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604A -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604A
KR20190141604A KR1020190069383A KR20190069383A KR20190141604A KR 20190141604 A KR20190141604 A KR 20190141604A KR 1020190069383 A KR1020190069383 A KR 1020190069383A KR 20190069383 A KR20190069383 A KR 20190069383A KR 20190141604 A KR20190141604 A KR 2019014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laminated body
width direction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시 고시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제1 기재층, 제1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인 제1 단 영역을 가지고, 제1 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이다.

Description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LAMINATE WITH ADHESIVE LAYER, LAMINATE, LIQUID CRYSTAL LAYER LAMINATE,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본 발명은,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이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등과 비교하여 경량화나 박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폭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높은 콘트라스트 등의 고화질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텔레비젼,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원편광판 등을 이용하여 반사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JP2015-25947A1에는, 유기 EL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패널에 적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직선편광판과 1/4 파장판을 적층한 원편광판이 기재되어 있고, 이 1/4 파장판을 1/2 파장 위상차층과 1/4 파장 위상차층의 적층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제1 기재층, 제1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상기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인 제1 단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인 접착층 구비 적층체.
[2] 제1 액정층의 물 접촉각이, 접착층의 제1 액정층과는 반대쪽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5°이상 큰 [1]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
[3] 상기 제1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1] 또는 [2]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
[4]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1 액정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1] 또는 [2]∼[3]의 어느 것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
[5] 제2 기재층 및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제2 단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2 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재층과는 반대쪽 표면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인 적층체.
[6] 상기 제2 액정층의 상기 제2 기재층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 영역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이, 상기 제2 단 영역 이외의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5°이상 큰 [5]에 기재한 적층체.
[7] 상기 제2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5] 또는 [6]에 기재한 적층체.
[8] 상기 제2 기재층과 상기 제2 액정층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5]∼[7]의 어느 것에 기재한 적층체.
[9] [1]∼[4]의 어느 것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5]∼[8]의 어느 것에 기재한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층 적층체로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액정층 적층체.
[10] 기재층,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로서,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을 갖는 적층체와, [5]∼[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층 적층체로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액정층 적층체.
[11]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기재층 및 액정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를 접합한 액정층 적층체로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액정층 적층체.
[12] 제1 기재층, 제1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2 기재층 및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 및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 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을,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액정층 적층체를 얻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제3 단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 및 상기 제2 액정층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영역에 단 영역을 갖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3]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a2]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제1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상기 제1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의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고,
[b2]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제2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상기 제2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의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는 [12]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4]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 및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12] 또는 [13]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5]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는 코로나 처리인 [12]∼[14]의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6] 상기 제1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12]∼[15]의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7] 상기 제2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12]∼[16]의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8]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1 액정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12]∼[17]의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9]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2 기재층과 상기 제2 액정층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12]∼[18]의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20] 상기 액정층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한쪽을 박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12]∼[19]의 어느 것에 기재한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21] 상기 [9]에 기재한 액정층 적층체로부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한쪽을 박리하는 공정과,
광학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필름을,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상기 박리에 의해 노출된 층에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22]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층을 박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갖는 [21]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23] 추가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층을 박리함으로써 노출된 층 상에,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적층하는 [22]에 기재한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정층 적층체인 위상차층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필름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도 5(c)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도 6(d)은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a)∼도 6(d)은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전제가 되는 광학 적층체(70p)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이 각각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이고, 액정 필름이 위상차 필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기재층(11p) 및 제1 위상차층(12p)을 포함하는 적층체(10p)와, 제2 기재층(21p) 및 제2 위상차층(22p)을 포함하는 적층체(20p)가 접착층(13p)을 통해 적층된 위상차층 적층체(40p)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위상차층 적층체(40p)로부터,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2 기재층(21p)을 박리하면, 박리한 제2 기재층(21p)으로 제2 위상차층(22p)의 일부가 이행하여, 접착층(13p) 상에 제2 위상차층(22p1)이 형성된 위상차 필름(50p)이 얻어진다. 이것은, 도 6(a)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p)가, 제2 위상차층(22p)의 폭 방향의 양단에, 접착층(13p)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 영역(도 6(a) 중,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갖고 있고, 제2 기재층(21p)의 박리에 의해, 제2 위상차층(22p)이, 접착층(13p)에 고정된 영역인 제2 위상차층(22p1)과 제2 기재층(21p)으로 이행하는 비고정 영역으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하는 위상차 필름(50p)의 제2 위상차층(22p1) 상에, 도 6(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p)을 통해 광학 필름(60p)을 적층한 후, 위상차 필름(50p)에 포함되는 제1 기재층(11p)을 박리하여, 광학 적층체(70p)(도 6(d))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 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위상차층 적층체(40p)에서는, 폭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p)과 제2 위상차층(22p)이 접착층(13p)을 통하지 않고서 대향하고 있는 영역이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는, 제1 위상차층(12p)과 제2 위상차층(22p)이 직접 접촉하기 쉬워, 제1 위상차층(12p)과 제2 위상차층(22p)의 접촉의 세기나, 제1 위상차층(12p) 및 제2 위상차층(22p)의 표면 상태에 따라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위상차층(12p)의 일부(12'p)(이하, 「이행 부분(12'p)」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제2 위상차층(22p)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위상차층(12p)의 이행 부분(12'p)이 제2 위상차층(22p)으로 이행하면, 제1 위상차층(12p)의 일부가 누락하여, 제1 위상차층(12p)에는 누락부(p)가 형성된다. 제1 위상차층(12p) 및 제2 위상차층(22p)의 표면 상태나, 제1 위상차층(12p)과 제2 위상차층(22p)의 접촉 상태에 의해, 제1 위상차층(12p)의 누락부(p)나, 제2 위상차층(22p)으로의 이행 부분(12'p)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누락부(p)는, 도 6(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위상차 필름(50p)에도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위상차 필름(50p)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62p)을 통해 광학 필름(60p)을 적층하면(도 6(c)), 이 누락부(p)의 영역에 있어서, 광학 필름용 접착층(62p)을 통해 제1 기재층(11p)과 광학 필름(60p)이 접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접착 부분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1 기재층(11p)을 박리하면, 도 6(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필름(60p)의 일부(60'p) 및 광학 필름용 접착층(62p)의 일부(62'p)가 제1 기재층(11p)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70p)가, 그 단부에 있어서, 광학 필름(60p) 및 광학 필름용 접착층(62p)이 파단된 것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도 6(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단부가 파단된 광학 적층체(70p)는, 외관 불량으로 되고, 또한 광학 적층체(70p)를 반송할 때에 주행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위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p)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p)의 이행 부분(12'p)이 제2 위상차층(22p)으로 이행하고, 단부가 파단된 광학 적층체(70p)로 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행 부분(12'p)은, 위상차층 적층체(40p)로부터 박리한 제2 기재층(21p)의 반송 시에 탈락하는 경우도 있다. 탈락한 이행 부분(12'p)은, 위상차 필름(50p)이나 반송로에 부착되어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의 외관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위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p)에 있어서, 이행 부분(12'p)이 제2 위상차층(22p)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제2 위상차층(22p)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p)으로 이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위상차 필름의 반송 시에, 제1 위상차층(12p)으로 이행한 제2 위상차층(22p)의 일부가 탈락하여 위상차 필름이나 반송로에 부착되어,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의 외관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단부의 파단이나,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 등을 생기기 어렵게 함으로써, 광학 적층체의 외관 불량이나 반송 시의 주행성의 불안정화를 억제하여, 적합하게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이 각각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이고, 액정 필름이 위상차 필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접착층 구비 적층체)]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는,
제1 기재층(11a), 제1 위상차층(12a)(제1 액정층) 및 접착층(13a)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로서,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의 양단에,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인 제1 단 영역을 가지고,
제1 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12as)(이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는, 접착층(13a)과, 후술하는 제2 기재층(21a) 및 제2 위상차층(22a)(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20a)(도 2)의 제2 위상차층(22a)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액정층 적층체)(도 3)를 제조하기 위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양단 영역을 갖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는, 제1 기재층(11a), 제1 위상차층(12a) 및 접착층(13a)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다.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0.2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에 마련할 수 있고, 0.5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에 마련하여도 좋고, 1.0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에 마련하여도 좋으며, 또한 통상 20 c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영역에 마련되고, 15 c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영역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의, 제1 위상차층(12a)의 단부 위치에서부터 접착층(13)의 단부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상호 다르더라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서는, 제1 기재층(11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지만,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하여도 좋다.
제1 위상차층(12a)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인 제1 단 영역에 있어서, 접착층(13a) 측의 표면인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을 갖는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은, 제1 위상차층(12a)에 있어서의, 접착층(13a)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 전체라도 좋고, 그 일부라도 좋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은, 제1 위상차층(12a)에 있어서의, 접착층(13a)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이며,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 120°이하이다.
도 6(a)∼도 6(d)에 기초하여 설명한 위상차층 적층체(40p)와 같이, 제1 위상차층(12p)과 제2 위상차층(22p)이 직접 접촉하면, 제1 위상차층(12p)의 일부(12'p)가 제2 위상차층(22p)으로 이행하거나 혹은 제2 위상차층(22p)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p)으로 이행한다고 하는 현상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현상은, 특히 제1 위상차층(12p) 및 제2 위상차층(22p)의 접착층(13p) 측의 표면에 대하여,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생기기 쉽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서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와 후술하는 적층체(20a)(도 2)를 접합하여 후술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도 3)를 제조할 때에,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라도,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층 적층체(40a)를 제조할 때에,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과, 후술하는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서는, 접착층(13a) 측의 표면 전체가,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과 동일한 물 접촉각을 갖고 있어도 좋고,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과,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이외의 표면(제1 기재층(11a)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 제1 위상차층(12a)의 접착층(13a) 측에 있어서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이외의 표면 및 접착층(13a)의 제1 위상차층(12a)과는 반대쪽의 표면)의 물 접촉각이 상호 다르더라도 좋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 있어서, 접착층(13) 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이 영역마다 다른 경우,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이, 접착층(13a)의 제1 위상차층(12a)과는 반대쪽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는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50°이하이고, 40°이하라도 좋다. 또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제1 단 영역에 있어서의 제1 위상차층(12a)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이, 제1 위상차층 표면(12as)과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이외의 표면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은,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이외의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는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50°이하이고, 40°이하라도 좋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도 3)를 제조할 때에,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은, 예컨대 제1 위상차층(12a)을 이루는 재료의 종류나,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 측의 표면에 대하여 행하는 표면 활성화 처리, 접착층(13a)을 설치하기 전의 제1 위상차층(12a) 표면에 대하여 행하는 표면 활성화 처리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표면을 친수화하기 위한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글로우 방전 등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UV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전자선 처리와 같은 전리활성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코로나 처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제1 위상차층(12a)을 이루는 재료를 선택하는 방법, 표면 활성화 처리의 강도나 처리량 등을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에 있어서, 물 접촉각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을 저감하여 물 접촉각이 상대적으로 큰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표면에 실시되는 표면 활성화 처리의 강도를 작게 한다, 상기 표면에 실시되는 표면 활성화 처리의 적산 강도를 작게 한다, 상기 표면과 전극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등의 방법이나, 상기 표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표면을 마스크한다, 방전 처리(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전극 폭을 조정한다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제1 단 영역이,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의 양단 영역을 포함하고,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제1 단 영역은,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한쪽의 단 영역이며, 접착층(13a)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1 위상차층(12a)의 상기 한쪽의 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을 75°이상으로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접착층 구비 적층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한쪽의 단 영역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적층체)]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20a)는,
제2 기재층(21a) 및 제2 위상차층(22a)(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20a)로서,
적층체(2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의 제2 기재층(21a)과는 반대쪽의 표면(이하,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는, 제2 위상차층(22a)과, 도 1에 도시하는 제1 기재층(11a), 제1 위상차층(12a)(제1 액정층) 및 접착층(13a)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액정층 적층체)(도 3)를 제조하기 위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제2 위상차층(22a)의 제2 단 영역은, 접착층(13a)의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다.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은, 접착층(13a)의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양단 영역을 갖는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는 제2 기재층(21a) 및 제2 위상차층(22a)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에서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기재층(21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지만,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하여도 좋다.
제2 위상차층(22a)은, 폭 방향의 양단 영역에, 제2 기재층(21)과는 반대쪽의 표면인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을 갖는다.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은, 예컨대 제2 위상차층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0.2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으로 할 수 있고, 0.5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으로 하여도 좋고, 1.0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으며, 또한 통상 20 c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고, 15 c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다.
적층체(20a)는, 후술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도 3)를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은,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접착층(13a)의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이며,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 120°이하이다.
도 6(a)∼도 6(d)에 기초하여 설명한 위상차층 적층체(40p)와 같이, 제1 위상차층(12p)과 제2 위상차층(22p)이 직접 접촉하면, 제1 위상차층(12p)의 일부(12'p)가 제2 위상차층(22p)으로 이행하거나 혹은 제2 위상차층(22p)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p)으로 이행한다고 하는 현상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현상은, 특히 제1 위상차층(12p) 및 제2 위상차층(22p)의 접착층(13p) 측의 표면에 대하여,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생기기 쉽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에서는, 적층체(20a)와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를 접합하여 후술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도 3)를 제조할 때에,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적층체(20a)에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라도,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층 적층체(40a)를 제조할 때에,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과,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제1 위상차층(12a)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체(20a)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적층체(20a)에서는, 제2 위상차층(22a) 측의 표면 전체가,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과 동일한 물 접촉각을 갖고 있어도 좋고,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과, 제2 위상차층 표면(22as) 이외의 표면(제2 기재층(21a)의 제2 위상차층(22a) 측의 표면 및 제2 위상차층(22a)의 제2 기재층(21a)과는 반대쪽 표면에 있어서의 제2 위상차층 표면(22as) 이외의 표면)의 물 접촉각이 다르더라도 좋다.
적층체(20a)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 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이 영역마다 다른 경우, 적층체(20a)에서는,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이,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이외의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는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50°이하이고, 40°이하라도 좋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도 3)를 제조할 때에,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예컨대 제2 위상차층(22a)을 이루는 재료의 종류나,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 측의 표면에 대하여 행하는 표면 활성화 처리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은 처리를 들 수 있으며, 물 접촉각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이나, 표면의 물 접촉각을 다르게 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 영역은,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한쪽의 단 영역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2 위상차층(22a)의 상기 한쪽의 단 영역에 있어서의 제2 기재층(21a)과는 반대쪽 표면의 물 접촉각을 75°이상으로 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적층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한쪽의 단 영역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위상차층 적층체)]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층 적층체(액정층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층 적층체(40a)는,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과,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로서,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제2 단 영역을 갖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 및 적층체(20a)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는, 제1 기재층(11a), 제1 위상차층(12a), 접착층(13a), 제2 위상차층(22a) 및 제2 기재층(21a)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위상차층 적층체(40a)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고,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다.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위상차층(12a) 및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에서 폭 방향 내측으로 0.2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으로 할 수 있고, 0.5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고, 1.0 cm 이상의 범위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으며, 또한 통상 20 c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영역이고, 15 c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접착층(13a)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상호 다르더라도 좋으며, 제2 위상차층(22a)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접착층(13a)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도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상호 다르더라도 좋다. 또한,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까지의 거리와,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에서부터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상호 다르더라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에서는,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이,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물 접촉각이 75°이상으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에서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제1 위상차층(12a)과 후술하는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모두 75°이상이라면,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상호 다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에 있어서, 제1 단 영역은,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 영역이며, 접착층(13a)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고, 제2 단 영역은,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의 양단 영역 중,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의 상기 한쪽의 단 영역과 같은 측에 있는 영역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위상차층 적층체를 이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한쪽의 단 영역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3-1 실시형태 (위상차층 적층체(2))]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층 적층체(이하, 본 위상차 적층체를 「위상차층 적층체(2)」라고 부른다.)는, 기재층,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이며,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접착층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을 갖는 적층체와 제2 실시형태의 적층체를 접합한 적층체이고, 위상차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은, 접착층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제2 단 영역을 갖는다.
위상차층 적층체(2)의 구체예로서,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이 75°미만인 것 이외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20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층체와,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를 접합한 위상차층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에서는, 적층체(20a)와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를 접합하여 위상차층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적층체(20a)에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라도,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층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과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위상차층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위상차층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체(20a)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3-2 실시형태 (위상차층 적층체(3))]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층 적층체(이하, 본 위상차 적층체를 「위상차층 적층체(3)」라고 부른다.)는, 제1 실시형태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와, 기재층 및 위상차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를 접합한 위상차 적층체이며, 위상차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제1 단 영역을 갖는다.
위상차층 적층체(3)의 구체예로서,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이 75°미만인 것 이외에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층체와,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를 접합한 위상차층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서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와 상기 적층체를 접합하여 후술하는 위상차층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에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라도,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층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과 상기 적층체의 위상차층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상기 적층체의 위상차층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상기 적층체의 위상차층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를 이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 필름(액정 필름)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기재층, 제1 위상차층(제1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2 기재층 및 제2 위상차층(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접착층 측의 표면 및 적층체의 제2 위상차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과,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 후의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과,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 후의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을 접합하여 위상차층 적층체(40a)(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를 얻는 공정을 가지고(도 1∼3),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 및 제2 위상차층(22a)은, 접착층(13a)의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영역에 양단 영역을 가지고,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a1] 제1 위상차층(12a)의 양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며, 또한
[b1] 제2 위상차층(22a)의 양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한다.
이하,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 영역을, 제3 단 영역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a2] 제1 위상차층(12a)의 양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제1 위상차층(12a)의 양단 영역의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며, 또한
[b2] 제2 위상차층(22a)의 양단 영역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제2 위상차층(22a)의 양단 영역의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은, 또한, 위상차층 적층체(40a)에 있어서의, 제1 기재층(11a) 및 제2 기재층(21a) 중 한쪽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제2 기재층(21a)을 박리하면, 도 4에 도시하는 위상차 필름(50a)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위상차 필름(50a)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제1 기재층, 제1 위상차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그리고 제2 기재층 및 제2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준비한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 및 적층체는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며, 접착층 구비 적층체 및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후술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폭 방향(W)은 필름 형상물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위에서 준비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라도 좋지만,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이 75°미만인 것 이외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에서 준비하는 적층체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라도 좋지만,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이 75°미만인 것 이외에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20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 및 적층체(20a)에 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준비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접착층 측의 표면 및 적층체의 제2 위상차층 측의 표면에 대하여,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과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을 접합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위상차 필름)를 얻는다.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 및 제2 위상차층(22a)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양단 영역을 갖는다.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에서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에 있어서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이,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 및 적층체(20a)에 대하여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한다.
위상차층 적층체(40a)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은, 제1 위상차층(12a)의 양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이고,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은, 제2 위상차층(22a)의 양단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이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통상 120°이하이다.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이라면,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상호 다르더라도 좋다.
표면 활성화 처리로서는, 표면을 친수화하기 위한 처리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글로우 방전 등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UV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전자선 처리와 같은 전리활성선 처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코로나 처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활성화 처리는,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 전체 및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 측의 표면 전체에 대하여 행하여도 좋지만,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과 이들 이외의 표면에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다르게 행하여도 좋다.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을 다르게 한 경우,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이들 이외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을 저감하여, 물 접촉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강도 또는 적산 강도를 다른 표면보다도 작게 하는 방법이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에 표면 활성화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들의 표면을 마스크하거나 또는 이들의 표면 상에 방전 처리(표면 활성화 처리)용의 전극을 배치하지 않는 등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위에서 얻은 위상차층 적층체(40a)(도 3)로부터 제2 기재층(21a)을 박리하여, 도 4에 도시하는 위상차 필름(50a)을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로부터 제2 기재층(21a)을 박리하면,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박리한 제2 기재층(21a)으로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이행한다. 이것은,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에서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고, 제2 위상차층(22a)이 접착층(13a)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 영역(도 3 중,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상차층 적층체(40a)로부터 제2 기재층(21a)을 박리하면, 도 3에 도시하는 제2 위상차층(22a)은, 접착층(13a)에 고정된 영역(도 4에 도시하는 제2 위상차층(22a1))과, 제2 기재층(21a)으로 이행하는 비고정 영역(도 3 및 도 4 중,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1)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동일한 위상차 필름(50a)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위상차층 적층체(40a)를 얻음에 있어서, 접착층 구비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접합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 등으로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한 후의 제1 위상차층 표면(12as)의 물 접촉각 및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은, 상기한 것과 같이 75°이상이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위상차층 적층체(40a)에 있어서,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제1 위상차층(12a)과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 및 하기에 나타내는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상기 제3 단 영역이,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 영역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한쪽의 단 영역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2)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은, 예컨대 접착층 구비 적층체(10a)의 접착층(13a) 측의 표면 및 적층체(20a)의 제2 위상차층(22a) 측의 표면 중 한쪽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여도 좋다. 이 경우, 표면 활성화 처리가 실시된 표면에 있어서의, 위상차층 적층체(40a)의 제3 단 영역에 존재하는 양단 영역(제1 위상차층 표면(12as) 또는 제2 위상차층 표면(22as))의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면 된다.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기재층(21a) 대신에 제1 기재층(11a)을 박리하여도 좋다.
[제5 실시형태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도 5(a)∼도 5(c)는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W는 폭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위상차 필름(50a)(액정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도 5(a)),
광학 필름(60a)을 준비하는 공정과(도 5(a)),
광학 필름(60a)을,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을 통해, 제2 기재층(21a)(제1 박리층)을 박리하여 노출된 층에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다(도 5(b)).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또한 제1 기재층(11a)(제2 박리층)을 박리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고(도 5(c)), 제1 기재층(11a)을 박리함으로써 노출된 층 상에,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도 5(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위상차 필름(50a) 및 광학 필름(60a)을 준비한다. 위상차 필름(50a) 및 광학 필름(60a)은 장척의 필름 형상물이며, 위상차 필름(50a) 및 광학 필름(60a)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후술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폭 방향(W)은 필름 형상물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위상차 필름(50a)은 도 4에 도시하는 위상차 필름(50a)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필름(60a)을,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을 통해, 위상차 필름(50a)의 제2 위상차층(22a1)(제2 액정층)에 적층함으로써,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광학 필름(60a) 상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을 마련해 두고서, 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과 위상차 필름(50a)의 제2 위상차층(22a1)을 접합하여도 좋고, 위상차 필름(50a)의 제2 위상차층(22a1) 상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을 마련해 두고서, 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과 광학 필름(60a)을 접합하여도 좋다.
광학 필름(6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광학 적층체(71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2 위상차층(22a1), 접착층(13a), 제1 위상차층(12a)(제1 액정층) 및 제1 기재층(11a) 중 어느 것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하여도 좋고, 이들의 어느 것과도 다르더라도 좋다.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필름(6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제2 위상차층(22a1) 및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6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제1 위상차층(12a) 및 제1 기재층(11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폭 방향 내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광학 필름(60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폭 방향 내측이며 또한 위상차 필름(50a)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가장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층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폭 방향 내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를 반송할 때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이 폭 방향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반송로 상에 부착되어 반송로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이 제1 기재층(11a)과 접착하면, 제1 기재층(11a)을 박리하기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는,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접착층(13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으면서 또한 제2 위상차층(22a1)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고, 더구나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의 폭 방향 양단에서는,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과 제1 위상차층(12a)을 접합할 수 있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을 통해, 광학 필름(60)과 제1 위상차층(12a1)을 적층할 수 있다.
위에서 얻어진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로부터 제1 기재층(11a)(제2 박리층)을 박리함으로써 광학 적층체(70a)를 얻을 수 있다(도 5(c)).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에서는, 도 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내측에 있다. 그 때문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이 제1 기재층(11a)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기재층(11a)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광학 적층체(70a)는, 도 5(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위상차층(12a1), 접착층(13a), 제2 위상차층(22a1),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 및 광학 필름(60a)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로부터 제1 기재층(11a)을 박리하면, 도 5(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박리한 제1 기재층(11a)으로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이행하기 쉽다. 이것은, 도 5(b)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에서는, 그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고, 제1 위상차층(12a)이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비고정 영역(도 5(b) 중,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에서는,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과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이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를 이루는 각 층은 매우 얇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1 위상차층(12a)의 폭 방향 양단과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이 접착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71a)로부터 제1 기재층(11a)(제2 박리층)을 박리하면, 도 5(b)에 도시하는 제1 위상차층(12a)은,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에 고정된 영역(도 5(c)에 도시하는 제1 위상차층(12a1))과, 제1 기재층(11a)으로 이행하는 비고정 영역(도 5(b) 및 도 5(c) 중, 우측으로 올라가는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도 5(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12a1)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광학 필름용 접착층(62a)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동일한 광학 적층체(70a)를 얻을 수 있다.
광학 적층체(70a)의 제조 방법은, 제1 기재층(11a)을 박리함으로써 노출된 제1 위상차층(12a1) 상에, 도시하지 않는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은, 유기 EL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패널에 접합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위상차층 적층체(40a)에서는, 제1 위상차층(12a)의 일부가 제2 위상차층(22a)으로 이행하는 것이나 제2 위상차층(22a)의 일부가 제1 위상차층(12a)으로 이행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위상차층 적층체(40a)로부터 제1 박리층을 박리하여 얻은 위상차 필름(50a)을 이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조하면, 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중인 제품이나 반송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제1 박리층을 제2 기재층(21a)으로 변경하고, 제2 박리층을 제1 기재층(11a)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재층을 박리하여 노출된 제1 위상차층 상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적층하고, 제2 기재층을 박리하여 노출된 제2 위상차층 상에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형성하면 된다. 혹은, 제1 기재층(11a)을 박리하여 노출된 제1 위상차층 상에 먼저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적층하고, 그 후, 제2 기재층(21a)을 박리하여 노출된 제2 위상차층 상에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적층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각 구조 및 각 공정을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모든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공통된 각 사항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이들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 그리고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수지 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중,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산계 수지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1종」을 의미한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은, 수지 1 종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단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각 층을 이루는 수지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수지 재료로 형성된 필름을 이루는 수지 재료에는 임의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의 점에서 1∼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층 구비 적층체가 후술하는 제1 배향층을 갖는 경우나, 적층체가 후술하는 제2 배향층을 갖는 경우, 제1 기재층과 제1 배향층과의 밀착성 및 제2 기재층과 제2 배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제1 기재층의 제1 배향층이 형성되는 쪽의 표면 및 적어도 제2 기재층의 제2 배향층이 형성되는 쪽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등을 행하여도 좋고, 프라이머층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의 성분이나,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성분을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밀착성을 조정하여도 좋다.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제1 기재층과 제1 액정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적층체는, 제2 기재층과 제2 액정층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은, 이들 배향층 상에 형성되는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갖는다.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으로서는,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 광배향 폴리머로 형성된 광배향성 폴리머층, 층 표면에 요철 패턴이나 복수의 그루브(홈)를 갖는 그루브 배향층을 들 수 있고, 제1 배향층과 제2 배향층은 동일한 종류의 층이라도 좋고, 다른 종류의 층이라도 좋다.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의 두께는 통상 10∼500 nm이고, 10∼2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성 폴리머층은, 배향성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을 기재층(제1 기재층 또는 제2 기재층)에 도포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 러빙 처리를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규제력은,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층에서는, 배향성 폴리머의 표면 상태나 러빙 조건에 의해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배향성 폴리머층은, 광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층(제1 기재층 또는 제2 기재층)에 도포하고, 편광을 조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규제력은, 광배향성 폴리머층에서는, 광배향성 폴리머에 대한 편광 조사 조건 등에 의해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루브 배향층은, 예컨대 감광성 폴리이미드막 표면에 패턴 형상의 슬릿을 갖는 노광용 마스크를 통해 노광, 현상 등을 행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표면에 홈을 갖는 판형의 원반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미경화의 층을 형성하고, 이 층을 기재층(제1 기재층 또는 제2 기재층)에 전사하여 경화하는 방법, 기재층(제1 기재층 또는 제2 기재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의 미경화의 층을 형성하고, 이 층에, 요철을 갖는 롤 형상의 원반을 꽉 누르거나 하여 요철을 형성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1 박리층 및 제2 박리층에는 제1 배향층 및 제2 배향층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1 박리층이 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1 박리층은 제2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박리층이 제1 기재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박리층은 제1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박리층이 제1 기재층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박리층이 제2 기재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박리층이 제1 배향층 또는 제2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박리층의 박리 후에 있어서, 제1 배향층 또는 제2 배향층은 각각 제1 액정층 상 또는 제2 액정층 상에 잔존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박리층이 제1 배향층 또는 제2 배향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2 박리층 박리 후에 있어서, 제1 배향층 또는 제2 배향층은 각각 제1 액정층 상 또는 제2 액정층 상에 잔존하면 된다. 또한, 제1 박리층 및 제2 박리층에 포함되는 층은, 각 층 사이의 밀착력의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에 대하여 행해지는, 상기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프라이머층,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의 성분,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제1 액정층 상에 제1 배향층이 잔존한 경우,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은 제1 배향층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정층 상에 제2 배향층이 잔존한 경우, 광학 필름용 접착층은 제2 배향층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은 공지된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막대형 액정 화합물, 원반형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화합물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이라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라도 좋고, 이들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향층(제1 배향층 또는 제2 배향층)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액정 경화층인 제1 액정층이나 제2 액정층을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기재층(제1 기재층 또는 제2 기재층) 상에 액정 화합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기재층과 함께 연신함으로써, 액정층(제1 액정층 또는 제2 액정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은 예컨대 각각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이라도 좋다.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은, 빛에 소정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1/2 파장판, 1/4 파장판, 포지티브 C 플레이트,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 등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광학 필름이 편광 필름인 경우, 본 실시형태의 광학 적층체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복합 편광판이 원편광판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복합 편광판의 층 구조는, 편광층(직선편광층), 1/2 파장판, 1/4 파장판의 순으로 적층된 구조, 또는 편광층(직선편광층),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순으로 적층된 구조가 되도록,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을 이루는 액정층의 종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필름)
액정 필름은,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이며, 예컨대 제1 액정층 및 제2 액정층이 각각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인 경우에는, 위상차 필름으로 될 수 있다.
(광학 필름)
광학 필름으로서는, 편광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형 반사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방현 기능 구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위상차 필름(액정 필름)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광학 필름은, 1층 구조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적층 광학 필름이라도 좋다.
(접착층)
접착층은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고,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이라도 좋다.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상호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점착제 등 중 1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며, 예컨대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나, 이들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과 같은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가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자외선 경화성의 에폭시계 모노머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
광학 필름용 접착층은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은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상호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이루는 접착제 및 점착제로서는, 상기 접착층에 이용되는 접착제 및 점착제의 예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으로서는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은 접착제, 점착제 및 이들 조합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은 통상 1층이지만, 2층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이 2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층은 상호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이루는 접착제 및 점착제로서는, 상기 접착층에 이용되는 접착제 및 점착제의 예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용 접착층으로서는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물 접촉각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에 포함되는 제1 기재층과 제1 위상차층(제1 액정층)을 적층한 측정용 적층체(폭 방향의 길이: 약 1350 mm)를 얻었다. 이 측정용 적층체의 제1 위상차층 측의 표면에 대하여, 측정용 적층체의 전체 폭에 걸쳐,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조건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했다. 코로나 처리 후의 측정용 적층체의 제1 위상차층이 상면이 되도록, 접촉각계(교와가이멘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화상 처리식 접촉각계 「FACE CA-X형」)에 수평으로 셋트하고, 측정 위치에 1 μL의 순수를 적하하여, θ/2법에 의해 물 접촉각을 측정했다. 측정 위치는, 측정용 적층체의 폭 방향 한쪽의 단부 측에서부터, 약 200 mm의 위치(위치 A), 약 670 mm의 위치(위치 B), 약 1140 mm의 위치(위치 C)로 했다.
코로나 처리는, 각 조건으로 3개의 측정용 적층체에 대하여 행하며, 코로나 처리 후의 3개의 측정용 적층체 각각에 관해서 3개의 측정 위치에서 물 접촉각의 측정을 행하고, 위치 A∼C 각각에서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위치 A∼C 각각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으로 했다. 이 결과, 실시예의 조건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한 경우, 위치 A∼C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은 90.4°∼91.0°의 범위에 있고, 비교예의 조건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한 경우, 위치 A∼C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은 72.1°∼74.4°의 범위에 있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와, 도 2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적층체를 준비했다. 여기서,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일본 특허공개 2015-187717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된 순서로 제작된 위상차판(F2)의 제2 광학 이방성층(제1 액정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한 것이고, 제2 광학 이방성층에는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는 상기 공보의 실시예 3에 기재된 수순으로 제작된 위상차판(F4)을 이용했다. 이어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접착층 측의 표면 전체 및 적층체의 제2 위상차층(제1 광학 이방성층) 측의 표면 전체에 대하여, 코로나 출력 600 W, 코로나 전극과 제1 위상차층 및 제2 위상차층 사이의 거리를 1.5 mm로 설정하여, 라인 속도 15 m/min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했다. 상기 〔물 접촉각의 측정〕의 측정 결과로부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의, 접착층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90.4°∼91.0°의 범위라고 확인되었다.
그 후,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접착층과 적층체의 제2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도 3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위상차층 적층체를 얻고, 얻어진 위상차층 적층체로부터 제2 기재층을 박리하여, 도 4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에 관해서,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제1 위상차층의 표면을 눈으로 보아 관찰하여, 제1 위상차층의 누락 유무를 확인한 바, 제1 위상차층의 누락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코로나 처리의 조건을, 코로나 출력 1100 W, 코로나 전극과 위상차층 사이의 거리를 1 mm로 설정하여 코로나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상기 〔물 접촉각의 측정〕의 측정 결과로부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제1 위상차층의, 접착층의 폭 방향 양단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층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72.1°∼74.4°의 범위라고 확인되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위상차층의 누락 유무를 확인한 바, 제1 위상차층의 누락 발생이 보였다.
10a, 10p: 접착층 구비 적층체, 11a, 11p: 제1 기재층, 12a, 12a1, 12p, 12p1: 제1 위상차층(제1 액정층), 12'p: 이행 부분, 13a, 13p: 접착층, 20a, 20p: 적층체, 21a, 21p: 제2 기재층, 22a, 22a1, 22p, 22p1: 제2 위상차층(제2 액정층), 40a, 40p: 위상차층 적층체(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 50a, 50p: 위상차 필름(액정 필름), 60a, 60p: 광학 필름, 62a, 62p: 광학 필름용 접착층, 70a, 70p: 광학 적층체, 71a: 기재층 구비 광학 적층체(광학 적층체), W: 폭 방향.

Claims (23)

  1. 제1 기재층, 제1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상기 접착층의 폭 방향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인 제1 단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1 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인 접착층 구비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액정층의 물 접촉각이 접착층의 제1 액정층과는 반대쪽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5°이상 큰 접착층 구비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접착층 구비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1 액정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
  5. 제2 기재층 및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상기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제2 단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2 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재층과는 반대쪽의 표면의 물 접촉각은 75°이상인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정층의 상기 제2 기재층과는 반대쪽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 영역에 있어서의 물 접촉각이 상기 제2 단 영역 이외의 표면의 물 접촉각보다도 5°이상 큰 적층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적층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재층과 상기 제2 액정층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적층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한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층 적층체로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액정층 적층체.
  10. 기재층,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로서,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측에 접착층의 폭 방향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영역을 갖는 적층체와,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한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층 적층체로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단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액정층 적층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기재층 및 액정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적층체를 접합한 액정층 적층체로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에 있는 액정층 적층체.
  12. 제1 기재층, 제1 액정층 및 접착층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접착층 구비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2 기재층 및 제2 액정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 및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 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을, 물 접촉각이 75°이상이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을 접합하여 액정층 적층체를 얻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액정층 적층체의 폭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포함하는 제3 단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 및 상기 제2 액정층은 상기 접착층의 단부의 위치보다도 폭 방향 외측의 영역에 단 영역을 갖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a2]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제1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상기 제1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의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고,
    [b2]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경우, 상기 제2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의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이, 상기 제2 액정층의 상기 단 영역의 표면 이외의 다른 표면에 대한 표면 활성화 처리의 처리량보다도 작게 되도록 표면 활성화 처리를 행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 측의 표면 및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2 액정층 측의 표면을 표면 활성화 처리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는 코로나 처리인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정층은 위상차층인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구비 적층체는 상기 제1 기재층과 상기 제1 액정층의 사이에 제1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2 기재층과 상기 제2 액정층의 사이에 제2 배향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20.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한쪽을 박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21. 제9항에 기재한 액정층 적층체로부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한쪽을 박리하는 공정과,
    광학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필름을, 광학 필름용 접착층을 통해, 상기 박리에 의해 노출된 층에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층을 박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갖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중 광학 필름용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층을 박리함으로써 노출된 층 상에, 광학 적층체용 접착층을 적층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90069383A 2018-06-14 2019-06-12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190141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3475 2018-06-14
JP2018113475A JP7122168B2 (ja) 2018-06-14 2018-06-14 接着層付き積層体、積層体、液晶層積層体、液晶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04A true KR20190141604A (ko) 2019-12-24

Family

ID=6888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383A KR20190141604A (ko) 2018-06-14 2019-06-12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22168B2 (ko)
KR (1) KR20190141604A (ko)
CN (1) CN110609348B (ko)
TW (1) TWI8264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4734A (ja) * 2019-02-21 2020-08-31 住友化学株式会社 基材層付き光学積層体、並びに、光学積層体及び複合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236A (ja) 2007-07-11 2009-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用偏光板、液晶表示装置用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91687A (ja) 2008-10-06 2010-04-22 Seiko Epson Corp 接合方法、接合体および光学素子
JPWO2011114764A1 (ja) 2010-03-16 2013-06-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が備えられた偏光板
KR101751975B1 (ko) 2011-04-11 2017-06-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위상차판, 이를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5926499B2 (ja) 2011-06-01 2016-05-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薄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する有機トランジスタ
JP2015021975A (ja) 2013-07-16 2015-0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の製造方法
KR102040797B1 (ko) * 2013-07-31 2019-11-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407519B1 (ko) 2013-12-05 2022-06-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이방성 막
KR102301453B1 (ko) * 2014-01-31 2021-09-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이방성 시트
JP6825235B2 (ja) * 2016-06-06 2021-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の水接触角制御方法、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積層体
KR20190035848A (ko) * 2016-08-03 2019-04-0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15472A (ja) 2019-12-19
CN110609348A (zh) 2019-12-24
TWI826461B (zh) 2023-12-21
TW202003223A (zh) 2020-01-16
CN110609348B (zh) 2022-09-13
JP7122168B2 (ja)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4507A (ko) 원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200014222A (ko)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WO2019216068A1 (ja) 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KR20200000812A (ko) 적층체
TWI682225B (zh) 光學異向性膜之製造方法
KR20200074035A (ko) 장척 액정 경화층 적층 필름
KR20190141604A (ko) 접착층 구비 적층체, 적층체, 액정층 적층체,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210122699A (ko)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10554451B (zh) 层叠体及其制造方法
CN110609349B (zh) 液晶膜的制造方法及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JP2019204121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JP6898166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90141594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TWI802652B (zh) 偏光板及偏光板的製造方法
TWI816795B (zh) 光學積層體的製造方法
CN110531456B (zh) 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KR20200039571A (ko) 광학 필름
JP2019045845A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JP2024019596A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
JP2024050788A (ja) 円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