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163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163A
KR20190111163A KR1020197027975A KR20197027975A KR20190111163A KR 20190111163 A KR20190111163 A KR 20190111163A KR 1020197027975 A KR1020197027975 A KR 1020197027975A KR 20197027975 A KR20197027975 A KR 20197027975A KR 20190111163 A KR20190111163 A KR 20190111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s
pillar
electronic device
flexible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안 린드블라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9011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01L51/0097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플레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신규 전자 장치를 제시한다. 전자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함께 연결된 복수의 기둥체를 갖는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형상을 태블릿, 전자 서적, 또는 휴대용 게임 장치로 변형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주된 표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이 개시(開示)물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미국 특허 제 8,427,420호 미국 특허 공개 제 2014/0028597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회로, 아키텍처, 구동 방법, 및 전자 장치 중 어느 신규의 하나가 본 개시물에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층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기둥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는 이하 특징을 가져도 좋다. 즉, 복수의 기둥체 각각은, 인접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체와 연결 부분에서 기계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연결 부분에서 축을 바탕으로 회전 가능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기둥체에 의하여 형성된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도록 설계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낸다. 연결 부분에서 축을 바탕으로 복수의 기둥체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자 장치의 오른쪽 및 왼쪽 중 적어도 하나를 말아, 그립(grip)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립을 잡을 때, 그립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부분은 사용자의 손과 그립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둥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그립이 형성될 때 크기가 조절된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그립에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어도 좋다. 또한, 인접되는 기둥체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가 기둥체 각각에 제공된 스토퍼에 의하여 제한되어도 좋다. 또한, 전자 장치의 오른쪽 및 왼쪽의 양쪽이 말릴 때, 전자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1 부분에서 제 1 화상 및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 2 부분에서 제 1 화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화상을 나타내어도 좋다. 또한, 전자 장치는 두 개 이상의 기둥체를 통하여 제공된 판(plate)에 의하여 접히는 것이 방해되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또한, 디바이스층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OLEDs) 및 OLEDs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들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여도 좋다.
사용자는 태블릿, 전자 서적, 또는 휴대용(hand-held) 게임 장치와 같이, 전자 장치의 형상을 간단히 변형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그 형상에 따라,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조작을 위한 버튼을 배치 또는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태블릿 장치로서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태블릿 모드)에 더하여, 한 손으로 편리하게 전자 장치를 들고 전자 장치에서 신문을 읽는 한편, 다른 쪽 손으로는 컵을 들거나(전자 서적 모드), 또는 휴대용 게임 장치와 같이 양손으로 전자 장치를 드는 것(게임 모드)에 의하여 게임 중에 전자 장치를 더 편리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들 수 있는 것이, 하나의 장치로 가능하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2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3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4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5의 (A)~(D)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6의 (A)~(D)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7의 (A)~(D)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8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9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0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1은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2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3은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4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5의 (A)~(C)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6은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도 17은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및
도 18은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 것.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많은 다른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이 개시물의 취지 및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형태 및 자세한 사항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된다.
태블릿형 전자 장치를 들 때의 사용자의 쾌적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는 오른쪽 및/또는 왼쪽을 말아, 전자 장치에 그립(또는 그립 부분)을 도입한다. 폴더블 전자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그립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통상의 태블릿의 사용(태블릿 모드)에 더하여, 실린더 형상의 그립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오른쪽 및 왼쪽 중 한쪽 또는 양쪽을 말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전자 장치를 들기 쉬워진다.
가능한 사용의 사례의 하나는, 한 손으로 편안하게 전자 장치를 들고 전자 장치에서 뉴스 또는 소설을 읽는 한편 다른 쪽 손으로 컵을 드는 것(전자 서적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서는, 전자 장치를 드는 손의 손가락 또는 엄지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최소의 조작(예를 들어, 페이지 돌아감, 페이지를 앞으로 이동함, 페이지의 종료)을 위한 전자 버튼(소프트웨어 버튼)이 표시되어도 좋다.
다른 사용의 사례는, 전자 장치를 휴대용 게임 장치로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자 장치로 게임을 하고 있는 동안 더 편안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를 들 수 있는 것이다(게임 모드).
(지지체)
전자 장치는, 지지체에 폴더블 OLED 디스플레이를 장착시켜 제작될 수 있다. 지지체는 복수의 연결된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의 기둥체를 가져도 좋다. 도 1의 (A)~(C)는 상술한 세 개의 모드에 대응하는 지지체(100)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1의 (C)는 각각 태블릿 모드, 전자 서적 모드(왼쪽 전자 서적 모드), 및 게임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1의 (C)에는 기둥체(101) 중 기둥체(101)[0] 및 기둥체(101)[1]의 위치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00)의 오른쪽을 말아, 오른쪽 그립(102R)이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00)의 왼쪽도 말아, 왼쪽 그립(102L)이 형성된다.
도 2의 (A), 도 2의 (B), 및 도 2의 (C)는 각각 태블릿 모드의 지지체(100)를 상면, 측면, 및 하면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체(100)는 복수의 기둥체(기둥체(101)[0]~(101)[10])를 포함한다. 기둥체의 각각은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이의 일부는 프로세서, 메모리, 배터리, 센서(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가속도계 등), 스피커, 바이브레이터, 마이크로폰 등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여도 좋다.
(기둥체)
기둥체(101)의 각각은 다른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체(101)와 연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부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체(101)[3]는 두 개의 접속부, 측면(103a)[3] 및 측면(103b)[3] 각각에서의 접속부(104a)[3] 및 접속부(104b)[3]를 갖는다. 또한 측면(103a)[3]은 측면(103b)[3]과 대향한다. 마찬가지로, 기둥체(101)[4]는 측면(103a)[4] 및 측면(103b)[4]에 각각 접속부(104a)[4] 및 접속부(104b)[4]를 갖는다.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기둥체(101)[3]는 다른 쪽 끝에 두 개의 접속부를 가지고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
접속부(104a) 및 접속부(104b)는 각각 구멍(105a) 및 구멍(105b)을 갖는다. 두 개의 기둥체(101)와 연결되기 위하여 구멍(105a) 또는 구멍(105b)을 통하여 축이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는, 서로 중첩되는 구멍(105a)[4] 및 구멍(105b)[3]을 갖는 접속부(104b)[3] 및 접속부(104a)[4]에 의하여 연결된다.
구멍(105a) 및 구멍(105b) 각각의 중심은 구멍에 의하여 연결되는 기둥체(101)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는 구멍(105a)[4](구멍(105b)[3])에 형성될 수 있는 회전축을 바탕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다른 기둥체(101) 각각은 대응하는 회전축 각각을 바탕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들 회전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도 3의 (A)의 예에서, 기둥체(101)[3]의 접속부(104b)[3]가 기둥체(101)[4]의 접속부(104a)[4]에 대응하여 기계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기둥체(101)[3]의 접속부(104a)[3] 및 접속부(104b)[3]는 옆의 기둥체(101)[4]의 접속부(104a)[4] 및 접속부(104b)[4]보다 낮다.
도 3의 (A)의 예에서, 하나의 기둥체(101)의 접속부(104a) 및 접속부(104b)(예를 들어 기둥체(101)[3]의 접속부(104a)[3] 및 접속부(104b)[3])는 같은 높이로 제공된다. 도 3의 (B)의 예에서, 하나의 기둥체(101)의 두 개의 접속부(104a) 및 접속부(104b)의 높이는 서로 다르고 그 하나의 기둥체(101)의 접속부(104a)의 높이는 인접되는 기둥체(101)와 같다. 접속부(104b)도 마찬가지이다.
도 3의 (C)의 예에서, 기둥체(101) 각각은 기둥체(101)의 한쪽 끝의 하나의 측면에서 두 개 이상의 접속부를 갖는다. 접속부(104a) 및 접속부(104b)는 도 3의 (A)~(C)의 예에서 기둥체(101)의 상단 주위에 제공되지만, 기둥체(101)의 어느 장소에 있어도 좋다.
도 4의 (A)는 주 치수, 즉, 제 1 길이 "a", 제 2 길이 "b", 높이 "h", 옆길이 "x" 및 반경 "r"을 갖는 기둥체(101)[3]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체(101)[3]는 구멍(105a)[3] 및 구멍(105b)[3]을 갖는다. 반경 "r"은 구멍(105a)[3](또는 구멍(105b)[3])의 중심과 기둥체(101)[3]의 상면(또는 상면을 포함하는 면) 사이의 거리이다. 제 1 길이 "a"는 두 개의 구멍(105a)[3] 및 구멍(105b)[3]의 중심 사이의 거리이고, 높이 "h"는 구멍(105a)[3](또는 구멍(105b)[3])의 중심과 기둥체(101)[3]의 하면(또는 하면을 포함하는 면) 사이의 거리이다. 옆길이 "x"는 "h"의 제곱과 "(a-b)/2"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과 동일하다.
도 4의 (B)는 직선으로 이어지는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기둥체(101)[3]의 외부 끝으로부터 기둥체(101)[4]의 외부 끝까지의 길이는 왼쪽 구멍(105a)[3]의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의 구멍(105b)[4]의 중심까지의 길이에 상당하고, "2a”이다.
도 4의 (C)는 아래로 접히는(즉, 내부로 접히는) 연결된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나타낸 것이다. 최대로 접힐 때는,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는 이들 아래의 모서리에서 서로 접촉된다. 최대 롤링각(rolling angle) θ(단위: 라디안)는 "2arctan((a-b)/2h)"로 주어진다.
기둥체(101)는 지지체(100)가 더 말리는 것을 자연스럽게 정지시키므로, 지지체(100)가 말리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이런 형상의 기둥체(101)를 사용하는 것은 지지체(100)의 말린 측의 최소 반경도 설정하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형성된 그립을 굳게 잡기 쉬워진다. 그립을 더 둥글게 하기 위하여 더 작은 기둥체(101)가 사용될 수 있다.
접음으로써, 기둥체(101)[3]의 외부 끝으로부터 기둥체(101)[4]의 외부 끝까지의 길이는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a+rθ"로 연장된다. 이것은, 추가의 길이 "rθ"가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접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더 작은 "r"에 의하여 연장 길이도 짧게 된다. 이상적으로는 "r"이 제로인 경우 연장 길이도 제로이다.
상술한 식으로, 기둥체(101)의 각각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접되는 기둥체(101)와 기계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하나 또는 두 개의 축을 바탕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대응하는 축을 바탕으로 기둥체(101)들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체(100)의 오른쪽 및 왼쪽의 적어도 하나를 말아 그립(102R) 또는 그립(102L)을 형성하도록 지지체(100)는 설계된다.
(스토퍼)
전자 장치가 상부로 접히지 말아야 하므로, 즉 전자 장치는 하부(또는 내부)로만 접힐 수 있어야 하므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체(101)에는 이 원하지 않는 변형을 방지하는 스토퍼(106)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B)는 직선으로 연결되는, 스토퍼(106)를 각각 갖는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나타낸 것이다. 스토퍼(106)를 파괴하지 않고 이들을 상부로 접는 것은 어렵고 오히려 불가능하다.
도 5의 (C)는 내부로 접히는, 연결된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된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5의 (C)에 나타낸 상태까지 변형하는 것은 용이하다.
스토퍼(106)는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가 접힐 때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의 외부로 돌출하고(도 5의 (C) 참조), 스토퍼(106)는 기둥체(101) 위에 형성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공되어도 좋다.
도 5의 (D)는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기둥체(101)[3], 기둥체(101)[4], 및 기둥체(101)[5]는 각각 스토퍼(107)[3], 스토퍼(107)[4], 및 스토퍼(107)[5]를 갖는다. 스토퍼(107)[3] 및 스토퍼(107)[4]는 각각, 기둥체(101)[4] 및 기둥체(101)[5]에 형성된 오목부(108)[4] 및 오목부(108)[5] 내에 수납되도록 설계된다.
도 5의 (D)에서, 기둥체(101)[4] 및 기둥체(101)[5]는 곧다. 사용자가 기둥체(101)[5]를 위쪽을 향해 접도록(외부로 접도록) 하여도, 스토퍼(107)[4]는 올라가고 있는 오목부(108)[5]의 하부벽을 저지한다.
스토퍼(107)는 내부로 접는 것도 제한될 수 있는 것에 특히 주의할 것이다.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체(101)[3]는 아래쪽으로 접힌다(내부로 접힌다). 기둥체(101)[3]의 오른쪽 하부 모서리와 기둥체(101)[4]의 왼쪽 하부 모서리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그러나, 더 아래쪽으로 기둥체(101)[3]를 접는 것은, 스토퍼(107)[3]가 오목부(108)[4]의 상부벽에 의하여 저지되므로 방지된다.
오목부(108)[4]의 내벽은 스토퍼(107)[3]의 첨단의 움직임(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궤적의 바깥쪽이 되도록 설계된다. 오목부(108)[4]는 기둥체(101)[3]와 기둥체(101)[4] 사이에 실질적으로 닫힐 수 있고, 스토퍼(107)[3]는 오목부(108)[4] 내를 실질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기둥체(101)를 접음으로써 생긴 요철은 도 5의 (C)보다 도 5의 (D)가 더 작다.
(고정판)
태블릿 모드 중에, 전자 장치는 굳게 곧을 필요가 있다. 태블릿 모드는 전자 장치에 고정판 기구를 도입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전자 장치에 내장되는 단단한 재료로 제작된 슬라이드 고정판(또는 층, 막대, 물체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것을 기둥체(101) 내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기둥체(101)를 단단한 상태로 고정하고, 전자 장치를 통상의 태블릿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A)~(D)는 고정판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판(109)[0]은 기둥체(101)[0]의 오목부 또는 구멍에 수납되고(도 6의 (A)) 외부로 슬라이드하도록(도 6의 (B)) 설계된다.
도 6의 (C)는 내부로 접힌 지지체(100)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판(109)[0]은 기둥체(101)[0]의 오목부에 수납된다. 또한, 오목부는 다른 기둥체(101)[1]~기둥체(101)[5] 각각에 형성된다.
도 6의 (D)는 태블릿 모드의 지지체(100)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판(109)[0]은 기둥체(101)[5], 기둥체(101)[4], 기둥체(101)[3] 등의 오목부를 통하여 슬라이드하여 지지체(100)를 굳게 곧게 한다.
도 7의 (A)~(D)는 고정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판(109)은 각 기둥체(101)의 오목부 또는 구멍에 수납되고(도 7의 (A)) 인접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체(101)의 다른 오목부 또는 구멍으로 슬라이드하도록(도 7의 (B)) 설계된다.
도 7의 (C)는 내부로 접힌 지지체(100)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각 고정판(109)은 각 기둥체(101)의 오목부에 수납된다. 이 예에서, 기둥체(101)[0]에는 오목부가 제공되지만 어떤 고정판도 갖추지 않는다.
도 7의 (D)는 태블릿 모드의 지지체(100)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각 고정판(109)은, 옆의 기둥체(101)의 오목부로 슬라이드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C)의 기둥체(101)[3]의 오목부에 수납되는 고정판(109)[3]은 기둥체(101)[4]의 오목부로 슬라이드하고,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를 가교(架橋)한다.
고정판(109)의 움직임은 전기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판(109)은 두 개의 인접되는 기둥체(101) 사이의 각도를 검지하면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또는, 고정판(109)은 기둥체(101)에 대한 어떤 압력을 검지하면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도 8의 (A)~(C)는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를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을 도입하는 것은, 전자 장치가 흐느적거리는 느낌이 없어 전자 장치의 감촉을 높이고 사용자가 잡을 때 일정한 저항을 부여한다.
기둥체(101)들을 따로 떨어지도록 밀어(즉, 외부를 향하도록) 두 개의 기둥체(101)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일례에서 기둥체(101)가 외부를 향하여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스프링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8의 (A)는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 및 이들 사이의 스프링(110)의 개략 도면이다. 도 8의 (B)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 스프링(110)의 한쪽 끝은 기둥체(101)[3]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기둥체(101)[4]에 고정된다. 이 예에서, 스프링(110)의 나선 축은 기둥체(101)[3] 및 기둥체(101)[4]의 회전 축에 평행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링의 기능은 탄성 재료(고무, 실리콘(silicone) 수지 등)를 전자 장치에 배치함으로써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재료의 두 개의 층(또는 막대, 판, 또는 물체 등)이 기둥체(101)의 회전 축을 끼워서 제공된다. 도 8의 (C)는 탄성 재료층(112) 및 탄성 재료층(113)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전자 장치에 가해지는 힘이 없을 때 전자 장치가 평탄화되는 예이다. 탄성 재료층(113)은 기둥체(101)를 통과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장비)
또한, 지지체(100)(의 일부)는 물리적인 버튼으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이 물리적인 버튼은, 기둥체(101) 내에 압력 센서를 포함시키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잡을 때 기둥체(101)가 영향받는 기계적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피에조 저항을 사용하여 제작되어도 좋다. 기둥체(101)는 더 탄성의(고무와 같은) 재료로 제작되어도 좋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그립을 잡을 때 더 특징적인 탄성 감촉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계적 버튼은, 사용자가 프레스 감촉을 현실적으로 느끼도록 두 개의 기둥체(101) 사이에 제공되어도 좋다.
스토퍼, 고정판, 및 스프링 등 상기에서 설명한 기술은 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
전자 장치는 상술한 지지체(100) 위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실장함으로써 제작된다. 도 9의 (A)는 전자 서적 모드의 전자 장치(114a)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장치(114a)는 지지체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를 포함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체는, 함께 연결된 기둥체(101)[0]~기둥체(10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B)는 전자 장치(114a)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는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층(115a), 디바이스층(115b), 및 플렉시블층(115c)을 포함하여도 좋다. 디바이스층(115b)은 이 예에서 플렉시블층(115a)과 플렉시블층(115c) 사이에 위치한다. 기둥체(101)와 플렉시블층(115a) 사이에 제공되는 플렉시블층(115c)은 플렉시블층(115a)보다 얇아도 좋다. 또한, 정전용량식 또는 광학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층은, 멀치 터치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에 제공되어도 좋다. 터치 센서의 기능은 디바이스층(115b)에 제공되어도 좋다.
도 4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체가 접힐 때, 지지체의 둘레에는 회전 반경 "r"에 비례하여 연장 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그 연장 길이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부의 기계적 구조가 추가되어도 좋다.
이 목적을 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는 기둥체(101)의 어느 것에도 고정되는 일이 없이, 또는 기둥체(101)[0] 외의 기둥체(101)의 어느 것에도 고정되는 일이 없이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기둥체(101)[1]~기둥체(101)[10]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부분은, 접는 정도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전자 장치 2)
도 10의 (A)는 전자 서적 모드의 다른 전자 장치(114b)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장치(114b)는 기둥체(111)[0]~기둥체(111)[1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기둥체(111)[0]~기둥체(111)[10]는 함께 직접적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기둥체(111)[0]~기둥체(11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에 접착된다. 따라서, 기둥체(11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 10의 (B)는 전자 장치(114b)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는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층(115a), 디바이스층(115b), 및 플렉시블층(115c)을 포함하여도 좋고, 기둥체(111)는 기둥체(111)들 사이의 곡률 반경을 결정할 수 있는 간격 "W"로 플렉시블층(115c)에 접착된다. 전자 장치(114b)에서, 기계적 연결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반경 "r"은 최소화될 수 있다. 플렉시블층(115a) 및 플렉시블층(115c)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실리콘(silicone) 수지 또는 고무 등 어떤 탄성 재료로 제작되어도 좋다.
스토퍼, 고정판, 및 스프링 등 상기에서 설명한 기술의 일부는, 전자 장치(114b)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는 극도로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것에 효과적이지만, 형상을 고정하고 유지하는 것에는 효과적이 아니다. 그러나 스프링 또는 고정판을 조합하여 스토퍼를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114b)는 표준 형태에서는 펴질 수 있고, 한편 적당히 접힐(말릴) 수도 있다.
(태블릿 모드)
도 11은 일례로서 태블릿 모드의 전자 장치(114b)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장치(114b)가 펴지고 곧은 경우, 표준 태블릿 장치로서 사용된다. 태블릿 모드에서 사용될 때, 전자 장치(114b)를 충분히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대부분은 태블릿 모드에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폭은 "Full Width"라고 불리고 각 기둥체(111)에 상당하는 폭은 "Unit Width"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기둥체(111)[5]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부분은 기둥체(111)[5]와 중첩되는 부분을 항상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특히 주의할 것이다.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주변에는 터치 센서가 포함되지만, 사용자의 손에 의한 불필요한 반응을 피하기 위하여 불활성이 되어도 좋다.
(전자 서적 모드)
도 12는 일례로서 전자 서적 모드의 전자 장치(114b)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상태는 기둥체(111)[6]~기둥체(111)[10]가 접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오른쪽 부분이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왼쪽 전자 서적 모드”라고 불린다. 접힌 기둥체(111)[6]~기둥체(111)[10]는 전자 장치(114b)를 잡기 위하여 그립(102R)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오른쪽 및 왼쪽 중 한쪽만 접힐 때, 전자 장치(114b)는 전자 서적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이 어떤 정보(예를 들어 문장, 화상 및/또는 영상)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고, 그 정보를 판독하는 동안 그립(102R)은 전자 장치의 안정화 및 편리한 잡기를 제공한다.
전자 서적 모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왼쪽 및 중앙 부분이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폭은 태블릿 모드보다 작다. 예를 들어, 폭은 "Full Width"보다 "Unit Width"의 5배만큼 작을 수 있다. 태블릿 모드와 마찬가지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 외부의 터치 센서가 불활성이 되어도 좋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102R)은 다음 페이지 버튼 및 이전 페이지 버튼, 종료 버튼 등의 비방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서브디스플레이 영역(117)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디스플레이 영역(117)의 터치 센서는 선택적으로 활발하게 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물리적인 버튼을 사용하면, 그립(102R)은 서류의 내비게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 잡으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조작을 실행하고 두 번 잡으면 이전의 페이지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실행한다.
(게임 모드)
도 14는 일례로서 게임 모드의 전자 장치(114b)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장치(114b)의 오른쪽 및 왼쪽의 양쪽이 말리는 경우, 전자 장치(114b)는 게임 모드로 들어가는 것을 결정한다. 이 모드에서, 예를 들어,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상부 절반 부분은 비디오 또는 대상물의 표시 윈도에 사용될 수 있고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하부 절반 부분은 게임 컨트롤러의 표시에 사용될 수 있다.
기둥체(111)[1]~기둥체(111)[5] 및 기둥체(111)[6]~기둥체(111)[10]는 접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중앙 부분만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폭은 태블릿 모드보다 더 작다. 예를 들어, 폭은 "Full Width"보다 "Unit Width"의 10배만큼 작을 수 있다. 접힌 기둥체(111)[1]~기둥체(111)[5] 및 접힌 기둥체(111)[6]~기둥체(111)[10]는 전자 장치(114b)를 잡기 위하여 각각 그립(102L) 및 그립(102R)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접힌 부분이 터치 센서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자 서적 모드에서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립(102L) 및 그립(102R)의 서브디스플레이 영역(117)에서 추가적인 컨트롤러 버튼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서브디스플레이 영역(117)은 전자 장치(114b)의 말린 부분인 그립(102L) 및 그립(102R)의 양쪽에 제공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리적인 버튼을 그립(102L) 및 그립(102R)에서 작용시켜도 좋다.
다른 예에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전체 또는 대부분은 비디오 또는 대상물의 표시 윈도에 사용된다. 이것은 컨트롤러도 버튼도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카레이싱(car-racing) 게임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잡은 그립(102L) 및 그립(102R)은 스티어링(steering)에 사용될 수 있고, 내장된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스티어링의 회전의 검지에 사용될 수 있고, 그립(102L) 및 그립(102R)에 제공된 버튼은 가속 및 감속에 사용될 수 있다.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에 다른 표시는 불필요하다.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더 큰 면적은 필요 이상의 입력 버튼 표시가 없기 때문에 게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기둥체(111)[2]~기둥체(111)[4]의 연결 부분만을 접는 동안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둥체(111)[0] 및 기둥체(111)[5]~기둥체(111)[10]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15)의 부분은, 변형된 오른쪽의 전자 서적 모드이며, 표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는 도 10의 (A)~(C)의 전자 장치(114b)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도 9의 (A)~(C)의 전자 장치(114a)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14a)(또는 전자 장치(114b))에는,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 활발한 터치 센서 영역 및/또는 서브디스플레이 영역(117)은 접는(마는) 정도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다. 접는 것은 다양한 센서에 의하여 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118a) 및 도전성 재료(118b)는 기둥체(101) 각각의 상부의 오른쪽 모서리 및 왼쪽 모서리에 통합될 수 있다.
기둥체(101)는 연결되므로, 하나의 기둥체(101)의 도전성 재료(118a) 및 옆의 기둥체(101)의 도전성 재료(118b)의 쌍은 저항 센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재료(118b)[3] 및 도전성 재료(118a)[4]는 센서(120)[3]를 형성한다. 센서(120)[3]는 연결 부분(119)[3]에 대응한다.
기둥체(101)가 접혀 이들 모서리에서 서로 접촉될 때, 서로 인접되는 도전성 재료(118a) 및 도전성 재료(118b)도 접촉되어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대응하는 연결 부분(119)이 충분히 접히는 것이 판단된다. 도 15의 (C)에서, 대응하는 센서(120)[1]~센서(120)[5]가 전도성이기 때문에 모든 연결 부분(119)[1]~연결 부분(119)[5]이 충분히 접혔는지 판단된다.
또한 압력 센서, 정전용량 센서, 자기 센서, 또는 광학 센서 등, 저항 센서 외의 다른 센서가, 인접되는 기둥체(101)들 사이의 각도 또는 접는 정도를 검지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5의 (C)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센서(120)[6]는 기둥체(101)[0]와 기둥체(101)[6] 사이에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센서(120)[7]~센서(120)[10]가 제공되고, 센서(120)[6], 센서(120)[7], 센서(120)[8], 센서(120)[9], 및 센서120[10]는 각각 연결 부분(119)[6], 연결 부분(119)[7], 연결 부분(119)[8], 연결 부분(119)[9], 및 연결 부분(119)[10]에 대응한다.
(모드 결정 프로세스)
센서(12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어느 모드로 들어가게 하는지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모드 결정의 흐름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연결 부분(119)[5] 및 연결 부분(119)[6]의 양쪽이 접혀 있는지 아닌지가 시험된다. 만약에 Yes라면, 전자 장치(114a)는 게임 모드로 들어간다. 만약에 No라면, 연결 부분(119)[5]이 접혀 있는지 아닌지가 시험된다. 만약에 Yes라면, 전자 장치(114a)는 오른쪽 전자 서적 모드(R-eBook 모드)로 들어간다. 만약에 No라면, 연결 부분(119)[6]이 접혀 있는지 아닌지가 시험된다. 만약에 Yes라면, 전자 장치(114a)는 왼쪽 전자 서적 모드(L-eBook 모드)로 들어간다. 만약에 No라면, 전자 장치(114a)는 태블릿 모드로 들어간다.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은 결정된 모드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다.
도 17은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흐름도는 접힌 부분에 따라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을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우선, "L"이 0로 설정되고 "i"가 1로 설정된다. 그리고, 연결 부분(119)[i]이 접혀 있는지 아닌지(제 1 질문)가 시험된다. 만약에 Yes라면, "L"이 "i"로 설정된다(즉 제 1 루프에서, "L"이 1로 설정됨). 또한, 제 1 질문의 대답에 상관없이, "i"는 1만큼 증가된다. 그리고, 전자 장치의 왼쪽의 연결 부분의 수보다 큰지 아닌지(제 2 질문)가 시험된다. 전자 장치(114a)에서, 그 수는 5이다. 만약에 No라면, 제 1 질문으로 되돌아간다. 만약에 Yes라면,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서 사용되지 못하는, 사용 불가능한 왼쪽의 폭이 "L" 및 "Unit Width"의 곱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119)[1], 연결 부분(119)[3], 및 연결 부분(119)[4]이 접히는 경우, 도 17의 흐름도는 "L"이 4이고 사용 불가능한 왼쪽의 폭이 "Unit Width"의 4배인 것이 결정되고, 이 결과 기둥체(101)[5]에 대응하는 부분이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한편 기둥체(101)[1]~기둥체(101)[4]에 대응하는 부분은 연결 부분(119)[2]이 접혀 있지 않아도 사용되지 않는다.
도 17의 흐름도는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왼쪽만 결정할 수 있다. 오른쪽은 도 18의 흐름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8의 프로세스는 도 17과 마찬가지이고,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으로서 사용되지 못하는, 사용 불가능한 오른쪽의 폭이 마찬가지로 계산된다.
따라서,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폭은 "Full Width"로부터, 사용 불가능한 오른쪽의 폭 및 사용 불가능한 왼쪽의 폭을 빼서, 결정된다.
계산은 결정된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의 흐름도로부터 직접 얻어진 "L" 또는 "R"은 전자 서적 모드의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116)의 폭의 계산에 사용되고, 한편 게임 모드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오른쪽의 폭(또는 사용 불가능한 왼쪽의 폭)이 "L-1"(또는 "R-1") 및 "Unit Width"의 곱으로 정의된다.
100: 지지체, 101: 기둥체, 102R: 그립, 102L: 그립, 103a: 측면, 103b: 측면, 104a: 접속부, 104b: 접속부, 105a: 구멍, 105b: 구멍, 106: 스토퍼, 107: 스토퍼, 108: 오목부, 109: 고정판, 110: 스프링, 111: 기둥체, 112: 탄성 재료층, 113: 탄성 재료층, 114a: 전자 장치, 114b: 전자 장치,1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15a: 플렉시블층, 115b: 디바이스층, 115c: 플렉시블층, 116: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 117: 서브디스플레이 영역, 118a: 도전성 재료, 118b: 도전성 재료, 119: 연결 부분, 120: 센서
본 출원은 2014년 05월 06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련 번호 2014-095610의 일본 특허 출원에 기초하고,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Claims (5)

  1.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둥체, 제 2 기둥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와 상기 제 2 기둥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 상기 제 2 기둥체, 및 상기 복수의 기둥체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체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1 끝(end) 및 상기 제1 끝과 대향하는 제2 끝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체 중 2 개의 인접되는 기둥체의 제 2 끝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 및 펼친(opened)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복수의 기둥체 중 다른 2 개의 인접되는 기둥체의 제 2 끝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플렉시블 전자 장치.
  2.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둥체, 제 2 기둥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와 상기 제 2 기둥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 상기 제 2 기둥체, 및 상기 복수의 기둥체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체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1 끝 및 상기 제1 끝과 대향하는 제2 끝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1 기둥체의 폭은 상기 복수의 기둥체 중 하나의 폭보다 큰, 플렉시블 전자 장치.
  3.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둥체, 제 2 기둥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와 상기 제 2 기둥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 상기 제 2 기둥체, 및 상기 복수의 기둥체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제 1 플렉시블층, 및 제 1 플렉시블층보다 두꺼운 제 2 플렉시블층, 및 상기 제 1 플렉시블층과 상기 제 2 플렉시블층 사이의 디바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체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 1 플렉시블층을 지지하는 제 1 끝 및 제 1 끝과 대향하는 제 2 끝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전자 장치.
  4.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둥체, 제 2 기둥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와 상기 제 2 기둥체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제 1 기둥체, 상기 제 2 기둥체, 및 상기 복수의 기둥체 상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체 각각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제 1 끝 및 제 1 끝과 대향하는 제 2 끝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기둥체 중 하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내부 접힘(inside folding)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
  5.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터치 센서는 주된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에 위치되며, 비활성인, 플렉시블 전자 장치.
KR1020197027975A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KR20190111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5610 2014-05-06
JP2014095610 2014-05-06
PCT/IB2015/052959 WO2015170213A1 (en) 2014-05-06 2015-04-23 Electronic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446A Division KR102495922B1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163A true KR20190111163A (ko) 2019-10-01

Family

ID=5436858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07A KR20230023815A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KR1020167032446A KR102495922B1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KR1020197027975A KR20190111163A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KR1020237043661A KR20230175342A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607A KR20230023815A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KR1020167032446A KR102495922B1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661A KR20230175342A (ko) 2014-05-06 2015-04-23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7) US9337434B2 (ko)
JP (4) JP6655885B2 (ko)
KR (4) KR20230023815A (ko)
CN (3) CN116092384A (ko)
DE (1) DE112015002144T5 (ko)
WO (1) WO20151702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775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494A1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35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7222B (zh) * 2013-07-01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6092384A (zh) * 2014-05-06 2023-05-0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KR102228857B1 (ko) * 2014-09-05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KR102362196B1 (ko) * 2015-02-02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2225B1 (ko) * 2015-02-27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통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4714699A (zh) * 2015-04-13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9772657B2 (en) *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N106325728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D828321S1 (en) 2015-11-04 2018-09-11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smart mobile phone
KR102421579B1 (ko) *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27669B1 (ko) * 2015-11-17 2022-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3796074B1 (en) * 2015-11-27 2023-05-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23118B1 (ko) * 2015-12-11 2022-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 강성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D791753S1 (en) * 2015-12-15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0443S1 (en) 2015-12-22 2019-06-04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WO2017113319A1 (zh) * 2015-12-31 2017-07-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穿戴设备
KR102501142B1 (ko) * 2015-12-31 2023-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EP3399516A4 (en) * 2015-12-31 2019-08-1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OLDING MOBILE TERMINAL
CN107203291B (zh) * 2016-03-18 2020-06-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可弯曲式触控传感器及包括该触控传感器的显示装置
USD841612S1 (en) * 2016-03-31 2019-02-26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454386B1 (ko) * 2016-04-29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92731B1 (ko) * 2016-06-09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26512B1 (ko) * 2016-06-09 2022-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493527B1 (ko) * 2016-07-05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37297B1 (ko) * 2016-07-05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28024B1 (ko) *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056444A (ko) * 2016-11-18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64612B (zh) * 2016-11-22 2019-07-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可撓性電子裝置及連桿組件
CN106783920B (zh) * 2016-12-21 2019-10-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基于柔性oled的显示面板、无缝拼接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5101558A (zh) 2016-12-22 2022-09-2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360492B1 (ko) * 2017-03-24 202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847099A (zh) * 2017-04-24 2017-06-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DE102017209268B4 (de) * 2017-06-01 2019-02-21 Audi Ag Anzeigesystem
US11178784B2 (en) 2017-06-15 2021-11-1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569087B1 (ko) * 2017-07-17 2023-08-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곡률 제한 필름
US11079807B1 (en) * 2017-08-03 2021-08-03 Apple Inc. Friction roller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roller and spacer elements
KR102369318B1 (ko) * 2017-08-30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56321A1 (zh) * 2017-09-22 2019-03-2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弯折结构及弯折显示装置
US10698448B2 (en) 2017-09-29 2020-06-30 Sharp Kabushiki Kaisha Elastic support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layered body
KR102355103B1 (ko) 2017-09-29 2022-0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7198220B2 (ja) 2017-11-30 2022-12-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
KR102408844B1 (ko) * 2017-12-06 2022-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1909B1 (ko) * 2018-04-20 2023-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547554B (zh) * 2018-05-31 2021-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链节、链条组件和终端
CN109032412B (zh) * 2018-08-01 2020-06-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9326865A (zh) * 2018-09-14 2019-02-12 东南大学 一种磁吸式卫星天线展开机构
CN109166462B (zh) * 2018-10-15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式显示装置及其折叠方法
CN109300403B (zh) * 2018-11-30 2021-07-0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09345960B (zh) * 2018-12-12 2020-07-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有机发光显示器及弹簧组件
KR20200088997A (ko) * 2019-01-16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감겨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21010B1 (ko) 2019-01-30 2024-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TW202041128A (zh) * 2019-04-19 2020-11-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撓性構件的支撐工具以及顯示裝置
KR20200124793A (ko) * 2019-04-24 2020-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007245B1 (en) * 2019-07-30 2024-05-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0687967B (zh) * 2019-09-24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控制方法
CN110580857A (zh) * 2019-10-08 2019-12-17 李萌 面板保护层及显示面板装置
CN110928365B (zh) * 2019-11-07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4945966A (zh) * 2020-01-10 2022-08-2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角度调整装置、支撑工具及显示装置
KR20210143982A (ko) * 2020-05-20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00979A (zh) * 2020-05-22 2020-08-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弯折显示屏的支撑骨架及可弯折显示屏
CN111489651B (zh) * 2020-05-27 2022-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卷轴式显示面板、卷轴式显示装置
CN111667768B (zh) * 2020-06-30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20220030372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WO2022155819A1 (zh) * 2021-01-20 2022-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组件和显示装置
CN112951890B (zh) * 2021-02-10 2022-11-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117373A (ko) * 2021-02-15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450654B (zh) * 2021-06-30 2023-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屏模组及其制备方法和移动终端
US11785730B2 (en) 2021-07-28 2023-10-10 Tpk Advanced Solutions Inc.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hain and at least one elastic padding
CN113888969B (zh) * 2021-09-23 2023-10-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935438B2 (en) * 2021-09-29 2024-03-19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Display Co., Ltd. Bend limiting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30085995A (ko) * 2021-12-07 2023-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582242B (zh) * 2022-03-25 2023-11-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24054088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7420B2 (en) 2009-05-02 2013-04-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book
KR20140028597A (ko) 2012-08-29 2014-03-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205A (ja)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表示装置
JP3532415B2 (ja) * 1998-07-06 2004-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JP2000186710A (ja) * 1998-12-22 2000-07-04 Sharp Corp ヒンジ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型の情報処理装置
JP2001255514A (ja) 2000-03-13 2001-09-21 Minolta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560974B2 (ja) * 2001-03-15 2010-10-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8415208B2 (en) 2001-07-16 2013-04-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peeling off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6953735B2 (en) 2001-12-28 2005-10-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by transferring a layer to a support with curvature
US20030201974A1 (en) 2002-04-26 2003-10-30 Yin Memphis Zhihong Apparatus display
EP2538400B1 (en) 2002-11-21 2014-03-19 Creator Technology B.V. Flexible display
JP2007529776A (ja) 2004-03-16 2007-10-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巻くことができる電子パネル装置
WO2006090434A1 (ja) 2005-02-22 2006-08-31 Fujifilm Corporation 塑性変形を抑制する可撓性基材及び可撓性画像表示装置
JP4749764B2 (ja) 2005-05-23 2011-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湾曲検出装置及び可撓性装置
US8018431B1 (en) * 2006-03-29 2011-09-13 Amazon Technologies, Inc. Page turner for handheld electronic book reader device
TW200823729A (en) * 2006-06-14 2008-06-01 Polymer Vision Ltd User input on rollable display device
JP2008003112A (ja) * 2006-06-20 2008-01-10 Rapan Create:Kk 発光体表示装置
JP2008052040A (ja) * 2006-08-24 2008-03-06 Fujifilm Corp 表示装置
JP2008152426A (ja) 2006-12-15 2008-07-03 Orion Denki Kk 情報表示装置
JP5108293B2 (ja) 2006-12-20 2012-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撮像装置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23833B2 (en) *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JP2009170173A (ja) * 2008-01-11 2009-07-30 Denso Corp 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TWI441116B (zh)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US9009984B2 (en) * 2008-09-0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9459656B2 (en) * 2008-10-12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10051311A1 (en) 2008-10-28 2010-05-06 Solopower, Inc. Improved drum design for web processing
US8610155B2 (en) 2008-11-18 2013-1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ellular phone
JP2010218102A (ja) * 2009-03-16 2010-09-30 Sony Corp 電子機器
CN104133314B (zh) * 2009-05-02 2019-07-1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
CN101924816B (zh) 2009-06-12 2013-03-20 清华大学 柔性手机
CN101996535A (zh)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和电子设备
KR101780419B1 (ko) 2011-02-15 2017-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WO2012115016A1 (en) 2011-02-25 2012-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light-emitting device
NL2006862C2 (en) 2011-05-30 2012-12-03 Polymer Vision Bv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20120314399A1 (en) 2011-06-07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oldable assembly
KR101320384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JP2013105312A (ja)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35553B1 (ko) 2012-02-01 2019-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1526B1 (ko) * 2012-04-08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방법
KR101943435B1 (ko)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15623B1 (ko)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375335B1 (ko) * 2012-05-15 201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242365A (ja) 2012-05-18 2013-12-05 Toppan Printing Co Ltd フィルム発光型表示装置及びマルチフィルム発光型表示装置
JPWO2014010458A1 (ja) * 2012-07-10 2016-06-23 ソニー株式会社 操作処理装置および操作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28175B1 (ko)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0244B1 (ko) 2012-08-0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4409B1 (ko) 2012-08-23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89442B1 (ko) 2012-10-18 2014-04-30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107788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610411B2 (ja) * 2013-03-13 2014-10-2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43638A (ko) 2013-04-15 2015-12-2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US20140337621A1 (en) * 2013-05-07 2014-11-13 Serguei Nakhimov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security complex and user interface
TWI667644B (zh) * 2013-07-19 2019-08-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
KR20220025259A (ko) * 2013-07-19 2022-03-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102179813B1 (ko) * 2013-09-03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CN106030451B (zh) * 2014-02-28 2021-03-1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CN116092384A (zh) * 2014-05-06 2023-05-0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KR102269604B1 (ko) * 2018-02-23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2565A (ko) * 2018-10-15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7420B2 (en) 2009-05-02 2013-04-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book
KR20140028597A (ko) 2012-08-29 2014-03-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775A1 (ko) * 2019-12-27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114494A1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35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2144T5 (de) 2017-03-02
WO2015170213A1 (en) 2015-11-12
US10101826B2 (en) 2018-10-16
KR20230175342A (ko) 2023-12-29
JP7400048B2 (ja) 2023-12-18
US20180095551A1 (en) 2018-04-05
CN106463079B (zh) 2019-05-14
US20190025945A1 (en) 2019-01-24
US20160313811A1 (en) 2016-10-27
CN116092384A (zh) 2023-05-09
KR20230023815A (ko) 2023-02-17
KR102495922B1 (ko) 2023-02-02
US10606379B2 (en) 2020-03-31
US9891725B2 (en) 2018-02-13
CN109872638B (zh) 2023-04-07
JP6655885B2 (ja) 2020-03-04
JP2020077009A (ja) 2020-05-21
US9337434B2 (en) 2016-05-10
US20220121313A1 (en) 2022-04-21
JP2015228022A (ja) 2015-12-17
JP2024019344A (ja) 2024-02-08
CN109872638A (zh) 2019-06-11
US20230384879A1 (en) 2023-11-30
US20150325804A1 (en) 2015-11-12
CN106463079A (zh) 2017-02-22
JP2022188181A (ja) 2022-12-20
US11740728B2 (en) 2023-08-29
US11216106B2 (en) 2022-01-04
KR20170005019A (ko) 2017-01-11
US20200192495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922B1 (ko) 전자 장치
CN105788460B (zh) 柔性显示装置
US9013884B2 (en) Display, electronic unit, and supporting substrate
US9563274B2 (en) Adaptable input/output device
KR20060134130A (ko) 휨에 의한 시각 디스플레이 제어
US20120313854A1 (en) Adaptable input/output device
CN105992991A (zh) 低外形指点杆
KR20130104051A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방법
US20220171431A1 (en) Foldable Display
JP2012043376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1424986B (zh) 一种新型鼠标装置
JP6830130B2 (ja) 電子機器
KR20100011357A (ko) 페이지 넘김 기능이 강화된 이-북(e-book) 장치
JP2017111041A (ja) 外力分布測定システム
KR20160089713A (ko) 사인패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