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419A -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 - Google Patents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419A
KR20190131419A KR1020190038280A KR20190038280A KR20190131419A KR 20190131419 A KR20190131419 A KR 20190131419A KR 1020190038280 A KR1020190038280 A KR 1020190038280A KR 20190038280 A KR20190038280 A KR 20190038280A KR 20190131419 A KR20190131419 A KR 2019013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wler
core material
elastic
wing
b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598B1 (ko
Inventor
도모히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oys (AREA)
  • Golf Clubs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화와 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탄성 크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크롤러 폭방향(b)의 제1 엣지(2a)와 제2 엣지(2b)를 갖는 무단 띠형의 크롤러 본체(2)와, 크롤러 본체(2)에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된 심재(3)와, 크롤러 본체(2)의 심재(3)보다 크롤러 외주측(co)에 매설된 항장체(4)를 포함하고 있다. 항장체(4)는, 크롤러 본체(2)의 제1 엣지(2a)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4A)와, 크롤러 본체(2)의 제2 엣지(4b)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4B)를 포함하고, 심재(3)는 제1 심재(3A)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심재(3A)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제1 항장체(4A)로부터 항장력(F)을 받도록 제1 항장체(4A)에 접근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6A)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제2 항장체(4B)로부터 실질적으로 항장력(F)을 받지 않도록 제2 항장체(4B)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6B)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ELASTIC CRAWLER AND CORE MEMBER FOR ELASTIC CRAWLER}
본 발명은, 무단 띠형의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탄성체로 이루어진 크롤러 본체와, 크롤러 본체에 매설된 심재와, 크롤러 본체의 심재보다 크롤러 외주면측에 매설된 항장체를 포함하는 탄성 크롤러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은,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 크롤러로서, 항장체의 항장력을 받기 위한 날개부를 갖는 심재인 제1 심금과, 실질적으로 항장력을 받지 않는 날개부를 갖는 심재인 제2 심금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은, 항장력을 받는 제1 심금과, 제1 심금보다 크기가 작고 경량인 제2 심금을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탄성 크롤러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736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탄성 크롤러는, 제2 심금이 크롤러 본체에 접하는 면적이 작고, 제2 심금과 크롤러 본체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탄성 크롤러의 내구성에 한층 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량화와 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탄성 크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탄성 크롤러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크롤러 폭방향의 제1 엣지와 제2 엣지를 갖는 무단 띠형의 크롤러 본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된 심재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상기 심재보다 크롤러 외주측에 매설되고 또한 상기 크롤러 본체에 항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항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항장체는, 상기 크롤러 본체의 상기 제1 엣지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상기 제2 엣지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제1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재는, 상기 제1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상기 항장력을 받도록 상기 제1 항장체에 접근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항장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날개부보다 크롤러 폭방향의 길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날개부보다 크롤러 두께 방향의 두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구동륜에 감아 걸었을 때, 상기 구동륜의 중심과 상기 제2 날개부의 크롤러 외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항장체의 거리 L6은, 상기 구동륜의 중심과 상기 제1 날개부의 크롤러 외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항장체의 거리 L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에 감아 걸었을 때의 상기 제1 항장체의 거리 L5와 상기 제2 항장체의 거리 L6의 차(L5-L6)는, 상기 항장체에 상기 항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상기 제2 날개부의 외면과 상기 제2 항장체의 거리 L4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는, 크롤러 내주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전륜 통과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는, 각각, 크롤러 내주측에 전륜 통과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제2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심재는, 상기 제1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항장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제3 날개부와, 상기 제2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상기 항장력을 받도록 상기 제2 항장체에 접근하여 배치된 제4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와 상기 제2 심재는, 동일한 상기 심재가, 크롤러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와 상기 제2 심재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 및 상기 제2 심재는, 각각,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의 크롤러 폭방향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탄성 크롤러에 이용되는 심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항장체는, 크롤러 본체의 제1 엣지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제2 엣지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를 포함하며, 심재는 제1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재는, 상기 제1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항장력을 받도록 상기 제1 항장체에 접근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항장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는, 제2 날개부가 항장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에 큰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제2 항장체의 크롤러 내주측에 위치하는 탄성체가 수축함으로써 심재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탄성 크롤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심재는, 제2 날개부를 제1 날개부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심재는, 제1 날개부의 크롤러 본체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접착력이 향상되어, 탄성 크롤러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는 경량화와 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탄성 크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심재 및 항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륜에 감아서 건 탄성 크롤러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제1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1)는, 크롤러 본체(2)와, 크롤러 본체(2)에 매설된 심재(3)와, 크롤러 본체(2)에 항장력(F)을 부여하기 위한 항장체(4)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1)는, 예컨대 건설 기계 등의 주행체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크롤러 본체(2)는,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크롤러 본체(2)는,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엣지(2a)와 제2 엣지(2b)에 의해 규정되는 대략 일정한 폭을 갖는 무단 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크롤러 둘레 방향은, 탄성 크롤러(1)의 회전 방향이며, 도 1의 부호 a로 나타내는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크롤러 폭방향은, 탄성 크롤러(1)가 차량에 장착될 때의 구동륜(D)(도 4에 나타냄)의 축방향이며, 도 1의 부호 b로 나타내는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크롤러 두께 방향은, 크롤러 둘레 방향(a) 및 크롤러 폭방향(b)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1의 부호 c로 나타내는 방향에 상당한다. 크롤러 두께 방향(c) 중, 무단 띠형의 탄성 크롤러(1)의 내측이 크롤러 내주측(ci)이 되고, 무단 띠형의 탄성 크롤러(1)의 외측이 크롤러 외주측(co)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크롤러 본체(2)는, 크롤러 외주측(co)의 외주면(2o)과 크롤러 내주측(ci)의 내주면(2i)을 갖고 있다. 크롤러 본체(2)의 외주면(2o)에는, 예컨대 복수의 러그(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러그(5)는, 제1 엣지(2a)측에 형성된 제1 러그(5A)와, 제2 엣지(2b)측에 형성된 제2 러그(5B)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심재(3)는, 크롤러 본체(2)에,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심재(3)는, 크롤러 본체(2)를 구성하는 탄성체보다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3)는, 예컨대 강철, 주철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심재(3)는, 경질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심재(3)는, 항장체(4)와 대향하여 배치된 날개부(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재(3)는, 탄성 크롤러(1)에 적합하게 이용되며, 크롤러 본체(2)를 보강하여, 크롤러 본체(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항장체(4)는, 크롤러 본체(2)의 심재(3)보다 크롤러 외주측(co)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장체(4)는, 예컨대,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연장되는 금속 코드층(9)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금속 코드층(9)은,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금속 코드(9a)가 크롤러 폭방향(b)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항장체(4)는, 크롤러 본체(2)의 제1 엣지(2a)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4A)와, 크롤러 본체(2)의 제2 엣지(2b)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4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항장체(4A) 및 제2 항장체(4B)는, 각각, 금속 코드층(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항장체(4)는, 크롤러 본체(2)의 크롤러 폭방향(b)으로 균등하게 항장력(F)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는, 탄성 크롤러(1)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심재(3)는 제1 심재(3A)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심재(3A)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6A)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6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심재(3A)의 날개부(6)는, 제1 날개부(6A)와 제2 날개부(6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날개부(6A)는, 예컨대, 제1 항장체(4A)로부터 항장력(F)을 받도록 제1 항장체(4A)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날개부(6B)는, 예컨대, 제2 항장체(4B)로부터 실질적으로 항장력(F)을 받지 않도록 제2 항장체(4B)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1)는, 제2 날개부(6B)가 항장력(F)을 받지 않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1)에 큰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제2 항장체(4B)의 크롤러 내주측(ci)에 위치하는 탄성체가 수축함으로써 심재(3)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심재(3)는 큰 외력이 작용할 우려가 없어, 탄성 크롤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심재(3A)는, 제2 날개부(6B)를 제1 날개부(6A)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1)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심재(3A)는, 제1 날개부(6A)의 크롤러 본체(2)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접착력이 향상되어, 탄성 크롤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1)는 경량화와 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제1 심재(3A)는, 제1 날개부(6A)와 제2 날개부(6B)를 연결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로부터 크롤러 내주측(ci)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8)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부(7)는, 예컨대, 크롤러 폭방향(b)의 중심선(CL) 상에 위치하며, 구동륜(D)(도 4에 나타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탄성 크롤러(1)에 전달하고 있다. 여기서, 중심선(CL)은, 크롤러 본체(2)의 제1 엣지(2a)와 제2 엣지(2b) 사이의 크롤러 폭방향(b)의 중앙 위치이다. 한쌍의 돌기부(8)는, 예컨대, 구동륜(D), 유동륜, 전륜 등(도시 생략)의 크롤러 폭방향(b)의 위치를 규제하여, 탄성 크롤러(1)의 탈륜을 억지하고 있다.
돌기부(8)는, 크롤러 내주측(ci)에 전륜 통과면(1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심재(3A)는, 전륜(도시 생략)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주행시의 진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탄성 크롤러(1)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1)는, 돌기부(8)로 전륜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금속 크롤러의 대체품으로서 장착될 수 있다.
제2 날개부(6B)는, 제1 날개부(6A)보다 크롤러 폭방향(b)의 길이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날개부(6B)의 길이 L2는, 제1 날개부(6A)의 길이 L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날개부(6A)의 길이 L1은, 돌기부(8)의 제1 날개부(6A)측의 밑동으로부터, 제1 날개부(6A)의 크롤러 폭방향(b)의 외측 단부까지의 길이이다. 또한, 제2 날개부(6B)의 길이 L2는, 돌기부(8)의 제2 날개부(6B)측의 밑동으로부터, 제2 날개부(6B)의 크롤러 폭방향(b)의 외측 단부까지의 길이이다.
제2 날개부(6B)는, 제1 날개부(6A)보다 크롤러 두께 방향(c)의 두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날개부(6B)의 두께 t2는 제1 날개부(6A)의 두께 t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날개부(6A)의 두께 t1은, 제1 날개부(6A)의 크롤러 외주측(co)의 외면(6a)으로부터, 제1 날개부(6A)의 크롤러 내주측(ci)의 내면(6b)까지의 크롤러 두께 방향(c)의 길이이다. 또한, 제2 날개부(6B)의 두께 t2는, 제2 날개부(6B)의 크롤러 외주측(co)의 외면(6c)으로부터, 제2 날개부(6B)의 크롤러 내주측(ci)의 내면(6d)까지의 크롤러 두께 방향(c)의 길이이다.
이러한 제1 심재(3A)는, 제2 날개부(6B)가 제1 날개부(6A)보다 작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1)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부(6A)는, 크롤러 본체(2)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접착력이 향상되어, 탄성 크롤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항장체(4)에 항장력(F)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제2 날개부(6B)의 외면(6c)과 제2 항장체(4B)의 거리 L4는, 제1 날개부(6A)의 외면(6a)과 제1 항장체(4A)의 거리 L3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리 L3은, 제1 날개부(6A)의 외면(6a)과 제1 항장체(4A)의 금속 코드층(9)의 중심 위치의 거리이다. 또한, 거리 L4는, 제2 날개부(6B)의 외면(6c)과 제2 항장체(4B)의 금속 코드층(9)의 중심 위치의 거리이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1)는, 구동륜(D)(도 4에 나타냄)에 감아 걸었을 때에, 제2 날개부(6B)가 제2 항장체(4B)의 항장력(F)을 받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탄성 크롤러(1)의 크롤러 본체(2)를 생략한 심재(3) 및 항장체(4)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심재(3)는 제2 심재(3B)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심재(3B)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3 날개부(6C)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4 날개부(6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심재(3B)의 날개부(6)는, 제3 날개부(6C)와 제4 날개부(6D)를 포함하고 있다. 제3 날개부(6C)는, 예컨대, 제1 항장체(4A)로부터 실질적으로 항장력(F)을 받지 않도록 제1 항장체(4A)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4 날개부(6D)는, 예컨대, 제2 항장체(4B)로부터 항장력(F)을 받도록 제2 항장체(4B)에 접근하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1)는, 제3 날개부(6C)가 항장력(F)을 받지 않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1)에 큰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심재(3)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탄성 크롤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심재(3B)는, 제3 날개부(6C)를 제4 날개부(6D)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 크롤러(1)를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심재(3B)는, 제4 날개부(6D)의 크롤러 본체(2)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접착력이 향상되어, 탄성 크롤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1)는 경량화와 내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제1 심재(3A)와 제2 심재(3B)는, 동일한 심재(3)가, 중심선(CL)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제3 날개부(6C)는 제4 날개부(6D)보다 크롤러 폭방향(b)의 길이가 작다. 또한, 제3 날개부(6C)는 제4 날개부(6D)보다 크롤러 두께 방향(c)의 두께가 작다. 제2 심재(3B)는, 제1 심재(3A)와 마찬가지로, 제3 날개부(6C)와 제4 날개부(6D)를 연결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로부터 크롤러 내주측(ci)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8)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심재(3A) 및 제2 심재(3B)는, 부품으로서의 관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탄성 크롤러(1)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심재(3A)와 제2 심재(3B)가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1)는, 제1 항장체(4A)의 항장력(F)을 받는 제1 날개부(6A)와, 제1 항장체(4A)의 항장력(F)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는 제3 날개부(6C)가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크롤러 둘레 방향(a)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탄성 크롤러(1)는, 제2 항장체(4B)의 항장력(F)을 받는 제4 날개부(6D)와, 제2 항장체(4B)의 항장력(F)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는 제2 날개부(6B)가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교대로 배치되기 때문에, 크롤러 둘레 방향(a)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도 4는, 구동륜(D)에 감아 건 탄성 크롤러(1)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4에서는, 크롤러 본체(2)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크롤러(1)를 구동륜(D)에 감아 걸었을 때, 제2 날개부(6B)의 크롤러 외주측(co)에 위치하는 제2 항장체(4B)는, 제1 날개부(6A)의 크롤러 외주측(co)에 위치하는 제1 항장체(4A)보다 크롤러 내주측(ci)에 위치하고 있다. 즉, 구동륜(D)에 감아 걸었을 때, 구동륜(D)의 중심과 제2 날개부(6B)의 크롤러 외주측(co)에 위치하는 제2 항장체(4B)의 거리 L6은, 구동륜(D)의 중심과 제1 날개부(6A)의 크롤러 외주측(co)에 위치하는 제1 항장체(4A)의 거리 L5보다 작다.
구동륜(D)에 감아 걸었을 때의 제1 항장체(4A)의 거리 L5와 제2 항장체(4B)의 거리 L6의 차(L5-L6)는, 구동륜(D)에 감아 걸지 않았을 때의 제2 날개부(6B)의 외면(6c)과 제2 항장체(4B)의 거리 L4(도 2에 나타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차(L5-L6)는, 제2 항장체(4B)의 크롤러 내주측(ci)에 위치하는 탄성체가 수축하는 양에 상당한다. 이러한 탄성 크롤러(1)는, 구동륜(D)에 감아 걸었을 때에도 제2 날개부(6B)가 항장력(F)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심재(3)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탄성 크롤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2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21)는, 크롤러 본체(2)와, 크롤러 본체(2)에 매설된 심재(22)와, 크롤러 본체(2)에 항장력(F)을 부여하기 위한 항장체(4)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에서는, 크롤러 본체(2)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고, 도 6에서는, 크롤러 본체(2) 및 항장체(4)가 이점쇄선으로 기재되어 있다.
항장체(4)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크롤러 본체(2)의 제1 엣지(2a)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4A)와, 크롤러 본체(2)의 제2 엣지(2b)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4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심재(22)는, 제1 심재(22A)와 제2 심재(22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심재(22A)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23A)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23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심재(22A)는, 제1 날개부(23A)와 제2 날개부(23B)를 연결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로부터 크롤러 내주측(ci)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날개부(23A) 및 제2 날개부(23B)는, 각각, 크롤러 내주측(ci)에 전륜 통과면(2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의 제1 심재(22A)는, 제1 날개부(23A) 및 제2 날개부(23B) 상의 전륜 통과면(24)으로 전륜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심재(22B)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3 날개부(23C)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4 날개부(23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심재(22B)는, 제3 날개부(23C)와 제4 날개부(23D)를 연결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로부터 크롤러 내주측(ci)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날개부(23C) 및 제4 날개부(23D)는, 각각, 크롤러 내주측(ci)에 전륜 통과면(2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의 제2 심재(22B)는, 제3 날개부(23C) 및 제4 날개부(23D) 상의 전륜 통과면(24)으로 전륜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심재(22A)와 제2 심재(22B)는, 동일한 심재(22)가, 중심선(CL)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재(22)를 포함하는 탄성 크롤러(21)는, 날개부의 전륜에 대응할 수 있고, 많은 종류의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31)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탄성 크롤러(31)는, 크롤러 본체(2)와, 크롤러 본체(2)에 매설된 심재(32)와, 크롤러 본체(2)에 항장력(F)을 부여하기 위한 항장체(4)를 포함하고 있다. 도 7에서는, 크롤러 본체(2) 및 항장체(4)가 이점쇄선으로 기재되어 있다. 항장체(4)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크롤러 본체(2)의 제1 엣지(2a)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4A)와, 크롤러 본체(2)의 제2 엣지(2b)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4B)를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심재(32)는, 제1 심재(32A)와 제2 심재(32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심재(32A)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23A)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23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심재(32A)는, 제1 날개부(23A)와 제2 날개부(23B)를 연결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로부터 크롤러 내주측(ci)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심재(32B)는, 제1 항장체(4A)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3 날개부(23C)와, 제2 항장체(4B)와 대향하여 배치된 제4 날개부(23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심재(32B)는, 제3 날개부(23C)와 제4 날개부(23D)를 연결하는 구동부(7)와, 구동부(7)로부터 크롤러 내주측(ci)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심재(32A) 및 제2 심재(32B)는, 각각, 서로의 크롤러 폭방향(b)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33)의 크롤러 폭방향(b)의 위치가 상이한 제1 심재(32A)와 제2 심재(32B)가, 크롤러 둘레 방향(a)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33)는, 예컨대, 제1 심재(32A)의 제1 날개부(23A)측의 돌기부(8)의 밑동으로부터 크롤러 둘레 방향(a)의 일방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3A)와, 타방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3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돌출부(33A)는, 제2 돌출부(33B)보다 크롤러 둘레 방향(a)의 길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33)는, 예컨대, 제1 심재(32A)의 제2 날개부(23B)측의 돌기부(8)의 밑동으로부터 크롤러 둘레 방향(a)의 타방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33C)와, 일방측으로 돌출된 제4 돌출부(33D)를 포함하고 있다. 제3 돌출부(33C)는, 제4 돌출부(33D)보다 크롤러 둘레 방향(a)의 길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돌출부(33)는, 예컨대 제2 심재(32B)의 제3 날개부(23C)측의 돌기부(8)의 밑동으로부터 크롤러 둘레 방향(a)의 일방측으로 돌출된 제5 돌출부(33E)와, 타방측으로 돌출된 제6 돌출부(33F)를 포함하고 있다. 제5 돌출부(33E)는, 제6 돌출부(33F)보다 크롤러 둘레 방향(a)의 길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33)는, 예컨대, 제2 심재(32B)의 제4 날개부(23D)측의 돌기부(8)의 밑동으로부터 크롤러 둘레 방향(a)의 타방측으로 돌출된 제7 돌출부(33G)와, 일방측으로 돌출된 제8 돌출부(33H)를 포함하고 있다. 제7 돌출부(33G)는, 제8 돌출부(33H)보다 크롤러 둘레 방향(a)의 길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돌출부(33A), 제3 돌출부(33C), 제5 돌출부(33E) 및 제7 돌출부(33G)는, 각각, 크롤러 둘레 방향(a)의 길이가 같다. 또한, 제2 돌출부(33B), 제4 돌출부(33D), 제6 돌출부(33F) 및 제8 돌출부(33H)는, 각각, 크롤러 둘레 방향(a)의 길이가 같다.
이 실시형태의 돌출부(33)는, 크롤러 둘레 방향(a)에 인접하는 제1 심재(32A)의 제1 돌출부(33A)와 제2 심재(32B)의 제6 돌출부(33F)가 서로 접함과 더불어, 제1 심재(32A)의 제4 돌출부(33D)와 제2 심재(32B)의 제7 돌출부(33G)가 서로 접해 있다. 마찬가지로, 이 돌출부(33)는, 크롤러 둘레 방향(a)에 인접하는 제1 심재(32A)의 제2 돌출부(33B)와 제2 심재(32B)의 제5 돌출부(33E)가 서로 접함과 더불어, 제1 심재(32A)의 제3 돌출부(33C)와 제2 심재(32B)의 제8 돌출부(33H)가 서로 접해 있다.
이러한 돌출부(33)는, 제1 심재(32A)와 제2 심재(32B)의 크롤러 폭방향(b)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탄성 크롤러(31)의 탈륜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탄성 크롤러(31)에는,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기 어려워,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심재(32A)와 제2 심재(32B)는, 예컨대, 돌출부(33)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심재(32)가, 중심선(CL)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의 돌출부(33)는, 예컨대, 제1 돌출부(33A), 제3 돌출부(33C), 제5 돌출부(33E) 및 제7 돌출부(33G)가, 각각, 제2 돌출부(33B), 제4 돌출부(33D), 제6 돌출부(33F) 및 제8 돌출부(33H)를 크롤러 폭방향(b)에서 사이에 끼우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돌출부(33)의 형상은, 예시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크롤러 폭방향(b)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라면, 여러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양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도 3의 기본 구조를 갖는 탄성 크롤러가, 표 1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험 제작되었다. 또한, 비교 대상의 탄성 크롤러로서, 양 날개부가 큰 심재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종래예와, 양 날개부가 큰 심재와 작은 심재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나열된 비교예가 시험 제작되었다. 이들 시험 제작된 탄성 크롤러의 중량이 측정됨과 더불어, 제공된 크롤러가 테스트 차량에 장착되어 그 내구성이 테스트되었다. 테스트 방법은 이하와 같다.
<경량화 테스트>
제공된 크롤러의 1개분의 중량이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되며, 수치가 작을수록 경량화가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내구성 테스트>
제공된 크롤러에 장착한 테스트 차량에서, 구동륜과 제공된 크롤러 사이에 이물질을 맞물리게 하여 구동시켰을 때에, 심재가 손상되기까지의 횟수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되며, 수치가 클수록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테스트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종래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돌출부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중량(지수) 100 80 80 85
내구성(지수) 100 80 105 110
테스트의 결과, 실시예의 탄성 크롤러는, 종래예에 비해 경량화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탄성 크롤러는, 비교예에 비해, 동등한 경량화를 유지하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실시예의 탄성 크롤러는, 경량화와 내구성을 양립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 크롤러 본체
2a : 제1 엣지
2b : 제2 엣지
3 : 심재
3A : 제1 심재
3B : 제2 심재
4 : 항장체
4A : 제1 항장체
4B : 제2 항장체
6A : 제1 날개부
6B : 제2 날개부

Claims (12)

  1. 탄성 크롤러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크롤러 폭방향의 제1 엣지와 제2 엣지를 갖는 무단 띠형의 크롤러 본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에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된 심재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상기 심재보다 크롤러 외주측에 매설되고 또한 상기 크롤러 본체에 항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항장체
    를 포함하며,
    상기 항장체는, 상기 크롤러 본체의 상기 제1 엣지측에 매설된 제1 항장체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상기 제2 엣지측에 매설된 제2 항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제1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심재는, 상기 제1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상기 항장력을 받도록 상기 제1 항장체에 접근하여 배치된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항장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인 탄성 크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날개부보다 크롤러 폭방향의 길이가 작은 것인 탄성 크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날개부보다 크롤러 두께 방향의 두께가 작은 것인 탄성 크롤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륜에 감아 걸었을 때, 상기 구동륜의 중심과 상기 제2 날개부의 크롤러 외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항장체의 거리 L6은, 상기 구동륜의 중심과 상기 제1 날개부의 크롤러 외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항장체의 거리 L5보다 작은 것인 탄성 크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에 감아 걸었을 때의 상기 제1 항장체의 거리 L5와 상기 제2 항장체의 거리 L6의 차(L5-L6)는, 상기 항장체에 상기 항장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상기 제2 날개부의 외면과 상기 제2 항장체의 거리 L4보다 작은 것인 탄성 크롤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는, 크롤러 내주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전륜 통과면을 갖는 것인 탄성 크롤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는, 각각, 크롤러 내주측에 전륜 통과면을 갖는 것인 탄성 크롤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제2 심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심재는, 상기 제1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항장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1 항장체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제3 날개부와, 상기 제2 항장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항장체로부터 상기 항장력을 받도록 상기 제2 항장체에 접근하여 배치된 제4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인 탄성 크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와 상기 제2 심재는, 동일한 상기 심재가, 크롤러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인 탄성 크롤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와 상기 제2 심재가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탄성 크롤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심재 및 상기 제2 심재는, 각각, 크롤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의 크롤러 폭방향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탄성 크롤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탄성 크롤러에 이용되는 심재.
KR1020190038280A 2018-05-16 2019-04-02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 KR102483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4797 2018-05-16
JP2018094797A JP7087661B2 (ja) 2018-05-16 2018-05-16 弾性クローラ及び弾性クローラ用芯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19A true KR20190131419A (ko) 2019-11-26
KR102483598B1 KR102483598B1 (ko) 2022-12-30

Family

ID=6858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280A KR102483598B1 (ko) 2018-05-16 2019-04-02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87661B2 (ko)
KR (1) KR102483598B1 (ko)
CN (1) CN110497977B (ko)
TW (1) TWI78131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73U (ko) * 1980-11-06 1982-05-20
JP2009214815A (ja) * 2008-03-12 2009-09-24 Tairiku Kagaku Kogyo Kk 弾性クローラ
JP2011207365A (ja) 2010-03-30 2011-10-20 Sumitomo Rubber Ind Ltd 弾性ク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7331U (ko) * 1978-04-24 1979-11-01
JPH0516845A (ja) * 1991-03-30 1993-01-26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ラの構造及び芯金
JPH08156850A (ja) * 1994-12-05 1996-06-18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クローラ用弾性履帯
JP2009292204A (ja) * 2008-06-03 2009-12-17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73U (ko) * 1980-11-06 1982-05-20
JP2009214815A (ja) * 2008-03-12 2009-09-24 Tairiku Kagaku Kogyo Kk 弾性クローラ
JP2011207365A (ja) 2010-03-30 2011-10-20 Sumitomo Rubber Ind Ltd 弾性ク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97977A (zh) 2019-11-26
JP7087661B2 (ja) 2022-06-21
TWI781314B (zh) 2022-10-21
KR102483598B1 (ko) 2022-12-30
JP2019199174A (ja) 2019-11-21
CN110497977B (zh) 2022-11-11
TW201946817A (zh)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976B2 (en) Coreless rubber crawler track
CN107405947B (zh) 非充气轮胎
WO2011027380A1 (ja) 平ベルト
US11691457B2 (en) Non-pneumatic tire
WO2019244738A1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10221175A1 (en) Pneumatic tire
JP2016107751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20190131419A (ko) 탄성 크롤러 및 탄성 크롤러용 심재
JP5985261B2 (ja) 弾性クローラ
KR20000028768A (ko) 벨트 보강 섬유 코드로 이루어지는 방사상 최외각보강층에 직접 접착되는 트레드 복합재를 구비하는 타이어
AU2013236442B2 (en) Rubber Crawler
JP6664289B2 (ja) 弾性クローラ
JP6831300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7517157B2 (ja) 弾性クローラ
JP7314617B2 (ja) 弾性クローラ
WO2018235571A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CN114715301A (zh) 弹性履带
JP5588283B2 (ja) 弾性クローラ
CN110450872B (zh) 弹性履带
JP201200102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958299B2 (ja) ゴムクローラ及びクローラ走行体
WO2019244741A1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9230811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115475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242283B1 (ko) 고무 크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