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021A - 내장용 표면재 - Google Patents

내장용 표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021A
KR20200009021A KR1020197035234A KR20197035234A KR20200009021A KR 20200009021 A KR20200009021 A KR 20200009021A KR 1020197035234 A KR1020197035234 A KR 1020197035234A KR 20197035234 A KR20197035234 A KR 20197035234A KR 20200009021 A KR20200009021 A KR 2020000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material
mass
main surface
interior
pri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미나미데
마사시 야기
Original Assignee
니혼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02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bond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23Emulsion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9D11/104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entanglement by fluid je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nsolida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8Polymeric granules, particles or powder, e.g. core-shell particles,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08Microballoons,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6Vehicles, transportation
    • D06N2211/263C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2Acrylic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섬유집합체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이고, 표면 거칠기(SMD)가 2.71μm 미만 또한 평균마찰 계수(MIU)가 0.27보다 높은 값의 주면(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상기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을 갖추고 있다. 이들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사람에게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부여하면서도,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촉감에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프린트 층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인해,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이다.

Description

내장용 표면재
본 발명은 내장용 표면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용 표면재의 구성 부재(構成部材)로서, 종래부터 섬유 집합체(예를 들면, 섬유웹, 부직포, 직물, 편직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섬유 집합체를 갖춘 내장용 표면재로서, 본원 출원인들은, [섬유웹의 일면에 니들 펀치 처리를 하고, 해당 니들 펀치 처리를 한 면에 바인더를 함침시킨 후, 캘린더(カレンダ-) 처리를 하고, 이어서 해당 니들 펀치 처리를 한 면의 반대면에 턱(タック)이 적은 바인더를 함침시킨 내장용 표피재](특허 문헌 1)나, [니들 펀치 부직포의 한쪽 표면의 기모(起毛)가 억제되어, 해당 기모가 억제된 표면에 수지가 함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특허 문헌 2)를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이들의 내장용 표면재(내장용 표피재)는, 촉감이 불충분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는, 표면 거칠기(SMD)가 2.5μm 이하면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20 이상이며, 유기계 미립자와 평균 입자 지름이 50nm~800nm의 무기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부직포 또는 직편물(織編物)의 표피(最表皮)로서 갖춘, 자동차 내장재에 사용 가능한 합성 피혁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의 합성 피혁은, 표면 거칠기(SMD)가 2.5μm 이하인 것으로 인하여, 사람에게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부여하고, 또한, 평균 표면 마찰 계수(MIU)가 0.20 이상인 것으로 인하여, 사람에게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しっとり) 느낌이 우수한 표면을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소62-25747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09-137372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2014-145133호 공보
그렇지만 근래에는,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가 요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이 개시하는 종래 기술만으로는, 그 요망을 만족하는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의 제공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섬유집합체의 적어도 한 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이며, 상기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상기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의 표면 거칠기(SMD)는 2.71μm 미만이면서 평균마찰 계수(MIU)는 0.27보다 높은 값이며, 상기 프린트 층은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中空)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용 표면재.]이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섬유집합체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이며, 표면 시험기(KES-FB4)로 측정한, 표면 거칠기(SMD)가 2.71μm 미만이며 평균마찰 계수(MIU)가 0.27보다 높은 값의 주면(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상기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을 갖추고 있다. 즉, 표면 거칠기(SMD)가 작다는 것은 내장용 표면재가 평활한 주면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마찰 계수(MIU)가 크다는 것은 내장용 표면재가 유연한 주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들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사람에게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부여하면서도,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촉감이 우수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프린트 층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인해,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이다.
본 구성에 있어서,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유는 완전히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이하의 효과가 발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특허 문헌 [와타나베 신이치(渡信一) 외 [촉감각에 의한 입자군의 인식과 언어 평가], 정밀공학회지, 출간년월: 2005.11, Vol.71, PP1421-1425]에는,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인 입자, 및, 그보다도 평균입자 지름이 작은 입자는,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속으로 파고들어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에 걸리기 쉽다는 식견(知見)이 개시되어 있다.
그때문에, 사람이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주면을 만졌을 때에, 해당 주면에 노출되어 있는 중공입자가 닿아 있는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속으로 파고들어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에 걸리기 쉽다. 그 결과, 사람은 내장용 표면재의 해당 주면 위를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저항감을 느낀다.
또, 중공입자는 중실(中實)입자보다도, 입자 지름 방향으로 변형되기 쉽다.
그때문에, 사람이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주면을 만졌을 때에, 해당 주면 및 해당 주면에 노출되어 있는 중공입자가 닿아 있는 사람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형되기 쉽다. 그 결과, 사람은 딱딱한 것을 만졌을 때의 촉감이 아니라 탄성을 갖는 것을 만졌을 때의 촉감을 느끼는 것으로, 내장용 표면재의 해당 주면 상을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저항감을 느낌과 함께, 주면 형상이 손가락의 압력에 따라서 휘감겨 붙어오는 것과 같은 매끄러운 느낌을 느낀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사람에게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부여하면서도, 더욱더,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 등, 각종 구성을 적의 선택(適宜選擇)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섬유집합체와 그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 층을 갖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섬유집합체란, 예를 들면, 섬유웹이나 부직포, 혹은, 직물이나 편물 등의, 시트상의 포백(布帛)이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섬유집합체(특히, 부직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연하며, 사람에게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가 된다. 또한, 모든 구성섬유가 랜덤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특히, 부직포)를 갖춘 내장용 표면재는, 보다 유연하며, 사람에게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더욱 촉감이 뛰어나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섬유집합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유연하고 금형에의 추종성(追從性)이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를 구성하는 섬유집합체가 부직포(특히, 모든 구성섬유가 랜덤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면, 더욱 유연하고 금형에의 추종성이 뛰어나 바람직하다.
섬유집합체의 구성섬유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탄화수소의 일부를 시아노기 또는 불소 혹은 염소와 같은 할로겐으로 치환한 구조의 폴리올레핀 계 수지 등), 스티렌 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계 수지, 폴리에테르 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세탈,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등), 폴리에스테르 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ポリアリレ-ト),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수지 등), 폴리이미드 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수지, 폴리아미드 계 수지(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아미드수지, 방향족 폴리에테르아미드수지, 나일론 수지 등), 니트릴 기를 갖는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 우레탄 계 수지, 에폭시 계 수지, 폴리술폰 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등), 불소 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등), 셀룰로스 계 수지, 폴리벤조이미다졸수지, 아크릴 계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산에스테르 혹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을 공중합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과 염화 비닐 또는 염화 비닐리덴을 공중합한 모다크릴(モダアクリル) 계 수지 등) 등, 공지의 유기수지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유기수지는, 직쇄상 폴리머 또는 분지상 폴리머의 어느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상관없고, 또 유기수지가 블록 공중합체나 랜덤 공중합체여도 상관없고, 또 유기수지의 입체 구조나 결정성의 유무가 어떠하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여러 성분의 유기수지를 혼합한 것 이어도 좋다.
또한, 내장용 표면재에 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섬유집합체의 구성섬유가 난연성의 유기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연성의 유기수지로서, 예를 들면, 모다크릴수지, 비닐리덴 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수지, 노볼로이드(ノボロイド) 수지, 폴리크랄(ポリクラ-ル) 수지, 인 화합물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수지, 할로겐 함유 모노머를 공중합한 아크릴수지, 아라미드수지, 할로겐 계나 인 계 또는 금속 화합물 계의 난연제를 이겨 넣은(練りん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안료를 이겨 넣어 제조된 섬유나, 염색된 섬유 등의 원착(原着)섬유여도 좋다.
또, 바인더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난연제를 담지한 내장용 표면재여도 좋다.
구성섬유는, 예를 들면, 용융방사법, 건식방사법, 습식방사법, 직접방사법(멜트 블로우법, 스판본드법, 정전방사법 등), 복합 섬유로부터 한 종류 이상의 수지 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섬유 지름(俓)이 가는 섬유를 추출하는 방법, 섬유를 고해(叩解)하여 분할 된 섬유를 얻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성섬유는, 한 종류의 유기수지로부터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이어도, 복수 종류의 유기수지로부터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 이어도 상관없다. 복수 종류의 유기수지로부터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섬유로서, 일반적으로 복합 섬유로 칭해지는, 예를 들면, 심초형(芯초型), 해도형(海島型),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오렌지형, 바이메탈형 등의 태양(態)일 수 있다.
또, 구성섬유는, 대개 원형의 섬유나 타원형의 섬유 이외에도 이형 단면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형 단면 섬유로서, 중공 형상, 삼각형 형상 등의 다각형 형상, Y자 형상 등의 알파벳 문자형 형상, 부정형 형상, 다엽 형상, 별표(アスタリスク) 형상 등의 기호형 형상, 혹은 이들의 형상이 복수 결합한 형상 등의 섬유 단면을 갖는 섬유여도 좋다.
섬유집합체가 구성섬유로서 열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섬유끼리를 열융착하는 것으로 인해, 섬유집합체에 강도와 형태안정성을 부여해, 보풀이 일거나 섬유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융착성 섬유는, 전융착형(全融着型)의 열융착성 섬유여도 좋고, 상술한 복합 섬유와 같은 태양의 일부 융착형의 열융착성 섬유여도 좋다. 열융착성 섬유에 있어서 열융착성을 발휘하는 성분(유기수지)으로서, 예를 들면, 저융점 폴리올레핀 계 수지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계 수지를 포함한 열융착성 섬유 등을 적의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섬유집합체가 권축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축성이 늘어서 금형에의 추종성이 뛰어나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권축성 섬유로서, 예를 들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을 발현한 권축성 섬유나 크림프를 갖는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섬유집합체가 가열하는 것으로 권축을 발현하는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섬유집합체가 섬유웹이나 부직포인 경우, 예를 들면, 상술의 섬유를 카드(カ-ド) 장치나 에어레이(エアレイ) 장치 등에 제공하는 것으로 섬유를 얽는 건식법, 섬유를 용매에 분산시켜 시트 상으로 떠 섬유를 얽는 습식법, 직접방사법(멜트 블로우법, 스판본드법, 정전방사법, 방사 원액과 기체 흐름을 평행하게 토출하여 방사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개2009-287138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방사를 행함과 함께 이를 포집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조제한 섬유웹의 구성섬유를 얽히게 하거나(絡合) 및/또는 일체화 시켜 부직포를 조제할 수 있다. 구성섬유끼리를 얽히게 하거나 및/또는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니들이나 수류에 의해서 얽히게 하는 방법, 섬유웹을 가열 처리에 제공하거나 하여 바인더 혹은 접착 섬유에 의해 구성섬유끼리를 접착 일체화 혹은 용융 일체화 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열처리의 방법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예를 들면, 롤에 의해 가열 또는 가열가압하는 방법, 오븐 드라이어, 원적외선 히터, 건열건조기, 건풍건조기 등의 가열기에 제공해 가열하는 방법, 무압(無壓) 하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포함되어 있는 유기수지를 가열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바인더의 종류는 적의선택하나,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변성폴리올레핀 등),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각종 고무 및 그 유도체(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불소고무, 우레탄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등), 셀룰로스 유도체(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CMC),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 등),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PVdF-HFP), 아크릴 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가 아크릴 계 수지를 함유하고 있으면, 금형을 이용한 히트 프레스 등의 열성형 시에 적당한 정도로 연화 하기 때문에, 금형에의 추종성에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바인더는 상술한 수지 이외에도, 예를 들면, 난연제, 향료, 안료, 항균제, 항곰팡이재(抗黴材), 광촉매 입자, 유화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섬유집합체에 포함되는 바인더의 목부(目付)는 적의선택하나, 바인더 량이 많을수록 주면이 평활한(표면 거칠기(SMD)가 2.71μm 미만의)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하기 쉬운 것으로부터, 바인더의 목부는, 2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인더 량이 과잉으로 많은 경우에는, 주면에서의 유연성이 뒤떨어지는(평균마찰계수(MIU)가 0.27 이하의) 내장용 표면재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인더의 목부는, 5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 하고, 2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섬유집합체가 직물이나 편물인 경우, 상술과 같이하여 조제한 섬유를 짜서 혹은 엮는 것으로, 직물이나 편물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섬유웹 이외에도 부직포 혹은 직물이나 편물 등 섬유집합체를, 상술한 구성섬유끼리를 얽히게 하거나 및/또는 일체화 시키는 방법에 제공해도 좋다.
섬유집합체의 구성섬유의 섬도(纖度)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강성(剛性)에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1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균질한 바탕(地合い)인 것으로서 주면이 평활한 내장재를 조제 가능한 내장용 표면재가 되도록, 100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dtex 이하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집합체의 구성섬유의 섬유 길이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강성의 관점으로부터, 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mm 이상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한편, 섬유 길이가 110mm를 넘으면, 섬유집합체의 조제 시에 섬유 덩어리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고 주면이 평활한 내장용 표면재의 제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1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섬유 길이]는, JIS L1015(2010), 8.4.1c)직접법(C법)에 따라 측정한 값을 말한다.
섬유집합체의, 예를 들면, 두께, 목부 등의 여러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적의조정한다.
섬유집합체의 두께는, 0.5~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3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1.9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섬유집합체의 목부는, 예를 들면, 50~500g/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300g/m2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250g/m2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두께란 주면과 수직 방향으로 20g/cm2 압축 하중을 가했을 때의 해당 수직 방향의 길이를 말하며, 목부란 측정 대상물의 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 면(주면)에서의 1m2쯤의 질량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프린트 층이란,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존재하는, 프린트 수지를 함유하는 층을 가르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주면]은 섬유집합체가 갖는 면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 면을 의미한다.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는, 섬유집합체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 상에 중공입자를 담지하는 역할을 맡는 수지이며, 그 종류는 적의선택 가능하며, 상술한 바인더와 같은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금형을 이용한 열 프레스 등의 열성형 시에 적당한 정도로 연화하기 때문에, 금형에의 추종성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 가능한 것으로부터,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가 아크릴 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린트 층은 그 프린트 수지 이외에, 예를 들면, 난연제, 향료, 안료, 항균제, 항곰팡이재, 광촉매입자, 유화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존재하는 프린트 층의 태양은 적의선택 가능하며, 해당 주면 전면(全面)을 덮도록 존재하고 있는 태양, 격자상 등의 패턴을 갖는 무늬(柄)나 선상이나 도트 상 혹은 부정형 상 등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해당 주면의 일부를 덮어 존재하고 있는 태양일 수 있다. 또한, 프린트 층은 한 종류의 프린트 수지를 함유하는 층을 갖추고 있어도, 한 종류 혹은 복수 종류의 프린트 수지를 함유하는 층을 복수 갖추고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무늬 혹은 프린트 수지나 함유물이 동일 혹은 다른 프린트 층을 복수 갖추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프린트 층은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존재하는 것이라면, 섬유집합체의 양 주면 상에 프린트 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프린트 층은 섬유집합체의 주면 상에만 존재하는 태양 이외에도,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성분(프린트 수지 등)의 일부가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구성섬유 사이에 침입해 있는 태양이어도 좋다.
프린트 층의 목부는 적의선택하나, 예를 들면, 2~50g/m2일 수 있고, 10~30g/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은, 표면 거칠기(SMD)가 2.71μm 미만, 또한 평균마찰 계수(MIU)가 0.27보다 높은 값이다.
표면 거칠기는 문자대로, 주면에서의 요철, 즉 평활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본 발명자들은, 표면 거칠기(SMD)가 2.71μm 미만이면, 뛰어난 촉감인 것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표면 거칠기(SMD)의 값은 작은 쪽이, 평활하고, 보다 뛰어난 촉감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표면 거칠기(SMD)는 2.70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60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25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15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μm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거칠기(SMD)의 하한은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하한 값은, 전혀 요철이 없는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0μm이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면 거칠기(SMD; surface roughness)는 표면 시험기(KES-FB4, 카토텍 주식회사)를 이용해 측정되는 값이며, 표면재의 시료(20cm 모서리(角))를 시험기에 400g의 하중을 걸어서 세트하여, 거칠기 접촉기(接子)(0.5mm 와이어, 접촉면폭(接面幅): 5mm)에 10.0g의 가중을 걸어서 시료에 접촉시켜, 시료를 1mm/sec.의 속도로 이동시켜서 측정된 표면의 요철 데이터의 평균 편차(average deviation of surface roughness data)를 의미하며, 단위는 μm이다.
평균마찰 계수(MIU)는 내장용 표면재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본 발명자들은, 평균마찰 계수(MIU)가 0.27보다 높은 값이면, 뛰어난 촉감인 것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즉, 이 평균마찰 계수(MIU)의 측정은 마찰자(摩擦子)에 가중을 걸어서 표면재와 접촉시켜, 표면재가 부드러우면, 마찰자가 표면재에 가라앉은 상태가 되어, 그 상태로 표면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평균마찰 계수가 커진다.
평균마찰 계수(MIU)의 값이 큰 편이, 유연성이 넘치고(富み), 보다 뛰어난 촉감이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평균마찰 계수(MIU)는 0.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평균마찰 계수(MIU)의 값이 너무 크면, 마찰 저항이 너무 강해서, 역으로 촉감을 해칠 우려가 있으므로,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균마찰 계수(MIU; frictional coefficient)는, 표면 시험기(KES-FB4)를 사용해 측정되는 μ(마찰 계수)의 20mm 사이의 평균값(average value of μ in a distance of 20 mm)이며, 다음에 설명하는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을 측정하는 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측정된 평균 값을 의미한다.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의, 다른 물성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예를 들면, 해당 주면의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은 0.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 fluctuations of average frictional coefficient)은 표면 시험기(KES-FB4)를 사용한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며, 마찰자를 내장용 표면재의 해당 주면과 맞닿은 상태로 접하게 하여(當接させ), 내장용 표면재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마찰자가 표면재를 쓰다듬는 것과 같은 상태로 측정하기 때문에, 내장용 표면재의 해당 주면의 균일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이 0.025 이하이면, 뛰어난 촉감인 것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의 값이 작으면 작을수록, 주면이 균일하고, 보다 뛰어난 촉감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은 0.0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이상적으로는, 마찰 계수가 완전히 같아, 주면이 균일한 것을 나타내는 0이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평균마찰 계수의 변동(MMD)은, 표면 시험기(KES-FB4)를 사용해 측정되는 값이며, 표면재의 시료(20cm 모서리(角))를 시험기에 400g 하중을 걸어서 세트하여, 마찰자(10mmХ10mm)에 50g의 가중을 걸어서 시료에 접촉시켜, 시료를 1mm/sec.의 속도로 이동시켜서 측정된 μ(마찰 계수)의 평균 편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에 관계된(かかる) 프린트 층은,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중공입자란, 내부에 공동을 갖는 입자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은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되는 값을 말한다.
(평균입자 지름의 산출방법)
(1)실온(25℃) 분위기 하에 놓여진 복수의 중공입자의 200배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촬영한다, 혹은, 실온(25℃) 분위기 하에 놓여진 내장용 표면재의 양 주면의 200배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각각 촬영한다.
(2)촬영한 사진 중에서 입자의 존재가 판단된 사진으로부터, 랜덤하게 10개의 입자를 선출한다.
(3)선출한 10개의 입자의 입자 지름을 각각 산출해, 산출한 값의 평균 값을 평균입자 지름으로 한다. 또한, 사진에 찍히는 입자의 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산출해, 그 직경의 값을 입자의 입자 지름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은 106μm 이하이나,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이 작을 수록, 보다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의 안으로 파고들어 사람의 손가락의 지문에 걸리기 쉬으므로, 평균입자 지름은 8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입자 지름의 하한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30μm 이상인 것이 현실적이다. 또한, 상기 비특허 문헌에 의하면,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이 너무나도 작은 경우에는, 사람이 해당 주면에 노출되어 있는 중공입자를 만졌을 때에 느끼는 감각이 둔하게 되어, 촉감의 향상 효과가 의도치 않게 낮아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은 35μm 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린트 층에 함유되어 있는 중공입자의 입자 지름에서의 변동계수(이후, CV값으로 약칭할 수 있다)는, 적의선택 가능하나, CV값이 작을수록 중공입자의 분포가 좁아서,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의도한대로 효율 좋게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중공입자의 입자 지름에서의 CV값은,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입자 지름의 하한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이상적으로는 0%이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입자를 구성하는 성분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입자 지름방향으로 변형하기 쉬운 중공입자이도록, 중공입자를 구성하는 성분은 유기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입자로서, 유기수지와 무기성분을 포함한 구성을 갖춘 중공입자를 채용하면, 분산매에 중공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도포액을 조제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해당 도포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중공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루어지는 프린트 층을 갖추는 것으로,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의도한대로 효율 좋게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게다가, 내장용 표면재의 조제공정에서의 가열공정에 있어서, 중공입자가 의도치 않게 팽창하면,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내장용 표면재의 조제공정에서의 가열 온도 범위 내에서, 입자 지름이 변화하기 어려운 중공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가열 온도 150℃ 분위기 아래에서도 입자 지름이 변화하기 어려운 중공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입자의 열팽창률은, 내장용 표면재를 구성 가능한 중공입자, 혹은, 내장용 표면재로부터 채취한 중공입자의, 가열 온도(150℃) 분위기 하 및 실온(25℃) 분위기 하에서의 평균입자 지름의 각 값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실온(25℃) 분위기 하에서의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에 대한, 가열 온도(150℃) 분위기 하에서의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의 백분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중공입자의 열팽창률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열팽창률이 100%에 가까운(80% 이상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115% 이하)중공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를 구성하는 것에 적당한, 상술한 물성을 만족시키는 중공입자의 구체예로서,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의 MFL-81GTA, MFL-81GCA, MFL-SEVEN, MFL-HD30CA, MFL-HD60CA, MFL-100MCA, MFL-110CA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공입자는, 아크릴 니트릴 계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중공 마이크로스피어(微小球)의 표면을 불활성 무기분체(예를 들면, 탄산칼슘, 탤크, 산화티탄)로 코팅한 것이다.
프린트 층이 중공입자를 함유하고 잇는, 그 태양은 적의선택 가능하고, 프린트 층의 노출하는 주면 상에만 중공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태양이나, 프린트 층의 내부 및 노출하는 주면 상에 중공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태양일 수 있다.
또한, 프린트 층의 노출하는 주면 상에 중공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태양으로서, 예를 들면, 프린트 층의 노출하는 주면 상에 프린트 수지에 의해서 중공입자가 접착 담지되어 있는 태양이나, 프린트 층의 노출하는 주면에 중공입자의 일부가 박히는 것으로 담지되어 있는 태양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프린트 층의 주면 상에 중공입자의 일부가 노출하는 태양일 수 있다.
프린트 층에 함유되어 있는 중공입자의 양은 적의선택하나, 15g/m2 이하일 수 있고, 12g/m2 이하일 수 있고, 9g/m2 이하일 수 있다. 한편, 함유량의 하한 값은 적의조정하나, 본 발명에 관련된 특성을 갖는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1g/m2 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린트 층은 중공입자이외에도, 예를 들면, 난연제, 향료, 안료, 항균제, 항곰팡이재, 광촉매입자, 유화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프린트 층은 본 발명에 관한 중공입자이외의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으나,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은 등,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 가능하도록, 입자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춘 중공입자만을 함유하는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효과가 효율 좋게 발휘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 가능하도록, 입자로서 본 발명에 관한 중공입자를 한 종류만 함유하는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에 대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의 백분율은 적의조정 가능하나, 25질량%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백분율이 25질량%보다도 많은 것으로 인해,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느끼는 것에 의한 차분한 느낌이 높다고 하는 감각을 사람에게 부여해,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해당 백분율은 28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8질량%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백분율의 상한 값은 적의선택 가능하고, 400질량% 이하일 수 있고, 200질량% 이하일 수 있고, 100질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에 대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의 백분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한 값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산출할 수 있다.
A=100ХB/C
A: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에 대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의 백분율(단위: 질량%)
B: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단위: g/m2)
C: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단위: g/m2)
또한, 내장용 표면재가 갖추고 있는 프린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중공입자 및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을 측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프린트 층을 구성하기위해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부여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을 B로서 상술의 식에 대입함과 동시에,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을 C로서 상술의 식에 대입하는 것으로,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에 대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의 백분율(단위: 질량%)을 산출한다. 혹은,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프린트 층을 구성하기위해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부여하는,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중공입자와 프린트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 중의,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을 B로서 상술의 식에 대입함과 동시에,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을 C로서 상술의 식에 대입하는 것으로,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에 대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의 백분율(단위: 질량%)을 산출한다.
내장용 표면재의 두께는 적의선택하나, 2.5mm 이하일 수 있고, 2.0mm 이하일 수 있고, 1.4m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두께의 하한 값은 적의조정하나, 0.5mm 이상인 것이 현실적이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장용 표면재의 목부는 적의선택하나, 300g/m2 이하일 수 있고, 250g/m2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목부의 하한 값은 적의조정하나, 100g/m2 이상인 것이 현실적이다. 또한, 상기의 하한과 각 상한은, 바라는 바에 의해,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장용 표면재의 통기도(通氣度)는 적의선택하나, 흡음 효과가 기대되는 주파수 영역의 범위가 넓은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 가능하도록, 통기도는 5cm3/cm2ㆍ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 값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흡음 효과가 풍부하도록(富むよう), 통기도는 60cm3/cm2ㆍ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통기도]는 JIS L1913:2010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에 규정되는 6.8.1(프라지르(フラジ-ル)형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다시 별도의 다공체, 필름, 발포체 등의 구성부재를 갖추고 있어도 좋다. 이들의 구성부재는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주면과는 다른 주면 측에 적층하여 갖출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의 내장용 표면재에 대해서 설명한 항목과 구성을 같게 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방법은 적의선택 하는 것이 가능하나, 일예로써,
(1)섬유집합체를 준비하는 공정,
(2)프린트 층을 구성가능한 수지와,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용매 혹은 분산매에 혼합하여, 도포액을 조제하는 공정,
(3)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도포액을 부여하는 공정,
(4)도포액을 부여한 섬유집합체를 가열하는 것으로, 용매 혹은 분산매를 제거하는 공정,
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1)섬유집합체를 준비하는 공정, 에 대하여 설명한다.
섬유집합체로서, 예를 들면, 섬유웹이나 부직포, 혹은, 직물이나 편물 등의, 시트 상의 포백을 준비한다.
섬유집합체에서의 구성섬유의 섬도나 섬유 길이, 섬유집합체의 두께나 목부는 상술한 수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2)프린트 층을 구성 가능한 수지와,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용매 혹은 분산매에 혼합하여, 도포액을 조제하는 공정, 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매 혹은 분산매의 종류는 적의선택 가능하나,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호적하게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도록, 프린트 층을 구성 가능한 수지가 용해함과 함께, 중공입자가 용해되지 않고, 분산 가능한 용매를 채용하는, 혹은, 프린트 층을 구성 가능한 수지입자 및 중공입자가 용해되지 않고 분산 가능한 분산매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액에는 중공입자이외에도, 예를 들면, 난연제, 향료, 안료, 항균제, 항곰팡이재, 광촉매입자, 유화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용해 혹은 분산시켜, 함유시켜도 좋다.
그리고, (3)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도포액을 부여하는 공정, 에 대해서 설명한다.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도포액을 부여하는 방법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에 도포액을 그대로, 혹은 거품을 낸 상태로, 스프레이나 함침 롤 등을 사용해 살포(散布) 혹은 도포하는 방법,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을 도포액 중에 침지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섬유집합체의 한쪽의 주면 상에 부여하는, 도포액의 태양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주면 상 전체를 피복하도록 부여하는 방법, 주면 상에 모양을 형성하도록 프린트나 날염하여 부여하는 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한 종류의 도포액을 부여하는, 혹은, 복수 종류의 도포액을 부여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 종류의 도포액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각 도포액의 부여 태양(모양, 도포액의 조성)은 달라도 좋다.
게다가, (4)도포액을 부여한 섬유집합체를 가열하는 것으로, 용매 혹은 분산매를 제거하는 공정, 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매 혹은 분산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적의선택 가능하나, 예를 들면, 오븐 드라이어(オ-ブンドライヤ-), 원적외선 히터, 건열 건조기, 열풍 건조기 등의 가열기에 제공해 가열하는, 실온 분위기 하나 감압 분위기 하에 정치(靜置)하는 등 하여, 용매 혹은 분산매를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용매 혹은 분산매를 제거하는 때의 가열 온도는 용매 혹은 분산매가 휘발 가능한 온도임과 동시에, 섬유집합체나 중공입자 등 구성부재의 형상이나 기능 등이 의도치 않게 저하되지 않도록, 가열 온도의 상한을 선택한다.
또한, 섬유집합체가 섬유웹인 경우에는, 본(4)공정에 따라 구성섬유끼리를 접착하는(용융한 바인더로 접착한다, 혹은, 구성섬유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성분을 용융시켜 접착한다) 것으로, 부직포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내장용 표면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의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다시 별도의 다공체, 필름, 발포체 등의 구성부재를 적층하는 공정, 용도나 사용 태양에 맞춰 형상을 꿰뚫는 등 하여 가공하는 공정, 등의, 각종 이차 공정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구성부재는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중공입자를 함유하는 주면과는 다른 주면 측에 적층하여 갖출 수 있다.
게다가, 릴라이언트 프레스(リライアントプレス) 처리 등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해서 프린트 층측 주면에 가압 처리하는 공정에 제공해도 좋다. 본 공정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표면 거칠기(SMD)가 2.71μm 미만의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섬유집합체의 조제)
원착 폴리에스테르 섬유(섬도: 2.2dtex, 섬유 길이: 38mm)를 100% 사용하여, 카드기(カ-ド機)에 의해 개섬(開纖)하여 섬유웹을 형성한 후, 한쪽 면부터 침밀도(針密度) 400개(本)/m2로 니들 펀치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열롤(熱ロ-ル) 사이(갭 간격: 0.6mm, 롤 가열 온도: 165℃에 제공하는 것으로, 니들 펀치부직포(목부: 180g/m2, 두께: 1.6mm)를 조제했다.
이어서, 니들 펀치부직포의 니들링을 실시한 면과는 반대의 면으로부터, 이하에 기재한 비율로 배합한 바인더액을 거품을 낸 상태로 도포해, 롤 사이(갭 간격: 0.25mm)에 제공한 후, 온도 160℃의 캔 드라이어로 건조하는 것으로, 섬유집합체로서 바인더 접착 부직포(목부: 182g/m2, 두께: 1.6mm, 전체 구성섬유가 랜덤하게 얽히게 하거나 하여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조제하였다.
바인더액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2.3부(部)
ㆍ증점제: 0.2부
ㆍ계면활성제: 0.2부
ㆍ25% 암모니아수: 0.1부
ㆍ물: 97.2부
(프린트액의 조제)
다음의 비율로 배합한 각종 프린트액 A~F를 조제하였다.
또한, 프린트액 A~C, E~F에 배합한 중공입자는, 유기수지로 이루어지는 중공입자의 바깥 둘레(外周)에 무기성분이 존재하고 있는 중공입자였다. 한편, 프린트액 D에 배합한 중공입자는, 유기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입자였다.
프린트액 A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10부
ㆍ중공입자(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등록 상표) MFL-100MCA,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 열팽창률: 112.3%,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 100질량%): 2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100질량%): 0.405부
ㆍ소포제(고형분 질량: 17질량%): 0.4부
ㆍ25% 암모니아수: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28질량%): 1.5부
ㆍ유연제(고형분 질량: 41질량%): 3부
ㆍ물: 81.695부
프린트액 B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10부
ㆍ중공입자(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등록 상표) MFL-110CAL,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 열팽창률: 100.5%,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 100질량%): 2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100질량%): 0.405부
ㆍ소포제(고형분 질량: 17질량%): 0.4부
ㆍ25% 암모니아수: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28질량%): 1.5부
ㆍ유연제(고형분 질량: 41질량%): 3부
ㆍ물: 81.695부
프린트액 C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5부
ㆍ중공입자(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등록 상표) MFL-100MCA,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 열팽창률: 112.3%,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 100질량%):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100질량%): 0.405부
ㆍ소포제(고형분 질량: 17질량%): 0.4부
ㆍ25% 암모니아수: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28질량%): 1.5부
ㆍ유연제(고형분 질량: 41질량%): 1.5부
ㆍ물: 89.195부
프린트액 D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10부
ㆍ중공입자(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등록 상표) FN-180,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 열팽창률: 300% 이상,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 100질량%): 2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100질량%): 0.405부
ㆍ소포제(고형분 질량: 17질량%): 0.4부
ㆍ25% 암모니아수: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28질량%): 1.5부
ㆍ유연제(고형분 질량: 41질량%): 3부
ㆍ물: 81.695부
프린트액 E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10부
ㆍ중공입자(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등록 상표) MFL-81GCA,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 열팽창률: 113.8%,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 100질량%): 2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100질량%): 0.405부
ㆍ소포제(고형분 질량: 17질량%): 0.4부
ㆍ25% 암모니아수: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28질량%): 1.5부
ㆍ유연제(고형분 질량: 41질량%): 3부
ㆍ물: 81.695부
프린트액 F
ㆍ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의 Tg: -40℃,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에멀젼의 고형분 질량: 50질량%): 10부
ㆍ중공입자(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등록 상표) MFL-SEVEN,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 주식회사, 열팽창률: 82.7%,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 100질량%): 2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100질량%): 0.405부
ㆍ소포제(고형분 질량: 17질량%): 0.4부
ㆍ25% 암모니아수: 1부
ㆍ증점제(고형분 질량: 28질량%): 1.5부
ㆍ유연제(고형분 질량: 41질량%): 3부
ㆍ물: 81.695부
(실시예1)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바인더 부착면에 대해서, 실린더를 사용하여 프린트액 A를 도포한 후, 온도 150℃의 드라이어로 건조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릴라이언트 프레스기(온도: 150℃, 프레스 압력: 2kgf, 처리시간: 12초)에 공급하는 것으로,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A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12g/m2, 두께: 1.3mm, 통기도: 46.1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3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73.0μm, CV값: 8.4%)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09μm, MIU는 0.45, MMD는 0.015였다.
(실시예2)
프린트액 A대신에 프린트액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B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12g/m2, 두께: 1.4mm, 통기도: 55.5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3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105.6μm, CV값: 15.9%)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21μm, MIU는 0.45, MMD는 0.015였다.
(비교예1)
바인더 접착 부직포를 그대로, 프린트 층을 갖추고 있지 않은 내장용 표면재(목부: 182g/m2, 두께: 1.8mm, 통기도: 79.2cc/cm2/sec)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바인더 부착면 측의 주면에서의 SMD는 3.39μm, MIU는 0.36, MMD는 0.013이었다.
(비교예2)
바인더 접착 부직포를 릴라이언트 프레스기(온도: 150℃, 프레스 압력: 2kgf, 처리시간: 12초)에 공급하는 것으로, 프린트 층을 갖추고 있지 않은 내장용 표면재(목부: 182g/m2, 두께: 1.3mm, 통기도: 69.9cc/cm2/sec)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바인더 부착면 측의 주면에서의 SMD는 2.71μm, MIU는 0.36, MMD는 0.012였다.
(비교예3)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바인더 부착면에 대해서, 실린더를 사용하여 프린트액 D를 도포한 후, 온도150℃의 드라이어로 건조한 것으로,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D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12g/m2, 두께: 1.4mm, 통기도: 52.8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3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121.0μm, CV값: 28.1%)을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97μm, MIU는 0.27, MMD는 0.012였다.
(비교예4)
프린트액 A대신에 프린트액 D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D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12g/m2, 두께: 1.4mm, 통기도: 59.7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3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151.7μm, CV값: 17.2%)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88μm, MIU는 0.20, MMD는 0.010이었다.
(비교예5)
프린트액 A대신에 프린트액 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E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12g/m2, 두께: 1.3mm, 통기도: 46.3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3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17.1μm, CV값: 8.5%)을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31μm, MIU는 0.16, MMD는 0.010이었다.
(실시예3)
릴라이언트 프레스기의 처리시간을 20초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하여,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A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12g/m2, 두께: 1.1mm, 통기도: 42.4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3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73.0μm, CV값: 8.4%)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1.98μm, MIU는 0.44, MMD는 0.012였다.
(실시예4)
프린트액 A 대신에 프린트액 C를 사용해, 실시예1과 동일하게,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C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02g/m2, 두께: 1.3mm, 통기도: 49.7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2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73.0μm, CV값: 8.4%)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14μm, MIU는 0.49, MMD는 0.015였다.
(실시예5)
릴라이언트 프레스기의 처리시간을 20초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하여,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C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02g/m2, 두께: 1.1mm, 통기도: 46.8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2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73.0μm, CV값: 8.4%)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02μm, MIU는 0.48, MMD는 0.015였다.
(비교예6)
프린트액 A대신에 프린트액 F를 사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F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목부: 202g/m2, 두께: 1.8mm, 통기도: 60.1cc/cm2/sec, 프린트 층의 목부: 20g/m2, 중공입자의 평균입자 지름: 24.8μm, CV값: 14.3%)를 조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내장용 표면재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에서의 SMD는 2.62μm, MIU는 0.17, MMD는 0.010이었다.
(비교예7, 실시예6~8)
프린트액 C에 배합되는 중공입자의 부수(部數)를 변경함과 함께, 해당 부수의 변경에 맞춰서 프린트액의 구성성분의 합계가 100부가되도록 물의 부수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4와 동일하게하여, 바인더 접착 부직포의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액 유래의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를 조제하였다.
또한, 조제한 비교예7, 실시예6~8의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프린트 층의 구성, 및, 내장용 표면재의 각 물성은 표1에 기재된 대로이다.
Figure pct00001
상술과 같이 하여 조제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주면(실시예1~8 및 비교예3~7에서의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 비교예1~2에 있어서는 바인더 부착면 측의 주면)을 만졌을 때의 촉감을, 모니터 요원 8명에 만지게 하는 것으로,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느끼는지 아닌지 평가받는 것과 동시에,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느끼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다고 하는 감각을 어느정도 느끼는지, 5단계로 평가했다.
또한, 모니터 요원 8명 중 6명 이상이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느낀 경우에는, 평가한 내장용 표면재는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그 외의 경우에는, 평가한 내장용 표면재는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평가했다.
또한, 비교예1의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바인더 부착면 측의 주면을 만졌을 때에 느낀,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느끼는 것에 의한 차분한 느낌이 높다고 하는 감각을 [3]으로서, 해당 감각을 높게 느낀 경우에는 [4], 해당 감각을 보다 높게 느낀 경우에는 [5]로 하였다. 한편, 해당 감각을 낮게 느낀 경우에는 [2], 해당 감각을 보다 낮게 느낀 경우에는 [1]로하였다.
또한, 해당 감각을 [3]보다 높고 [4]보다 낮게 느낀 경우에는 [3.5], 해당 감각을 [4] 보다 높고 [5]보다 낮게 느낀 경우에는 [4.5], 해당 감각을 [3]보다 낮고 [2]보다 높게 느낀 경우에는 [2.5], 해당 감각을 [2]보다 낮고 [1]보다 높게 느낀 경우에는 [1.5]로 하였다.
그리고, 8명이 평가한 수치의 평균 값의 소수점 2자리 이하를 반올림하여,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느끼는 것에 의한 차분한 느낌의 평가점으로 하였다.
상술의 평가결과를 표2 및 표3에 정리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내장용 표면재는, 사람에게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부여하면서도, 비교예보다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으로, 차분한 느낌이 높다고 느끼게 하는, 촉감이 뛰어난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의 내장용 표면재는, 사람에게 매끄럽고 결이 미세한 감각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보다 해당 차분한 느낌이 낮다고 느끼게 하는, 촉감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게다가, 표3의 결과로부터, 프린트 층을 구성하는 프린트 수지의 고형분 질량에 대한 중공입자의 고형분 질량의 백분율이 25질량%인 실시예6의 내장용 표면재보다도, 해당 백분율이 높은 실시예 7~8 및 실시예4의 내장용 표면재의 쪽이, 저항감이나 매끄러운 느낌을 느끼는 것에 의한 차분한 느낌이 보다 높다고 하는 감각을 사람에게 부여하는 내장용 표면재인 것이 밝혀졌다.
그 때문에, 해당 백분율이 25질량%보다도 많은 내장용 표면재에 있어서, 보다 촉감이 뛰어난 내장용 표면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내장용 표면재는, 보다 촉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천장, 도어 사이드, 필러 가니쉬(ピラ-ガ-ニッシュ), 리어 팩키지(リヤパッケ-ジ) 등 자동차용; 파티션 등의 인테리어용; 벽장(壁裝)재 등의 건축재료 용으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섬유집합체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 상에 프린트 층을 갖춘 내장용 표면재이고,
    상기 내장용 표면재에서의 상기 프린트 층이 노출되어 있는 주면의 표면 거칠기(SMD)는 2.71μm 미만 또한 평균마찰 계수(MIU)는 0.27보다 높은 값이며,
    상기 프린트 층은 평균입자 지름이 106μm 이하의 중공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용 표면재.
KR1020197035234A 2017-05-19 2018-05-16 내장용 표면재 KR20200009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9574 2017-05-19
JP2017099574 2017-05-19
PCT/JP2018/018964 WO2018212245A1 (ja) 2017-05-19 2018-05-16 内装用表面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021A true KR20200009021A (ko) 2020-01-29

Family

ID=6427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234A KR20200009021A (ko) 2017-05-19 2018-05-16 내장용 표면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99810A1 (ko)
JP (1) JP7144407B2 (ko)
KR (1) KR20200009021A (ko)
CN (1) CN110662866A (ko)
WO (1) WO2018212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3899B2 (ja) * 2018-09-17 2022-07-20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内装用表面材
JP7365918B2 (ja) 2020-01-21 2023-10-20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表面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7472A (ja) 1986-05-02 1987-11-10 Japan Vilene Co Ltd 内装用表皮材の製造方法
JPH09137372A (ja) 1995-11-16 1997-05-27 Japan Vilene Co Ltd 自動車内装材用表皮材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自動車内装材
JP2014145133A (ja) 2013-01-25 2014-08-14 Toyobo Co Ltd 合成皮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336A1 (ja) 2010-07-12 2012-01-19 株式会社クラレ 皮膜形成方法、及び皮膜
KR101571613B1 (ko) * 2010-12-07 2015-11-24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 내장재용 합성 피혁
CN102691216B (zh) * 2011-03-25 2015-12-02 东洋纺织株式会社 汽车内饰材料用合成皮革
JP6257902B2 (ja) * 2013-03-06 2018-01-10 セーレン株式会社 立体プリン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36001B1 (ko) 2016-03-30 2022-08-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외관 품질이 향상된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7472A (ja) 1986-05-02 1987-11-10 Japan Vilene Co Ltd 内装用表皮材の製造方法
JPH09137372A (ja) 1995-11-16 1997-05-27 Japan Vilene Co Ltd 自動車内装材用表皮材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自動車内装材
JP2014145133A (ja) 2013-01-25 2014-08-14 Toyobo Co Ltd 合成皮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212245A1 (ja) 2020-03-19
US20200199810A1 (en) 2020-06-25
CN110662866A (zh) 2020-01-07
WO2018212245A1 (ja) 2018-11-22
JP7144407B2 (ja)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9021A (ko) 내장용 표면재
JP6278775B2 (ja) 表皮材
JP7103899B2 (ja) 内装用表面材
JP2018039432A (ja) 内装用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9438B2 (ja) 表層材および壁紙とその製造方法
JP2001179889A (ja) 壁紙用基材及び壁紙
JP7386622B2 (ja) 内装用表面材
JP2019163561A (ja) 内装用表面材
JP2019059390A (ja) 車両用内装基材
US20210189638A1 (en) Surfac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330083B2 (ja) 表面材
JP6672004B2 (ja) 内装用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27537A (ja) 表面材
JP2004204358A (ja) スエード調人工皮革
JP7349258B2 (ja) 内装用表面材
JP2021194913A (ja) 表面材
JP2024082396A (ja) 表面材
JP7245045B2 (ja) 貼付薬用基材
JP2023035645A (ja) 表面材
JP3409554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098922A (ja) 表面材とその製造方法
JP5571980B2 (ja) 床材
KR20210036827A (ko) 장식 섬유 시트
JP2012117154A (ja) 通気性に優れた皮革様シート及びその皮革様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1112901A (ja) 表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