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21U - 표면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21U
KR20200002121U KR2020200003444U KR20200003444U KR20200002121U KR 20200002121 U KR20200002121 U KR 20200002121U KR 2020200003444 U KR2020200003444 U KR 2020200003444U KR 20200003444 U KR20200003444 U KR 20200003444U KR 20200002121 U KR20200002121 U KR 202000021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roll
latch
surface cleaning
cleaning devi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717Y1 (ko
Inventor
야곱 레쉬
야곱 에스 볼스
Original Assignee
비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1475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02121(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쎌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45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 A47L11/185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roll brushes
    • A47L11/19Parts or details of the brush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47L11/4019Fill level sensors; Security means to prevent overflow, e.g. float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25Means for empt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27Filtering or separating contaminants or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7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Exhaust-air treatment, e.g. air purificat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할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게 된 베이스, 유체 전달 시스템, 그리고 회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딱딱한 표면과 부드러운 표면을 포함하여, 다중 표면을 청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습식 청소, 건식 진공 청소, 그리고 자체 청소를 포함하여, 상이한 청소 모드에 대해서 청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면 청소 장치를 자체 청소하는 방법도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표면 청소 장치{SURFACE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대체로 다중-표면 습식 진공 청소기의 형태로 될 수 있는 표면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표면 진공 청소기는 타일 그리고 단단한 목재와 같은 딱딱한 바닥 표면과, 카페트 그리고 커버와 같은 부드러운 바닥 표면을 청소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몇몇 다중-표면 진공 청소기는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으로 전달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과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이 쓰레기는 때, 먼지, 얼룩, 흙, 머리카락, 그리고 다른 쓰레기를 포함할 수 있다)를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유체 회수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공급된 청소용 유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바르는 유체 분배기, 그리고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 분배기로 청소용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공급 도관을 포함하고 있다. 청소할 표면에 있는 청소용 유체를 휘젖기 위해서 교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체 회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회수 탱크, 청소할 표면에 인접해 있으며 작업 공기 도관을 통하여 상기 회수 탱크와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되어 있는 노즐, 그리고 청소용 유체를 상기 노즐과 상기 작업 공기 도관을 통하여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상기 회수 탱크로 흡입하기 위해서 상기 작업 공기 도관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흡입원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다중-표면 청소 장치는 다른 표면 유형을 청소할 수 있지만, 액체를 제공하거나 회수하지 않는 "건식" 진공 청소기를 포함한다.
표면 청소 장치가 본 명세서에 제공되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타일 그리고 단단한 목재와 같은 딱딱한 바닥 표면과 카페트와 같은 부드러운 바닥 표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중-표면 습식 진공 청소기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직립 손잡이 조립체 또는 몸체가 뒤로 젖혀질 때 바닥을 긁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직립 손잡이 조립체 또는 몸체의 후방측에 범퍼를 구비하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무선 작동을 위해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범퍼는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용의 배터리 하우징의 후방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직립 손잡이 조립체 또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청소할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클리닝 헤드 또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는 림(rim)에 좁은 접지부를 가진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좁은 접지부는 바퀴의 접촉 폭을 감소시켜서, 청소한 젖은 표면 위로 바퀴가 구르는 것에 의해서 초래되는 기다란 자국이 생기고 나타나는 것을 줄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지부는 림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브러시롤 그리고 뻣뻣한 브러시 와이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브러시롤에서 과도한 액체를 긁어내기 위해서 및/또는 상기 브러시롤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하게 청소용 유체를 분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상기 브러시롤의 일부분과 간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와이퍼는 단단하게, 다시 말해서 뻣뻣하고 유연성이 없게 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와이퍼는 브러시롤과의 접촉에 의해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브러시롤이 딱딱한 표면과 부드러운 표면을 포함하여 상이한 유형의 청소할 표면에서, 그리고 습식 및 건식 진공 청소를 포함하여 상이한 청소 모드에 대해 청소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복수의 교반 물질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브러시롤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청소할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클리닝 헤드 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브러시롤, 그리고 상기 브러시롤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브러시롤 래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베이스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브러시롤의 단부를 상기 측벽에 더 가깝게 뻗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청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흡입 노즐을 한정하는 착탈식 노즐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롤 래치는 상기 브러시롤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면 상기 노즐 조립체의 일부분에 의해서 붙잡힐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청소할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클리닝 헤드 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의 브러시롤, 브러시 모터, 그리고 상기 브러시롤을 상기 브러시 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키며 V-벨트를 포함하는 구동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V-벨트는 폭이 좁고,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내의 가용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브러시롤의 단부를 상기 베이스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뻗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청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청소용 유체를 저장하고 이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전달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은 표면 청소 장치의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공급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공급 탱크(20)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의 가압식 래치결합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면 상기 공급 탱크를 풀어주도록 구성된 스프링 장전 래치(spring-loaded 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공급 탱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상기 공급 탱크 자체에 충분한 힘을 편리하게 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고 이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표면 청소 장치 내에 보관하는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수 시스템은 상기 회수 탱크 내의 하나 이상의 액위에서 액체를 감지하고 상기 회수 시스템을 차단하거나 가로막을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액위 감지 시스템을 가진 "플로우트없는" 회수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회수 탱크가 상기 회수 탱크를 비우기 전에 상기 회수 탱크에서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을 걸러내도록 구성된 착탈식 탱크 여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표면 청소 장치의 작동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작업 공기 배출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직립 손잡이 조립체 또는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작업 공기 배출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 덕트를 통하여 안내된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배출 덕트가 모터 팬의 출구 구멍으로부터 하우징들 중의 하나에 형성된 배출구로 뻗어 있는 구불구불한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표면 청소 장치의 작동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모터 냉각 공기 배출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 공기 배출 통로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직립 손잡이 조립체 또는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냉각 공기 배출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 덕트를 통하여 안내된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모터 소음을 더 줄이기 위해서 내부의 냉각 공기 배출 통로가 내부의 작업 공기 배출 통로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무선 작동을 위한 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이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 접점을 가진 트레이(tray)를 포함하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충전 접점이 표면 청소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전 접점들은 표면 청소 장치가 상기 트레이와 결합시에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가 표면 청소 장치의 자체 청소 모드 동안 사용될 수 있고 표면 청소 장치의 브러시롤을 건조시키기 위한 보관 트레이(storage tray)를 구비하고 있다. 자체 청소 모드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상기 보관 트레이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만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표면 청소 장치가 보관 트레이에 결합되어 있을 때 선택시 자체 청소 모드에 대한 자동 청소 사이클을 개시시키는 "청소(cleanout)" 입력 제어장치 또는 모드 선택기(mode se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상기 보관 트레이가 표면 청소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고 청소 사이클 동안에는 배터리 충전이 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와 클리닝 트레이를 포함하는 바닥 청소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적어도 공급 탱크, 펌프, 그리고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 적어도 회수 탱크와 모터를 포함하는 회수 시스템; 상기 펌프와 상기 모터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 상기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회로; 적어도 상기 펌프와 상기 모터에 전압이 가해지는 자체 청소 작업 모드를 위한 자동 청소 사이클을 개시시키는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클리닝 트레이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충전과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자체 청소를 위해 상기 표면 청소 장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자동 청소 사이클 동안에는 작동이 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클리닝 트레이에 결합된 표면 청소 장치를 자체 청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적어도 배터리, 유체 전달 시스템, 그리고 회수 통로를 가진 회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트레이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에 대한 자체 청소 작업 모드를 개시시키는 단계, 청소 사이클 동안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회로를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회수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자체 청소하기 위해서 자동 청소 사이클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과 본 고안의 이러한 장점 및 다른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청구범위에 부합하게 고려하면, 특정 실시례의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고안이 아래의 설명에 개시되어 있거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의 작동의 세부사항 또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구성과 배치의 세부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다른 실시례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은 대체 실시형태의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법과 용어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을 포함하는"이라는 표현과 "... 을 포함하고 있다"라는 표현 그리고 이들의 변형 표현의 사용은 열거된 항목과 그것의 균등물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항목과 그것의 균등물을 망라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례의 설명에서 계수(enumer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으면, 계수의 사용이 본 고안을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나 갯수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계수의 사용이 열거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 있거나 열거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추가적인 단계나 구성요소가 본 고안의 범위로부터 배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임의의 청구항 요소들에 대해서 "X, Y 그리고 Z 중의 적어도 하나"라고 기술한 것은 X, Y 또는 Z 중의 임의의 하나를 각각 포함하고, X, Y 그리고 Z의 임의의 결합, 예를 들면, X, Y, Z; X, Y; X, Z; 그리고 Y, Z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표면 청소 장치의 사시도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직립 또는 보관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확대 측면도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서 도시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베이스의 일부 분해 후방 사시도로서, 상기 베이스용 바퀴의 한 실시례의 세부사항을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의 세부사항을 보여주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절결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베이스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VI 부분의 확대도로서, 브러시롤, 브러시 챔버, 그리고 뻣뻣한 간섭 와이퍼의 세부사항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베이스의 일부 분해 전방 사시도로서, 착탈식 노즐 조립체의 한 실시례의 세부사항을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상기 브러시롤의 한 단부의 확대도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용 브러시롤 래치의 한 실시례의 세부사항을 나타내고 있고;
도 9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8의 브러시롤 래치에 대한 결합 요소의 한 실시례의 세부사항을 나타내고 있고;
도 10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브러시롤을 브러시 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전동장치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전동장치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있고;
도 11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일부 분해 후방 사시도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용 공급 탱크, 수용기, 그리고 공급 탱크 래치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12는 도 3의 XII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11의 공급 탱크와 공급 탱크 래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13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용 회수 탱크의 한 실시례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회수 탱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용 액위 감지 시스템의 한 실시례의 개략도이고;
도 16A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회수 통로와 모터 냉각 공기 통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B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회수 통로와 모터 냉각 공기 통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일부 분해 후방 사시도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작업 공기 배출 통로와 모터 냉각 공기 통로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도 18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도이고;
도 19는 본 고안의 한 실시례에 따른 보관 트레이와 결합된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 XX-XX을 따라서 도시한 상기 보관 트레이와 결합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하부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선 XXI-XXI을 따라서 도시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하부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차폐된 전기 접점(shielded 전기 접점)을 나타내고 있고;
도 22는 도 19의 선 XXII-XXII을 따라서 도시한 상기 보관 트레이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보관 트레이의 차폐된 전기 접점을 나타내고 있고;
도 23 내지 도 25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상기 보관 트레이와의 결합 작업을 나타내고 있고;
도 26은 도 19의 보관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충전을 위해 상기 보관 트레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8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자체 청소 모드에서 상기 보관 트레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도 27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고; 그리고
도 29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에 대한 자체 청소 방법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은 대체로 다중-표면 습식 진공 청소기의 형태로 될 수 있는 표면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기능 시스템은 베이스와 이 베이스를 청소할 표면의 전체에 걸쳐서 안내하는 직립 본체를 가진 직립 장치, 진공 호스에 의해 바퀴달린 베이스에 연결된 청소 기구를 가진 캐니스터 장치(canister device), 비교적 작은 구역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장치, 또는 영업용 장치와 같이, 임의의 원하는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청소기의 어느 것도 노즐과 흡입원 사이의 작업 공기 도관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가요성 진공 호스를 포함하도록 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다중-표면 습식 진공 청소기"라는 용어는 타일 그리고 단단한 목재와 같은 딱딱한 바닥 표면과, 카페트와 같은 부드러운 바닥 표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는 청소용 유체를 저장하고 이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으로 전달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과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고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보관하는 회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시스템은 흡입 노즐, 작업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흡입 노즐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흡입원, 그리고 나중의 폐기 처리를 위해 작업 공기 흐름으로부터 유체와 쓰레기를 분리하여 모으는 회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 공기 흐름으로부터 유체와 혼입된 쓰레기를 분리시키기 위해 회수 용기의 일부분에 분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시스템은 모터/팬 조립체의 상류부 또는 하류부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모터/팬 조립체와 같은, 흡입원이 상기 회수 용기와 유체 연통 상태로 제공되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은 청소할 표면 위로 이동하도록 된 베이스 또는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에 설치될 수 있다. 쓰레기가 보다 쉽게 상기 흡입 노즐 속으로 흡입되도록 청소할 표면을 휘젓기 위해서 교반기가 상기 흡입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흡입원의 역할을 하는 동일한 모터/팬 조립체에 구동될 수 있거나, 별개의 구동 조립체,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용 교반기 모터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청소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다양한 특징과 개량사항을 구비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다양한 특징과 개량사항이 이용될 수 있는 적절한 표면 청소 장치의 한 예가 2018년 10월 9일자로 발행된, 미국 특허 제10,092,155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특허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직립 손잡이 조립체 또는 직립 몸체(12)와 이 직립 몸체(12)에 장착되어 있거나 이 직립 몸체(12)와 결합되어 있으며 청소할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클리닝 헤드 또는 베이스(14)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진 직립 다중-표면 습식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도면에 관한 설명을 위해서, "상부", "하부", "오른쪽", "왼쪽", "후방", "전방", "수직", "수평", "내부", "외부"라는 용어와 이들의 파생어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후방을 한정하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뒤에 있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도 1에 배향된 본 고안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하지만, 본 고안은, 반대되는 내용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양한 대체 방향을 취할 수 있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직립 몸체(12)는 손잡이(16)와 프레임(1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적어도 공급 탱크(20)와 회수 탱크(22)를 지지하는 메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직립 몸체(12)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청소용 유체를 보관하고 이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공급 탱크(20)를 포함하며 공급 탱크(2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유체 전달 또는 공급 통로와,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고 사용자에 의해 비워질 때까지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 탱크(22)를 포함하며 회수 탱크(22)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 회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6)는 핸드 그립(26)과 핸드 그립(26)에 장착된 트리거(28)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리거(28)는 공급 탱크(20)와의 전자적 또는 기계적 결합을 통하여 공급 탱크(20)로부터의 유체 전달을 제어한다. 상기 트리거(28)는 사용자 접근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핸드 그립(26)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트리거(28)를 핸드 그립(2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엄지 스위치(thumb switch)와 같은, 다른 액추에이터가 트리거(28) 대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 3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 32)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측으로부터의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작동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로부터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유체 전달 시스템과 회수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전기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가,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여러 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버튼, 트리거, 토글, 키, 스위치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장치를 가진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또한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상황 또는 상태를 사용자에 전달하는 상태 사용자 인터페이스(SUI:status user interface)(32)를 포함하고 있다. SUI(32)는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HMI(30)와 SUI(32)는 별개의 인터페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composite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멀티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서로 통합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트리거(28)가 HMI(30)의 반대쪽인 핸드 그립(26)의 후방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HMI(30)는 핸드 그립(26)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고, SUI(32)는 손잡이(16)의 아래이고 베이스(14)의 위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회수 탱크(22)의 위에 배치된 상태로, 프레임(18)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는, HMI(30)와 SUI(32)가 표면 청소 장치(10)의 다른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적절한 HMI 및/또는 SUI의 한 가지 예가 2018년 10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47,922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미국 가출원 제62/747,922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양 사용자 인터페이스(30, 32)는 근접 트리거식 인터페이스(proximity-triggered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HMI(30)는 핸드 그립(26) 내의 인쇄 회로 기판(PCB,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정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장치(34, 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하나의 입력 제어장치(34)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하나 이상의 전기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입력 제어장치이고, 상기 전기 구성요소 중의 하나가 SUI(32)일 수 있다. 다른 입력 제어장치(36)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를 딱딱한 바닥 청소 모드와 카페트 청소 모드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이다. 상기 입력 제어장치(34, 36)의 하나 이상은 버튼, 트리거, 토글, 키, 스위치,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입력 제어장치(34, 36)의 하나 이상이 정전식 버튼(capacitive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SUI(32)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LED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3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38)가, 비제한적인 예로서, 배터리 상태, WiFi 연결 상태, 깨끗한 물 수위(clewater level), 더러운 물 수위(dirty water level), 필터 상태, 바닥 종류, 자체 청소, 또는 많은 다른 상태 정보와 같은 다양한 상세한 장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상태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기는 시각적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LED와 같은 다양한 표시등(light), 문자 디스플레이(textual display), 그래픽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양한 알려진 상태 표시기의 어떤 것도 포함할 수 있다.
SUI(32)는 디스플레이(38)에 인접해 있거나 디스플레이(38)상에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제어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장치(40)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체 청소 작업 모드를 개시시키는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장치(40)는 버튼, 트리거, 토글, 키, 스위치,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하나의 예로서, 상기 입력 제어장치(40)가 정전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유체 전달 시스템과 회수 시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표면 청소 장치의 다양한 기능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다양한 기능 시스템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컨트롤러(308)(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 32)의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컨트롤러(308)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08)는 자체 청소 작업 모드를 위한 청소 사이클(cleanout cycle)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08)는 자체 청소 사이클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이동가능한 조인트 조립체(42)가 프레임(18)의 하부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14)를 직립 몸체(1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직립 몸체(12)가 베이스(14)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선회할 수 있다. 직립 몸체(12)가 베이스(14)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조인트 조립체(42)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 및/또는 도관이 전기, 공기 및/또는 액체(또는 다른 유체)를 베이스(14)와 직립 몸체(12)의 사이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조인트 조립체(42)를 통하여 뻗을 수 있다.
직립 몸체(12)는 조인트 조립체(42)를 통하여, 직립 또는 보관 상태로 선회할 수 있고, 이러한 선회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직립 몸체(12)가 청소할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립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표면 청소 장치(10)가 자립 상태로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는 다른 것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지 않고 직립할 수 있다. 보관 상태에서 조인트 조립체(42)의 축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한 움직임에 대하여 조인트 조립체(42)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잠금 기구(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가 자립할 수 있게 된다. 보관 상태로부터, 직립 몸체(12)는 조인트 조립체(42)를 통하여 뒤로 젖혀진 상태 또는 사용 상태로 선회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는 직립 몸체(12)가 청소할 표면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베이스(14)에 대하여 뒤쪽으로 선회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핸드 그립(26)을 쥐는 것에 의해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를 부분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뒤로 젖혀진 상태의 다른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직립 몸체(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닥면에 얹히도록 더 선회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직립 몸체(12)가 뒤로 젖혀질 때 바닥면을 긁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범퍼(44)가 직립 몸체(12)의 후방측에, 예를 들면, 프레임(18)의 하부 후방측 및/또는 공급 탱크(20)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범퍼(44)의 설치는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상태에 있을 때 뒤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 또는 바닥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범퍼(44)는 직립 몸체(12)의 프레임(18) 또는 하우징용 물질보다 더 부드럽거나 더 유연한 물질, 다시 말해서 보다 작은 영률(Young's modulus)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범퍼(44)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또는 니트릴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반면에, 프레임(18)은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보다 단단한 및/또는 보다 뻣뻣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서 도시한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단면도이다. 공급 탱크와 회수 탱크(20, 22)가 직립 몸체(12)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 탱크(20)는 프레임(18)에 임의의 구성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공급 탱크(20)가 프레임(18)의 상부 후방 부분에 부분적으로 놓이고 공급 탱크(20)를 채우기 위해서 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공급 탱크(20)가 프레임(18)의 후방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수 탱크(22)는 프레임(18)에 임의의 구성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회수 탱크(22)가 공급 탱크(20)의 아래에서 프레임(18)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회수 탱크(22)를 비우기 위해서 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은 청소용 유체를 공급 탱크(20)로부터 청소할 표면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위에 간략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유체 전달 또는 공급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용 유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물, 합성물, 농축 세제, 희석 세제 등과,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청소용 유체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체는 물과 농축 세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탱크(20)는 청소용 유체를 담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챔버(46)와 공급 챔버(46)의 출구를 통하여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공급 밸브 조립체(48)를 포함하고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공급 탱크(20)는, 물을 담는 하나의 챔버와 세제를 담는 다른 챔버와 같은, 복수의 공급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공급 탱크(20)를 위해서, 공급 밸브 조립체(48)는 프레임(18)의 수용 조립체와 결합될 수 있고 공급 탱크(20)가 프레임(18)에 설치되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유체를 유체 전달 통로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시스템은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고 사용한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를 나중의 폐기 처리를 위해서 표면 청소 장치(10)에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위에 간략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회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통로는 적어도 더러운 입구(dirty inlet)(50)와 깨끗한 공기 출구(cleair outlet)(52)(도 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통로는, 다른 요소들 중에서, 상기 더러운 입구를 한정하는 흡입 노즐(54), 작업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흡입 노즐(54)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흡입원(56), 회수 탱크(22), 그리고 깨끗한 공기 출구(52)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흡입 노즐(54)은 베이스(14)에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14)가 청소할 표면을 가로질러서 이동할 때 청소할 표면에 인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쓰레기가 보다 쉽게 흡입 노즐(54) 속으로 흡입되도록 청소할 표면을 휘젓기 위해서 브러시롤(60)이 흡입 노즐(54)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수평 회전식 브러시롤(60)이 도시되어 있지만, 몇몇 실시례에서는, 이중 수평 회전식 브러시롤, 하나 이상의 수직 회전식 브러시롤, 또는 고정 브러시가 표면 청소 장치(1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 노즐(54)은 또한 도관(62)을 통하여 회수 탱크(22)와 유체 연통되어 있다. 상기 도관(62)은 조인트 조립체(42)를 통과할 수 있고 조인트 조립체(42)의 움직임에 순응하도록 유연하게 될 수 있다.
진공 모터(64)와 팬(66)을 포함하는 모터/팬 조립체로 될 수 있는 흡입원(56)이 회수 탱크(22)와 유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원(56)은 프레임(18)의 하우징 내에, 예를 들면, 회수 탱크(22)의 위이고 공급 탱크(20)의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시스템은 또한 상기 흡입원(56)의 상류부나 하류뷰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모터 전 필터(pre-motor filter)(68)가 상기 회수 통로에서 회수 탱크(22)의 하류부이고 흡입원(56)의 상류부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 후 필터(post-motor filter)(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상기 회수 통로에서 흡입원(56)의 하류부이고 깨끗한 공기 출구(52)의 상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4)는 유체 전달 시스템과 유체 회수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하우징(70)과, 표면 청소 장치(10)를 청소할 표면 위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바퀴(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퀴(72)는 베이스 하우징(70)의 뒤쪽 부분에, 예를 들면, 브러시롤(60) 및 흡입 노즐(54)과 같은 구성요소의 뒤쪽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한 쌍의 바퀴(74)가 베이스 하우징(70)에서 제1 한 쌍의 바퀴(72)의 앞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베이스(14)의 일부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바퀴(72), 또는 뒷바퀴가 접지부(78)를 받치고 있는 외측 가장자리부 또는 림(7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림(76)은 폭 W1을 가지고 있고 접지부(78)는 폭 W2를 가지고 있다. 청소할 표면과의 바퀴(72)의 접촉 폭을 줄이기 위해서 접지부(78)는 림(76)보다 폭이 좁게, 다시 말해서 W2 < W1의 관계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72)의 접촉 폭은 W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편평한 접지부(78)는 접지부(78)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시 말해서 W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촉 폭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만곡되거나 각진 형상을 가진 접지부(78)는 접지부(78)의 폭보다 약간 작은, 다시 말해서, < W2의 관계를 만족하는 접촉 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폭이 좁은 접지부(78)는 바퀴(72)가 젖은 바닥 표면에서 구르는 것에 의해서 초래되는 청소한 바닥 표면에 기다란 자국이 생기거나 나타나는 것을 줄인다. 선택적으로, 접지부(78)는 림(76)의 크라운(80)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바퀴(72)는 림(76)과 연결된 허브(8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허브(82)는 바퀴(72)가 회전하는데 있어서 중심축이 되는 굴대(84)를 수용한다. 굴대(84)는 베이스 하우징(70)과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14)에 대하여 위아래로 선회하도록 조인트 조립체(42)의 요크(88)가 결합되는 베이스 하우징(70)의 후방 하우징 연장부(86)와도 결합될 수 있다. 굴대(84)는 하우징 연장부(86)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는 반면에, 요크(88)는 하우징 연장부(86)의 내측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가요성 도관(62)이 하우징 연장부(86)와 하우징 연장부(86)의 사이를 지나서 요크(88)를 통하여 위로 뻗을 수 있다.
도 5는 베이스(14)의 몇 가지 내부 세부사항을 보여주기 위해서 베이스(14)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절결된 상태의 베이스(14)의 전방 사시도이다. 공급 탱크(20)(도 3) 이외에, 상기 유체 전달 통로는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바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가진 유체 분배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유체 분배기(90)는 브러시롤(60)에 청소용 유체를 분무함으로써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베이스(14)에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팁(92)이 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의 앞쪽의 베이스(14)로부터 바깥쪽으로 분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구 또는 스프레이 노즐을 가진 스프레이 매니폴드(spray manifold)와 같은, 유체 분배기(90)의 다른 실시례도 가능하다.
상기 유체 전달 시스템은 공급 탱크(20)로부터 유체 분배기(90)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흐름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구성으로서, 상기 흐름 제어 시스템은 상기 흐름 제어 시스템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9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28)를 누르는 것에 의해 유체 분배기(90)로부터 유체를 전달하도록 트리거(28)(도 1)가 상기 흐름 제어 시스템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펌프(94)는 베이스(14)의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밸브 조립체(48)를 통하여 공급 탱크(20)와 유체 연통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 공급 도관이 조인트 조립체(42)의 내부로 지날 수 있고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공급 탱크(20)를 펌프(94)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펌프(94)는 원심 펌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상기 펌프(94)가 단일 속도, 이중 속도, 또는 가변 속도를 가지는 솔레노이드 펌프일 수 있다.
유체 공급 통로의 다른 구성에서는, 상기 펌프(94)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흐름 제어 시스템이 공급 탱크(20)의 출구와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결합된 밸브를 가진 중력 공급 시스템(gravity-feed system)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면, 유체가 중력을 받아서 유체 분배기(90)로 유동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청소용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전달하기 전에 청소용 유체를 가열하기 위해서 가열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직렬형 가열기가 상기 공급 탱크(20)의 하류부이고 펌프(94)의 상류부 또는 하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가열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청소용 유체가 회수 시스템의 흡입원(56)용 모터 냉각 통로로부터 나오는 배출 공기를 이용하여 가열될 수 있다.
브러시롤(60)은 베이스(14) 내의 전용 브러시롤 모터 또는 브러시 모터(96)를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조립체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브러시롤(60)과 브러시 모터(96) 사이의 결합장치는 하나 이상의 벨트, 기어, 샤프트, 풀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진공 모터(64)(도 3)가 진공 흡입과 브러시롤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베이스 하우징(70)이 펌프(94)와 브러시 모터(96)를 수용하는 후방 하우징(98)을 포함하고 있다. 가요성 도관(62)이 펌프(94)와 브러시 모터(96) 사이를 지날 수 있고, 대체로 후방 하우징(98)을 펌프 공동(100)과 브러시 모터 공동(102)으로 양분할 수 있다. 후방 하우징 연장부(86)가 후방 하우징(98)으로부터 뒤쪽으로 뻗을 수 있다. 배선 도관(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전기 배선이 조인트 조립체(42)를 통하여 직립 몸체(12)로부터 베이스(14)로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 전기 배선은 펌프(94)와 브러시 모터(9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베이스(14)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는 도 3의 VI 부분의 확대도이다. 브러시롤(60)은 베이스(14)의 전방 부분에 제공될 수 있고 베이스(14)의 브러시 챔버(104)에 수용될 수 있다. 브러시롤(60)은 중심 회전축(X)에 대하여 R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브러시 챔버(104)는 후방 하우징(98)의 앞쪽에 있을 수 있고,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흡입 노즐(54)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흡입 노즐(54)이 브러시롤(60)과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유체와 쓰레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섭 와이퍼(106)가 브러시 챔버(104)의 앞쪽 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며 브러시롤(60)의 회전 방향(R)에 의해서 정해진, 브러시롤(60)의 선행 부분(leading portion)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소할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브러시롤(60)에서 과도한 유체를 긁어내는 간섭 와이퍼(106)를 지나서 브러시롤(60)의 젖은 부분이 회전하도록, 간섭 와이퍼(106)가 유체 분배기(90)의 아래에 있다. 선택적으로, 간섭 와이퍼(106)는 청소할 표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간섭 와이퍼(106)는 잘 휘지 않을 수 있고, 다시 말해서 뻣뻣하고 유연하지 않게 될 수 있어서, 간섭 와이퍼(106)는 브러시롤(60)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간섭 와이퍼(106)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 걸레(108)가 브러시롤(60)과 브러시 챔버(104)의 뒤에서 베이스 하우징(70)에 장착되어 있으며 베이스(14)가 청소할 표면을 가로질러서 이동할 때 청소할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무 걸레(108)는 남아있는 유체가 흡입 노즐(54)을 통하여 회수 통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청소할 표면으로부터 남아있는 유체를 닦아내어, 청소할 표면에 습기와 기다란 자국이 남지 않게 마무리 처리를 한다. 선택적으로, 고무 걸레(108)는 청소할 표면과 대체로 직교하게, 또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무 걸레(108)는 도시된 것과 같이 매끈하게 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고무 걸레의 끝부분에 결절부(nub)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 걸레(108)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보통의 사용에 의해 변형되지 않은 채로 있는 청소할 표면의 윤곽에 따라 쉽게 구부러지도록, 유연하게, 다시 말해서 잘 구부러지거나 탄력 있게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무 걸레(108)는 탄성을 가진 폴리머 물질,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고무, 폴리염화비닐(PVC),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고무 폴리머(rubber polymer), 또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보통의 사용 동안에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진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브러시롤(60)이 딱딱한 표면과 부드러운 표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습식 또는 건식 진공 청소용으로 적합한 하이브리드 브러시롤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브러시롤(60)이 맞춤못(dowel)(110), 맞춤못(110)으로부터 뻗어 나온 복수의 강모(112), 그리고 맞춤못(110)에 설치되어 있으며 강모(112)와 강모(112) 사이에 배치된 극세사 소재(114)를 포함하고 있다. 적절한 하이브리드 브러시롤의 한 예가 상기한 미국 특허 제10,092,15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강모(112)는 복수의 다발로 또는 단일 스트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맞춤못(110)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프로필렌 또는 스티렌과 같은 폴리머 물질, 또는 플라스틱, 나무, 또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강모(112)는 촘촘하게 또는 단일 강모 스트립으로 배치될 수 있고 나일론,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극세사 소재(114)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극세사를 제작하는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들의 결합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베이스(14)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베이스(14)는 베이스 하우징(7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흡입 노즐(54)을 한정하는 착탈식 노즐 조립체(1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노즐 조립체(116)가 노즐 하우징(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118)은 브러시롤(6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러시 챔버(104)를 한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간섭 와이퍼(106)가 노즐 하우징(118)의 내부에서 전방측에 장착되어 있고 브러시 챔버(104) 속으로 돌출되어 있다.
노즐 조립체(116)가 노즐 하우징(118)에 있는 핸드 그립(1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드 그립(120)은 노즐 조립체(116)를 베이스 하우징(70)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노즐 조립체(116)가 핸드 그립(120)이 제공되어 있는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거나, 핸드 그립(120)이 노즐 하우징(118)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118) 및/또는 커버(122)는 브러시롤(60)이 흡입 노즐 조립체(11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반투명한 물질 또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범퍼(124)가 노즐 조립체(116)에, 예를 들면, 노즐 하우징(118)의 하부 전방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회수 통로의 베이스 도관(126)이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될 수 있고 노즐 하우징(118)을, 특히 노즐 하우징(118)에 의해서 한정된 흡입 노즐(54)과 브러시 챔버(104)를, 가요성 도관(62)과 결합시킬 수 있다.
유체 분배기(90)가 선택적으로 착탈식 노즐 조립체(116)와 통합될 수 있다. 유체를 브러시롤(60)에 전달하거나 직접 청소할 표면에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여,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서, 노즐 하우징(118)이 유체 분배기(90)와 정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2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노즐 조립체(116)가 한 쌍의 유체 전달 채널(130)을 한정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유체 전달 채널(130)은 자신의 말단부에 있는 스프레이 팁(92)들 중의 하나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스프레이 팁(92)은 유체를 청소할 표면에 전달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유체를 브러시롤(60)에 직접 전달하거나, 청소할 표면에 직접 전달하기 위해서 브러시 챔버(104)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스프레이 팁(92)은 선택적으로 유체를 브러시롤(60)에 안쪽으로 분무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유체 전달 채널(130)은, 노즐 조립체(116)의 결합 요소에 설치될 수 있는, 하부 채널 절반부(132)와 상부 채널 절반부(134)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하부 채널 절반부(132)는 노즐 하우징(118)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 채널 절반부(134)는, 선택적으로 커버(122)의 아래에서, 노즐 하우징(118)과 결합되는 채널 하우징(136)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 조립체(116)가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되어 있을 때 펌프(94)(도 5)를 유체 전달 채널(130)과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연결시키기 위해서 노즐 조립체(116)와 베이스 하우징(70)의 사이에 유체 커플링(fluid coupling)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스프레이 커넥터(138)가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되어 있고 노즐 조립체(116)가 베이스 하우징(7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상시 닫혀 있는(normally closed)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조립체(116)를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하면 자동으로 스프레이 커넥터(138)를 개방하여 유체가 유체 전달 채널(130)로 유입되게 한다. 선택적으로, 유체 공급 도관(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펌프(94)를 스프레이 커넥터(138)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연결시킬 수 있다.
노즐 조립체(116)를 베이스 하우징(7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노즐 래치(140)가 제공될 수 있다. 노즐 래치(140)는 베이스 하우징(70)에 형성된 래치 수용기(142)에 수용될 수 있고, 스프링(144)에 의해서 래치결합 위치로 가압될 수 있다. 노즐 래치(140)는, 사용자가 노즐 조립체(116)를 베이스 하우징(70)으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핸드 그립(120)을 통하여, 노즐 조립체(116) 자체에 충분한 힘을 편리하게 가할 수 있도록, 노즐 조립체(116)를 베이스 하우징(70)에 착탈가능하게 래치결합하거나 유지시키지만, 잠그지는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노즐 래치(140)가 채널 하우징(136)에 장착될 수도 있다.
베이스(14)는 유체를 전달하도록 트리거(28)(도 1)를 누를 때 펌프(94)(도 5)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등(146)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표시등(146)이 베이스 하우징(70)에,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하우징(98)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다른 조명원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등(146)은 노즐 커버(122) 뒤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노즐 커버(122)는 표시등(146)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베이스(14)의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반투명한 물질 또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등(146)을 위한 전기 배선이 조인트 조립체(42)를 통하여 직립 몸체(12)로부터 베이스(14)로 통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러시롤(60)이, 예를 들면, 브러시롤(60)을 청소 및/또는 건조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베이스(14)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롤(60)은 브러시롤(60)과 결합되어 있는 브러시롤 래치(148)에 의해서 브러시 챔버(10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롤(60)을 분리하기 전에 노즐 조립체(116)가 베이스 하우징(7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는, 브러시롤(60)과 브러시롤 래치(148)가 노즐 조립체(116)의 사전 분리(prior removal)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는 베이스 하우징(70)에 있는 결합 요소(150)에 의해서 수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베이스 하우징(70)이 이격된 측면부의 측벽(152)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면부의 측벽(152)들 사이에는 공동(1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요소(150)는 측면부의 측벽(152)들 중의 한 측벽의 내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측면부의 측벽(152)들은 후방 하우징(98)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면부의 측벽(152)들은, 예를 들면, 노즐 하우징(118)의 개방된 측면부의 단부(156)를 둘러쌈으로써, 브러시 챔버(104)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는 브러시롤(60)의 맞춤못(110)의 한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맞춤못(110)의 반대쪽 단부는 브러시 모터(96)(도 5)를 브러시롤(6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전동장치의 구동부(160)를 가진 스플라인식 구동 연결부(splined drive connection)(158)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160)는 결합 요소(150)의 반대쪽에 있는 측면부의 측벽(152)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과 도 9를 참고하면, 브러시롤 래치(148)가 결합 요소(150)의 래치 몸체 수용기(164)에 의해서 수용되는 래치 몸체(162)를 가질 수 있다. 브러시롤(60)의 제대로 된 설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래치 몸체(162)는 래치 몸체 수용기(164)와 상보적인 형태로 될 수 있거나 래치 몸체 수용기(164)와 열쇠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래치 몸체(162)와 래치 몸체 수용기(164)가 상보적인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브러시롤(60)의 삽입 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질 수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는 베이스 하우징(70)에 있는 결합 요소(150)와 스냅끼워맞춤(snap fit)되는 돌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돌출부(166)는 단부에 후크(hook), 스터드(stud), 러그(lug), 비드(bead), 또는 다른 결합 요소(170)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두 개의, 캔틸레버부(cantilever part)(16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166)는 결합하는 동안 잠시 휘어지고 결합 요소(150)의, 선택적으로 래치 몸체 수용기(164)의 오목부 또는 언더컷부(172)에 걸린다. 상기 오목부 또는 언더컷부(172)는 브러시롤(60)을 베이스 하우징(7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는 베이스 하우징(70)의 외측 둘레부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러시롤(60)의 단부를 베이스(14)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뻗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청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러시롤(60)이 설치되면 브러시롤 래치(148)의 일부분은 베이스 하우징(70)의 측면부의 측벽(152)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브러시롤 래치(148)는 베이스(14)의 외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를 베이스 하우징(70)의 외측 벽에 인접하게 하는 대신에, 베이스 하우징(70)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브러시롤 래치(148)를 이용하는 것이, 하우징 강도를 희생시키지 않고 하우징의 상당 부분을 없애고, 브러시롤(60)을 베이스(14)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는 해제 탭(release tab)(17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해제 탭(174)은 래치 몸체(162)와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브러시롤(60)를 제거하기 위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다. 해제 탭(174)은 베이스 하우징(70)의 측면부의 측벽(152)들 중의 한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러시롤(60)의 단부를 베이스(14)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뻗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청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해제 탭은, 브러시롤(60)이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될 때 측면부의 측벽(152)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표면(178)과 연속인 상부 가장자리 또는 표면(176)을 가지고 있다. 조립되었을 때, 상부 가장자리 또는 표면(176)이 보이고, 선택적으로 해제 탭(174)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표면(176)만 보이고, 베이스(14)의 외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제 탭(174)은 브러시롤(60)을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하면 착탈식 노즐 조립체(116)에 의해서 붙잡힐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러시롤(60)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노즐 조립체(116)가 설치될 때, 브러시롤 래치(148)의 위쪽으로의 이동, 결과적으로 브러시롤(60)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 조립체(116)의 일부분이 브러시롤 래치(148)의 탭 또는 쇼울더(180) 위에 놓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노즐 커버(122)가 쇼울더(180) 위에 놓여 있다.
상기 해제 탭(174)은 브러시롤(60)을 들어올리는데 도움을 주는 파지부(18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82)는 노즐 조립체(116)가 베이스 하우징(70)에 설치되면 노즐 조립체(116)에 의해서 가려질 수 있고 노즐 조립체(116)가 베이스 하우징(70)으로부터 분리되면 드러나 보일 수 있다. 상기 파지부(182)는 브러시롤(60) 위로 뻗어 있는 브러시롤 래치(148)의 일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브러시롤 래치(148)와 측면부의 측벽(152)은 측면부의 측벽(152)에 의해서 지지된 브러시롤(60)의 무게를 분산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결합면 또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브러시롤 래치(148)가 측면부의 측벽(152)의 얇은 기다란 돌출부(186)를 수용하는 상부 표면(176)의 하부 측에 있는 슬롯(18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슬롯(184)과 기다란 돌출부(186)가 함께 브러시롤 래치(148)와 측면부의 측벽(152) 사이에 장부촉 이음(tongue and groove joint)을 형성한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브러시롤 래치(148)가 결합 요소(150)의 선반형 돌출부(ledge)(190)에 얹히는 탭 또는 쇼울더(18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브러시롤(60)(도 7)용 전동장치(192)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동장치(192)는 브러시 모터(96)의 모터 샤프트(194)의 회전 운동을 브러시롤(60)에 전달하기 위해서 브러시 모터(96)를 브러시롤(60)에 연결시킨다. 상기 전동장치(192)는 V-벨트(196)(즉 V자형 벨트)와 하나 이상의 기어, 샤프트, 풀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V-벨트(196)는, 평 벨트 또는 코그 벨트와 같은, 표면 청소 장치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종류의 벨트보다 폭이 좁고, 이로 인해 베이스(14) 내의 가용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브러시롤(60)의 단부를 베이스(14)의 측면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예를 들면, 전동장치 쪽의 측면부의 측벽(152)에 더 가깝게 뻗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청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잇점으로서, V-벨트(196)는 표면 청소 장치용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벨트보다 더 조용하고 표면 청소 장치의 작동 소음을 감소시킨다.
V-벨트(196) 이외에, 상기 전동장치(192)는, 예를 들면, 모터 샤프트(194)와 결합된 풀리(198)와 브러시롤(60)과 결합된 풀리(200)를 포함할 수 있고, V-벨트(196)는 모터 풀리(198)를 브러시롤 풀리(200)와 연결시킨다. V-벨트(196)는 모터 풀리와 브러시롤 풀리(198, 200)의 각각의 결합 홈(204, 206)을 따라 이동하는 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V"자 형상의 리브(rib)(202)를 가진 복수 홈 또는 다수 홈(polygroove) 벨트로 될 수 있다. V-벨트(196)는 결합 홈(204, 206)으로 끼어들어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평 벨트에 비하여 작은 벨트 폭과 장력으로 충분한 토크 전달을 할 수 있다.
상기 전동장치(192)는 굴대(208)에 의해 브러시 풀리(200)에 열쇠식으로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대(208)에 베어링(210)이 장착될 수도 있다. 브러시롤 풀리(200)는 모터 샤프트(194)에 열쇠식으로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212)에 의해 모터 샤프트(19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전동장치(192)와 전동장치(192)용 선택적인 구동 하우징(214)을 관찰하기 위해서 베이스 하우징(70)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상기 구동 하우징(214)는 전동장치 쪽의 측면부의 측벽(152)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상기 측면부의 측벽(15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직립 몸체(12)가 공급 탱크와 회수 탱크(20, 22)를 각각 수용하는 탱크 소켓 또는 수용기(216, 218)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나의 실시례로서 탱크 수용기(216, 218)가 프레임(18)의 일부분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고, 프레임(18)의 양측에,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18)의 후방 측과 전방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공급 탱크와 회수 탱크(20, 22)는 공급 탱크와 회수 탱크(20, 22)가 수용기(216, 218)에 놓여 있을 때 표면 청소 장치(1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표면(220, 22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급 탱크와 회수 탱크(20, 22)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표면(220, 222)에 제공된 핸드 그립(224, 226)을 가질 수 있다. 비록 각각에 대해서 다른 구성도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공급 탱크 핸드 그립(224)은 바깥쪽으로 향하는 표면(220)에 형성된 핸드 그립 압입부(indentation)를 포함하고 있고, 회수 탱크 핸드 그립(226)은 자신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표면(222)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면, 공급 탱크 수용기(216)가 공급 탱크(20)를 직립 몸체(12)에 고정시키는 래치(22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래치(228)는 공급 탱크(20)의 정확한 설치와 보다 양호한 밀봉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 실수와 오조립을 줄인다. 상기 래치(228)는, 사용자가 공급 탱크(20)를 프레임(18)으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공급 탱크(20) 자체에 충분한 힘을 편리하게 가할 수 있도록, 공급 탱크(20)를 직립 몸체(12)에 착탈가능하게 래치결합하거나 유지시키지만, 잠그지는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공급 탱크(20)용 래치(228)는 래치(228)의 가압식 래치결합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하면 공급 탱크(20)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가압식 래치(biased 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래치(228)는 스프링 가압식 래치(spring-biased latch)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래치의 한 가지 예가 2018년 3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638,477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공급 탱크 수용기(216)는, 손잡이(16) 아래의 프레임(18)에 제공된 지지벽(230)과 돌출벽(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벽(232)은 지지벽(230)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돌출하도록 바깥쪽으로 뻗을 수 있다. 공급 탱크(20)의 하부 단부는 공급 탱크 수용기(216)의 지지벽(230)에 얹히도록 된 하나 이상의 안쪽으로 향하는 표면(234)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급 탱크(20)는 지지벽(230)의 플랫폼(238)에 얹히는 자신의 측벽에 압입부(indent)(23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탱크(20)의 상부 단부는 공급 탱크(20)가 프레임(18)에 설치되면 돌출벽(232)과 마주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안쪽으로 향하는 표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급 탱크 수용기(216)는 실질적으로 개방된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래치(228)는 직립 몸체(12)의 프레임(18)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에 예시되어 있는 실시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228)는 공급 탱크 수용기(216)의 돌출벽(232)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 탱크(20)가 공급 탱크 수용기(216) 내에 설치되어 있을 때, 공급 탱크(20)는 지지벽(230)에 얹혀 있고 돌출벽(232)에 있는 래치(228)에 의해서 제자리에 유지되어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상기 래치(228)는 공급 탱크 수용기(216)의 다른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 탱크(20)가 공급 탱크 수용기(216) 내에 설치될 때 공급 챔버(46)의 출구를 통하여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공급 밸브 조립체(48)를 수용하기 위해서, 밸브 시트(242)가 공급 탱크 수용기(216)에, 예를 들면, 지지벽(23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밸브 조립체(48)는 공급 탱크(20)를 공급 탱크 수용기(216) 내에 설치하면 개방되고, 공급 탱크(20)를 공급 탱크 수용기(216)로부터 분리하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되어 있는 실시례에서는, 프레임(18)이 래치(228)를 장착하기 위해서 프레임(18)에 형성된 포켓(246)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켓(246)은 공급 탱크 수용기(216)의 돌출벽(232)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228)는 래치 부재(248)와 래치 부재(248)를 포켓(24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래치 부재(248)는 스프링 가압식 래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압 부재(250)는 구체적으로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프링(250)이 래치 부재(248)와 포켓(246)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래치 부재(248)는 포켓(24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직립 몸체(12) 또는 손잡이(16)의 세로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는, 래치 축을 따르는 축방향 이동에 대해서 포켓(246)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다.
공급 탱크(20)는 래치(228)용 걸쇠(catch)(2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걸쇠(252)는 공급 탱크(20)를 공급 탱크 수용기(216)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래치(228)에 의해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걸쇠(252)는 공급 탱크(20)가 공급 탱크 수용기(216)에 설치되면 걸쇠(252)와 래치(228)가 은폐되도록 공급 탱크(20)의 안쪽으로 향하는 표면들 중의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걸쇠(252)가, 돌출벽(232)과 마주하는, 공급 탱크(20)의 상부 안쪽으로 향하는 표면(240)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 탱크(20)의 형상은 설치하는 동안 래치(228)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부 안쪽으로 향하는 표면(240)에 각진 도입 부분(angled lead-in portion)(254)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 탱크(20)가 블로 몰딩된(blow-molded) 탱크 몸체(256)를 포함하는 실시례에서는, 걸쇠(252)가 공급 탱크(20)의 상부 단부를 형성하는 블로 몰딩된 탱크 몸체(256)의 상부 부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탱크(20)는 아래의 방법에 따라 프레임(18)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 밸브 조립체(48)가 밸브 시트(242)와 정합된 상태에서, 공급 탱크(20)의 바닥부가 공급 탱크 수용기(216)로 삽입되고, 공급 탱크(20)의 상부 부분이 공급 탱크 수용기(216)쪽으로 회전하여 공급 탱크(20)를 설치한다. 설치하는 동안, 공급 탱크(20)의 각진 도입 부분(254)이 래치(228) 아래로 이동하여 래치 부재(248)로 하여 스프링(250)을 압축하게 하고, 포켓(246)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공급 탱크(20)가 설치되면, 래치 부재(248)가 공급 탱크(20)의 각진 도입 부분(254)을 지나고 스프링(250)이 래치 부재(248)를 포켓(246)의 밖으로 도 12에 도시된 래치결합 위치로 밀어낸다.
공급 탱크(2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공급 탱크(20)를 프레임(18)으로부터 빼내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핸드 그립(224)을 붙잡는 것에 의해, 공급 탱크(20) 자체에 충분한 힘을 편리하게 가할 수 있다. 스프링(250)의 가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걸쇠(252)와 래치 부재(248)의 결합을 통하여 충분한 힘을 가하면, 래치 부재(248)가 포켓(246)속으로 깊이 밀어넣어지고 걸쇠(252)를 지나고, 그렇게 함으로써 공급 탱크(20)를 프레임(18)으로부터 빼낸다.
도 13은 회수 탱크(22)의 한 실시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회수 탱크(22)의 단면도이다. 회수 탱크(22)는 중공형 수직 배수관(262)을 가진 유체 회수 시스템용 수집 챔버(260)를 형성하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배수관(262)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세로축과 대체로 일치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수직 배수관(262)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내부에서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하부 단부에 형성된 탱크 입구(264)와 수직 배수관(262)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 탱크 출구(266) 사이의 유로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수 탱크(22)가 프레임(18)에 장착되어 있을 때, 베이스(14)와 회수 탱크(2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이루도록 탱크 입구(264)가 가요성 도관(62)과 정렬되어 있다. 수직 배수관(262)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수 탱크(22)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된 뚜껑(268)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뚜껑(268)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개방된 상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하류부 흡입원(56)으로 이어지는 회수 탱크(22)의 공기 출구(270)를 한정할 수 있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스킷(272)이 뚜껑(268)의 결합면과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뚜껑(268)의 결합면과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사이에 밀봉부를 만든다.
회수 탱크 수용기(218)(도 11) 내에서 회수 탱크(22)를 직립 몸체(1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회수 탱크 래치(274)가 뚜껑(268)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회수 탱크 래치(274)는, 사용자가 회수 탱크(22)를 프레임(18)으로부터 빼내기 전에 사용자가 회수 탱크 래치(274)를 작동시켜야 하도록, 회수 탱크(22)를 직립 몸체(1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수 탱크(22)에 있는 핸드 그립(226)은 회수 탱크 래치(274)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회수 탱크(22)를 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회수 탱크(22)는 공기 출구(270)에 제공된 필터(2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276)는 뚜껑(268)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고 주름진 필터(pleated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주름진 필터는 젖어 있을 때 다공성을 유지하는 물질로 되어 있다. 그물망 체(mesh screen)(278)가 뚜껑(268)에 장착될 수 있고 이 그물망 체로 필터(276)를 떠받칠 수 있다.
회수 탱크(22)는 비우기 전에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에서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을 걸러내도록 구성된 착탈식 여과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기(280)는 유체(예를 들면, 액체)와 작은 쓰레기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로 빠지게 하면서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을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절한 여과기의 한 가지 예가 2017년 11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19/0159646호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이 설명을 위해서, 큰 쓰레기는 0.5mm 내지 6mm보다 크거나 같은, 바람직하게는 3mm의 길이 또는 직경과 같은 최대 크기를 가진 모든 쓰레기인 반면에, 작은 쓰레기는 큰 쓰레기보다 작은 길이 또는 직경과 같은 최대 크기를 가지는 모든 쓰레기이다. 큰 쓰레기 조각의 예는 길이가 3mm보다 긴 머리카락을 포함한다. 작은 쓰레기의 예는 직경이 3mm 미만인 커피 가루와 부스러기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기(280)는 기다란 손잡이 또는 그립(282)과 베이스(2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기(280)는 베이스(284)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상단부에 있고 그립(282)이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상단부쪽으로 뻗어 있도록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284)는 여과기(280)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로부터 분리될 때 유체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구(286)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쓰레기를 담기 위해 외측 둘레를 따라 위로 돌출된 림(288)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배수관(262)을 수용하기 위해 개구(290)가 베이스(28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284)는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을 유지하는 컵 모양의 여과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286)는 베이스(284)에 형성된 원형 또는 비원형 개구 또는 구멍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배출구(286)의 크기는 직경 범위가 0.5mm에서 6mm에 이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직경 범위가 3mm에서 4mm에 이를 수 있다. 배출구(286)를 형성하는 베이스(284)에 형성된 격자(grid) 또는 그물망을 가지는 여과기(280)를 포함하여, 다른 실시례의 배출구(286)도 가능하다.
베이스(284)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바닥벽(292)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과기(280)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에 삽입되어 있으면, 유체와 작은 쓰레기는 배출구(286)를 통과하여 베이스(284) 아래의 수집 챔버(260)의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은 베이스(284) 위에 모인다. 선택적으로, 베이스(284)를 바닥벽(292) 위에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여과기(280)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 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멈춤쇠(stop)(294)가 수직 배수관(262)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그립(282)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내부면을 따라서 위쪽으로 및/또는 수직으로 뻗을 수 있고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세로축에 대체로 평행하도록, 선택적으로 수직 배수관(262)에도 대체로 평행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도시된 여과기(280)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세로축과 평행하거나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고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로부터 분리된다.
모든 큰 쓰레기/머리카락이 바닥벽(292) 위의 베이스(284)에 의해서 걸리도록, 베이스(284)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바닥벽(292)을 대체로 덮도록 그립(282)의 하부 단부로부터 뻗어 있다. 쓰레기와 유체를 모으는 수집 챔버(260) 내의 가용 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그립(282)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고 비교적 가늘게 될 수 있다.
통상적인 회수 탱크에서는,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이 걸러지지 않고 유체 폐기물(예를 들면, 액체 폐기물)과 함께 폐기되고, 이것은 잠재적으로 배수관과 파이프를 막히게 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은 회수 탱크에서 손으로 꺼집어내 질 수 있고, 이것은 비위생적이고 힘든 일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른 여과기(28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단히 뚜껑(268)을 제거하고 여과기(280)를 꺼낼 수 있다. 상기 여과기(280)는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은 걸러내는 반면에 유체와 작은 쓰레기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로 배출된다. 긴 그립(282)은 사용자가 모인 쓰레기나 유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체 폐기물을 싱크대, 화장실, 또는 다른 배수관에 비우기 전에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을 쉽고 위생적으로 쓰레기통에 폐기할 수 있어서, 종래의 회수 탱크가 가진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여과기(280)는 특히 다중-표면 진공 청소기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진공 청소기는 큰 마른 쓰레기를 포함하여 젖은 쓰레기와 마른 쓰레기를 흡입하고, 쓰레기 혼합물을 단일 회수 탱크에 넣어두기 때문이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회수 탱크(22)는 회수 탱크(22) 내의 하나 이상의 액위에서 액체를 감지하고 상기 회수 시스템을 차단하거나 가로막을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액위 감지 시스템(296)을 가질 수 있다. 액위 감지 시스템(296)은 회수 탱크(22) 내의 액체를 감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위 감지 시스템(296)을 설치하면, 회수 탱크(22)는 탱크내 플로우트형 차단물(in-tank float-style shut off)이 필요하지 않다. 다시 말해서, 회수 탱크(22)는 플로우트없는 탱크이다. 적절한 플로우트없는 탱크와 감지 시스템의 한 가지 예가 2018년 6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688,428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미국 가출원 제62/688,428호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표면 청소 장치(10)에 제공될 수 있는 회수 탱크(22) 내의 거품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액위 감지 시스템(296)이 액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탐침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298, 300)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개수와 다른 형태의 센서도 가능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탐침의 형태로 된 두 개의 센서(298, 30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센서(298, 300)는, 선택적으로 뚜껑(268)에 설치된, 전원 단자(302)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전원 단자(302)는 회수 탱크(22)가 프레임(18)에 장착되면 회수 탱크 수용기(218)에 있는 전기 접점(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결합되어 센서(298, 300)에 전기를 공급한다. 회수 탱크 수용기(218)에 있는 전기 접점은 표면 청소 장치(10)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표면 청소 장치(10)의 전원의 예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상기 센서(298, 300)는 선택적으로 뚜껑(268)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거나,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268)에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268)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306)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다른 갯수와 다른 형태의 브래킷도 가능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뚜껑(26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두 개의 브래킷(306)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306)은 수직 배수관(262)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뚜껑(268)이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에 결합되면, 브래킷(306)이 수집 챔버(260)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298, 300)가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의 측벽에 직접 몰딩될 수 있고, 그래서 브래킷(306)을 없앨 수 있는 것도 고려된다.
도 15는 표면 청소 장치(10)용 액위 감지 시스템(296)의 개략도이다. 다양한 센서(298, 300)가 컨트롤러(308)와 결합되어 있다. 컨트롤러(308)는 또한,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표면 청소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센서(298)는 특정 주파수(312)로 컨트롤러(308)로부터 액체 감지 신호(310)를 내보낸다. 액체 감지 신호(310)는 회수 탱크(22)의 내용물을 통하여 이동하여 제2 센서(300)에 의해서 감지되고 컨트롤러(308)로 전달되는 액체 반응 신호(314)를 형성한다. 제2 센서(300)는 회수 탱크(22) 내에서 임계 액위(316)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임계 액위라는 용어는, 액체가 존재하면, 액체가 흡입원(56)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 청소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구성요소가 작동 정지되는 액위 또는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액체 반응 신호(314)가 회수 탱크(22) 내의 액체가 임계 액위(316)에 또는 임계 액위(316) 위에 있는 것을 나타내면, 컨트롤러(308)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구성요소를 끌 수 있다. 상기 전기 구성요소는 흡입원(56) 자체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모터(64)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펌프(94) 및/또는 브러시 모터(96)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컨트롤러(308)가 액체가 흡입원(56)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 반응 신호(314)에 대응하여 차단 밸브(318)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 밸브(318)는 회수 탱크(22) 내의 액체가 임계 액위(316)에 도달할 때 흡입을 중단하기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차단 밸브(318)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종류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 실시형태로서, 컨트롤러(308)는, 액체 반응 신호(314)에 기초하여, SUI(32)를 통하여 빛 또는 소리와 같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상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상태 표시는 액체가 회수 탱크(22)에서 너무 높은 액위에 있다는 것 또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구성요소가 꺼져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액위 감지 시스템(296)은 수신된 신호의 전압의 라이즈 타임(rise time) 또는 평균 진폭이 결정될 수 있도록 반응 신호들을 용량적으로(capacitively) 결합하고 스무드하게 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컨트롤러(308)는 수신된 반응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된 반응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컨트롤러(308)에 포함된 신호 처리 알고리즘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블라인드 소스 분리(blind source separation), 주성분 분석, 특이값 분해, 웨이블렛 분석(wavelet analysis), 독립 성분 분석, 클러스터 분석, 베이지안 분류(Bayesiclassif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위 감지 시스템(296)의 센서(298, 300) 중의 임의의 센서는 하나 이상의 감지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거나,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직사각형파, 사인파, 삼각형파, 톱니형파, 그리고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액체를 감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임의의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감지 신호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대략 10 킬로헤르쯔에서 10 메가헤르쯔에 이르는 범위의 주파수를 포함하여, 액체를 감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임의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액체 감지 신호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동시에 송신될 수 있고 다중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회수 탱크(22)를 프레임(18)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센서(298, 300)와 브래킷(306)을 분리시키기도 하는, 뚜껑(268)을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회수 탱크(22)에서 모인 유체와 쓰레기를 정기적으로 비울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여과기(280)를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에서 꺼낸다. 여과기(280)를 꺼내면, 큰 쓰레기와 머리카락은 걸러지지만 유체와 작은 쓰레기는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로 배출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여과기(280)에 걸린 모든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버린 다음에, 회수 탱크 컨테이너(258)에 있는 나머지 유체와 작은 쓰레기를 싱크대, 화장실, 또는 다른 배수관에 버릴 수 있다.
도 16A, 도 16B, 그리고 도 17을 참고하면, 회수 탱크(22)의 하류부에, 회수 통로가 깨끗한 공기 출구(52)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328)와 흡입원(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28)에 대해 다른 갯수와 다른 장소도 가능하지만,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두 개의 배출구(328)가 프레임(18)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다. 진공 모터(64)는 모터 하우징(330)에 둘러싸여 있고 팬(66)은 팬 하우징(332)에 둘러싸여 있고 상기 모터 하우징(330)과 팬 하우징(332)은 하나 이상의 분리된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팬 하우징(332)은 작업 공기를 팬 하우징(332)으로 빨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구멍(334)과 작업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구멍(336)을 포함하고 있다. 회수 탱크 수용기(218)는, 회수 탱크(22)가 수용기(218)에 설치되면 상기 입구 구멍(334)과 정합되고 회수 탱크(22)의 공기 출구(270)와 유체 연통되는 격자(grille)(33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통로는 팬 출구 구멍(336)으로부터 깨끗한 공기 출구 또는 배출구(328)로 뻗어 있는 공기 배출 통로를 한정하는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출구 구멍(336)은 배출 도관(342)의 제1 단부와 유체 연통되고 깨끗한 공기 출구(52)은 배출 도관(342)의 제2 단부와 유체 연통되는 상태로, 상기 공기 배출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공기 배출 덕트 또는 배출 도관(342)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다.
배출 도관(342)은 직립 몸체(12)의 하우징들 사이에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8)을 형성하는 하우징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 공기 배출 도관을 손잡이 하우징 내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진공 모터(64)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줄인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배출 도관(342)이 제1 프레임 하우징과 제2 프레임 하우징(344, 346)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하우징(344)은 프레임(18)의 후방부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이는 직립 몸체(12)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하우징(346)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으며 제1 프레임 하우징(344)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힐 수 있는 직립 몸체(12)의 내부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하우징과 제2 프레임 하우징(344, 346)은 배출 도관(342)의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하우징과 제2 프레임 하우징(344, 346)은 선택적으로, 배출 도관(342)의 결합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성형 부품(molded parts)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프레임 하우징(344)은 공급 탱크 수용기(216)를 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 탱크 수용기(216)에 장착된 공급 탱크(20)는 진공 모터(64)에 의해서 발생된 작동 소음에 대한 방음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배출 도관(342)은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 구멍(louver) 또는 칸막이(baffl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풍 구멍 또는 칸막이가 팬 출구 구멍(336)으로부터 배출구로 뻗어 있는 구불구불한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구불구불한 배출 통로는 적어도 90도의 복수의 방향전환부(turn)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90도보다 큰, 예를 들면 180도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90도의 방향전환부가 배출 도관(342)에서 팬 출구 구멍(336)에 형성되어 있고, 180도의 방향전환부가 배출 도관(342)의 부분들을 분리하는 칸막이(348)에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348)에 의해서 분리된 배출 도관(342)의 부분들은 서로 평행하게 뻗을 수 있고, 이것은 배출구에서의 소음을 더욱 줄이도록 상기 배출 통로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냉각 공기를 진공 모터(64)에 공급하고 진공 모터(64)로부터 가열된 냉각 공기(본 명세서에서 "가열된 공기"라고도 함)를 제거하기 위해서 모터 냉각 공기 통로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모터 냉각 공기 통로는 냉각 공기 입구와 냉각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있고, 냉각 공기 입구와 냉각 공기 출구는 표면 청소 장치(10) 외측의 주변 공기와 유체 연통되어 있다. 주변 공기는 냉각 공기 입구를 통하여 표면 청소 장치(10)로 흡입되고, 진공 모터(64)를 통과한 다음에, 냉각 공기 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냉각 공기 입구가, 제1 프레임 하우징(344)과 제3 프레임 하우징(352)의 사이를 포함하여, 직립 몸체(12)를 형성하는 하우징들 사이의 틈새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3 프레임 하우징(352)은, 프레임(18)의 측면 및/또는 앞면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보이는, 직립 몸체(12)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전용 냉각 공기 입구가, 예를 들면, 프레임(18)의 하우징들 중의 하나를 통하여, 직립 몸체(12)에 제공될 수 있다. 냉각 공기 출구는 깨끗한 공기 출구(52)에 의해서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모터 냉각 공기 통로 그리고 작업 공기 배출 통로와 같은 배출구(328)는 공통의 출구를 공유한다.
모터 하우징(330)은 냉각 공기가 모터 하우징(330)으로 들어가서 진공 모터(64)를 지나갈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구멍(354)과, 가열된 냉각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구멍(356)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 냉각 공기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된 공기 배출 덕트 또는 도관(358)에 의해서 한정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된 공기 배출 덕트 또는 도관(358)은, 모터 출구 구멍(356)이 배출 도관(358)의 제1 단부와 유체 연통되고 배출구(328)가 배출 도관(358)의 제2 단부와 유체 연통되는 상태에서, 가열된 공기가 진공 모터(64)로부터 운반될 수 있게 한다.
가열된 공기 배출 도관(358)은 직립 몸체(12)의 하우징들 사이에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8)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 하우징(344)과 제2 프레임 하우징(34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 배출 도관을 상기 하우징(344, 346) 내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진공 모터(64)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줄인다. 제1 프레임 하우징과 제2 프레임 하우징(344, 346)은 가열된 공기 배출 도관(358)의 결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하우징과 제2 프레임 하우징(344, 346)은 선택적으로, 배출 도관(358)의 결합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성형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모터 출구 구멍(356)이 제2 프레임 하우징(346)의 개구(360)로 뒤쪽으로 돌출하여 가열된 공기 배출 도관(358)으로 진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터 냉각 공기 통로가 모터 출구 구멍(356)으로부터 배출구로 뻗어 있는 구불구불한 배출 통로를 가질 수 있고,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 구멍 또는 칸막이(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하는 동안 표면 청소 장치(10)에 의해서 발생된 모터 소음과 공기 흐름 소음이 상기 구불구불한 배출 통로에 의해서 감쇠된다. 상기 구불구불한 배출 통로는 적어도 90도의 복수의 방향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첫번째 90도 방향전환부는 배출 도관(358)에서 모터 출구 구멍(356)에 형성되어 있고, 두번째 90도 방향전환부는 배출 도관(358)의 제1 부분을 배출구(328)를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통로(362)에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에 대한 개략적인 제어도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것과 같이, 표면 청소 장치(10)는, 유체 전달 시스템 및 회수 시스템과 같은, 표면 청소 장치(10)의 다양한 기능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다양한 기능 시스템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컨트롤러(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08)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HMI(30)와 그리고 표면 청소 장치(10)의 상태에 관하여 하나 이상의 표시를 제공하는 SUI(32)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상기 컨트롤러(308)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제어 장치(MCU)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컨트롤러(308)가 적어도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롤(60)용 브러시 모터(96)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롤(60)용 브러시 모터(96)를 포함하여, 표면 청소 장치(10)의 전기 구성요소는 배터리(372) 또는 가정용 콘센트에 결합된 전선과 같은 전원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은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예로서,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는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장치에서는, 충전가능한 배터리(372)가 사용자 교체가능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력 입력 제어장치(34)가 표면 청소 장치(10)의 하나 이상의 전기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적어도 SUI(32),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 모터(96)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36)는 표면 청소 장치(10)를 딱딱한 바닥 청소 모드와 카페트 청소 모드 사이에서 순환시킨다. 딱딱한 바닥 청소 모드의 한 예로서, 펌프(94)가 제1 유동률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 모터(96)가 작동된다. 카페트 청소 모드에서는, 펌프(94)가 제1 유동률보다 큰 제2 유동률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 모터(96)가 작동된다.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40)는 자체 청소 작업 모드를 개시하고, 이것의 한 실시례가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자체 청소 모드 동안에는, 브러시롤(60)이 회전하는 동안 청소용 액체가 브러시롤(60)에 분무되는 청소 사이클(cleanout cycle)이 실행될 수 있다. 액체는 흡입되어 회수 탱크로 보내지고, 이것에 의해 회수 통로의 일부분을 씻어내기도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컨트롤러(308)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프레임(18) 내에서, 직립 몸체(12)에 배치되어 있으며, SUI(32)와 통합되어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컨트롤러(308)는 HMI(30)(도 1)와 통합될 수 있거나, HMI(30)와 SUI(32)의 양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는 표면 청소 장치의 직립 몸체(12) 또는 베이스(14)에 배치된 배터리 하우징(374)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374)은 표면 청소 장치(10)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를 보호할 수 있고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배터리 하우징(374)이 직립 몸체(12)의 프레임(18)에 제공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하우징(374)은 공급 탱크(20)의 아래 및/또는 회수 탱크(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범퍼(44)가 배터리 하우징(374)의 후방 외부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표면 청소 장치(10)가 선택적으로, 표면 청소 장치(10)를 보관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보관 트레이(380)를 구비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는 직립 보관 상태에서 표면 청소 장치(10)의 베이스(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는 단순한 보관 기능을 넘어서, 표면 청소 장치(10)의 충전 및/또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자체 청소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도시된 실시례에서, 보관 트레이(380)가 표면 청소 장치(10)의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를 충전시키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보관 트레이(380)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 접점(382)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충전 접점(384)이 표면 청소 장치(10)에, 예를 들면, 배터리 하우징(374)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작동이 중단되면, 표면 청소 장치(10)는 직립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를 충전하기 위해서 보관 트레이(380)로 보내질 수 있다.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되면,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충전 접점(382, 384)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차폐될 수 있다. 차폐된 충전 접점을 가진 보관 트레이의 한 예가 2018년 6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671,119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충전 장치(386)가 보관 트레이(380)에 설치되어 있고 충전 접점(382)을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386)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베이스(14)가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면 충전가능한 배터리(372)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충전 장치(386)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가정용 콘센트를 포함하여, 전원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보관 트레이(380)를 전원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전선(388)이 충전 장치(386)와 결합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에 놓인 표면 청소 장치(10)를 지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배터리 하우징(374)이 충전 장치(386)에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보관 트레이(380)의 충전 장치(386)와 배터리 하우징(374)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배터리 하우징(374)은 충전 접점(384)을 포함하는 소켓(390)을 포함할 수 있고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면 충전 장치(386)는 소켓(39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21은 충전가능한 배터리(372)의 충전 접점(384)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직립 몸체(12)의 하부 부분의 후방 사시도이다. 접점 케이스(392)가 소켓(390) 내에서 아래쪽으로 뻗을 수 있고, DC 커넥터 또는 소켓으로 도시되어 있는, 충전 접점(384)을 포함하고 있다. 충전 접점(384) 또는 소켓은 평상시에,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측 커버라고도 하는, 집어넣을 수 있는 충전 접점 커버(394)에 의해 덮혀있을 수 있거나, 폐쇄될 수 있다. 배터리-측 커버(394)는 접점 케이스(392)에 또는 접점 케이스(392) 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평상시에 스프링(396)에 의해서 덮힌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배터리-측 커버(394)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배터리-측 커버(394)는 액체가 충전 접점(384) 또는 접점 케이스(392)로 들어갈 수 없도록 충전 접점(384)을 차폐한다.
배터리-측 커버(394)는 경사면(398)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사면을 보관 트레이(380)의 일부분이 눌러서 배터리-측 커버(394)를 이동시켜서 스프링(39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충전 접점(384)의 커버를 벗긴다. 경사면(398)이 도시되어 있지만, 표면 청소 장치(10)는 결합시에 배터리-측 커버(39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캠 또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결합시에 배터리-측 커버(394)를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DC 커넥터 또는 플러그로 도시되어 있는, 충전 장치(386)의 충전 접점(382)이 평상시에, 본 명세서에서 보관 트레이-측 커버라고도 하는, 집어넣을 수 있는 충전 접점 커버(400)에 의해 덮혀있을 수 있거나, 폐쇄될 수 있다. 충전 접점 또는 플러그(382)와 상기 커버(400)를 장착하기 위해서 브래킷(402)이 충전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는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를 뒤쪽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04, 406)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덮힌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는 액체가 충전 접점(382) 또는 충전 장치(386)로 들어갈 수 없도록 충전 접점(382)을 차폐한다.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는 경사면(408)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사면을 표면 청소 장치(10)의 일부분이 눌러서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를 이동시켜서 스프링(404, 40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충전 접점(382)의 커버를 벗긴다. 경사면(408)이 도시되어 있지만, 표면 청소 장치(10)는 결합시에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캠 또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결합시에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를 개방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표면 청소 장치(10)를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커버(394, 400)를 커버가 벗겨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것의 예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충전 접점(382, 384)들이 결합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소켓(384)이 플러그(382)를 수용한다. 하나의 실시례로서, 충전을 위해 표면 청소 장치(10)를 보관 트레이(38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에 아래로 넣어지고 접점 케이스(392)가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에 형성된 경사면(408)을 밀어서, 충전 접점 또는 플러그(382)를 노출시키도록 보관 트레이-측 커버(400)를 앞쪽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상기 표면 청소 장치(10)가 계속해서 보관 트레이(380)에 아래로 넣어짐에 따라, 노출된 플러그(382)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측 커버(394)에 형성된 경사면(398)을 눌러서, 충전 접점 또는 소켓(384)을 노출시키도록 배터리-측 커버(394)를 측면쪽으로 미끄럼이동시킨다. 표면 청소 장치(10)를 계속하여 아래로 내리면,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382)가 소켓(384)에 결합된다.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에 완전히 설치되면 보관 트레이(380)의 충전 플러그(382)와 표면 청소 장치(10)의 소켓(384)이 완전히 결합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시 도 19와 도 20을 참고하면, 사용하는 동안, 표면 청소 장치(10)가 매우 더러워질 수 있고, 특히 브러시 챔버(104)와 흡입 통로가 매우 더러워질 수 있고, 사용자가 청소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유체 회수 통로의 내부 구성요소와 브러시롤(60)을 청소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자체 청소 모드 동안 클리닝 트레이(cleaning tray)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를 이용하여 자체 청소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고 표면 청소 장치(10)의 보다 빈번한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관 트레이(380)는 표면 청소 장치(10)가 적극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동안 표면 청소 장치(10)의 내부 부품을 청소하고 및/또는 공급 탱크(20)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액체를 담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작동이 중단되었을 때, 표면 청소 장치(10)는 청소를 위해 보관 트레이(380)에 직립으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표면 청소 장치(10)는 보관 트레이(380)에 청소용 액체, 예를 들면, 물을 미리 정한 충전 높이까지 채움으로써 자체 청소를 위한 준비가 된다. 사용자는 입력 제어장치(40)(도 1과 도 18)를 통하여 자체 청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자체 청소 모드 동안, 진공 모터(64)와 브러시 모터(96)가 작동되어, 보관 트레이(380)의 청소용 액체를 유체 회수 통로로 흡입한다. 자체 청소 모드는 미리 정한 시간 동안 또는 보관 트레이(380)의 청소용 액체가 고갈될 때까지 지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체 청소 사이클과 보관 트레이의 예가 2018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18/0344112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보관 트레이(380)가 전체 표면 청소 장치(10)를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4)가 보관 트레이(380)에 놓일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는 흡입 노즐(54)과 브러시롤(60)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정합되어 있는 섬프(sump)(410)의 형태로 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섬프(410), 예를 들면, 브러시 챔버(104)를 밀봉되게 수용하는 것에 의해서, 흡입 노즐(54)과 브러시롤(60)을 밀봉되게 수용할 수 있다. 섬프(410)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유체 전달 시스템과 유체 회수 시스템 사이에 폐루프를 만들기 위해서 브러시 챔버(104) 내에 흡입 노즐(54)과 유체 분배기(90)(도 5)를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격리시키거나 밀봉할 수 있다. 섬프(410)는 흡입 노즐(54)에 의한 우발적인 흡입에 대하여 여분의 액체를 모을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흡입 노즐(54)과 회수 탱크(22) 사이의 회수 통로를 씻어내는 기능을 한다.
도 26은 보관 트레이(380)의 사시도이다. 보관 트레이(380)는 위쪽으로 뻗어 있으며 베이스(14)를 보관 트레이(380) 내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안내 벽(412)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의 뒷부분은 표면 청소 장치(10)의 뒷바퀴(72)를 수용하는 바퀴 홀더(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 홀더(414)는 보관 트레이(380) 내의 오목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충전 회로(386)의 양 측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관 트레이(380)는 표면 청소 장치(10)용 하나 이상의 부대용품을 보관하는 착탈식 보조 홀더(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홀더(416)는 보관 트레이(380)의 외부 측벽에 제공될 수 있고, 보관 트레이(38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380)는 선택적으로 보조 홀더(416)가 부착되는 장소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약간의 융통성을 허용하기 위해서 보관 트레이(380)의 양 측면에 장착 장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6은 하나의 선택적인 대체 장착 장소를 보여주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보조 홀더(4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착 장소는 보조 홀더(416)를 보관 트레이(380)에 고정시키는 고정 래치, 슬라이딩 잠금장치(sliding lock), 클램프, 꺽쇠(brace), 또는 임의의 다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보관 트레이(380)가 비-착탈식 또는 일체형 보조 홀더(416)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보조 홀더(416)는 보관 및/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브러시롤(60)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필터(276)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보조 홀더(416)는 건조 및 보관을 위해 브러시롤(60)을 수직방향의 고정 위치에 고정되게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브러시롤 슬롯(418)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롤 슬롯(418)는 일정한 형태로 되거나 조정가능하게 될 수 있고, 클램프, 로드 또는 삽입된 맞춤못(110)에 의하거나 삽입된 맞춤못(110) 없이 브러시롤(546)을 수용할 수 있는 성형된 수용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홀더(416)는 건조 및 보관을 위해서 필터(276)를 수직방향의 고정 위치에 고정되게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슬롯(42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로서, 보조 홀더(416)는 브러시롤(60)과 필터(276)를 다양한 다른 위치에 보관할 수 있다.
도 27은 표면 청소 장치(10)가 충전을 위해서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면 청소 장치(10)의 블록도이다. 표면 청소 장치(1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372)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회로(4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면, 배터리 충전 회로(430)가 작동되고 충전가능한 배터리(372)가 충전된다. 보관 트레이(380)의 적어도 몇 가지 실시례에서, 보관 트레이(380)는, 예를 들면, 35W의 작동 전력(operating power)을 가지는 벽 충전기(432)에 의해 가정용 콘센트에 결합되는 전선(388)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자체 청소 사이클 동안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 모터(96) 모두가 전력을 공급받으며, 필요한 파워 드로우(power draw)가 벽 충전기(432)의 작동 전압을 훨씬 초과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진공 모터(64), 펌프(94), 그리고 브러시 모터(96)에 대해 필요한 파워 드로우는 200W 내지 250W일 수 있다. 표면 청소 장치(1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372)와 이 충전가능한 배터리(372)에 포함된 개별 배터리 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43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상태를 SUI(32)에 표시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방전 과정과 충전 과정을 최적하기 위해서 배터리 모니터링 회로(433)로부터의 피드백이 컨트롤러(308)에 의해서 이용된다.
도 28을 참고하면, 블록도가 자체 청소 모드에서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40)를 작동시키면(예를 들어,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40)를 누르면) 배터리 충전 회로(430)는 작동하지 못하게 되거나 작동이 중단되고, 표면 청소 장치(10)는 전류가 통할 수 있게 되고 내장된 배터리(472)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그 다음에 표면 청소 장치(10)가 자동으로 자체 청소 모드를 순환시키고, 이 사이클 동안 배터리 충전 회로(430)는 작동 불능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는 자체 청소 모드 동안 충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작동 방식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자체 청소 모드 동안 배터리 충전 회로(430)가 작동 불능이 아니고 내장된 배터리(472)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면, 벽 충전기(432)의 전기용량이 초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례로서 벽 충전기(432)가, 예를 들면, 35W의 작동 전력을 가질 수 있다. 더 큰 전기용량을 가진 벽 충전기는 훨씬 더 비싸다.
도 29는 보관 트레이(380)를 이용하여 표면 청소 장치(10)에 대한 자체 청소 방법(440)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시에, 사용자는 442 단계에서 표면 청소 장치(10)를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시킨다. 이 결합은 베이스(14)를 보관함(380)에 세워 두는 것과 표면 청소 장치(10)의 유체 전달 시스템과 유체 회수 시스템 사이에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은 유체 분배기(90)와 흡입 노즐(54) 사이에 밀봉된 청소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브러시 챔버(104)를 밀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444 단계에서,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고 상기 충전 접점(382, 384)들이 결합되어 있을 때 충전 회로(430)가 작동된다. 충전 회로(430)가 작동되면, 충전가능한 배터리(372)는 충전되기 시작할 수 있다.
446 단계에서, 자체 청소 작업 모드를 위한 청소 사이클이 개시된다. 컨트롤러(308)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SUI(32)의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40)를 누르는 것에 의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청소 사이클을 개시할 수 있다. 자체 청소 사이클의 의도하지 않은 개시를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 청소 장치(10)가 보관 트레이(380)와 결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자체 청소 사이클은 컨트롤러(308)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448 단계에서, 자체 청소 사이클의 개시시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40)를 누를 때, 충전 회로(430)의 작동이 중단된다, 다시 말해서 충전가능한 배터리(372)의 충전이 중단된다.
446 단계에서 자체 청소 모드 입력 제어장치(40)를 누르면 표면 청소 장치(1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전류가 통할 수 있고 내장된 배터리(472)에 의해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자체 청소 사이클은, 펌프(94)가 청소용 유체를 공급 탱크(20)로부터 브러시롤(60)에 청소용 유체를 분무하는 유체 분배기(90)로 전달하기 위해서 작동되는 450 단계에서 시작할 수 있다. 450 단계 동안, 브러시 모터(96)는 브러시 챔버(104)와 청소 배관을 씻어 내리고, 브러시롤(60)로부터 쓰레기를 씻어내기 위해서 청소용 유체를 브러시롤(60)에 바르면서 브러시롤(60)을 회전시키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자체 청소 사이클은 표면 청소를 위해서 표면 청소 장치(10)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동일한 청소용 유체를 사용할 수 있거나, 표면 청소 장치(10)의 회수 시스템을 청소하는데 중점은 둔 다른 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흡입 노즐(54)을 통하여 청소용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서 450 단계 동안이나 450 단계 후에 진공 모터가 작동될 수 있다. 흡입하는 동안, 청소용 유체와 쓰레기가 흡입 노즐(54)과 하류부의 유체 회수 통로를 통하여 보관 트레이(380)의 섬프(410)로부터 흡입된다. 씻어내리는 작용(flushing action)도 흡입 노즐(54)과 하류부의 도관을 포함하여 표면 청소 장치(10)의 전체 유체 회수 통로를 청소한다.
452 단계에서, 자체 청소 사이클이 종료된다. 자체 청소 사이클의 종료는 시간의존적(time-dependent)일 수 있거나, 회수 탱크(22)가 가득 채워지거나 공급 탱크(20)가 비워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정기적인 자체 청소 사이클을 위해서, 소정의 기간 동안 펌프(94), 브러시 모터(96), 그리고 진공 모터(64)에 전기가 공급되었다 차단되었다 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쓰레기가 브러시롤(60)로부터 씻어 내려져서 회수 탱크(22)로 흡입되도록 펌프(94) 또는 브러시 모터(96)가 간헐적으로 작동 버튼이 온/오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적시기(wetting), 쓰레기 버리기, 및/또는 회전 탈수(spin drying)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브러시롤(60)은 보다 느린 속도나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자체 청소 사이클의 종료시점에 가까운 때에, 펌프(94)는 유체 투입을 끝내기 위해서 전원이 차단될 수 있는 반면에 브러시 모터(96)와 진공 모터(64)는 계속하여 흡입하기 위해서 전원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섬프(410)에, 브러시롤(60)에, 또는 유체 회수 통로에 남아 있는 모든 액체가 회수 탱크(22)로 완전히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자체 청소 사이클의 종료 후에, 454 단계에서 배터리(472)를 계속하여 충전하도록 충전 회로(430)가 작동된다.
아직 설명하지 않은 범위까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례의 상이한 특징과 구조가 원하는 대로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거나,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표면 청소 장치가 이러한 특징 전부를 가지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이 이러한 특징 전부가 결합되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설명의 간략화를 기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그렇게 기술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도시된 표면 청소 장치(10)는 직립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캐니스터 장치나 휴대용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니스터 장치에 있어서, 흡입 노즐 및 브러시롤과 같은 바닥부 구성요소(foot component)는 캐니스터 장치와 결합된 클리닝 헤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스팀 전달 능력을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실시례가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있던지 그렇지 않던지 간에, 새로운 실시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이한 실시례의 다양한 특징들이 원하는 대로 다양한 진공 청소기 구성으로 짜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고안의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균등론을 포함하여 특허법의 원칙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보다 넓은 실시형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모든 실시례의 총망라한 설명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청구범위를 이들 실시례와 관련하여 예시되어 있거나 설명되어 있는 특정 요소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어떤", 또는 "상기"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어떤 요소를 단수형(singular)으로 표현한 것이 상기 요소를 단수형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마찬가지로, 첨부된 청구범위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특정 실시례들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는,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명확하고 특정적인 복합물, 구성, 또는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다양한 실시례의 특정의 특징이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기초한 임의의 마쿠쉬 그룹(Markush group)과 관련하여, 상이한, 특수한, 및/또는 예상 밖의 결과가 다른 모든 마쿠쉬 요소(Marcush member)로부터 독립적인 각각의 마쿠쉬 그룹의 각각의 요소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마쿠쉬 그룹의 각각의 요소가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의존할 수 있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특정 실시례에 대한 적절한 뒷받침을 제공한다.

Claims (25)

  1. 표면 청소 장치로서,
    직립 몸체;
    상기 직립 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청소할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결합된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으며 더러운 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노즐, 작업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흡입 노즐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흡입원, 상기 직립 몸체에 있는 회수 탱크, 그리고 깨끗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회수 시스템;
    상기 직립 몸체에 있는 공급 탱크, 펌프, 그리고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청소할 표면을 휘젖기 위해 상기 흡입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된 브러시롤;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있으며 상기 브러시롤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브러시롤 모터;
    상기 브러시롤의 한 단부에 있는 브러시롤 래치로서, 상기 브러시롤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장착되면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브러시롤 래치;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있는 결합 요소로서, 상기 브러시롤을 상기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결합 요소에 의해서 수용되는, 상기 결합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조립체가 상기 브러시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러시 챔버를 포함하는 착탈식 노즐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이 상기 브러시롤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노즐 조립체에 의해서 붙잡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제1 측면부의 측벽과 제2 측면부의 측벽을 포함하고 있고, 제1 측면부의 측벽과 제2 측면부의 측벽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 측면부의 측벽과 제2 측면부의 측벽이 이격되어 있고;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제1 측면부의 측벽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이 상기 결합 요소보다 위에 제1 측면부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측면부의 측벽과 제2 측면부의 측벽이 상기 브러시 챔버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하우징이 제1 측면부의 측벽과 제2 측면부의 측벽에 의해서 둘러싸인 개방된 측면부의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2 측면부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 속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롤 모터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롤 래치는 상기 브러시롤의 제1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반대쪽에 있는 상기 브러시롤의 제2 단부는 전동장치에 의해 상기 브러시롤 모터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구동부를 가진 스플라인식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는 상기 브러시롤의 제1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반대쪽에 있는 상기 브러시롤의 제2 단부는 전동장치에 의해 상기 브러시롤 모터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부를 가진 스플라인식 구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결합 요소의 래치 몸체 수용기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래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롤의 정확한 설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래치 몸체가 상기 래치 몸체 수용기와 상보적인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몸체와 상기 래치 몸체 수용기가 상보적인 U자 형상을 가지며 아래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래치 몸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롤을 제거하기 위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해제 탭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탭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탭은, 상기 브러시롤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상부 표면과 연속인 상부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탭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노즐 조립체에 의해 붙잡히고, 상기 노즐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위쪽으로의 이동, 결과적으로 상기 브러시롤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 조립체의 일부분이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 위에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사용자가 상기 브러시롤을 제거하기 위해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해제 탭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탭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탭이 상기 브러시롤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는데 도움을 주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노즐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되면 상기 노즐 조립체에 의해서 가려지고 상기 노즐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드러나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탭은, 조립되었을 때, 상기 해제 탭의 상부 표면이 보이고, 상기 베이스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브러시롤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의 상부 표면과 연속인 상부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탭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노즐 조립체에 의해 붙잡히고, 상기 노즐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될 때,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위쪽으로의 이동, 결과적으로 상기 브러시롤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 조립체의 일부분이 상기 브러시롤 래치의 일부분 위에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있는 상기 결합 요소와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브러시롤을 장착하는 동안 휘어지고 상기 결합 요소의 오목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브러시롤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가 선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결합 요소의 선반형 돌출부에 얹히도록 구성된 쇼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가 선반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결합 요소의 선반형 돌출부에 얹히도록 구성된 쇼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노즐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래치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있는 래치 수용기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스프링에 의해 래치결합 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조립체가 상기 노즐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노즐 하우징에 있는 핸드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은, 상기 브러시롤이 상기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반투명하거나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의 하부 전방 가장자리에 있는 범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롤이 극세사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몸체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적어도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직립 몸체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는 이동가능한 조인트 조립체;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 챔버를 상기 가요성 도관과 결합시키는 베이스 도관;
    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조인트 조립체를 통과하는 가요성 도관을 통하여 상기 회수 탱크와 유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펌프와 상기 브러시롤 모터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도관과 상기 가요성 도관이 상기 펌프와 상기 브러시롤 모터 사이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25. 표면 청소 장치로서,
    직립 몸체;
    상기 직립 몸체와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있는 입구, 흡입원, 상기 직립 몸체에 있는 회수 탱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깨끗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회수 시스템;
    상기 직립 몸체에 있는 공급 탱크, 펌프, 그리고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청소할 표면을 휘젖도록 구성된 브러시롤;
    상기 베이스 내에 있으며 상기 브러시롤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브러시롤 모터;
    상기 브러시롤의 한 단부에 있는 브러시롤 래치;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있는 결합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롤 래치와 상기 결합 요소는 상기 브러시롤을 상기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결합 요소와 열쇠식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브러시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착탈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롤 래치가 상기 브러시롤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될 때 상기 착탈가능한 부분에 의해 붙잡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청소 장치.
KR2020200003444U 2019-01-08 2020-09-22 표면 청소 장치 KR2004947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89661P 2019-01-08 2019-01-08
US62/789,661 2019-01-08
KR2020200000089U KR200494399Y1 (ko) 2019-01-08 2020-01-08 표면 청소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89U Division KR200494399Y1 (ko) 2019-01-08 2020-01-08 표면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21U true KR20200002121U (ko) 2020-09-29
KR200494717Y1 KR200494717Y1 (ko) 2021-12-08

Family

ID=6914752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89U KR200494399Y1 (ko) 2019-01-08 2020-01-08 표면 청소 장치
KR2020200003444U KR200494717Y1 (ko) 2019-01-08 2020-09-22 표면 청소 장치
KR2020200003445U KR200496675Y1 (ko) 2019-01-08 2020-09-22 표면 청소 장치
KR2020200003446U KR200496710Y1 (ko) 2019-01-08 2020-09-22 표면 청소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89U KR200494399Y1 (ko) 2019-01-08 2020-01-08 표면 청소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445U KR200496675Y1 (ko) 2019-01-08 2020-09-22 표면 청소 장치
KR2020200003446U KR200496710Y1 (ko) 2019-01-08 2020-09-22 표면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9) US11304581B2 (ko)
EP (5) EP4368084A3 (ko)
JP (4) JP6761137B2 (ko)
KR (4) KR200494399Y1 (ko)
CN (4) CN213883041U (ko)
AU (1) AU2020100100A4 (ko)
CA (5) CA3104501C (ko)
ES (2) ES2907949T3 (ko)
PL (2) PL3679845T3 (ko)
PT (2) PT3788932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0945S1 (en) * 2019-02-14 2021-02-16 Bissell Inc. Upright multi-surface vacuum cleaner
USD917810S1 (en) 2019-03-20 2021-04-27 Bissell Inc. Multi-surface vacuum cleaner
USD926401S1 (en) * 2019-04-11 2021-07-27 Bissell Inc. Vacuum cleaner
USD926405S1 (en) * 2019-05-16 2021-07-27 Bissell Inc. Upright multi-surface vacuum cleaner
USD940972S1 (en) * 2019-08-26 2022-01-11 Cunzhu Pei Floor cleaning machine
USD962568S1 (en) * 2019-09-16 2022-08-30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CN111358342A (zh) * 2020-02-17 2020-07-03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洁设备的自清洁控制方法、清洁设备及存储介质
CN212521678U (zh) * 2020-08-03 2021-02-12 宁波福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拖地机
DE102020121218A1 (de) * 2020-08-12 2022-02-17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ystem aus einem Haushaltsgerät und einem eine optische Anzeigeeinrichtung aufweisenden Akkumulator
CN114190827A (zh) * 2020-09-18 2022-03-18 江苏苏美达五金工具有限公司 洗地机
CN112244701A (zh) * 2020-10-22 2021-01-22 深圳市洁傲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洗地机的自清洁-烘干方法和组件
CN112603210A (zh) * 2020-12-04 2021-04-06 东莞市商斯迈智能科技有限公司 洗地机水位报警控制方法及系统
CN112656318B (zh) * 2020-12-24 2024-02-13 广东德尔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烘干底座和洗地机
US11122946B2 (en) 2021-03-04 2021-09-21 Bissell Inc. Brushrol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160431B2 (en) * 2021-03-04 2021-11-02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D959077S1 (en) * 2021-03-23 2022-07-26 Bissell Inc. Cleaning foot for a floor cleaner
EP4297621A1 (en) 2021-04-01 2024-01-03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lighting
USD1002137S1 (en) * 2021-04-12 2023-10-17 Shenzhen Shermon Technology Co., Limited Vacuum cleaner head
US20220330777A1 (en) * 2021-04-15 2022-10-20 Shenzhen Tianwan Chuangxin Co., Ltd Vertical household floor scrubber
CN113303727A (zh) * 2021-04-20 2021-08-27 嘉丰工业科技(惠州)有限公司 清洗系统、清洗系统的烘干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D1000739S1 (en) 2021-04-26 2023-10-03 Bissell Inc. Handle for a floor cleaner
CN113243859B (zh) * 2021-04-26 2022-12-13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和基站的流体交互方法及表面清洁系统
CN113243845B (zh) * 2021-04-26 2022-08-12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基站设备、表面清洁系统及烘干处理控制方法
USD987926S1 (en) * 2021-04-26 2023-05-30 Bissell Inc. Brushroll for a floor cleaner
USD1013304S1 (en) * 2021-04-26 2024-01-30 Bissell Inc. Floor cleaner
USD996756S1 (en) * 2021-04-26 2023-08-22 Bissell Inc. Cleaning foot for a floor cleaner
WO2022227368A1 (zh) * 2021-04-29 2022-11-03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清洗设备
KR20230172021A (ko) 2021-04-29 2023-12-21 베이징 로보락 테크노로지 씨오. 엘티디. 핸드 헬드 세척 장치
USD996757S1 (en) * 2021-05-04 2023-08-22 Bissell Inc. Cleaning foot for a floor cleaner
USD1005628S1 (en) * 2021-05-07 2023-11-21 Bissell Inc. Cleaning foot for a vacuum cleaner
USD1004870S1 (en) * 2021-06-11 2023-11-14 Bissell Inc. Cleaning foot for a vacuum cleaner
CN113413098B (zh) * 2021-07-22 2022-11-04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清洁系统
CN113601643B (zh) * 2021-07-23 2022-11-15 湖南湘红家具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收集废料的板材刮纹机
CN113576320A (zh) * 2021-08-10 2021-11-02 苏州日新电器科技有限公司 吸尘器充电底座及吸尘器组件
US20230063470A1 (en) * 2021-08-25 2023-03-02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3749552B (zh) * 2021-08-26 2022-07-26 焦莉 一种防止产生污垢的清洁设备
US20230064666A1 (en) * 2021-08-31 2023-03-02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3749571A (zh) * 2021-09-07 2021-12-07 宁波浩嘉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无线清洗机及其使用方法
CN113679309B (zh) * 2021-09-14 2023-02-28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设备的底座及清洁系统
CN113827144B (zh) * 2021-09-27 2024-03-08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清洗装置及其流量控制方法
WO2023050438A1 (zh) * 2021-09-30 2023-04-0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洗机及流体通道组件
CN113827143B (zh) * 2021-10-08 2023-08-01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用于处理主动湿式表面清洁设备的方法、系统和接口底座
CN113907659B (zh) * 2021-11-05 2023-01-17 万可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自清洁功能的洗地机
CN117731203A (zh) * 2021-11-11 2024-03-22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地刷机构、清洁设备和清洁系统
CN114224247A (zh) * 2021-11-25 2022-03-25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洗座的表面清洁机的自清洗方法
US11957295B2 (en) * 2021-12-02 2024-04-16 Richard HILLERY Pneumatic vacuum cleaner
US11484172B1 (en) 2021-12-03 2022-11-01 Sharkninja Operating Llc Wet dry appliance
EP4209163A1 (en) * 2022-01-11 2023-07-12 Versuni Holding B.V. Cleaner head and wet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14305251B (zh) * 2022-02-28 2024-04-02 深圳市银舍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易清洗的清洁装置及其自清洁方法
CN114587504B (zh) * 2022-03-07 2024-02-09 江阴市中医院 一种吞咽障碍患者使用的多功能口腔清洁器
CN114766990B (zh) * 2022-03-23 2023-06-20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系统以及清洁设备的自清洁方法
CN114631756B (zh) * 2022-03-23 2023-07-2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清洁方法和清洁系统
WO2023197730A1 (zh) * 2022-04-14 2023-10-19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洗地机、清洁设备的自清洁方法、清洁设备及存储介质
CN114642383B (zh) * 2022-04-22 2023-04-25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及用于操作表面清洁设备的方法
CN114767012A (zh) * 2022-05-07 2022-07-22 深圳赤马人工智能有限公司 一种智能清洁机器人的充电座
GB2618792A (en) * 2022-05-16 2023-11-22 Techtronic Cordless Gp A cleaning appliance
CN114795017A (zh) * 2022-05-20 2022-07-29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机自清洗控制方法
CN114831562A (zh) * 2022-06-10 2022-08-02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
CN115227159A (zh) * 2022-07-12 2022-10-25 浙江亿力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洗地机的自清洁方法、自清洁洗地机和存储介质
CN115301631B (zh) * 2022-09-20 2023-07-14 深圳市科泰超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工业零件用的封闭式超声波清洗机
CN115363487A (zh) * 2022-09-20 2022-11-22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表面清洁系统及表面清洁系统的控制方法
CN117158783B (zh) * 2023-10-10 2024-05-24 澳兰斯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带水冷散热系统的净水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015A (ko) * 2005-02-18 2014-03-13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자동 청소 로봇
KR20150056488A (ko) * 2013-11-15 2015-05-26 테크트로닉 플로어 케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표면청소기용 회동핸들
KR20190001372U (ko) * 2017-11-30 2019-06-10 비쎌 홈케어, 인크. 표면 청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823A (en) 1907-09-14 1908-06-02 James M Spangler Carpet sweeper and cleaner.
US1694937A (en) 1925-02-14 1928-12-11 Frederick S Floeter Floor-scrubbing machine
US4064155A (en) 1975-12-22 1977-12-20 Dow Corning Corporation Preparation of silylamine hydrochlorides
US4458377A (en) 1981-11-12 1984-07-10 Whirlpool Corporation Wet carpet cleaning apparatus
KR930005714B1 (ko) 1991-06-25 1993-06-24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 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14582B1 (ko) 1992-10-30 1996-10-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염도에 따라 청소강도가 제어되는 물걸레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US5394587A (en) 1993-12-08 1995-03-07 Thermax, Inc. Hot water vacuum extraction machine with float sealed riser tube shut-off device
JP3260030B2 (ja) * 1994-02-03 2002-02-25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タの保護構造
US5608944A (en) 1995-06-05 1997-03-11 The Hoover Company Vacuum cleaner with dirt detection
US5815884A (en) 1996-11-27 1998-10-06 Yashima Electric Co., Ltd. Dust indication system for vacuum cleaner
DE19650565C2 (de) 1996-12-05 1999-04-01 Hako Gmbh & Co Reinigungsmaschine mit einer Scheuereinheit
US5987696A (en) 1996-12-24 1999-11-23 Wang; Kevin W. Carpet cleaning machine
US6131237A (en) 1997-07-09 2000-10-17 Bissell Homecare, Inc. Upright extraction cleaning machine
DE19922812C2 (de) 1999-05-19 2001-10-25 Merck Patent Gmbh Messung von Trübungen mittels Reflektometrie
US6446302B1 (en) 1999-06-14 2002-09-10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ing machine with cleaning control
US6185781B1 (en) * 1999-06-24 2001-02-13 The Hoover Company Hand scrub tool with interchangeable scrub drives
JP3568837B2 (ja) 1999-09-30 2004-09-22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清掃機
EP1284631A1 (en) * 2000-05-09 2003-02-26 Tennant Company Cylindrical brush idler-side taper adjustment assembly
US6832407B2 (en) 2000-08-25 2004-12-21 The Hoover Company Moisture indicator for wet pick-up suction cleaner
JP2003070706A (ja) * 2001-08-31 2003-03-11 Sharp Corp 充電式電気掃除機
DE10201770A1 (de) 2001-11-30 2003-07-10 Mecoswiss Mechanische Componen Fahrzeug mit einem Füllstandssensor
CA2383445A1 (en) * 2002-04-25 2003-10-25 Wayne Ernest Conrad Improved means of controlling a vacuum cleaner employing a separate suction and brush motor
JP2004105273A (ja)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式掃除機
US7320149B1 (en) 2002-11-22 2008-01-22 Bissell Homecare, Inc. Robotic extraction cleaner with dusting pad
US7228589B2 (en) 2003-03-31 2007-06-12 Bissell Homecare, Inc. Unattended spot cleaning apparatus
US7823250B2 (en) 2003-08-26 2010-11-02 Bissell Homecare, Inc. Bare floor cleaner
US7237298B2 (en) 2003-09-19 2007-07-03 Royal Appliance Mfg. Co. Sensor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trolling a vacuum cleaner
US7269877B2 (en) 2003-12-04 2007-09-18 The Hoover Company Floor care appliance with network connectivity
KR20050078406A (ko) 2004-01-29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풍건조식 물청소기
US7341611B2 (en) 2004-03-17 2008-03-11 Euro-Pro Operating, Llc Compact cyclonic bagless vacuum cleaner
GB2413942B (en) 2004-05-13 2007-07-18 Dyson Ltd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CN100486510C (zh) 2004-10-27 2009-05-1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带有烘干装置的地毯清洁器
US7987552B2 (en) 2004-11-17 2011-08-0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are appliance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modes
WO2006089307A2 (en) 2005-02-18 2006-08-24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wet and dry cleaning
KR100674564B1 (ko) * 2005-09-08 2007-01-2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액체공급 스테이션을 구비한 이동로봇 시스템 및액체공급방법
ES2706727T3 (es) 2005-12-02 2019-04-01 Irobot Corp Sistema de robot
JP2007181286A (ja) * 2005-12-27 2007-07-12 Funai Electric Co Ltd 充電装置及び自走式掃除機用の充電装置
JP2008043035A (ja) 2006-08-04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ロボット
CN101657135B (zh) * 2006-12-13 2012-08-08 伊莱克斯公司 干湿两用地板清洁装置
US20090070953A1 (en) 2007-04-04 2009-03-19 Orubor Integrated Technology Inc. Self-evacuating vacuum device
US8607405B2 (en) * 2008-03-14 2013-12-17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Battery powered cordless cleaning system
EP2191763A1 (en) 2008-10-07 2010-06-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eaning device with rotating brushes
CN101816535A (zh) 2009-02-26 2010-09-01 徐凯 具有自清洁功能的吸尘器地刷
US8434194B2 (en) * 2009-05-15 2013-05-0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8726441B1 (en) * 2009-09-28 2014-05-20 Bissell Homecare, Inc. Floor sweeper with split brush assembly
WO2011065647A2 (ko) 2009-11-27 2011-06-03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다기능 진공청소기
EP2343003A1 (en) 2010-01-07 2011-07-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eaning device with spraying means and rotatable brush
KR101640408B1 (ko) 2010-02-24 201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8719998B1 (en) 2010-05-12 2014-05-13 Bissell Homecare, Inc. Extractor with light-sensitive stain sensor
EP2387932A1 (en) 2010-05-20 2011-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comprising at least one rotatable brush
CN201734658U (zh) 2010-05-21 2011-02-09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水满报警装置
TWI412204B (zh) 2010-09-29 2013-10-1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動態分配充電電流功能的電池管理系統和方法
US20120152280A1 (en) 2010-12-18 2012-06-21 Zenith Technologies, Llc Touch Sensitive Display For Surface Cleaner
EP2484261A1 (en) 2011-02-08 2012-08-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cleaning a head of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surfaces
AU2012201055B2 (en) 2011-03-01 2014-07-24 Bissell Inc. Lift off deep cleaner
CN202020380U (zh) 2011-04-08 2011-11-02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扫地机
KR101768229B1 (ko) * 2011-05-19 201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WO2013027164A1 (en) 2011-08-23 2013-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comprising a brush and a squeegee element
US11253121B2 (en) 2011-10-03 2022-02-22 Koninklijke Philips N.V.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
US8925142B2 (en) * 2012-04-11 2015-01-06 Lawrence Orubor Apparatus for cleaning waste from a surface
US9717389B2 (en) 2012-05-29 2017-08-01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er
US9474424B2 (en) 2012-06-01 2016-10-25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4107193A (ja) * 2012-11-29 2014-06-09 Azbil Corp コネクタ構造
EP2934270B1 (en) 2012-12-20 2017-02-22 Koninklijke Philips N.V.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CN104768440B (zh) 2013-02-05 2017-04-0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刷子和橡胶扫帚的喷嘴配置
CN103120576B (zh) 2013-02-26 2015-09-0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洗碗机的排水控制检测电路、洗碗机及其排水和检测方法
JP2014236898A (ja) 2013-06-10 2014-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9723964B2 (en) 2013-07-18 2017-08-08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Floor cleaning machine
US10821459B2 (en) 2013-10-18 2020-11-03 Bissell Inc.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US9901233B2 (en) 2013-11-26 2018-02-27 Koninklijke Philips N.V. Air filter monitoring
EP4186406B1 (de) 2013-12-12 2024-04-17 Alfred Kärcher SE & Co. KG Bodenreinigungsmaschine mit stabeinrichtung
EP2821564B1 (en) 2014-01-07 2016-04-13 Aquatron Robotic Technology Ltd. Swimming pool cleaner
US9737187B2 (en) 2014-02-04 2017-08-2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Extractor cleaning machine
CN104007765B (zh) 2014-06-16 2016-05-04 成都北斗群星智能科技有限公司 扫地机器人避障、定位方法
DE102014114809A1 (de) 2014-10-13 2016-04-1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Flächen-Reinigungsmaschine mit Befeuchtungseinrichtung
JP6715569B2 (ja) 2015-01-26 2020-07-0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321560B2 (ja) * 2015-01-28 2018-05-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充電台
JP6488137B2 (ja) 2015-01-28 2019-03-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A2975385C (en) 2015-01-30 2021-06-29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including openable agitator chamber and removable agitators for use therein
US9655486B2 (en) * 2015-01-30 2017-05-23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including removable rotatable driven agitator
WO2016125165A2 (en) 2015-02-05 2016-08-11 Verifood, Ltd. Spectrometry system with visible aiming beam
US10076183B2 (en) * 2015-08-14 2018-09-18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US20170049288A1 (en) 2015-08-18 2017-02-23 Nilfisk, Inc. Mobile robotic cleaner
WO2017059602A1 (zh) 2015-10-10 2017-04-13 深圳市赫兹科技有限公司 地面清洁器及其清洁筒清理结构
JP2018529501A (ja) 2015-10-12 2018-10-11 アルフレッド ケルヒャ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表面洗浄機
AU2016101847B4 (en) 2015-10-28 2022-02-17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05197912U (zh) 2015-10-30 2016-05-04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清洗装置
CN205126122U (zh) 2015-10-30 2016-04-06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清洗装置
CN205126117U (zh) 2015-10-30 2016-04-06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地刷及其立式清洗机
CN205197904U (zh) 2015-10-30 2016-05-04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清洗机
CN205126125U (zh) 2015-10-30 2016-04-06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地刷及其清洗机
JP2017118598A (ja)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供給システム
US10159391B2 (en) 2016-01-08 2018-1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406175B1 (en) * 2016-01-20 2022-11-3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Rechargeable dust collector assembly
US10478035B2 (en) 2016-01-20 2019-11-19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WO2017191959A1 (ko) 2016-05-03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
KR101994691B1 (ko) 2016-07-14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206151378U (zh) 2016-07-14 2017-05-10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清洗机
DE102016115321A1 (de) 2016-08-18 2018-02-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erviceeinrichtung für ein Feuchtreinigungsgerät
US10123674B2 (en) 2016-09-09 2018-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vacuum cleaner with learning and cohort classification
AU2017101247A6 (en) 2016-09-16 2017-11-02 Bissell Inc. Autonomous vacuum cleaner
AU2017101395A4 (en) 2016-11-01 2017-11-16 Bissell Inc. Handheld extraction cleaner
AU2017101723A4 (en) * 2016-12-16 2018-01-18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911294B1 (ko) 2016-12-30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18148498A1 (en) 2017-02-09 2018-08-16 Karcher North America, Inc. Floor cleaning device with disinfection capabilities
CN207055437U (zh) 2017-02-28 2018-03-02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杆式清洗组件及其吸尘器
CN207412116U (zh) 2017-04-01 2018-05-29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杆式清洗组件及其吸尘器
CN207384228U (zh) 2017-04-19 2018-05-22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清洗机
GB2562523B (en) 2017-05-18 2019-11-13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CN107007213B (zh) 2017-05-19 2022-06-07 深圳不惑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我清洗的滚筒拖地机
AU2018203547B2 (en) * 2017-06-02 2023-09-28 Bissell Inc. Self-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on cleaners
AU2018203588B2 (en) 2017-06-05 2019-11-14 Bissell Inc. Autonomous floor cleaning system
EP3432440B1 (en) * 2017-07-17 2020-09-16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er for vacuum cleaner and fast charging controlling method thereof
DE102017118226A1 (de) 2017-08-10 2019-02-1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bearbeitungsgerät mit mehreren Tanks zur Bevorratung von Flüssigkeit
CN107669219A (zh) 2017-08-31 2018-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污迹的清理方法及系统
US11213182B2 (en) 2017-09-15 2022-01-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8355134A1 (en) 2017-10-25 2020-06-11 Bissell Inc. Autonomous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multiple controllers
PL3501363T3 (pl) * 2017-12-21 2021-04-19 Bissell Homecare, Inc. Urządzenie do czyszczenia powierzchni
CN110192806A (zh) 2018-02-26 2019-09-0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PL3838096T3 (pl) * 2018-06-22 2022-03-28 Bissell Inc. Urządzenie do czyszczenia powierzchni
KR102164719B1 (ko) * 2018-07-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CN109106286A (zh) 2018-09-17 2019-01-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设备及其控制装置及方法
BR112021007260A2 (pt) 2018-10-19 2021-08-10 Bissell Inc. aparelho para limpar superfície
WO2020086392A1 (en) * 2018-10-24 2020-04-30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Floor cleaner
CN113940587B (zh) 2018-11-02 2023-09-22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
CN111134573B (zh) 2018-11-02 2022-07-0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灰尘检测传感器精度的方法
US11503971B2 (en) 2019-05-30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leaning robot
CN110226899A (zh) 2019-06-13 2019-09-13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吸尘器控制方法、装置及吸尘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015A (ko) * 2005-02-18 2014-03-13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자동 청소 로봇
KR20150056488A (ko) * 2013-11-15 2015-05-26 테크트로닉 플로어 케어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표면청소기용 회동핸들
KR20190001372U (ko) * 2017-11-30 2019-06-10 비쎌 홈케어, 인크. 표면 청소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공보 US 2018-0110388 A1, "표면 청소 장치(SURFACE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05118A1 (en) 2020-12-31
KR200496675Y1 (ko) 2023-04-04
US11076735B2 (en) 2021-08-03
PT3679845T (pt) 2022-04-13
JP6761137B2 (ja) 2020-09-23
PL3679845T3 (pl) 2022-08-08
US20230355066A1 (en) 2023-11-09
JP6921285B2 (ja) 2021-08-18
US11737629B2 (en) 2023-08-29
US20210298554A1 (en) 2021-09-30
KR20200001593U (ko) 2020-07-16
US11786097B1 (en) 2023-10-17
PT3788932T (pt) 2022-02-22
US11071428B2 (en) 2021-07-27
CA3104494A1 (en) 2020-07-08
EP3788932B1 (en) 2021-12-22
JP2020110591A (ja) 2020-07-27
JP2020192427A (ja) 2020-12-03
PL3788932T3 (pl) 2022-06-13
CN211933874U (zh) 2020-11-17
EP4368084A2 (en) 2024-05-15
CA3104496A1 (en) 2020-07-08
CA3104501A1 (en) 2020-07-08
ES2912581T3 (es) 2022-05-26
EP3679845B1 (en) 2022-03-02
CN213883040U (zh) 2021-08-06
US11871892B1 (en) 2024-01-16
CA3104499A1 (en) 2020-07-08
US20200214527A1 (en) 2020-07-09
CA3066796C (en) 2021-07-06
US11304581B2 (en) 2022-04-19
CA3066796A1 (en) 2020-07-08
KR20200002122U (ko) 2020-09-29
US20230414053A1 (en) 2023-12-28
US11013389B2 (en) 2021-05-25
US20230329501A1 (en) 2023-10-19
US20200405117A1 (en) 2020-12-31
JP2020199295A (ja) 2020-12-17
AU2020100100A4 (en) 2020-02-13
KR200494399Y1 (ko) 2021-10-06
EP3679845A1 (en) 2020-07-15
EP3788922A1 (en) 2021-03-10
EP3788932A1 (en) 2021-03-10
CN213850446U (zh) 2021-08-03
ES2907949T3 (es) 2022-04-27
JP2020192428A (ja) 2020-12-03
EP3785594A1 (en) 2021-03-03
CN213883041U (zh) 2021-08-06
US20200405116A1 (en) 2020-12-31
EP4368084A3 (en) 2024-05-29
US20210321849A1 (en) 2021-10-21
CA3104501C (en) 2022-01-18
CA3104499C (en) 2023-04-04
CA3104494C (en) 2023-06-20
EP3785594B1 (en) 2023-06-21
KR200494717Y1 (ko) 2021-12-08
KR20200002123U (ko) 2020-09-29
KR200496710Y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710Y1 (ko) 표면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