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237B1 -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 - Google Patents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237B1
KR101711237B1 KR1020127016703A KR20127016703A KR101711237B1 KR 101711237 B1 KR101711237 B1 KR 101711237B1 KR 1020127016703 A KR1020127016703 A KR 1020127016703A KR 20127016703 A KR20127016703 A KR 20127016703A KR 101711237 B1 KR101711237 B1 KR 10171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information
server
data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054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뵌쉬
니클라스 크라머
유르겐 프로니우스
Original Assignee
코메트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102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112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10017375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10017375U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110836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1108361A1/de
Application filed by 코메트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메트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4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2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betwee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a front-end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1)의 서버(19)에 관한 것으로, 서버는 통신 연결(20)을 거쳐 네트워크(1)에 연결되고,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21; 22)에의 접근성을 가진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공구 장치(2, 3, 4, 5)에 의해 사용되는 공구를 가능한 한 빈틈없이 관찰할 수 있기 위해, 서버(19)가 통신 네트워크(1)를 거쳐 다양한 기업들(6, 7, 8)에 부속한 사내의 복수 개의 공구 장치들(2, 3, 4, 5)와 연결되고, 서버(19)가 공구 장치(2, 3, 4, 5)의 공구(18)의 식별 데이터, 또는 공구 장치(2, 3, 4, 5)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구동 파라미터, 및/또는 공구(18)와 관련한 동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데이터 베이스(21; 22)에는 식별 데이터에 부속한 공구(18)의 정적 정보가 파일화되며, 그리고 서버(19)가 공구(18)에 관한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파라미터 및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며, 이 때 업데이트된 정보의 정보 내용은 수신된 동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적 정보 및 구동 파라미터의 정보 내용의 합을 초과한다.

Description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SERVER OF A COMPUTER NETWORK}
본 출원은 특히,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라는 제목으로 2011년 7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출원번호 61/510,816에 대해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출원의 내용에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10년 11월 25일자로 출원된 DE 10 2010 052 556.1에 대해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통신 연결(communication connection)에 의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해 형성된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서버는 종래 기술로부터 서로 다른 응용물을 위한 서로 다른 실시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서버는 서버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독자적인 컴퓨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서버 소프트웨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버 소프트웨어는 임의의 컴퓨터에서 실행된다. 이 때, 상기 컴퓨터가 서버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싱(processing)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을 위해서도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공구 장치의 분야에서 종래 기술로부터, 공구 및/또는 공구 홀더가 고유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를 가지고, 상기 식별기호는 예컨대 공구 장치에 의한 공구 관리를 위해 판독입력(read-in)되거나, 상기 식별값의 해석 및 처리는, 공구 장치가 어느 시점에도 어느 공구가 공구 저장부에 위치하고, 어느 공구가 공구 스핀들에 위치하거나 투입상태인가에 대해 알게 된다는 견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기호는 예컨대, 상기 식별기호가 공구 장치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판독입력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는 예컨대 EP 0 214 666 A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EP 0 462 279 A1으로부터, 공구 홀더측에 제공된 메모리 내에 공구와 관련된 부가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는 필요 시 공구 장치로부터 판독(read-out)되고, 공구 장치에서 실행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고려될 수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정보는 예컨대 공구의 길이, 직경 또는 마멸이다.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 데이터는 적합한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예컨대 바코드, 소위 QR 코드, 데이터행렬 또는 RFID 태그의 형태로 저장된다. 공구 및/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 데이터를 위한 메모리 수단은 외부로부터 상기 공구 또는 공구 홀더상에 설치되거나/설치되며 상기 공구 또는 공구 홀더안에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식별 데이터는 광학적으로, 무선 통신(radio communication)에 의해 또는 임의적인 다른 방법으로 비접촉식으로 판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구 장치는 적합한 읽기 수단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공구 장치에서,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 데이터, 그리고 식별 데이터와 연관되는 부가적 공구 정보들의 평가 및 처리는 실제로 각각의 공구 장치에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각각의 공구 장치의 투입 장소에 한정된다. 예컨대 제1공구 장치에서 식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식별된 특정한 공구에 대해 예컨대 공구의 사용 기간 및/또는 사용 방식과 같은 부가 정보가 감지 및 저장되면, 이러한 부가 정보는 공구의 교체 이후에 다른 공구 장치, 경우에 따라 더욱이 다른 투입 장소에 있는 다른 공구 장치에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최초에 특정한 공구 장치에 투입되었으며 마멸된 공구는 이 위치에서 새로운 공구로서 간주되는데, 공구의 사용 기간 및/또는 사용 방식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공지된 공구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의 방식 및 범위는 매우 한정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는 공구 장치 내에서 (공구 저장부 내에서, 스핀들 내에서 또는 사용 시) 공구의 현재 포지션에 대한 정보의 산출, 그리고 공구의 규격 및 마멸에 의존하여, 개별 공구들을 위한 보정 데이터의 산출이나 처리에 한정된다. 공구 포괄적이거나 공구 장치 포괄적이거나 심지어 투입 장소 포괄적인 데이터 처리, 예컨대 경우에 따라 심지어 다양한 투입 장소에서 복수 개의 공구 장치들의 복수 개의 공구들에 부속하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구동 파라미터의 통계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 처리는 종래 기술에서 구현될 수 없다.
공구 장치를 위한 공구들의 개발 및 제조 시, 공구 제조사는 일반적으로 상기 제조사의 수년간의 기술적 경험에 의존한다. 일련의 공구 투입으로부터 공구 제조사쪽으로 오는 피드백은 거의 없다. 기껏해야 극히 비정상적인 공구 오작동 시, 공구 제조사쪽으로 반품되는데, 제조사에서 이러한 반품은 발생한 공구 손상 및 원인과 관련하여 조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공구 제조사측에서의 공구 조사는 일부 적은 개별 경우들에 한정되며, 공구 제조사는, 원인 파악을 위해 필요한, 손상 발생 이전 시점 및 손상 발생 시점에서 공구 사용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 공구 사용자의 언급에 맡긴다. 따라서, 손상의 원인 파악은 오래 걸리고 작업 집약적인 경우가 자주 있으며, 때때로 정확한 원인 파악은 심지어 불가능하거나, 잘못된 원인이 파악되기도 하는데, 사용자의 언급은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다른 공구를 향후에 제조할 때 그리고/또는 향후의 공구를 개발하고 제조할 때 상기 공구의 손상 및 그 원인에 대해 고려하는 것은 극히 적은 예외적 경우에만 해당하는데, 왜냐하면 이는 매우 비용이 들고 최종적인 효과에 있어서도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설명한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공구 장치를 위한 공구의 수명 사이클을 더욱 양호하게, 특히 빈틈없이 그리고 신뢰할만하게 관찰할 수 있어서, 공구 제조사 및 경우에 따라서 자격을 갖춘 제3자에게 각종 부가적 정보, 그리고 공구의 사용 기간, 사용 방식, 공구의 서비스 수명(service life) 등에 대한 더 신뢰할만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공구의 사용자 및 제조자를 위한 부가 가치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서버로부터 시작하여, 서버를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네트워크의 다른 서버에 의해 간접적으로, 공구 및/또는 작업편의 재형삭(resharpening),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하기 위해 다양한 기업들에 부속한 복수 개의 사내 공구 장치들 및/또는 다른 장비들과 연결하는 것, 서버가 공구 장치의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 데이터 그리고/또는 공구 장치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구동 파라미터 그리고/또는 공구와 관련된 동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 식별 데이터에 부속하는, 공구에 관한 정적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에 파일화하는 것, 그리고 서버가 상기 수신된 동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정적 정보 및/또는 공구 장치의 구동 파라미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공구에 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생성하며, 이 때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의 정보 내용은 수신된 동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정적 정보 및 구동 파리미터의 정보 내용의 합을 초과하는 것을 제안한다.
공구 및/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용도로 다양한 기업들에 부속하는 다른 사내의 장비들은 바람직하게는 부가적 서버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서버와 연결되며, 이러한 장비들은 예컨대 공구의 재준비를 위한 임의적 가공 장치, 사전 설정 시스템, 측정 장비, 코팅 설비, 문자쓰기 장비, 공구 저장 장소(예컨대 취출이 기입된 위탁 보관소 또는 공구 캐비닛)이거나, 또는 예컨대 MES/BDE(구동 데이터 감지)-터미널, 휴대폰 및 서버로부터 객관적 정보 또는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을 호출하기 위한 PC 관련 장비와 같은 다른 감지- 및 통신 장치, 즉 임의의 기타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전송기 및/또는 데이터 이용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업 또는 기업 소재지 내에서 일부 또는 복수 개의 공구 장치들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다양한 기업들 또는 기업 소재지를 뛰어넘어 분포하는 복수 개의 공구 장치들 및/또는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전송기 및/또는 데이터 이용기를 상호간에 네트워킹하는 것이 제안된다. 공구 장치들 및/또는 및/또는 그 외의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전송기 및/또는 데이터 이용기의 상호간 네트워킹을 위해, 임의의 전기 통신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일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가 사용된다.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공구 장치 및/또는 부가적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전송기 및/또는 데이터 이용기는 임의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내에서 융합한다. 전송된 정보는 특히 공구 장치 및/또는 부가적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전송기 및/또는 데이터 이용기 내에서 사용되거나 존재하는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 데이터, 공구 장치의 식별 데이터 그리고/또는 공구 장치의 구동 파라미터이다. 구동 파라미터는 예컨대 특정한 공구를 위한 공구 장치의 회전수, 전진 및/또는 투입 시간이다. 그러나, 전송된 정보는 유형학적 기계 정보, 즉 유형과 관련된 제조 시스템 정보일 수 있으며, 예컨대 공구 장치의 구조(예컨대 갠트리(gantry), 포털(portal), 콘솔, 전송라인, 윤전식 사이클링 장치(rotary cycling machine) 등), 스핀들과 공구 사이의 상대적 자유도의 수(NC-축의 수), 강성 행렬(stiffness matrix)(예컨대 상대적, 절대적, 정적, 동적) 또는 감지된 공구와 실제로 연결될 수 있는 안정성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부가가치 정보는 투입 조건의 적응 또는 최적화를 위해 그리고 공구의 안전성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정보, 특히 공구의 사용 중에 장치내에 수집되는 사용 파라미터는 투입 조건의 정합을 위해 차용될 수 있고, 예컨대 전진 속도, 절삭 속도, 서비스 수명 등의 증대 또는 감소를 위해 차용될 수 있다.
유형학적 기계 정보에 의거하여, 서버내에는 기계 분류가 제공될 수 있고, 기계 분류는 개별 공구, 공구 유형 및 재료에 부속할 수 있다. 이러한 차별화는 예컨대 입력값 벡터로서 신경망(neural network)에 공급될 수 있고, 신경망은 사용된 공구, 공구 홀더 및/또는 공구 장치에 대한 예보를 할 수 있다. 신경망은 자가 습득식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감지된 예시 경우들이 증가하고, 평가 기준들이 정합되면서 더 정확한 예보를 할 수 있는 것이 더 많아진다. 더 많은 공구 장치에 관한 유형학적 정보가 더 많이 제공되고 평가될 수 있을수록, 공구, 공구 홀더 및/또는 공구 장치에 대한 예보는 더 신뢰할만 하다. 물론, 유형학적 정보에 토대를 두어 신경망을 이용하는 것과 상이한 방식으로도 예보를 할 수 있는데, 예컨대 그룹 형성 및/또는 통계적 평가를 이용하여 그러하다.
상기 실시되는 예보는 예컨대, 공구 또는 공구 장치의 예측 가능한 잔여 유효 수명(서비스 수명), 주어진 투입 조건하에 공구의 향후 마멸, 특히 상기 평가된 공구의 향후 마멸을 고려하여 각각의 응용예를 위해 공구 장치의 최적의 구동 파라미터, 잠정적으로 절삭 인서트 또는 전체 공구의 교체가 예정되고, 차후 시기에 맞춰서 공구- 및/또는 장치에 관련하여 임의적으로 다른 판단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관한 것이다.
가공 특화적이며 공구 특화적이고 특히 재료 특화적인 정보에 의거하여, 서버내에 작업편-/재료 분류가 실시될 수 있으며, 이 때 다양한 등급은 다시 공구 및 공구 유형에 부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구 또는 공구 장치의 가공 가능성 및 예측 가능한 유효 수명(서비스 수명)에 대해 근본적으로 더 정확하고 더 신뢰할만하게 판정할 수 있다.
공구 또는 공구 홀더에 부속하는 식별 데이터는 그 자체에 대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적합한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메모리 수단은 공구나 공구 홀더상에 또는 공구나 공구 홀더내에 배치되고, 예컨대 보관소-/재고 관리(예컨대 재고 조사 등을 위해) 영역들로부터의 논리적 읽기 장비와 같이, 공구 장치의 적합한 읽기 수단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판독될 수 있다. 물론, 판독입력된 정보의 전송 목적을 위해 공구 장치에 연결되는 별도의 읽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구 장치가 접촉식 방법을 이용하여, 예컨대 주사 패턴(scanning pattern)을 이용하여 식별 데이터를 판독 입력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구 장치는 어느 때에도, 어떤 공구가 공구 장치내에 존재하는가, 그리고 공구 장치내에서 공구의 포지션에 대하여, 특히 어떤 공구가 투입중인지 또는 투입되었는가에 대해 개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 및 그 외 정보는 공구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전송된다.
또한, 공구 또는 공구 홀더에 부속한 식별 데이터가 사전 설정 장비 또는 공구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판독입력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사전 설정 장비를 이용하여 공구는 공구 장치내에서 투입 전에 측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공구의 절단 포지션을 고려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설정 장비내에는 작업편 대신 측정 장비가 제공된다. 사전 설정 장비는 공구 장치내에 공구를 투입할 때 고려되는 보정값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공구 장치내에서 수동으로 보정값에 상응하는 보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보정값은 공구 장치에 전송되고, 여기서 공구의 사용 시 자동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보정값의 전송은 수동으로, 또는 사전 설정 장비와 공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내에는, 식별 데이터에 부속하는, 공구에 대한 정적 정보가 파일화된다. 정적 정보는 예컨대 공구의 종류, 제조사, 제조일, 공구의 규격, 절삭 인서트의 수, 물질 등이다. 공구로서 특히 작업편의 치핑(chipping) 가공을 위한 공구가 사용된다. 공구의 종류는 예컨대 드릴(drill), 선삭공구(turning tool), 밀(mill), 정밀보링공구(precision boring tool), 리머(reamer), 호닝 공구(honing tool), 연삭돌 또는 연삭디스크, 작업편의 래핑(lapping)을 위한 문지름 부재, 마감 밴드(finish band) 또는 마감석, 또는 금속이나 다른 물질 소재의 작업편을 치핑 가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공구이다. 물론, 본 발명은 다른 공구를 위해서도, 예컨대 변형기능의 공구(변형 공구)를 위해, 특히 펀칭-/코이닝 공구를 위해, 또한 딥드로잉 다이(deep drawing die), 금형 및 스탬프 등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마멸 조건적인 마모, 및 공지된 최종 유효수명에 종속적인 그 어떠한 종류의 기계 공구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에 특정 공구에 대해 저장된 정적 정보의 종류 및 범위는 공구의 종류,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을 기초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 또는 저장 매체의 용량, 그리고 산정해야 할 업데이트 정보의 원하는 정확도 및 신뢰도에 상당히 의존한다.
서버내에서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고유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식별 데이터 외에, 공구 장치는 예컨대 공구에 대한 동적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도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된 동적 정보는 예컨대 공구의 사용 기간 및 사용 방식, 공구의 마멸, 절삭 인서트의 잠재적 교체에 대한 정보, 가공해야 할 작업편의 물질 및 규격 등이다. 개별 공구들 및/또는 부속한 공구 홀더들은 부가적 센서를 구비하고, 이 때 센서 신호가 마찬가지로 동적 정보로서 서버에 전송될 수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공구 홀더내에 힘 센서, 진동 센서 또는 회전 모멘트 센서를 내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공구의 사용 동안 공구에 작용하는 힘의 값 또는 회전 모멘트의 값을 감지하고 적합한 송신 수단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식으로, 그에 상응하는 공구 장치의 읽기 수단에 전달한다. 여기서부터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동적 정보는 공구의 투입 장소에서 주변 조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공구 장치의 주변에 또는 공구 장치 자체내에 적합한 센서가 예컨대 온도를 감지하거나/감지하고 최고정밀가공 시 습도 및 다른 인자를 감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공구의 투입 동안 동적인 공정 파라미터를 감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공정 감시 용도로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파라미터도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공구를 이용하여 사용된 냉각제, 연마제 또는 래핑제의 양은 공구 장치로부터 중앙 서버에 전달되는 동적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공구들에 대해 수신된 식별 데이터들에 의거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적 정보에 의해, 서버에서는, 어떤 공구가 어떤 공구 장치내에서 그 시점에 존재하거나 투입중인가가 정확하고 명료하게 산출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동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정적 정보 및/또는 공구 장치의 구동 파라미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더 제공한다. 서버내에서 융합하는 정보들이 적합하게 처리됨으로써 정보적 부가 가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가 가치는 공구 제조사 및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정보의 처리는 공구 특화적으로, 즉 각각의 공구를 위해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동일한 종류의 공구들(공구 유형들)을 위해 공구 포괄적으로, 또는 다양한 공구들을 위해, 경우에 따라서 심지어 다양한 기업 또는 다양한 기업 소재지의 다양한 공구 장치들의 공구들을 위해 그리고/또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공구를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신경망에 의해 그리고/또는 제공된 정적 및/또는 동적 정보와 구동 파라미터의 통계적 평가에 의해, 특정한 공구 유형을 위해 개별적 경우에 편차 종속적이지 않은 대표적 평균값이 산출될 수 있고, 평균값은 이러한 공구 유형의 공구의 품질 및 유효수명(서비스 수명)에 대한 신뢰할만한 판단을 허용한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공구 제조사에게서, 상기 공구 유형의 공구들의 향후 품질, 안정성 및/또는 서비스 수명을 맞추기 위해, 즉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공구 제조로부터 공구의 투입 및 사용을 지나 다시 공구 제조사로 돌아가는 닫힌 제어 회로가 확실히 형성된다.
효과 사이클은 공구 장치내에 공구를 투입하는 것을 조정 구간으로서 포함한다. 효과 사이클은, 예컨대 공구의 가능한 한 긴 서비스 수명을 고려하여 최적화되어야 한다. 조정값(들)로서 투입된 공구를 위한 동적 정보는 예컨대 적합한 센서 또는 모델의 형태를 가지는 측정 장치에 의하여 감지되고, 신호값(들)로서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에 피드백된다. 서버내에서는, 네트워크에 의해 수신된 동적 정보 및 서버내에 저장된 정적 정보의 데이터 처리의 범위에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참조형 변수(reference variable)와의 비교에 의하여 제어편차가 형성된다. 참조형 변수는 예컨대 마모값으로 형성되고, 마모값은 공구 또는 공구가 투입된 공구 장치의 각각의 투입, 작업편의 물질 또는 다른 파라미터에 의존할 수 있고, 마모값은 예컨대 가능한 한 적거나 낮아야 한다. 참조형 변수(들)은 조정기에 공급되고, 조정기는 관찰되는 유형의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 형태의 하나 이상의 작동기(actuator)를 제어하되, 예컨대 공구의 마모가 최소화되고, 경우에 따라 공구 또는 공구가 투입되어야 할 공구 장치의 각각의 투입,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해야 할 작업편의 물질 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최소화되도록 제어한다. 최적화된 조건에서 제조된 공구는 다시 상기 설명한 방식으로 관찰될 수 있다.
조정회로의 반응 시간은 수 일 이상이다.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에 피드백되는 모든 정보가 동일하게, 작동기의 제어 시 고려사항이 되진 않는다. 오히려, 정보들이 작동기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우선 특정한 시간에 걸쳐, 예컨대 수 시간, 수 일 또는 수 주에 걸쳐 정보들이 수집되고 처리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집 및 처리된 정보들이 작동기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우선 특정한 수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공구 유형의) 다양한 공구들의 정보들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물론, 특정한 유형의 공구의 품질 또는 유효수명을 산출하는 것은, 개별 정보들의 합에 비해 정보적인 부가가치를 지닌 업데이트된 정보들을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투입하는 무수한 가능성들 중 하나일 뿐이다. 특정한 공구 유형의 산출된 유효수명에 대하여, 상기 유형의 공구의 이제까지의 투입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구의 예측가능한 잔여 유효수명 또는 잠정적으로 절삭 인서트 또는 전체 공구의 교체가 언제 이루어지는가가 산출될 수 있다. 공구 제조사에서, 해당하는 공구의 생산 및 납품 그리고 이와 연관된 장부상의 조처의 발생(예컨대 물품 입고의 코디네이션, 인도증 작성 및 송달, 계산서 작성, 운송 신청, 재고량 맞춤, 주문 공정 가동 및 감시, 그리고 송달 추적 시스템 또는 주문장비에 데이터 제공)은 이러한 정보들에 의하여 신뢰할만하게 조기에 코디네이션될 수 있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내에 저장된 정보들에 의거하여, 공구 재고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정된다(localized).
데이터 베이스내에 파일화된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내에는 바람직하게는 미가공 데이터(raw data) 또는 기초 데이터만이, 즉 공구, 공구 장치 및/또는 기업의 영역에서 이미 사전 처리되거나 평가된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만이 저장되고, 부가 가치 정보의 산출을 위해 차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들은 공구, 공구 장치 및/또는 기업의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사전 처리되거나 평가될 위험이 있을 것이고, 이로 인하여 데이터 베이스내에서는 내용의 일관성 및 완결성에 있어 문제가 있을 것이다.
서버내에서 생성된 업데이트된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제3자는 예컨대, 서버에 의해 감시되는 특정한 유형의 공구가 투입되는 기업 또는 기업 소재지이며, 상기 기업 또는 기업 소재지에 투입된 공구의 현재 상태 및 미래(유효 수명)에 대해 가능한 한 포괄적으로 알기 위함이다. 서버의 처리 수단에 의해 작동하는 포괄적인 정보 평가 및 정보 처리는 말하자면 공구의 현재 상태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적합한 평가 시, 예컨대 공구에 결함이 생기거나 먹통이 될 때까지 공구의 예측가능한 이후 서비스 수명의 형태로, 공구의 미래에 대한 신뢰할만한 판단을 허용한다. 특히 공구의 미래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많은 공구들의 정보 및 그에 상응하는 공구 장치의 구동 파라미터에 접근할 수 있고 이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투입함으로써 비로소 가능해진다.
또한,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서버 및 서버에 파일화된 정보에 접근하는 제3자는,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 필드를 기초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내에 포함된 정보 및 데이터를 평가하고 개별적인 부가가치 정보 또는 보완적인 데이터 베이스 필드를 생성하기 위해 새로운 함수 또는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함수,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 베이스 필드는 제3자에 의해, 서비스로서,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앱")의 범위에서 제공 및 판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 구조가 공개되며, 이 때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 즉 데이터 베이스내에 파일화된 정보 및 데이터는 기밀로 또는 익명으로 유지되고, 즉 제3자에게 접근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외 다수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개별적 코드에 의해, 즉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식별 데이터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부가적인 다수 정보와 연결할 수 있다. 공구 제조사측의 품질 관리 환경에서, 특정 공구에 대한 측정값, 생산 데이터 등의 할당에 의해, 공구 사용자측의 항의(complaint)가 있는 경우에 공구 오작동에 대한 원인을 간단히 찾을 수 있다. 부가적 가능성은 예컨대 제조된 공구의 특정한 로트(lot)를 목적에 맞게 취소하는 것이다. 공구의 생산 환경에서 예컨대, 작업편 또는 작업편으로 제조된 공구를 식별하고 생산에 의해 조종하기 위해(주문서류 생략) 개별적 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고객(공구의 사용자)측에서 물품 입고 관리의 환경에서, 공구의 독자적 식별은 입고된 공구의 입고 관리를 위해, 검사 프로그램, 도면, 기술적 사양 등의 자동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전 설정 장비를 이용한 공구 사전 설정의 환경에서, 조립된 공구는 개별 코드를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고, 다양한 공구들에는 특정한 설정값들,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 등이 부속할 수 있다. 또한, 공구의 개별 코드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공구 장치를 위한 설정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기업 내의 사용자측에서 NC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공구의 개별 코드는 공구 장치를 위한 해당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 충돌 관찰 모델(collision monitoring models) 등의 자동 다운로드를 허용한다. 공구 사용의 환경에서, 개별 코드는 공구 투입 시간, 절삭 데이터, 공구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품의 품질 등의 산출, 이러한 산출된 값을 서버에 전송, 산출된 값을 특정한 공구 또는 공구 유형에 할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공구를 위한 모범 사례(best-practice) 권장사항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주변 공구 장치 시스템에 의존하므로, 모범 사례적인 권장사항의 산출을 위해서는 공구 장치에 대한 정보(예컨대 제조사, 유형, 제조연도 등) 및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 종속적인 다른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구매/가공의 환경에서, 개별 코드는 예컨대 다른 공구들에서 대체용 수용부 또는 절삭 인서트의 식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열거한 정보들 외에, 추가적으로 공구 제조사, 소매인, 고객(이는 공구의 이용자임) 등의 임의적 정보가 산출될 수 있고, 개별 코드에 의해 특정한 공구에 부속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정보의 생성 시 고려될 수 있다.
뭉툭한 공구 또는 절삭 인서트를 날카롭게 하기 위한 추가 연마 서비스의 환경에서, 공구의 개별 코드는 해당 도면, 절단재/코팅에 대한 정보, 기계 프로그램, 이미 실시되거나/실시되고 아직 가능한 추가 연마의 수, 고객 정보, 오리지널 주문 번호 등의 자동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구 준비를 위해, 공구에 대한 정보는 서버로부터 불러올 수 있으며, 예컨대 투입 시간, 지나온 경로, 가공된 작업편의 수, 이제까지의 구동 동안 생성된 (오류-) 데이터의 수 등과 같은 사용 파라미터를 불러올 수 있다. 공구 준비를 실시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공구에 부속하는 소정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고, 이로부터 공구의 준비가 실시되었다는 것, 그리고 공구의 종류 및 범위에 대해 추론된다.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각각의 식별 코드는 유일하며, 각각의 공구를 위해 또는 심지어 공구의 각 내장 부품을 위해 고유의 방식으로(공구 유형 및 공구의 개별 부분과 관련하여) 부여될 수 있다. 각 코드는 특정한 데이터 베이스 입력에 고유의 방식으로 부속한다.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입력 하에, 특정한 공구 유형에 대해 적용되고, 공구의 개별 부품이 개별 식별 코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공구의 각각의 개체적 개별 부품에 대해 적용되는 모든 정보들이 저장되거나, 또는 데이터 베이스 입력은 이러한 정보를 가리킨다. 식별 코드는 예컨대, 광학적으로, 무선으로 또는 그 외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저장 부재(예컨대 RFID 태그, 데이터행렬, 바코드, QR 코드 등)에 저장된 숫자-/알파벳 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부재는 식별 코드 외에 부가적 정보를 저장할 수 없다. 그러나, 공구의 투입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임의의 정보들이 저장 부재에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공구의 사용 파라미터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부재는 예컨대 쓰기 가능한 RFID 태그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판독입력되고, 서버에 전송되며 데이터베이스에 파일화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들은 공구 준비 시 조회되고, 공구 준비의 최적화를 위해 차용될 수 있다.
물론, 공구 전체로서뿐만 아니라, 공구의 개별 부분들에도 각각 개별적인 식별 코드가 할당되고, 개별부분들에 저장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공구의 개별 부분들은 예컨대 공구 홀더, 공구 수용부, 절삭 인서트 또는 선삭 인서트, 연장부(extension) 등이다. 개별 부분들의 개별적 코드는 마찬가지로 판독입력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다수의 개별 부분들에 대한 정보들이 파일화되어 있다. 다양한 공구들은 데이터 베이스내에서 또는 데이터 베이스에 부속한 처리 유닛내에서 가상으로 개별 부분들로부터 통합되어, 항상, 특정한 공구가 어떤 개별 부분들로 구성되는 가를 알게된다. 다양한 개별 부분들로 공구가 새로 구성되면, 예컨대 신규하게 수용되거나, 연장부가 교체되거나, 절삭 인서트가 교환되면, 이러한 점은 문제없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자유롭게 구성 가능한 관련 필드들(fields)을 포함한다. 각각의 필드는 보완될 수 있고 정보들을 갖출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의 모든 필드들을 위해 개별적 읽기-/쓰기 권한이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공구 또는 공구의 개별 조립체들, 예컨대 수용부내에서 드릴상의 절삭 인서트의 가상 조립 및 해체를 허용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립된 공구의 위치/포지션, 전체 크기 등이 얻어진다. 식별 작업은 전체 공구에 대해 연관된 각각의 식별 코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3자에 의한 서버 조회는 일반적으로, 해당 공구의 식별 코드 또는 그 외 정의값(예컨대 품목번호, 명칭 등), 그리고 요구된 정보를 얻기 위한 제3자의 권한을 증명하는 권한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권한 코드는 서버의 운영자로부터 제3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코드는 예컨대 불러온 장비의 소재지에 대한 정보, 불러온 장비의 식별을 위한 정보 및 불러온 정보들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그러므로, 고객 특화적으로(customer specific), 구매 정보 또는 기하학 정보가 공급될 수 있다. 오용 또는 패스워드 입력은 중지될 것이고 장비의 전환(외부 제3자에게 사용 장비의 판매)은 오용적이거나 신뢰할만하지 않은 데이터 호출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서버가 요구된 지점에서 전송된 권한 코드에 의거하여 권한을 작동시키면 비로소, 공구에 대한 원하는 정보는 식별 코드 또는 그 외 정의값에 따라 전송된다. 따라서, 예컨대 고객에게, 즉 공구의 사용자에게 있어, 공구 사전 설정 장비 유형, 공구의 설명, 치수 및 다른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반면, 구매자는 예컨대 드릴 본체 유형, 단가, 주문 조건 및/또는 절삭 인서트의 고유 재고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판매자에게 심지어는, 창고 관리를 위한 기획 데이터, 유효범위(range), 기한 및 다른 처리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적인 부가가치를 얻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정보들은 더 높은 레벨로 압축된다. 예컨대, 고객 또는 구매자에게서 동일한 품목(예컨대 공구 또는 절삭 인서트)의 수가 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구의 투입 장소의 코드도 특정한 계층(hierarchy)에 플렉서블하게 부속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투입 장소의 코드는, 고객 B 의 공장 A 에 설정 장비가 있는 상태에서 판매되고, 다른 공장 C에 또는 다른 고객 D에게 있을 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공장 C 또는 다른 고객 D는 데이터 풀(data pool)의 업데이트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내에 저장된 업데이트 정보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자, 예컨대 공구 제조사, 고객(공구 사용자) 또는 임의적인 타자가 데이터 및 정보를 서버로 도로 전달하고, 이러한 정보들은 쓰기-/읽기 지점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입력에 저장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된 절삭 인서트 및 절삭 데이터는 사용된 드릴 및 사용된 장치에 따라 저장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른 장치에 동일한 드릴을 투입할 때, 상황에 따라 다른 절삭 인서트가 투입되고, 다른 절삭 데이터가 얻어진다.
절삭 인서트, 수용부, 공구 및 사전 설정 장비와 공구 장치가 연결됨으로써, -또한 익명화되어 - 압축 레벨로, 고객의 사용 거동에 대한 중요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특히, 사용 빈도, 투입 기간, 교체 시기 등을 포함한다. 이 때, 히스토리(history)에 비해 변경된 투입 거동, 및 공구 납품사를 위한 다양한 투입 장소들 사이의 비교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사용 시간의 편차 범위, 예컨대 국가별로 현저한 상이점, 기계 특화적이거나 고객 특화적으로 등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고객측에서 체험한 개선사항에 관하여 정확한 연구는 생산 개혁에 의해 가능하다.
서버내에서 융합되는 이러한 모든 정보들은 중앙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 및 정보의 적합한 통계적 분석에 의해 산출되고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공구 제조사 및 임의의 제3자를 위해 괄목할만한 정보값을 가지고, 상기 정보값은 이들에게 운영자 모델의 범위내에서 예컨대 비용 의무적으로 또는 서비스로서 제공되고, 접근가능해질 수 있다. 최종 고객(공구의 사용자)에게 본 발명을 투입할 때, 모델은 공구 제조사 및 제3자에게 부가적으로, 구현된 생산성 고취에 대한 추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고객과의 가격 조정을 위해 활용될 수 있거나, 심지어 향후의 가격 개발을 위한 토대로서 계약으로 합의될 수 있다. 시스템 설계가, 예컨대 공구 장치내에서 서버 동기화가 의무적으로 시작되어, 공구 장치로부터 서버로의 데이터- 및 정보 전송의 중지 또는 우회의 개념에서 속임(fraud)이 배제되도록 이루어지면, 공구 장치, 공구 장치에 의해 사용된 공구 또는 공구 홀더의 라이프사이클 비용 고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심지어 판매 모델은 "Pay-Per-Part"(가공된 작업편 당 지불) 또는 "Pay-Per- Feature" (기하학적 부재 당 지불), 특히 "Pay-Per-Hole"(구멍 마다 지불)을 토대로 하여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 때, 열거한 특징들은 독자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임의적 조합으로도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3은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4는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 정보들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바람직한 제1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정보 조회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바람직한 제2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정보 조회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바람직한 제3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정보 조회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참조번호 1로 표시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1)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임의적 네트워크로서, 특히 인터넷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는 도 1에서 상징적으로만 구름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1)의 정확한 형성은 종래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통신 네트워크(1)에는 다양한 참여자가 공구 장치(2, 3, 4, 5)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공구 장치(2 내지 5)는 공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소재지(6, 7, 8)에 배치되어 있다. 소재지(6 내지 8)가 서로 다르다는 것은 다양한 기업 또는 기업 소재지를 가리킬 수 있다. 공구 장치(2, 3)는 간접적으로 기업 내부 서버(9)를 경유하여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전송 라인(10, 11)을 경유하는 공구 장치(2, 3)와 서버(9)간의 데이터 전송은 임의적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기업 내부의 독점적 프로토콜 또는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이 고려된다. 데이터 전송 연결(12)에 의한 서버(9)와 통신 네트워크(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마찬가지로 임의적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가 인터넷으로서 형성되는 한, 데이터 연결(12)에 의한 데이터 전송은 바람직하게는 IP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버(9)는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서버로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시된 공구 장치(2, 3) 외에 그 외의 공구 장치가 서버(9)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점은 공구 장치들(2, 3) 사이의 3개의 점들로 표시되어 있다. 서버(9)에 더 연결된 공구 장치들은 마찬가지로 소재지(6) 내에 또는 이와 공간적으로 떨어져서, 예컨대 다른 기업 또는 기업 소재지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구 장치(4) 또는 경우에 따라서 공구 장치(4)의 옆으로 우측에 3개의 점들로 표시된 다른 공구 장치들은 소재지(7)에 배치되어 있고, 데이터 전송 연결(13)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연결(13)을 경유하여 공구 장치(4)와 통신 네트워크(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임의의 프로토콜, 특히 IP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송할 데이터를 사용된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준비하기 위해, 공구 장치(4)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충족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적합한 인터페이스(14)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공구 장치(5) 및 경우에 따라서 공구 장치(5)의 하부에 3개의 점들로 표시된 다른 공구 장치들은 소재지(8)에 배치되어 있다. 공구 장치(5) 및 경우에 따라서 소재지(8)의 다른 공구 장치들은 데이터 전송 연결(15)에 의해 직접적으로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연결(15)에 의한 공구 장치(5)와 통신 네트워크(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임의적 프로토콜, 특히 IP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전송할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해, 공구 장치(5)는 인터페이스 기능의 충족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적합한 인터페이스(16)를 제공한다.
물론, 도시된 공구 장치(2 내지 5)보다 많은 수의 공구 장치 그리고 도시된 소재지(6 내지 8) 보다 많은 수의 소재지가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소재지의 공구 장치들은 일부는 간접적으로 서버를 경유하여, 그리고 일부는 직접적으로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연결된 공구 장치(2 내지 5)는 바람직하게는 작업편의 치핑 가공을 위한 공구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공구 장치(2 내지 5)는 특히 드릴링, 회전, 밀링, 호닝, 연마, 래핑, 마감(finishing) 또는 톱질을 위해 형성되고, 상응하는 공구를 제공한다. 각각의 공구 장치(2 내지 5)는 일반적으로 공구 저장소내에서 복수 개의 공구들을 저장해두고, 원하는 가공 단계 동안, 작업편의 가공을 위한 해당 도구가 장착된다. 공구 장치는 소위 리볼버 홀더(revolver holder)를 제공하고, 리볼버 홀더는 복수 개의 공구들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가공 단계 및 작업편의 서로 다른 가공 방식을 위해, 공구 리볼버가 가공 포지션으로 움직임으로써, 원하는 공구만이 옮겨질 수 있고, 각각의 가공 단계를 위해 공구 저장소내에 포함된 공구에 접근해야 할 필요는 없다. 상대적으로 복잡한 공구 장치들(2 내지 5)이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장치들은 상당히 다양한 공구들을 공구 저장소에서 제공하고, 심지어 100개까지의 공구들을 제공하며, 장치의 공구 리볼버는 복수 개의 공구들을 수용할 수 있고, 10개까지 또는 그 이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도구들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각각의 도구 장치(2 내지 5)를 위해 홀딩된 도구(18)를 포함하는 도구 홀더(17)만이 상당히 간략화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19)는 데이터 전송 연결(20)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되어 있다. 서버(19)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접근한다. 데이터 베이스(21, 22)는 직접적으로 서버(19)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데이터 전송 연결(23)에 의해 서버(19)와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21)의 경우와 같다. 더욱이 데이터 베이스(21)가 서버(19)의 필수 구성요소인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베이스(21, 22)는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데이터 전송 연결(24)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1)와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22)의 경우와 같다. 이 경우, 서버(19)는 데이터 연결(20, 24) 및 통신 네트워크(1)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22)에 접근한다. 물론, 도시된 데이터 베이스(21, 22)보다 더 많은 수의 데이터 베이스가 서버(19) 또는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에 서버(19)가 접근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25)는 데이터 전송 연결(26)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을 위한 토대로서 공구 장치(2 내지 5)의 공구 홀더(17) 및/또는 공구(18)는 가능한 한 종합적으로, 각각의 공구 홀더(17) 또는 공구(18)에 고유의 방식으로 부속한 식별 데이터를 각각 구비한다. 식별 데이터는 임의의 숫자- 및/또는 알파벳 조합을 포함한다. 식별 데이터는 바코드, 데이터행렬, QR코드, RFID 태그 또는 유사한 저장 수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수단은 공구 홀더(17) 또는 공구(18)상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구 장치(2 내지 5)는 공구 홀더(17) 또는 공구(18)의 식별 데이터를 비접촉식으로 판독입력하기 위해 적합한 판독입력수단을 제공한다. 판독입력수단(27)은 바코드, 데이터행렬 또는 QR코드에서 광학적으로 작동하고, RFID 태그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작동한다. 공구 장치(2 내지 5)는 공구 홀더(17) 또는 공구 (18)의 식별 데이터를 서버(19)에 전송한다.
데이터 베이스(21, 22)내에는 식별 데이터에 부속한 공구(18)에 대한 정적 정보가 파일화된다. 정보들은 예컨대 공구(18)의 종류(예컨대 드릴, 선삭공구, 밀, 호닝 공구, 연삭돌 또는 연삭디스크, 리머, 마감밴드 또는 마감석 또는 톱), 공구 제조사, 공구의 물질, 교체 절삭 인서트의 수, 종류 및 실시형태, 공구를 위한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 공구를 위한 검사 프로그램, 공구의 도면 또는 기술적 사양, 충돌 관찰 모델(2D, 3D) 등을 포함한다. 공구(18)의 수신된 식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서버(19)는 명백하게, 어떤 공구가 관찰된 공구 또는 관찰된 공구 장치에서 사용되는 공구인가를 산출할 수 있다. 관찰된 공구(18)를 위해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 DIN 4000에 따른 속성(비교 가능한 공구를 찾기 위해 공구에 대한 설명 용도로), 충돌 관찰 모델, 검사 프로그램, 도면 또는 기술적 사양 또는 그 외의 것을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끌어내어, 예컨대 클라이언트(25)를 거쳐 서버(19)에 접근하는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공구(18)의 식별 데이터 외에, 임의적으로 공구 장치(2 내지 5)의 다른 정보들이 서버(19)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예컨대 공구 장치(2 내지 5)의 식별 데이터 및/또는 구동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공구 장치(2 내지 5)의 식별 데이터에 의거하여, 서버(19)는, 식별 데이터에 부속하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부가적 정보들을 이용하여 정확히, 어느 종류의 공구 장치가 문제인가를 산출할 수 있다. 공구 장치(2 내지 5)의 구동 파라미터는 예컨대 회전수, 전진 속도, 투입 시간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변화에 종속되므로, 동적 정보라고 한다.
서버(19)는 수신된 동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적 정보 및/또는 공구 장치(2 내지 5)의 구동 파라미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더 제공한다. 수신된 정보 및 파라미터의 적합한 평가 및 처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9)는 도구(18)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서버(19)에서 다수의 공구들(18) 및 공구 장치들(2 내지 5)에 대한 대량의 서로 다른 정보들이 모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량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가 중앙의 장소, 말하자면 서버(19)에 제공된다는 사실은 최초로, 공구(18)에 관한 업데이트된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업데이트된 정보들의 정보 내용은 수신된 동적 정보,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적 정보 및 구동 파라미터의 정보 내용의 합을 초과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생산- 및 서비스 사이클의 개선 및 최적화를 위해 공구 제조사뿐만 아니라 임의의 제3자에 의해서도 활용될 수 있는, 사실적 정보성 부가가치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25)는 네트워크(1)내의 임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25)가 기업내에서 임의의 소재지, 예컨대 소재지(7)(도 2 참조)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기업은 클라이언트(25)를 거쳐, 네트워크(1)에 의해 서버(19)에 접근함으로써, 공구(18)와 관련된 부가가치 정보, 예컨대 공구(18)의 최적 투입("모범사례")을 위한 권장사항,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 충돌 관찰 모델(2D, 3D) 등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25)가 공구 제조사(28)(도 3 참조)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공구 제조사(28)에서 품질 보증의 환경에서, 공구 사용자측에서 항의(complaint)가 있는 경우, 특정 공구(18)에 대한 측정값, 생산 데이터 등의 할당에 의하여 공구 오작동에 대한 원인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부가적 가능성은 예컨대 제조된 공구(18)의 특정한 로트를 목적에 맞게 취소하는 것에 있다. 공구(18) 생산의 환경에서, 예컨대, 작업편 또는 작업편으로부터 제조된 공구(18)를 식별하고 생산에 의해 조종하기 위해(주문서류 생략) 공구(18)의 개별 코드를 활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25)가 추가 연마 서비스(29)(도 4 참조)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공구(18)의 개별적 코드는 해당 도면, 절삭재료/코팅에 관한 정보, 기계 프로그램, 이미 실시되었거나/실시되었으며 아직 가능한 추가 연마의 수, 고객 정보, 오리지널 주문 번호 등을 네트워크(1)를 거쳐 서버(19)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구 준비를 위해, 공구(18) 자체에 관한 정보는 서버(19)로부터 불러올 수 있고, 예컨대 투입 시간, 지나온 경로, 가공된 작업편의 수, 이제까지의 구동 동안 생성된 (오류-) 데이터의 수 등과 같은 사용 파라미터를 불러올 수 있다. 공구 준비를 실시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공구(18)에 부속한 소정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21, 22)에 기록되고, 이로부터, 공구(18)의 준비가 실시되었다는 것 그리고 준비의 방식 및 범위에 대해 추론된다. 물론, 임의의 소재지에 분포 배치된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들(25)은 서버(19)에 접근하고 그 안에 파일화된 데이터 및 부가가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정보 내용에 대한 부가가치를 갖는 업데이트된 데이터는 기업 내의 공구 장치(2 내지 5)로부터, 또한 기업 밖에 배치된 공구 장치로부터, 그리고 임의의 가공 장치로부터 공구의 준비, 추가 연마 기계, 사전 설정 장비, 측정 시스템 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9)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21, 22)와의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30)는, 소프트웨어(31)의 일부이자 서버(19)의 마이크로 프로세서(32)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되고, 관리된다. 또한, 서버(19)는 통신 네트워크(1)에 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3)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33)는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32)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31)에 의해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일부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된다. 또한, 서버(19)는 인터페이스(34)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에 의해 예컨대 자판(35), 컴퓨터 마우스 형태의 입력 수단이 연결된다. 인터페이스(34)의 제어 및 관리는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31)의 일부에 의해,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32)의 구동 시스템에 의해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서버(19)는 인터페이스(36)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예컨대 컴퓨트 스크린(37)의 형태의 출력 유닛이 연결된다. 인터페이스(36)도 소프트웨어(31)의 일부에 의해,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32)의 구동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공구(18) 및 공구 장치(2 내지 5)의 수신된 식별 데이터, 마찬가지로 공구 장치(2 내지 5)에 의해 수신된 동적 정보 및 경우에 따라서 공구 장치(2 내지 5)의 부가 정보들 또는 데이터, 수신된 식별 데이터에 의거하여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취출된 해당 공구(18)의 정적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19)의 처리 수단은 서버(19)내에서 소프트웨어(31)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일부(31a)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처리 수단(31a)은 마이크로 프로세서(32)에서 실행 가능하며, 공구(18)에 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정보들의 원하는 평가 및 처리를 구현한다. 소프트웨어 부품(31a)에 의한 정보의 처리 또는 평가는 특히 공구(18)의 미래에 대한 신뢰할만한 판단을 허용하는 통계적 평가를 포함한다. 공구의 미래에 대한 이러한 정보들에 의거하여, 대체 공구의 생산 시간 및 납품 시간이 코디네이션 및 제어될 수 있고, 공구의 투입은, 생산을 유지하고 공구의 결손에 의해 기능 정지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 대체 공구의 가능한 납품 일정에 맞춰질 수 있다. 업데이트된 정보는 공구(18)의 투입 시간 및 투입 방식에 대한 언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이로부터 발생한 공구(18)의 서비스 수명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9)내에서 생성되는, 부가 가치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된 정보 또는 상기 정보의 일부가 공구 장치(2 내지 5)에 도로 전송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자가 클라이언트(25)에 의해, 업데이트된 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공구(18)를 위해 공구 투입 시간, 절삭 데이터, 충돌 관찰 모델, 검사 프로그램, 도면 또는 기술적 사양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25)에 의해 서버(19) 또는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접근하려는 제3자는 예컨대 다양한 소재지(6 내지 8)에 위치한 공구 장치(2 내지 5)의 운영자이다. 또는, 제3자는 업데이트된 정보를 고려하여 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기대하는 공구(18) 제조사일 수 있다. 제3자가 클라이언트(25)에 의해 서버(19)에 접근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21, 22)에 저장된 내용에 대해 접근하기 전에, 서버(19)는 제3자의 권한을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버(19)에 의해 생성된 업데이트된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21, 22)에 저장된 공구(18) 관련 데이터는 제3자에게 비용 의무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설명된 인프라 구조의 설치 및 인프라구조의 구축 및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비용을 위한 상당한 소모비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자의 과금(usage charge)에 의해 지불된다.
도 6은 소프트웨어(31)의 소프트웨어 루틴(software routine)을 도시하고, 이러한 루틴에 의해 정적이고 동적인 정보 그리고 공구 장치(2 내지 5)의 구동 파라미터 및 경우에 따라 그 외 정보들이 처리되고 평가되며, 업데이트된 정보들이 생성된다. 방법은 예컨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40)에서 방법의 시작, 단계(41)에서 공구(18), 공구 홀더(17) 및/또는 공구 장치(2 내지 5)의 식별 데이터가 수신된다. 단계(42)에서 공구(18)와 관련된 동적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43)에서 상기 수신된 식별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적 정보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21, 22)로부터 로딩된다. 단계(44)에서 서버(19)내에서, 업데이트된 정보(45)의 생성을 위해, 수신되거나 로딩된 데이터 및 정보의 고유 처리가 이루어진다. 업데이트된 정보는 서버(19)내에서 제3자에 의한 조회 용도로, 예컨대 클라이언트(25)를 거쳐 준비되거나, 단계(46)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저장될 수 있다. 조회 단계(47)에서는, 예컨대 서버(19)의 운영자 요청에 의해 루틴(routine)이 종료되어야 하는가가 조회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48)에서 처리 루틴이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단계(41)로 분기되어, 단계(41 내지 47)가 한번 더 실시된다.
도 7은 클라이언트(25)에 의해 서버(19) 또는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조회하는, 소프트웨어(31)의 소프트웨어 루틴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은 예컨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50)에서 방법의 시작. 방법(51)에서 클라이언트(25)는 서버(19)에 조회를 시작한다. 조회는 클라이언트(25)의 권한 코드를 포함한다. 조회 단계(52)에서 권한 코드의 유효성이 조회된다. 클라이언트(25)가 요구된 정보의 다운로드를 위해 권한이 있다면, 요구된 정보는 단계(53)에서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로딩되고, 단계(54)에서 클라이언트(25)에게 전송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단계(51)로 분기된다. 단계(55)에서 조회 루틴이 종료된다. 요구된 정보에 관한 언급은 클라이언트(25)의 조회에 포함될 수 있거나, 서버내에서 권한 코드에 의해 식별된 고객을 위해 파일화될 수 있다.
도 8에는 소프트웨어(31)의 소프트웨어 루틴의 흐름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소프트웨어 루틴은 클라이언트(25)에 의한 서버(19) 또는 데이터 베이스(21, 22)의 조회를 야기한다. 도 7의 흐름도와 달리, 단계(53)(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보/데이터 로딩) 및 단계(54)(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로딩된 정보/데이터를 클라이언트(25)에 전송) 사이에 부가적 단계(56)가 제공된다. 클라이언트(25)는 조회(단계(51))와 함께, 서버(19)에 의한 원하는 데이터 평가를 동일하게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 다양한 표준 처리 알고리즘은 서버(19)내에 존재하고, 이러한 알고리즘 중에 클라이언트(25)는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5)에 의해 선택된 알고리즘은 조회와 함께 서버(19)로 전송된다. 단계(56)에서는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로딩된 정보/데이터에 대하여 원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평가 또는 처리가 시작된다. 평가의 결과 또는 처리된 데이터는 단계(54)에서 클라이언트(25)에게 전송된다. 이는, 클라이언트(25)측에서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정보/데이터를 계산- 및 저장 집중적으로 평가/처리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클라이언트는 더 작고 더 비용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데이터 전송 용량은 네트워크(1)에 의해 절감될 수 있는데,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판독된 전체 데이터/정보가 더 이상 클라이언트(25)에게 전송되지 않아도 되고, 평가의 결과 또는 처리된 데이터만이 전송되면 되기 때문이다.
도 9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 데이터/정보의 평가 또는 처리는 서버측에서가 아니라, 국지적으로 클라이언트(25)측에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우선 클라이언트(25) 측에서 단계(57)에서 데이터 평가/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알고리즘이 선택된다. 선택된 알고리즘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정보는 단계(51)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25)쪽으로의 조회의 주제가 된다. 선택된 알고리즘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정보는 수동으로 클라이언트(25)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의해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산출될 수 있다. 서버(19)에서 조회 처리는 앞에 도 7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 것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서버(29)로부터 클라이언트(25)로 전송된 데이터/정보(단계 54)는 클라이언트(25) 측에서 앞서 단계(57)에서 선택된 알고리즘에 따라 평가/처리됨으로써, 클라이언트(25)는 이제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Claims (21)

  1. 통신 연결(20)에 의해 컴퓨터 네트워크(1)에 연결되고, 그리고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를 위해 형성되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접근하는 데이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컴퓨터 네트워크(1)의 서버(19)에 있어서,
    상기 서버(19)는 상기 통신 연결(20)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네트워크(1)의 다른 서버(9)에 의해, 다양한 기업(6, 7, 8)에 부속되며 공구(18)의 투입을 위한 복수 개의 사내 장치들(2, 3, 4, 5) 또는 장비들과 연결되고, 상기 서버(19)는 상기 장치들(2, 3, 4, 5) 또는 장비들의 상기 공구(18) 또는 공구 홀더(17)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장치들(2, 3, 4, 5) 또는 장비들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공구(18)와 관련된 동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19)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데이터 베이스 파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공구(18)에 대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때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의 정보 내용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정보 내용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데이터 베이스 파일 데이터의 정보 내용의 합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8)의 투입을 위한 장치 또는 장비는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resharpening),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2, 3, 4, 5) 또는 다른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2, 3, 4, 5) 또는 다른 장비의 공구(18) 또는 공구 홀더(17)에 대하여 상기 서버(1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상기 공구 장치(2, 3, 4, 5) 또는 상기 다른 장비의 공구(18) 또는 공구 홀더(17)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구(18)는 복수 개의 개별 부품들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개별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의 부품들에는 독자적인 식별 데이터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2, 3, 4, 5) 또는 다른 장비에 대해 상기 서버(1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2, 3, 4, 5) 또는 다른 장비의 식별 데이터 또는 구동 파라미터, 유형학적 기계 정보 또는 작업편 정보 또는 재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데이터 베이스 파일 데이터는 상기 서버(19)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데이터들에 부속하는, 상기 공구(18)에 관한 정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데이터 베이스 파일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수단은 상기 수신된 동적 정보,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적 정보, 또는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상기 공구 장치들(2,3, 4, 5) 또는 다른 장비의 구동 파라미터를 처리하여, 상기 공구(18)에 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생성하며, 이 때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의 정보 내용은 상기 수신된 동적 정보,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적 정보, 또는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들(2, 3, 4, 5) 또는 다른 장비의 구동 파라미터의 정보 내용의 합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수단은 공구(18)의 제조사의, 상기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된 부가적 서버로부터 상기 공구(18)에 관한 제조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도 형성되며, 그리고 처리 수단은 상기 제조사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된 정보의 생성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공구(18)를 변경하는 서비스 계약자의, 통신 네트워크(1)에 연결된 부가적 서버로부터 상기 공구(18)에 관한 서비스 계약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처리 수단은 서비스 계약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는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는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구 제조사의 부가적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부가적 서버에 파일화된 제조사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는 상기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2, 3, 4, 5) 또는 다른 장비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고, 이 때 상기 처리 수단은 업데이트된 정보로 인하여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의 생성을 위해서도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서버(19)는 공구(18) 또는 작업편의 재형삭, 재코팅, 검사, 측정 또는 평가를 위한 공구 장치(2, 3, 4, 5) 또는 다른 장비에 상기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1)를 거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절삭 데이터 권장사항, 공구 장치(2, 3, 4, 5)를 위한 설정 프로그램 또는 충돌 관찰 모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의 처리 수단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정보는 사용된 공구(18), 해당 공구 홀더(17) 또는 공구 장치(2, 3, 4, 5)에 대해 미래 지향적 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및 업데이트된 정보는 공구의 서비스 수명, 사용 빈도, 투입 시간, 교체 시기, 절삭 데이터, 공구(18)에 의해 제조된 부품의 부품 품질 또는 사용된 절삭 인서트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수신된 동적 정보,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로부터의 정적 정보 또는 상기 공구 장치(2, 3, 4, 5)의 구동 파라미터를 신경망, 그룹 형성 또는 통계적 평가 수단에 의해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내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1)에 의해 상기 서버(19)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25)에게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25)의 권한을 검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25)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에 대해 접근성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9)는 닫힌 제어 회로의 제어 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의 제어 구간은 상기 공구(18)의 투입을 위한 장치 또는 장비, 상기 공구 투입의 모델 또는 센서에 의한 상기 제어 회로의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투입된 공구(18)와 동일한 유형의 공구의 적어도 하나의 개별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장비에 의한 상기 제어 회로의 작동기로 형성되고, 이 때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공구 장치(2, 3, 4, 5)의 공구(18) 또는 공구 홀더(17)의 데이터 또는 공구 장치(2, 3, 4, 5)의 데이터 또는 상기 공구(18)와 관련한 동적 정보를 감지하고, 신호값(들)로서 상기 네트워크(1)를 거쳐 상기 서버(19)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19)의 처리 수단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공구(18)에 대한 정적 정보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21; 22)에 파일화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참조형 변수에 의거하여 제어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서버(19)의 처리 수단은, 상기 제어 편차에 의거하여 상기 작동기를 위한 신호값을 산출하고 상기 작동기에 전달하는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19).
KR1020127016703A 2010-11-25 2011-10-31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 KR101711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52556.1 2010-11-25
DE102010052556 2010-11-25
DE202010017375.2 2010-11-25
DE202010017375U DE202010017375U1 (de) 2010-11-25 2010-11-25 Server eines Computernetzwerks
US201161510816P 2011-07-22 2011-07-22
US61/510,816 2011-07-22
DE102011108361A DE102011108361A1 (de) 2010-11-25 2011-07-22 Server eines Computernetzwerks
DE102011108361.1 2011-07-22
PCT/EP2011/069100 WO2012069284A1 (de) 2010-11-25 2011-10-31 Server eines computernetzwe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54A KR20130142054A (ko) 2013-12-27
KR101711237B1 true KR101711237B1 (ko) 2017-02-28

Family

ID=4491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703A KR101711237B1 (ko) 2010-11-25 2011-10-31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60170B2 (ko)
EP (1) EP2494475B1 (ko)
JP (1) JP5959525B2 (ko)
KR (1) KR101711237B1 (ko)
CN (2) CN102870112A (ko)
BR (1) BR112012015830A8 (ko)
CA (1) CA2782273C (ko)
IL (1) IL220577A (ko)
SI (1) SI2494475T1 (ko)
WO (1) WO2012069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1571B (zh) * 2012-07-23 2014-11-05 沈阳海默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机床质量信息管理系统
KR101703466B1 (ko) * 2013-04-10 2017-02-0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수치 제어 장치, 정보 제휴 시스템 및 정보 제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JP6939053B2 (ja) * 2016-07-15 2021-09-22 株式会社リコー 診断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診断システム
TWI610738B (zh) 2016-08-19 2018-01-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工具機刀具管理系統與方法
DE102016219371A1 (de) * 2016-10-06 2018-04-12 Homag Gmbh Bearbeitungsverfahren, Datenbankserver, System und Verfahren zum Teilen von Daten für Bearbeitungsvorrichtungen mittels Datenfernübertragung
KR20190123775A (ko) * 2017-03-09 2019-11-01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주조 지원 시스템
CN108628661B (zh) * 2017-03-24 2021-11-26 郑芳田 云制造服务的自动建置方法、云制造系统
DE102017126434A1 (de) 2017-11-10 2019-05-16 Keuro Besitz Gmbh & Co. Edv-Dienstleistungs Kg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Sägemaschine, und System für einen optimierten Betrieb einer Werkzeugmaschine
CN107942929B (zh) * 2017-12-13 2020-08-28 深圳普菲特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神经网络计算技术的数控车床的控制方法
JP6813521B2 (ja) * 2018-02-08 2021-01-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温度計測装置
US10564624B2 (en) 2018-02-16 2020-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mal machining parameter selection using a data-driven tool life modeling approach
EP3537239A1 (de) * 2018-03-06 2019-09-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erkzeugmaschine mittels anpassung eines precompilierten datenmodells
JP6777672B2 (ja) * 2018-04-03 2020-10-28 Dmg森精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GB2573273B (en) * 2018-04-05 2020-09-30 Nikken Kosakusho Europe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haracteristics Of A Rotary Table
CN110657745B (zh) * 2018-06-29 2021-10-01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装刀管理系统、装刀管理方法及存储设备
CN113272746B (zh) * 2019-05-09 2024-04-09 西门子股份公司 基于刀具更换记录的切削刀具寿命的设置方法、装置和系统
JP6738466B1 (ja) * 2019-06-28 2020-08-12 Dmg森精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3757697B1 (en) * 2019-06-28 2022-08-10 Seco Tools Ab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raceability of a cutting tool
US11112783B2 (en) * 2019-10-25 2021-09-07 Computationa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monitoring with continuous improvement of a predictive maintenance database
KR102302798B1 (ko) * 2019-11-27 2021-09-16 현대위아 주식회사 공작기계 이상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181926B (zh) * 2019-12-13 2022-04-05 中国人民解放军战略支援部队信息工程大学 一种基于拟态防御思想的安全设备及其运行方法
EP4104027A1 (en) * 2020-02-13 2022-12-21 Bobst Mex Sa Tool insert for a machine,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chine
US20220155764A1 (en) * 2020-11-18 2022-05-19 The Boeing Company Continuous flow manufactur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inuous flow manufacturing process
CN114515977B (zh) * 2022-02-23 2023-06-06 河南航天精工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化产线自动补偿系统及方法
CN115660019B (zh) * 2022-12-26 2023-06-02 帕莱克机械(南京)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平台的刀具数据监管系统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034A (ja) * 2003-02-28 2004-09-24 Mori Seiki Co Ltd 稼働管理システム
JP2007102625A (ja) * 2005-10-06 2007-04-1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Nc工作機械の制御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及び装置
JP2008296301A (ja) * 2007-05-30 2008-12-11 General Electric Co <Ge> 機械加工ツールを測定し、そこから生成されたデータを使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32B2 (ja) * 1985-09-11 1995-01-25 オムロン株式会社 工具識別装置
EP0214666B1 (en) 1985-09-11 1991-09-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pparatus for identifying tools and for managing tool data
JP2993608B2 (ja) 1989-12-11 1999-12-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具補正方法
JPH09269808A (ja) * 1996-03-29 1997-10-14 Fanuc Ltd Cncデータ補正方法
US6385502B1 (en) * 1998-03-31 2002-05-07 Ntn Corporation Race groove machin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1075624A (ja) * 1999-07-01 2001-03-23 Mori Seiki Co Ltd Nc工作機械のツールパスデータ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US6401056B1 (en) * 1999-12-27 2002-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ool performance
US20020133264A1 (en) * 2001-01-26 2002-09-19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Virtual reality system for creation of design models and generation of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ing trajectories
US7292900B2 (en) * 2001-07-13 2007-11-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distribution expert system
DE10243771A1 (de) * 2002-09-20 2004-04-22 Siemens Ag Vorrichtung zur Automatisierung und/oder Steuerung von Werkzeug- oder Produktionsmaschinen
WO2004077184A1 (ja) * 2003-02-28 2004-09-10 Mori Seiki Co., Ltd. 稼働管理システム
JP2005115736A (ja) * 2003-10-09 2005-04-28 Mor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稼働状況管理システム
US20060004786A1 (en) * 2004-06-07 2006-01-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esign mechanism for semiconductor fab-wide data warehouse application
US7378973B2 (en) * 2005-03-29 2008-05-27 Emerson & Cuming Microwave Products, Inc. RFID tags having improved read range
JP4263197B2 (ja) * 2006-03-27 2009-05-13 株式会社東芝 監視ソフトウェア作成装置、監視システム、監視ソフトウェア作成方法および監視ソフトウェア作成プログラム
US20090288003A1 (en) * 2006-05-31 2009-11-19 Marinkovic Sinisa V Cost effectiv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achinery units
DE102007030396B4 (de) * 2007-06-29 2014-11-27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Maschine sowie Fernkommunikationssystem
US9881520B2 (en) 2008-01-08 2018-01-30 Immersion Medical, Inc. Virtual tool manipulation system
CN101334656B (zh) * 2008-07-25 2010-08-04 华中科技大学 一种数控机床加工性能监控系统
EP2522443B1 (de) 2008-10-18 2014-07-30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Bearbeitungsprogramm zum Betreiben einer Stanzmaschine zum stanzenden Bearbeiten von Werkstücken, insbesondere von Blechen
CN101592950A (zh) * 2009-06-05 2009-12-02 南通职业大学 一种基于web的数控编程与仿真服务系统
CN101592938A (zh) * 2009-06-30 2009-12-02 刘文祥 数控网络及其各种系统
CN101770222B (zh) 2010-03-09 2011-09-28 江南大学 数控机床刀具的在线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034A (ja) * 2003-02-28 2004-09-24 Mori Seiki Co Ltd 稼働管理システム
JP2007102625A (ja) * 2005-10-06 2007-04-19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Nc工作機械の制御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及び装置
JP2008296301A (ja) * 2007-05-30 2008-12-11 General Electric Co <Ge> 機械加工ツールを測定し、そこから生成されたデータを使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5830A8 (pt) 2018-07-03
EP2494475A1 (de) 2012-09-05
BR112012015830A2 (pt) 2017-04-25
CN107463594A (zh) 2017-12-12
WO2012069284A1 (de) 2012-05-31
IL220577A (en) 2017-05-29
EP2494475B1 (de) 2019-09-04
CA2782273C (en) 2018-08-21
US20120303674A1 (en) 2012-11-29
SI2494475T1 (sl) 2020-02-28
KR20130142054A (ko) 2013-12-27
CN102870112A (zh) 2013-01-09
CA2782273A1 (en) 2012-05-31
US9460170B2 (en) 2016-10-04
JP5959525B2 (ja) 2016-08-02
JP2013546079A (ja)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237B1 (ko) 컴퓨터 네트워크의 서버
US8040818B2 (en) Method for exchange of upkeep-relevant information with a computer-supported, upkeep system
US7809683B2 (en) Library that includes modifiable industrial automation objects
US20160349737A1 (en) Manufacturing efficiency optimization platform and tool condition monitoring and prediction method
JP6654128B2 (ja) 工作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19530060A (ja) 標準プロセスパラメータ入力の変更による産業用機械動作の最適化のためのシステム
CN101939710B (zh) 用于轧机的rfid系统及轴承部件
CN105706009A (zh) 控制数控机床操作的控制系统及用于该系统的后端和前端控制装置
WO2006124471A2 (en) Distributed database in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WO2018084180A1 (ja) 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KR20110025828A (ko) 생산 환경에서 소모품의 모니터, 제어 및 인출을 위한 시스템 및 프로세스
JP6140351B1 (ja) 複数の機械と相互通信を行う機械システム
WO2021005887A1 (ja) 機械加工管理方法及び機械加工管理システム
CN105807718A (zh) 具有本征功能性检测的制造机器和方法
DE102011108361A1 (de) Server eines Computernetzwerks
EP1043118A1 (en) Preparation of tool information database for nc machining and system for managing tools by utilizing the tool information database
JP2007265361A (ja) 製造工程に使用されるツール情報を管理,運用する方法
CN11193702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程序
JP2017027449A (ja) 工具状態のモニタリングおよび予測により製造効率を最適化する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ならびに方法
DE202010017375U1 (de) Server eines Computernetzwerks
Rouabhia-Essalhi et al. An approach to implement internal traceability in machining workshops
JP2023055463A (ja) 受注支援システム
US20200202298A1 (en) Cutting machine supplying &amp; marketing dlt-based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2206240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加工管理方法
Mesquita et al. Computer integrated and optimised tu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