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775A - 주조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조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775A
KR20190123775A KR1020197029185A KR20197029185A KR20190123775A KR 20190123775 A KR20190123775 A KR 20190123775A KR 1020197029185 A KR1020197029185 A KR 1020197029185A KR 20197029185 A KR20197029185 A KR 20197029185A KR 20190123775 A KR20190123775 A KR 2019012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sting
foundry
manufacturing apparatus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가토
도시키 마츠오
야스요시 다카이
다쿠야 하자마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5/00Foundry mould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주조 지원 시스템 (1) 은,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고,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와, 주형 제조 장치 (10) 와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통하여 접속되는 주조 지원 장치 (100) 와, 주조 지원 장치 (100) 와 인터넷 (5) 을 통하여 접속되는 주조 공장 (9) 의 유저 단말 (32) 을 구비하고, 주형 제조 장치 (10) 는, 사온을 취득하는 사온 취득부와,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주조 공장의 사온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부와, 축적 정보를 사용하여,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주조 공장 (9) 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주조 지원 시스템
본 발명은, 주조 지원 시스템, 주조 공장 관리 장치, 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주형 제조에 있어서는, 사온 (砂溫), 기온, 습도 등의 환경 조건의 변화나 재료의 종류 및 로트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종의 경화제를 구별하여 사용하고, 복수의 경화제의 배합이나 공급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들 작업은, 주조 공장의 각 현장에서 숙련 직인의 개개의 감과 경험을 기초로 실시되고 있었다.
그래서,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른 복수의 경화제의 최적의 배합을 컨트롤러에 의해 계산하여 조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주조 공장에 있어서의 조형기나 조형 라인의 고장에 대해, 원격지에서 긴급 대응의 지원을 실시하는 시스템이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10/1009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88589호
수많은 주조 공장이 존재하지만, 작업 환경, 주조하는 제품의 형상, 크기, 재료 등은, 현장 및 제품마다 상이하고, 또한, 제조 시기에 따라서도 조건이 변화하기 때문에, 각 현장에서 숙련 작업원이 각각 독자적인 노하우를 가지고 작업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노하우는, 말하자면, 현장의 재산이기도 하여, 다른 현장과 공유되는 일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조 공장의 정보를 익명화하여 공유함과 함께, 그들 정보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분석, 예측, 액션을 제공할 수 있는 주조 지원 시스템, 주조 공장 관리 장치, 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조 지원 시스템은,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버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와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내화성 입자, 점결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수단과,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축적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
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조 지원 장치는,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서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수단
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은,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에,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순서,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는 순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주조 지원 시스템을 설치한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기 처리 방법을 적어도 1 개의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여도 된다. 이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컴퓨터에, 관리 장치 상에서, 그 처리 방법을 실시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간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각종 구성 요소는, 반드시 개개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1 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1 개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느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인 것, 어느 구성 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는 복수의 순서를 차례대로 기재하고 있지만, 그 기재된 차례는 복수의 순서를 실행하는 차례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에는, 그 복수의 순서의 차례는 내용적으로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복수의 순서는 개개로 상위한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어느 순서의 실행 중에 다른 순서가 발생하는 것, 어느 순서의 실행 타이밍과 다른 순서의 실행 타이밍의 일부 내지 전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조 공장의 정보를 익명화하여 공유함과 함께, 그들 정보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분석, 예측, 액션을 제공할 수 있는 주조 지원 시스템, 주조 지원 장치, 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조 지원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주형 제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공장에 있어서의 주형 제조 장치의 주형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주형 제조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 는 사온에 따른 2 종류의 경화제의 배합비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컨트롤러 (20) 의 입출력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메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 는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가동 관리 화면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가동 상세 월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가동 상세 월보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가동 상세 월보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0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고객 관리 화면의 시스템 도입처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주조 지원 장치의 마스터 정보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3 은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경보·보수 관리 화면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주조 지원 장치가 제공하는 사온 그래프 화면에 표시되는 알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본 실시형태의 주형 제조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7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8 은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와 주조 지원 장치 (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9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의 알람 또는 이상 발생 시의 정보 표시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0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1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주조 지원 시스템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본질에 관련되지 않은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다.
주조 지원 시스템 (1) 은, 각 주조 공장 (9) (고객 유저 (도면 중, 유저 U1, U2, U3,···으로 나타낸다)) 에 여러 가지 서비스의 제공을 실시한다.
주조 지원 시스템 (1) 은,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 (100) (관리 서버 (40) 및 웹서버 (50)) 와, 각 주조 공장 (9) 의 사무소 (30) 에서 고객이 이용하는 유저 단말 (32) 을 포함한다.
주조 지원 장치 (100) (관리 서버 (40) 및 웹서버 (50)) 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7) (이하, 클라우드 (7) 라고도 부른다) 에 포함된다.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7) 는, 다수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각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는, 복수의 컨트롤러 (20) 를 포함한다. 각 컨트롤러 (20) 는, 유선 케이블로 서로 접속되고, 게이트웨이 (GW : Gate Way) (14) 등의 통신 유닛을 경유하여 휴대전화 통신망 (3) 에 접속한다. 그리고, 각 컨트롤러 (20) 와 관리 서버 (40) 는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관리 서버 (40) 는, 컨트롤러 (20) 로부터 주형 제조 장치 (10) 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 (42) 에 격납된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각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사용하여, 고객 유저 (주조 공장 (9)) 에게 주형 제조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주조 지원 장치 (100) 가 수집한 정보는,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각 부문 (메인터넌스 부문 (60), 관리 부문 (70), 영업판매 부문 (80)) 에도 제공된다.
각 부문은,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고객 유저에게, 각 부문의 전문 분야에 관련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부문 (60) 은,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경보 및 보수 관리에 관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관리 부문 (70) 은, 각 주조 공장 (9) 의 고객 관리를 실시함과 함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가동 정보의 관리를 실시한다. 영업판매 부문 (80) 은, 주형 제조 장치 (10), 및 재료의 판매에 관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각 부문은, 각각 컴퓨터 (62, 72, 82) 를 갖는다. 각 컴퓨터는 인터넷 (5)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우드 (7) 에 액세스한다.
또한, 각 부문의 시스템 구성은, 여러 가지 고려되고,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서버나 퍼스널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스탭이 휴대하고 이용하는 휴대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전화기, 타블렛 단말,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해도 된다.
고객 유저의 사무소 (30) 의 유저 단말 (32) 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타블렛 단말,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휴대전화기, PHS, PDA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 단말 (32) 은, 인터넷 (5) 을 통하여 웹서버 (50) 에 접속된다.
각 주조 공장 (9) 은,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서비스 이용 개시 시에, 미리 유저 등록을 실시한다.
관리 서버 (40) 는, 또한, 유저마다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주조 공장 (9) 마다, 유저 정보를 등록한다.
웹서버 (50) 는,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를 웹사이트 (52) 에 구축하고, 각 유저가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로그인함으로써, 유저 전용 페이지에 액세스하고,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객 유저의 주형 제조 장치 (10) 와 주조 지원 장치 (100) 간은, 휴대전화 통신망 (3) 으로 직접 접속되고, 인터넷 (5) 등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가동 상황 등의 정보의 시큐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인터넷 (5) 을 경유한 주조 지원 장치 (100) 와 유저 단말 (32), 또는, 각 부문의 컴퓨터 간의 통신은, 유저 ID 와 패스워드에 의한 로그인 후에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점, 및 통신 시에 송수신하는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는 것 등에 의해, 시큐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주형 제조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주형 제조 장치 (10)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주형 제조 장치 (10) 는, 경화제 A 탱크 (110a), 경화제 B 탱크 (110b), 경화제 A 공급부 (112a), 경화제 B 공급부 (112b), 경화제 A 용 유량계 (116a), 경화제 B 용 유량계 (116b), 점결제 탱크 (120), 점결제 공급부 (122), 호퍼 (130), 사온 센서 (132), 혼련기 (140), 및 제어반 (142) 을 갖는다.
경화제 A 공급부 (112a), 경화제 B 공급부 (112b), 및 점결제 공급부 (122) 는, 컨트롤러 (20) 에 각각 접속되어, 경화제 및 점결제의 공급량을 제어 조건에 따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2 종류의 경화제 A 및 경화제 B 가 소정의 배합으로 경화제 A 탱크 (110a) 및 경화제 B 탱크 (110b) 로부터 배관 (114) 을 통하여 혼련기 (140) 에 공급된다.
경화제 A 용 유량계 (116a) 및 경화제 B 용 유량계 (116b) 는, 각 경화제 탱크 (경화제 A 탱크 (110a) 및 경화제 B 탱크 (110b)) 로부터 각 경화제 공급부 (경화제 A 공급부 (112a) 및 경화제 B 공급부 (112b)) 에 의해 공급되는 각 경화제의 유량을 배관 (114) 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이다. 경화제 A 용 유량계 (116a) 및 경화제 B 용 유량계 (116b) 는, 배관 (114) 의 외부로부터 배관 (114) 내를 흐르는 경화제 A 및 경화제 B 의 유량을 각각 계측하고, 컨트롤러 (20) 로 계측값을 송신한다.
각 유량계 (116) 로는, 전자식, 코리올리식, 초음파식, 소용돌이식 등, 여러 가지 측정 원리를 이용한 유량계를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초음파식의 클램프온식 유량계가 바람직하다.
클램프온식 유량계는, 다른 유량계, 예를 들어, 전자식 유량계나 코리올리식 유량계와 비교해, 저가격이다.
또, 클램프온식 유량계의 특징으로는 이하의 점을 들 수 있다.
(i) 외부로부터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 공사의 수고와 비용이 들지 않는다.
(ii) 장착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라인을 정지시키지 않고, 계측 정밀도가 양호한 장소로 조정할 수 있다.
(iii) 압력 손실이 없기 때문에, 생산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iv) 계측 대상인 재료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계측 대상인 재료가 부식성 액체 (산성, 알칼리성, 용제 등) 여도 계기에 악영향이 없다. 계측 대상인 재료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계기의 열화가 없고, 고정밀도로 안정적인 계측이 가능하다. 또, 분진 등이 액체에 혼입한 경우여도, 계기의 열화가 없고, 고정밀도로 안정적인 계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클램프온식 유량계를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배관 (114) 을 흐르는 경화제의 유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으므로, 유량의 계측값과 경화제의 공급량의 지시값 (즉, 탱크로부터 배관 (114) 에 경화제를 공급하는 펌프의 출력 지시값) 의 차분을 보정함으로써, 경화제를 보다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고, 주형의 경화 속도나 사용 가능 시간을 안정화할 수 있다.
클램프온식 유량계는,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므로, 다른 유량계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관점으로부터의 공급량의 감시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경화제의 공급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긴 스팬으로 서서히 유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거나 한 경우에, 이상의 전조로서 검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경화제 A 탱크 (110a) 및 경화제 B 탱크 (110b) 로부터 혼련기 (140) 에의 배관 (114) 의 외측에 경화제 A 용 유량계 (116a) 및 경화제 B 용 유량계 (116b) 가 각각 장착된다. 장착 방법은 여러 가지 고려되지만, 예를 들어, 먼저, 각 유량계 (116) 의 대좌를 배관 (114) 의 양측으로부터 배관 (114) 을 협지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대좌에 유량계 (116) 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배관 (114) 과 유량계 (116) 사이에는, 그리스 등의 접촉 매체를 개재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배관 (114) 에 그리스를 도포함으로써, 센싱면과 배관 (114) 표면의 밀착을 양호하게 하고, 초음파 신호의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유량계 (116) 를 장착하는 배관 (114) 은, 대략 연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배관 (114) 내의 기포에 의해 계측 정밀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각 유량계 (116) 는, 도 8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 (20) 로 계측값을 송신한다. 유량계 (116) 와 컨트롤러 (20) 간은, 아날로그 접속이어도 되고, 디지털 접속이어도 된다. 또, 유량계 (116) 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무선 통신부는, 예를 들어, 무선 LAN (Local Area Network), 또는 근거리 통신의 블루투스 (등록상표) 등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량계 (116) 는, 컨트롤러 (20) 로 계측값을 송신해도 되고, GW (14) 로 계측값을 송신해도 된다. 컨트롤러 (20) 를 경유하지 않고 GW (14) 로 직접 계측값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GW (14) 는, 미리 유량계 (116) 의 IP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와, 컨트롤러 (20) 의 식별 정보를 연결시켜 관리해 둔다.
계측값은, 축차, 또는, 정기적으로, 혹은, 수시 리퀘스트에 따라, 출력된다. 또, 각 유량계 (116) 는, 계측값을 소정 기간분 유지하는 메모리를 가져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통신 환경이 나빠진 경우에, 소정 기간분의 계측값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통신 환경이 양호해졌을 때에 송신할 수 있다.
경화제는, 점결제에 경화 반응을 일으키는 액상의 촉매이다. 점결제가 유기 자경성 수지인 경우, 경화제는, 황산, 인산, 유기 술폰산을 포함하는 산성의 경화 촉매로 산 강도와 산 농도를 조절하여 속경성 및 지경성의 것으로 분류되는 것이나, 가수분해도 및 상용성의 대소에 의해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점결제가 무기 자경성 수지인 경우, 경화제는, 가수분해도 및 상용성의 대소에 의해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호퍼 (130) 는, 규사 또는 인공사 등의 내화성 입자의 탱크이며, 혼련기 (140) 에 내화성 입자를 투입한다. 사온 센서 (132) 는, 호퍼 (130) 의 내화성 입자의 투입구 부근에 설치되고,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검출하고, 컨트롤러 (20) 로 사온을 송신한다.
내화성 입자로는, 예를 들어 규사, 지르콘, 크로마이트, 올리빈, 알루미나, 합성 멀라이트 등의 단독사 혹은 혼합사를 사용할 수 있고, 신사 (新砂) 및 재생사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재생사란 과거에 주형 재료로서 사용된 것을 재생한 내화성 입자이다.
혼련기 (140) 는, 내화성 입자와, 점결제와, 경화제를 혼련하고, 얻어진 혼련물을 프레임 (144) 에 흘려 넣는다. 혼련기 (140) 의 제어반 (142) 은, 컨트롤러 (20) 와 접속되고, 혼련기 (140) 의 교반 동작이 제어된다.
점결제 공급부 (122) 는, 점결제 탱크 (120) 로부터 점결제를 혼련기 (140) 에 투입한다. 점결제 탱크 (120) 로부터 혼련기 (140) 에 공급되는 점결제의 유량도, 유량계 (도시 생략) 에 의해 계측되고, 컨트롤러 (20) 로 송신되어도 된다. 점결제의 공급량은 컨트롤러 (20) 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 (20) 는, 유량계 (도시 생략) 에 의한 유량 계측값을 또한 사용하여 점결제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점결제로는, 예를 들어 산 경화성 수지인 푸란 수지, 페놀 수지나 에스테르 경화성 수지인 알칼리페놀 수지와 같은 유기 자경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또, 물유리 등의 무기 자경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제조 공정>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공장 (9) 에 있어서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주형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형 제조 공정은, 조형 공정 S1 과, 발형 공정 S2 와, 주탕 공정 S3 을 포함한다.
먼저, 조형 공정 S1 에서는, 규사 또는 인공사 등의 내화성 입자가, 호퍼 (130) 로부터 혼련기 (140) 에 투입된다. 혼련기 (140) 에는, 또한, 점결제와 경화제가 투입된다. 혼련기 (140) 에는, 제어반 (142) 이 설치되고, 혼련기 (140) 의 교반이 제어된다.
혼련기 (140) 에 투입되는 경화제는, 그 조성 및 공급량이, 컨트롤러 (20) 에 의해 조정된다. 예를 들어, 경화제는, 상이한 2 종류 이상이 사온에 따라 소정 배합비의 공급량으로 조정되어 공급된다. 사온 센서 (132) 는, 호퍼 (130) 의 출구 부근에 설치되고, 컨트롤러 (20) 는, 사온 센서 (132) 로부터 사온을 수신하여, 경화제의 조정 시에 제어 조건으로서 사용하거나, 사온을 감시하거나 한다. 또한, 컨트롤러 (20) 는, 제어반 (142) 의 신호도 수신하여, 혼련기 (140) 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경화제의 조성 및 공급량이란, 예를 들어, 경화제의 종류와, 배합비와, 공급량이다. 컨트롤러 (20) 에 의해, 예를 들어, 경화제 탱크로부터 배관 (114) 에 경화제를 공급하는 각 경화제 공급부 (112a, 112b) 의 출력량 (예를 들어, 펌프의 주파수 설정) 을 제어함으로써, 공급되는 경화제의 종류가 선택되고, 복수 종류의 경화제의 배합비, 각 경화제의 공급량 등이 조정된다.
혼련기 (140) 에서, 내화성 입자와, 점결제와, 경화제가 혼련된 혼련사가, 목형 등의 원형에 충전되고, 주형이 조형된다.
다음으로, 발형 공정 S2 에서는, 혼련사가 경화 후, 목형 등의 원형을 빼냄으로써, 주형이 제조된다 (도면에서는 상형만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제조된 주형은, 예를 들어, 상형, 하형, 중자 등을 조합하여 다음의 공정에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주탕 공정 S3 에서는, 상형, 하형, 중자 등을 형맞춤한 주형에 용융 금속을 주입한다. 그리고, 용융된 금속이 냉각되어, 고화한 후, 그것을 제품으로서 주형으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모래는 재생 처리되어, 다시 조형 공정 S1 에서 이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 (20) 의 기능 구성>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주형 제조 장치 (10) 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2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 는, 하드웨어 단위의 구성이 아니고,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러 (20) 는, 제어부 (152) 와, 공급량 취득부 (154) 와, 사온 취득부 (156) 와, 통신부 (158) 를 구비한다.
사온 취득부 (156) 는,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온 센서 (132) 로부터 사온을 수신한다.
공급량 취득부 (154) 는, 내화성 입자 및 점결제에 첨가되는 각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경화제 A 용 유량계 (116a) 및 경화제 B 용 유량계 (116b) 로부터 각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수신한다.
제어부 (152) 는, 내화성 입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사) 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푸란 수지, 알칼리페놀 수지) 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주조 공장 (9) 의 조건 (사온 등) 에 따라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화제는 2 종류의 경화제 A 및 경화제 B 를 소정의 배합비로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내화성 입자에 대해, 점결제와 2 개의 상이한 경화제 A, 경화제 B 를 첨가한다. 여기서는, 경화제 A 는 경화제 B 보다 산 농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고 있고, 경화제 B 보다 빠른 경화 속도를 갖는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152) 가, 사온에 따라, 2 종류의 경화제 A 및 B 의 배합비를 조정함으로써, 경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트롤러 (20) 의 입출력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은, 컨트롤러 (20) 의 입출력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의 입력 데이터 (160) 는, 사온 센서 (132) 로부터 수신한 사온, 도시되지 않은 온도계로부터 수신한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 도시되지 않은 습도계로부터 수신한 주조 공장 (9) 의 환경 습도, 외부 설정값, 및 내부 설정값을 포함한다. 이들 정보는, 각 값의 갱신 일시의 정보와 함께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 설정값이란, 예를 들어, 작업자가 현장에서 컨트롤러 (20) 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값이며, 이하에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a1) 주형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하는 경화 속도, 사용 가능 시간, 발형 시간
(a2) 사용하는 사종 (신사, 재생사, 특수사 등의 중에서 선택)
(a3) 요구하는 주형의 강도나 사종에 따라 변경되는 점결제의 첨가량 (많음 ∼ 적음까지 단계적으로 설정)
(a4) 경화제 공급부 (112) 의 펌프를 어느 주파수로 회전시키고, 일정 시간 각 경화제를 토출시켰을 때의 실제 토출량
(a5) 어느 일정 시간, 혼련기 (140) 를 가동시켰을 때의 모래의 중량 (모래 유량)
(a6) 경화 속도, 사용 가능 시간, 발형 시간의 보정 (빠름, 느림 등을 단계적으로 조정)
또, 내부 설정값이란, 예를 들어, 컨트롤러 (20) 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설정값이나 프로그램이다. 또, 내부 설정값은, ROM 의 재기록이나, 프로그램의 버전 업이나 변경 등에 의해 갱신할 수 있다. 혹은, 조작부를 사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변경되거나, 유저 단말 (32) 로부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변경되거나 해도 된다.
내부 설정값은, 예를 들어, 경화제의 종류나, 경화제 배합 패턴 등이다.
여기서, 경화제 배합 패턴으로는, 예를 들어, 사온, 온도,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경화제 A 와 경화제 B 의 배합비를 안티점결제에 대해 설정하는 경우이다.
또한, 도 6(b) 의 출력 데이터 (170) 는, 컨트롤러 (20) 에서 연산된 데이터나 컨트롤러 (20) 가 검지 또는 취득한 알람 등이다. 예를 들어, 출력 데이터 (170) 는, 경화제 설정값, 경화제 계측값, 점결제 첨가량 설정값, 점결제 첨가량 계측값, 설비 가동 정보, 알람 정보, 및 이상 정보를 포함한다. 이들 정보는, 각 값의 갱신 일시의 정보와 함께 기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화제 설정값이란, 컨트롤러 (20) 가 경화제 공급부 (112) 에 대해 지시한 값이며, 예를 들어, 경화제의 배합비, 토출량, 및 적산값을 포함한다. 경화제 계측값이란, 유량계 (116) 로부터 수신한 각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이다. 또한, 각 경화제의 계측값에 근거하여, 연산된 경화제의 배합비, 토출량, 및 적산값을 포함한다.
점결제 첨가량 설정값이란, 컨트롤러 (20) 에서 설정된 값으로부터 산출된 값이고, 컨트롤러 (20) 가 점결제 공급부 (122) 에 대해 지시한 값이며, 예를 들어, 점결제 첨가량, 토출량, 및 적산값을 포함한다. 점결제 첨가량 계측값은, 점결제용 유량계 (도시 생략) 로부터 컨트롤러 (20) 가 수신한 점결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이다.
또한,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계측값은, 유량계에 의한 계측값 대신에, 현장에서 작업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일정 시간당의 유량을 저울을 사용하여 실제로 계량한 검량값을 입력할 수 있어도 된다. 검량값의 입력 방법은, 현장에서 작업원이 컨트롤러 (20) 에 입력해도 되고, 고객이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소정의 화면이나 소정의 폼으로부터 입력해도 되고,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컴퓨터 (62) 를 사용하여 소정의 화면이나 소정의 폼으로부터 입력해도 된다. 주조 공장 (9) 의 현장에서 컨트롤러 (20) 에 입력된 값은,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통하여 관리 서버 (40) 로 송신된다. 또, 고객의 유저 단말 (32) 이나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컴퓨터 (62) 를 사용하여 입력된 값은, 인터넷 (5) 을 통하여 관리 서버 (40) 로 송신됨과 함께, 컨트롤러 (20) 의 설정값을 관리 서버 (40) 로부터 갱신할 수 있어도 된다.
설비 가동 정보는, 각 장치 (예를 들어, 혼련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20), 펌프) 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동작중, 정지중 등), 펌프의 토출 압력 (펌프로부터 수신한 계측값) 을 포함한다.
알람 정보는, 사온이 제 1 임계값 이상 (고온), 또는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제 2 임계값 이하 (저온), 혹은, 소정 범위 밖이 된 것을 검지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알람 정보는, 경화제 A, B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단독 사용 영역에 들어간 것을 검지하여 출력되어도 된다.
이상 정보는, 펌프, 센서 (사온, 온도, 또는 습도), 압력계, 컨트롤러 (20) 의 기반, 인버터 등으로부터 수신하는 이상 신호, 경화제 탱크 레벨계 이상 신호, 컨트롤러 (20) 의 응답 이상 (타임 아웃 등), 시퀀서 이상, 설정 이상 (예를 들어, 검량값이 낮은 경우 등) 등이 검지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20) 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2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 (20) 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 (20)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21) 와, 메모리 (22) 와, 스토리지 (23) 와, I/O (Input/Output) (24) 와, 통신 I/F (InterFace) (25) 와, 조작부 (도면 중, 「SW」(SWitch) 로 나타낸다) (26) 와, 표시부 (27) 를 갖는다.
CPU (21) 는, 컨트롤러 (20) 의 각 요소와 버스 (28) 를 통하여 접속되고, 각 요소와 함께 컨트롤러 (20) 전체를 제어한다. 스토리지 (23) 는, 예를 들어, ROM (Read Only Memory) 이며, 컨트롤러 (20) 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도시 생략) 이나, 그 프로그램이 동작할 때에 사용하는 각종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 (22) 는, 예를 들어, RAM (Random Access Memory) 이며, 프로그램이 동작하기 위한 작업 영역이나, 송수신 데이터를 일시적 기억하는 영역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 (22) 및 스토리지 (23) 는, 플래시 메모리나 디스크 드라이버 등, 다른 메모리나 스토리지 디바이스여도 된다.
I/O (24) 는, CPU (21) 와, 컨트롤러 (20) 내의 다른 요소 간, 또는, 컨트롤러 (20) 와 다른 장치 간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입출력 제어를 실시한다. 다른 장치란, 예를 들어, 컨트롤러 (20) 에 접속되는 제어반 (142), 사온 센서 (132), 유량계 (116a), 유량계 (116b) 등과, 이들 장치와 컨트롤러 (20) 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I/O (24) 는, 다른 기록 매체의 판독 또는 기록 장치 (도시 생략) 와의 데이터의 입출력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통신 I/F (25) 는, 컨트롤러 (20) 와 외부 장치의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용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I/F (25) 는, 유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 (20) 는, 통신 I/F (25) 에 의해 휴대전화 통신망 (3) 에 접속하여, 관리 서버 (40) 와 GW (14) 를 통하여 통신한다. 또는, 컨트롤러 (20) 가 직렬 접속인 경우에는, 다른 컨트롤러 (20) 와 통신한다.
조작부 (26) 는, 키, 버튼, 스위치, 다이얼 등을 포함한다. 조작부 (26) 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 (26) 의 조작을 접수하고, CPU (21) 에 통지한다. 표시부 (27) 는, LED (Light Emitting Diode) 표시기, 램프,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 (27) 는, CPU (21) 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표시기의 점등, 점멸, 또는 소등의 제어나 각종 표시를 실시한다.
상기 서술한 도 4 의 컨트롤러 (20) 의 각 구성 요소는, 도 7 의 컨트롤러 (20) 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CPU (21), 메모리 (22), 메모리 (22) 에 로드된 도 4 의 구성 요소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도시 생략), 그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스토리지 (23), 네트워크 접속용 인터페이스 (통신 I/F (25)) 를 중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그리고, 그 실현 방법, 장치에는 여러 가지 변형예가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점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 (20) 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컨트롤러 (20) (컨트롤러 A, B, C) 는, 유량계 (116a, 116b) 와, 통신 유닛 (GW (14)) 에 각각 접속된다.
컨트롤러 (20) 와 유량계 (116) 는, 도시되지 않은 유량계 감시반을 경유하여 접속되어도 된다. 또, 컨트롤러 (20) 와 GW (14) 의 접속 방법은,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 의 예가 고려된다. 도 8(a) 의 예에서는, 복수의 컨트롤러 (20) 와 GW (14) 는, 병렬로 접속된다. 도 8(b) 의 예에서는, 복수의 컨트롤러 (20) 와 GW (14) 는, 직렬로 접속된다.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기능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 는, 하드웨어 단위의 구성이 아니고,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수신부 (102) 와, 정보 축적부 (104) 와, 제공부 (106) 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 (102), 정보 축적부 (104) 는, 도 1 의 관리 서버 (40) 에 의해 구성되고, 제공부 (106) 는, 도 1 의 웹서버 (50) 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관리 서버 (40) 와 웹서버 (50) 의 기능 분담은 일례이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부 (102) 는, 각 주조 공장 (9) 의 컨트롤러 (20) 로부터, 적어도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 및 사온 정보를 포함하는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정보를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통하여 수신한다.
정보 축적부 (104) 는, 수신부 (102) 가 수신한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42) 에 축적한다.
제공부 (106) 는, 고객 유저의 유저 단말 (32) 로부터 인터넷 (5) 을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고객 전용의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웹페이지에서는, 주조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브라우저 또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고객 전용의 웹사이트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에 액세스함으로써, 고객 전용의 웹페이지를 열고, 열람할 수 있다.
도 10 은, 주조 지원 장치 (100) (웹서버 (50)) 가 유저 단말 (32) 에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그인 화면 (200) 에서, 미리 유저 등록한 유저 ID 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면, 고객 전용의 웹사이트의 탑 페이지에 메뉴 (210) 가 표시된다. 또한, 메뉴 (210) 로부터, 예를 들어, 가동 관리 화면 (220), 경보·보수 관리 화면 (230), 및 재료 관리 화면 (240) 으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서는, 제공부 (106) 는, 고객용의 웹사이트와는 별도로, 시스템 관리자 전용의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관리자 측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브라우저 또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관리자 전용의 웹사이트의 URL 에 액세스함으로써, 관리자 전용의 웹페이지를 열고, 열람할 수 있다.
관리자 전용의 웹페이지에서는, 로그인 화면 (200), 메뉴 (210), 가동 관리 화면 (220), 경보·보수 관리 화면 (230), 및 재료 관리 화면 (240) 에 부가하여, 고객 관리 화면 (250),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화면 (260)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관리자용 메뉴 (270)) 을 열람할 수 있다.
도 11 은, 주조 지원 장치 (100) 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메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는, 관리자용 메뉴 (270) 의 예이고, 도 11(b) 는, 고객 유저용 메뉴 (210) 의 예이다.
고객 유저용 메뉴 (210) 는, 고객 유저에의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행하는 알림 일람과, 설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행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각 메뉴는, 상기 서술한 가동 관리 화면 (220) (설비마다, 설비 상세, 리얼 타임) 과 경보·보수 관리 화면 (230) (메인터넌스 이력 보존, 메일 송신) 에 대응한다.
관리자용 메뉴 (270) 는, 고객 유저용 메뉴 (210) 에 부가하여, 추가로, 고객 정보를 검색하는 손님 설비 검색 메뉴, 공장별 설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메뉴, 마스터 데이터의 관리 메뉴 등을 포함한다. 마스터 데이터의 관리 메뉴는, 추가로, 고객 유저의 정보를 등록하는 메뉴, 설비 정보를 등록하는 메뉴, 컨트롤러 (20), 유저 단말 (32) (모니터링 단말이라고도 부른다) 의 통신 로그를 표시하는 메뉴, 알림 등록 메뉴, 및 운영자 등록 메뉴를 포함한다.
알림 등록 메뉴에서는, 시스템의 관리자가 입력한 고객 유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접수하여 등록하거나, 등록된 알림 정보의 수정을 접수하여 갱신하거나, 등록된 알림 정보의 삭제 지시를 접수하여 삭제한다. 복수의 고객 유저의 모두 또는 일부에 공통의 알림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고, 특정 고객 유저에만 알림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알림 정보의 제공 대상이 되는 고객 유저의 식별 정보를 연결시켜 등록하고, 제공부 (106) 는, 고객 유저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알림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 단말 (32) 에서는, 대응하는 알림만을 열람할 수 있다.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동작>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컨트롤러 (20) 에 있어서, 사온 취득부 (156) 가, 호퍼 (130) 의 출구 부근의 사온의 계측값을 사온 센서 (132) 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11). 그리고, 공급량 취득부 (154) 가, 각 유량계 (116) 로부터 경화제 A 및 경화제 B 의 유량의 계측값을 수신한다 (스텝 S12). 그리고, 제어부 (152) 가, 사온에 따라, 경화제 A 와 경화제 B 의 배합비 및 공급량을 조정한다 (스텝 S13).
관리 서버 (40) 에 있어서, 수신부 (102) 는,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컨트롤러 (20) 로부터,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경유하여 상기 서술한 입출력 데이터의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21). 수신 데이터에는, 각 주조 공장 (9) 의 공장 ID, 각 컨트롤러 (20) 의 장치 ID, 및 송신 일시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수신부 (102) 에 의한 데이터 수신의 타이밍은, 한정되지 않지만, 알람 등의 정보를 관리 서버 (40) 측에서 빠르게 검지할 수 있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어, 1 분마다, 5 분마다 등으로 정기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수신 주기의 설정은, 감시 대상이 되는 설비, 장치, 기기, 및 부품의 종류나 사양, 알람의 중요도나 긴급성, 고객의 니즈 등에 따라, 고객 유저 또는 시스템 관리자가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알람 이외의 정보와 상이한 짧은 주기로 알람 등에 관련된 정보만을 수신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 (20) 의 스토리지 (23) 의 기억 용량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용량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용량 오버가 되기 전에 관리 서버 (40) 로 송신할 필요가 있다. 또, 관리 서버 (40) 측으로부터, 컨트롤러 (20) 에 대해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해도 되고, 컨트롤러 (20) 로부터 관리 서버 (40) 에 대해 자발적으로 송신해도 된다.
정보 축적부 (104) 는, 각 주조 공장 (9) 의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 (42) 에 격납한다 (스텝 S22). 여기서, 복수의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 (42) 에 각 주조 공장 (9) 의 공장 ID, 각 컨트롤러 (20) 의 장치 ID, 및 송신 일시 등의 정보에 대응시켜 격납된다. 그리고, 각 데이터는, 주조 공장 (9) 마다 연산, 분석, 감시 등에 이용된다. 또, 다른 주조 공장 (9) 의 정보 기밀 부분은 비공개 상태에서, 통계 처리나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1 개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기초가 되는 정보량이 증가하여, 정밀도가 향상되고, 신뢰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제공부 (106) 는, 여러 가지 정보 및 서비스를 고객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웹사이트 (52) 에 격납한다. 예를 들어, 제공부 (106) 는, 가동 상황 및 설비 관리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텝 S23). 혹은, 제공부 (106) 는, 주조 공장 (9) 의 경보 및 보수 관리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텝 S24). 혹은, 제공부 (106) 는, 주형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 관리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텝 S25). 스텝 S23 ∼ 스텝 S25 의 처리는, 순서대로 처리되지 않고, 고객 유저의 요구에 따라 수시 실행할 수 있다. 스텝 S23, 스텝 S24 등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고객 유저가,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스텝 S41). 그리고,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서비스 전용의 URL 을 입력하면, 로그인 페이지가 열린다. 그리고, 유저 단말 (32) 로부터 고객 유저가 유저 ID 및 패스워드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면 (스텝 S42), 웹서버 (50) 가 수신하고, 수신한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31).
인증 후에, 제공부 (106) 가, 고객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의 열람을 허가하면 (스텝 S32), 고객 유저는,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웹페이지를 열람한다 (스텝 S43). 또, 제공부 (106) 는, 미리 지정된 고객 유저의 메일 어드레스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메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스텝 S33). 고객 유저는, 유저 단말 (32) 등을 사용하여, 메일을 수신한다 (스텝 S44).
메일 송수신 기능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또한, 스텝 S41 ∼ 스텝 S44 의 고객 유저의 유저 단말 (32) 의 순서는, 시스템 측의 각 부문 (메인터넌스 부문 (60), 관리 부문 (70), 및 영업판매 부문 (80)) 의 각 컴퓨터 (62, 72, 및 82) 등의 오퍼레이터 단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각 컴퓨터 (62, 72, 및 82) 를 사용하여, 각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가,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스텝 S41). 그리고,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서비스 전용의 URL 을 입력하면, 로그인 페이지가 열린다. 그리고, 각 컴퓨터 (62, 72, 및 82) 로부터 각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가 유저 ID 및 패스워드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면 (스텝 S42), 웹서버 (50) 가 수신하고, 수신한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인증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31).
인증 후에, 제공부 (106) 가, 각 부문 전용의 웹페이지의 열람을 허가하면 (스텝 S32), 각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는, 각 컴퓨터 (62, 72, 및 82) 를 사용하여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웹페이지를 열람한다 (스텝 S43). 또, 제공부 (106) 는, 미리 지정된 각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의 메일 어드레스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메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스텝 S33). 각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는, 각 컴퓨터 (62, 72, 및 82) 등을 사용하여, 메일을 수신한다 (스텝 S44).
이와 같이 하여, 각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는, 각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문의 전문가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문의 전문가는, 각각 전문적 지식에 근거한 어드바이스나 지침을 작성하고, 각 주조 공장 (9) 또는 소정의 주조 공장 (9) 군에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FAQ 정보 등을 편집하여 등록하고, 제공부 (106) 가 웹페이지 상에서 공개하거나, 메일을 작성하여 고객 유저에게 송신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제공부 (106) 가, 작성된 어드바이스나 지침을, 주조 공장 (9) 의 고객 유저뿐만 아니라 각 부문 내의 기술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고, 이로써, 각 부문의 기술자가, 주조 공장 (9) 의 고객 유저에게 또한 어드바이스나 지침을 작성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입장의 복수의 유저가 클라우드 (7) 의 웹서버 (50) 에 액세스함으로써, 공개되어 있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서로의 전문적인 지식에 근거한 정보 교환을 활발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 의하면,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컨트롤러 (20) 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경유하여 시큐리티를 유지하면서 수집하여 관리 서버 (40) (주조 지원 장치 (100)) 에 축적할 수 있다. 각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신한 각 데이터는, 주조 공장 (9) 마다 연산, 분석, 감시 등에 이용된다.
이로써, 복수의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관리 서버 (40) 가 익명화하여 분석하고, 공정 관리, 설비 관리, 재료 관리, 보수 점검, 고장 예측, 감시 등의 여러 가지 액션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인터넷 (5) 을 통하여 클라우드 (7) 에 액세스하고 있는 주조 공장 (9) 및 시스템 측에 리얼 타임으로 및 수시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7) 상의 웹서버 (50) 에 인터넷 (5) 을 통하여 액세스하는 것만으로, 주조 공장 (9) 의 현장뿐만 아니라, 사무소 등으로부터도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어, 복수의 사람들 간에서 정보를 리얼 타임으로 및 수시 공유할 수 있다. 이로써, 주형 제조 장치 (10) 의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사무소 (30) 로부터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상황을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메일에 의한 통지도 수취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주형 제조 공정의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웹서버 (50) 에 인터넷 (5) 을 통하여, 시스템 측의 복수의 부문 (메인터넌스 부문 (60), 관리 부문 (70), 및 영업판매 부문 (80)) 으로부터, 정보를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문의 스탭이나 전문가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전문적 지식에 근거한 어드바이스나 지침을 작성하여, 각 주조 공장 (9) 또는 소정의 주조 공장 (9) 군에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부문 내에서도 복수의 유저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입장의 복수의 유저가 클라우드 (7) 의 웹서버 (50) 에 액세스함으로써, 공개되어 있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서로의 전문적인 지식에 근거한 정보 교환을 활발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주조 공장 (9) 의 정보 기밀 부분은 비공개 상태에서, 통계 처리나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기초가 되는 정보량이 증가하여, 정밀도가 향상되고, 신뢰성도 향상된다. 이와 같이, 주조 공장 (9) 마다 독자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노하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정보를 다른 복수의 주조 공장 (9) 간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클램프온식 유량계를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배관 (114) 을 흐르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유량의 차분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으므로, 유량의 계측값과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공급량의 지시값 (즉, 탱크로부터 배관 (114) 으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펌프의 출력 지시값) 의 차분의 연산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화제의 공급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긴 스팬으로 서서히 유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거나 한 경우에, 이상의 전조로서 검지하는 것도 가능해져, 다른 유량계를 사용하는 경우와는 상이한 관점에서의 공급량의 감시가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가동 정보 관리>
도 13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가동 상황 및 설비 관리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동 관리부 (410) 를 추가로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부 (동작 상태 취득부) (102) 는, 각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가동 관리부 (410) 는, 취득한 동작 상태 정보 및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기초로,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적산하고,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부 (106) 에 의해 유저 단말 (32) 등에 인터넷 (5) 을 통하여 제공한다.
동작 상태 정보란, 예를 들어, 주조 공장 (9) 의 각 설비 (주형 제조 장치 (10), 컨트롤러 (20), 혼련기 (140), 각 경화제의 탱크의 펌프 등) 의 전원 투입 시각, 전원 절단 시각, 통전중, 운전중, 대기중, 일시정지중, 정지중, 긴급정지중 등을 포함하는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컨트롤러 (20) 가 검지한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 (사온 경보 (상한 또는 하한), 펌프의 이상, 설정 이상, 비상 정지 등) 를 포함한다.
도 14 는, 가동 관리 화면 (220) 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가동 관리부 (410) 는, 이하의 화면에 의해, 고객 유저에게 가동 상황 및 설비 관리에 관한 정보를 가동 관리 화면 (220) 에 의해 제공한다.
가동 관리 화면 (220) 은, 일간 설비 일람 (221), 월간 설비 일람 (222), 연간 설비 일람 (223), 가동 상세 일보 (224), 가동 상세 월보 (225), 가동 상세 연보 (226), 및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을 포함한다.
설비 일람 및 가동 상세는, 일마다, 월마다, 연마다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5 ∼ 도 17 은, 가동 상세 월보 (225) 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 는, 어느 설비의 월마다의 가동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가동 정보는, 그 설비의 가동 시간, 사온의 최저값/최고값/평균값, 추정 모래량, 점결제 사용량, 점결제의 첨가 비율 (모래량에 대한), 각 경화제의 첨가량, 각 경화제의 첨가 비율 (모래량에 대한)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일례이며,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 관리부 (410) 는, 수신부 (102) 가 수신한 컨트롤러 (20) 의 데이터를 기초로, 가동 관리 화면 (220) 에 표시되는 각 값을 산출하고, 가동 정보 기억부 (412) 에 격납한다. 가동 관리 화면 (220) 에는, 가동 정보 기억부 (412) 로부터 데이터가 판독 출력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가동 관리부 (410) 는, 설비마다 장치 (예를 들어, 혼련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20) 나 펌프) 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동작중, 정지중) 등을 시각 정보와 함께 취득하고, 각 설비의 가동 시간을 산출하고, 단위 시간 (1 시간, 1 일, 1 월) 마다 적산하여 구하여 가동 정보 기억부 (412) 에 격납한다. 각 값은, 일보, 월보, 연보 등의 표시에 사용된다.
또한, 가동 관리부 (410) 는, 설비마다 경화제나 점결제의 유량 계측값을 시각 정보와 함께 취득하고, 각 설비의 경화제와 점결제의 적산 사용량을 단위 시간 (1 시간, 1 일, 1 월) 마다 적산하여 구하여 가동 정보 기억부 (412) 에 격납한다. 각 값은, 일보, 월보, 연보 등의 표시에 사용된다.
도 16 및 도 17 은, 어느 설비의 월마다의 가동 정보가, 그래프화되어 표시된 것이다. 도 16 은, 가동 시간과, 점결제 적산값과, 각 경화제의 적산값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화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a) 는, 사온의 월간 추이 그래프를 나타내는 화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b) 는, 경화제량의 월간 추이 그래프를 나타내는 화면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온이나 경화제량의 추이 그래프는, 일마다, 월마다, 연마다의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사온은, 단위 시간마다 (1 시간, 1 일, 1 월) 의 평균값과,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 경화제량은, 종류마다 계측값이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도 17(b) 의 월보의 예에서는, 반월을 단위 시간으로 하여 달의 전반과 후반마다, 1 일 적산값의 평균값을 산출함과 함께, 또한, 달의 전반과 후반 중의 각 일의 1 일 적산값 중에서 최고값과 최저값을 각각 구하고, 그래프화한다.
도 18 은,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컨트롤러 (20) 의 반면 (盤面) 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과,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한 값의 일람이 표시된다. 화면 표시는 정기적으로 갱신 표시된다. 또, 표시 갱신 버튼 (228) 의 압하에 의해 수시 갱신할 수도 있다. 도 18 의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은, 도 6 의 컨트롤러 (20) 의 입출력 데이터를 수신부 (102) 가 수신하고, 컨트롤러 (20) 의 반면을 모식도화한 화상에, 표시기의 각 값이나 스위치의 설정을 묘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한 각 값을 일람표로 하여 표시해도 된다. 수신부 (102) 가, 컨트롤러 (20) 에 최신의 데이터를 요구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해도 되고, 이미 수신부 (102) 가 수신하고, 가동 정보 기억부 (412) 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최신의 것으로 갱신해도 된다.
또한, 가동 관리부 (410) 가 복수의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집한 가동 정보를 축적하고, 익명화한 후에 시스템 측의 각 부문이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각 부문의 컴퓨터로부터 열람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각 부문은, 이들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각도로부터 주형 제조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하거나, 고객에게 서비스 향상의 제안을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 의하면, 가동 관리부 (410) 가, 각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가동 정보를 수신하고, 적산값 등을 산출하고, 일람표 또는 그래프화하여 화면 표시하거나, 인자 출력하거나 하므로, 현장에 나갈 필요가 없고, 사무소 (30) 에서 가동 상황 등을 알 수 있다. 또, 가동 상황의 리얼 타임의 정보를 보는 것도, 과거의 실적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양호하다.
복수의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집한 가동 정보를 축적하고, 익명화한 후에 시스템 측의 각 부문이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고객뿐만 아니라, 시스템 측의 각 부문 간에서도 공유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로부터 주형 제조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하거나, 고객에게 서비스 향상의 제안을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고객 관리>
도 19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고객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 (430) 를 추가로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이 기능은, 고객 유저용이 아니라,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관리자용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객 관리부 (430) 는, 주조 공장 (9) 마다, 수신하는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주조 공장 (9) 마다, 제공부 (106) 에 의해 유저 단말 (32) 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한다.
도 20 은, 고객 관리 화면 (250) 의 시스템 도입처 일람 화면 (251) 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스템 도입처 일람 화면 (251) 은, 본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고객의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시스템 도입처 일람 화면 (251) 의 화면은, 이하의 마스터 정보 (300) 의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도 21 은,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마스터 정보 (300) 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스터 정보 (300) 는, 회사 마스터 (310), 공장 마스터 (320), 설비 마스터 (330), 장치 마스터 (340), 유저 마스터 (350), 유저 설비 마스터 (360) 를 포함한다.
회사 마스터 (310) 는, 회사의 식별 정보 (회사 ID) 와 회사명을 포함한다. 공장 마스터 (320) 는, 각 회사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이며, 회사 ID 와, 공장의 식별 정보 (공장 ID) 와, 공장명과, 공장 소재지의 정보 (예를 들어, 우편 번호, 도도부현 (都道府縣) 명, 구시정촌 (區市町村) 명, 주소 정보, 에어리어 코드 등) 등을 포함한다. 설비 마스터 (330) 는, 각 주조 공장 (9) 의 설비의 정보이며, 회사 ID 와, 공장 ID 와, 설비의 식별 정보 (설비 ID) 와, 설비명과, 설비 정보와, 컨트롤러 (20) 의 식별 정보 (장치 ID) 등을 포함한다. 장치 마스터 (340) 는, 컨트롤러 (20) 의 정보이며, 장치 ID 와, 모델 번호명을 포함한다. 유저 마스터 (350) 는, 고객 유저의 정보이며, 유저의 식별 정보 (유저 ID) 와, 로그인 인증에 사용하는 패스워드와, 유저 권한 레벨과, 회사 ID 와, 메일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유저 설비 마스터 (360) 는, 유저 ID, 회사 ID, 공장 ID, 설비 ID 를 연결시키고 있다.
회사 마스터 (310) 와 공장 마스터 (320) 는, 회사 ID 로 연결되어 있다. 공장 마스터 (320) 와 설비 마스터 (330) 는, 회사 ID 및 공장 ID 로 연결되어 있다. 유저 마스터 (350) 와 유저 설비 마스터 (360) 는, 유저 ID 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유저 마스터 (350) 의 권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고객 유저는,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서비스 이용 시에, 주조 지원 시스템 (1) 으로 송신하는 정보의 종류와 범위, 및 주조 지원 시스템 (1) 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와 범위를 선택하고,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조 지원 시스템 (1) 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제공을 받을 수 있는 정보 및 서비스의 종류나 범위가 결정되어도 된다.
단순한 예로는, 주조 지원 시스템 (1) 으로 송신한 정보의 모두를 공개할지, 또는 비공개로 할지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혹은, 정보의 종류마다, 공개/비공개의 설정이 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공개의 경우에는, 모든 메뉴를 이용할 수 있지만, 비공개의 경우에는, 경보·보수 관리 기능만 이용할 수 있고, 가동 관리 기능 및 재료 관리 기능은 이용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혹은, 예를 들어, 가동 관리 기능 중,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만 이용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 의하면, 고객마다 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공개 레벨에 따라, 고객에 제공되는 정보나 서비스의 종류나 범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많은 정보를 제공 및 공개하고 있는 고객에 대해, 보다 양호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등도 가능해진다. 이로써, 정보 수집률이 향상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그들 정보를 기초로 산출 또는 분석되는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주조 공장 (9) 의 정보 기밀 부분은 비공개 상태에서, 통계 처리나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만이 아니라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기초가 되는 정보량이 증가하여, 정밀도가 향상되고, 신뢰성도 향상된다. 이와 같이, 주조 공장 (9) 마다 독자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노하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다른 복수의 주조 공장 (9) 간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공유하여 유효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형태)
<경보·보수 관리>
도 22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경보 및 보수 정보를 관리하는 보수 관리부 (420) 를 추가로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는, 또한,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로부터 취득한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 (9) 의 유저 단말 (32) 에 통보하는 통보부 (도시 생략) 를 갖는다.
통보부는, 알람이 발생한 경보 발생 일시, 설비명, 설비 모델 번호, 경보의 종류나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에러 코드 등), 및 경보 발생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통지한다.
통보부가 고객 유저에게 알람의 발생을 통보하는 방법은, 이하에 예시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하를 복수 조합하여도 된다.
(b1) 유저 단말 (32) 이 액세스하는 웹페이지의 화면에 알람이 발생한 것을 통보하는 정보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설비 일람 화면에 알람의 발생을 통지하는 아이콘 등의 화상을 묘화하거나,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해도 된다. 점멸 표시, 색변환, 애니메이션 또는 3D 표시 등의 강조 표시에 의해, 유저가 주목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팝업 표시로 별도 윈도우를 열어 통보해도 된다.
(b2) 알람 발생을 통지하는 음성 또는 알람음을 유저 단말 (32) 의 음성 출력부 (도시 생략) 로부터 출력한다.
(b3) 휴대전화기나 스마트 폰 등의 유저 단말 (32) 의 진동부 (도시 생략) 를 진동시켜 통보한다.
(b4) 고객 유저가 미리 지정한 메일 어드레스에 알람이 발생한 것을 통보하는 정보를 기재한 메일을 송신한다.
(b5) 유저 단말 (32) 의 LED 표시기 등 (도시 생략) 을 소정의 색이나 소정의 점멸 또는 점등 표시 패턴으로 표시시킴으로써, 소정의 알람이 발생한 것을 통보한다.
도 23 은, 경보·보수 관리 화면 (230) 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이하의 화면에 의해, 고객 유저에게 주형 제조 장치 (10) 에 있어서의 각종 경보 및 이상에 관한 정보나, 보수 점검에 관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보·보수 관리 화면 (230) 은, 경보 이력 (231), 이상 시 FAQ (232), 메인터넌스 기록 (233), 메인터넌스 이력 (234), 교환 시기 정보 (235), 및 고장 전조 (236) 중 어느 1 기능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이력 (231) 은, 예를 들어, 주조 공장 (9) 마다, 경보 발생 일시, 설비명, 설비 모델 번호, 경보의 종류나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에러 코드 등), 및 경보 발생 장소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기간을 지정한 일람 표시에서, 화면 표시 또는 인자 출력이 가능해도 된다. 또, 항목을 지정한 범위 축소, 소트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어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의 통보부는, 수신부 (102) 가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컨트롤러 (20) 로부터 정기적 또는 수시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경보 이력 (231) 의 정보를 생성한다. 보수 관리부 (420) 는, 도 6 의 출력 데이터 (170) 의 알람 정보 및 이상 정보 등, 직접적으로 경보 발생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보 또는 이상 발생의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사온, 기온, 습도, 경화제 유량 계측값, 설비 가동 정보 등의 정보를 감시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경보 또는 이상 발생의 유무를 검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하는 사온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온이 소정의 범위 밖이 된 경우 (도면 중, 동그라미로 둘러싼 지점), 보수 관리부 (420) 는, 알람 발생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도 24 와 같이, 알람이 발생한 지점을 동그라미로 둘러싸는 화상을 묘화하는, 또한, 그 화상을 점멸 표시하는 등, 시각적으로 알람의 발생을 인식하기 쉬운 방법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 유량 계측값에 근거하여, 배관 경로 내의 스트레이너의 막힘, 펌프의 열화 등의 이상을 검지할 수도 있다.
이상 시 FAQ (232) 는, 발생한 경보에 대해, 고려되는 원인과 대책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보수 관리부 (420) 는, 예를 들어, 경보 이력 (231) 의 화면의 일람 표시 중에서, 레코드를 고객 유저가 지정하면, 접수한 레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 (설비명, 모델 번호, 경보의 종류, 에러 코드, 발생 장소 등) 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FAQ 정보를 FAQ 정보 기억부 (422) 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FAQ 를 기초로 이상 시 FAQ (232) 를 표시한다.
FAQ 정보 기억부 (422) 는, 주조 지원 장치 (100) 가 액세스 가능한 기억 장치이면,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내부 및 외부 중 어디에 있어도 된다. FAQ 정보 기억부 (422) 는, 도 1 의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 의해 관리되어도 되고,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관리자에 의해 컴퓨터 (62) 를 사용하여 갱신되어도 된다.
또, 이상 시 FAQ (232) 는, 경보 이력 (231) 화면 이외의 화면이나 메뉴로부터 열람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수집하여,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서 참조할 수도 있다. 다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많은 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FAQ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기술자가, 각 주조 공장 (9) 의 현장에 나가 대처한 보수 점검이나 고장 대응 등에 관한 정보, 혹은, 각 주조 공장 (9) 의 작업원이나 관리자로부터 청취한 정보, 또는, 각 주조 공장 (9) 에서 후술하는 메인터넌스 기록 화면 (233) 으로부터 입력된 정보, 혹은, 설비나 기기에 대해, 사양, 규격, 매뉴얼, 보수 점검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 정보를 통합하여, 사상과 대처법의 FAQ 정보를 작성하여 입력해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는, 입력된 FAQ 정보를 접수하고, FAQ 정보 기억부 (422) 에 격납한다.
이로써, 많은 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FAQ 정보를 구축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고장이나 보수 점검에 관한, 질문, 또한, 대처 정보 (노하우) 등을 각 고객 유저에 입력시키는 편집 화면을 갖고, 편집 화면에서 접수한 내용을 관리 서버 (40) 로 송신해도 된다. 고객 유저의 유저 단말 (32) 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유저 발신의 정보로서 FAQ 정보 기억부 (422) 에 축적된다. 또한, 고객 유저로부터 보내진 질문에 대해서는, 시스템 측의 각 부문의 엑스퍼트가 회답을 작성하고, 편집 화면에 입력하여 접수하고, FAQ 정보 기억부 (422) 에 축적된다. 또, 질문에 대한 회답은, 지정되어 있는 고객 유저의 메일 어드레스로 메일에 의해 직접 회신되어도 된다. 또, 고객 유저로부터 보내진 대처 정보에 관해서도, 시스템 측의 각 부문의 엑스퍼트가 내용을 검증하고, 편집 화면에서 내용을 수정 또는 가필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노하우에 관한 정보는, 고객 유저 (주조 공장 (9)) 내에서만 공유 가능하거나, 다른 유저 (다른 주조 공장 (9)) 에 제공 가능한지를 지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고객 유저 내만에서 공유 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주조 공장 (9) 에 그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1 주조 공장 (9) 내에서, 복수의 작업원 사이에서만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지금까지는, 숙련된 작업원이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던 노하우를, 동일한 주조 공장 (9) 내의 복수의 작업원 또는 관리자에 의해 공유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이들 정보의 공유 설정은, 상기 서술한 고객의 권한과 연동한 설정이어도 되고,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도 된다.
메인터넌스 기록 화면 (233) 은,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부위, 부위별 증상 또는 수치, 메인터넌스 내용 (예를 들어, 부품 교환, 조정, 경과 관찰 등)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고객 유저는, 이 화면으로부터 메인터넌스 기록을 실시할 수 있다. 보수 관리부 (420) 는, 메인터넌스 기록 (233) 의 화면에서 접수한 정보를 제공부 (106) 를 통하여 각 유저 단말 (32) 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메인터넌스 정보는, 메인터넌스 기록 축적부 (423) 에 격납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고객 유저가 아니고,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기술자나 스탭이 컴퓨터 (62) 를 사용하여 메인터넌스 기록 (233) 의 화면으로부터 메인터넌스 기록을 입력해도 된다.
메인터넌스 이력 (234) 은, 메인터넌스 기록 (233) 의 화면으로부터 기록되고, 축적된 메인터넌스 기록을, 예를 들어, 기간을 지정한 일람 표시로, 화면 표시 또는 인자 출력할 수 있어도 된다. 또, 항목을 지정한 범위 축소, 소트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FAQ 정보 기억부 (422) 나 메인터넌스 기록 축적부 (423) 의 정보에는, 설비 (펌프, 혼련기, 전원 등) 나 기기나 계기 (유량계 등) 나 부품 (밸브 등) 의 종류나 모델 번호, 사용하고 있는 컨트롤러 (20) 의 모델 번호나 프로그래밍의 버전, 재료의 종류, 주조 공장 (9) 의 거소 지역, 제조하고 있는 제품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의 속성 정보에 연결시켜 격납되어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는, 고객 유저의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FAQ 정보 기억부 (422) 또는 메인터넌스 기록 축적부 (423) 로부터 추출하고, 당해 고객 유저에게 제공하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소정의 속성 또는 복수의 속성의 조합에 적합한 고객 유저를 그룹화하고, 특정 그룹의 고객 유저에게, 당해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FAQ 정보 기억부 (422) 또는 메인터넌스 기록 축적부 (423) 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룹마다 열람 가능한 정보 제공 웹페이지를 설치해도 되고, 동일 그룹 내의 각 고객 유저에 동일한 웹페이지를 각각 설치해도 된다. 혹은, 동일 그룹의 각 고객 유저에 정보 제공의 메일을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느 부품의 문제 정보 등을, 그 부품을 이용하고 있는 모든 고객 유저에게 일괄로 메일 송신해도 된다.
또, 고객 유저가, 얻고 싶은 정보의 속성을 지정하고, 지정된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FAQ 정보 기억부 (422) 또는 메인터넌스 기록 축적부 (423) 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는,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마다, 소모 부품 및 검량이 필요한 기기의 정보를 고객 유저 또는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작업자에 의해 메인터넌스 기록 축적부 (423) 에 미리 등록한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미리 설정된 소모 부품 및 기기마다 교환 또는 검량 사이클에 따라, 교환 시기 또는 검량 예정일, 및 교환일 또는 전회 검량일 등으로부터의 경과일수를 산출한다. 이들 정보는, 교환 시기 정보 (235) 로 화면 표시 또는 인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교환 시기 또는 검량 예정일의 통지를 미리 지정된 메일 어드레스에 메일 송신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통지는, 고객 유저에 의해 미리 지정된 일수 및 횟수로, 교환 시기 또는 검량 예정일보다 전에 송신된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메인터넌스 부문 (60) 등에 의한 주조 공장 (9) 에의 순회 스케줄의 제안 및 예약의 접수 등을 실시하는 기능을 포함해도 된다. 이들 기능도, 교환 시기 정보 (235) 로 화면 표시할 수 있어도 된다. 또, 보수 관리부 (420) 는, 순회 스케줄의 제안이나 예약 접수 시에는, 고객 유저 지정의 메일 어드레스에 통지 수령을 메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보수 관리부 (420) 는,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예측부 (도시 생략) 와, 메인터넌스 시기를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부 (도시 생략) 를 가져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의 예측부는,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컨트롤러 (20) 및 기기 고장의 전조를 검지하고, 검지한 고장 지점을 추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고장 전조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데이터 (160) 및 출력 데이터 (170) 를 기초로 분석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수 관리부 (420) 는, 예를 들어,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하는 가동 시간의 적산값과, 밸브나 펌프 등의 내구 사용 기간의 정보에 근거하여, 이들의 교환 또는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하는 유량 계측값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감시하고, 고장 전조의 검지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량 계측값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긴 스팬으로 서서히 유량이 감소하거나 증가하거나 한 경우에, 이상의 전조로서 검지해도 된다.
보수 관리부 (420) 의 통지부는, 고장 전조의 정보를, 고장 전조 (236) 의 화면에 표시하여, 고객 유저에게 통지한다. 또, 보수 관리부 (420) 의 통지부는, 검지한 고장 전조에 관한 정보를, 고객 유저 지정의 메일 어드레스에 메일 송신해도 된다.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기초로, 각 주조 공장 (9) 의 순회나 메인터넌스의 스케줄을 사전에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기능을 가져도 되고, 메인터넌스의 작업원의 스케줄과, 부품의 조달 스케줄과, 고객 유저의 스케줄 등을 조합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화면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메인터넌스 예정의 조정을 실시하고, 스케줄을 결정하고, 고객 유저 지정의 메일 어드레스에 제안 메일을 송신해도 된다. 스케줄은, 각 고객 유저의 메인터넌스 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된다. 스케줄의 조정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일정의 지정을 접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 의하면,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근거하여, 메인터넌스 시기나 부품 교환 시기의 예측을 실시하고,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에 있어서는, 고장 등이 발생하기 전에 부품 교환이나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고장 등에 의해 라인을 헛되이 정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제의 가동 시간에 근거하여, 메인터넌스 시기를 추정하므로, 가동 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적절한 시기에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양호하다.
또,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기초로, 각 주조 공장 (9) 의 메인터넌스의 스케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메인터넌스의 스케줄의 조정을 사전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또, FAQ 정보나 메인터넌스 정보를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기초로 구축해 갈 수 있으므로, 보수 점검 내용의 최적화 및 충실을 도모할 수 있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추천 정보 제공 기능>
도 27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유저마다의 환경 기온, 습도, 및 사온 등의 제조 조건에 따른 경화제와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500) 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도 27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기능에 관련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생성부 (500) 는, 주조 공장 (9) 의 기온 및 제조하는 주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건을 접수하면, 제조 조건에 따라,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제공부 (106) 는, 생성된 추천 정보를 당해 주조 공장 (9) 의 유저 단말 (32) 에 제공한다.
추천 정보란, 유저의 제조 조건에 대해 추천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처방 정보이며, 점결제의 종류나 품번과, 적어도 2 종류의 경화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경화제 A 와 경화제 B) 의 종류나 품번 등의 정보와, 적어도 2 종류의 경화제의 공급량의 배합비의 정보를 포함한다. 추천 정보는, 경화제의 복수의 추천 처방 패턴으로서 제조 조건별로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이들 정보의 기록을 갱신할 수도 있다.
이하, 제조 조건으로서,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을 예로 설명한다. 제조 조건은,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컨트롤러 (20) 의 조작부 또는 조작 화면을 고객 유저가 조작하여 입력한 외부 설정값 (a1) ∼ (a6) 중 어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이 외부 설정값은, 수신부 (102) 가 컨트롤러 (20) 로부터 수신한다.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 등의 정보는,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조작부 (도시 생략) 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기온의 값을 입력해도 되고, 혹은, 주조 공장 (9) 의 거소 지역과 제조 시기의 정보를 입력해도 되고, 미리 관리 서버 (40) 가 관리하고 있는 주조 공장 (9) 의 거소 지역의 정보를 판독 출력해도 된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기온 또는 지역에, 추천 처방 패턴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기억부 (도시 생략) 에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는, 예를 들어, 기온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2), 또는 지역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6), 혹은, 지역별 평균 기온 테이블 (504) 과 기온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2) 을 기억하고 있다.
기온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2) 은, 기온별로 추천 처방의 패턴을 연결시켜 기억하고 있다. 생성부 (500) 는, 입력된 기온에 대응하는 추천의 처방 패턴을 기온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2) 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취득한다.
지역별 평균 기온 테이블 (504) 은, 지역 (예를 들어, 도도부현별) 과 계절 (예를 들어, 월별) 로 평균 기온을 연결시켜 기억하고 있다. 생성부 (500) 는, 입력된 지역과 계절에 대응하는 평균 기온을 지역별 평균 기온 테이블 (504) 로부터 판독 출력하고, 판독 출력한 평균 기온에 대응하는 추천 처방의 패턴을 기온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2) 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취득한다.
지역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6) 은, 지역 (예를 들어, 도도부현별) 과 계절 (예를 들어, 월별) 로 추천 처방의 패턴을 연결시켜 기억하고 있다. 생성부 (500) 는, 입력된 지역과 계절에 대응하는 추천 처방의 패턴을 지역별 추천 처방 테이블 (506) 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취득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결제에 대해 설정되는, 경화제 A 와 경화제 B 의 공급량의 배합비는, 컨트롤러 (20) 의 제어부 (152) 에 의해, 사온, 온도,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조정된다. 컨트롤러 (20) 의 제어부 (152) 는, 경화제 배합 패턴별로 복수 준비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유저의 제조 조건에 대해 추천되는 경화제 배합 패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컨트롤러 (20) 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CPU 가 실행한다. 또한, 경화제 배합 패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은, 경화제 배합 패턴이 결정되고, 점결제, 경화제 등의 재료의 준비가 고객 유저 또는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담당자에 의해 실시될 때에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 (20) 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관리 서버 (40) 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컨트롤러 (20) 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에 로드해도 되고, ROM 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로드한 것을 고객 유저 또는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담당자가 컨트롤러 (20) 에 장착해도 되고, 미리 복수의 프로그램을 컨트롤러 (20) 의 스토리지에 격납해 두고, 관리자용의 관리용 프로그램에 의해, 기동하는 프로그램을 전환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 (20) 의 조작 패널 상에서, 고객 유저 또는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담당자에 의한 선택 조작을 접수하고, 선택된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공부 (106) 는, 생성부 (500) 에 의해 생성된 추천 정보를, 유저 단말 (32) 에 제공한다. 제공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추천 정보를, 고객 유저용의 웹페이지에 표시해도 되고, 유저 단말 (32) 에 메일로 송신해도 된다.
또, 제공부 (106) 는, 추천 정보를, 영업판매 부문 (80) 의 컴퓨터 (82) 에 제공해도 된다. 컴퓨터 (82) 로부터 영업판매 부문 (80) 전용의 웹페이지에 액세스하여, 추천 정보를 열람해도 되고, 영업판매 부문 (80) 의 담당자앞으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메일을 송신해도 된다. 영업판매 부문 (80) 의 담당자는, 추천 정보를 기초로, 고객 유저에게 재료 구입의 영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생성부 (500) 는,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주형의 경화 속도, 사온, 내화성 입자 중, 재생사의 비율, 재생사의 산 소비량, 그리고, 주조 공장 (9) 의 환경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추천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는, 점결제에 경화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촉매이며,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종류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요구되는 경화 속도, 사온 (내화성 입자의 온도), 재생사의 산 소비량,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각 경화제의 배합비가 변경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정보의 계측값, 설정값 또는 입력값을 취득하고, 제조 조건에 따라, 추천 정보를 갱신한다.
(c1) 점결제의 종류, 또는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의 정보의 입력값
고객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에, 이들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화면 (도시 생략) 을 설치하고,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고객 유저에 입력시킨다.
(c2) 주형의 경화 속도의 계측값, 또는 입력값
입력 화면에 있어서의, 요구되는 주형의 경화 속도의 입력을 접수해도 되고, 하기 방법에 의한 실측값을 사용해도 된다.
주형의 경화 속도는, 예를 들어, 주형의 온도를 계측함으로써,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 제조 장치 (10) 는, 주형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한다.
또, 주형의 경화 속도는, 주형의 도전율을 계측함으로써 계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30252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 제조 장치 (10) 는, 주형의 도전율을 계측하는 센서를 구비하여도 된다.
(c3) 사온의 계측값
사온 센서 (132) (도 2) 를 사용하여 사온을 계측한다.
(c4) 재생사의 산 소비량의 계측값
재생사의 산 소비량을 소정의 검사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고객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의 입력 화면에 고객 유저 또는 영업판매 부문 (80) 의 담당자에 입력시킨다.
(c5)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의 계측값
주형 제조 장치 (10) 가,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 또는 습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의 계측값을 취득해도 되고, 주조 공장 (9) 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계 또는 습도계의 값을,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고객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의 입력 화면에 고객 유저가 입력해도 된다.
이하, 상기 (c4) 의 재생사의 산 소비량을 예로, 추천 정보의 갱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푸란 수지, 경화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내화성 입자로서 사용되는 재생사에 점결제나 경화제가 잔류함으로써, 내화성 입자가 산성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고, 그 산성도에 따라 경화제의 배합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사의 산 소비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경화제의 추천 처방 패턴을 갱신한다.
신품의 내화성 입자의 산성도는 알고 있기 때문에, 내화성 입자의 산성도는, 예를 들어, 산 소비량을 계측 또는 추정한 재생사의, 내화성 입자에 대한 혼합 비율로부터 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생성부 (500) 는, 내화성 입자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재생사의 산 소비량의 계측값, 및 재생사의 비율 중 적어도 어느 것의 입력을 접수한다.
재생사의 산 소비량의 계측값, 및 재생사의 비율의 정보는, 주조 공장 (9) 의 고객 유저가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고객 유저용의 웹페이지에 액세스하여, 내화성 입자의 정보의 입력 화면 (도시 생략) 에서 입력할 수 있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재생사의 산 소비량에 따른 경화제의 배합비의 추천 처방 패턴을 미리 대응시켜 기억해 둔다. 예를 들어, 기온별 산성도별 추천 처방 테이블 (도시 생략) 에는, 기온별로 재생사의 산 소비량에 따라, 추천 처방 패턴이 대응시켜져 있다. 또, 재생사의 산 소비량은 2 단계로 분류해도 되고, 3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분류해도 된다. 생성부 (500) 는, 재생사의 산 소비량에 대응하는 추천 처방 패턴을 취득하고, 추천 정보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제공부 (106) 에 의해 갱신된 추천 정보가 유저 단말 (32) 에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 조건에 따라,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의 환경에 적절한 추천 처방 패턴의 프로그램으로 컨트롤러 (20) 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영업판매 부문 (80) 은, 추천 처방 패턴의 경화제의 구입을 고객 유저에게 권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객 유저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추천 정보를 갱신해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환경 변화에 적응한 적절한 처방 패턴의 프로그램으로 컨트롤러 (20) 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영업판매 부문 (80) 은, 적절한 처방 패턴의 경화제의 구입을 고객 유저에게 권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알람 읽음 통지 기능>
도 28 은,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 (20) 와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 (20) 는, 도 4 의 컨트롤러 (20) 의 구성에 부가하여, 출력부 (510) 를 추가로 갖는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통지부 (512) 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도 28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기능에 관련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 (20) 의 출력 데이터 (170) 에는,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가 포함된다. 출력부 (510) 는, 이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주조 지원 장치 (100) 에 통신부 (158) 를 통하여 송신한다.
주조 지원 장치 (100) 에 있어서, 통지부 (512) 는, 컨트롤러 (20) 로부터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담당자가 당해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확인하고,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당해 컨트롤러 (20) 의 주조 공장 (9) 의 담당자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수신부 (102) 는, 컨트롤러 (20) 로부터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도 18 에 나타내는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에, 설비의 상황을 표시한다. 이 화면 (227) 은, 유저 단말 (32) 로부터 고객 유저용의 웹페이지에 액세스함으로써 고객이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 (32) 에는, 다른 알람 또는 이상을 고객에게 통지하기 위한 알람 화면 (도시 생략) 을 표시해도 된다.
또, 이 화면 (227) 또는 알람 화면은,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컴퓨터 (62) 에도 표시된다. 따라서, 이들 화면을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오퍼레이터가 열람함으로써, 주조 공장 (9) 에서 발생한 설비의 알람이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알람이나 이상의 레벨에 따라, 예를 들어, 팝업 화면 표시, 점멸 표시, 반전 표시, 애니메이션, 음성 출력, 알람음 출력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컴퓨터 (62) 에 출력해도 된다. 이로써,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오퍼레이터가 신속하게 알람 또는 이상을 알아차릴 수 있다.
도 29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의 알람 또는 이상 발생 시의 정보 표시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컨트롤러 (20) 에서 알람 또는 이상이 검지되고, 그 정보가 주조 지원 장치 (100) (관리 서버 (40)) 로 송신된다 (스텝 S101). 관리 서버 (40) 는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베이스 (42) 에 수신한 정보를 격납한다 (스텝 S103). 그리고, 수신한 정보가, 알람 또는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검지하면 (스텝 S105 의 예), 상기 서술한 알람 화면에 알람 또는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스텝 S107).
그리고, 고객 유저는, 유저 단말 (32) 을 사용하여 고객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를 열람하고, 알람 화면에서 알람 또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109). 또,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 있어서도, 컴퓨터 (62) 에 알람 화면이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알람 화면에서 알람 또는 이상이 발생한 것을 인식한다 (스텝 S111).
그리고,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오퍼레이터는, 알람 또는 이상을 인식하면, 조작부를 조작하여, 알람 또는 이상의 발생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확인 조작을 실시한다 (스텝 S113). 조작부의 조작이란, 예를 들어, 소정 키 조작, 화면 조작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지부 (512) 는, 이 오퍼레이터에 의한 확인 조작을 접수하면, 주조 지원 장치 (100) (관리 서버 (40)) 는,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또는 알람 화면에,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서 알람 또는 이상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경보 읽음 마크를 표시한다 (스텝 S115).
유저 단말 (32) 에서는, 알람 화면에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서 알람 또는 이상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경보 읽음 마크가 표시되므로, 주조 공장 (9) 의 고객 유저는, 메인터넌스 부문 (60) 이 알람을 인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62) 의 알람 화면에도 경보 읽음 마크가 표시된다 (도시 생략).
예를 들어, 경보 읽음 마크는, 「알람 인지」, 「조사중」, 「대응중」, 「대책 완료」 등의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서의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해도 된다. 경보 읽음 마크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 등의 이미지로 표시해도 되고, 경보 (알람 또는 이상) 표시의 색변환, 점멸 표시의 정지 등의 표시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또, 경보 읽음 마크와 함께, 확인 시각 (갱신 시각) 을 표시해도 된다. 주조 공장 (9) 에서는, 담당자가, 유저 단말 (32) 로부터 고객 유저용의 웹페이지의 컨트롤러 리얼 타임 모니터 화면 (227) 또는 알람 화면을 열람했을 때,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서의 알람 또는 이상의 확인 상태, 또는 대응 상황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알람 또는 이상 정보를 메인터넌스 부문 (60) 의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고객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 유저의 불안이 저감한다. 또한, 메인터넌스 부문 (60) 에 있어서의 대응 상황을 통지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고객 유저는 현재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통계 처리 기능>
도 30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통계 처리부 (520) 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도 30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기능에 관련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통계 처리부 (520) 는, 축적된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한다. 제공부 (106) 는, 통계 처리 후의 정보를 각 주조 공장 (6) 의 유저 단말 (32) 에 제공한다.
통계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해 온, 설비 가동 정보, 알람 정보, 이상 정보, 주형 제조 장치 (10) 의 정보, 주형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 관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처리는, 예를 들어, 평균값, 중간값, 표준 편차 등을 산출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통계 처리부 (520) 는,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의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점결제나 경화제의 추천 처방 패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조 공장 (9) 의 환경 기온에 의해 어느 정도 정해진다. 요컨대, 주조 공장 (9) 의 거소 지역이나 계절 (여름과 겨울) 에 따라 추천 처방 패턴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집한 처방 패턴의 정보를 지역별 또한 계절별로 추출하여 집계함으로써, 그 계절의 그 지역의 기후에 적절한 처방 패턴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지역의 주조 공장 (9) 의 고객 유저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이한 복수의 고객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하고, 정보를 일반화하여 익명성을 갖게한 후에, 다른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주조 공장 (9) 의 정보 기밀 부분은 비공개인 상태에서,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뿐만 아니라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기초가 되는 정보량이 증가하여, 정밀도가 향상되고, 신뢰성도 향상된다. 이와 같이, 주조 공장 (9) 마다 독자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노하우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정보를 다른 복수의 주조 공장 (9) 간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된다.
(제 8 실시형태)
<재료 사용 실적의 제시 기능>
도 31 은,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논리적인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도 9 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구성에 부가하여, 추가로, 집계부 (530) 와, 발주 시기 통지부 (532) 를 구비한다. 또,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추가로, 발주 접수부 (540) 와, 발주 처리부 (542) 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도 31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기능에 관련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능은, 다른 실시형태의 기능과 조합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제공부 (106) 는, 도 10 의 재료 관리 화면 (240) 에 있어서, 재료의 사용 실적 등의 정보를 고객 유저 및 영업판매 부문 (80) 의 담당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집계부 (530) 는, 주조 공장 (9) 마다, 또는, 주조 공장 (9) 의 설비마다, 점결제, 경화제, 및 모래량의 사용량의 계측값 또는 입력값을 각각 집계하고, 집계값을 기억한다. 상기 계측값은, 수신부 (102) 가 각 주조 공장 (9) 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나, 정보 축적부 (104) 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 (42) 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발주 시기 통지부 (532) 는, 각 집계값이, 각각 소정의 규정값 또는 규정한 수량을 초과한 경우에, 규정값 또는 규정한 수량을 초과한 재료의 발주 시기를 통지한다. 집계는, 재료의 납품일을 첫날로 하여 누계해도 되고, 고객 유저에게 첫날의 설정을 촉구하여 입력시켜도 된다.
발주 시기 통지부 (532) 는, 고객 유저의 유저 단말 (32) 또는 영업판매 부문 (80) 의 컴퓨터 (82) 에, 재료의 발주 시기를 통지한다. 통지 방법은, 웹페이지에 발주 시기 통지 화면 (534) 을 표시하거나, 또는, 메일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주 접수부 (540) 는, 각 집계값이, 각각 규정값 또는 규정한 수량을 초과한 경우에, 규정값 또는 규정한 수량을 초과한 재료의 발주를 접수한다. 발주 처리부 (542) 는, 접수한 재료의 주문에 근거하여, 발주 처리를 실시한다.
발주 접수부 (540) 는, 고객 유저 전용의 웹페이지의 발주 접수 화면 (544) 으로부터 주문 수속을 접수한다. 이때, 상기 실시형태에서, 추천 처방 패턴에 근거하여, 추천되는 재료를 제시해도 된다.
재료의 품번과, 수량의 입력을 접수하고, 접수한 주문 정보를 발주 처리부 (542) 가 수신한다.
발주 처리부 (542) 는, 수신한 주문 정보에 근거하여, 발주 처리를 실시한다.
또, 영업판매 부문 (80) 에서는, 발주 시기의 통지를 받고, 또한, 당해 고객 유저의 추천 정보를 더욱 참조하여, 유저에게 새로운 재료의 구입의 영업 활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고객 유저에게 발주 시기를 통지하는 집계값의 규정값 또는 규정한 수량과, 영업판매 부문 (80) 에 발주 시기를 통지하는 집계값의 규정값 또는 규정한 수량은 다르게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재료의 사용 실적에 따라, 재료의 발주 시기를 고객 유저 또는 영업판매 부문 (80) 에 통지할 수 있으므로, 고객 유저는 재료의 결품을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그대로 주문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으므로 편리성이 양호하다. 또, 영업판매 부문 (80) 은, 당해 고객의 추천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운 재료 판매의 영업 활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
<제조 방법>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 제 8 실시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을 설치한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 있어서의 주형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12 의 플로우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주형 제조 장치 (10) (컨트롤러 (20)) 가, 내화성 입자의 온도 (사온) 를 취득하는 공정 (S11) 과,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주조 공장의 사온을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공정 (S13) 을 포함한다. 또한, 주조 지원 장치 (서버 장치) (100) 가,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로부터 각 설비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공정 (S22) 과, 축적된 정보를 사용하여, 각 설비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알람 또는 이상을 검출하는 공정 (S24) 과, 검출한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 (S32, S33) 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 (32) 이, 주조 지원 장치 (100) 로부터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공정 (S43, 44) 을 포함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발명의 각 장치 (컨트롤러 (20), 관리 서버 (40), 웹서버 (50), 유저 단말 (32), 컴퓨터 (62, 72, 82)) 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각 컴퓨터상에서 실행되었을 때, 각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주조 지원 장치 (100) 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컨트롤러 (20) 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하였다.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하드웨어 구성>
도 25 는, 본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장치 (100) (도 1 의 관리 서버 (40) 및 웹서버 (50)) 를 실현하는 컴퓨터 (90) 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 의 유저 단말 (32), 및 관리자 컴퓨터 (62, 72, 82) 도, 동일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의 컴퓨터 (90)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91), 메모리 (92), 메모리 (92) 에 로드된 주조 지원 장치 (100) 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98), 그 프로그램 (98) 을 격납하는 스토리지 (93), I/O (Input/Output) (94), 및 네트워크 접속용 인터페이스 (통신 I/F) (95) 를 구비한다.
상기 서술한 도 9, 도 13, 도 19, 및 도 22 등의 기능 블록도의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각 구성 요소는, 도 25 의 컴퓨터 (90) 의 CPU (91), 메모리 (92), 메모리 (92) 에 로드된 프로그램 (98), 그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유닛 (스토리지 (93)), 네트워크 접속용 인터페이스 (통신 I/F) (95) 를 중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그리고, 그 실현 방법, 장치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점이다.
CPU (91), 메모리 (92), 스토리지 (93), I/O (94), 통신 I/F (95) 는, 버스 (96) 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CPU (91) 에 의해 주조 지원 장치 (100) 전체가 제어된다. 단, CPU (91) 등을 서로 접속시키는 방법은, 버스 연결로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 (92) 는, RAM (Random Access Memory) 이나 ROM (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이다. 스토리지 (93) 는, 하드 디스크, SSD (Solid State Drive),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스토리지 (93) 는, RAM 이나 ROM 등의 메모리여도 된다.
CPU (91) 가, 예를 들어, 스토리지 (93) 에 기억된 프로그램 (98) 을 메모리 (92) 에 판독 출력하여 실행함으로써, 주조 지원 장치 (100) 의 각 요소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I/O (94) 는, CPU (91) 와, 컴퓨터 (90) 내의 다른 요소 간, 또는, 컴퓨터 (90) 와 다른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입출력 제어를 실시한다. 다른 입출력 장치란, 예를 들어, 컴퓨터 (90) 에 접속되는 키보드, 터치 패널, 마우스, 및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 (도시 생략) 와, 디스플레이, 프린터, 및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 (도시 생략) 와, 이들 입출력 장치와 컴퓨터 (90) 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I/O (94) 는, 다른 기록 매체의 판독 또는 기록 장치 (도시 생략) 와의 데이터의 입출력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통신 I/F (95) 는, 컴퓨터 (90) 와 외부의 장치의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용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I/F (95) 는, 유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예를 들어, 주조 지원 장치 (100) 를 실현하는 컴퓨터 (90) 는, 통신 I/F (95) 에 의해 휴대전화 통신망 (3) 에 접속하여,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의 각 컨트롤러 (20) 와 GW (14) 를 통하여 통신한다.
혹은, 컴퓨터 (90) 는, 통신 I/F (95) 에 의해 인터넷 (5) 에 접속하여, 메인터넌스 부문 (60), 관리 부문 (70) 및 영업판매 부문 (80) 의 컴퓨터, 혹은, 각 주조 공장 (9) 의 유저 단말 (32) 과 통신한다.
주조 지원 장치 (100) 는, 복수의 컴퓨터 (90) 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가상 서버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조 지원 장치 (100) 를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에, 주형 제조 장치 (10) 로부터, 각 주조 공장 (9) 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 및 점결제에 첨가되는 경화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휴대전화 통신망 (3) 을 통하여 수신하는 순서, 수신한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는 순서, 유저 단말 (32) 에 인터넷 (5) 을 통하여, 축적된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실행시키도록 기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기록 매체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것이 고려된다. 또,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의 메모리에 로드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다운로드되고, 메모리에 로드되어도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90) 가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고, 그 매체에, 컴퓨터 (90) 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삽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90) 상에서 실행되었을 때, 컴퓨터 (90) 에, 주조 지원 장치 (100) 를 실현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실행시킨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서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조 지원 장치 (100) 와 컨트롤러 (20) 간을 접속하는 제 1 통신망을 휴대전화 통신망 (3) 으로 했지만, 다른 통신망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공중 교환 전화망 (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VPN (Virtual Private Network) 등으로 해도 된다. 혹은, 케이블 텔레비전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신해도 된다.
또, 주조 지원 장치 (100) 와 유저 단말 (32) 또는 각 컴퓨터 (62, 72, 및 82) 간을 접속하는 제 2 통신망을 인터넷 (5) 으로 했지만, 다른 통신망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WAN (Wide Area Network) 등으로 해도 된다. 또, 사무소 (30) 내의 각 유저 단말 (32), 또는, 각 부문의 각 컴퓨터는, 서로 LAN (Local Area Network) 등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 종류의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3 종류 이상의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로 사용해도 되고, 1 종류의 경화제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15 의 월간 설비 일람 (2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설비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에 있어서, 추가로, 소정 기간 (월보인 경우에는, 1 개월간) 의 컨트롤러 (20) 의 운전 차트 (예를 들어, 막대그래프 또는 선그래프) 를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일마다의 컨트롤러 (20) 의 가동 시간을 1 개월분씩 일람 중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소정 기간 (월보인 경우에는 1 개월) 간의 가동 시간 이외에, 운전 일수, 주조 공장 (9) 의 1 일의 조업 시간 (8 시간) 에 대한 가동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가동률 (%), 긴급 정지 횟수, 각종 알람 정보 등을 월간 설비 일람 (222) 에 포함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 유저 단말 (32) 에 각종 통지를 메일로 송신하는 것 이외에, 미리 지정된 휴대전화기나 스마트 폰의 전화번호에 SMS (Short Message Service) 에 의한 쇼트 메세지나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로 메세지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유저 단말 (32) 에 인스톨되어 있는 메시지 교환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미리 지정된 유저 식별 정보에 메세지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26 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컨트롤러 (20) 의 최소 구성을 갖는 예를 나타낸다. 이 구성에 있어서, 컨트롤러 (20) 는, 도 3 의 제어부 (152) 와, 사온 취득부 (156) 와, 통신부 (158) 를 갖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서는, 주조 공장 (9) 에 설치되어 있는 주형 제조 장치 (10) (컨트롤러 (20)) 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축적하는 구성예를 나타냈지만, 주조 공장 (9) 이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형 제조 장치 (10) (컨트롤러 (20)) 로부터 정보를 수집하여 축적하는 구성도 배제되지 않는다. 또, 주조 공장 (9) 이 복수의 현장을 포함하고, 그 각각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경우 등은, 동일 사업장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다른 유저로 하여,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 복수 등록하여 관리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서는, 복수의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컨트롤러 (20)) 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적어도 하나의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컨트롤러 (20)) 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주조 지원 시스템 (1) 에서는, 주조 공장 (9) 의 주형 제조 장치 (10) 가, 복수의 컨트롤러 (20) 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주형 제조 장치 (10) 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러 (20) 를 포함하면 된다.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원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 (주조 공장 (9) 및 고객 유저 등) 에 관한 정보를 취득,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적법하게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참고 형태의 예를 부기한다.
1. 복수의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으로서,
각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버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와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내화성 입자, 점결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수단과,
상기 내화성 입자 및 상기 점결제에 첨가되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공급량 취득 수단과,
상기 경화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서버 장치는,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축적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
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2. 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추가로,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공급량 취득 수단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3. 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취득 수단은,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인 주조 지원 시스템.
4. 2. 또는 3.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 수단과,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소정의 단위 기간으로 적산하는 적산 수단을 갖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5. 4.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일보, 월보, 또는 연보로, 일람 표시 또는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6. 4. 또는 5.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리얼 타임으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정보를 묘화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7.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8. 7.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가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에 통지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오퍼레이터 단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2. 1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의 부품의 메인터넌스 기록을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기록하는 메인터넌스 기록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3. 11. 또는 1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주조에 관한 FAQ 정보를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FAQ 정보로서 축적하는 FAQ 정보 기억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FAQ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4. 13.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FAQ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 수단은, 상기 FAQ 정보 또는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 정보와 연결시켜 기억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다른 상기 주조 공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FAQ 정보 및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으로부터,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당해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5.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축적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6.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
을 구비하는 주조 지원 장치.
17. 16.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수신하는 주조 지원 장치.
18. 17.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클램프온식 유량계를 사용하여,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한 상기 계측값을 수신하는, 주조 지원 장치.
19. 17. 또는 18.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 수단과,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소정의 단위 기간으로 적산하는 적산 수단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주조 지원 장치.
20. 19.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일보, 월보, 또는 연보로, 일람 표시 또는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1. 19. 또는 20.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리얼 타임으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정보를 묘화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2. 19.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조 지원 장치.
23. 2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가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에 통지하는, 주조 지원 장치.
24. 16.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조 지원 장치.
25. 16.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주조 지원 장치.
26. 16.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오퍼레이터 단말에 추가로 접속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7. 26.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의 부품의 메인터넌스 기록을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기록하는 메인터넌스 기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8. 26. 또는 27.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주조에 관한 FAQ 정보를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FAQ 정보로서 축적하는 FAQ 정보 기억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FAQ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9. 28.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FAQ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 수단은, 상기 FAQ 정보 또는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 정보와 연결시켜 기억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다른 상기 주조 공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FAQ 정보 및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으로부터,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당해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30. 1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정보 축적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장치.
31.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2. 3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수신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3. 3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클램프온식 유량계를 사용하여,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한 상기 계측값을 수신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4. 32. 또는 33.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소정의 단위 기간으로 적산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5. 34.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일보, 월보, 또는 연보로, 일람 표시 또는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6. 34. 또는 35.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리얼 타임으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정보를 묘화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7. 34.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고,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8. 37.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예측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가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에 통지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9. 3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0. 3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1. 31.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2. 4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의 부품의 메인터넌스 기록을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기록하는,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3. 41. 또는 4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주조에 관한 FAQ 정보를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FAQ 정보로서 축적하고,
상기 FAQ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4. 43.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FAQ 정보 또는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 정보와 연결시켜 기억하고,
다른 상기 주조 공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FAQ 정보 및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으로부터,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당해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5. 3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는,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6.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에,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순서,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는 순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7. 46.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수신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8. 47.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클램프온식 유량계를 사용하여,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한 상기 계측값을 수신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9. 47. 또는 48.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소정의 단위 기간으로 적산하는 순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0. 49.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일보, 월보, 또는 연보로, 일람 표시 또는 그래프화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1. 49. 또는 50.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리얼 타임으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정보를 묘화한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2. 49.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순서,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3. 52.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예측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가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에 통지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4. 46.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5. 46.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6. 46. 내지 5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7. 56.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의 부품의 메인터넌스 기록을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기록하는 순서,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8. 56. 또는 57.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을 사용하여, 주조에 관한 FAQ 정보를 입력시키고, 접수하여 FAQ 정보로서 축적하는 순서,
상기 FAQ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 또는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제공하는 순서를 추가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9. 58.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FAQ 정보 또는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을,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 정보와 연결시켜 기억하는 순서,
다른 상기 주조 공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FAQ 정보 및 상기 메인터넌스 기록으로부터,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속성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당해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60. 46. 내지 5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순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참고 양태도 포함한다.
1.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버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와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내화성 입자, 점결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수단과,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축적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
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2. 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의 기온 및 제조하는 주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건을 접수하면, 상기 제조 조건에 따라,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추천 정보를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3. 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상기 주형의 경화 속도,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 상기 내화성 입자 중, 재생사의 비율, 상기 내화성 입자의 산 소비량, 그리고, 상기 주조 공장의 환경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추가로,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공급량 취득 수단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5. 4.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취득 수단은,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인 주조 지원 시스템.
6. 4. 또는 5.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 수단과,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적산하는 적산 수단을 갖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7. 6.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상기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각 설비의 상기 알람 정보 또는 상기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 장치의 담당자가 당해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당해 주형 제조 장치의 상기 주조 공장의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정보 제공 수단에 의해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오퍼레이터 단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2.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축적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통계 처리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통계 처리 후의 정보를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3. 12.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통계 처리 수단은,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상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복수의 정보에 대해 상기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축적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5.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으로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을 설치한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
16. 15. 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 단말과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내화성 입자, 점결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각 설비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 장치가, 축적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설비의 상기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알람 또는 이상을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 장치가, 검출한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유저 단말이,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수단
을 구비하는 주조 지원 장치.
18. 17.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의 기온 및 제조하는 주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건을 접수하면, 상기 제조 조건에 따라,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추천 정보를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19. 18.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상기 주형의 경화 속도,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 상기 내화성 입자 중, 재생사의 비율, 상기 내화성 입자의 산 소비량, 그리고, 상기 주조 공장의 환경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주조 지원 장치.
20. 17.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은,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인 주조 지원 장치.
21. 20.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 수단과,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적산하는 적산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2. 2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장치.
23. 17.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장치.
24. 17.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장치의 담당자가 당해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확인하고, 당해 장치의 상기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당해 주형 제조 장치의 상기 주조 공장의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조 지원 장치.
25. 17.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정보 제공 수단에 의해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장치.
26. 17.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7. 17.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적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통계 처리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통계 처리 후의 정보를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
28. 27.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계 처리 수단은,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상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복수의 정보에 대해 상기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주조 지원 장치.
29. 17.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정보 축적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장치.
30.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1. 30.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의 기온 및 제조하는 주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건을 접수하면, 상기 제조 조건에 따라,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추천 정보를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2. 31.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상기 주형의 경화 속도,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 상기 내화성 입자 중, 재생사의 비율, 상기 내화성 입자의 산 소비량, 그리고, 상기 주조 공장의 환경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3. 30.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수신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은,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인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4. 33.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적산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5. 34.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고,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6. 30.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7. 30.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장치의 담당자가 당해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확인하고, 당해 장치의 상기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당해 주형 제조 장치의 상기 주조 공장의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8. 30.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39. 30.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0. 30.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추가로,
상기 축적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통계 처리 후의 정보를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1. 40. 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상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복수의 정보에 대해 상기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2. 30.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43.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에,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순서,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는 순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4. 43.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의 기온 및 제조하는 주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건을 접수하면, 상기 제조 조건에 따라,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순서,
상기 추천 정보를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5. 44.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상기 주형의 경화 속도,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 상기 내화성 입자 중, 재생사의 비율, 상기 내화성 입자의 산 소비량, 그리고, 상기 주조 공장의 환경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6. 43.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하는 순서로 수신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은,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에 의해 계측된 계측값인 프로그램.
47. 46.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순서,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적산하는 순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8. 47.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순서,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9. 43. 내지 4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0. 43.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장치의 담당자가 당해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확인하고, 당해 장치의 상기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당해 주형 제조 장치의 상기 주조 공장의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1. 43.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2. 43. 내지 5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3. 43.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축적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순서,
상기 통계 처리 후의 정보를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4. 53. 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상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복수의 정보에 대해 상기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55. 43. 내지 5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Claims (19)

  1.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버 장치와,
    상기 서버 장치와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내화성 입자, 점결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하는 온도 취득 수단과,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제어 수단
    을 갖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축적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
    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주조 공장의 기온 및 제조하는 주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조 조건을 접수하면, 상기 제조 조건에 따라,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추천 정보를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점결제의 종류, 제조되는 주형의 형상, 상기 주형의 경화 속도,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 상기 내화성 입자 중, 재생사의 비율, 상기 내화성 입자의 산 소비량, 그리고, 상기 주조 공장의 환경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접수하고, 접수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추천 정보를 갱신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추가로,
    상기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상기 점결제, 또는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계측값을 취득하는 공급량 취득 수단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취득 수단은,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배관의 외부로부터 비접촉으로 상기 경화제의 유량을 계측하는 클램프온식 유량계인 주조 지원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각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 수단과,
    취득한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경화제의 공급량의 상기 계측값을 기초로,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을 각각 적산하는 적산 수단을 갖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형 제조 장치의 각 설비의 가동 시간 및 상기 경화제의 계측값의 적산값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추가로,
    상기 가동 시간의 적산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 설비의 메인터넌스 시기를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메인터넌스 시기를 상기 유저 단말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취득한 각 설비의 정보에 근거하여, 알람을 검출하고, 당해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상기 각 설비의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각 설비의 상기 알람 정보 또는 상기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서버 장치의 담당자가 당해 알람 정보 또는 이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담당자가 확인한 것을 당해 주형 제조 장치의 상기 주조 공장의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조 공장마다, 수신하는 상기 정보의 공개 제한 레벨을 설정하고, 당해 공개 제한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주조 공장마다, 상기 정보 제공 수단에 의해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정보 또는 서비스를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추가로 갖는, 주조 지원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오퍼레이터 단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주조를 지원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축적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정보에 대해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통계 처리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은, 상기 통계 처리 후의 정보를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통계 처리 수단은, 상기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상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복수의 정보에 대해 상기 통계 처리를 실시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의 상기 정보 축적 수단은, 복수의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조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주조 지원 시스템.
  15.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조 지원 시스템을 설치한 주형 제조 장치를 사용한 주형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 단말과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는,
    내화성 입자, 점결제, 및 경화제를 사용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장치이며,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주형 제조 장치가 상기 경화제 또는 상기 점결제의 조성 및 공급량을, 각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내화성 입자의 온도를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각 설비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축적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 장치가, 축적된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설비의 상기 각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알람 또는 이상을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서버 장치가, 검출한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로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유저 단말이,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알람 또는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7.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로서,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축적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수단
    을 구비하는 주조 지원 장치.
  18.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조 지원 장치의 처리 방법.
  19. 주조 공장의 주형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주조를 지원하는 주조 지원 장치가,
    상기 주조 공장의 상기 주형 제조 장치와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공장의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단말과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주조 지원 장치를 실현하는 컴퓨터에,
    상기 주형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주조 공장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내화성 입자에 첨가되는 경화제 또는 점결제의 조성과 공급량, 및 상기 제조 조건을 포함하는 주형 제조에 관한 주조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순서,
    수신한 상기 주조 정보를 기억 장치에 축적하는 순서,
    상기 유저 단말에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하여, 축적된 상기 주조 정보에 근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97029185A 2017-03-09 2018-03-08 주조 지원 시스템 KR20190123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4969 2017-03-09
JP2017044969 2017-03-09
PCT/JP2018/009018 WO2018164227A1 (ja) 2017-03-09 2018-03-08 鋳造支援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75A true KR20190123775A (ko) 2019-11-01

Family

ID=6344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185A KR20190123775A (ko) 2017-03-09 2018-03-08 주조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742357B2 (ko)
KR (1) KR20190123775A (ko)
CN (1) CN110392614B (ko)
TW (1) TWI780125B (ko)
WO (1) WO2018164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7144B2 (ja) * 2018-09-28 2022-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生産システムおよび生産方法
JP2020159566A (ja) * 2019-03-25 2020-10-01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JP7276442B2 (ja) 2019-05-29 2023-05-18 新東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1915572B2 (en) 2019-05-29 2024-02-27 Sintokogi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440892B2 (ja) * 2019-12-26 2024-02-29 シタテル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3770343A (zh) * 2021-08-26 2021-12-10 山东创新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预警系统的铸造自动化控制系统
JP2024051641A (ja) * 2022-09-30 2024-04-11 群栄化学工業株式会社 鋳型用混練砂の製造装置、鋳型製造設備、鋳型用混練砂の製造方法、鋳型製造方法
KR102626495B1 (ko) * 2022-10-07 2024-01-18 캐스코드주식회사 주물용 조형사 경화제 투입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589A (ja) 1993-09-21 1995-04-04 Kao Corp 鋳型の製造方法および鋳型製造用硬化剤の供給装置
WO2010100999A1 (ja) 2009-03-02 2010-09-10 新東工業株式会社 鋳造工場における遠隔支援システム及び遠隔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641U (ja) * 1992-03-11 1993-10-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自硬性鋳型材料の自動生成装置
JPH11151552A (ja) * 1997-11-17 1999-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自硬性鋳物砂混練装置
JP3769420B2 (ja) * 1999-08-05 2006-04-2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設備稼働状態計測装置
JP3480713B2 (ja) * 2000-05-09 2003-12-22 新東工業株式会社 砂性状を含む造型関連情報監視システム
JP2002073159A (ja) * 2000-09-01 2002-03-12 Sintokogio Ltd 鋳造設備の運転管理システム
JP2004013665A (ja) * 2002-06-10 2004-01-15 Mori Seiki Co Ltd 稼動データ蓄積・送信装置及び稼動管理システム
JP2005125338A (ja) * 2003-10-21 2005-05-19 Sintokogio Ltd 連続式混練機の管理装置
KR101711237B1 (ko) * 2010-11-25 2017-02-28 코메트 그룹 게엠베하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
KR101991543B1 (ko) * 2012-03-23 2019-06-2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주형 조형용 점결제 조성물
WO2016143150A1 (ja) * 2015-03-10 2016-09-15 新東工業株式会社 鋳型砂の性状による鋳造工程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589A (ja) 1993-09-21 1995-04-04 Kao Corp 鋳型の製造方法および鋳型製造用硬化剤の供給装置
WO2010100999A1 (ja) 2009-03-02 2010-09-10 新東工業株式会社 鋳造工場における遠隔支援システム及び遠隔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92614B (zh) 2021-06-11
TWI780125B (zh) 2022-10-11
JP2019198897A (ja) 2019-11-21
CN110392614A (zh) 2019-10-29
JP6742357B2 (ja) 2020-08-19
JP2018149597A (ja) 2018-09-27
JP7145130B2 (ja) 2022-09-30
WO2018164227A1 (ja) 2018-09-13
TW201836737A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775A (ko) 주조 지원 시스템
JP5117663B2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の経済性の計算
JP5307837B2 (ja) スマートメータを管理するための管理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8040818B2 (en) Method for exchange of upkeep-relevant information with a computer-supported, upkeep system
JP5837682B2 (ja) 金型モニタリング
US119155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955851B2 (ja) 工場監視システム、工場監視方法、及び工場監視用プログラム
TW201525885A (zh) 用於資產監控的通用無線平台之方法和系統
JP2018149597A5 (ko)
US20220321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gateway,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6563972A (zh) 刀具状态监测及预测方法
Rasmussen et al. IoT based digitalization and servitiz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concrete industry
US116358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6441849B2 (ja) 作業機械の部品交換時期算出システム
Monnot et al. Construction equipment telematics
JP2001321892A (ja) 砂性状を含む造型関連情報監視システム
JP2010287070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作業機械管理方法
KR20120080795A (ko) 콘크리트의 현장타설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통합정보 시스템
JP2005142754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1090593A (ja) 計算機システム、機器及びサーバ計算機
JP2005346636A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919105B2 (ja) 生産操業管理システム
JP2004118698A (ja) 故障保全管理システムおよび故障保全管理方法
KR102409863B1 (ko) 로봇 예방 및 예측 조치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JP2001321927A (ja) 造型ラインモニタ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