26의 (B)의 왼쪽에는 채널 길이 방향에서의 OS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26의 (A) 및 도 26의 (B)의 오른쪽에는 채널 폭 방향에서의 OS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26의 (A)에 도시된 OS 트랜지스터(5001)는 절연 표면 위, 여기서는 절연층(5001) 위에 형성된다. 여기서, OS 트랜지스터(5001)는 절연층(5021) 위에 형성된다. OS 트랜지스터(5001)는 절연층(5028) 및 절연층(5029)으로 덮여 있다. OS 트랜지스터(5001)는 절연층(5022) 내지 절연층(5027) 및 절연층(5030) 내지 절연층(5032), 금속 산화물층(5011) 내지 금속 산화물층(5013), 및 도전층(5050) 내지 도전층(5054)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의 절연층, 금속 산화물층, 및 도전체 등은 각각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스퍼터링법, 분자 빔 에피택시(MBE)법, 펄스 레이저 어블레이션(PLA)법, CVD법, 및 원자층 퇴적(ALD)법 등 다양한 퇴적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하여 이들 층을 형성할 수 있다. CVD법의 예에는 플라스마 CVD법, 열 CVD법, 및 유기 금속 CVD법이 포함된다.
금속 산화물층(5011) 내지 금속 산화물층(5013)을 통틀어 산화물층(5010)이라고 한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층(5010)은 금속 산화물층(5011), 금속 산화물층(5012), 및 금속 산화물층(5013)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부분을 포함한다. OS 트랜지스터(5001)가 온일 때, 주로 산화물층(5010)의 금속 산화물층(5012)에 채널이 형성된다.
OS 트랜지스터(5001)의 게이트 전극은 도전층(5050)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OS 트랜지스터(5001)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전극은 도전층(5051) 및 도전층(5052)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전층(5050) 내지 도전층(5052)은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5030) 내지 절연층(5032)으로 덮여 있다. OS 트랜지스터(5001)의 백 게이트 전극은 도전층(5053) 및 도전층(5054)의 적층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게이트 측의 게이트 절연층은 절연층(5027)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백 게이트 측의 게이트 절연층은 절연층(5024) 내지 절연층(5026)의 적층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절연층(5028)은 층간 절연층이다. 절연층(5029)은 배리어층이다.
금속 산화물층(5013)은 금속 산화물층(5011) 및 금속 산화물층(5012)과 도전층(5051) 및 도전층(5052)의 적층을 덮는다. 절연층(5027)은 금속 산화물층(5013)을 덮는다. 도전층(5051) 및 도전층(5052)은 각각 금속 산화물층(5013) 및 절연층(5027)을 개재(介在)하여 도전층(5050)과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전층(5050) 내지 도전층(5054)에 사용되는 도전 재료의 예에는, 인 등의 불순물 원소를 도핑한 다결정 실리콘으로 대표되는 반도체; 니켈 실리사이드 등의 실리사이드; 몰리브데넘, 타이타늄, 탄탈럼, 텅스텐, 알루미늄, 구리, 크로뮴, 네오디뮴, 또는 스칸듐 등의 금속; 및 상기 금속 중 임의의 것을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금속 질화물(질화 탄탈럼, 질화 타이타늄, 질화 몰리브데넘, 또는 질화 텅스텐)이 포함된다. 인듐 주석 산화물, 산화 텅스텐을 함유하는 인듐 산화물, 산화 텅스텐을 함유하는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함유하는 인듐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함유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또는 산화 실리콘이 첨가된 인듐 주석 산화물 등의 도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5050)은 질화 탄탈럼 또는 텅스텐의 단층이다. 또는, 도전층(5050)이 2층 구조 또는 3층 구조를 갖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과 타이타늄; 질화 타이타늄과 타이타늄; 질화 타이타늄과 텅스텐; 질화 탄탈럼과 텅스텐; 질화 텅스텐과 텅스텐; 타이타늄, 알루미늄, 및 타이타늄; 질화 타이타늄, 알루미늄, 및 타이타늄; 그리고 질화 타이타늄, 알루미늄, 및 질화 타이타늄이다. 상술한 도전체가 절연층(5027) 측의 층에 사용된다.
도전층(5051) 및 도전층(5052)은 동일한 층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전층(5051)이 단층인 경우, 알루미늄, 타이타늄, 크로뮴, 니켈, 구리, 이트륨,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은, 탄탈럼, 및 텅스텐 등의 금속 중 임의의 것, 또는 이들 금속 중 임의의 것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합금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전층(5051)이 2층 구조 또는 3층 구조를 갖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타이타늄과 알루미늄; 텅스텐과 알루미늄; 텅스텐과 구리; 구리-마그네슘-알루미늄 합금과 구리; 타이타늄과 구리; 타이타늄 또는 질화 타이타늄, 알루미늄 또는 구리, 및 타이타늄 또는 질화 타이타늄; 그리고 몰리브데넘 또는 질화 몰리브데넘, 알루미늄 또는 구리, 및 몰리브데넘 또는 질화 몰리브데넘이다. 상술한 도전체가 절연층(5027) 측의 층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전층(5053)을 수소 배리어성을 갖는 도전층(예를 들어, 질화 탄탈럼층)으로 하고, 도전층(5054)을 도전층(5053)보다 도전율이 높은 도전층(예를 들어, 텅스텐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도전층(5053)과 도전층(5054)의 적층은 배선으로서 기능하고 산화물층(5010)으로의 수소의 확산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절연층(5021) 내지 절연층(5032)에 사용되는 절연 재료의 예에는 질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질화산화 알루미늄, 산화질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질화 실리콘, 산화 실리콘, 질화산화 실리콘, 산화질화 실리콘, 산화 갈륨, 산화 저마늄, 산화 이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란타넘, 산화 네오디뮴, 산화 하프늄, 산화 탄탈럼,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가 포함된다. 절연층(5021) 내지 절연층(5032)은 각각 이들 절연 재료의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절연층(5021) 내지 절연층(5032)에 사용되는 층은 복수의 절연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산화질화물이란 질소보다 많은 산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말하고, 질화산화물이란 산소보다 많은 질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OS 트랜지스터(5001)에서는, 산소 배리어성 및 수소 배리어성을 갖는 절연층(이하, 이러한 절연층을 배리어층이라고 함)에 의하여 산화물층(5010)이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산화물층(5010)으로부터의 산소 방출 및 산화물층(5010)으로의 수소 침입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OS 트랜지스터(5001)의 신뢰성 및 전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5029)은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여도 좋고 절연층(5021), 절연층(5022), 및 절연층(5024) 중 적어도 하나는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산화 알루미늄, 산화질화 알루미늄, 산화 갈륨, 산화질화 갈륨, 산화 이트륨, 산화질화 이트륨, 산화 하프늄, 산화질화 하프늄, 또는 질화 실리콘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산화물층(5010)과 도전층(5050) 사이에 다른 배리어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는, 산소 배리어성 및 수소 배리어성을 갖는 금속 산화물층을 금속 산화물층(5013)으로서 제공하여도 좋다.
절연층(5030)은 도전층(5050)의 산화를 방지하는 배리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5030)이 산소 배리어성을 가지면, 절연층(5028)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산소로 인한 도전층(5050)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절연층(50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의 (A)는 산화물층(5010)이 3층 구조를 갖는 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산화물층(5010)은 금속 산화물층(5011) 또는 금속 산화물층(5013)이 없는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금속 산화물층(5011) 및 금속 산화물층(5012) 중 한쪽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산화물층(5010)은 4개 이상의 금속 산화물층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26의 (B)의 OS 트랜지스터(5003)는 게이트 전극 및 산화물층의 구조의 점에서 OS 트랜지스터(5001)와 상이하다.
OS 트랜지스터(5003)의 게이트 전극(5050)은 절연층(5033) 및 절연층(5034)으로 덮여 있다. OS 트랜지스터(5003)는 금속 산화물층(5011) 및 금속 산화물층(5012)으로 형성된 산화물층(5009)을 포함한다. 도전층(5051) 및 도전층(5052) 대신에 금속 산화물층(5011)에 저저항 영역(5011a) 및 저저항 영역(5011b)이 제공되고, 금속 산화물층(5012)에 저저항 영역(5012a) 및 저저항 영역(5012b)이 제공된다. 산화물층(5009)에 불순물 원소(예를 들어, 수소 또는 질소)을 선택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저저항 영역(5011a), 저저항 영역(5011b), 저저항 영역(5012a), 및 저저항 영역(5012b)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층에 불순물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불순물 원소가 첨가된 영역에 산소 결손이 형성되어 산소 결손에 불순물 원소가 들어간다. 이로써 캐리어 밀도가 증가되어 이 영역의 저항이 저하된다.
≪금속 산화물≫
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은 CAC-OS(cloud-aligned composite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C-OS는 재료의 일부에서 도전성 기능을 갖고, 재료의 다른 일부에서 절연성 기능을 갖고, 전체로서 CAC-OS는 반도체의 기능을 갖는다. CAC-OS 또는 CAC metal oxide를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에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 기능은 캐리어로서 기능하는 전자(또는 정공)를 흘리게 하는 것이고, 절연성 기능은 캐리어로서 기능하는 전자를 흘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전성 기능과 절연성 기능의 상보적인 작용에 의하여, CAC-OS는 스위칭 기능(온/오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CAC-OS에서는, 상기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각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CAC-OS는 도전성 영역 및 절연성 영역을 포함한다. 도전성 영역은 상술한 도전성 기능을 갖고, 절연성 영역은 상술한 절연성 기능을 갖는다. 재료 내에서 도전성 영역 및 절연성 영역은 나노 입자 레벨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전성 영역 및 절연성 영역은 재료 내에서 고르지 않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전성 영역은 그 경계가 흐릿해져 클라우드상(cloud-like)으로 연결되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CAC-OS에서, 도전성 영역 및 절연성 영역은 각각 0.5nm 이상 1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0.5nm 이상 3nm 이하의 크기를 갖고 재료 내에서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CAC-OS는 상이한 밴드 갭을 갖는 성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AC-OS는 절연성 영역으로 인한 와이드(wide) 갭을 갖는 성분과 도전성 영역으로 인한 내로(narrow) 갭을 갖는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내로 갭을 갖는 성분에 캐리어가 주로 흐른다. 내로 갭을 갖는 성분은 와이드 갭을 갖는 성분을 보완하고, 내로 갭을 갖는 성분과 연동하여 와이드 갭을 갖는 성분에도 캐리어가 흐른다. 그러므로, 상술한 CAC-OS를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에 사용하는 경우, OS 트랜지스터의 높은 전류 구동 능력 및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를 얻을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결정성에 따라 단결정 금속 산화물 반도체와 비단결정 금속 산화물 반도체로 분류된다. 비단결정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예에는 CAAC-OS(c-axis 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nc-OS(nano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및 a-like OS(amorphous-like oxide semiconductor) 등이 포함된다.
OS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은 CAAC-OS 또는 nc-OS 등, 결정부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AC-OS는 c축 배향을 갖고, 그 나노 결정들이 a-b면 방향에서 연결되어 있고, 그 결정 구조가 변형을 갖는다. 또한, 변형이란, 나노 결정들이 연결된 영역에서, 격자 배열이 규칙적인 영역과 격자 배열이 규칙적인 다른 영역 사이에서 격자 배열의 방향이 변화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nc-OS에서 미소한 영역(예를 들어, 크기가 1nm 이상 10nm 이하인 영역, 특히, 크기가 1nm 이상 3nm 이하인 영역)은 주기적인 원자 배열을 갖는다. nc-OS에서 상이한 나노 결정들 사이에 결정 배향의 규칙성은 없다. 따라서, 막 전체의 배향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분석 방법에 따라서는 nc-OS를 a-like OS 또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와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like OS는 nc-OS와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의 중간의 구조를 갖는다. a-like OS는 공동 또는 밀도가 낮은 영역을 갖는다. a-like OS는 nc-OS 및 CAAC-OS보다 결정성이 낮다.
본 명세서 등에서, CAC란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기능 또는 재료를 말하고, CAAC란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결정 구조를 말한다.
9A, 9B: 곡선, 10, 11, 20, 21, 22, 23, 24, 25, 171, 172: 비교 회로, 14, 15, 34: 차동 쌍, 17: 전류원, 18: 부하 회로, 30, 31, 32, 33, 172A: 차동 입력 회로, 35, 40, 41, 42, 43, 45: 출력 회로, 38, 39: 인버터 회로, 100, 101: 음의 전압 공급 장치, 111, 141: 제어 회로, 112, 117A, 117B, 117C, 123, 142, 153: 차지 펌프 회로, 114: 바이어스 전압 생성 회로, 120, 150: 출력 전압 어저스터, 122, 152: 음의 전압 유지 회로, 127, 154: 구동 회로, 128, 155, 161, 162: 감시 회로, 143: 분주 회로, 171, 172: 비교 회로, 173: 래치 회로, 175, 177: 선택 회로,
200, 211, 280: 기억 장치, 210, 261: 음의 전압 공급 장치, 215, 281: 제어 회로, 220, 283: 메모리 셀 어레이, 221, 282: 주변 회로, 223: 행 회로, 224: 열 회로, 225: 입출력 회로,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40: 메모리 셀, 241, 242, 272: 백업 회로, 25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260: power management unit(PMU), 262: 버스, 264, 265: 파워 스위치, : 265: 파워 스위치, 267: 레벨 시프터(LS) 및 버퍼 회로, 270: 프로세서 코어, 271: 플립플롭, 272A, 273A: 클록 버퍼 회로, 273: 스캔 플립플롭, 330: CPU 코어,
340: 백업 회로, 400: FPGA, 405: 음의 전압 공급 장치, 410: 로직 어레이, 411: 입출력 유닛(I/O), 412: 클록 생성기, 413: 컨피규레이션 컨트롤러, 414: 컨텍스트 컨트롤러, 415: 행 드라이버, 416: 열 드라이버, 421: 배선 스위치 어레이(RSA), 422: 라우팅 스위치(RS), 423: 스위치 회로(SW), 425: 논리 소자(LE), 426: 컨피규레이션 메모리(CFM), 428: 메모리 셀, 440: 촬상 장치, 441: 음의 전압 공급 장치, 442: 제어 회로, 443: 화소 어레이, 444: 주변 회로, 445: 행 드라이버, 446: 열 드라이버, 448: 화소, 2010: 정보 단말, 2011, 2031, 3011, 3031: 하우징, 2012, 2032, 2105: 표시부, 2013, 2034, 2101: 조도 센서, 2015, 2035, 2123, 2141: 카메라, 2016: 조작 버튼, 2017: 스타일러스 펜, 2030, 3030: PC, 2036: 키보드, 2100: 로봇, 2102: 마이크로폰, 2103: 상부 카메라, 2104: 스피커, 2106: 하부 카메라, 2107: 장애물 센서, 2108: 이동 기구, 2110, 2121: 처리 장치, 2111, 2122: 기억 장치, 2120: 비행체, 2121: 처리 장치, 2124: 프로펠러, 2140, 2980: 자동차, : 2150: 가드레일, 5001, 5003: OS 트랜지스터, 5009, 5010: 산화물층, 5011, 5012, 5013: 금속 산화물층, 5011a, 5011b, 5012a, 5012b: 저저항 영역, 5021, 5022, 5024, 5027, 5028, 5029, 5030, 5033, 5034: 절연층,
5050, 5051, 5052, 5053, 5054: 도전층, 5500: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7400: 전자 부품, 7411: 패키지 기판, 7421: 렌즈 커버, 7435: 렌즈, 7440: 전자 부품, 7441: 랜드, 7451: 이미지 센서 칩, 7461: 전극 패드, 7471: 배선, 7490: IC 칩,
BGL, BGL1, BGL2, BGL4, BGL5, CXL, OGL: 배선, BL, BLB: 비트선, CK10, CK11, D1, FN40, Q, Qb, Q1, RT, SD, SD_IN, SE, SN1, SN2, SN3, SN11, X1, X2, X5, X6, X11, X12, X13: 노드, CDL: 용량선, C11, C21, C22, C25, C40, CS1, CS3, CS5, CS6, CS7: 용량 소자, IN2, INN, INP, IN_cp, OB, OB1, OB2, OCM, OCMB, OUT2, OUT_cp, OUT3: 단자, MI1, MI2, MI3, MI4, MN1, MN5, MN6, MN7, MO1, MO2, MO3, MO5, MO7, MO11, MO12, MO13, MO14, MO21, MO22, MO25, MP1, MP2, MP5, MP6, MP7, MR1, MT5, MW1, MW2, MW3, MW5, MW6, MW7: 트랜지스터, PL2, PL3, V_VDM, V_VSM: 전원선, RBL: 판독 비트선, RWL: 판독 워드선, Rd1, Rd2: 부하, SL: 소스선, WBL: 기록 비트선, WL: 워드선, WWL: 기록 워드선.
본 출원은 2017년 5월 3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련 번호 2017-107964의 일본 특허 출원에 기초하고,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Claims (15)

  1. 비교 회로로서,
    제 1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
    제 1 출력 단자; 및
    게이트 및 백 게이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차동 쌍을 포함하는 차동 입력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회로는 음의 전압과 음의 참조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응하여 상기 제 1 출력 단자로부터 제 1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음의 전압은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양의 참조 전압은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상기 양의 참조 전압은 비교가 수행되도록 결정되고,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및 상기 백 게이트 중 한쪽에 입력되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는 상기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및 상기 백 게이트 중 다른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는 상기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및 상기 백 게이트 중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및 상기 백 게이트 중 다른 쪽에 입력되는, 비교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백 게이트에 입력되고,
    제 1 음의 전압은 상기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입력되는, 비교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참조 전압은 상기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백 게이트에 입력되고,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입력되는, 비교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비교 회로의 고레벨 측 전원 전압인, 비교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이어스 전압은 상기 비교 회로의 저레벨 측 전원 전압인, 비교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n채널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n채널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비교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회로는 다이내믹 비교 회로이고,
    상기 차동 입력 회로는 상기 차동 쌍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래치 회로를 포함하는, 비교 회로.
  8. 반도체 장치로서,
    차지 펌프 회로;
    구동 회로; 및
    제 1 항에 따른 비교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비교 회로의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출력 전압은 상기 비교 회로로부터 상기 구동 회로에 입력되고,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차지 펌프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n채널 트랜지스터는 상기 차지 펌프 회로의 전하 이동 경로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n채널 트랜지스터는 각각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백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n채널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0. 반도체 장치로서,
    제 1 내지 제 N 전압 출력 단자(N은 2 이상의 정수임);
    음의 전압 생성 회로;
    제어 회로;
    제 1 내지 제 N 차지 펌프 회로;
    제 1 내지 제 N 감시 회로; 및
    제 1 내지 제 N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음의 전압 생성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음의 전압 생성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j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는 제 j 전압 출력 단자(j는 1 내지 N의 정수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j 감시 회로는 비교 회로[j]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회로[j]는 제 1 항에 따른 비교 회로이고,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1 입력 단자는 상기 제 j 전압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제 j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j 구동 회로는 상기 제 1 클록 신호 및 상기 비교 회로[j]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제 j 차지 펌프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11. 반도체 장치로서,
    제 1 내지 제 N 전압 출력 단자(N은 2 이상의 정수임);
    음의 전압 생성 회로;
    제어 회로;
    분주 회로;
    제 1 내지 제 N 차지 펌프 회로;
    제 1 내지 제 N 감시 회로; 및
    제 1 내지 제 N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음의 전압 생성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주 회로는 상기 제 1 클록 신호를 분할하여 제 2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음의 전압 생성 회로의 출력 단자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j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는 제 j 전압 출력 단자(j는 1 내지 N의 정수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j 감시 회로는 비교 회로[j]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회로[j]는 제 7 항에 따른 비교 회로이고,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1 입력 단자는 상기 제 j 전압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는 상기 제 j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j 구동 회로는 상기 제 2 클록 신호 및 상기 비교 회로[j]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제 j 차지 펌프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 3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j 감시 회로는 래치 회로[j] 및 회로[j]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j 래치 회로는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와, 상기 제 j 출력 단자 사이에 있고,
    상기 회로[j]는 상기 제 j 래치 회로의 출력에 따라,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상기 양의 참조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입력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j 감시 회로는 선택 회로[j]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회로[j]는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로부터의 상기 제 1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비교 회로[j]의 상기 차동 입력 회로에 저레벨 측 전원 전압을 입력하는, 반도체 장치.
  14. 칩이 제공되는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칩은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15. 전자 기기로서,
    제 14 항에 따른 전자 부품; 및
    표시부, 마이크로폰, 스피커, 조작 키, 및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97035533A 2017-05-31 2018-05-22 비교 회로,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KR102542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7964 2017-05-31
JP2017107964 2017-05-31
PCT/IB2018/053590 WO2018220470A1 (en) 2017-05-31 2018-05-22 Comparis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880A true KR20200012880A (ko) 2020-02-05
KR102542173B1 KR102542173B1 (ko) 2023-06-09

Family

ID=6445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533A KR102542173B1 (ko) 2017-05-31 2018-05-22 비교 회로,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57167B2 (ko)
JP (2) JP7085899B2 (ko)
KR (1) KR102542173B1 (ko)
CN (1) CN110637415A (ko)
DE (1) DE112018002796T5 (ko)
TW (2) TWI737913B (ko)
WO (1) WO2018220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7167B2 (en) * 2017-05-31 2022-09-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aris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11025241B2 (en) * 2018-12-20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arator circuit and mobile device
US10796729B2 (en) * 2019-02-05 2020-10-06 Micron Technology, Inc. Dynamic allocation of a capacitive component in a memory device
US10825526B1 (en) * 2019-06-24 2020-11-03 Sandisk Technologies Llc Non-volatile memory with reduced data cache buffer
KR20210034918A (ko) * 2019-09-23 2021-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하 펌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TWI715224B (zh) * 2019-09-30 2021-01-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具有耐壓機制的輸出電路
WO2022023866A1 (ja) * 2020-07-31 2022-02-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11688437B2 (en) 2020-09-25 2023-06-27 Apple Inc. Amplifier offset cancelation
US11659297B2 (en) * 2020-10-27 2023-05-23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Image sensor with charge pump cell quantity control
JP2023040523A (ja) * 2021-09-10 2023-03-23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並びに、メモリシステム
TWI807494B (zh) * 2021-11-19 2023-07-01 鯨鏈科技股份有限公司 晶圓對晶圓技術之輸入及輸出電路與使用其晶片裝置
CN114649050A (zh) 2022-02-24 2022-06-21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存储器检测方法、检测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3248633A1 (ja) * 2022-06-20 2023-12-2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11722142B1 (en) * 2022-06-25 2023-08-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rge pump with output current adjustment
CN115424642B (zh) * 2022-11-03 2023-01-31 成都市硅海武林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二级起泵的fpga电荷泵电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647A (ja) 1994-02-15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11150230A (ja) 1997-11-17 1999-06-02 Nec Corp 負電圧生成回路
JPH11191611A (ja) 1997-12-26 1999-07-13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080303592A1 (en) * 2007-06-08 2008-12-11 Renesas Technology Corp.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and A/D converter
JP2012069932A (ja) 2010-08-27 2012-04-0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記憶装置、半導体装置
JP2012227588A (ja) * 2011-04-15 2012-11-15 Fujitsu Semiconductor Ltd 比較回路及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16A (ja) 1983-07-04 1985-01-23 Sumitomo Electric Ind Ltd Cmosコンパレ−タ
JPH04127467A (ja) 1990-06-04 1992-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5180876A (ja) * 1991-12-27 1993-07-23 Fujitsu Ltd コンパレータ
WO1999007067A1 (en) 1997-08-01 1999-02-11 Lsi Logic Corporation Offset adjustment of cmos matched pairs with body voltage
US6204721B1 (en) 1998-05-20 2001-03-20 Programmable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 well potential in response to an output voltage
US6452448B1 (en) 2000-07-14 2002-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mily of analog amplifier and comparator circuits with body voltage control
JP2003229746A (ja) 2002-02-06 2003-08-15 Seiko Instruments Inc オフセット付きコンパレータ回路
JP2003273711A (ja) 2002-03-12 2003-09-26 Seiko Instruments Inc 電圧比較器
JP3816022B2 (ja) 2002-05-28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4290466B2 (ja) * 2003-04-24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オフセット補償装置
US7221190B2 (en) * 2005-03-14 2007-05-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fferential comparator with extended common mode voltage range
TWI382669B (zh) 2009-07-16 2013-01-11 Ralink Technology Corp 用於管線式類比數位轉換器之比較器及相關訊號取樣方法
TWI405415B (zh) 2009-11-09 2013-08-11 Ind Tech Res Inst 具有背景式誤差修正功能的動態比較器
WO2011068025A1 (en) 2009-12-04 2011-06-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c converter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JP5890207B2 (ja) 2012-03-13 2016-03-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4052484B (zh) 2013-03-11 2019-03-08 恩智浦美国有限公司 控制比较器输入偏移电压的装置
US9245650B2 (en) 2013-03-15 2016-01-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9680430B2 (en) 2013-04-22 2017-06-13 Samsung Display Co., Ltd. Mismatched differential circuit
JP2016111677A (ja) 2014-09-26 2016-06-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無線センサ、及び電子機器
US9397622B2 (en) 2014-10-31 2016-07-19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Programmable hysteresis comparator
JP2016187123A (ja) 2015-03-27 2016-10-27 株式会社東芝 コンパレータ回路
US10250247B2 (en) * 2016-02-10 2019-04-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10236875B2 (en) 2016-04-15 2019-03-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US11457167B2 (en) * 2017-05-31 2022-09-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aris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647A (ja) 1994-02-15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11150230A (ja) 1997-11-17 1999-06-02 Nec Corp 負電圧生成回路
JPH11191611A (ja) 1997-12-26 1999-07-13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080303592A1 (en) * 2007-06-08 2008-12-11 Renesas Technology Corp.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and A/D converter
JP2012069932A (ja) 2010-08-27 2012-04-0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記憶装置、半導体装置
JP2012227588A (ja) * 2011-04-15 2012-11-15 Fujitsu Semiconductor Ltd 比較回路及び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回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 Onuki et al., "Embedded Memory and ARM Cortex-M0 Core Using 60-nm C-Axis Aligned Crystalline Indium-Gallium-Zinc Oxide FET Integrated with 65-nm Si CMOS," Symp. VLSI Circuits Dig. Tech. Papers, pp. 124-125, Jun. 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83762B2 (ja) 2023-11-20
CN110637415A (zh) 2019-12-31
TW201909554A (zh) 2019-03-01
TW202137707A (zh) 2021-10-01
JP7085899B2 (ja) 2022-06-17
TWI737913B (zh) 2021-09-01
US20220264044A1 (en) 2022-08-18
US11689829B2 (en) 2023-06-27
TWI794834B (zh) 2023-03-01
US20200145599A1 (en) 2020-05-07
DE112018002796T5 (de) 2020-03-19
JP2022130415A (ja) 2022-09-06
WO2018220470A1 (en) 2018-12-06
JP2018207486A (ja) 2018-12-27
KR102542173B1 (ko) 2023-06-09
US11457167B2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173B1 (ko) 비교 회로, 반도체 장치,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US10693448B2 (en)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JP6885773B2 (ja) 半導体装置
KR102412243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
US11062762B2 (en) Storage device applying a cancel circuit
US11366507B2 (en) Storage device,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JP201801129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動作方法
US11699465B2 (en) Memory device
JP2018045755A (ja) 記憶装置とその動作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電子部品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